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비판적 읽기, 쓰기 그리고 텍스
트
1242020 김주연
1242027 문희연
1242029 박세진
목차
Ⅰ.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1.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2. 비판적 역사교육의 필요성

Ⅱ. 비판적 읽기, 쓰기
1. 비판적 역사 읽기 이론과 방법
2. 비판적 역사 쓰기 이론과 방법

Ⅲ. 텍스트론
1. 설명적 텍스트 장점, 단점
2. 내러티브 텍스트 장점, 단점
3. 사료 텍스트 장점, 단점

Ⅳ. 결론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역사학의 흐름
• 도덕, 교훈으로서의 역사

EX. 서양 - 고대의 순환론적 관점
동양 – 역사는 정치의 거울

• 역사의 과학화

EX. 랑케 – 사료중심(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
실증주의적 역사

• 마르크스 역사학, 아날학파, 신문화사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포스트 모더니즘 역사학

사
실

텍스
트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포스트 모더니즘 역사학
• 거대담론의 해체
• 텍스트의 주관성
- 텍스트에는 화자의 의도, 가치관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

• 사건의 다층적 해석
- 역사는 현재의 관점에 의해 해석,재구성된 과거의 나열
- 독자 역시 나름대로의 기준으로 텍스트를 읽음
>> 역사지식의 해방을 추구
비판적 역사 읽기, 쓰기의 필요성
1
역사교육의 목표
‘역사’ 과목은 우리나라와 세계의 역사를 상호 관련
시켜 종합적,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한다. 학생 스스로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활용하
여 능동적으로 학습하게 함으로써 과거에 대한 다양
한 해석과 시각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한다.
비판적 역사 읽기, 쓰기의 필요성
2
기존 역사교육과 교과서
• 교과서는 해석에 의한 것이 아니라 논쟁의 여지가
없는 객관적 사실처럼 묘사
• 교사가 교과서의 사실을 전달, 학생들은 정해진
사실을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동적 존재
• 와인버그의 연구 사례
Ex. 역사학자 – 제시된 지문의 숨겨진 의미(subtext)
중요시
학생들 – 제시된 지문 중요시
비판적 역사 읽기, 쓰기의 필요성
3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 학생들은 ‘진리’로 인도되는 존재가 아님
• 교과서 역시 특정한 사람의 시도, 하나의 해석자
료임

• 학생들이 자신의 관점에서 역사를 이해하고 해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역사를 재구성해나가
야함
>> 교과서를 하나의 텍스트로 보는 관점의 전환 필
비판
• 사물의 옳고 그름에 대하여 검토하여 평가, 판
정하는 일
• 인간의 지식과 사상, 행위 등에 대하여 그 의
미 내용이 성립되는 기초를 파악함으로써 그
기원, 타당성, 한계 등을 명백히 하는 것
• 어떤 대상을 무작정 비난만 하는 부정적인 의
미라기 보다는 오히려 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평가, 판정을 내리는 행위
비판적 읽기
• 비판적 읽기는 구성주의 관점에서 시작
• 글의 의미가 글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글의
내용을 단서로 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구성
하는 것
• 학습자는 능동적인 존재
비판적 읽기의 특징
• 어떤 내용에 대한 앎과 지식을 바탕으로 함

• 독자가 텍스트에 제시된 단서를 바탕으로 자신
의 스키마를 재조정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
내는 의미 구성 과정으로의 읽기
• 비판적 읽기가 의미 구성 과정이라고 할 때 읽
기활동은 쓰기활동과 연계하여 이루어져야 함
• 비판적 읽기는 기존의 정형화된 틀을 해체하고
텍스트를 다의적, 다층적으로 읽는 방식
비판적 역사 읽기
• 단순히 교재의 내용에 들어 있는 정보를 얻
는 것이 아니라 교재와 상호작용을 통해 다
루고 있는 역사적 사실의 의미를 재구성하
는 창조적인 과정

• 교재의 내용에 새롭게 의미를 부여
• 학생들의 주체적인 역사 해석을 전제로 함
비판적으로 역사 읽는 방법
① 텍스트를 왜 읽는지 인식한다
② 텍스트의 아이디어들에 대해 질문을 제기
하며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과 연관시킨
다
③ 낯선 어휘의 의미들을 찾아 이해한다
④ 스토리의 요소들을 분석한다
⑤ 자신이 텍스트를 이해하고 있는 지 지속적
으
제튼과 알렉산더의 영역학습 모
델
익숙

이해

숙달

• 숙달기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단편적인
학습지식을 가지고 있어 텍스트 주제에 흥미
를 느끼지 못하는 이들에게 적절한 개념풀이
와 설명을 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텍스트
를 제시하면 이들은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구별하지 못한다.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 수업모
형
<참고 읽기모형>
• 인지 과정 읽기모형
• 사회 인지 과정 읽기모형
• 김혜정의 비판적 읽기모형
• 디바인(Devine)의 읽기모형
• 프레슬리(M. Pressley)의 비판적 역사 읽기 이해방안
>> 비판적 읽기의 주요 요소는 독자, 텍스트, 상황맥락
>>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은 스키마 활성화, 텍스
트를 수용하는 비판적 태도의 함양, 적극적인 의미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제제시 및 교실상황 등을
반영해야 한다.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는 텍스트 비판에
한정되지 않고 텍스트 비판을 포함한 읽기
의 전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단계로 설정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 읽기 전 단계 : 독자의 스키마 활성화
즉, 역사교과서 내용 중 학생의 과거경험과
관련한 비교적 익숙한 개념 또는 비슷한 성
격이나 관계를 가진 사례를 제시하여 학생
의 스키마를 활성화 하는 것이 필요.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 읽기 중 단계 : 텍스트를 직접 분석, 비판
역사교과서의 특수한 텍스트성을 반영하여
역사교과서에 대한 분석, 비판이 이루어져
야 함. 즉, 역사교과서의 구성적 성격에 비
추어 볼 때 역사교육의 내용은 사실의 암기
에서 출발하여 역사를 인식하는 과정까지
포함해야 한다.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 읽기 후 단계: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역사에 대한 자신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

쓰기는 가장 강력한 의미 구성 활동. 역사적 진
술을 단지 비판적으로 읽는데 그치지 않고, 사
실에 기초해 스스로 역사적 의미를 창조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하는 것.
>> 역사 쓰기는 과거를 바라보는 것이 아닌 역
사를
‘하는’것, 역사는 ‘완성된 결과’가 아닌 ‘진행되
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수
업
‘이슬람제국의 문화’ 수업
• 수업 전 학생들의 인식 : 후진국, 일부다처
제의 남녀차별이 심한 나라, 테러와 폭력의
이미지, 알라를 믿는 사이비 종교, 규제가
많은 나라, 우리나라와 상관 없는 나라 등
• 교과서 속의 이슬람 문화: 다채롭고 우수한
문화로 부정적인 내용보다는 장점 부각.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 읽기모형 수업
<스키마 활성 단계>
- 드라마 대사를 인용하여 학생들 흥미 유발
- 동서문화 교류 부각하기 위해 고려청자 활
용
- 주요 내용 예상하기/확인하기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 읽기모형 수업
<텍스트 분석 및 평가 단계>
• 사실 이해 단계
이슬람문화 특징의 사실, 개념 파악 위해 ‘한 줄
개념 정리’, ‘중심생각 수레바퀴’ 활용

(한 줄 개념 정리 중 자신의 사전지식 활용, 교과서 개념을 서로
연관 지어 구성 한 학생들)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 읽기모형 수업
• 저자의 의도 이해 단계
①수사적 표현을 통해 저자의 의도 추론 하기
- 학생들은 강조, 비유, 평가가 담겨 있는 단어나
문장을 저자의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파악.

