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주간기술동향 2016. 11. 16.
www.iitp.kr30
미국 스탠퍼드 대학은 “2030년 인공지능과 생활(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fe in 2030)”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공개하였음. 이 보고서는 인공지능(AI) 그 자체와 함께 인간과 공동체 사회에 대한 AI의 영
향에 대해 장기적 관점에서 조사하는 ‘AI 100’ 프로젝트 중 첫 번째 과업으로, 전형적인 미국의 도
시를 예로 들어 교통, 홈서비스 로봇 등 여덟 가지 분야에서 2030년경 AI 활용도를 예측한 것인데,
AI가 미칠 영향이 광범위하므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권고
*
I . 스탠퍼드 대학의 2030 년 인공지능 전망, 천천히 확실하게 도래
◈ 스탠퍼드 대학은 2014 년 가을 ‘인공지능에 관한 100 년 동안의 연구(One Hundred Year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약칭 AI 100)’ 프로젝트를 시작하였음
• AI 100 프로젝트의 첫 번째는 전형적인 미국의 도시를 예로 삼아 교통, 로봇, 헬스케어, 교
육, 빈곤지역, 공공의 안전과 보안, 고용과 직장, 엔터테인먼트 등 여덟 개 분야에서 “2030
년경의 AI 활용 상황”에 대해 예측하고 있음
• 이 프로젝트에는 기업과 학계의 AI 전문가뿐 아니라 AI 에 정통한 법률 전문가와 경제학자
등 17 명의 멤버가 연구 패널로 참여하
였음
• 패널 참여자 중에는 전 MIT 컴퓨터과학
과 인공지능 연구소장이자 로봇 청소기
룸바를 만든 아이로봇의 설립자 로드니
브룩스와, “기계와의 경쟁”이라는 책으
로 널리 알려진 MIT 의 에릭 브린욜프슨
등이 포함되어 있음
• 스탠퍼드 대학은 연구 패널들이 2015 년
*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산업분석팀(☎ 042-612-8296)과 최신 ICT 동향 컬럼리스트 박종훈 집필위원
(soma0722@naver.com ☎ 02-739-6301)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 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최신 ICT 이슈
<자료> Stanford University
[그림 1] ‘2030 년 인공지능과 생활’ 보고서
최신 ICT 이슈
31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에 논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2030 년 인공지능과 생활(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fe in 2030)”
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지난 9 월에 발간했으며, 약칭 AI 100 보고서라 불림
• AI 100 프로젝트는 적어도 100 년, 즉 2114 년까지 이어지는 매우 장기적인 것으로 연구 패
널들은 5 년마다 예측을 재검토하게 되며, 따라서 AI 100 보고서 역시 5 년마다 수정, 보완
될 것으로 보임
• AI 100 보고서는 지금으로부터 약 14 년 후에 AI 가 어디까지 진화하고 직장과 사회생활에
얼마나 침투할 것인지에 대해 나와 나의 주변을 이미지화하면서 읽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AI 의 역사와 현상에 대해서도 간결하게 정리되어 있음
◈ AI 100 보고서의 전반적인 톤은 “AI 확산의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
라”는 쪽에 가까우며, AI 를 인간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으로 보지는 않음
• 보고서는 할리우드 영화에 종종 묘사되는 것 같은 AI 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는 허구적
(fictional)인 것이며, AI 를 인간에 닥친 임박한 위협으로 경계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단언
하고 있음
• 지금부터 2030 년까지 유용한 AI 응용 프로그램이 늘어날 것이고, 이것들은 사회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연구 패널들은 예상하고 있음
• 운전이 더 안전해질 것이고, 아이들의 교육의 질이 향상되며, 사람들의 생활이 보다 윤택
해질 것인데, 이런 긍정적인 면에 주목해야 한다고 이 보고서는 주장하고 있음
• 그러나 결코 미래를 장밋빛으로만 그린 것은 아니며, 고용 및 개인정보보호 등과 관련해
중요한 문화적·사회적 과제가 부상할 것이라는 점도 지적하고 있음
• 가령 AI 가 인간의 노동을 어떤 식으로 확장하거나 대체하는 지에 따라서 혼란을 일으킬
수도 있고, 경제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보고 있음
• 학술 종사자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인지 전체적으로 예측에 대한 신중한 태
도가 엿보이기도 하는데, 2030 년에는 한마디로 이렇게 된다라는 식의 전망은 없으며, “이
러저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이렇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시나리오가 주를 이룸
• 명확하지 않다는 인상을 줄 수도 있으나, AI 가 인간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
뿐 아니라 영향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 지를 엿볼 수 있는 시사점이 풍부함
◈ 보고서는 8 개 분야 중에서 ‘교통(Transportation)’에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으며, 아마
도 2030 년경의 이미지를 그려보기가 가장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주간기술동향 2016. 11. 16.
