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Contents

1. 서론
1-1. 컨설팅의 목적
1-2. 컨설팅의 진행과정

2. 수행분석
2-1. GAP 분석
2-2. 수업분석

3. 원인분석
3-1. 결합오류 및 근본원인

4. 개입안
4-1. 동기유발 전략
4-2. 주의집중 전략

5. 결론
5-1. 컨설팅의 의의
5-2. 컨설팅의 한계점
1. 서론
1-1. 컨설팅의 목적
1-2. 컨설팅의 진행과정
수업

지식전달

학습방향
학습방식

창의성이 주목 받는 시기
<창조와 상상의 기
술>

-

강의평이 가장 긍정적인 수
업
강의평이 가장 많은 수업

더욱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함

발전방향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한다.
4/56
5/56
2. 수행분석
2-1. GAP 분석
2-2. 수업 분석
<수업목표 IS>

<수업목표 SHOULD>
-

-

학습자들이 창조와 상상의
프로세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한다.

GAP

-

프로세스를 함양한다.
-

시간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학습자들이 창조와 상상의

인과 관계

시간관리가 유연히 이루어진다.

인과 관계

인과 관계

<수행 SHOULD>

<수행 IS>

-

다수의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소수의 학습자만이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학습자가 활동의 결과를 공유하
는 시간에 집중한다.

-

학습자가 활동의 결과를 공유하는
시간에 시각적으로 집중하지 않는
다.

-

다수의 학습자가 전이된 학습내용
을
공유하지 못한다.

-

발표자들이 5분 스피치 시간을
준수하지 않는다.
7/56

-

다수의 학습자가 전이된
학습내용을 공유한다.

GAP

발표자들이 5분 스피치 시간을
준수한다.
<수업목표 GAP>

수업목표
SHOULD

-

학습자들이 창조와 상상의 프로세스
를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다.

-

시간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인
과
관
계

원인
<수행 GAP>
-

수행
SHOULD

학습자가 활동의 결과를 공유하는
시간에 집중하지 않고 있다.

-

다수의 학습자가 전이된 학습내용
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

인
과
관
계

소수의 학습자만이 수업시간에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수업목표
IS

학습자가 5분 스피치 시간을
준수하지 않고 있다.

수행
IS

8/56
잠정적으
로
규정한
발전
가능한 점

수업분석
도구를
통한
확인, 분석

근본적인
발전
가능한 점
객관적
규정

9/56
3. 원인분석
3-1. 결합오류 및 근본원인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
어를 말하고자
하는 동기 부여

학습자가 자신
의 아이디어를
말하도록 하기
위한 소극적인
동기 부여

근본원인: 동기

학습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것에 대한
동기 부족

30/56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
어를 말하고자
하는 동기 부여

학습자가 자신
의 아이디어를
말하도록 하기
위한 소극적인
동기 부여

근본원인: 동기

근거 1

학습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것에 대한
동기 부족

학습자 설문지에 따르면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것이 부담스럽다, 두렵다’ 라고 답한 학생이 많음

30/52
자신과 관련되
고 자신에게 친
밀한 학습내용
을
배우길 기대

학습자와의
관련성, 친밀함
이 떨어지는
학습내용이 제
공

근본원인: 동기

학습내용과 학습자와의 관련
성, 친밀성 동기 부여 부족
근거 1

Keller의 ARCS 모형에 따르면 자신과 관련이 많은 내용이거나 어딘
가에서 접해 보아 친밀함이 느껴지는 내용일수록 학습자는 흥미를
가지고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33/56
자신과 관련되
고 자신에게 친
밀한 학습내용
을
배우길 기대

