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유통물류 및 식품안전 생태계를 위한
국제표준 전략
김 대 영
2018년 3월 22일
교수, 전산학부, KAIST
연구소장, Auto-ID Labs, KAIST
• kimd@kaist.ac.kr, http://oliot.org, http://autoidlab.kaist.ac.kr, http://resl.kaist.ac.kr http://autoidlabs.org http://gs1.org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
미래 농업과 식품안전 생태계 혁신의 방향
1. 먹거리의 지속적 공급
2. 안전한 먹거리 보장
3. 데이터 기반의 농업
(4차 산업혁명)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
글로벌한 농축수산식품 생태계의 실현
농축수산 및 가공식품의 생산 물류 유통 소비 과정은 일반 상품과 다르게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 까지 복잡하고 다양한 절차를 거치게 됨
[안전한 먹거리의 지속적인 생산 및 공급]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4
EU와 미국의 식품 안전 포함 푸드 생태계 조성
잘못된 라벨링
식품정보공개(식품안전) / 이력 추적
진품 인증
리콜 서비스
Foods
GS1 US & EU 푸드 관련법안
• US Bioterrorism Act
• US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FSMA)
• EU Food Law (EC) 178/2002
• EU Food Regulation EU 1169
• EU General Product Safety Directive (GPSD)
to be replaced soon by a new EU Product
Safety Regulation
• Safe Foods for Canadians Act
• 2015년 중국의 강화된 식품 안전법 제정
• 생산, 유통, 판매 전단계의 체계적인 엄격한 관리
및 감독 체계를 구성
• 식품 범죄 관련 벌금 및 기타 처벌 규정 제정
• 중국 주해시에 수십조원을 투자하여 식품 클러스
터 조성
• GS1 기반의 식품안전시스템 개발 및 시범적용
(2011-현재)
• Auto-ID Labs, Fudan 과 CFDA, National
Food Safety Institute, 기업
• 17개성 시범서비스
• 중국주해시 식품클러스터 사업 추진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5
국내의 농축수산 그리고 가공 식품 이력관리 체계
생산-물류-유통-소비 이력 관리가 핵심
국내 식품 이력 추적 코드
구 분 팜투테이블 생산이력추적시스템 축산물이력제 수산물 이력제 식품 이력제
스크린샷
관리기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풀무원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실시범위 생산/가공/유통/판매 생산/가공/유통 사육/도축/포장/판매 생산/가공/유통/판매 가공/판매
이력코드
이력추적관리번호
(12자리)
바코드
+타임바코드
이력추적관리번호
(12자리)
이력추적관리번호
(13자리)
이력추적관리번호
(18자리)
 국내 농축수산물 및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은 농수산물, 축산물 및 수산물 이력관리법에 의거하여 운영되고 있음
 각 부처/사업 마다 이력 코드가 통일되지 않아 FTA 및 국제 유통망에서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 농축산물 정보 포맷 및 접근 방법 등에 대한 표준정의도 이루어지지 않았음
 농축산물의 상세한 정보 획득 및 추적/리콜에 대한 뚜렷한 솔루션이 없음
문제점: 식별체계, 메타데이터(상품정보), 이력추적의 부재, 제한적용, 다양한 방식 혼재,
국제표준 미적용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6
Humanitarian
Logistics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공유하는 글로벌
프레임웍을 제공함
사람과 사물이 공존하는
사물인터넷 세상
(다양한 국가, 산업, 기업, 언어,…)
“데이터 기반의 사물인터넷"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은 “데이터 산업”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7
GS1 Transforming how
you share information
112개국 MO (Member Organizations), 170개 국가 공식 활용
5백만 이상의 기업 멤버로 구성된 비영리 국제표준기구
- 한국은 GS1 Korea (유통물류진흥원) 와
- Auto-ID Labs, KAIST 운영
1999년 Kevin Ashton, Auto-ID Center(Labs) MIT,
이 세계 최초로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용어와 기술 소개
Auto-ID Labs는 GS1의 선행표준기술연구 협력
국제 공동연구소 컨소시엄
(MIT, Cambridge, ETH Zurich, Keio, Fudan, KAIST)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8
GS1 Global Forum, Feb. 26 – Mar. 2, 2018, Brussels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9
GS1 국제 표준
GS1 식 자 표준을 통한 식
생산라인
생산자
상품 유통자
운 수
GS1 데이터 공유망 (GDSN)에 상품정보 제공
GS1 이 장소 (EPCIS)에 농축수산식품
이력에 관한 이 수
포획 가공
포장
수
상품정보
GS1 이력 추적 서비스 이
고 관리
리콜 관리
GS1 서비스를 이 한
구 상품
로운 상품
생산지/유통/물류/소비자의 GS1 국제 표준 이용 방법의 예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0
GS1 국제 표준
UN Global Compact
생산지 농가 GS1 GLN 코드 부여
농가 단위 이력 추적
기아 해소, 식품 안전 증진
네덜란드 Wageningen
육류 정보 이력 추적을 위해
GS1 EPCIS 도입 중
글로벌 기업 및 단체의 GS1 국제 표준 도입의 예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1
GS1 국제 표준
글로벌 기업 및 단체의 GS1 국제 표준 도입의 예
Nestle, Costco, 구글아마존, 알리바바
판매 브랜드 상품
GS1 식별자 부여 강제
GDSN을 이용한 상품의
최신 정보 제공 권고
GS1 웹 서비스 기술로
상품정보 내장
내장된 정보 해석하여
쉽고 정확한 검색 제공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2
일본 편의점 2025년까지 RFID 도입 선언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3
GS1 Company Prefix
• GS1 국제 생태계에 들어서기 위해서, 각 기업이나 조직은 국가코드와
기업 코드로 이루어진 GS1 Company Prefix 를 확보해야 함
• GS1 Company Prefix 를 기반으로 기업은 다양한 글로벌 GS1 식 자를
사 할 수 있음 (GTIN, GRAI, GIAI, GLN, GSRN, ….)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4
주요 GS1 글로벌 식별자
(가상시나리오: 농업조합공동법인)
상품 코드 (GTIN, 8809045540005) 렌 자산 고소작업차 (GRAI) 농산물운반차량 자산 (GIAI)
물류 창고, 시설원예, 직 장 등 위치/장소 코드 (GLN) 인증서, 계약서류등 (GDTI)로컬푸드 고객, 직원 식 자 (GSRN)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5
주요 GS1 글로벌 식별자
(가상시나리오: 농업조합공동법인)
농기계 부품 코드 (CPID)
뉴얼 책자 (ISBN)
할인 쿠폰 (GCN)
운 코드 (GSIN) 탁 코드 (GINC)
청과 배 팔레 / 포장 박스 코드 (GRAI, SSCC)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6
GS1 국제 표준: 상품(사물) 분류 코드 체계
Global Product Classification (GPC)
생물 분류 코드체계인 “종속과목강문계” 처럼, 전세계 제품(사물)은
“세그멘트, 패밀리, 클래스, 브릭”의 4가지 계층으로 분류하며,
