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모바일 개발자가 원하는
디자인 가이드
(a.k.a 내가 원하는 디자인 가이드)
유덕현
시작하면서
• 이문서는 아주 주관적인 내용입니다.
특히 저의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이 아주 많이 베어 있습니다.
• 디자인 가이드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 FM은 있지만 그렇게 하는 사람 별로 없습니다.(저도 FM싫어함)
• 일반적으로 서로 절대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합니다.
=> 고로 지속적인 대화와 친밀한 관계가 필요합니다.
• 발표 중 질문은 수시로! 하고 싶으실때 부담없이 하세요~
슬픈 현실… 우리모두 화이팅
개발자 say : Px ? Pixel !?! (사실 알아요)
디자이너 say : PT!? DIP !?!?
• iOS, Android 에서 사용하는 추상화된 단위
PT
DP
FM
• 화면별(iOS:4개 Android: 많이 ^^;)가이드 문서 작성
• 화면 밀도별 이미지 각각 iOS 3set, Android 6set (미래에 더 늘어날수도…)
• 기타 등등…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개발자도 각각의 레이아웃을 나누어 작업해야해서 레이
아웃 수정시 어마어마한 공수가 들어감( 이렇게 하는 곳은 없다고 거의…장담..)
많은 곳에서 이 룰은 지켜짐 특히 애플, 구글에서 출시하는 앱들.. 개인적으로 싫
어하는 이유는 이미지 하나 교체시 여러 개의 파일을 주고받고 또 그걸 프로젝트
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빵꾸날 확률이 있음.. (경험)
그럼 넌 어떻게 했었어요?
• 기준해상도를 만들어서 작업했어요
• 정말 특정단말에서 특정 화면이 못봐주겠다!!
방법1(추천) 방법2
iOS : 375x667 (6 or 7)
Android : 360x640(갤럭시 친구들)
iOS,Android 모두
360x640(갤럭시 친구들로 퉁)
언제든지 말해주세요~ iOS/Android 모두 특정 화면만 따로 해상도별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많지도 않고 화면 몇 개 세부 조정 해 달라는데 싫다고 하면 그건 개발자가 귀찮은겁니다(100%)
갈궈주세요(ex: 그거 별거 아닌거 알아요)
But 너무 많으면 파편화가 일어나서 나중에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두려움에 싫다고 할
수 도 있습니다. 그건 조금 이해해 주세요
그럼 넌 어떻게 했었어요?part.2
• 한가지 해상도로 작업을 했습니다.
• 1280 x 720 (xxhdpi, 2@) 기준의 파일로 낮은해상도는 알아서 리사이징, 높은 해
상도에서 육안으로 심하게 깨지지 않으면 그냥 사용!
• 저사양 단말에서 이미지가 너무 클 경우에는 앱이 뻗는 현상 경험, 높은 해상도
의 단말에서 복잡도가 높은 이미지의 경우 흐릿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음
• 위 상황의 경우 해당 이미지만 해상도별로 작업을 해서 관리
• 지금 생각으로는 조금 잘못된 방법이였다 생각됨..
Zeplin
Vector
• 최근 앱 디자인 트렌드가 머테리얼과 미니멀함. 따라서 단색 위주의 벡터 이미
지는 좋은 png 파일 대체재
• 현재 iOS/Android 모두 벡터 이미지(SVG, PSD) 파일 지원… 하는걸로 알고있어요..
• 장점 : 하나의 파일로 모든 해상도 대응(오예!!)
• 단점 : 제약이 존재함(링크)
컴포넌트의 속성
• 위치와 크기는 필수요소!!!!
(x, y)
(width, height)
•가로 방향으로 가운데정렬
•세로방향으로 가운데 정렬