- ‘~처럼’, ‘특히’, ‘~뿐이다’, ‘침체’, ‘선구’, ‘전시장’,
‘다채로운’, ‘충격’ 등의 단어를 수사적 표현으로
봄. 특히, 저자가 단정적인 표현을 했을 경우나
근거가 생략된 부분에 대해 의문점, 반대의견을
나타냄.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수사적 표현을 통해 저자의 의도 추
론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저자의 의도 이해 단계
② 저자의 주장에 대한 타당성 검토하기
타당성 점검표 활용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 수업
• 평가하기
- 교과서 내용 점검 후 학생들이 많이 질문한
내용은 이슬람교와 관련된 내용
- 이슬람의 문화 교류와 관련한 질문도 많았
음
- 질문의 내용 중 교과서에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들도 많았음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 수업
<의미 구성 단계 > – 역사 쓰기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 수업모
형
수업모형의 특징
• 스키마 활성 단계에서 제시된 내용에 대해 더
욱 많은 반응을 보임
• 사실을 전달하는 문장보다 저자의 의견을 담
고 있는 수사적 표현이 담긴 문장에 더욱 많은
의견을 제시
• 역사적 사실에 대한 근거를 바탕으로 저자의
의견을 판단하는 적극적인 읽기 경향
• 다양한 의미 구성 모습은 역사쓰기 단계에서
두드러짐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영화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읽기
• 영화의 활용 유용성:
- 이해하기 힘든 역사 속 내용을 시각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
-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 일으킨다.

• 영화 활용의 주의점:
- 영화 속 역사적 사실과 허구, 오류가 나타남
을 확실히 해야 한다.
- 수용적 관객이 아닌 비판적 관객으로 거듭나
게 해야 한다.
- 실제 수업 시 집중력을 고려해야 한다.
진향기(2008), 비판적 역사 읽기를 위한 영화 활용 수업모형 연구
영화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읽기
<수업 적용 사례>
중2, ‘신항로 개척과 유럽 세계의 확대’
• 영화 ‘1492 콜럼버스’를 활용
• 영화는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
하고 경영하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이 시기
유럽의 대륙 팽창과정을 잘 보여줌
>> 교과서 속 막연한 신대륙 발견자들의 이
름 외우기 대신 당시 세계 정세, 분위기와
인과관계, 인물들의 심리를 복합적으로 이
해 가능
진향기(2008), 비판적 역사 읽기를 위한 영화 활용 수업모형 연구
영화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읽기
영화 관람 후 비판적 읽기의 과정

• 역사적 오류 찾기: 영화의 배경, 시대와 장
소, 등장인물, 등장인물의 성격 및 비중, 주요
사건, 결말 등 영화에 대한 분석 필요
>> 조별로 영화 관람 후 토론을 통한 질문지 작
성
• 영화 속 인물들 중 한 명을 선정하여 자신이
그 인물이 되어보기 과제
>> 자신의 관점에 따라 재구성되고 이해할 수
있음을 알게 됨 진향기(2008), 비판적 역사 읽기를 위한 영화 활용 수업모형 연구
영화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 <1492 콜럼버스>를 활용한 수업의 결과
-

학생들의 이해 속도 증진
역사적 오류를 바로잡는 데에 큰 성취감
교과서 외의 부분까지 알 수 있음
영화와 수업내용의 다른 부분을 찾으려는 적극적
인 태도
- 영화에서 내러티브에 따른 역사적 오류를 자연스
럽게 여기고 바로잡기 위한 연구 필요성의식
- 영화를 분석하는 것이 힘들다고 느낀 학생들도 있
음
진향기(2008), 비판적 역사 읽기를 위한 영화 활용 수업모형 연구
비판적 쓰기
• 어윈(J.W.Irwin)
- 쓰기 활동을 위해 독자는 필자의 단서
와 자신의 사전지식을 적극적으로 사용
할 수 밖에 없음
- 쓰기는 가장 강력한 의미 구성활동이자
- 읽기 능력을 계발시키는 가장 강력한
도구
비판적 역사 쓰기
• 텍스트로부터 역사 지식을 만들어가는 과정의 일환

• 비판적 역사 읽기를 통한 학생들의 주체적인 역사
해석을 바탕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
• 역사 사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더 명확히 하며 자
기 나름의 역사상을 만듦
• 비판적으로 읽는데 그치지 않고 사료에 기초해 스
스로 텍스트를 구축하는 것에 이르게 함
• 역사를 읽는 자신의 관점과 인식을 드러내는 역사
쓰기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이며 창의적인 역사 만들
기 작업
비판적 역사 쓰기 방법
<스탑스키의 분류>
• 설명적 글쓰기
역사 자료를 분석, 조직, 종합해 추출한 지식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술방식. 그러나 단순히 정보를
확인하고 옮기는 유사 글쓰기에 그치기 쉬움

• 자유로운 글쓰기
역사적 사건이나 상황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새로운 아
이디어를 개발하거나 표현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
롭게 글을 쓰는 기술방식

• 창의적 글쓰기
과거 다른 시대나 장소에 살았던 사람들의 처지에서 상
상력을 동원하여 시, 소설, 일기, 편지 등 다양한 방식으
로 역사를 구성, 표현하는 기술 방식
비판적 역사 쓰기 방법
• 객관적 글쓰기

역사적 상황이나 사실에 입각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중시한다. 그러
나 역사 서술에서 순수한 의미기 객관적
글쓰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신의
글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된다는 점을 강조
하는 설명문이다 논설문 등의 형식을 띤다.
비판적 역사 쓰기 방법
• 주관적 글쓰기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저자의 정
서나 감정 표현이 많고 저자의 관점과 의
식, 태도, 느낌 등을 그대로 드러내는 글쓰기.
따라서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는 데 그
치지 않고 이를 자신의 관점에 따라 해석하고
재구성하여 자유로운 형식으로 표현한다. 형
식에서 제약이 적고 자기 나름의 역사 이해를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더욱 친숙하게 시도할 수 있음
역사 글쓰기 수업 사례
역사 체험글 쓰기
• 역사적 사실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구조화하여 그것을 자신의 입장에서 새롭게
드러내 표현하는 글
• 역사 일기 쓰기, 자서전 쓰기, 편지쓰기

