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3
Download to read offline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
데이터 기반의 글로벌 사물인터넷 융합을 위한 GS1 국제 표준
김대영, 정성관, 김상태, 변재욱, 우성필, 권기웅, 윤원득, 허세현, 임장관, 전태준,
Yalew Kidane, 조혜은, 강대연, 손봉진
kimd@kaist.ac.kr http://resl.kaist.ac.kr http://oliot.org http://gs1.org
Auto-ID Labs, KAIST (http://autoidlabs.org)
요 약
사물인터넷 비즈니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사물들에 대한 식별 및 데이터 공유
체계와 서비스 디스커버리 표준을 제공하는 GS1
(Global Standard 1) 국제 표준이 글로벌
사물인터넷 표준으로써 자리잡고 있다.
유통/물류분야의 지배적 표준에서 시작한 GS1 은
1999 년 세계 최초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란 용어와 개념을 소개한 이후,
스마트팩토리, 헬스케어 서비스 표준에서부터
금융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도메인
응용의 수평적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기반의 사물인터넷 표준으로서의 입지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S1 국제 표준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및 특징을 설명하고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 표준안들과 GS1 표준의
레퍼런스 구현인 Oliot(Open Language for
Internet of Things)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실제 글로벌 비즈니스에서의 적용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써의 GS1 표준의 전망을 제시한다.
Ⅰ. 서 론
네트워크의 영역이 스마트폰을 넘어 사물로
확장되면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반기술인
사물인터넷이 ICT 분야를 넘어 4 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이끄는 메가트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기술은 소형 사용자 단말
서비스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공장, 농업, 의료,
물류 등 다양한 산업 생태계 조성에 핵심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
생태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생태계 실현을 위해, 기존의 IEEE,
ISO/IEC, W3C 등의 ICT 국제 표준과 Google,
Apple, IBM, ARM 등의 산업계 솔류션, 그리고
스마트그리드, 공장자동화등 기존 산업 도메인
자체의 표준, 비표준 기술들과 함께, OneM2M,
OCF 등의 새로운 사물인터넷 특화 표준화
기구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물인터넷 표준 및
규격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신규 사물인터넷 표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존 표준,
비표준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산업 도메인 응용
생태계의 진정한 수평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노력들은 상대적으로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공유 기반의 다양한
산업도메인의 수평적 통합과 사물인터넷 융합
서비스를 위한 GS1 국제 표준을 소개하고자 한다.
GS1 표준은 통신 프로토콜 및 서비스 매쉬업 규격
중심인 다른 사물인터넷 표준과는 다르게 사물에
대한 식별 및 사물이 만들어내는 데이터의 표준
공유 체계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및 비지니스
모델 표준화를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이란 용어와 개념은 GS1 표준기구의
산하 국제공동 연구 컨소시엄인 Auto-ID Labs 에서
1999 년 세계 최초로 소개하였으며, 꾸준히 그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선행 기술 연구와 더불어
국제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GS1 표준기구는 산업분야 표준 그룹을
적극적으로 운영하며, 다양한 비즈니스
이해관계와 요구사항을 가지는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를 통한 서비스 모델 표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다양한 특화 시장이 존재하는
사물인터넷 비즈니스에 있어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GS1 은 소매(Retail),
의료(Healthcare), 운송 및 물류 (Transport &
Logistics), 식품(Food Service),
기술산업(Technical Industry)등에 걸쳐 서비스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으며, 그 범위를
금융서비스분야까지 확장하고 있다. 또한
GS1 표준안의 다양한 산업 적용을 위해 ISO, IIC,
Industry 4.0 등 다른 국제표준 및 산업표준과의
협력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 장에서
GS1 표준 기구 및 주요 표준화 내용을 기술하고,
3 장에서 GS1 의 주요 산업별 서비스 표준
개발현황을 다루고, 4 장에서 GS1 표준
사물인터넷 플랫폼인 Oliot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5 장에서는 글로벌 GS1 표준서비스
적용 사례 소개와 6 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2
Ⅱ. GS1 핵심 표준 소개
2.1 GS1 국제 표준 기구
GS1 은 데이터 중심 글로벌 비즈니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사물 정보의 식별(Identify),
수집(Capture), 공유(Share), 활용(Use)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비영리 국제표준
기구로서, 2016 년 기준 112 개 회원국과 수백만
이상의 비즈니스 파트너인 기업들로 구성된다.
[1] 미국의 바코드 체계인 UPC(Universal Product
Code)를 관리하기 위해 1973 년 설립된
UCC(Uniform Code Council)와 1977 년 유럽의
바코드 체계인 EAN(European Article Number)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EAN(European Article
Numbering Association)은 1990 년 UCC/EAN 으로
합병된 이후 2005 년부터 GS1 으로 통합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GS1 은 MIT, Cambridge, ETH Zurich, Fudan,
Keio, KAIST 의 6 개 대학으로 구성된 Auto-ID
Labs 와의 기술적 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1999 년 Auto-ID Labs 의 전신인 Auto-ID
Center 에서 세계 최초로 사물 인터넷 용어와
개념을 소개하였다. 그후 꾸준히 표준의 범위를
사물인터넷 및 B2C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회원국 및 수백만 이상의 비즈니스 파트너 기업
들과 함께 43 년간의 표준 운영 경험 및 인프라를
바탕으로 기술 및 서비스 표준화 작업을 진행
하고 있다.
표 1 GS1 의 현재 대표적 Work Group 예
구분 그룹명 표준화 대상
Mission-
specific
Work Group
(MSWG)
GSMP Application
Standard for MRO Object
in Rail
철도 유지 관리
서비스
GSMP EPC Information
Service (EPCIS) and Core
Business Vocabulary (CBV)
EPCIS, CBV 표준
GSMP High-speed Barcode
Printing
DotCode 기반
바코드 프린팅
GSMP Tagged Item Performance
Protocol(TIPP)
RFID 스캐닝
최적화
Standards
Maintenance
Group
(SMG)
GSMP Barcodes GS1 바코드
GSMP Data Accuracy
데이터 수집
정확도 향상
GSMP EDI GS1 EDI
GSMPGlobalMasterData(GMD) GS1 GDSN
GSMP Global Product
Classification (GPC) 사물 분류 코드
GSMP Identification 사물 식별 코드
GSMP Traceability and
Event Sharing 이력추적
Industry
Group
Consumer Product Variant
Discussion Group
상품 변형 정보
표준화
Fresh Foods 식품 서비스
GlobalDataSynchronization GS1 GDSN
Healthcare 건강 이력정보
Transport & Logistics 운송/물류
그림 1 GS1 국제 표준 기구의 주요 표준 개념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3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가 중심인 다른
사물인터넷 표준들이 통신 및 서비스 매쉬업등
기술 중심적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는 것과는
다르게, GS1 은 다양한 산업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사물의 식별체계, 데이타
및 서비스 공유 방식을 표준화 하며, 의료,
스마트팩토리등 산업별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서비스 표준안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GS1 표준의
특징은 다양한 시장이 존재하는 글로벌
사물인터넷 비즈니스에 있어서 기업간 공유하는
데이터를 표준화 함으로써, 이종의 산업 도메인과
기업의 시스템을 수평적으로 통합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GS1 표준은 GSMP(Global Standard Management
Process) 라는 표준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2] GS1 표준 Work Group 은 필요에 의해 수시로
구성되며, 표 1 에서 소개한 대표적인 Work
Group 같이 2016 년 현재 EPCIS Work Group 을
포함한 MSWG(Mission-specific Work Group),
Traceability 를 포함한 SMG(Standards
Maintenance Group), Fresh Food 를 포함한
Industry Group 이 협력하여 GMSP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Auto-ID Labs 는 산업계와
협력하여 선행 표준안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대표적인 업적으로 RFID, EPCglobal 프레임웍,
SmartSearch 등이 Auto-ID Labs 가 주도한 표준
기술이다.
GMSP 표준화 과정은 1) 회원국 및 파트너
기업들의 Work Request 를 통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2) 관련 Work Group 을 통한 표준 합의
과정을 거쳐, 3) GS1 Standard (표준안) 와 GS1
Guideline (권고안) 형태로 공개된다. GSMP
표준화 과정에서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GS1 Global Office: 전체적인 GSMP 표준화
과정과 각 Work Group 을 운영 및 관리함 (표준화
과정에서 투표 등 의견 개입활동을 하지 않음)
2) GS1 Member Organization: GS1 회원국으로써
자국의 입장을 반영하고, 표준안에 대한 실질적인
운영을 담당 하며, 한국은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유통물류진흥원이 한국 GS1 KR MO 임
3) GS1 Member: 각 회원국의 파트너 사 및
조직으로써, 비즈니스의 이해관계를 반영
4) Solution Provider: GS1 표준 기반 솔루션
및 제품 개발사로써 기술적 관점에서 표준화 기여
GS1 표준은 사물의 생산, 유통, 소비(활용) 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 사물 및 상품을 식별하고
추적 및 관리하기 위해 글로벌 식별 코드 체계를
표준화하여, 각 기업이나 서비스가 자신의 상품,
자산, 사람, 위치, 기업 및 서비스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유무형의 오브젝트에 할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물의 전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트랜잭션, 이벤트들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표준
어휘와 스키마를 제공하며, 수집 된 정보를
글로벌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하는 EPCglobal 표준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시간과
장소에서 발생하는 각 기업이나 서비스의 이벤트
정보 공유시 요구되는 상호 운용 구현을 위한
비용을 줄이고, 표준화 된 문맥으로 서로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GS1 은 여러 국제표준단체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GS1 의 데이터 공유
표준안인 EPCIS 와 Traceability 표준안의 경우
GS1 표준임과 동시에 ISO 표준으로 지정되어있고,
Global Traceability Work Group 의 경우 CGF
(Consumer Goods Forum)와의 협력을 통해
공동으로 API 표준안 작업이 진행 중이다. [3]
또한 GS1 독일이 주도하여 IIC(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와 스마트 팩토리 표준화에
대한 협력이 진행 중에 있다. 식품안전시스템의
경우, 미국의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유럽의
EU 1169/2011 푸드정보화법에 의거하여 GS1
표준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의료기기에 GS1
표준을 사용하도록 하는 FDA UDI 규정에도 GS1
표준안이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GS1 은 정책 및
전략적인 측면에서도 국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를
위한 국제표준으로서의 자리를 확고히 잡아가고
있다.
표 2 GS1 표준의 타 국제 표준 협력 현황
GS1 주요 표준 협력중인 타 국제 표준
GS1 Identification
Key
ISO/IEC 15459 (GTIN,SSCC,GSIN)
ISO/IEC 6523 (GLN)
EPC Information
Service (EPCIS)
ISO/IEC 19987:2015
Core Business
Vocabulary (CBV)
ISO/IEC 19988:2015
Traceability
ISO 22005:2005 / ISO 22005:2007
ISO 22003:2013 / ISO 22004:2014
ISO9001:2015
CGF Traceability OPEN API
Technical Industry
Group
Industry 4.0
IIC(IndustrialInternetConsortium)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4
2.2 주요 기반 표준
2.2.1 GS1 사물 식별, 분류, 어휘 표준
데이터 기반의 사물인터넷 표준인
GS1 국제표준은 사물의 글로벌한 가시성 제공을
위해서, 사물이 직접 생성하는 또는 연관된
정보를 단일 언어로 기술할 수 있게 하는
사물인터넷 국제표준 언어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명사에 해당하는 글로벌 식별자 표준인 GS1 ID
keys 및 사물 분류 코드인 GPC(Global Product
Classification), 그리고 동사에
해당하는 CBV(Common Business Vocabulary)를
제공하고 있다.
GS1 이 정의한 사물인터넷은 다른 표준에서
지원하고 있는 협의의 스마트한 사물 뿐만 아니라,
바코드, RFID 로 인식되는 수동형 사물을
포함하여, 사람, 문서, 더 나아가 가상의
사물까지 지원하고 있다.
표 3 에 일부 요약된 것처럼, GS1 ID
keys 표준은 다양한 산업 도메인의 사물인터넷
서비스에서 필요한 상품부터 사물, 서비스 관계,
물리적 장소, 사람까지 아우르는 강력한 식별
체계를 정의하고 있으며, 사물의‘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클래스 레벨의 ID 뿐만 아니라
‘개별 사물’을 구분할 수 있는 인스턴스 레벨의
ID 또한 제공한다. 예를 들어 GTIN 은 사물의
종류까지 구분하는 식별자이며, SGTIN(Serialized
GTIN)은 사물의 시리얼 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이다.
표 3 주요 GS1 식별자 (ID Key)
식별자(ID Key) 식별대상 예시 길이
Global Trade Item
Number(GTIN)
제품, 서비스
옷, 스마트폰, 스마
트카, 스마트센서
8, 12,
13, 14
Digits
Global Location
Number(GLN)
물리적 공간,
특정 장소
빌딩, 공장, 드론
기지
13
Digits
Serial Shipping
Container
Code (SSCC)
물류 단위
팔레트, 롤 케이지,
소포의 단위 하중
18
digits
Global Returnable
Asset
Identifier (GRAI)
반환 가능한
자산
팔레트 케이스, 스
마트 헬스 대여 장
비
13
digits
Global Individual
Asset
Identifier (GIAI)
기업 자산
트럭, 기차, 컴퓨터
등 장비 자산
N – 30
digits
Global Service
Relation
Number (GSRN)
서비스 제공
업체 및 수령
인 관계
병원의 환자,의사
및 백화점 고객,
직원
18
digits
Global Document 문서 세금 청구서, 선적 13 – 30
Type
Identifier (GDTI)
확인서, 운전 면허 digits
Global Identification
Number for
Consignment(GINC)
위탁화물
해양 컨테이너에서
함께 운송되는 물
류 단위
N – 30
digits
Global Shipment
Identification
Number(GSIN)
발송물
고객에게 함께 전
달되는 물류 단위
17
digits
Global Coupon
Number(GCN)
쿠폰
디지털 쿠폰, 블루
투스 비콘
13 – 25
digits
Component/Part
Identifier(CPID)
구성 요소 및
부품
자동차 부품
N – 30
digits
GS1 ID keys 는 그림 2 와 같이
기본적으로 Company prefix, Reference number,
Serial/extension number 로 구성되어 있다.
Company prefix 는 GS1 글로벌 오피스 및 MO 에
의해서 할당되며, 국가 및 기업을 구분하는
코드이다. Reference number 는 각 사물의 종류를
구분하는 코드이며, 개개 사물의 구분을 위해서
Serial/extension number 를 사용할 수 있다. 각
기업의 유무형 사물과 서비스에 자신의 Company
Prefix 를 포함한 GS1 ID Keys 를 할당함으로써,
글로벌하게 식별 및 운영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국가코드는 3 자리로서 해당국가의 기업과
유무형의 상품, 사물, 서비스의 수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그런데 한국은
“880”하나를 할당 받아서 미국 110 개, 프랑스
80 개, 독일 41 개, 일본 20 개, 중국 10 개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여 향후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이게 될 것이기 때문에, 추가
국가 코드 확보가 절실하다.
그림 2 GS1 식별자 (ID Key) 의 기본 구성
GPC 는 사물의 글로벌 분류 코드 표준이며,
생물분류체계인 “종속과목강문계” 처럼 전세계
모든 사물을 “Segment, Family, Class, Brick”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5
의 4 가지 계층으로 분류하며, 자동차의 전륜,
후륜, 가솔린, 디젤엔진 과 같은 세부 분류
정보는 Attribute 를 통해 추가 분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CBV 는 사물인터넷 표준 공유 데이터 저장소인
EPCIS 에 사물의 동적인 이벤트 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통 표준 어휘에
대한 정의를 제공한다. 표준 어휘는 사물의
전생애 주기나 산업 도메인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도출한다. CBV 표준에서
제공하는 표준화 된 어휘를 사용하여 문맥을
통일시킴으로써, 기업간 또는 산업도메인간 상호
운용성에 도움을 주고, 서로 다른 비즈니스
시스템이 공통의 의도를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정보의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GS1 은 각 국가나 산업별, 또는 기업
