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29
신동형 책임연구원 sdh0604@lgeri.com
연결 중심의 IoT 시대는 스마트 기기 중심의 모바일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모바일 시대가 OS 중심, 앱 경제, 무거운 연결 중심이라면, IoT 시대는 웹 중심, API 경제, 가벼운
연결이 중요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의 모바일 시대가 IoT 시대로 단기간에 변화되지는 않겠지만,
시장에서는 이미 IoT 시대를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IoT 시대, 모바일 시대와
달라지는 3가지
지금까지 ICT 산업 혁신을 주도했던 스마
트폰의 성장세가 예전 같지 않다. 물론 페이스
북(Facebook), 야후(Yahoo!) 등 웹 서비스 기
업들은 최근에서야 모바일 중심(Mobile
First) 시대임을 강조하며 변화하고 있지만, 하
드웨어 기기 제조사들은 이미 스마트폰을 이
을 새로운 성장동력에 갈증을 느끼며 탐색 중
이다. 하드웨어 확산이 정체된다는 것은 서비
스 기업들도 침투해야 할 시장이 정체된다는
의미이므로 이들도 새로운 성장동력 탐색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러한 시점에서 스마트폰을 이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사물 인
터넷 (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이다.
IoT가 주류 시장(Major Market)으로 편입되
는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논쟁이 있
지만, 그 시대가 반드
시 올 것이라는 전망
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새로 도
래할 IoT 시대에는 현
재의 스마트화 중심의
모바일 시대와 무엇이
달라질까.
모바일 시대 특징 3가지
최근 수년간 세상에서 변화와 혁신이 가장 빠
르게 진행되어 온 곳은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분야이고 ICT
중심에 모바일이 있다. 모바일은 소비재 가전
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초 가전 협회
(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 CEA)
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13년 매출 기준으
로 스마트폰이 전체 가전 시장의 33% 비중을
차지했다. 그리고 모바일PC, 휴대폰,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한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비중이 전체 가전 매출의 56% 수준에 달했다.
서비스 분야에서도 모바일 중심 현상은
뚜렷하다. 대표적인 예가 SNS(S o cia l
Network Service) 사업자인 페이스북으로,
2012년 말부터 모바일 중심(Mobile First) 전
략을 펼치고 있다. 그 결과 2014년 1분기 기준
페이스북의 총 가입자 12억 3천만명 중 10억 1
천만명이 모바일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4분기 처음으로 모바일 광고 매출이
전체 광고 매출의 53%에 이르렀고 2014년 1분
기에 57% 수준까지 상승했다. 심지어 모바일
에 집중한 페이스북은 모바일 광고 매출 시장
점유율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 구글(Google)의
감소분 이상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
<표> 모바일 광고 시장점유율(%)
주 : 타 파트너 사이트에 트래픽 확보에 따른 비용을 지급한 뒤
광고 매출
자료 : eMartker.com
2012 2013 2014
매출(십억$) 8.76 17.96 31.45
구글 52.6 49.3 46.8
페이스북 5.4 17.5 21.7
트위터 1.5 2.4 2.6
판도라 2.6 2.1 1.7
기타 37.9 28.7 27.2
총계 100.0 100.0 100.0
Weekly 포커스
30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모바일 시대에서는 높은 컴퓨팅 성능을 구현하는 OS 기반의
기기 중심으로 다양한 앱들이 동작 및 구현되고 있다.
이고 있다.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시
대의 몇가지 특징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 OS가 스마트폰 컴퓨팅 성능의 핵심
모바일 시대의 중심에는 스마트폰이 있다. 스
마트폰은 기존의 피처폰과 PC 심지어 TV의
기능 등 다양한 디지털 기능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능의 중심에는 컴퓨팅 성능이 있고,
컴퓨팅 성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들이 앱
으로 구현, 동작되고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들을 제어하고 서비스를 가능케 하
는 컴퓨팅 성능의 중심에는 OS가 있다.
모바일 OS는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
다. 앱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제어, 관리하는 GPOS(General Purpose OS;
일부에서는 High Level OS, HLOS라고도 함)
가 있고, 이에 반해 하드웨어의 자원할당 및 기
능 구현 등 OS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RTOS (Real Time OS)가 있다.
스마트폰 이전의 피처폰 시대에
는 전화 기능 중심의 RTOS 밖에 없
었다. 멀티미디어는 부가적 기능에
불과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관련
된 소프트웨어 기능과 성능은 망에
대한 지배권을 갖고 있는 통신사들
이 정의했었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
대로 오면서 OS가 멀티미디어, 웹 등
을 포함한 앱 서비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GPOS 중심으로 전환되었
다. 그리고 GPOS 중심의 생태계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애플, 구글 등 GPOS사
업자는 앱 개발자들이 쉽게 앱을 개발할 수 있
도록 GPOS와 연계된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GPOS 덕분에 스마트폰은 피처폰 대비 더 높
은 컴퓨팅 성능을 갖게 되었고 더 다양한 디지
털 기능들을 흡수할 수 있었다.
② 앱 서비스가 앱 경제라 불릴 만큼 큰 시장,
중요한 위치로
스마트폰 사용에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앱이
다. 앱은 스마트폰의 가치를 결정지을 만큼 중
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친숙한 앱으로는 카카
오톡, 라인 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 앱이 있
다. 그 외에도 페이스북과 같은 SNS 앱, 유튜
브 동영상 서비스 앱, 게임 앱, 금융 앱, 쇼핑
앱 등 수없이 많은 종류의 서비스들이 앱으로
구현 및 제공되고 있다. 앱이 확산됨에 따라
그림 1 OS 분류
자료 : VisionMobile(2006) 재구성
Kernel  H/W Drivers
UI Framework
Apps
Baseband Chip
Software Stack OS layer별 해설
3RD 파티 Apps
Apps Executive Env.
M/W(Libraries, etc)
소프트
웨어
하드
웨어
� Apps :
� 전화 기능, 전화번호부, 계산기, 달력 등 기본/필수 Apps
� UI Framework :
� 화면 구성에 필요한 아이콘 등 모음
� Apps Executive Environments(AEE) :
�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모음
� Middleware(Libraries, etc) :
� 라이브러리 등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소스 코드 모음
� Kernel  H/W Drives :
� 하드웨어 부품 드라이버, 메모리 및 파일/프로세스 관리
협의의 OS(RTOS)
� OS가 제품 하드웨어의 성능,
기능 및 제어 관리에 집중
광의의 OS(GPOS)
� OS가 서비스와 제품의 성능,
기능 및 제어 관리에 집중
� 서비스를 구현하는 앱을
구현하는 Livraries 등 포함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31
모바일 시대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심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
즉 무거운 연결이 대세이다.
앱서비스는 앱 경제(App Economy)라 불릴
반큼 성장했다. 비즈니스 위크(Business
Week)는 2009년 10월판에서 앱 경제(App
Economy)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앱 전문 조사기관인 앱 애니(App Annie)
에 따르면 2014년 6월 현재 안드로이드OS용
구글 플레이에 약 150만개의 앱이 등록되어 있
다. 시장 조사기관인 가트너1는 글로벌 앱 매출
규모가 2013년 267억달러이고, 2017년에는 약
765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3년 앱
시장의 규모는 2013년 글로벌 모니터 시장 규모
인 280억달러에 근접한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앱은 GPOS에 종속적인 네이티브 앱(Native
App)과 웹 개발언어로 만들어져 GPOS와는 독
립적인 웹 앱(Web App)으로 분류한다. 현재의
앱 서비스들은 웹과 연계되어 구현되지만, 개발
측면에서는 애플 iOS와 구글 안드로이드 OS에
종속적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지금은 네
이티브 앱 중심의 앱 경제이다. 그래서 대부분
의 앱들은 해당 GPOS 개발사의 앱 장터
(Marketplace)를 통해 유통된다.
③ 대용량의 모바일 데이터 송·수신
스마트폰이 중심인 모바일 환경은 스마트화된
기기가 중심에 있다. 그래서 TV영상, 게임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산, 공유, 소비하는 TV,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기기들이
중심인 멀티 스크린 환경이 화두가 되어왔다.
1 ‘Forecast: Mobile App Store, Worldwide, 2013 Update(september,
2013), Gartner
또 앱 중에서는 가장 높은 컴퓨팅 성능을 요구
하는 게임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앱 애니는
게임 앱이 2014년 1분기 구글 플레이 다운로드
의 40%를 차지하고 매출의 90%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모바일 환경은 높은 컴퓨팅 성
능을 필요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중심이
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콘텐츠가 전송 및 출력
되려면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넓은 주파
수 대역대와 큰 스크린이 요구된다.
연결 중심의 IoT 시대의 3가지 주요 변화
향후 도래할 연결 중심인 IoT 환경은 기존 기
기 스마트화 중심의 모바일 환경과는 다른 새
로운 변화들이 나타날 수 있다. 통신 장비 기
업인 시스코(Cisco)는 자신만의 용어인 만물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을 ‘사
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 연결된 적이 없
는 세상의 나머지 99%까지 모두 인터넷에 연
결되어 실시간 상호 소통함으로써 가치를 생성
하는 환경’이라 정의했다. 기존에 연결되지 않
은 새로운 99%가 연결되기 때문에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세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① IoT 시대는 가벼운 연결이 중심인 시대
IoT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곳은 미국
MIT 대학의 오토ID Lab연구소였다. 이 연구
소가 있는 MIT의 간행물인 MIT 테크놀로지
리뷰에 따르면 IoT는 저성능(Dumb)을 포함한
소형 컴퓨터가 사물(Object)에 부착된 컴퓨팅
환경이라 정의했다. 그리고 이러한 컴퓨터들은
Weekly 포커스
32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IoT 시대에는 지금까지 연결되지 않았던 다양한 사물들의 소량 데이터 전송,
즉 가벼운 연결이 대세가 될 것이다.
주변 환경 데이터를 수집, 전송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시스코와 MIT의 IoT에 대한 정의에서 공
통적인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즉 ‘저성능
컴퓨터’와 ‘지금까지 연결되지 않았던 사물들이
이미 연결된 스마트 기기들보다 더 많아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IoT 환경에서는 콜라캔에
소형 컴퓨터가 부착될 수도 있고, 심지어 한번
쓰고 버리는 1회용 빨대나 컵 등에도 부착되어
데이터 생성 및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콜라캔과 1회용 제품들에 부착될 컴퓨터
들은 굳이 지금과 같이 멀티 미디어 콘텐츠를
다룰 필요가 없다. 이들은 간단히 식별정보만
있고, 위치정보 또는 제품정보 등 관련 데이터
