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5조
1301225
1301391
1346008
1346018
1346025

손민희
장정연
박다솔
유희경
이정원

현실과
맞서 싸운
시인들
1. 김수영의 생애 (1921-1968)
그리고
시대적 배경
생애 (1921-1968)
1921 서울 종로에서 출생
생애 (1921-1968)
 1935~1941년 선린상업고등학교. 동경 성

북고등예비학교에 다니며 연극 공부 (신파
연극)

 1944 일본의 징용을 피해 귀국, 만주 고모

집에서 거주
생애 (1921-1968)
 1945 해방, 서울로 돌아옴

연극에서 문학으로 전향
‘만리서사’ 라는 헌 책방을 내고 있는 박인
환을 만나고, 책방에 자주 드나들며 많은 예
술가들(특히 모더니스트들)과 만남. 평생 존
경했던 인물인 화가 박일영 만남.
생애 (1921-1968)
 1946년 <예술부락>에 김수영 작품 등단
 1948년 김병욱,임호권,양병식과 함께 <동

인지> 간행

 김현경과 결혼
생애 (1921-1968)
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북한군 후퇴시 징집되어 북으로 끌려가 강
제노동을 하다 탈출.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수
용됨.
 포로수용소에서 석방. 부산, 대구에서 통역
관 및 선린상고 영어교사 등을 함
 서울 수복 당시 <주간 태평양>, <평화신
문> 신문사에서 일함
생애 (1921-1968)
 1955년 무렵 양계 시작
 <눈> <폭포> <꽃> 간행
 1957년 첫 시집 <달나라의 장난> 간행
생애 (1921-1968)
4· 혁명
19

혁명과 자유에 대한 이상 품게 됨
생애 (1921-1968)
5· 군사쿠데타
16

<모르지> <이놈이 무엇이지?> 등 자학적이
고 잔인한 시 지음, 소시민적 의식을 갖는 시
인으로 변모
생애 (1921-1968)
 신구문화사에서 시, 시평으로 활발한 작업
 1968년 교통사고로 사망 (48세)
 http://tvpot.daum.net/v/vfadaHw29xZ2HHt5l

ZtJ9Dw

 http://tvpot.daum.net/v/vfadaHw29xZ2HHt5l

ZtJ9Dw
2. 김수영의 시 분석
현실 참여시

1960년대 시 경향 중 하나로써 시의 순수적
편향성을 극복하고 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인식, 회복하려 노력
김수영의 대표 시
풀

김수영

풀이 눕는다
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
풀은 눕고
드디어 울었다
날이 흐려서 더 울다가
다시 누웠다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
발목까지
발 밑까지 눕는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 뿌리가 눕는다.
풀

김수영

풀이 눕는다
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
풀은 눕고
드디어 울었다
날이 흐려서 더 울다가
다시 누웠다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
발목까지
발 밑까지 눕는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 뿌리가 눕는다.

나약하고 수동적인 풀의
모습

강인하고 능동적인 풀의 모
습

풀의 강한 의지와 강한 생명
력
풀-대립적 이미지
 풀 vs 바람
 울다 vs 웃다
 눕다 vs 일어나다
대립적 시어의 반복적 사용으로 운율과 리듬감, 역동성 표현
풀, 바람
 풀 : 가장 흔한 것이면서도 생명력이 가장

질긴 것.

 바람: 풀의 생명력을 억누르는 일시적인 힘

풀=민중, 민초

바람=군사정권
절망(絶望)
풍경이 풍경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곰팡이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여름이 여름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속도가 속도를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졸렬(拙劣)과 수치가 그들 자신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바람은 딴 데에서도 오고
구원(救援)은 예기치 않는 순간에 오고
절망(絶望)은 끝까지 그 자신을 반성하지 않는다.
절망(絶望)
풍경이 풍경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곰팡이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여름이 여름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속도가 속도를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졸렬(拙劣)과 수치가 그들 자신을 반성
하지 않는 것처럼
바람은 딴 데에서도 오고
구원(救援)은 예기치 않는 순간에 오고
절망(絶望)은 끝까지 그 자신을 반성하
지 않는다.

