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 장르 영화의 네 가지 변
주
식민지에 도착한 활동사진, 서구로부터 이식된 장르
한국영화사에는 자기 스스로 발명한 장르 없음
서로 상이한 나라의 영화문화 변형, 발전, 진화


<식민지 시대 한국 영화의 한계>
① 영화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문화적 배경에 이르지 못함
② 영화가 한반도의 식민지화와 함께 시작


장르의 수용과 파괴가 동시에 이루어짐
장르 영화가 상업영화와 이음동의어
장르 영화에 대한 무조건적 비판
멜로드라마:유교의 재생산, 남성의 재남성화, 여성의 가족화


멜로드라마 대중적 성공 이유
① 대중영화의 최초의 관객들은 여성 - 사회적 취향의 젠더화
② 신파 소설의 영화화
청춘 로맨스
홈 드라마
여성(전기) 영화
③ 서사와 배우에 집중


일본 멜로드라마 베끼고 변형시키면서 한국적 정서 찾게 됨
여성의 희생과 남성의 복권 과정 반복
멜로드라마:유교의 재생산, 남성의 재남성화, 여성의 가족화


1960년대:
근대화가 요구하는 새로운 여성상 VS. 봉건적 가족주의
봉건적 남성성의 재구성
여성에게는 희생과 포기의 능동성과 자발성 요구




 <자유부인>(1956) 한형모             <엽기적인 그녀>(2001)곽재용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두 영화는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 멜로드라마 안에서 신여성의 유토피아가
이루어진 적은 거의 없다.
공포영화의 사회적 억압과 한의 귀환:누가 돌아오는가?
공포, 액션, 코미디 영화는 멜로드라마의 변주
<한국 공포영화 특징>
억울하게 죽은 영혼이 귀신의 이름을 빌려 등장
귀신은 대부분 여자들
한을 풀어줄 수 있는 사람은 남성




<월하의 공동묘지>(1967)권철휘           <여고괴담>(1998) 박기형

 억압과 귀환이라는 형태를 전통 공포영화의 형태를 그대로 떠안고 <여고괴담>이 제작되었다.
액션 영화 :
잃어버린 부권의 향수, 전후 한국사회의 힘에 대한 숭배와 복종
멜로드라마의 남성영화버전
패배 영웅주의가 불러일으키는 감상주의
<특징>
① „형님‟ 문화의 재생산 – 강한 아버지에 대한 간절한 요구
② 사법적 판단에 앞서는 힘에 대한 숭배 – 사회 정의에 대한 불
신
③ 남성성의 힘에 의한 우위의 표현

1966년 이후 홍콩 영화의 수입으로 액션 영화 변질
무술 액션 장면의 기교에 집중
<장군의 아들>(1990) 임권택
액션 영화의 부활 – „깡패‟ 영화의 귀환
코미디:유머 없는 웃음, 혹은 장르의 잡종
한국형 코미디 영화
자기 정체성을 갖지 못하고 있는 일종의 혼성 장르
슬랩스틱 코미디 전통 없음
일본 소시민 희극영화의 영향 아래 발전

1960년대 영화에는 풍자정신이 없었음 – 검열의 영향
1990년대 코미디는 로맨스 멜로드라마의 각색
웃음을 통해 세상을 풍자하는 저항의 칼날을 기대하기 어려움

한국영화에 반영된 대중성이 온전하게 한국 근대사의 반영이라
고 말하기 어려움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 장르 도래 네 가지 변
         시네마토그라프의 영화의
주
             뤼미에르 형제에 의해 고안된
             시네마토그라프




                        <공장을 나서
                        는 노동자들>
                        시네마토그라
                        프로 촬영했다.
                        오른쪽은 뤼미
                        에르 형제
1903년 6월 하순
『황성신문』에 활동사진 관람 광고 게재
한국에는 1897, 1898년 전후 활동사진 들어왔을 것으로 예측