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기능만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IoT 환경에서 콜라 제조사와 유통
사는 컴퓨터 및 연결된 콜라캔을 통해 언제 제
품이 생산되었으며, 어디로 배송되고 있는지,
그리고 언제까지 판매될 때 가장 맛이 좋은지
등을 판단하여 배송 및 판매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콜라를 구매한 고객들은 ‘언
제까지 마실 때 맛이 가장 좋은지? 콜라의 칼
로리는 얼마인지?’ 등을 확인하여 자신의 기호
및 건강 정보에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IoT 환경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처럼 몇 십 또는 몇 백 메
가바이트 수준의 대용량일 필요가 없고, 몇킬
로바이트(메가 바이트의 1/1000) 수준이면 충
분하다. 컬럼비아 대학의 피터 킹겟(Peter
Kinget) 교수는 초당 1 킬로비트 (킬로바이트의
1/8) 수준의 데이터 전송이면 충분할 수 있다고
한다. IoT 환경에서는 한번에 전송되는 데이터
의 양이 적기 때문에 ‘가벼운 연결’이라고 할 수
있다. 상대적인 개념으로 한번에 대용량의 데이
터가 전송되는 환경은 ‘무거운 연결’ 환경이라
정의할 수 있다. 가벼운 연결과 무거운 연결의
특징을 살펴보면 가벼운 연결 환경에서 기기는
컴퓨팅 성능이 낮아도 되고, 굳이 스크린이 없
어도 된다. 또 소량의 데이터만 전송하면 되기
때문에 좁은 대역대의 네트워크만으로도 충분
하다. 이에 반해 무거운 연결
은 높은 컴퓨팅 성능과 이를
출력해 줄 더 큰 스크린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이들
대용량 데이터가 송·수신되
는 넓은 대역의 네트워크 환
경도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현재 모바일 시대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심이기
그림 2 무거운 연결 vs. 가벼운 연결
Convergence
Divergence
무거운 연결
(멀티스크린 환경)
가벼운 연결
(Real IoT 환경)
� 멀티 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무거운 데이터들의 연결
� High Computing Power
� Bigger Screen
� Wide Bandwidth
▶ 가벼운 연결에 비해 Life-cycle이 짧으며,
가격에 대한 민감도도 상대적으로 낮음.
� 센서 정보 등 가벼운 데이터들의 연결
� Low Computing Power
� None or Small Screen
� Narrow Bandwidth
▶ 교체 주기인 Life-cycle이 길며 내구성이
좋아야 함. 뿐만 아니라 가격은 상당히 저렴해야 함.
� 현재는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를
통한 무거운 연결 중심
� 결국에는 무거운 연결과
가벼운 연결이 혼재될
것이나,
� 가벼운 연결이 더 많아지는
순간이 Real IoT 환경이 될
전망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33
IoT 시대에는 개방형 표준 기반의 웹이 중심이 되고
기존의 OS 중심의 헤게모니는 약화될 것이다.
때문에 무거운 연결 중심일 수 밖에 없다. 향후
에도 다양한 멀티 미디어 콘텐츠들이 생산, 공
유, 소비되는 등 무거운 연결이 늘어나겠지만,
IoT는 그림 3에서 보듯이 가벼운 연결이 기
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무거운 연결의 데이
터 트래픽을 뛰어 넘는 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② IoT 시대에는 플랫폼이 OS 중심에서
웹중심으로 전환
스마트 폰이 중심이 된 모바일 시대는 애플의
iOS와 구글의 안드로이드OS 등 OS(GPOS)의
영향력이 컸다. 그러나 IoT 시대에는 사물들이
자체 컴퓨팅 성능보다는 대부분 개방형 표준
기반의 인터넷에 연결되어 서비스 되기 때문에
OS에 대한 종속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이 시기가 오더라도 OS 기반의 스마트 기기들
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생성, 공유, 소비하
는 주체가 되거나, 다른 시스템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림 3에서 보
듯이 기존의 스마트 기기와는 비교도 안될 정
도로 많은 사물들이 웹과 연결되어 서비스될
것이다. 현재 이미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많은
앱들도 웹과 연동되어 작동하고 있고 주요 기능
이 웹에 있는 경우가 많은 등 그 방향도 웹으로
움직여가고 있다. 또 HTML5 등 기기 제어가
가능한 웹 개발 언어들이 진화하는 등 웹이 폐
쇄적인 모바일 환경을 개방시키고 있다. ICT산
업환경의 개방화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개방
형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IoT의 확산은 기존
OS(GPOS) 중심 모바일 플랫폼의 헤게모니를
약화시킬 가능성을 점점 더 높일 것이다.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자(그림 4 참조).
과거 피처폰 시대에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지배
력이 있었다. 이 시기는 전화 기능이 핵심이었
고, 게임 등 일부 앱은 부가적이고 네트워크 성
능에 종속적이어서 망을 가진 이동통신 사업
자가 지배력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스
마트폰 시대에는 애플, 구글과 같은 OS 개발사
가 C-P-N-T 가치 사슬의 중심이 되었다. 이
그림 3 Real IoT 환경
시간
많음
적음
가벼운
연결
무거운
연결
Real
IoT
환경
데이터
트래픽량
그림 4 ICT 환경에서 C-P-N-T 가치 사슬의 변화
Telco
OS
RTOS RTOS
피처폰 스마트폰 사물 인터넷
콘텐츠
(Contents)
플랫폼
(Platform)
네트워크
(Network)
기기
(Terminal)
서비스
관련
서비스
관련
색깔 : 지배력이 높은 영역 색깔 : 지배력이 낮은 영역 OS 기능
Weekly 포커스
34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IoT 시대는 기기 자체의 스마트화 보다는
연결을 통한 스마트화가 중심이 될 것이다.
시기는 OS가 기기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서비
스 기능 구현 역할까지 포함하면서 기기 및 서
비스 영역을 종속시켰기 때문이다.
향후 개방화와 연결 추세가 지속되면서
IoT 시대에는 서비스 기능 구현이 기기 등 사
물에 내장되기 보다 상당부분 인터넷 또는 웹
영역으로 가게 될 것이다. 그리고 IoT 사물의
OS는 모바일 기기와는 달리 기기 제어 기능
중심의 아주 가벼운 RTOS로 전환될 가능성
이 높다. 제조사가 제품 기능 등을 결정할 때
이러한 OS는 오픈 소스 등을 통해 쉽게 선택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IoT 환경
은 모바일 기기 중심 환경에서 기존 OS 개발
사들이 주도권을 가졌던 것과 달리 웹 혹은
제조 영역에서 지배력을 가진 기업들의 영향력
이 상대적으로 커질 가능성이 높다.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많은 연결 및 네트워
크 효과가 있었지만 더 많은 사물들이 웹에 연
결되는 IoT화가 진행될수록 네트워크 효과의
영향은 커질 것이다. 웹은 태생적으로 사용자
가 증가할수록 그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
어나는 네트워크 효과의 적용을 받는다. 그래
서 웹 서비스 개발사들은 더 많은 사용자 확보
에 목을 맬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전통적으
로 네트워크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제조
사들도 IoT 시대에는 연결 환경 속에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즉 연결 기술 표준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연결 속 사용자 환경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기기의 사용
환경을 인지하여 데이터로 처리하고 전송하는
컴퓨팅 기능은 저렴하면 저렴할수록 더 많은
기기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컵, 콜라캔, 책 등
수많은 사물들이 가벼운 연결로 접속된다. 이
렇게 대부분의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면
요즘 고성능 컴퓨팅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가
전제품 등은 오히려 본질적인 기능을 넘어서는
스마트함을 요구받지 않을 확률이 높다. 예를
들어 IoT 시대의 세탁기는 스스로 세탁해야
할 의류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판단할 필요가
없다. 세탁기는 세탁해야 할 의류들의 식별 정
보데이터를 웹으로 전송만 하면 되고 세탁한
의류에 맞는 최적의 세탁법은 웹에서 받아서
그에 따라서 세탁만 하면 된다. 옷감에 따른
물 온도, 세탁 강도 등은 웹에서 계산되기 때
문이다. 그러므로 세탁기는 굳이 똑똑할 필요
가 없고 세탁기능만 잘 구현해도 사용자들은
충분히 스마트한 세탁 경험을 누릴 수 있다.
③ 앱 경제를 넘어 API 경제로 진화
IoT 시대에는 모바일의 앱 경제도 변화를 겪을
것이다. IoT 환경이 되면서 더 많은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웹 중심의 서비스가 기존
OS(GPOS) 중심의 앱 서비스보다 더 확산될
것이다. 서비스도 공학적 측면에서 본다면 다
양한 소프트웨어 요소(Software Component)
의 결합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요소들도 OS
에서 웹으로 더 많이 이전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금까지는 소프트
웨어 요소들이 OS에 포함되어 앱의 기능 구현
을 지원했고, 앱 개발사들은 이들 요소를 활용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35
소프트웨어 부품인 API들을 레고블럭처럼 쌓아서
원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조립하는 것이 활성화 될 것이다.
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왔다. 예를 들어
앱 개발사는 OS에 포함된 지도 소프트웨어 요
소와 사용자 위치 확인 소프트웨어 요소를 활
용해 주변 식당과 상점 정보 및 할인 쿠폰 등
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었다. 하지
만 소프트웨어 요소가 OS에서 웹 중심으로
이전되면 개발사들은 그에 맞게 또 실시간으
로 업데이트 되는 웹의 장점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면 된다. 이러한 서비스를 구
성하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API(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라고 한다. 정의에
따르면 API는 앱 구현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각각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할 것인지를 구체적
으로 정하는 것이다. 현재의 앱 서비스도 결국
소프트웨어 부품들의 결합인데, API는 부품
들간의 연결(Interface)을 미리 정해서 부품들
을 마치 레고 블록처럼 쌓아 원하는 서비스를
조립할 수 있게 해 준다.
향후에는 웹 중심 환경으로 전환될 것이
므로 웹 표준 기반 기술로 만들어진 웹
API(Web API)가 더 확대될 것이다. 웹 환경에
서는 모바일 시대의 시장 표준OS를 가진 애플
주요 API 영역 6가지
API는 다양한 예시가 있겠지만 시장 조사기
관인 포레스트는 그림 5처럼 주요 API 영역으
로 6개를 들고 있다. 첫째 콘텐츠/데이터 API
다.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일부 또는
전체를 활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위키피디아(Wikipedai) 또는 트위터
(Twitter)가 컨텐츠/데이터 API가 될 수 있다. 트
위터의 데이터 트래픽을 구매해서 시장 조사자
료 및 마케팅 전략의 데이터로 활용하는 경우는
이미 존재한다. 둘째 거래 기능을 지원해 주는
거래 API다. 온라인 결제 시스템인 페이팔
(Paypal) 및 온라인 증권 거래 시스템인 이-트
레이드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업체
가 페이팔을 활용해 전자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앱이나 웹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셋째 다른 다
양한 앱 또는 API들을 결합하여 통합 형태로 제공하는 통합
API다. 다양한 항공 정보 API를 모아 한번에 제공하는 와이-
플라이트(Wi-Flight) 같은 경우다. 넷째 UI API로 사용자와 서
비스 또는 기기가 접하는 UI 전체 또는 일부 구성요소를 제공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글 지도 위에 해당 장소의 다양한
사진들을 연동시킨 UI를 제공하는 파노라미오 등이 있다. 다
섯째 앱 컴포넌트 API로 특정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요소
를 제공한다. 세일즈포스닷컴의 CRM, 인사 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기업용 서비스에 이들 API
를 접목시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
틸리티 API가 있는데 이는 로그인, 보안, 포맷 컨버전 등 일
상적이고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페이스북의 로그인 API