•유사한 통사구조의 반
복을 통해 시적 의미 강
화
•반성하지 않는 사물들

절망적 태도에 대한 반
성 촉구
1-5행 사물에 대한 비판
 풍경, 곰팡, 여름, 속도

: 반성할 수 있는 의식을 가진 존재가 아닌 사
물들
 졸렬과 수치

: 앞에 나열된 사물들과는 달리 인간의 태도
나 심리에 관련된 것으로, 인간으로써 마땅
히 반성해야 할 부분
6-8행 절망적 태도에 대한 반성 촉구
불어와야 할 곳에서 불지 않는 바람, 기다리
는 구원을 절실할 때가 아닌 때에 오고 어디
에도 없어야 할 절망은 모든 곳에 가득 차
반성할 줄을 모름
4.19 혁명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절망적 인식에 사로잡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는 동시대인들에의 패배주의적 태도를 비판하고 반성
을 촉구
3. 신동엽과 그의 시
신동엽의 생애
 1930년 충남에서 농부부부의 장남으로 태어나 아버지의 도움으

로 문학적 소양을 갈고 닦으며 사범학교 다녔음
 한국전쟁 당시 고향이 인민군에 게 점령당하면서 인민군을 도와

일을 하기도 했음. 하지만 신동엽은 아나키스트에 가까웠음.
 전쟁 이후 건강상의 문제로 요양을 하며 독서와 글쓰기를 즐겨 하

고 신춘문예에 당선하면서 등단하게 됨.
 1960년 학생혁명시집을 집필하면서 4· 혁명에 뛰어듦.
19
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청년기 시절 동안 8· 민족해방과 좌우
15

익 간의 갈등과 투쟁, 6· 을 직접 고 사회인이 된 후로도 4·
25
19혁
명과 5·
16군사쿠데타 등 역사적 격변에 시달린 것이 그의 시 세계
에 큰 영향을 주었다.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구속과 억압을
상징
아침저녁
네 머리 위 쇠 항아릴 찢고
티없이 맑은 구원의 하늘
마실 수 있는 사람은
연민을 / 알리라.
차마 삼가서 / 발걸음도 조심
마음 조아리며.
서럽게
아,
을
서럽게 / 눈물 흘려
살아가리라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누가 구름 한 자락 없이 맑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인고의 시간을 보내는 슬픈
현실이 지속되고 있음
4. 김지하와 그의 시
김지하 시인
김수영 시인과 같은 시대
를 살면서 자유를 위해 현
실에 참여한 또 다른 시인 ,
김지하
4.19시민혁명과 5.18쿠데
타 등 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없었던 현실에 저항하
고 맞서 싸운 김지하 시인
타는 목마름으로
김지하
신새벽 뒷골목에
네 이름 쓴다 민주주의여
내 머리는 너를 잊은 지 오래
내 발길은 너를 잊은 지 너무도 너무도 오래
오직 한 가닥 있어
타는 가슴 속 목마름의 기억이
1970년대 초 민주주의가 탄압받던
네 이름을 남몰래 쓴다 민주주의여.
시대적 배경
아직 동트지 않은 뒷골목의 어딘가
유신정권의 폭압적인 태도
발자욱 소리 호루락 소리 문 두드리는 소리
외마디 길고 긴 누군가의 비명소리
민중들의 고통
신음소리 통곡소리 탄식 소리 그 속에 내 가슴팍 속에
깊이깊이 새겨지는 네 이름 위에
네 이름의 외로운 눈부심 위에
살아오는 삶의 아픔
살아오는 저 푸르른 자유의 추억
되살아오는 끌려가던 벗들의 피묻은 얼굴
떨리는 손 떨리는 가슴
떨리는 치떨리는 노여움으로 나무판자에
백묵으로 서툰 솜씨로
쓴다.
숨죽여 흐느끼며
네 이름을 남 몰래 쓴다.
타는 목마름으로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여 만세.
5. 김수영 vs 신동엽 vs 김지하
김수영 vs 신동엽 vs 김지하