더욱 상세한 내용은 어트리뷰트로 제공 하고 밸류에 해당 값을 저장
(예. Source: 소, 양, 염소, 낙타등)
Attribute
(Milk)
동물
지방 수준
유기농
프로바이오틱
냉장보관
원료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7
농축수산물 표준 코드 (한국)
- 공영도 시장 : 전국 35개 공영 도 시장
- 도 시장법인 : 공영도 시장에 등록된 105개의 법인 및 공판장, 중도 인, 경 사
- 조사기관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협중앙회, 수협중앙회, 축산물품질평가원
농축수산물 표준코드 (2015년 6차 개정)
 적 대상
농축수산물 표준코드란, 농산물, 화훼류, 임산물, 축산물, 수산물, 가공품 등에 대한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유통 정보 공유를 위해 관리하는 품목, 위, 포장상태, 크기, 품질, 산지 코드임
 정의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8
GS1 국제 표준: GS1 GDSN, GS1 Source, Cloud
글로벌 상품 데이터베이스 (신뢰성 있는 원본)
• B2C의 상세 상품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GDSN,
GS1 Source, GS1 Cloud 를 통해 상호 보완 및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예. 식품의 성분, 인증, 앨러지 정보등)
“농식품부에 GS1 Source를 이 한 농축산식품에 대한 상품 데이터 운영 권고
- 현 산업통상자원부는 공산품 및 가공식품, 식약처는 의약품 및 의료
기기 GS1 상품데이터 운 진행중
• GS1 GDSN 이 국내 기관에 의해 운
되지않기 때문에, GS1 Source는 특정
산업에 특화된 국내 데이터베이스로
운 할 수 있음
- 표준화된 상품 데이터를 글로벌 하게 공유하기 위한 표준과 분산
데이터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2017년 1월 13일 현재 전세계 31개 Data Pool 운영
(1WorldSync가 40% 이상의 점유율)
상품 기본 정보, 사용법, 안전정보 성분, 영양정보, 앨러지등
초기 Deploy에 전세계 8,000만
상품정보가 Upload 됨
(한국도 2018-2020, 모든 상품정보 업로드 계획)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9
GS1 국제 표준:
GS1 SmartSearch 와 Web Vocabulary
현재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데이터 (카오스)
GS1 Web Vocabulary를 적용한 상품 표준
마스터 데이터
(코스모스)
• 스마 상품 서비스를 위한 언어(Web Vocabulary)
• 제품 정보에 대한 구조화된 데이터를 GTIN과 연결하여 엔진 및 인터넷 쇼핑몰 등에 제공하기 위해 GS1, 구글, 마
이크로소프 , 야후, Auto-ID Labs가 참여하여 개발한 GS1 표준
• 국가, 기업, 언어에 독립적인 로운 상품 데이터 표현
• “농식품부의 농축산표준 분류 코드"를 농가조합 홈페이지/ 쇼핑몰등에 탑 하는 것을 통해 기본 통계자료 수 가능
• 생산자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중간 유통업체를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음.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0
Digital Twin, Block Chains, End-to-end Visibility of Things
EPCIS (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1
GS1 국제 표준 – Lifetime 프로세스
모델링 기술
• ObjectEvent – 상품의 생성/관찰/제거
• AggregationEvent – 상품의 포장/적
• TransactionEvent – 상품의 판 상황
• TransformationEvent – 상품의 가공 상황
생성부터 판매까지 상품의 lifetime을 기록
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을 통해서 상품을
효율적으로 관리
What, Where, When, Why 를 통한 상세한 이벤트 정보 입력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2
GS1 국제표준: Common Business Vocabulary (CBV)
사물과 관련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기술하는 표준 어휘
 사물인터넷 이 데이터의 상황을 표기 하기 위한 표준화된 어휘 (Common, User Vocabulary)
 Identifier 의 Syntax 와 Vocabulary Element 표준화
 전산업에 공 인 CBV와 산업 , 국가 , 기업 로 로운 User Vocabulary 표준화 가능
(1) urn:epcglobal:cbv:bizstep:assembling
(4) bizstep:arriving
(3) bizstep:departing
(11)bizstep: destroying
(7) bizstep:inspecting
(5) bizstep:unloading
(하차: 농산물, 사료, 비료등)
(9) bizstep:repairing
(10) bizstep:replacing
(6) bizstep:retail_selling
(2) bizstep:loading
(상차: 농산물, 사료, 비료등) (8)urn:gs1:epcisapp:
car:bizstep:ecall (사 자
표준 예제)
(8)urn:epcglobal:cbv:disp:
Damaged
산업 확장 지원
(농업, 헬스케어, 스마 시티,…)
Also adopted by ISO/IEC
ISO/IEC 19987:2015 standard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3
GS1 국제표준: EPC Information Service
GS1 글로벌 표준 데이터 저장소
• EPC Information Service (EPCIS)
• Current Version 1.2, Oct. 2016
• Also adopted by ISO/IEC
ISO/IEC 19987:2015 standard
사물인터넷 이 를 장하는 분산 연합 데이터 베이스
/ 왼쪽 그림 처럼 EPCIS 가 중앙에 하나 있는 게 아니라,
부품제조기업, 창고, OEM, 물류, 리테일이 모두 다른 회사 라면,
제각기 운영하고, 가상으로는 일의 데이터 장소로 보임
 RFID를 위한 EPCglobal 표준은 지난 5년간
확장되어, 사물인터넷의 인프라 프레임웍으로 발전중임
미국 옥수수 원료 공급 평택항 사일로
농협 사료
농협 사료
농협/조합/농가 물류
조합/농가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4
• ONS (Object Name Service)
• 사물의 클래스 수준 GS1 ID, 예를 들어 Global Trade Item Number (GTIN), 이용하여 연관된 서비스 메타데이터를 보유하
고 있는 ONS 네임서버를 찾고 그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
• 계란 산업에 적용 예시
• ONS 를 이용하여 계란 서비스 메타데이터를 찾고 서비스 공급자를 통해 다양한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 예) 계란 이력 추적, 상품 정보 보기, 리콜 서비스 등
GS1 국제표준: Object Name Service
GS1 글로벌 서비스 등록 관리 검색
Korea
JapanChina
Taiwan
Australia
USA
Brazil
Switzerland
England
ONS Application ONS Client
Service Provider
ID Conversion
Query/Response
Local caching
nameserver
ONS Peer Roots
GS1 ONS 의 계란 산업 적 예시 GS1 ONS 의 동작 방식
국가간 연동 분산 ONS 망
계란 서비스
타데이터 장
계란 서비스 사 자계란 생산지 물류 유통망 계란 소 업자
달 생산/유통
분산 EPCIS
계란 데이터 장
서비스 공급자
계란 생
데이터
계란 서비스
타데이터 등록
GS1
ID
계란 서비스
계란 이력 추적
계란 서비스
이
계란 상품 정보
생산일:
2017.11.09
생산지: 전
하장: AA
품종: 일반리콜 서비스
리콜
17.11.09
00:25
17.11.09
01:30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5
