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교육실습 준비와 수업
교육실습
순서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
교육실습시 유의점
좋은 수업이란..
학생발표인가 교사발표인가
재미있는 역할놀이 수업?
ICT 활용은 어떻게…
학습지 활용 or 남용?
Too Much !!
학생의 본분은 소신껏 틀리기?
수업지도안 작성 요령
수업지도안 작성 수업실연
수업실연 평가 기준
마이크로티칭 점검표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 2009 개정교육과정의 적용
: 09 개정교육과정의 혼용(교재)
● 교육과정 운영
- 교과(군) + 창의적 체험활동
- 8개 교과(군) 운영(고등학교)
학교 현장의 변화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국어
수학
영어
사회(역사/도덕)
과학
체육
예술(음악/미술)
기술/가정
제2외국어/한문
교양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 창의적 체험활동: 특별활동 + 재량활동
: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 집중이수제 운영
: 학기별, 학년별 집중 이수 가능 / 기준시수의 20% 증감 가능
● 교과별 검인정교과서 선택
: 실습학교 해당 교과의 교육과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 교과교실제 운영 /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학교 현장의 변화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학교 현장의 변화
● 학생평가 방법 변화
1. 성취평가제 도입
2. 서답형 중 서술형ㆍ논술형 문항을 단계적확대
3. 학교정보공시 : 우수, 보통, 미흡(기초미달 학생)
비율 공개
● 학생 인권 및 복지에 대한 관심
학교폭력문제에 대한 관심, 체벌없는 학교, 성찰교실
운영 등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학급경영 학습지도
학교업무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근무
태도
일반
자질
학습지도
능력
연구조사
활동
학급경영 및
사무처리능력
10 15 50 15 10
교육실습 일정 (예)
주차 실습 내용
1주 상견례, 오리엔테이션, 학교 소개(연혁, 운영기구, 부서 등)
지도교사 배정(학급 및 교과), 학급정보 확인 등
2주
수업참관
아침조회, 종례 참관
수업교재 제작
교수학습지도안 제출
교문지도 참관 등
3주
수업참관
아침조회, 종례 실습
수업교재 제작 및 실제 수업
학교행사 보조 업무 (과학의 달, 소풍, 체육대회, 체험학습 등)
4주 수업교재 제작 및 실제 수업
교생 대표 수업 연구 및 평가회
교육실습에 앞선 준비
학교에 대한 기본정보 습득
교육실습에 대한 현장의 입장
교육실습이 자신에게 주는 의미
실습 시 유의점
• 근무자세 및 일지 작성
- 복장 : 명찰패용, 정장, 실내화, 보온, 소지품 관리
등
- 출퇴근 및 시간활용 : 담임보다 먼저 입실하여
준비, 아침, 점심시간 활동
- 근태 : 사전허락, 증빙서류 제출, 출근부 서명, 예의,
인사예절
- 일지작성 : 성실하고 꼼꼼하게 작성
실습 시 유의점
• 학생과의 관계
- 교사의 입장에서 대하기
- 학생 사안에 대해 신중히 접근
- 담임교사와 협의 필요
- 소외학생에 대한 관심
- 신체 접촉 유의
실습 시 유의점
• 수업참관
- 메모하는 습관, 사소한 것 모두 기록
- 전공학과 참관이 원칙이되, 타 교과 참관을
원하는 경우 사전 지도교사를 통해 양해를
구한 후 참관
실습 시 유의점
• 수업실습
- 수업자료 제작 (미리 준비)
- 기자재 사용 계획 및 점검
-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에 유의
- 자신감을 갖되 배우는 자세 유지
- 지도교사에게 곧바로 피드백 요청
- 창의적 교수방법 적용 노력
학생발표인가 교사발표인가?
발표수업에서…
재미있는 역할놀이 수업?
교사만 재미있는 수업
PPT가 수업을 이끌게 하지는 말자
매체활용은 늘 성공적일까?
하기 쉬운 실수들…
학습지 활용은…
TOO MUCH !!
학생의 본분은 소신껏 틀리기?
하기 쉬운 실수들…
발표, 동영상, 읽기자료, 토론…. TOO MUCH!!
학습지 활용? 남용!
질문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못하면….
잘 가르치는 교사는?
나는?
어려운 내용
쉽게 전달
쉬운 내용
쉽게 전달
어려운 내용
어렵게 전달
쉬운 내용
어렵게 전달
Contents Skill Attitude
유형의 교사가 되려면?
3요소의 결합= 잘 가르치는 교사
1
Attention
(주의집중)
Relevance
(관련성)
Satisfaction
(만족감)
관심을 끌기위해
무엇을?
어떻게 호기심을
자극할까?
어떻게 주의를
유지할까?
학생의 경험과
어떻게
연결시킬까?
성공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려면?
.
성공에 대해 어떤
보상을 해야 할까?
결과가
공정하다고
생각하게 하려면?
Confidence
(자신감)
필요를 느끼게 해주는 수업
동기유발 (Keller의 ARCS 모형)
강의시작 진행 마무리
좋은 시작 VS 나쁜 시작
첫인상이 중요!
좋은 시작
나쁜 시작
• 수업에 지각
•수업 준비물이 어디?
•교탁 사수
•어디까지 했더라…?
• 즐겁고 자연스러운 분위기
•영화, 동영상, 사진 등으로
주목하게 하기
•여는 질문하기
•실생활과 연계하기
상호작용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상호작용 이어가기
뚜렷한 목표의식
지금 무엇을 왜 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확인시키기
동기 활용 능력
내재적 & 외재적 동기
적절히 활용
철저한 준비
모든 내용은 머릿속에
좋은 시작을 마무리까지
이어가려면….
성공적으로 수업 이어가기
“질문”으로 상호작용 키우기
한번에 한가지 질문
질문을 던진 후 시간 주기
학습을 돕는 질문하기
전체대상 vs 개별학생 맞춤형 질문
한가지 정답만 가정하지 않기
그렇다면 답변은 어떻게?
1. 학생의 능력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때
: 학생의 응답에 대해 좀 더 명료하고 상세한 표현의
답을 요구, 응답의 적절성을 높여가기 위한 질문
예) 다른 말로 좀 더 자세히 말해 볼까?
예를 들어 한번 더 설명해보면 ?
이런 경우에는 네가 얘기한 것이 어떻게 될 것
같니?
그렇다면 답변은 어떻게?
2. 한번의 질문으로 그치지 않기
: 다른 방법으로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표현하도록 질문, 이전 질문에 기초하여 좀
더 복잡한 지식을 표현하도록 질문
예) 지금 얘기한 그 방법이나 결과를 다른
문제에 활용할 수 있을까? 있다면 어떤
문제에 활용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답변은 어떻게?
3. 학생들이 언제나 옳은 답변을 할 수는 없다
: 학생의 응답이 잘못된 방향일 때 응답의 방향을 바꾸되,
학생들에게 상처를 주거나 심한 부담을 주지 않고
전환해야 함
예) 글쎄.. 나는 그런 식으로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그럼
이런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니?
그 주제를 보는 창의적 방법 중 하나긴 하다.. 어떻게 그
답에 이르게 되었니?
내 질문이 좀 모호했나 보다.. 다시 질문하자면…
그러나 모든 것을 잘 할 수는 없다!
잘 가르치는 방법은 100가지이다
이야기 구성? 전달력?
정보를 잘 찾는가? 정리능력?
못하는 것에 대해 미련 갖지 말기
내가 잘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나는 어떤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내 의견을
어필할 수 있을까?
현실적 판단도
필요함
수업지도안 작성 : 수업설계의 조건
선수 및 후속학습과의 관계 속에서 설정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일관성과 정합성
학습요소의 적절한 시간적 배려
학습자료에 대한 적합한 활용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효과 극대화
수업실연 평가기준
• 형식적 완성도
• 내용 구성의 적합도지도안
• 동기유발, 설명능력
• 진행 및 매체활용능력수업운영
• 언어적 상호작용
• 비언어적 상호작용상호작용
수업실연 채점 기준표
15 15 20
15 15 20
동기유발
능력
개념설명
능력
언어적
상호작용능력
학습활동
운영
자료 및
매체활용
능력
수업운영
능력
내용에 대한
집중
학생에 대한
애정과 배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지영 김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hyebinyun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유리 박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tjfsnfl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영민 조
 