•(w: 50, h: 50)
•가로 방향으로 가운데정렬
•세로방향으로 가운데 정렬
•(w: 화면 의 30%, h: =w)
•(x:30, y: 60) (w: 50, h: 50)
물리적 위치와 크기보다 중요한건 관계
그 관계를 맺어주는건 제약(Constraint)!!
제약(Constraint)의 기본
• 제약이 해석되면 (x,y)(w,h)를 알수 있어야 한다
• 제약은 강한 제약 -> 약한 제약으로 영향을 받음
• 고정되어야 할(강하게 제약받아야 할) 부분과 크기에 변화가 일어날수 있는(약한 제약
을 받는) 부분을 명확히 나눠야 함
강한 제약 약한 제약
- 얼마만한 크기로 고정되어 어디에 붙어있어!
- 즉 고정되어야 하는 뷰들
- A의 뷰 (상하좌우)에 내 (상하좌우)를 X 만큼
떨어뜨려 위치시켜~
- A뷰의 (가로,세로)의 (x%)만큼 너도(가로,세
로)의 크기를 가져
- A뷰의 (x,y)축과 동일한 (x,y)축에 위치해
- 즉 다른 친구들의 변화에 맞춰지고 화면에 사
이즈에 영향을 받아 움직여야 하는 뷰들
• 너의 이름은 아이콘 이고 50,50 크기의
xxx.png 파일을 부모뷰의 가로축을 중심축
으로 해서 부모뷰의 최상단에서 30만큼 떨
어뜨려 위치해
• 너의 이름은 하단 주저리주저리이고 너의
좌우 하단은 부모뷰의 좌,우,하단에 맞춰 그
리고 높이는 60 이야
• 너의 이름은 센터야 넌 좌,우를 부모뷰의 좌,
우에 맞춰 너의 상단은 아이콘의 하단부터
시작이고 너의 하단은 하단 주저리주저리의
시작까지만 위치해야해
120
100
100의 높이를 원했던걸까 6:5 의 비율을 원했던걸까?
1. 왼쪽 서랍의 가로폭이 304 였으면 좋겠다
2. 왼쪽 서람이 전체 화면에 56만큼을 남기고
열렸으면 좋겠다
3. 서랍과 여백이 가로화면에 (304:56) 의 비율로
자리 잡았으면 좋겠다
3줄요약
• 기준폰(아이폰6,7 갤럭시S) 의 기준화면으로 작업
• 모바일 앱은 PX 단위가 아닌 PTor DP단위
• 모바일 앱 디자인의 핵심은 제약
마치면서
디자이너 개발자
- 내가 만든 화면이 작은화면, 큰화면에서 표시
될때 반응할 적은 제약의 영역을 항상 생각하
여야 한다.
- 내 아이덴티가 들어가는 부분에 대해서는 정
확히 명시해준다(특히 비율)
- 레이아웃을 만들면서 수시로 작은화면과 큰
화면에서 에뮬레이팅을 확인하여 특정화면
에서 깨지는 경우가 있는 지 확인 있다면 바로
협의
- 구현하는데 제약사항이 명확하지 않다면 혼
자 판단하지말고 디자이너와 상의
결론은 애매하면 물어봐라!!
참고 사이트
1. 스케치(https://www.sketchapp.com/)
2. 제플린(https://zeplin.io/)
3. 스케치와 제플린을 이용한 작업(http://blog.minimap.net/index.php/2017/02/02/sketch-zeplin/)
4. 어도비XD 이거 짱좋아보여요(http://www.adobe.com/kr/products/experience-design.html)
5. 스케치와 어도비XD비교(http://slowalk.tistory.com/2429)
6. 모바일의 화면정보 사이트(https://material.io/devices/)
7. 픽셀과 PT DP 에 관한 정리(https://brunch.co.kr/@ultra0034/23)
8. 안드로이드와iOS 디자인 차이(https://swifter.kr/2017/05/08/ios-android-%EC%95%B1-ui-
%EB%94%94%EC%9E%90%EC%9D%B8-%EB%B9%84%EA%B5%90/)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NDC17 게임 디자이너 커리어 포스트모템: 8년, 3개의 회사, 4개의 게임
NDC17 게임 디자이너 커리어 포스트모템: 8년, 3개의 회사, 4개의 게임NDC17 게임 디자이너 커리어 포스트모템: 8년, 3개의 회사, 4개의 게임
NDC17 게임 디자이너 커리어 포스트모템: 8년, 3개의 회사, 4개의 게임
Imseong Kang
 