내부적으로 필요한 사용자 어휘(User
Vocabulary)를 정의할 수 있는 방식을 표준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표 4 Core Business Vocabulary (CBV) 활용 예제
비즈니스 단계
Vocabulary 값 정의 예시
commissioning 코드 발급
병원에서의 환자 관리코드
(GSRN) 발급 및 진료시 진료코
드 (SRIN) 발급, 스마트 장비,
서비스, 장소, 사람의 코드 발급
Accepting 소유권 변경
스마트 헬스 장비의 대여/반납,
대여가능한 사물, 서비스의 사
용자 변경에 활용
Arriving/departing
사물의 이동
(도착/출발)
환자의 병원 이동 활동, 드론의
목적지간 이동 활동, 스마트 사
물의 이동 및 추적 서비스 활용
Assembling 사물의 조합
위치 안내 사물(GLN)과 위치에
따른 안내 서비스의 융합,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인터넷 사
물간의 융합서비스 창출에 활용
collecting
사물의 정보
수집
사용자 식별 (GSRN)의 수집을
통한 스마트팩토리의 출퇴근 체
크, 환자의 검진기록 수집 등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물 정보 수집에 활용
그림 3 의 예처럼, GS1 의 GS1 ID keys, GPC,
CBV 를 사용하여 “GIAI 자산코드를 갖는 기차
A 가 SGLN 위치코드로 식별되는 B 역에, bizstep
CBV 표준어휘인 arriving 을 사용하여 도착하고
있다 ”라는 하나의 이벤트를 EPCIS XML 표준
문서로 표현 가능하며, 이 XML 표준 문서는
EPCIS 란 분산된 사물인터넷 표준 데이터저장소에
저장되고 공유될 수 있다. 해당 EPCIS 표준
문서는 EPCIS 표준 쿼리 API 를 통해
획득가능하며, 전세계 어떤 소프트웨어도 동일한
의미로 해설할 수 있게 된다.
그림 3 CBV 를 이용한 EPCIS Event 표현 예
2.2.2 EPCglobal 프레임워크
GS1 표준에서는 사물의 식별, 어휘체계를 통해
기술된 사물의 정보를 수집 및 공유할 수 있는
EPCglobal 표준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본
프레임워크는 RFID 정보 공유 표준으로서 유통
물류 도메인에서 서비스를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현재 EPCglobal 프레임워크는 그 영역을
사물인터넷 분야로 확장하여 다양한 사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표준화 된 방법으로
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
활용된다. EPCglobal 확장 프레임워크의 전체적인
구조는 그림 4 와 같으며, 핵심 컴포넌트 부분을
아래에 소개한다.
스택 최하단의 LLRP(Low Level Reader
Protocol)는 IoT 디바이스 연결 범주에 속한
표준이며, GS1/ISO RFID 리더의 작동 방식과 상위
ALE 미들웨어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다. RFID 태그가 부착 된 사물의 경우,
RFID 리더에서 읽어들여 LLRP 프로토콜을 통하여
ALE 로 전달된다. LLRP 는 GS1 에서 유일하게
정의된 RFID 사물통신 프로토콜이며, 확장
구조에서는 블루투스, LwM2M, oneM2M, OCF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 지원
가능하다.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6
그림 4 GS1 EPCglobal 프레임워크 확장 구조
ALE(Application Level Event)는 RFID, 바코드,
스마트 디바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사물들을
추상적으로 제어 및 관리하고, 사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 스트림을 필터링 및 그룹핑하여
추상화된 이벤트로 변환하여 캡쳐링 응용
컴포넌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캡쳐링 응용
은 EPCIS 표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사물의
정보를 EPCIS 표준 다큐먼트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는 각 기업이나 응용에서 운영하게 되는
글로벌 분산 데이터 저장소로서, 다양한
사물들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으로 발생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다큐먼트 형식으로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게끔 한다. 데이터 저장과 쿼리를
위한 Capturing API 와 Query API 를 제공한다.
전세계의 분산 EPCIS 데이터 저장소는 표준 GS1
ID Keys 를 통해 하나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처럼
작동된다.
ONS 는 해당 사물에 연계된 서비스를
글로벌하게 등록하고, 찾아주며,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는 네이밍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GS1 식별자를 가지는 특정 자동차를 위한 리콜,
검사, 구매 서비스등을 등록하고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인터넷의 DNS 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ONS 클라이언트가 사물의 식별자를 ONS
쿼리로 변환해 Root ONS 에 요청하면, 전 세계에
계층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ONS 서버들 중에서
해당 사물의 서비스 레코드 리스트를 가진 Local
ONS 서버로 쿼리가 전달되고 결과가 반환된다.
사물 연계 서비스는 국가와 언어별로 따로 등록
관리가 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위치한 현재
국가,사용 언어에 따라 최적의 서비스가 탐색된다.
Discovery Service(DS)는 GS1 검색 서비스로서,
GS1 식별자에 대응하여 해당 사물관련 이벤트
정보를 저장한 전세계의 EPCIS 데이터 저장소
서버 정보를 찾아준다. DS 클라이언트는 검색된
EPCIS 서버를 추가적으로 접근하여, 찾고자 하는
사물 정보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Traceability 는 사물의 생산에서부터 유통,
물류, 그리고 사용에 이르기 까지의 전과정의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력 관리 서비스
표준이다. GS1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한 사물에
대한 추적 및 리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
될 수 있다.
ePedigree 는 상품의 생산/유통 과정을
기록함으로써, 이력 정보의 신뢰성을 제공해주기
위한 서비스이다. 상품의 물류/유통 과정에서
제품의 정보를 페디그리로 저장하며 PKI 인증서로
서명하고 다음 유통 주체로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이는 상품의
진품여부를 파악하거나, 의약품의 물류/유통 및
판매 과정에서 중요한 생산/유통 정보의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농식품의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품 안전성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페디그리 표준은
농식품 안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GS1 Source 는 메타데이터 서비스로서, 특정
상품이나 사물의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표준 스키마를 제공한다. 또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비스인 데이터
어그리게이터는 인증을 받아 운영됨으로써 저장
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개발자나
소비자들은 사물의 식별자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정확하고 믿을 수 있는 사물 메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다.
2.2.3 GS1 Web Vocabulary
GS1 Web Vocabulary 는 GS1, Auto-ID Labs,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등이
함께 SmartSearch 라는 이름의 표준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름, 가격, 크기와 색상, 성분
정보등 제품에 대한 구조화된 웹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데이터를 GTIN 키와 연결하여
인터넷 쇼핑몰, 검색엔진 등에 제공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검색 엔진에서는 이 표준화된
Vocabulary 를 키로 활용하여 정확도가 높은 검색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7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에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제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HTML 방식의 비구조화된 제품 정보에
비해, GS1 Web Vocabulary 표준을 이용함으로써,
생산자는 자사 제품의 정보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넷 쇼핑 몰 개발자나
검색 사업자들은 데이터 획득의 용이성과
검색엔진 최적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자는 원하는 정보를 100%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GS1 Web Vocabulary 는 2016 년 2 월, 웹
페이지의 구조화 데이터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는
schema.org 의 첫 번째 외부 확장표준으로도
발표되었다.
2.2.4 기타 GS1 표준들
이 외에도 GS1 에서는 사물인터넷을 위한 다양한
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GS1 Barcode 는 제품
번호나 일련 번호 등을 레이저 또는 카메라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쉽게 스캔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미 전세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미 일반 대중에게도 바코드라는 용어는
익숙해져 있으며, 1 차원 바코드의 사실상 전부가
GS1 Barcode 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GS1 에서는
Data Matrix, QR, Data Bar 등 2 차원 바코드에
대한 표준 역시 제공하고 있다.
GS1 EDI 표준은 비즈니스 트랜잭션 중에
발생하는 메시지 이벤트와 교환에 대한 표준을
제공한다. GS1 EDI 표준을 통해, 주문, 납품 및
재무 정산 관리는 물론, 운송 및 창고 관리까지
전자화된 표준 정보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
표준은 물류, 무역, 전자상거래, Health care ,
스마트팩토리, 분야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GS1 GDSN(Global Data Synchronization
Network)은 제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분산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관한
표준이다. GTIN 을 가지는 제품이나 사물에 대한
표준 정보를 글로벌한 데이터풀에 저장하고,
누구나가 정보를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공급 업체나 소매 업체가 제품 정보를 업데이트
할 때, GS1 표준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세계의
37 개 데이터풀이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보장받을 수 있다.
지금까지 소개한 GS1 의 표준들은 서로가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다. 아주 작은 소비자용
사물에서부터 글로벌한 물류 및 철도 시스템까지,
모든 사물이 생성해 내는 정보를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하나의 거대한 데이터
기반 사물인터넷 생태계를 구축하게 된다.
Ⅲ GS1 주요 서비스 표준 개발 현황
3.1 Transport & Logistics
운송 및 물류 서비스 제공자들은 물건들이 언제
어디에 있고, 어디서 왔는지 또 어디로 가는지를
실시간 모니티링할 필요가 있다. GS1 표준은 이와
관련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여 가시성을 높이며,
최적의 의사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GS1 GSMP 의 Transport & Logistics Work Group 은
GS1 표준을 이용해 운송 및 물류의 효율성, 속도
그리고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배송관리,
교통관리, 창고관리, 자산관리, 국경프로세스
관리와 같이 5 개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또한 XML
기반의 Logistics Interoperability Model
(LIM)을 제정하여 이 분야에서 파트너들간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고 있다.
표 3 GS1 Transport & Logistics 표준 도입 사례
관련 비즈니스
프로세스
도입 기업 도입 분야
배송 관리 Tesco 식료품 관리
교통 관리 Stena Line 선박 관리 자동화
창고 관리 Uniever 창고 관리 지원과
유지 비용 감소
자산 관리 Kibun 손수레 수송을 분
단위로 관리
국경 프로세스
관리
World Customs
Organization (WCO)
국경 컨트롤 지원
3.2 Retail
GS1 은 소매 (retail)와 관련한 서비스 표준도
정의하고 있다. 소비자가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을 끊임없이 바꿔가며 이용하고 소매상은
이에 재빨리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개념인 옴니 채널을 기본
모델로 삼고 있다. GS1 옴니 채널 전략은 더
정확한 검색, 강화된 상품 정보, 최적화된 소비자
충족, 스마트한 분석, 안전한 상품 제공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의류 분야에서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8
Levi Strauss & Co. 에서는 EPC 가 가능한 RFID 를
사용해서 멕시코 시장을 공략하고 있고, 또한
이탈리아의 음식 소매상인 Iper, La grande
i 에서는 GS1 데이터바를 사용해 자동으로
유통기한 관리를 함으로써 음식 낭비를 줄이고
있다. Tesco and Dairy Crest 도 GS1 표준을
사용해 소매업에서 배달 정확도 99.5%를 달성하는
등 여러 업체에서 GS1 표준을 도입하고 있다.
GS1 옴니 채널과 관련한 표준은 GS1 Smart
Search, GS1 Source, Digital Coupon
Management 가 있다. GS1 Smart Search 는 상품의
GTIN 과 구조화된 상품 정보를 연결시켜 효과적인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GS1 Source 는 신뢰성
있는 상품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서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모바일 앱 등 사용자를 직접
대면하는 디지털 채널을 제공할 때 활용된다.
Digital Coupon Management 표준은 디지털 쿠폰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는데 쓰이는 표준이다.
3.3 Health Care
그림 4 영국 NHS 병원의 GS1 표준 활용 사례
GS1 의 헬스케어 주요 서비스 표준 개발은 병원
및 기업에서 의약품 및 의료 기기의 이력
추적(Traceability) 실현 및 EDI 를 통한 의료
정보 교환 표준 정립에 주요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6 년 초에는 Healthcare EDI Implementation
Kit 을 배포하여 GS1 표준을 따르는 의약품
생산자, 병원, 약국 사이의 GS1 표준 기반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고 있다. 호주의 ACT 자치구의 경우
GSRN 과 SRIN 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ID 밴드를
부여하고 있으며, 병원 스태프에게도 GSRN 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의약품에도 GTIN 및 GLN 을
활용하여 환자 및 병원 스태프가 사용하는
의약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호주 외에도
미국, 영국, EU, 사우디 아라비아, 터키 등 GS1
표준을 활용한 의약품 이력 추적 시스템 구축을
완료 또는 진행 중인 국가가 다수 존재하며,
미국의 경우 FDA 의 Global UDI
데이터베이스(GUDID)에 50 만개 이상의 의료
기기가 GTIN 기반의 ID 로 등록되어 있다. 영국의
경우 의료체계 전반에 걸쳐 GS1 표준을 채택하여
발전시켜 나가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 예로
영국의 NHS(National Health Service) 병원은
병원 내의 모든 의료 물품 및 의약품에 GS1
표준을 따르는 자체 바코드를 삽입하였고, 자체
개발한 hTrack 이라는 바코드 스캔 기기를
이용하여 이력 추적 및 물품 관리를 실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연간 약 30%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이 밖에도 Roche, DHL.
AmerisourceBergen 등 다양한 병원 및 기업에서
GS1 표준을 의료 분야에 활용하고 있으며, GS1
또한 매년 두 차례 GS1 Healthcare Conference 를
개최하여 정부, 병원, 기업 간 활발한 교류 및
표준 관련 논의를 지원하고 있다.
3.4 Fresh Food
GS1 Fresh Foods Industry 그룹은 각 회원국의
식품 산업분야의 생산자, 유통업자, 식품
서비스업자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참여를 통해
운영되며 주요 미션은 식품 이력추적, 안전관리,
SCM 최적화,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 등이다. EU 에
소속된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표준안 작업 및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어류(Fish),
과일/야채 (Fruit & Vegetable), 육류/가금류
(Meat & Poultry), 일반(General)등 4 개의
섹션에 걸쳐 총 16 개의 식품 서비스 권고안
(Food Service Guideline)을 도출하여 공개
중이다. 각 권고안에서는 식품의 식별체계,
이력추적체계, 바코드 디자인 등에 걸쳐 GS1
표준을 실제 식품 서비스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권고사항들을 기술하고 있다.
Fresh Food Industry 의 권고사항들은 식품
서비스의 판매시점에 식품의 이력정보의 공개를
의무화하는 EU1169/2011 EU 규정과 맞물려 유럽
내 식품서비스를 위한 정보서비스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은
2015 년 식품안전법을 제정하였으며,
스마트팜에서부터 식품안전소비에 이르는 전
생태계에 GS1 표준 적용을 준비하고 있다.
3.5 Technical Industry
GS1 독일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술 산업분야의
파트너사들과 함께 당면 과제인 생산 공정 최적화,
위조품 방지, 제품사후관리 및 이력추적 등의
이슈를 다루고 있다. 주요 서비스 표준화 범위는
제품 생산에서부터 소비자에 이르기 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들의 수집 체계에 대해
표준안을 마련 중이며, Industry 4.0, IIC 등과의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9
협력관계를 통해 GS1 표준의 식별, 공유,
이력추적체계를 활용한 산업 표준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4]
주요 파트너사인 Bosch 그룹은 BMW, 다임러,
DHL 등과 함께 GS1 표준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구축에 필요한 사물 및 이벤트 인식의 핵심
표준으로 인식하여 RAN (RFID-based Automative
Network)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Bosch 그룹은 서비스 표준안
