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좋은대학 100플랜
                        새로운 대학체제 개편 시안




                                         1

12년	 4월	 26일	 목요일
이 운동의 목표와 지향점


       우리 아이들의
       진로와 적성, 성적 수준에 따라
       가고 싶은 대학 100개를
       전국적으로 육성하여
       질 높은 대학교육과
       졸업 후 일자리 진출 연계를 실현한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좋은 일자리,
          좋은 대학의 의미를
          다시 생각한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현재 우리 사회의 ‘좋은’ 일자리 기준
                            명목 임금 기준 전체 평균 임금 수준을 상회하는
              삼성경제연구소
                            산업부문에서 창출되는 일자리

                            정규직이면서, 임금이 평균치보다 약 20% 정도
               경영자 총협회
                            더 높은 일자리

              한국개발연구원
                            30대 대기업 집단, 공기업, 금융업
                    KDI

                                    출처 : 김승덕, 허재준, 조준모, 전용일 편저, ‘교육과 성장’, 박영사


               >>   2012년 기준 고교 졸업생 숫자와 대학 졸업생 숫자는 각각 64.8만명,
                    48만명이며, 위의 기준에 따르면 좋은 일자리는 2만개이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좋은 대학의 현재 기준

                       ▲연봉과 안정적 일자리, 사회적 지위에
                        더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학
                       ▲수도권 지역에 가까운 지역
                       ▲학벌 서열, 입학생 수능 성적 높은 대학

                       >> 2-4만명 정도의 졸업생 배출




12년	 4월	 26일	 목요일
6

12년	 4월	 26일	 목요일
한 칸이라도 높은 대학에,
          연봉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일자리로 진출???




                              6

12년	 4월	 26일	 목요일
“미래 사회는
       창조적 자본주의”
       (빌게이츠)


       “분산자본주의,
       협업의 경제체제”
       (제러미 리프킨)




12년	 4월	 26일	 목요일
“급변하는 사회에서 실용교육보다 인문학 교육이
         사회 적응력을 키우는 데 더 적합하다고 판단을 했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좋은 일자리의 참다운 기준

             ▲재능/적성 자기 재능과 적성 활용하여
             ▲사회적 가치 직업을 통해 사회에 기여 함으로
              절대적 만족감을 경험하며,
             ▲경제적 독립 가정을 떠나 경제적으로
              독립된 생활을 하는 것이 가능한 일자리



12년	 4월	 26일	 목요일
 




    좋은 일자리 알림                                                                채용제도개선요구
    운동 필요 영역(1)                                                              운동 필요 영역(2)

                                       F: 기존 좋은
                                          일자리



                                                                C: 경제적 안정된
                             A: 경제적 독립 유지                      즐겁지 않은 일자리
                                좋은 일자리




                             B: 기본 생계 유지
                                         되는 좋은 일자리




                    D: 경제적 안정 안된                                       사회 복지적 지원
                    즐겁지 않은 일자리              E: 기본 생계
                                                     유지 안 되는           요구 운동 필요(3)
                                                 좋은 일자리




12년	 4월	 26일	 목요일
 




                    좋은 일자리 분포 및 대책
    좋은 일자리 알림                                                                채용제도개선요구
    운동 필요 영역(1)                                                              운동 필요 영역(2)

                                       F: 기존 좋은
                                          일자리



                                                                C: 경제적 안정된
                             A: 경제적 독립 유지                      즐겁지 않은 일자리
                                좋은 일자리




                             B: 기본 생계 유지
                                         되는 좋은 일자리




                    D: 경제적 안정 안된                                       사회 복지적 지원
                    즐겁지 않은 일자리              E: 기본 생계
                                                     유지 안 되는           요구 운동 필요(3)
                                                 좋은 일자리




12년	 4월	 26일	 목요일
이런 일자리에 적합한 능력

         ▲ 전공 능력 : 적성과 진로에 맞는 전공 능력
         ▲ 일반기초능력 : 언어 구사력, 수리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자기관리능력
         ▲ 직업기초능력 : 대인관계능력, 정보활용능력,
                        시스템 관리능력, 공학기술활용능력

         ▲ 사회공헌적 소양 : 자신의 일자리를 통해 사회에 공헌하고
                         가치를 생산한다는 의식


12년	 4월	 26일	 목요일
이런 일자리에 맞는
      능력을 키워 주는 대학이
      진로 적성 중심의 좋은 대학!