보고서 쓰기
• 역사에 대해 좀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것
• 답사보고서쓰기, 발굴보고서쓰기, 가상 역사
여행기 쓰기
역사 글쓰기 수업 사례
주장문쓰기
• 특정한 역사적 상황에 대한 자신의 견해나 주장을
글로 표현하는 것
• 시무책쓰기, 역사재판 판결문 쓰기, 모의 선거 유
세문 쓰기

역사신문 만들기
•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적 사건이나 현상을 친근하
게 접할 수 있게 하고 그 시대에 대한 생생한 현장
감을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흥미나
관심을 높일 수 있다.
글쓰기 수업의 장단점
<장점>
• 학생들이 주제를 스스로 학습함으로써 역사에
흥미를 가지는 계기가 된다
• 학생들이 직접 자료를 찾고 정리하는 과정에
서 역사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고 정보를 취사
선택하는 능력 역시 배양할 수 있다
• 수업 후 수업에 대한 보람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 역사 속의 사건과 인물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
인식해 봄으로써 역사에 대한 자기인식, 즉 역
사이해를 하게 된다
글쓰기 수업의 장단점
<단점>
• 교사가 평소보다 몇 배 더 교재에 대해 연구
해야 한다
• 수업하는 학생들의 수준을 잘 맞추어서 교
사가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자료를 준비
해야한다
• 반드시 사전학습이 필요하다
• 소외되는 학생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비판적 읽기와 쓰기

읽기

쓰기

상호 보완적 관계
이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작은 역사가’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역사학의 텍스트
• 사료를 비롯한 역사자료는 일어났던 그대로의 사
실 진술이 아니라 하나의 텍스트
• 텍스트는 저자의 관점이나 의도, 주장이 개입된
임의적인 역사 해석의 산물

• 텍스트는 무한한 의미 생산이 가능한 공간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역사교과서
• 역사학의 연구 성과와 방법을 토대로 교육적 ‘목
적’을 위한 교수 학습용 도서
• 역사교과서 역시 기본적으로 의도된 역사 인식론
을 반영
• 역사 교재를 읽는 것은 교재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역사적 사실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창조적인 과정
>> 역사텍스트는 독자의 비판적 분석과 통찰의 대
상
각자의 역사적 사고에 의해 구축될 역사적 지식의
토양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설명적 텍스트
• 인과관계, 분석적 서술,
- 저자의 해석이나 가치 판단이 개입되지 않도록 함
- 전지적 시점, 과거(완료)시제를 사용
• 사실과 논증으로 진리의 효과를 극대화
• 대부분 교과서는 설명적 텍스트의 구성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설명적 텍스트 예시
대한 제국은 열강 세력이 서로 경쟁하는 정세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하였다. 이를 광무 개혁이라 한다. 광무 개혁은 ‘옛 것을 근
본으로 삼고 새것을 참고한다’는 구본신참의 원칙 아래 부분적으로 서
양의 제도를 받아들여 나라의 발전을 이룩하려 하였다. 이는 외세에
의존하여 개혁을 주도했던 갑오개혁의 실패를 거울 삼아 전통적인 제
도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도를 받아들인다는 자세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금성출판사 中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설명적 텍스트 장단점
• 장점
- 인과관계의 명확성이 드러남
- 학생들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요약적으로 제공
- 교사의 일관성 있는 수업 가능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설명적 텍스트 장단점
• 단점
- 많은 양의 역사 지식의 지나친 단순화
- 역사적 지식이 탐구와 논쟁의 대상이X, 권위에 의해 고
정됨
- '과거에 대한 올바른 해석’ = 교과서
학생들의 할 일은 그대로 받아들이고 암기하는 것이 됨
>> 적극적인 상호작용, 텍스트와의 대화를 시도할 기회
적음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내러티브 텍스트
• 역사적 에피소드를 스토리 텔링 기법으로 기술한
텍스트
• 화자가 자신의 시점에서 특정한 시․공간에 걸쳐 일
어나고 그 성격이 변화된 사건이나 사실을 독자에
게 말하는 방식
• 역사를 움직이는 주체로서 인간과 행위에 주목
- 사소한 작은 사실들, 특정한 세부적인 것들에서 역
사를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내러티브 텍스트 예시
나는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무언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생각을 분명히 하
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궁해야 한다는 상소가 빗발쳤다.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고 불안한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러시아 공사관에 언제까지 머
무를 수 없다는 생각을 하여 일단 경운궁으로 환궁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중
국은 열강들의 침략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고, 우리는 더 이상 중국의 눈치
를 보지 않아도 되었다. 더 이상 외세에 의존하지 않은 자주적인 개혁을 해
야겠다고 생각했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조선이 황제국가가 되는 길이었
다.
- 5조 조원이 구성한 내러티브 서술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내러티브 텍스트 장단점
• 장점
- 흥미유발, 흐름파악이 용이하여 감정이입, 상상적 이
해
도움
- 저자의 주관적 경해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주체적
텍스트 해석과 비판이 가능

- 역사 텍스트 밑바탕에 깔려 있는 관점 파악 가능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내러티브 텍스트 장단점
• 단점
- 사료 분석 및 증거 활용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체계
적으로 도출하지 못함

- 저자를 신뢰할 경우에는 비판 대신에 그 저자가 말하
는
말을 사실처럼 받아들임
>> 학생들이 텍스트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BUT, 비판적 읽기, 쓰기 학습이 동반되어야 함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 사료를 바탕으로 역사를 재구성해나가기 때문
에 사료는 중요한 텍스트
• 사료의 비판 또는 사료의 고증은 기본

• 다의적 텍스트
• 사료는 해석자의 역사인식 반영
>> 비판적 읽기, 쓰기 활용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제시 방식
방법 1. 사료의 해석 결과를 본문에 녹여서 서술하는
방식.
• 이 방식에 따른 텍스트는 사료를 연구한 결과
밝혀낸 역사적 사실을 서술한 것
• 사료의 내용을 이처럼 본문 서술에 녹여서
포함시키는 것은 표면적으로 역사교과서 서술과
유사
• 2000년대 이전 역사교과서의 전달방식에 따른서술 역사이해」
설명체 고등학생의
김한종, 「사료내용의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의 제시 방식
방법 2. 본문 중간에 사료내용을 직접 서술한 텍스트
• 사료 자체가 교과서 본문 서술이 되는 것이다.
EX.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난 1894년 무렵에는 “민란이
일어나지 않는 고을이 없고”

