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조림초등학교
       학부모 김 문 숙
                        1
저는 경기도 남양주에 거주하다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조림초등학교로
       전학 온 3학년 신선우 엄마 김문숙입니다.
우리 아이는 2살때 부터 아토피가 발생되어
8년 동안이란 긴 시간 동안 고통받아 왔습니다.
 게다가 알레르기성 비염과 기관지 천식까지 겹치는
 이루 말로 다 할 수 없는 고통을 겪고 있었습니다.




                                3
아이가 밤 낮 없이 가려워 힘들어 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부모의 심
                      정은 모두 같을 것입니다.
아토피를 앓는 아이들이 다 그렇듯 양방 한방 민방 등 좋다는 곳을
   다 찾아 백방으로 돌아다녔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었습니다.
아토피란?

     만성적으로 재발과 완화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알러지성
      피부습진으로 피부 건조증, 염증 및 가려움증이 주 증상



고통 받는 우리 아이와 가족들!
                       초반에는 좀 효과를 보는 듯 했습니다.
그런데, 다시 심해지기를 반복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증상이 심해져 나날
                    이 말로 다 할 수 없는 고통을 받았습니다.
                              사회적 병리현상 초래
  엄마인 제가 제일 가슴 아픈 건 또래 아이들의 놀림감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하루는 아토피 때문에 고통 받고 있는 우리아이가 울먹이면서 말하더군요
             얼굴상처에서 진물이 나고 계속 긁적대는 모습을 보고
        또래 아이들이 더럽다 놀려댔고, 왕따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가슴이 메어지고 짖어지는 고통 속에 앞이 막막했습니다.
   밤마다 긁적대는 아이를 보고 한없는 눈물로 하얀 밤을
              지새웠습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아이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의 해맑은 모습을 볼 수 있을까?


           자책도 많이 했습니다.
         저와 아이 아빠 때문이 아닐까?
         유전성 질병 때문이 아닐까?
이러한 죄스런 마음에 하루하루 고통을 받고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2008년 올 8월 우연히 케이블 방송 뉴스에서
         맑은 숲 자연과 함께하는
          아토피 시범학교가
      운영된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습니다.
꿈   같은 소식이었습니다.
             그리고 사랑으로 교육한다는
                 풍요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아토피친화 시범학교를
              운영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제 우리 아이가 밝은 웃음을 되찾을 수 있는
희망을 가지고 바로 전라북도 진안으로 향했습니다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소재
조림초등학교를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아토피친화시범학교 조림초등학교는?




    학교 주변 시설을 돌아 보았습니다.
맑은 숲 자연과 어우러져 있는 조림초등학교가
         맘에 들었습니다.
실내환경과 약욕시설 그리고 청결한 화장실 등

자연 친화형 시설이   참으로 맘에 들었습니다.
그러나 아무런 연고가 없는 낯선 지역에서
        가족들과 떨어져 살아야 하는
   이중 생활이란 생활비 부담이 걱정되었습니다.