12년	 4월	 26일	 목요일
좋은 대학의 참된 기준

        ▲ 점수와 등수가 아닌, 적성과 전공 적합성에
               기초하여 학생을 선발하며,
        ▲ 직업 세계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과
                실질적 전공 능력을 키워주고,
        ▲ 사회적 봉사와 기여에 대한 의식을 심어주는
                실질적 교육을 제공하는 곳

12년	 4월	 26일	 목요일
지금 대학의 문제점




12년	 4월	 26일	 목요일
서열, 학벌

                      대학체제
                    백화점    시장주의
                     교육귝
12년	 4월	 26일	 목요일
성적 우수 학생 선발에만 관심
                    성적과 점수, 등수 중심 학생 선발로,
                    진로와 적성에 따른
                    전공 관련 적격자 선발에 무관심




              ※“서울대 국문과에 가려면 수학을 잘해야 한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교육과정 획일화와 부실
                    천편일률적이고 획일적인 대학교육
                    > 진로 적성 차원에서 선택지가 없다.
                    > 대학 후 사회에 진출할 준비가 안 된다.
                    > 백화점식, 획일적, 비특성화
                    > 서울대 물리학과 vs 지방대 물리학과




12년	 4월	 26일	 목요일
대학 전공과 취업의 불일치




12년	 4월	 26일	 목요일
열악한 교육 재정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 지원 총량 규모 적음.
                    6조 2천억 중, 국립대 등 경직성 경비를
                    제외하면 3조 정도 규모임.

                    사립대에 대한 정부의 고정적 경상비 지원 없음.
                    따라서 대학 재정 세입 미반영으로
                    예산이 수반되는 장기적인 사업 계획 수립 어려움.



12년	 4월	 26일	 목요일
부실한 거버넌스




12년	 4월	 26일	 목요일
대학체제 개편,
          어떻게 할까?




12년	 4월	 26일	 목요일
새로운 체제 개편의 목표

                    진로 적성을 중심으로
                    학생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시킬 수 있는 좋은 대학 100개를
                    국가가 5-10년 내에
                    책임지고 육성한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진로적성중심
          ‘좋은대학’ 특징




12년	 4월	 26일	 목요일
내실있고 특색있는 ‘집중화’ 교육

             > 미래 일자리 및 지역 산업과 연결된 특색있는
               집중화된 전공 프로그램 운영

             > 일자리와 연계된 직업 기초능력

             > 강력한 사회 공헌 프로그램




12년	 4월	 26일	 목요일
산업별
 전문인
 양성
                                 국책사업,
 지역
 거점산업



                                                              고급실무자
 양성
                                                              경영,
 언론,
 의료,
 금융,
 사회문화


                                                                                            세계적
 수준
 연구자양성
                                                                                            학부축소,
 기초학문
 강화
                    연구/실무/기술교육
                      집중균형



                                                                                                                   는 다양한
                                                                                                             “적성에 맞 수 있네요!”
                                                                                                              진로를 정할




12년	 4월	 26일	 목요일
같은 뜻의 헌신된 교수 공동체

             그것을 이끄는 ‘같은뜻의헌신된교수공동체’
            구축됨.

             그 대학의 지향점에 뜻을 같이 하는 교수들이
            공동체로 결집되는 것이 가장 중요함.




12년	 4월	 26일	 목요일
유능한 리더십 발굴하는
                    탁월한 선발구조

               그들 교수팀을 이끄는 유능한 리더십(총장)과
                그를 발굴하는 탁월한 선발 구조

               사립대, 국립대의 공모제, 직선제를
                부분적으로 수정




12년	 4월	 26일	 목요일
교육여건 획기적 확충

              교수 1인당 학생수를 30-40명에서
               15-20명 체제로 정비

              지방대의 경우, 기숙사 시설 무료 이용

              학생들의 등록금 : 등록금 후불제와
               반값등록금 장단점 고려, 현실적 방안선택


12년	 4월	 26일	 목요일
국가의 재정지원

           이들 대학이 집중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국가가 강력한 수준의 재정을 지원함

           [제안] 사립대는 국립대 지원의 80% 수준, 국립대는 현재 경상비의 20%
           추가 지원, 거점 국립 종합대는 기초 과학 육성 등을 위한 1,000억 지원)

                    종류    세부 분류          지원 규모
                국립대      거점 종합대학         1,000억
                         일반 국립대학      경상비 20% 추가
                사립대         -         기존 국립대 80%