 해방 이후 분단된 체제 속에서 남한 현대

문학의 주축을 이룸

 참여시, 저항시를 통해 사회 의식 표출
김수영 vs 신동엽 vs 김지하
김수영

신동엽

김지하

시적 경향

모더니즘

리얼리즘

리얼리즘

언어

도시적, 지적 언
어

서정적, 토속적
언어

풍자, 비판적 언
어

대표 작품

<풀>, <폭포>,
<껍데기는 가
<타는 목마름으
<당신의 꿈은 무 라>,
로>, <오적>
엇입니까>
<누가 하늘을 보
았다 하는가>

주요 활동 연대

60년대

60년대

60년대~ 현재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민들레꽃 ppt
민들레꽃 ppt민들레꽃 ppt
민들레꽃 pptlsmgame
 
지용시선 1308 김형규
지용시선 1308 김형규지용시선 1308 김형규
지용시선 1308 김형규Hyeong Gyu Kim
 
10120안대식 '만무방'
10120안대식  '만무방'10120안대식  '만무방'
10120안대식 '만무방'dkseotlr1
 
1314 염규하-치숙
1314 염규하-치숙1314 염규하-치숙
1314 염규하-치숙규하 염
 
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
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
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커뮤니케이션북스(주)
 
영화를바꾼명장면으로영화읽기 1.무성영화시대,유성영화초기
영화를바꾼명장면으로영화읽기 1.무성영화시대,유성영화초기영화를바꾼명장면으로영화읽기 1.무성영화시대,유성영화초기
영화를바꾼명장면으로영화읽기 1.무성영화시대,유성영화초기커뮤니케이션북스(주)
 
5th ignitemasan 07 허정도_마산에 남긴 열여섯 명의 흔적
5th ignitemasan 07 허정도_마산에 남긴 열여섯 명의 흔적5th ignitemasan 07 허정도_마산에 남긴 열여섯 명의 흔적
5th ignitemasan 07 허정도_마산에 남긴 열여섯 명의 흔적
Ignite Masan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Yeachan Han
 
문학 달력 김현지
문학 달력  김현지문학 달력  김현지
문학 달력 김현지Kim Hyunji
 
천자만홍
천자만홍천자만홍
천자만홍
Kimyelin1
 
유럽영화의 탄생과 발전
유럽영화의 탄생과 발전 유럽영화의 탄생과 발전
유럽영화의 탄생과 발전 Seungjoon Lee
 

What's hot (11)

민들레꽃 ppt
민들레꽃 ppt민들레꽃 ppt
민들레꽃 ppt
 
지용시선 1308 김형규
지용시선 1308 김형규지용시선 1308 김형규
지용시선 1308 김형규
 
10120안대식 '만무방'
10120안대식  '만무방'10120안대식  '만무방'
10120안대식 '만무방'
 
1314 염규하-치숙
1314 염규하-치숙1314 염규하-치숙
1314 염규하-치숙
 
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
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
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
 
영화를바꾼명장면으로영화읽기 1.무성영화시대,유성영화초기
영화를바꾼명장면으로영화읽기 1.무성영화시대,유성영화초기영화를바꾼명장면으로영화읽기 1.무성영화시대,유성영화초기
영화를바꾼명장면으로영화읽기 1.무성영화시대,유성영화초기
 
5th ignitemasan 07 허정도_마산에 남긴 열여섯 명의 흔적
5th ignitemasan 07 허정도_마산에 남긴 열여섯 명의 흔적5th ignitemasan 07 허정도_마산에 남긴 열여섯 명의 흔적
5th ignitemasan 07 허정도_마산에 남긴 열여섯 명의 흔적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문학 달력 김현지
문학 달력  김현지문학 달력  김현지
문학 달력 김현지
 
천자만홍
천자만홍천자만홍
천자만홍
 
유럽영화의 탄생과 발전
유럽영화의 탄생과 발전 유럽영화의 탄생과 발전
유럽영화의 탄생과 발전
 

Viewers also liked

발표Ppt
발표Ppt발표Ppt
발표Ppt
Heekyung12
 
교학이)행동주의Ppt (2)
교학이)행동주의Ppt (2)교학이)행동주의Ppt (2)
교학이)행동주의Ppt (2)
미진 이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Kevin Kim
 
개경프 컨셉기획 발표 PPT
개경프 컨셉기획 발표 PPT개경프 컨셉기획 발표 PPT
개경프 컨셉기획 발표 PPT
수빈 박
 
설득력을 높이는 시각적 프리젠테이션
설득력을 높이는 시각적 프리젠테이션설득력을 높이는 시각적 프리젠테이션
설득력을 높이는 시각적 프리젠테이션
Jinho Jung
 

