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Review
IT Issue Focus 2014
kt경제경영연구소 남수정 (sj.nam@kt.com)
□ Conference 의 개요
아이뉴스24가 2013년 11월 27일 개최한 “IT이슈포커스 2014 컨퍼런스”에서는 '미래TV와
기가인터넷 비즈니스 전략'을 주제로 전문가들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본 세미나 리뷰에서는
①스마트 미디어 생태계 대응 전략과 필요성 ②기가인터넷 환경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전망 ③스마트TV 콘텐츠 현황과 활성화방안과 관련한 주요 강연내용을 정리하여 공유
하고자 한다.
<현장사진 (출처: 아이뉴스24)>
2
□ Conference Agenda
발표 제목 발표자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산업발전 정책 방향
이재영 박사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SmartTV and UHD
김상윤 상무
삼성전자
UHDTV시대의 도래와 활성화 전망
이호진 연구위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기가인터넷 추진현황과 이슈
신동범 본부장
SK브로드밴드 Network기획본부
기가인터넷 시대 새로운 비즈니스 시장의 사업모델
박형진 팀장
KT종합기술원 Infra연구소
UHDTV 상용화와 케이블TV 서비스 전략
이종한 CTO
CJ헬로비전
Smart 미디어로 진화하고 있는 IPTV 서비스
박인혁 사업총괄팀장
KT미디어허브
HTML5 기반의 스마트TV 앱개발 사례와 비즈니스 전략
김동훈 사업기획팀장
핸드스튜디오
N-스크린 시대의 스마트TV 콘텐츠와 UI/UX전략
황승익 실장
세종텔레콤
□ Conference Issue & Agenda
1.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산업발전 정책 방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이재영 박사는 국내 방송산업의 강점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와 삼성, LG등이 가진 TV단말의 글로벌 경쟁력, 양질의 콘텐츠 경쟁력을 언급하며,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개막은 방송산업이 발전하기에 최적의 기회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정부도 방송산업의 성장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적극적으로 육성정책을 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양한 육성 정책을 통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방송, 더 많은
콘텐츠와 즐거움을 주는 방송, 유익하고 편리한 이용자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취지라고
밝혔다.
이재영박사는 정부가 방송산업 육성을 위해 ①방송산업 규제혁신 ②방송콘텐츠 시장
활성화 ③스마트미디어 산업육성 ④차세대 방송 인프라 구축 ⑤글로벌시장 진출 확대 등
5대 추진전략을 세웠으며, 이 중 가장 먼저 추진되어야 할 과제는 방송산업의 규제혁신
이라고 역설했다. 또한 방송콘텐츠 시장 활성화를 위해 유료방송시장의 공정한 수익배분
환경을 조성, 투자활성화를 위한 콘텐츠공제조합 운영, 디지털콘텐츠코리아 펀드를 통한
3
투자재원 확대 등 다양한 지원정책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또한 스마트미디어 서비스의 활성화 및 생태계 구축을 위해 정부, 사업자, 학계가 협력
하는 스마트미디어 산업육성 공생 모델을 준비 중에 있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해 최소
규제 원칙을 기반으로 실험과 혁신을 장려하며, 더불어 개인정보보호 제도 개선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글로벌시장 진출확대를 위해 해외진출통합플랫폼(K-포털)을 구축, 정부가 국산
콘텐츠의 해외홍보를 지원한다는 계획과 국내 방송장비 업체 육성을 위해 유망 장비업체를
선정해 해외시장 진출 전반을 지원할 계획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소개했다.
2. SmartTV and UHD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김상윤 상무는 스마트 TV 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표시했다. 2010 년을 전후해서 등장한 스마트 TV 는 플랫폼을 갖추고
있는 모바일 만큼 생태계가 형성되진 못했지만, 최근에 여러 산업플레이어가
스마트 TV 시장에 개입하고자 하는 시도들을 주목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상윤 상무는
스마트 TV 시장이 확대대기 위해선 ①스마트 TV 콘텐츠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②관련 사업자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으며,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스마트 TV 콘텐츠의 성과를 평가하는 측정시스템 필요
- 인기 콘텐츠는 광고 등의 대가를 받아야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이 가능
- 모바일 기기는 콘텐츠의 성공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앱 다운로드 수 등)
- TV 는 콘텐츠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했는지 평가하는 시스템이 없음
- 콘텐츠 사용 현황을 파악하는 기준 필요, TV 시청방식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 콘텐츠 사업자, TV 제조사, 망 사업자의 협력 필요
- 스마트 TV 의 성공 관건은 네트워크 사업자와 콘텐츠 사업자와 시너지에 있음
- 이들 사업자들간 시너지가 일어나면 스마트 TV 빅뱅이 일어날 것
스마트 TV 시장의 확대를 위한 선결 조건
4
3. UHDTV시대의 도래와 활성화 전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호진 연구위원은 UHDTV 의 가능성과 기회에 대해
소개하며 이미 UHDTV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중장기적 관점으로 글로벌 미디어산업의 주도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호진 연구원은 UHDTV 가 주목 받는 네 가지 이유로 ①TV 기술의 고급화
②OLED TV 상용화 지연에 따른 대안적 솔루션 ③포스트 HD 방송시장 선점 경쟁의
가속화 ④초기 콘텐츠 확보 유리 등을 언급했다.
국내 UHDTV 시장 매출은 2013 년에는 100 억원 규모이지만 연 79.7%씩 초고속
성장하여 2017 년에는 3,521 억원, 2020 년에는 6,053 억원 규모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UHDTV 시장의 국내매출, 수출액, 생산액 등의 전망 수치는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국내 UHDTV 시장 전망 (출처: 디스플레이서치, ETRI)>
(단위: 억 원)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 CAGR
국내매출 100 1,750 2,274 3,221 3,521 4,219 5,002 6,053 79.7%
수출액 554 943 1,951 3,408 6,877 12,094 20,589 34,113 80.2%
수입액 6 25 38 56 83 121 178 279 71.2%
생산액 647 2,668 4,187 6,572 10,316 16,191 25,413 39,886 80.2%
이호진 연구위원은 HD 의 경우, 1987 년에 첫 시연을 시작으로 2001 년에 HD 전환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80% 이상이 HD 방송 중이라고 설명하며, UHDTV 도 마찬가지로
대중화까지 걸리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UHDTV 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 해결해야 할 이슈들과, UHDTV 활성화를 위한 세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
현재는 UHDTV 의 높은 가격 때문에 소비자들이 진입 장벽을 느끼고 있으며, 저가형
제품 개발과 더불어 고사양 제품의 가격하락 노력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UHDTV 용 콘텐츠 활성화도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영화를 중심으로 UHD 콘텐츠를 많이
확보, 클라우드를 활용해 원격으로 콘텐츠 협업 제작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UHD 방송의 고품질화도 필수라는 의견을 제시했는데, 단순히 해상도만
4 배로 향상시킨 UHD 는 소비자들의 외면을 피할 수 없으며, UHD 의 최고품질화가
UHDTV 활성화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5
4. 기가인터넷 추진현황과 이슈