제 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
제 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 제 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
제 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
혜연 양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Seoyoung Son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gayoung07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선화 전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Minsoo Jung
 
[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
[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
[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
YJ SISA Education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201325002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Minsoo Jung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hyungjoo park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na-yeonlee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dmavyenro
 

What's hot (19)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 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
제 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 제 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
제 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김인선
김인선김인선
김인선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
[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
[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Viewers also liked

수업안내
수업안내수업안내
수업안내Jiho Kim
 
2012 수확소프트 ot
2012 수확소프트 ot2012 수확소프트 ot
2012 수확소프트 ot진환 김
 
신세계 마케팅전략 (No.3)8_ight seconds(제출용)
신세계 마케팅전략 (No.3)8_ight seconds(제출용)신세계 마케팅전략 (No.3)8_ight seconds(제출용)
신세계 마케팅전략 (No.3)8_ight seconds(제출용)승욱 유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eunkorea
 
중소병원 서비스디자인가이드
중소병원 서비스디자인가이드중소병원 서비스디자인가이드
중소병원 서비스디자인가이드
Jong Hyun Park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ACE Trader
 

Viewers also liked (6)

수업안내
수업안내수업안내
수업안내
 
2012 수확소프트 ot
2012 수확소프트 ot2012 수확소프트 ot
2012 수확소프트 ot
 
신세계 마케팅전략 (No.3)8_ight seconds(제출용)
신세계 마케팅전략 (No.3)8_ight seconds(제출용)신세계 마케팅전략 (No.3)8_ight seconds(제출용)
신세계 마케팅전략 (No.3)8_ight seconds(제출용)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중소병원 서비스디자인가이드
중소병원 서비스디자인가이드중소병원 서비스디자인가이드
중소병원 서비스디자인가이드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병의원 온라인 마케팅 동향 & 광고전략
 

Similar to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21ERICK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Minsoo Jung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은영 김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CAU_Smart_Teacher_Lab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Jung Hyojung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CAU_Smart_Teacher_Lab
 
인지주의 팜플렛
인지주의 팜플렛인지주의 팜플렛
인지주의 팜플렛란희 이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CAU_Smart_Teacher_Lab
 
인턴십을 통해 배운다는 것
인턴십을 통해 배운다는 것인턴십을 통해 배운다는 것
인턴십을 통해 배운다는 것
hiiocks kim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Heekyung12
 
종소리스마트_소개
종소리스마트_소개종소리스마트_소개
종소리스마트_소개Chengae Kim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Jeeyun Park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Sangsu Song
 
초등 초임교사 FGI 분석을 통한 교직과목 개선요구 분석(2023교육공학회)
초등 초임교사 FGI 분석을 통한 교직과목 개선요구 분석(2023교육공학회)초등 초임교사 FGI 분석을 통한 교직과목 개선요구 분석(2023교육공학회)
초등 초임교사 FGI 분석을 통한 교직과목 개선요구 분석(2023교육공학회)
(주) Story21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1ERICK
 
자기 주도 학습
자기 주도 학습 자기 주도 학습
자기 주도 학습 승우 이
 

Similar to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20)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인지주의 팜플렛
인지주의 팜플렛인지주의 팜플렛
인지주의 팜플렛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인턴십을 통해 배운다는 것
인턴십을 통해 배운다는 것인턴십을 통해 배운다는 것
인턴십을 통해 배운다는 것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
 
종소리스마트_소개
종소리스마트_소개종소리스마트_소개
종소리스마트_소개
 
Journal1
Journal1Journal1
Journal1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LEAD- 체육교육과
LEAD- 체육교육과LEAD- 체육교육과
LEAD- 체육교육과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초등 초임교사 FGI 분석을 통한 교직과목 개선요구 분석(2023교육공학회)
초등 초임교사 FGI 분석을 통한 교직과목 개선요구 분석(2023교육공학회)초등 초임교사 FGI 분석을 통한 교직과목 개선요구 분석(2023교육공학회)
초등 초임교사 FGI 분석을 통한 교직과목 개선요구 분석(2023교육공학회)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자기 주도 학습
자기 주도 학습 자기 주도 학습
자기 주도 학습
 