                     <피라미드에서 카이로까지>(1905)
                     이 시기에 극장을 지배한 것은 프랑
                     스의 파테(Pathé)사와 고(Gaumont)
                     사의 단편 실사(기록)영화였다. <피
                     라미드에서 카이로까지>는 파테사가
                     제작했다.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선보인 연쇄극 가지 변
      기록영화와 함께 장르 영화의 네
주
활동사진이 일반에 정착되는 과정
영화 종주국: 발명-제작-흥행
영화 수입국: 수입-제작-흥행
우리나라 1920년대 초까지 외국영화가 흥행 주도
실사 영화에서 허구 영화로 관객 취향의 변화




                  <명금>(1915) 프랜시스 포드
                  우미관에서 상영했다. 관객의 취향이
                  변하면서 <명금>과 같은 허구 영화의
                  인기가 많아졌다.
1910년 말
우리 나라 활동사진 연쇄극(Kino-drama) 시대 열림
<의리적 구토(義理的 仇討)>(1919)
일본의 방식과 내용을 모방
장르 결합
서로의 양식적 특성을 손상 -> 지속적 호응 얻지 못함

                        <경성전시의 경>(1919)
                        한국 최초의 단편 기록 영화.
                        „반쪽 영화‟(연쇄극)의 약점을
                        보완하고도 남는 한국영화의
                        의미를 가진다.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태생적 한계점 가지 변
        일본인에 의존한 장르 영화의 네
주
1923년 100% 필름으로 완성된 극영화가 등장
<국경> ,<월하의 맹서>, <춘향전> 인기
<장화홍련전>(1924) 박정현:
단성사 경영주 박승필이 극장 내에 촬영부 신설, 제작
자주적 역량 모아 만든 최초의 순수 한국영화
조선키네마주식회사의 설립과 해체:
<해의 비곡>(1924), <운영전>(1925), <암광>(1925), <촌의 영
웅>(1925)


    나운규
    <심청전>(1925)에서 심봉사 역할로
    주목 받았으며 <아리랑>(1926)을 통
    해 불멸의 명성을 얻었다.
한계점 : 제작자의 거주지 귀착설


일본인이 영화를 제작했더라도 우리 영화로 받아들여야 함
-생활 근거지가 한국
-소재와 관람 대상 우리 문화와 정서 눈높이에 맞춰 기획
영화에 대한 지나친 국수주의적 관점 경계




                 <탈출기>(1985) 제작중인 신상옥 감독
                 과 최은희.
                 신상옥 감독이 북한에 있던 시절 만든 작
                 품인 탈출기도 우리나라 영화로 볼 수 있
                 어야 한다. (김종원)
눈물, 비명, 폭력, 활동사진의 상영
            웃음, 한국 장르 영화의 네 가지 변
주
『황성신문』 1901년 9월 14일자 논설
-“사진활동승어생인활동(寫眞活動勝於生人活動)”
심훈
-“조선에 활동사진이라는 것이 맨 처음 수입되기는 1897년” 이라
고 전제
해링튼 박사학위 논문
-1898년 10월 17일 서대문-홍릉 간 단선궤도 부설공사 착수되는
시점에 활동사진 들어왔음 언급
이구영
- “일본 사람을 통해 1897년 진고개의 혼마찌좌(本町座)에서 자
기네 거류민을 위해 영화를 상영한 일이 있다는 말을 들었다”

->활동사진 상영은 19세기 말로 보는 것이 타당
상설 영화관의 설립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 장르 영화의 네 가지 변
주
동대문 활동사진소
-> 영화 상영 극장 급속 증가
광무대(1907∼1930): 구극 전용관으로 바뀜
장안사: 가설극장 -> 재래 가무 주력
단성사: 1913년부터 상설 영화관 형태 구축
경성고등연예관: 활동사진 전용극장
황금관: <문명의 복수(文明の復讐)>라는 일본의 연쇄극 소개
우미관: 북촌 지역에 제일 먼저 발성영화 공개
3대 한국 영화 중심관 : 단성사, 우미관, 조선극장




          우미관. 3대 한국 영화
          중심관이었다.
의리적 구토 촬영 장면 (삽화)
연쇄극은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
는 과도기적 제작 과정. 연극의 보조수단
이었다.