12년	 4월	 26일	 목요일
영역              기존 대학            좋은 대학
              교육여건(강의실, 교수
                                  현재 30-40명       15~20명
              1인당 학생수, 도서 수 등)

              교육의 질(교수의 역량,       세계수준 대학 3~4개    세계 수준 대학 10개

              수업 만족도, 연구 성과 등)    좋은 대학 20-30개    좋은 대학 100개
              특성화(인근대학간 교육 과정     대학의 특성이 비슷하고    대학 마다 특성이 다양하고

              중복, 비효율 제거, 협력강화)   교육의 질 낮음        교육의 질 높음
              리더십(민주성, 공공성,       미션 중심 추구 미흡
                                                  민주성, 미션 중심 충족
              미션 중심 통합적 리더십)      민주성 미흡,통합력 미흡
              교육 재정(인건비, 환경       현재 국립대 50%,     국립대 70%,

              개선 및 교육 질 투자비)      사립대 0% 정부 지원    사립대 50% 정부 지원
                                  높은 변별력          높지 않은 변별력
              입시 제도(내신, 수능)
                                  교육경쟁 대신 선발경쟁    선발경쟁 대신 교육경쟁

              대학 등록금              OECD에서 2위       OECD 평균


                    평      가       매력 저하 대학         매력 있는 대학

12년	 4월	 26일	 목요일
진로적성중심
          ‘좋은대학’ 간의
          지역 내 협력구조




12년	 4월	 26일	 목요일
공동협력대학




                                  유럽대학들의 볼로냐 프로젝트
       유럽은이미
        하고있어요!
                      교수진 -교육시설 - 학부개방-학점인정


12년	 4월	 26일	 목요일
진로중심 좋은대학
                    권역 별 5-10개 정도씩 구축
                    다만 당장 진행하거나 이루어지지 않고
                    두세개 권역을 중심으로 10-30개 정도의
                    대학들이 시도를 하고, 4-5년간 그 성과를
                    경험한 후, 점차 지정 대학과 권역의 숫자를
                    확산시키되, 최종적으로는 약 100개 대학
                    수준으로까지 끌어 올림.


12년	 4월	 26일	 목요일
‘좋은 대학’들 간 네트워크




                    ※ A : 거점 국립 종합대학, 그 규모의 사립대 사이즈,
                    BCD : 중형 수준의 대학, a b c : 전문대학 중심 대학

12년	 4월	 26일	 목요일
전체 대학 속 ‘좋은 대학’의 규모

                                  개
                권 역 밖 립대 100
                    사                                        부실사
                일반                                               학
                                                             국공립 해산 및
                                                                화 (20
                                                                      ~30개)



                                          좋은대
                                              학100
                                                   개
                                                                           개
                명문사                                                학 100
               (연고 립대                                        전 문대
                    대, 포
                        항공대
                           , 한동
                               대 등)




                                       ‘좋은 대학’ 100개로 인해 교육의 질 경쟁이 각 대학으로 가속화되며,
                                      동시에 ‘좋은 대학’ 리그 바깥 대학들의 성과에 ‘좋은 대학’이 영향받음.

12년	 4월	 26일	 목요일
학생선발방식
             내신, 수능 5등급 유지(모든 대학들 적용)
             특히 ‘좋은대학’은 진로 전공 적합성 관점에서
              해당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적성 등을 관찰한
              교사의 개별 학생들에 대한 ‘학습 성장기록부’를 중시함.
              성적과 등수 중심의 선발 지양.

            → 수능과 내신 체제에서 우수한 학생의 기준 자체에
                    큰 변화가 생김.



12년	 4월	 26일	 목요일
노동시장 채용환경




12년	 4월	 26일	 목요일
청년들의 현실...
                            우리는 10년 넘게

                            1평세대 !!
                    비효율적
                    스펙경쟁
                    이제그만!




            학벌, 서열
                                   실력대로
            좌절금지                 인정받고 싶어요!