• 학생들에게 원사료를 직접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며
사료와 본문 서술을 분리하지 않을 수 있음
• 본문 서술의 흐름을 자연스럽지 않게 만들 수 있음
• 탐구활동을 위한 자료를 별도로 제시해야 할 필요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의 제시 방식
방법 3. 본문 서술과 병행하여 자료의 형태로 사료를
제시한 텍스트
• 역사교과서나 역사수업에서 사료를 활용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방식

• 사료는 본문 서술을 이해하는데 필요하거나 본문
내용을 보충하는 자료가 된다.
EX. 읽기자료, 탐구자료로 사료 제시
• 역사탐구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사료에 담겨 있는
역사적 사실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어려움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예시
대한제국의 선포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 피신한 지 1년 만에 경운궁으로 환궁하자, 열강의 간섭
에서 벗어나 자주독립국가임을 대내외에 과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정
부 관리와 재야의 전직 관리들은 “황제가 없으면 독립도 없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와 일본 모두 한반도에 대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세력 균형을 이루게

되어 외세의 간섭도 상대적으로 약해졌다.
이러한 나라 안팎의 상황에서 고종은 황제즉위식을 거행하여 대한제국을 수립·선
포하였다(1897). “황제의 나라는 새로운 이름을 써야 하며”, “한(韓)이란 우리의 고
유한 이름이므로 이에 적합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또한 ‘광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 장점
- 사료는 역사가의 연구 산물이 아닌 과거 사람들의
목소리
- 사료를 통해 비판적 사고의 훈련 가능
- 연구의 결론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밝혀내는 해
석의
자료로 생각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 단점
- 교과서 본문 중간에 있는 사료는 서술 흐름을 끊음
- 사실과 사료의 유기적 결합이 어려움
- 학생들의 학습부담 가중
- 학생들이 사료 내용을 그대로 수용할 가능성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결론
현재 역사교과서는 지나치게 설명적 텍
스트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학생들이 다양
한 시각을 갖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사는 보다 다양한 텍스트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
들은 주체적으로 자신만의 역사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QUIZ
1.비판적 역사 읽기는 학생들의 주체 )적인 역사
(
해석을 전제로 한다.

2.비판적 역사 쓰기에서 역사쓰기는능동 )이고
(
( 적극 )이며 창의적인 ( 창의)작업이다.
적

적
적(
3.비판적 읽기에서 학습자는 능동 )존재 이다.
적 읽기와 쓰기는
4.비판적 읽기와 쓰기 과정에서
상호보완 )관계 이다.
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은 (
5.비판적
읽기 전 ),
( 읽기 중 ( 읽기 후단계로 나뉘어 진다.
),
)의
(
QUIZ
6.스탑스키는 역사 쓰기를 (설명적 글쓰기
),
( 자유로운 글쓰(
),
창의적 )로 분류하였다.
글쓰기
기
7.대부분의 교과서는 ( 설명적 ) 텍스트로 구성 되
어 있다.
8.내러티브 텍스트는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기술한 텍
스트 이다.
9.사료 텍스트를 대할 때에 사료의 ( 비판 )또는
사료의 (
고증 )은 기본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0.포스트 모더니즘이 역사학에 끼친 영향을 간단하
게 한 가지만 말씀해주세요.
거대담론의 해체, 텍스트의 주관

성
참고문헌
샘 와인버그 지음 ; 한철호 옮김, 「역사적 사고와 역사교육」, 서울 : 책과함께, 2006
양호환, 2002, 「역사서술의 주체와 관점, 그리고 역사교과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
역사
김한종 외,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 책과함께, 2005

전국역사모임, 「우리 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휴머니스트, 2002
양호환, 「역사서술의 주체와 관점, 그리고 역사교과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
사, 2002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교사로 산다는 것은」, 너머북스, 2008
김한종, 이영효, 「비판적 역사읽기와 역사쓰기」, 歷史敎育 81, 2002
남정우,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한국역사교육학회, 역사교육연
구 11, 2010.6, 7-49
방지원, 「역사교육에서 ‘글쓰기 수업’의 실천과 연구 동향」, 한국역사교육학회, 역사교육연
구 17, 2013.5, 107-150
姜鮮珠, 「고등학생과 역사가의 역사 텍스트 독해 양상과 텍스트 독해 교수학습 전략」, 역사교
육연구회, 역사교육 125, 2013.3
신진균, 2006,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구성적 특성과 역사교육에의 적용」, 역사교육연구4
방지원, 「이야기체를 활용한 역사교과서 서술 방안」, 역사와 담론, Vol.47 No.-, 2007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歷史敎育, Vol.125 No.-,2013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jy3

How to Write a Short Paper: Deciding the Procedure and Topic.pptx
How to Write a Short Paper: Deciding the Procedure and Topic.pptxHow to Write a Short Paper: Deciding the Procedure and Topic.pptx
How to Write a Short Paper: Deciding the Procedure and Topic.pptx
ssuser2624f71
 
2013 korean study plan
2013 korean study plan2013 korean study plan
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
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
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
ssuser2624f71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woonjjang
 
(독서광)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 출간 30주년 기념판 (전후 해제 포함)
(독서광)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 출간 30주년 기념판 (전후 해제 포함)(독서광)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 출간 30주년 기념판 (전후 해제 포함)
(독서광)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 출간 30주년 기념판 (전후 해제 포함)
Jay Park
 
Technical Writing Case Analysis.pptx
Technical Writing Case Analysis.pptxTechnical Writing Case Analysis.pptx
Technical Writing Case Analysis.pptx
ssuser2624f71
 
Ethical Writing.pptx
Ethical Writing.pptxEthical Writing.pptx
Ethical Writing.pptx
ssuser2624f71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maru2science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CSeduForum
 
Syllabus sogang 2011_fall_icm
Syllabus sogang 2011_fall_icmSyllabus sogang 2011_fall_icm
Syllabus sogang 2011_fall_icm
THE LAB h
 

Similar to jy3 (11)

How to Write a Short Paper: Deciding the Procedure and Topic.pptx
How to Write a Short Paper: Deciding the Procedure and Topic.pptxHow to Write a Short Paper: Deciding the Procedure and Topic.pptx
How to Write a Short Paper: Deciding the Procedure and Topic.pptx
 
2013 korean study plan
2013 korean study plan2013 korean study plan
2013 korean study plan
 
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
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
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독서광)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 출간 30주년 기념판 (전후 해제 포함)
(독서광)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 출간 30주년 기념판 (전후 해제 포함)(독서광)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 출간 30주년 기념판 (전후 해제 포함)
(독서광)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 출간 30주년 기념판 (전후 해제 포함)
 
ET Journal
ET JournalET Journal
ET Journal
 
Technical Writing Case Analysis.pptx
Technical Writing Case Analysis.pptxTechnical Writing Case Analysis.pptx
Technical Writing Case Analysis.pptx
 
