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l 활용대상은 핵심성과별로 계량화된 목표를 설정하여 관리 필요
1. 건축물 BIM정보
통합을 위한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1. 건축물 BIM정보
통합을 위한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2. BIM 공통원형
라이브러리 및
기술콘텐츠
유통체계 구축
2. BIM 공통원형
라이브러리 및
기술콘텐츠
유통체계 구축
3. 차세대 설계기술
구현을 위한
지식정보체계구축
3. 차세대 설계기술
구현을 위한
지식정보체계구축
4. BIM 적용을 위한
제도·정책 연구
4. BIM 적용을 위한
제도·정책 연구
BIM 정보표준 프레임워크BIM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정보분류체계 및 표준규격정보분류체계 및 표준규격
보급관리 시스템보급관리 시스템
공통원형 BIM 라이브러리공통원형 BIM 라이브러리
공통 기술콘텐츠DB공통 기술콘텐츠DB
유통보급 시스템유통보급 시스템
지식정보화 수준평가 시스템지식정보화 수준평가 시스템
설계지식 DB 및 활용시스템설계지식 DB 및 활용시스템
지식-GIS 연계기술지식-GIS 연계기술
법제도 및 중장기 정책법제도 및 중장기 정책
실무가이드 및 기술실무가이드 및 기술
기반조성 및 인력양성 자료기반조성 및 인력양성 자료
과제과제 핵심 성과핵심 성과
9개 부문 43개 모듈후보 검증에 의한 확정, 표준분류체계 템플릿, KS규격안9개 부문 43개 모듈후보 검증에 의한 확정, 표준분류체계 템플릿, KS규격안
43개 모듈후보 대상으로 법규, 수량 등 8개 시나리오 충족분류체계, 국토부 고시안43개 모듈후보 대상으로 법규, 수량 등 8개 시나리오 충족분류체계, 국토부 고시안
세움터를 통한 웹포털, 표준규격 Repository, 단순검색, 매핑검색, 시나리오 검색기능세움터를 통한 웹포털, 표준규격 Repository, 단순검색, 매핑검색, 시나리오 검색기능
건축 2,000, 구조 300, 전기 500, 설비 300, 기타 100종. 구조 전기 설비는 관련단체 협력제공건축 2,000, 구조 300, 전기 500, 설비 300, 기타 100종. 구조 전기 설비는 관련단체 협력제공
기술정보 2,500건, 표준상세 400건, 합성단가정보 650건기술정보 2,500건, 표준상세 400건, 합성단가정보 650건
세움터를 통한 웹포털 연결. DB검색. 상용SW라이브러리 drag-drop 사용편의 기능세움터를 통한 웹포털 연결. DB검색. 상용SW라이브러리 drag-drop 사용편의 기능
지식정보화 수준 지표, 평가시스템, 수준별 중소형 설계사 BIM도입 안내 가이드지식정보화 수준 지표, 평가시스템, 수준별 중소형 설계사 BIM도입 안내 가이드
설계사례 1,000건, BIM설계지식DB, BIM설계지식 DB 검색관리 시스템설계사례 1,000건, BIM설계지식DB, BIM설계지식 DB 검색관리 시스템
세움터, 브이월드 Open API 기반의 웹연동 프로그램세움터, 브이월드 Open API 기반의 웹연동 프로그램
중장기로드맵, 법규정 제개정(안), 중소기업 정책, 세움터 BIM도입 전략계획서중장기로드맵, 법규정 제개정(안), 중소기업 정책, 세움터 BIM도입 전략계획서
발주관리평가 가이드, IPD 가이드, BIM 실무통합 가이드. 기술개발 중장기 전략, 2단계 기획서발주관리평가 가이드, IPD 가이드, BIM 실무통합 가이드. 기술개발 중장기 전략, 2단계 기획서
BIM성숙도 측정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및 온오프라인 시스템, 저작권 및 업무가치 산정기준BIM성숙도 측정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및 온오프라인 시스템, 저작권 및 업무가치 산정기준
최종 성과 목표최종 성과 목표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활용 대상 (최종 성과목표)
l 올바른 활용을 위하여 성과종류별 수요자 구분 필요
l 각 성과의 수요용도에 맞는 활용방안을 제시함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1. 건축물 BIM정보
통합을 위한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1. 건축물 BIM정보
통합을 위한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2. BIM 공통원형
라이브러리 및
