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1
Download to read offline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5, No. 4, pp. 57~77, 2006.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unctional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on Problem 
Behaviors of One Student with Autism and Visual Impairments 
조 정 연* 
Cho, Jung Yeon 
<요 약> 
본 연구는 시각장애와 자폐장애를 수반하고 있는 중복장애아동의 자해, 고함지르기, 
붙잡는 문제행동을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를 통한 감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 
였다. 문제행동의 평가는 간접평가와 직접아동관찰을 통해 자료수집 하였으며, 분석결 
과 관심끌기가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된 관심조건으로 기능 
평가에 근거한 중재가 AB연구 설계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 
었다. 뿐만 아니라 아동의 중재 장면과 중재자의 변화에도 중재효과의 일반화 및 유지 
를 나타내었다. 
핵심어 : 중복장애, 기능평가, 문제행동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현행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진흥법이나 장애인복지법은 중복장애를 특정 장애범 
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중복장애란 그 원인이나 장애유형과 정도에 관계없이 
단일장애를 동시에 두 가지 이상 갖는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중복장애를 구성 
* 대구사이버대학교 상담ㆍ행동치료학과 교수(교신저자 : lovechopo@daegu.ac.kr) 
Department of Counseling-Behavior Therapy, Daegu Cyber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하는 각 단일장애 가운데 주된 장애를 주 장애, 다른 장애를 수반장애라고 불리 
는데, 교육적 조치는 주로 주 장애를 중심으로 준비된다. 따라서 주 장애에 관한 
교육을 지원하다 보니 수반장애에 따른 특성을 간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많 
은 문제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수반장애가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다면 문 
제는 더 심각해 질 수 있다. 
자폐증을 가진 아동들의 특성 중 하나인 문제행동은, 같이 학습하는 동료 학우 
들의 교수-학습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같이 학습할 기회를 제한받게 된다 
(Scheuermann & Webber, 1996; Hendrickson, Gable, Novak & Peck, 
1996). 통합교육 실시에서도 자폐아동들이 갖고 있는 문제행동은 타 장애영역의 
아동들 보다 가장 늦게 시도된 것으로 더 많이 보고되고 있다(Janney & Snell, 
2000). 따라서 이들 아동들이 갖고 있는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중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문제행동의 중재 접근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과거에는 문제행동 
을 유발시키는 원인이나 이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파악하기보다 단순히 문제행동 
의 형태를 찾고 그에 따른 중재절차를 적용하는데 초점을 두었다(Bambara & 
Knoster, 1998). 때문에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근본원인을 찾아내어 중재하기보 
다 문제행동 자체의 감소에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문제행동의 일시적인 감소는 
있었으나, 행동의 지속적인 즉, 중재행동의 유지 또는 일반화에는 실패하였다 
(Scott & Nelson, 1999). 그러므로 문제행동이 발생되어 중재절차를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아 예방을 하거나, 문 
제행동을 지속시키는 요인을 찾아내어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문제행 
동의 형태를 찾고 그에 따른 중재절차를 적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최근에는 기 
능평가에 근거한 행동치료가 요구되어져 왔다(Hieneman & Dunlap, 2001). 
기능평가에 근거한 행동치료란 문제행동과 환경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재절차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Horner & Carr, 1997). 
이는 결국 문제행동이 아무런 이유 없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행동을 유발 
시키고 유지시키는 선행사건 및 후속결과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기능평가를 통해 문제행동과 관련된 선행사건 및 후속결과를 찾아내어 이러한 환 
경변인을 조작하고 중재절차를 개발하여 문제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심한 문 
제행동을 보이는 특수아동들에게 기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 
적 행동지원계획을 수립할 것을 미국장애인교육법(Individual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에서도 명시하고 있다(Heckaman et al., 2000). 
더구나 중복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별도의 학습의 장(場)이 마련되지 않고 있 
는 현 교육환경에서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에게 접근되는 개별중재전략이 같은 
- 58 -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학급의 전체 교육대상아동들과 함께 학습하는 공간에서도, 행동발생 전 예방적 
차원에서의 중재를 강조하는 것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의 학급에 재학 중인 시각장애와 자폐장애를 
수반하고 있는 중복장애 아동이 나타내는 문제행동으로, 수업진행이 원활히 이 
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학급분위기를 흩트려놓는 중복장애 아동이 나타 
내는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사건을 판별하고, 이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일 
반화와 유지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 
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유발에 미치는 효과는 
- 59 - 
무엇인가? 
2)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에 있어 일반화 효과가 유지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아이이다. 미숙아 망 
막증의 원인으로 선천성 전맹(全盲)이며, 소아정신과 의사에 의해 DSM-Ⅳ진단 
기준에 의거한 자폐증 진단을 받은 남자아이로 문제행동이 심각하여 학급 내 학 
습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였다. 따라서 아동의 부모와 담임교사가 의논한 결과 
행동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대상아동의 구체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 
아동은 출산 당시 미숙아로 태어나 인큐베이터에서 2.3개월 동안 생활하였으 
며 이후 미숙아 망막증으로 시각장애 판명을 받게 되었다. 양부모님과 형제는 
위로 중2의 형이 있다. 양육환경으로 어머니께서 전담하여 보육을 담당하였으 
며, 아동이 성장하면서 나타내는 이상행동과 낮은 발달수준은 시각장애로 인한 
영향으로 생각하고 오히려 모든 것을 부모가 도와주며 양육하였다. 현재 아동의 
생활연령은 9.2세이며 신체적으로 건강하다. 언어능력수준은 이리와, 앉아라, 일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어서 등 간단한 행동용어는 이해하며 행동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의미 있는 표현 
언어는 없으나, 기분 좋을 때 이야!! 이야!! 같은 음절을 되풀이해서 말하곤 한 
다. 일상생활능력수준은 대소변을 가리나 착탈의는 도움이 필요하다. 숟가락을 
잡고 입으로 가져갈 수는 있으나 음식물을 뜨지는 못한다. 기타 학습 중 보이는 
행동사항으로 자주 손뼉을 치는 행동을 보이며, 음악소리가 들리면 고개를 끄덕 
이고 박자를 맞추는 듯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2. 연구 장소 
본 연구는 대상아동의 주 장애 교육기관인 시각장애 특수학급의 감각운동 훈 
련실과 아동의 소속 학급에서 실시되었다. 아동이 속한 학급의 구성원은 시각장 
애 아동 4명, 시각장애와 정신지체장애를 수반하는 아동 1명, 시각장애와 자폐 
장애를 수반하는 아동 1명, 전체 6명의 남자아동으로 구성되었다. 학급에는 특 
수교사 1명과 보조교사 1명이 아동들의 학습 및 생활지도를 도와주고 있다. 
3. 표적행동 및 자료수집 
1) 표적행동 
(1) 자해행동 : 자신의 신체특정 부위(눈)를 손가락으로 콕콕 찌르거나, 꾹 
- 60 - 
누르는 행위. 
(2) 고함을 지르는 행동 : 목에 힘을 주어 내는 큰 목소리로 10초 이상 길게 
소리 지르는 행동. 
(3) 붙잡는 행동 :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증이나 혐오감을 느낄 
정도로 상대방의 손, 다리, 머리, 옷, 악세사리 등 손에 잡히는 것은 무엇 
이든 잡고 5분 이상 놓지 않는 행동. 
2) 자료수집 
문제행동은 빈도 측정으로, 관찰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아동을 관찰하고 문제 
행동 발생횟수를 기록하였다. 가설검증기간과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기간에는 
연속 기록법을 적용하였다. 
4. 관찰자간 신뢰도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연구자와 특수교육전공 보조연구자 2명이 참여하였다. 보조연구자 2명은 격 
회기로 번갈아 가면서 참여를 하였다. 표적행동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대상아 
동의 문제행동 발생횟수 기록을 연구자와 관찰자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수행을 
측정하였으며, 관찰자간 신뢰도는 <표 2-1>과 같다. 