    하지만 교장선생님을 비롯한 선생님들에게
   아토피친화 시범학교 운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사랑스런 우리 아이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다는 마음에서
     조림초등학교로 전학을 결심했습니다.
          저와 같은 생각으로
    우리아이와 같이 아토피로 고통 받고 있는
     9명의 학생이 전학을 오게 되었습니다.
 어느 가족은 아이를 위해 엄마와 형이 같이 왔습니다.
         이제 풍요로운 공동체를
열어나가게 되었으니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학교의 일과는 아침체조와 명상
그리고 산책으로 하루를 시작합니다.
친환경 칠판, 건습도 조절기, 숲속 산책길, 스파시설 등
 아토피 관리에 최적 시설을 갖춘 조림초등학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에 속에서
우리아이가 밝은 모습으로 교육을 받게 되었습니다.
방과 후에는 미술치료, 심리상담, 스차치료, 흙체험 학습을 받습니다.
    더불어 진안에서 생산된 친환경 농산물로 만들어진
        아토피 케어 식품을 섭취하고 있습니다.
탐구시간에는 아토피 케어에 필요한 보습제, 목욕용품,
     립밤, 연고 등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에 아이들이 즐거워 하고 있습니다.
     왜 이런 학교가 이제 생겼을까요?
   좀더 빨리 운영되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푸념도 해봤습니다.
친환경 농산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샌드위치도 만들어 봅니다.
           그림도 그려봅니다.
    체험학습을 통하여 잔연환경생태를 배웁니다.
이제 우리아이가 조림초등학교 전교 32명 아이들과 함께
         뛰어 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밝아졌습니다.
이렇게 9월부터 현재까지 3개월간 생활을 하다보니
     아토피 증상이 크게 완화되어
   악화가 진행시기가 3~4일이었던 것이
       1~2일로 짧아졌습니다.
진안에 내려와 생활하며
           맑고 숲! 자연환경 속에서 생활하다 보니
           우리나라에서 수 많은 아토피 가족들에게
              먼저 미안한 생각이 듭니다.
      수 많은 고통과 함께 살아가는 도시민 아토피 가족 여러분께
    잘 갖추어진 친환경 주거 및 교육시설을 확대 제공해야 되겠습니다.
                   맑은 숲!
       자연환경과 함께할 수 있는 아토피 없는 나라만들기에
         우리 아토피 가족은 열심히 동참하고 싶습니다.


            아주 작은 청정 지역 관계자 여러분!
전라북도 진안군, 전라북도교육청, 진안교육청 그리고 조림초등학교 관계자 여러분!
          진심으로 고맙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가장 중요한 운영 확대 방안제언

   진안에 내려와 약 3개월간 생활은 대단히 만족합니다.
            좀더 바람이 있다면,
       주거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가장 자연스럽고 친환경적인 소재를 활용한

  자연과 함께하는 주거환경 시설을         을 조성하여
          우리와 같이 고통 받고 있는
            아토피 가족을 위한
          정책 마련과 재원을 지원해

아토피 없는 나라 만들기에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우야!
    조림초등학교 우리 아이들아!
          맑은 숲
      자연환경과 함께하는

 아토피 없는 나라 만들기에
      우리 모두 노력하자!


그리고 항상 밝고 아름다운 마음으로 성장하여

 대한민국의 동량이 되어 다오!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

학부모신문 268호입니다. (20140105)
학부모신문 268호입니다. (20140105)학부모신문 268호입니다. (20140105)
학부모신문 268호입니다. (20140105)
은영 김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Kyungrim Lee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0. 쌍용플래티넘노블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0. 쌍용플래티넘노블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0. 쌍용플래티넘노블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0. 쌍용플래티넘노블
Seoul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s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은영 김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은영 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3호 (소식지, 2007)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3호 (소식지, 2007)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3호 (소식지, 2007)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3호 (소식지, 2007)여성환경연대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3월 4월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3월 4월 5월 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3월 4월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3월 4월 5월 6월
econewsletter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봉조 김
 
도라지꽃 2014 07
도라지꽃 2014 07도라지꽃 2014 07
도라지꽃 2014 07마 법사
 
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Community kitchen ii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은영 김
 
권하영_아웃턴십 output
권하영_아웃턴십 output권하영_아웃턴십 output
권하영_아웃턴십 output
혜지 장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마 법사
 
한식이랑 놀자~
한식이랑 놀자~한식이랑 놀자~
한식이랑 놀자~lisiluo09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여성환경연대
 
학부모신문 289호
학부모신문 289호학부모신문 289호
학부모신문 289호
경희 배
 
학부모신문 249호
학부모신문 249호학부모신문 249호
학부모신문 249호
은영 김
 
아이를 기르며 (2000년대 초반)
아이를 기르며 (2000년대 초반) 아이를 기르며 (2000년대 초반)
아이를 기르며 (2000년대 초반)
여성환경연대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econewsletter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은영 김
 