학습자와의
관련성, 친밀함
이 떨어지는
학습내용이 제
공

근본원인: 동기

학습내용과 학습자와의 관련
성, 친밀성 동기 부여 부족
근거 2

학습자 설문지에 따르면 ‘내가 한 것들이 아니라서’ 라는 응답을 통
해 자신과의 관련성 유무에 따라 피드백 시간의 집중의 정도가 달라
진다는 점 알 수 있음
33/52
4. 개입안
4-1. 동기유발 전략
4-2. 주의집중 전략
학습자들의 발표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다수의 학습자들이 발표
시간에 아이디어 제시를 하지 않는 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

효과
- 발표에 대한 부담감을 덜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발표 상황 전개

38/56
학습자들의 발표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다수의 학습자들이 발표
시간에 아이디어 제시를 하지 않는 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

효과
- 발표에 대한 부담감을 덜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발표 상황 전개

SOCRATIVE

39/56
Why 소크라티브?
- 간단한 방법으로도 학습자에게 적극적인 동기 부여가 가능
- 익명이라는 장점을 살려 발표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

진행방식
2. 학습자들이

3. 다수의

1. 소크라티브

교수자의

학습자의 발표

app을

질문에

내용을 한 눈

활용한다.

익명으로

에 확인할 수

응답한다.

있다.

4. 더욱 활발
한 발표 상황
이
이루어진다.

40/56
한계점

- 본 어플리케이션을 너무 자주 활용하게 되면 자칫 수업의 흐름을 방
해할 수 있음
- 교수학습 개발원에서 추후 교수자에게 아이패드 공급의 계획이 없음

유의점

- 수업 한 차시당 두번 정도, 한 번 발표시간에 한 두문제로 미리 예정
하기
- 특정 발언을 통해 소크라티브 사용시간과 수업시간을 확실하게 구
분
- 아이패드
평가준거 대신에 교수자의 핸드폰을 연결
- 학습자의 90% 이상이 응답을 전송하였다

41/56
5. 결론
5-1. 컨설팅의 의의
5-2. 컨설팅의 한계점
1. 창조와 상상력을 주제로 한 강의에 대한 컨설팅
- 이화여자대학교의 300여 개 교양 강의 중 상상력을 주제로 하는 강의는
4개
<

- 소수의 창의력 주제의 강의 중 하나를 선정하여 컨설팅을 진행
- 창의성 수업의 발전 가능성을 분석

2. 학습자 중심의 개입안
- 학습자의 내적, 외적인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자연스러운
행동변화를 유도함
- 학습자들의 관련성과 친밀성을 높임으로써 주도적 참여를 유도함

55/56
1. 수업의 일부만을 관찰함
- 15주에 걸쳐 진행되는 강의를 단 3번의 청강만으로 분석함
- 부분적인 발전 가능성에만 집중하여 컨설팅 진행

2. 교수자와의 면대면 인터뷰 시행하지 못함
- 교수자의 일정 상 면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지 못함
- 수업상황 및 교수자의 의도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어려움
- 대화를 통해서만 알 수 있었을 여러 요소들을 놓침

3. 개입안의 제안 범위가 협소함
- 수업분석을 위한 범위가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넓지 않음
- 그 결과 깊이 있는 분석이 불가하였으며 그에 따라 개입안의 범위 또한 넓지
못함

56/56
Q&A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jy8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영민 조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yujeee93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HoJin Seo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534297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201325019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Jihoon Yang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지수 남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Minsoo Jung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1ERICK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tjfsnfl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Jeeyun Park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Surehee Han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선화 전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Jung Hyojung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Jung Hyojung
 
제3장 문항제작
제3장 문항제작제3장 문항제작
제3장 문항제작
kimjaehyunman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201325002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슬 이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Heekyung12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Ju Chan Kim
 

