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신상희(shshin@gaia3d.com), 김학준, 배병철, 천정대, 손성도
가이아쓰리디㈜
2020년 10월 29일
<2020년 추계 학술대회>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a digital representation of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facility.
BIM의 여러 정의
3
Building Information
Mode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3차원 객체와 그 객체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정보 집합체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참여자들 간 협업하고 BIM을 공유하는 행위화 프로세스를 의미
설계, 시공, 유지관리단계 등 생애주기에 걸쳐 객체와 정보를 생성하고
정보를 추가하며 공유하는 행위와 프로세스 그리고 이 과정을 관리하는 것
<Source : 진상윤, 2020, 스토리텔링 BIM>
3차원 객체와 그 객체를 관련하여 생애주기 동안 창조되고 관리되는
여러 가지 정보의 집합체를 의미
BIM 관련 동향(국내)
4<Source : 홍창희, 2020, 국가BIM센터 역할과 미래방향>
BIM 관련 동향(해외)
5
미국
미국각주별교통부에서BIM
의무화
캐나다
CanadaBIMCouncil등에서
준비
칠레
2020년까지 공공사업을 위한
BIM요구사항 달성
브라질
해외BIM전문가에게 BIM
로드맵의뢰
영국
2016년부터 모든공공
공사에서 BIMLevel2만족
스칸디나비아 국가
건축BIM초기에정착
스웨덴교통부BIM전략발표
독일
2020년 말까지모든교통인프라
프로젝트 BIM의무화
일본
토목분야 CIM도입지침발간
(2017.3)
호주
시드니메트로등에BIM의무화
뉴질랜드
BIM활성화위원회에서
뉴질랜드 BIM핸드북출간
중국 및 홍콩
2013년이후 홍콩은지하철,
도로프로젝트에 BIM요구
말레이시아
건설산업개발위원회가 BIM센터
설치후지원
UAE
두바이메트로등에BIM 의무화
카타르
도하메트로와 루사일시티
등에BIM의무화
싱가포르
2014년부터 인프라공사BIM
의무적용
구분 분석 내용 관련 국가 동향
활성화 방안
• 국가 차원의 BIM 의무화
• 단계별 BIM 의무화 전략
• BIM 적용 우수사례 및 BIM 성과평가 등에 대한 자료 발간
• BIM 펀드 등의 지원금(싱가포르) 및 정기 행사
• 영국, 미국, 싱가포르 등 BIM 활용 의무화
• 프로젝트 규모와 분류에따라 BIM 도입 순위 선정
주요 단체
• 국토/교통부 산하 위원회 및 기관
• BIM Task Group
• 국가별 buildingSmart 및 BIM 협회
• 건설산업 협회
• buildingSMART International
• 미국, 싱가포르 등 국토/교통부 관련 정부부처주도
• 영국, 독일 등은 BIM Task Group에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
• 국제 공통 선형 모델, 분야별 표준 모델 개발 추진
관련 문서
및 지침
• 1단계 : 건설 생산성 관련 보고서 및 BIM 적용 사례집 발간
• 2단계 : 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발주자 요구사항 도입
• 3단계 : 국가 차원의 BIM 핸드북 또는 가이드라인 확정
• 영국과 싱가포르가 가장 우수
• 카타르, UAE 등은 BIM 프로젝트 발주
(영국 Level 2 수준 요구)
일본 건설업연합회 시공 CIM 사례집
호주 공공 인프라 생산성 보고서
싱가포르 BIM 가이드라인과 지침
<Source : 홍창희, 2020, 국가BIM센터 역할과 미래방향>
BIM의 환경 관련 활용 – 실시설계단계 BIM 활용 기준(조달청, 2019)
6
활용 기준 활용 수준
디자인 검토
투시도 및 조감도 활용
∙ 건물 외관 디자인 검토
∙ 건물 주요 내부 디자인 검토
동영상 제작
설계안 검토
BIM 설계도면 산출 BIM 실시설계도면 산출 ∙ 정확한 실시설계도면 산출
수량 기초 데이터 산출 수량 기초 데이터 산출
∙ 견적을 위한 수량 기초 데이터 산
출
환경
시뮬레이션
(선택 사항)
에너지 검토
동적 에너지 분석
∙ 주요 건물에 대한 동적 에너지 시
뮬레이션
정밀 에너지 소요량 검토
∙ 한국에너지공단이 배포한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한 에너지 소요량 산출
빛환경 검토
일조시간 검토 ∙ 일조권 만족 여부 검토
일영 검토 ∙ 연간 외부공간 일영분포 검토
최대앙각 검토(녹색 인증) ∙ 인증기준에 따른 성능 검토
주광률 및 균제도 검토(녹색 인증) ∙ 인증기준에 따른 성능 검토
BIM의 환경 관련 활용 – BIM 적용 목적 예시
7
설계 단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활용 수준
필수 가급적 보통 간혹 안함
계획/
중간/
실시
설계
디자인
검토
시간 검토 투시도 및 조감도 활용 ○
설계 검토 설계안 검토 ○
설계 품질 확보
공간설계
품질 확보
면적 조건 검토 ○
공간요구조건 검토 ○
장애자 설계조건 검토 ○
피난 설계조건 검토 ○
방재 설계조건 검토 ○
설계도면 설계도면 설계도면 산출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 검토
환경 시뮬레이션
방재 피난
빛
일조 분석
조명 분석
음향 음향 분석
온도 온도 분석
공기 CFD
쾌적성 온도 습도 바람
중간/
실시 설계
설계품질 확보 수량산출 품질확보
물리적 품질 확보 ○
데이터 품질 확보 ○
수량 데이터 개략 물량 수량 기초데이터 산출 ○
실시 설계 설계 품질 확보
설계 품질 확보
간섭 검토 ○
구조부재 간의 지지 검토 ○
품질 검증 품질검증 수행 ○
<Source : 진상윤, 2020, 스토리텔링 BIM>
환경영향평가에서 BIM 활용 연구
8<Source : 유재진, 이상윤,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드론과 BIM의 적용 가능성 검토 기초 연구>
