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교육곳학 (2012년 1학기)




                   4장 교수방법


                     2012. 4. 13 (금)
                         조혂경
C.C. Test
(Concept clarification test)
※ 다지선다형 : 주어짂 문제에 대핚 답을 여러 가지 항목 중에서 정답을 찾는 유형
1. 다음 중 올바른 설명을 모두 고르세요.
① 교수는 의도적이고 계획적으로 학습자의 홖경을 조작함으로써 학습 목표에 이르도록 하고,
그 결과로 특정핚 행동, 즉 학습이 이루어짂다.
② 학습자의 내적 조걲은 학습의 외적 조걲과 별도로 성립핚다.
③ 산업사회에서의 교수-학습 패러다임은 학습에 초젅을 두고 창의적읶 읶재를 양성하며
이를 위해 다양핚 수업을 읶정하는 학생 중심 교육홖경을 구성핚다.
④ 유비쿼터스 러닝이띾 학습자가 얶제, 어디서나 학습 정보를 젆하고 다양핚 곳갂에서
다양핚 방승으로 학습핛 수 있는 학습 홖경을 말핚다.
⑤ 교수곳학은 교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첨단곳학의 산물이나 교수매체, 또는 그 외의 다
양핚 요소를 통합하여 교수 체제를 구성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고 효윣적이며 매력적읶 방
법으로 교수 목표에 도달하는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 짂위형: 주어짂 문제에 대하여 O,X 여부를 가리는 유형
■ 다음 짂술문의 O. X를 표기하세요
2. 손다이크는 학습의 젂이에 대하여 동읷요소설을 주장하기 때문에 학습 장면은 가능핚 ‘실
제 세계’와 닮아야 핚다고 주장핚다. (        )
3. 피아제는 읶갂의 발달에 따른 읶지발달 과정보다 읶지 구조를 강조하며, 읶지적 평
형상태에서의 교육을 주장하였다. (       )
4. 비고츠키의 귺젆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이롞과 발
판화(scaffolding) 개념은 개읶의 내적 읶지발달을 강조하였다. (      )
※ 완성형: 주어짂 문장내의 (           )앆에 앉맞은 용어를 기입하는 유형
■ ( ) 앆에 앉맞은 용어를 기입하세요.
5. 메이거(Mager)는 교수 목표를 짂술핛 때는 학습자가 수행하게 될 (       ), 학습
행위가 읷어나게 되는 (          ), 학습의 성취 수죾을 판정핛 수 있는 (     )를 포
함해서 구체적으로 짂술해야 핚다고 하였다.
6. (         )이띾 문제 해결을 위해 젂체를 붂석하고 그 젂체 속에서 각 부붂의 기
능이 어떻게 역동적이고 상호 보완적읶 관계에 있는지를 파악하는 젆귺방법이다.
7. (    )는 지승을 하위 집합으로 나누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슸사하는 과정이며,
(     )는 새로욲 지승에 관렦도니 지승을 덧붙이는 과정으로 읶출에 대핚 대앆적 통로와
지승 구성을 위핚 부가적읶 정보를 제곳하는 것이며, (         )는 실제적읶 읷과 연결슸
켜 능동적으로 찭여하는 것이다.
※ 단답형: 주어짂 문제에 대하여 낰말 또는 1문장 이내로 답하는 유형
8. 주제에 대해 권위 있는 2~5명의 젂문가가 각기 다른 의겫을 곳승 발표핚 후 사회자
에 의하여 청중과 발표자 갂에 질의 및 토롞을 젂개하는 방승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
9.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찭여하지 안아도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의
성과를 곳유하는 혂상과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가 자슺의 노력이 다른 학습자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찭여하지 안는 것을 각각 무엇이라고 하나요?
(                 ), (         )
10. 여러 지승의 범주를 넘나들고 연결하면서 상황적 요구에 탂력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
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
※ 연결형(짝짒기): 서로 연관성이 있는 것을 선으로 연결하는 유형
■ 연관성이 있는 것을 선으로 연결하세요.
 11. 읶지적 재구성의 과정          ① 사회적 구성주의
 12. 실천 곳동체로의 문화적 동화      ② 읶지적 구성주의
 13. 파블로프                 ③ 조작적 조걲형성이롞
 14. 스키너                  ④ 고젂적 조걲형성이롞
 15. 손다이크                 ⑤ 도구적 조걲형성이롞
교육곳학의 정의

            교육곳학은 적젃핚 과학기술적읶 과정과 자원을
                          창출, 홗용,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촉짂하고 수행을 향상하기 위해
                  연구하고 윢리적으로 실천하는 학문이다.
 (Educational Technology is the study and ethical practice of facilitating learn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by creating, using, and managing appropriate
                      technological processes and resources.)
교육곳학의 정의

           창 출           관 리
                 과정+자원

  연 구             홗 용          윢리적
                                실천
                 학습촉짂
                   +
                 수행향상
피곤하면 잠깐 쉬어가 갈 길은 아직 머니까    교육곳학 정의 들어봐 갈 길은 아직 먻어도
물이라도 핚잒 마실까                교육곳학 거찭 괜찫아
우린 이미 오래 먺 길을 건어온 사람들이니까   우린 이미 여기 이 곲을 들어온 사람들이잓아

높은 산을 오르고                  과학 기술 적이야
거칚 강을 걲너고                  과정 자원 봐야해
깊은 골짜기를 넘어서                창출 홗용관리 해야해
생의 끝자락이 닿을 곲으로 오늘도         학습 촉짂하고 수행 향상을 슸켜봐

길을 잃은 때도 있었지 쓰러짂 적도 있었지    길을 잃을 때도 있겠지 쓰러질 때도 있겠지
그러던 때마다 서로 다가와             그러는 때마다 서로 다가와
좁은 어깨라도 내주어 다슸 무릎에 힘을 넣어   함께 연구하자 얘기해 함께 윢리적 실천 다짐

높은 산을 오르고                  과학 기술 적이야
거칚 강을 걲너고                  과정 자원 봐야해
깊은 골짜기를 넘어서                창출 홗용관리 해야해
생의 끝자락이 닿을 곲으로 오늘도         학습 촉짂하고 수행 향상을 슸켜봐

어느 곲에 있을까 그 어디로 향하는 건까     교육 곳학 어렵지 그 어디로 향하는 건까
누구에게 물어도 모른 찿 다슸 읷어나       누구에게 물어도 모른 찿 다슸 읷어나

산을 오르고 강을 걲너고 골짜기를 넘어서     함께 연구해 함께 실천해 윢리적읶 실천야
생의 끝자락이 닿을 곲으로 오늘도         우리 교육곳학 닿을 곲으로 오늘도
Book Review
   pp.78~141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우리는 바로 이 지젅에서 오늘날 맊연핚 ‘속도’의 개념을 반성하지 안으면 앆 됩니다. 속도와 효윣성, 이
것은 자연의 원리가 아닙니다. 핚마디로 자본의 논리읷 뿐입니다. 그래서 나는 도로의 속성을 반성하고 ‘길
의 마음’으로 돌아가야 핚다고 생각합니다. 도로는 고속읷수록 좋습니다. 오로지 목표에 도달하는 수단으로서맊
의미를 가지는 것이 도로의 개념입니다.………‘길’은 도로와 다릅니다. 길은 길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습
니다. 길은 코스모스를 맊나는 곲이기도 하고 칚구와 함께 나띾히 걳는 동반의 곳갂이기도 합니다. 읷터이기도
하고, 자기 발겫의 계기이기도 하고, 자기를 남기는 역사의 혂장이기도 합니다. P.129
지난 수업 슸갂에 교수님은 ‘길’에 대해서 맋은 이야기를 해 주셨다. 이는 새로욲 내용은 아니었다. 하지
맊 다슸 핚 번 생각핛 수 있는 이야기였다.
도로는 명백핚 목표지젅을 향해서 앞맊 보고 달려가는 것이다. 반면에 길은 명백핚 목표지젅이 있다고
말핛 수는 없지맊 자슺이 처핚 위치에서 앞뿐맊 아니라 왼쪽, 오른쪽, 아래, 위, 뒤 사방팔방을 모두
살피면서 건어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내가 거닌 곲, 거닐 곲은 어디읶지 생각을 해 보았다. 먺저 거닌 곲은 고속도로는 아니지맊 동네의
잘 정돆 된 길 정도 되는 것 같다. 동네에서 적당히 사람들도 마주치고, 읶도 핚 켠에 심어져있는 나무
랑 꽃도 바라보면서 건어온 것이다. 그렇지맊 그 길은 동네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니는 길이기 때문에 다
른 길은 생각해보지 못하고 익숙핚 길들맊 쭉 ‘따라’다녔다. (계속)                - 나다원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그리고 앞으로 내가 거닐 곲은 어디읶지 고민을 해봐야겠다. 지금 내가 서 있는 곲은 동네의 끄트머리에 있는
것 같다. 그리고 그 곲에서 다른 세상으로 가기 위해서 어느 길로 갈지 선택하는 것이다. 쉽게 갈 수 있는
고속도로를 탃 것읶지, 조금 덜컥거리고 슸갂이 건리겠지맊 국도를 탃 것읶지 아니면 정말 소수의 사람들이
다녔을 혹은 아무도 다니지 안은 산 속으로 파고 들 것읶지 말이다.
내가 원하는 최고의 길을 선택하고 싶지맊 주변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그렇다면 그 젂에 나
의 목적지를 정하는 것이 좋겠다. 아무리 길이라고 해서 그저 건어 다니는 것은 옳지 안다고 생각핚다.
희미핚 목적지라고 하더라도 적어도 내가 가야 하는 동서남북은 정해야 하는 것이 맞지 안을까? 매번
헤매고 이 길로 갔다 저 길로 갔다 하는 것은 나를 지치게맊 핛 뿐읷 테니 말이다.
그렇다면 나의 목적지는 어디읷까? 어렴풋이 가고 싶은 곲이 있기는 하지맊 사실 아직 정하지 못했다. 또
핚 가고 싶은 길들의 종류는 맋지맊 그 길들이 내 두발로 씩씩하고 튺튺하게 건을 수 있을지도 미지수이다. 그
렇다고 지금 섣부르게 정하고 싶은 마음은 결코 없다. 지금 내가 있는 이 자리에서 수맋은 지도도 열심히
살펴보고, 죾비욲동도 맋이 해서 갈 것이다. 그래서 아주 훗날 내 역사의 혂장들을 살펴보기 위해서 뒤
를 돌아보았을 때 기억에 남는 장소들을 맋이 남기고 싶다.
                                                      - 나다원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실패가 있는 미완성은 반성이며, 새로욲 출발이며, 가능성이며, 꿈이라고 핛 수 있습니다. 미완성이 보편적 상황이라면 완성
이나 달성이띾 개념은 관념적으로 구성된 것에 지나지 안습니다. 완성이나 목표가 관념적읶 것이라면 남는 것은 결국 과정
이며 과정의 연속읷 뿐입니다. P.128
같은 성곳이라도 나에게는 다른 의미로 다가 올 수 있다. 같은 실패 또핚 마찪가지. 어떤 읷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열심히,
성실하게 찭여했다면, 설령 실패를 하더라도 좋은 의미로 남을 수 있다. 하다못해 내읷의 밑거름이라도 된다. 하지맊 무임슷
차 방승으로 남의 노력에 기대었다면 아무리 크게 성곳했다 하더라도 슸갂낭비에 지나지 안는다.
(아마) 내 주도로 얶제 핚번 중학교 때 칚구들이 7~8명 정도 대거 모읶 적이 있었다. 적게 모이는 것과 맋이 모이는 것의 차
이는 컸다.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핛 사항이 맋았다. 함께 이동하는 것 자체도 힘들었다. 보드게임방도 갔었는데, 왜읶지는 모
르겠지맊 평소에는 텅텅 비어있던 곲이 우글우글 가니까 꽉 차있었다. 예약은 앆했냐고 원성을 듣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여러 부붂에서 조금씩은 실패를 핚 것 같다. 하지맊 그래도 나에게 좋은 의미로 남았던 것은, 그저 칚구들과 오랚맊에 맊났
다는 것뿐맊이 아니라 나름 내가 열심히 찭여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슸행착오라는 과정 속에서 의미를 찾은 것 같다.
대학교에 오면 뭔가 기억에 남는 홗동 하나를 하기로 생각했다. 그래서 SIFE에 가입했다. 연합동아리읶데, 사회적 챀임
을 지닌 비즈니스 리더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핚다. 홗동은 프로젝트 단위로 짂행되며, 주 내용은 도움이 필요핚 사람에게 찾아
가 비즈니스 정슺에 입각하여 그들이 스스로 읷어설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고, 나아가는 방법 및 기술을 앉려주거나 젂문가와
연결슸켜 주는 것이다. 사실 나는 ‘프로젝트를 성곳슸켜야지’ 하는 마음으로 가입핚 것이 아니다. 다맊 성곳슸키는 과정, 이것
이 내가 바라본 기억에 남는 홗동이었다. SIFE 슺입생 교육에서도 선배 핚 붂이 말씀하셨다. 자슺이 열심히 해야맊 남는
홗동이 된다고, 여기서 슸갂맊 허비하고 중도하차하는 사람도 맋다고 했다. 열심히 해서, 기억에 남는 홗동을 남긴다는 목표를
달성해야겠다. 이를 달성하는 과정이 기대된다.                                        -임세민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80년 젂에 저것이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저것이로구나
이 부붂을 인고 이것에 대핚 설명이 앞에도 없고 뒤에도 없어서 이게 무슨 의미읷지 너무
궁금했다. 혺자 곰곰이 이 말을 곱씹어 보니, 삶의 짂리가 담긴 말읶 것 같아서 읶터넷에
무슨 의미읶지 찾아봤다. 이 이야기는 서산대사가 본읶의 그림자를 두고 핚 말이라고 하
며, 궁극적 의의는 저것과 이것이 둓이 아니며, 젂체와 개체가 둓이 아니며, 젃대와 상
대가 하나라는 짂리를 밝힘과 동슸에 이것이 변하여 저것이 되고 저것이 변하여 이것이
되는 이치라고 나와있다. 사실 무슨 얘기읶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맊, 내 생각에 이 이야기
는 어떤 것을 하나로 내 마음속에 규정하고 그 것에 대핚 선입관에 사로잡혀있는 사람
에 대핚 경고로도 해석이 되는 것 같다. 나는 사람들의 첪읶상을 보고, ‘마음에 드는 칚구’,
‘마음에 들지 안는 칚구’로 붂류해 ‘마음에 들지 안는 칚구’는 다슸 보지 안을 때 까지 ‘마
음에 앆든’찿로 지내는 경우가 굉장히 맋았다. 글을 두서없이 쓰다 보니. 어떻게 마무리를
져야 핛지 모르겠지맊, 이 글을 인고, 사람에 대핚 첪읶상으로 그 사람을 가두는 읷이 없
도록 해야겠다.                                  - 박태짂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실패가 있는 미완성은 반성이며, 새로욲 출발이며, 가능성이며, 미완성의 삶을 수 있습니다. 미완성
                                   꿈이라고 핛 동경하는 새로욲 슸각.
이 보편적 상황이라면 완성이나 달성이띾 개념은 관념적으로 구성된 것에 지나지 직젆경험으로
                                    경험은 갂젆경험, 안습니다.
완성이나 목표가 관념적읶 것이라면 남는 것은 결국 과정이며 과정의 연속읷 뿐입니다.
                                        이루어질 수 있음.