       <월하의 맹서> 주인공 이월
       화, 윤백남. <월하의 맹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최초의 극
       영화다.
최초의 여배우 이월화와 기생 배우의 활동

무성영화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기생의 출연 의의
여성의 대외 활동이 금기
남성들이 여성 역할 대신 함
기생 배우들이 출연하면서 여성 역할 일부분이나마 맡아 함
일반 여성들 배우 진출 자극
<장화홍련전>과 제작자 박승필
1921년 활동사진 -> 영화 명칭 변경
변사는 대중의 우상


                         <박승필> 우리의 대
                         표적인 고전 „춘향전‟
                         이 일본 사람의 제작
                         으로 선점 당했다는
                         사실에 자극 받아 또
                         다른 고전인 장화홍련
                         전을 들고 나왔다.




<장화홍련전>(1937) 홍개명
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한국인과문화간커뮤니케이션.01 고급 예술로서의 문화
한국인과문화간커뮤니케이션.01 고급 예술로서의 문화한국인과문화간커뮤니케이션.01 고급 예술로서의 문화
한국인과문화간커뮤니케이션.01 고급 예술로서의 문화커뮤니케이션북스(주)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5강(6장 구도)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5강(6장 구도)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5강(6장 구도)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5강(6장 구도)커뮤니케이션북스(주)
 
Tv프로그램기획제작론.01 포맷의 새로운 분석
Tv프로그램기획제작론.01 포맷의 새로운 분석Tv프로그램기획제작론.01 포맷의 새로운 분석
Tv프로그램기획제작론.01 포맷의 새로운 분석커뮤니케이션북스(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01.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도전 다양한:세계 속에서의 상호작용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01.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도전 다양한:세계 속에서의 상호작용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01.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도전 다양한:세계 속에서의 상호작용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01.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도전 다양한:세계 속에서의 상호작용커뮤니케이션북스(주)
 

Viewers also liked (11)

한국인과문화간커뮤니케이션.01 고급 예술로서의 문화
한국인과문화간커뮤니케이션.01 고급 예술로서의 문화한국인과문화간커뮤니케이션.01 고급 예술로서의 문화
한국인과문화간커뮤니케이션.01 고급 예술로서의 문화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5강(6장 구도)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5강(6장 구도)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5강(6장 구도)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5강(6장 구도)
 
Tv프로그램기획제작론.01 포맷의 새로운 분석
Tv프로그램기획제작론.01 포맷의 새로운 분석Tv프로그램기획제작론.01 포맷의 새로운 분석
Tv프로그램기획제작론.01 포맷의 새로운 분석
 
Public relations strategy chapter 1 intro to pr
Public relations strategy chapter 1 intro to prPublic relations strategy chapter 1 intro to pr
Public relations strategy chapter 1 intro to pr
 
텔레비전광고제작 01
텔레비전광고제작 01텔레비전광고제작 01
텔레비전광고제작 01
 
지역미디어 1장
지역미디어 1장지역미디어 1장
지역미디어 1장
 
콘텐츠 비즈니스 입문 1장
콘텐츠 비즈니스 입문 1장콘텐츠 비즈니스 입문 1장
콘텐츠 비즈니스 입문 1장
 
마케팅 Pr i. 마케팅 환경의 변화
마케팅 Pr i. 마케팅 환경의 변화마케팅 Pr i. 마케팅 환경의 변화
마케팅 Pr i. 마케팅 환경의 변화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1장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1장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1장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1장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1장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1장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1장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1장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01.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도전 다양한:세계 속에서의 상호작용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01.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도전 다양한:세계 속에서의 상호작용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01.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도전 다양한:세계 속에서의 상호작용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01.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도전 다양한:세계 속에서의 상호작용
 

More from 커뮤니케이션북스(주)

문화콘텐츠학 강의 쉽게 개발하기 02, 03, 04
문화콘텐츠학 강의 쉽게 개발하기 02, 03, 04문화콘텐츠학 강의 쉽게 개발하기 02, 03, 04
문화콘텐츠학 강의 쉽게 개발하기 02, 03, 04커뮤니케이션북스(주)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1강(1장 오리엔테이션)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1강(1장 오리엔테이션)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1강(1장 오리엔테이션)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1강(1장 오리엔테이션)커뮤니케이션북스(주)
 