유인호, <드래곤하운드>비주얼이펙트 연출, NDC2019
유인호, <드래곤하운드>비주얼이펙트 연출, NDC2019유인호, <드래곤하운드>비주얼이펙트 연출, NDC2019
유인호, <드래곤하운드>비주얼이펙트 연출, NDC2019
devCAT Studio, NEXON
 
2009-2016 기본기(손맵)의 중요성
2009-2016 기본기(손맵)의 중요성2009-2016 기본기(손맵)의 중요성
2009-2016 기본기(손맵)의 중요성
Gunho Shin
 
[IGC 2016] 넷게임즈 김영희 - Unreal4를 사용해 모바일 프로젝트 제작하기
[IGC 2016] 넷게임즈 김영희 - Unreal4를 사용해 모바일 프로젝트 제작하기[IGC 2016] 넷게임즈 김영희 - Unreal4를 사용해 모바일 프로젝트 제작하기
[IGC 2016] 넷게임즈 김영희 - Unreal4를 사용해 모바일 프로젝트 제작하기
강 민우
 
PBR 기초 이론과 사용되는 맵들 Vol.3
PBR 기초 이론과 사용되는 맵들 Vol.3PBR 기초 이론과 사용되는 맵들 Vol.3
PBR 기초 이론과 사용되는 맵들 Vol.3
Jooyoung Yi
 
물리 기반 셰이더의 이해
물리 기반 셰이더의 이해물리 기반 셰이더의 이해
물리 기반 셰이더의 이해
tartist
 
영웅의 군단의 테크니컬 아트 - 황재철, 유나이트 코리아 2014
영웅의 군단의 테크니컬 아트 - 황재철, 유나이트 코리아 2014영웅의 군단의 테크니컬 아트 - 황재철, 유나이트 코리아 2014
영웅의 군단의 테크니컬 아트 - 황재철, 유나이트 코리아 2014
NDOORS
 
Display color와 Digital texture format의 이해
Display color와 Digital texture format의 이해Display color와 Digital texture format의 이해
Display color와 Digital texture format의 이해
SangYun Yi
 
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
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
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
changehee lee
 
전형규, 가성비 좋은 렌더링 테크닉 10선, NDC2012
전형규, 가성비 좋은 렌더링 테크닉 10선, NDC2012전형규, 가성비 좋은 렌더링 테크닉 10선, NDC2012
전형규, 가성비 좋은 렌더링 테크닉 10선, NDC2012devCAT Studio, NEXON
 
ndc 2017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
ndc 2017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ndc 2017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
ndc 2017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
Chaeone Son
 
유니티3D에서 2D 이미지 다루기
유니티3D에서 2D 이미지 다루기유니티3D에서 2D 이미지 다루기
유니티3D에서 2D 이미지 다루기
Jungsoo Park
 
Ndc2010 전형규 마비노기2 캐릭터 렌더링 기술
Ndc2010 전형규   마비노기2 캐릭터 렌더링 기술Ndc2010 전형규   마비노기2 캐릭터 렌더링 기술
Ndc2010 전형규 마비노기2 캐릭터 렌더링 기술henjeon
 
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
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
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동석 김
 
Real-Time Global Illumination Techniques
Real-Time Global Illumination TechniquesReal-Time Global Illumination Techniques
Real-Time Global Illumination TechniquesJangho Lee
 
감마가 어디감마
감마가 어디감마감마가 어디감마
감마가 어디감마
JP Jung
 
개발자를 위한 도트디자인입문(2017. 03, 09.)
개발자를 위한 도트디자인입문(2017. 03, 09.)개발자를 위한 도트디자인입문(2017. 03, 09.)
개발자를 위한 도트디자인입문(2017. 03, 09.)
Yunjeong Kim
 
유니티의 툰셰이딩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표현
유니티의 툰셰이딩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표현유니티의 툰셰이딩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표현
유니티의 툰셰이딩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표현
MinGeun Park
 
Motion blur
Motion blurMotion blur
Motion blur
changehee lee
 

What's hot (20)

NDC17 게임 디자이너 커리어 포스트모템: 8년, 3개의 회사, 4개의 게임
NDC17 게임 디자이너 커리어 포스트모템: 8년, 3개의 회사, 4개의 게임NDC17 게임 디자이너 커리어 포스트모템: 8년, 3개의 회사, 4개의 게임
NDC17 게임 디자이너 커리어 포스트모템: 8년, 3개의 회사, 4개의 게임
 
유인호, <드래곤하운드>비주얼이펙트 연출, NDC2019
유인호, <드래곤하운드>비주얼이펙트 연출, NDC2019유인호, <드래곤하운드>비주얼이펙트 연출, NDC2019
유인호, <드래곤하운드>비주얼이펙트 연출, NDC2019
 