연도
한국환경영향평가
학회
한국환경복원기술
학회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전체
드론
관련
BIM
관련
전체
드론
관련
BIM
관련
전체
드론
관련
BIM
관련
전체
드론
관련
BIM
관련
2015 45 0 0 58 0 0 70 0 0 903 0 0
2016 37 0 0 49 0 0 75 0 0 698 1 0
2017 44 0 0 43 0 0 97 0 0 653 3 0
2018 53 1 0 47 0 0 75 0 0 751 4 0
2019 17 0 0 33 2 0 25 0 0 406 2 0
계 196 1 0 230 2 0 342 0 0 3,411 10 0
BIM LOD(Level of Development)
9<Source : BIM Forum, 진상윤>
LOD Level 설명 및 예시
LOD100
개념 스케치 수준
형상이 아니라 심볼로만 나타내는 수준
LOD200
위치와 형태, 사이즈 정도의 정보만 표현
기본 계획 수준
LOD300
재료나 구조, 시스템 등이 결정되었지만 그 구체적인 타 부재와 인터페이스 등은 나타내지 않음
기본 설계 수준
LOD350
재료, 구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이 표현되며 타 부재와의 인터페이스도 표현
실시 설계 100% 수준
LOD400 1:1 수준의 디지털 목업 혹은 샵드로잉에 해당하는 수준
LOD500 준공 모델(As-Built Model)
BIM 분야 특성
10
BIM 분야 특성
1. 특별한 SW가 필요 - CAD/BIM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가시화하기가 어려움
2. 독점적이고 폐쇄적인 기술
3. 건축물 중시으로 주변 환경적 맥락과 약한 결합
GeoBIM 개념의 등장
11
BIM/CAD GeoSpatial
GeoBIM
• 미시적
• 설계
• 적지 선정
• 자산 관리
• 공정 관리
• 안전 관리
• 에너지 관리
• 패러메트릭(Parametric) 모델
• 거시적
• 도시 계획
• 스마트시티
• 실내외 공간 모니터링
• 소방/방재
• 에너지 관리
• 비상 계획
• 서피스(Surface) 모델
BIM과 GIS의 통합 시도
GIS
CityGML
GeospatialInformation
GISStandards
IFC
BIM
OutdoorModel
IndoorModel
BIMStandards
Construction
DrawingsInfo.
In/Outdoor
GIModel
(GeospatialInformation
Model)
12
GeoBIM의 기대 효과
13
• 건축, 토목 분야의 계획, 설계, 시공 단계에 효율적
으로 공간정보 제공
• 광역적 기간 시설 건설 시 BIM 사용 효율성 증대
• 지역적, 국가적 차원의 시설물 관리 용이
• 빠르게 변화하는 건물, 인공구조물 등을 생애주기
측면에서 추적하고 관리
• BIM 데이터를 재활용함으로써 스마트시티
등의 3차원 모델 구축 비용 및 시간 절감
• 스마트시티 등의 도시 관리 분야에서 건물
부터 지구, 시 단위까지 통합적 관리
• 각 시설물의 생애주기에 맞춘 다양한 수준의 공간
분석과 시뮬레이션
• 디지털 트윈의 기본 정보 중 하나로 활용
<Source : F. Noardo 외, 2019, EUROSDR GEOBIM PROJECT A STUDY IN EUROPE ON HOW TO USE THE POTENTIALS OF BIM AND GEO DATA IN PRACTICE>
EuroSDR(유럽 국가지도제작기구 협회)의 GeoBIM 연구
14
<Source : http://www.eurosdr.net/research/current>
<Source : https://3d.bk.tudelft.nl/projects/eurosdr-geobim/>
The spatial data research interests of European
countries are represented through the membership
in EuroSDR of national organisations from their
production and research sectors.
표준화 기구들의 GeoBIM 활동(IDBE)
15
“… to increase interoperability between the
geospatial and built environment domains,
specifically through coordination of standards
development… “
표준화 기구들의 통합을 위한 활동(IDBE)
16
<Source: https://www.ogc.org/pressroom/pressreleases/3187>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Source: https://www.pbctoday.co.uk/news/bim-news/digital-twin-4-0/64519/>
Digital Twin
A realistic digital representation of assets, processes or systems in the built or
natural environment. The complexity of that representation, and degree of
connectedness, varies depending on maturity.
디지털 트윈
18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의 연원
Concept: Digital Informational Construct
Vision: Create, Test, Build
➔ 통제된 환경(Controlled Environment)이 가능한 제조업에서 활용 시작
19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정의와 운용 개념
데이터
이벤트
시스템 분석
예측
제어/최적화
고장/예지진단
제공 서비스
디지털 트윈 운용 개념도
What-if 질문들
운용자
의사결정자
질문에 대한 답
필요 시 조치/자동화
디지털 트윈(DT)
(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 )
실 체계
(Physical Twin)