www.iitp.kr32
• 교통 분야에서 핵심은 당연히 자율운전인데, 보고서는 2030 년경에 자율운전 기술의 적용
대상은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고, 배송 차량과 트럭, 드론 같은 비행기기나 개인용 로봇에
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함
• 자율운전 기술이 진화해 충분히 안전하고 인간의 운전 수준을 넘어서게 된다면 다양한 영
향을 미치게 되는데, 보고서는 우선 교통사고가 감소함으로써 자동차 사회인 미국에서 사
고로 인한 사상자가 줄어 시민의 평균 수명이 연장될 것이라 예상
• 또한 라이프 스타일이 바뀌게 되는데, 미국에서 1 회 운전 시간은 평균 25 분으로, 운전을
AI 에 맡기면 이 시간을 일이나 엔터테인먼트에 활용할 수 있게 됨
• 차내에서 시간을 편안하게 보낼 수 있게 되면 거주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근무지
와 가까운 곳에 살지 않아도 상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어날 가능성이 생김
• 특히, 자녀가 있는 가정, 노인,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보다 자유롭고 유연하게 사는 곳을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음
◈ 자율운전 기술의 발전은 자동차 문화는 물론 전철이나 버스 등 대중교통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도시 및 공공 공간의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자율운전과 함께 차량 공유가 보편화되면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고 서비스로 간주하는 사
람들이 늘어날 것이며, 이렇게 되면 주차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도시 및 공공 공간의 디
자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전철이나 버스 등의 대중교통에 대한 영향도 불가피한데, 보고서는 자율운전의 보급으로
대중교통에 대한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며, 개인 고속 환승(Personal Rapid Transit,
PRT) 등으로 변모할 것이라 보고 있음
• 자율운전이 보급되면서 당연히 보안 대책
도 더 중요해지는데, 자율운전 기술이 안전
하다고 어떻게 보증할 수 있는지, 보증을
위해서는 얼마나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
해야 할 것인지 등의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음
• 자율운전차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교통
인프라를 이용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
<자료> ULTra PRT
[그림 2] 영국 히스로우 공항의 PRT
최신 ICT 이슈
33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는 악의를 가진 공격자들에게 활동의 장이 넓어지게 됨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보안 대책
의 마련도 중요함
• 따라서 법적 정비가 필수불가결한데, AI 100 보고서는 현재 미국의 많은 주에서 자율운전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규정이 정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음
• 현재 미국의 네바다,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미시간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자율운전자
동차를 도로에서 테스트 할 수 있는 규정을 두고 있지만, 자율운전차량이나 반(半)자동운
전 차량이 사고를 일으킨 경우 누가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조항은 마련되어 있
지 않은 상태
◈ 고용과 직장(Employment and Workplace) 분야는 인간의 일을 AI 가 빼앗을지도 모른다는 민
감한 주제와 연관이 있어 교통 분야보다는 보고서의 표현이 보다 신중함
• 보고서는 우선 AI 가 급속하게 진화하여, 한 세대 안에 인간의 모든 직업을 바꿔 버리는 돌
발적인 시나리오는 있을 수 없을 것이라 적시하고 있음
• 그러나 AI 는 거의 모든 직업 영역을 서서히 잠식해 갈 것이고 “컴퓨터가 일을 빼앗아가면
인간은 물러날 수밖에 없게 된다”고 말함으로써 AI 에 의한 인간 노동의 대체 가능성을 시
사하고 있음
• 보고서는 AI 의 영향력을 전망할 때 지금까지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노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하고 있음
• 지금까지의 디지털 기술은 주로 반복적 작업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따라 주로
여행사의 업무 같은 “중간 레벨의 일”이 낮은 레벨 또는 높은 레벨의 일보다 영향을 더 받
고 있음
• AI 가 확산됨에 따라 영향을 받는 범위가 더 확
대될 가능성이 있는데, 보고서는 지금까지 기
계로 대체되지 않았던 전문 서비스와 같은 높
은 스킬을 요하는 작업도 대체될 수 있다고 전
망하고 있음
• AI 가 대체하는 것은 당분간 “직업이라기보다
는 작업(task)”일 것인데, 가령 변호사 업무의
대부분은 아직 AI 로 자동화되어 있지 않지만,
<자료> Hub Pages
[그림 3] AI 의 전문직 대체
주간기술동향 2016. 11. 16.