현대사회와 미디어(2011년 개정판) 1강 매스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현대사회와 미디어(2011년 개정판) 1강 매스미디어의 정의와 특성현대사회와 미디어(2011년 개정판) 1강 매스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현대사회와 미디어(2011년 개정판) 1강 매스미디어의 정의와 특성커뮤니케이션북스(주)
 

More from 커뮤니케이션북스(주) (18)

조직커뮤니케이션 01.고전적접근
조직커뮤니케이션 01.고전적접근조직커뮤니케이션 01.고전적접근
조직커뮤니케이션 01.고전적접근
 
이미지Pr 1주차
이미지Pr 1주차이미지Pr 1주차
이미지Pr 1주차
 
미디어 문화론 1장 미디어란 무엇인가
미디어 문화론 1장 미디어란 무엇인가미디어 문화론 1장 미디어란 무엇인가
미디어 문화론 1장 미디어란 무엇인가
 
문화콘텐츠학 강의 쉽게 개발하기 02, 03, 04
문화콘텐츠학 강의 쉽게 개발하기 02, 03, 04문화콘텐츠학 강의 쉽게 개발하기 02, 03, 04
문화콘텐츠학 강의 쉽게 개발하기 02, 03, 04
 
문화예술 홍보론 1.예술과경제
문화예술 홍보론 1.예술과경제문화예술 홍보론 1.예술과경제
문화예술 홍보론 1.예술과경제
 
마스터숏.01 격투 장면
마스터숏.01 격투 장면마스터숏.01 격투 장면
마스터숏.01 격투 장면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1강(1장 오리엔테이션)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1강(1장 오리엔테이션)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1강(1장 오리엔테이션)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1강(1장 오리엔테이션)
 
이것만알면찍는다 1기본사항
이것만알면찍는다 1기본사항이것만알면찍는다 1기본사항
이것만알면찍는다 1기본사항
 
Pr을 알면 세상이 열린다 1장
Pr을 알면 세상이 열린다 1장Pr을 알면 세상이 열린다 1장
Pr을 알면 세상이 열린다 1장
 
Pr 입문 1장 pr이란
Pr 입문 1장 pr이란Pr 입문 1장 pr이란
Pr 입문 1장 pr이란
 
Pr 실전론 1장
Pr 실전론 1장Pr 실전론 1장
Pr 실전론 1장
 
현대사회와 미디어(2011년 개정판) 1강 매스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현대사회와 미디어(2011년 개정판) 1강 매스미디어의 정의와 특성현대사회와 미디어(2011년 개정판) 1강 매스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현대사회와 미디어(2011년 개정판) 1강 매스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프레젠테이션 프로페셔널 제1장
프레젠테이션 프로페셔널 제1장프레젠테이션 프로페셔널 제1장
프레젠테이션 프로페셔널 제1장
 
카피라이터의 조건 1강
카피라이터의 조건 1강카피라이터의 조건 1강
카피라이터의 조건 1강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
 
