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청년이 지역 사회적경제
  발전의 희망이다


      (사)Seed:S 대표
   동국대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이은애
`




Seoul Metropoitan Dump ‘Nanji-do’ (1978~ 1993)




                                               • Redevelopment (1993 ~ 2014)
                                            - Eco-park, Digital Industry District, Apt.
                                        Complex for the Low-income household, etc.
                                                    Yesterday I visited area
                                                  built over the previous dump
                                                                                   …
2012 Failure of Top-down,     Emergence of Bottom-up, local-
   economy-focused          driven community development SEs
    re-development
1. 독점의 블루오션 너머 협동의 플랫폼전략으로

                  태양의 서커스
1. 독점의 블루오션 너머 협동의 플랫폼전략으로

         LA TOHU

미션
서커스를 통해 지구와 인간의 지속가능한 모색
지역민을 관객이 아닌, 공동 예술 창작자로
배경
• 몬트리올 외곽의 4천톤 규모 쓰레기 매립장 재생
1. 사회적기업가 : 블루오션 너머 플랫폼으로
1. 독점의 블루오션 너머 협동의 플랫폼전략으로

• 인구 730만의 퀘벡 주(Quebec), 사회적경제 회원 850만명

• 1980년, 퀘벡 주는 '사회적 경제헌장(Charte de l'économie sociale) 제정

      (1) 활동 목적이 단순한 이윤 추구가 아니고, 구성원 혹은 지역사회에의 공헌할 것
      (2) 경제활동이 정부로 부터 자치적, 자립적일 것
      (3) 민주적인 형태로 의사결정하고, 이용자 및 노동자의 참가를 필수화 할 것
      (4) 잉여금을 분배할 때, 자본이 아니라 사람을 우선할 것
      (5) 활동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및 임파워먼트, 공동책임 원칙하에 수행할 것

 • 1996년, 주지사가 장기불황속 지역재생 위한 노사민정 거버넌스 ‘퀘벡의 경제, 사회 미래에 관한
    정상회담’ 제안 – 사회적경제조직 샹티에의 돌봄 및 지역재생 중심의 재생전략 채택

 • 1997년, 퀘벡 주의회는 협동조합법 226조를 개정, 복합이해자 연대협동조합 설립 허용

 • 2007년, 3만 2천여개 사회경제기업 운영, 연매출 미화 220억 달러, 8만 7천여명 고용 (지역 60%)

 • 퀘벡 지자체 협동조합 담당부서 조사결과, 5년차 사회적경제 생존율(64%) 〉 영리기업 (36%)

 • 성공 주도체: 지역개발 위한 노동자연금투자 Fonds de solidarité de des travaileurs,
           사회적경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Chantier de l'économie sociale

 •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연대활동에서 공동생산/공동책임 (co-construction) 원칙 준수
1. 독점의 블루오션 너머 협동의 플랫폼전략으로

“사회적경제 조직의 리더에게는 지역을 살리려는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풍부한 상상력에 기반하여 사람들을 동원하고 움직여내며, 다양한 자원을 결합
시켜낼 수 있는 리더십이지요.
또한 더 중요한 것은 현실의 문제 앞에서 미래를 향한 결단력이 있어야 합니다.
지역을 살리겠다는 꿈과 그리고 그러한 현실 앞에서 자기결단을 내린 여성무용
가의 작지만 큰 힘이 오늘의 la Tohu를 만들어냈고 이 지역을 변화시켰습니다.”
                              (퀘백, 마르게리카 멘델 교수)
2. 개념 이해 : 사회적경제
2. 개념 이해 : 사회적기업 (한국)

   한국 사회적기업 인증 기준 (6개월 경영성과를 평가,육성위원회 인증)


 공신력
1) 조직형태 : 민법, 상법, 협동조합법 의한 단체 또는 법인
2) 인증 기준과 관련 내용을 정관, 규약 등 명문화

 사회적 성격
1) 사회적 목적 실현 : 취약계층 고용 또는 사회서비스 제공율 30% 이상,
   혼합형은 각 20% 이상, 지역사회공헌형 (지역개발, 공정무역 등)
   cf) 노동통합형 SE 취약계층 기준 :영국 25%, 이태리․핀란드 30% 이상
2) 사회적 소유 (민주적 지배구조) :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지배구조
3) 사회적 수익 재투자 : 영리 조직, 수익의 2/3 이상을 사회적 목적 재투자


 기업적 성격
1) 유급근로자 : 1인 이상 고용, 근로기준법 준수 의무
2) 수익성 / 지속가능성 : 최소 노무비의 30% 이상을 영업수입으로 확보
2. 개념 이해 : 한국 사회적기업 조직유형
□ 2007년 7월, 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으로 인증 시작
□ 2012년 12월,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 예정으로 사회적기업 조직유형 다양화

 * 국제협동조합연맹(ICA)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해 공동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모인 사람들의 자율적 단체“

                              상법                              협동조합기본법                 민법
                                                                협동조합
 구분   주식회사       유한회사      유한책임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                               사단법인
                                                             일반             사회적
 사업                                                           조합원 실익증진
                            이윤 극대화                                                    공익
 목적                                                                         공익
 운영
       1주 1표     1좌 1표                   1인 1표                      1인 1표            1인 1표
 방식
 설립                                                          신고              인가
                             신고제                                                      인가제
 방식                                                          (영리)           (비영리)
 책임                                               무한책임
                  유한 책임                 무한책임                        유한책임             해당 없음
 범위                                              +유한책임

 규모    대규모                     주로 중ㆍ소규모                       소규모 + 대규모             주로 소규모

 성격   물적결합     물적․인적결합    물적․인적결합       인적결합     물적․인적결합            인적결합             인적결합

                                                                                    학교, 병원, 자
 사업            중소기업, 세무법 (美) 벤처, 컨설팅,             사모투자     일반경제 활동 의료협동조합
      대기업 집단                            법무법인 등                                      선단체, 종교
  예               인등      전문서비스업 등                회사등        분야        등
                                                                                      단체등

                                <영리법인>                                        < 비영리법인 >
3. 사회적경제 발전 현황
                                                      영업매출
          구분              조직 수    조합원       유급근로자
                                                       규모

            인증 사회적기업1)     680       -       16,319   6,345억원

            예비 사회적기업2)    1,381      -         *         *

사회적기업 부문        자활기업3)    2,752      -       44,898      *

                마을기업4)     550       -       3,145    196억원

                 소계       3,982      *       64,362      *

               생활협동조합5)    115    412,477    2,534     5,284

            의료생활협동조합
                           13     19,320      467       114
                  6)
사회적 목적의 협
 동조합 부문     공동육아협동조합
                           71      1,873      375      1,487
                  7)


                 소계        199    433,670    3,376     6,885

사회적 경제 부문        총계       4,181   433,670    67,738    13,426
4. 한국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오해와 진실

    한국의 사회적기업은 정부주도적, 정부의존적이다
1
    • ‘새로운 일자리 창출’ 이라는 단일목표 강조, 정책목표 수행 도구화 우려
    • ‘인증 = 지원’ 방정식 채택 배경 이해 필요
    • 시민섹터 대응 : 자율적 등록제 전환 요구, but ‘사회적’ 기업에 대한 국민적 합의 및 윤리적 소비/투자 운동 시급


