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기획자를 위한
최신 모바일웹 트랜드와
반응형 웹 화면 설계



김영아 책임연구원
Hello!!
           (현) 미래웹기술연구소 UX Evangelist Group
           (현) K-Apps 표준화포럼 콘텐츠&단말분과
            UI 프레임워크 자문위원
           국내 최초 공공기관 반응형웹 사이트 구축 외 다수
           (전) 인크루트 서비스 기획
           [발표 이력]
           웹데브모바일 외 다수
           [수상이력]
           2010 세계 IT 올림픽 WCIT 공공부문 수상

           Home : http://youngah.com
           E-Mail : youngah@w3labs.kr
           Twitter : @youngah0812
목차
1.   모바일웹 기획의 현주소와 N-Screen 이슈

2.   반응형 웹(Responsive Web) 개념 정의

3.   반응형 웹 우수 사례 분석

4.   실전에 필요한 반응형 웹 기획 Tip
1. 모바일웹 서비스의 현주소와 N-Screen 이슈
과거 Web Vs. Mobile

 방대한 정보의 표현 가능
 대용량 데이터 전송 가능




                    VS
                          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한계
                           화면 사이즈의 제약사항 존재
                     단말기의 기능 속성에 따른 고려사항 많음
현재 서비스 구축 사례
모회사가 abc 라는 서비스를 운영중인 경우 모바일 환경에 어떻게 대처?

                    www.abc.com

                     m.abc.com

                      t.abc.com

                   안드로이드 App.          인력과 시간의
   Abc 서비스                             중복낭비 불가피
                     아이폰 App.

                    아이패드 App.

                 Feature Phone (Wap)

                     Omnia Site
웹을 앞서는 모바일 사용률

 2011년 12월의 북미 사용자들의 모바일 앱과 웹의 하루 사용 시간 통계
N-Screen 요구 증가

   스마트폰 – 타블렛 PC – 데스크탑PC - TV




          서비스 연속성을 요구
결론
• 모바일 웹과 웹은 더 이상 다른 것이 아니다. 그냥 웹이다.
• 서로 다른 Screen Device에서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동일한
  사용성이 요구되고 있다.




     즉, N-Screen 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N-Screen 대응 조건

 • 신규로 출시될 Screen Device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 해야 함

 • PC환경과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 가능 해야 함

 • 인력과 시간의 중복 낭비 해소가 가능해야 함
2. 반응형 웹(Responsive Web) 개념 정의
반응 형 웹의 정의
반응형 웹(Responsive Web) 이란?
• 말 그대로 반응하여 나타나는 웹의 형태를 뜻하며,
• 웹 브라우저의 가로 사이즈에 반응하여 레이아웃을 최적화하여 구성한다




               http://mediaqueri.es/
반응형 웹의 원리

• 반응형 웹 (Responsive Web)은 별도의 신기술이 아님.

• CSS3의 속성을 이용한 웹 UI 기법일 뿐.

  – Media Query
CSS3 Media Query 속성 이해
반응형 웹을 간단히 이해하는 방법


               IF           IF                 IF

            최소             최소                 최소
         601 pixcel   321 pixcel 이상         1 pixcel
            이상                                이상
                           최대
           최대           600 pixcel            최대
        1024 pixcel     이하 일시            320 pixcel 이하
           이하                                 일시
           또는
        그 이상 일시




 Wide Layout          Medium Layout Narrow Layout
반응형 웹 구축 시 생기는 의구심
비교. 웹 사이트와 모바일 용 사이트 구축 시

•    웹사이트 “www.abc.com” 과 모바일 용“m.abc.com”을 보유한 사이트는?




             www.abc.com
                                 &       m.abc.com


       도메인      page       CSS        도메인   page     CSS




    (결론)으로 중복 관리이지만 미래 Device 에 대응 방안 미비함
반응형 웹 구축 시 비교 분석

• “www.abc.com”을 반응형 웹 UI로 구축한다면?