심층면접의 실제
심층면접의 실제 심층면접의 실제
심층면접의 실제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 2. 순서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 교육실습시 유의점 좋은 수업이란.. 학생발표인가 교사발표인가 재미있는 역할놀이 수업? ICT 활용은 어떻게… 학습지 활용 or 남용? Too Much !! 학생의 본분은 소신껏 틀리기? 수업지도안 작성 요령 수업지도안 작성 수업실연 수업실연 평가 기준 마이크로티칭 점검표
  • 3.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 2009 개정교육과정의 적용 : 09 개정교육과정의 혼용(교재) ● 교육과정 운영 - 교과(군) + 창의적 체험활동 - 8개 교과(군) 운영(고등학교) 학교 현장의 변화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국어 수학 영어 사회(역사/도덕) 과학 체육 예술(음악/미술) 기술/가정 제2외국어/한문 교양
  • 4.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 창의적 체험활동: 특별활동 + 재량활동 :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 집중이수제 운영 : 학기별, 학년별 집중 이수 가능 / 기준시수의 20% 증감 가능 ● 교과별 검인정교과서 선택 : 실습학교 해당 교과의 교육과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 교과교실제 운영 /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학교 현장의 변화
  • 5.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학교 현장의 변화 ● 학생평가 방법 변화 1. 성취평가제 도입 2. 서답형 중 서술형ㆍ논술형 문항을 단계적확대 3. 학교정보공시 : 우수, 보통, 미흡(기초미달 학생) 비율 공개 ● 학생 인권 및 복지에 대한 관심 학교폭력문제에 대한 관심, 체벌없는 학교, 성찰교실 운영 등
  • 6.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학급경영 학습지도 학교업무
  • 8. 교육실습 일정 (예) 주차 실습 내용 1주 상견례, 오리엔테이션, 학교 소개(연혁, 운영기구, 부서 등) 지도교사 배정(학급 및 교과), 학급정보 확인 등 2주 수업참관 아침조회, 종례 참관 수업교재 제작 교수학습지도안 제출 교문지도 참관 등 3주 수업참관 아침조회, 종례 실습 수업교재 제작 및 실제 수업 학교행사 보조 업무 (과학의 달, 소풍, 체육대회, 체험학습 등) 4주 수업교재 제작 및 실제 수업 교생 대표 수업 연구 및 평가회
  • 9. 교육실습에 앞선 준비 학교에 대한 기본정보 습득 교육실습에 대한 현장의 입장 교육실습이 자신에게 주는 의미
  • 10. 실습 시 유의점 • 근무자세 및 일지 작성 - 복장 : 명찰패용, 정장, 실내화, 보온, 소지품 관리 등 - 출퇴근 및 시간활용 : 담임보다 먼저 입실하여 준비, 아침, 점심시간 활동 - 근태 : 사전허락, 증빙서류 제출, 출근부 서명, 예의, 인사예절 - 일지작성 : 성실하고 꼼꼼하게 작성
  • 11. 실습 시 유의점 • 학생과의 관계 - 교사의 입장에서 대하기 - 학생 사안에 대해 신중히 접근 - 담임교사와 협의 필요 - 소외학생에 대한 관심 - 신체 접촉 유의
  • 12. 실습 시 유의점 • 수업참관 - 메모하는 습관, 사소한 것 모두 기록 - 전공학과 참관이 원칙이되, 타 교과 참관을 원하는 경우 사전 지도교사를 통해 양해를 구한 후 참관
  • 13. 실습 시 유의점 • 수업실습 - 수업자료 제작 (미리 준비) - 기자재 사용 계획 및 점검 -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에 유의 - 자신감을 갖되 배우는 자세 유지 - 지도교사에게 곧바로 피드백 요청 - 창의적 교수방법 적용 노력
  • 14. 학생발표인가 교사발표인가? 발표수업에서… 재미있는 역할놀이 수업? 교사만 재미있는 수업 PPT가 수업을 이끌게 하지는 말자 매체활용은 늘 성공적일까? 하기 쉬운 실수들…
  • 15. 학습지 활용은… TOO MUCH !! 학생의 본분은 소신껏 틀리기? 하기 쉬운 실수들… 발표, 동영상, 읽기자료, 토론…. TOO MUCH!! 학습지 활용? 남용! 질문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못하면….