    인건비 지원제도에 대한 찬반 양론
2
    • 인건비 지원이 2010년 고용부 사회적기업 지원예산 1,414여억원중 75.9%
    • 인건비 지원이 정부의존성, 근로자등의 기업가정신 훼손 vs 지원기간 활용한 교육훈련, 품질경쟁력, 자본축적 가능
    • 시민섹터 대응: 포괄적 보조금 형식 지원 기대, 성장기 기업은 시장조성과 자본조성 지원 욕구 증가

    정부 지원 중단시 대부분 망할 것이다
3
    •   취업 취약층의 경쟁력 수준 고려시, 일반 기업 폐업율 보다 생존 가능성 낮다는 주장
    •   2008년말, 총사업비 2,120억원중 64.3% 영업매출, 27.8% 정부지원임
    •   ‘10.6말 지원종료 54개소 조사결과, 폐업은 없고 고용규모가 1,319명에서 1,161명로 축소 : 고용유지 65% 이상
    •   시민섹터 대응 : 사회적기업의 운영이념, 정부지원에 대한 태도, 지역자원 연계 정도 등 따라 고용조정 편차 컸음


    저임금 비정규 노동시장 양산한다
4
    • ’08년중소기업 평균임금 191만원 대비, SE 평균 100만원 수준. But 동종업종 비교시 기본급 110%로 더 우수
    • 시민섹터 대응 : 정부 1년단위 인건비 지원계약으로 비정규 43%로 높음, 남녀차별 등 노동시장 문제 극복 필요


5   섹터간 /부처간/중앙-지자체간 파트너쉽 부족하다
    • 고용부외 행안부, 지경부 등 유사정책 증가/ 지자체 광역 16+ 기초 68개 조례제정, but 거버넌스 만족도 낮음
    • 기업연계형 (사회적일자리 40%, 인증SE 22%) 고용의 양/질 우수 vs 대기업 직접설립에는 비판 존재
5. 사회적경제 발전 배경

사회지출 확대 경로의 국제비교
사회지출 확대 전략은 ‘현금이전’과 ‘서비스공급’ 중 선택이 관건



  GDP 대비 서비스 지출                        (자료출처 : 2006, 5 사람입국일자리위원회)

  14.00                                               스웨덴
                                 북구형
                                                         덴마크
  12.00                                    노르웨이
          사회서비스 강화
  10.00                   캐나다                        독일
                            호주                        벨기에    프랑스
   8.00
                           일본               영국
   6.00                 미국               네덜란드              이태리
                                     뉴질랜드                대륙형
                         영미형 1          영미형 2
   4.00
          한국    현금급여 강화
   2.00
                5.00         10.00               15.00        GDP 대비
                                                            현금이전 지출



1990년대 이후로 제3섹터(사회적기업)을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 확대
• ‘60~80년대 :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를 통한 서비스 공급 확대가 지배적
• ‘90년대 이후 : 영리·비영리기관을 통해 재정지출 절감 및 서비스 품질개선에 주목
6. 사회적경제 정책과제 : 대선 매니패스토

1. 대통령 직속 사회적경제 위원회 설치 *

2. 사회적기업 법인격 신설

3. 사회적경제 친화적 공공시장 조성 *

4. 제도개선과 사회적경제 클러스터 조성

5. 사회적 금융기관 설립 *

6.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조세지원제도 개선

7.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교육정책 방안 *

8. 사회적 고용의 질적 양적 확충

9. 청년 사회적기업가 육성통한 차세대 인재양성 및 청년 고용창출


* 협동조합연대회의와 공통의제 / 출처 : 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6. 정책과제 : 충남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분석
6. 정책 과제 : 2012 서울시 제도개선

               사회적기업 육성 Paradigm Shift

                                 시민주도
              일자리 창출
  추진 관점                        사회혁신 활성화
           (단기성, 양적 성장 중시)
                             (장기성, 고용/수익의 결과성)

                             포괄사업비/시장조성/
           한시적 인건비 지원
  지원 전략                       사회투자기금 조성
           (획일성, 형평성 원칙)
                             (공공구매 3조원의 5%목표)


                             서울 핵심과제 해결형
           서울시 선정, 지원형
‘서울형’ 개념                      (강남북 격차, 청년 주거,
            (인증SE 등 역차별)
                                 도시농업 등)


                             생산+재생산 영역 포괄
           경제활동 조직 한정
                                (지역화폐운동,
  정책 대상     (SE, CB, 마을기업)
                               착한전문가운동 등)
6. 정책 과제 : 2012 서울시 제도개선

                사회혁신기업 육성 Paradigm Shift


   지속가능성       개별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클러스터
    확보 전략       조직간 경쟁         경제+사회 가치 측정


                                  사회적경제
                공공 주도형
    추진 체계                        민관 거버넌스


     섹터간                      지자체-기업-시민-SE조직
              서울시-기업사회공헌
    협력 범주                       (시민참여 다각화)



                                Peer Consulting
              영리 모방형 경영지원       네트워크 활성화
Empowerment
                                중간지원체 육성
7. 경영 과제 – 미션 & 비젼 & 핵심가치 공유


               - 조직의 존재 이유를 의미, Purpose, 지속성의 원천, 불변성, 신성성
   미션
(MISSION)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어떻게 공헌할 것인가를 선언

               Collins & Porras (1996) ‘5 why’ 시뮬레이션


               - 미래의 성장할 조직의 모습을 형상화, Goal, 성장의 원천, 가변성, 세속성
   비젼
 (VISION)
                Collins & Porras "비전을 가진 기업들의 성공적인 습관“ (1994)
                 크고(Big) 대담하며(Hairy) 도전적인(Audacious) 목표(Goal) 를
                 감동적 / 매력적 / 구체적 묘사


               -조직의 본질적이고 지속적인 신조, 목표나 도달과정에서 가이드라인, 불변성
   가치
 (VALUE)
                만들고 설정하는것이 아니라 발견되는 것이다



   역량
               -그것을 보유하고 있기에 환경속에서 경쟁자를 이길 수 있는 경쟁력의 기반
(capability)
               만들어지고 변화하는 속성을 보인다
7. 경영과제 : 경영참여 & 학습조직
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특성과 욕구를 강점으로 활용
                                        우리가만드는 일과 미래

 일과 가정 양립 가능한 시간제 정규직 고용모델

 사학 전공자 및 여행업 경력자 R&D, 내외부 교육 통해 인적자본 경쟁력 강화

 사회적일자리 퇴직금 활용한 종업원 지주제 도입 등




                               출처:경향신문 ‘사회적기업이 희망이다’,2009.10.11
7. 경영과제 : 사회자본 네트워크 구축

       시민사회단체 네트워크 활용 사례: 사회적기업 ㈜컴윈

         비전 및 사업내용                             컴윈의 성장 배경

• 비전: 인적 자원, 물적 자원이 순환하는 사회를      1. NPO네트워크 지원
만든다.                                                       공공기관,
                                     한국자활협회 63개             학교 등
• 사업목적: 1) 저소득층의 일자리를 만든다. 2) 친     일자리만들기운동본부             폐컴퓨터
환경 처리를 통한 환경사회를 만든다. 3) 정직하고                               무상 수거,
투명한 사회적 기업를 만든다.                                           비용 절감