                       www.abc.com


        도메인     page      CSS 1      CSS 2   CSS 3




(결론)
CSS는 여러 벌 만들지만 비교분석 결과 효율적
향 후 출시 될 Screen Device에 유연한 대응 가능
결론적으로
• 반응형 웹 UI 구축이 N-Screen UI 전략의 정답은 아니다.
• 하지만 향 후 출시 될 Screen Deivice에 별도의 투자 없이 대응 할 수 있다
• 현실과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3. 반응형 웹 우수 사례
반응 형 웹 구축 현황 : 해외
 •   해외 사례 : 많음
 •   대표 사이트 : The Boston Globe 외 다수
 •   워드프레스 템플릿 제공
 •   언론 및 각종 포털은 대다수 반응형 웹 제공
언론 서비스 사례 (http://www.bostonglobe.com/)
워드프레스 템플릿 사례 (http://themify.me/)
쇼핑몰 사례 (http://www.sony.com/index.php)
숙박 서비스 사례 (http://www.macdonaldhotels.co.uk/)
Job 서비스 사례 (http://www.jobat.be/nl/)
반응 형 웹 구축 현황 : 국내
 • 국내 사례 : 공공기관 2건 이상, 기업 및 포털 다수
 • 꾸준한 확대 추세
 • 반응형 웹 게임 등 연구진 확대
공공기관 사례(m.Seoul.go.kr)
기업사이트 사례(http://www.metabrain.com/)
게임 서비스 사례 (http://10k.aneventapart.com/2/Uploads/607/)
사례를 통한 시사점
• 반응형 웹 UI 구성 시 정보구조가 반드시 심플해야 한다?
• 아니다. 복잡한 정보구조의 형태를 가진 서비스도 가능 하다.
• 단, 서비스 목적성과 일관성, 연속성을 보장해야 한다.
4. 실전에 필요한 반응형 웹 기획 Tip
초기 기획 시, 순서 정의
• 1. 정보 설계

• 2. 가변 단계 정의

• 3. 가변 정의에 따른 레이아웃 정의

• 4. 레이아웃 속성의 정의

• 5. UI 구성 요소의 정의
가변 단계의 정의
• 화면의 가변 정의를 2단계로 할 것인가? 3단계로 할 것인가?

• 구성 정보가 많은 서비스 일수록 가변 단계가 많으면 좋다.

• 가변단계는 출시된 모든 Device 뿐만 아니라 향 후 출시될 모든 Device에
  최적화 할 수 있는 방안이어야 한다.
Layout 기획 순서

 • 작은 화면부터 먼저 기획할 것인가?

 • 큰 화면부터 먼저 기획할 것인가?

   – 되도록이면 큰 화면부터 작은 화면 순서로 기획하는 것이 좋다.

   – 이유 : 화면에 담는 콘텐츠가 비교적으로 적어 PC 기반의 UI에서 콘텐츠 부족

    현상 초래
UI 요소 기획
 • 기획의 요소 중, UI 요소는 가장 상세히 기획해야 한다.

   – 이미지 사이즈 규정 : 확대/축소? 행,열 조정?
   – 폰트 사이즈 규정 : 퍼센트?
   – 링크 규정 : 텍스트 링크? 큐브 링크?
Touch에 대한 고려
 • 어떤 화면 사이즈에도 터치를 고려해야 한다.




       마우스 클릭 위주의 인터페이스는 범용성 하락
         핑거 터치 위주의 인터페이스가 범용적
반응형 웹 기획이 어렵나요?
• UI Framework의 활용도 대안
UI 기획의 역할



      모든 것의   첫 번째 사용자가 되어서
            그것을 창조해내는 것입니다.