GS1-Traceability (이력추적표준) Factory
 GS1 Global Traceability Standard에서는
 상품의 생산-유통-소비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이력 추적 관리 (TRACK)
 최종 상품의 원산지 확인을 위한 역 이력 관리 (TRACE)
 시스템 구축 가이드라인을 제시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6
글로벌 이력추적을 위한 GTS 2.0 표준
GTS 2.0 표준의 주요 컴포넌트
식 표준
(Identify)
수 표준
(Capture)
데이터표준
(Share)
GS1 인프라 GTS 2.0 표준
Global Traceability 2.0
GTS add-on for XXX GTS add-on for OOO
서비스표준
(Service)1
2
3
4 4
GTS 2.0 표준:
GS1 인프라 및 타 이력추적 솔루션 간의
Interoperable 표준 (2017년 9월 완료)
EPCIS Cross Sector 표준:
EPCIS 저장소간 이력추적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2018년 3월 론칭)
Discovery Service 표준:
이력정보 서비스를 위한 정보 Query 표
준 (2018년 진행 예정)
GTS add-on 표준:
기존 산업 및 기업 인프라와의 연계를 위
한 확장 표준 (2018년 진행 예정)
1
2
3
4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7
농축산 생산-유통 현장에서 레퍼런스로 활 가능한 표준 가이드라인 마련 (TTA표준, 가이드라인 배포 등)
GS1 국제표준 기반 농축산물 표준코드
생태계 구축 전략 제시
• 국내 농축산현장에서의 원활한 GS1 표준코드 및 시스템 적용을 위해선 국문화된 매뉴얼, 문서의 보급활동
이 필요함
• 농식품 ICT 융합 표준 포럼 농식품 유통 분과위원회의 GS1 국내 응 표준화 활동 결과 가이드라인 제시
협동조합을 위한
가축 이력 사설 인증 방법
(TTAK.KO-10.0938)
-> GS1 Pedigree
환경 모니터링 센서정보의
표준 스키마 및 이 구조
(TTAK.KO-10.0939)
-> GS1 EPCIS for sensor
농축산물 식품 타데이터 모델링
(TTAK.KO-10.0940)
-> GS1 SOURCE
농축산물 서비스 탐 구조
TTAK.KO-10.0942
-> GS1 ONS
EPCIS 기반 농축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 구축 지침서
-> GTS, EPCIS for Traceability
농축산물 GS1 표준 바코드의
레이블 출력 지침서
-> GS1 Barcode
농식품 유통 오픈 데이터를
위한 핵심 비즈니스 지침서
-> GS1 CBV
스마 축사 센서데이터에
대한 EPCIS 이 스키마설계 지침서
-> EPCIS for Smart Farm Data
2016 2017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8
2017년도 농업 유통 관련 표준화
국내 농축수산물 표준 바코드의 기본형태와, 응 식 자(AI)를 활 한 바코드 데이터의 확장 표현방법 정의
필수 표기항목을 준수한
국내 농축수산물 GS1
DataBar 바코드 표준
GS1 응용식별자를 통한 국
내 농축수산물 확장 적층형
GS1 DataBar 바코드 표준
농축산물 GS1 표준 바코드의 레이블 출력 지침서
필수 표기항목을 준수한 국
내 농축수산물 GS1
DataMatrix 바코드 표준
GS1 응용식별자를 통
한 국내 농축수산물
GS1 DataMatrix 바코
드 표준 확장형
필수 표기항목을 준수한
국내 농축수산물 GS1 QR
Code 바코드 표준
GS1 응용식별자를 통한 국내
농축수산물 확장 적층형
GS1 QR Code 바코드 표준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9
• Auto-ID Labs, KAIST는 GS1 최신 표준과 사물인터넷 연구
결과의 레퍼런스 구현을 하고 있으며, Apache 라이선스를 따
르는 Oliot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통해 전세계에 공개하고 있
습니다.
• GS1 Source
• Pedigree
• Traceability & Recall
• ONS
• DS
• EPCIS
• F&C
• IoT connectivity Layer
• Dashboard
• http://oliot.org
Auto-ID Labs, KAIST
Oliot 오픈소스 프로젝트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0
Oliot 오픈소스 프로젝 운영 현황
• 오픈소스 활동 (2018년 1월 29일 기준)
• 482 commits
• 19 releases
• 6 contributors
• 10 watchers (c.f. Fosstrak: 4)
• 15 stars (c.f. Fosstrak: 9)
• 20 forks (c.f. Fosstrak: 10)
• 구글 접속 분석 현황 (2018년 1월 29일 기준)
• 9067 sessions
• 5 continents
• 100 countries
• 1052 cities
[GitHub commits 그래프]
[구글 접속 분석 가시화]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사업 (2015.3 ~ 2018.2)
GS1 기반 농식품 생태계 조성
본 과제는 GS1 국제 표준 기반의 농축수산물 정보 표준화 및 이를 통한 균형생산, 투명유통,
안전소비를 제공하는 농축산 클라우드 원천기술 및 응 서비스의 개발을 목표로 함
2018년 4월 5일 오픈
16 countries 71 partners
FARM MACHINE
INTEROPERABILITY
PRECISION CROP
MANAGEMENT
WITHIN-FIELD
MANAGEMENT ZONING
SOYA PROTEIN
MANAEMENT
CHAIN INTEGRATED
GREEN HOUSE
PRODUCTION
ENHANCED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CITY FARMING
FOR LEAFY VEGETABLES
ADDED-VALUE WEEDING
DATA
AUTOMATED OLIVE
CHAIN
BIG WINE
OPTIMIZATION
FRESH TABLE GRAPES
CHAIN
INTELLIGENT FRUIT
LOGISTICS
GRAZING COW
MONITOR – HAPPY COW
REMOTE MILK
QUALITY
MEAT TRASNPARENCY AND
TRACEABILITY
PIG FARM MANAGEMENT POULTRY CHAIN
MANAGEMENT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6
Join Internet of Food
and Farm (IoF2020)
2017-2020
Mooju Cheon-ma
Traceability System
Wanju Local Food
Traceability System
Food Safety & Global Traceability Testbed Establishment with
Auto-ID Labs, Fudan in China
Reached agreement, Interoperability Test in 2017
GTIN
(02) 880 0123 454312
GTIN
(02) 690 0152 116568
FQDN
0.1.3.4.5.4.3.2.1.0.0.8.8.
FQDN
0.6.5.6.1.1.2.5.1.0.0.9.6.
AUS
ko | kr | gtin |
AUS
ko | kr | gtin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7
농축산식품부 4차 산업혁명 비 신유통
전략 기획 2017.5 ~ 2017.11
로컬푸드/도 시장
급식
국제유통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8
정박효과 (Anchoring)
인류의 독창성과 발명, 그리고 상상력에도 불구하고 사람
은 변화에 느리게 적응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3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우리가 고속의 유무선 인터넷을 깔려고 노력해 왔다면,
데이터와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데이터넷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GS1 은 그 중심에 있을 것입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QGIS 기초
QGIS 기초 QGIS 기초
QGIS 기초
slhead1
 