SK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기획본부의 신동범 본부장은 기가인터넷 사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정책적 지원을 더욱 고려해야 할 시기라고 주장했다. UHDTV 같은 대용량 트래픽
서비스가 확산되려면 기가인터넷 사업에 대한 지원정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미
미국이나 영국 등 여러 선진국들은 기가인터넷 사업에 대한 지원 확대에 정부가 적극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동범 본부장은 기가인터넷 활성화를 위해 적정 요금 인허가, 공적 자금 투자,
지방자치 단체 등의 협조와 같은 ①투자 유인책 마련 일부 이용자의 대역폭 독점해소를
위한 ②합리적 트래픽 관리 ③킬러콘텐츠 발굴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동범 본부장은 시스코가 발표한 인터넷 트래픽 관련 자료를 제시하며 인터넷
트래픽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개인이 UHD 를 생산, 공유 할 수 있는 시대가 오면서
트래픽은 더욱 늘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가 추진중인 기가인터넷망
보급사업을 설명하며 비통신사업자인 구글이 2010 년 2 월부터 미국에서 서비스중인
'구글 파이버(Fiber)'를 소개하며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구글 파이버와 미국, 영국의 주요 ISP 요금 비교 (출처: fiber.google.com)>
신동범 본부장은 보통 10 년가량 투자해야 하는 기가인터넷 사업의 기간을 단축하려면,
구글의 사례처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이며, 정부의 투자와 함께 합리적 트래픽
관리를 위한 종량제 도입, 트래픽 제어, 킬러 콘텐츠 확보가 동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6
이에 덧붙여 이제는 초고속 네트워크 구축의 문제를 넘어 망을 활용할 콘텐츠가
있느냐의 문제가 핵심이며, 정부, 사업자, 콘텐츠 제작업자가 협력해 콘텐츠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5. 기가인터넷 시대 새로운 비즈니스 시장의 사업모델
KT 종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 박형진 팀장은 사용자들이 향상된 속도를 느낄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기가인터넷 사업 성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과거에는
유선인터넷의 속도 상향만으로 ARPU 상승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기가인터넷 상품 자체는
매력이 없다고 설명했다. 1Gbps 속도를 소비자가 실감할 수 있는 IPTV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한 ‘가치 체험’이 수반 되어야 ARPU 상승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기존 서비스를 강화하거나 신규 서비스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네트워크의 진화와 새로운 서비스 혁신, 이를 통한 새로운 가치 경험이 불러일으키는
추가 지불 가능성의 연관고리를 발굴하는 것이 기가인터넷 사업자의 임무라고 강조했다.
박형진 팀장은 유선 인터넷 매출은 2012 년 대비 3.2%가량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유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IPTV 와 같은 부가서비스 매출은 오르고 있다며 매출구조의
변화를 설명했다. 따라서 앞으로는 유선인터넷 상품을 단일 상품으로 파는 것보다,
기가인터넷의 1Gbps 속도를 체감할 수 있는 IPTV 등의 서비스를 결합상품으로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를 유인하고 매출 향상으로 이어지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네트워크 진화와 매출간의 순환과정 붕괴 (출처: kt 인프라연구소)>
7
6. HTML5 기반의 스마트TV 앱개발 사례와 비즈니스 전략
핸드스튜디오 김동훈 사업기획팀장은 'HTML5 기반의 스마트 TV 앱 개발 사례와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발표하며 모바일에서 카테고리 별 시간 소비 비율은 SNS 와
게임의 비중이 70%이며, TV 는 모바일과는 다른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TV 에 특화된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모바일 앱 시간소비율과 TV 와 모바일 특성 비교 (출처: 핸드스튜디오)>
김동훈 사업기획팀장은 모바일 앱을 단순히 그대로 스마트 TV 앱으로 이식하는
것으로는 소비자의 호응을 기대할 수 없으며, TV 의 기능과 특성에 최적화된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디바이스 최적화 된 콘텐츠의 등장과 이에 따른 생태계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스마트 TV 에 최적화 된 콘텐츠
개발은 사실 누구에게나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완성도 높은 스마트 TV 전용
앱이 나온다면 B2B2C 의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고 언급하며 현재는 스트리밍과 VOD
콘텐츠들이 주를 이루면서 모바일 마켓과는 다른 양상으로 TV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전개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앞으로의 스마트 TV 시장에서는 무엇을 만드느냐
만큼 어떻게 만드느냐도 중요한 가치로 인정받아야 하며, 저작권이 만료되었거나, 음지에
가려져 있는 콘텐츠들을 발굴하여 스마트 TV 에 최적화하면 콘텐츠 강자가 될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TV 에 최적화된 앱 개발을 위해서는 플랫폼 통합이 선행되어야 하며, 최근 스마트 TV
시장의 세계적 트렌드 역시 '플랫폼 단일화'라고 설명했다. 현재는 TV 개발환경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멀티 플랫폼 서비스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결국 플랫폼마다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므로 개발자는 이탈하게 되는 악순환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김동훈 사업기획팀장은 스마트 TV 의 플랫폼을 설명하며, HTML5 와 안드로이드 플랫폼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 스마트 TV 플랫폼은 HTML5 와 안드로이드 양강체제로
8
구성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시장강자인 삼성과 LG 의 스마트 TV 가 HTML5 와
호환성을 매년 보완해나가고 있으며, IPTV 와 케이블업체들도 HTML5 진영에 합류하고
있으므로 스마트 TV 플랫폼에서 가장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는 플랫폼은 HTML5 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플랫폼 통합은 스마트 TV 생태계 형성을 위한 시작에 불과하며, 제조사별로
다른 리모콘 등의 입력장치 최적화, 스마트 TV 의 해상도나 CPU 의 표준 규격화,
디바이스 별 다른 API 적용 등도 해결되어야 하며, 이 문제들을 해결하고 제대로 된
생태계를 먼저 완성하는 플레이어가 스마트 TV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시사점
이번 컨퍼런스의 강연을 들으며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속담을 떠올렸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를 보유한 인터넷 강국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삼성,
LG등 TV단말 제조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사업자가 있다. 또한 양질의 콘텐츠 경쟁력까지
갖췄지만 세계 스마트TV 시장을 선도하는 자리에는 아직 오르지 못했다. 스마트TV의 플랫폼
주도권을 가지지 못했고 현재 주요 플랫폼을 압도할만한 새로운 국산 플랫폼의 등장도
요원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콘텐츠 자체의 경쟁력은 가지고 있더라도 각 디바이스에
최적화 되고 모든 플랫폼을 아우를 수 있는 형태의 콘텐츠 양성도 우리나라 스마트TV
관련 사업자들이 풀어야 할 사안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여러 번 강조되었듯이
정부의 전폭적 지원과 합리적인 규제 완화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겠다. 이 모든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비로서 우리나라는 새로운 시대의 스마트TV 산업 강국이라는 호칭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
M&M Networks
 