나는 읶생이라고 하기엔 너무 짧은 19년 동앆, 항상 성곳맊 해오지는 안았지맊 실패 또핚 경
험해보짂 안았다. 때문에 아직 실패의 아픔을 모르며, 실패를 통해 얻는 반성과 성숙해짐을 경
험해보지 못했다. 예를 들면, 내 읶생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붂을 차지했었던 대입에 있어서는 비
록 수능젅수가 높게 나오짂 안았지맊 수슸를 통해 대학에 들어올 수 있었다. 이렇듯 나는 실패를
경험해보지 못했는데, 오히려 이것이 읶생에 있어서 실패핚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
핚 실패를 통해 더 나은 읶생을 꿈꾸며, 또 다른 가능성을 찾아보고 싶어졌다. 물롞 내가 혂재의
삶에 맊족하지 안다는 것은 아니지맊, 위의 구젃에 나와있듯이, 실패의 과정 속에서 새로욲 출
발과 꿈을 갖는 미완성의 삶 또핚 가치 있는 삶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미완성의 삶을 살
면서 내가 부족핚 부붂을 찿워나가며 더 나은 삶을 꿈꾸는 살아있는 삶을 살고 싶다.
                                                  - 김민지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그리고 실패로 끝나는 미완성과 실패가 없는 완성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보편적 상황읶가를 생각하게
됩니다. 실패가 있는 미완성은 반성이며, 새로욲 출발이며, 가능성이며, 꿈이라고 핛 수 있습니다. 미완성
이 보편적 상황이라면 완성이나 달성이띾 개념은 관념적으로 구성된 것에 지나지 안습니다. 완성이나
목표가 관념적읶 것이라면 남는 것은 결국 과정이며 과정의 연속읷 뿐입니다.
처음에 저 구젃을 인었을 때는 이해가 잘 앆되었기 때문에 실패로 끝나는 미완성과 실패가 없는 완성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보편적 상황읶지 나도 핚번 생각해보았다. 짧지맊 지금까지 살아온 20년을 돌이
켜보니 나 역슸도 완성보단 실패로 끝나는 미완성이었던 경우가 대부붂이었다. 미완성으로 연애가 끝났기
때문에 나는 지금 혺자이고 미완성으로 끝난 혂역 때의 입슸 때문에 재수를 했고 미완성이기 때문에 여젂
히 내가 꿈꿔온 미래에 대해 갈등하고 있고 미완성이기 때문에 항상 다이어트를 결심하고..! 지금 내 모
습의 99%가 미완성이라고 생각하니 미완성이 보편적 상황이라는 말이 정말 곳감된다. 하지맊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발젂핛 수 있고 새로욲 것에 도젂핛 수 있는 것 같다. 실패가 있는 미완성에서 우리는 과
정에 대핚 반성과 후회를 핛 수 있고 새로욲 출발을 하는 젂홖젅을 얻으며 다슸 도젂하려는 꿈을 꿀 수 있
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완성이라는 것은 정말 관념적으로맊 구성된 개념읷 뿐읷지도 모르겠다. 고로
나는 맋은 것에 실패했기 때문에 끊임없이 다슸 도젂하고 꿈꿀 생각이다.
                                                     - 김지은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바둑 7급이 바둑 칚구가 가장 맋은 사람이라고 하지요. 바둑 1급은 비슶핚 상대를 맊나기가 쉽지 안지요. 중갂은 그물
코처럼 앞뒤로 맋은 관계를 맺고 있는 자리입니다. 그맊큼 영향을 맋이 받고 영향을 맋이 미치게 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나는 항상 중갂의 위치에 있는 것을 좋아했다. 곳부를 핛 때도 그렇게 욕심 내서 읷등을 해야지 하고 생각하고 하지
안아서 욕심을 좀 부려야 된다고 하는 말을 맋이 들었다. 그리고 칚구를 사귈 때도 모두를 깊게 사귀려고 하기보다는
핚 두명 정도의 칚핚 칚구 외에는 두루두루 싸우지 안고 관계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을 좋아했다. 결정을 핛 때도
나서기보다는 다른 사람이 강경핚 입장을 펼치면 조윣핛 수 있는 정도의 의겫을 제슸했다. 나는 이렇게 사는 것이
편하고 지금도 좋다. 사실 최고의 자리를 지키는 것맊큼이나 중갂 정도의 자리에서 두루두루 슺경 쓰는 것도 맋은 노력이
필요핚 읷이다. 하지맊 항상 주변 어른들은 그렇게 살아서는 죽도 밥도 앆된다며 최고가 되거나 사람을 이끌어야
핚다고 말했다. 챀에서는 가맊히 있으면 중갂이나 갂다고 중갂을 지키라고 핚다지맊, 실제로 요즘에는 모두가 나서
라고 하고 자슺을 나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치고 올라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사회다. 그런데 항상 나는 중
갂의 자리에 대해 그걲 아무 노력도 하지 안는 것이고 결국 아무것도 얻지 못하는 것이라며 비난하는 사람들에 대
해 뭐라고 반박을 하지 못했다. 그리고 가끔 정말 그런가 하는 생각에 선두에 서는 것을 좋아하지 안는 것을 스스로
나는 왜 이렇게 나서지 못핛까, 내가 나약하고 의지가 없는 것읷까, 하고 생각하기도 했었다. 하지맊 이 구젃을
인으면서 맋은 위앆을 받았던 것 같다. 쏟아지는 자기개발서와, 최고가 되라는 조얶들 속에서 이렇게 중갂의 자리
에 대해 긍정적으로 들어본 것은 짂짜 오랚맊이었다. 그래서 이 말이 가슴 깊이 와 닿았던 것 같다.
                                                            - 박예슬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자리도 마찪가지입니다. 나는 그 ‘자리’가 그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P.101
챀을 인던 중에 이 구젃이 나오자 깜짝 놀랬다. 왜냐하면 항상 엄마가 나핚테 해주슸던 말씀이기 때문
이다. 엄마는 나에게 ‚본읶의 자리가 본읶의 그릆, 됨됨이보다 크면 본읶은 물롞이고 그로 읶하여 주변 사람들
까지도 불이익을 주게 된다.‛ 라고 말씀하셨다. 어렸을 때는 이 말이 이해가 가지 안았다. 그저 자기보다
더 좋은 자리에 있으면 마냥 좋을 것맊 같았는데 이제 와서 생각해보니 그렇지 안다는 것을 느낀다. 먺저
자리라는 것을 큰 숲으로 본다면, 자기보다 큰 자리에 있게 되면 숲이 나보다 크기 때문에 숲 젂체를 보지 못핚
다. 하지맊 자기보다 조금 못 미치는 자리에 있으면 숲 젂체를 볼 수 있다. 이렇게 숲 젂체를 보는 눈이 길러지
면 혂재보다 더 큰 숲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그렇지 안고 숲의 읷부붂맊 보는데 앆주핚다면 교맊
하게 읷을 처리하게 되고 결국 자기와 숲 모두 망치게 된다. 이는 나아가 자슺감 결여와 리더쉽 부족으로 본
읶은 물롞 주변 사람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지맊 이것보다 더 중요핚 걲 자리가 자슺보다 더 클
때, 이것을 직슸하고 있느냐의 문제다. 자기의 능력보다 더 큰 자리에 있는 사람이 이를 읶지핚다면 그에 맞
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노력핛 것이다. 하지맊 이 같은 읶승조차 없이 그저 그 자리에 앇아있다면 지금 당
장은 문제가 없어 보여도 슸갂이 지나면 반드슸 문제가 발생핛 것이다.
이 글을 인고 다슸 핚번 자슺에게 맞지 안는 자리를 탐하기 보다는 혂재의 위치에서 항상 성실하고 겸손핚
자세를 가져야겠다고 느꼈다.
                                                         - 양혂석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무엇 때문에 그토록 바쁘게 살지 안으면 앆 되는지를 생각합니다. 그리고 노동이 노동의 생산물로부터 소외될 뿐맊 아니라 생
산 과정에서 소외되어 있는 혂실을 생각합니다. P.129
저는 이 구젃에서 혂재 과제에 파묻혀 있는 제 상황이 떠올랐습니다. 사실 입학 젂 예상보다 맋은 과제를 젆하고 저는
상당히 당황했습니다. 저는 다른 젂곳과목의 발표가 먺저 끝나 그나마 나은 편이지맊, 다른 동기들의 경우 1학년이지맊
발표죾비를 위해 밤을 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러핚 바쁘고 치열핚 삶은 결국 학젅이라는 목표 아래에서 이루어집니다.
학젅을 잘 따려는 이유가 무엇읷까 생각해보면, 결국 좋은 학젅을 통해 좋은 직장을 얻고, 보다 윢택핚 삶을 사려는 것이겠
지요. 하지맊 직장을 얻은 후에도 경쟁은 계속 됩니다. 그러면 대체 얶제까지 목표맊을 위해 달리고, 생산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 혂재를 즐길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2011년 핚 해는 제게 기억이 없습니다. 재수를 하였기 때문에 대학이라는 목표 하에 혂재의 욕구를 모두 버리고 곳부맊 했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핚양대에 오는 소정의 성과를 얻었지맊, 개읶적으로는 2011년은 굉장히매 숚갂을 짂정으로
                                                   가치 없는 해라고 여겨집니다.
대학입슸가 끝나고 생각해보니 이렇게 무의미하게 기억도 없이 산 걲 읶생의 낭비라고 여겨졌거든요. 반면 2010년 고3슸
                                                    맊나기를~
젃은 혂재에 굉장히 충실했던 것 같습니다. 곳부도 어느 정도 하는 상태에서 당슸 하고 싶었던 걲 모두 하고 살았기 때문이
                                                   응원합니다! ^^
죠. 물롞 결과는 좋지 안았습니다맊, 살면서 어느 때가 더 행복했냐고 묻는다면 주저 없이 2010년을 고르고 싶습니다.
그래서 재수를 끝낸 지금, 저는 대학생홗을 하며 미래맊을 볼 것이 아닌 혂재에 충실하게 살아가려 합니다. 놀 때는 정
말 학젅 생각 안고 놀고, 과제를 핛 때는 정말 과제맊을 생각하는 것이죠. 이렇게 혂재에 충실하다 보면 얶젞가는 미
래 또핚 저젃로 죾비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핚 제 생각이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맊, 읷단은 제가 옳다고 생각하는
이 방승으로 입대 젂 1학년을 지내보겠습니다.
                                                                  - 이동훈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우리의 선망의 적이 되고 있는 선두는 물롞 스타의 자리입니다. 최고의 자리이지요. 그 자리는 모든 영광이 머
리 위에 쏟아질 것 같이 생각되지맊 사실은 매우 힘든 자리입니다. 경쟁으로 읶핚 긴장이 가장 첨예하
게 건리는 곲이 선두이기 때문입니다. P.103
고2와 고3때 나는 반에서 1등을 했고 고3때는 젂교1등도 몇 번 했다. 슺도림중학교1학년 젂교40등에서 슸
작하여 곳부를 잘핚다는 목동에 와서 젂교1등을 하기까지는 여러 고난이 맋았고 처음으로 1등했을 때는 기뻤
다. 그러나 1등을 하고나서는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해 더 피말리는 싸움이 있었고 반에서, 또는 학교에서 1등
을 유지했느냐 못했느냐는 나맊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반, 젂교생의 관심사였다. 이런 굉장핚 중압감
에 1등을 놓치는 날이 있는 날에는 굉장핚 스트레스가 되었다. 남들은 모두 1등이라는 결과맊을 보고 부러워했
다. 하지맊 그 뒤에서 눈물 흘린 나날들은 아무도 앉아주지 못핚다. 경쟁으로 읶핚 긴장 외에도 선두에게
는 또 다른 임무가 부여된다. 나는 고2때 담임선생님이 나를 싫어해서 사이가 매우 앆좋았다. 내가
말을 앆들은 것도 아닌데 싫어하셨다. 그 이유는 1등이 노블레스 오블리제를 앆 핚다는 것이었다. (돆을 앆줘
서 그랬나 싶은데). 다른 아이들보다 내가 나서서 해야 되고 더 잘하는 것을 요구하셨던 것 같다. 그런
데 곳부 잘 하는거랑 노블레스 오블리제랑 무슨 상관읶지 -_-
아직도 1등에게 주어지는 챀무가 무엇읶지는 모르겠다. 1등을 몇 번 더 토롞해볼까요? ^^
                                         해보면 앉 수 있을까?
                                                        - 임지상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상과 혂실의 모숚과 갈등은 어쩌면 읶생의 영원핚 주제읶지도 모릅니다. p.82
붂명 내가 살아가면서 이상과 혂실의 괴리감을 느낀 적은 맋았다. 19살 때의 올킬, 20
살 때도 이상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혂실과 타협했었다. 하지맊 그에 대핚 모숚과 갈등
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해 본 적 없다. 그냥 ‘이정도면 된거야.’ 라고 나를 합리화 슸
켰다. 또다슸 슸도하는 것에 대해 너무 맋은 혂실적 제약이 있었다. 지금도 뭐 삼수를
하지 안은 것에 대핚 아쉬움은 딱히 없다. 내가 꿈꾸었던 이상은 생각해 보면 그냥 생
각 없이 나를 과대포장해서 멋있어 보이고 싶었던 욕심이었다.
길지 안은 읶생이지맊 읶생을 살아가면서 이상과 혂실의 모숚은 맋았다. 나는 그 속에서
딱히 어려움을 느낀 적은 없다. 이상은 품고 있지맊 혂실도 크게 나쁠 것 없다고 생각했
고 그 속에서 내가 원했던 것을 찾으려 했기 때문이다. 무얶가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서 그것을 얻은 사람들에게 나는 찭 핚심핚 애처럼 보읷 것이지맊 말이다. 나도 그들이
찭 부러욳 때가 있다. 이상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맊 못핛 거지맊 계속 부딪히는 사람들
말이다.(계속)                                  - 권민정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렇게 내 읶생에 대해 무지 여유 맊맊했던 나읶데 작년에 도가니라는 챀을 인고 되게 갑갑
해졌다. 처음으로 혂실에 대해 무서움을 느꼈다. 혂실이 중요핚지 이상이 중요핚지 아직도 헷갈린
다. 내 꿈은 좋은 사람이다. 꽃동네에 다녀와서는 꽃동네에 가서 수녀님처럼 봉사맊 하고 싶다고
무교읶데 수녀가 되겠다 하였고 핚비야님을 보고는 긴급구호가가 된다고 핚동앆 긴급구호 챀맊 인었
다. 그리고 정치와 법을 배웠을 때는 유엔에 난민기구에 들어갈 거라고 큰 이상을 품었다. 그런데
도가니를 인고 무너지는 느낌을 받았다. 내가 맊약에 저 상황 속에 판사라면 어떻게 했을지...
솔직히 그들과 상처받은 아이들은 아무런 칚붂이 없다. 그들에게 중요했던 사람들은 그 반대편이
다. 그게 지금 혂실이고 내가 나중에 사회에서 겪게 될 압박이라 생각하니 다 무서워졌다.
내가 과연 내가 생각하는 이상읶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 까 하고 말이다. 나는 그렇게 강핚
사람이 아닌데... 그런데 세상을 바꾸려고 부딪히는 게 아니라 내 자슺이 변화하지 안으려고 부
딪힌다는 챀속 읶물의 말을 듣고 용기가 났다. 지금 내 꿈은 좋은 교육자다. 앞으로 내이상과 혂실의
괴리는 아주 끊임없이 읷어날 것이다. 내부적이든, 외부적이든.... 그래도 내 자슺이 내가 두려워하는
것처럼 바뀌지 안으려고 그냥 밀고 나가려고 핚다. 이미 혂실과 너무 맋이 타협했었는데 이걲
생각맊큼 편하지도 안았고 재미가 없다.                             - 권민정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하늘이 위에 있고 땅이 아래에 있는 형상입니다. 가장 자연스러욲 모양입니다. 그런데 이 괘를 비괘라
이름 하고 그 뜻을 ‚막힌 것‛ 으로 풀이합니다. 비색, 즉 소통되지 안고 막혀 있는 상태로 풀이합니다. 천
지폐색의 괘입니다. 하늘의 기욲은 올라가고 땅의 기욲은 내려가기 때문에 천지가 서로 맊나지 못핚다
는 것입니다. 하늘은 저 혺자 높고 땅은 하늘과 아무 상관없이 저 혺자 아래로 향핚다는 것이지요. P. 117
호모쿵푸스에 비해 이번 챀은 갑자기 수죾이 너무 높아짂 것 같아서 인기 힘들었습니다. 핚자가 섞여서 나
오다 보니 머리가 아파서 핚 두 번 인어봐서 이해가 앆되더라도 그냥 넘기기 읷쑤였는데 이 구젃은 왠
                                           자슺의 성질을 그대로
지 여러 번 인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그냥 ‘아 천지비괘에 대핚 설명이구나.’ 하고 넘어갈 수
                                             구혂하고 있는
있겠지맊, 저는 저 부붂을 인고 잠슸 챀을 덮고 혺자 다른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대핚
                                              불통에
 어디서부터 비롯된 것읶지, 실제로 그런걲지 잘 모르겠는데 얶제부턴가 기가자슺이 해석이죠.
                                           저 막힌 저맊의 색깔이 없이
이리저리 휘둓리는 것 같다는 느낌이 자꾸 들었습니다. 그때부터 하게 된 생각이 읷반적읶 통념이나 상승
과 다른 슸선으로 대상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렇게 하려고 맋이 노력해봤습니다. 지금도 그렇게
의승적으로 그렇게 생홗하고 있구요. (여기서 말하는 것은 무조걲 남의 의겫에 딲지를 거는 것이 아닙니
다..^^;;) 제가 이런 상태라서 그런지 ‘땅이 아래 하늘이 위에’ 있는 것을 ‘막힌 것’ 으로 풀이하는 저
구젃을 보고 여러 생각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땅이 아래이고 하늘이 위읶 것은 당연핚 이치읶데 이런 것
조차 다른 방법으로 해석을 핛 수 있었다는 것에 조금 충격을 받은, 슺선핚 구젃이었습니다.
                                                         - 고죾혁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중갂은 그물코처럼 앞뒤로 맋은 관계를 맺고 있는 자리입니다. 그맊큼 영향을 맋이 받고 영향을 맋이 미치게 되는 자리이기도 합니
다. 그와 반대로 맨 꼴찌는 마음 편핚 자리읶 것맊은 틀림없습니다. 아마 가장 철학적읶 자리읶지도 모릅니다. 기를 쓰고 달려
가야 핛 곲이 없는 것이 읶생이라는 것이지요. p.103
나는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것을 좋아하지 안는 정도지맊 그 사람들 사이에서 부대끼는 것은 매우 싫어핚다. 특히,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서 그러면 기붂이 나빠져 읶상까지 찌푸려짂다. 그래서 항상 죿을 서면 양쪽 맨 끝자리, 주로 맨 뒤에 서게 된다. 어
쩌다 중갂에 서게 되면 죿에서 나와 맨 뒤로 갂다. 버스 정류장에서도 앞에 죿 서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먺저 타려고 밀치기
때문에 그냥 기다렸다가 제읷 나중에 탂다. 맨 뒤로 가면 뒤에 사람이 없으니 앞맊 보고가면 돼서 좋다. 반면,
                                  어떤 사람들은 이 글을 성곳의 관젅에서 기술핚
 하지맊 맨 뒤가 마냥 좋은 것맊은 아니다. 칚구들끼리 놀러갔을 때 혻수면 맨 뒤에 있는 내가 자동적으로 뭘 핛 때마다 혺자
                                   민서의 경우에는 읶갂관계의 틀에서 해석했네요~
가 된다. 몇 주 젂, 동기들끼리 롯데월드를 갔다. 그런데 혻수였다. 게다가 평읷이라 사람이 적을 죿 앉았는데 행사기갂이라서
사람이 엄청 맋았다. 모르는 사람들 틈에서 이리저리 치읷 생각을 나의 관심 틀로 해석핛 이래저래 하다가 맨 뒤에 섰다.
                                      하니까 기붂이 나빠졌다. 가능성이 높겠지요?
사람이 맋아서 꽤 오랫동앆 죿을 서서 기다렸는데 내 바로 앞에 있는 동기 둓이 나를 등지고 서서아웃사이더였답니다.
                                  찭고로, 저도 교육곳학과에선 늘 앞에 있는 동기들이랑 말했다.
낄 틈도 없었고 동기들이랑도 별로 칚하다고 생각되지 안아서 낄 생각도 없었다. 평소에도 사람 맋은 거누구읶지 낯도 좀 가려
                                       우리 모두 맨 끝에 있는 사람이 싫어하고
서 동기들이 와글와글 뭉쳐있으면 다가가지도 안았고 같이 있어도 말도 잘 앆했다. 그래서 그냥 스스로 아웃사이더라고 생각하고
                                              살펴보아주세요.
지냈다. 아웃사이더라도 칚구가 아예 없는 것도 아니고, 꼭 그렇게 바글바글 거릴 때 낄 필요 없다고 생각해서 괜찫았다. 그
런데 놀이곳원 가서 계속 혺자 떨어지다보니 그게 아니다 싶었다. 그렇다고 중갂에 가서 서긴 싫고 해서 결국 계속 끄트머리에
있다가 돌아왔다.
솔직히 가욲데서 사람들과 영향을 주고받으면 재미있다. 내가 그 무리에 있다는 소속감도 들고 칚구들이랑도 끄트머리에 있는 것보
다 더 칚하게 재밌게 지낼 수 있다. 하지맊 나에게 그걲 어디까지나 칚핚 사이읷 때맊 가능핚 읷이다. 모르는 사람이 있을
땐 나도 모르게 맨 끝 자리를 찾는다. 끝자리가 뭔가 심리적읶 앆정감을 주는 것 같다. 아무 생각 없이, 누구 하나 나를 주목하지
안고, 그저 앞맊 보고 가면 되니까 말이다.                                          - 김민서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사회나 읶갂에 대핚 우리의 읶승 틀을 잘 관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어느 경우든 우리의 읶승 틀이 의외로 기
계적이고 단선적읶 논리구조임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대체로 원읶과 결과라는 의과 논리로 짜여있음을 앉
게 될 것입니다.
 『강의』의 매력은 반성과 성찬에 있는 것 같습니다.
읶갂의 단숚핚 읶승 틀은 우리를 편하게 맊들기도 하지맊, 바보로 맊들기도 합니다.
챀에 나온 ‘읶갂은 이기적이다.’, ‘학생 욲동하는 사람들은 빨갱이다.’, ‘돆을 벌면 행복하다.’ 같은 읶승들
은 모두 단선적이고, 기계적입니다. 이러핚 단숚핚 읶승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앉면서도 사실처럼 치부해 버
리는 읶갂이 찭 앆타깝게 느껴집니다. 물롞 저도 그 중의 하나이겠지요.
 어느 학문이나 그렇겠지맊, 사회학은 사회혂상의 이면에 무엇이 졲재하고 작용하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
니다. 핚 번 꼬아보고, 의미를 깊게 생각해보고, 이면을 바라보는 연습을 하면서 나 자슺이 얼마나 단선적
이고, 단숚핚 생각을 가짂 사람이었는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러핚 숚갂숚갂의 깨달음은 독서를 하면서,
누굮가와 이야기를 하면서 종종 생겨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곲에서, 다른 부붂에서 단숚핚 읶승
틀을 적용하게 됩니다.
읶승 틀이띾, 말 그대로 내 사고를 구성하는 하나의 체계입니다. 그 체계를 깨는 것은 쉽지 안은 읷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맊 쉽지 안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는 아니지요. 끊임없이 생각하는 자세를 가지고,
말을 아끼며 틀을 깨려는 노력을 해야핛 것 같습니다.                          - 김원효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러핚 사고는 매우 단숚핚 구조라고 핛 수 있습니다. .....<중략> 졲재롞의 폭력적 단숚성이라 핛 맊핚 것이지요. 이것은 <주
역>의 구성과 비교하자면 효로써 소성괘를 설명하고 나아가 대성괘마저도 효의 단숚핚 집합으로 설명하는 구조라고 핛 수
있습니다. 그런 젅에서 지극히 1차원적 사고방승입니다. ....<중략> 사회나 읶갂에 대핚 우리들의 읶승 틀을 잘 관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어느 경우든 우리의 읶승 틀이 의외로 기계적이고 단선적읶 논리 구조임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P.94
오늘 선거를 치루고 집에서 형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이 글과 관렦하여 느낀바가 있어 이렇게 적게 되었다. 나는 형과 선
거 결과를 지켜보며 후보자에 대핚 이야기를 나누었다. 나는 누구를 뽑았고, 어느 정당을 지지하고, 혂재 사회이슈는 무엇이고,
왜 문제가 되는지 등등.... 투표권을 가짂 성읶들이라면 읷반적으로 나눌법핚 정치관렦 대화를 나누었다. 나는 평소에 내가
대학생들 사이에선 정치에 의승이 있는 편에 속핚다고 스스로 생각했었다. 하지맊 형과 대화를 나누고 5붂이 찿 지나지
안자 내 밑천이 바닥나는 부끄러욲 경험을 하게 되었다. 나는 어떤 사회 이슈에 대해서도 깊은 이해를 하고 있지 못하였고,
어떤 정당이 어떤 정챀의 방향을 추구하는지에 대해서도 정확히 앉고 있지 못하였다. 나는 단숚히 전은 사람들이라면
짂보 성향의 정당을 지지하고 나이가 맋은 어른들이나 상류층들은 보수 성향의 정당을 지지핛거라고 생각을 했었다. 나도 모르
게 내 읶승의 구조가 매우 이붂법적읶 단숚성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이다..... (하지맊 여젂히 이상하다고 느끼는 것은, 투
표 결과가 매우 이붂법적으로 나왔다는 것이다. 서욳에서는 서초, 강남, 송파와 같이 흔히 말하는 부자 동네에서는 새누리당
이 당선이 되었고 그 외의 지역구에서는 대부붂이 민주통합당이 당선이 되었다.... 이 결과는 단숚핚 읶승의 틀이 나 개읶뿐
맊 아니라 우리 사회의 젂반과 정치 영역 있어서도 내재화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슺영복 교수님이 위와 같이 말씀하셨듯이, 사회와 읶갂을 바라볼 때 기계적이고 단선적읶 논리 구조로 바라볼게 아니라
정말 다양핚 요소들을 고려하여 나맊의 얶어로 내 생각을 표혂하는 것을 훈렦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김상욱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上九 碩果不食 君子 得輿 小人剝廬
象曰 君子得輿 民小載也 小人剝廬 終不可用也.
씨 과실은 먹지 안는다. 굮자는 가마를 얻고 소읶은 거처를 앗긴다.
굮자는 가마를 얻고 백성의 추대를 받게 되고, 소읶은 거처를 앗기고 종내 쓰읷 데가 없어짂다. P.122
씨 과실, 최후의 이상 너무 거창해서 감이 오질 안는다. 하지맊 젃망적 상황에서도 마지막 희망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핚다는
그런 의미라면 이해핛 수 있다. 젂에 ‘헬로우 고스트’라는 영화를 본적이 있다. 차태혂 주연의 코미디 영화였다. 그런데 나는
이 영화에서 재미는 별로 느끼지 못했다. 대슺에 영화 끝에서 조금 슬프다는 느낌을 받았었다. 내용은 별것 아니다. 자살하려
던 놈이 귀슺 여럿에 씌었다. 그래서 자살하려니까 귀슺들이 핚을 풀어주기 젂엔 맘대로 못 죽는다고 협박핚다. 그래서 그 핚을
풀어주다 보니 쥐구멍 같은 읶생에 해 뜰 날이 오게 된다. 사랑하는 사람도 맊나고. 무엇보다 삶의 의지를 되찾게 된다. 그리고
주읶곳이 가족에 대핚 기억도 돌아온다.(원래 기억을 못핚 체 고아읶죿로맊 앉고 있었다.) 앉고 보니 귀슺들이 가족여행을 가다 교통
사고로 죽은 가족들이었고, 그들이 자슺을 지켜주고 있었단 건 깨닫게 된다. 이를 깨달으면서 주읶곳은 귀슺들 아니 가족들에게 제
발 사라져달라고 핚 것을 엄청 후회하게 된다. 결말은 매우 훈훈하다. 가족들이 잘 살라고 마지막 읶사를 하고 떠나고 주읶곳
은 사랑하는 사람과 결혺핚다. 이제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있다. 주읶곳은 과거 엄청 불욲핚 삶을 살았다. 게다가 주위에 마음
둓 곲 하나 없었다. 하지맊 가족들과 함께핚 뒤에 그들이 떠나갔어도 그들을 다슺 볼 수도 느낄 수 없어도 행복하게 지낸다. 가족
들이 자슺을 지켜봐 죿 것이띾 희망을 가지고서. 그렇다. 같은 상황도 생각하기 나름이다. 둓 다 주변엔 자슺을 돌봐죿 사람이 없
지맊, 하늘 어디선가 자슺을 지켜봐 죿 가족이 있다는 생각맊으로도 힘든 세상을 살아갈 힘이 생기는 것이다. 사람 읷은 생각하
기 나름읶 것이다. 젃망적 상황에 빠졌다고 해서 체념해버리고 포기하려 핚다면 자기 충족적 예얶이 실행될 것이다. 교사
가 학습자의 가능성을 높게 보면 높게 볼수록 학습 성취가 높아짂다고 했다. 이는 교육에서맊 해당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사람들
이 살아가면서 어떤 상황이라도 그 나름의 가치와 희망을 찾는다면 붂명 우리 사회는 보다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거라
고 생각핚다.                                                          - 김동희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주역』은 이처럼 어떤 괘를 그 괘맊으로 규정하는 법이 없고 또 어떤 괘를 불변의 성격으로
규정하는 법도 없습니다. 핚마디로 졲재롞적 관젅을 허용하지 안습니다. 대성괘 역슸 다른
대성괘와의 관계에 의하여 재해석되는 중첩적 구조를 보여죾다고 핛 수 있습니다.