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
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
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
MinPa Lee
 
Classificação Fiscal de Mercadorias - NCM
Classificação Fiscal de Mercadorias - NCMClassificação Fiscal de Mercadorias - NCM
Classificação Fiscal de Mercadorias - NCM
ABRACOMEX
 
Livro Logistica Empresarial
Livro Logistica EmpresarialLivro Logistica Empresarial
Livro Logistica Empresarial
Adeildo Caboclo
 
QGIS 개요
QGIS 개요QGIS 개요
QGIS 개요
SANGHEE SHIN
 
5社のGTFSをマージして、PostgreSQLにインポートしてみた
5社のGTFSをマージして、PostgreSQLにインポートしてみた5社のGTFSをマージして、PostgreSQLにインポートしてみた
5社のGTFSをマージして、PostgreSQLにインポートしてみた
Masaki Ito
 
[Pgday.Seoul 2017] 1. PostGIS의 사례로 본 PostgreSQL 확장 - 장병진
[Pgday.Seoul 2017] 1. PostGIS의 사례로 본 PostgreSQL 확장 - 장병진[Pgday.Seoul 2017] 1. PostGIS의 사례로 본 PostgreSQL 확장 - 장병진
[Pgday.Seoul 2017] 1. PostGIS의 사례로 본 PostgreSQL 확장 - 장병진
PgDay.Seoul
 
Package commodity rules applicable for packaging
Package commodity rules applicable for packagingPackage commodity rules applicable for packaging
Package commodity rules applicable for packaging
Debabrata Golder
 
Logistica internacional material de apoio
Logistica internacional material de apoioLogistica internacional material de apoio
Logistica internacional material de apoio
Anderson Azevedo
 
오픈소스 GIS의 이해 - OSgeo Projects 중심
오픈소스 GIS의 이해 - OSgeo Projects 중심오픈소스 GIS의 이해 - OSgeo Projects 중심
오픈소스 GIS의 이해 - OSgeo Projects 중심
MinPa Lee
 
7 Steps - How to Get a CE Marking Cer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
7 Steps - How to Get a CE Marking Cer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7 Steps - How to Get a CE Marking Cer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
7 Steps - How to Get a CE Marking Cer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
Puneet sharma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SANGHEE SHIN
 
Modelos de Contratação e Ferramentas de Compras
Modelos de Contratação e Ferramentas de ComprasModelos de Contratação e Ferramentas de Compras
Modelos de Contratação e Ferramentas de Compras
EloGroup
 
7ª aula logística empresarial
7ª aula logística empresarial7ª aula logística empresarial
7ª aula logística empresarialEduardo Facchini
 
なるべく噛み砕いたGit基礎講習
なるべく噛み砕いたGit基礎講習なるべく噛み砕いたGit基礎講習
なるべく噛み砕いたGit基礎講習
石橋 啓太
 
EU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
EU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EU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
EU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
Asian Food Regulation Information Service
 
Logslides Processos de Armazenagem aula 1 de 14 (2015)
Logslides Processos de Armazenagem aula 1 de 14 (2015)Logslides Processos de Armazenagem aula 1 de 14 (2015)
Logslides Processos de Armazenagem aula 1 de 14 (2015)Luciano Nicoletti Junior
 
Food Safety and Standard Authority of India
Food Safety and Standard Authority of IndiaFood Safety and Standard Authority of India
Food Safety and Standard Authority of India
Asutosh Mohapatra
 
FSS LABELLING & DISPLAY REGULATION 2020.pptx
FSS LABELLING & DISPLAY  REGULATION 2020.pptxFSS LABELLING & DISPLAY  REGULATION 2020.pptx
FSS LABELLING & DISPLAY REGULATION 2020.pptx
SUBBURAJ DEPUTY DIRECTOR
 

What's hot (20)

QGIS 기초
QGIS 기초 QGIS 기초
QGIS 기초
 
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
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
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
 
Classificação Fiscal de Mercadorias - NCM
Classificação Fiscal de Mercadorias - NCMClassificação Fiscal de Mercadorias - NCM
Classificação Fiscal de Mercadorias - NCM
 
Livro Logistica Empresarial
Livro Logistica EmpresarialLivro Logistica Empresarial
Livro Logistica Empresarial
 
QGIS 개요
QGIS 개요QGIS 개요
QGIS 개요
 
5社のGTFSをマージして、PostgreSQLにインポートしてみた
5社のGTFSをマージして、PostgreSQLにインポートしてみた5社のGTFSをマージして、PostgreSQLにインポートしてみた
5社のGTFSをマージして、PostgreSQLにインポートしてみた
 
rfid
rfidrfid
rfid
 
[Pgday.Seoul 2017] 1. PostGIS의 사례로 본 PostgreSQL 확장 - 장병진
[Pgday.Seoul 2017] 1. PostGIS의 사례로 본 PostgreSQL 확장 - 장병진[Pgday.Seoul 2017] 1. PostGIS의 사례로 본 PostgreSQL 확장 - 장병진
[Pgday.Seoul 2017] 1. PostGIS의 사례로 본 PostgreSQL 확장 - 장병진
 
Package commodity rules applicable for packaging
Package commodity rules applicable for packagingPackage commodity rules applicable for packaging
Package commodity rules applicable for packaging
 
Logistica internacional material de apoio
Logistica internacional material de apoioLogistica internacional material de apoio
Logistica internacional material de apoio
 
오픈소스 GIS의 이해 - OSgeo Projects 중심
오픈소스 GIS의 이해 - OSgeo Projects 중심오픈소스 GIS의 이해 - OSgeo Projects 중심
오픈소스 GIS의 이해 - OSgeo Projects 중심
 
7 Steps - How to Get a CE Marking Cer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
7 Steps - How to Get a CE Marking Cer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7 Steps - How to Get a CE Marking Cer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
7 Steps - How to Get a CE Marking Cer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Modelos de Contratação e Ferramentas de Compras
Modelos de Contratação e Ferramentas de ComprasModelos de Contratação e Ferramentas de Compras
Modelos de Contratação e Ferramentas de Compras
 
7ª aula logística empresarial
7ª aula logística empresarial7ª aula logística empresarial
7ª aula logística empresarial
 
なるべく噛み砕いたGit基礎講習
なるべく噛み砕いたGit基礎講習なるべく噛み砕いたGit基礎講習
なるべく噛み砕いたGit基礎講習
 
EU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
EU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EU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
EU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
 