[주간IT뉴스] 그룹웨어 다우오피스가 전하는 이주의 IT뉴스 2월 셋째주
[주간IT뉴스] 그룹웨어 다우오피스가 전하는 이주의 IT뉴스 2월 셋째주[주간IT뉴스] 그룹웨어 다우오피스가 전하는 이주의 IT뉴스 2월 셋째주
[주간IT뉴스] 그룹웨어 다우오피스가 전하는 이주의 IT뉴스 2월 셋째주
소비자 만족도 1위 그룹웨어,다우오피스
 
미디어 산업 2015 하반기 전망
미디어 산업 2015 하반기 전망미디어 산업 2015 하반기 전망
미디어 산업 2015 하반기 전망
Jeehyun Moon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sangyoul lee
 
ubiQuoss IR Presentation 3_q2018
ubiQuoss IR Presentation 3_q2018ubiQuoss IR Presentation 3_q2018
ubiQuoss IR Presentation 3_q2018
ubiquoss1
 
211013 중기부법무부 발표 리걸테크의료테크플랫폼_구태언(final)
211013 중기부법무부 발표 리걸테크의료테크플랫폼_구태언(final)211013 중기부법무부 발표 리걸테크의료테크플랫폼_구태언(final)
211013 중기부법무부 발표 리걸테크의료테크플랫폼_구태언(final)
TEK & LAW, LLP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M&M Networks
 
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
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
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
M&M Networks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M&M Networks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xenersystem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강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강의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강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강의
Hakyong Kim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Jinwoo Yang
 
신보Nest club1기 데모데이 브로셔
신보Nest club1기 데모데이 브로셔신보Nest club1기 데모데이 브로셔
신보Nest club1기 데모데이 브로셔
ROA Invention LAB Inc. CEO
 
ICT R&D 기술로드맵 2023 총괄보고서
ICT R&D 기술로드맵 2023 총괄보고서ICT R&D 기술로드맵 2023 총괄보고서
ICT R&D 기술로드맵 2023 총괄보고서
주식회사솔루팜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봉조 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Hakyong Kim
 
2008 iptv 도입에 따른 미래 산업 생태계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snm을 활용하여
2008 iptv 도입에 따른 미래 산업 생태계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snm을 활용하여2008 iptv 도입에 따른 미래 산업 생태계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snm을 활용하여
2008 iptv 도입에 따른 미래 산업 생태계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snm을 활용하여Joon Ho Kim
 

What's hot (18)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
 
[주간IT뉴스] 그룹웨어 다우오피스가 전하는 이주의 IT뉴스 2월 셋째주
[주간IT뉴스] 그룹웨어 다우오피스가 전하는 이주의 IT뉴스 2월 셋째주[주간IT뉴스] 그룹웨어 다우오피스가 전하는 이주의 IT뉴스 2월 셋째주
[주간IT뉴스] 그룹웨어 다우오피스가 전하는 이주의 IT뉴스 2월 셋째주
 
미디어 산업 2015 하반기 전망
미디어 산업 2015 하반기 전망미디어 산업 2015 하반기 전망
미디어 산업 2015 하반기 전망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ubiQuoss IR Presentation 3_q2018
ubiQuoss IR Presentation 3_q2018ubiQuoss IR Presentation 3_q2018
ubiQuoss IR Presentation 3_q2018
 
211013 중기부법무부 발표 리걸테크의료테크플랫폼_구태언(final)
211013 중기부법무부 발표 리걸테크의료테크플랫폼_구태언(final)211013 중기부법무부 발표 리걸테크의료테크플랫폼_구태언(final)
211013 중기부법무부 발표 리걸테크의료테크플랫폼_구태언(final)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
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
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강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강의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강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강의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신보Nest club1기 데모데이 브로셔
신보Nest club1기 데모데이 브로셔신보Nest club1기 데모데이 브로셔
신보Nest club1기 데모데이 브로셔
 