표적행동발생 일치횟수 
표적행동발생 일치횟수 +표적행동발생 불일치횟수 
고함을 지르는 
행동 
관찰자간 
신뢰도 
= 
× 100 
신뢰도 평균 96 94 97 95.00 
- 61 - 
<표 2-1> 
표적행동 자해행동 
5. 연구기간 
붙잡는 행동 평균 
2006년 4월 둘째 주부터 5월 3째 주까지, 2교시 40분 수업시간 중 나타난 
문제행동을 일별 기록하여 총 30회 관찰 기록하였다. 
6. 연구절차 
1) 기능평가 
(1) 가설설정 
① 행동평가 
행동평가는 간접평가법과 직접 아동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간접평가는 아동을 
가장 잘 아는 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선행사건과 결과행동에 대한 면접과 
질문지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O'Neill, Horner, Albin, Storey, & Sprague, 
1997). 예를 들면 가장 염려되는 문제행동은 무엇이며, 문제행동이 발생되는 상 
황이나 빈도, 지속시간, 강도, 위험수위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도록 하였다. <표 
2-2>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나타났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표 2-2> 면담결과 제시된 행동평가 
표적행동 정의 빈도 
직접관찰은 아동의 1교시 수업시간 중 30분 동안 실시되었으며(Repp & 
Karsh, 1994), 면담에서 얻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간접평가에서 얻은 정보 확인 및 아동의 문제행동을 유발시키는 선행사건과 
문제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면담과 
직접관찰을 통하여 알아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아동은 다른 사람과 같이 있는 물리적 공간에서 표현되는 언어적, 신체적 반 
응이 사라지는 선행사건으로 인하여 문제행동이 유발된다. 아동은 자신에게 자 
극이 된 주위의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면, 자신의 주위에 누군가가 없고 혼자 있 
다는 생각으로 갑자기 고함을 지르거나 고함소리와 함께 자신을 자해하는 행동 
을 표출한다. 그때 누군가가 아동을 향하여 소리를 내면 아동의 문제행동은 계 
속 지속된다. 상대가 아동에게 소리나 관심을 나타내며 아동에게 다가가면 아동 
은 상대의 신체나 부착물을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이때 붙잡은 형태는 통증 
을 느낄 정도로 악력이 세며, 부착물이 거의 손상될 정도로 세게 잡아 아동의 
행동에 혐오를 느낄 정도였다. 
이같은 선행사건을 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 발생은 어릴 때부터 시각장애로 
인하여 이동이나 활동으로 인한 많은 불편과 어려움이 있어왔다. 때문에 그와 
같은 불안감을 느껴, 자신의 주위에 누군가가 있어 주어 그들로부터 항상 도움 
을 받는 것으로 정서적 안정을 찾고 싶었던 것으로 유인된 행동이다. 따라서 자 
신의 주위에 누군가가 항상 있어야 한다는 심리적 불안감을 표현하고, 자폐아동 
의 언어적 특성으로 원활한 언어표현이 되지 않아 고함이나 자해행동과 같은 행 
동으로 표출이 되었다. 그 때 아동 곁으로 다가서는 사람들을 향하여 자신의 곁 
- 62 - 
자해행동 
자신의 신체특정 부위(눈)를 손가락으로 콕콕 찌르 
거나, 꾹 누르는 행위. 
1~2회/분 
고함을 지르는 
행동 
목에 힘을 주어 내는 큰 목소리로 10초 이상 길게 
소리 지르는 행동. 
1~2회/분 
붙잡는 행동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증이나 혐오감을 
느낄 정도로 상대방의 손, 다리, 머리, 옷, 악세사리 
등 손에 잡히는 것은 무엇이든 잡고 5분 이상 놓지 
않는 행동. 
0.5~1회 
/분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에서 멀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상대의 신체나 부착물을 잡고 놓아주지 않는 행 
동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항상 누군가가 아동의 곁에 붙어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행동을 수정하고자 하였다. 
② 가설 
면담과 직접관찰을 바탕으로 한 기능분석 결과, 아동에게 언어적, 신체적 반응 
이 주어지다 반응이 사라지는 선행사건으로 인하여 아동은 상대의 관심을 끌기 
위해 문제행동을 발생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설정은 면담과 직접 
관찰에 근거하여 설정하였으며, 연구자, 담임교사와 학급 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환경 변인을 고려하였다. 
첫째, 아동의 곁에서 멀어지면 아동은 고함을 지르거나 자해행동과 같은 문제 
행동을 발생한다. 
둘째, 문제행동 발생 시 아동에게 다가가면 아동은 상대를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선행사건에 대한 아동의 행동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결과가 아동에게는 강화 
인이 되어 아동의 문제행동은 점점 더 강화되었다. 
<가설1> ▶선행사건1 - 아동의 곁에서 멀어져 있다. 
▶행동1 - 아동이 고함소리를 내거나 자해행동을 발생한다. 
▶결과1 - 문제행동이 발생할 때 가까이 다가간다. 
뾞 
<가설2> ▶선행사건2 - 문제행동이 발생할 때 가까이 다가간다. 
▶행동2 - 다가온 사람의 신체나 부착물을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결과2 - 계속 아동 곁에서 머문다. 
★성과-아동 곁에서 잠시도 떨어지지 못하게 되고 만약 잠시라도 아동에게서 
멀어지게 되면 아동의 고함소리는 더 커지고 길어지게 될 것이며, 자해행동의 
강도도 더 세질 가능성이 크다. 
가설내용을 시각화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가설 1) 
아동의 곁에서 멀어져 있다. 확인 아동이 고함소리를 내거나 
- 63 - 
자해행동을 발생한다. 
결과 : 문제행동이 발생할 때 가까이 다가간다. 
t표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 64 - 
가설 2) 
문제행동이 발생할 때 즉시 다가온 사람의 신체나 부착물을 
가까이 다가간다.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ννν 
결과 : 계속 아동 곁에서 머문다. 
▼ 
성과 : 아동 곁에서 잠시도 떨어지지 못하게 되고 만약 잠시라도 아동 
에게서 멀어지게 되면 아동의 고함소리는 더 커지고 길어지게 될 것이 
며, 자해행동의 강도도 더 세질 가능성이 크다. 
(2) 가설검증 
기능분석을 통해 설정된 가설은 아동의 표적행동을 무관심과 관심, 두 개의 
조건을 사용하여 가설이 맞는지 검증되었다. 아동의 표적행동을 무관심과 관심, 
두 개의 조건에서 각각 15분 검증, 5분 휴식하였다. 연속 기록법을 사용하였으 
며, 가설검증 회기동안 나타난 표적행동 횟수를 기록하였다. 무관심 조건은 일체 
아동에게 다가가거나 소리를 내는 반응을 하지 않는 것이며, 관심조건은 아동에 
게 다가가서 말을 하거나, 신체적 접촉을 하는 것이다. 
<표 2-3>과 <그림 2-1>에서 표적행동의 발생횟수를 보여주고 있다. 무관심조 
건보다 관심조건이 표적행동을 적게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기초선 단계 
인 무관심 1에서 보여준 표적행동의 평균 발생 19.67회 보다 두 번째 기초선 단 
계인 무관심 2와 3에서 나타난 평균 표적행동은 27회 발생하였다. 중재가 들어간 
관심 1과 관심 2, 관심 3에서는 각 표적행동별 평균 발생이 1회로 나타났다. 