Similar to jy8 (20)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제3장 문항제작
제3장 문항제작제3장 문항제작
제3장 문항제작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More from Joo Yeon Kim

jy14
jy14jy14
jy13
jy13jy13
jy6
jy6jy6
jy6
jy6jy6
jy4
jy4jy4

More from Joo Yeon Kim (20)

jy25
jy25jy25
jy25
 
jy24
jy24jy24
jy24
 
jy24
jy24jy24
jy24
 
jy23
jy23jy23
jy23
 
jy22
jy22jy22
jy22
 
jy21
jy21jy21
jy21
 
jy20
jy20jy20
jy20
 
jy19
jy19jy19
jy19
 
jy17
jy17jy17
jy17
 
jy15
jy15jy15
jy15
 
jy14
jy14jy14
jy14
 
jy13
jy13jy13
jy13
 
jy12
jy12jy12
jy12
 
jy7
jy7jy7
jy7
 
jy6
jy6jy6
jy6
 
jy6
jy6jy6
jy6
 
jy4
jy4jy4
jy4
 
jy3
jy3jy3
jy3
 
jy2
jy2jy2
jy2
 
jy1
jy1jy1
jy1
 

jy8

  • 1.
  • 2. Contents 1. 서론 1-1. 컨설팅의 목적 1-2. 컨설팅의 진행과정 2. 수행분석 2-1. GAP 분석 2-2. 수업분석 3. 원인분석 3-1. 결합오류 및 근본원인 4. 개입안 4-1. 동기유발 전략 4-2. 주의집중 전략 5. 결론 5-1. 컨설팅의 의의 5-2. 컨설팅의 한계점
  • 3. 1. 서론 1-1. 컨설팅의 목적 1-2. 컨설팅의 진행과정
  • 4. 수업 지식전달 학습방향 학습방식 창의성이 주목 받는 시기 <창조와 상상의 기 술> - 강의평이 가장 긍정적인 수 업 강의평이 가장 많은 수업 더욱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함 발전방향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한다. 4/56
  • 6. 2. 수행분석 2-1. GAP 분석 2-2. 수업 분석
  • 7. <수업목표 IS> <수업목표 SHOULD> - - 학습자들이 창조와 상상의 프로세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한다. GAP - 프로세스를 함양한다. - 시간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학습자들이 창조와 상상의 인과 관계 시간관리가 유연히 이루어진다. 인과 관계 인과 관계 <수행 SHOULD> <수행 IS> - 다수의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소수의 학습자만이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학습자가 활동의 결과를 공유하 는 시간에 집중한다. - 학습자가 활동의 결과를 공유하는 시간에 시각적으로 집중하지 않는 다. - 다수의 학습자가 전이된 학습내용 을 공유하지 못한다. - 발표자들이 5분 스피치 시간을 준수하지 않는다. 7/56 - 다수의 학습자가 전이된 학습내용을 공유한다. GAP 발표자들이 5분 스피치 시간을 준수한다.
  • 8. <수업목표 GAP> 수업목표 SHOULD - 학습자들이 창조와 상상의 프로세스 를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다. - 시간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인 과 관 계 원인 <수행 GAP> - 수행 SHOULD 학습자가 활동의 결과를 공유하는 시간에 집중하지 않고 있다. - 다수의 학습자가 전이된 학습내용 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 인 과 관 계 소수의 학습자만이 수업시간에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수업목표 IS 학습자가 5분 스피치 시간을 준수하지 않고 있다. 수행 IS 8/56
  • 11.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 어를 말하고자 하는 동기 부여 학습자가 자신 의 아이디어를 말하도록 하기 위한 소극적인 동기 부여 근본원인: 동기 학습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것에 대한 동기 부족 30/56