                                  2. 지역차원 자원
• 주요사업 : 1) 폐컴퓨터, 전기전자폐기물 처리
         2) 재생재련 원료, 재이용부품 판매                              안정적인
         3) 컴퓨터 수리후 무상 기증(몽골등)       지역자활후견기관               인력
                                    경기광역자활지원센터             운영 및
• 설립일 : 2003년 12월                                           영업
• 직원 : 37명 (생계비 수급자 13명 포함)                                 자문
• 보수 : 연봉 1,700만원/시간외수당 별도/퇴직금/   3. 사회적기업 지원체
 사회보험 (기본급, 시장임금 115%+근로기준법)
• 2008년 매출 : 15억 7천만원                                       시설자금
                                    (재)함께일하는재단
                                                              지원
• 자산 : 대지 1,739㎡ 공장 483㎡ 자가 소유     사회적기업가아카데미
                                                            경영훈련,
                                   재활용 업종네트워크
• 2007 사회적기업 인증                                            공동 마케팅
                                        노동부
                                                             지원 등
7. 경영과제 : 새로운 인간관에 기초한 HRM

                     지속가능한 인적자본 개발          SE 취약층 직원 조건
                     노동을 통한 사회/계층 통합        무능감, 패배주의, 무력감 호소
                     다양한 이해관계자 민주적경영        종업원 의식 〉 주인의식


급여의 적정성-재투자 강조                        인간관
임금격차의 형평성 강조                          조직관                       채용후 역량개발 중시
사회적 가치와 수익 불비례                        바로 세우기                    인재 채용으로 경영역량 강화
공정 평가 vs 허용적 문화 혼재                                              고용 안정성 중요
                        평가/보상                        채용/충원
SE 취약층 직원 조건
지불보상제(복리후생,지역화폐)                                                SE 취약층 직원 조건
부재로 월급 인상 민감                                                    저학력, 저기술, 중고령 이직시
                                                                훈련 한계 뚜렷
                                                                저임금 탈피 위한 높은 이직율



                          조직구조                      동기부여
 민주적 의사결정구조                                                     설립이념/미션/비젼 공유
 강점에 기초한 업무분담                                                   의사소통 체계 다각화
 서비스 혁신에 유리한 구조화                                                내적 발전/성장 동력 마련
                                        역량개발

       SE 취약층 직원 조건                                        SE 취약층 직원 조건
       책임지는 사람에게 권한위임 되는                                   취업동기: 소득,일자리〉가치
       조직문화에 익숙하지 않음                                       정부사업에 비자발적 참여태도

                       취약층 empowerment 중시     SE 취약층 직원 조건
                       핵심역량 개발 과제             주민 리더쉽 개발 vs 견제
                       리더의 헌신성, 책임성 제고        가부장적 권위로 여성, 소수자 차별
7. 경영과제 : 경제적 자립기반 확보
                                                  이익이 없는 고객의
                                                  총 이윤 감소
      100%

      80%                  고객의 20%가
                           총 이윤의 80% 소비


     기업의                           중단 단계의     이익이 없는 고객
  총 이익 비율                         이익이 높은 고객
             이익이
             높은 고객


                     20%                                  100%



• 일반적으로 상위 20% 고객이 기업전체 이익의 80%을 냄. 즉, 하위 80%의 고객은 상위 20%
 고객 보다 투자대비 이익이 현저히 낮음.
 따라서 이러한 고객군이 증가할 경우 판매가 증가해도 수익이 나지 않거나, 심지어 판매할 수록
 적자가 발생하기도 함 : 사회적기업의 딜레마


• 사회적기업의 일반적인 수익구조는 교차보조(cross-subsidization)임
 즉, 수익성 높은 사업분야 또는 지불능력이 큰 수요자로부터 얻은 수익을, 수익성은 낮지만
 사회적 가치가 높은 분야 또는 지불능력이 낮은 수요자에게 재배분하는 것임
• 이에 이러한 사회적 편익 제공에 대한 비용 지불방안이 다각도로 마련 필요
7. 경영 과제 : 사회적경제 우선구매 목표제
                 보조금/기부금        사업소득   기타
                                                                        영국 CIC 수입구성
100%       4               3                  3
90%                                                     • CIC의 총매출중 사업소득 비중은 약 80%~86%,
80%                                                       정부 보조금 및 기부금 비중은 11%~17%에 불과함
70%
                                                        • 그러나 매출 전액이 소비자의 지불에 근거한 것은 아님
60%
                           80
          84                                  86
50%                                                     • 제3자 (특히 정부) 지불 비중이높음 (약 50%~60%)
40%

30%                                                     • 즉, 영국 사회적 기업은 개별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20%
                                                         인건비 지원방식 보다는 사업위탁 등의 형태로 통해
                                                         사업소득을 늘려주는 방식으로 지원
10%                        17
          12                                  11        인용 : IFF Research(2005),
 0%                                                     『A Survey of Social Enterprises Across the UK』인용
         99K미만       100~1백만K               1백만K초과


                                            비용지불방식                     제3자 지불의          총매출 중          외부지원 없
         구분
                           전체 무료             부분 무료       전체 유료             비중            사업매출              는 기업

       의료사회서비스                   21                27        52             61             82               40

   기타 사회,개인서비스                   10                29        61             31             82               39

       부동산임대업                    21                27        52             47             93               59

       교육서비스                     15                45        40             57             78               42

        도소매업                     31                21        48             25             94               67

         기타                      23                19        58             44             76               45
7. 경영과제 : 사회책임 조달제도 도입

- 공공조달은 전세계 GDP의 15%, 유럽연합은 16.3%(‘02-1조5천억 유로),
  한국 11.5% (’09-122조 3천억원) 로 경제적 영향 크고 기업성장에 중요한
  시장형성

□ “사회적으로 책임지는 공공조달” 개념 도입 (2004 법제화- 2010 안내서 발간)
   (Socially Responsible Public Procurement: SRPP)

- 공공조달시 빈곤해소, 사회적 형평성 및 젠더 형평성, 핵심노동기준(core
labour standards),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지속가능한 환경(environmental
sustainability) 촉진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도록 정책 수단화


□ 납세자를 위한 최고의 투자가치(best value for money) 기준 도입

-1990년대 중반 이후로 EU와 영국, 미국 등은 조달정책에서 최고가치(best value)‘
  의 획득을 지향하는 가치 전환

- 이는 단기적 비용최소화가 유지관리비용(maintenance costs) 등을 포괄한
  전생애 비용(whole life costs)의 최소화를 가져오지 않기 때문임
7. 경영 과제 : 사회투자기금(은행)

     아이디어      시범사업            창업      인증      성장          복제/확산                   폐업
     창안단계

                                                  신규사업 투자금 부족
투자
                              소비자 보조금 부족                        Social Franchising 등
                              긴급 운영자금 부족                             자금 부족



                                             사회적기업 모태 펀드
                     예비SE 시설자금 부족            Seed:s 사회투자서클 기금




     • 상시 응모형 자원 부재
     • 시민학습 연계형 시범사업비 부재
부채                                         미소금융 / 중소기업기본법 정책자금 대부
                                          함께재단/사회연대은행/신나는조합 마이크로크래딧




