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왕십리-김소월 1314염규하
본명 정식(廷湜). 1902년 8월 6일 평안북도 구성(龜城)에서 출생하였다. 오산학교(五山學校) 중학부를 거쳐 배재고부(培材高普)를 졸업하고 도쿄상대[東京商大]에 입학하였으나 관동대진제(關東大震災)로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당시 오산학교 교사였던 안서(岸曙) 김억(金億)의 지도와 영향 아래 시를 쓰기 시작하였으며, 1920년에 《낭인(浪人)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오과(午過)의 읍(泣)》 《그리워》 등을 《창조(創造)》지에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하였다. 김소월
왕십리! 왕십리은비의 이미지와 떠돌 수밖에 없는 유랑의 이미지가 결합되어, 1920년대 초 당대의 식민지 백성으로서의 비애를 그리는 데 성공하고 있다. 특히 그러한 떠돌이의 비애가 다른 시에 비해 훨씬 더 내면화되어 있어”진달래꽃”, “산유화”, “초혼” 등과 더불어 이 시가 김소월의 대표작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주제: 임과 헤어지기 싫은 마음
왕십리 _김소월 1 비가 온다 임이 떠남을 막는 고마운 비 1비가 온다 오누나 오는 비는 2올지라도한 닷새 왔으면 좋지 여드래스무날엔 3온다고 하고 4초하루 삭망이면 간다고 했지. 5가도가도 왕십리 비가 오네 2 올지라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 비가 오면 임이 떠날 수 없으므로 3온다고하고 ‘언젠가 한 약속 ~헤어지기 싫음 4초하루삭망 한 달 5가도가도 왕십리 비가 오네 그러니 임이 갈 수 없다 ~같이 있고 싶은 심정
왕십리 _김소월 1벌새가 운다 자아와 대조 웬걸, 저 새야 울랴거던 왕십리 건너가서 울어나다고 비맞아 나른해서 1벌새가 운다 천안에 삼거리 실버들도 2촉촉히 젖어서 늘어졌다네. 비가와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 구름도 산마루에 걸려서 운다. 2촉촉히 젖어서 비를 맞아서 ~반가운 비 ~헤어지기 싫음
요약 ,[object Object]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1314염규하 김춘수'봄'
1314염규하 김춘수'봄'1314염규하 김춘수'봄'
1314염규하 김춘수'봄'규하 염
 
1314 염규하-동배닙에 빗나는
1314 염규하-동배닙에 빗나는1314 염규하-동배닙에 빗나는
1314 염규하-동배닙에 빗나는규하 염
 
문학 프로젝트
문학 프로젝트문학 프로젝트
문학 프로젝트
Jenni Doyeon Ahn
 
국어수행평가 발표
국어수행평가 발표국어수행평가 발표
국어수행평가 발표
Hyo-Jun Ahn
 
10120안대식 '만무방'
10120안대식  '만무방'10120안대식  '만무방'
10120안대식 '만무방'dkseotlr1
 
10120 안대식 윤동주 ‘서시’
10120 안대식 윤동주 ‘서시’10120 안대식 윤동주 ‘서시’
10120 안대식 윤동주 ‘서시’dkseotlr1
 
천자만홍
천자만홍천자만홍
천자만홍
Kimyelin1
 
민들레꽃 ppt
민들레꽃 ppt민들레꽃 ppt
민들레꽃 pptlsmgame
 
Rene magritte
Rene magritteRene magritte
Rene magritteekthf627
 
1314 염규하-치숙
1314 염규하-치숙1314 염규하-치숙
1314 염규하-치숙규하 염
 
문학 달력 김현지
문학 달력  김현지문학 달력  김현지
문학 달력 김현지Kim Hyunji
 
제비꽃에 대하여 ppt
제비꽃에 대하여 ppt제비꽃에 대하여 ppt
제비꽃에 대하여 pptlsmgame
 
Hra3 천창익(고전명작)도리언 그레이의_초상
Hra3 천창익(고전명작)도리언 그레이의_초상Hra3 천창익(고전명작)도리언 그레이의_초상
Hra3 천창익(고전명작)도리언 그레이의_초상Chang ik Cheon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Jeong Boyeon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Yeachan Han
 

What's hot (16)

문화달력
문화달력문화달력
문화달력
 
1314염규하 김춘수'봄'
1314염규하 김춘수'봄'1314염규하 김춘수'봄'
1314염규하 김춘수'봄'
 
1314 염규하-동배닙에 빗나는
1314 염규하-동배닙에 빗나는1314 염규하-동배닙에 빗나는
1314 염규하-동배닙에 빗나는
 
문학 프로젝트
문학 프로젝트문학 프로젝트
문학 프로젝트
 
국어수행평가 발표
국어수행평가 발표국어수행평가 발표
국어수행평가 발표
 
10120안대식 '만무방'
10120안대식  '만무방'10120안대식  '만무방'
10120안대식 '만무방'
 
10120 안대식 윤동주 ‘서시’
10120 안대식 윤동주 ‘서시’10120 안대식 윤동주 ‘서시’
10120 안대식 윤동주 ‘서시’
 