Ethical Writing.pptx
Ethical Writing.pptxEthical Writing.pptx
Ethical Writing.pptx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Syllabus sogang 2011_fall_icm
Syllabus sogang 2011_fall_icmSyllabus sogang 2011_fall_icm
Syllabus sogang 2011_fall_icm
 

More from Joo Yeon Kim

jy14
jy14jy14
jy13
jy13jy13
jy6
jy6jy6
jy6
jy6jy6
jy4
jy4jy4

More from Joo Yeon Kim (20)

jy25
jy25jy25
jy25
 
jy24
jy24jy24
jy24
 
jy24
jy24jy24
jy24
 
jy23
jy23jy23
jy23
 
jy22
jy22jy22
jy22
 
jy21
jy21jy21
jy21
 
jy20
jy20jy20
jy20
 
jy19
jy19jy19
jy19
 
jy17
jy17jy17
jy17
 
jy15
jy15jy15
jy15
 
jy14
jy14jy14
jy14
 
jy13
jy13jy13
jy13
 
jy12
jy12jy12
jy12
 
jy8
jy8jy8
jy8
 
jy7
jy7jy7
jy7
 
jy6
jy6jy6
jy6
 
jy6
jy6jy6
jy6
 
jy4
jy4jy4
jy4
 
jy2
jy2jy2
jy2
 
jy1
jy1jy1
jy1
 

jy3

  • 1. 비판적 읽기, 쓰기 그리고 텍스 트 1242020 김주연 1242027 문희연 1242029 박세진
  • 2. 목차 Ⅰ.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1.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2. 비판적 역사교육의 필요성 Ⅱ. 비판적 읽기, 쓰기 1. 비판적 역사 읽기 이론과 방법 2. 비판적 역사 쓰기 이론과 방법 Ⅲ. 텍스트론 1. 설명적 텍스트 장점, 단점 2. 내러티브 텍스트 장점, 단점 3. 사료 텍스트 장점, 단점 Ⅳ. 결론
  • 3.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역사학의 흐름 • 도덕, 교훈으로서의 역사 EX. 서양 - 고대의 순환론적 관점 동양 – 역사는 정치의 거울 • 역사의 과학화 EX. 랑케 – 사료중심(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 실증주의적 역사 • 마르크스 역사학, 아날학파, 신문화사
  • 5.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포스트 모더니즘 역사학 • 거대담론의 해체 • 텍스트의 주관성 - 텍스트에는 화자의 의도, 가치관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 • 사건의 다층적 해석 - 역사는 현재의 관점에 의해 해석,재구성된 과거의 나열 - 독자 역시 나름대로의 기준으로 텍스트를 읽음 >> 역사지식의 해방을 추구
  • 6. 비판적 역사 읽기, 쓰기의 필요성 1 역사교육의 목표 ‘역사’ 과목은 우리나라와 세계의 역사를 상호 관련 시켜 종합적,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한다. 학생 스스로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활용하 여 능동적으로 학습하게 함으로써 과거에 대한 다양 한 해석과 시각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한다.
  • 7. 비판적 역사 읽기, 쓰기의 필요성 2 기존 역사교육과 교과서 • 교과서는 해석에 의한 것이 아니라 논쟁의 여지가 없는 객관적 사실처럼 묘사 • 교사가 교과서의 사실을 전달, 학생들은 정해진 사실을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동적 존재 • 와인버그의 연구 사례 Ex. 역사학자 – 제시된 지문의 숨겨진 의미(subtext) 중요시 학생들 – 제시된 지문 중요시
  • 8. 비판적 역사 읽기, 쓰기의 필요성 3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교육 • 학생들은 ‘진리’로 인도되는 존재가 아님 • 교과서 역시 특정한 사람의 시도, 하나의 해석자 료임 • 학생들이 자신의 관점에서 역사를 이해하고 해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역사를 재구성해나가 야함 >> 교과서를 하나의 텍스트로 보는 관점의 전환 필
  • 9. 비판 • 사물의 옳고 그름에 대하여 검토하여 평가, 판 정하는 일 • 인간의 지식과 사상, 행위 등에 대하여 그 의 미 내용이 성립되는 기초를 파악함으로써 그 기원, 타당성, 한계 등을 명백히 하는 것 • 어떤 대상을 무작정 비난만 하는 부정적인 의 미라기 보다는 오히려 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평가, 판정을 내리는 행위
  • 10. 비판적 읽기 • 비판적 읽기는 구성주의 관점에서 시작 • 글의 의미가 글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글의 내용을 단서로 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구성 하는 것 • 학습자는 능동적인 존재
  • 11. 비판적 읽기의 특징 • 어떤 내용에 대한 앎과 지식을 바탕으로 함 • 독자가 텍스트에 제시된 단서를 바탕으로 자신 의 스키마를 재조정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 내는 의미 구성 과정으로의 읽기 • 비판적 읽기가 의미 구성 과정이라고 할 때 읽 기활동은 쓰기활동과 연계하여 이루어져야 함 • 비판적 읽기는 기존의 정형화된 틀을 해체하고 텍스트를 다의적, 다층적으로 읽는 방식
  • 12. 비판적 역사 읽기 • 단순히 교재의 내용에 들어 있는 정보를 얻 는 것이 아니라 교재와 상호작용을 통해 다 루고 있는 역사적 사실의 의미를 재구성하 는 창조적인 과정 • 교재의 내용에 새롭게 의미를 부여 • 학생들의 주체적인 역사 해석을 전제로 함
  • 13. 비판적으로 역사 읽는 방법 ① 텍스트를 왜 읽는지 인식한다 ② 텍스트의 아이디어들에 대해 질문을 제기 하며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과 연관시킨 다 ③ 낯선 어휘의 의미들을 찾아 이해한다 ④ 스토리의 요소들을 분석한다 ⑤ 자신이 텍스트를 이해하고 있는 지 지속적 으
  • 14. 제튼과 알렉산더의 영역학습 모 델 익숙 이해 숙달 • 숙달기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단편적인 학습지식을 가지고 있어 텍스트 주제에 흥미 를 느끼지 못하는 이들에게 적절한 개념풀이 와 설명을 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텍스트 를 제시하면 이들은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구별하지 못한다.
  • 15.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 수업모 형 <참고 읽기모형> • 인지 과정 읽기모형 • 사회 인지 과정 읽기모형 • 김혜정의 비판적 읽기모형 • 디바인(Devine)의 읽기모형 • 프레슬리(M. Pressley)의 비판적 역사 읽기 이해방안 >> 비판적 읽기의 주요 요소는 독자, 텍스트, 상황맥락 >>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은 스키마 활성화, 텍스 트를 수용하는 비판적 태도의 함양, 적극적인 의미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제제시 및 교실상황 등을 반영해야 한다.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16.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는 텍스트 비판에 한정되지 않고 텍스트 비판을 포함한 읽기 의 전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단계로 설정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17.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 읽기 전 단계 : 독자의 스키마 활성화 즉, 역사교과서 내용 중 학생의 과거경험과 관련한 비교적 익숙한 개념 또는 비슷한 성 격이나 관계를 가진 사례를 제시하여 학생 의 스키마를 활성화 하는 것이 필요.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18.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 읽기 중 단계 : 텍스트를 직접 분석, 비판 역사교과서의 특수한 텍스트성을 반영하여 역사교과서에 대한 분석, 비판이 이루어져 야 함. 