Logslides Processos de Armazenagem aula 1 de 14 (2015)
Logslides Processos de Armazenagem aula 1 de 14 (2015)Logslides Processos de Armazenagem aula 1 de 14 (2015)
Logslides Processos de Armazenagem aula 1 de 14 (2015)
 
Food Safety and Standard Authority of India
Food Safety and Standard Authority of IndiaFood Safety and Standard Authority of India
Food Safety and Standard Authority of India
 
FSS LABELLING & DISPLAY REGULATION 2020.pptx
FSS LABELLING & DISPLAY  REGULATION 2020.pptxFSS LABELLING & DISPLAY  REGULATION 2020.pptx
FSS LABELLING & DISPLAY REGULATION 2020.pptx
 

Similar to GS1 food ecosystem trial in Korea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DaeyoungKim58
 
gs1 gobal innovation 2017
gs1 gobal innovation 2017gs1 gobal innovation 2017
gs1 gobal innovation 2017
Daeyoung Kim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Daeyoung Kim
 
Tr gs1-oliot-소개-20170104
Tr gs1-oliot-소개-20170104Tr gs1-oliot-소개-20170104
Tr gs1-oliot-소개-20170104
Daeyoung Kim
 
Lh iot-bigdata-20181023
Lh iot-bigdata-20181023Lh iot-bigdata-20181023
Lh iot-bigdata-20181023
Daeyoung Kim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Daeyoung Kim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Daeyoung Kim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Daeyoung Kim
 
GS1 standards - Jan. 2017
GS1 standards - Jan. 2017GS1 standards - Jan. 2017
GS1 standards - Jan. 2017
Daeyoung Kim
 
글로벌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국제표준 적용
글로벌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국제표준 적용글로벌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국제표준 적용
글로벌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국제표준 적용
Daeyoung Kim
 
국가미래전략정기토론회 사물인터넷(김대영) - Final
국가미래전략정기토론회 사물인터넷(김대영) - Final국가미래전략정기토론회 사물인터넷(김대영) - Final
국가미래전략정기토론회 사물인터넷(김대영) - Final
Daeyoung Kim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Daeyoung Kim
 
How to utilize GS1 standards in building open data city
How to utilize GS1 standards in building open data cityHow to utilize GS1 standards in building open data city
How to utilize GS1 standards in building open data city
Daeyoung Kim
 
GS1 standards in agriculture - Jan. 2017
GS1 standards in agriculture - Jan. 2017GS1 standards in agriculture - Jan. 2017
GS1 standards in agriculture - Jan. 2017
Daeyoung Kim
 
Gs1 oliot-2017-02-15
Gs1 oliot-2017-02-15Gs1 oliot-2017-02-15
Gs1 oliot-2017-02-15
Daeyoung Kim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Daeyoung Kim
 
[경북] (주)우리프로테크 권민제
[경북] (주)우리프로테크 권민제[경북] (주)우리프로테크 권민제
[경북] (주)우리프로테크 권민제
startupkorea
 
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
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
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
becominglady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1 3. bk3(엔코아)데이터그랜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의 핵심-데이터경제-엔코아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1 3. bk3(엔코아)데이터그랜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의 핵심-데이터경제-엔코아[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1 3. bk3(엔코아)데이터그랜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의 핵심-데이터경제-엔코아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1 3. bk3(엔코아)데이터그랜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의 핵심-데이터경제-엔코아
K data
 
Oliot Consumer Electronics
Oliot Consumer ElectronicsOliot Consumer Electronics
Oliot Consumer ElectronicsDaeyoung Kim
 

Similar to GS1 food ecosystem trial in Korea (20)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gs1 gobal innovation 2017
gs1 gobal innovation 2017gs1 gobal innovation 2017
gs1 gobal innovation 2017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Tr gs1-oliot-소개-20170104
Tr gs1-oliot-소개-20170104Tr gs1-oliot-소개-20170104
Tr gs1-oliot-소개-20170104
 
Lh iot-bigdata-20181023
Lh iot-bigdata-20181023Lh iot-bigdata-20181023
Lh iot-bigdata-20181023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GS1 standards - Jan. 2017
GS1 standards - Jan. 2017GS1 standards - Jan. 2017
GS1 standards - Jan. 2017
 
글로벌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국제표준 적용
글로벌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국제표준 적용글로벌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국제표준 적용
글로벌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국제표준 적용
 
국가미래전략정기토론회 사물인터넷(김대영) - Final
국가미래전략정기토론회 사물인터넷(김대영) - Final국가미래전략정기토론회 사물인터넷(김대영) - Final
국가미래전략정기토론회 사물인터넷(김대영) - Final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How to utilize GS1 standards in building open data city
How to utilize GS1 standards in building open data cityHow to utilize GS1 standards in building open data city
How to utilize GS1 standards in building open data city
 
GS1 standards in agriculture - Jan. 2017
GS1 standards in agriculture - Jan. 2017GS1 standards in agriculture - Jan. 2017
GS1 standards in agriculture - Jan. 2017
 
Gs1 oliot-2017-02-15
Gs1 oliot-2017-02-15Gs1 oliot-2017-02-15
Gs1 oliot-2017-02-15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경북] (주)우리프로테크 권민제
[경북] (주)우리프로테크 권민제[경북] (주)우리프로테크 권민제
[경북] (주)우리프로테크 권민제
 
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
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
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1 3. bk3(엔코아)데이터그랜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의 핵심-데이터경제-엔코아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1 3. bk3(엔코아)데이터그랜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의 핵심-데이터경제-엔코아[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1 3. bk3(엔코아)데이터그랜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의 핵심-데이터경제-엔코아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1 3. bk3(엔코아)데이터그랜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의 핵심-데이터경제-엔코아
 
Oliot Consumer Electronics
Oliot Consumer ElectronicsOliot Consumer Electronics
Oliot Consumer Electronics
 

More from Daeyoung Kim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Daeyoung Kim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Daeyoung Kim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Daeyoung Kim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Daeyoung Kim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Daeyoung Kim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Daeyoung Kim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Daeyoung Kim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Daeyoung Kim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Daeyoung Kim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Daeyoung Ki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Daeyoung Kim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Daeyoung Kim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Daeyoung Kim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Daeyoung Kim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Daeyoung Kim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Daeyoung Ki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Daeyoung Kim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Daeyoung Kim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Daeyoung Kim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itum-9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itum-9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itum-9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itum-9of18
Daeyoung Kim
 

More from Daeyoung Kim (20)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itum-9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itum-9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itum-9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itum-9of18
 