등이 있다.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많은 게임 앱에서 별도의 가
입 없이 페이스북 ID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림 5 API 예시
자료 : “Understanding the API economy : How your business can benefit from APIs” by Forrester
APIs 예시 내용 사례
콘텐츠/데이터 APIs
(Data APIs)
거래 APIs
(Transaction APIs)
통합 APIs
(Integration APIs)
UI APIs
(User Interface APIs)
앱 컴포넌트 APIs
(User Interface APIs)
유틸리티 APIs
(Utility APIs)
� Date/Contents Base에 접속하여 활용 가능
� 일부/전체 DB에 직접 접속
� 복잡하고 다양한 자원과 상호연결
� 거래에 대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연결
� Silo 애플리케이션을 기술적으로 연결/접목
� UI Component 또는 전체 UI를 제공
� 기업/업무용 기능 지원
� Wikipedia,
Twitter 등
� 페이팔,
이-트레이드 등
� Wi-Flight
� 파노라미오
� 세일즈포스닷컴
� 어도비,
페이스북 등
� 로그인, 보안, 포맷 컨버전 등과 같은
일상적인 유틸리티 기능 지원
Weekly 포커스
36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API 전문기업인 3SCALE은
향후 개발되는 앱 서비스들은 20%의 자체 개발 API와
80%의 외부 또는 공용 API로 구성될 것으로 전망한다.
과 구글 의존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도 있
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누구나 웹API를 개발할
수 있고 다른 앱 서비스 사업자들은 이 웹 API
들을 부품처럼 활용해 더 쉽고 자유롭게 새로
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향후 앱 서비스들
은 기존의 단순한 기능을 넘어 이를 통합한 복
합적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진화할 수 있
다. 그리고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Time-To-
Market을 위한 시장 대응력도 높여야 한다. 이
를 위해서는 스피드와 시장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서비스 개발사들이 처음부터 독
자적으로 자체 API를 개발하기 보다는 활용
가능한 외부 또는 공용 API를 개발 또는 보완
하는 방향으로 나갈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API도 네트워크 효과가 적용되므로 많은 서비
스들이 접목되면 접목될수록 해당 API는 더
많은 경쟁력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가령 지도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활용되
고, 더 많은 사용 정보가 쌓일수록 정확성이
높아지고, 더 많은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스마트 폰 시대를 앱 경제라 한다면 이처럼
API가 모바일 환경의 앱처럼 새로운 경제 구도
를 형성하는 것을 API 경제라 할 수 있을 것이
다. API 전문 기업인 쓰리스케일(3SCALE)에 따
르면 향후 개발되는 앱 서비스들은 20%의 자체
개발 API와 80%의 외부 또는 공용 API로 구성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한다. API 자체가 재화
로 많이 거래될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여행
앱 개발사는 구글 지도를 활용하면 처음 100만
뷰까지 구글에 11,000달러를 지불해야 하며, 그
이상으로는 비용이 더 크게 증가한다고 한다.
모바일시대와 달라지는 것들,
IoT 시대를 위한 새로운 시도들
기기의 스마트화가 중심인 모바일 시대에서 연
결 중심의 IoT 시대로 바뀔 때 나타날 변화를
정리하면 그림 6과 같다. 즉 OS 중심에서
웹으로, 앱 경제에서 API 경제로, 무거운 연결
에서 가벼운 연결로 전환이 가장 중요한 변화
가 될 것이다.
첫째 모바일 시대에는 기기의 스마트화가
핵심이어서 제조사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지 고민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모바일 시
대보다 좀 더 개방 표준에 기반한 IoT 환경에
서는 서비스를 위한 앱 개발 자체보다 웹 표
준, 웹 API 등 웹의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를 어
떻게 기기에 더 잘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
민이 더 중요할 것이다. 그리고 더 많은 사물
들을 연결하려면 지금의 기기 중심의 스마트
기능 추가보다는 소비자들에게 불필요한 컴퓨
팅 기능을 없애는 등 연결 관점에서 제품을 제
공하는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많이 설치되면 새로운 서비스 기회
그림 6 IoT 시대에 달라지는 것들
핵심 특징
C-P-N-T 중 지배적 영역
새롭게 만들어 지는 경제 구도
중심이 되는 연결 형태
기기의 스마트화
OS(GPOS)
앱 경제
무거운 연결
연결화
웹
API 경제
가벼운 연결
모바일 시대 사물 인터넷 시대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37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많이 설치되면
새로운 서비스 기회 등 새로운 가치가 만들어질 것이다.
등 새로운 가치가 만들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오스틴 에너지라는 텍사스 오
스틴 지역의 전기 기업은 네스트 등 인터넷에
연결된 자동온도 조절계를 활용한 전력제어 시
스템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텍사스 지역의 더
운 날은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데, 이 때 에어
컨이 전체 전력 소모의 50% 이상 비중을 차지
한다고 한다. 이 때 전력 도매 거래 가격이 급
증하는데, 보통 전력 도매 가격이 메가 와트당
보통 40달러인데 반해 수요가 급등하게 되면
1,000 달러를 넘긴다. 향후 가정 내 가전기기
가 늘어 에너지 소모가 더 늘어나게 된다면 텍
사스의 여름 전력 소모를 대응하기 위해 정부
는 발전소 건립을 추진해야 할지도 모른다. 만
약 오스틴 에너지가 에어컨을 켜고 있는 가구
에 대해서 강제로 제어하면 불필요한 수요를
없애 예비 발전소 추가 건립 고민도 날려버릴
수 있다. 오스틴 에너지는 파워 파트너 온도계
(Power PartnerSM Thermostat)라는 프로
그램을 만들어 강제로 자동 온도 제어하는 것
에 동의하는 사용자에게 85 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는 알람닷컴(Alarm.
com), 에코비(ecobee), 네스트, 넥시아 홈 인
텔리전스(Nexia Home Intelligence), 비빈트
(Vivint) 등의 제조사 제품들이 해당된다.
과거 다양한 방법으로 전력 소비 제어를
시도했지만 일방적인 접근이라 실패했었다. 이
제 오스틴 에너지는 사용자 사용 패턴을 감안
한 온도 조절계가 나오면서 사용자에 따라 냉
방 온도가 너무 낮거나 집에 없는데 에어컨이
켜져 있다면 제어할 수 있다. 오스틴 에너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고 가장 많은 소비자
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자동 온도조절계인
네스트도 85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하는 러시
아우어 리워드(Rush Hour Reward) 프로그
램을 만들어 전력 기업들을 모으고 있다. 이
처럼 IoT는 사용자와 기업들에게 새로운 가치
를 제공하고, 또 사회의 불필요한 낭비요인 등
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앱 경제가 웹 중심의 API경제로 발
전하면 현재 앱 중심의 환경보다 훨씬 더 다양
한 혹은 맞춤형 서비스 들이 등장할 것이다.
API들의 조합이 활성화 될 경우 그 조합들이
만들어 낼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가능
성이 크다. 향후 웹 API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서 서비스 개발사들은 현재 서비스 또는 기능
들을 API화 하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이
는 마치 과거에는 카메라가 제품이었지만 지금
은 더 많은 기기들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카메라 기능이 스마트폰 구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듯이 중요한
API는 그 자체로 서비스 사용에 결정적인 영
향을 미칠 수 있다. 제조사들의 경우도 특정
하드웨어 기능을 API화 해서 서비스 개발사들
이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추가 수익
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서비스 기업은 물
론 제조업도 API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 창출
이 가능하다. API 개방 및 활용으로 추가 수
익을 얻거나, 새로운 영역에 활용되도록 하여
Weekly 포커스
38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시그팍스(SigFox)는 IoT용 전용 통신망으로
초당 100비츠 수준의 데이터 송수신에 적합한 망을 제공하고 있다.
더 많은 제품이 팔릴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필립스는 스마트폰을 통해 온/오프 기능,
밝기 조절 기능, 다양한 색 구현 기능이 있는
휴(Hue)라는 네트워크 연결 LED 전구를 개발
해서 제공하고 있다. 물론 필립스가 직접 더
새로운 사용 경험 및 환경을 제공할 수 있지
만, 필립스는 휴 제품의 소프트웨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API를 개방했다. 그래서 파리 일
몰과 같은 분위기를 조명으로 구현한 골디
(Goldee) 앱과 음악에 따라 조명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암비파이(Ambify)와 같은 앱 등이 외
부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될 수 있었다. 또 네
덜란드 암스테르담에는 각각의 IP 주소와 5개
센서를 가진 조명 기구 6,500개가 설치된 건
물이 2014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그 건물
의 각 조명 기구들은 광학센서를 통해 낮 동안
은 조명을 어둡게 하고, 동작 감지 센서를 통
해 사람이 없을 때는 자동으로 꺼진다. 그리고
LED 조명기기는 온도, 이산화탄소 량 등을 감
지하는 센서가 있어 조명을 빌딩 관리 시스템
에 접목시키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2.
셋째 현재 모바일 중심 서비스와 기기들
은 기존 멀티 미디어 콘텐츠 중심의 연결 환경
에 최적화되어 있다. 멀티 미디어 콘텐츠를 전
송, 공유, 사용하는 등에 맞게 네트워크, 장비
및 기기들이 투자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가격이
측정되어 있다. 하지만 가벼운 연결 환경에서
는 지금까지 투자된 것들이 새로운 변화에 맞
지 않는 불필요한 것들이 많아 부담(Burden)
2 MIT Technology Review
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환경에서는 좀
더 저렴한 비용 구조와 조그맣지만 뭉치면 커
지는 롱테일(Long-tail)식 접근이 필요한데,
기존의 무거운 연결 접근 환경에서는 하나의
덩치 큰 콘텐츠를 끊김 없이 잘 전달하는 것에
최적화되어 새로운 환경에 맞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무거운 연결 중심의 시스템을
자연스럽게 가벼운 연결 시스템으로 통합 및
전환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
하다. 이와 관련하여 새롭게 시도되는 예들로
프랑스 기업인 시그팍스(SigFox)와 컬럼비아
대학 등에서 시도되고 있는 IoT 전용망과 소형
소량 배터리 등이 있다.
시그팍스에 따르면 일반 모바일 망은 일반
사용자들의 전화 및 콘텐츠 전송에 적합하게
맞춰져 있기 때문에 비쌀 뿐 아니라 콘텐츠 관
련 트래픽이 많을 경우 IoT 정보 전송이 늦어
질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들은 IoT가 현실
화 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통신 대역 및 소형
배터리로 구동되는 저성능 소형 컴퓨터를 위한
전용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회사는 초당
100비츠 수준의 데이터 송수신에 적합한 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1~2
달러 수준의 칩셋을 설치한 기기와 1년에 1기
기당 1달러의 사용료를 내면 된다고 한다.
그리고 컬럼비아 대학에서는 사람들이 걷
거나 뛰는 에너지로 사용 가능한 센서의 배터
리를 연구하고 있다. 이 배터리는 초당 1킬로비
트 정도의 비교적 적은 양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www.lgeri.com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
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
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
Digital Initiative Group
 