즉, 역사교과서의 구성적 성격에 비 추어 볼 때 역사교육의 내용은 사실의 암기 에서 출발하여 역사를 인식하는 과정까지 포함해야 한다.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19.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 읽기 후 단계: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역사에 대한 자신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 쓰기는 가장 강력한 의미 구성 활동. 역사적 진 술을 단지 비판적으로 읽는데 그치지 않고, 사 실에 기초해 스스로 역사적 의미를 창조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하는 것. >> 역사 쓰기는 과거를 바라보는 것이 아닌 역 사를 ‘하는’것, 역사는 ‘완성된 결과’가 아닌 ‘진행되 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21.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22.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 수 업 ‘이슬람제국의 문화’ 수업 • 수업 전 학생들의 인식 : 후진국, 일부다처 제의 남녀차별이 심한 나라, 테러와 폭력의 이미지, 알라를 믿는 사이비 종교, 규제가 많은 나라, 우리나라와 상관 없는 나라 등 • 교과서 속의 이슬람 문화: 다채롭고 우수한 문화로 부정적인 내용보다는 장점 부각.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23. 비판적 역사 읽기모형 수업 <스키마 활성 단계> - 드라마 대사를 인용하여 학생들 흥미 유발 - 동서문화 교류 부각하기 위해 고려청자 활 용 - 주요 내용 예상하기/확인하기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24. 비판적 역사 읽기모형 수업 <텍스트 분석 및 평가 단계> • 사실 이해 단계 이슬람문화 특징의 사실, 개념 파악 위해 ‘한 줄 개념 정리’, ‘중심생각 수레바퀴’ 활용 (한 줄 개념 정리 중 자신의 사전지식 활용, 교과서 개념을 서로 연관 지어 구성 한 학생들)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25. 비판적 역사 읽기모형 수업 • 저자의 의도 이해 단계 ①수사적 표현을 통해 저자의 의도 추론 하기 - 학생들은 강조, 비유, 평가가 담겨 있는 단어나 문장을 저자의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파악. - ‘~처럼’, ‘특히’, ‘~뿐이다’, ‘침체’, ‘선구’, ‘전시장’, ‘다채로운’, ‘충격’ 등의 단어를 수사적 표현으로 봄. 특히, 저자가 단정적인 표현을 했을 경우나 근거가 생략된 부분에 대해 의문점, 반대의견을 나타냄.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26. 수사적 표현을 통해 저자의 의도 추 론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27. 저자의 의도 이해 단계 ② 저자의 주장에 대한 타당성 검토하기 타당성 점검표 활용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28.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 수업 • 평가하기 - 교과서 내용 점검 후 학생들이 많이 질문한 내용은 이슬람교와 관련된 내용 - 이슬람의 문화 교류와 관련한 질문도 많았 음 - 질문의 내용 중 교과서에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들도 많았음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29.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 수업 <의미 구성 단계 > – 역사 쓰기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3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 수업모 형 수업모형의 특징 • 스키마 활성 단계에서 제시된 내용에 대해 더 욱 많은 반응을 보임 • 사실을 전달하는 문장보다 저자의 의견을 담 고 있는 수사적 표현이 담긴 문장에 더욱 많은 의견을 제시 • 역사적 사실에 대한 근거를 바탕으로 저자의 의견을 판단하는 적극적인 읽기 경향 • 다양한 의미 구성 모습은 역사쓰기 단계에서 두드러짐 남정우(2010),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31. 영화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읽기 • 영화의 활용 유용성: - 이해하기 힘든 역사 속 내용을 시각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 -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 일으킨다. • 영화 활용의 주의점: - 영화 속 역사적 사실과 허구, 오류가 나타남 을 확실히 해야 한다. - 수용적 관객이 아닌 비판적 관객으로 거듭나 게 해야 한다. - 실제 수업 시 집중력을 고려해야 한다. 진향기(2008), 비판적 역사 읽기를 위한 영화 활용 수업모형 연구
  • 32. 영화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읽기 <수업 적용 사례> 중2, ‘신항로 개척과 유럽 세계의 확대’ • 영화 ‘1492 콜럼버스’를 활용 • 영화는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 하고 경영하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이 시기 유럽의 대륙 팽창과정을 잘 보여줌 >> 교과서 속 막연한 신대륙 발견자들의 이 름 외우기 대신 당시 세계 정세, 분위기와 인과관계, 인물들의 심리를 복합적으로 이 해 가능 진향기(2008), 비판적 역사 읽기를 위한 영화 활용 수업모형 연구
  • 33. 영화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읽기 영화 관람 후 비판적 읽기의 과정 • 역사적 오류 찾기: 영화의 배경, 시대와 장 소, 등장인물, 등장인물의 성격 및 비중, 주요 사건, 결말 등 영화에 대한 분석 필요 >> 조별로 영화 관람 후 토론을 통한 질문지 작 성 • 영화 속 인물들 중 한 명을 선정하여 자신이 그 인물이 되어보기 과제 >> 자신의 관점에 따라 재구성되고 이해할 수 있음을 알게 됨 진향기(2008), 비판적 역사 읽기를 위한 영화 활용 수업모형 연구
  • 34. 영화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 <1492 콜럼버스>를 활용한 수업의 결과 - 학생들의 이해 속도 증진 역사적 오류를 바로잡는 데에 큰 성취감 교과서 외의 부분까지 알 수 있음 영화와 수업내용의 다른 부분을 찾으려는 적극적 인 태도 - 영화에서 내러티브에 따른 역사적 오류를 자연스 럽게 여기고 바로잡기 위한 연구 필요성의식 - 영화를 분석하는 것이 힘들다고 느낀 학생들도 있 음 진향기(2008), 비판적 역사 읽기를 위한 영화 활용 수업모형 연구
  • 35. 비판적 쓰기 • 어윈(J.W.Irwin) - 쓰기 활동을 위해 독자는 필자의 단서 와 자신의 사전지식을 적극적으로 사용 할 수 밖에 없음 - 쓰기는 가장 강력한 의미 구성활동이자 - 읽기 능력을 계발시키는 가장 강력한 도구
  • 36. 비판적 역사 쓰기 • 텍스트로부터 역사 지식을 만들어가는 과정의 일환 • 비판적 역사 읽기를 통한 학생들의 주체적인 역사 해석을 바탕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 • 역사 사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더 명확히 하며 자 기 나름의 역사상을 만듦 • 비판적으로 읽는데 그치지 않고 사료에 기초해 스 스로 텍스트를 구축하는 것에 이르게 함 • 역사를 읽는 자신의 관점과 인식을 드러내는 역사 쓰기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이며 창의적인 역사 만들 기 작업
  • 37. 비판적 역사 쓰기 방법 <스탑스키의 분류> • 설명적 글쓰기 역사 자료를 분석, 조직, 종합해 추출한 지식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술방식. 그러나 단순히 정보를 확인하고 옮기는 유사 글쓰기에 그치기 쉬움 • 자유로운 글쓰기 역사적 사건이나 상황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새로운 아 이디어를 개발하거나 표현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 롭게 글을 쓰는 기술방식 • 창의적 글쓰기 과거 다른 시대나 장소에 살았던 사람들의 처지에서 상 상력을 동원하여 시, 소설, 일기, 편지 등 다양한 방식으 로 역사를 구성, 표현하는 기술 방식