  • 16. 잘 가르치는 교사는? 나는? 어려운 내용 쉽게 전달 쉬운 내용 쉽게 전달 어려운 내용 어렵게 전달 쉬운 내용 어렵게 전달
  • 17. Contents Skill Attitude 유형의 교사가 되려면? 3요소의 결합= 잘 가르치는 교사 1
  • 18. Attention (주의집중) Relevance (관련성) Satisfaction (만족감) 관심을 끌기위해 무엇을? 어떻게 호기심을 자극할까? 어떻게 주의를 유지할까? 학생의 경험과 어떻게 연결시킬까? 성공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려면? . 성공에 대해 어떤 보상을 해야 할까? 결과가 공정하다고 생각하게 하려면? Confidence (자신감) 필요를 느끼게 해주는 수업 동기유발 (Keller의 ARCS 모형) 강의시작 진행 마무리
  • 19. 좋은 시작 VS 나쁜 시작 첫인상이 중요! 좋은 시작 나쁜 시작 • 수업에 지각 •수업 준비물이 어디? •교탁 사수 •어디까지 했더라…? • 즐겁고 자연스러운 분위기 •영화, 동영상, 사진 등으로 주목하게 하기 •여는 질문하기 •실생활과 연계하기
  • 20. 상호작용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상호작용 이어가기 뚜렷한 목표의식 지금 무엇을 왜 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확인시키기 동기 활용 능력 내재적 & 외재적 동기 적절히 활용 철저한 준비 모든 내용은 머릿속에 좋은 시작을 마무리까지 이어가려면…. 성공적으로 수업 이어가기
  • 21. “질문”으로 상호작용 키우기 한번에 한가지 질문 질문을 던진 후 시간 주기 학습을 돕는 질문하기 전체대상 vs 개별학생 맞춤형 질문 한가지 정답만 가정하지 않기
  • 22. 그렇다면 답변은 어떻게? 1. 학생의 능력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때 : 학생의 응답에 대해 좀 더 명료하고 상세한 표현의 답을 요구, 응답의 적절성을 높여가기 위한 질문 예) 다른 말로 좀 더 자세히 말해 볼까? 예를 들어 한번 더 설명해보면 ? 이런 경우에는 네가 얘기한 것이 어떻게 될 것 같니?
  • 23. 그렇다면 답변은 어떻게? 2. 한번의 질문으로 그치지 않기 : 다른 방법으로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표현하도록 질문, 이전 질문에 기초하여 좀 더 복잡한 지식을 표현하도록 질문 예) 지금 얘기한 그 방법이나 결과를 다른 문제에 활용할 수 있을까? 있다면 어떤 문제에 활용할 수 있을까?
  • 24. 그렇다면 답변은 어떻게? 3. 학생들이 언제나 옳은 답변을 할 수는 없다 : 학생의 응답이 잘못된 방향일 때 응답의 방향을 바꾸되, 학생들에게 상처를 주거나 심한 부담을 주지 않고 전환해야 함 예) 글쎄.. 나는 그런 식으로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그럼 이런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니? 그 주제를 보는 창의적 방법 중 하나긴 하다.. 어떻게 그 답에 이르게 되었니? 내 질문이 좀 모호했나 보다.. 다시 질문하자면…
  • 25. 그러나 모든 것을 잘 할 수는 없다! 잘 가르치는 방법은 100가지이다 이야기 구성? 전달력? 정보를 잘 찾는가? 정리능력? 못하는 것에 대해 미련 갖지 말기 내가 잘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나는 어떤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내 의견을 어필할 수 있을까? 현실적 판단도 필요함
  • 26. 수업지도안 작성 : 수업설계의 조건 선수 및 후속학습과의 관계 속에서 설정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일관성과 정합성 학습요소의 적절한 시간적 배려 학습자료에 대한 적합한 활용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효과 극대화
  • 27. 수업실연 평가기준 • 형식적 완성도 • 내용 구성의 적합도지도안 • 동기유발, 설명능력 • 진행 및 매체활용능력수업운영 • 언어적 상호작용 • 비언어적 상호작용상호작용
  • 28. 수업실연 채점 기준표 15 15 20 15 15 20 동기유발 능력 개념설명 능력 언어적 상호작용능력 학습활동 운영 자료 및 매체활용 능력 수업운영 능력