<표 2-3> 관심과 무관심 조건설정에 따른 표적행동 발생빈도 
행동발생빈도 
가설조건 자해 고함지르기 붙잡기 평균 
무관심1 23 19 17 21.00 
관심1 2 2 1 2.00 
무관심2 34 26 21 30.00 
관심2 2 0 1 1.00 
무관심3 31 27 23 29.00 
관심3 2 1 2 1.50 
1j 
~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65 - 
자해 
40 
30 
20 
10 
0 
1 2 3 
발생빈도 
고함지르기 
3 0 
2 5 
2 0 
1 5 
1 0 
5 
0 
1 2 3 
붙잡기 
25 
20 
15 
10 
5 
0 
1 2 3 
무관심 
관심 
<그림 2-1> 무관심과 관심조건에서 나타난 표적행동 발생 
7.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 
1) 독립변인 
본 연구에서 기능평가의 결과를 통해 검증된 조건인“관심”이 독립변인이 되 
었다.“관심”조건은 아동이 문제행동을 하지 않고 손뼉을 치는 행동을 나타내 
면 담임교사가 아동의 이름을 부르거나 발자국소리를 들려주거나 신체접촉 등의 
관심행동을 하는 것이었다. 
▶선행사건-아동의 곁에서 멀어져 있다. 
▶행동-일어서 손뼉을 친다. 
▶결과-아동 곁으로 다가간다. 
▶성과-아동은 누군가가 자신의 곁에 있기를 원하면 표적행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v 
아동의 곁에서 멀어져 있다. 확인 일어서 손뼉을 친다. 
결과 : 아동 곁으로 다가간다. 
▼ 
성과 : 아동은 누군가가 자신의 곁에 있기를 원하면 표적행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 66 - 
2) 연구설계 및 중재절차 
기능평가 분석을 바탕으로 개발된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AB 설계법 
을 사용하였다. 문제행동 중 자해행동은 연구자와 담당교사의 관찰 및 판단결과 
안전 등 다급한 위험요소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표적행동과 같이 중 
재에 들어갈 수 있었다. 
기초선 단계는 1회기에서 6회기이다. 기초선 기간에는 담임교사로 하여금 학 
급의 정해진 수업시간에 같은 반 또래아동들과 같은 공간에서 과제를 할 것을 
요구하였다. 
중재단계는 7회기에서 26회기다. 중재기간 동안에는 기능평가를 통해서 검증 
된 조건인“관심”의 중재가 실시되었다. 아동이 관심을 얻기 위해서는 표적행 
동 대신 아동이 자주 보이는 손뼉 치기 행동이 나타나면 즉시 관심이 주어졌다. 
유지단계는 27회기에서 30회기이다. 유지기간은 중재가 끝난 후 1주일이 지 
난 후 총 4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각 회기는 15분이었다. 담임교사는 중재기 
간 실시한 중재절차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일반화는 간헐적으로 기초선 3회, 중재기간 6회, 유지기 3회 총 12회기에 걸 
쳐 실시되었다. 일반화는 교육장소와 교육자 변경으로 진행하였다. 교육장소는 
대상아동의 주교육 장소인 감각운동 훈련실에서 대상아동의 소속 학급으로 이동 
하여 중재절차를 적용하였으며, 교육자 변경은 아동의 담임교사가 연구자가 실 
시하였던 중재절차를 그대로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2명의 보조교사가 관찰, 기록하였으며, 비디오 촬영은 부모의 동 
의를 얻지 못해 자료로 남기지 못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 
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효과에 있어 일반화와 유지 
가 가능한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유발에 미치는 효과 
아동의 표적행동 자해행동, 고함지르기, 붙잡는 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 
한 결과 관심조건이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같은 관심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조건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에 들어갔다. 결과는 <표 
3-1>와 <그림 3-1>에서 보는 바와 같다. 
기초선 회기동안 발생한 표적행동 발생빈도는 평균 23(범위 11~30)회로 나 
타났다.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를 실시하자 표적행동은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중재 회기동안 표적행동의 평균 발생빈도는 2회(범위 0~24)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가 중단된 후 유지 기간 동안 아동의 표적행동이 평균 발생빈도가 0회로 유 
지기간 동안 아동의 문제행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으며,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3-1> 단계별 표적행동 발생 빈도 
구분 기초선 중재 유지 
- 67 - 
30 
25 
20 
15 
10 
5 
0 
자해행동 고함지르기 붙잡기 
빈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1> 표적행동 평균 발생빈도 
자해행동 
평균 23.67 6.80 0.25 
범위 22~26 0~23 0~1 
고함지르기 
평균 24.83 3.79 0.75 
범위 23~27 0~24 0~1 
붙잡기 
평균 12.67 2.70 0.00 
범위 11~14 0~8 0 
전체 
평균 20.39 6.80 0.25 
범위 11~26 0~24 0~1 
음〕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표 3-2> 회기별 자해행동 발생빈도 변화 
기초선 중재 
회기 1 2 3 4 5 6 평균 7 8 9 10 11 12 13 14 15 16 
발생빈도 23 26 22 24 23 24 23.67 21 23 15 20 11 5 5 4 3 3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중재 유지 
회기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평균 27 28 29 30 평균 
발생빈도 10 4 3 3 1 2 1 0 1 1 6.80 0 1 0 0 0.25 
- 68 - 
1) 자해행동 
대상아동의 자해행동은 <표 3-2>와 <그림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선 
기간에 평균 23회 나타났으나, 중재기간에는 현저하게 낮아져 평균 6회로 기록 
되었다. 차후 유지기간에는 평균 0회로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되었다. 중재초기 
회기에는 아동의 자해행동이 여전히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나, 12회기부터 현저 
하게 발생빈도가 줄었다. 그러다 17회기에 발생빈도가 10회로 갑자기 높아졌다 
가 18회기 이후에는 안정적으로 변화되었다. 
30 
25 
20 
15 
10 
5 
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회기 
빈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2> 회기별 자해행동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표 3-3> 회기별 고함지르는 행동 발생빈도 변화 
기초선 중재 
회기 1 2 3 4 5 6 평균 7 8 9 10 11 12 13 14 15 16 
발생빈도 24 23 24 27 25 26 23.67 24 8 7 7 7 8 6 2 4 5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중재 유지 
회기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평균 27 28 29 30 평균 
발생빈도 4 4 3 1 1 0 1 2 1 1 3.79 1 1 1 0 0.75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 69 - 
2) 고함지르기 
아동의 고함지르기 행동은 <표 3-3>과 <그림 3-3>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 
다. 기초선 기간 동안 평균 24회 발생되었다. 중재가 들어간 7회기에도 여전히 
발생빈도가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냈으나 8회기부터 갑자기 고함지르는 행동이 
줄어들어 중재기간 평균 3회를 기록하였다. 중재기간에 자해행동 17회기 때와 
같은 일시적 폭발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유지기간에는 고함지르는 행동이 거 
의 나타나지 않았다. 