기술콘텐츠
유통체계 구축
2. BIM 공통원형
라이브러리 및
기술콘텐츠
유통체계 구축
3. 차세대 설계기술
구현을 위한
지식정보체계구축
3. 차세대 설계기술
구현을 위한
지식정보체계구축
4. BIM 적용을 위한
제도·정책 연구
4. BIM 적용을 위한
제도·정책 연구
BIM 정보표준 프레임워크BIM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정보분류체계 및 표준규격정보분류체계 및 표준규격
보급관리 시스템보급관리 시스템
공통원형 BIM 라이브러리공통원형 BIM 라이브러리
공통 기술콘텐츠DB공통 기술콘텐츠DB
유통보급 시스템유통보급 시스템
지식정보화 수준평가 시스템지식정보화 수준평가 시스템
설계지식 DB 및 활용시스템설계지식 DB 및 활용시스템
지식-GIS 연계기술지식-GIS 연계기술
법제도 및 중장기 정책법제도 및 중장기 정책
실무가이드 및 기술실무가이드 및 기술
기반조성 및 인력양성 자료기반조성 및 인력양성 자료
과제과제 핵심 성과핵심 성과
R&D, 공공기관R&D, 공공기관
R&D,SW업계,공공기관R&D,SW업계,공공기관
설계사,연구기관,기타설계사,연구기관,기타
설계사, R&D, SW사설계사, R&D, SW사
설계사, R&D설계사, R&D
설계사, 자재업체설계사, 자재업체
설계사, R&D설계사, R&D
설계사설계사
설계사설계사
전문단체, 정부, R&D전문단체, 정부, R&D
설계사, 발주자, R&D설계사, 발주자, R&D
설계사, 발주자, 정부설계사, 발주자, 정부
주요 수요자주요 수요자
각종 R&D표준골격으로 활용, KS 등 국가표준 수립 국제표준 참여활용각종 R&D표준골격으로 활용, KS 등 국가표준 수립 국제표준 참여활용
R&D기관, 상용SW업계에 보급 및 활용유도, 세움터 및 발주자 채택활용R&D기관, 상용SW업계에 보급 및 활용유도, 세움터 및 발주자 채택활용
세움터 통한 포털 공개, 모든 사람에게 개방적으로 검색활용 유도세움터 통한 포털 공개, 모든 사람에게 개방적으로 검색활용 유도
8개용도 동시충족하도록 BIM설계 활용. 세움터 및 조달청 BIM제출 활용8개용도 동시충족하도록 BIM설계 활용. 세움터 및 조달청 BIM제출 활용
BIM설계도중 기술정보 검색활용, 기존 표준상세 대체, 개산견적 활용BIM설계도중 기술정보 검색활용, 기존 표준상세 대체, 개산견적 활용
세움터를 통한 포털공개 검색활용, 장기적 민간참여에 의한 자생적 활용세움터를 통한 포털공개 검색활용, 장기적 민간참여에 의한 자생적 활용
BIM도입 이전단계의 환경평가 및 BIM도입 안내에 포털접속 활용BIM도입 이전단계의 환경평가 및 BIM도입 안내에 포털접속 활용
BIM설계과정에서 적용목표 설정 및 유사사례 참고로 포털접속 활용BIM설계과정에서 적용목표 설정 및 유사사례 참고로 포털접속 활용
BIM 설계과정에서 브이월드 등 GIS기능을 통한 대지상황 파악에 활용BIM 설계과정에서 브이월드 등 GIS기능을 통한 대지상황 파악에 활용
법제도 정책안의 대정부 건의. 각종 R&D에 설계사 입장 반영에 활용법제도 정책안의 대정부 건의. 각종 R&D에 설계사 입장 반영에 활용
발주자 지침개발시 모듈선택활용, IPD도입에 보급, R&D공통지침 활용발주자 지침개발시 모듈선택활용, IPD도입에 보급, R&D공통지침 활용
BIM설계용역대가 실비정액 근거 활용, BIM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활용BIM설계용역대가 실비정액 근거 활용, BIM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활용
활용 방안활용 방안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활용방안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l 세움터 접속을 통한 포털에 의하여 성과를 통합적으로 보급
l 국가 공공자산으로서 누구나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보급관리
실용화 보급방안
세움터세움터
BIM정보표준 프레임워크BIM정보표준 프레임워크
BIM공통원형 라이브러리BIM공통원형 라이브러리
기술정보 DB기술정보 DB
지식수준 평가지식수준 평가
BIM설계지식 DBBIM설계지식 DB
지식-GIS 연계지식-GIS 연계
BIM 제도정책BIM 제도정책
표준상세 DB표준상세 DB
운영관리운영관리
DB검색DB검색
단가 DB단가 DB
BIM 기술콘텐츠BIM 기술콘텐츠
라이브러리 검색라이브러리 검색
브라우저브라우저
BIM 지식정보체계BIM 지식정보체계
제도정책 자료제도정책 자료
BIM 교육BIM 교육
BIM 성숙도측정BIM 성숙도측정