                           취약층 신규 고용인력/ 전문인력 지원

                               사업개발비 지원
공공    소셜벤처대회 등 아이디어 경진대회
지원    청년등 인큐베이팅 사업                                          조세감면
7. 경영 과제 : 사회투자기금(은행)


                    지자체
                             엔젤투자
        사회적경제      관련 예산
                             사회책임
        내부 보유        위탁
                              투자
         적립금        or 출현
사회적기업
                             (지역상공인등)
중소기업
마이크로                                     기업
 크래딧                                    사회공헌
지원 자금                                    기부금
                                        지역할당
                    투
                    자




                지역별 사회적경제
                사회투자 기금 조성
7. 경영 과제 : 사회혁신 클러스터 조성
                       지역
                      문제해결




                       청년 등
                      사회적기업
                      인큐베이팅
             지역사회              협력적
             자원연계              소비
                       은평
                     사회혁신허브
              성장기
                              주민참여형
             사회적기업
                              커뮤니티
             클러스터
       지역              고품질            주민자치력
      고용창출             서비스              고양
7. 경영 과제 : 다양한 시민 참여 창구 개발


     시민적 지지기반 형성

• 사회적경제 조직내 지배구조 참여 : 프로보노 및 사외이사 등

• 윤리적/ 협력적 소비자운동 구축

• 사회책임투자 활성화 모색

• 청소년/청년/은퇴자 등 다양한 계층의 참여 확대 견인
8. 해외 사회적경제 동향 : 몬드라곤복합체

    협동                      소유자이며 운동의 주체
    Co-operation            Owners and protagonists
    참가                      경영에 개입
    Participation           Management commitment
    사회적 책임                  부의 공정한 분배와 커뮤니티 관여
    Social Responsibility   Fair distribution of wealth and involvement in the community
    혁신                      끊임없는 개선을 추구
    Innovation              Continual renewal




• 2008년 현재, 256사업체를 거느린 생산자협동조합 복합체로 발전

-   협동조합 120개, 자회사 129, 우애조합 1, 재단 2, 지원기관 8, 해외사업조직 10
-   고용인원 92,773명, 자산규모 33,499백만유로(한화 50조7천여억원)
-   스페인 7위의 고용 및 매출 규모 기업
-   1956년 창업 이래로 그간 창업한 자회사중 3개만이 폐업, 지속가능성 확보
-   2008년, 경제위기하 스페인 전체 고용율이 20% 하락, 몬드라곤은 1.1% 하락에 그침
8. 해외 사회적경제 동향 : 한국 시사점
1) 지역경제 파급력 키워야
   몬드라곤과 볼로냐에서는 지역주민의 2/3이상이 협동조합 조합원이고 연매출
   5조~23조원에 지역고용의 4~10%를 담보할 정도로 지역경제에서 파급력이 크
  다. 반면 한국은 조합원 구성의 다양성 및 규모면에서 아직 약소한 수준이다.

2) 실질적 사회적경제 진영내 물적기반 공유로 지역자산 확충해야
   유럽의 개별조합은 협동조합연맹에 수익의 3%~40%를 제공하므로써 연맹을 통
   한 위기조합 및 신설 조합 창업지원․ 기술개발 및 교육사업․ 지역사회공헌사업
   등을 추진한다. 반면 국내에서 사회적경제가 활성화 된 지역들은 아직까지 직접
   적 경제개입 보다는 사안별 협의체 식의 운영을 보인다

3) 사회적경제 주도의 대안적 금융, R&D, 인력양성 부족하다
 유럽에서는 협동조합의 성장기반이 될 공동의 금융․ 기술개발․ 교육훈련․ 사회
 보장시스템을 발전시켜 온 것과 달리 국내에서는 지역내 금융기반이 매우 취약

4) 유럽에서는 전통적 생산․소비 협동조합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함
 께 참여하는 복합협동조합이나 사회적 협동조합 발전이 눈에 띄게 증가한 반면,
 한국은 이를 가능케 할 협동조합기본법 제정도 부재한 현실이다.

5) 최근 유럽의 협동조합에서는 청년세대의 빈곤과 불안정 고용의 확대․ 개인주의
의 확산 속에서 어떻게 협동조합운동의 세대계승이 가능할 것인가가 핵심과제화
9. 보다 담대한 사회적기업가의 비젼
         Social Entrepreneurship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사회적 차이                                                           사회적 차이
                       (Social Gap)                                                     (Social Gap)

                                              사회적 기대 가치                                                             사회적 기대 가치
                                              경제적 기대 가치                                                             경제적 기대 가치

              사회적기업의 기회                                                      사회적기업의 기회
              (Social Entrepreneurial Opportunity)                           (Social Entrepreneurial Opportunity)

                                              상품 / 서비스                                                          상품 / 서비스
                      혁신                      (Product/Services)                       혁신                       (Product/Services)
                      (INNOVATION)            신기술 (Methods)                            (INNOVATION)             신기술 (Methods)
                                              생산요소 (Factors)                                                    생산요소 (Factors)
                                              파트너쉽 (Relations)                                                  파트너쉽 (Relations)

          조직의 설립과 운영                                                      조직의 설립과 운영
          (Organizational Launching and Functioning)                      (Organizational Launching and Functioning)



     사회적, 경제적 결과                                혁신 보급              사회적, 경제적 결과



                                           직/간접 고용 창출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
                                           정보와 지식에의 접근
              (Societal Well-Being Enhancement)
                                           사회적 결합과 포괄
                                           커뮤니티 및 경제 개발

                      사회 변화
                      (Social Change)



32                                               출처) 이은애 재구성, Francesco Perrini외, The New Social Entrepreneurship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seekly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seekly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Gori Communication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발전방향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발전방향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발전방향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발전방향
seed:s corporation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actioncan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seed:s corporation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Gori Communication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Wonkyeong Kim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Gori Communication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 건 설명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 건 설명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 건 설명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 건 설명
세준 장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서영 윤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jihoon jung
 
Umjeekorea
UmjeekoreaUmjeekorea
Umjeekorea
UnjeeKorea
 
130612 사회적기업창업가이드
130612 사회적기업창업가이드130612 사회적기업창업가이드
130612 사회적기업창업가이드
현정 김
 
선진국 사회적 기업 사례발표_개발협력
선진국  사회적 기업 사례발표_개발협력 선진국  사회적 기업 사례발표_개발협력
선진국 사회적 기업 사례발표_개발협력 예은 강
 
영국의 사회적기업
영국의 사회적기업영국의 사회적기업
영국의 사회적기업
seed:s corporation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actioncan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seekly
 
사회적 약자기업이 바라본 정책의 한계 및 제언
사회적 약자기업이 바라본 정책의  한계 및 제언 사회적 약자기업이 바라본 정책의  한계 및 제언
사회적 약자기업이 바라본 정책의 한계 및 제언
a_go_ra
 

What's hot (20)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발전방향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발전방향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발전방향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발전방향
 
2008 Open Forum
2008 Open Forum2008 Open Forum
2008 Open Forum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 건 설명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 건 설명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 건 설명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 건 설명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Umjeekorea
UmjeekoreaUmjeekorea
Umjeekorea
 