3 0 
2 5 
2 0 
1 5 
1 0 
5 
0 
1 3 5 7 9 1 1 1 3 1 5 1 7 1 9 2 1 2 3 2 5 2 7 2 9 
회 기 
빈도 
기 초 중재 유지 
<그림 3-3> 회기별 고함지르기 
3) 붙잡기 
아동의 붙잡는 행동은 다른 표적행동보다 가장 적게 발생하였다. 기초선 기간 
에 평균 12회 발생하였고, 중재에 들어가서는 평균 2회로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유지기간에는 다른 표적행동과 같이 0회로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표 3-4> 회기별 붙잡는 행동 발생빈도 변화 
기초선 중재 
회기 1 2 3 4 5 6 평균 7 8 9 10 11 12 13 14 15 16 
발생빈도 12 14 12 11 14 13 12.67 8 7 6 7 6 7 5 2 2 1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중재 유지 
회기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평균 27 28 29 30 평균 
발생빈도 1 0 0 0 1 0 1 0 0 0 2.70 0 0 0 0 0.00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 70 - 
16 
14 
12 
10 
8 
6 
4 
2 
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회기 
빈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4> pp 회기별 붙잡기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71 - 
회기별 자해행동 
35 
30 
25 
20 
15 
10 
5 
고함지르는 행동 
30 
25 
20 
15 
10 
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붙잡는 행동 
35 
30 
25 
20 
15 
10 
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5> 단계별 표적행동 발생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 72 - 
2. 일반화 및 유지효과 
일반적인 상황에서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전략을 적용하여 아동의 표적행동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는 <그림 3-6>에서 보는 바와 같다. 중복장애 아동의 
세 가지 표적행동이 중재절차를 거친 장소가 아닌 아동의 소속 학급과 연구자 
대신 담임교사가 지도하는 상황에서 자해행동은 기초선 기간 3회 실시 모두 자 
해행동 빈도가 감각운동 훈련실에서 지도할 때보다 높았다. 중재기간 5회기 까 
지도 일반화상황이 발생빈도가 높게 나왔으나, 중재 6회와 유지기간에는 훈련 
상황과 같이 소속 학급과 담임교사의 지도하에서도 중재의 효과가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고함지르기 행동 역시 기초선과 중재 3회기까지는 훈련 상황보다 잦 
은 빈도의 표적행동을 나타냈으나 중재 4회기부터 표적행동의 감소를 보였으며, 
유지기에는 표적행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붙잡는 행동은 다른 표적행동과 달리 
훈련 상황과 같은 중재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일반화 효과를 보였다고 볼 수 
있다.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 
‘... • ‘、• 
• 
- 73 - 
회기별 자해행동 
35 
30 
25 
20 
15 
10 
5 
고함지르는 행동 
35 
30 
25 
20 
15 
10 
5 
0 
x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붙잡는 행동 
35 
30 
25 
20 
15 
10 
5 
0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6> 일반화 기간 표적행동 발생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Ⅳ. 논 의 
본 연구는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를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Cowick & Storey, 2000; Dunlap & Fox, 1999; 
Iwata, Dorsey, Slifer, Bauman, & Richman, 1982)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 참 
여한 중복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도 감소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중재가 적용되 
지 않은 아동의 소속 학급과 담임교사를 통해서도 연구자가 감각운동 훈련실에 
서 실시한 중재상황과 같은 행동변화가 나타나는 일반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시각과 자폐장애를 가진 중복장애 아동으로, 왕성한 활 
동시기에 시각장애로 인해 이동상에 많은 위험상황을 직면하였다 때문에 불안 
심리 요인으로 아동은 자신의 주변에 항상 누군가의 관심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는 사실은 기능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면접과, 질문지를 통한 간접평가 자료, 직 
접 아동 관찰을 통한 다면적 행동평가의 실시로 알 수 있었다. 
중재에 들어간 아동의 문제행동은 유형별로 중재효과가 달랐다. 고함지르기와 
붙잡기 행동은 중재가 시작되면서 표적행동의 감소효과 확실하게 차이가 났다. 
그러나 자해행동은 중재기간에 기초선회기의 빈도기록보다는 감소하였으나. 중 
재초기에는 중재의 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났다. 중재 12회기부터 감소효과를 보 
이던 자해행동이 17회기에는 소거폭발현상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18회기부터 
유지기까지 중재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문제행동을 통해 자신의 의사전달과 요구를 충족한 것으로 보이는 대상아동에 
게 있어 중재기간에 자해행동이 다른 두 유형의 문제행동보다 더 길게 나타난 
것은 고함지르기와 붙잡기 행동 보다 자해행동이 과거 경험에서 더 효율적으로 
타인의 관심을 끌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앞으로는 아동이 기분 좋을 때 나타내 
는 손뼉 치기뿐 아니라, 아동이 할 수 있는 의사전달기능 대체행동 훈련을 해야 
할 것이다.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인 일반화효과의 유지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실이라는 제 
한된 공간에서 행동중재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아동이 익숙하게 활동하는 장 
면 즉, 아동이 학습하는 학교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실시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기능평가를 통한 중재 이전에는 아동의 문제행동으로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소속 
학급에서 같은 반 친구들과 원만한 학습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로 지금은 같은 반 아이들과 함께 참여하는 중재행동의 일반화가 이 
루어졌다는 것이다. 또 연구자가 실시한 중재 효과가 계속 아동을 지도하게 될 
- 74 -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담임교사의 중재실시에도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문제행동을 하는 아동들에게는 그들이 나타내는 문제행동에 
는 나름대로의 기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제행동만을 부각시켜 
문제행동감소 자체에 초점을 두기보다 문제행동이 내포하고 있는 기능을 분석하 
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능분석을 위해서는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사건을 
기능평가를 통해 발견하고, 아동의 문제행동 접근에 중재를 실행하는 것이 요구 
된다 하겠다. 그리고 기능평가에 의한 중재를 위한 철저한 자료수집과 아동의 행 
동변화에 대한 관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미선, 송준만 (2004).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차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고 
- 75 - 
찰. 특수교육, 3(1), 31-55. 
안병환 외 (2003). 행동수정. 서울 : 시그마프레스. 
정대영 (2001). 문제행동의 기능평가와 행동지원. 서울 : 양서원. 
Bambara, L. M., & Knoster, T. (1998). Design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plans, Innovations(Monograph No. 13). Washington, DC :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Cowick, B., & Stirey, K. (2000). An analysis of functional assessment in 
relation to students with serious emotional and behaviour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47(1), 
55-75. 
Dunlap, G., & Fox, L. (1999). A demonstration of behavioral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1(2), 77-87. 
Janney, R., & Snell, M. E. (2000). Behavioral support. Baltimore : Paul 
H. Bookes. 
Heckaman, K., Conroy, M., Fox, & J. Chait, A. (2000). Functional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research on students with or at 
risk 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school setting. 
Behavioral Disorders, 25(3), 196-210. 
Hendrickson, J., Gable, R., Novak, C., & Peck, S. (1996). Functional 
assessment as strategy assessment for teaching academics. Education
特殊敎育再活科學(第45券第4號2006) 
and Treatment of Childten, 19, 257-271. 
Hieneman, M., & Dunlap, G. (1999). Issues and challenges in implementing 
community-based behavioral support for two boys with severe 
behavioral support for two boys with severe behavioral difficulties. 
In J. R. Scotti & L. H. Meyer(Eds.), Behavior intervention : 
Principles, models, and practices. Baltimore : Books. 363-384. 
Hieneman, M., & Dunlap, G. (2001).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s of 
community-based behavioral support : Ⅱ. Factor category importance.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3(2), 67-74. 
Horner, R. H., & Carr, E. G. (1997). Behavior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 Functional assessment and comprehensive interventio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1, 84-104. 
Iwata, B. A., Dorsey, M. F., Slifer, K. J., Bauman, K. E., & Richman, G. 
S. (1982). Toward a functional analysis of self-injury. Analysis 
and Intervention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 3-20. 
O'Neill, R. E., Horner, R. H., Albin, R. W., Sprague, J. R., Storey, K., & 
Newton, J. S. (1997). Functional assessment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roblem behavior : A practical handbook. Pacific Grove, CA : 
Books/Cole. 
Repp, A. C., & Karsh, K. G. (1994). Hypothesis-based interventions 
for tantrum behavior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chool setting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7, 
21-31 
Scheuermann, B., & Webber, J. (1996). Level systems : Problems and 
solutions. Beyond Behavior, 7, 12-17. 
Schreibman, L. (1975). Effects of within-stimulus and extra-stimulus 
prompting on discrimination learning in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8, 91-112. 
Scott, T. M., & Nelson, C. M. (1999).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 Implications for training and staff development. Behavioral 
Disorders, 24, 249-252. 
- 76 -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Abstract> 
The Effects of Functional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on Problem 
Behaviors of One Student with Autism and Visual Impairments 
Cho, Jung Y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unctional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on the problem behaviors 
such as self-injury, screaming, seizing of children with autism and 
visual impairments. In terms of the assessment of problem behavior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rect assessment and direct 
observation on children,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ttraction of 
interest caused the problem behaviors. The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as hypothetically verified interest criteria was 
performed as AB research desig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a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intervention effects appeared also in the interventional scene of children 
and change of moderators. 