       그 창조한 것을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 하여 보여주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Q&A
Page 1-40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BigQueryの課金、節約しませんか
BigQueryの課金、節約しませんかBigQueryの課金、節約しませんか
BigQueryの課金、節約しませんか
Ryuji Tamagawa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9[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9
MezzoMedia
 
Amplify Consoleで かんたん!Webサイト公開
Amplify Consoleで かんたん!Webサイト公開Amplify Consoleで かんたん!Webサイト公開
Amplify Consoleで かんたん!Webサイト公開
Daisuke Yagi
 
4. 대용량 아키텍쳐 설계 패턴
4. 대용량 아키텍쳐 설계 패턴4. 대용량 아키텍쳐 설계 패턴
4. 대용량 아키텍쳐 설계 패턴
Terry Cho
 
한국투자증권의 디지털 플랫폼 구현 사례.pdf
한국투자증권의 디지털 플랫폼 구현 사례.pdf한국투자증권의 디지털 플랫폼 구현 사례.pdf
한국투자증권의 디지털 플랫폼 구현 사례.pdf
AWS Korea 금융산업팀
 
浸透するサーバーレス 実際に見るユースケースと実装パターン
浸透するサーバーレス 実際に見るユースケースと実装パターン浸透するサーバーレス 実際に見るユースケースと実装パターン
浸透するサーバーレス 実際に見るユースケースと実装パターン
Amazon Web Services Japan
 
Multicastが出来ないならUnicastすればいいじゃない
Multicastが出来ないならUnicastすればいいじゃないMulticastが出来ないならUnicastすればいいじゃない
Multicastが出来ないならUnicastすればいいじゃない
Kenta Yasukawa
 
Amazon ECS를 통한 도커 기반 콘테이너 서비스 구축하기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ECS를 통한 도커 기반 콘테이너 서비스 구축하기 - AWS Summit Seoul 2017Amazon ECS를 통한 도커 기반 콘테이너 서비스 구축하기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ECS를 통한 도커 기반 콘테이너 서비스 구축하기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クラウド環境でのセキュリティ監査自動化【DeNA TechCon 2020 ライブ配信】
クラウド環境でのセキュリティ監査自動化【DeNA TechCon 2020 ライブ配信】クラウド環境でのセキュリティ監査自動化【DeNA TechCon 2020 ライブ配信】
クラウド環境でのセキュリティ監査自動化【DeNA TechCon 2020 ライブ配信】
DeNA
 
アラプリ新企画書
アラプリ新企画書アラプリ新企画書
アラプリ新企画書Arappli Taro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
Dylan Ko
 
B2C企業向けクラウドID基盤「 SELMID 」のご紹介 - OpenID Summit 2020
B2C企業向けクラウドID基盤「 SELMID 」のご紹介 - OpenID Summit 2020B2C企業向けクラウドID基盤「 SELMID 」のご紹介 - OpenID Summit 2020
B2C企業向けクラウドID基盤「 SELMID 」のご紹介 - OpenID Summit 2020
OpenID Foundation Japan
 
[AWSマイスターシリーズ] AWS CLI / AWS Tools for Windows PowerShell
[AWSマイスターシリーズ] AWS CLI / AWS Tools for Windows PowerShell[AWSマイスターシリーズ] AWS CLI / AWS Tools for Windows PowerShell
[AWSマイスターシリーズ] AWS CLI / AWS Tools for Windows PowerShell
Amazon Web Services Japan
 
Spring bootでweb バリデート編
Spring bootでweb バリデート編Spring bootでweb バリデート編
Spring bootでweb バリデート編
なべ
 
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
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
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
승화 양
 
Google Teachable machine을 이용한 AI 서비스 만들기
Google Teachable machine을 이용한  AI 서비스 만들기Google Teachable machine을 이용한  AI 서비스 만들기
Google Teachable machine을 이용한 AI 서비스 만들기
Jong-Hyun Kim
 
화성에서 온 개발자, 금성에서 온 기획자
화성에서 온 개발자, 금성에서 온 기획자화성에서 온 개발자, 금성에서 온 기획자
화성에서 온 개발자, 금성에서 온 기획자
Yongho Ha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
승화 양
 
100%Kotlin ORM Ktormを試してみた
100%Kotlin ORM Ktormを試してみた100%Kotlin ORM Ktormを試してみた
100%Kotlin ORM Ktormを試してみた
Keita Tsukamoto
 
CloudFront最近の事例と間違った使い方
CloudFront最近の事例と間違った使い方CloudFront最近の事例と間違った使い方
CloudFront最近の事例と間違った使い方Hirokazu Ouchi
 

What's hot (20)