연
동
✓ 정의: 물리적 자산, 프로세스 및 시스템에 대한 디지털 복제본[Wiki 사전]
→ 대상 물체의 구성 요소 및 동작 특성을 표현하는 살아있는 디지털 시뮬레이션 모델
✓ 운용 개념: 모델(DT)의 수명주기가 실 체계와 연동되어 함께 살아 감
• 실 체계와 연동하여 학습/진화를 통하여 일관성 유지 및 동질성 유지
• 실 체계 Life cycle과 동기화 -> 설계 – 구현 – 검증 – 운용 유지보수
<Source : 김탁곤, 2019>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20
Element Defining principle Outline usage
0 Reality capture As-built survey
1 2D map/system or
3D model
Design/asset
optimisation and
coordination
2 Static data,
metadata and BIM
Stage 2
4D/5D simulation
3 Real-time data Operational
efficiency
4 Two-way data
integration and
interaction
Remote and
immersive operations
5 Autonomous
operations and
maintenance
Self-governance,
oversight and
transparency
<Source: https://theiet.org/digital-twins>
<Source: https://blog.lgcns.com/1864 >
디지털 트윈 기술의 도시관리로 확장
21
<Source: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unlocking-the-power-of-locationthe-uks-geospatial-strategy>
공간정보 분야 최근 동향
<Source: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unlocking-the-power-of-locationthe-uks-geospatial-strategy>
공간정보 분야 최근 동향
사이버물리시스템과 스마트 시티
24
사이버물리시스템과 스마트 시티
25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시티 구축 사업
<Source: 2019년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세종, 부산) 디지털트윈 마스터플랜 수립 및 시범시스템 구축용역 제안요청서, LX공사> 26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시티 구축 사업
27
<Source: https://news.v.daum.net/v/20200927103429370>
국가 차원의 디지털 트윈 구축 계획(영국)
28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Source: https://www.cdbb.cam.ac.uk/national-digital-twin-programme, and Jeremy Morley>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Source: https://digitaleia.co.uk/>
Digital EIA 목표
30
<Source: https://digitaleia.co.uk/>
현행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영국)
31
<Source: https://digitaleia.co.uk/>
현행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한국)
32
원문과 도서 중심의 영향평가 정보 제공
전문가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정보
실시간 시뮬레이션 불가
변화하는 ICT 환경 대비 미비
매체별 동적인 시각화를 통해 정보 제공
지도, 3차원, 그래픽을 중심으로 일반
시민도 이해하기 쉬운 정보 제공
웹, 모바일을 통해 이해당사자나 시민이
영향평가 전 과정을 모니터링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각종
시뮬레이션 수행하고 그 결과 표출
통합된 플랫폼을 통해 이해당사자간
소통 증진
AI, BIM, Digital Twin 등 변화하는 ICT
환경 대비 및 수용
현재 향후
영향평가 과정에 시민 참여의 어려움
이해당사자간 소통 체계 미흡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시스템
Digital EIA의 7대 구성 요소
33
<Source: https://digitaleia.co.uk/>
Digital EIA Framework
<Source: https://digitaleia.co.uk/>
Integrated Digital EIA 추진 전략
35<Source: 이병권, 2018, BIM과 스마트 환경영향평가>
감사합니다.
신상희 shshin@gaia3d.com
사사(Acknowledgement): 본 결과물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ICT기반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 지원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해당과제 번호: 2020002990005)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SANGHEE SHIN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SANGHEE SHIN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SANGHEE SHIN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SANGHEE SHIN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SANGHEE SHIN
 