천자만홍
천자만홍천자만홍
천자만홍
 
민들레꽃 ppt
민들레꽃 ppt민들레꽃 ppt
민들레꽃 ppt
 
Rene magritte
Rene magritteRene magritte
Rene magritte
 
1314 염규하-치숙
1314 염규하-치숙1314 염규하-치숙
1314 염규하-치숙
 
문학 달력 김현지
문학 달력  김현지문학 달력  김현지
문학 달력 김현지
 
제비꽃에 대하여 ppt
제비꽃에 대하여 ppt제비꽃에 대하여 ppt
제비꽃에 대하여 ppt
 
Hra3 천창익(고전명작)도리언 그레이의_초상
Hra3 천창익(고전명작)도리언 그레이의_초상Hra3 천창익(고전명작)도리언 그레이의_초상
Hra3 천창익(고전명작)도리언 그레이의_초상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Korean Literature Calendar
 

More from 규하 염

한글입력 표준화
한글입력 표준화한글입력 표준화
한글입력 표준화규하 염
 
1314 염규하-축제
1314 염규하-축제1314 염규하-축제
1314 염규하-축제규하 염
 
1314 염규하-심청전
1314 염규하-심청전1314 염규하-심청전
1314 염규하-심청전규하 염
 
1314 염규하-서경별곡
1314 염규하-서경별곡1314 염규하-서경별곡
1314 염규하-서경별곡규하 염
 
1314 염규하-문학의 숲을거닐다
1314 염규하-문학의 숲을거닐다1314 염규하-문학의 숲을거닐다
1314 염규하-문학의 숲을거닐다규하 염
 
1314 염규하-만흥
1314 염규하-만흥1314 염규하-만흥
1314 염규하-만흥규하 염
 
중국어수행
중국어수행중국어수행
중국어수행규하 염
 

More from 규하 염 (16)

Canada
CanadaCanada
Canada
 
한글입력 표준화
한글입력 표준화한글입력 표준화
한글입력 표준화
 
1314 염규하-축제
1314 염규하-축제1314 염규하-축제
1314 염규하-축제
 
3 d
3 d 3 d
3 d
 
1314 염규하-심청전
1314 염규하-심청전1314 염규하-심청전
1314 염규하-심청전
 
1314 염규하-서경별곡
1314 염규하-서경별곡1314 염규하-서경별곡
1314 염규하-서경별곡
 
1314 염규하-문학의 숲을거닐다
1314 염규하-문학의 숲을거닐다1314 염규하-문학의 숲을거닐다
1314 염규하-문학의 숲을거닐다
 
1314 염규하-만흥
1314 염규하-만흥1314 염규하-만흥
1314 염규하-만흥
 
중국어수행
중국어수행중국어수행
중국어수행
 
Ppt
PptPpt
Ppt
 
Ebook_
  Ebook_  Ebook_
Ebook_
 
음성 인식
음성 인식음성 인식
음성 인식
 
I ad
I adI ad
I ad
 
인공지능
인공지능인공지능
인공지능
 
I ad
I adI ad
I ad
 
4 g lte__
4 g lte__4 g lte__
4 g lte__
 

1314 염규하-왕십리

  • 2. 본명 정식(廷湜). 1902년 8월 6일 평안북도 구성(龜城)에서 출생하였다. 오산학교(五山學校) 중학부를 거쳐 배재고부(培材高普)를 졸업하고 도쿄상대[東京商大]에 입학하였으나 관동대진제(關東大震災)로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당시 오산학교 교사였던 안서(岸曙) 김억(金億)의 지도와 영향 아래 시를 쓰기 시작하였으며, 1920년에 《낭인(浪人)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오과(午過)의 읍(泣)》 《그리워》 등을 《창조(創造)》지에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하였다. 김소월
  • 3. 왕십리! 왕십리은비의 이미지와 떠돌 수밖에 없는 유랑의 이미지가 결합되어, 1920년대 초 당대의 식민지 백성으로서의 비애를 그리는 데 성공하고 있다. 특히 그러한 떠돌이의 비애가 다른 시에 비해 훨씬 더 내면화되어 있어”진달래꽃”, “산유화”, “초혼” 등과 더불어 이 시가 김소월의 대표작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주제: 임과 헤어지기 싫은 마음
  • 4. 왕십리 _김소월 1 비가 온다 임이 떠남을 막는 고마운 비 1비가 온다 오누나 오는 비는 2올지라도한 닷새 왔으면 좋지 여드래스무날엔 3온다고 하고 4초하루 삭망이면 간다고 했지. 5가도가도 왕십리 비가 오네 2 올지라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 비가 오면 임이 떠날 수 없으므로 3온다고하고 ‘언젠가 한 약속 ~헤어지기 싫음 4초하루삭망 한 달 5가도가도 왕십리 비가 오네 그러니 임이 갈 수 없다 ~같이 있고 싶은 심정
  • 5. 왕십리 _김소월 1벌새가 운다 자아와 대조 웬걸, 저 새야 울랴거던 왕십리 건너가서 울어나다고 비맞아 나른해서 1벌새가 운다 천안에 삼거리 실버들도 2촉촉히 젖어서 늘어졌다네. 비가와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 구름도 산마루에 걸려서 운다. 2촉촉히 젖어서 비를 맞아서 ~반가운 비 ~헤어지기 싫음
  • 6.
  • 7. 화자의 심정: 초조함 헤어지기 싫음.
  • 8. 어조 : 여성적
  • 9. 입장 : 비가오기를 바람, 헤어지기 싫음
  • 11. 표현의 특성 :고려 속요의 전통을 이어받은 작품이다 기승전결의 4단구성이고 가락이 변조에 의하여 새로운 가락으로 변하면서 점층적으로 고조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