이외에 CBV 표준안 작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동차 생산 공정상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GS1 EPCIS 에서 수용하기 위한 "Automative
Business Steps" Vocabulary 및 이벤트에 대한
표준화를 적극적으로 이끌고 있다. [5]
3.6 Financial Service
Auto-ID 와 EDI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GS1
표준은 현금 공급 체인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데도 쓰이고 있다. 유럽의 중앙 은행들은
GS1 표준을 도입하여 그들의 현금 처리
프로세스를 연결된 다른 은행들이나 소매상, 현금
수송자들과 함께 조직하고 있다. 미래에는
상업적인 기관들이 이러한 표준을 end-to-end 로
구현함으로써 이득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사례의 하나로 독일에서는 지폐나 현금
등의 흐름을 추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
나가고 있다. GS1 독일에서 발간한 백서 (white
paper) [6]에 따르면, CashEDI 와 같은 표준 현금
처리 솔루션은 단지 시작일 뿐이고, GS1 표준들의
end-to-end 적용은 현금 사이클 내에서 프로세스
최적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GS1 독일은 은행
및 소매상 등 소비자들과 서비스 및 기술
제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일을 식별하고
우선순위를 매겨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이득을 볼 수 있는 미래 타겟 시나리오는 1)
보유고 예측 및 보유 가능량 플래닝을 통한 현금
최적화 2) 미리 경고하는 기능 및 컨트롤 기능을
포함한 주문과 수송 트래킹 3) 지폐 적합도
정렬과 적절한 보고를 통한 재순환 4) 만일의
비즈니스 사태를 위한 운용 리스크 관리 및 여러
벤더 관리 5) 첨단 현금 사이클 관리를 위한
새로운 ATM 기술 6) RFID 와 ATM 카세트의 표준화
등이다.
Ⅳ. GS1 오픈소스 프로젝트 (Oliot)
Oliot[7]은 Auto-ID Labs, KAIST 가 GS1 과
협력하여 개발하고 있는 EPCglobal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최신 버전의 GS1 EPCglobal 표준 및 관련
서비스들의 레퍼런스 구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물인터넷을 위한 새로운 기능 및 성능에 중점을
둔 확장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Oliot 은
핀란드어로 사물을 지칭하는 Olio 의 복수형이다.
Oliot 플랫폼은 사물 인터넷 생태계 말단의
연결성 (IoT Connectivity Layer)으로부터 데이터
필터링 및 콜렉션 미들웨어 (Oliot F&C), 기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Oliot EPCIS), 서비스
레지스트리(Oliot ONS, DS), 애플리케이션(Oliot
Pedigree, Traceability & Recall), 메타데이터
서비스(Oliot GS1 Source)까지를 아우르는 사물
인터넷 인프라스트럭쳐 플랫폼이다. IoT
그림 5 GS1 Technical Industry Group 의 주요 서비스 표준 프로세스[4]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0
Connectivity Layer 를 통해 수집되는 다양한
사물의 데이터를 F&C 를 통해 필터링 및 콜렉션을
수행하여 정제하고, 이를 EPCIS 에 시계열로
저장하여 ONS, DS, Traceability & Recall 등의
상위 응용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Oliot 플랫폼의 뼈대가 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EPCIS 는 다양한 기업 및 기관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분산 시스템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글로벌한 사물 식별 및 데이터 관리에 특화되어
있다. 이러한 Oliot 플랫폼 아키텍쳐의 모듈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몇 가지를 아래에
간략하게 소개한다.
그림 7 Oliot 사물인터넷 플랫폼 구조
4.1 Oliot F&C Middleware
Oliot F&C Middleware 는 GS1 의 Application
Level Event (ALE) 표준 1.1.1 버전 [8]을 구현한
오픈소스이다. Spring Framework 및
Tomcat 기반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연결성으로의
확장성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미들웨어에서는 사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유형,
시간, 위치 등 주어진 기준에 따라 정제하여 상위
캡쳐링 응용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2 Oliot EPCIS
Oliot EPCIS 는 GS1 의 EPC Information Service
표준 1.2 버전 [9] 을 바탕으로 구현한
오픈소스이다 [10]. Java 웹 서비스로
구현되었으며 표준에서 제정하는
데이터/인터페이스 표준을 제공한다.
2014 년 8 월 25 일부터 시작된 이 오픈소스는
현재 (2016 년 12 월 28 일)까지 365 번의 커밋
6 개의 브랜치 14 개의 릴리즈 2 개의 연관 논문
[11,12] 활동을 보여주고 있으며 현재 1.2.5
버전을 제공한다. 시스템 적으로 1.2.5 버전은
Java 8 버전, Servlet 3.1 버전, Tomcat 8 버전
위에 동작하는 Java 웹 서비스이자 MongoDB 3.2
버전과 함께 운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이다. MongoDB 외에도
관계형데이터베이스인 MySQL, MariaDB,
PostgreSQL, Oracle 등도 지원한다.
4.3 Oliot ONS
Oliot ONS(Object Name Service)는 GS1 의
오픈된 생태계의 각 서비스들을 연결해주는
중심축이다. ONS 는 사물의 GS1 식별자를
입력받아 해당 사물과 연관된 서비스 리스트를
찾아준다. 예를 들어,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 이 서비스 리스트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조사의 서버를
알아내어 해당 서버에서 제품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ONS 또한 오픈 소스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이용을 지원하기 위해 Oliot 에서는 ONS 를
EPC 외의 GS1 식별자를 포함한 다양한 타 표준
식별자를 지원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있다.
4.4 Oliot DS
Oliot DS(Discovery Service)는 GS1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사물의 동적인 이벤트 정보를
찾아주는 검색 서비스이다. DS 는 EPICS 와
연동되어 해당 GS1 식별자의 이벤트가 저장된
모든 EPCIS 정보를 찾아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제품의 GS1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제품의 제조 정보가 저장된 EPCIS 와, 판매
정보가 저장된 EPCIS 등 해당 제품과 관련된 모든
EPCIS 에 접근하여 히스토리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개개의 사물로
인해 발생하는 수많은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DS 를 통해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준다.
4.5 Oliot 오픈 소스 생태계 구축
사물 인터넷 기반 플랫폼 표준으로 자리잡기
위하여 Oliot 은 더 많은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될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1
수 있도록 오픈 소스 커뮤니티 및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OneM2M, OCF 등
다양한 기존의 사물 인터넷 플랫폼과의 호환성
지원, Spring Framework, Docker 등을 이용한
기존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의 생태계 공유,
아마존 웹 서비스를 비롯한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Public/Private SaaS 로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Oliot
생태계의 확장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Oliot 및
EPCglobal 프레임워크에 정통하지 않은 시스템
관리자가 플랫폼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Admin
Dashboard 서비스 또한 준비 중이다.
Oliot 은 전세계 글로벌 기업들이 서비스 구현을
위해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스마트팜 및
식품 안전, 교량 안전 관리, 스마트팩토리,
헬스케어, 스마트 시티, 커넥티드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범 및 상용으로 적용되고 있다.
Ⅴ. GS1 표준 기반 서비스 적용 사례
5.1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및 MRO)
최근 유럽의 철도 회사들은 GS1 과 함께 각국의
관제시스템의 정보를 공유하는 표준을 만들고,
스위스와 북유럽 3 개국을 중심으로 운영중에
있으며, 향후 전세계 표준 모델로 확장을
기획하고 있다. 특히 GS1 EPCIS 는 운행하는
기차의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핵심 표준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철도 차량
모니터링을 가시화하기 위한 서비스로 운송 및
물류를 더욱 효율적으로 융합 가능하게 한다.
국가 간 철도 관제 시스템의 정보 공유를
지원하고 철도회사뿐만 아니라 물류회사와도
기차의 운행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운송 수단간의 최적 운송 스케쥴 계획이
가능해져서, 글로벌한 철도 중심의 운송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림 6 GS1 철도차량 모니터링
GS1 철도 표준 권고안에서는 철도 차량을 GS1
표준 식별자로 각각 식별하고 RFID, 차량 바퀴
온도 감지 센서, 접전부(판토그래프) 상태
모니터링 센서등을 통해 차량의 위치, 운행 방향
및 차량 상태를 인식한다. 이러한 센싱 데이터를
통합하여 열차의 현재 상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국가간, 철도회사간 정보 공유가
가능해진다. 기차의 동적인 이벤트 데이터는
EPCIS 문서의 표준 이벤트를 통해 통합 및
저장된다. 예를 들어, 프랑스 소유의 기차가
국경을 넘어 벨기에를 운행할 때, 벨기에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EPCIS
표준 데이터 저장소를 통해 프랑스와 벨기에간
공유가 된다.
유럽의 철도 차량 관제 서비스뿐만 아니라
철도의 유지 보수 및 수리(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에도 GS1 표준이 적용 실험되고
있다. MRO 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핵심
용어 및 구성 요소 등을 GS1 표준을 통해
정의하고 철도회사의 자산을 GS1 표준 식별자를
통해 식별함으로써 MRO 프로세스 및 철도 자산
관리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철도운영에 GS1 표준을 적용함으로써
철도 차량 관제 및 철도 시스템 유지 보수의
스마트화를 통해 새로운 글로벌한 철도 생태계가
만들어 지고 있다.
5.2 Internet of Ships (STM, Monalisa)
그림 7 해상선박및항구간GS1 기반정보공유
스웨덴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은 해상 운송
부문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GS1 표준기반 Mona Lisa 와 STM
(Sea Traffic Management)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13] 프로젝트의 범위는 발트해, 북해 및
지중해를 포함하며 핀란드, 덴마크, 독일, 영국,
스페인 등의 국가가 참여한다. 국가 간, 선박과
국가 간의 정보 교환을 통해 해상 교통 관리를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2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이해 관계자 간의
의사 소통 및 정보 공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운송 물류를 위한 GS1 표준 식별자를
사용하여 선박 및 항구를 식별하고 운송 과정을
EPCIS 표준 이벤트로 저장 및 관리한다. EPCIS 를
통해 선박의 출발 및 도착, 항해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제공함으로써 선박의 항해
과정의 가시화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주변
선박의 계획 노선 및 항해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으며 교통량 혼잡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선박과
수입국간의 출발 및 도착시간 등의 교환을 통해
항구 운영의 효율적인 시간 계획이 가능해진다.
5.3 Smart Factory
제조 산업에 있어서 제품의 효율적인 생산
공정정보 체계 구축은 생산성과 수익률로
직결된다. 특히 복잡한 제조공정 및 정밀부품들을
관리해야 하는 독일 자동차업계의 니즈에 맞춰
독일의 BMW, 다임러(Daimler), 오펠(Opel),
Bosch 를 포함한 약 20 개의 제조사, 공급자,
물류회사, 연구기관, IT 와 소프트웨어 회사가
협력하여 2010 년부터 3 년에 걸쳐 RFID 기반
자동차 네트워크(Automotive Network, RAN)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서 자동차 부품의 식별 및 공정 이벤트
표현에 GS1 의 표준 체계가 활용되어 end-to-end
이벤트 정보의 EPCIS 를 통한 관리가 이루어졌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에서 물류에 이르는
정보의 체계화를 통해 사용자 주문 옵션에 맞는
주문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자동차 산업에도
다양한 소비계층에 맞는 다품종 대량생산체계가
가능한 Smart Factory 구축이 가능하게 되었다.
[14]
그림 8 Bosch 의 GS1 표준 기반 스마트 팩토리
End-to-End 데이터 플랫폼
무기 및 정밀 부품들의 경우 제조사들은 GS1
표준의 식별체계 및 DataMatrix 를 활용하여 제품
생산 이후의 부품단위 별 사후 관리 서비스를
운영함으로써 생산 이후의 소비자 대응 및 진품
인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의 방위산업체인 MBDA 는 위급상황에 대한
원격 지원시스템 구축에 있어 MBDA 의 전문가들이
원격으로 문제가 되는 부품 파트를 인식하기 위한
방식으로 GTIN 코드가 인코딩된 GS1
DataMatrix 를 미사일등 무기시스템에 부착하여
활용하고 있다.
또한 독일의 베어링 생산업체인 HFG 및
SCHAEFFLER 그룹의 경우 자사에서 생산하는
정밀부품에 GTIN, GIAI 코드가 인코딩된 GS1
DataMatrix 활용을 통해 출시 제품에 발생한
문제에 대해 빠른 원인 파악 및 부분적 리콜을
진행함으로써 브랜드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있으며,
위조 제품을 찾아내는데도 활용하고 있다.
5.4 기타 사례
앞서 소개한 기차, 선박, 스마트팩토리 처럼
이외에도 GS1 표준은 EU/중국 등의 식품안전 및
물류 서비스에 있어서는 확고한 표준으로
자리잡았으며, 특히 2016 년 10 월 중국 최대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인 Alibaba 에서 GS1
표준을 기반으로 상품을 식별하기로 선언하면서,
GS1 표준의 글로벌한 적용이 가속화될 것이다.
Ⅵ. 결 론
미래 4 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사물인터넷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최적화와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해내는 데이터
테크놀러지(Data Technology)가 대세일 것이다.
글로벌한 데이터 와 서비스 공유 인프라를
표준화하는 GS1 이 주목 받고 있는 이유이다.
GS1 표준은 ISO, IIC, Industry 4.0 등 다양한
국제 표준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등의 경우 MO 들이 주도적으로 GS1
표준의 산업 적용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의 경우 GS1 표준의 산업 적용이 미비한
상황이어서, 향후 글로벌 사물인터넷 사업 추진에
있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GS1 표준의
산업적용에 대한 정부 및 기업차원의 참여와
지원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GS1 Global Office, "GS1 Annual Report 2016",
2016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3
[2] GS1 Global Office, "Introduction to Global
Standard Management Process (GSMP)"
[3] Diane Taillard, "Traceability Interest Group",
GS1 Industry and Standards Event 2016, Brussel,
Belgium, Oct 3-7, 2016
[4] GS1 Industry Group, “Gaining Interoperability
in the Digital Economy”
[5] Gerd Scheying, "Relevance of Confining
Standards for Business in the IoT and Industrie
4.0", GS1 Industry and Standards Event 2015, Warsaw,
Poland, Oct 12-16, 2015
[6] GS1 Germany, “Use GS1 Standards to Organize
Cash Handling and ATM Processes”
[7] Open Language for Internet of Things, Retrieved
from http://oliot.org
[8] Application Level Events (ALE) Standard,
Retrieved from http://www.gs1.org/ale
[9] EPCIS and Core Business Vocabulary (CBV),
Retrieved from http://www.gs1.org/epcis
[10] Oliot EPCIS Github Page, Retrieved from
https://github.com/JaewookByun/epcis
[11] Jaewook Byun, Daeyoung Kim. "Oliot EPCIS: New
EPC information service and challenges towards
the Internet of Things." RFID (RFID),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15.
[12] Jaewook Byun, Daeyoung Kim, "EPC Graph
Information Service: Enhanced object traceability
on unified and linked EPCIS events,"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Information System
Engineering (WISE 2015), Miami, Florida, USA,
November 1-3, 2015.
[13] STM (Sea Traffic Management) – Voyage
Management: http://stmvalidation.eu/#!activity-
item/activity-2-voyage-management
[14] GS1 Global Office. "Digital Supply Chain: Use-
Cases for RFID Sensors", 2016
[15] GS1 Industry Group, "Delivering expert
knowledge globally with GS1 DataMatrix"
[16] GS1 Industry Group. "Making products traceable
and tamper-proof with GS1 standards"
[17] GS1, “GS1 EPCIS for Rail Vehicle Application
Standard 1.0.1”, July 2015.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gs1 gobal innovation 2017
gs1 gobal innovation 2017gs1 gobal innovation 2017
gs1 gobal innovation 2017Daeyoung Kim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Daeyoung Kim
 