ICT R&D 기술로드맵 2023 총괄보고서
ICT R&D 기술로드맵 2023 총괄보고서ICT R&D 기술로드맵 2023 총괄보고서
ICT R&D 기술로드맵 2023 총괄보고서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2008 iptv 도입에 따른 미래 산업 생태계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snm을 활용하여
2008 iptv 도입에 따른 미래 산업 생태계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snm을 활용하여2008 iptv 도입에 따른 미래 산업 생태계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snm을 활용하여
2008 iptv 도입에 따른 미래 산업 생태계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snm을 활용하여
 

Viewers also liked

해커톤
해커톤해커톤
해커톤
samdasu2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Heewon Kim
 
WI-FI, 고객과 매장을 연결하는 미디어로 진화하다_(주)리앤컴퍼니 김희원 CMO
WI-FI, 고객과 매장을 연결하는 미디어로 진화하다_(주)리앤컴퍼니 김희원 CMOWI-FI, 고객과 매장을 연결하는 미디어로 진화하다_(주)리앤컴퍼니 김희원 CMO
WI-FI, 고객과 매장을 연결하는 미디어로 진화하다_(주)리앤컴퍼니 김희원 CMO
Heewon Kim
 
2012 모바일앱컨퍼런스 big data시대_동영상제거_20120620
2012 모바일앱컨퍼런스 big data시대_동영상제거_201206202012 모바일앱컨퍼런스 big data시대_동영상제거_20120620
2012 모바일앱컨퍼런스 big data시대_동영상제거_20120620Gunhee Lee
 
두번째단추강의 - 디지털마케팅
두번째단추강의 -  디지털마케팅두번째단추강의 -  디지털마케팅
두번째단추강의 - 디지털마케팅Woosung Kim
 
O2O 매장전용 디지털 매거진 서비스_201503
O2O 매장전용 디지털 매거진 서비스_201503O2O 매장전용 디지털 매거진 서비스_201503
O2O 매장전용 디지털 매거진 서비스_201503
Gujin Jeon
 
B2b 마케팅의 특성과_성공_포인트-kaosmos
B2b 마케팅의 특성과_성공_포인트-kaosmosB2b 마케팅의 특성과_성공_포인트-kaosmos
B2b 마케팅의 특성과_성공_포인트-kaosmos승훈 오
 
최종본 위챗 마케팅 제안서_이형민 마케터
최종본 위챗 마케팅 제안서_이형민 마케터최종본 위챗 마케팅 제안서_이형민 마케터
최종본 위챗 마케팅 제안서_이형민 마케터Hyungmin Lee
 
마케팅이 필요하다면
마케팅이 필요하다면 마케팅이 필요하다면
마케팅이 필요하다면
jimin yi
 
빅데이터란?
빅데이터란?빅데이터란?
빅데이터란?
Yoseop Shin
 
모바일, 위치기반 광고에서 빅데이터 분석까지 옴니채널 마케팅을 혁신하다_위앤팩토리 김희원
모바일, 위치기반 광고에서 빅데이터 분석까지 옴니채널 마케팅을 혁신하다_위앤팩토리 김희원모바일, 위치기반 광고에서 빅데이터 분석까지 옴니채널 마케팅을 혁신하다_위앤팩토리 김희원
모바일, 위치기반 광고에서 빅데이터 분석까지 옴니채널 마케팅을 혁신하다_위앤팩토리 김희원
Heewon Kim
 
O2O 배달서비스의 기술 혁신기업 요기요 (YOGIYO) 서우석 부사장
O2O 배달서비스의 기술 혁신기업 요기요 (YOGIYO) 서우석 부사장O2O 배달서비스의 기술 혁신기업 요기요 (YOGIYO) 서우석 부사장
O2O 배달서비스의 기술 혁신기업 요기요 (YOGIYO) 서우석 부사장
Wooseok Seo
 
해외 SNS 활용 마케팅 사례
해외 SNS 활용 마케팅 사례해외 SNS 활용 마케팅 사례
해외 SNS 활용 마케팅 사례
DMC미디어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ACE Trader
 
교육 업종 온라인 마케팅 보고서
교육 업종 온라인 마케팅 보고서교육 업종 온라인 마케팅 보고서
교육 업종 온라인 마케팅 보고서
ACE Trader
 
Dmojor 모바일 동영상 마케팅 ydm_monthly_JUNE_2016
Dmojor 모바일 동영상 마케팅 ydm_monthly_JUNE_2016Dmojor 모바일 동영상 마케팅 ydm_monthly_JUNE_2016
Dmojor 모바일 동영상 마케팅 ydm_monthly_JUNE_2016
Yello Digital Marketing
 
O2O 시대의 커머스 트렌드
O2O 시대의 커머스 트렌드O2O 시대의 커머스 트렌드
O2O 시대의 커머스 트렌드
Kim jeehyun
 
Hi beacon 제안서_api사업팀_(2014년04월)
Hi beacon 제안서_api사업팀_(2014년04월)Hi beacon 제안서_api사업팀_(2014년04월)
Hi beacon 제안서_api사업팀_(2014년04월)
경임 김
 
Digital Marketing Trends for 2016 by YDM's Innovation Center (Korean)
Digital Marketing Trends for 2016 by YDM's Innovation Center (Korean)Digital Marketing Trends for 2016 by YDM's Innovation Center (Korean)
Digital Marketing Trends for 2016 by YDM's Innovation Center (Korean)
Yello Digital Marketing
 
[OpenTrade] On site pitching 2014.05.12
[OpenTrade] On site pitching 2014.05.12[OpenTrade] On site pitching 2014.05.12
[OpenTrade] On site pitching 2014.05.12
지현 민
 

Viewers also liked (20)

해커톤
해커톤해커톤
해커톤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WI-FI, 고객과 매장을 연결하는 미디어로 진화하다_(주)리앤컴퍼니 김희원 CMO
WI-FI, 고객과 매장을 연결하는 미디어로 진화하다_(주)리앤컴퍼니 김희원 CMOWI-FI, 고객과 매장을 연결하는 미디어로 진화하다_(주)리앤컴퍼니 김희원 CMO
WI-FI, 고객과 매장을 연결하는 미디어로 진화하다_(주)리앤컴퍼니 김희원 CMO
 