Trillion 센서, iot 시대 열고 있다
Trillion 센서, iot 시대 열고 있다Trillion 센서, iot 시대 열고 있다
Trillion 센서, iot 시대 열고 있다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Eco-System 관점에서 바라본 Wearable Device 시장 전망
Eco-System 관점에서 바라본 Wearable Device 시장 전망 Eco-System 관점에서 바라본 Wearable Device 시장 전망
Eco-System 관점에서 바라본 Wearable Device 시장 전망
Soomin(Simon) Shim
 
포스트 스마트폰 IoT 비즈니스
포스트 스마트폰 IoT 비즈니스포스트 스마트폰 IoT 비즈니스
포스트 스마트폰 IoT 비즈니스
Kim jeehyun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New Media Marketing Strategies - Mobile, Cloud Computing Research
New Media Marketing Strategies - Mobile, Cloud Computing ResearchNew Media Marketing Strategies - Mobile, Cloud Computing Research
New Media Marketing Strategies - Mobile, Cloud Computing Research
Jiyeon Kang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DMC미디어
 
스마트 융합 대학 교육 20130206(sbck)
스마트 융합 대학 교육  20130206(sbck)스마트 융합 대학 교육  20130206(sbck)
스마트 융합 대학 교육 20130206(sbck)Bo Seong Seo
 
[Digieco] 웨어러블 컴퓨터를 활용한 생태계 확장
[Digieco] 웨어러블 컴퓨터를 활용한 생태계 확장 [Digieco] 웨어러블 컴퓨터를 활용한 생태계 확장
[Digieco] 웨어러블 컴퓨터를 활용한 생태계 확장
Soomin(Simon) Shim
 
2011年하반기_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_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2011年하반기_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_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DMC미디어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Taesung Yun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scsong71
 
Ktdigieco201211
Ktdigieco201211Ktdigieco201211
Ktdigieco201211deepersnet
 
00_Mobile Internet business
00_Mobile Internet business00_Mobile Internet business
00_Mobile Internet business
websmedia
 
201211_스마트 혁명, 세상을 바꾸다_KT경제경영연구소
201211_스마트 혁명, 세상을 바꾸다_KT경제경영연구소201211_스마트 혁명, 세상을 바꾸다_KT경제경영연구소
201211_스마트 혁명, 세상을 바꾸다_KT경제경영연구소
YOO SE KYUN
 
웨어러블 시대의 킬러앱은? 웨어러블 컴퓨터 서비스 시나리오
웨어러블 시대의 킬러앱은? 웨어러블 컴퓨터 서비스 시나리오웨어러블 시대의 킬러앱은? 웨어러블 컴퓨터 서비스 시나리오
웨어러블 시대의 킬러앱은? 웨어러블 컴퓨터 서비스 시나리오
Jonghoon Seo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웨어러블 디바이스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정문 김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Kim jeehyun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Soomin(Simon) Shim
 

What's hot (20)

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
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
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
 
Trillion 센서, iot 시대 열고 있다
Trillion 센서, iot 시대 열고 있다Trillion 센서, iot 시대 열고 있다
Trillion 센서, iot 시대 열고 있다
 
Eco-System 관점에서 바라본 Wearable Device 시장 전망
Eco-System 관점에서 바라본 Wearable Device 시장 전망 Eco-System 관점에서 바라본 Wearable Device 시장 전망
Eco-System 관점에서 바라본 Wearable Device 시장 전망
 
포스트 스마트폰 IoT 비즈니스
포스트 스마트폰 IoT 비즈니스포스트 스마트폰 IoT 비즈니스
포스트 스마트폰 IoT 비즈니스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New Media Marketing Strategies - Mobile, Cloud Computing Research
New Media Marketing Strategies - Mobile, Cloud Computing ResearchNew Media Marketing Strategies - Mobile, Cloud Computing Research
New Media Marketing Strategies - Mobile, Cloud Computing Research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스마트 융합 대학 교육 20130206(sbck)
스마트 융합 대학 교육  20130206(sbck)스마트 융합 대학 교육  20130206(sbck)
스마트 융합 대학 교육 20130206(sbck)
 
[Digieco] 웨어러블 컴퓨터를 활용한 생태계 확장
[Digieco] 웨어러블 컴퓨터를 활용한 생태계 확장 [Digieco] 웨어러블 컴퓨터를 활용한 생태계 확장
[Digieco] 웨어러블 컴퓨터를 활용한 생태계 확장
 
2011年하반기_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_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2011年하반기_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_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Ktdigieco201211
Ktdigieco201211Ktdigieco201211
Ktdigieco201211
 
00_Mobile Internet business
00_Mobile Internet business00_Mobile Internet business
00_Mobile Internet business
 
201211_스마트 혁명, 세상을 바꾸다_KT경제경영연구소
201211_스마트 혁명, 세상을 바꾸다_KT경제경영연구소201211_스마트 혁명, 세상을 바꾸다_KT경제경영연구소
201211_스마트 혁명, 세상을 바꾸다_KT경제경영연구소
 
웨어러블 시대의 킬러앱은? 웨어러블 컴퓨터 서비스 시나리오
웨어러블 시대의 킬러앱은? 웨어러블 컴퓨터 서비스 시나리오웨어러블 시대의 킬러앱은? 웨어러블 컴퓨터 서비스 시나리오
웨어러블 시대의 킬러앱은? 웨어러블 컴퓨터 서비스 시나리오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웨어러블 디바이스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Viewers also liked

Kaca [korean association for career achievement]성과연봉제
Kaca [korean association for career achievement]성과연봉제Kaca [korean association for career achievement]성과연봉제
Kaca [korean association for career achievement]성과연봉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
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
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Wef global risks_2015_report15
Wef global risks_2015_report15Wef global risks_2015_report15
Wef global risks_2015_report15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규제 많은 미국이 핀테크를 선도하는 이유(Lgeri)
규제 많은 미국이 핀테크를 선도하는 이유(Lgeri)규제 많은 미국이 핀테크를 선도하는 이유(Lgeri)
규제 많은 미국이 핀테크를 선도하는 이유(Lgeri)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술동향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술동향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술동향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술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활용 분야 및 발전 전망
3d 프린팅 활용 분야 및 발전 전망3d 프린팅 활용 분야 및 발전 전망
3d 프린팅 활용 분야 및 발전 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제조업의 개념 바꾼다.
3d 프린팅 제조업의 개념 바꾼다.3d 프린팅 제조업의 개념 바꾼다.
3d 프린팅 제조업의 개념 바꾼다.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소재기술 및 동향
3d 프린팅 소재기술 및 동향3d 프린팅 소재기술 및 동향
3d 프린팅 소재기술 및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혁명
3d 프린팅 혁명3d 프린팅 혁명
3d 프린팅 혁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Viewers also liked (20)

Kaca [korean association for career achievement]성과연봉제
Kaca [korean association for career achievement]성과연봉제Kaca [korean association for career achievement]성과연봉제
Kaca [korean association for career achievement]성과연봉제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
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
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Wef global risks_2015_report15
Wef global risks_2015_report15Wef global risks_2015_report15
Wef global risks_2015_report15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규제 많은 미국이 핀테크를 선도하는 이유(Lgeri)
규제 많은 미국이 핀테크를 선도하는 이유(Lgeri)규제 많은 미국이 핀테크를 선도하는 이유(Lgeri)
규제 많은 미국이 핀테크를 선도하는 이유(Lgeri)
 
경기 I bank
경기 I bank경기 I bank
경기 I bank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술동향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술동향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술동향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술동향
 
3d 프린팅 활용 분야 및 발전 전망
3d 프린팅 활용 분야 및 발전 전망3d 프린팅 활용 분야 및 발전 전망
3d 프린팅 활용 분야 및 발전 전망
 
3d 프린팅 제조업의 개념 바꾼다.
3d 프린팅 제조업의 개념 바꾼다.3d 프린팅 제조업의 개념 바꾼다.
3d 프린팅 제조업의 개념 바꾼다.
 