Gs1 oliot-2017-02-15
Gs1 oliot-2017-02-15Gs1 oliot-2017-02-15
Gs1 oliot-2017-02-15Daeyoung Kim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Daeyoung Kim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Daeyoung Kim
 
gs1 healthcare in Korea 2017
gs1 healthcare in Korea 2017gs1 healthcare in Korea 2017
gs1 healthcare in Korea 2017Daeyoung Kim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Daeyoung Kim
 
데이터공유 농축산식품-GS1적용(김대영)
데이터공유 농축산식품-GS1적용(김대영)데이터공유 농축산식품-GS1적용(김대영)
데이터공유 농축산식품-GS1적용(김대영)Daeyoung Kim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DaeyoungKim58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Daeyoung Kim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Daeyoung Kim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봉조 김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Daeyoung Kim
 
IoT platform case study report : Daliworks Thing+ Case Report
IoT platform case study report : Daliworks Thing+ Case ReportIoT platform case study report : Daliworks Thing+ Case Report
IoT platform case study report : Daliworks Thing+ Case ReportROA Invention LAB Inc. CEO
 
2015 Internet of Logistic Things / 2015 물류 사물인터넷
2015 Internet of Logistic Things / 2015 물류 사물인터넷2015 Internet of Logistic Things / 2015 물류 사물인터넷
2015 Internet of Logistic Things / 2015 물류 사물인터넷Junsang Dong
 

What's hot (17)

gs1 gobal innovation 2017
gs1 gobal innovation 2017gs1 gobal innovation 2017
gs1 gobal innovation 2017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Data and Service Driven Smart City Platform and Urban Technology Alliance
 
Gs1 oliot-2017-02-15
Gs1 oliot-2017-02-15Gs1 oliot-2017-02-15
Gs1 oliot-2017-02-15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gs1 healthcare in Korea 2017
gs1 healthcare in Korea 2017gs1 healthcare in Korea 2017
gs1 healthcare in Korea 2017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Soscon2019 oliot-auto-id-labs-kaist
 
데이터공유 농축산식품-GS1적용(김대영)
데이터공유 농축산식품-GS1적용(김대영)데이터공유 농축산식품-GS1적용(김대영)
데이터공유 농축산식품-GS1적용(김대영)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Seafood Industries and GS1 standards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Smartship in GS1's perspective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Data Technology opens Smart City World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 시장에서의 플랫폼 사례
사물인터넷 시장에서의 플랫폼 사례사물인터넷 시장에서의 플랫폼 사례
사물인터넷 시장에서의 플랫폼 사례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5-18of18
 
IoT platform case study report : Daliworks Thing+ Case Report
IoT platform case study report : Daliworks Thing+ Case ReportIoT platform case study report : Daliworks Thing+ Case Report
IoT platform case study report : Daliworks Thing+ Case Report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2015 Internet of Logistic Things / 2015 물류 사물인터넷
2015 Internet of Logistic Things / 2015 물류 사물인터넷2015 Internet of Logistic Things / 2015 물류 사물인터넷
2015 Internet of Logistic Things / 2015 물류 사물인터넷
 

Viewers also liked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Daeyoung Kim
 
Three mustketeers-samsung-sw-conf-2014-autoidlab-kaist-daeyoung
Three mustketeers-samsung-sw-conf-2014-autoidlab-kaist-daeyoungThree mustketeers-samsung-sw-conf-2014-autoidlab-kaist-daeyoung
Three mustketeers-samsung-sw-conf-2014-autoidlab-kaist-daeyoungDaeyoung Kim
 
GS1/Oliot LLRP and next
GS1/Oliot LLRP and nextGS1/Oliot LLRP and next
GS1/Oliot LLRP and nextDaeyoung Kim
 
GS1 EPCglobal framework and Oliot Project Overview
GS1 EPCglobal framework and Oliot Project OverviewGS1 EPCglobal framework and Oliot Project Overview
GS1 EPCglobal framework and Oliot Project OverviewDaeyoung Kim
 
GS1/Oliot EPCIS and Next
GS1/Oliot EPCIS and NextGS1/Oliot EPCIS and Next
GS1/Oliot EPCIS and NextDaeyoung Kim
 
Oliot Open Source Project
Oliot Open Source ProjectOliot Open Source Project
Oliot Open Source ProjectDaeyoung Kim
 
3. 유통산업 모바일커머스 글로벌 동향-대한상공회의소 이헌배 팀장
3. 유통산업 모바일커머스 글로벌 동향-대한상공회의소 이헌배 팀장 3. 유통산업 모바일커머스 글로벌 동향-대한상공회의소 이헌배 팀장
3. 유통산업 모바일커머스 글로벌 동향-대한상공회의소 이헌배 팀장 ideaguide
 
printec erp
printec erpprintec erp
printec erpnill1052
 
보나뱅크, 산업 맞춤형 특수 태그 적용 사례
보나뱅크, 산업 맞춤형 특수 태그 적용 사례보나뱅크, 산업 맞춤형 특수 태그 적용 사례
보나뱅크, 산업 맞춤형 특수 태그 적용 사례고양뉴스
 
Eac volkan emre-0534436-last
Eac volkan emre-0534436-lastEac volkan emre-0534436-last
Eac volkan emre-0534436-lastVolkan Emre
 
3 3 Core Skill 3: Unlock the Circuit
3 3  Core Skill 3: Unlock the Circuit3 3  Core Skill 3: Unlock the Circuit
3 3 Core Skill 3: Unlock the CircuitJoe Mellin
 
ьрплплбплр
ьрплплбплрьрплплбплр
ьрплплбплрleneth6
 
Experimental Applications of Mapping Servi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Experimental Applications of Mapping Servi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Experimental Applications of Mapping Servi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Experimental Applications of Mapping Servi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M H
 
EI3 - Intelligent Infrastructures in the Internet of the Future
EI3 - Intelligent Infrastructures in the Internet of the FutureEI3 - Intelligent Infrastructures in the Internet of the Future
EI3 - Intelligent Infrastructures in the Internet of the FutureMario Vega Barbas
 
An Integrated Inductive-Deductive Framework for Data Mapping in Wireless Sens...
An Integrated Inductive-Deductive Framework for Data Mapping in Wireless Sens...An Integrated Inductive-Deductive Framework for Data Mapping in Wireless Sens...
An Integrated Inductive-Deductive Framework for Data Mapping in Wireless Sens...M H
 

Viewers also liked (20)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Three mustketeers-samsung-sw-conf-2014-autoidlab-kaist-daeyoung
Three mustketeers-samsung-sw-conf-2014-autoidlab-kaist-daeyoungThree mustketeers-samsung-sw-conf-2014-autoidlab-kaist-daeyoung
Three mustketeers-samsung-sw-conf-2014-autoidlab-kaist-daeyoung
 
GS1/Oliot LLRP and next
GS1/Oliot LLRP and nextGS1/Oliot LLRP and next
GS1/Oliot LLRP and next
 
GS1 EPCglobal framework and Oliot Project Overview
GS1 EPCglobal framework and Oliot Project OverviewGS1 EPCglobal framework and Oliot Project Overview
GS1 EPCglobal framework and Oliot Project Overview
 
GS1/Oliot EPCIS and Next
GS1/Oliot EPCIS and NextGS1/Oliot EPCIS and Next
GS1/Oliot EPCIS and Next
 
Oliot Open Source Project
Oliot Open Source ProjectOliot Open Source Project
Oliot Open Source Project
 
3. 유통산업 모바일커머스 글로벌 동향-대한상공회의소 이헌배 팀장
3. 유통산업 모바일커머스 글로벌 동향-대한상공회의소 이헌배 팀장 3. 유통산업 모바일커머스 글로벌 동향-대한상공회의소 이헌배 팀장
3. 유통산업 모바일커머스 글로벌 동향-대한상공회의소 이헌배 팀장
 
printec erp
printec erpprintec erp
printec erp
 
보나뱅크, 산업 맞춤형 특수 태그 적용 사례
보나뱅크, 산업 맞춤형 특수 태그 적용 사례보나뱅크, 산업 맞춤형 특수 태그 적용 사례
보나뱅크, 산업 맞춤형 특수 태그 적용 사례
 
GS1 Source
GS1 SourceGS1 Source
GS1 Source
 
Eac volkan emre-0534436-last
Eac volkan emre-0534436-lastEac volkan emre-0534436-last
Eac volkan emre-0534436-last
 
3 3 Core Skill 3: Unlock the Circuit
3 3  Core Skill 3: Unlock the Circuit3 3  Core Skill 3: Unlock the Circuit
3 3 Core Skill 3: Unlock the Circuit
 
Ucsf 4 2
Ucsf 4 2Ucsf 4 2
Ucsf 4 2
 
ьрплплбплр
ьрплплбплрьрплплбплр
ьрплплбплр
 
Experimental Applications of Mapping Servi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Experimental Applications of Mapping Servi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Experimental Applications of Mapping Servi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Experimental Applications of Mapping Servi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Midsize webinar
Midsize webinarMidsize webinar
Midsize webinar
 
Deepak ppt
Deepak pptDeepak ppt
Deepak ppt
 
Writing 160 Lesson Pan
Writing 160 Lesson PanWriting 160 Lesson Pan
Writing 160 Lesson Pan
 
EI3 - Intelligent Infrastructures in the Internet of the Future
EI3 - Intelligent Infrastructures in the Internet of the FutureEI3 - Intelligent Infrastructures in the Internet of the Future
EI3 - Intelligent Infrastructures in the Internet of the Future
 
An Integrated Inductive-Deductive Framework for Data Mapping in Wireless Sens...
An Integrated Inductive-Deductive Framework for Data Mapping in Wireless Sens...An Integrated Inductive-Deductive Framework for Data Mapping in Wireless Sens...
An Integrated Inductive-Deductive Framework for Data Mapping in Wireless Sens...
 