Viewers also liked (6)

발표Ppt
발표Ppt발표Ppt
발표Ppt
 
교학이)행동주의Ppt (2)
교학이)행동주의Ppt (2)교학이)행동주의Ppt (2)
교학이)행동주의Ppt (2)
 
발표Ppt
발표Ppt발표Ppt
발표Ppt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개경프 컨셉기획 발표 PPT
개경프 컨셉기획 발표 PPT개경프 컨셉기획 발표 PPT
개경프 컨셉기획 발표 PPT
 
설득력을 높이는 시각적 프리젠테이션
설득력을 높이는 시각적 프리젠테이션설득력을 높이는 시각적 프리젠테이션
설득력을 높이는 시각적 프리젠테이션
 

More from Heekyung12

[팀E] 미디어 프로젝트 기획서
[팀E] 미디어 프로젝트 기획서[팀E] 미디어 프로젝트 기획서
[팀E] 미디어 프로젝트 기획서Heekyung12
 
고영 Oral presentation
고영 Oral presentation고영 Oral presentation
고영 Oral presentation
Heekyung12
 
발표2
발표2발표2
발표2
Heekyung12
 
미사교 Library final
미사교 Library final미사교 Library final
미사교 Library final
Heekyung12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Heekyung12
 
Inclass essay
Inclass essayInclass essay
Inclass essay
Heekyung12
 
Essay2 first draft
Essay2 first draftEssay2 first draft
Essay2 first draft
Heekyung12
 
기독교와 세계 내가 본 기독교
기독교와 세계    내가 본 기독교기독교와 세계    내가 본 기독교
기독교와 세계 내가 본 기독교Heekyung12
 
기독교와 세계 나의 종교
기독교와 세계   나의 종교기독교와 세계   나의 종교
기독교와 세계 나의 종교Heekyung12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Heekyung12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Heekyung12
 
대학영어 Essay part 3
대학영어  Essay part 3대학영어  Essay part 3
대학영어 Essay part 3
Heekyung12
 
대학영어 Rewriting
대학영어    Rewriting대학영어    Rewriting
대학영어 Rewriting
Heekyung12
 

More from Heekyung12 (20)

[팀E] 미디어 프로젝트 기획서
[팀E] 미디어 프로젝트 기획서[팀E] 미디어 프로젝트 기획서
[팀E] 미디어 프로젝트 기획서
 
고영 Oral presentation
고영 Oral presentation고영 Oral presentation
고영 Oral presentation
 
발표2
발표2발표2
발표2
 
팀플111
팀플111팀플111
팀플111
 
팀플11
팀플11팀플11
팀플11
 
팀플1발표
팀플1발표팀플1발표
팀플1발표
 
미사교 Library final
미사교 Library final미사교 Library final
미사교 Library final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
 
Inclass essay
Inclass essayInclass essay
Inclass essay
 
Essay2 first draft
Essay2 first draftEssay2 first draft
Essay2 first draft
 
소논문
소논문소논문
소논문
 
서평
서평서평
서평
 
기독교와 세계 내가 본 기독교
기독교와 세계    내가 본 기독교기독교와 세계    내가 본 기독교
기독교와 세계 내가 본 기독교
 
기독교와 세계 나의 종교
기독교와 세계   나의 종교기독교와 세계   나의 종교
기독교와 세계 나의 종교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프레젠테이션 Ppt
 