130612 사회적기업창업가이드
130612 사회적기업창업가이드130612 사회적기업창업가이드
130612 사회적기업창업가이드
 
선진국 사회적 기업 사례발표_개발협력
선진국  사회적 기업 사례발표_개발협력 선진국  사회적 기업 사례발표_개발협력
선진국 사회적 기업 사례발표_개발협력
 
영국의 사회적기업
영국의 사회적기업영국의 사회적기업
영국의 사회적기업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사회적 약자기업이 바라본 정책의 한계 및 제언
사회적 약자기업이 바라본 정책의  한계 및 제언 사회적 약자기업이 바라본 정책의  한계 및 제언
사회적 약자기업이 바라본 정책의 한계 및 제언
 

Viewers also liked

CT Strategy and Planning 2015
CT Strategy and Planning 2015CT Strategy and Planning 2015
CT Strategy and Planning 2015
Woontack Woo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Gori Communication
 
사회적기업 탐방
사회적기업 탐방사회적기업 탐방
사회적기업 탐방young kim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Lee Dae Won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Seoungcheol Lee
 
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4. 이호영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4. 이호영gojipcap
 
집담회_5. 강원택
집담회_5. 강원택집담회_5. 강원택
집담회_5. 강원택gojipcap
 
완주군 사례
완주군 사례완주군 사례
완주군 사례seekly
 
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종범 김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posinay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eungjin cho
 
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
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
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
peoplechange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seoulyouthhub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gcfdn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VentureSquare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Jeong-hyeun Ko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VentureSquare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KevinKim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paul8331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두원 차
 

Viewers also liked (20)

CT Strategy and Planning 2015
CT Strategy and Planning 2015CT Strategy and Planning 2015
CT Strategy and Planning 2015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탐방
사회적기업 탐방사회적기업 탐방
사회적기업 탐방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4. 이호영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5. 강원택
집담회_5. 강원택집담회_5. 강원택
집담회_5. 강원택
 
완주군 사례
완주군 사례완주군 사례
완주군 사례
 
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
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
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Similar to 6강_이은애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수원 주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thecirclefoundation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더게임체인저스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thecirclefoundation
 
MYSC
MYSC MYSC
MYSC MYSC_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svsfund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Hwajun Song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Juhyun Lee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호석 진호석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Gori Communication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Myung Jo Bang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seekly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seekly
 
일하는여성76호
일하는여성76호일하는여성76호
일하는여성76호
kwwa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재단 함께
 
Social Work Like
Social Work LikeSocial Work Like
Social Work LikeZiwon Hyung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JINI-JUNG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seekly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Gori Communication
 
사회적기업길라잡이(1)
사회적기업길라잡이(1)사회적기업길라잡이(1)
사회적기업길라잡이(1)마 법사
 

Similar to 6강_이은애 (20)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MYSC
MYSC MYSC
MYSC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110613 사회적기업 자금-지원제도_안내(공문)
 
일하는여성76호
일하는여성76호일하는여성76호
일하는여성76호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Social Work Like
Social Work LikeSocial Work Like
Social Work Like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사회적기업길라잡이(1)
사회적기업길라잡이(1)사회적기업길라잡이(1)
사회적기업길라잡이(1)
 