Similar to Tr gs1-oliot-소개-20170104

GS1 standards - Jan. 2017
GS1 standards - Jan. 2017GS1 standards - Jan. 2017
GS1 standards - Jan. 2017Daeyoung Kim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Daeyoung Kim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Daeyoung Kim
 
스마트미디어 산업 활성화 위한 '국가 표준화 설계도'
스마트미디어 산업 활성화 위한 '국가 표준화 설계도'스마트미디어 산업 활성화 위한 '국가 표준화 설계도'
스마트미디어 산업 활성화 위한 '국가 표준화 설계도'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S.K. Cha of ACS in Korea
 
Data Web Grid 'SBGrid'
Data Web Grid 'SBGrid'Data Web Grid 'SBGrid'
Data Web Grid 'SBGrid'ssuser4e0be8
 
Smart manufacturig standard platform 20200524
Smart manufacturig standard platform 20200524Smart manufacturig standard platform 20200524
Smart manufacturig standard platform 20200524S.K. Cha of ACS in Korea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봉조 김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M&M Networks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2년 10월호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2년 10월호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2년 10월호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2년 10월호고양뉴스
 
202105 머신비전협회보.pdf
202105 머신비전협회보.pdf202105 머신비전협회보.pdf
202105 머신비전협회보.pdfssuser54247f1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K-ICT 표준화 전략맵 2016 (실감형콘텐츠 분야) 발표회 자료
K-ICT 표준화 전략맵 2016 (실감형콘텐츠 분야) 발표회 자료K-ICT 표준화 전략맵 2016 (실감형콘텐츠 분야) 발표회 자료
K-ICT 표준화 전략맵 2016 (실감형콘텐츠 분야) 발표회 자료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atelier t*h
 
KCERN 제15회 정기포럼 발표자료 - 기술융합 메가트렌드
KCERN 제15회 정기포럼 발표자료 - 기술융합 메가트렌드KCERN 제15회 정기포럼 발표자료 - 기술융합 메가트렌드
KCERN 제15회 정기포럼 발표자료 - 기술융합 메가트렌드구회 연
 
옆에 다가 온 클라우드, 어떻게 같이 갈 것인가?
옆에 다가 온 클라우드, 어떻게 같이 갈 것인가?옆에 다가 온 클라우드, 어떻게 같이 갈 것인가?
옆에 다가 온 클라우드, 어떻게 같이 갈 것인가?Marcetto Co., Ltd
 
스마트미디어 표준화 프레임워크 소개 -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표준화 프레임워크 소개 - 교육분야를 중심으로스마트미디어 표준화 프레임워크 소개 -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표준화 프레임워크 소개 - 교육분야를 중심으로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Similar to Tr gs1-oliot-소개-20170104 (20)

GS1 standards - Jan. 2017
GS1 standards - Jan. 2017GS1 standards - Jan. 2017
GS1 standards - Jan. 2017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Standards and AI Transformation (SAX) 국제표준과 인공지능 기반의 철도산업 디지털 전환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기후대응을 위한 EU 디지털제품여권법 동향과 GS1 국제표준 적용 방안 소개
 
스마트미디어 산업 활성화 위한 '국가 표준화 설계도'
스마트미디어 산업 활성화 위한 '국가 표준화 설계도'스마트미디어 산업 활성화 위한 '국가 표준화 설계도'
스마트미디어 산업 활성화 위한 '국가 표준화 설계도'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Data Web Grid 'SBGrid'
Data Web Grid 'SBGrid'Data Web Grid 'SBGrid'
Data Web Grid 'SBGrid'
 
Smart manufacturig standard platform 20200524
Smart manufacturig standard platform 20200524Smart manufacturig standard platform 20200524
Smart manufacturig standard platform 20200524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2020 standard based rnd smart mfg
2020 standard based rnd smart mfg2020 standard based rnd smart mfg
2020 standard based rnd smart mfg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2년 10월호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2년 10월호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2년 10월호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2년 10월호
 
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
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
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
 
202105 머신비전협회보.pdf
202105 머신비전협회보.pdf202105 머신비전협회보.pdf
202105 머신비전협회보.pdf
 
bsk_02_01
bsk_02_01bsk_02_01
bsk_02_01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K-ICT 표준화 전략맵 2016 (실감형콘텐츠 분야) 발표회 자료
K-ICT 표준화 전략맵 2016 (실감형콘텐츠 분야) 발표회 자료K-ICT 표준화 전략맵 2016 (실감형콘텐츠 분야) 발표회 자료
K-ICT 표준화 전략맵 2016 (실감형콘텐츠 분야) 발표회 자료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KCERN 제15회 정기포럼 발표자료 - 기술융합 메가트렌드
KCERN 제15회 정기포럼 발표자료 - 기술융합 메가트렌드KCERN 제15회 정기포럼 발표자료 - 기술융합 메가트렌드
KCERN 제15회 정기포럼 발표자료 - 기술융합 메가트렌드
 
옆에 다가 온 클라우드, 어떻게 같이 갈 것인가?
옆에 다가 온 클라우드, 어떻게 같이 갈 것인가?옆에 다가 온 클라우드, 어떻게 같이 갈 것인가?
옆에 다가 온 클라우드, 어떻게 같이 갈 것인가?
 
스마트미디어 표준화 프레임워크 소개 -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표준화 프레임워크 소개 - 교육분야를 중심으로스마트미디어 표준화 프레임워크 소개 -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표준화 프레임워크 소개 -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More from Daeyoung Kim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Daeyoung Kim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Daeyoung Kim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Daeyoung Kim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Daeyoung Kim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Daeyoung Kim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Daeyoung Kim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Daeyoung Kim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Daeyoung Kim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Daeyoung Ki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Daeyoung Kim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Daeyoung Kim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Daeyoung Kim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Daeyoung Kim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eyoung Kim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Daeyoung Ki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Daeyoung Kim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Daeyoung Kim
 

More from Daeyoung Kim (17)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주소기반혁신성장 산업 - 주소가 바꿀 미래 사회와 산업 - 행정안전부와 주소포럼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au newsletter-building-march-2021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smart city platforms and case studies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3 Healthcare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GS1 Data Revolution Series 2 - Internet of Trains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Digital revolution series 1-seafood industry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ONS and Digital Link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GS1 EPCIS and CBV Tutorial, Auto-ID Labs, KAIST (Apr 28, 2020)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Smart city position paper - GS1 standards perspective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lobal Seafood Traceability System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ceability in Agriculture and 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Standards in Building Smart Citie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 Internet of Trains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Final)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Tutori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Smart Cities - GS1/ISO/IEC Standards At...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Itu telecom-world-2017-autoidlabs-kaist-consortium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Autoidlabs kaist-itu-telecom-world-2017-consortium-10-14of18
 