BigQueryの課金、節約しませんか
BigQueryの課金、節約しませんかBigQueryの課金、節約しませんか
BigQueryの課金、節約しませんか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9[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9
 
Amplify Consoleで かんたん!Webサイト公開
Amplify Consoleで かんたん!Webサイト公開Amplify Consoleで かんたん!Webサイト公開
Amplify Consoleで かんたん!Webサイト公開
 
4. 대용량 아키텍쳐 설계 패턴
4. 대용량 아키텍쳐 설계 패턴4. 대용량 아키텍쳐 설계 패턴
4. 대용량 아키텍쳐 설계 패턴
 
한국투자증권의 디지털 플랫폼 구현 사례.pdf
한국투자증권의 디지털 플랫폼 구현 사례.pdf한국투자증권의 디지털 플랫폼 구현 사례.pdf
한국투자증권의 디지털 플랫폼 구현 사례.pdf
 
浸透するサーバーレス 実際に見るユースケースと実装パターン
浸透するサーバーレス 実際に見るユースケースと実装パターン浸透するサーバーレス 実際に見るユースケースと実装パターン
浸透するサーバーレス 実際に見るユースケースと実装パターン
 
Multicastが出来ないならUnicastすればいいじゃない
Multicastが出来ないならUnicastすればいいじゃないMulticastが出来ないならUnicastすればいいじゃない
Multicastが出来ないならUnicastすればいいじゃない
 
Amazon ECS를 통한 도커 기반 콘테이너 서비스 구축하기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ECS를 통한 도커 기반 콘테이너 서비스 구축하기 - AWS Summit Seoul 2017Amazon ECS를 통한 도커 기반 콘테이너 서비스 구축하기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ECS를 통한 도커 기반 콘테이너 서비스 구축하기 - AWS Summit Seoul 2017
 
クラウド環境でのセキュリティ監査自動化【DeNA TechCon 2020 ライブ配信】
クラウド環境でのセキュリティ監査自動化【DeNA TechCon 2020 ライブ配信】クラウド環境でのセキュリティ監査自動化【DeNA TechCon 2020 ライブ配信】
クラウド環境でのセキュリティ監査自動化【DeNA TechCon 2020 ライブ配信】
 
アラプリ新企画書
アラプリ新企画書アラプリ新企画書
アラプリ新企画書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
 
B2C企業向けクラウドID基盤「 SELMID 」のご紹介 - OpenID Summit 2020
B2C企業向けクラウドID基盤「 SELMID 」のご紹介 - OpenID Summit 2020B2C企業向けクラウドID基盤「 SELMID 」のご紹介 - OpenID Summit 2020
B2C企業向けクラウドID基盤「 SELMID 」のご紹介 - OpenID Summit 2020
 
[AWSマイスターシリーズ] AWS CLI / AWS Tools for Windows PowerShell
[AWSマイスターシリーズ] AWS CLI / AWS Tools for Windows PowerShell[AWSマイスターシリーズ] AWS CLI / AWS Tools for Windows PowerShell
[AWSマイスターシリーズ] AWS CLI / AWS Tools for Windows PowerShell
 
Spring bootでweb バリデート編
Spring bootでweb バリデート編Spring bootでweb バリデート編
Spring bootでweb バリデート編
 
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
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
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
 
Google Teachable machine을 이용한 AI 서비스 만들기
Google Teachable machine을 이용한  AI 서비스 만들기Google Teachable machine을 이용한  AI 서비스 만들기
Google Teachable machine을 이용한 AI 서비스 만들기
 
화성에서 온 개발자, 금성에서 온 기획자
화성에서 온 개발자, 금성에서 온 기획자화성에서 온 개발자, 금성에서 온 기획자
화성에서 온 개발자, 금성에서 온 기획자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
 
100%Kotlin ORM Ktormを試してみた
100%Kotlin ORM Ktormを試してみた100%Kotlin ORM Ktormを試してみた
100%Kotlin ORM Ktormを試してみた
 
CloudFront最近の事例と間違った使い方
CloudFront最近の事例と間違った使い方CloudFront最近の事例と間違った使い方
CloudFront最近の事例と間違った使い方
 