2012 모바일앱컨퍼런스 big data시대_동영상제거_20120620
2012 모바일앱컨퍼런스 big data시대_동영상제거_201206202012 모바일앱컨퍼런스 big data시대_동영상제거_20120620
2012 모바일앱컨퍼런스 big data시대_동영상제거_20120620
 
두번째단추강의 - 디지털마케팅
두번째단추강의 -  디지털마케팅두번째단추강의 -  디지털마케팅
두번째단추강의 - 디지털마케팅
 
O2O 매장전용 디지털 매거진 서비스_201503
O2O 매장전용 디지털 매거진 서비스_201503O2O 매장전용 디지털 매거진 서비스_201503
O2O 매장전용 디지털 매거진 서비스_201503
 
B2b 마케팅의 특성과_성공_포인트-kaosmos
B2b 마케팅의 특성과_성공_포인트-kaosmosB2b 마케팅의 특성과_성공_포인트-kaosmos
B2b 마케팅의 특성과_성공_포인트-kaosmos
 
최종본 위챗 마케팅 제안서_이형민 마케터
최종본 위챗 마케팅 제안서_이형민 마케터최종본 위챗 마케팅 제안서_이형민 마케터
최종본 위챗 마케팅 제안서_이형민 마케터
 
마케팅이 필요하다면
마케팅이 필요하다면 마케팅이 필요하다면
마케팅이 필요하다면
 
빅데이터란?
빅데이터란?빅데이터란?
빅데이터란?
 
모바일, 위치기반 광고에서 빅데이터 분석까지 옴니채널 마케팅을 혁신하다_위앤팩토리 김희원
모바일, 위치기반 광고에서 빅데이터 분석까지 옴니채널 마케팅을 혁신하다_위앤팩토리 김희원모바일, 위치기반 광고에서 빅데이터 분석까지 옴니채널 마케팅을 혁신하다_위앤팩토리 김희원
모바일, 위치기반 광고에서 빅데이터 분석까지 옴니채널 마케팅을 혁신하다_위앤팩토리 김희원
 
O2O 배달서비스의 기술 혁신기업 요기요 (YOGIYO) 서우석 부사장
O2O 배달서비스의 기술 혁신기업 요기요 (YOGIYO) 서우석 부사장O2O 배달서비스의 기술 혁신기업 요기요 (YOGIYO) 서우석 부사장
O2O 배달서비스의 기술 혁신기업 요기요 (YOGIYO) 서우석 부사장
 
해외 SNS 활용 마케팅 사례
해외 SNS 활용 마케팅 사례해외 SNS 활용 마케팅 사례
해외 SNS 활용 마케팅 사례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교육 업종 온라인 마케팅 보고서
교육 업종 온라인 마케팅 보고서교육 업종 온라인 마케팅 보고서
교육 업종 온라인 마케팅 보고서
 
Dmojor 모바일 동영상 마케팅 ydm_monthly_JUNE_2016
Dmojor 모바일 동영상 마케팅 ydm_monthly_JUNE_2016Dmojor 모바일 동영상 마케팅 ydm_monthly_JUNE_2016
Dmojor 모바일 동영상 마케팅 ydm_monthly_JUNE_2016
 
O2O 시대의 커머스 트렌드
O2O 시대의 커머스 트렌드O2O 시대의 커머스 트렌드
O2O 시대의 커머스 트렌드
 
Hi beacon 제안서_api사업팀_(2014년04월)
Hi beacon 제안서_api사업팀_(2014년04월)Hi beacon 제안서_api사업팀_(2014년04월)
Hi beacon 제안서_api사업팀_(2014년04월)
 
Digital Marketing Trends for 2016 by YDM's Innovation Center (Korean)
Digital Marketing Trends for 2016 by YDM's Innovation Center (Korean)Digital Marketing Trends for 2016 by YDM's Innovation Center (Korean)
Digital Marketing Trends for 2016 by YDM's Innovation Center (Korean)
 
[OpenTrade] On site pitching 2014.05.12
[OpenTrade] On site pitching 2014.05.12[OpenTrade] On site pitching 2014.05.12
[OpenTrade] On site pitching 2014.05.12
 

Similar to IT Issue Focus 2014

데이터방송 산업분석 보고서 (2010)
데이터방송 산업분석 보고서 (2010)데이터방송 산업분석 보고서 (2010)
데이터방송 산업분석 보고서 (2010)
Seung Min Shin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더게임체인저스
 
Ktb20160822_in-depth report : 동영상 광고
Ktb20160822_in-depth report : 동영상 광고Ktb20160822_in-depth report : 동영상 광고
Ktb20160822_in-depth report : 동영상 광고
수진(Sujin) 김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봉조 김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Donghan Kim
 
Mwc 2018의 Only Keyword : 새로운 혁신을 위한 아우토반, 5G
Mwc 2018의 Only Keyword : 새로운 혁신을 위한 아우토반, 5GMwc 2018의 Only Keyword : 새로운 혁신을 위한 아우토반, 5G
Mwc 2018의 Only Keyword : 새로운 혁신을 위한 아우토반, 5G
Donghyung Shin
 
CES 2018 Review(복습편)
CES 2018 Review(복습편)CES 2018 Review(복습편)
CES 2018 Review(복습편)
JaeKwon Son
 
★IR Book_ubiQuoss_2022.March.pptx
★IR Book_ubiQuoss_2022.March.pptx★IR Book_ubiQuoss_2022.March.pptx
★IR Book_ubiQuoss_2022.March.pptx
ubiquoss1
 
Begin programmatic tv from btv in korea
Begin programmatic tv from btv in koreaBegin programmatic tv from btv in korea
Begin programmatic tv from btv in korea
한호 이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DMC미디어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M&M Networks
 