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
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
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
Kyu-sung Choi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SANGHEE SHIN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SANGHEE SHIN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
SANGHEE SHIN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MinPa Lee
 
라이브드론맵 (Live Drone Map) - 실시간 드론 매핑 솔루션
라이브드론맵 (Live Drone Map) - 실시간 드론 매핑 솔루션라이브드론맵 (Live Drone Map) - 실시간 드론 매핑 솔루션
라이브드론맵 (Live Drone Map) - 실시간 드론 매핑 솔루션
Impyeong Lee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SANGHEE SHIN
 
NDC2011 - 절차적 지형과 트렌드의 추적자들
NDC2011 - 절차적 지형과 트렌드의 추적자들NDC2011 - 절차적 지형과 트렌드의 추적자들
NDC2011 - 절차적 지형과 트렌드의 추적자들Jubok Kim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SANGHEE SHIN
 
공간SQL을 이용한 공간자료분석 기초실습
공간SQL을 이용한 공간자료분석 기초실습공간SQL을 이용한 공간자료분석 기초실습
공간SQL을 이용한 공간자료분석 기초실습
BJ Jang
 
QGIS2.18_デジタイズ編
QGIS2.18_デジタイズ編QGIS2.18_デジタイズ編
QGIS2.18_デジタイズ編
Jyun Tanaka
 
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
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
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
MinPa Lee
 
QGIS 활용
QGIS 활용QGIS 활용
QGIS 활용
Sungjin Kang
 
좌충우돌 디지털트윈 구축기
좌충우돌 디지털트윈 구축기좌충우돌 디지털트윈 구축기
좌충우돌 디지털트윈 구축기
SANGHEE SHIN
 
[140315 박민근] 젠킨스를 이용한 자동빌드 시스템 구축하기(ci)
[140315 박민근] 젠킨스를 이용한 자동빌드 시스템 구축하기(ci)[140315 박민근] 젠킨스를 이용한 자동빌드 시스템 구축하기(ci)
[140315 박민근] 젠킨스를 이용한 자동빌드 시스템 구축하기(ci)MinGeun Park
 

What's hot (20)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
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
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라이브드론맵 (Live Drone Map) - 실시간 드론 매핑 솔루션
라이브드론맵 (Live Drone Map) - 실시간 드론 매핑 솔루션라이브드론맵 (Live Drone Map) - 실시간 드론 매핑 솔루션
라이브드론맵 (Live Drone Map) - 실시간 드론 매핑 솔루션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NDC2011 - 절차적 지형과 트렌드의 추적자들
NDC2011 - 절차적 지형과 트렌드의 추적자들NDC2011 - 절차적 지형과 트렌드의 추적자들
NDC2011 - 절차적 지형과 트렌드의 추적자들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공간SQL을 이용한 공간자료분석 기초실습
공간SQL을 이용한 공간자료분석 기초실습공간SQL을 이용한 공간자료분석 기초실습
공간SQL을 이용한 공간자료분석 기초실습
 
QGIS2.18_デジタイズ編
QGIS2.18_デジタイズ編QGIS2.18_デジタイズ編
QGIS2.18_デジタイズ編
 
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
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
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
 
QGIS 활용
QGIS 활용QGIS 활용
QGIS 활용
 
좌충우돌 디지털트윈 구축기
좌충우돌 디지털트윈 구축기좌충우돌 디지털트윈 구축기
좌충우돌 디지털트윈 구축기
 
[140315 박민근] 젠킨스를 이용한 자동빌드 시스템 구축하기(ci)
[140315 박민근] 젠킨스를 이용한 자동빌드 시스템 구축하기(ci)[140315 박민근] 젠킨스를 이용한 자동빌드 시스템 구축하기(ci)
[140315 박민근] 젠킨스를 이용한 자동빌드 시스템 구축하기(ci)
 

Similar to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SANGHEE SHIN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SANGHEE SHIN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bsk_02_03
bsk_02_03bsk_02_03
bsk_02_03
Tae Hwa Kim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simrc
 