  • 12.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 어를 말하고자 하는 동기 부여 학습자가 자신 의 아이디어를 말하도록 하기 위한 소극적인 동기 부여 근본원인: 동기 근거 1 학습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것에 대한 동기 부족 학습자 설문지에 따르면 수업시간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것이 부담스럽다, 두렵다’ 라고 답한 학생이 많음 30/52
  • 13. 자신과 관련되 고 자신에게 친 밀한 학습내용 을 배우길 기대 학습자와의 관련성, 친밀함 이 떨어지는 학습내용이 제 공 근본원인: 동기 학습내용과 학습자와의 관련 성, 친밀성 동기 부여 부족 근거 1 Keller의 ARCS 모형에 따르면 자신과 관련이 많은 내용이거나 어딘 가에서 접해 보아 친밀함이 느껴지는 내용일수록 학습자는 흥미를 가지고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33/56
  • 14. 자신과 관련되 고 자신에게 친 밀한 학습내용 을 배우길 기대 학습자와의 관련성, 친밀함 이 떨어지는 학습내용이 제 공 근본원인: 동기 학습내용과 학습자와의 관련 성, 친밀성 동기 부여 부족 근거 2 학습자 설문지에 따르면 ‘내가 한 것들이 아니라서’ 라는 응답을 통 해 자신과의 관련성 유무에 따라 피드백 시간의 집중의 정도가 달라 진다는 점 알 수 있음 33/52
  • 15. 4. 개입안 4-1. 동기유발 전략 4-2. 주의집중 전략
  • 16. 학습자들의 발표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다수의 학습자들이 발표 시간에 아이디어 제시를 하지 않는 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 효과 - 발표에 대한 부담감을 덜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발표 상황 전개 38/56
  • 17. 학습자들의 발표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다수의 학습자들이 발표 시간에 아이디어 제시를 하지 않는 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 효과 - 발표에 대한 부담감을 덜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발표 상황 전개 SOCRATIVE 39/56
  • 18. Why 소크라티브? - 간단한 방법으로도 학습자에게 적극적인 동기 부여가 가능 - 익명이라는 장점을 살려 발표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 진행방식 2. 학습자들이 3. 다수의 1. 소크라티브 교수자의 학습자의 발표 app을 질문에 내용을 한 눈 활용한다. 익명으로 에 확인할 수 응답한다. 있다. 4. 더욱 활발 한 발표 상황 이 이루어진다. 40/56
  • 19. 한계점 - 본 어플리케이션을 너무 자주 활용하게 되면 자칫 수업의 흐름을 방 해할 수 있음 - 교수학습 개발원에서 추후 교수자에게 아이패드 공급의 계획이 없음 유의점 - 수업 한 차시당 두번 정도, 한 번 발표시간에 한 두문제로 미리 예정 하기 - 특정 발언을 통해 소크라티브 사용시간과 수업시간을 확실하게 구 분 - 아이패드 평가준거 대신에 교수자의 핸드폰을 연결 - 학습자의 90% 이상이 응답을 전송하였다 41/56
  • 20. 5. 결론 5-1. 컨설팅의 의의 5-2. 컨설팅의 한계점
  • 21. 1. 창조와 상상력을 주제로 한 강의에 대한 컨설팅 - 이화여자대학교의 300여 개 교양 강의 중 상상력을 주제로 하는 강의는 4개 < - 소수의 창의력 주제의 강의 중 하나를 선정하여 컨설팅을 진행 - 창의성 수업의 발전 가능성을 분석 2. 학습자 중심의 개입안 - 학습자의 내적, 외적인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자연스러운 행동변화를 유도함 - 학습자들의 관련성과 친밀성을 높임으로써 주도적 참여를 유도함 55/56
  • 22. 1. 수업의 일부만을 관찰함 - 15주에 걸쳐 진행되는 강의를 단 3번의 청강만으로 분석함 - 부분적인 발전 가능성에만 집중하여 컨설팅 진행 2. 교수자와의 면대면 인터뷰 시행하지 못함 - 교수자의 일정 상 면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지 못함 - 수업상황 및 교수자의 의도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어려움 - 대화를 통해서만 알 수 있었을 여러 요소들을 놓침 3. 개입안의 제안 범위가 협소함 - 수업분석을 위한 범위가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넓지 않음 - 그 결과 깊이 있는 분석이 불가하였으며 그에 따라 개입안의 범위 또한 넓지 못함 56/56
  • 23.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