2009-2016 기본기(손맵)의 중요성
2009-2016 기본기(손맵)의 중요성2009-2016 기본기(손맵)의 중요성
2009-2016 기본기(손맵)의 중요성
 
[IGC 2016] 넷게임즈 김영희 - Unreal4를 사용해 모바일 프로젝트 제작하기
[IGC 2016] 넷게임즈 김영희 - Unreal4를 사용해 모바일 프로젝트 제작하기[IGC 2016] 넷게임즈 김영희 - Unreal4를 사용해 모바일 프로젝트 제작하기
[IGC 2016] 넷게임즈 김영희 - Unreal4를 사용해 모바일 프로젝트 제작하기
 
PBR 기초 이론과 사용되는 맵들 Vol.3
PBR 기초 이론과 사용되는 맵들 Vol.3PBR 기초 이론과 사용되는 맵들 Vol.3
PBR 기초 이론과 사용되는 맵들 Vol.3
 
물리 기반 셰이더의 이해
물리 기반 셰이더의 이해물리 기반 셰이더의 이해
물리 기반 셰이더의 이해
 
영웅의 군단의 테크니컬 아트 - 황재철, 유나이트 코리아 2014
영웅의 군단의 테크니컬 아트 - 황재철, 유나이트 코리아 2014영웅의 군단의 테크니컬 아트 - 황재철, 유나이트 코리아 2014
영웅의 군단의 테크니컬 아트 - 황재철, 유나이트 코리아 2014
 
Display color와 Digital texture format의 이해
Display color와 Digital texture format의 이해Display color와 Digital texture format의 이해
Display color와 Digital texture format의 이해
 
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
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
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
 
전형규, 가성비 좋은 렌더링 테크닉 10선, NDC2012
전형규, 가성비 좋은 렌더링 테크닉 10선, NDC2012전형규, 가성비 좋은 렌더링 테크닉 10선, NDC2012
전형규, 가성비 좋은 렌더링 테크닉 10선, NDC2012
 
ndc 2017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
ndc 2017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ndc 2017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
ndc 2017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
 
유니티3D에서 2D 이미지 다루기
유니티3D에서 2D 이미지 다루기유니티3D에서 2D 이미지 다루기
유니티3D에서 2D 이미지 다루기
 
Ndc2010 전형규 마비노기2 캐릭터 렌더링 기술
Ndc2010 전형규   마비노기2 캐릭터 렌더링 기술Ndc2010 전형규   마비노기2 캐릭터 렌더링 기술
Ndc2010 전형규 마비노기2 캐릭터 렌더링 기술
 
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
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
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
 
Real-Time Global Illumination Techniques
Real-Time Global Illumination TechniquesReal-Time Global Illumination Techniques
Real-Time Global Illumination Techniques
 
감마가 어디감마
감마가 어디감마감마가 어디감마
감마가 어디감마
 
카툰 렌더링
카툰 렌더링카툰 렌더링
카툰 렌더링
 
개발자를 위한 도트디자인입문(2017. 03, 09.)
개발자를 위한 도트디자인입문(2017. 03, 09.)개발자를 위한 도트디자인입문(2017. 03, 09.)
개발자를 위한 도트디자인입문(2017. 03, 09.)
 
유니티의 툰셰이딩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표현
유니티의 툰셰이딩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표현유니티의 툰셰이딩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표현
유니티의 툰셰이딩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표현
 
Motion blur
Motion blurMotion blur
Motion blur
 

Similar to 모바일 개발자가 원하는 디자인 가이드

Framer js a/s talk
Framer js a/s talkFramer js a/s talk
Framer js a/s talk
Sewon Ann
 
주니어 디자이너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2D게임그래픽 실무팁
주니어 디자이너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2D게임그래픽 실무팁주니어 디자이너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2D게임그래픽 실무팁
주니어 디자이너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2D게임그래픽 실무팁
Yunjeong Kim
 
Unite 2015 Seoul : 인디에게 어디가 한계인지는 해봐야 알잖아?
Unite 2015 Seoul : 인디에게 어디가 한계인지는 해봐야 알잖아?Unite 2015 Seoul : 인디에게 어디가 한계인지는 해봐야 알잖아?
Unite 2015 Seoul : 인디에게 어디가 한계인지는 해봐야 알잖아?
KwangSam Kim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KIM SANG HA
 