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
Tae Hwa Kim
 
bsk_04_01
bsk_04_01bsk_04_01
bsk_04_01
Tae Hwa Kim
 
bsk_02_04
bsk_02_04bsk_02_04
bsk_02_04
Tae Hwa Kim
 
해양디지털트윈v02.pdf
해양디지털트윈v02.pdf해양디지털트윈v02.pdf
해양디지털트윈v02.pdf
Kwang Woo NAM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SANGHEE SHIN
 
bsk_3_3_2
bsk_3_3_2bsk_3_3_2
bsk_3_3_2
Tae Hwa Kim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SANGHEE SHIN
 
bsk_01_01
bsk_01_01bsk_01_01
bsk_01_01
Tae Hwa Kim
 
bsk_3_3_1
bsk_3_3_1bsk_3_3_1
bsk_3_3_1
Tae Hwa Kim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SANGHEE SHIN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datasciencekorea
 
bsk_03_03
bsk_03_03bsk_03_03
bsk_03_03
Tae Hwa Kim
 
bsk_04_02
bsk_04_02bsk_04_02
bsk_04_02
Tae Hwa Kim
 
캐드앤그래픽스 2022년 3월호 목차
캐드앤그래픽스 2022년 3월호 목차캐드앤그래픽스 2022년 3월호 목차
캐드앤그래픽스 2022년 3월호 목차
캐드앤그래픽스
 

Similar to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20)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계획서
 
bsk_02_03
bsk_02_03bsk_02_03
bsk_02_03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
 
bsk_04_01
bsk_04_01bsk_04_01
bsk_04_01
 
bsk_02_04
bsk_02_04bsk_02_04
bsk_02_04
 
해양디지털트윈v02.pdf
해양디지털트윈v02.pdf해양디지털트윈v02.pdf
해양디지털트윈v02.pdf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bsk_3_3_2
bsk_3_3_2bsk_3_3_2
bsk_3_3_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NEXUS_탐방 보고서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bsk_01_01
bsk_01_01bsk_01_01
bsk_01_01
 
bsk_3_3_1
bsk_3_3_1bsk_3_3_1
bsk_3_3_1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bsk_03_03
bsk_03_03bsk_03_03
bsk_03_03
 
bsk_04_02
bsk_04_02bsk_04_02
bsk_04_02
 
캐드앤그래픽스 2022년 3월호 목차
캐드앤그래픽스 2022년 3월호 목차캐드앤그래픽스 2022년 3월호 목차
캐드앤그래픽스 2022년 3월호 목차
 

More from SANGHEE SHIN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SANGHEE SHIN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SANGHEE SHIN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SANGHEE SHIN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SANGHEE SHIN
 
책 "제품의 탄생" 소개
책 "제품의 탄생" 소개책 "제품의 탄생" 소개
책 "제품의 탄생" 소개
SANGHEE SHIN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SANGHEE SHIN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SANGHEE SHIN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ANGHEE SHIN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SANGHEE SHIN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SANGHEE SHIN
 
납세자인 나는 국토위성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 - 2021년 3월 17일 국회 세미나
납세자인 나는 국토위성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 - 2021년 3월 17일 국회 세미나 납세자인 나는 국토위성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 - 2021년 3월 17일 국회 세미나
납세자인 나는 국토위성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 - 2021년 3월 17일 국회 세미나
SANGHEE SHIN
 
Smart City and Digital Twin
Smart City and Digital TwinSmart City and Digital Twin
Smart City and Digital Twin
SANGHEE SHIN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ANGHEE SHIN
 
A Bumpy Road to Digital Twin
A Bumpy Road to Digital TwinA Bumpy Road to Digital Twin
A Bumpy Road to Digital Twin
SANGHEE SHIN
 

More from SANGHEE SHIN (14)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책 "제품의 탄생" 소개
책 "제품의 탄생" 소개책 "제품의 탄생" 소개
책 "제품의 탄생" 소개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납세자인 나는 국토위성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 - 2021년 3월 17일 국회 세미나
납세자인 나는 국토위성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 - 2021년 3월 17일 국회 세미나 납세자인 나는 국토위성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 - 2021년 3월 17일 국회 세미나
납세자인 나는 국토위성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 - 2021년 3월 17일 국회 세미나
 