BIM 표준-인프라 포털 구축BIM 표준-인프라 포털 구축
1세부1세부
2세부2세부
3세부3세부
4세부4세부
포털서버포털서버
세움터를 이용한 접근세움터를 이용한 접근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사유화 대상이 될 수 없음. 이후 민간의 개별적 응용 상품은 시장원리에 맞김
l 중소규모 위주의 약 20개 설계사 대상 테스트 수행
l 계량적 지표 설정에 의한 성공여부 검증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개발팀개발팀
테스트베드 준비테스트베드 준비
시험팀시험팀
테스트베드 TF구성 (과제별 2인 총 8명)테스트베드 TF구성 (과제별 2인 총 8명)
지원사 모집 BIM 기도입, 미도입 각 10지원사 모집 BIM 기도입, 미도입 각 10
대상선정대상선정 근린생활 및 소형오피스 (10층이내)근린생활 및 소형오피스 (10층이내)
시기시기 2차년도 중간단계부터 1년간2차년도 중간단계부터 1년간
테스트베드 시행테스트베드 시행
테스트베드 교육부터테스트베드 교육부터
도입안내부터도입안내부터
지식수준 평가지식수준 평가
테스트베드교육테스트베드교육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BIM도입안내BIM도입안내
포털접속포털접속
사용준비사용준비
지식검색지식검색
모델링모델링
통합 가이드활용통합 가이드활용
BIM교육BIM교육
템플릿 다운로드템플릿 다운로드
프로그램 다운로드프로그램 다운로드사용사용
품질품질
인허가 도면인허가 도면
에너지에너지
수량수량
내역내역
조달청 기준조달청 기준
인허가 법규인허가 법규
구조 계산서구조 계산서
테스트베드 성공요건테스트베드 성공요건
근생, 소형오피스 라이브러리 수요 70% 충족 확인근생, 소형오피스 라이브러리 수요 70% 충족 확인
단일 BIM모델로 8개 시나리오 동시 충족확인단일 BIM모델로 8개 시나리오 동시 충족확인
BIM 미도입사의 성공적 도입확인BIM 미도입사의 성공적 도입확인
개산견적 대상(구조건축) 물량비용 90% 정확도 달성개산견적 대상(구조건축) 물량비용 90% 정확도 달성
기타 계량적 체크리스트 설정에 의한 테스트 실시기타 계량적 체크리스트 설정에 의한 테스트 실시
BIM 미도입사BIM 미도입사
BIM 도입사BIM 도입사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실용화 테스트베드
l 세움터는 5년 이상 BIM 요소기술 연구개발을 진행중이며 이미 상당기술 축적
l 핵심연계사안 : 세움터와 민간기준의 일관성, 라이브러리에 세움터 요구속성 탑재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세움터 BIM 개발 현황 (2013.1 4차 보고)세움터 BIM 개발 현황 (2013.1 4차 보고)
세움터 시설정보 분류체계세움터 시설정보 분류체계
세움터 공간정보 분류체계세움터 공간정보 분류체계
기준기준 BIM속성입력기준BIM속성입력기준
정보표준정보표준
세움터 BIM가이드라인세움터 BIM가이드라인
도구도구
BIM 제출 및 검토 도구BIM 제출 및 검토 도구
BIM 뷰어 및 조회 프로그램BIM 뷰어 및 조회 프로그램
ArchiBIM 시리즈
프로그램 등록
본 제안 연계방안본 제안 연계방안
표준분류체계 포함
사례 지식DB 연계
표준분류체계 포함
사례 지식DB 연계
표준분류체계 포함. 마감, 내역 등 동시활용표준분류체계 포함. 마감, 내역 등 동시활용
BIM속성분류체계
BIM속성입력기준
BIM속성분류체계
BIM속성입력기준
모듈화 통합가이드라인으로 타 지침 혼선방지모듈화 통합가이드라인으로 타 지침 혼선방지
BIM 제출 및 검토 도구BIM 제출 및 검토 도구
BIM 뷰어 및 조회 프로그램BIM 뷰어 및 조회 프로그램
해당 주제해당 주제
1-2 표준분류체계
3-2 지식DB
1-2 표준분류체계
3-2 지식DB
1-2 표준분류체계1-2 표준분류체계
1-2 표준분류체계
4-2 통합가이드라인
1-2 표준분류체계
4-2 통합가이드라인
4-2 통합가이드라인4-2 통합가이드라인
1과제1과제
1과제1과제
BIM 라이브러리에 속성탑재 보급BIM 라이브러리에 속성탑재 보급
세움터 BIM적용 단계 제시세움터 BIM적용 단계 제시
2-1 BIM 라이브러리2-1 BIM 라이브러리
4-1 제도정책4-1 제도정책
과제 성과 보급과제 성과 보급 테스트베드테스트베드
출처 : 2012 U세움터(지능형 건축행정) 4차 완료보고서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세움터 실용화 연계방안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7)