[D2 CAMPUS]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스터디자료 - HTML, Android Animation
[D2 CAMPUS]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스터디자료 - HTML, Android Animation[D2 CAMPUS]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스터디자료 - HTML, Android Animation
[D2 CAMPUS]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스터디자료 - HTML, Android Animation
NAVER D2
 
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
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
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
KwangSam Kim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Kieun Jang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강 민우
 
사람과 UX/UI의 이해
사람과 UX/UI의 이해사람과 UX/UI의 이해
사람과 UX/UI의 이해
Billy Choi
 
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
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
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
Taekyoung Kim
 
아이패드기획강연 플루토미디어 외부_100915
아이패드기획강연 플루토미디어 외부_100915아이패드기획강연 플루토미디어 외부_100915
아이패드기획강연 플루토미디어 외부_100915jinwook shin
 
[GDG seoul] 디자이너의 눈과 생각 빌리기: 개발자를 위한 디자인 특강
[GDG seoul] 디자이너의 눈과 생각 빌리기: 개발자를 위한 디자인 특강[GDG seoul] 디자이너의 눈과 생각 빌리기: 개발자를 위한 디자인 특강
[GDG seoul] 디자이너의 눈과 생각 빌리기: 개발자를 위한 디자인 특강
jisun park
 
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HIG)
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HIG)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HIG)
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HIG)
Sun Jin Choi
 
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
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
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
NAVER Engineering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NAVER D2
 
도트클리커 게임만들기
도트클리커 게임만들기도트클리커 게임만들기
도트클리커 게임만들기
Yunjeong Kim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WonJongOh1
 
기획서 쓰는 사람 이야기 (2014)
기획서 쓰는 사람 이야기 (2014)기획서 쓰는 사람 이야기 (2014)
기획서 쓰는 사람 이야기 (2014)
Min-Sang Choi
 
20150307 abcd발표_ux디자이너 실력으로 살아남기
20150307 abcd발표_ux디자이너 실력으로 살아남기20150307 abcd발표_ux디자이너 실력으로 살아남기
20150307 abcd발표_ux디자이너 실력으로 살아남기
SANGBUM HA
 

Similar to 모바일 개발자가 원하는 디자인 가이드 (20)

Framer js a/s talk
Framer js a/s talkFramer js a/s talk
Framer js a/s talk
 
주니어 디자이너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2D게임그래픽 실무팁
주니어 디자이너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2D게임그래픽 실무팁주니어 디자이너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2D게임그래픽 실무팁
주니어 디자이너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2D게임그래픽 실무팁
 
Unite 2015 Seoul : 인디에게 어디가 한계인지는 해봐야 알잖아?
Unite 2015 Seoul : 인디에게 어디가 한계인지는 해봐야 알잖아?Unite 2015 Seoul : 인디에게 어디가 한계인지는 해봐야 알잖아?
Unite 2015 Seoul : 인디에게 어디가 한계인지는 해봐야 알잖아?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D2 CAMPUS]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스터디자료 - HTML, Android Animation
[D2 CAMPUS]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스터디자료 - HTML, Android Animation[D2 CAMPUS]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스터디자료 - HTML, Android Animation
[D2 CAMPUS]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스터디자료 - HTML, Android Animation
 
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
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
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사람과 UX/UI의 이해
사람과 UX/UI의 이해사람과 UX/UI의 이해
사람과 UX/UI의 이해
 
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
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
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
 
7주
7주7주
7주
 
아이패드기획강연 플루토미디어 외부_100915
아이패드기획강연 플루토미디어 외부_100915아이패드기획강연 플루토미디어 외부_100915
아이패드기획강연 플루토미디어 외부_100915
 
[GDG seoul] 디자이너의 눈과 생각 빌리기: 개발자를 위한 디자인 특강
[GDG seoul] 디자이너의 눈과 생각 빌리기: 개발자를 위한 디자인 특강[GDG seoul] 디자이너의 눈과 생각 빌리기: 개발자를 위한 디자인 특강
[GDG seoul] 디자이너의 눈과 생각 빌리기: 개발자를 위한 디자인 특강
 
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HIG)
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HIG)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HIG)
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HIG)
 