국내 m2m 시장구조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및 개선방향(RFID/USN협회 M2M세미나)
국내 m2m 시장구조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및 개선방향(RFID/USN협회 M2M세미나)국내 m2m 시장구조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및 개선방향(RFID/USN협회 M2M세미나)
국내 m2m 시장구조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및 개선방향(RFID/USN협회 M2M세미나)
James Ju-Hyun Cho
 
m2m-m2mfeelingkv1-130923224937-phpapp01
m2m-m2mfeelingkv1-130923224937-phpapp01m2m-m2mfeelingkv1-130923224937-phpapp01
m2m-m2mfeelingkv1-130923224937-phpapp01James Ju-Hyun Cho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더게임체인저스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시대, 시장 주도권 이동과 시사점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시대, 시장 주도권 이동과 시사점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시대, 시장 주도권 이동과 시사점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시대, 시장 주도권 이동과 시사점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2212 머신비전협회보.pdf
202212 머신비전협회보.pdf202212 머신비전협회보.pdf
202212 머신비전협회보.pdf
ssuser54247f1
 
2010 결산_미디어이슈리포트_NAS
2010 결산_미디어이슈리포트_NAS2010 결산_미디어이슈리포트_NAS
2010 결산_미디어이슈리포트_NAS
Heather Park
 
(세미나) 스마트tv의 서비스플랫폼 제안
(세미나) 스마트tv의 서비스플랫폼 제안(세미나) 스마트tv의 서비스플랫폼 제안
(세미나) 스마트tv의 서비스플랫폼 제안
Seung Min Shin
 

Similar to IT Issue Focus 2014 (20)

데이터방송 산업분석 보고서 (2010)
데이터방송 산업분석 보고서 (2010)데이터방송 산업분석 보고서 (2010)
데이터방송 산업분석 보고서 (2010)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Ktb20160822_in-depth report : 동영상 광고
Ktb20160822_in-depth report : 동영상 광고Ktb20160822_in-depth report : 동영상 광고
Ktb20160822_in-depth report : 동영상 광고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Mwc 2018의 Only Keyword : 새로운 혁신을 위한 아우토반, 5G
Mwc 2018의 Only Keyword : 새로운 혁신을 위한 아우토반, 5GMwc 2018의 Only Keyword : 새로운 혁신을 위한 아우토반, 5G
Mwc 2018의 Only Keyword : 새로운 혁신을 위한 아우토반, 5G
 
CES 2018 Review(복습편)
CES 2018 Review(복습편)CES 2018 Review(복습편)
CES 2018 Review(복습편)
 
★IR Book_ubiQuoss_2022.March.pptx
★IR Book_ubiQuoss_2022.March.pptx★IR Book_ubiQuoss_2022.March.pptx
★IR Book_ubiQuoss_2022.March.pptx
 
Begin programmatic tv from btv in korea
Begin programmatic tv from btv in koreaBegin programmatic tv from btv in korea
Begin programmatic tv from btv in korea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국내 m2m 시장구조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및 개선방향(RFID/USN협회 M2M세미나)
국내 m2m 시장구조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및 개선방향(RFID/USN협회 M2M세미나)국내 m2m 시장구조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및 개선방향(RFID/USN협회 M2M세미나)
국내 m2m 시장구조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및 개선방향(RFID/USN협회 M2M세미나)
 
m2m-m2mfeelingkv1-130923224937-phpapp01
m2m-m2mfeelingkv1-130923224937-phpapp01m2m-m2mfeelingkv1-130923224937-phpapp01
m2m-m2mfeelingkv1-130923224937-phpapp01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시대, 시장 주도권 이동과 시사점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시대, 시장 주도권 이동과 시사점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시대, 시장 주도권 이동과 시사점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시대, 시장 주도권 이동과 시사점
 
202212 머신비전협회보.pdf
202212 머신비전협회보.pdf202212 머신비전협회보.pdf
202212 머신비전협회보.pdf
 
2010 결산_미디어이슈리포트_NAS
2010 결산_미디어이슈리포트_NAS2010 결산_미디어이슈리포트_NAS
2010 결산_미디어이슈리포트_NAS
 
(세미나) 스마트tv의 서비스플랫폼 제안
(세미나) 스마트tv의 서비스플랫폼 제안(세미나) 스마트tv의 서비스플랫폼 제안
(세미나) 스마트tv의 서비스플랫폼 제안
 