Key words : children with autism and visual impairments, functional 
assessment, problem behavior 
논문접수 : 2006. 11. 6 / 수정본 접수 : 2006. 12. 5 / 게재 승인 : 2006. 12. 8 
- 77 -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조정연 2006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_중복장애아동의_문제행동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혜원 정
 
학령기 문제행동
학령기 문제행동학령기 문제행동
학령기 문제행동ChansunP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정대영 2005 행동중재
정대영 2005 행동중재정대영 2005 행동중재
정대영 2005 행동중재혜원 정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Jeon Hye Young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혜원 정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혜원 정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혜원 정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21ERICK
 

Similar to 조정연 2006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_중복장애아동의_문제행동에_미치는_효과 (20)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학령기 문제행동
학령기 문제행동학령기 문제행동
학령기 문제행동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정대영 2005 행동중재
정대영 2005 행동중재정대영 2005 행동중재
정대영 2005 행동중재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행동열차최종
행동열차최종행동열차최종
행동열차최종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조정연 2006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_중복장애아동의_문제행동에_미치는_효과

  •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5, No. 4, pp. 57~77, 2006.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unctional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on Problem Behaviors of One Student with Autism and Visual Impairments 조 정 연* Cho, Jung Yeon <요 약> 본 연구는 시각장애와 자폐장애를 수반하고 있는 중복장애아동의 자해, 고함지르기, 붙잡는 문제행동을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를 통한 감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 였다. 문제행동의 평가는 간접평가와 직접아동관찰을 통해 자료수집 하였으며, 분석결 과 관심끌기가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된 관심조건으로 기능 평가에 근거한 중재가 AB연구 설계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 었다. 뿐만 아니라 아동의 중재 장면과 중재자의 변화에도 중재효과의 일반화 및 유지 를 나타내었다. 핵심어 : 중복장애, 기능평가, 문제행동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현행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진흥법이나 장애인복지법은 중복장애를 특정 장애범 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중복장애란 그 원인이나 장애유형과 정도에 관계없이 단일장애를 동시에 두 가지 이상 갖는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중복장애를 구성 * 대구사이버대학교 상담ㆍ행동치료학과 교수(교신저자 : lovechopo@daegu.ac.kr) Department of Counseling-Behavior Therapy, Daegu Cyber University
  •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하는 각 단일장애 가운데 주된 장애를 주 장애, 다른 장애를 수반장애라고 불리 는데, 교육적 조치는 주로 주 장애를 중심으로 준비된다. 따라서 주 장애에 관한 교육을 지원하다 보니 수반장애에 따른 특성을 간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많 은 문제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수반장애가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다면 문 제는 더 심각해 질 수 있다. 자폐증을 가진 아동들의 특성 중 하나인 문제행동은, 같이 학습하는 동료 학우 들의 교수-학습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같이 학습할 기회를 제한받게 된다 (Scheuermann & Webber, 1996; Hendrickson, Gable, Novak & Peck, 1996). 통합교육 실시에서도 자폐아동들이 갖고 있는 문제행동은 타 장애영역의 아동들 보다 가장 늦게 시도된 것으로 더 많이 보고되고 있다(Janney & Snell, 2000). 따라서 이들 아동들이 갖고 있는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중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문제행동의 중재 접근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과거에는 문제행동 을 유발시키는 원인이나 이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파악하기보다 단순히 문제행동 의 형태를 찾고 그에 따른 중재절차를 적용하는데 초점을 두었다(Bambara & Knoster, 1998). 때문에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근본원인을 찾아내어 중재하기보 다 문제행동 자체의 감소에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문제행동의 일시적인 감소는 있었으나, 행동의 지속적인 즉, 중재행동의 유지 또는 일반화에는 실패하였다 (Scott & Nelson, 1999). 그러므로 문제행동이 발생되어 중재절차를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아 예방을 하거나, 문 제행동을 지속시키는 요인을 찾아내어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문제행 동의 형태를 찾고 그에 따른 중재절차를 적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최근에는 기 능평가에 근거한 행동치료가 요구되어져 왔다(Hieneman & Dunlap, 2001). 기능평가에 근거한 행동치료란 문제행동과 환경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재절차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Horner & Carr, 1997). 이는 결국 문제행동이 아무런 이유 없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행동을 유발 시키고 유지시키는 선행사건 및 후속결과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기능평가를 통해 문제행동과 관련된 선행사건 및 후속결과를 찾아내어 이러한 환 경변인을 조작하고 중재절차를 개발하여 문제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심한 문 제행동을 보이는 특수아동들에게 기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 적 행동지원계획을 수립할 것을 미국장애인교육법(Individual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에서도 명시하고 있다(Heckaman et al., 2000). 더구나 중복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별도의 학습의 장(場)이 마련되지 않고 있 는 현 교육환경에서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에게 접근되는 개별중재전략이 같은 - 58 -
  • 3.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학급의 전체 교육대상아동들과 함께 학습하는 공간에서도, 행동발생 전 예방적 차원에서의 중재를 강조하는 것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의 학급에 재학 중인 시각장애와 자폐장애를 수반하고 있는 중복장애 아동이 나타내는 문제행동으로, 수업진행이 원활히 이 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학급분위기를 흩트려놓는 중복장애 아동이 나타 내는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사건을 판별하고, 이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일 반화와 유지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 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유발에 미치는 효과는 - 59 - 무엇인가? 2)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에 있어 일반화 효과가 유지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아이이다. 미숙아 망 막증의 원인으로 선천성 전맹(全盲)이며, 소아정신과 의사에 의해 DSM-Ⅳ진단 기준에 의거한 자폐증 진단을 받은 남자아이로 문제행동이 심각하여 학급 내 학 습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였다. 따라서 아동의 부모와 담임교사가 의논한 결과 행동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대상아동의 구체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 아동은 출산 당시 미숙아로 태어나 인큐베이터에서 2.3개월 동안 생활하였으 며 이후 미숙아 망막증으로 시각장애 판명을 받게 되었다. 양부모님과 형제는 위로 중2의 형이 있다. 양육환경으로 어머니께서 전담하여 보육을 담당하였으 며, 아동이 성장하면서 나타내는 이상행동과 낮은 발달수준은 시각장애로 인한 영향으로 생각하고 오히려 모든 것을 부모가 도와주며 양육하였다. 현재 아동의 생활연령은 9.2세이며 신체적으로 건강하다. 언어능력수준은 이리와, 앉아라, 일
  • 4.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어서 등 간단한 행동용어는 이해하며 행동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의미 있는 표현 언어는 없으나, 기분 좋을 때 이야!! 이야!! 같은 음절을 되풀이해서 말하곤 한 다. 일상생활능력수준은 대소변을 가리나 착탈의는 도움이 필요하다. 숟가락을 잡고 입으로 가져갈 수는 있으나 음식물을 뜨지는 못한다. 기타 학습 중 보이는 행동사항으로 자주 손뼉을 치는 행동을 보이며, 음악소리가 들리면 고개를 끄덕 이고 박자를 맞추는 듯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2. 연구 장소 본 연구는 대상아동의 주 장애 교육기관인 시각장애 특수학급의 감각운동 훈 련실과 아동의 소속 학급에서 실시되었다. 아동이 속한 학급의 구성원은 시각장 애 아동 4명, 시각장애와 정신지체장애를 수반하는 아동 1명, 시각장애와 자폐 장애를 수반하는 아동 1명, 전체 6명의 남자아동으로 구성되었다. 학급에는 특 수교사 1명과 보조교사 1명이 아동들의 학습 및 생활지도를 도와주고 있다. 3. 표적행동 및 자료수집 1) 표적행동 (1) 자해행동 : 자신의 신체특정 부위(눈)를 손가락으로 콕콕 찌르거나, 꾹 - 60 - 누르는 행위. (2) 고함을 지르는 행동 : 목에 힘을 주어 내는 큰 목소리로 10초 이상 길게 소리 지르는 행동. (3) 붙잡는 행동 :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증이나 혐오감을 느낄 정도로 상대방의 손, 다리, 머리, 옷, 악세사리 등 손에 잡히는 것은 무엇 이든 잡고 5분 이상 놓지 않는 행동. 2) 자료수집 문제행동은 빈도 측정으로, 관찰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아동을 관찰하고 문제 행동 발생횟수를 기록하였다. 가설검증기간과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기간에는 연속 기록법을 적용하였다. 4. 관찰자간 신뢰도
  • 5.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연구자와 특수교육전공 보조연구자 2명이 참여하였다. 보조연구자 2명은 격 회기로 번갈아 가면서 참여를 하였다. 표적행동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대상아 동의 문제행동 발생횟수 기록을 연구자와 관찰자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수행을 측정하였으며, 관찰자간 신뢰도는 <표 2-1>과 같다. 표적행동발생 일치횟수 표적행동발생 일치횟수 +표적행동발생 불일치횟수 고함을 지르는 행동 관찰자간 신뢰도 = × 100 신뢰도 평균 96 94 97 95.00 - 61 - <표 2-1> 표적행동 자해행동 5. 연구기간 붙잡는 행동 평균 2006년 4월 둘째 주부터 5월 3째 주까지, 2교시 40분 수업시간 중 나타난 문제행동을 일별 기록하여 총 30회 관찰 기록하였다. 6. 연구절차 1) 기능평가 (1) 가설설정 ① 행동평가 행동평가는 간접평가법과 직접 아동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간접평가는 아동을 가장 잘 아는 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선행사건과 결과행동에 대한 면접과 질문지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O'Neill, Horner, Albin, Storey, & Sprague, 1997). 예를 들면 가장 염려되는 문제행동은 무엇이며, 문제행동이 발생되는 상 황이나 빈도, 지속시간, 강도, 위험수위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도록 하였다. <표 2-2>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나타났다.