  • 38. 비판적 역사 쓰기 방법 • 객관적 글쓰기 역사적 상황이나 사실에 입각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중시한다. 그러 나 역사 서술에서 순수한 의미기 객관적 글쓰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신의 글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된다는 점을 강조 하는 설명문이다 논설문 등의 형식을 띤다.
  • 39. 비판적 역사 쓰기 방법 • 주관적 글쓰기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저자의 정 서나 감정 표현이 많고 저자의 관점과 의 식, 태도, 느낌 등을 그대로 드러내는 글쓰기. 따라서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는 데 그 치지 않고 이를 자신의 관점에 따라 해석하고 재구성하여 자유로운 형식으로 표현한다. 형 식에서 제약이 적고 자기 나름의 역사 이해를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더욱 친숙하게 시도할 수 있음
  • 40. 역사 글쓰기 수업 사례 역사 체험글 쓰기 • 역사적 사실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구조화하여 그것을 자신의 입장에서 새롭게 드러내 표현하는 글 • 역사 일기 쓰기, 자서전 쓰기, 편지쓰기 보고서 쓰기 • 역사에 대해 좀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것 • 답사보고서쓰기, 발굴보고서쓰기, 가상 역사 여행기 쓰기
  • 41. 역사 글쓰기 수업 사례 주장문쓰기 • 특정한 역사적 상황에 대한 자신의 견해나 주장을 글로 표현하는 것 • 시무책쓰기, 역사재판 판결문 쓰기, 모의 선거 유 세문 쓰기 역사신문 만들기 •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적 사건이나 현상을 친근하 게 접할 수 있게 하고 그 시대에 대한 생생한 현장 감을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흥미나 관심을 높일 수 있다.
  • 42. 글쓰기 수업의 장단점 <장점> • 학생들이 주제를 스스로 학습함으로써 역사에 흥미를 가지는 계기가 된다 • 학생들이 직접 자료를 찾고 정리하는 과정에 서 역사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고 정보를 취사 선택하는 능력 역시 배양할 수 있다 • 수업 후 수업에 대한 보람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 역사 속의 사건과 인물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 인식해 봄으로써 역사에 대한 자기인식, 즉 역 사이해를 하게 된다
  • 43. 글쓰기 수업의 장단점 <단점> • 교사가 평소보다 몇 배 더 교재에 대해 연구 해야 한다 • 수업하는 학생들의 수준을 잘 맞추어서 교 사가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자료를 준비 해야한다 • 반드시 사전학습이 필요하다 • 소외되는 학생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 44. 비판적 읽기와 쓰기 읽기 쓰기 상호 보완적 관계 이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작은 역사가’
  • 45.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역사학의 텍스트 • 사료를 비롯한 역사자료는 일어났던 그대로의 사 실 진술이 아니라 하나의 텍스트 • 텍스트는 저자의 관점이나 의도, 주장이 개입된 임의적인 역사 해석의 산물 • 텍스트는 무한한 의미 생산이 가능한 공간
  • 46.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역사교과서 • 역사학의 연구 성과와 방법을 토대로 교육적 ‘목 적’을 위한 교수 학습용 도서 • 역사교과서 역시 기본적으로 의도된 역사 인식론 을 반영 • 역사 교재를 읽는 것은 교재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역사적 사실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창조적인 과정 >> 역사텍스트는 독자의 비판적 분석과 통찰의 대 상 각자의 역사적 사고에 의해 구축될 역사적 지식의 토양
  • 47.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설명적 텍스트 • 인과관계, 분석적 서술, - 저자의 해석이나 가치 판단이 개입되지 않도록 함 - 전지적 시점, 과거(완료)시제를 사용 • 사실과 논증으로 진리의 효과를 극대화 • 대부분 교과서는 설명적 텍스트의 구성
  • 48.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설명적 텍스트 예시 대한 제국은 열강 세력이 서로 경쟁하는 정세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하였다. 이를 광무 개혁이라 한다. 광무 개혁은 ‘옛 것을 근 본으로 삼고 새것을 참고한다’는 구본신참의 원칙 아래 부분적으로 서 양의 제도를 받아들여 나라의 발전을 이룩하려 하였다. 이는 외세에 의존하여 개혁을 주도했던 갑오개혁의 실패를 거울 삼아 전통적인 제 도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도를 받아들인다는 자세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금성출판사 中
  • 49.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설명적 텍스트 장단점 • 장점 - 인과관계의 명확성이 드러남 - 학생들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요약적으로 제공 - 교사의 일관성 있는 수업 가능
  • 50.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설명적 텍스트 장단점 • 단점 - 많은 양의 역사 지식의 지나친 단순화 - 역사적 지식이 탐구와 논쟁의 대상이X, 권위에 의해 고 정됨 - '과거에 대한 올바른 해석’ = 교과서 학생들의 할 일은 그대로 받아들이고 암기하는 것이 됨 >> 적극적인 상호작용, 텍스트와의 대화를 시도할 기회 적음
  • 51.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내러티브 텍스트 • 역사적 에피소드를 스토리 텔링 기법으로 기술한 텍스트 • 화자가 자신의 시점에서 특정한 시․공간에 걸쳐 일 어나고 그 성격이 변화된 사건이나 사실을 독자에 게 말하는 방식 • 역사를 움직이는 주체로서 인간과 행위에 주목 - 사소한 작은 사실들, 특정한 세부적인 것들에서 역 사를
  • 52.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내러티브 텍스트 예시 나는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무언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생각을 분명히 하 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궁해야 한다는 상소가 빗발쳤다.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고 불안한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러시아 공사관에 언제까지 머 무를 수 없다는 생각을 하여 일단 경운궁으로 환궁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중 국은 열강들의 침략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고, 우리는 더 이상 중국의 눈치 를 보지 않아도 되었다. 더 이상 외세에 의존하지 않은 자주적인 개혁을 해 야겠다고 생각했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조선이 황제국가가 되는 길이었 다. - 5조 조원이 구성한 내러티브 서술
  • 53.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내러티브 텍스트 장단점 • 장점 - 흥미유발, 흐름파악이 용이하여 감정이입, 상상적 이 해 도움 - 저자의 주관적 경해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주체적 텍스트 해석과 비판이 가능 - 역사 텍스트 밑바탕에 깔려 있는 관점 파악 가능