IT Issue Focus 2014

  • 1. 1 Review IT Issue Focus 2014 kt경제경영연구소 남수정 (sj.nam@kt.com) □ Conference 의 개요 아이뉴스24가 2013년 11월 27일 개최한 “IT이슈포커스 2014 컨퍼런스”에서는 '미래TV와 기가인터넷 비즈니스 전략'을 주제로 전문가들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본 세미나 리뷰에서는 ①스마트 미디어 생태계 대응 전략과 필요성 ②기가인터넷 환경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전망 ③스마트TV 콘텐츠 현황과 활성화방안과 관련한 주요 강연내용을 정리하여 공유 하고자 한다. <현장사진 (출처: 아이뉴스24)>
  • 2. 2 □ Conference Agenda 발표 제목 발표자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산업발전 정책 방향 이재영 박사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SmartTV and UHD 김상윤 상무 삼성전자 UHDTV시대의 도래와 활성화 전망 이호진 연구위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기가인터넷 추진현황과 이슈 신동범 본부장 SK브로드밴드 Network기획본부 기가인터넷 시대 새로운 비즈니스 시장의 사업모델 박형진 팀장 KT종합기술원 Infra연구소 UHDTV 상용화와 케이블TV 서비스 전략 이종한 CTO CJ헬로비전 Smart 미디어로 진화하고 있는 IPTV 서비스 박인혁 사업총괄팀장 KT미디어허브 HTML5 기반의 스마트TV 앱개발 사례와 비즈니스 전략 김동훈 사업기획팀장 핸드스튜디오 N-스크린 시대의 스마트TV 콘텐츠와 UI/UX전략 황승익 실장 세종텔레콤 □ Conference Issue & Agenda 1.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산업발전 정책 방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이재영 박사는 국내 방송산업의 강점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와 삼성, LG등이 가진 TV단말의 글로벌 경쟁력, 양질의 콘텐츠 경쟁력을 언급하며,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개막은 방송산업이 발전하기에 최적의 기회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정부도 방송산업의 성장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적극적으로 육성정책을 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양한 육성 정책을 통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방송, 더 많은 콘텐츠와 즐거움을 주는 방송, 유익하고 편리한 이용자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취지라고 밝혔다. 이재영박사는 정부가 방송산업 육성을 위해 ①방송산업 규제혁신 ②방송콘텐츠 시장 활성화 ③스마트미디어 산업육성 ④차세대 방송 인프라 구축 ⑤글로벌시장 진출 확대 등 5대 추진전략을 세웠으며, 이 중 가장 먼저 추진되어야 할 과제는 방송산업의 규제혁신 이라고 역설했다. 또한 방송콘텐츠 시장 활성화를 위해 유료방송시장의 공정한 수익배분 환경을 조성, 투자활성화를 위한 콘텐츠공제조합 운영, 디지털콘텐츠코리아 펀드를 통한
  • 3. 3 투자재원 확대 등 다양한 지원정책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또한 스마트미디어 서비스의 활성화 및 생태계 구축을 위해 정부, 사업자, 학계가 협력 하는 스마트미디어 산업육성 공생 모델을 준비 중에 있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해 최소 규제 원칙을 기반으로 실험과 혁신을 장려하며, 더불어 개인정보보호 제도 개선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글로벌시장 진출확대를 위해 해외진출통합플랫폼(K-포털)을 구축, 정부가 국산 콘텐츠의 해외홍보를 지원한다는 계획과 국내 방송장비 업체 육성을 위해 유망 장비업체를 선정해 해외시장 진출 전반을 지원할 계획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소개했다. 2. SmartTV and UHD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김상윤 상무는 스마트 TV 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표시했다. 2010 년을 전후해서 등장한 스마트 TV 는 플랫폼을 갖추고 있는 모바일 만큼 생태계가 형성되진 못했지만, 최근에 여러 산업플레이어가 스마트 TV 시장에 개입하고자 하는 시도들을 주목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상윤 상무는 스마트 TV 시장이 확대대기 위해선 ①스마트 TV 콘텐츠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②관련 사업자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으며,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스마트 TV 콘텐츠의 성과를 평가하는 측정시스템 필요 - 인기 콘텐츠는 광고 등의 대가를 받아야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이 가능 - 모바일 기기는 콘텐츠의 성공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앱 다운로드 수 등) - TV 는 콘텐츠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했는지 평가하는 시스템이 없음 - 콘텐츠 사용 현황을 파악하는 기준 필요, TV 시청방식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 콘텐츠 사업자, TV 제조사, 망 사업자의 협력 필요 - 스마트 TV 의 성공 관건은 네트워크 사업자와 콘텐츠 사업자와 시너지에 있음 - 이들 사업자들간 시너지가 일어나면 스마트 TV 빅뱅이 일어날 것 스마트 TV 시장의 확대를 위한 선결 조건
  • 4. 4 3. UHDTV시대의 도래와 활성화 전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호진 연구위원은 UHDTV 의 가능성과 기회에 대해 소개하며 이미 UHDTV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중장기적 관점으로 글로벌 미디어산업의 주도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호진 연구원은 UHDTV 가 주목 받는 네 가지 이유로 ①TV 기술의 고급화 ②OLED TV 상용화 지연에 따른 대안적 솔루션 ③포스트 HD 방송시장 선점 경쟁의 가속화 ④초기 콘텐츠 확보 유리 등을 언급했다. 국내 UHDTV 시장 매출은 2013 년에는 100 억원 규모이지만 연 79.7%씩 초고속 성장하여 2017 년에는 3,521 억원, 2020 년에는 6,053 억원 규모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UHDTV 시장의 국내매출, 수출액, 생산액 등의 전망 수치는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국내 UHDTV 시장 전망 (출처: 디스플레이서치, ETRI)> (단위: 억 원)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 CAGR 국내매출 100 1,750 2,274 3,221 3,521 4,219 5,002 6,053 79.7% 수출액 554 943 1,951 3,408 6,877 12,094 20,589 34,113 80.2% 수입액 6 25 38 56 83 121 178 279 71.2% 생산액 647 2,668 4,187 6,572 10,316 16,191 25,413 39,886 80.2% 이호진 연구위원은 HD 의 경우, 1987 년에 첫 시연을 시작으로 2001 년에 HD 전환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80% 이상이 HD 방송 중이라고 설명하며, UHDTV 도 마찬가지로 대중화까지 걸리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UHDTV 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 해결해야 할 이슈들과, UHDTV 활성화를 위한 세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 현재는 UHDTV 의 높은 가격 때문에 소비자들이 진입 장벽을 느끼고 있으며, 저가형 제품 개발과 더불어 고사양 제품의 가격하락 노력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UHDTV 용 콘텐츠 활성화도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영화를 중심으로 UHD 콘텐츠를 많이 확보, 클라우드를 활용해 원격으로 콘텐츠 협업 제작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UHD 방송의 고품질화도 필수라는 의견을 제시했는데, 단순히 해상도만 4 배로 향상시킨 UHD 는 소비자들의 외면을 피할 수 없으며, UHD 의 최고품질화가 UHDTV 활성화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 5. 5 4. 