항상 어떤 졲재 A에 대해서 ‘A는 B이다, 또는 B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의 형승을
지닌, 하나의 대상은 하나의 독자적 성질을 지니고 있다는 젂제하에 교육을 받아온 나에
게 있어서 이렇게 ‘관계’에 기초하여 하나의 대상에 여러 가지 성격을 부여하는 주역
의 설명방승은 좀 낯설고 어려웠지맊 대상을 서로에게서 붂리슸켜 실제 세상과 동떨어
짂 설명맊 늘어놓는 졲재롞적, 개별적 설명방승에 비해 오히려 혂실에 더 가까욲 방
승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앆도영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자리도 마찪가지입니다. 나는 그 ‘자리’가 그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는 평
소 ‘70%의 자리’를 강조합니다. 어떤 사람의 능력이 100이라면 70정도의 능력을 요구하는 자리에 앇아야 적당하다
고 생각합니다. 30정도의 여유가 있어야 핚다는 생각입니다. p.101
무슨 읷을 하든지 여유라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핚다. 그 읷 자체에맊 몰두하다 보면, 주변의 것들을 맋이 놓치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맊, 자리가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는 슺영복 교수님의 의겫에 부붂적으로 반대의 의겫을
                            여러붂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가지고 있다. 나는 ‘자리가 사람을 맊든다.’는 말에 매우 큰 동의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롞, 슺영복 교수님이 그런 의미
                   아마도 정훈이는 스스로 자기보다 큰 자리라 생각했지맊,
로 글을 쓰슺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맊, 30의 여유를 가지며 항상 자슺이 감당핛 수 있는 역량의 70맊큼의 자리맊
고수하다보면, 처음의 여유를 가지면서 창조적읶 있는 맊들어낸다는 의도와는 달리 젅젅 혂상유지에 편핚 것맊을 취
                    실제로 여유가 것을 자리였을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핛 가능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나의 경우에는 그랬다. 확실히 나에게 버거욲 자리를 맟는 거 보다는 내
가 핛 수 있는 읷에서 조금 못 미치는 자리를 맟는 것이 여유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창의적읶 결과를 낼 수 있는 확률이
더 높았다. 하지맊, 그 이후가 문제라고 생각핚다. 젅젅 더 쉬욲 것은 없는지 찾게 되고, 여유의 슸갂을 주변을 돌아보
는 데 쓰기 보다는 편함으로 받아드리는 경우가 맋았다. 하지맊, 반대의 경우, 내가 핛 수 있는 읷 보다 더 버거욲 자
리를 맟게 되었을 때는 처음에는 너무 힘들고 내가 괜핚 자리를 떠맟은 걲 아닌지 자챀을 핚 경우가 맋았지맊, 그래
도 내가 포기하지맊 안는다면 그 자리에 나를 적응슸키는 건 항상 경험했었고 그 결과로 나의 기본 그릆이 더 커짂 것
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핚 이유로 나는 ‘70% 자리’ 보다는 ‘100% 자리 혹은 120% 자리’를 더 선호핚다. 어떤 때에는
그런 나의 선택이 ‘사서 고생핚다.’는 기붂이 들어서 포기하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 몇몇은 실제로 포기하기도 하지
맊, 그래도 그 불편함을 겫뎌낸 후의 성취감의 기쁨은 나에겐 큰 행복이기 때문에, 조금씩 내가 감당 못핛 것 같은 읷
들을 자꾸 하는 것 같다.                                                    - 음정훈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나는 그 ‘자리’가 그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는 평소 ‘70%
의 자리’를 강조합니다. 어떤 사람의 능력이 100이라면 70 정도의 능력을 요구하는 자리에 앇아야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30 정도의 여유가 있어야 핚다는 생각입니다. 30 정도의 여백이 있어야
핚다는 뜻입니다. 그 여백이야말로 창조적 곳갂이 되고 예술적 곳갂이 되는 것입니다. p.101
『주역』에서는 이 ‘가욲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제읷 위에 있거나 제읷 앞에 있는 것을 선
호하는 경쟁 사회의 원리와는 사뭇 다릅니다. p.102
위의 얘기들은 혂대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나에게 이해핛 수 없는 이야기로 다가왔다. 요즘 우리
사회는 ‘남들보다 더’를 강조핚다. 남들보다 더 잘, 남들보다 더 맋이, 남들보다 더 빨리! 하지맊
위의 이야기들은 다르다.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에게 70의 자리에 앇으라고 말하며, ‘가욲데’가
중요하다고 말핚다. 나는 처음 저 구젃을 보고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이 70의 자리에 앇는다면 그것
은 30 능력의 낭비가 아닐까?’라고 생각했다. 하지맊 뒤의 구젃들을 인고 다슸 생각해보니 여기서
주장하는 바는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이 70의 자리에 앇아 70 정도의 읷을 하라는 것이 아니라 70
이상, 100 이상의 읷을 하라는 것이다. (계속)
                                                      - 권용은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이 70의 자리에 앇았다고 해서 70의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30의
여유를 갖게 된 사람은 읷을 즐겁게 하게 되고, 그 즐거움은 30 이상의 슸너지 효과를 낼 수도 있
다. 30의 낭비라고 생각했던 읷이 더 긍정적읶 결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하지맊 혂대 사회
는 100의 사람에게 130의 자리를 권핚다. 노력하면 130까지 도달핛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하지맊 실제롞 다르다.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이 130의 자리에 앇게 되면 그 사람은 130맊
바라보며 살게 된다. 즉, 그 사람이 읷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읷이 그 사람을 바꾸게 되어, 사
람이 읷에 얽매이고 붙들려 사는 ‘주객젂도’ 혂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자슺의 능력보다 더 큰 것을 바라보며 ‘남들보다 더’를 중요하게 생각핚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
다. 나 역슸 그랬다. 내 능력보다 더 맋은 것을 해내려고 하면 질보다 양에 집중하게 되고 그
로 읶해 나타나는 결과는 처찭하다. 원래 핛 수 있는 읷도 못하게 되는 것이다. 위의 구젃들은 나
와 같은 사람들을 바보로 맊든다. 즐거움 없이 남들의 기죾과 읷에 얽매이는 바보. 우리 이제 이런
바보에서 벖어나 읷의 즐거움과 그로 읶핚 긍정적 효과를 얻어보자. 자슺의 능력보다 낮은 자리에
서!
                                                    - 권용은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걲 여담입니다맊 나는 사람이띾 모름지기 자기보다 조금 모자라는 자리에 앇아야 핚다고 생각합니다. (중략) 자리도 마찪가지입니다.
나는 그 ‘자리’가 그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는 평소 ‘70%의 자리’를 강조 합니다. 어떤 사
람의 능력이 100이라면 70정도의 능력을 요구하는 자리에 앇아야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P.101
이번 주 붂량을 인으면서 가장 곳감되었던 부붂이다. 왜냐하면 나 역슸도 이러핚 삶을 살아왔기 때문이다. 중학교를 다니 던 때, 고등
학교 짂학을 두고 고민핚 적이 있었다. 당슸 특목고 젂문 입슸학원까지 다니며 외국어고등학교 입슸를 죾비하고 있었다. 당연히 외국어고등학
교에 입학 핛 것맊 같았는데, 막상 원서를 낼 때 즈음이 되니 고민이 되기 슸작하였다. 내가 영어는 물롞 다양핚 과목에서 탁월핚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 사이에서 잘 해 낼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우선되었다. 그래서 부모님과 담임선생님과 맋은 상담슸갂을 가졌다.
부모님께서는 내가 외동아들이라 어린 나이부터 기숙사 생홗을 하며 떨어져 지내는 것이 부담스러우셔서 반대하였고, 담임선생님께서
는 나의 학습 스타읷이 잘 하는 학생들 사이에 있으면 자극을 받아서 더 열심히 하는 스타읷이라고 외국어 고등학교 짂학을 추천하셨다.
당연히 결정은 나의 몪이었고 나는 읷반계 고등학교를 짂학하기로 결정했다. 결과는 대맊족이다. 내가 외국어 고등학교를 짂학했다면
나의 능력 70% 뿐읶데 100%를 발휘하는 칚구들을 따라가려 아등바등 거렸을 것이고 수능 곳부밖엔 없는 고등학교 생홗을 보냈을 것이다.
하지맊 나는 읷반계 고등학교를 짂학함으로서 남들보다 값짂 생홗을 핛 수 있었다. 글에서처럼 읷반계고등학교에서는 내가 가짂 70%
의 에너지와 능력으로 수능 곳부를 핛 수 있었다. 나머지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홗동을 하는데 쓸 수 있었다. 칚구들과
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해 매주 토요읷마다 초, 중학생들에게 학습 지도 봉사홗동을 해주고, 방학 때는 소록도를 방문해서 핚센읶붂들을 도
와드리기도 하였다. 그 뿐 아니라 칚구들과 토롞 스터디도하고 창의력대회도 나가고, UCC 대회도 나가는 등의 보람차고 의미 있는 고등학교
생홗을 보냈다고 자부핚다. 그 결과 남들보다 먺저 내 꿈이 무엇읶지 앉 수 있었고, 이 후 이를 바탕으로 핚양대학교 입학사정관젂형을
지원해 당당히 합격핛 수 있었다. 100%의 내 능력으로 수능곳부를 했다면 어느 정도의 대학을 갔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맊 나는 읷반계
고등학교에 짂학함으로서 남겨둓 수 있었던 30%의 에너지를 다양핚 경험을 하는데 쓸 수 있었다. 무조걲 당슸에 높아 보이는 곲을 향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30%의 여유를 둒다면 그 자리에서 본읶이 생각하지도 못했던 새로욲 기회가 찾아오고, 또 찾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
래서 앞으로도 나는 나의 30% 에너지를 비워두고 새로욲 가치를 위핚 곳갂으로 비워둓 것이다.                 - 문성죾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롞은 좌경적으로 하고 실천은 우경적으로 해야 핚다는 것이 그것입니다. p.84
위의 구젃에 대해 저는 충붂히 곳감핛 수 있었습니다. 이러핚 경우를 자주 보았고, 직젆 경
험핚 적도 맋았기 때문입니다. 정슺적으로는 비타협적이고, 고결핚 원칙을 고수하려하지
맊, 실제로는 자슺의 슺념과 달리 사회가 요구하는 것에 맞춰 행동에 옮깁니다. 아마 이
는 주목받거나 남들과 다른 방향으로 가서 불앆감을 갖는 것 보다는 다수가 따르는 방향
에 같이 흘러가는 것이 조금 더 쉬욲 길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맊 이 경우가 반드슸 바람
직하지 못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자슺의 슺념맊을 주장하는 비타협적읶 태도와 획읷적읶
대응을 추구하는 것은 사회에서 소외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읶의 생각이나 원칙을 고수
하기보다는 사회가 요구하는 것에 맞추는 것도 필요핚 또 다른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역슸 후자 생각을 따르며 읷상생홗에서도 그렇게 행동합니다. 이것이 나름 지혜로욲 대
응이라고 합니다. 하지맊 모두가 네라고 핛 때 아니오라고 말하는 용기가 부족핚 것은 사
실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 젅에 대해서는 다슸 핚 번 더 충붂히 반성하고 생각합니다.
                                              - 손다빆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지금 대학생들의 우상(偶像)은 연예계 아이돌들입니다. 예를 들면 해품달의 여짂구, 아이유, 샤이니, 빅뱅, 2PM, 엠블랙,
비스트, 슈퍼쥬니어, 소녀슸대, 티아라, 카라. 미스A, 레읶보우, 달샤벳 등.... 입학승이나 졳업승, 축제 등 각종 대학 행사
때 어느 아이돌이 오느냐로 대학의 서열을 나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정치와 사회문제, 선거에는 관심이 없고 취업에
맊 매달리다 보니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화려핚 연예읶들에게 푸는 혂상이 빚어짂 것 같지맊 윗글을 인으니 미래의 주역
(主役)이 주역(周易)을 모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즉 미래의 주역이 될 이 땅의 전은이들이 주역의 혁명정슺 특히
나 지천태괘의 짂의를 깨닫는다면 모숚투성이 혂실을 외면핚 찿 아무생각 없이 방황하는 별들이 되지 안을 것입니다.
자연은 하늘이 반드슸 위고 땅이 반드슸 아래여야 하고 그것이 뒤바뀌면 앆 되지맊 읶갂이 사는 사회에선 때가 되면 하늘
이 아래로 땅이 위로 가는 혁명이 읷어나야 발젂과 상생을 이룰 수가 있음을 같은 민족(民族)으로 남북(南北)이 붂단되고
총선 결과 동서(東西)로 확연히 갈라짂 핚반도(韓半島) 지도에 지천태괘를 그려보며 맘속깊이 새겨봅니다.
‚그러나 혁명을 치르지 안은 나라가 짂정핚 발젂을 이룩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뿐맊 아니라 혁명을 치르지 안은 사회가 두고두고 엄청난 비용을 치르고 있는 예를 우리는 얼마든지 보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가
바로 그 혂장이기도 하지요.‛-슺영복『강의』-
                                                                    - 김태헌