3d 프린팅 소재기술 및 동향
3d 프린팅 소재기술 및 동향3d 프린팅 소재기술 및 동향
3d 프린팅 소재기술 및 동향
 
3d 프린팅 혁명
3d 프린팅 혁명3d 프린팅 혁명
3d 프린팅 혁명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Similar to Iot 시대, 모바일 시대와 달라지는 3가지

2013 Business Platform Day
2013 Business Platform Day2013 Business Platform Day
2013 Business Platform Day
ROA Consulting Inc.
 
20130130 ict insigt vol4-2
20130130 ict insigt vol4-220130130 ict insigt vol4-2
20130130 ict insigt vol4-2
Donghyung Shin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atelier t*h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Seungyul Kim
 
스마트폰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국회도서관보기고-2010-5
스마트폰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국회도서관보기고-2010-5스마트폰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국회도서관보기고-2010-5
스마트폰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국회도서관보기고-2010-5
Donghan Kim
 
Iot로 열리는 초개인화 앱 시대, 글로벌 4강 동향과 국내 고려사항
Iot로 열리는 초개인화 앱 시대, 글로벌 4강 동향과 국내 고려사항Iot로 열리는 초개인화 앱 시대, 글로벌 4강 동향과 국내 고려사항
Iot로 열리는 초개인화 앱 시대, 글로벌 4강 동향과 국내 고려사항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4년 ICT 산업 트렌드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4년 ICT 산업 트렌드
Donghyung Shin
 
2011年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Hanjoo Kim
 
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
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
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cheolhwa
 
Iot 시대, ‘서비스 중심’의 신흥강자 부상한다
Iot 시대, ‘서비스 중심’의 신흥강자 부상한다Iot 시대, ‘서비스 중심’의 신흥강자 부상한다
Iot 시대, ‘서비스 중심’의 신흥강자 부상한다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
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
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
Sungho Lee
 
Android 구글 2007년자료
Android 구글 2007년자료Android 구글 2007년자료
Android 구글 2007년자료
eungod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DMC미디어
 
2012 글로벌 ICT 대전망 보고서
2012 글로벌 ICT 대전망 보고서2012 글로벌 ICT 대전망 보고서
2012 글로벌 ICT 대전망 보고서
ROA Consulting Inc.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sy kim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DMC미디어
 
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
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
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
SeungBeom Ha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4-1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4-1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4-1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4-1Donghyung Shin
 
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
websmedia
 

Similar to Iot 시대, 모바일 시대와 달라지는 3가지 (20)

2013 Business Platform Day
2013 Business Platform Day2013 Business Platform Day
2013 Business Platform Day
 
20130130 ict insigt vol4-2
20130130 ict insigt vol4-220130130 ict insigt vol4-2
20130130 ict insigt vol4-2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스마트폰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국회도서관보기고-2010-5
스마트폰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국회도서관보기고-2010-5스마트폰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국회도서관보기고-2010-5
스마트폰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국회도서관보기고-2010-5
 
Iot로 열리는 초개인화 앱 시대, 글로벌 4강 동향과 국내 고려사항
Iot로 열리는 초개인화 앱 시대, 글로벌 4강 동향과 국내 고려사항Iot로 열리는 초개인화 앱 시대, 글로벌 4강 동향과 국내 고려사항
Iot로 열리는 초개인화 앱 시대, 글로벌 4강 동향과 국내 고려사항
 
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4년 ICT 산업 트렌드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1年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2011年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보고서
 
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
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
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
 
Iot 시대, ‘서비스 중심’의 신흥강자 부상한다
Iot 시대, ‘서비스 중심’의 신흥강자 부상한다Iot 시대, ‘서비스 중심’의 신흥강자 부상한다
Iot 시대, ‘서비스 중심’의 신흥강자 부상한다
 
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
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
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
 
Android 구글 2007년자료
Android 구글 2007년자료Android 구글 2007년자료
Android 구글 2007년자료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2012 글로벌 ICT 대전망 보고서
2012 글로벌 ICT 대전망 보고서2012 글로벌 ICT 대전망 보고서
2012 글로벌 ICT 대전망 보고서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2011년 상반기 영화 온라인 광고 동향분석
 
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
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
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4-1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4-1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4-1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4-1
 
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
 

More from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프린팅 기술발전에 따른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의 변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d프린팅 기술발전에 따른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의 변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3d프린팅 기술발전에 따른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의 변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d프린팅 기술발전에 따른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의 변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이 바꾸는 중후장대 산업
3d 프린팅이 바꾸는 중후장대 산업3d 프린팅이 바꾸는 중후장대 산업
3d 프린팅이 바꾸는 중후장대 산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More from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3d프린팅 기술발전에 따른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의 변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d프린팅 기술발전에 따른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의 변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3d프린팅 기술발전에 따른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의 변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d프린팅 기술발전에 따른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의 변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d 프린팅이 바꾸는 중후장대 산업
3d 프린팅이 바꾸는 중후장대 산업3d 프린팅이 바꾸는 중후장대 산업
3d 프린팅이 바꾸는 중후장대 산업
 