GS1 food ecosystem trial in Korea

  • 1. 유통물류 및 식품안전 생태계를 위한 국제표준 전략 김 대 영 2018년 3월 22일 교수, 전산학부, KAIST 연구소장, Auto-ID Labs, KAIST • kimd@kaist.ac.kr, http://oliot.org, http://autoidlab.kaist.ac.kr, http://resl.kaist.ac.kr http://autoidlabs.org http://gs1.org
  • 2.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 미래 농업과 식품안전 생태계 혁신의 방향 1. 먹거리의 지속적 공급 2. 안전한 먹거리 보장 3. 데이터 기반의 농업 (4차 산업혁명)
  • 3.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 글로벌한 농축수산식품 생태계의 실현 농축수산 및 가공식품의 생산 물류 유통 소비 과정은 일반 상품과 다르게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 까지 복잡하고 다양한 절차를 거치게 됨 [안전한 먹거리의 지속적인 생산 및 공급]
  • 4.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4 EU와 미국의 식품 안전 포함 푸드 생태계 조성 잘못된 라벨링 식품정보공개(식품안전) / 이력 추적 진품 인증 리콜 서비스 Foods GS1 US & EU 푸드 관련법안 • US Bioterrorism Act • US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FSMA) • EU Food Law (EC) 178/2002 • EU Food Regulation EU 1169 • EU General Product Safety Directive (GPSD) to be replaced soon by a new EU Product Safety Regulation • Safe Foods for Canadians Act • 2015년 중국의 강화된 식품 안전법 제정 • 생산, 유통, 판매 전단계의 체계적인 엄격한 관리 및 감독 체계를 구성 • 식품 범죄 관련 벌금 및 기타 처벌 규정 제정 • 중국 주해시에 수십조원을 투자하여 식품 클러스 터 조성 • GS1 기반의 식품안전시스템 개발 및 시범적용 (2011-현재) • Auto-ID Labs, Fudan 과 CFDA, National Food Safety Institute, 기업 • 17개성 시범서비스 • 중국주해시 식품클러스터 사업 추진
  • 5.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5 국내의 농축수산 그리고 가공 식품 이력관리 체계 생산-물류-유통-소비 이력 관리가 핵심 국내 식품 이력 추적 코드 구 분 팜투테이블 생산이력추적시스템 축산물이력제 수산물 이력제 식품 이력제 스크린샷 관리기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풀무원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실시범위 생산/가공/유통/판매 생산/가공/유통 사육/도축/포장/판매 생산/가공/유통/판매 가공/판매 이력코드 이력추적관리번호 (12자리) 바코드 +타임바코드 이력추적관리번호 (12자리) 이력추적관리번호 (13자리) 이력추적관리번호 (18자리)  국내 농축수산물 및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은 농수산물, 축산물 및 수산물 이력관리법에 의거하여 운영되고 있음  각 부처/사업 마다 이력 코드가 통일되지 않아 FTA 및 국제 유통망에서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 농축산물 정보 포맷 및 접근 방법 등에 대한 표준정의도 이루어지지 않았음  농축산물의 상세한 정보 획득 및 추적/리콜에 대한 뚜렷한 솔루션이 없음 문제점: 식별체계, 메타데이터(상품정보), 이력추적의 부재, 제한적용, 다양한 방식 혼재, 국제표준 미적용
  • 6.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6 Humanitarian Logistics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공유하는 글로벌 프레임웍을 제공함 사람과 사물이 공존하는 사물인터넷 세상 (다양한 국가, 산업, 기업, 언어,…) “데이터 기반의 사물인터넷"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은 “데이터 산업”
  • 7.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7 GS1 Transforming how you share information 112개국 MO (Member Organizations), 170개 국가 공식 활용 5백만 이상의 기업 멤버로 구성된 비영리 국제표준기구 - 한국은 GS1 Korea (유통물류진흥원) 와 - Auto-ID Labs, KAIST 운영 1999년 Kevin Ashton, Auto-ID Center(Labs) MIT, 이 세계 최초로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용어와 기술 소개 Auto-ID Labs는 GS1의 선행표준기술연구 협력 국제 공동연구소 컨소시엄 (MIT, Cambridge, ETH Zurich, Keio, Fudan, KAIST)
  • 8.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8 GS1 Global Forum, Feb. 26 – Mar. 2, 2018, Brussels
  • 9.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9 GS1 국제 표준 GS1 식 자 표준을 통한 식 생산라인 생산자 상품 유통자 운 수 GS1 데이터 공유망 (GDSN)에 상품정보 제공 GS1 이 장소 (EPCIS)에 농축수산식품 이력에 관한 이 수 포획 가공 포장 수 상품정보 GS1 이력 추적 서비스 이 고 관리 리콜 관리 GS1 서비스를 이 한 구 상품 로운 상품 생산지/유통/물류/소비자의 GS1 국제 표준 이용 방법의 예
  • 10.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0 GS1 국제 표준 UN Global Compact 생산지 농가 GS1 GLN 코드 부여 농가 단위 이력 추적 기아 해소, 식품 안전 증진 네덜란드 Wageningen 육류 정보 이력 추적을 위해 GS1 EPCIS 도입 중 글로벌 기업 및 단체의 GS1 국제 표준 도입의 예
  • 11.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1 GS1 국제 표준 글로벌 기업 및 단체의 GS1 국제 표준 도입의 예 Nestle, Costco, 구글아마존, 알리바바 판매 브랜드 상품 GS1 식별자 부여 강제 GDSN을 이용한 상품의 최신 정보 제공 권고 GS1 웹 서비스 기술로 상품정보 내장 내장된 정보 해석하여 쉽고 정확한 검색 제공
  • 12.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2 일본 편의점 2025년까지 RFID 도입 선언
  • 13.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3 GS1 Company Prefix • GS1 국제 생태계에 들어서기 위해서, 각 기업이나 조직은 국가코드와 기업 코드로 이루어진 GS1 Company Prefix 를 확보해야 함 • GS1 Company Prefix 를 기반으로 기업은 다양한 글로벌 GS1 식 자를 사 할 수 있음 (GTIN, GRAI, GIAI, GLN, GSRN, ….)
  • 14.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4 주요 GS1 글로벌 식별자 (가상시나리오: 농업조합공동법인) 상품 코드 (GTIN, 8809045540005) 렌 자산 고소작업차 (GRAI) 농산물운반차량 자산 (GIAI) 물류 창고, 시설원예, 직 장 등 위치/장소 코드 (GLN) 인증서, 계약서류등 (GDTI)로컬푸드 고객, 직원 식 자 (GSRN)
  • 15.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5 주요 GS1 글로벌 식별자 (가상시나리오: 농업조합공동법인) 농기계 부품 코드 (CPID) 뉴얼 책자 (ISBN) 할인 쿠폰 (GCN) 운 코드 (GSIN) 탁 코드 (GINC) 청과 배 팔레 / 포장 박스 코드 (GRAI, SSCC)
  • 16.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6 GS1 국제 표준: 상품(사물) 분류 코드 체계 Global Product Classification (GPC) 생물 분류 코드체계인 “종속과목강문계” 처럼, 전세계 제품(사물)은 “세그멘트, 패밀리, 클래스, 브릭”의 4가지 계층으로 분류하며, 더욱 상세한 내용은 어트리뷰트로 제공 하고 밸류에 해당 값을 저장 (예. Source: 소, 양, 염소, 낙타등) Attribute (Milk) 동물 지방 수준 유기농 프로바이오틱 냉장보관 원료