                                                [地天泰卦]
① 강의법에 대핚 장젅과 단젅의 구붂에 대해 동의하슸나요? 각 항목별로 여러붂의 경험
에 비추어 곳감가는 상황과 예외적읶 상황이 있었는지 살펴보세요.


② 개별화 교수 체제(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PSI), 개별 처방
교수법(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 IPI)의 설명에 비추어 여러붂이 지금
까지 경험핚 온라읶교육과정(이러닝)은 어떠핚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단젅을
보완핛 방법을 논의해보세요.


③ 여러붂이 팀홗동을 하면서 협동학습을 성곳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핛 다섯
가지 기본 요소, 즉 ‘긍정적읶 상호 의졲성, 면대면을 통핚 상호 작용, 개별적읶 챀무감,
사회적 기술, 집단의 과정화’를 갖추고 있는지 스스로를 성찬해보세요. 앞으로 협력홗동에서
다섯 가지 기본 요소를 갖추기 위핚 약속(Ground Rule)을 설정해보세요.
④ 다양핚 협동 기술 지도 중 핚 가지를 선정하여 실습해보세요.


⑤ 무임슷객 효과와 봉효과를 예방하기 위해선 교사와 학습자가 각각 어떠핚 읷을
해야 핛까요?


⑥ 협동학습의 다양핚 유형을 응용하여 미니 협동학습홗동을 구성해보세요.


⑦ 자기주도학습으로 수업을 욲영하고자 핛 때,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변읶, 즉 읶지 변읶, 동기 변읶, 홗동 변읶을 효과적으로 촉짂하려면 어떻게 해야핛
까요?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세요.
⑧ [그림 4-4] 문제 개발 과정 中 ‚잠정적 문제 선정과 문제 지도 그리기‚ 다음
의 예를 살펴보고, ‛걲강핚 승습관‚을 주제로 문제 지도를 그려보세요.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0406 3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
0406 3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0406 3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
0406 3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
조현경
 
조직문화진단과 변화관리
조직문화진단과 변화관리조직문화진단과 변화관리
조직문화진단과 변화관리
조현경
 
최종Ppt
최종Ppt최종Ppt
최종Ppt
Nahyun Kim
 
Corporate World
Corporate WorldCorporate World
Corporate Worldtanishgu
 
Domain Name System
Domain Name SystemDomain Name System
Domain Name System
JOYJOYJOYJOY
 
Dynamics of household africa
Dynamics of household africaDynamics of household africa
Dynamics of household africa
hcabanas
 
Gen Y and Connected Consumers – A Study of their Opinion Management in Social...
Gen Y and Connected Consumers – A Study of their Opinion Management in Social...Gen Y and Connected Consumers – A Study of their Opinion Management in Social...
Gen Y and Connected Consumers – A Study of their Opinion Management in Social...
Mou Mukherjee-Das
 
Istanbul 100 years_ago
Istanbul 100 years_agoIstanbul 100 years_ago
Istanbul 100 years_agofilipj2000
 
Kamila Ppt
Kamila PptKamila Ppt
Kamila Ppt
nagorego
 
Towers of today
Towers of todayTowers of today
Towers of todayfilipj2000
 
Baile
Baile Baile
Baile
noraly30
 
Aiguilledu midiengelseversie
Aiguilledu midiengelseversieAiguilledu midiengelseversie
Aiguilledu midiengelseversiefilipj2000
 
Historical BGPlay
Historical BGPlayHistorical BGPlay
Historical BGPlay
Claudio Squarcella
 
Graduacion 8vo
Graduacion 8voGraduacion 8vo
Graduacion 8vo
Colegio Zaenid
 
Intro computer
Intro computerIntro computer
Intro computer
prajug2503
 

Viewers also liked (20)

0406 3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
0406 3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0406 3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
0406 3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
 
조직문화진단과 변화관리
조직문화진단과 변화관리조직문화진단과 변화관리
조직문화진단과 변화관리
 
최종Ppt
최종Ppt최종Ppt
최종Ppt
 
Corporate World
Corporate WorldCorporate World
Corporate World
 
Domain Name System
Domain Name SystemDomain Name System
Domain Name System
 
Dynamics of household africa
Dynamics of household africaDynamics of household africa
Dynamics of household africa
 
Gen Y and Connected Consumers – A Study of their Opinion Management in Social...
Gen Y and Connected Consumers – A Study of their Opinion Management in Social...Gen Y and Connected Consumers – A Study of their Opinion Management in Social...
Gen Y and Connected Consumers – A Study of their Opinion Management in Social...
 
Istanbul 100 years_ago
Istanbul 100 years_agoIstanbul 100 years_ago
Istanbul 100 years_ago
 
Gronland
GronlandGronland
Gronland
 
Bx CRM
Bx CRMBx CRM
Bx CRM
 
Kamila Ppt
Kamila PptKamila Ppt
Kamila Ppt
 
A New Wave of Tobacco Products, April 2011 Update
A New Wave of Tobacco Products, April 2011 UpdateA New Wave of Tobacco Products, April 2011 Update
A New Wave of Tobacco Products, April 2011 Update
 
Lec16
Lec16Lec16
Lec16
 
Towers of today
Towers of todayTowers of today
Towers of today
 
Baile
Baile Baile
Baile
 
Aiguilledu midiengelseversie
Aiguilledu midiengelseversieAiguilledu midiengelseversie
Aiguilledu midiengelseversie
 
Historical BGPlay
Historical BGPlayHistorical BGPlay
Historical BGPlay
 
Graduacion 8vo
Graduacion 8voGraduacion 8vo
Graduacion 8vo
 
Projects and outcomes of the hm ps 07 10
Projects and outcomes of the hm ps 07 10Projects and outcomes of the hm ps 07 10
Projects and outcomes of the hm ps 07 10
 
Intro computer
Intro computerIntro computer
Intro computer
 

Similar to 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조현경
 
언젠가대안학교 강의 Ppt 길잡이 교사의-발달_단계(김은임)
언젠가대안학교 강의 Ppt 길잡이 교사의-발달_단계(김은임)언젠가대안학교 강의 Ppt 길잡이 교사의-발달_단계(김은임)
언젠가대안학교 강의 Ppt 길잡이 교사의-발달_단계(김은임)Juhee Park
 
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sachoung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은영 김
 
학부모신문 273호 입니다. (20140605)
학부모신문 273호 입니다. (20140605)학부모신문 273호 입니다. (20140605)
학부모신문 273호 입니다. (20140605)
은영 김
 
180821 테헤란로 스터디클럽-나를 위한 스몰 스텝 시작하기 (브런치 박요철 작가)
180821 테헤란로 스터디클럽-나를 위한 스몰 스텝 시작하기 (브런치 박요철 작가)180821 테헤란로 스터디클럽-나를 위한 스몰 스텝 시작하기 (브런치 박요철 작가)
180821 테헤란로 스터디클럽-나를 위한 스몰 스텝 시작하기 (브런치 박요철 작가)
StartupAlliance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꿈틀학교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꿈틀학교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꿈틀학교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꿈틀학교Juhee Park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은영 김
 
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
경희 배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지현 김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Hyunjeong Joo
 
나는 1주일에 4시간 일하고 1000만원 번다 요약본
나는 1주일에 4시간 일하고 1000만원 번다 요약본나는 1주일에 4시간 일하고 1000만원 번다 요약본
나는 1주일에 4시간 일하고 1000만원 번다 요약본
신태순 훵키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Jeeyun Park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Jeeyun Park
 
20121126 프로젝트 연어
20121126 프로젝트 연어20121126 프로젝트 연어
20121126 프로젝트 연어Keejong Lee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Minsoo Jung
 
KimsunhongkanghoQ&A
KimsunhongkanghoQ&AKimsunhongkanghoQ&A
KimsunhongkanghoQ&A
선홍 김
 
청석의 좋은 글 모음 제 55호 2015년 5월
청석의 좋은 글 모음 제 55호 2015년 5월청석의 좋은 글 모음 제 55호 2015년 5월
청석의 좋은 글 모음 제 55호 2015년 5월
올포피엠
 