bsk_01_01
bsk_01_01bsk_01_01
bsk_01_01
 
bsk_03_01
bsk_03_01bsk_03_01
bsk_03_01
 
bsk_04_02
bsk_04_02bsk_04_02
bsk_04_02
 
bsk_3_3_2
bsk_3_3_2bsk_3_3_2
bsk_3_3_2
 
Generic NPD and related processes
Generic NPD and related processesGeneric NPD and related processes
Generic NPD and related processes
 
bsk_3_4_1
bsk_3_4_1bsk_3_4_1
bsk_3_4_1
 
bsk_3_4_3
bsk_3_4_3bsk_3_4_3
bsk_3_4_3
 

Similar to bsk_04_01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SANGHEE SHIN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SANGHEE SHIN
 

Similar to bsk_04_01 (20)

bsk_02_01
bsk_02_01bsk_02_01
bsk_02_01
 
bsk_03_03
bsk_03_03bsk_03_03
bsk_03_03
 
bsk_3_1_2
bsk_3_1_2bsk_3_1_2
bsk_3_1_2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Tableau Quick start introduction
Tableau Quick start introductionTableau Quick start introduction
Tableau Quick start introduction
 
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
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
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
 
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솔루션 사이센스 퀵스타트 프로그램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솔루션 사이센스 퀵스타트 프로그램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솔루션 사이센스 퀵스타트 프로그램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솔루션 사이센스 퀵스타트 프로그램
 
bsk_3_1_1
bsk_3_1_1bsk_3_1_1
bsk_3_1_1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_차세대_보안핵심_신기술의_최적_적용_및_활용방안(배포)-d_han_kim-2014-2-20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_차세대_보안핵심_신기술의_최적_적용_및_활용방안(배포)-d_han_kim-2014-2-20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_차세대_보안핵심_신기술의_최적_적용_및_활용방안(배포)-d_han_kim-2014-2-20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_차세대_보안핵심_신기술의_최적_적용_및_활용방안(배포)-d_han_kim-2014-2-20
 
QlikView ppt
QlikView pptQlikView ppt
QlikView ppt
 
BIM 관련 지침 및 병원 건축 RFP 검토
BIM 관련 지침 및 병원 건축 RFP 검토BIM 관련 지침 및 병원 건축 RFP 검토
BIM 관련 지침 및 병원 건축 RFP 검토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도입과 AI 적용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도입과 AI 적용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도입과 AI 적용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도입과 AI 적용
 