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
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
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도트클리커 게임만들기
도트클리커 게임만들기도트클리커 게임만들기
도트클리커 게임만들기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기획서 쓰는 사람 이야기 (2014)
기획서 쓰는 사람 이야기 (2014)기획서 쓰는 사람 이야기 (2014)
기획서 쓰는 사람 이야기 (2014)
 
20150307 abcd발표_ux디자이너 실력으로 살아남기
20150307 abcd발표_ux디자이너 실력으로 살아남기20150307 abcd발표_ux디자이너 실력으로 살아남기
20150307 abcd발표_ux디자이너 실력으로 살아남기
 

모바일 개발자가 원하는 디자인 가이드

  • 1. 모바일 개발자가 원하는 디자인 가이드 (a.k.a 내가 원하는 디자인 가이드) 유덕현
  • 2. 시작하면서 • 이문서는 아주 주관적인 내용입니다. 특히 저의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이 아주 많이 베어 있습니다. • 디자인 가이드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 FM은 있지만 그렇게 하는 사람 별로 없습니다.(저도 FM싫어함) • 일반적으로 서로 절대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합니다. => 고로 지속적인 대화와 친밀한 관계가 필요합니다. • 발표 중 질문은 수시로! 하고 싶으실때 부담없이 하세요~
  • 4. 개발자 say : Px ? Pixel !?! (사실 알아요)
  • 5. 디자이너 say : PT!? DIP !?!? • iOS, Android 에서 사용하는 추상화된 단위
  • 6.
  • 7. PT
  • 8. DP
  • 9. FM • 화면별(iOS:4개 Android: 많이 ^^;)가이드 문서 작성 • 화면 밀도별 이미지 각각 iOS 3set, Android 6set (미래에 더 늘어날수도…) • 기타 등등…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개발자도 각각의 레이아웃을 나누어 작업해야해서 레이 아웃 수정시 어마어마한 공수가 들어감( 이렇게 하는 곳은 없다고 거의…장담..) 많은 곳에서 이 룰은 지켜짐 특히 애플, 구글에서 출시하는 앱들.. 개인적으로 싫 어하는 이유는 이미지 하나 교체시 여러 개의 파일을 주고받고 또 그걸 프로젝트 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빵꾸날 확률이 있음.. (경험)
  • 10. 그럼 넌 어떻게 했었어요? • 기준해상도를 만들어서 작업했어요 • 정말 특정단말에서 특정 화면이 못봐주겠다!! 방법1(추천) 방법2 iOS : 375x667 (6 or 7) Android : 360x640(갤럭시 친구들) iOS,Android 모두 360x640(갤럭시 친구들로 퉁) 언제든지 말해주세요~ iOS/Android 모두 특정 화면만 따로 해상도별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많지도 않고 화면 몇 개 세부 조정 해 달라는데 싫다고 하면 그건 개발자가 귀찮은겁니다(100%) 갈궈주세요(ex: 그거 별거 아닌거 알아요) But 너무 많으면 파편화가 일어나서 나중에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두려움에 싫다고 할 수 도 있습니다. 그건 조금 이해해 주세요
  • 11. 그럼 넌 어떻게 했었어요?part.2 • 한가지 해상도로 작업을 했습니다. • 1280 x 720 (xxhdpi, 2@) 기준의 파일로 낮은해상도는 알아서 리사이징, 높은 해 상도에서 육안으로 심하게 깨지지 않으면 그냥 사용! • 저사양 단말에서 이미지가 너무 클 경우에는 앱이 뻗는 현상 경험, 높은 해상도 의 단말에서 복잡도가 높은 이미지의 경우 흐릿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음 • 위 상황의 경우 해당 이미지만 해상도별로 작업을 해서 관리 • 지금 생각으로는 조금 잘못된 방법이였다 생각됨..