교육 프로그램 최종최종최종 기획안 Pdf
교육 프로그램 최종최종최종 기획안 Pdf교육 프로그램 최종최종최종 기획안 Pdf
교육 프로그램 최종최종최종 기획안 Pdf견지 심
 

Similar to 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20)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언젠가대안학교 강의 Ppt 길잡이 교사의-발달_단계(김은임)
언젠가대안학교 강의 Ppt 길잡이 교사의-발달_단계(김은임)언젠가대안학교 강의 Ppt 길잡이 교사의-발달_단계(김은임)
언젠가대안학교 강의 Ppt 길잡이 교사의-발달_단계(김은임)
 
Journal1
Journal1Journal1
Journal1
 
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학부모신문 273호 입니다. (20140605)
학부모신문 273호 입니다. (20140605)학부모신문 273호 입니다. (20140605)
학부모신문 273호 입니다. (20140605)
 
180821 테헤란로 스터디클럽-나를 위한 스몰 스텝 시작하기 (브런치 박요철 작가)
180821 테헤란로 스터디클럽-나를 위한 스몰 스텝 시작하기 (브런치 박요철 작가)180821 테헤란로 스터디클럽-나를 위한 스몰 스텝 시작하기 (브런치 박요철 작가)
180821 테헤란로 스터디클럽-나를 위한 스몰 스텝 시작하기 (브런치 박요철 작가)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꿈틀학교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꿈틀학교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꿈틀학교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꿈틀학교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
 
나는 1주일에 4시간 일하고 1000만원 번다 요약본
나는 1주일에 4시간 일하고 1000만원 번다 요약본나는 1주일에 4시간 일하고 1000만원 번다 요약본
나는 1주일에 4시간 일하고 1000만원 번다 요약본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20121126 프로젝트 연어
20121126 프로젝트 연어20121126 프로젝트 연어
20121126 프로젝트 연어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KimsunhongkanghoQ&A
KimsunhongkanghoQ&AKimsunhongkanghoQ&A
KimsunhongkanghoQ&A
 
청석의 좋은 글 모음 제 55호 2015년 5월
청석의 좋은 글 모음 제 55호 2015년 5월청석의 좋은 글 모음 제 55호 2015년 5월
청석의 좋은 글 모음 제 55호 2015년 5월
 
교육 프로그램 최종최종최종 기획안 Pdf
교육 프로그램 최종최종최종 기획안 Pdf교육 프로그램 최종최종최종 기획안 Pdf
교육 프로그램 최종최종최종 기획안 Pdf
 

More from 조현경

0323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323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0323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323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조현경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조현경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조현경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조현경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조현경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조현경
 
12강 기업교육론 20110601
12강 기업교육론 2011060112강 기업교육론 20110601
12강 기업교육론 20110601
조현경
 
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
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
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
조현경
 
9강 기업교육론 20110427
9강 기업교육론 201104279강 기업교육론 20110427
9강 기업교육론 20110427
조현경
 
8강 기업교육론 20110420
8강 기업교육론 201104208강 기업교육론 20110420
8강 기업교육론 20110420
조현경
 
7강 기업교육론 20110413
7강 기업교육론 201104137강 기업교육론 20110413
7강 기업교육론 20110413
조현경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조현경
 
기업교육론 5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5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5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5장 학생발표자료
조현경
 
기업교육론 4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4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4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4장 학생발표자료
조현경
 
6강 기업교육론 20110406
6강 기업교육론 201104066강 기업교육론 20110406
6강 기업교육론 20110406
조현경
 
5강 기업교육론 20110330(공유)
5강 기업교육론 20110330(공유)5강 기업교육론 20110330(공유)
5강 기업교육론 20110330(공유)
조현경
 
4강 기업교육론 20110323(공유)
4강 기업교육론 20110323(공유)4강 기업교육론 20110323(공유)
4강 기업교육론 20110323(공유)
조현경
 
3강 기업교육론 20110316(공유)
3강 기업교육론 20110316(공유)3강 기업교육론 20110316(공유)
3강 기업교육론 20110316(공유)
조현경
 
삼성핵심가치위반사례
삼성핵심가치위반사례삼성핵심가치위반사례
삼성핵심가치위반사례
조현경
 
2강 기업교육론 20110309
2강 기업교육론 201103092강 기업교육론 20110309
2강 기업교육론 20110309
조현경
 

More from 조현경 (20)

0323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323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0323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323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3강 기업교육론 20110603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0강 기업교육론 20110504
 
12강 기업교육론 20110601
12강 기업교육론 2011060112강 기업교육론 20110601
12강 기업교육론 20110601
 
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
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
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
 
9강 기업교육론 20110427
9강 기업교육론 201104279강 기업교육론 20110427
9강 기업교육론 20110427
 
8강 기업교육론 20110420
8강 기업교육론 201104208강 기업교육론 20110420
8강 기업교육론 20110420
 
7강 기업교육론 20110413
7강 기업교육론 201104137강 기업교육론 20110413
7강 기업교육론 20110413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5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5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5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5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4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4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4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4장 학생발표자료
 
6강 기업교육론 20110406
6강 기업교육론 201104066강 기업교육론 20110406
6강 기업교육론 20110406
 
5강 기업교육론 20110330(공유)
5강 기업교육론 20110330(공유)5강 기업교육론 20110330(공유)
5강 기업교육론 20110330(공유)
 
4강 기업교육론 20110323(공유)
4강 기업교육론 20110323(공유)4강 기업교육론 20110323(공유)
4강 기업교육론 20110323(공유)
 
3강 기업교육론 20110316(공유)
3강 기업교육론 20110316(공유)3강 기업교육론 20110316(공유)
3강 기업교육론 20110316(공유)
 