  • 54.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내러티브 텍스트 장단점 • 단점 - 사료 분석 및 증거 활용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체계 적으로 도출하지 못함 - 저자를 신뢰할 경우에는 비판 대신에 그 저자가 말하 는 말을 사실처럼 받아들임 >> 학생들이 텍스트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BUT, 비판적 읽기, 쓰기 학습이 동반되어야 함
  • 55.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 사료를 바탕으로 역사를 재구성해나가기 때문 에 사료는 중요한 텍스트 • 사료의 비판 또는 사료의 고증은 기본 • 다의적 텍스트 • 사료는 해석자의 역사인식 반영 >> 비판적 읽기, 쓰기 활용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 56.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제시 방식 방법 1. 사료의 해석 결과를 본문에 녹여서 서술하는 방식. • 이 방식에 따른 텍스트는 사료를 연구한 결과 밝혀낸 역사적 사실을 서술한 것 • 사료의 내용을 이처럼 본문 서술에 녹여서 포함시키는 것은 표면적으로 역사교과서 서술과 유사 • 2000년대 이전 역사교과서의 전달방식에 따른서술 역사이해」 설명체 고등학생의 김한종, 「사료내용의
  • 57.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의 제시 방식 방법 2. 본문 중간에 사료내용을 직접 서술한 텍스트 • 사료 자체가 교과서 본문 서술이 되는 것이다. EX.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난 1894년 무렵에는 “민란이 일어나지 않는 고을이 없고” • 학생들에게 원사료를 직접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며 사료와 본문 서술을 분리하지 않을 수 있음 • 본문 서술의 흐름을 자연스럽지 않게 만들 수 있음 • 탐구활동을 위한 자료를 별도로 제시해야 할 필요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 58.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의 제시 방식 방법 3. 본문 서술과 병행하여 자료의 형태로 사료를 제시한 텍스트 • 역사교과서나 역사수업에서 사료를 활용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방식 • 사료는 본문 서술을 이해하는데 필요하거나 본문 내용을 보충하는 자료가 된다. EX. 읽기자료, 탐구자료로 사료 제시 • 역사탐구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사료에 담겨 있는 역사적 사실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어려움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 59.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예시 대한제국의 선포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 피신한 지 1년 만에 경운궁으로 환궁하자, 열강의 간섭 에서 벗어나 자주독립국가임을 대내외에 과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정 부 관리와 재야의 전직 관리들은 “황제가 없으면 독립도 없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와 일본 모두 한반도에 대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세력 균형을 이루게 되어 외세의 간섭도 상대적으로 약해졌다. 이러한 나라 안팎의 상황에서 고종은 황제즉위식을 거행하여 대한제국을 수립·선 포하였다(1897). “황제의 나라는 새로운 이름을 써야 하며”, “한(韓)이란 우리의 고 유한 이름이므로 이에 적합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또한 ‘광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 60.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 장점 - 사료는 역사가의 연구 산물이 아닌 과거 사람들의 목소리 - 사료를 통해 비판적 사고의 훈련 가능 - 연구의 결론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밝혀내는 해 석의 자료로 생각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 61. 역사교육의 텍스트론 사료 텍스트 • 단점 - 교과서 본문 중간에 있는 사료는 서술 흐름을 끊음 - 사실과 사료의 유기적 결합이 어려움 - 학생들의 학습부담 가중 - 학생들이 사료 내용을 그대로 수용할 가능성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 62. 결론 현재 역사교과서는 지나치게 설명적 텍 스트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학생들이 다양 한 시각을 갖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사는 보다 다양한 텍스트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 들은 주체적으로 자신만의 역사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 63. QUIZ 1.비판적 역사 읽기는 학생들의 주체 )적인 역사 ( 해석을 전제로 한다. 2.비판적 역사 쓰기에서 역사쓰기는능동 )이고 ( ( 적극 )이며 창의적인 ( 창의)작업이다. 적 적 적( 3.비판적 읽기에서 학습자는 능동 )존재 이다. 적 읽기와 쓰기는 4.비판적 읽기와 쓰기 과정에서 상호보완 )관계 이다. 적 역사교과서 읽기모형은 ( 5.비판적 읽기 전 ), ( 읽기 중 ( 읽기 후단계로 나뉘어 진다. ), )의 (
  • 64. QUIZ 6.스탑스키는 역사 쓰기를 (설명적 글쓰기 ), ( 자유로운 글쓰( ), 창의적 )로 분류하였다. 글쓰기 기 7.대부분의 교과서는 ( 설명적 ) 텍스트로 구성 되 어 있다. 8.내러티브 텍스트는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기술한 텍 스트 이다. 9.사료 텍스트를 대할 때에 사료의 ( 비판 )또는 사료의 ( 고증 )은 기본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0.포스트 모더니즘이 역사학에 끼친 영향을 간단하 게 한 가지만 말씀해주세요. 거대담론의 해체, 텍스트의 주관 성
  • 65. 참고문헌 샘 와인버그 지음 ; 한철호 옮김, 「역사적 사고와 역사교육」, 서울 : 책과함께, 2006 양호환, 2002, 「역사서술의 주체와 관점, 그리고 역사교과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 역사 김한종 외,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 책과함께, 2005 전국역사모임, 「우리 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휴머니스트, 2002 양호환, 「역사서술의 주체와 관점, 그리고 역사교과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 사, 2002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교사로 산다는 것은」, 너머북스, 2008 김한종, 이영효, 「비판적 역사읽기와 역사쓰기」, 歷史敎育 81, 2002 남정우,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한국역사교육학회, 역사교육연 구 11, 2010.6, 7-49 방지원, 「역사교육에서 ‘글쓰기 수업’의 실천과 연구 동향」, 한국역사교육학회, 역사교육연 구 17, 2013.5, 107-150 姜鮮珠, 「고등학생과 역사가의 역사 텍스트 독해 양상과 텍스트 독해 교수학습 전략」, 역사교 육연구회, 역사교육 125, 2013.3 신진균, 2006,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구성적 특성과 역사교육에의 적용」, 역사교육연구4 방지원, 「이야기체를 활용한 역사교과서 서술 방안」, 역사와 담론, Vol.47 No.-, 2007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歷史敎育, Vol.125 No.-,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