Editor's Notes

  1. 그들이 졸업식에서 두부 퍼포먼스를 한 이유 “학생이라는 죄로 ‘학교라는 교도소’, ‘교실이라는 감옥’에 갇혀 ‘출석부라는 죄수명단’에 올라 ‘교복이란 죄수복’을 입고 ‘공부라는 벌’을 받고 ‘졸업이란 석방’을 기다린다.” 학생들 사이에서 많은 공감을 받으며 지금도 인터넷 여기저기에 다양한 버전으로 떠돌고 있는 문구입니다. 입시경쟁을 중심으로 두발복장규제, 체벌, 강제야자… 그리고 수많은 비인간적인 대우들. 많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인권을 무시하고 짓밟고 있는 ‘학교를 감옥’에 빗대어 이야기하곤 합니다. 이러한 표현은 학생들의 인권 현실을 단적으로 드러내주고 있는 것입니다. 아수나로 등 청소년·교육단체에서는 학생들의 인권이 너무나 쉽게 무시당하고 침해당하고 있는 학교의 현실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고자 졸업식 시기에 ‘두부 퍼포먼스’를 진행합니다. 감옥에서 출소하면 두부를 먹는 사회적 관습처럼, 현재 한국의 학교가 감옥과 비슷하며 인권을 유린하는 억압적 공간이라는 것을 고발하는 취지를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