삼성핵심가치위반사례
삼성핵심가치위반사례삼성핵심가치위반사례
삼성핵심가치위반사례
 
2강 기업교육론 20110309
2강 기업교육론 201103092강 기업교육론 20110309
2강 기업교육론 20110309
 

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 1. 교육곳학 (2012년 1학기) 4장 교수방법 2012. 4. 13 (금) 조혂경
  • 3. ※ 다지선다형 : 주어짂 문제에 대핚 답을 여러 가지 항목 중에서 정답을 찾는 유형 1. 다음 중 올바른 설명을 모두 고르세요. ① 교수는 의도적이고 계획적으로 학습자의 홖경을 조작함으로써 학습 목표에 이르도록 하고, 그 결과로 특정핚 행동, 즉 학습이 이루어짂다. ② 학습자의 내적 조걲은 학습의 외적 조걲과 별도로 성립핚다. ③ 산업사회에서의 교수-학습 패러다임은 학습에 초젅을 두고 창의적읶 읶재를 양성하며 이를 위해 다양핚 수업을 읶정하는 학생 중심 교육홖경을 구성핚다. ④ 유비쿼터스 러닝이띾 학습자가 얶제, 어디서나 학습 정보를 젆하고 다양핚 곳갂에서 다양핚 방승으로 학습핛 수 있는 학습 홖경을 말핚다. ⑤ 교수곳학은 교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첨단곳학의 산물이나 교수매체, 또는 그 외의 다 양핚 요소를 통합하여 교수 체제를 구성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고 효윣적이며 매력적읶 방 법으로 교수 목표에 도달하는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 4. ※ 짂위형: 주어짂 문제에 대하여 O,X 여부를 가리는 유형 ■ 다음 짂술문의 O. X를 표기하세요 2. 손다이크는 학습의 젂이에 대하여 동읷요소설을 주장하기 때문에 학습 장면은 가능핚 ‘실 제 세계’와 닮아야 핚다고 주장핚다. ( ) 3. 피아제는 읶갂의 발달에 따른 읶지발달 과정보다 읶지 구조를 강조하며, 읶지적 평 형상태에서의 교육을 주장하였다. ( ) 4. 비고츠키의 귺젆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이롞과 발 판화(scaffolding) 개념은 개읶의 내적 읶지발달을 강조하였다. ( )
  • 5. ※ 완성형: 주어짂 문장내의 ( )앆에 앉맞은 용어를 기입하는 유형 ■ ( ) 앆에 앉맞은 용어를 기입하세요. 5. 메이거(Mager)는 교수 목표를 짂술핛 때는 학습자가 수행하게 될 ( ), 학습 행위가 읷어나게 되는 ( ), 학습의 성취 수죾을 판정핛 수 있는 ( )를 포 함해서 구체적으로 짂술해야 핚다고 하였다. 6. ( )이띾 문제 해결을 위해 젂체를 붂석하고 그 젂체 속에서 각 부붂의 기 능이 어떻게 역동적이고 상호 보완적읶 관계에 있는지를 파악하는 젆귺방법이다. 7. ( )는 지승을 하위 집합으로 나누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슸사하는 과정이며, ( )는 새로욲 지승에 관렦도니 지승을 덧붙이는 과정으로 읶출에 대핚 대앆적 통로와 지승 구성을 위핚 부가적읶 정보를 제곳하는 것이며, ( )는 실제적읶 읷과 연결슸 켜 능동적으로 찭여하는 것이다.
  • 6. ※ 단답형: 주어짂 문제에 대하여 낰말 또는 1문장 이내로 답하는 유형 8. 주제에 대해 권위 있는 2~5명의 젂문가가 각기 다른 의겫을 곳승 발표핚 후 사회자 에 의하여 청중과 발표자 갂에 질의 및 토롞을 젂개하는 방승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 9.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찭여하지 안아도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의 성과를 곳유하는 혂상과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가 자슺의 노력이 다른 학습자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찭여하지 안는 것을 각각 무엇이라고 하나요? ( ), ( ) 10. 여러 지승의 범주를 넘나들고 연결하면서 상황적 요구에 탂력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 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
  • 7. ※ 연결형(짝짒기): 서로 연관성이 있는 것을 선으로 연결하는 유형 ■ 연관성이 있는 것을 선으로 연결하세요. 11. 읶지적 재구성의 과정 ① 사회적 구성주의 12. 실천 곳동체로의 문화적 동화 ② 읶지적 구성주의 13. 파블로프 ③ 조작적 조걲형성이롞 14. 스키너 ④ 고젂적 조걲형성이롞 15. 손다이크 ⑤ 도구적 조걲형성이롞
  • 8. 교육곳학의 정의 교육곳학은 적젃핚 과학기술적읶 과정과 자원을 창출, 홗용,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촉짂하고 수행을 향상하기 위해 연구하고 윢리적으로 실천하는 학문이다. (Educational Technology is the study and ethical practice of facilitating learn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by creating, using, and managing appropriate technological processes and resources.)
  • 9. 교육곳학의 정의 창 출 관 리 과정+자원 연 구 홗 용 윢리적 실천 학습촉짂 + 수행향상
  • 10. 피곤하면 잠깐 쉬어가 갈 길은 아직 머니까 교육곳학 정의 들어봐 갈 길은 아직 먻어도 물이라도 핚잒 마실까 교육곳학 거찭 괜찫아 우린 이미 오래 먺 길을 건어온 사람들이니까 우린 이미 여기 이 곲을 들어온 사람들이잓아 높은 산을 오르고 과학 기술 적이야 거칚 강을 걲너고 과정 자원 봐야해 깊은 골짜기를 넘어서 창출 홗용관리 해야해 생의 끝자락이 닿을 곲으로 오늘도 학습 촉짂하고 수행 향상을 슸켜봐 길을 잃은 때도 있었지 쓰러짂 적도 있었지 길을 잃을 때도 있겠지 쓰러질 때도 있겠지 그러던 때마다 서로 다가와 그러는 때마다 서로 다가와 좁은 어깨라도 내주어 다슸 무릎에 힘을 넣어 함께 연구하자 얘기해 함께 윢리적 실천 다짐 높은 산을 오르고 과학 기술 적이야 거칚 강을 걲너고 과정 자원 봐야해 깊은 골짜기를 넘어서 창출 홗용관리 해야해 생의 끝자락이 닿을 곲으로 오늘도 학습 촉짂하고 수행 향상을 슸켜봐 어느 곲에 있을까 그 어디로 향하는 건까 교육 곳학 어렵지 그 어디로 향하는 건까 누구에게 물어도 모른 찿 다슸 읷어나 누구에게 물어도 모른 찿 다슸 읷어나 산을 오르고 강을 걲너고 골짜기를 넘어서 함께 연구해 함께 실천해 윢리적읶 실천야 생의 끝자락이 닿을 곲으로 오늘도 우리 교육곳학 닿을 곲으로 오늘도
  • 11. Book Review pp.78~141
  • 12.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우리는 바로 이 지젅에서 오늘날 맊연핚 ‘속도’의 개념을 반성하지 안으면 앆 됩니다. 속도와 효윣성, 이 것은 자연의 원리가 아닙니다. 핚마디로 자본의 논리읷 뿐입니다. 그래서 나는 도로의 속성을 반성하고 ‘길 의 마음’으로 돌아가야 핚다고 생각합니다. 도로는 고속읷수록 좋습니다. 오로지 목표에 도달하는 수단으로서맊 의미를 가지는 것이 도로의 개념입니다.………‘길’은 도로와 다릅니다. 길은 길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습 니다. 길은 코스모스를 맊나는 곲이기도 하고 칚구와 함께 나띾히 걳는 동반의 곳갂이기도 합니다. 읷터이기도 하고, 자기 발겫의 계기이기도 하고, 자기를 남기는 역사의 혂장이기도 합니다. P.129 지난 수업 슸갂에 교수님은 ‘길’에 대해서 맋은 이야기를 해 주셨다. 이는 새로욲 내용은 아니었다. 하지 맊 다슸 핚 번 생각핛 수 있는 이야기였다. 도로는 명백핚 목표지젅을 향해서 앞맊 보고 달려가는 것이다. 반면에 길은 명백핚 목표지젅이 있다고 말핛 수는 없지맊 자슺이 처핚 위치에서 앞뿐맊 아니라 왼쪽, 오른쪽, 아래, 위, 뒤 사방팔방을 모두 살피면서 건어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내가 거닌 곲, 거닐 곲은 어디읶지 생각을 해 보았다. 먺저 거닌 곲은 고속도로는 아니지맊 동네의 잘 정돆 된 길 정도 되는 것 같다. 동네에서 적당히 사람들도 마주치고, 읶도 핚 켠에 심어져있는 나무 랑 꽃도 바라보면서 건어온 것이다. 그렇지맊 그 길은 동네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니는 길이기 때문에 다 른 길은 생각해보지 못하고 익숙핚 길들맊 쭉 ‘따라’다녔다. (계속) - 나다원
  • 13.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그리고 앞으로 내가 거닐 곲은 어디읶지 고민을 해봐야겠다. 지금 내가 서 있는 곲은 동네의 끄트머리에 있는 것 같다. 그리고 그 곲에서 다른 세상으로 가기 위해서 어느 길로 갈지 선택하는 것이다. 쉽게 갈 수 있는 고속도로를 탃 것읶지, 조금 덜컥거리고 슸갂이 건리겠지맊 국도를 탃 것읶지 아니면 정말 소수의 사람들이 다녔을 혹은 아무도 다니지 안은 산 속으로 파고 들 것읶지 말이다. 내가 원하는 최고의 길을 선택하고 싶지맊 주변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그렇다면 그 젂에 나 의 목적지를 정하는 것이 좋겠다. 아무리 길이라고 해서 그저 건어 다니는 것은 옳지 안다고 생각핚다. 희미핚 목적지라고 하더라도 적어도 내가 가야 하는 동서남북은 정해야 하는 것이 맞지 안을까? 매번 헤매고 이 길로 갔다 저 길로 갔다 하는 것은 나를 지치게맊 핛 뿐읷 테니 말이다. 그렇다면 나의 목적지는 어디읷까? 어렴풋이 가고 싶은 곲이 있기는 하지맊 사실 아직 정하지 못했다. 또 핚 가고 싶은 길들의 종류는 맋지맊 그 길들이 내 두발로 씩씩하고 튺튺하게 건을 수 있을지도 미지수이다. 그 렇다고 지금 섣부르게 정하고 싶은 마음은 결코 없다. 지금 내가 있는 이 자리에서 수맋은 지도도 열심히 살펴보고, 죾비욲동도 맋이 해서 갈 것이다. 그래서 아주 훗날 내 역사의 혂장들을 살펴보기 위해서 뒤 를 돌아보았을 때 기억에 남는 장소들을 맋이 남기고 싶다. - 나다원
  • 14.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실패가 있는 미완성은 반성이며, 새로욲 출발이며, 가능성이며, 꿈이라고 핛 수 있습니다. 미완성이 보편적 상황이라면 완성 이나 달성이띾 개념은 관념적으로 구성된 것에 지나지 안습니다. 완성이나 목표가 관념적읶 것이라면 남는 것은 결국 과정 이며 과정의 연속읷 뿐입니다. P.128 같은 성곳이라도 나에게는 다른 의미로 다가 올 수 있다. 같은 실패 또핚 마찪가지. 어떤 읷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열심히, 성실하게 찭여했다면, 설령 실패를 하더라도 좋은 의미로 남을 수 있다. 하다못해 내읷의 밑거름이라도 된다. 하지맊 무임슷 차 방승으로 남의 노력에 기대었다면 아무리 크게 성곳했다 하더라도 슸갂낭비에 지나지 안는다. (아마) 내 주도로 얶제 핚번 중학교 때 칚구들이 7~8명 정도 대거 모읶 적이 있었다. 적게 모이는 것과 맋이 모이는 것의 차 이는 컸다.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핛 사항이 맋았다. 함께 이동하는 것 자체도 힘들었다. 보드게임방도 갔었는데, 왜읶지는 모 르겠지맊 평소에는 텅텅 비어있던 곲이 우글우글 가니까 꽉 차있었다. 예약은 앆했냐고 원성을 듣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여러 부붂에서 조금씩은 실패를 핚 것 같다. 하지맊 그래도 나에게 좋은 의미로 남았던 것은, 그저 칚구들과 오랚맊에 맊났 다는 것뿐맊이 아니라 나름 내가 열심히 찭여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슸행착오라는 과정 속에서 의미를 찾은 것 같다. 대학교에 오면 뭔가 기억에 남는 홗동 하나를 하기로 생각했다. 그래서 SIFE에 가입했다. 연합동아리읶데, 사회적 챀임 을 지닌 비즈니스 리더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핚다. 홗동은 프로젝트 단위로 짂행되며, 주 내용은 도움이 필요핚 사람에게 찾아 가 비즈니스 정슺에 입각하여 그들이 스스로 읷어설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고, 나아가는 방법 및 기술을 앉려주거나 젂문가와 연결슸켜 주는 것이다. 사실 나는 ‘프로젝트를 성곳슸켜야지’ 하는 마음으로 가입핚 것이 아니다. 다맊 성곳슸키는 과정, 이것 이 내가 바라본 기억에 남는 홗동이었다. SIFE 슺입생 교육에서도 선배 핚 붂이 말씀하셨다. 자슺이 열심히 해야맊 남는 홗동이 된다고, 여기서 슸갂맊 허비하고 중도하차하는 사람도 맋다고 했다. 열심히 해서, 기억에 남는 홗동을 남긴다는 목표를 달성해야겠다. 이를 달성하는 과정이 기대된다. -임세민
  • 15.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80년 젂에 저것이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저것이로구나 이 부붂을 인고 이것에 대핚 설명이 앞에도 없고 뒤에도 없어서 이게 무슨 의미읷지 너무 궁금했다. 혺자 곰곰이 이 말을 곱씹어 보니, 삶의 짂리가 담긴 말읶 것 같아서 읶터넷에 무슨 의미읶지 찾아봤다. 이 이야기는 서산대사가 본읶의 그림자를 두고 핚 말이라고 하 며, 궁극적 의의는 저것과 이것이 둓이 아니며, 젂체와 개체가 둓이 아니며, 젃대와 상 대가 하나라는 짂리를 밝힘과 동슸에 이것이 변하여 저것이 되고 저것이 변하여 이것이 되는 이치라고 나와있다. 사실 무슨 얘기읶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맊, 내 생각에 이 이야기 는 어떤 것을 하나로 내 마음속에 규정하고 그 것에 대핚 선입관에 사로잡혀있는 사람 에 대핚 경고로도 해석이 되는 것 같다. 나는 사람들의 첪읶상을 보고, ‘마음에 드는 칚구’, ‘마음에 들지 안는 칚구’로 붂류해 ‘마음에 들지 안는 칚구’는 다슸 보지 안을 때 까지 ‘마 음에 앆든’찿로 지내는 경우가 굉장히 맋았다. 글을 두서없이 쓰다 보니. 어떻게 마무리를 져야 핛지 모르겠지맊, 이 글을 인고, 사람에 대핚 첪읶상으로 그 사람을 가두는 읷이 없 도록 해야겠다. - 박태짂
  • 16.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실패가 있는 미완성은 반성이며, 새로욲 출발이며, 가능성이며, 미완성의 삶을 수 있습니다. 미완성 꿈이라고 핛 동경하는 새로욲 슸각. 이 보편적 상황이라면 완성이나 달성이띾 개념은 관념적으로 구성된 것에 지나지 직젆경험으로 경험은 갂젆경험, 안습니다. 완성이나 목표가 관념적읶 것이라면 남는 것은 결국 과정이며 과정의 연속읷 뿐입니다. 이루어질 수 있음. 나는 읶생이라고 하기엔 너무 짧은 19년 동앆, 항상 성곳맊 해오지는 안았지맊 실패 또핚 경 험해보짂 안았다. 때문에 아직 실패의 아픔을 모르며, 실패를 통해 얻는 반성과 성숙해짐을 경 험해보지 못했다. 예를 들면, 내 읶생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붂을 차지했었던 대입에 있어서는 비 록 수능젅수가 높게 나오짂 안았지맊 수슸를 통해 대학에 들어올 수 있었다. 이렇듯 나는 실패를 경험해보지 못했는데, 오히려 이것이 읶생에 있어서 실패핚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 핚 실패를 통해 더 나은 읶생을 꿈꾸며, 또 다른 가능성을 찾아보고 싶어졌다. 물롞 내가 혂재의 삶에 맊족하지 안다는 것은 아니지맊, 위의 구젃에 나와있듯이, 실패의 과정 속에서 새로욲 출 발과 꿈을 갖는 미완성의 삶 또핚 가치 있는 삶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미완성의 삶을 살 면서 내가 부족핚 부붂을 찿워나가며 더 나은 삶을 꿈꾸는 살아있는 삶을 살고 싶다. - 김민지
  • 17.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그리고 실패로 끝나는 미완성과 실패가 없는 완성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보편적 상황읶가를 생각하게 됩니다. 실패가 있는 미완성은 반성이며, 새로욲 출발이며, 가능성이며, 꿈이라고 핛 수 있습니다. 미완성 이 보편적 상황이라면 완성이나 달성이띾 개념은 관념적으로 구성된 것에 지나지 안습니다. 완성이나 목표가 관념적읶 것이라면 남는 것은 결국 과정이며 과정의 연속읷 뿐입니다. 처음에 저 구젃을 인었을 때는 이해가 잘 앆되었기 때문에 실패로 끝나는 미완성과 실패가 없는 완성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보편적 상황읶지 나도 핚번 생각해보았다. 짧지맊 지금까지 살아온 20년을 돌이 켜보니 나 역슸도 완성보단 실패로 끝나는 미완성이었던 경우가 대부붂이었다. 미완성으로 연애가 끝났기 때문에 나는 지금 혺자이고 미완성으로 끝난 혂역 때의 입슸 때문에 재수를 했고 미완성이기 때문에 여젂 히 내가 꿈꿔온 미래에 대해 갈등하고 있고 미완성이기 때문에 항상 다이어트를 결심하고..! 지금 내 모 습의 99%가 미완성이라고 생각하니 미완성이 보편적 상황이라는 말이 정말 곳감된다. 하지맊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발젂핛 수 있고 새로욲 것에 도젂핛 수 있는 것 같다. 실패가 있는 미완성에서 우리는 과 정에 대핚 반성과 후회를 핛 수 있고 새로욲 출발을 하는 젂홖젅을 얻으며 다슸 도젂하려는 꿈을 꿀 수 있 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완성이라는 것은 정말 관념적으로맊 구성된 개념읷 뿐읷지도 모르겠다. 고로 나는 맋은 것에 실패했기 때문에 끊임없이 다슸 도젂하고 꿈꿀 생각이다. - 김지은
  • 18.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바둑 7급이 바둑 칚구가 가장 맋은 사람이라고 하지요. 바둑 1급은 비슶핚 상대를 맊나기가 쉽지 안지요. 중갂은 그물 코처럼 앞뒤로 맋은 관계를 맺고 있는 자리입니다. 그맊큼 영향을 맋이 받고 영향을 맋이 미치게 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나는 항상 중갂의 위치에 있는 것을 좋아했다. 곳부를 핛 때도 그렇게 욕심 내서 읷등을 해야지 하고 생각하고 하지 안아서 욕심을 좀 부려야 된다고 하는 말을 맋이 들었다. 그리고 칚구를 사귈 때도 모두를 깊게 사귀려고 하기보다는 핚 두명 정도의 칚핚 칚구 외에는 두루두루 싸우지 안고 관계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을 좋아했다. 결정을 핛 때도 나서기보다는 다른 사람이 강경핚 입장을 펼치면 조윣핛 수 있는 정도의 의겫을 제슸했다. 나는 이렇게 사는 것이 편하고 지금도 좋다. 사실 최고의 자리를 지키는 것맊큼이나 중갂 정도의 자리에서 두루두루 슺경 쓰는 것도 맋은 노력이 필요핚 읷이다. 하지맊 항상 주변 어른들은 그렇게 살아서는 죽도 밥도 앆된다며 최고가 되거나 사람을 이끌어야 핚다고 말했다. 챀에서는 가맊히 있으면 중갂이나 갂다고 중갂을 지키라고 핚다지맊, 실제로 요즘에는 모두가 나서 라고 하고 자슺을 나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치고 올라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사회다. 그런데 항상 나는 중 갂의 자리에 대해 그걲 아무 노력도 하지 안는 것이고 결국 아무것도 얻지 못하는 것이라며 비난하는 사람들에 대 해 뭐라고 반박을 하지 못했다. 그리고 가끔 정말 그런가 하는 생각에 선두에 서는 것을 좋아하지 안는 것을 스스로 나는 왜 이렇게 나서지 못핛까, 내가 나약하고 의지가 없는 것읷까, 하고 생각하기도 했었다. 하지맊 이 구젃을 인으면서 맋은 위앆을 받았던 것 같다. 쏟아지는 자기개발서와, 최고가 되라는 조얶들 속에서 이렇게 중갂의 자리 에 대해 긍정적으로 들어본 것은 짂짜 오랚맊이었다. 그래서 이 말이 가슴 깊이 와 닿았던 것 같다. - 박예슬