기가인터넷 추진현황과 이슈 SK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기획본부의 신동범 본부장은 기가인터넷 사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정책적 지원을 더욱 고려해야 할 시기라고 주장했다. UHDTV 같은 대용량 트래픽 서비스가 확산되려면 기가인터넷 사업에 대한 지원정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미 미국이나 영국 등 여러 선진국들은 기가인터넷 사업에 대한 지원 확대에 정부가 적극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동범 본부장은 기가인터넷 활성화를 위해 적정 요금 인허가, 공적 자금 투자, 지방자치 단체 등의 협조와 같은 ①투자 유인책 마련 일부 이용자의 대역폭 독점해소를 위한 ②합리적 트래픽 관리 ③킬러콘텐츠 발굴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동범 본부장은 시스코가 발표한 인터넷 트래픽 관련 자료를 제시하며 인터넷 트래픽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개인이 UHD 를 생산, 공유 할 수 있는 시대가 오면서 트래픽은 더욱 늘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가 추진중인 기가인터넷망 보급사업을 설명하며 비통신사업자인 구글이 2010 년 2 월부터 미국에서 서비스중인 '구글 파이버(Fiber)'를 소개하며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구글 파이버와 미국, 영국의 주요 ISP 요금 비교 (출처: fiber.google.com)> 신동범 본부장은 보통 10 년가량 투자해야 하는 기가인터넷 사업의 기간을 단축하려면, 구글의 사례처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이며, 정부의 투자와 함께 합리적 트래픽 관리를 위한 종량제 도입, 트래픽 제어, 킬러 콘텐츠 확보가 동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6. 6 이에 덧붙여 이제는 초고속 네트워크 구축의 문제를 넘어 망을 활용할 콘텐츠가 있느냐의 문제가 핵심이며, 정부, 사업자, 콘텐츠 제작업자가 협력해 콘텐츠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5. 기가인터넷 시대 새로운 비즈니스 시장의 사업모델 KT 종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 박형진 팀장은 사용자들이 향상된 속도를 느낄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기가인터넷 사업 성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과거에는 유선인터넷의 속도 상향만으로 ARPU 상승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기가인터넷 상품 자체는 매력이 없다고 설명했다. 1Gbps 속도를 소비자가 실감할 수 있는 IPTV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한 ‘가치 체험’이 수반 되어야 ARPU 상승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기존 서비스를 강화하거나 신규 서비스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네트워크의 진화와 새로운 서비스 혁신, 이를 통한 새로운 가치 경험이 불러일으키는 추가 지불 가능성의 연관고리를 발굴하는 것이 기가인터넷 사업자의 임무라고 강조했다. 박형진 팀장은 유선 인터넷 매출은 2012 년 대비 3.2%가량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유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IPTV 와 같은 부가서비스 매출은 오르고 있다며 매출구조의 변화를 설명했다. 따라서 앞으로는 유선인터넷 상품을 단일 상품으로 파는 것보다, 기가인터넷의 1Gbps 속도를 체감할 수 있는 IPTV 등의 서비스를 결합상품으로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를 유인하고 매출 향상으로 이어지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네트워크 진화와 매출간의 순환과정 붕괴 (출처: kt 인프라연구소)>
  • 7. 7 6. HTML5 기반의 스마트TV 앱개발 사례와 비즈니스 전략 핸드스튜디오 김동훈 사업기획팀장은 'HTML5 기반의 스마트 TV 앱 개발 사례와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발표하며 모바일에서 카테고리 별 시간 소비 비율은 SNS 와 게임의 비중이 70%이며, TV 는 모바일과는 다른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TV 에 특화된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모바일 앱 시간소비율과 TV 와 모바일 특성 비교 (출처: 핸드스튜디오)> 김동훈 사업기획팀장은 모바일 앱을 단순히 그대로 스마트 TV 앱으로 이식하는 것으로는 소비자의 호응을 기대할 수 없으며, TV 의 기능과 특성에 최적화된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디바이스 최적화 된 콘텐츠의 등장과 이에 따른 생태계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스마트 TV 에 최적화 된 콘텐츠 개발은 사실 누구에게나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완성도 높은 스마트 TV 전용 앱이 나온다면 B2B2C 의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고 언급하며 현재는 스트리밍과 VOD 콘텐츠들이 주를 이루면서 모바일 마켓과는 다른 양상으로 TV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전개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앞으로의 스마트 TV 시장에서는 무엇을 만드느냐 만큼 어떻게 만드느냐도 중요한 가치로 인정받아야 하며, 저작권이 만료되었거나, 음지에 가려져 있는 콘텐츠들을 발굴하여 스마트 TV 에 최적화하면 콘텐츠 강자가 될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TV 에 최적화된 앱 개발을 위해서는 플랫폼 통합이 선행되어야 하며, 최근 스마트 TV 시장의 세계적 트렌드 역시 '플랫폼 단일화'라고 설명했다. 현재는 TV 개발환경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멀티 플랫폼 서비스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결국 플랫폼마다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므로 개발자는 이탈하게 되는 악순환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김동훈 사업기획팀장은 스마트 TV 의 플랫폼을 설명하며, HTML5 와 안드로이드 플랫폼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 스마트 TV 플랫폼은 HTML5 와 안드로이드 양강체제로
  • 8. 8 구성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시장강자인 삼성과 LG 의 스마트 TV 가 HTML5 와 호환성을 매년 보완해나가고 있으며, IPTV 와 케이블업체들도 HTML5 진영에 합류하고 있으므로 스마트 TV 플랫폼에서 가장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는 플랫폼은 HTML5 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플랫폼 통합은 스마트 TV 생태계 형성을 위한 시작에 불과하며, 제조사별로 다른 리모콘 등의 입력장치 최적화, 스마트 TV 의 해상도나 CPU 의 표준 규격화, 디바이스 별 다른 API 적용 등도 해결되어야 하며, 이 문제들을 해결하고 제대로 된 생태계를 먼저 완성하는 플레이어가 스마트 TV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시사점 이번 컨퍼런스의 강연을 들으며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속담을 떠올렸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를 보유한 인터넷 강국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삼성, LG등 TV단말 제조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사업자가 있다. 또한 양질의 콘텐츠 경쟁력까지 갖췄지만 세계 스마트TV 시장을 선도하는 자리에는 아직 오르지 못했다. 스마트TV의 플랫폼 주도권을 가지지 못했고 현재 주요 플랫폼을 압도할만한 새로운 국산 플랫폼의 등장도 요원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콘텐츠 자체의 경쟁력은 가지고 있더라도 각 디바이스에 최적화 되고 모든 플랫폼을 아우를 수 있는 형태의 콘텐츠 양성도 우리나라 스마트TV 관련 사업자들이 풀어야 할 사안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여러 번 강조되었듯이 정부의 전폭적 지원과 합리적인 규제 완화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겠다. 이 모든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비로서 우리나라는 새로운 시대의 스마트TV 산업 강국이라는 호칭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