Tableau : Leader of Agile BI
Tableau : Leader of Agile BITableau : Leader of Agile BI
Tableau : Leader of Agile BI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성공적인 AWS클라우드로의 여정 그리고 5가지 궁금한 점 :: 김재성 :: AWS Summit Seoul 2016
성공적인 AWS클라우드로의 여정 그리고 5가지 궁금한 점 :: 김재성 :: AWS Summit Seoul 2016성공적인 AWS클라우드로의 여정 그리고 5가지 궁금한 점 :: 김재성 :: AWS Summit Seoul 2016
성공적인 AWS클라우드로의 여정 그리고 5가지 궁금한 점 :: 김재성 :: AWS Summit Seoul 2016
 
스마트 제조: AWS를 활용한 제조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실현 방법 및 사례 – 석진호 AWS 제조업 사업개발 담당, 최계현 현대건설기...
스마트 제조: AWS를 활용한 제조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실현 방법 및 사례 – 석진호 AWS 제조업 사업개발 담당, 최계현 현대건설기...스마트 제조: AWS를 활용한 제조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실현 방법 및 사례 – 석진호 AWS 제조업 사업개발 담당, 최계현 현대건설기...
스마트 제조: AWS를 활용한 제조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실현 방법 및 사례 – 석진호 AWS 제조업 사업개발 담당, 최계현 현대건설기...
 
Requirement Management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Requirement Management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Requirement Management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Requirement Management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More from Tae Hwa Kim (8)