12년	 4월	 26일	 목요일
공정한 경쟁 관리법 구축

             일자리 진입 시 공정 경쟁 관리 대책

              학력/학벌 차별금지법
              공직 인재 지역 할당제
              특정 대학 공직 점유 상한제
              고졸생 취업 할당제 / 대입시 고졸 재직자 우대전형




12년	 4월	 26일	 목요일
채용 공정 경쟁 관리법

                    인재 지역 균등 할당제   학력, 학벌 차별 금지법




         고졸 취업 할당제 및
         대입 ‘재직자 전형’


                                   특정대학 공직 점유 상한제




12년	 4월	 26일	 목요일
기업 지원 보정작업

              중소기업이 좋은 일자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 및 취업자들에
               임금 보전 및 복지 혜택

              중소기업 R/D 등을 위해 좋은대학과
               중소기업과의 연계망 구축 및 국가 지원



12년	 4월	 26일	 목요일
기업 지원 보정작업

            국가가 미래 사회 재편 및 직업 분포 예측
             속에서 ‘좋은 대학’의 집중화 학과 종류와 영역,
             배출 인력 수 등을 전략적으로 조정
                * 현재는 이런 직업 전망과 노동 수요에 대한 국가 차원의 종합 그림 갖고 있지 않음



            사회적 기업, 창업 기반 조성, NGO 등이
             좋은 일자리로서 필요한 조건을 구축하도록
             새로운 영역의 직업에 대한 지원책 마련함.


12년	 4월	 26일	 목요일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KevinKim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Lee Dae Won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Seoungcheol Lee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seekly
 
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4. 이호영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4. 이호영gojipcap
 
집담회_5. 강원택
집담회_5. 강원택집담회_5. 강원택
집담회_5. 강원택gojipcap
 
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종범 김
 
완주군 사례
완주군 사례완주군 사례
완주군 사례seekly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posinay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eungjin cho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seoulyouthhub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gcfdn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VentureSquare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Jeong-hyeun Ko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VentureSquare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서영 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paul8331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두원 차
 
Open source school management system
Open source school management systemOpen source school management system
Open source school management system
വിഷ്ണു എം ജി കെ
 

Viewers also liked (20)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현안보고서67호(콘텐츠경쟁력연구1호)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제3강 이상동 경제와 고용지표 읽기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인재 육성의 새로운 트렌드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4. 이호영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4. 이호영
 
집담회_5. 강원택
집담회_5. 강원택집담회_5. 강원택
집담회_5. 강원택
 
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
 
완주군 사례
완주군 사례완주군 사례
완주군 사례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문콘기획입문_기말ppt_20110612 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인사 노무 업무 단계별 개인정보 처리요령 201211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한일청년포럼 3탄] 한국 청년 고용 문제와 니트-정연순(KR)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Collective Impact: The “New Normal”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콘진원의 스마트 콘텐츠 산업 육성방안_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한국의 디지털 에이징 정책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Gsc2014 spring(1)]청년위원회 기조연설(남민우 위원장)
 
6강_이은애
6강_이은애6강_이은애
6강_이은애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제1회 소셜벤처포럼, 일본의 고토랩 사례 (임팩트스퀘어)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앙뜨프리너십 Bootcamp Season.1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Open source school management system
Open source school management systemOpen source school management system
Open source school management system
 

Similar to 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

[정책자료] 국민이설계하는대학 좋은대학100플랜
[정책자료] 국민이설계하는대학 좋은대학100플랜[정책자료] 국민이설계하는대학 좋은대학100플랜
[정책자료] 국민이설계하는대학 좋은대학100플랜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21ERICK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21ERICK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JungHyoJun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CS_Lee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Sue Hyun Jung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21ERICK
 
혁신대학100플랜 대학을 다시_디자인하자
혁신대학100플랜 대학을 다시_디자인하자혁신대학100플랜 대학을 다시_디자인하자
혁신대학100플랜 대학을 다시_디자인하자Sue Hyun Jung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zhiyuan1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zhiyuan1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jihoon jung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1ERICK
 
성장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
성장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성장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
성장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
ylimkwon
 
미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언 KAIST ASP 3기 4B
미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언 KAIST ASP 3기 4B미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언 KAIST ASP 3기 4B
미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언 KAIST ASP 3기 4B
Jimmy Park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gilforum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ki544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Kyubok Cho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thecirclefoundation
 
기업가 정신과 혁신 - 스타트업이 집중한 문제를 중심으로 (2022-11 목포대학...
기업가 정신과 혁신 - 스타트업이 집중한 문제를 중심으로 (2022-11 목포대학...기업가 정신과 혁신 - 스타트업이 집중한 문제를 중심으로 (2022-11 목포대학...
기업가 정신과 혁신 - 스타트업이 집중한 문제를 중심으로 (2022-11 목포대학...
Hanchul Kim
 