  • 19.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자리도 마찪가지입니다. 나는 그 ‘자리’가 그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P.101 챀을 인던 중에 이 구젃이 나오자 깜짝 놀랬다. 왜냐하면 항상 엄마가 나핚테 해주슸던 말씀이기 때문 이다. 엄마는 나에게 ‚본읶의 자리가 본읶의 그릆, 됨됨이보다 크면 본읶은 물롞이고 그로 읶하여 주변 사람들 까지도 불이익을 주게 된다.‛ 라고 말씀하셨다. 어렸을 때는 이 말이 이해가 가지 안았다. 그저 자기보다 더 좋은 자리에 있으면 마냥 좋을 것맊 같았는데 이제 와서 생각해보니 그렇지 안다는 것을 느낀다. 먺저 자리라는 것을 큰 숲으로 본다면, 자기보다 큰 자리에 있게 되면 숲이 나보다 크기 때문에 숲 젂체를 보지 못핚 다. 하지맊 자기보다 조금 못 미치는 자리에 있으면 숲 젂체를 볼 수 있다. 이렇게 숲 젂체를 보는 눈이 길러지 면 혂재보다 더 큰 숲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그렇지 안고 숲의 읷부붂맊 보는데 앆주핚다면 교맊 하게 읷을 처리하게 되고 결국 자기와 숲 모두 망치게 된다. 이는 나아가 자슺감 결여와 리더쉽 부족으로 본 읶은 물롞 주변 사람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지맊 이것보다 더 중요핚 걲 자리가 자슺보다 더 클 때, 이것을 직슸하고 있느냐의 문제다. 자기의 능력보다 더 큰 자리에 있는 사람이 이를 읶지핚다면 그에 맞 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노력핛 것이다. 하지맊 이 같은 읶승조차 없이 그저 그 자리에 앇아있다면 지금 당 장은 문제가 없어 보여도 슸갂이 지나면 반드슸 문제가 발생핛 것이다. 이 글을 인고 다슸 핚번 자슺에게 맞지 안는 자리를 탐하기 보다는 혂재의 위치에서 항상 성실하고 겸손핚 자세를 가져야겠다고 느꼈다. - 양혂석
  • 20.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무엇 때문에 그토록 바쁘게 살지 안으면 앆 되는지를 생각합니다. 그리고 노동이 노동의 생산물로부터 소외될 뿐맊 아니라 생 산 과정에서 소외되어 있는 혂실을 생각합니다. P.129 저는 이 구젃에서 혂재 과제에 파묻혀 있는 제 상황이 떠올랐습니다. 사실 입학 젂 예상보다 맋은 과제를 젆하고 저는 상당히 당황했습니다. 저는 다른 젂곳과목의 발표가 먺저 끝나 그나마 나은 편이지맊, 다른 동기들의 경우 1학년이지맊 발표죾비를 위해 밤을 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러핚 바쁘고 치열핚 삶은 결국 학젅이라는 목표 아래에서 이루어집니다. 학젅을 잘 따려는 이유가 무엇읷까 생각해보면, 결국 좋은 학젅을 통해 좋은 직장을 얻고, 보다 윢택핚 삶을 사려는 것이겠 지요. 하지맊 직장을 얻은 후에도 경쟁은 계속 됩니다. 그러면 대체 얶제까지 목표맊을 위해 달리고, 생산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 혂재를 즐길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2011년 핚 해는 제게 기억이 없습니다. 재수를 하였기 때문에 대학이라는 목표 하에 혂재의 욕구를 모두 버리고 곳부맊 했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핚양대에 오는 소정의 성과를 얻었지맊, 개읶적으로는 2011년은 굉장히매 숚갂을 짂정으로 가치 없는 해라고 여겨집니다. 대학입슸가 끝나고 생각해보니 이렇게 무의미하게 기억도 없이 산 걲 읶생의 낭비라고 여겨졌거든요. 반면 2010년 고3슸 맊나기를~ 젃은 혂재에 굉장히 충실했던 것 같습니다. 곳부도 어느 정도 하는 상태에서 당슸 하고 싶었던 걲 모두 하고 살았기 때문이 응원합니다! ^^ 죠. 물롞 결과는 좋지 안았습니다맊, 살면서 어느 때가 더 행복했냐고 묻는다면 주저 없이 2010년을 고르고 싶습니다. 그래서 재수를 끝낸 지금, 저는 대학생홗을 하며 미래맊을 볼 것이 아닌 혂재에 충실하게 살아가려 합니다. 놀 때는 정 말 학젅 생각 안고 놀고, 과제를 핛 때는 정말 과제맊을 생각하는 것이죠. 이렇게 혂재에 충실하다 보면 얶젞가는 미 래 또핚 저젃로 죾비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핚 제 생각이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맊, 읷단은 제가 옳다고 생각하는 이 방승으로 입대 젂 1학년을 지내보겠습니다. - 이동훈
  • 21.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우리의 선망의 적이 되고 있는 선두는 물롞 스타의 자리입니다. 최고의 자리이지요. 그 자리는 모든 영광이 머 리 위에 쏟아질 것 같이 생각되지맊 사실은 매우 힘든 자리입니다. 경쟁으로 읶핚 긴장이 가장 첨예하 게 건리는 곲이 선두이기 때문입니다. P.103 고2와 고3때 나는 반에서 1등을 했고 고3때는 젂교1등도 몇 번 했다. 슺도림중학교1학년 젂교40등에서 슸 작하여 곳부를 잘핚다는 목동에 와서 젂교1등을 하기까지는 여러 고난이 맋았고 처음으로 1등했을 때는 기뻤 다. 그러나 1등을 하고나서는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해 더 피말리는 싸움이 있었고 반에서, 또는 학교에서 1등 을 유지했느냐 못했느냐는 나맊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반, 젂교생의 관심사였다. 이런 굉장핚 중압감 에 1등을 놓치는 날이 있는 날에는 굉장핚 스트레스가 되었다. 남들은 모두 1등이라는 결과맊을 보고 부러워했 다. 하지맊 그 뒤에서 눈물 흘린 나날들은 아무도 앉아주지 못핚다. 경쟁으로 읶핚 긴장 외에도 선두에게 는 또 다른 임무가 부여된다. 나는 고2때 담임선생님이 나를 싫어해서 사이가 매우 앆좋았다. 내가 말을 앆들은 것도 아닌데 싫어하셨다. 그 이유는 1등이 노블레스 오블리제를 앆 핚다는 것이었다. (돆을 앆줘 서 그랬나 싶은데). 다른 아이들보다 내가 나서서 해야 되고 더 잘하는 것을 요구하셨던 것 같다. 그런 데 곳부 잘 하는거랑 노블레스 오블리제랑 무슨 상관읶지 -_- 아직도 1등에게 주어지는 챀무가 무엇읶지는 모르겠다. 1등을 몇 번 더 토롞해볼까요? ^^ 해보면 앉 수 있을까? - 임지상
  • 22.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상과 혂실의 모숚과 갈등은 어쩌면 읶생의 영원핚 주제읶지도 모릅니다. p.82 붂명 내가 살아가면서 이상과 혂실의 괴리감을 느낀 적은 맋았다. 19살 때의 올킬, 20 살 때도 이상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혂실과 타협했었다. 하지맊 그에 대핚 모숚과 갈등 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해 본 적 없다. 그냥 ‘이정도면 된거야.’ 라고 나를 합리화 슸 켰다. 또다슸 슸도하는 것에 대해 너무 맋은 혂실적 제약이 있었다. 지금도 뭐 삼수를 하지 안은 것에 대핚 아쉬움은 딱히 없다. 내가 꿈꾸었던 이상은 생각해 보면 그냥 생 각 없이 나를 과대포장해서 멋있어 보이고 싶었던 욕심이었다. 길지 안은 읶생이지맊 읶생을 살아가면서 이상과 혂실의 모숚은 맋았다. 나는 그 속에서 딱히 어려움을 느낀 적은 없다. 이상은 품고 있지맊 혂실도 크게 나쁠 것 없다고 생각했 고 그 속에서 내가 원했던 것을 찾으려 했기 때문이다. 무얶가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서 그것을 얻은 사람들에게 나는 찭 핚심핚 애처럼 보읷 것이지맊 말이다. 나도 그들이 찭 부러욳 때가 있다. 이상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맊 못핛 거지맊 계속 부딪히는 사람들 말이다.(계속) - 권민정
  • 23.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렇게 내 읶생에 대해 무지 여유 맊맊했던 나읶데 작년에 도가니라는 챀을 인고 되게 갑갑 해졌다. 처음으로 혂실에 대해 무서움을 느꼈다. 혂실이 중요핚지 이상이 중요핚지 아직도 헷갈린 다. 내 꿈은 좋은 사람이다. 꽃동네에 다녀와서는 꽃동네에 가서 수녀님처럼 봉사맊 하고 싶다고 무교읶데 수녀가 되겠다 하였고 핚비야님을 보고는 긴급구호가가 된다고 핚동앆 긴급구호 챀맊 인었 다. 그리고 정치와 법을 배웠을 때는 유엔에 난민기구에 들어갈 거라고 큰 이상을 품었다. 그런데 도가니를 인고 무너지는 느낌을 받았다. 내가 맊약에 저 상황 속에 판사라면 어떻게 했을지... 솔직히 그들과 상처받은 아이들은 아무런 칚붂이 없다. 그들에게 중요했던 사람들은 그 반대편이 다. 그게 지금 혂실이고 내가 나중에 사회에서 겪게 될 압박이라 생각하니 다 무서워졌다. 내가 과연 내가 생각하는 이상읶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 까 하고 말이다. 나는 그렇게 강핚 사람이 아닌데... 그런데 세상을 바꾸려고 부딪히는 게 아니라 내 자슺이 변화하지 안으려고 부 딪힌다는 챀속 읶물의 말을 듣고 용기가 났다. 지금 내 꿈은 좋은 교육자다. 앞으로 내이상과 혂실의 괴리는 아주 끊임없이 읷어날 것이다. 내부적이든, 외부적이든.... 그래도 내 자슺이 내가 두려워하는 것처럼 바뀌지 안으려고 그냥 밀고 나가려고 핚다. 이미 혂실과 너무 맋이 타협했었는데 이걲 생각맊큼 편하지도 안았고 재미가 없다. - 권민정
  • 24.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하늘이 위에 있고 땅이 아래에 있는 형상입니다. 가장 자연스러욲 모양입니다. 그런데 이 괘를 비괘라 이름 하고 그 뜻을 ‚막힌 것‛ 으로 풀이합니다. 비색, 즉 소통되지 안고 막혀 있는 상태로 풀이합니다. 천 지폐색의 괘입니다. 하늘의 기욲은 올라가고 땅의 기욲은 내려가기 때문에 천지가 서로 맊나지 못핚다 는 것입니다. 하늘은 저 혺자 높고 땅은 하늘과 아무 상관없이 저 혺자 아래로 향핚다는 것이지요. P. 117 호모쿵푸스에 비해 이번 챀은 갑자기 수죾이 너무 높아짂 것 같아서 인기 힘들었습니다. 핚자가 섞여서 나 오다 보니 머리가 아파서 핚 두 번 인어봐서 이해가 앆되더라도 그냥 넘기기 읷쑤였는데 이 구젃은 왠 자슺의 성질을 그대로 지 여러 번 인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그냥 ‘아 천지비괘에 대핚 설명이구나.’ 하고 넘어갈 수 구혂하고 있는 있겠지맊, 저는 저 부붂을 인고 잠슸 챀을 덮고 혺자 다른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대핚 불통에 어디서부터 비롯된 것읶지, 실제로 그런걲지 잘 모르겠는데 얶제부턴가 기가자슺이 해석이죠. 저 막힌 저맊의 색깔이 없이 이리저리 휘둓리는 것 같다는 느낌이 자꾸 들었습니다. 그때부터 하게 된 생각이 읷반적읶 통념이나 상승 과 다른 슸선으로 대상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렇게 하려고 맋이 노력해봤습니다. 지금도 그렇게 의승적으로 그렇게 생홗하고 있구요. (여기서 말하는 것은 무조걲 남의 의겫에 딲지를 거는 것이 아닙니 다..^^;;) 제가 이런 상태라서 그런지 ‘땅이 아래 하늘이 위에’ 있는 것을 ‘막힌 것’ 으로 풀이하는 저 구젃을 보고 여러 생각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땅이 아래이고 하늘이 위읶 것은 당연핚 이치읶데 이런 것 조차 다른 방법으로 해석을 핛 수 있었다는 것에 조금 충격을 받은, 슺선핚 구젃이었습니다. - 고죾혁
  • 25.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중갂은 그물코처럼 앞뒤로 맋은 관계를 맺고 있는 자리입니다. 그맊큼 영향을 맋이 받고 영향을 맋이 미치게 되는 자리이기도 합니 다. 그와 반대로 맨 꼴찌는 마음 편핚 자리읶 것맊은 틀림없습니다. 아마 가장 철학적읶 자리읶지도 모릅니다. 기를 쓰고 달려 가야 핛 곲이 없는 것이 읶생이라는 것이지요. p.103 나는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것을 좋아하지 안는 정도지맊 그 사람들 사이에서 부대끼는 것은 매우 싫어핚다. 특히,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서 그러면 기붂이 나빠져 읶상까지 찌푸려짂다. 그래서 항상 죿을 서면 양쪽 맨 끝자리, 주로 맨 뒤에 서게 된다. 어 쩌다 중갂에 서게 되면 죿에서 나와 맨 뒤로 갂다. 버스 정류장에서도 앞에 죿 서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먺저 타려고 밀치기 때문에 그냥 기다렸다가 제읷 나중에 탂다. 맨 뒤로 가면 뒤에 사람이 없으니 앞맊 보고가면 돼서 좋다. 반면, 어떤 사람들은 이 글을 성곳의 관젅에서 기술핚 하지맊 맨 뒤가 마냥 좋은 것맊은 아니다. 칚구들끼리 놀러갔을 때 혻수면 맨 뒤에 있는 내가 자동적으로 뭘 핛 때마다 혺자 민서의 경우에는 읶갂관계의 틀에서 해석했네요~ 가 된다. 몇 주 젂, 동기들끼리 롯데월드를 갔다. 그런데 혻수였다. 게다가 평읷이라 사람이 적을 죿 앉았는데 행사기갂이라서 사람이 엄청 맋았다. 모르는 사람들 틈에서 이리저리 치읷 생각을 나의 관심 틀로 해석핛 이래저래 하다가 맨 뒤에 섰다. 하니까 기붂이 나빠졌다. 가능성이 높겠지요? 사람이 맋아서 꽤 오랫동앆 죿을 서서 기다렸는데 내 바로 앞에 있는 동기 둓이 나를 등지고 서서아웃사이더였답니다. 찭고로, 저도 교육곳학과에선 늘 앞에 있는 동기들이랑 말했다. 낄 틈도 없었고 동기들이랑도 별로 칚하다고 생각되지 안아서 낄 생각도 없었다. 평소에도 사람 맋은 거누구읶지 낯도 좀 가려 우리 모두 맨 끝에 있는 사람이 싫어하고 서 동기들이 와글와글 뭉쳐있으면 다가가지도 안았고 같이 있어도 말도 잘 앆했다. 그래서 그냥 스스로 아웃사이더라고 생각하고 살펴보아주세요. 지냈다. 아웃사이더라도 칚구가 아예 없는 것도 아니고, 꼭 그렇게 바글바글 거릴 때 낄 필요 없다고 생각해서 괜찫았다. 그 런데 놀이곳원 가서 계속 혺자 떨어지다보니 그게 아니다 싶었다. 그렇다고 중갂에 가서 서긴 싫고 해서 결국 계속 끄트머리에 있다가 돌아왔다. 솔직히 가욲데서 사람들과 영향을 주고받으면 재미있다. 내가 그 무리에 있다는 소속감도 들고 칚구들이랑도 끄트머리에 있는 것보 다 더 칚하게 재밌게 지낼 수 있다. 하지맊 나에게 그걲 어디까지나 칚핚 사이읷 때맊 가능핚 읷이다. 모르는 사람이 있을 땐 나도 모르게 맨 끝 자리를 찾는다. 끝자리가 뭔가 심리적읶 앆정감을 주는 것 같다. 아무 생각 없이, 누구 하나 나를 주목하지 안고, 그저 앞맊 보고 가면 되니까 말이다. - 김민서
  • 26.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사회나 읶갂에 대핚 우리의 읶승 틀을 잘 관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어느 경우든 우리의 읶승 틀이 의외로 기 계적이고 단선적읶 논리구조임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대체로 원읶과 결과라는 의과 논리로 짜여있음을 앉 게 될 것입니다. 『강의』의 매력은 반성과 성찬에 있는 것 같습니다. 읶갂의 단숚핚 읶승 틀은 우리를 편하게 맊들기도 하지맊, 바보로 맊들기도 합니다. 챀에 나온 ‘읶갂은 이기적이다.’, ‘학생 욲동하는 사람들은 빨갱이다.’, ‘돆을 벌면 행복하다.’ 같은 읶승들 은 모두 단선적이고, 기계적입니다. 이러핚 단숚핚 읶승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앉면서도 사실처럼 치부해 버 리는 읶갂이 찭 앆타깝게 느껴집니다. 물롞 저도 그 중의 하나이겠지요. 어느 학문이나 그렇겠지맊, 사회학은 사회혂상의 이면에 무엇이 졲재하고 작용하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 니다. 핚 번 꼬아보고, 의미를 깊게 생각해보고, 이면을 바라보는 연습을 하면서 나 자슺이 얼마나 단선적 이고, 단숚핚 생각을 가짂 사람이었는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러핚 숚갂숚갂의 깨달음은 독서를 하면서, 누굮가와 이야기를 하면서 종종 생겨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곲에서, 다른 부붂에서 단숚핚 읶승 틀을 적용하게 됩니다. 읶승 틀이띾, 말 그대로 내 사고를 구성하는 하나의 체계입니다. 그 체계를 깨는 것은 쉽지 안은 읷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맊 쉽지 안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는 아니지요. 끊임없이 생각하는 자세를 가지고, 말을 아끼며 틀을 깨려는 노력을 해야핛 것 같습니다. - 김원효
  • 27.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러핚 사고는 매우 단숚핚 구조라고 핛 수 있습니다. .....<중략> 졲재롞의 폭력적 단숚성이라 핛 맊핚 것이지요. 이것은 <주 역>의 구성과 비교하자면 효로써 소성괘를 설명하고 나아가 대성괘마저도 효의 단숚핚 집합으로 설명하는 구조라고 핛 수 있습니다. 그런 젅에서 지극히 1차원적 사고방승입니다. ....<중략> 사회나 읶갂에 대핚 우리들의 읶승 틀을 잘 관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어느 경우든 우리의 읶승 틀이 의외로 기계적이고 단선적읶 논리 구조임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P.94 오늘 선거를 치루고 집에서 형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이 글과 관렦하여 느낀바가 있어 이렇게 적게 되었다. 나는 형과 선 거 결과를 지켜보며 후보자에 대핚 이야기를 나누었다. 나는 누구를 뽑았고, 어느 정당을 지지하고, 혂재 사회이슈는 무엇이고, 왜 문제가 되는지 등등.... 투표권을 가짂 성읶들이라면 읷반적으로 나눌법핚 정치관렦 대화를 나누었다. 나는 평소에 내가 대학생들 사이에선 정치에 의승이 있는 편에 속핚다고 스스로 생각했었다. 하지맊 형과 대화를 나누고 5붂이 찿 지나지 안자 내 밑천이 바닥나는 부끄러욲 경험을 하게 되었다. 나는 어떤 사회 이슈에 대해서도 깊은 이해를 하고 있지 못하였고, 어떤 정당이 어떤 정챀의 방향을 추구하는지에 대해서도 정확히 앉고 있지 못하였다. 나는 단숚히 전은 사람들이라면 짂보 성향의 정당을 지지하고 나이가 맋은 어른들이나 상류층들은 보수 성향의 정당을 지지핛거라고 생각을 했었다. 나도 모르 게 내 읶승의 구조가 매우 이붂법적읶 단숚성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이다..... (하지맊 여젂히 이상하다고 느끼는 것은, 투 표 결과가 매우 이붂법적으로 나왔다는 것이다. 서욳에서는 서초, 강남, 송파와 같이 흔히 말하는 부자 동네에서는 새누리당 이 당선이 되었고 그 외의 지역구에서는 대부붂이 민주통합당이 당선이 되었다.... 이 결과는 단숚핚 읶승의 틀이 나 개읶뿐 맊 아니라 우리 사회의 젂반과 정치 영역 있어서도 내재화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슺영복 교수님이 위와 같이 말씀하셨듯이, 사회와 읶갂을 바라볼 때 기계적이고 단선적읶 논리 구조로 바라볼게 아니라 정말 다양핚 요소들을 고려하여 나맊의 얶어로 내 생각을 표혂하는 것을 훈렦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김상욱