Tr gs1-oliot-소개-20170104

  • 1.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 데이터 기반의 글로벌 사물인터넷 융합을 위한 GS1 국제 표준 김대영, 정성관, 김상태, 변재욱, 우성필, 권기웅, 윤원득, 허세현, 임장관, 전태준, Yalew Kidane, 조혜은, 강대연, 손봉진 kimd@kaist.ac.kr http://resl.kaist.ac.kr http://oliot.org http://gs1.org Auto-ID Labs, KAIST (http://autoidlabs.org) 요 약 사물인터넷 비즈니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사물들에 대한 식별 및 데이터 공유 체계와 서비스 디스커버리 표준을 제공하는 GS1 (Global Standard 1) 국제 표준이 글로벌 사물인터넷 표준으로써 자리잡고 있다. 유통/물류분야의 지배적 표준에서 시작한 GS1 은 1999 년 세계 최초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란 용어와 개념을 소개한 이후, 스마트팩토리, 헬스케어 서비스 표준에서부터 금융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도메인 응용의 수평적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기반의 사물인터넷 표준으로서의 입지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S1 국제 표준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및 특징을 설명하고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 표준안들과 GS1 표준의 레퍼런스 구현인 Oliot(Open Language for Internet of Things)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실제 글로벌 비즈니스에서의 적용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써의 GS1 표준의 전망을 제시한다. Ⅰ. 서 론 네트워크의 영역이 스마트폰을 넘어 사물로 확장되면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반기술인 사물인터넷이 ICT 분야를 넘어 4 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이끄는 메가트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기술은 소형 사용자 단말 서비스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공장, 농업, 의료, 물류 등 다양한 산업 생태계 조성에 핵심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 생태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생태계 실현을 위해, 기존의 IEEE, ISO/IEC, W3C 등의 ICT 국제 표준과 Google, Apple, IBM, ARM 등의 산업계 솔류션, 그리고 스마트그리드, 공장자동화등 기존 산업 도메인 자체의 표준, 비표준 기술들과 함께, OneM2M, OCF 등의 새로운 사물인터넷 특화 표준화 기구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물인터넷 표준 및 규격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신규 사물인터넷 표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존 표준, 비표준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산업 도메인 응용 생태계의 진정한 수평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노력들은 상대적으로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공유 기반의 다양한 산업도메인의 수평적 통합과 사물인터넷 융합 서비스를 위한 GS1 국제 표준을 소개하고자 한다. GS1 표준은 통신 프로토콜 및 서비스 매쉬업 규격 중심인 다른 사물인터넷 표준과는 다르게 사물에 대한 식별 및 사물이 만들어내는 데이터의 표준 공유 체계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및 비지니스 모델 표준화를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이란 용어와 개념은 GS1 표준기구의 산하 국제공동 연구 컨소시엄인 Auto-ID Labs 에서 1999 년 세계 최초로 소개하였으며, 꾸준히 그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선행 기술 연구와 더불어 국제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GS1 표준기구는 산업분야 표준 그룹을 적극적으로 운영하며, 다양한 비즈니스 이해관계와 요구사항을 가지는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를 통한 서비스 모델 표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다양한 특화 시장이 존재하는 사물인터넷 비즈니스에 있어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GS1 은 소매(Retail), 의료(Healthcare), 운송 및 물류 (Transport & Logistics), 식품(Food Service), 기술산업(Technical Industry)등에 걸쳐 서비스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으며, 그 범위를 금융서비스분야까지 확장하고 있다. 또한 GS1 표준안의 다양한 산업 적용을 위해 ISO, IIC, Industry 4.0 등 다른 국제표준 및 산업표준과의 협력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 장에서 GS1 표준 기구 및 주요 표준화 내용을 기술하고, 3 장에서 GS1 의 주요 산업별 서비스 표준 개발현황을 다루고, 4 장에서 GS1 표준 사물인터넷 플랫폼인 Oliot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5 장에서는 글로벌 GS1 표준서비스 적용 사례 소개와 6 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 2.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2 Ⅱ. GS1 핵심 표준 소개 2.1 GS1 국제 표준 기구 GS1 은 데이터 중심 글로벌 비즈니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사물 정보의 식별(Identify), 수집(Capture), 공유(Share), 활용(Use)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비영리 국제표준 기구로서, 2016 년 기준 112 개 회원국과 수백만 이상의 비즈니스 파트너인 기업들로 구성된다. [1] 미국의 바코드 체계인 UPC(Universal Product Code)를 관리하기 위해 1973 년 설립된 UCC(Uniform Code Council)와 1977 년 유럽의 바코드 체계인 EAN(European Article Number)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EAN(European Article Numbering Association)은 1990 년 UCC/EAN 으로 합병된 이후 2005 년부터 GS1 으로 통합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GS1 은 MIT, Cambridge, ETH Zurich, Fudan, Keio, KAIST 의 6 개 대학으로 구성된 Auto-ID Labs 와의 기술적 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1999 년 Auto-ID Labs 의 전신인 Auto-ID Center 에서 세계 최초로 사물 인터넷 용어와 개념을 소개하였다. 그후 꾸준히 표준의 범위를 사물인터넷 및 B2C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회원국 및 수백만 이상의 비즈니스 파트너 기업 들과 함께 43 년간의 표준 운영 경험 및 인프라를 바탕으로 기술 및 서비스 표준화 작업을 진행 하고 있다. 표 1 GS1 의 현재 대표적 Work Group 예 구분 그룹명 표준화 대상 Mission- specific Work Group (MSWG) GSMP Application Standard for MRO Object in Rail 철도 유지 관리 서비스 GSMP EPC Information Service (EPCIS) and Core Business Vocabulary (CBV) EPCIS, CBV 표준 GSMP High-speed Barcode Printing DotCode 기반 바코드 프린팅 GSMP Tagged Item Performance Protocol(TIPP) RFID 스캐닝 최적화 Standards Maintenance Group (SMG) GSMP Barcodes GS1 바코드 GSMP Data Accuracy 데이터 수집 정확도 향상 GSMP EDI GS1 EDI GSMPGlobalMasterData(GMD) GS1 GDSN GSMP Global Product Classification (GPC) 사물 분류 코드 GSMP Identification 사물 식별 코드 GSMP Traceability and Event Sharing 이력추적 Industry Group Consumer Product Variant Discussion Group 상품 변형 정보 표준화 Fresh Foods 식품 서비스 GlobalDataSynchronization GS1 GDSN Healthcare 건강 이력정보 Transport & Logistics 운송/물류 그림 1 GS1 국제 표준 기구의 주요 표준 개념
  • 3.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3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가 중심인 다른 사물인터넷 표준들이 통신 및 서비스 매쉬업등 기술 중심적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는 것과는 다르게, GS1 은 다양한 산업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사물의 식별체계, 데이타 및 서비스 공유 방식을 표준화 하며, 의료, 스마트팩토리등 산업별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서비스 표준안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GS1 표준의 특징은 다양한 시장이 존재하는 글로벌 사물인터넷 비즈니스에 있어서 기업간 공유하는 데이터를 표준화 함으로써, 이종의 산업 도메인과 기업의 시스템을 수평적으로 통합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GS1 표준은 GSMP(Global Standard Management Process) 라는 표준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2] GS1 표준 Work Group 은 필요에 의해 수시로 구성되며, 표 1 에서 소개한 대표적인 Work Group 같이 2016 년 현재 EPCIS Work Group 을 포함한 MSWG(Mission-specific Work Group), Traceability 를 포함한 SMG(Standards Maintenance Group), Fresh Food 를 포함한 Industry Group 이 협력하여 GMSP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Auto-ID Labs 는 산업계와 협력하여 선행 표준안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대표적인 업적으로 RFID, EPCglobal 프레임웍, SmartSearch 등이 Auto-ID Labs 가 주도한 표준 기술이다. GMSP 표준화 과정은 1) 회원국 및 파트너 기업들의 Work Request 를 통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2) 관련 Work Group 을 통한 표준 합의 과정을 거쳐, 3) GS1 Standard (표준안) 와 GS1 Guideline (권고안) 형태로 공개된다. GSMP 표준화 과정에서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GS1 Global Office: 전체적인 GSMP 표준화 과정과 각 Work Group 을 운영 및 관리함 (표준화 과정에서 투표 등 의견 개입활동을 하지 않음) 2) GS1 Member Organization: GS1 회원국으로써 자국의 입장을 반영하고, 표준안에 대한 실질적인 운영을 담당 하며, 한국은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유통물류진흥원이 한국 GS1 KR MO 임 3) GS1 Member: 각 회원국의 파트너 사 및 조직으로써, 비즈니스의 이해관계를 반영 4) Solution Provider: GS1 표준 기반 솔루션 및 제품 개발사로써 기술적 관점에서 표준화 기여 GS1 표준은 사물의 생산, 유통, 소비(활용) 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 사물 및 상품을 식별하고 추적 및 관리하기 위해 글로벌 식별 코드 체계를 표준화하여, 각 기업이나 서비스가 자신의 상품, 자산, 사람, 위치, 기업 및 서비스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유무형의 오브젝트에 할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물의 전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트랜잭션, 이벤트들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표준 어휘와 스키마를 제공하며, 수집 된 정보를 글로벌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하는 EPCglobal 표준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시간과 장소에서 발생하는 각 기업이나 서비스의 이벤트 정보 공유시 요구되는 상호 운용 구현을 위한 비용을 줄이고, 표준화 된 문맥으로 서로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GS1 은 여러 국제표준단체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GS1 의 데이터 공유 표준안인 EPCIS 와 Traceability 표준안의 경우 GS1 표준임과 동시에 ISO 표준으로 지정되어있고, Global Traceability Work Group 의 경우 CGF (Consumer Goods Forum)와의 협력을 통해 공동으로 API 표준안 작업이 진행 중이다. [3] 또한 GS1 독일이 주도하여 IIC(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와 스마트 팩토리 표준화에 대한 협력이 진행 중에 있다. 식품안전시스템의 경우, 미국의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유럽의 EU 1169/2011 푸드정보화법에 의거하여 GS1 표준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의료기기에 GS1 표준을 사용하도록 하는 FDA UDI 규정에도 GS1 표준안이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GS1 은 정책 및 전략적인 측면에서도 국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를 위한 국제표준으로서의 자리를 확고히 잡아가고 있다. 표 2 GS1 표준의 타 국제 표준 협력 현황 GS1 주요 표준 협력중인 타 국제 표준 GS1 Identification Key ISO/IEC 15459 (GTIN,SSCC,GSIN) ISO/IEC 6523 (GLN) EPC Information Service (EPCIS) ISO/IEC 19987:2015 Core Business Vocabulary (CBV) ISO/IEC 19988:2015 Traceability ISO 22005:2005 / ISO 22005:2007 ISO 22003:2013 / ISO 22004:2014 ISO9001:2015 CGF Traceability OPEN API Technical Industry Group Industry 4.0 IIC(IndustrialInternetConsortium)
  • 4.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4 2.2 주요 기반 표준 2.2.1 GS1 사물 식별, 분류, 어휘 표준 데이터 기반의 사물인터넷 표준인 GS1 국제표준은 사물의 글로벌한 가시성 제공을 위해서, 사물이 직접 생성하는 또는 연관된 정보를 단일 언어로 기술할 수 있게 하는 사물인터넷 국제표준 언어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명사에 해당하는 글로벌 식별자 표준인 GS1 ID keys 및 사물 분류 코드인 GPC(Global Product Classification), 그리고 동사에 해당하는 CBV(Common Business Vocabulary)를 제공하고 있다. GS1 이 정의한 사물인터넷은 다른 표준에서 지원하고 있는 협의의 스마트한 사물 뿐만 아니라, 바코드, RFID 로 인식되는 수동형 사물을 포함하여, 사람, 문서, 더 나아가 가상의 사물까지 지원하고 있다. 표 3 에 일부 요약된 것처럼, GS1 ID keys 표준은 다양한 산업 도메인의 사물인터넷 서비스에서 필요한 상품부터 사물, 서비스 관계, 물리적 장소, 사람까지 아우르는 강력한 식별 체계를 정의하고 있으며, 사물의‘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클래스 레벨의 ID 뿐만 아니라 ‘개별 사물’을 구분할 수 있는 인스턴스 레벨의 ID 또한 제공한다. 예를 들어 GTIN 은 사물의 종류까지 구분하는 식별자이며, SGTIN(Serialized GTIN)은 사물의 시리얼 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이다. 표 3 주요 GS1 식별자 (ID Key) 식별자(ID Key) 식별대상 예시 길이 Global Trade Item Number(GTIN) 제품, 서비스 옷, 스마트폰, 스마 트카, 스마트센서 8, 12, 13, 14 Digits Global Location Number(GLN) 물리적 공간, 특정 장소 빌딩, 공장, 드론 기지 13 Digits Serial Shipping Container Code (SSCC) 물류 단위 팔레트, 롤 케이지, 소포의 단위 하중 18 digits Global Returnable Asset Identifier (GRAI) 반환 가능한 자산 팔레트 케이스, 스 마트 헬스 대여 장 비 13 digits Global Individual Asset Identifier (GIAI) 기업 자산 트럭, 기차, 컴퓨터 등 장비 자산 N – 30 digits Global Service Relation Number (GSRN) 서비스 제공 업체 및 수령 인 관계 병원의 환자,의사 및 백화점 고객, 직원 18 digits Global Document 문서 세금 청구서, 선적 13 – 30 Type Identifier (GDTI) 확인서, 운전 면허 digits Global Identification Number for Consignment(GINC) 위탁화물 해양 컨테이너에서 함께 운송되는 물 류 단위 N – 30 digits Global Shipment Identification Number(GSIN) 발송물 고객에게 함께 전 달되는 물류 단위 17 digits Global Coupon Number(GCN) 쿠폰 디지털 쿠폰, 블루 투스 비콘 13 – 25 digits Component/Part Identifier(CPID) 구성 요소 및 부품 자동차 부품 N – 30 digits GS1 ID keys 는 그림 2 와 같이 기본적으로 Company prefix, Reference number, Serial/extension number 로 구성되어 있다. Company prefix 는 GS1 글로벌 오피스 및 MO 에 의해서 할당되며, 국가 및 기업을 구분하는 코드이다. Reference number 는 각 사물의 종류를 구분하는 코드이며, 개개 사물의 구분을 위해서 Serial/extension number 를 사용할 수 있다. 각 기업의 유무형 사물과 서비스에 자신의 Company Prefix 를 포함한 GS1 ID Keys 를 할당함으로써, 글로벌하게 식별 및 운영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국가코드는 3 자리로서 해당국가의 기업과 유무형의 상품, 사물, 서비스의 수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그런데 한국은 “880”하나를 할당 받아서 미국 110 개, 프랑스 80 개, 독일 41 개, 일본 20 개, 중국 10 개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여 향후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이게 될 것이기 때문에, 추가 국가 코드 확보가 절실하다. 그림 2 GS1 식별자 (ID Key) 의 기본 구성 GPC 는 사물의 글로벌 분류 코드 표준이며, 생물분류체계인 “종속과목강문계” 처럼 전세계 모든 사물을 “Segment, Family, Class, Brick”