5. 중고등학생a을 위한 직업 멘토링 (Rotary Service and Career Mentoring for Middle and High...
5. 중고등학생a을 위한 직업 멘토링 (Rotary Service and Career Mentoring for Middle and High...5. 중고등학생a을 위한 직업 멘토링 (Rotary Service and Career Mentoring for Middle and High...
5. 중고등학생a을 위한 직업 멘토링 (Rotary Service and Career Mentoring for Middle and High...
Rotary International
 

Similar to 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 (20)

[정책자료] 국민이설계하는대학 좋은대학100플랜
[정책자료] 국민이설계하는대학 좋은대학100플랜[정책자료] 국민이설계하는대학 좋은대학100플랜
[정책자료] 국민이설계하는대학 좋은대학100플랜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혁신대학100플랜 대학을 다시_디자인하자
혁신대학100플랜 대학을 다시_디자인하자혁신대학100플랜 대학을 다시_디자인하자
혁신대학100플랜 대학을 다시_디자인하자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아름다운서당 소개자료 복사본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 JJ시각. >> 2019년 시대이슈 정리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성장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
성장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성장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
성장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
 
미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언 KAIST ASP 3기 4B
미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언 KAIST ASP 3기 4B미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언 KAIST ASP 3기 4B
미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언 KAIST ASP 3기 4B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기업가 정신과 혁신 - 스타트업이 집중한 문제를 중심으로 (2022-11 목포대학...
기업가 정신과 혁신 - 스타트업이 집중한 문제를 중심으로 (2022-11 목포대학...기업가 정신과 혁신 - 스타트업이 집중한 문제를 중심으로 (2022-11 목포대학...
기업가 정신과 혁신 - 스타트업이 집중한 문제를 중심으로 (2022-11 목포대학...
 
5. 중고등학생a을 위한 직업 멘토링 (Rotary Service and Career Mentoring for Middle and High...
5. 중고등학생a을 위한 직업 멘토링 (Rotary Service and Career Mentoring for Middle and High...5. 중고등학생a을 위한 직업 멘토링 (Rotary Service and Career Mentoring for Middle and High...
5. 중고등학생a을 위한 직업 멘토링 (Rotary Service and Career Mentoring for Middle and High...
 