  • 6.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표 2-2> 면담결과 제시된 행동평가 표적행동 정의 빈도 직접관찰은 아동의 1교시 수업시간 중 30분 동안 실시되었으며(Repp & Karsh, 1994), 면담에서 얻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간접평가에서 얻은 정보 확인 및 아동의 문제행동을 유발시키는 선행사건과 문제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면담과 직접관찰을 통하여 알아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아동은 다른 사람과 같이 있는 물리적 공간에서 표현되는 언어적, 신체적 반 응이 사라지는 선행사건으로 인하여 문제행동이 유발된다. 아동은 자신에게 자 극이 된 주위의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면, 자신의 주위에 누군가가 없고 혼자 있 다는 생각으로 갑자기 고함을 지르거나 고함소리와 함께 자신을 자해하는 행동 을 표출한다. 그때 누군가가 아동을 향하여 소리를 내면 아동의 문제행동은 계 속 지속된다. 상대가 아동에게 소리나 관심을 나타내며 아동에게 다가가면 아동 은 상대의 신체나 부착물을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이때 붙잡은 형태는 통증 을 느낄 정도로 악력이 세며, 부착물이 거의 손상될 정도로 세게 잡아 아동의 행동에 혐오를 느낄 정도였다. 이같은 선행사건을 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 발생은 어릴 때부터 시각장애로 인하여 이동이나 활동으로 인한 많은 불편과 어려움이 있어왔다. 때문에 그와 같은 불안감을 느껴, 자신의 주위에 누군가가 있어 주어 그들로부터 항상 도움 을 받는 것으로 정서적 안정을 찾고 싶었던 것으로 유인된 행동이다. 따라서 자 신의 주위에 누군가가 항상 있어야 한다는 심리적 불안감을 표현하고, 자폐아동 의 언어적 특성으로 원활한 언어표현이 되지 않아 고함이나 자해행동과 같은 행 동으로 표출이 되었다. 그 때 아동 곁으로 다가서는 사람들을 향하여 자신의 곁 - 62 - 자해행동 자신의 신체특정 부위(눈)를 손가락으로 콕콕 찌르 거나, 꾹 누르는 행위. 1~2회/분 고함을 지르는 행동 목에 힘을 주어 내는 큰 목소리로 10초 이상 길게 소리 지르는 행동. 1~2회/분 붙잡는 행동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증이나 혐오감을 느낄 정도로 상대방의 손, 다리, 머리, 옷, 악세사리 등 손에 잡히는 것은 무엇이든 잡고 5분 이상 놓지 않는 행동. 0.5~1회 /분
  • 7.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에서 멀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상대의 신체나 부착물을 잡고 놓아주지 않는 행 동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항상 누군가가 아동의 곁에 붙어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행동을 수정하고자 하였다. ② 가설 면담과 직접관찰을 바탕으로 한 기능분석 결과, 아동에게 언어적, 신체적 반응 이 주어지다 반응이 사라지는 선행사건으로 인하여 아동은 상대의 관심을 끌기 위해 문제행동을 발생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설정은 면담과 직접 관찰에 근거하여 설정하였으며, 연구자, 담임교사와 학급 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환경 변인을 고려하였다. 첫째, 아동의 곁에서 멀어지면 아동은 고함을 지르거나 자해행동과 같은 문제 행동을 발생한다. 둘째, 문제행동 발생 시 아동에게 다가가면 아동은 상대를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선행사건에 대한 아동의 행동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결과가 아동에게는 강화 인이 되어 아동의 문제행동은 점점 더 강화되었다. <가설1> ▶선행사건1 - 아동의 곁에서 멀어져 있다. ▶행동1 - 아동이 고함소리를 내거나 자해행동을 발생한다. ▶결과1 - 문제행동이 발생할 때 가까이 다가간다. 뾞 <가설2> ▶선행사건2 - 문제행동이 발생할 때 가까이 다가간다. ▶행동2 - 다가온 사람의 신체나 부착물을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결과2 - 계속 아동 곁에서 머문다. ★성과-아동 곁에서 잠시도 떨어지지 못하게 되고 만약 잠시라도 아동에게서 멀어지게 되면 아동의 고함소리는 더 커지고 길어지게 될 것이며, 자해행동의 강도도 더 세질 가능성이 크다. 가설내용을 시각화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가설 1) 아동의 곁에서 멀어져 있다. 확인 아동이 고함소리를 내거나 - 63 - 자해행동을 발생한다. 결과 : 문제행동이 발생할 때 가까이 다가간다. t표
  • 8.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 64 - 가설 2) 문제행동이 발생할 때 즉시 다가온 사람의 신체나 부착물을 가까이 다가간다.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ννν 결과 : 계속 아동 곁에서 머문다. ▼ 성과 : 아동 곁에서 잠시도 떨어지지 못하게 되고 만약 잠시라도 아동 에게서 멀어지게 되면 아동의 고함소리는 더 커지고 길어지게 될 것이 며, 자해행동의 강도도 더 세질 가능성이 크다. (2) 가설검증 기능분석을 통해 설정된 가설은 아동의 표적행동을 무관심과 관심, 두 개의 조건을 사용하여 가설이 맞는지 검증되었다. 아동의 표적행동을 무관심과 관심, 두 개의 조건에서 각각 15분 검증, 5분 휴식하였다. 연속 기록법을 사용하였으 며, 가설검증 회기동안 나타난 표적행동 횟수를 기록하였다. 무관심 조건은 일체 아동에게 다가가거나 소리를 내는 반응을 하지 않는 것이며, 관심조건은 아동에 게 다가가서 말을 하거나, 신체적 접촉을 하는 것이다. <표 2-3>과 <그림 2-1>에서 표적행동의 발생횟수를 보여주고 있다. 무관심조 건보다 관심조건이 표적행동을 적게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기초선 단계 인 무관심 1에서 보여준 표적행동의 평균 발생 19.67회 보다 두 번째 기초선 단 계인 무관심 2와 3에서 나타난 평균 표적행동은 27회 발생하였다. 중재가 들어간 관심 1과 관심 2, 관심 3에서는 각 표적행동별 평균 발생이 1회로 나타났다. <표 2-3> 관심과 무관심 조건설정에 따른 표적행동 발생빈도 행동발생빈도 가설조건 자해 고함지르기 붙잡기 평균 무관심1 23 19 17 21.00 관심1 2 2 1 2.00 무관심2 34 26 21 30.00 관심2 2 0 1 1.00 무관심3 31 27 23 29.00 관심3 2 1 2 1.50 1j ~
  • 9.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65 - 자해 40 30 20 10 0 1 2 3 발생빈도 고함지르기 3 0 2 5 2 0 1 5 1 0 5 0 1 2 3 붙잡기 25 20 15 10 5 0 1 2 3 무관심 관심 <그림 2-1> 무관심과 관심조건에서 나타난 표적행동 발생 7.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 1) 독립변인 본 연구에서 기능평가의 결과를 통해 검증된 조건인“관심”이 독립변인이 되 었다.“관심”조건은 아동이 문제행동을 하지 않고 손뼉을 치는 행동을 나타내 면 담임교사가 아동의 이름을 부르거나 발자국소리를 들려주거나 신체접촉 등의 관심행동을 하는 것이었다. ▶선행사건-아동의 곁에서 멀어져 있다. ▶행동-일어서 손뼉을 친다. ▶결과-아동 곁으로 다가간다. ▶성과-아동은 누군가가 자신의 곁에 있기를 원하면 표적행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v 아동의 곁에서 멀어져 있다. 확인 일어서 손뼉을 친다. 결과 : 아동 곁으로 다가간다. ▼ 성과 : 아동은 누군가가 자신의 곁에 있기를 원하면 표적행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 10.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 66 - 2) 연구설계 및 중재절차 기능평가 분석을 바탕으로 개발된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AB 설계법 을 사용하였다. 문제행동 중 자해행동은 연구자와 담당교사의 관찰 및 판단결과 안전 등 다급한 위험요소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표적행동과 같이 중 재에 들어갈 수 있었다. 기초선 단계는 1회기에서 6회기이다. 기초선 기간에는 담임교사로 하여금 학 급의 정해진 수업시간에 같은 반 또래아동들과 같은 공간에서 과제를 할 것을 요구하였다. 중재단계는 7회기에서 26회기다. 중재기간 동안에는 기능평가를 통해서 검증 된 조건인“관심”의 중재가 실시되었다. 아동이 관심을 얻기 위해서는 표적행 동 대신 아동이 자주 보이는 손뼉 치기 행동이 나타나면 즉시 관심이 주어졌다. 유지단계는 27회기에서 30회기이다. 유지기간은 중재가 끝난 후 1주일이 지 난 후 총 4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각 회기는 15분이었다. 담임교사는 중재기 간 실시한 중재절차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일반화는 간헐적으로 기초선 3회, 중재기간 6회, 유지기 3회 총 12회기에 걸 쳐 실시되었다. 일반화는 교육장소와 교육자 변경으로 진행하였다. 교육장소는 대상아동의 주교육 장소인 감각운동 훈련실에서 대상아동의 소속 학급으로 이동 하여 중재절차를 적용하였으며, 교육자 변경은 아동의 담임교사가 연구자가 실 시하였던 중재절차를 그대로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2명의 보조교사가 관찰, 기록하였으며, 비디오 촬영은 부모의 동 의를 얻지 못해 자료로 남기지 못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 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효과에 있어 일반화와 유지 가 가능한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유발에 미치는 효과 아동의 표적행동 자해행동, 고함지르기, 붙잡는 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 한 결과 관심조건이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같은 관심