Iot 시대, 모바일 시대와 달라지는 3가지

  • 1.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29 신동형 책임연구원 sdh0604@lgeri.com 연결 중심의 IoT 시대는 스마트 기기 중심의 모바일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모바일 시대가 OS 중심, 앱 경제, 무거운 연결 중심이라면, IoT 시대는 웹 중심, API 경제, 가벼운 연결이 중요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의 모바일 시대가 IoT 시대로 단기간에 변화되지는 않겠지만, 시장에서는 이미 IoT 시대를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IoT 시대, 모바일 시대와 달라지는 3가지 지금까지 ICT 산업 혁신을 주도했던 스마 트폰의 성장세가 예전 같지 않다. 물론 페이스 북(Facebook), 야후(Yahoo!) 등 웹 서비스 기 업들은 최근에서야 모바일 중심(Mobile First) 시대임을 강조하며 변화하고 있지만, 하 드웨어 기기 제조사들은 이미 스마트폰을 이 을 새로운 성장동력에 갈증을 느끼며 탐색 중 이다. 하드웨어 확산이 정체된다는 것은 서비 스 기업들도 침투해야 할 시장이 정체된다는 의미이므로 이들도 새로운 성장동력 탐색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러한 시점에서 스마트폰을 이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사물 인 터넷 (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이다. IoT가 주류 시장(Major Market)으로 편입되 는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논쟁이 있 지만, 그 시대가 반드 시 올 것이라는 전망 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새로 도 래할 IoT 시대에는 현 재의 스마트화 중심의 모바일 시대와 무엇이 달라질까. 모바일 시대 특징 3가지 최근 수년간 세상에서 변화와 혁신이 가장 빠 르게 진행되어 온 곳은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분야이고 ICT 중심에 모바일이 있다. 모바일은 소비재 가전 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초 가전 협회 (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 CEA) 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13년 매출 기준으 로 스마트폰이 전체 가전 시장의 33% 비중을 차지했다. 그리고 모바일PC, 휴대폰,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한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비중이 전체 가전 매출의 56% 수준에 달했다. 서비스 분야에서도 모바일 중심 현상은 뚜렷하다. 대표적인 예가 SNS(S o cia l Network Service) 사업자인 페이스북으로, 2012년 말부터 모바일 중심(Mobile First) 전 략을 펼치고 있다. 그 결과 2014년 1분기 기준 페이스북의 총 가입자 12억 3천만명 중 10억 1 천만명이 모바일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4분기 처음으로 모바일 광고 매출이 전체 광고 매출의 53%에 이르렀고 2014년 1분 기에 57% 수준까지 상승했다. 심지어 모바일 에 집중한 페이스북은 모바일 광고 매출 시장 점유율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 구글(Google)의 감소분 이상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 <표> 모바일 광고 시장점유율(%) 주 : 타 파트너 사이트에 트래픽 확보에 따른 비용을 지급한 뒤 광고 매출 자료 : eMartker.com 2012 2013 2014 매출(십억$) 8.76 17.96 31.45 구글 52.6 49.3 46.8 페이스북 5.4 17.5 21.7 트위터 1.5 2.4 2.6 판도라 2.6 2.1 1.7 기타 37.9 28.7 27.2 총계 100.0 100.0 100.0
  • 2. Weekly 포커스 30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모바일 시대에서는 높은 컴퓨팅 성능을 구현하는 OS 기반의 기기 중심으로 다양한 앱들이 동작 및 구현되고 있다. 이고 있다.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시 대의 몇가지 특징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 OS가 스마트폰 컴퓨팅 성능의 핵심 모바일 시대의 중심에는 스마트폰이 있다. 스 마트폰은 기존의 피처폰과 PC 심지어 TV의 기능 등 다양한 디지털 기능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능의 중심에는 컴퓨팅 성능이 있고, 컴퓨팅 성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들이 앱 으로 구현, 동작되고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들을 제어하고 서비스를 가능케 하 는 컴퓨팅 성능의 중심에는 OS가 있다. 모바일 OS는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 다. 앱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제어, 관리하는 GPOS(General Purpose OS; 일부에서는 High Level OS, HLOS라고도 함) 가 있고, 이에 반해 하드웨어의 자원할당 및 기 능 구현 등 OS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RTOS (Real Time OS)가 있다. 스마트폰 이전의 피처폰 시대에 는 전화 기능 중심의 RTOS 밖에 없 었다. 멀티미디어는 부가적 기능에 불과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관련 된 소프트웨어 기능과 성능은 망에 대한 지배권을 갖고 있는 통신사들 이 정의했었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 대로 오면서 OS가 멀티미디어, 웹 등 을 포함한 앱 서비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GPOS 중심으로 전환되었 다. 그리고 GPOS 중심의 생태계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애플, 구글 등 GPOS사 업자는 앱 개발자들이 쉽게 앱을 개발할 수 있 도록 GPOS와 연계된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GPOS 덕분에 스마트폰은 피처폰 대비 더 높 은 컴퓨팅 성능을 갖게 되었고 더 다양한 디지 털 기능들을 흡수할 수 있었다. ② 앱 서비스가 앱 경제라 불릴 만큼 큰 시장, 중요한 위치로 스마트폰 사용에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앱이 다. 앱은 스마트폰의 가치를 결정지을 만큼 중 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친숙한 앱으로는 카카 오톡, 라인 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 앱이 있 다. 그 외에도 페이스북과 같은 SNS 앱, 유튜 브 동영상 서비스 앱, 게임 앱, 금융 앱, 쇼핑 앱 등 수없이 많은 종류의 서비스들이 앱으로 구현 및 제공되고 있다. 앱이 확산됨에 따라 그림 1 OS 분류 자료 : VisionMobile(2006) 재구성 Kernel H/W Drivers UI Framework Apps Baseband Chip Software Stack OS layer별 해설 3RD 파티 Apps Apps Executive Env. M/W(Libraries, etc) 소프트 웨어 하드 웨어 � Apps : � 전화 기능, 전화번호부, 계산기, 달력 등 기본/필수 Apps � UI Framework : � 화면 구성에 필요한 아이콘 등 모음 � Apps Executive Environments(AEE) : �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모음 � Middleware(Libraries, etc) : � 라이브러리 등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소스 코드 모음 � Kernel H/W Drives : � 하드웨어 부품 드라이버, 메모리 및 파일/프로세스 관리 협의의 OS(RTOS) � OS가 제품 하드웨어의 성능, 기능 및 제어 관리에 집중 광의의 OS(GPOS) � OS가 서비스와 제품의 성능, 기능 및 제어 관리에 집중 � 서비스를 구현하는 앱을 구현하는 Livraries 등 포함
  • 3.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31 모바일 시대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심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 즉 무거운 연결이 대세이다. 앱서비스는 앱 경제(App Economy)라 불릴 반큼 성장했다. 비즈니스 위크(Business Week)는 2009년 10월판에서 앱 경제(App Economy)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앱 전문 조사기관인 앱 애니(App Annie) 에 따르면 2014년 6월 현재 안드로이드OS용 구글 플레이에 약 150만개의 앱이 등록되어 있 다. 시장 조사기관인 가트너1는 글로벌 앱 매출 규모가 2013년 267억달러이고, 2017년에는 약 765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3년 앱 시장의 규모는 2013년 글로벌 모니터 시장 규모 인 280억달러에 근접한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앱은 GPOS에 종속적인 네이티브 앱(Native App)과 웹 개발언어로 만들어져 GPOS와는 독 립적인 웹 앱(Web App)으로 분류한다. 현재의 앱 서비스들은 웹과 연계되어 구현되지만, 개발 측면에서는 애플 iOS와 구글 안드로이드 OS에 종속적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지금은 네 이티브 앱 중심의 앱 경제이다. 그래서 대부분 의 앱들은 해당 GPOS 개발사의 앱 장터 (Marketplace)를 통해 유통된다. ③ 대용량의 모바일 데이터 송·수신 스마트폰이 중심인 모바일 환경은 스마트화된 기기가 중심에 있다. 그래서 TV영상, 게임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산, 공유, 소비하는 TV,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기기들이 중심인 멀티 스크린 환경이 화두가 되어왔다. 1 ‘Forecast: Mobile App Store, Worldwide, 2013 Update(september, 2013), Gartner 또 앱 중에서는 가장 높은 컴퓨팅 성능을 요구 하는 게임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앱 애니는 게임 앱이 2014년 1분기 구글 플레이 다운로드 의 40%를 차지하고 매출의 90%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모바일 환경은 높은 컴퓨팅 성 능을 필요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중심이 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콘텐츠가 전송 및 출력 되려면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넓은 주파 수 대역대와 큰 스크린이 요구된다. 연결 중심의 IoT 시대의 3가지 주요 변화 향후 도래할 연결 중심인 IoT 환경은 기존 기 기 스마트화 중심의 모바일 환경과는 다른 새 로운 변화들이 나타날 수 있다. 통신 장비 기 업인 시스코(Cisco)는 자신만의 용어인 만물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을 ‘사 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 연결된 적이 없 는 세상의 나머지 99%까지 모두 인터넷에 연 결되어 실시간 상호 소통함으로써 가치를 생성 하는 환경’이라 정의했다. 기존에 연결되지 않 은 새로운 99%가 연결되기 때문에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세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① IoT 시대는 가벼운 연결이 중심인 시대 IoT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곳은 미국 MIT 대학의 오토ID Lab연구소였다. 이 연구 소가 있는 MIT의 간행물인 MIT 테크놀로지 리뷰에 따르면 IoT는 저성능(Dumb)을 포함한 소형 컴퓨터가 사물(Object)에 부착된 컴퓨팅 환경이라 정의했다. 그리고 이러한 컴퓨터들은