좋은대학 100플랜 정책시안

  • 1. 좋은대학 100플랜 새로운 대학체제 개편 시안 1 12년 4월 26일 목요일
  • 2. 이 운동의 목표와 지향점 우리 아이들의 진로와 적성, 성적 수준에 따라 가고 싶은 대학 100개를 전국적으로 육성하여 질 높은 대학교육과 졸업 후 일자리 진출 연계를 실현한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 3. 좋은 일자리, 좋은 대학의 의미를 다시 생각한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 현재 우리 사회의 ‘좋은’ 일자리 기준 명목 임금 기준 전체 평균 임금 수준을 상회하는 삼성경제연구소 산업부문에서 창출되는 일자리 정규직이면서, 임금이 평균치보다 약 20% 정도 경영자 총협회 더 높은 일자리 한국개발연구원 30대 대기업 집단, 공기업, 금융업 KDI 출처 : 김승덕, 허재준, 조준모, 전용일 편저, ‘교육과 성장’, 박영사 >> 2012년 기준 고교 졸업생 숫자와 대학 졸업생 숫자는 각각 64.8만명, 48만명이며, 위의 기준에 따르면 좋은 일자리는 2만개이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 좋은 대학의 현재 기준 ▲연봉과 안정적 일자리, 사회적 지위에 더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학 ▲수도권 지역에 가까운 지역 ▲학벌 서열, 입학생 수능 성적 높은 대학 >> 2-4만명 정도의 졸업생 배출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 6 12년 4월 26일 목요일
  • 7. 한 칸이라도 높은 대학에, 연봉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일자리로 진출??? 6 12년 4월 26일 목요일
  • 8. “미래 사회는 창조적 자본주의” (빌게이츠) “분산자본주의, 협업의 경제체제” (제러미 리프킨) 12년 4월 26일 목요일
  • 9. “급변하는 사회에서 실용교육보다 인문학 교육이 사회 적응력을 키우는 데 더 적합하다고 판단을 했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0. 좋은 일자리의 참다운 기준 ▲재능/적성 자기 재능과 적성 활용하여 ▲사회적 가치 직업을 통해 사회에 기여 함으로 절대적 만족감을 경험하며, ▲경제적 독립 가정을 떠나 경제적으로 독립된 생활을 하는 것이 가능한 일자리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1.   좋은 일자리 알림 채용제도개선요구 운동 필요 영역(1) 운동 필요 영역(2) F: 기존 좋은 일자리 C: 경제적 안정된 A: 경제적 독립 유지 즐겁지 않은 일자리 좋은 일자리 B: 기본 생계 유지 되는 좋은 일자리 D: 경제적 안정 안된 사회 복지적 지원 즐겁지 않은 일자리 E: 기본 생계 유지 안 되는 요구 운동 필요(3) 좋은 일자리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2.   좋은 일자리 분포 및 대책 좋은 일자리 알림 채용제도개선요구 운동 필요 영역(1) 운동 필요 영역(2) F: 기존 좋은 일자리 C: 경제적 안정된 A: 경제적 독립 유지 즐겁지 않은 일자리 좋은 일자리 B: 기본 생계 유지 되는 좋은 일자리 D: 경제적 안정 안된 사회 복지적 지원 즐겁지 않은 일자리 E: 기본 생계 유지 안 되는 요구 운동 필요(3) 좋은 일자리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3. 이런 일자리에 적합한 능력 ▲ 전공 능력 : 적성과 진로에 맞는 전공 능력 ▲ 일반기초능력 : 언어 구사력, 수리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자기관리능력 ▲ 직업기초능력 : 대인관계능력, 정보활용능력, 시스템 관리능력, 공학기술활용능력 ▲ 사회공헌적 소양 : 자신의 일자리를 통해 사회에 공헌하고 가치를 생산한다는 의식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4. 이런 일자리에 맞는 능력을 키워 주는 대학이 진로 적성 중심의 좋은 대학!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5. 좋은 대학의 참된 기준 ▲ 점수와 등수가 아닌, 적성과 전공 적합성에 기초하여 학생을 선발하며, ▲ 직업 세계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과 실질적 전공 능력을 키워주고, ▲ 사회적 봉사와 기여에 대한 의식을 심어주는 실질적 교육을 제공하는 곳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6. 지금 대학의 문제점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7. 서열, 학벌 대학체제 백화점 시장주의 교육귝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8. 성적 우수 학생 선발에만 관심 성적과 점수, 등수 중심 학생 선발로, 진로와 적성에 따른 전공 관련 적격자 선발에 무관심 ※“서울대 국문과에 가려면 수학을 잘해야 한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 19. 교육과정 획일화와 부실 천편일률적이고 획일적인 대학교육 > 진로 적성 차원에서 선택지가 없다. > 대학 후 사회에 진출할 준비가 안 된다. > 백화점식, 획일적, 비특성화 > 서울대 물리학과 vs 지방대 물리학과 12년 4월 26일 목요일
  • 20. 대학 전공과 취업의 불일치 12년 4월 26일 목요일