6강_이은애

  • 1. 청년이 지역 사회적경제 발전의 희망이다 (사)Seed:S 대표 동국대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이은애
  • 2. ` Seoul Metropoitan Dump ‘Nanji-do’ (1978~ 1993) • Redevelopment (1993 ~ 2014) - Eco-park, Digital Industry District, Apt. Complex for the Low-income household, etc. Yesterday I visited area built over the previous dump …
  • 3. 2012 Failure of Top-down, Emergence of Bottom-up, local- economy-focused driven community development SEs re-development
  • 4. 1. 독점의 블루오션 너머 협동의 플랫폼전략으로 태양의 서커스
  • 5. 1. 독점의 블루오션 너머 협동의 플랫폼전략으로 LA TOHU 미션 서커스를 통해 지구와 인간의 지속가능한 모색 지역민을 관객이 아닌, 공동 예술 창작자로 배경 • 몬트리올 외곽의 4천톤 규모 쓰레기 매립장 재생
  • 6. 1. 사회적기업가 : 블루오션 너머 플랫폼으로
  • 7. 1. 독점의 블루오션 너머 협동의 플랫폼전략으로 • 인구 730만의 퀘벡 주(Quebec), 사회적경제 회원 850만명 • 1980년, 퀘벡 주는 '사회적 경제헌장(Charte de l'économie sociale) 제정 (1) 활동 목적이 단순한 이윤 추구가 아니고, 구성원 혹은 지역사회에의 공헌할 것 (2) 경제활동이 정부로 부터 자치적, 자립적일 것 (3) 민주적인 형태로 의사결정하고, 이용자 및 노동자의 참가를 필수화 할 것 (4) 잉여금을 분배할 때, 자본이 아니라 사람을 우선할 것 (5) 활동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및 임파워먼트, 공동책임 원칙하에 수행할 것 • 1996년, 주지사가 장기불황속 지역재생 위한 노사민정 거버넌스 ‘퀘벡의 경제, 사회 미래에 관한 정상회담’ 제안 – 사회적경제조직 샹티에의 돌봄 및 지역재생 중심의 재생전략 채택 • 1997년, 퀘벡 주의회는 협동조합법 226조를 개정, 복합이해자 연대협동조합 설립 허용 • 2007년, 3만 2천여개 사회경제기업 운영, 연매출 미화 220억 달러, 8만 7천여명 고용 (지역 60%) • 퀘벡 지자체 협동조합 담당부서 조사결과, 5년차 사회적경제 생존율(64%) 〉 영리기업 (36%) • 성공 주도체: 지역개발 위한 노동자연금투자 Fonds de solidarité de des travaileurs, 사회적경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Chantier de l'économie sociale •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연대활동에서 공동생산/공동책임 (co-construction) 원칙 준수
  • 8. 1. 독점의 블루오션 너머 협동의 플랫폼전략으로 “사회적경제 조직의 리더에게는 지역을 살리려는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풍부한 상상력에 기반하여 사람들을 동원하고 움직여내며, 다양한 자원을 결합 시켜낼 수 있는 리더십이지요. 또한 더 중요한 것은 현실의 문제 앞에서 미래를 향한 결단력이 있어야 합니다. 지역을 살리겠다는 꿈과 그리고 그러한 현실 앞에서 자기결단을 내린 여성무용 가의 작지만 큰 힘이 오늘의 la Tohu를 만들어냈고 이 지역을 변화시켰습니다.” (퀘백, 마르게리카 멘델 교수)
  • 9. 2. 개념 이해 : 사회적경제
  • 10. 2. 개념 이해 : 사회적기업 (한국) 한국 사회적기업 인증 기준 (6개월 경영성과를 평가,육성위원회 인증) 공신력 1) 조직형태 : 민법, 상법, 협동조합법 의한 단체 또는 법인 2) 인증 기준과 관련 내용을 정관, 규약 등 명문화 사회적 성격 1) 사회적 목적 실현 : 취약계층 고용 또는 사회서비스 제공율 30% 이상, 혼합형은 각 20% 이상, 지역사회공헌형 (지역개발, 공정무역 등) cf) 노동통합형 SE 취약계층 기준 :영국 25%, 이태리․핀란드 30% 이상 2) 사회적 소유 (민주적 지배구조) :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지배구조 3) 사회적 수익 재투자 : 영리 조직, 수익의 2/3 이상을 사회적 목적 재투자 기업적 성격 1) 유급근로자 : 1인 이상 고용, 근로기준법 준수 의무 2) 수익성 / 지속가능성 : 최소 노무비의 30% 이상을 영업수입으로 확보
  • 11. 2. 개념 이해 : 한국 사회적기업 조직유형 □ 2007년 7월, 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으로 인증 시작 □ 2012년 12월,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 예정으로 사회적기업 조직유형 다양화 * 국제협동조합연맹(ICA)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해 공동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모인 사람들의 자율적 단체“ 상법 협동조합기본법 민법 협동조합 구분 주식회사 유한회사 유한책임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 사단법인 일반 사회적 사업 조합원 실익증진 이윤 극대화 공익 목적 공익 운영 1주 1표 1좌 1표 1인 1표 1인 1표 1인 1표 방식 설립 신고 인가 신고제 인가제 방식 (영리) (비영리) 책임 무한책임 유한 책임 무한책임 유한책임 해당 없음 범위 +유한책임 규모 대규모 주로 중ㆍ소규모 소규모 + 대규모 주로 소규모 성격 물적결합 물적․인적결합 물적․인적결합 인적결합 물적․인적결합 인적결합 인적결합 학교, 병원, 자 사업 중소기업, 세무법 (美) 벤처, 컨설팅, 사모투자 일반경제 활동 의료협동조합 대기업 집단 법무법인 등 선단체, 종교 예 인등 전문서비스업 등 회사등 분야 등 단체등 <영리법인> < 비영리법인 >
  • 12. 3. 사회적경제 발전 현황 영업매출 구분 조직 수 조합원 유급근로자 규모 인증 사회적기업1) 680 - 16,319 6,345억원 예비 사회적기업2) 1,381 - * * 사회적기업 부문 자활기업3) 2,752 - 44,898 * 마을기업4) 550 - 3,145 196억원 소계 3,982 * 64,362 * 생활협동조합5) 115 412,477 2,534 5,284 의료생활협동조합 13 19,320 467 114 6) 사회적 목적의 협 동조합 부문 공동육아협동조합 71 1,873 375 1,487 7) 소계 199 433,670 3,376 6,885 사회적 경제 부문 총계 4,181 433,670 67,738 13,426
  • 13. 4. 한국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오해와 진실 한국의 사회적기업은 정부주도적, 정부의존적이다 1 • ‘새로운 일자리 창출’ 이라는 단일목표 강조, 정책목표 수행 도구화 우려 • ‘인증 = 지원’ 방정식 채택 배경 이해 필요 • 시민섹터 대응 : 자율적 등록제 전환 요구, but ‘사회적’ 기업에 대한 국민적 합의 및 윤리적 소비/투자 운동 시급 인건비 지원제도에 대한 찬반 양론 2 • 인건비 지원이 2010년 고용부 사회적기업 지원예산 1,414여억원중 75.9% • 인건비 지원이 정부의존성, 근로자등의 기업가정신 훼손 vs 지원기간 활용한 교육훈련, 품질경쟁력, 자본축적 가능 • 시민섹터 대응: 포괄적 보조금 형식 지원 기대, 성장기 기업은 시장조성과 자본조성 지원 욕구 증가 정부 지원 중단시 대부분 망할 것이다 3 • 취업 취약층의 경쟁력 수준 고려시, 일반 기업 폐업율 보다 생존 가능성 낮다는 주장 • 2008년말, 총사업비 2,120억원중 64.3% 영업매출, 27.8% 정부지원임 • ‘10.6말 지원종료 54개소 조사결과, 폐업은 없고 고용규모가 1,319명에서 1,161명로 축소 : 고용유지 65% 이상 • 시민섹터 대응 : 사회적기업의 운영이념, 정부지원에 대한 태도, 지역자원 연계 정도 등 따라 고용조정 편차 컸음 저임금 비정규 노동시장 양산한다 4 • ’08년중소기업 평균임금 191만원 대비, SE 평균 100만원 수준. But 동종업종 비교시 기본급 110%로 더 우수 • 시민섹터 대응 : 정부 1년단위 인건비 지원계약으로 비정규 43%로 높음, 남녀차별 등 노동시장 문제 극복 필요 5 섹터간 /부처간/중앙-지자체간 파트너쉽 부족하다 • 고용부외 행안부, 지경부 등 유사정책 증가/ 지자체 광역 16+ 기초 68개 조례제정, but 거버넌스 만족도 낮음 • 기업연계형 (사회적일자리 40%, 인증SE 22%) 고용의 양/질 우수 vs 대기업 직접설립에는 비판 존재