Similar to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 (20)

학부모신문 268호입니다. (20140105)
학부모신문 268호입니다. (20140105)학부모신문 268호입니다. (20140105)
학부모신문 268호입니다. (20140105)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0. 쌍용플래티넘노블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0. 쌍용플래티넘노블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0. 쌍용플래티넘노블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0. 쌍용플래티넘노블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3호 (소식지, 2007)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3호 (소식지, 2007)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3호 (소식지, 2007)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3호 (소식지, 2007)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3월 4월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3월 4월 5월 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3월 4월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3월 4월 5월 6월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도라지꽃 2014 07
도라지꽃 2014 07도라지꽃 2014 07
도라지꽃 2014 07
 
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권하영_아웃턴십 output
권하영_아웃턴십 output권하영_아웃턴십 output
권하영_아웃턴십 output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한식이랑 놀자~
한식이랑 놀자~한식이랑 놀자~
한식이랑 놀자~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학부모신문 289호
학부모신문 289호학부모신문 289호
학부모신문 289호
 
학부모신문 249호
학부모신문 249호학부모신문 249호
학부모신문 249호
 
아이를 기르며 (2000년대 초반)
아이를 기르며 (2000년대 초반) 아이를 기르며 (2000년대 초반)
아이를 기르며 (2000년대 초반)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