bsk_조직도
bsk_조직도bsk_조직도
bsk_조직도
 
bsk_연구팀소개
bsk_연구팀소개bsk_연구팀소개
bsk_연구팀소개
 
bsk_3_2_3
bsk_3_2_3bsk_3_2_3
bsk_3_2_3
 
bsk_3_2_2
bsk_3_2_2bsk_3_2_2
bsk_3_2_2
 
bsk_3_2_1
bsk_3_2_1bsk_3_2_1
bsk_3_2_1
 
bsk_3_1_3
bsk_3_1_3bsk_3_1_3
bsk_3_1_3
 
bsk_03_04
bsk_03_04bsk_03_04
bsk_03_04
 
bsk_02_02
bsk_02_02bsk_02_02
bsk_02_02
 

bsk_04_01

  • 1.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l 활용대상은 핵심성과별로 계량화된 목표를 설정하여 관리 필요 1. 건축물 BIM정보 통합을 위한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1. 건축물 BIM정보 통합을 위한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2. BIM 공통원형 라이브러리 및 기술콘텐츠 유통체계 구축 2. BIM 공통원형 라이브러리 및 기술콘텐츠 유통체계 구축 3. 차세대 설계기술 구현을 위한 지식정보체계구축 3. 차세대 설계기술 구현을 위한 지식정보체계구축 4. BIM 적용을 위한 제도·정책 연구 4. BIM 적용을 위한 제도·정책 연구 BIM 정보표준 프레임워크BIM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정보분류체계 및 표준규격정보분류체계 및 표준규격 보급관리 시스템보급관리 시스템 공통원형 BIM 라이브러리공통원형 BIM 라이브러리 공통 기술콘텐츠DB공통 기술콘텐츠DB 유통보급 시스템유통보급 시스템 지식정보화 수준평가 시스템지식정보화 수준평가 시스템 설계지식 DB 및 활용시스템설계지식 DB 및 활용시스템 지식-GIS 연계기술지식-GIS 연계기술 법제도 및 중장기 정책법제도 및 중장기 정책 실무가이드 및 기술실무가이드 및 기술 기반조성 및 인력양성 자료기반조성 및 인력양성 자료 과제과제 핵심 성과핵심 성과 9개 부문 43개 모듈후보 검증에 의한 확정, 표준분류체계 템플릿, KS규격안9개 부문 43개 모듈후보 검증에 의한 확정, 표준분류체계 템플릿, KS규격안 43개 모듈후보 대상으로 법규, 수량 등 8개 시나리오 충족분류체계, 국토부 고시안43개 모듈후보 대상으로 법규, 수량 등 8개 시나리오 충족분류체계, 국토부 고시안 세움터를 통한 웹포털, 표준규격 Repository, 단순검색, 매핑검색, 시나리오 검색기능세움터를 통한 웹포털, 표준규격 Repository, 단순검색, 매핑검색, 시나리오 검색기능 건축 2,000, 구조 300, 전기 500, 설비 300, 기타 100종. 구조 전기 설비는 관련단체 협력제공건축 2,000, 구조 300, 전기 500, 설비 300, 기타 100종. 구조 전기 설비는 관련단체 협력제공 기술정보 2,500건, 표준상세 400건, 합성단가정보 650건기술정보 2,500건, 표준상세 400건, 합성단가정보 650건 세움터를 통한 웹포털 연결. DB검색. 상용SW라이브러리 drag-drop 사용편의 기능세움터를 통한 웹포털 연결. DB검색. 상용SW라이브러리 drag-drop 사용편의 기능 지식정보화 수준 지표, 평가시스템, 수준별 중소형 설계사 BIM도입 안내 가이드지식정보화 수준 지표, 평가시스템, 수준별 중소형 설계사 BIM도입 안내 가이드 설계사례 1,000건, BIM설계지식DB, BIM설계지식 DB 검색관리 시스템설계사례 1,000건, BIM설계지식DB, BIM설계지식 DB 검색관리 시스템 세움터, 브이월드 Open API 기반의 웹연동 프로그램세움터, 브이월드 Open API 기반의 웹연동 프로그램 중장기로드맵, 법규정 제개정(안), 중소기업 정책, 세움터 BIM도입 전략계획서중장기로드맵, 법규정 제개정(안), 중소기업 정책, 세움터 BIM도입 전략계획서 발주관리평가 가이드, IPD 가이드, BIM 실무통합 가이드. 기술개발 중장기 전략, 2단계 기획서발주관리평가 가이드, IPD 가이드, BIM 실무통합 가이드. 기술개발 중장기 전략, 2단계 기획서 BIM성숙도 측정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및 온오프라인 시스템, 저작권 및 업무가치 산정기준BIM성숙도 측정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및 온오프라인 시스템, 저작권 및 업무가치 산정기준 최종 성과 목표최종 성과 목표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활용 대상 (최종 성과목표)