정보윤리의 이해와 실천 1장
정보윤리의 이해와 실천 1장정보윤리의 이해와 실천 1장
정보윤리의 이해와 실천 1장
 
지역미디어 1장
지역미디어 1장지역미디어 1장
지역미디어 1장
 
시네클래스 01 나, 제왕의 생애
시네클래스 01 나, 제왕의 생애시네클래스 01 나, 제왕의 생애
시네클래스 01 나, 제왕의 생애
 

한국영화사 01.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

  • 1.
  • 2.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 장르 영화의 네 가지 변 주 식민지에 도착한 활동사진, 서구로부터 이식된 장르 한국영화사에는 자기 스스로 발명한 장르 없음 서로 상이한 나라의 영화문화 변형, 발전, 진화 <식민지 시대 한국 영화의 한계> ① 영화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문화적 배경에 이르지 못함 ② 영화가 한반도의 식민지화와 함께 시작 장르의 수용과 파괴가 동시에 이루어짐 장르 영화가 상업영화와 이음동의어 장르 영화에 대한 무조건적 비판
  • 3. 멜로드라마:유교의 재생산, 남성의 재남성화, 여성의 가족화 멜로드라마 대중적 성공 이유 ① 대중영화의 최초의 관객들은 여성 - 사회적 취향의 젠더화 ② 신파 소설의 영화화 청춘 로맨스 홈 드라마 여성(전기) 영화 ③ 서사와 배우에 집중 일본 멜로드라마 베끼고 변형시키면서 한국적 정서 찾게 됨 여성의 희생과 남성의 복권 과정 반복
  • 4. 멜로드라마:유교의 재생산, 남성의 재남성화, 여성의 가족화 1960년대: 근대화가 요구하는 새로운 여성상 VS. 봉건적 가족주의 봉건적 남성성의 재구성 여성에게는 희생과 포기의 능동성과 자발성 요구 <자유부인>(1956) 한형모 <엽기적인 그녀>(2001)곽재용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두 영화는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 멜로드라마 안에서 신여성의 유토피아가 이루어진 적은 거의 없다.
  • 5. 공포영화의 사회적 억압과 한의 귀환:누가 돌아오는가? 공포, 액션, 코미디 영화는 멜로드라마의 변주 <한국 공포영화 특징> 억울하게 죽은 영혼이 귀신의 이름을 빌려 등장 귀신은 대부분 여자들 한을 풀어줄 수 있는 사람은 남성 <월하의 공동묘지>(1967)권철휘 <여고괴담>(1998) 박기형 억압과 귀환이라는 형태를 전통 공포영화의 형태를 그대로 떠안고 <여고괴담>이 제작되었다.
  • 6. 액션 영화 : 잃어버린 부권의 향수, 전후 한국사회의 힘에 대한 숭배와 복종 멜로드라마의 남성영화버전 패배 영웅주의가 불러일으키는 감상주의 <특징> ① „형님‟ 문화의 재생산 – 강한 아버지에 대한 간절한 요구 ② 사법적 판단에 앞서는 힘에 대한 숭배 – 사회 정의에 대한 불 신 ③ 남성성의 힘에 의한 우위의 표현 1966년 이후 홍콩 영화의 수입으로 액션 영화 변질 무술 액션 장면의 기교에 집중 <장군의 아들>(1990) 임권택 액션 영화의 부활 – „깡패‟ 영화의 귀환
  • 7. 코미디:유머 없는 웃음, 혹은 장르의 잡종 한국형 코미디 영화 자기 정체성을 갖지 못하고 있는 일종의 혼성 장르 슬랩스틱 코미디 전통 없음 일본 소시민 희극영화의 영향 아래 발전 1960년대 영화에는 풍자정신이 없었음 – 검열의 영향 1990년대 코미디는 로맨스 멜로드라마의 각색 웃음을 통해 세상을 풍자하는 저항의 칼날을 기대하기 어려움 한국영화에 반영된 대중성이 온전하게 한국 근대사의 반영이라 고 말하기 어려움
  • 8.
  • 9.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 장르 도래 네 가지 변 시네마토그라프의 영화의 주 뤼미에르 형제에 의해 고안된 시네마토그라프 <공장을 나서 는 노동자들> 시네마토그라 프로 촬영했다. 오른쪽은 뤼미 에르 형제
  • 10. 1903년 6월 하순 『황성신문』에 활동사진 관람 광고 게재 한국에는 1897, 1898년 전후 활동사진 들어왔을 것으로 예측 <피라미드에서 카이로까지>(1905) 이 시기에 극장을 지배한 것은 프랑 스의 파테(Pathé)사와 고(Gaumont) 사의 단편 실사(기록)영화였다. <피 라미드에서 카이로까지>는 파테사가 제작했다.