  • 17.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7 농축수산물 표준 코드 (한국) - 공영도 시장 : 전국 35개 공영 도 시장 - 도 시장법인 : 공영도 시장에 등록된 105개의 법인 및 공판장, 중도 인, 경 사 - 조사기관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협중앙회, 수협중앙회, 축산물품질평가원 농축수산물 표준코드 (2015년 6차 개정)  적 대상 농축수산물 표준코드란, 농산물, 화훼류, 임산물, 축산물, 수산물, 가공품 등에 대한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유통 정보 공유를 위해 관리하는 품목, 위, 포장상태, 크기, 품질, 산지 코드임  정의
  • 18.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8 GS1 국제 표준: GS1 GDSN, GS1 Source, Cloud 글로벌 상품 데이터베이스 (신뢰성 있는 원본) • B2C의 상세 상품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GDSN, GS1 Source, GS1 Cloud 를 통해 상호 보완 및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예. 식품의 성분, 인증, 앨러지 정보등) “농식품부에 GS1 Source를 이 한 농축산식품에 대한 상품 데이터 운영 권고 - 현 산업통상자원부는 공산품 및 가공식품, 식약처는 의약품 및 의료 기기 GS1 상품데이터 운 진행중 • GS1 GDSN 이 국내 기관에 의해 운 되지않기 때문에, GS1 Source는 특정 산업에 특화된 국내 데이터베이스로 운 할 수 있음 - 표준화된 상품 데이터를 글로벌 하게 공유하기 위한 표준과 분산 데이터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2017년 1월 13일 현재 전세계 31개 Data Pool 운영 (1WorldSync가 40% 이상의 점유율) 상품 기본 정보, 사용법, 안전정보 성분, 영양정보, 앨러지등 초기 Deploy에 전세계 8,000만 상품정보가 Upload 됨 (한국도 2018-2020, 모든 상품정보 업로드 계획)
  • 19.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19 GS1 국제 표준: GS1 SmartSearch 와 Web Vocabulary 현재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데이터 (카오스) GS1 Web Vocabulary를 적용한 상품 표준 마스터 데이터 (코스모스) • 스마 상품 서비스를 위한 언어(Web Vocabulary) • 제품 정보에 대한 구조화된 데이터를 GTIN과 연결하여 엔진 및 인터넷 쇼핑몰 등에 제공하기 위해 GS1, 구글, 마 이크로소프 , 야후, Auto-ID Labs가 참여하여 개발한 GS1 표준 • 국가, 기업, 언어에 독립적인 로운 상품 데이터 표현 • “농식품부의 농축산표준 분류 코드"를 농가조합 홈페이지/ 쇼핑몰등에 탑 하는 것을 통해 기본 통계자료 수 가능 • 생산자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중간 유통업체를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음.
  • 20.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0 Digital Twin, Block Chains, End-to-end Visibility of Things EPCIS (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
  • 21.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1 GS1 국제 표준 – Lifetime 프로세스 모델링 기술 • ObjectEvent – 상품의 생성/관찰/제거 • AggregationEvent – 상품의 포장/적 • TransactionEvent – 상품의 판 상황 • TransformationEvent – 상품의 가공 상황 생성부터 판매까지 상품의 lifetime을 기록 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을 통해서 상품을 효율적으로 관리 What, Where, When, Why 를 통한 상세한 이벤트 정보 입력
  • 22.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2 GS1 국제표준: Common Business Vocabulary (CBV) 사물과 관련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기술하는 표준 어휘  사물인터넷 이 데이터의 상황을 표기 하기 위한 표준화된 어휘 (Common, User Vocabulary)  Identifier 의 Syntax 와 Vocabulary Element 표준화  전산업에 공 인 CBV와 산업 , 국가 , 기업 로 로운 User Vocabulary 표준화 가능 (1) urn:epcglobal:cbv:bizstep:assembling (4) bizstep:arriving (3) bizstep:departing (11)bizstep: destroying (7) bizstep:inspecting (5) bizstep:unloading (하차: 농산물, 사료, 비료등) (9) bizstep:repairing (10) bizstep:replacing (6) bizstep:retail_selling (2) bizstep:loading (상차: 농산물, 사료, 비료등) (8)urn:gs1:epcisapp: car:bizstep:ecall (사 자 표준 예제) (8)urn:epcglobal:cbv:disp: Damaged 산업 확장 지원 (농업, 헬스케어, 스마 시티,…) Also adopted by ISO/IEC ISO/IEC 19987:2015 standard
  • 23.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3 GS1 국제표준: EPC Information Service GS1 글로벌 표준 데이터 저장소 • EPC Information Service (EPCIS) • Current Version 1.2, Oct. 2016 • Also adopted by ISO/IEC ISO/IEC 19987:2015 standard 사물인터넷 이 를 장하는 분산 연합 데이터 베이스 / 왼쪽 그림 처럼 EPCIS 가 중앙에 하나 있는 게 아니라, 부품제조기업, 창고, OEM, 물류, 리테일이 모두 다른 회사 라면, 제각기 운영하고, 가상으로는 일의 데이터 장소로 보임  RFID를 위한 EPCglobal 표준은 지난 5년간 확장되어, 사물인터넷의 인프라 프레임웍으로 발전중임 미국 옥수수 원료 공급 평택항 사일로 농협 사료 농협 사료 농협/조합/농가 물류 조합/농가
  • 24.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4 • ONS (Object Name Service) • 사물의 클래스 수준 GS1 ID, 예를 들어 Global Trade Item Number (GTIN), 이용하여 연관된 서비스 메타데이터를 보유하 고 있는 ONS 네임서버를 찾고 그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 • 계란 산업에 적용 예시 • ONS 를 이용하여 계란 서비스 메타데이터를 찾고 서비스 공급자를 통해 다양한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 예) 계란 이력 추적, 상품 정보 보기, 리콜 서비스 등 GS1 국제표준: Object Name Service GS1 글로벌 서비스 등록 관리 검색 Korea JapanChina Taiwan Australia USA Brazil Switzerland England ONS Application ONS Client Service Provider ID Conversion Query/Response Local caching nameserver ONS Peer Roots GS1 ONS 의 계란 산업 적 예시 GS1 ONS 의 동작 방식 국가간 연동 분산 ONS 망 계란 서비스 타데이터 장 계란 서비스 사 자계란 생산지 물류 유통망 계란 소 업자 달 생산/유통 분산 EPCIS 계란 데이터 장 서비스 공급자 계란 생 데이터 계란 서비스 타데이터 등록 GS1 ID 계란 서비스 계란 이력 추적 계란 서비스 이 계란 상품 정보 생산일: 2017.11.09 생산지: 전 하장: AA 품종: 일반리콜 서비스 리콜 17.11.09 00:25 17.11.09 01:30