  • 14. 5. 사회적경제 발전 배경 사회지출 확대 경로의 국제비교 사회지출 확대 전략은 ‘현금이전’과 ‘서비스공급’ 중 선택이 관건 GDP 대비 서비스 지출 (자료출처 : 2006, 5 사람입국일자리위원회) 14.00 스웨덴 북구형 덴마크 12.00 노르웨이 사회서비스 강화 10.00 캐나다 독일 호주 벨기에 프랑스 8.00 일본 영국 6.00 미국 네덜란드 이태리 뉴질랜드 대륙형 영미형 1 영미형 2 4.00 한국 현금급여 강화 2.00 5.00 10.00 15.00 GDP 대비 현금이전 지출 1990년대 이후로 제3섹터(사회적기업)을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 확대 • ‘60~80년대 :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를 통한 서비스 공급 확대가 지배적 • ‘90년대 이후 : 영리·비영리기관을 통해 재정지출 절감 및 서비스 품질개선에 주목
  • 15. 6. 사회적경제 정책과제 : 대선 매니패스토 1. 대통령 직속 사회적경제 위원회 설치 * 2. 사회적기업 법인격 신설 3. 사회적경제 친화적 공공시장 조성 * 4. 제도개선과 사회적경제 클러스터 조성 5. 사회적 금융기관 설립 * 6.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조세지원제도 개선 7.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교육정책 방안 * 8. 사회적 고용의 질적 양적 확충 9. 청년 사회적기업가 육성통한 차세대 인재양성 및 청년 고용창출 * 협동조합연대회의와 공통의제 / 출처 : 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 16. 6. 정책과제 : 충남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분석
  • 17. 6. 정책 과제 : 2012 서울시 제도개선 사회적기업 육성 Paradigm Shift 시민주도 일자리 창출 추진 관점 사회혁신 활성화 (단기성, 양적 성장 중시) (장기성, 고용/수익의 결과성) 포괄사업비/시장조성/ 한시적 인건비 지원 지원 전략 사회투자기금 조성 (획일성, 형평성 원칙) (공공구매 3조원의 5%목표) 서울 핵심과제 해결형 서울시 선정, 지원형 ‘서울형’ 개념 (강남북 격차, 청년 주거, (인증SE 등 역차별) 도시농업 등) 생산+재생산 영역 포괄 경제활동 조직 한정 (지역화폐운동, 정책 대상 (SE, CB, 마을기업) 착한전문가운동 등)
  • 18. 6. 정책 과제 : 2012 서울시 제도개선 사회혁신기업 육성 Paradigm Shift 지속가능성 개별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클러스터 확보 전략 조직간 경쟁 경제+사회 가치 측정 사회적경제 공공 주도형 추진 체계 민관 거버넌스 섹터간 지자체-기업-시민-SE조직 서울시-기업사회공헌 협력 범주 (시민참여 다각화) Peer Consulting 영리 모방형 경영지원 네트워크 활성화 Empowerment 중간지원체 육성
  • 19. 7. 경영 과제 – 미션 & 비젼 & 핵심가치 공유 - 조직의 존재 이유를 의미, Purpose, 지속성의 원천, 불변성, 신성성 미션 (MISSION)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어떻게 공헌할 것인가를 선언 Collins & Porras (1996) ‘5 why’ 시뮬레이션 - 미래의 성장할 조직의 모습을 형상화, Goal, 성장의 원천, 가변성, 세속성 비젼 (VISION) Collins & Porras "비전을 가진 기업들의 성공적인 습관“ (1994) 크고(Big) 대담하며(Hairy) 도전적인(Audacious) 목표(Goal) 를 감동적 / 매력적 / 구체적 묘사 -조직의 본질적이고 지속적인 신조, 목표나 도달과정에서 가이드라인, 불변성 가치 (VALUE) 만들고 설정하는것이 아니라 발견되는 것이다 역량 -그것을 보유하고 있기에 환경속에서 경쟁자를 이길 수 있는 경쟁력의 기반 (capability) 만들어지고 변화하는 속성을 보인다
  • 20. 7. 경영과제 : 경영참여 & 학습조직 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특성과 욕구를 강점으로 활용 우리가만드는 일과 미래 일과 가정 양립 가능한 시간제 정규직 고용모델 사학 전공자 및 여행업 경력자 R&D, 내외부 교육 통해 인적자본 경쟁력 강화 사회적일자리 퇴직금 활용한 종업원 지주제 도입 등 출처:경향신문 ‘사회적기업이 희망이다’,2009.10.11
  • 21. 7. 경영과제 : 사회자본 네트워크 구축 시민사회단체 네트워크 활용 사례: 사회적기업 ㈜컴윈 비전 및 사업내용 컴윈의 성장 배경 • 비전: 인적 자원, 물적 자원이 순환하는 사회를 1. NPO네트워크 지원 만든다. 공공기관, 한국자활협회 63개 학교 등 • 사업목적: 1) 저소득층의 일자리를 만든다. 2) 친 일자리만들기운동본부 폐컴퓨터 환경 처리를 통한 환경사회를 만든다. 3) 정직하고 무상 수거, 투명한 사회적 기업를 만든다. 비용 절감 2. 지역차원 자원 • 주요사업 : 1) 폐컴퓨터, 전기전자폐기물 처리 2) 재생재련 원료, 재이용부품 판매 안정적인 3) 컴퓨터 수리후 무상 기증(몽골등) 지역자활후견기관 인력 경기광역자활지원센터 운영 및 • 설립일 : 2003년 12월 영업 • 직원 : 37명 (생계비 수급자 13명 포함) 자문 • 보수 : 연봉 1,700만원/시간외수당 별도/퇴직금/ 3. 사회적기업 지원체 사회보험 (기본급, 시장임금 115%+근로기준법) • 2008년 매출 : 15억 7천만원 시설자금 (재)함께일하는재단 지원 • 자산 : 대지 1,739㎡ 공장 483㎡ 자가 소유 사회적기업가아카데미 경영훈련, 재활용 업종네트워크 • 2007 사회적기업 인증 공동 마케팅 노동부 지원 등
  • 22. 7. 경영과제 : 새로운 인간관에 기초한 HRM 지속가능한 인적자본 개발 SE 취약층 직원 조건 노동을 통한 사회/계층 통합 무능감, 패배주의, 무력감 호소 다양한 이해관계자 민주적경영 종업원 의식 〉 주인의식 급여의 적정성-재투자 강조 인간관 임금격차의 형평성 강조 조직관 채용후 역량개발 중시 사회적 가치와 수익 불비례 바로 세우기 인재 채용으로 경영역량 강화 공정 평가 vs 허용적 문화 혼재 고용 안정성 중요 평가/보상 채용/충원 SE 취약층 직원 조건 지불보상제(복리후생,지역화폐) SE 취약층 직원 조건 부재로 월급 인상 민감 저학력, 저기술, 중고령 이직시 훈련 한계 뚜렷 저임금 탈피 위한 높은 이직율 조직구조 동기부여 민주적 의사결정구조 설립이념/미션/비젼 공유 강점에 기초한 업무분담 의사소통 체계 다각화 서비스 혁신에 유리한 구조화 내적 발전/성장 동력 마련 역량개발 SE 취약층 직원 조건 SE 취약층 직원 조건 책임지는 사람에게 권한위임 되는 취업동기: 소득,일자리〉가치 조직문화에 익숙하지 않음 정부사업에 비자발적 참여태도 취약층 empowerment 중시 SE 취약층 직원 조건 핵심역량 개발 과제 주민 리더쉽 개발 vs 견제 리더의 헌신성, 책임성 제고 가부장적 권위로 여성, 소수자 차별
  • 23. 7. 경영과제 : 경제적 자립기반 확보 이익이 없는 고객의 총 이윤 감소 100% 80% 고객의 20%가 총 이윤의 80% 소비 기업의 중단 단계의 이익이 없는 고객 총 이익 비율 이익이 높은 고객 이익이 높은 고객 20% 100% • 일반적으로 상위 20% 고객이 기업전체 이익의 80%을 냄. 즉, 하위 80%의 고객은 상위 20% 고객 보다 투자대비 이익이 현저히 낮음. 따라서 이러한 고객군이 증가할 경우 판매가 증가해도 수익이 나지 않거나, 심지어 판매할 수록 적자가 발생하기도 함 : 사회적기업의 딜레마 • 사회적기업의 일반적인 수익구조는 교차보조(cross-subsidization)임 즉, 수익성 높은 사업분야 또는 지불능력이 큰 수요자로부터 얻은 수익을, 수익성은 낮지만 사회적 가치가 높은 분야 또는 지불능력이 낮은 수요자에게 재배분하는 것임 • 이에 이러한 사회적 편익 제공에 대한 비용 지불방안이 다각도로 마련 필요