Similar to 기획자를 위한 최신 모바일웹 트랜드와 반응형 웹 화면 설계

반응형 웹 디자인
반응형 웹 디자인반응형 웹 디자인
반응형 웹 디자인
준극 김
 
모바일환경과 개발방향
모바일환경과 개발방향 모바일환경과 개발방향
모바일환경과 개발방향
Wendyst Communication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Daum DNA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KTH, 케이티하이텔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KTH
 
웹:앱 기술 동향
웹:앱 기술 동향웹:앱 기술 동향
웹:앱 기술 동향
ssuser0e53c8
 
[Ewd]class02 0313
[Ewd]class02 0313[Ewd]class02 0313
[Ewd]class02 0313JY LEE
 
[EWD2014]CLASS02
[EWD2014]CLASS02[EWD2014]CLASS02
[EWD2014]CLASS02JY LEE
 
HTML5 와 미래웹기술 part 3
HTML5 와 미래웹기술 part 3HTML5 와 미래웹기술 part 3
HTML5 와 미래웹기술 part 3
미래웹기술연구소 (MIRAE WEB)
 
1.openseminar
1.openseminar1.openseminar
1.openseminarNAVER D2
 
반응형, 적응형 웹, 그 다음은? (지훈 Ux pd)
반응형, 적응형 웹, 그 다음은? (지훈 Ux pd)반응형, 적응형 웹, 그 다음은? (지훈 Ux pd)
반응형, 적응형 웹, 그 다음은? (지훈 Ux pd)
Saltlux zinyus
 
[발표자료]안드로메다에서 온 디자이너이야기 5차 next_web_지훈_20130221
[발표자료]안드로메다에서 온 디자이너이야기 5차 next_web_지훈_20130221[발표자료]안드로메다에서 온 디자이너이야기 5차 next_web_지훈_20130221
[발표자료]안드로메다에서 온 디자이너이야기 5차 next_web_지훈_20130221KTH, 케이티하이텔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5 웹디자인 트렌드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5 웹디자인 트렌드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5 웹디자인 트렌드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5 웹디자인 트렌드
dgmit2009
 
Sencha 가 기업용 WebApps 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인 이유는?
Sencha 가 기업용 WebApps 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인 이유는?Sencha 가 기업용 WebApps 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인 이유는?
Sencha 가 기업용 WebApps 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인 이유는?
미래웹기술연구소 (MIRAE WEB)
 
나는 웹 크리에이터다! 그리고... 최근 웹 핫이슈!.pdf
나는 웹 크리에이터다! 그리고... 최근 웹 핫이슈!.pdf나는 웹 크리에이터다! 그리고... 최근 웹 핫이슈!.pdf
나는 웹 크리에이터다! 그리고... 최근 웹 핫이슈!.pdf
SangHoon Han
 
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
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
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Channy Yun
 
Web os 전략 0912
Web os 전략 0912Web os 전략 0912
Web os 전략 0912
우일 권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DevOps 기술 - Amazon 사례를 중심으로 (윤석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DevOps 기술 - Amazon 사례를 중심으로 (윤석찬)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DevOps 기술 - Amazon 사례를 중심으로 (윤석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DevOps 기술 - Amazon 사례를 중심으로 (윤석찬)
Amazon Web Services Korea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선영 박
 
투어팁스모바일웹 제작가이드
투어팁스모바일웹 제작가이드투어팁스모바일웹 제작가이드
투어팁스모바일웹 제작가이드병수 김
 

Similar to 기획자를 위한 최신 모바일웹 트랜드와 반응형 웹 화면 설계 (20)

반응형 웹 디자인
반응형 웹 디자인반응형 웹 디자인
반응형 웹 디자인
 
모바일환경과 개발방향
모바일환경과 개발방향 모바일환경과 개발방향
모바일환경과 개발방향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웹:앱 기술 동향
웹:앱 기술 동향웹:앱 기술 동향
웹:앱 기술 동향
 