  • 4. Weekly 포커스 32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IoT 시대에는 지금까지 연결되지 않았던 다양한 사물들의 소량 데이터 전송, 즉 가벼운 연결이 대세가 될 것이다. 주변 환경 데이터를 수집, 전송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시스코와 MIT의 IoT에 대한 정의에서 공 통적인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즉 ‘저성능 컴퓨터’와 ‘지금까지 연결되지 않았던 사물들이 이미 연결된 스마트 기기들보다 더 많아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IoT 환경에서는 콜라캔에 소형 컴퓨터가 부착될 수도 있고, 심지어 한번 쓰고 버리는 1회용 빨대나 컵 등에도 부착되어 데이터 생성 및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콜라캔과 1회용 제품들에 부착될 컴퓨터 들은 굳이 지금과 같이 멀티 미디어 콘텐츠를 다룰 필요가 없다. 이들은 간단히 식별정보만 있고, 위치정보 또는 제품정보 등 관련 데이터 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기능만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IoT 환경에서 콜라 제조사와 유통 사는 컴퓨터 및 연결된 콜라캔을 통해 언제 제 품이 생산되었으며, 어디로 배송되고 있는지, 그리고 언제까지 판매될 때 가장 맛이 좋은지 등을 판단하여 배송 및 판매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콜라를 구매한 고객들은 ‘언 제까지 마실 때 맛이 가장 좋은지? 콜라의 칼 로리는 얼마인지?’ 등을 확인하여 자신의 기호 및 건강 정보에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IoT 환경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처럼 몇 십 또는 몇 백 메 가바이트 수준의 대용량일 필요가 없고, 몇킬 로바이트(메가 바이트의 1/1000) 수준이면 충 분하다. 컬럼비아 대학의 피터 킹겟(Peter Kinget) 교수는 초당 1 킬로비트 (킬로바이트의 1/8) 수준의 데이터 전송이면 충분할 수 있다고 한다. IoT 환경에서는 한번에 전송되는 데이터 의 양이 적기 때문에 ‘가벼운 연결’이라고 할 수 있다. 상대적인 개념으로 한번에 대용량의 데이 터가 전송되는 환경은 ‘무거운 연결’ 환경이라 정의할 수 있다. 가벼운 연결과 무거운 연결의 특징을 살펴보면 가벼운 연결 환경에서 기기는 컴퓨팅 성능이 낮아도 되고, 굳이 스크린이 없 어도 된다. 또 소량의 데이터만 전송하면 되기 때문에 좁은 대역대의 네트워크만으로도 충분 하다. 이에 반해 무거운 연결 은 높은 컴퓨팅 성능과 이를 출력해 줄 더 큰 스크린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이들 대용량 데이터가 송·수신되 는 넓은 대역의 네트워크 환 경도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현재 모바일 시대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심이기 그림 2 무거운 연결 vs. 가벼운 연결 Convergence Divergence 무거운 연결 (멀티스크린 환경) 가벼운 연결 (Real IoT 환경) � 멀티 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무거운 데이터들의 연결 � High Computing Power � Bigger Screen � Wide Bandwidth ▶ 가벼운 연결에 비해 Life-cycle이 짧으며, 가격에 대한 민감도도 상대적으로 낮음. � 센서 정보 등 가벼운 데이터들의 연결 � Low Computing Power � None or Small Screen � Narrow Bandwidth ▶ 교체 주기인 Life-cycle이 길며 내구성이 좋아야 함. 뿐만 아니라 가격은 상당히 저렴해야 함. � 현재는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를 통한 무거운 연결 중심 � 결국에는 무거운 연결과 가벼운 연결이 혼재될 것이나, � 가벼운 연결이 더 많아지는 순간이 Real IoT 환경이 될 전망
  • 5.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33 IoT 시대에는 개방형 표준 기반의 웹이 중심이 되고 기존의 OS 중심의 헤게모니는 약화될 것이다. 때문에 무거운 연결 중심일 수 밖에 없다. 향후 에도 다양한 멀티 미디어 콘텐츠들이 생산, 공 유, 소비되는 등 무거운 연결이 늘어나겠지만, IoT는 그림 3에서 보듯이 가벼운 연결이 기 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무거운 연결의 데이 터 트래픽을 뛰어 넘는 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② IoT 시대에는 플랫폼이 OS 중심에서 웹중심으로 전환 스마트 폰이 중심이 된 모바일 시대는 애플의 iOS와 구글의 안드로이드OS 등 OS(GPOS)의 영향력이 컸다. 그러나 IoT 시대에는 사물들이 자체 컴퓨팅 성능보다는 대부분 개방형 표준 기반의 인터넷에 연결되어 서비스 되기 때문에 OS에 대한 종속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이 시기가 오더라도 OS 기반의 스마트 기기들 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생성, 공유, 소비하 는 주체가 되거나, 다른 시스템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림 3에서 보 듯이 기존의 스마트 기기와는 비교도 안될 정 도로 많은 사물들이 웹과 연결되어 서비스될 것이다. 현재 이미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많은 앱들도 웹과 연동되어 작동하고 있고 주요 기능 이 웹에 있는 경우가 많은 등 그 방향도 웹으로 움직여가고 있다. 또 HTML5 등 기기 제어가 가능한 웹 개발 언어들이 진화하는 등 웹이 폐 쇄적인 모바일 환경을 개방시키고 있다. ICT산 업환경의 개방화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개방 형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IoT의 확산은 기존 OS(GPOS) 중심 모바일 플랫폼의 헤게모니를 약화시킬 가능성을 점점 더 높일 것이다.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자(그림 4 참조). 과거 피처폰 시대에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지배 력이 있었다. 이 시기는 전화 기능이 핵심이었 고, 게임 등 일부 앱은 부가적이고 네트워크 성 능에 종속적이어서 망을 가진 이동통신 사업 자가 지배력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스 마트폰 시대에는 애플, 구글과 같은 OS 개발사 가 C-P-N-T 가치 사슬의 중심이 되었다. 이 그림 3 Real IoT 환경 시간 많음 적음 가벼운 연결 무거운 연결 Real IoT 환경 데이터 트래픽량 그림 4 ICT 환경에서 C-P-N-T 가치 사슬의 변화 Telco OS RTOS RTOS 피처폰 스마트폰 사물 인터넷 콘텐츠 (Contents) 플랫폼 (Platform) 네트워크 (Network) 기기 (Terminal) 서비스 관련 서비스 관련 색깔 : 지배력이 높은 영역 색깔 : 지배력이 낮은 영역 OS 기능
  • 6. Weekly 포커스 34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IoT 시대는 기기 자체의 스마트화 보다는 연결을 통한 스마트화가 중심이 될 것이다. 시기는 OS가 기기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서비 스 기능 구현 역할까지 포함하면서 기기 및 서 비스 영역을 종속시켰기 때문이다. 향후 개방화와 연결 추세가 지속되면서 IoT 시대에는 서비스 기능 구현이 기기 등 사 물에 내장되기 보다 상당부분 인터넷 또는 웹 영역으로 가게 될 것이다. 그리고 IoT 사물의 OS는 모바일 기기와는 달리 기기 제어 기능 중심의 아주 가벼운 RTOS로 전환될 가능성 이 높다. 제조사가 제품 기능 등을 결정할 때 이러한 OS는 오픈 소스 등을 통해 쉽게 선택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IoT 환경 은 모바일 기기 중심 환경에서 기존 OS 개발 사들이 주도권을 가졌던 것과 달리 웹 혹은 제조 영역에서 지배력을 가진 기업들의 영향력 이 상대적으로 커질 가능성이 높다.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많은 연결 및 네트워 크 효과가 있었지만 더 많은 사물들이 웹에 연 결되는 IoT화가 진행될수록 네트워크 효과의 영향은 커질 것이다. 웹은 태생적으로 사용자 가 증가할수록 그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 어나는 네트워크 효과의 적용을 받는다. 그래 서 웹 서비스 개발사들은 더 많은 사용자 확보 에 목을 맬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전통적으 로 네트워크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제조 사들도 IoT 시대에는 연결 환경 속에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즉 연결 기술 표준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연결 속 사용자 환경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기기의 사용 환경을 인지하여 데이터로 처리하고 전송하는 컴퓨팅 기능은 저렴하면 저렴할수록 더 많은 기기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컵, 콜라캔, 책 등 수많은 사물들이 가벼운 연결로 접속된다. 이 렇게 대부분의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면 요즘 고성능 컴퓨팅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가 전제품 등은 오히려 본질적인 기능을 넘어서는 스마트함을 요구받지 않을 확률이 높다. 예를 들어 IoT 시대의 세탁기는 스스로 세탁해야 할 의류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판단할 필요가 없다. 세탁기는 세탁해야 할 의류들의 식별 정 보데이터를 웹으로 전송만 하면 되고 세탁한 의류에 맞는 최적의 세탁법은 웹에서 받아서 그에 따라서 세탁만 하면 된다. 옷감에 따른 물 온도, 세탁 강도 등은 웹에서 계산되기 때 문이다. 그러므로 세탁기는 굳이 똑똑할 필요 가 없고 세탁기능만 잘 구현해도 사용자들은 충분히 스마트한 세탁 경험을 누릴 수 있다. ③ 앱 경제를 넘어 API 경제로 진화 IoT 시대에는 모바일의 앱 경제도 변화를 겪을 것이다. IoT 환경이 되면서 더 많은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웹 중심의 서비스가 기존 OS(GPOS) 중심의 앱 서비스보다 더 확산될 것이다. 서비스도 공학적 측면에서 본다면 다 양한 소프트웨어 요소(Software Component) 의 결합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요소들도 OS 에서 웹으로 더 많이 이전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금까지는 소프트 웨어 요소들이 OS에 포함되어 앱의 기능 구현 을 지원했고, 앱 개발사들은 이들 요소를 활용
  • 7.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35 소프트웨어 부품인 API들을 레고블럭처럼 쌓아서 원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조립하는 것이 활성화 될 것이다. 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왔다. 예를 들어 앱 개발사는 OS에 포함된 지도 소프트웨어 요 소와 사용자 위치 확인 소프트웨어 요소를 활 용해 주변 식당과 상점 정보 및 할인 쿠폰 등 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었다. 하지 만 소프트웨어 요소가 OS에서 웹 중심으로 이전되면 개발사들은 그에 맞게 또 실시간으 로 업데이트 되는 웹의 장점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면 된다. 이러한 서비스를 구 성하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API(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라고 한다. 정의에 따르면 API는 앱 구현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각각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할 것인지를 구체적 으로 정하는 것이다. 현재의 앱 서비스도 결국 소프트웨어 부품들의 결합인데, API는 부품 들간의 연결(Interface)을 미리 정해서 부품들 을 마치 레고 블록처럼 쌓아 원하는 서비스를 조립할 수 있게 해 준다. 향후에는 웹 중심 환경으로 전환될 것이 므로 웹 표준 기반 기술로 만들어진 웹 API(Web API)가 더 확대될 것이다. 웹 환경에 서는 모바일 시대의 시장 표준OS를 가진 애플 주요 API 영역 6가지 API는 다양한 예시가 있겠지만 시장 조사기 관인 포레스트는 그림 5처럼 주요 API 영역으 로 6개를 들고 있다. 첫째 콘텐츠/데이터 API 다.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일부 또는 전체를 활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위키피디아(Wikipedai) 또는 트위터 (Twitter)가 컨텐츠/데이터 API가 될 수 있다. 트 위터의 데이터 트래픽을 구매해서 시장 조사자 료 및 마케팅 전략의 데이터로 활용하는 경우는 이미 존재한다. 둘째 거래 기능을 지원해 주는 거래 API다. 온라인 결제 시스템인 페이팔 (Paypal) 및 온라인 증권 거래 시스템인 이-트 레이드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업체 가 페이팔을 활용해 전자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앱이나 웹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셋째 다른 다 양한 앱 또는 API들을 결합하여 통합 형태로 제공하는 통합 API다. 다양한 항공 정보 API를 모아 한번에 제공하는 와이- 플라이트(Wi-Flight) 같은 경우다. 넷째 UI API로 사용자와 서 비스 또는 기기가 접하는 UI 전체 또는 일부 구성요소를 제공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글 지도 위에 해당 장소의 다양한 사진들을 연동시킨 UI를 제공하는 파노라미오 등이 있다. 다 섯째 앱 컴포넌트 API로 특정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요소 를 제공한다. 세일즈포스닷컴의 CRM, 인사 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기업용 서비스에 이들 API 를 접목시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 틸리티 API가 있는데 이는 로그인, 보안, 포맷 컨버전 등 일 상적이고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페이스북의 로그인 API 등이 있다.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많은 게임 앱에서 별도의 가 입 없이 페이스북 ID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림 5 API 예시 자료 : “Understanding the API economy : How your business can benefit from APIs” by Forrester APIs 예시 내용 사례 콘텐츠/데이터 APIs (Data APIs) 거래 APIs (Transaction APIs) 통합 APIs (Integration APIs) UI APIs (User Interface APIs) 앱 컴포넌트 APIs (User Interface APIs) 유틸리티 APIs (Utility APIs) � Date/Contents Base에 접속하여 활용 가능 � 일부/전체 DB에 직접 접속 � 복잡하고 다양한 자원과 상호연결 � 거래에 대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연결 � Silo 애플리케이션을 기술적으로 연결/접목 � UI Component 또는 전체 UI를 제공 � 기업/업무용 기능 지원 � Wikipedia, Twitter 등 � 페이팔, 이-트레이드 등 � Wi-Flight � 파노라미오 � 세일즈포스닷컴 � 어도비, 페이스북 등 � 로그인, 보안, 포맷 컨버전 등과 같은 일상적인 유틸리티 기능 지원