  • 24. 7. 경영 과제 : 사회적경제 우선구매 목표제 보조금/기부금 사업소득 기타 영국 CIC 수입구성 100% 4 3 3 90% • CIC의 총매출중 사업소득 비중은 약 80%~86%, 80% 정부 보조금 및 기부금 비중은 11%~17%에 불과함 70% • 그러나 매출 전액이 소비자의 지불에 근거한 것은 아님 60% 80 84 86 50% • 제3자 (특히 정부) 지불 비중이높음 (약 50%~60%) 40% 30% • 즉, 영국 사회적 기업은 개별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20% 인건비 지원방식 보다는 사업위탁 등의 형태로 통해 사업소득을 늘려주는 방식으로 지원 10% 17 12 11 인용 : IFF Research(2005), 0% 『A Survey of Social Enterprises Across the UK』인용 99K미만 100~1백만K 1백만K초과 비용지불방식 제3자 지불의 총매출 중 외부지원 없 구분 전체 무료 부분 무료 전체 유료 비중 사업매출 는 기업 의료사회서비스 21 27 52 61 82 40 기타 사회,개인서비스 10 29 61 31 82 39 부동산임대업 21 27 52 47 93 59 교육서비스 15 45 40 57 78 42 도소매업 31 21 48 25 94 67 기타 23 19 58 44 76 45
  • 25. 7. 경영과제 : 사회책임 조달제도 도입 - 공공조달은 전세계 GDP의 15%, 유럽연합은 16.3%(‘02-1조5천억 유로), 한국 11.5% (’09-122조 3천억원) 로 경제적 영향 크고 기업성장에 중요한 시장형성 □ “사회적으로 책임지는 공공조달” 개념 도입 (2004 법제화- 2010 안내서 발간) (Socially Responsible Public Procurement: SRPP) - 공공조달시 빈곤해소, 사회적 형평성 및 젠더 형평성, 핵심노동기준(core labour standards),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지속가능한 환경(environmental sustainability) 촉진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도록 정책 수단화 □ 납세자를 위한 최고의 투자가치(best value for money) 기준 도입 -1990년대 중반 이후로 EU와 영국, 미국 등은 조달정책에서 최고가치(best value)‘ 의 획득을 지향하는 가치 전환 - 이는 단기적 비용최소화가 유지관리비용(maintenance costs) 등을 포괄한 전생애 비용(whole life costs)의 최소화를 가져오지 않기 때문임
  • 26. 7. 경영 과제 : 사회투자기금(은행) 아이디어 시범사업 창업 인증 성장 복제/확산 폐업 창안단계 신규사업 투자금 부족 투자 소비자 보조금 부족 Social Franchising 등 긴급 운영자금 부족 자금 부족 사회적기업 모태 펀드 예비SE 시설자금 부족 Seed:s 사회투자서클 기금 • 상시 응모형 자원 부재 • 시민학습 연계형 시범사업비 부재 부채 미소금융 / 중소기업기본법 정책자금 대부 함께재단/사회연대은행/신나는조합 마이크로크래딧 취약층 신규 고용인력/ 전문인력 지원 사업개발비 지원 공공 소셜벤처대회 등 아이디어 경진대회 지원 청년등 인큐베이팅 사업 조세감면
  • 27. 7. 경영 과제 : 사회투자기금(은행) 지자체 엔젤투자 사회적경제 관련 예산 사회책임 내부 보유 위탁 투자 적립금 or 출현 사회적기업 (지역상공인등) 중소기업 마이크로 기업 크래딧 사회공헌 지원 자금 기부금 지역할당 투 자 지역별 사회적경제 사회투자 기금 조성
  • 28. 7. 경영 과제 : 사회혁신 클러스터 조성 지역 문제해결 청년 등 사회적기업 인큐베이팅 지역사회 협력적 자원연계 소비 은평 사회혁신허브 성장기 주민참여형 사회적기업 커뮤니티 클러스터 지역 고품질 주민자치력 고용창출 서비스 고양
  • 29. 7. 경영 과제 : 다양한 시민 참여 창구 개발 시민적 지지기반 형성 • 사회적경제 조직내 지배구조 참여 : 프로보노 및 사외이사 등 • 윤리적/ 협력적 소비자운동 구축 • 사회책임투자 활성화 모색 • 청소년/청년/은퇴자 등 다양한 계층의 참여 확대 견인
  • 30. 8. 해외 사회적경제 동향 : 몬드라곤복합체 협동 소유자이며 운동의 주체 Co-operation Owners and protagonists 참가 경영에 개입 Participation Management commitment 사회적 책임 부의 공정한 분배와 커뮤니티 관여 Social Responsibility Fair distribution of wealth and involvement in the community 혁신 끊임없는 개선을 추구 Innovation Continual renewal • 2008년 현재, 256사업체를 거느린 생산자협동조합 복합체로 발전 - 협동조합 120개, 자회사 129, 우애조합 1, 재단 2, 지원기관 8, 해외사업조직 10 - 고용인원 92,773명, 자산규모 33,499백만유로(한화 50조7천여억원) - 스페인 7위의 고용 및 매출 규모 기업 - 1956년 창업 이래로 그간 창업한 자회사중 3개만이 폐업, 지속가능성 확보 - 2008년, 경제위기하 스페인 전체 고용율이 20% 하락, 몬드라곤은 1.1% 하락에 그침
  • 31. 8. 해외 사회적경제 동향 : 한국 시사점 1) 지역경제 파급력 키워야 몬드라곤과 볼로냐에서는 지역주민의 2/3이상이 협동조합 조합원이고 연매출 5조~23조원에 지역고용의 4~10%를 담보할 정도로 지역경제에서 파급력이 크 다. 반면 한국은 조합원 구성의 다양성 및 규모면에서 아직 약소한 수준이다. 2) 실질적 사회적경제 진영내 물적기반 공유로 지역자산 확충해야 유럽의 개별조합은 협동조합연맹에 수익의 3%~40%를 제공하므로써 연맹을 통 한 위기조합 및 신설 조합 창업지원․ 기술개발 및 교육사업․ 지역사회공헌사업 등을 추진한다. 반면 국내에서 사회적경제가 활성화 된 지역들은 아직까지 직접 적 경제개입 보다는 사안별 협의체 식의 운영을 보인다 3) 사회적경제 주도의 대안적 금융, R&D, 인력양성 부족하다 유럽에서는 협동조합의 성장기반이 될 공동의 금융․ 기술개발․ 교육훈련․ 사회 보장시스템을 발전시켜 온 것과 달리 국내에서는 지역내 금융기반이 매우 취약 4) 유럽에서는 전통적 생산․소비 협동조합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함 께 참여하는 복합협동조합이나 사회적 협동조합 발전이 눈에 띄게 증가한 반면, 한국은 이를 가능케 할 협동조합기본법 제정도 부재한 현실이다. 5) 최근 유럽의 협동조합에서는 청년세대의 빈곤과 불안정 고용의 확대․ 개인주의 의 확산 속에서 어떻게 협동조합운동의 세대계승이 가능할 것인가가 핵심과제화
  • 32. 9. 보다 담대한 사회적기업가의 비젼 Social Entrepreneurship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사회적 차이 사회적 차이 (Social Gap) (Social Gap) 사회적 기대 가치 사회적 기대 가치 경제적 기대 가치 경제적 기대 가치 사회적기업의 기회 사회적기업의 기회 (Social Entrepreneurial Opportunity) (Social Entrepreneurial Opportunity) 상품 / 서비스 상품 / 서비스 혁신 (Product/Services) 혁신 (Product/Services) (INNOVATION) 신기술 (Methods) (INNOVATION) 신기술 (Methods) 생산요소 (Factors) 생산요소 (Factors) 파트너쉽 (Relations) 파트너쉽 (Relations) 조직의 설립과 운영 조직의 설립과 운영 (Organizational Launching and Functioning) (Organizational Launching and Functioning) 사회적, 경제적 결과 혁신 보급 사회적, 경제적 결과 직/간접 고용 창출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 정보와 지식에의 접근 (Societal Well-Being Enhancement) 사회적 결합과 포괄 커뮤니티 및 경제 개발 사회 변화 (Social Change) 32 출처) 이은애 재구성, Francesco Perrini외, The New Social Entrepreneu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