[Ewd]class02 0313
[Ewd]class02 0313[Ewd]class02 0313
[Ewd]class02 0313
 
[EWD2014]CLASS02
[EWD2014]CLASS02[EWD2014]CLASS02
[EWD2014]CLASS02
 
HTML5 와 미래웹기술 part 3
HTML5 와 미래웹기술 part 3HTML5 와 미래웹기술 part 3
HTML5 와 미래웹기술 part 3
 
1.openseminar
1.openseminar1.openseminar
1.openseminar
 
반응형, 적응형 웹, 그 다음은? (지훈 Ux pd)
반응형, 적응형 웹, 그 다음은? (지훈 Ux pd)반응형, 적응형 웹, 그 다음은? (지훈 Ux pd)
반응형, 적응형 웹, 그 다음은? (지훈 Ux pd)
 
[발표자료]안드로메다에서 온 디자이너이야기 5차 next_web_지훈_20130221
[발표자료]안드로메다에서 온 디자이너이야기 5차 next_web_지훈_20130221[발표자료]안드로메다에서 온 디자이너이야기 5차 next_web_지훈_20130221
[발표자료]안드로메다에서 온 디자이너이야기 5차 next_web_지훈_20130221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5 웹디자인 트렌드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5 웹디자인 트렌드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5 웹디자인 트렌드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5 웹디자인 트렌드
 
Sencha 가 기업용 WebApps 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인 이유는?
Sencha 가 기업용 WebApps 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인 이유는?Sencha 가 기업용 WebApps 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인 이유는?
Sencha 가 기업용 WebApps 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인 이유는?
 
나는 웹 크리에이터다! 그리고... 최근 웹 핫이슈!.pdf
나는 웹 크리에이터다! 그리고... 최근 웹 핫이슈!.pdf나는 웹 크리에이터다! 그리고... 최근 웹 핫이슈!.pdf
나는 웹 크리에이터다! 그리고... 최근 웹 핫이슈!.pdf
 
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
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
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
 
Web os 전략 0912
Web os 전략 0912Web os 전략 0912
Web os 전략 0912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DevOps 기술 - Amazon 사례를 중심으로 (윤석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DevOps 기술 - Amazon 사례를 중심으로 (윤석찬)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DevOps 기술 - Amazon 사례를 중심으로 (윤석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DevOps 기술 - Amazon 사례를 중심으로 (윤석찬)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투어팁스모바일웹 제작가이드
투어팁스모바일웹 제작가이드투어팁스모바일웹 제작가이드
투어팁스모바일웹 제작가이드
 

More from Amy Young Ah Kim

실무중심의모바일ui&ux설계디자인 김영아
실무중심의모바일ui&ux설계디자인 김영아실무중심의모바일ui&ux설계디자인 김영아
실무중심의모바일ui&ux설계디자인 김영아Amy Young Ah Kim
 
U&i insight2012스터디설명회
U&i insight2012스터디설명회U&i insight2012스터디설명회
U&i insight2012스터디설명회
Amy Young Ah Kim
 
실무를위한모바일 UI UX step up
실무를위한모바일 UI UX step up실무를위한모바일 UI UX step up
실무를위한모바일 UI UX step upAmy Young Ah Kim
 
프로젝트실무와기획의역할
프로젝트실무와기획의역할프로젝트실무와기획의역할
프로젝트실무와기획의역할Amy Young Ah Kim
 
프로젝트실무와 기획의 역할
프로젝트실무와 기획의 역할프로젝트실무와 기획의 역할
프로젝트실무와 기획의 역할Amy Young Ah Kim
 

More from Amy Young Ah Kim (7)

2013 app design trends
2013 app design trends2013 app design trends
2013 app design trends
 
실무중심의모바일ui&ux설계디자인 김영아
실무중심의모바일ui&ux설계디자인 김영아실무중심의모바일ui&ux설계디자인 김영아
실무중심의모바일ui&ux설계디자인 김영아
 
U&i insight2012스터디설명회
U&i insight2012스터디설명회U&i insight2012스터디설명회
U&i insight2012스터디설명회
 