Smart City and Digital Twin
Smart City and Digital TwinSmart City and Digital Twin
Smart City and Digital Twin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A Bumpy Road to Digital Twin
A Bumpy Road to Digital TwinA Bumpy Road to Digital Twin
A Bumpy Road to Digital Twin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 1.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신상희(shshin@gaia3d.com), 김학준, 배병철, 천정대, 손성도 가이아쓰리디㈜ 2020년 10월 29일 <2020년 추계 학술대회>
  • 2.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a digital representation of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facility.
  • 3. BIM의 여러 정의 3 Building Information Mode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3차원 객체와 그 객체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정보 집합체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참여자들 간 협업하고 BIM을 공유하는 행위화 프로세스를 의미 설계, 시공, 유지관리단계 등 생애주기에 걸쳐 객체와 정보를 생성하고 정보를 추가하며 공유하는 행위와 프로세스 그리고 이 과정을 관리하는 것 <Source : 진상윤, 2020, 스토리텔링 BIM> 3차원 객체와 그 객체를 관련하여 생애주기 동안 창조되고 관리되는 여러 가지 정보의 집합체를 의미
  • 4. BIM 관련 동향(국내) 4<Source : 홍창희, 2020, 국가BIM센터 역할과 미래방향>
  • 5. BIM 관련 동향(해외) 5 미국 미국각주별교통부에서BIM 의무화 캐나다 CanadaBIMCouncil등에서 준비 칠레 2020년까지 공공사업을 위한 BIM요구사항 달성 브라질 해외BIM전문가에게 BIM 로드맵의뢰 영국 2016년부터 모든공공 공사에서 BIMLevel2만족 스칸디나비아 국가 건축BIM초기에정착 스웨덴교통부BIM전략발표 독일 2020년 말까지모든교통인프라 프로젝트 BIM의무화 일본 토목분야 CIM도입지침발간 (2017.3) 호주 시드니메트로등에BIM의무화 뉴질랜드 BIM활성화위원회에서 뉴질랜드 BIM핸드북출간 중국 및 홍콩 2013년이후 홍콩은지하철, 도로프로젝트에 BIM요구 말레이시아 건설산업개발위원회가 BIM센터 설치후지원 UAE 두바이메트로등에BIM 의무화 카타르 도하메트로와 루사일시티 등에BIM의무화 싱가포르 2014년부터 인프라공사BIM 의무적용 구분 분석 내용 관련 국가 동향 활성화 방안 • 국가 차원의 BIM 의무화 • 단계별 BIM 의무화 전략 • BIM 적용 우수사례 및 BIM 성과평가 등에 대한 자료 발간 • BIM 펀드 등의 지원금(싱가포르) 및 정기 행사 • 영국, 미국, 싱가포르 등 BIM 활용 의무화 • 프로젝트 규모와 분류에따라 BIM 도입 순위 선정 주요 단체 • 국토/교통부 산하 위원회 및 기관 • BIM Task Group • 국가별 buildingSmart 및 BIM 협회 • 건설산업 협회 • buildingSMART International • 미국, 싱가포르 등 국토/교통부 관련 정부부처주도 • 영국, 독일 등은 BIM Task Group에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 • 국제 공통 선형 모델, 분야별 표준 모델 개발 추진 관련 문서 및 지침 • 1단계 : 건설 생산성 관련 보고서 및 BIM 적용 사례집 발간 • 2단계 : 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발주자 요구사항 도입 • 3단계 : 국가 차원의 BIM 핸드북 또는 가이드라인 확정 • 영국과 싱가포르가 가장 우수 • 카타르, UAE 등은 BIM 프로젝트 발주 (영국 Level 2 수준 요구) 일본 건설업연합회 시공 CIM 사례집 호주 공공 인프라 생산성 보고서 싱가포르 BIM 가이드라인과 지침 <Source : 홍창희, 2020, 국가BIM센터 역할과 미래방향>
  • 6. BIM의 환경 관련 활용 – 실시설계단계 BIM 활용 기준(조달청, 2019) 6 활용 기준 활용 수준 디자인 검토 투시도 및 조감도 활용 ∙ 건물 외관 디자인 검토 ∙ 건물 주요 내부 디자인 검토 동영상 제작 설계안 검토 BIM 설계도면 산출 BIM 실시설계도면 산출 ∙ 정확한 실시설계도면 산출 수량 기초 데이터 산출 수량 기초 데이터 산출 ∙ 견적을 위한 수량 기초 데이터 산 출 환경 시뮬레이션 (선택 사항) 에너지 검토 동적 에너지 분석 ∙ 주요 건물에 대한 동적 에너지 시 뮬레이션 정밀 에너지 소요량 검토 ∙ 한국에너지공단이 배포한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한 에너지 소요량 산출 빛환경 검토 일조시간 검토 ∙ 일조권 만족 여부 검토 일영 검토 ∙ 연간 외부공간 일영분포 검토 최대앙각 검토(녹색 인증) ∙ 인증기준에 따른 성능 검토 주광률 및 균제도 검토(녹색 인증) ∙ 인증기준에 따른 성능 검토