  • 11.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조건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에 들어갔다. 결과는 <표 3-1>와 <그림 3-1>에서 보는 바와 같다. 기초선 회기동안 발생한 표적행동 발생빈도는 평균 23(범위 11~30)회로 나 타났다.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를 실시하자 표적행동은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중재 회기동안 표적행동의 평균 발생빈도는 2회(범위 0~24)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가 중단된 후 유지 기간 동안 아동의 표적행동이 평균 발생빈도가 0회로 유 지기간 동안 아동의 문제행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으며,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3-1> 단계별 표적행동 발생 빈도 구분 기초선 중재 유지 - 67 - 30 25 20 15 10 5 0 자해행동 고함지르기 붙잡기 빈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1> 표적행동 평균 발생빈도 자해행동 평균 23.67 6.80 0.25 범위 22~26 0~23 0~1 고함지르기 평균 24.83 3.79 0.75 범위 23~27 0~24 0~1 붙잡기 평균 12.67 2.70 0.00 범위 11~14 0~8 0 전체 평균 20.39 6.80 0.25 범위 11~26 0~24 0~1 음〕
  • 1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표 3-2> 회기별 자해행동 발생빈도 변화 기초선 중재 회기 1 2 3 4 5 6 평균 7 8 9 10 11 12 13 14 15 16 발생빈도 23 26 22 24 23 24 23.67 21 23 15 20 11 5 5 4 3 3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중재 유지 회기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평균 27 28 29 30 평균 발생빈도 10 4 3 3 1 2 1 0 1 1 6.80 0 1 0 0 0.25 - 68 - 1) 자해행동 대상아동의 자해행동은 <표 3-2>와 <그림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선 기간에 평균 23회 나타났으나, 중재기간에는 현저하게 낮아져 평균 6회로 기록 되었다. 차후 유지기간에는 평균 0회로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되었다. 중재초기 회기에는 아동의 자해행동이 여전히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나, 12회기부터 현저 하게 발생빈도가 줄었다. 그러다 17회기에 발생빈도가 10회로 갑자기 높아졌다 가 18회기 이후에는 안정적으로 변화되었다. 30 25 20 15 10 5 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회기 빈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2> 회기별 자해행동
  • 13.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표 3-3> 회기별 고함지르는 행동 발생빈도 변화 기초선 중재 회기 1 2 3 4 5 6 평균 7 8 9 10 11 12 13 14 15 16 발생빈도 24 23 24 27 25 26 23.67 24 8 7 7 7 8 6 2 4 5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중재 유지 회기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평균 27 28 29 30 평균 발생빈도 4 4 3 1 1 0 1 2 1 1 3.79 1 1 1 0 0.75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 69 - 2) 고함지르기 아동의 고함지르기 행동은 <표 3-3>과 <그림 3-3>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 다. 기초선 기간 동안 평균 24회 발생되었다. 중재가 들어간 7회기에도 여전히 발생빈도가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냈으나 8회기부터 갑자기 고함지르는 행동이 줄어들어 중재기간 평균 3회를 기록하였다. 중재기간에 자해행동 17회기 때와 같은 일시적 폭발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유지기간에는 고함지르는 행동이 거 의 나타나지 않았다. 3 0 2 5 2 0 1 5 1 0 5 0 1 3 5 7 9 1 1 1 3 1 5 1 7 1 9 2 1 2 3 2 5 2 7 2 9 회 기 빈도 기 초 중재 유지 <그림 3-3> 회기별 고함지르기 3) 붙잡기 아동의 붙잡는 행동은 다른 표적행동보다 가장 적게 발생하였다. 기초선 기간 에 평균 12회 발생하였고, 중재에 들어가서는 평균 2회로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유지기간에는 다른 표적행동과 같이 0회로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 14.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표 3-4> 회기별 붙잡는 행동 발생빈도 변화 기초선 중재 회기 1 2 3 4 5 6 평균 7 8 9 10 11 12 13 14 15 16 발생빈도 12 14 12 11 14 13 12.67 8 7 6 7 6 7 5 2 2 1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중재 유지 회기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평균 27 28 29 30 평균 발생빈도 1 0 0 0 1 0 1 0 0 0 2.70 0 0 0 0 0.00 l I I I I I I I I I I I I I I I - 70 - 16 14 12 10 8 6 4 2 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회기 빈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4> pp 회기별 붙잡기
  • 15.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71 - 회기별 자해행동 35 30 25 20 15 10 5 고함지르는 행동 30 25 20 15 10 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붙잡는 행동 35 30 25 20 15 10 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5> 단계별 표적행동 발생
  • 16.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 72 - 2. 일반화 및 유지효과 일반적인 상황에서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전략을 적용하여 아동의 표적행동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는 <그림 3-6>에서 보는 바와 같다. 중복장애 아동의 세 가지 표적행동이 중재절차를 거친 장소가 아닌 아동의 소속 학급과 연구자 대신 담임교사가 지도하는 상황에서 자해행동은 기초선 기간 3회 실시 모두 자 해행동 빈도가 감각운동 훈련실에서 지도할 때보다 높았다. 중재기간 5회기 까 지도 일반화상황이 발생빈도가 높게 나왔으나, 중재 6회와 유지기간에는 훈련 상황과 같이 소속 학급과 담임교사의 지도하에서도 중재의 효과가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고함지르기 행동 역시 기초선과 중재 3회기까지는 훈련 상황보다 잦 은 빈도의 표적행동을 나타냈으나 중재 4회기부터 표적행동의 감소를 보였으며, 유지기에는 표적행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붙잡는 행동은 다른 표적행동과 달리 훈련 상황과 같은 중재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일반화 효과를 보였다고 볼 수 있다.