  • 8. Weekly 포커스 36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API 전문기업인 3SCALE은 향후 개발되는 앱 서비스들은 20%의 자체 개발 API와 80%의 외부 또는 공용 API로 구성될 것으로 전망한다. 과 구글 의존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도 있 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누구나 웹API를 개발할 수 있고 다른 앱 서비스 사업자들은 이 웹 API 들을 부품처럼 활용해 더 쉽고 자유롭게 새로 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향후 앱 서비스들 은 기존의 단순한 기능을 넘어 이를 통합한 복 합적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진화할 수 있 다. 그리고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Time-To- Market을 위한 시장 대응력도 높여야 한다. 이 를 위해서는 스피드와 시장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서비스 개발사들이 처음부터 독 자적으로 자체 API를 개발하기 보다는 활용 가능한 외부 또는 공용 API를 개발 또는 보완 하는 방향으로 나갈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API도 네트워크 효과가 적용되므로 많은 서비 스들이 접목되면 접목될수록 해당 API는 더 많은 경쟁력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가령 지도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활용되 고, 더 많은 사용 정보가 쌓일수록 정확성이 높아지고, 더 많은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스마트 폰 시대를 앱 경제라 한다면 이처럼 API가 모바일 환경의 앱처럼 새로운 경제 구도 를 형성하는 것을 API 경제라 할 수 있을 것이 다. API 전문 기업인 쓰리스케일(3SCALE)에 따 르면 향후 개발되는 앱 서비스들은 20%의 자체 개발 API와 80%의 외부 또는 공용 API로 구성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한다. API 자체가 재화 로 많이 거래될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여행 앱 개발사는 구글 지도를 활용하면 처음 100만 뷰까지 구글에 11,000달러를 지불해야 하며, 그 이상으로는 비용이 더 크게 증가한다고 한다. 모바일시대와 달라지는 것들, IoT 시대를 위한 새로운 시도들 기기의 스마트화가 중심인 모바일 시대에서 연 결 중심의 IoT 시대로 바뀔 때 나타날 변화를 정리하면 그림 6과 같다. 즉 OS 중심에서 웹으로, 앱 경제에서 API 경제로, 무거운 연결 에서 가벼운 연결로 전환이 가장 중요한 변화 가 될 것이다. 첫째 모바일 시대에는 기기의 스마트화가 핵심이어서 제조사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지 고민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모바일 시 대보다 좀 더 개방 표준에 기반한 IoT 환경에 서는 서비스를 위한 앱 개발 자체보다 웹 표 준, 웹 API 등 웹의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를 어 떻게 기기에 더 잘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 민이 더 중요할 것이다. 그리고 더 많은 사물 들을 연결하려면 지금의 기기 중심의 스마트 기능 추가보다는 소비자들에게 불필요한 컴퓨 팅 기능을 없애는 등 연결 관점에서 제품을 제 공하는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많이 설치되면 새로운 서비스 기회 그림 6 IoT 시대에 달라지는 것들 핵심 특징 C-P-N-T 중 지배적 영역 새롭게 만들어 지는 경제 구도 중심이 되는 연결 형태 기기의 스마트화 OS(GPOS) 앱 경제 무거운 연결 연결화 웹 API 경제 가벼운 연결 모바일 시대 사물 인터넷 시대
  • 9. Weekly 포커스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37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많이 설치되면 새로운 서비스 기회 등 새로운 가치가 만들어질 것이다. 등 새로운 가치가 만들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오스틴 에너지라는 텍사스 오 스틴 지역의 전기 기업은 네스트 등 인터넷에 연결된 자동온도 조절계를 활용한 전력제어 시 스템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텍사스 지역의 더 운 날은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데, 이 때 에어 컨이 전체 전력 소모의 50% 이상 비중을 차지 한다고 한다. 이 때 전력 도매 거래 가격이 급 증하는데, 보통 전력 도매 가격이 메가 와트당 보통 40달러인데 반해 수요가 급등하게 되면 1,000 달러를 넘긴다. 향후 가정 내 가전기기 가 늘어 에너지 소모가 더 늘어나게 된다면 텍 사스의 여름 전력 소모를 대응하기 위해 정부 는 발전소 건립을 추진해야 할지도 모른다. 만 약 오스틴 에너지가 에어컨을 켜고 있는 가구 에 대해서 강제로 제어하면 불필요한 수요를 없애 예비 발전소 추가 건립 고민도 날려버릴 수 있다. 오스틴 에너지는 파워 파트너 온도계 (Power PartnerSM Thermostat)라는 프로 그램을 만들어 강제로 자동 온도 제어하는 것 에 동의하는 사용자에게 85 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는 알람닷컴(Alarm. com), 에코비(ecobee), 네스트, 넥시아 홈 인 텔리전스(Nexia Home Intelligence), 비빈트 (Vivint) 등의 제조사 제품들이 해당된다. 과거 다양한 방법으로 전력 소비 제어를 시도했지만 일방적인 접근이라 실패했었다. 이 제 오스틴 에너지는 사용자 사용 패턴을 감안 한 온도 조절계가 나오면서 사용자에 따라 냉 방 온도가 너무 낮거나 집에 없는데 에어컨이 켜져 있다면 제어할 수 있다. 오스틴 에너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고 가장 많은 소비자 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자동 온도조절계인 네스트도 85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하는 러시 아우어 리워드(Rush Hour Reward) 프로그 램을 만들어 전력 기업들을 모으고 있다. 이 처럼 IoT는 사용자와 기업들에게 새로운 가치 를 제공하고, 또 사회의 불필요한 낭비요인 등 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앱 경제가 웹 중심의 API경제로 발 전하면 현재 앱 중심의 환경보다 훨씬 더 다양 한 혹은 맞춤형 서비스 들이 등장할 것이다. API들의 조합이 활성화 될 경우 그 조합들이 만들어 낼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가능 성이 크다. 향후 웹 API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서 서비스 개발사들은 현재 서비스 또는 기능 들을 API화 하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이 는 마치 과거에는 카메라가 제품이었지만 지금 은 더 많은 기기들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카메라 기능이 스마트폰 구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듯이 중요한 API는 그 자체로 서비스 사용에 결정적인 영 향을 미칠 수 있다. 제조사들의 경우도 특정 하드웨어 기능을 API화 해서 서비스 개발사들 이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추가 수익 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서비스 기업은 물 론 제조업도 API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 창출 이 가능하다. API 개방 및 활용으로 추가 수 익을 얻거나, 새로운 영역에 활용되도록 하여
  • 10. Weekly 포커스 38 LG Business Insight 2014 7 16 시그팍스(SigFox)는 IoT용 전용 통신망으로 초당 100비츠 수준의 데이터 송수신에 적합한 망을 제공하고 있다. 더 많은 제품이 팔릴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필립스는 스마트폰을 통해 온/오프 기능, 밝기 조절 기능, 다양한 색 구현 기능이 있는 휴(Hue)라는 네트워크 연결 LED 전구를 개발 해서 제공하고 있다. 물론 필립스가 직접 더 새로운 사용 경험 및 환경을 제공할 수 있지 만, 필립스는 휴 제품의 소프트웨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API를 개방했다. 그래서 파리 일 몰과 같은 분위기를 조명으로 구현한 골디 (Goldee) 앱과 음악에 따라 조명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암비파이(Ambify)와 같은 앱 등이 외 부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될 수 있었다. 또 네 덜란드 암스테르담에는 각각의 IP 주소와 5개 센서를 가진 조명 기구 6,500개가 설치된 건 물이 2014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그 건물 의 각 조명 기구들은 광학센서를 통해 낮 동안 은 조명을 어둡게 하고, 동작 감지 센서를 통 해 사람이 없을 때는 자동으로 꺼진다. 그리고 LED 조명기기는 온도, 이산화탄소 량 등을 감 지하는 센서가 있어 조명을 빌딩 관리 시스템 에 접목시키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2. 셋째 현재 모바일 중심 서비스와 기기들 은 기존 멀티 미디어 콘텐츠 중심의 연결 환경 에 최적화되어 있다. 멀티 미디어 콘텐츠를 전 송, 공유, 사용하는 등에 맞게 네트워크, 장비 및 기기들이 투자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가격이 측정되어 있다. 하지만 가벼운 연결 환경에서 는 지금까지 투자된 것들이 새로운 변화에 맞 지 않는 불필요한 것들이 많아 부담(Burden) 2 MIT Technology Review 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환경에서는 좀 더 저렴한 비용 구조와 조그맣지만 뭉치면 커 지는 롱테일(Long-tail)식 접근이 필요한데, 기존의 무거운 연결 접근 환경에서는 하나의 덩치 큰 콘텐츠를 끊김 없이 잘 전달하는 것에 최적화되어 새로운 환경에 맞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무거운 연결 중심의 시스템을 자연스럽게 가벼운 연결 시스템으로 통합 및 전환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 하다. 이와 관련하여 새롭게 시도되는 예들로 프랑스 기업인 시그팍스(SigFox)와 컬럼비아 대학 등에서 시도되고 있는 IoT 전용망과 소형 소량 배터리 등이 있다. 시그팍스에 따르면 일반 모바일 망은 일반 사용자들의 전화 및 콘텐츠 전송에 적합하게 맞춰져 있기 때문에 비쌀 뿐 아니라 콘텐츠 관 련 트래픽이 많을 경우 IoT 정보 전송이 늦어 질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들은 IoT가 현실 화 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통신 대역 및 소형 배터리로 구동되는 저성능 소형 컴퓨터를 위한 전용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회사는 초당 100비츠 수준의 데이터 송수신에 적합한 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1~2 달러 수준의 칩셋을 설치한 기기와 1년에 1기 기당 1달러의 사용료를 내면 된다고 한다. 그리고 컬럼비아 대학에서는 사람들이 걷 거나 뛰는 에너지로 사용 가능한 센서의 배터 리를 연구하고 있다. 이 배터리는 초당 1킬로비 트 정도의 비교적 적은 양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www.lger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