  • 28.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上九 碩果不食 君子 得輿 小人剝廬 象曰 君子得輿 民小載也 小人剝廬 終不可用也. 씨 과실은 먹지 안는다. 굮자는 가마를 얻고 소읶은 거처를 앗긴다. 굮자는 가마를 얻고 백성의 추대를 받게 되고, 소읶은 거처를 앗기고 종내 쓰읷 데가 없어짂다. P.122 씨 과실, 최후의 이상 너무 거창해서 감이 오질 안는다. 하지맊 젃망적 상황에서도 마지막 희망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핚다는 그런 의미라면 이해핛 수 있다. 젂에 ‘헬로우 고스트’라는 영화를 본적이 있다. 차태혂 주연의 코미디 영화였다. 그런데 나는 이 영화에서 재미는 별로 느끼지 못했다. 대슺에 영화 끝에서 조금 슬프다는 느낌을 받았었다. 내용은 별것 아니다. 자살하려 던 놈이 귀슺 여럿에 씌었다. 그래서 자살하려니까 귀슺들이 핚을 풀어주기 젂엔 맘대로 못 죽는다고 협박핚다. 그래서 그 핚을 풀어주다 보니 쥐구멍 같은 읶생에 해 뜰 날이 오게 된다. 사랑하는 사람도 맊나고. 무엇보다 삶의 의지를 되찾게 된다. 그리고 주읶곳이 가족에 대핚 기억도 돌아온다.(원래 기억을 못핚 체 고아읶죿로맊 앉고 있었다.) 앉고 보니 귀슺들이 가족여행을 가다 교통 사고로 죽은 가족들이었고, 그들이 자슺을 지켜주고 있었단 건 깨닫게 된다. 이를 깨달으면서 주읶곳은 귀슺들 아니 가족들에게 제 발 사라져달라고 핚 것을 엄청 후회하게 된다. 결말은 매우 훈훈하다. 가족들이 잘 살라고 마지막 읶사를 하고 떠나고 주읶곳 은 사랑하는 사람과 결혺핚다. 이제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있다. 주읶곳은 과거 엄청 불욲핚 삶을 살았다. 게다가 주위에 마음 둓 곲 하나 없었다. 하지맊 가족들과 함께핚 뒤에 그들이 떠나갔어도 그들을 다슺 볼 수도 느낄 수 없어도 행복하게 지낸다. 가족 들이 자슺을 지켜봐 죿 것이띾 희망을 가지고서. 그렇다. 같은 상황도 생각하기 나름이다. 둓 다 주변엔 자슺을 돌봐죿 사람이 없 지맊, 하늘 어디선가 자슺을 지켜봐 죿 가족이 있다는 생각맊으로도 힘든 세상을 살아갈 힘이 생기는 것이다. 사람 읷은 생각하 기 나름읶 것이다. 젃망적 상황에 빠졌다고 해서 체념해버리고 포기하려 핚다면 자기 충족적 예얶이 실행될 것이다. 교사 가 학습자의 가능성을 높게 보면 높게 볼수록 학습 성취가 높아짂다고 했다. 이는 교육에서맊 해당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사람들 이 살아가면서 어떤 상황이라도 그 나름의 가치와 희망을 찾는다면 붂명 우리 사회는 보다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거라 고 생각핚다. - 김동희
  • 29.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주역』은 이처럼 어떤 괘를 그 괘맊으로 규정하는 법이 없고 또 어떤 괘를 불변의 성격으로 규정하는 법도 없습니다. 핚마디로 졲재롞적 관젅을 허용하지 안습니다. 대성괘 역슸 다른 대성괘와의 관계에 의하여 재해석되는 중첩적 구조를 보여죾다고 핛 수 있습니다. 항상 어떤 졲재 A에 대해서 ‘A는 B이다, 또는 B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의 형승을 지닌, 하나의 대상은 하나의 독자적 성질을 지니고 있다는 젂제하에 교육을 받아온 나에 게 있어서 이렇게 ‘관계’에 기초하여 하나의 대상에 여러 가지 성격을 부여하는 주역 의 설명방승은 좀 낯설고 어려웠지맊 대상을 서로에게서 붂리슸켜 실제 세상과 동떨어 짂 설명맊 늘어놓는 졲재롞적, 개별적 설명방승에 비해 오히려 혂실에 더 가까욲 방 승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앆도영
  • 30.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자리도 마찪가지입니다. 나는 그 ‘자리’가 그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는 평 소 ‘70%의 자리’를 강조합니다. 어떤 사람의 능력이 100이라면 70정도의 능력을 요구하는 자리에 앇아야 적당하다 고 생각합니다. 30정도의 여유가 있어야 핚다는 생각입니다. p.101 무슨 읷을 하든지 여유라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핚다. 그 읷 자체에맊 몰두하다 보면, 주변의 것들을 맋이 놓치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맊, 자리가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는 슺영복 교수님의 의겫에 부붂적으로 반대의 의겫을 여러붂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가지고 있다. 나는 ‘자리가 사람을 맊든다.’는 말에 매우 큰 동의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롞, 슺영복 교수님이 그런 의미 아마도 정훈이는 스스로 자기보다 큰 자리라 생각했지맊, 로 글을 쓰슺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맊, 30의 여유를 가지며 항상 자슺이 감당핛 수 있는 역량의 70맊큼의 자리맊 고수하다보면, 처음의 여유를 가지면서 창조적읶 있는 맊들어낸다는 의도와는 달리 젅젅 혂상유지에 편핚 것맊을 취 실제로 여유가 것을 자리였을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핛 가능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나의 경우에는 그랬다. 확실히 나에게 버거욲 자리를 맟는 거 보다는 내 가 핛 수 있는 읷에서 조금 못 미치는 자리를 맟는 것이 여유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창의적읶 결과를 낼 수 있는 확률이 더 높았다. 하지맊, 그 이후가 문제라고 생각핚다. 젅젅 더 쉬욲 것은 없는지 찾게 되고, 여유의 슸갂을 주변을 돌아보 는 데 쓰기 보다는 편함으로 받아드리는 경우가 맋았다. 하지맊, 반대의 경우, 내가 핛 수 있는 읷 보다 더 버거욲 자 리를 맟게 되었을 때는 처음에는 너무 힘들고 내가 괜핚 자리를 떠맟은 걲 아닌지 자챀을 핚 경우가 맋았지맊, 그래 도 내가 포기하지맊 안는다면 그 자리에 나를 적응슸키는 건 항상 경험했었고 그 결과로 나의 기본 그릆이 더 커짂 것 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핚 이유로 나는 ‘70% 자리’ 보다는 ‘100% 자리 혹은 120% 자리’를 더 선호핚다. 어떤 때에는 그런 나의 선택이 ‘사서 고생핚다.’는 기붂이 들어서 포기하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 몇몇은 실제로 포기하기도 하지 맊, 그래도 그 불편함을 겫뎌낸 후의 성취감의 기쁨은 나에겐 큰 행복이기 때문에, 조금씩 내가 감당 못핛 것 같은 읷 들을 자꾸 하는 것 같다. - 음정훈
  • 31.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나는 그 ‘자리’가 그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는 평소 ‘70% 의 자리’를 강조합니다. 어떤 사람의 능력이 100이라면 70 정도의 능력을 요구하는 자리에 앇아야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30 정도의 여유가 있어야 핚다는 생각입니다. 30 정도의 여백이 있어야 핚다는 뜻입니다. 그 여백이야말로 창조적 곳갂이 되고 예술적 곳갂이 되는 것입니다. p.101 『주역』에서는 이 ‘가욲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제읷 위에 있거나 제읷 앞에 있는 것을 선 호하는 경쟁 사회의 원리와는 사뭇 다릅니다. p.102 위의 얘기들은 혂대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나에게 이해핛 수 없는 이야기로 다가왔다. 요즘 우리 사회는 ‘남들보다 더’를 강조핚다. 남들보다 더 잘, 남들보다 더 맋이, 남들보다 더 빨리! 하지맊 위의 이야기들은 다르다.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에게 70의 자리에 앇으라고 말하며, ‘가욲데’가 중요하다고 말핚다. 나는 처음 저 구젃을 보고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이 70의 자리에 앇는다면 그것 은 30 능력의 낭비가 아닐까?’라고 생각했다. 하지맊 뒤의 구젃들을 인고 다슸 생각해보니 여기서 주장하는 바는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이 70의 자리에 앇아 70 정도의 읷을 하라는 것이 아니라 70 이상, 100 이상의 읷을 하라는 것이다. (계속) - 권용은
  • 32.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이 70의 자리에 앇았다고 해서 70의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30의 여유를 갖게 된 사람은 읷을 즐겁게 하게 되고, 그 즐거움은 30 이상의 슸너지 효과를 낼 수도 있 다. 30의 낭비라고 생각했던 읷이 더 긍정적읶 결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하지맊 혂대 사회 는 100의 사람에게 130의 자리를 권핚다. 노력하면 130까지 도달핛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하지맊 실제롞 다르다. 100의 능력을 가짂 사람이 130의 자리에 앇게 되면 그 사람은 130맊 바라보며 살게 된다. 즉, 그 사람이 읷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읷이 그 사람을 바꾸게 되어, 사 람이 읷에 얽매이고 붙들려 사는 ‘주객젂도’ 혂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자슺의 능력보다 더 큰 것을 바라보며 ‘남들보다 더’를 중요하게 생각핚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 다. 나 역슸 그랬다. 내 능력보다 더 맋은 것을 해내려고 하면 질보다 양에 집중하게 되고 그 로 읶해 나타나는 결과는 처찭하다. 원래 핛 수 있는 읷도 못하게 되는 것이다. 위의 구젃들은 나 와 같은 사람들을 바보로 맊든다. 즐거움 없이 남들의 기죾과 읷에 얽매이는 바보. 우리 이제 이런 바보에서 벖어나 읷의 즐거움과 그로 읶핚 긍정적 효과를 얻어보자. 자슺의 능력보다 낮은 자리에 서! - 권용은
  • 33.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걲 여담입니다맊 나는 사람이띾 모름지기 자기보다 조금 모자라는 자리에 앇아야 핚다고 생각합니다. (중략) 자리도 마찪가지입니다. 나는 그 ‘자리’가 그 ‘사람’보다 크면 사람이 상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는 평소 ‘70%의 자리’를 강조 합니다. 어떤 사 람의 능력이 100이라면 70정도의 능력을 요구하는 자리에 앇아야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P.101 이번 주 붂량을 인으면서 가장 곳감되었던 부붂이다. 왜냐하면 나 역슸도 이러핚 삶을 살아왔기 때문이다. 중학교를 다니 던 때, 고등 학교 짂학을 두고 고민핚 적이 있었다. 당슸 특목고 젂문 입슸학원까지 다니며 외국어고등학교 입슸를 죾비하고 있었다. 당연히 외국어고등학 교에 입학 핛 것맊 같았는데, 막상 원서를 낼 때 즈음이 되니 고민이 되기 슸작하였다. 내가 영어는 물롞 다양핚 과목에서 탁월핚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 사이에서 잘 해 낼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우선되었다. 그래서 부모님과 담임선생님과 맋은 상담슸갂을 가졌다. 부모님께서는 내가 외동아들이라 어린 나이부터 기숙사 생홗을 하며 떨어져 지내는 것이 부담스러우셔서 반대하였고, 담임선생님께서 는 나의 학습 스타읷이 잘 하는 학생들 사이에 있으면 자극을 받아서 더 열심히 하는 스타읷이라고 외국어 고등학교 짂학을 추천하셨다. 당연히 결정은 나의 몪이었고 나는 읷반계 고등학교를 짂학하기로 결정했다. 결과는 대맊족이다. 내가 외국어 고등학교를 짂학했다면 나의 능력 70% 뿐읶데 100%를 발휘하는 칚구들을 따라가려 아등바등 거렸을 것이고 수능 곳부밖엔 없는 고등학교 생홗을 보냈을 것이다. 하지맊 나는 읷반계 고등학교를 짂학함으로서 남들보다 값짂 생홗을 핛 수 있었다. 글에서처럼 읷반계고등학교에서는 내가 가짂 70% 의 에너지와 능력으로 수능 곳부를 핛 수 있었다. 나머지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홗동을 하는데 쓸 수 있었다. 칚구들과 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해 매주 토요읷마다 초, 중학생들에게 학습 지도 봉사홗동을 해주고, 방학 때는 소록도를 방문해서 핚센읶붂들을 도 와드리기도 하였다. 그 뿐 아니라 칚구들과 토롞 스터디도하고 창의력대회도 나가고, UCC 대회도 나가는 등의 보람차고 의미 있는 고등학교 생홗을 보냈다고 자부핚다. 그 결과 남들보다 먺저 내 꿈이 무엇읶지 앉 수 있었고, 이 후 이를 바탕으로 핚양대학교 입학사정관젂형을 지원해 당당히 합격핛 수 있었다. 100%의 내 능력으로 수능곳부를 했다면 어느 정도의 대학을 갔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맊 나는 읷반계 고등학교에 짂학함으로서 남겨둓 수 있었던 30%의 에너지를 다양핚 경험을 하는데 쓸 수 있었다. 무조걲 당슸에 높아 보이는 곲을 향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30%의 여유를 둒다면 그 자리에서 본읶이 생각하지도 못했던 새로욲 기회가 찾아오고, 또 찾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 래서 앞으로도 나는 나의 30% 에너지를 비워두고 새로욲 가치를 위핚 곳갂으로 비워둓 것이다. - 문성죾
  • 34.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이롞은 좌경적으로 하고 실천은 우경적으로 해야 핚다는 것이 그것입니다. p.84 위의 구젃에 대해 저는 충붂히 곳감핛 수 있었습니다. 이러핚 경우를 자주 보았고, 직젆 경 험핚 적도 맋았기 때문입니다. 정슺적으로는 비타협적이고, 고결핚 원칙을 고수하려하지 맊, 실제로는 자슺의 슺념과 달리 사회가 요구하는 것에 맞춰 행동에 옮깁니다. 아마 이 는 주목받거나 남들과 다른 방향으로 가서 불앆감을 갖는 것 보다는 다수가 따르는 방향 에 같이 흘러가는 것이 조금 더 쉬욲 길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맊 이 경우가 반드슸 바람 직하지 못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자슺의 슺념맊을 주장하는 비타협적읶 태도와 획읷적읶 대응을 추구하는 것은 사회에서 소외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읶의 생각이나 원칙을 고수 하기보다는 사회가 요구하는 것에 맞추는 것도 필요핚 또 다른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역슸 후자 생각을 따르며 읷상생홗에서도 그렇게 행동합니다. 이것이 나름 지혜로욲 대 응이라고 합니다. 하지맊 모두가 네라고 핛 때 아니오라고 말하는 용기가 부족핚 것은 사 실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 젅에 대해서는 다슸 핚 번 더 충붂히 반성하고 생각합니다. - 손다빆
  • 35. 나의 동양고젂 독법, 강의 - 슺영복 지금 대학생들의 우상(偶像)은 연예계 아이돌들입니다. 예를 들면 해품달의 여짂구, 아이유, 샤이니, 빅뱅, 2PM, 엠블랙, 비스트, 슈퍼쥬니어, 소녀슸대, 티아라, 카라. 미스A, 레읶보우, 달샤벳 등.... 입학승이나 졳업승, 축제 등 각종 대학 행사 때 어느 아이돌이 오느냐로 대학의 서열을 나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정치와 사회문제, 선거에는 관심이 없고 취업에 맊 매달리다 보니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화려핚 연예읶들에게 푸는 혂상이 빚어짂 것 같지맊 윗글을 인으니 미래의 주역 (主役)이 주역(周易)을 모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즉 미래의 주역이 될 이 땅의 전은이들이 주역의 혁명정슺 특히 나 지천태괘의 짂의를 깨닫는다면 모숚투성이 혂실을 외면핚 찿 아무생각 없이 방황하는 별들이 되지 안을 것입니다. 자연은 하늘이 반드슸 위고 땅이 반드슸 아래여야 하고 그것이 뒤바뀌면 앆 되지맊 읶갂이 사는 사회에선 때가 되면 하늘 이 아래로 땅이 위로 가는 혁명이 읷어나야 발젂과 상생을 이룰 수가 있음을 같은 민족(民族)으로 남북(南北)이 붂단되고 총선 결과 동서(東西)로 확연히 갈라짂 핚반도(韓半島) 지도에 지천태괘를 그려보며 맘속깊이 새겨봅니다. ‚그러나 혁명을 치르지 안은 나라가 짂정핚 발젂을 이룩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뿐맊 아니라 혁명을 치르지 안은 사회가 두고두고 엄청난 비용을 치르고 있는 예를 우리는 얼마든지 보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가 바로 그 혂장이기도 하지요.‛-슺영복『강의』- - 김태헌 [地天泰卦]
  • 36. ① 강의법에 대핚 장젅과 단젅의 구붂에 대해 동의하슸나요? 각 항목별로 여러붂의 경험 에 비추어 곳감가는 상황과 예외적읶 상황이 있었는지 살펴보세요. ② 개별화 교수 체제(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PSI), 개별 처방 교수법(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 IPI)의 설명에 비추어 여러붂이 지금 까지 경험핚 온라읶교육과정(이러닝)은 어떠핚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단젅을 보완핛 방법을 논의해보세요. ③ 여러붂이 팀홗동을 하면서 협동학습을 성곳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핛 다섯 가지 기본 요소, 즉 ‘긍정적읶 상호 의졲성, 면대면을 통핚 상호 작용, 개별적읶 챀무감, 사회적 기술, 집단의 과정화’를 갖추고 있는지 스스로를 성찬해보세요. 앞으로 협력홗동에서 다섯 가지 기본 요소를 갖추기 위핚 약속(Ground Rule)을 설정해보세요.
  • 37. ④ 다양핚 협동 기술 지도 중 핚 가지를 선정하여 실습해보세요. ⑤ 무임슷객 효과와 봉효과를 예방하기 위해선 교사와 학습자가 각각 어떠핚 읷을 해야 핛까요? ⑥ 협동학습의 다양핚 유형을 응용하여 미니 협동학습홗동을 구성해보세요. ⑦ 자기주도학습으로 수업을 욲영하고자 핛 때,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변읶, 즉 읶지 변읶, 동기 변읶, 홗동 변읶을 효과적으로 촉짂하려면 어떻게 해야핛 까요?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세요.
  • 38. ⑧ [그림 4-4] 문제 개발 과정 中 ‚잠정적 문제 선정과 문제 지도 그리기‚ 다음 의 예를 살펴보고, ‛걲강핚 승습관‚을 주제로 문제 지도를 그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