  • 13. Vector • 최근 앱 디자인 트렌드가 머테리얼과 미니멀함. 따라서 단색 위주의 벡터 이미 지는 좋은 png 파일 대체재 • 현재 iOS/Android 모두 벡터 이미지(SVG, PSD) 파일 지원… 하는걸로 알고있어요.. • 장점 : 하나의 파일로 모든 해상도 대응(오예!!) • 단점 : 제약이 존재함(링크)
  • 14. 컴포넌트의 속성 • 위치와 크기는 필수요소!!!! (x, y) (width, height)
  • 15. •가로 방향으로 가운데정렬 •세로방향으로 가운데 정렬 •(w: 50, h: 50) •가로 방향으로 가운데정렬 •세로방향으로 가운데 정렬 •(w: 화면 의 30%, h: =w) •(x:30, y: 60) (w: 50, h: 50)
  • 16. 물리적 위치와 크기보다 중요한건 관계 그 관계를 맺어주는건 제약(Constraint)!!
  • 17. 제약(Constraint)의 기본 • 제약이 해석되면 (x,y)(w,h)를 알수 있어야 한다 • 제약은 강한 제약 -> 약한 제약으로 영향을 받음 • 고정되어야 할(강하게 제약받아야 할) 부분과 크기에 변화가 일어날수 있는(약한 제약 을 받는) 부분을 명확히 나눠야 함 강한 제약 약한 제약 - 얼마만한 크기로 고정되어 어디에 붙어있어! - 즉 고정되어야 하는 뷰들 - A의 뷰 (상하좌우)에 내 (상하좌우)를 X 만큼 떨어뜨려 위치시켜~ - A뷰의 (가로,세로)의 (x%)만큼 너도(가로,세 로)의 크기를 가져 - A뷰의 (x,y)축과 동일한 (x,y)축에 위치해 - 즉 다른 친구들의 변화에 맞춰지고 화면에 사 이즈에 영향을 받아 움직여야 하는 뷰들
  • 18. • 너의 이름은 아이콘 이고 50,50 크기의 xxx.png 파일을 부모뷰의 가로축을 중심축 으로 해서 부모뷰의 최상단에서 30만큼 떨 어뜨려 위치해 • 너의 이름은 하단 주저리주저리이고 너의 좌우 하단은 부모뷰의 좌,우,하단에 맞춰 그 리고 높이는 60 이야 • 너의 이름은 센터야 넌 좌,우를 부모뷰의 좌, 우에 맞춰 너의 상단은 아이콘의 하단부터 시작이고 너의 하단은 하단 주저리주저리의 시작까지만 위치해야해
  • 19. 120 100 100의 높이를 원했던걸까 6:5 의 비율을 원했던걸까?
  • 20. 1. 왼쪽 서랍의 가로폭이 304 였으면 좋겠다 2. 왼쪽 서람이 전체 화면에 56만큼을 남기고 열렸으면 좋겠다 3. 서랍과 여백이 가로화면에 (304:56) 의 비율로 자리 잡았으면 좋겠다
  • 21. 3줄요약 • 기준폰(아이폰6,7 갤럭시S) 의 기준화면으로 작업 • 모바일 앱은 PX 단위가 아닌 PTor DP단위 • 모바일 앱 디자인의 핵심은 제약
  • 22. 마치면서 디자이너 개발자 - 내가 만든 화면이 작은화면, 큰화면에서 표시 될때 반응할 적은 제약의 영역을 항상 생각하 여야 한다. - 내 아이덴티가 들어가는 부분에 대해서는 정 확히 명시해준다(특히 비율) - 레이아웃을 만들면서 수시로 작은화면과 큰 화면에서 에뮬레이팅을 확인하여 특정화면 에서 깨지는 경우가 있는 지 확인 있다면 바로 협의 - 구현하는데 제약사항이 명확하지 않다면 혼 자 판단하지말고 디자이너와 상의 결론은 애매하면 물어봐라!!
  • 23. 참고 사이트 1. 스케치(https://www.sketchapp.com/) 2. 제플린(https://zeplin.io/) 3. 스케치와 제플린을 이용한 작업(http://blog.minimap.net/index.php/2017/02/02/sketch-zeplin/) 4. 어도비XD 이거 짱좋아보여요(http://www.adobe.com/kr/products/experience-design.html) 5. 스케치와 어도비XD비교(http://slowalk.tistory.com/2429) 6. 모바일의 화면정보 사이트(https://material.io/devices/) 7. 픽셀과 PT DP 에 관한 정리(https://brunch.co.kr/@ultra0034/23) 8. 안드로이드와iOS 디자인 차이(https://swifter.kr/2017/05/08/ios-android-%EC%95%B1-ui- %EB%94%94%EC%9E%90%EC%9D%B8-%EB%B9%84%EA%B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