대학영어 Essay part 3
대학영어  Essay part 3대학영어  Essay part 3
대학영어 Essay part 3
 
대학영어 Rewriting
대학영어    Rewriting대학영어    Rewriting
대학영어 Rewriting
 
참관후기
참관후기참관후기
참관후기
 
쌈싸라
쌈싸라쌈싸라
쌈싸라
 

예술가와 그의 시대 최종 발표

  • 2. 1. 김수영의 생애 (1921-1968) 그리고 시대적 배경
  • 3. 생애 (1921-1968) 1921 서울 종로에서 출생
  • 4. 생애 (1921-1968)  1935~1941년 선린상업고등학교. 동경 성 북고등예비학교에 다니며 연극 공부 (신파 연극)  1944 일본의 징용을 피해 귀국, 만주 고모 집에서 거주
  • 5. 생애 (1921-1968)  1945 해방, 서울로 돌아옴 연극에서 문학으로 전향 ‘만리서사’ 라는 헌 책방을 내고 있는 박인 환을 만나고, 책방에 자주 드나들며 많은 예 술가들(특히 모더니스트들)과 만남. 평생 존 경했던 인물인 화가 박일영 만남.
  • 6. 생애 (1921-1968)  1946년 <예술부락>에 김수영 작품 등단  1948년 김병욱,임호권,양병식과 함께 <동 인지> 간행  김현경과 결혼
  • 7. 생애 (1921-1968) 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북한군 후퇴시 징집되어 북으로 끌려가 강 제노동을 하다 탈출.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수 용됨.  포로수용소에서 석방. 부산, 대구에서 통역 관 및 선린상고 영어교사 등을 함  서울 수복 당시 <주간 태평양>, <평화신 문> 신문사에서 일함
  • 8. 생애 (1921-1968)  1955년 무렵 양계 시작  <눈> <폭포> <꽃> 간행  1957년 첫 시집 <달나라의 장난> 간행
  • 9. 생애 (1921-1968) 4· 혁명 19 혁명과 자유에 대한 이상 품게 됨
  • 10. 생애 (1921-1968) 5· 군사쿠데타 16 <모르지> <이놈이 무엇이지?> 등 자학적이 고 잔인한 시 지음, 소시민적 의식을 갖는 시 인으로 변모
  • 11. 생애 (1921-1968)  신구문화사에서 시, 시평으로 활발한 작업  1968년 교통사고로 사망 (48세)
  • 14. 현실 참여시 1960년대 시 경향 중 하나로써 시의 순수적 편향성을 극복하고 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인식, 회복하려 노력
  • 16. 풀 김수영 풀이 눕는다 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 풀은 눕고 드디어 울었다 날이 흐려서 더 울다가 다시 누웠다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 발목까지 발 밑까지 눕는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 뿌리가 눕는다.
  • 17. 풀 김수영 풀이 눕는다 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 풀은 눕고 드디어 울었다 날이 흐려서 더 울다가 다시 누웠다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 발목까지 발 밑까지 눕는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 뿌리가 눕는다. 나약하고 수동적인 풀의 모습 강인하고 능동적인 풀의 모 습 풀의 강한 의지와 강한 생명 력
  • 18. 풀-대립적 이미지  풀 vs 바람  울다 vs 웃다  눕다 vs 일어나다 대립적 시어의 반복적 사용으로 운율과 리듬감, 역동성 표현
  • 19. 풀, 바람  풀 : 가장 흔한 것이면서도 생명력이 가장 질긴 것.  바람: 풀의 생명력을 억누르는 일시적인 힘 풀=민중, 민초 바람=군사정권
  • 20. 절망(絶望) 풍경이 풍경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곰팡이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여름이 여름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속도가 속도를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졸렬(拙劣)과 수치가 그들 자신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바람은 딴 데에서도 오고 구원(救援)은 예기치 않는 순간에 오고 절망(絶望)은 끝까지 그 자신을 반성하지 않는다.