  • 21. 열악한 교육 재정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 지원 총량 규모 적음. 6조 2천억 중, 국립대 등 경직성 경비를 제외하면 3조 정도 규모임. 사립대에 대한 정부의 고정적 경상비 지원 없음. 따라서 대학 재정 세입 미반영으로 예산이 수반되는 장기적인 사업 계획 수립 어려움. 12년 4월 26일 목요일
  • 23. 대학체제 개편, 어떻게 할까? 12년 4월 26일 목요일
  • 24. 새로운 체제 개편의 목표 진로 적성을 중심으로 학생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시킬 수 있는 좋은 대학 100개를 국가가 5-10년 내에 책임지고 육성한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 25. 진로적성중심 ‘좋은대학’ 특징 12년 4월 26일 목요일
  • 26. 내실있고 특색있는 ‘집중화’ 교육 > 미래 일자리 및 지역 산업과 연결된 특색있는 집중화된 전공 프로그램 운영 > 일자리와 연계된 직업 기초능력 > 강력한 사회 공헌 프로그램 12년 4월 26일 목요일
  • 29.  양성 국책사업,
  • 31.  거점산업 고급실무자
  • 32.  양성 경영,
  • 36.  사회문화 세계적
  • 38.  연구자양성 학부축소,
  • 40.  강화 연구/실무/기술교육 집중균형 는 다양한 “적성에 맞 수 있네요!” 진로를 정할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1. 같은 뜻의 헌신된 교수 공동체 그것을 이끄는 ‘같은뜻의헌신된교수공동체’ 구축됨. 그 대학의 지향점에 뜻을 같이 하는 교수들이 공동체로 결집되는 것이 가장 중요함.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2. 유능한 리더십 발굴하는 탁월한 선발구조 그들 교수팀을 이끄는 유능한 리더십(총장)과 그를 발굴하는 탁월한 선발 구조 사립대, 국립대의 공모제, 직선제를 부분적으로 수정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3. 교육여건 획기적 확충 교수 1인당 학생수를 30-40명에서 15-20명 체제로 정비 지방대의 경우, 기숙사 시설 무료 이용 학생들의 등록금 : 등록금 후불제와 반값등록금 장단점 고려, 현실적 방안선택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4. 국가의 재정지원 이들 대학이 집중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국가가 강력한 수준의 재정을 지원함 [제안] 사립대는 국립대 지원의 80% 수준, 국립대는 현재 경상비의 20% 추가 지원, 거점 국립 종합대는 기초 과학 육성 등을 위한 1,000억 지원) 종류 세부 분류 지원 규모 국립대 거점 종합대학 1,000억 일반 국립대학 경상비 20% 추가 사립대 - 기존 국립대 80%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5. 영역 기존 대학 좋은 대학 교육여건(강의실, 교수 현재 30-40명 15~20명 1인당 학생수, 도서 수 등) 교육의 질(교수의 역량, 세계수준 대학 3~4개 세계 수준 대학 10개 수업 만족도, 연구 성과 등) 좋은 대학 20-30개 좋은 대학 100개 특성화(인근대학간 교육 과정 대학의 특성이 비슷하고 대학 마다 특성이 다양하고 중복, 비효율 제거, 협력강화) 교육의 질 낮음 교육의 질 높음 리더십(민주성, 공공성, 미션 중심 추구 미흡 민주성, 미션 중심 충족 미션 중심 통합적 리더십) 민주성 미흡,통합력 미흡 교육 재정(인건비, 환경 현재 국립대 50%, 국립대 70%, 개선 및 교육 질 투자비) 사립대 0% 정부 지원 사립대 50% 정부 지원 높은 변별력 높지 않은 변별력 입시 제도(내신, 수능) 교육경쟁 대신 선발경쟁 선발경쟁 대신 교육경쟁 대학 등록금 OECD에서 2위 OECD 평균 평 가 매력 저하 대학 매력 있는 대학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6. 진로적성중심 ‘좋은대학’ 간의 지역 내 협력구조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7. 공동협력대학 유럽대학들의 볼로냐 프로젝트 유럽은이미 하고있어요! 교수진 -교육시설 - 학부개방-학점인정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8. 진로중심 좋은대학 권역 별 5-10개 정도씩 구축 다만 당장 진행하거나 이루어지지 않고 두세개 권역을 중심으로 10-30개 정도의 대학들이 시도를 하고, 4-5년간 그 성과를 경험한 후, 점차 지정 대학과 권역의 숫자를 확산시키되, 최종적으로는 약 100개 대학 수준으로까지 끌어 올림. 12년 4월 26일 목요일