  • 5.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5 의 4 가지 계층으로 분류하며, 자동차의 전륜, 후륜, 가솔린, 디젤엔진 과 같은 세부 분류 정보는 Attribute 를 통해 추가 분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CBV 는 사물인터넷 표준 공유 데이터 저장소인 EPCIS 에 사물의 동적인 이벤트 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통 표준 어휘에 대한 정의를 제공한다. 표준 어휘는 사물의 전생애 주기나 산업 도메인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도출한다. CBV 표준에서 제공하는 표준화 된 어휘를 사용하여 문맥을 통일시킴으로써, 기업간 또는 산업도메인간 상호 운용성에 도움을 주고, 서로 다른 비즈니스 시스템이 공통의 의도를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정보의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GS1 은 각 국가나 산업별, 또는 기업 내부적으로 필요한 사용자 어휘(User Vocabulary)를 정의할 수 있는 방식을 표준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표 4 Core Business Vocabulary (CBV) 활용 예제 비즈니스 단계 Vocabulary 값 정의 예시 commissioning 코드 발급 병원에서의 환자 관리코드 (GSRN) 발급 및 진료시 진료코 드 (SRIN) 발급, 스마트 장비, 서비스, 장소, 사람의 코드 발급 Accepting 소유권 변경 스마트 헬스 장비의 대여/반납, 대여가능한 사물, 서비스의 사 용자 변경에 활용 Arriving/departing 사물의 이동 (도착/출발) 환자의 병원 이동 활동, 드론의 목적지간 이동 활동, 스마트 사 물의 이동 및 추적 서비스 활용 Assembling 사물의 조합 위치 안내 사물(GLN)과 위치에 따른 안내 서비스의 융합,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인터넷 사 물간의 융합서비스 창출에 활용 collecting 사물의 정보 수집 사용자 식별 (GSRN)의 수집을 통한 스마트팩토리의 출퇴근 체 크, 환자의 검진기록 수집 등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물 정보 수집에 활용 그림 3 의 예처럼, GS1 의 GS1 ID keys, GPC, CBV 를 사용하여 “GIAI 자산코드를 갖는 기차 A 가 SGLN 위치코드로 식별되는 B 역에, bizstep CBV 표준어휘인 arriving 을 사용하여 도착하고 있다 ”라는 하나의 이벤트를 EPCIS XML 표준 문서로 표현 가능하며, 이 XML 표준 문서는 EPCIS 란 분산된 사물인터넷 표준 데이터저장소에 저장되고 공유될 수 있다. 해당 EPCIS 표준 문서는 EPCIS 표준 쿼리 API 를 통해 획득가능하며, 전세계 어떤 소프트웨어도 동일한 의미로 해설할 수 있게 된다. 그림 3 CBV 를 이용한 EPCIS Event 표현 예 2.2.2 EPCglobal 프레임워크 GS1 표준에서는 사물의 식별, 어휘체계를 통해 기술된 사물의 정보를 수집 및 공유할 수 있는 EPCglobal 표준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본 프레임워크는 RFID 정보 공유 표준으로서 유통 물류 도메인에서 서비스를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현재 EPCglobal 프레임워크는 그 영역을 사물인터넷 분야로 확장하여 다양한 사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표준화 된 방법으로 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 활용된다. EPCglobal 확장 프레임워크의 전체적인 구조는 그림 4 와 같으며, 핵심 컴포넌트 부분을 아래에 소개한다. 스택 최하단의 LLRP(Low Level Reader Protocol)는 IoT 디바이스 연결 범주에 속한 표준이며, GS1/ISO RFID 리더의 작동 방식과 상위 ALE 미들웨어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다. RFID 태그가 부착 된 사물의 경우, RFID 리더에서 읽어들여 LLRP 프로토콜을 통하여 ALE 로 전달된다. LLRP 는 GS1 에서 유일하게 정의된 RFID 사물통신 프로토콜이며, 확장 구조에서는 블루투스, LwM2M, oneM2M, OCF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 지원 가능하다.
  • 6.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6 그림 4 GS1 EPCglobal 프레임워크 확장 구조 ALE(Application Level Event)는 RFID, 바코드, 스마트 디바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사물들을 추상적으로 제어 및 관리하고, 사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 스트림을 필터링 및 그룹핑하여 추상화된 이벤트로 변환하여 캡쳐링 응용 컴포넌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캡쳐링 응용 은 EPCIS 표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사물의 정보를 EPCIS 표준 다큐먼트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는 각 기업이나 응용에서 운영하게 되는 글로벌 분산 데이터 저장소로서, 다양한 사물들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으로 발생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다큐먼트 형식으로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게끔 한다. 데이터 저장과 쿼리를 위한 Capturing API 와 Query API 를 제공한다. 전세계의 분산 EPCIS 데이터 저장소는 표준 GS1 ID Keys 를 통해 하나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처럼 작동된다. ONS 는 해당 사물에 연계된 서비스를 글로벌하게 등록하고, 찾아주며,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는 네이밍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GS1 식별자를 가지는 특정 자동차를 위한 리콜, 검사, 구매 서비스등을 등록하고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인터넷의 DNS 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ONS 클라이언트가 사물의 식별자를 ONS 쿼리로 변환해 Root ONS 에 요청하면, 전 세계에 계층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ONS 서버들 중에서 해당 사물의 서비스 레코드 리스트를 가진 Local ONS 서버로 쿼리가 전달되고 결과가 반환된다. 사물 연계 서비스는 국가와 언어별로 따로 등록 관리가 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위치한 현재 국가,사용 언어에 따라 최적의 서비스가 탐색된다. Discovery Service(DS)는 GS1 검색 서비스로서, GS1 식별자에 대응하여 해당 사물관련 이벤트 정보를 저장한 전세계의 EPCIS 데이터 저장소 서버 정보를 찾아준다. DS 클라이언트는 검색된 EPCIS 서버를 추가적으로 접근하여, 찾고자 하는 사물 정보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Traceability 는 사물의 생산에서부터 유통, 물류, 그리고 사용에 이르기 까지의 전과정의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력 관리 서비스 표준이다. GS1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한 사물에 대한 추적 및 리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 될 수 있다. ePedigree 는 상품의 생산/유통 과정을 기록함으로써, 이력 정보의 신뢰성을 제공해주기 위한 서비스이다. 상품의 물류/유통 과정에서 제품의 정보를 페디그리로 저장하며 PKI 인증서로 서명하고 다음 유통 주체로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이는 상품의 진품여부를 파악하거나, 의약품의 물류/유통 및 판매 과정에서 중요한 생산/유통 정보의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농식품의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품 안전성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페디그리 표준은 농식품 안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GS1 Source 는 메타데이터 서비스로서, 특정 상품이나 사물의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표준 스키마를 제공한다. 또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비스인 데이터 어그리게이터는 인증을 받아 운영됨으로써 저장 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개발자나 소비자들은 사물의 식별자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정확하고 믿을 수 있는 사물 메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다. 2.2.3 GS1 Web Vocabulary GS1 Web Vocabulary 는 GS1, Auto-ID Labs,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등이 함께 SmartSearch 라는 이름의 표준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름, 가격, 크기와 색상, 성분 정보등 제품에 대한 구조화된 웹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데이터를 GTIN 키와 연결하여 인터넷 쇼핑몰, 검색엔진 등에 제공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검색 엔진에서는 이 표준화된 Vocabulary 를 키로 활용하여 정확도가 높은 검색
  • 7.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7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에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제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HTML 방식의 비구조화된 제품 정보에 비해, GS1 Web Vocabulary 표준을 이용함으로써, 생산자는 자사 제품의 정보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넷 쇼핑 몰 개발자나 검색 사업자들은 데이터 획득의 용이성과 검색엔진 최적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자는 원하는 정보를 100%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GS1 Web Vocabulary 는 2016 년 2 월, 웹 페이지의 구조화 데이터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는 schema.org 의 첫 번째 외부 확장표준으로도 발표되었다. 2.2.4 기타 GS1 표준들 이 외에도 GS1 에서는 사물인터넷을 위한 다양한 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GS1 Barcode 는 제품 번호나 일련 번호 등을 레이저 또는 카메라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쉽게 스캔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미 전세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미 일반 대중에게도 바코드라는 용어는 익숙해져 있으며, 1 차원 바코드의 사실상 전부가 GS1 Barcode 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GS1 에서는 Data Matrix, QR, Data Bar 등 2 차원 바코드에 대한 표준 역시 제공하고 있다. GS1 EDI 표준은 비즈니스 트랜잭션 중에 발생하는 메시지 이벤트와 교환에 대한 표준을 제공한다. GS1 EDI 표준을 통해, 주문, 납품 및 재무 정산 관리는 물론, 운송 및 창고 관리까지 전자화된 표준 정보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 표준은 물류, 무역, 전자상거래, Health care , 스마트팩토리, 분야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GS1 GDSN(Global Data Synchronization Network)은 제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분산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관한 표준이다. GTIN 을 가지는 제품이나 사물에 대한 표준 정보를 글로벌한 데이터풀에 저장하고, 누구나가 정보를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공급 업체나 소매 업체가 제품 정보를 업데이트 할 때, GS1 표준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세계의 37 개 데이터풀이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보장받을 수 있다. 지금까지 소개한 GS1 의 표준들은 서로가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다. 아주 작은 소비자용 사물에서부터 글로벌한 물류 및 철도 시스템까지, 모든 사물이 생성해 내는 정보를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하나의 거대한 데이터 기반 사물인터넷 생태계를 구축하게 된다. Ⅲ GS1 주요 서비스 표준 개발 현황 3.1 Transport & Logistics 운송 및 물류 서비스 제공자들은 물건들이 언제 어디에 있고, 어디서 왔는지 또 어디로 가는지를 실시간 모니티링할 필요가 있다. GS1 표준은 이와 관련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여 가시성을 높이며, 최적의 의사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GS1 GSMP 의 Transport & Logistics Work Group 은 GS1 표준을 이용해 운송 및 물류의 효율성, 속도 그리고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배송관리, 교통관리, 창고관리, 자산관리, 국경프로세스 관리와 같이 5 개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또한 XML 기반의 Logistics Interoperability Model (LIM)을 제정하여 이 분야에서 파트너들간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고 있다. 표 3 GS1 Transport & Logistics 표준 도입 사례 관련 비즈니스 프로세스 도입 기업 도입 분야 배송 관리 Tesco 식료품 관리 교통 관리 Stena Line 선박 관리 자동화 창고 관리 Uniever 창고 관리 지원과 유지 비용 감소 자산 관리 Kibun 손수레 수송을 분 단위로 관리 국경 프로세스 관리 World Customs Organization (WCO) 국경 컨트롤 지원 3.2 Retail GS1 은 소매 (retail)와 관련한 서비스 표준도 정의하고 있다. 소비자가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을 끊임없이 바꿔가며 이용하고 소매상은 이에 재빨리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개념인 옴니 채널을 기본 모델로 삼고 있다. GS1 옴니 채널 전략은 더 정확한 검색, 강화된 상품 정보, 최적화된 소비자 충족, 스마트한 분석, 안전한 상품 제공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의류 분야에서
  • 8.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8 Levi Strauss & Co. 에서는 EPC 가 가능한 RFID 를 사용해서 멕시코 시장을 공략하고 있고, 또한 이탈리아의 음식 소매상인 Iper, La grande i 에서는 GS1 데이터바를 사용해 자동으로 유통기한 관리를 함으로써 음식 낭비를 줄이고 있다. Tesco and Dairy Crest 도 GS1 표준을 사용해 소매업에서 배달 정확도 99.5%를 달성하는 등 여러 업체에서 GS1 표준을 도입하고 있다. GS1 옴니 채널과 관련한 표준은 GS1 Smart Search, GS1 Source, Digital Coupon Management 가 있다. GS1 Smart Search 는 상품의 GTIN 과 구조화된 상품 정보를 연결시켜 효과적인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GS1 Source 는 신뢰성 있는 상품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서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모바일 앱 등 사용자를 직접 대면하는 디지털 채널을 제공할 때 활용된다. Digital Coupon Management 표준은 디지털 쿠폰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는데 쓰이는 표준이다. 3.3 Health Care 그림 4 영국 NHS 병원의 GS1 표준 활용 사례 GS1 의 헬스케어 주요 서비스 표준 개발은 병원 및 기업에서 의약품 및 의료 기기의 이력 추적(Traceability) 실현 및 EDI 를 통한 의료 정보 교환 표준 정립에 주요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6 년 초에는 Healthcare EDI Implementation Kit 을 배포하여 GS1 표준을 따르는 의약품 생산자, 병원, 약국 사이의 GS1 표준 기반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고 있다. 호주의 ACT 자치구의 경우 GSRN 과 SRIN 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ID 밴드를 부여하고 있으며, 병원 스태프에게도 GSRN 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의약품에도 GTIN 및 GLN 을 활용하여 환자 및 병원 스태프가 사용하는 의약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호주 외에도 미국, 영국, EU, 사우디 아라비아, 터키 등 GS1 표준을 활용한 의약품 이력 추적 시스템 구축을 완료 또는 진행 중인 국가가 다수 존재하며, 미국의 경우 FDA 의 Global UDI 데이터베이스(GUDID)에 50 만개 이상의 의료 기기가 GTIN 기반의 ID 로 등록되어 있다. 영국의 경우 의료체계 전반에 걸쳐 GS1 표준을 채택하여 발전시켜 나가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 예로 영국의 NHS(National Health Service) 병원은 병원 내의 모든 의료 물품 및 의약품에 GS1 표준을 따르는 자체 바코드를 삽입하였고, 자체 개발한 hTrack 이라는 바코드 스캔 기기를 이용하여 이력 추적 및 물품 관리를 실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연간 약 30%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이 밖에도 Roche, DHL. AmerisourceBergen 등 다양한 병원 및 기업에서 GS1 표준을 의료 분야에 활용하고 있으며, GS1 또한 매년 두 차례 GS1 Healthcare Conference 를 개최하여 정부, 병원, 기업 간 활발한 교류 및 표준 관련 논의를 지원하고 있다. 3.4 Fresh Food GS1 Fresh Foods Industry 그룹은 각 회원국의 식품 산업분야의 생산자, 유통업자, 식품 서비스업자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참여를 통해 운영되며 주요 미션은 식품 이력추적, 안전관리, SCM 최적화,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 등이다. EU 에 소속된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표준안 작업 및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어류(Fish), 과일/야채 (Fruit & Vegetable), 육류/가금류 (Meat & Poultry), 일반(General)등 4 개의 섹션에 걸쳐 총 16 개의 식품 서비스 권고안 (Food Service Guideline)을 도출하여 공개 중이다. 각 권고안에서는 식품의 식별체계, 이력추적체계, 바코드 디자인 등에 걸쳐 GS1 표준을 실제 식품 서비스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권고사항들을 기술하고 있다. Fresh Food Industry 의 권고사항들은 식품 서비스의 판매시점에 식품의 이력정보의 공개를 의무화하는 EU1169/2011 EU 규정과 맞물려 유럽 내 식품서비스를 위한 정보서비스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은 2015 년 식품안전법을 제정하였으며, 스마트팜에서부터 식품안전소비에 이르는 전 생태계에 GS1 표준 적용을 준비하고 있다. 3.5 Technical Industry GS1 독일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술 산업분야의 파트너사들과 함께 당면 과제인 생산 공정 최적화, 위조품 방지, 제품사후관리 및 이력추적 등의 이슈를 다루고 있다. 주요 서비스 표준화 범위는 제품 생산에서부터 소비자에 이르기 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들의 수집 체계에 대해 표준안을 마련 중이며, Industry 4.0, IIC 등과의