  • 7. BIM의 환경 관련 활용 – BIM 적용 목적 예시 7 설계 단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활용 수준 필수 가급적 보통 간혹 안함 계획/ 중간/ 실시 설계 디자인 검토 시간 검토 투시도 및 조감도 활용 ○ 설계 검토 설계안 검토 ○ 설계 품질 확보 공간설계 품질 확보 면적 조건 검토 ○ 공간요구조건 검토 ○ 장애자 설계조건 검토 ○ 피난 설계조건 검토 ○ 방재 설계조건 검토 ○ 설계도면 설계도면 설계도면 산출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 검토 환경 시뮬레이션 방재 피난 빛 일조 분석 조명 분석 음향 음향 분석 온도 온도 분석 공기 CFD 쾌적성 온도 습도 바람 중간/ 실시 설계 설계품질 확보 수량산출 품질확보 물리적 품질 확보 ○ 데이터 품질 확보 ○ 수량 데이터 개략 물량 수량 기초데이터 산출 ○ 실시 설계 설계 품질 확보 설계 품질 확보 간섭 검토 ○ 구조부재 간의 지지 검토 ○ 품질 검증 품질검증 수행 ○ <Source : 진상윤, 2020, 스토리텔링 BIM>
  • 8. 환경영향평가에서 BIM 활용 연구 8<Source : 유재진, 이상윤,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드론과 BIM의 적용 가능성 검토 기초 연구> 연도 한국환경영향평가 학회 한국환경복원기술 학회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전체 드론 관련 BIM 관련 전체 드론 관련 BIM 관련 전체 드론 관련 BIM 관련 전체 드론 관련 BIM 관련 2015 45 0 0 58 0 0 70 0 0 903 0 0 2016 37 0 0 49 0 0 75 0 0 698 1 0 2017 44 0 0 43 0 0 97 0 0 653 3 0 2018 53 1 0 47 0 0 75 0 0 751 4 0 2019 17 0 0 33 2 0 25 0 0 406 2 0 계 196 1 0 230 2 0 342 0 0 3,411 10 0
  • 9. BIM LOD(Level of Development) 9<Source : BIM Forum, 진상윤> LOD Level 설명 및 예시 LOD100 개념 스케치 수준 형상이 아니라 심볼로만 나타내는 수준 LOD200 위치와 형태, 사이즈 정도의 정보만 표현 기본 계획 수준 LOD300 재료나 구조, 시스템 등이 결정되었지만 그 구체적인 타 부재와 인터페이스 등은 나타내지 않음 기본 설계 수준 LOD350 재료, 구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이 표현되며 타 부재와의 인터페이스도 표현 실시 설계 100% 수준 LOD400 1:1 수준의 디지털 목업 혹은 샵드로잉에 해당하는 수준 LOD500 준공 모델(As-Built Model)
  • 10. BIM 분야 특성 10 BIM 분야 특성 1. 특별한 SW가 필요 - CAD/BIM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가시화하기가 어려움 2. 독점적이고 폐쇄적인 기술 3. 건축물 중시으로 주변 환경적 맥락과 약한 결합
  • 11. GeoBIM 개념의 등장 11 BIM/CAD GeoSpatial GeoBIM • 미시적 • 설계 • 적지 선정 • 자산 관리 • 공정 관리 • 안전 관리 • 에너지 관리 • 패러메트릭(Parametric) 모델 • 거시적 • 도시 계획 • 스마트시티 • 실내외 공간 모니터링 • 소방/방재 • 에너지 관리 • 비상 계획 • 서피스(Surface) 모델
  • 12. BIM과 GIS의 통합 시도 GIS CityGML GeospatialInformation GISStandards IFC BIM OutdoorModel IndoorModel BIMStandards Construction DrawingsInfo. In/Outdoor GIModel (GeospatialInformation Model) 12
  • 13. GeoBIM의 기대 효과 13 • 건축, 토목 분야의 계획, 설계, 시공 단계에 효율적 으로 공간정보 제공 • 광역적 기간 시설 건설 시 BIM 사용 효율성 증대 • 지역적, 국가적 차원의 시설물 관리 용이 • 빠르게 변화하는 건물, 인공구조물 등을 생애주기 측면에서 추적하고 관리 • BIM 데이터를 재활용함으로써 스마트시티 등의 3차원 모델 구축 비용 및 시간 절감 • 스마트시티 등의 도시 관리 분야에서 건물 부터 지구, 시 단위까지 통합적 관리 • 각 시설물의 생애주기에 맞춘 다양한 수준의 공간 분석과 시뮬레이션 • 디지털 트윈의 기본 정보 중 하나로 활용 <Source : F. Noardo 외, 2019, EUROSDR GEOBIM PROJECT A STUDY IN EUROPE ON HOW TO USE THE POTENTIALS OF BIM AND GEO DATA IN PRACTICE>
  • 14. EuroSDR(유럽 국가지도제작기구 협회)의 GeoBIM 연구 14 <Source : http://www.eurosdr.net/research/current> <Source : https://3d.bk.tudelft.nl/projects/eurosdr-geobim/> The spatial data research interests of European countries are represented through the membership in EuroSDR of national organisations from their production and research sectors.
  • 15. 표준화 기구들의 GeoBIM 활동(IDBE) 15 “… to increase interoperability between the geospatial and built environment domains, specifically through coordination of standards development… “
  • 16. 표준화 기구들의 통합을 위한 활동(IDBE) 16 <Source: https://www.ogc.org/pressroom/pressreleases/3187>
  • 17.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Source: https://www.pbctoday.co.uk/news/bim-news/digital-twin-4-0/64519/> Digital Twin A realistic digital representation of assets, processes or systems in the built or natural environment. The complexity of that representation, and degree of connectedness, varies depending on maturity. 디지털 트윈