U&I Insgiht
U&I InsgihtU&I Insgiht
U&I Insgiht
 
실무를위한모바일 UI UX step up
실무를위한모바일 UI UX step up실무를위한모바일 UI UX step up
실무를위한모바일 UI UX step up
 
프로젝트실무와기획의역할
프로젝트실무와기획의역할프로젝트실무와기획의역할
프로젝트실무와기획의역할
 
프로젝트실무와 기획의 역할
프로젝트실무와 기획의 역할프로젝트실무와 기획의 역할
프로젝트실무와 기획의 역할
 

기획자를 위한 최신 모바일웹 트랜드와 반응형 웹 화면 설계

  • 1. 기획자를 위한 최신 모바일웹 트랜드와 반응형 웹 화면 설계 김영아 책임연구원
  • 2. Hello!!  (현) 미래웹기술연구소 UX Evangelist Group  (현) K-Apps 표준화포럼 콘텐츠&단말분과 UI 프레임워크 자문위원  국내 최초 공공기관 반응형웹 사이트 구축 외 다수  (전) 인크루트 서비스 기획  [발표 이력]  웹데브모바일 외 다수  [수상이력]  2010 세계 IT 올림픽 WCIT 공공부문 수상  Home : http://youngah.com  E-Mail : youngah@w3labs.kr  Twitter : @youngah0812
  • 3. 목차 1. 모바일웹 기획의 현주소와 N-Screen 이슈 2. 반응형 웹(Responsive Web) 개념 정의 3. 반응형 웹 우수 사례 분석 4. 실전에 필요한 반응형 웹 기획 Tip
  • 4. 1. 모바일웹 서비스의 현주소와 N-Screen 이슈
  • 5. 과거 Web Vs. Mobile  방대한 정보의 표현 가능  대용량 데이터 전송 가능 VS 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한계  화면 사이즈의 제약사항 존재  단말기의 기능 속성에 따른 고려사항 많음
  • 6. 현재 서비스 구축 사례 모회사가 abc 라는 서비스를 운영중인 경우 모바일 환경에 어떻게 대처? www.abc.com m.abc.com t.abc.com 안드로이드 App. 인력과 시간의 Abc 서비스 중복낭비 불가피 아이폰 App. 아이패드 App. Feature Phone (Wap) Omnia Site
  • 7. 웹을 앞서는 모바일 사용률 2011년 12월의 북미 사용자들의 모바일 앱과 웹의 하루 사용 시간 통계
  • 8. N-Screen 요구 증가 스마트폰 – 타블렛 PC – 데스크탑PC - TV 서비스 연속성을 요구
  • 9. 결론 • 모바일 웹과 웹은 더 이상 다른 것이 아니다. 그냥 웹이다. • 서로 다른 Screen Device에서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동일한 사용성이 요구되고 있다. 즉, N-Screen 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 10. N-Screen 대응 조건 • 신규로 출시될 Screen Device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 해야 함 • PC환경과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 가능 해야 함 • 인력과 시간의 중복 낭비 해소가 가능해야 함
  • 11. 2. 반응형 웹(Responsive Web) 개념 정의
  • 12. 반응 형 웹의 정의 반응형 웹(Responsive Web) 이란? • 말 그대로 반응하여 나타나는 웹의 형태를 뜻하며, • 웹 브라우저의 가로 사이즈에 반응하여 레이아웃을 최적화하여 구성한다 http://mediaqueri.es/
  • 13. 반응형 웹의 원리 • 반응형 웹 (Responsive Web)은 별도의 신기술이 아님. • CSS3의 속성을 이용한 웹 UI 기법일 뿐. – Media Query
  • 14. CSS3 Media Query 속성 이해
  • 15. 반응형 웹을 간단히 이해하는 방법 IF IF IF 최소 최소 최소 601 pixcel 321 pixcel 이상 1 pixcel 이상 이상 최대 최대 600 pixcel 최대 1024 pixcel 이하 일시 320 pixcel 이하 이하 일시 또는 그 이상 일시 Wide Layout Medium Layout Narrow Layout