  • 21. 절망(絶望) 풍경이 풍경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곰팡이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여름이 여름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속도가 속도를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졸렬(拙劣)과 수치가 그들 자신을 반성 하지 않는 것처럼 바람은 딴 데에서도 오고 구원(救援)은 예기치 않는 순간에 오고 절망(絶望)은 끝까지 그 자신을 반성하 지 않는다. •유사한 통사구조의 반 복을 통해 시적 의미 강 화 •반성하지 않는 사물들 절망적 태도에 대한 반 성 촉구
  • 22. 1-5행 사물에 대한 비판  풍경, 곰팡, 여름, 속도 : 반성할 수 있는 의식을 가진 존재가 아닌 사 물들  졸렬과 수치 : 앞에 나열된 사물들과는 달리 인간의 태도 나 심리에 관련된 것으로, 인간으로써 마땅 히 반성해야 할 부분
  • 23. 6-8행 절망적 태도에 대한 반성 촉구 불어와야 할 곳에서 불지 않는 바람, 기다리 는 구원을 절실할 때가 아닌 때에 오고 어디 에도 없어야 할 절망은 모든 곳에 가득 차 반성할 줄을 모름 4.19 혁명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절망적 인식에 사로잡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는 동시대인들에의 패배주의적 태도를 비판하고 반성 을 촉구
  • 25. 신동엽의 생애  1930년 충남에서 농부부부의 장남으로 태어나 아버지의 도움으 로 문학적 소양을 갈고 닦으며 사범학교 다녔음  한국전쟁 당시 고향이 인민군에 게 점령당하면서 인민군을 도와 일을 하기도 했음. 하지만 신동엽은 아나키스트에 가까웠음.  전쟁 이후 건강상의 문제로 요양을 하며 독서와 글쓰기를 즐겨 하 고 신춘문예에 당선하면서 등단하게 됨.  1960년 학생혁명시집을 집필하면서 4· 혁명에 뛰어듦. 19 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청년기 시절 동안 8· 민족해방과 좌우 15 익 간의 갈등과 투쟁, 6· 을 직접 고 사회인이 된 후로도 4· 25 19혁 명과 5· 16군사쿠데타 등 역사적 격변에 시달린 것이 그의 시 세계 에 큰 영향을 주었다.
  • 26.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구속과 억압을 상징
  • 27. 아침저녁 네 머리 위 쇠 항아릴 찢고 티없이 맑은 구원의 하늘 마실 수 있는 사람은 연민을 / 알리라. 차마 삼가서 / 발걸음도 조심 마음 조아리며. 서럽게 아, 을 서럽게 / 눈물 흘려 살아가리라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누가 구름 한 자락 없이 맑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인고의 시간을 보내는 슬픈 현실이 지속되고 있음
  • 29. 김지하 시인 김수영 시인과 같은 시대 를 살면서 자유를 위해 현 실에 참여한 또 다른 시인 , 김지하 4.19시민혁명과 5.18쿠데 타 등 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없었던 현실에 저항하 고 맞서 싸운 김지하 시인
  • 30. 타는 목마름으로 김지하 신새벽 뒷골목에 네 이름 쓴다 민주주의여 내 머리는 너를 잊은 지 오래 내 발길은 너를 잊은 지 너무도 너무도 오래 오직 한 가닥 있어 타는 가슴 속 목마름의 기억이 1970년대 초 민주주의가 탄압받던 네 이름을 남몰래 쓴다 민주주의여. 시대적 배경
  • 31. 아직 동트지 않은 뒷골목의 어딘가 유신정권의 폭압적인 태도 발자욱 소리 호루락 소리 문 두드리는 소리 외마디 길고 긴 누군가의 비명소리 민중들의 고통 신음소리 통곡소리 탄식 소리 그 속에 내 가슴팍 속에 깊이깊이 새겨지는 네 이름 위에 네 이름의 외로운 눈부심 위에 살아오는 삶의 아픔 살아오는 저 푸르른 자유의 추억 되살아오는 끌려가던 벗들의 피묻은 얼굴 떨리는 손 떨리는 가슴 떨리는 치떨리는 노여움으로 나무판자에 백묵으로 서툰 솜씨로 쓴다.
  • 32. 숨죽여 흐느끼며 네 이름을 남 몰래 쓴다. 타는 목마름으로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여 만세.
  • 33. 5. 김수영 vs 신동엽 vs 김지하
  • 34. 김수영 vs 신동엽 vs 김지하  해방 이후 분단된 체제 속에서 남한 현대 문학의 주축을 이룸  참여시, 저항시를 통해 사회 의식 표출
  • 35. 김수영 vs 신동엽 vs 김지하 김수영 신동엽 김지하 시적 경향 모더니즘 리얼리즘 리얼리즘 언어 도시적, 지적 언 어 서정적, 토속적 언어 풍자, 비판적 언 어 대표 작품 <풀>, <폭포>, <껍데기는 가 <타는 목마름으 <당신의 꿈은 무 라>, 로>, <오적> 엇입니까> <누가 하늘을 보 았다 하는가> 주요 활동 연대 60년대 60년대 60년대~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