  • 18. 18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의 연원 Concept: Digital Informational Construct Vision: Create, Test, Build ➔ 통제된 환경(Controlled Environment)이 가능한 제조업에서 활용 시작
  • 19. 19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정의와 운용 개념 데이터 이벤트 시스템 분석 예측 제어/최적화 고장/예지진단 제공 서비스 디지털 트윈 운용 개념도 What-if 질문들 운용자 의사결정자 질문에 대한 답 필요 시 조치/자동화 디지털 트윈(DT) (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 ) 실 체계 (Physical Twin) 연 동 ✓ 정의: 물리적 자산, 프로세스 및 시스템에 대한 디지털 복제본[Wiki 사전] → 대상 물체의 구성 요소 및 동작 특성을 표현하는 살아있는 디지털 시뮬레이션 모델 ✓ 운용 개념: 모델(DT)의 수명주기가 실 체계와 연동되어 함께 살아 감 • 실 체계와 연동하여 학습/진화를 통하여 일관성 유지 및 동질성 유지 • 실 체계 Life cycle과 동기화 -> 설계 – 구현 – 검증 – 운용 유지보수 <Source : 김탁곤, 2019>
  • 20.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20 Element Defining principle Outline usage 0 Reality capture As-built survey 1 2D map/system or 3D model Design/asset optimisation and coordination 2 Static data, metadata and BIM Stage 2 4D/5D simulation 3 Real-time data Operational efficiency 4 Two-way data integration and interaction Remote and immersive operations 5 Autonomous operations and maintenance Self-governance, oversight and transparency <Source: https://theiet.org/digital-twins> <Source: https://blog.lgcns.com/1864 >
  • 21. 디지털 트윈 기술의 도시관리로 확장 21
  • 26.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시티 구축 사업 <Source: 2019년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세종, 부산) 디지털트윈 마스터플랜 수립 및 시범시스템 구축용역 제안요청서, LX공사> 26
  • 27.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시티 구축 사업 27 <Source: https://news.v.daum.net/v/20200927103429370>
  • 28. 국가 차원의 디지털 트윈 구축 계획(영국) 28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Source: https://www.cdbb.cam.ac.uk/national-digital-twin-programme, and Jeremy Morley>
  • 29.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Source: https://digitaleia.co.uk/>
  • 30. Digital EIA 목표 30 <Source: https://digitaleia.co.uk/>
  • 32. 현행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한국) 32 원문과 도서 중심의 영향평가 정보 제공 전문가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정보 실시간 시뮬레이션 불가 변화하는 ICT 환경 대비 미비 매체별 동적인 시각화를 통해 정보 제공 지도, 3차원, 그래픽을 중심으로 일반 시민도 이해하기 쉬운 정보 제공 웹, 모바일을 통해 이해당사자나 시민이 영향평가 전 과정을 모니터링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각종 시뮬레이션 수행하고 그 결과 표출 통합된 플랫폼을 통해 이해당사자간 소통 증진 AI, BIM, Digital Twin 등 변화하는 ICT 환경 대비 및 수용 현재 향후 영향평가 과정에 시민 참여의 어려움 이해당사자간 소통 체계 미흡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시스템
  • 33. Digital EIA의 7대 구성 요소 33 <Source: https://digitaleia.co.uk/>
  • 34. Digital EIA Framework <Source: https://digitaleia.co.uk/>
  • 35. Integrated Digital EIA 추진 전략 35<Source: 이병권, 2018, BIM과 스마트 환경영향평가>
  • 36. 감사합니다. 신상희 shshin@gaia3d.com 사사(Acknowledgement): 본 결과물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ICT기반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 지원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해당과제 번호: 202000299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