  • 2. l 올바른 활용을 위하여 성과종류별 수요자 구분 필요 l 각 성과의 수요용도에 맞는 활용방안을 제시함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1. 건축물 BIM정보 통합을 위한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1. 건축물 BIM정보 통합을 위한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2. BIM 공통원형 라이브러리 및 기술콘텐츠 유통체계 구축 2. BIM 공통원형 라이브러리 및 기술콘텐츠 유통체계 구축 3. 차세대 설계기술 구현을 위한 지식정보체계구축 3. 차세대 설계기술 구현을 위한 지식정보체계구축 4. BIM 적용을 위한 제도·정책 연구 4. BIM 적용을 위한 제도·정책 연구 BIM 정보표준 프레임워크BIM 정보표준 프레임워크 정보분류체계 및 표준규격정보분류체계 및 표준규격 보급관리 시스템보급관리 시스템 공통원형 BIM 라이브러리공통원형 BIM 라이브러리 공통 기술콘텐츠DB공통 기술콘텐츠DB 유통보급 시스템유통보급 시스템 지식정보화 수준평가 시스템지식정보화 수준평가 시스템 설계지식 DB 및 활용시스템설계지식 DB 및 활용시스템 지식-GIS 연계기술지식-GIS 연계기술 법제도 및 중장기 정책법제도 및 중장기 정책 실무가이드 및 기술실무가이드 및 기술 기반조성 및 인력양성 자료기반조성 및 인력양성 자료 과제과제 핵심 성과핵심 성과 R&D, 공공기관R&D, 공공기관 R&D,SW업계,공공기관R&D,SW업계,공공기관 설계사,연구기관,기타설계사,연구기관,기타 설계사, R&D, SW사설계사, R&D, SW사 설계사, R&D설계사, R&D 설계사, 자재업체설계사, 자재업체 설계사, R&D설계사, R&D 설계사설계사 설계사설계사 전문단체, 정부, R&D전문단체, 정부, R&D 설계사, 발주자, R&D설계사, 발주자, R&D 설계사, 발주자, 정부설계사, 발주자, 정부 주요 수요자주요 수요자 각종 R&D표준골격으로 활용, KS 등 국가표준 수립 국제표준 참여활용각종 R&D표준골격으로 활용, KS 등 국가표준 수립 국제표준 참여활용 R&D기관, 상용SW업계에 보급 및 활용유도, 세움터 및 발주자 채택활용R&D기관, 상용SW업계에 보급 및 활용유도, 세움터 및 발주자 채택활용 세움터 통한 포털 공개, 모든 사람에게 개방적으로 검색활용 유도세움터 통한 포털 공개, 모든 사람에게 개방적으로 검색활용 유도 8개용도 동시충족하도록 BIM설계 활용. 세움터 및 조달청 BIM제출 활용8개용도 동시충족하도록 BIM설계 활용. 세움터 및 조달청 BIM제출 활용 BIM설계도중 기술정보 검색활용, 기존 표준상세 대체, 개산견적 활용BIM설계도중 기술정보 검색활용, 기존 표준상세 대체, 개산견적 활용 세움터를 통한 포털공개 검색활용, 장기적 민간참여에 의한 자생적 활용세움터를 통한 포털공개 검색활용, 장기적 민간참여에 의한 자생적 활용 BIM도입 이전단계의 환경평가 및 BIM도입 안내에 포털접속 활용BIM도입 이전단계의 환경평가 및 BIM도입 안내에 포털접속 활용 BIM설계과정에서 적용목표 설정 및 유사사례 참고로 포털접속 활용BIM설계과정에서 적용목표 설정 및 유사사례 참고로 포털접속 활용 BIM 설계과정에서 브이월드 등 GIS기능을 통한 대지상황 파악에 활용BIM 설계과정에서 브이월드 등 GIS기능을 통한 대지상황 파악에 활용 법제도 정책안의 대정부 건의. 각종 R&D에 설계사 입장 반영에 활용법제도 정책안의 대정부 건의. 각종 R&D에 설계사 입장 반영에 활용 발주자 지침개발시 모듈선택활용, IPD도입에 보급, R&D공통지침 활용발주자 지침개발시 모듈선택활용, IPD도입에 보급, R&D공통지침 활용 BIM설계용역대가 실비정액 근거 활용, BIM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활용BIM설계용역대가 실비정액 근거 활용, BIM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활용 활용 방안활용 방안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활용방안