  • 9.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9 협력관계를 통해 GS1 표준의 식별, 공유, 이력추적체계를 활용한 산업 표준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4] 주요 파트너사인 Bosch 그룹은 BMW, 다임러, DHL 등과 함께 GS1 표준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구축에 필요한 사물 및 이벤트 인식의 핵심 표준으로 인식하여 RAN (RFID-based Automative Network)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Bosch 그룹은 서비스 표준안 이외에 CBV 표준안 작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동차 생산 공정상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GS1 EPCIS 에서 수용하기 위한 "Automative Business Steps" Vocabulary 및 이벤트에 대한 표준화를 적극적으로 이끌고 있다. [5] 3.6 Financial Service Auto-ID 와 EDI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GS1 표준은 현금 공급 체인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데도 쓰이고 있다. 유럽의 중앙 은행들은 GS1 표준을 도입하여 그들의 현금 처리 프로세스를 연결된 다른 은행들이나 소매상, 현금 수송자들과 함께 조직하고 있다. 미래에는 상업적인 기관들이 이러한 표준을 end-to-end 로 구현함으로써 이득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사례의 하나로 독일에서는 지폐나 현금 등의 흐름을 추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 나가고 있다. GS1 독일에서 발간한 백서 (white paper) [6]에 따르면, CashEDI 와 같은 표준 현금 처리 솔루션은 단지 시작일 뿐이고, GS1 표준들의 end-to-end 적용은 현금 사이클 내에서 프로세스 최적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GS1 독일은 은행 및 소매상 등 소비자들과 서비스 및 기술 제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일을 식별하고 우선순위를 매겨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이득을 볼 수 있는 미래 타겟 시나리오는 1) 보유고 예측 및 보유 가능량 플래닝을 통한 현금 최적화 2) 미리 경고하는 기능 및 컨트롤 기능을 포함한 주문과 수송 트래킹 3) 지폐 적합도 정렬과 적절한 보고를 통한 재순환 4) 만일의 비즈니스 사태를 위한 운용 리스크 관리 및 여러 벤더 관리 5) 첨단 현금 사이클 관리를 위한 새로운 ATM 기술 6) RFID 와 ATM 카세트의 표준화 등이다. Ⅳ. GS1 오픈소스 프로젝트 (Oliot) Oliot[7]은 Auto-ID Labs, KAIST 가 GS1 과 협력하여 개발하고 있는 EPCglobal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최신 버전의 GS1 EPCglobal 표준 및 관련 서비스들의 레퍼런스 구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물인터넷을 위한 새로운 기능 및 성능에 중점을 둔 확장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Oliot 은 핀란드어로 사물을 지칭하는 Olio 의 복수형이다. Oliot 플랫폼은 사물 인터넷 생태계 말단의 연결성 (IoT Connectivity Layer)으로부터 데이터 필터링 및 콜렉션 미들웨어 (Oliot F&C), 기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Oliot EPCIS), 서비스 레지스트리(Oliot ONS, DS), 애플리케이션(Oliot Pedigree, Traceability & Recall), 메타데이터 서비스(Oliot GS1 Source)까지를 아우르는 사물 인터넷 인프라스트럭쳐 플랫폼이다. IoT 그림 5 GS1 Technical Industry Group 의 주요 서비스 표준 프로세스[4]
  • 10.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0 Connectivity Layer 를 통해 수집되는 다양한 사물의 데이터를 F&C 를 통해 필터링 및 콜렉션을 수행하여 정제하고, 이를 EPCIS 에 시계열로 저장하여 ONS, DS, Traceability & Recall 등의 상위 응용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Oliot 플랫폼의 뼈대가 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EPCIS 는 다양한 기업 및 기관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분산 시스템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글로벌한 사물 식별 및 데이터 관리에 특화되어 있다. 이러한 Oliot 플랫폼 아키텍쳐의 모듈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몇 가지를 아래에 간략하게 소개한다. 그림 7 Oliot 사물인터넷 플랫폼 구조 4.1 Oliot F&C Middleware Oliot F&C Middleware 는 GS1 의 Application Level Event (ALE) 표준 1.1.1 버전 [8]을 구현한 오픈소스이다. Spring Framework 및 Tomcat 기반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연결성으로의 확장성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미들웨어에서는 사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유형, 시간, 위치 등 주어진 기준에 따라 정제하여 상위 캡쳐링 응용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2 Oliot EPCIS Oliot EPCIS 는 GS1 의 EPC Information Service 표준 1.2 버전 [9] 을 바탕으로 구현한 오픈소스이다 [10]. Java 웹 서비스로 구현되었으며 표준에서 제정하는 데이터/인터페이스 표준을 제공한다. 2014 년 8 월 25 일부터 시작된 이 오픈소스는 현재 (2016 년 12 월 28 일)까지 365 번의 커밋 6 개의 브랜치 14 개의 릴리즈 2 개의 연관 논문 [11,12] 활동을 보여주고 있으며 현재 1.2.5 버전을 제공한다. 시스템 적으로 1.2.5 버전은 Java 8 버전, Servlet 3.1 버전, Tomcat 8 버전 위에 동작하는 Java 웹 서비스이자 MongoDB 3.2 버전과 함께 운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이다. MongoDB 외에도 관계형데이터베이스인 MySQL, MariaDB, PostgreSQL, Oracle 등도 지원한다. 4.3 Oliot ONS Oliot ONS(Object Name Service)는 GS1 의 오픈된 생태계의 각 서비스들을 연결해주는 중심축이다. ONS 는 사물의 GS1 식별자를 입력받아 해당 사물과 연관된 서비스 리스트를 찾아준다. 예를 들어,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 이 서비스 리스트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조사의 서버를 알아내어 해당 서버에서 제품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ONS 또한 오픈 소스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이용을 지원하기 위해 Oliot 에서는 ONS 를 EPC 외의 GS1 식별자를 포함한 다양한 타 표준 식별자를 지원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있다. 4.4 Oliot DS Oliot DS(Discovery Service)는 GS1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사물의 동적인 이벤트 정보를 찾아주는 검색 서비스이다. DS 는 EPICS 와 연동되어 해당 GS1 식별자의 이벤트가 저장된 모든 EPCIS 정보를 찾아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제품의 GS1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제품의 제조 정보가 저장된 EPCIS 와, 판매 정보가 저장된 EPCIS 등 해당 제품과 관련된 모든 EPCIS 에 접근하여 히스토리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개개의 사물로 인해 발생하는 수많은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DS 를 통해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준다. 4.5 Oliot 오픈 소스 생태계 구축 사물 인터넷 기반 플랫폼 표준으로 자리잡기 위하여 Oliot 은 더 많은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될
  • 11.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1 수 있도록 오픈 소스 커뮤니티 및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OneM2M, OCF 등 다양한 기존의 사물 인터넷 플랫폼과의 호환성 지원, Spring Framework, Docker 등을 이용한 기존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의 생태계 공유, 아마존 웹 서비스를 비롯한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Public/Private SaaS 로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Oliot 생태계의 확장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Oliot 및 EPCglobal 프레임워크에 정통하지 않은 시스템 관리자가 플랫폼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Admin Dashboard 서비스 또한 준비 중이다. Oliot 은 전세계 글로벌 기업들이 서비스 구현을 위해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스마트팜 및 식품 안전, 교량 안전 관리, 스마트팩토리, 헬스케어, 스마트 시티, 커넥티드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범 및 상용으로 적용되고 있다. Ⅴ. GS1 표준 기반 서비스 적용 사례 5.1 Internet of Trains (GS1 Railway 및 MRO) 최근 유럽의 철도 회사들은 GS1 과 함께 각국의 관제시스템의 정보를 공유하는 표준을 만들고, 스위스와 북유럽 3 개국을 중심으로 운영중에 있으며, 향후 전세계 표준 모델로 확장을 기획하고 있다. 특히 GS1 EPCIS 는 운행하는 기차의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핵심 표준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철도 차량 모니터링을 가시화하기 위한 서비스로 운송 및 물류를 더욱 효율적으로 융합 가능하게 한다. 국가 간 철도 관제 시스템의 정보 공유를 지원하고 철도회사뿐만 아니라 물류회사와도 기차의 운행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운송 수단간의 최적 운송 스케쥴 계획이 가능해져서, 글로벌한 철도 중심의 운송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림 6 GS1 철도차량 모니터링 GS1 철도 표준 권고안에서는 철도 차량을 GS1 표준 식별자로 각각 식별하고 RFID, 차량 바퀴 온도 감지 센서, 접전부(판토그래프) 상태 모니터링 센서등을 통해 차량의 위치, 운행 방향 및 차량 상태를 인식한다. 이러한 센싱 데이터를 통합하여 열차의 현재 상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국가간, 철도회사간 정보 공유가 가능해진다. 기차의 동적인 이벤트 데이터는 EPCIS 문서의 표준 이벤트를 통해 통합 및 저장된다. 예를 들어, 프랑스 소유의 기차가 국경을 넘어 벨기에를 운행할 때, 벨기에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EPCIS 표준 데이터 저장소를 통해 프랑스와 벨기에간 공유가 된다. 유럽의 철도 차량 관제 서비스뿐만 아니라 철도의 유지 보수 및 수리(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에도 GS1 표준이 적용 실험되고 있다. MRO 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핵심 용어 및 구성 요소 등을 GS1 표준을 통해 정의하고 철도회사의 자산을 GS1 표준 식별자를 통해 식별함으로써 MRO 프로세스 및 철도 자산 관리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철도운영에 GS1 표준을 적용함으로써 철도 차량 관제 및 철도 시스템 유지 보수의 스마트화를 통해 새로운 글로벌한 철도 생태계가 만들어 지고 있다. 5.2 Internet of Ships (STM, Monalisa) 그림 7 해상선박및항구간GS1 기반정보공유 스웨덴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은 해상 운송 부문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GS1 표준기반 Mona Lisa 와 STM (Sea Traffic Management)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13] 프로젝트의 범위는 발트해, 북해 및 지중해를 포함하며 핀란드, 덴마크, 독일, 영국, 스페인 등의 국가가 참여한다. 국가 간, 선박과 국가 간의 정보 교환을 통해 해상 교통 관리를
  • 12.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2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이해 관계자 간의 의사 소통 및 정보 공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운송 물류를 위한 GS1 표준 식별자를 사용하여 선박 및 항구를 식별하고 운송 과정을 EPCIS 표준 이벤트로 저장 및 관리한다. EPCIS 를 통해 선박의 출발 및 도착, 항해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제공함으로써 선박의 항해 과정의 가시화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주변 선박의 계획 노선 및 항해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으며 교통량 혼잡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선박과 수입국간의 출발 및 도착시간 등의 교환을 통해 항구 운영의 효율적인 시간 계획이 가능해진다. 5.3 Smart Factory 제조 산업에 있어서 제품의 효율적인 생산 공정정보 체계 구축은 생산성과 수익률로 직결된다. 특히 복잡한 제조공정 및 정밀부품들을 관리해야 하는 독일 자동차업계의 니즈에 맞춰 독일의 BMW, 다임러(Daimler), 오펠(Opel), Bosch 를 포함한 약 20 개의 제조사, 공급자, 물류회사, 연구기관, IT 와 소프트웨어 회사가 협력하여 2010 년부터 3 년에 걸쳐 RFID 기반 자동차 네트워크(Automotive Network, RAN)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서 자동차 부품의 식별 및 공정 이벤트 표현에 GS1 의 표준 체계가 활용되어 end-to-end 이벤트 정보의 EPCIS 를 통한 관리가 이루어졌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에서 물류에 이르는 정보의 체계화를 통해 사용자 주문 옵션에 맞는 주문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자동차 산업에도 다양한 소비계층에 맞는 다품종 대량생산체계가 가능한 Smart Factory 구축이 가능하게 되었다. [14] 그림 8 Bosch 의 GS1 표준 기반 스마트 팩토리 End-to-End 데이터 플랫폼 무기 및 정밀 부품들의 경우 제조사들은 GS1 표준의 식별체계 및 DataMatrix 를 활용하여 제품 생산 이후의 부품단위 별 사후 관리 서비스를 운영함으로써 생산 이후의 소비자 대응 및 진품 인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의 방위산업체인 MBDA 는 위급상황에 대한 원격 지원시스템 구축에 있어 MBDA 의 전문가들이 원격으로 문제가 되는 부품 파트를 인식하기 위한 방식으로 GTIN 코드가 인코딩된 GS1 DataMatrix 를 미사일등 무기시스템에 부착하여 활용하고 있다. 또한 독일의 베어링 생산업체인 HFG 및 SCHAEFFLER 그룹의 경우 자사에서 생산하는 정밀부품에 GTIN, GIAI 코드가 인코딩된 GS1 DataMatrix 활용을 통해 출시 제품에 발생한 문제에 대해 빠른 원인 파악 및 부분적 리콜을 진행함으로써 브랜드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있으며, 위조 제품을 찾아내는데도 활용하고 있다. 5.4 기타 사례 앞서 소개한 기차, 선박, 스마트팩토리 처럼 이외에도 GS1 표준은 EU/중국 등의 식품안전 및 물류 서비스에 있어서는 확고한 표준으로 자리잡았으며, 특히 2016 년 10 월 중국 최대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인 Alibaba 에서 GS1 표준을 기반으로 상품을 식별하기로 선언하면서, GS1 표준의 글로벌한 적용이 가속화될 것이다. Ⅵ. 결 론 미래 4 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사물인터넷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최적화와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해내는 데이터 테크놀러지(Data Technology)가 대세일 것이다. 글로벌한 데이터 와 서비스 공유 인프라를 표준화하는 GS1 이 주목 받고 있는 이유이다. GS1 표준은 ISO, IIC, Industry 4.0 등 다양한 국제 표준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등의 경우 MO 들이 주도적으로 GS1 표준의 산업 적용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의 경우 GS1 표준의 산업 적용이 미비한 상황이어서, 향후 글로벌 사물인터넷 사업 추진에 있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GS1 표준의 산업적용에 대한 정부 및 기업차원의 참여와 지원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GS1 Global Office, "GS1 Annual Report 2016", 2016
  • 13. Technical Report, Auto-ID Labs & School of Computing, KAIST 13 [2] GS1 Global Office, "Introduction to Global Standard Management Process (GSMP)" [3] Diane Taillard, "Traceability Interest Group", GS1 Industry and Standards Event 2016, Brussel, Belgium, Oct 3-7, 2016 [4] GS1 Industry Group, “Gaining Interoperability in the Digital Economy” [5] Gerd Scheying, "Relevance of Confining Standards for Business in the IoT and Industrie 4.0", GS1 Industry and Standards Event 2015, Warsaw, Poland, Oct 12-16, 2015 [6] GS1 Germany, “Use GS1 Standards to Organize Cash Handling and ATM Processes” [7] Open Language for Internet of Things, Retrieved from http://oliot.org [8] Application Level Events (ALE) Standard, Retrieved from http://www.gs1.org/ale [9] EPCIS and Core Business Vocabulary (CBV), Retrieved from http://www.gs1.org/epcis [10] Oliot EPCIS Github Page, Retrieved from https://github.com/JaewookByun/epcis [11] Jaewook Byun, Daeyoung Kim. "Oliot EPCIS: New EPC information service and challenges towards the Internet of Things." RFID (RFID),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15. [12] Jaewook Byun, Daeyoung Kim, "EPC Graph Information Service: Enhanced object traceability on unified and linked EPCIS events,"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Information System Engineering (WISE 2015), Miami, Florida, USA, November 1-3, 2015. [13] STM (Sea Traffic Management) – Voyage Management: http://stmvalidation.eu/#!activity- item/activity-2-voyage-management [14] GS1 Global Office. "Digital Supply Chain: Use- Cases for RFID Sensors", 2016 [15] GS1 Industry Group, "Delivering expert knowledge globally with GS1 DataMatrix" [16] GS1 Industry Group. "Making products traceable and tamper-proof with GS1 standards" [17] GS1, “GS1 EPCIS for Rail Vehicle Application Standard 1.0.1”, July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