  • 1.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조림초등학교 학부모 김 문 숙 1
  • 2. 저는 경기도 남양주에 거주하다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조림초등학교로 전학 온 3학년 신선우 엄마 김문숙입니다.
  • 3. 우리 아이는 2살때 부터 아토피가 발생되어 8년 동안이란 긴 시간 동안 고통받아 왔습니다. 게다가 알레르기성 비염과 기관지 천식까지 겹치는 이루 말로 다 할 수 없는 고통을 겪고 있었습니다. 3
  • 4. 아이가 밤 낮 없이 가려워 힘들어 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부모의 심 정은 모두 같을 것입니다. 아토피를 앓는 아이들이 다 그렇듯 양방 한방 민방 등 좋다는 곳을 다 찾아 백방으로 돌아다녔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었습니다.
  • 5. 아토피란? 만성적으로 재발과 완화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알러지성 피부습진으로 피부 건조증, 염증 및 가려움증이 주 증상 고통 받는 우리 아이와 가족들! 초반에는 좀 효과를 보는 듯 했습니다. 그런데, 다시 심해지기를 반복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증상이 심해져 나날 이 말로 다 할 수 없는 고통을 받았습니다. 사회적 병리현상 초래 엄마인 제가 제일 가슴 아픈 건 또래 아이들의 놀림감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하루는 아토피 때문에 고통 받고 있는 우리아이가 울먹이면서 말하더군요 얼굴상처에서 진물이 나고 계속 긁적대는 모습을 보고 또래 아이들이 더럽다 놀려댔고, 왕따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 6. 가슴이 메어지고 짖어지는 고통 속에 앞이 막막했습니다. 밤마다 긁적대는 아이를 보고 한없는 눈물로 하얀 밤을 지새웠습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아이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의 해맑은 모습을 볼 수 있을까? 자책도 많이 했습니다. 저와 아이 아빠 때문이 아닐까? 유전성 질병 때문이 아닐까? 이러한 죄스런 마음에 하루하루 고통을 받고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 7. 그러던 어느 날 2008년 올 8월 우연히 케이블 방송 뉴스에서 맑은 숲 자연과 함께하는 아토피 시범학교가 운영된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습니다.
  • 8. 같은 소식이었습니다. 그리고 사랑으로 교육한다는 풍요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아토피친화 시범학교를 운영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제 우리 아이가 밝은 웃음을 되찾을 수 있는 희망을 가지고 바로 전라북도 진안으로 향했습니다
  • 9.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소재 조림초등학교를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 10. 아토피친화시범학교 조림초등학교는? 학교 주변 시설을 돌아 보았습니다. 맑은 숲 자연과 어우러져 있는 조림초등학교가 맘에 들었습니다.
  • 11. 실내환경과 약욕시설 그리고 청결한 화장실 등 자연 친화형 시설이 참으로 맘에 들었습니다.
  • 12. 그러나 아무런 연고가 없는 낯선 지역에서 가족들과 떨어져 살아야 하는 이중 생활이란 생활비 부담이 걱정되었습니다. 하지만 교장선생님을 비롯한 선생님들에게 아토피친화 시범학교 운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사랑스런 우리 아이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다는 마음에서 조림초등학교로 전학을 결심했습니다. 저와 같은 생각으로 우리아이와 같이 아토피로 고통 받고 있는 9명의 학생이 전학을 오게 되었습니다. 어느 가족은 아이를 위해 엄마와 형이 같이 왔습니다. 이제 풍요로운 공동체를 열어나가게 되었으니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 13. 학교의 일과는 아침체조와 명상 그리고 산책으로 하루를 시작합니다.
  • 14. 친환경 칠판, 건습도 조절기, 숲속 산책길, 스파시설 등 아토피 관리에 최적 시설을 갖춘 조림초등학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에 속에서 우리아이가 밝은 모습으로 교육을 받게 되었습니다.
  • 15. 방과 후에는 미술치료, 심리상담, 스차치료, 흙체험 학습을 받습니다. 더불어 진안에서 생산된 친환경 농산물로 만들어진 아토피 케어 식품을 섭취하고 있습니다.
  • 16. 탐구시간에는 아토피 케어에 필요한 보습제, 목욕용품, 립밤, 연고 등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에 아이들이 즐거워 하고 있습니다. 왜 이런 학교가 이제 생겼을까요? 좀더 빨리 운영되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푸념도 해봤습니다.
  • 17. 친환경 농산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샌드위치도 만들어 봅니다. 그림도 그려봅니다. 체험학습을 통하여 잔연환경생태를 배웁니다.
  • 18. 이제 우리아이가 조림초등학교 전교 32명 아이들과 함께 뛰어 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밝아졌습니다.
  • 19. 이렇게 9월부터 현재까지 3개월간 생활을 하다보니 아토피 증상이 크게 완화되어 악화가 진행시기가 3~4일이었던 것이 1~2일로 짧아졌습니다.
  • 20. 진안에 내려와 생활하며 맑고 숲! 자연환경 속에서 생활하다 보니 우리나라에서 수 많은 아토피 가족들에게 먼저 미안한 생각이 듭니다. 수 많은 고통과 함께 살아가는 도시민 아토피 가족 여러분께 잘 갖추어진 친환경 주거 및 교육시설을 확대 제공해야 되겠습니다. 맑은 숲! 자연환경과 함께할 수 있는 아토피 없는 나라만들기에 우리 아토피 가족은 열심히 동참하고 싶습니다. 아주 작은 청정 지역 관계자 여러분! 전라북도 진안군, 전라북도교육청, 진안교육청 그리고 조림초등학교 관계자 여러분! 진심으로 고맙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 21. 가장 중요한 운영 확대 방안제언 진안에 내려와 약 3개월간 생활은 대단히 만족합니다. 좀더 바람이 있다면, 주거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가장 자연스럽고 친환경적인 소재를 활용한 자연과 함께하는 주거환경 시설을 을 조성하여 우리와 같이 고통 받고 있는 아토피 가족을 위한 정책 마련과 재원을 지원해 아토피 없는 나라 만들기에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랍니다.
  • 22. 선우야! 조림초등학교 우리 아이들아! 맑은 숲 자연환경과 함께하는 아토피 없는 나라 만들기에 우리 모두 노력하자! 그리고 항상 밝고 아름다운 마음으로 성장하여 대한민국의 동량이 되어 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