  • 3.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l 세움터 접속을 통한 포털에 의하여 성과를 통합적으로 보급 l 국가 공공자산으로서 누구나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보급관리 실용화 보급방안 세움터세움터 BIM정보표준 프레임워크BIM정보표준 프레임워크 BIM공통원형 라이브러리BIM공통원형 라이브러리 기술정보 DB기술정보 DB 지식수준 평가지식수준 평가 BIM설계지식 DBBIM설계지식 DB 지식-GIS 연계지식-GIS 연계 BIM 제도정책BIM 제도정책 표준상세 DB표준상세 DB 운영관리운영관리 DB검색DB검색 단가 DB단가 DB BIM 기술콘텐츠BIM 기술콘텐츠 라이브러리 검색라이브러리 검색 브라우저브라우저 BIM 지식정보체계BIM 지식정보체계 제도정책 자료제도정책 자료 BIM 교육BIM 교육 BIM 성숙도측정BIM 성숙도측정 BIM 표준-인프라 포털 구축BIM 표준-인프라 포털 구축 1세부1세부 2세부2세부 3세부3세부 4세부4세부 포털서버포털서버 세움터를 이용한 접근세움터를 이용한 접근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사유화 대상이 될 수 없음. 이후 민간의 개별적 응용 상품은 시장원리에 맞김
  • 4. l 중소규모 위주의 약 20개 설계사 대상 테스트 수행 l 계량적 지표 설정에 의한 성공여부 검증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개발팀개발팀 테스트베드 준비테스트베드 준비 시험팀시험팀 테스트베드 TF구성 (과제별 2인 총 8명)테스트베드 TF구성 (과제별 2인 총 8명) 지원사 모집 BIM 기도입, 미도입 각 10지원사 모집 BIM 기도입, 미도입 각 10 대상선정대상선정 근린생활 및 소형오피스 (10층이내)근린생활 및 소형오피스 (10층이내) 시기시기 2차년도 중간단계부터 1년간2차년도 중간단계부터 1년간 테스트베드 시행테스트베드 시행 테스트베드 교육부터테스트베드 교육부터 도입안내부터도입안내부터 지식수준 평가지식수준 평가 테스트베드교육테스트베드교육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BIM도입안내BIM도입안내 포털접속포털접속 사용준비사용준비 지식검색지식검색 모델링모델링 통합 가이드활용통합 가이드활용 BIM교육BIM교육 템플릿 다운로드템플릿 다운로드 프로그램 다운로드프로그램 다운로드사용사용 품질품질 인허가 도면인허가 도면 에너지에너지 수량수량 내역내역 조달청 기준조달청 기준 인허가 법규인허가 법규 구조 계산서구조 계산서 테스트베드 성공요건테스트베드 성공요건 근생, 소형오피스 라이브러리 수요 70% 충족 확인근생, 소형오피스 라이브러리 수요 70% 충족 확인 단일 BIM모델로 8개 시나리오 동시 충족확인단일 BIM모델로 8개 시나리오 동시 충족확인 BIM 미도입사의 성공적 도입확인BIM 미도입사의 성공적 도입확인 개산견적 대상(구조건축) 물량비용 90% 정확도 달성개산견적 대상(구조건축) 물량비용 90% 정확도 달성 기타 계량적 체크리스트 설정에 의한 테스트 실시기타 계량적 체크리스트 설정에 의한 테스트 실시 BIM 미도입사BIM 미도입사 BIM 도입사BIM 도입사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실용화 테스트베드
  • 5. l 세움터는 5년 이상 BIM 요소기술 연구개발을 진행중이며 이미 상당기술 축적 l 핵심연계사안 : 세움터와 민간기준의 일관성, 라이브러리에 세움터 요구속성 탑재 4.1 연구성과 활용방안 세움터 BIM 개발 현황 (2013.1 4차 보고)세움터 BIM 개발 현황 (2013.1 4차 보고) 세움터 시설정보 분류체계세움터 시설정보 분류체계 세움터 공간정보 분류체계세움터 공간정보 분류체계 기준기준 BIM속성입력기준BIM속성입력기준 정보표준정보표준 세움터 BIM가이드라인세움터 BIM가이드라인 도구도구 BIM 제출 및 검토 도구BIM 제출 및 검토 도구 BIM 뷰어 및 조회 프로그램BIM 뷰어 및 조회 프로그램 ArchiBIM 시리즈 프로그램 등록 본 제안 연계방안본 제안 연계방안 표준분류체계 포함 사례 지식DB 연계 표준분류체계 포함 사례 지식DB 연계 표준분류체계 포함. 마감, 내역 등 동시활용표준분류체계 포함. 마감, 내역 등 동시활용 BIM속성분류체계 BIM속성입력기준 BIM속성분류체계 BIM속성입력기준 모듈화 통합가이드라인으로 타 지침 혼선방지모듈화 통합가이드라인으로 타 지침 혼선방지 BIM 제출 및 검토 도구BIM 제출 및 검토 도구 BIM 뷰어 및 조회 프로그램BIM 뷰어 및 조회 프로그램 해당 주제해당 주제 1-2 표준분류체계 3-2 지식DB 1-2 표준분류체계 3-2 지식DB 1-2 표준분류체계1-2 표준분류체계 1-2 표준분류체계 4-2 통합가이드라인 1-2 표준분류체계 4-2 통합가이드라인 4-2 통합가이드라인4-2 통합가이드라인 1과제1과제 1과제1과제 BIM 라이브러리에 속성탑재 보급BIM 라이브러리에 속성탑재 보급 세움터 BIM적용 단계 제시세움터 BIM적용 단계 제시 2-1 BIM 라이브러리2-1 BIM 라이브러리 4-1 제도정책4-1 제도정책 과제 성과 보급과제 성과 보급 테스트베드테스트베드 출처 : 2012 U세움터(지능형 건축행정) 4차 완료보고서 4. 활용방안 및 실용화 세움터 실용화 연계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