  • 25.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5 GS1-Traceability (이력추적표준) Factory  GS1 Global Traceability Standard에서는  상품의 생산-유통-소비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이력 추적 관리 (TRACK)  최종 상품의 원산지 확인을 위한 역 이력 관리 (TRACE)  시스템 구축 가이드라인을 제시
  • 26.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6 글로벌 이력추적을 위한 GTS 2.0 표준 GTS 2.0 표준의 주요 컴포넌트 식 표준 (Identify) 수 표준 (Capture) 데이터표준 (Share) GS1 인프라 GTS 2.0 표준 Global Traceability 2.0 GTS add-on for XXX GTS add-on for OOO 서비스표준 (Service)1 2 3 4 4 GTS 2.0 표준: GS1 인프라 및 타 이력추적 솔루션 간의 Interoperable 표준 (2017년 9월 완료) EPCIS Cross Sector 표준: EPCIS 저장소간 이력추적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2018년 3월 론칭) Discovery Service 표준: 이력정보 서비스를 위한 정보 Query 표 준 (2018년 진행 예정) GTS add-on 표준: 기존 산업 및 기업 인프라와의 연계를 위 한 확장 표준 (2018년 진행 예정) 1 2 3 4
  • 27.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7 농축산 생산-유통 현장에서 레퍼런스로 활 가능한 표준 가이드라인 마련 (TTA표준, 가이드라인 배포 등) GS1 국제표준 기반 농축산물 표준코드 생태계 구축 전략 제시 • 국내 농축산현장에서의 원활한 GS1 표준코드 및 시스템 적용을 위해선 국문화된 매뉴얼, 문서의 보급활동 이 필요함 • 농식품 ICT 융합 표준 포럼 농식품 유통 분과위원회의 GS1 국내 응 표준화 활동 결과 가이드라인 제시 협동조합을 위한 가축 이력 사설 인증 방법 (TTAK.KO-10.0938) -> GS1 Pedigree 환경 모니터링 센서정보의 표준 스키마 및 이 구조 (TTAK.KO-10.0939) -> GS1 EPCIS for sensor 농축산물 식품 타데이터 모델링 (TTAK.KO-10.0940) -> GS1 SOURCE 농축산물 서비스 탐 구조 TTAK.KO-10.0942 -> GS1 ONS EPCIS 기반 농축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 구축 지침서 -> GTS, EPCIS for Traceability 농축산물 GS1 표준 바코드의 레이블 출력 지침서 -> GS1 Barcode 농식품 유통 오픈 데이터를 위한 핵심 비즈니스 지침서 -> GS1 CBV 스마 축사 센서데이터에 대한 EPCIS 이 스키마설계 지침서 -> EPCIS for Smart Farm Data 2016 2017
  • 28.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8 2017년도 농업 유통 관련 표준화 국내 농축수산물 표준 바코드의 기본형태와, 응 식 자(AI)를 활 한 바코드 데이터의 확장 표현방법 정의 필수 표기항목을 준수한 국내 농축수산물 GS1 DataBar 바코드 표준 GS1 응용식별자를 통한 국 내 농축수산물 확장 적층형 GS1 DataBar 바코드 표준 농축산물 GS1 표준 바코드의 레이블 출력 지침서 필수 표기항목을 준수한 국 내 농축수산물 GS1 DataMatrix 바코드 표준 GS1 응용식별자를 통 한 국내 농축수산물 GS1 DataMatrix 바코 드 표준 확장형 필수 표기항목을 준수한 국내 농축수산물 GS1 QR Code 바코드 표준 GS1 응용식별자를 통한 국내 농축수산물 확장 적층형 GS1 QR Code 바코드 표준
  • 29.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29 • Auto-ID Labs, KAIST는 GS1 최신 표준과 사물인터넷 연구 결과의 레퍼런스 구현을 하고 있으며, Apache 라이선스를 따 르는 Oliot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통해 전세계에 공개하고 있 습니다. • GS1 Source • Pedigree • Traceability & Recall • ONS • DS • EPCIS • F&C • IoT connectivity Layer • Dashboard • http://oliot.org Auto-ID Labs, KAIST Oliot 오픈소스 프로젝트
  • 30.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0 Oliot 오픈소스 프로젝 운영 현황 • 오픈소스 활동 (2018년 1월 29일 기준) • 482 commits • 19 releases • 6 contributors • 10 watchers (c.f. Fosstrak: 4) • 15 stars (c.f. Fosstrak: 9) • 20 forks (c.f. Fosstrak: 10) • 구글 접속 분석 현황 (2018년 1월 29일 기준) • 9067 sessions • 5 continents • 100 countries • 1052 cities [GitHub commits 그래프] [구글 접속 분석 가시화]
  • 31.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사업 (2015.3 ~ 2018.2) GS1 기반 농식품 생태계 조성 본 과제는 GS1 국제 표준 기반의 농축수산물 정보 표준화 및 이를 통한 균형생산, 투명유통, 안전소비를 제공하는 농축산 클라우드 원천기술 및 응 서비스의 개발을 목표로 함 2018년 4월 5일 오픈
  • 32.
  • 33. 16 countries 71 partners
  • 34. FARM MACHINE INTEROPERABILITY PRECISION CROP MANAGEMENT WITHIN-FIELD MANAGEMENT ZONING SOYA PROTEIN MANAEMENT CHAIN INTEGRATED GREEN HOUSE PRODUCTION ENHANCED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CITY FARMING FOR LEAFY VEGETABLES ADDED-VALUE WEEDING DATA AUTOMATED OLIVE CHAIN
  • 35. BIG WINE OPTIMIZATION FRESH TABLE GRAPES CHAIN INTELLIGENT FRUIT LOGISTICS GRAZING COW MONITOR – HAPPY COW REMOTE MILK QUALITY MEAT TRASNPARENCY AND TRACEABILITY PIG FARM MANAGEMENT POULTRY CHAIN MANAGEMENT
  • 36.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6 Join Internet of Food and Farm (IoF2020) 2017-2020 Mooju Cheon-ma Traceability System Wanju Local Food Traceability System Food Safety & Global Traceability Testbed Establishment with Auto-ID Labs, Fudan in China Reached agreement, Interoperability Test in 2017 GTIN (02) 880 0123 454312 GTIN (02) 690 0152 116568 FQDN 0.1.3.4.5.4.3.2.1.0.0.8.8. FQDN 0.6.5.6.1.1.2.5.1.0.0.9.6. AUS ko | kr | gtin | AUS ko | kr | gtin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37.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7 농축산식품부 4차 산업혁명 비 신유통 전략 기획 2017.5 ~ 2017.11 로컬푸드/도 시장 급식 국제유통
  • 38. © Auto-ID Lab Korea / KAIST Slide 38 정박효과 (Anchoring) 인류의 독창성과 발명, 그리고 상상력에도 불구하고 사람 은 변화에 느리게 적응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3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우리가 고속의 유무선 인터넷을 깔려고 노력해 왔다면, 데이터와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데이터넷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GS1 은 그 중심에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