  • 11.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선보인 연쇄극 가지 변 기록영화와 함께 장르 영화의 네 주 활동사진이 일반에 정착되는 과정 영화 종주국: 발명-제작-흥행 영화 수입국: 수입-제작-흥행 우리나라 1920년대 초까지 외국영화가 흥행 주도 실사 영화에서 허구 영화로 관객 취향의 변화 <명금>(1915) 프랜시스 포드 우미관에서 상영했다. 관객의 취향이 변하면서 <명금>과 같은 허구 영화의 인기가 많아졌다.
  • 12. 1910년 말 우리 나라 활동사진 연쇄극(Kino-drama) 시대 열림 <의리적 구토(義理的 仇討)>(1919) 일본의 방식과 내용을 모방 장르 결합 서로의 양식적 특성을 손상 -> 지속적 호응 얻지 못함 <경성전시의 경>(1919) 한국 최초의 단편 기록 영화. „반쪽 영화‟(연쇄극)의 약점을 보완하고도 남는 한국영화의 의미를 가진다.
  • 13.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태생적 한계점 가지 변 일본인에 의존한 장르 영화의 네 주 1923년 100% 필름으로 완성된 극영화가 등장 <국경> ,<월하의 맹서>, <춘향전> 인기 <장화홍련전>(1924) 박정현: 단성사 경영주 박승필이 극장 내에 촬영부 신설, 제작 자주적 역량 모아 만든 최초의 순수 한국영화 조선키네마주식회사의 설립과 해체: <해의 비곡>(1924), <운영전>(1925), <암광>(1925), <촌의 영 웅>(1925) 나운규 <심청전>(1925)에서 심봉사 역할로 주목 받았으며 <아리랑>(1926)을 통 해 불멸의 명성을 얻었다.
  • 14. 한계점 : 제작자의 거주지 귀착설 일본인이 영화를 제작했더라도 우리 영화로 받아들여야 함 -생활 근거지가 한국 -소재와 관람 대상 우리 문화와 정서 눈높이에 맞춰 기획 영화에 대한 지나친 국수주의적 관점 경계 <탈출기>(1985) 제작중인 신상옥 감독 과 최은희. 신상옥 감독이 북한에 있던 시절 만든 작 품인 탈출기도 우리나라 영화로 볼 수 있 어야 한다. (김종원)
  • 15. 눈물, 비명, 폭력, 활동사진의 상영 웃음, 한국 장르 영화의 네 가지 변 주 『황성신문』 1901년 9월 14일자 논설 -“사진활동승어생인활동(寫眞活動勝於生人活動)” 심훈 -“조선에 활동사진이라는 것이 맨 처음 수입되기는 1897년” 이라 고 전제 해링튼 박사학위 논문 -1898년 10월 17일 서대문-홍릉 간 단선궤도 부설공사 착수되는 시점에 활동사진 들어왔음 언급 이구영 - “일본 사람을 통해 1897년 진고개의 혼마찌좌(本町座)에서 자 기네 거류민을 위해 영화를 상영한 일이 있다는 말을 들었다” ->활동사진 상영은 19세기 말로 보는 것이 타당
  • 16. 상설 영화관의 설립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 장르 영화의 네 가지 변 주 동대문 활동사진소 -> 영화 상영 극장 급속 증가 광무대(1907∼1930): 구극 전용관으로 바뀜 장안사: 가설극장 -> 재래 가무 주력 단성사: 1913년부터 상설 영화관 형태 구축 경성고등연예관: 활동사진 전용극장 황금관: <문명의 복수(文明の復讐)>라는 일본의 연쇄극 소개 우미관: 북촌 지역에 제일 먼저 발성영화 공개 3대 한국 영화 중심관 : 단성사, 우미관, 조선극장 우미관. 3대 한국 영화 중심관이었다.
  • 17. 의리적 구토 촬영 장면 (삽화) 연쇄극은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 는 과도기적 제작 과정. 연극의 보조수단 이었다. <월하의 맹서> 주인공 이월 화, 윤백남. <월하의 맹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최초의 극 영화다.
  • 18. 최초의 여배우 이월화와 기생 배우의 활동 무성영화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기생의 출연 의의 여성의 대외 활동이 금기 남성들이 여성 역할 대신 함 기생 배우들이 출연하면서 여성 역할 일부분이나마 맡아 함 일반 여성들 배우 진출 자극
  • 19. <장화홍련전>과 제작자 박승필 1921년 활동사진 -> 영화 명칭 변경 변사는 대중의 우상 <박승필> 우리의 대 표적인 고전 „춘향전‟ 이 일본 사람의 제작 으로 선점 당했다는 사실에 자극 받아 또 다른 고전인 장화홍련 전을 들고 나왔다. <장화홍련전>(1937) 홍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