  • 16. 반응형 웹 구축 시 생기는 의구심
  • 17. 비교. 웹 사이트와 모바일 용 사이트 구축 시 • 웹사이트 “www.abc.com” 과 모바일 용“m.abc.com”을 보유한 사이트는? www.abc.com & m.abc.com 도메인 page CSS 도메인 page CSS (결론)으로 중복 관리이지만 미래 Device 에 대응 방안 미비함
  • 18. 반응형 웹 구축 시 비교 분석 • “www.abc.com”을 반응형 웹 UI로 구축한다면? www.abc.com 도메인 page CSS 1 CSS 2 CSS 3 (결론) CSS는 여러 벌 만들지만 비교분석 결과 효율적 향 후 출시 될 Screen Device에 유연한 대응 가능
  • 19. 결론적으로 • 반응형 웹 UI 구축이 N-Screen UI 전략의 정답은 아니다. • 하지만 향 후 출시 될 Screen Deivice에 별도의 투자 없이 대응 할 수 있다 • 현실과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 20. 3. 반응형 웹 우수 사례
  • 21. 반응 형 웹 구축 현황 : 해외 • 해외 사례 : 많음 • 대표 사이트 : The Boston Globe 외 다수 • 워드프레스 템플릿 제공 • 언론 및 각종 포털은 대다수 반응형 웹 제공
  • 22. 언론 서비스 사례 (http://www.bostonglobe.com/)
  • 23. 워드프레스 템플릿 사례 (http://themify.me/)
  • 25. 숙박 서비스 사례 (http://www.macdonaldhotels.co.uk/)
  • 26. Job 서비스 사례 (http://www.jobat.be/nl/)
  • 27. 반응 형 웹 구축 현황 : 국내 • 국내 사례 : 공공기관 2건 이상, 기업 및 포털 다수 • 꾸준한 확대 추세 • 반응형 웹 게임 등 연구진 확대
  • 30. 게임 서비스 사례 (http://10k.aneventapart.com/2/Uploads/607/)
  • 31. 사례를 통한 시사점 • 반응형 웹 UI 구성 시 정보구조가 반드시 심플해야 한다? • 아니다. 복잡한 정보구조의 형태를 가진 서비스도 가능 하다. • 단, 서비스 목적성과 일관성, 연속성을 보장해야 한다.
  • 32. 4. 실전에 필요한 반응형 웹 기획 Tip
  • 33. 초기 기획 시, 순서 정의 • 1. 정보 설계 • 2. 가변 단계 정의 • 3. 가변 정의에 따른 레이아웃 정의 • 4. 레이아웃 속성의 정의 • 5. UI 구성 요소의 정의
  • 34. 가변 단계의 정의 • 화면의 가변 정의를 2단계로 할 것인가? 3단계로 할 것인가? • 구성 정보가 많은 서비스 일수록 가변 단계가 많으면 좋다. • 가변단계는 출시된 모든 Device 뿐만 아니라 향 후 출시될 모든 Device에 최적화 할 수 있는 방안이어야 한다.
  • 35. Layout 기획 순서 • 작은 화면부터 먼저 기획할 것인가? • 큰 화면부터 먼저 기획할 것인가? – 되도록이면 큰 화면부터 작은 화면 순서로 기획하는 것이 좋다. – 이유 : 화면에 담는 콘텐츠가 비교적으로 적어 PC 기반의 UI에서 콘텐츠 부족 현상 초래
  • 36. UI 요소 기획 • 기획의 요소 중, UI 요소는 가장 상세히 기획해야 한다. – 이미지 사이즈 규정 : 확대/축소? 행,열 조정? – 폰트 사이즈 규정 : 퍼센트? – 링크 규정 : 텍스트 링크? 큐브 링크?
  • 37. Touch에 대한 고려 • 어떤 화면 사이즈에도 터치를 고려해야 한다. 마우스 클릭 위주의 인터페이스는 범용성 하락 핑거 터치 위주의 인터페이스가 범용적
  • 38. 반응형 웹 기획이 어렵나요? • UI Framework의 활용도 대안
  • 39. UI 기획의 역할 모든 것의 첫 번째 사용자가 되어서 그것을 창조해내는 것입니다. 그 창조한 것을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 하여 보여주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