  • 17.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 ‘... • ‘、• • - 73 - 회기별 자해행동 35 30 25 20 15 10 5 고함지르는 행동 35 30 25 20 15 10 5 0 x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붙잡는 행동 35 30 25 20 15 10 5 0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기 발 생 빈 도 기초선 중재 유지 <그림 3-6> 일반화 기간 표적행동 발생
  • 18.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5卷第4號) Ⅳ. 논 의 본 연구는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를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Cowick & Storey, 2000; Dunlap & Fox, 1999; Iwata, Dorsey, Slifer, Bauman, & Richman, 1982)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 참 여한 중복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도 감소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중재가 적용되 지 않은 아동의 소속 학급과 담임교사를 통해서도 연구자가 감각운동 훈련실에 서 실시한 중재상황과 같은 행동변화가 나타나는 일반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시각과 자폐장애를 가진 중복장애 아동으로, 왕성한 활 동시기에 시각장애로 인해 이동상에 많은 위험상황을 직면하였다 때문에 불안 심리 요인으로 아동은 자신의 주변에 항상 누군가의 관심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는 사실은 기능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면접과, 질문지를 통한 간접평가 자료, 직 접 아동 관찰을 통한 다면적 행동평가의 실시로 알 수 있었다. 중재에 들어간 아동의 문제행동은 유형별로 중재효과가 달랐다. 고함지르기와 붙잡기 행동은 중재가 시작되면서 표적행동의 감소효과 확실하게 차이가 났다. 그러나 자해행동은 중재기간에 기초선회기의 빈도기록보다는 감소하였으나. 중 재초기에는 중재의 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났다. 중재 12회기부터 감소효과를 보 이던 자해행동이 17회기에는 소거폭발현상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18회기부터 유지기까지 중재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문제행동을 통해 자신의 의사전달과 요구를 충족한 것으로 보이는 대상아동에 게 있어 중재기간에 자해행동이 다른 두 유형의 문제행동보다 더 길게 나타난 것은 고함지르기와 붙잡기 행동 보다 자해행동이 과거 경험에서 더 효율적으로 타인의 관심을 끌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앞으로는 아동이 기분 좋을 때 나타내 는 손뼉 치기뿐 아니라, 아동이 할 수 있는 의사전달기능 대체행동 훈련을 해야 할 것이다.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인 일반화효과의 유지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실이라는 제 한된 공간에서 행동중재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아동이 익숙하게 활동하는 장 면 즉, 아동이 학습하는 학교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실시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기능평가를 통한 중재 이전에는 아동의 문제행동으로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소속 학급에서 같은 반 친구들과 원만한 학습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로 지금은 같은 반 아이들과 함께 참여하는 중재행동의 일반화가 이 루어졌다는 것이다. 또 연구자가 실시한 중재 효과가 계속 아동을 지도하게 될 - 74 -
  • 19.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담임교사의 중재실시에도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문제행동을 하는 아동들에게는 그들이 나타내는 문제행동에 는 나름대로의 기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제행동만을 부각시켜 문제행동감소 자체에 초점을 두기보다 문제행동이 내포하고 있는 기능을 분석하 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능분석을 위해서는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사건을 기능평가를 통해 발견하고, 아동의 문제행동 접근에 중재를 실행하는 것이 요구 된다 하겠다. 그리고 기능평가에 의한 중재를 위한 철저한 자료수집과 아동의 행 동변화에 대한 관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미선, 송준만 (2004).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차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고 - 75 - 찰. 특수교육, 3(1), 31-55. 안병환 외 (2003). 행동수정. 서울 : 시그마프레스. 정대영 (2001). 문제행동의 기능평가와 행동지원. 서울 : 양서원. Bambara, L. M., & Knoster, T. (1998). Design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plans, Innovations(Monograph No. 13). Washington, DC :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Cowick, B., & Stirey, K. (2000). An analysis of functional assessment in relation to students with serious emotional and behaviour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47(1), 55-75. Dunlap, G., & Fox, L. (1999). A demonstration of behavioral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1(2), 77-87. Janney, R., & Snell, M. E. (2000). Behavioral support. Baltimore : Paul H. Bookes. Heckaman, K., Conroy, M., Fox, & J. Chait, A. (2000). Functional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research on students with or at risk 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school setting. Behavioral Disorders, 25(3), 196-210. Hendrickson, J., Gable, R., Novak, C., & Peck, S. (1996). Functional assessment as strategy assessment for teaching academics. Education
  • 20. 特殊敎育再活科學(第45券第4號2006) and Treatment of Childten, 19, 257-271. Hieneman, M., & Dunlap, G. (1999). Issues and challenges in implementing community-based behavioral support for two boys with severe behavioral support for two boys with severe behavioral difficulties. In J. R. Scotti & L. H. Meyer(Eds.), Behavior intervention : Principles, models, and practices. Baltimore : Books. 363-384. Hieneman, M., & Dunlap, G. (2001).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s of community-based behavioral support : Ⅱ. Factor category importance.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3(2), 67-74. Horner, R. H., & Carr, E. G. (1997). Behavior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 Functional assessment and comprehensive interventio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1, 84-104. Iwata, B. A., Dorsey, M. F., Slifer, K. J., Bauman, K. E., & Richman, G. S. (1982). Toward a functional analysis of self-injury. Analysis and Intervention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 3-20. O'Neill, R. E., Horner, R. H., Albin, R. W., Sprague, J. R., Storey, K., & Newton, J. S. (1997). Functional assessment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roblem behavior : A practical handbook. Pacific Grove, CA : Books/Cole. Repp, A. C., & Karsh, K. G. (1994). Hypothesis-based interventions for tantrum behavior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chool setting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7, 21-31 Scheuermann, B., & Webber, J. (1996). Level systems : Problems and solutions. Beyond Behavior, 7, 12-17. Schreibman, L. (1975). Effects of within-stimulus and extra-stimulus prompting on discrimination learning in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8, 91-112. Scott, T. M., & Nelson, C. M. (1999).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 Implications for training and staff development. Behavioral Disorders, 24, 249-252. - 76 -
  • 21.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Abstract> The Effects of Functional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on Problem Behaviors of One Student with Autism and Visual Impairments Cho, Jung Y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unctional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on the problem behaviors such as self-injury, screaming, seizing of children with autism and visual impairments. In terms of the assessment of problem behavior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rect assessment and direct observation on children,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ttraction of interest caused the problem behaviors. The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as hypothetically verified interest criteria was performed as AB research desig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a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intervention effects appeared also in the interventional scene of children and change of moderators. Key words : children with autism and visual impairments, functional assessment, problem behavior 논문접수 : 2006. 11. 6 / 수정본 접수 : 2006. 12. 5 / 게재 승인 : 2006. 12. 8 - 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