  • 49. ‘좋은 대학’들 간 네트워크 ※ A : 거점 국립 종합대학, 그 규모의 사립대 사이즈, BCD : 중형 수준의 대학, a b c : 전문대학 중심 대학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0. 전체 대학 속 ‘좋은 대학’의 규모 개 권 역 밖 립대 100 사 부실사 일반 학 국공립 해산 및 화 (20 ~30개) 좋은대 학100 개 개 명문사 학 100 (연고 립대 전 문대 대, 포 항공대 , 한동 대 등) ‘좋은 대학’ 100개로 인해 교육의 질 경쟁이 각 대학으로 가속화되며, 동시에 ‘좋은 대학’ 리그 바깥 대학들의 성과에 ‘좋은 대학’이 영향받음.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1. 학생선발방식 내신, 수능 5등급 유지(모든 대학들 적용) 특히 ‘좋은대학’은 진로 전공 적합성 관점에서 해당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적성 등을 관찰한 교사의 개별 학생들에 대한 ‘학습 성장기록부’를 중시함. 성적과 등수 중심의 선발 지양. → 수능과 내신 체제에서 우수한 학생의 기준 자체에 큰 변화가 생김.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3. 청년들의 현실... 우리는 10년 넘게 1평세대 !! 비효율적 스펙경쟁 이제그만! 학벌, 서열 실력대로 좌절금지 인정받고 싶어요!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4. 공정한 경쟁 관리법 구축 일자리 진입 시 공정 경쟁 관리 대책 학력/학벌 차별금지법 공직 인재 지역 할당제 특정 대학 공직 점유 상한제 고졸생 취업 할당제 / 대입시 고졸 재직자 우대전형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5. 채용 공정 경쟁 관리법 인재 지역 균등 할당제 학력, 학벌 차별 금지법 고졸 취업 할당제 및 대입 ‘재직자 전형’ 특정대학 공직 점유 상한제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6. 기업 지원 보정작업 중소기업이 좋은 일자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 및 취업자들에 임금 보전 및 복지 혜택 중소기업 R/D 등을 위해 좋은대학과 중소기업과의 연계망 구축 및 국가 지원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7. 기업 지원 보정작업 국가가 미래 사회 재편 및 직업 분포 예측 속에서 ‘좋은 대학’의 집중화 학과 종류와 영역, 배출 인력 수 등을 전략적으로 조정 * 현재는 이런 직업 전망과 노동 수요에 대한 국가 차원의 종합 그림 갖고 있지 않음 사회적 기업, 창업 기반 조성, NGO 등이 좋은 일자리로서 필요한 조건을 구축하도록 새로운 영역의 직업에 대한 지원책 마련함.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8. 진로 적성 중심 ‘좋은 대학’ 체제 추진 전략과 운영 12년 4월 26일 목요일
  • 59. 고등교육개혁위원회 재정지원 등록금30~40%절감 등록금후불제시행 + 거버넌스 개혁 교육및경영관리의공식체계 정부의 성향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이 사안을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거버넌스 필요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0. 3단계 추진전략 1단계 개편안 설계 후 법률화 2단계 좋은대학 공모 신청 공고 및 접수 3단계 성과 점검 통한 좋은 대학 재지정 검토 및 추가공모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1. 좋은대학100플랜을 위한 10대법률 제1법안 : 혁신대학체제 종합법률안 제2법안 : 고등교육위원회 및 고등교육평가원 법률안 제3법안 : 고등 교육재정 교부금법안 제4법안 : 등록금(및 생활비) 무이자 등록금 후불제 관련 법안 제5법안 : 혁신형 총장 공모제 제6법안 : 학력/학벌차별금지 법안 제7법안 : 특정 대학 공직 점유 상한제 법안 제8법안 : 공직지역할당제 법안 제9법안 : 학교(내신)및국가시험(수능)의‘논서술형5등급’평가제도법안 제10법안 : 본고사, 고교등급제, 기여 입학제 등 3불 금지 법안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2. 일정한 교육적 성과를 내지 못할 경우 ‘좋은 대학 지정 철회’ 또는 ‘예산 지원 삭감’ 등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3. 대학정책 결정 및 집행 기구표 대학체제 고등교육위원회 관련제반 (법적기구) 정책수립 대학 평가 통한 고등교육평가원 정책지원 (위원회 산하기구) 교육(과)부 수립된 정책 (기존 부처) 추진 및 집행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4. 정부 재정 부담 총액 영역 내역 후불제 이자 지원 1-3조? 또는 등록금 인하 좋은대학 지원액 5-6조 기존 대학 재정 5조 총계 11~14조 정부 추가 부담 6-9조!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5. 추가 재정 6~9조 확보방안 고등교육 재정 교부금법(10조) 기업의 인력 활용 분담금 (2조) 고용노동부 예산 고용지원금 (1조) 등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6. 진로 적성 중심 ‘좋은 대학’ 기대효과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7. 입시사교육 경쟁의 완화 100 “와, 가고 싶은 좋은대학이 많다!”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8. 대학서열체제의 획기적 변화 SKY 서울 주요사립대학 서울 지역대학 지방국립대 지방 전문대 지방 사립대 기존 대학 서열 12년 4월 26일 목요일
  • 69. 대학서열체제의 획기적 변화 역전이 불가능한 고착된 서열에서 역전이 가능한 변동가능한 서열로 변화 고등교육 공공성(적정 등록금) 입시 사교육 경쟁 완화 새로운 판을 만들어요! 좋은대학효과 12년 4월 26일 목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