www.iitp.kr34
“법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주제별로 정리”하는 작업의 자동화는 진행되고 있으며, 이
는 1 년차 변호사가 하는 작업을 대체하는 것에 해당함
• 보고서는 AI 가 기존의 직업을 대체하는 한편, 새로운 직장·직업을 만들어내는 데에도 기
여할 수 있다고 보는데, “어떤 일이 없어질 것인가”는 예상할 수 있어도 “어떤 일이 새롭
게 만들어 질 것인가”를 미리 상상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고백하고 있음
◈ AI 는 기업 조직의 형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AI 의 시대에는 사업 규모의 확대가
곧 노동자 수의 확대로 직결되지는 않을 전망임
• 지금까지의 기업은 노동 자원인 사람의 수를 늘려 사업의 거점을 국내외로 넓히는 수평적
확대나, 조직의 계층적 구조를 늘려나가는 수직적 확대를 통해 조직을 키우고 비즈니스 규
모를 확대해 왔음
• AI 가 대부분의 노동을 대체하게 되면 비즈니스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 조직 규모를 키우지
않아도 되며, AI 기반의 노동 아웃소싱 시장이 확립되면, 대부분 기업이 사업 규모가 확대
되더라도 전체 직원들이 서로 얼굴을 알고 지내는 규모로 유지될 수도 있음
◈ 보고서는 AI 의 발전이 가져올 부(富, wealth)를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 하는 문제도 매우 중요
한 아젠다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
• AI 가 다양한 영역에서 노동을 대체하게 되면 상품과 서비스의 원가가 줄어 낮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되며, 이 점만 본다면 많은 사람이 사람이 부자가 된다고 유추할 수 있음
• 그러나 서서히 진행되기는 하겠지만 AI 가 거의 모든 직업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수입이
높은 “경험적 지식에 근거한 일”도 빼앗을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지금보다 더 가난해
질 가능성도 분명 존재함
• 보고서는 AI 가 가져올 대대적인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본 소득(최저 소
득 보장) 등 사회안전망의 필요성을 설파
하고 있음
• 이러한 사회안전망이 없다면 사회의 극
히 일부 상류층만이 AI 의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AI 100 보고서는 경고하고
있으며, AI 가 가져올 부를 어떻게 공유할
<자료> Basic Income 2016.
[그림 4] 스위스의 기본소득 법안 찬성 집회
최신 ICT 이슈
35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지에 대해 지금부터 논의해도 결코 이른 것은 아니라 말하고 있음
• 실제로 2016 년 6 월 5 일 스위스에서는 인공지능에 의한 일자리 감소 문제 해결을 위해 성
인 1 인당 매월 2,600 달러를 지급하는 기본소득 법안에 대한 국민투표가 전세계 최초로 실
시된 바 있는데, 인공지능 시대의 중대한 화두를 전세계에 던졌다는 평가
◈ 교통과 노동 분야의 전망만 놓고 보더라도, AI 가 영향을 미치는 범위는 지엽적인 것이 아니
라 경제적, 사회문화적으로 광범위하다는 것을 충분히 머리 속에 그려볼 수 있음
• 가령 자율운전차는 운전자가 필요 없게 된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상당한 사건이지만, 그
에 그치지 않고 차량을 소유하지 않는 문화를 확산시켜 자동차 제조업과 판매·수리업,
주유소, 자동차용품 제조업, 주차장 사업 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게 됨
• 직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것이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면, 부동산·주택 판
매 회사는 물론 대중교통에서 도시 계획까지 전면 재검토해야 할 수도 있음
• 이용자들도 편의성이 극적으로 제고되는데, 특히 고령자나 장애인 같이 운전을 하고 싶어
도 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자율운전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장점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음
• 따라서 AI 활용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염두에 두면서, 예상할 수 있는 영향력을 최대한 파
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함으로써 불안과 위험을 불식시키거나 경감시킬 필요가 있음
• AI 활용과 보급을 주도하는 입장에 있는 기업이나 조직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가
선행하지 않도록 적어도 AI 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자들에게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공개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 AI 100 보고서가 그리는 미래가 정확한 것도 아니며 이에 대한 판단은 제각각일 수 있지만,
확실한 것은 능동적으로 대처했을 때 어떤 미래든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는 점
• AI 100 보고서는 8 개 분야로 나누어 AI 를 살펴본 데서 알 수 있듯, 인간처럼 폭넓은 적용
범위와 일반화 능력을 가진 ‘범용 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이 2030 년까지
실현될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 않음
• 반면, 2030 년경에 AGI 가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는 견해도 있으며, 이렇게 된다면 인간의 직
업 대부분이 AI 에 빼앗기게 되는 디스토피아가 단번에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4 년 후인 2020 년의 일조차 예측하기 어려운데, 그보다 더 10 년 후에 어떻게 되어 있을지
는 사실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고 보아야 함
주간기술동향 2016. 11. 16.
www.iitp.kr36
• 그렇다면, 앨런 케이의 말대로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발명하는 것이
다’라는 자세가 필요하며, AI 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장차 어떤 미래가 펼쳐지든
그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가짐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임
[ 참고문헌 ]
[1]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ming of age, slowly but surely”, Livemint, 2016. 11. 1.
[2] “Has AI(Finally) Reached a Tipping Point?”, Wall Street Journal, 2016. 10. 28.
[3] “Smart Machines Will Eat Jobs--Except Where Smart People Create Them”, Education Week,
2016. 10. 31.
[4] “Stanford-hosted study examines how AI might affect urban life in 2030”, Stanford University News,
2016. 9. 1.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
Sungho Lee
 
Carsafe
CarsafeCarsafe
Carsafe
JINHAKJOHE
 
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
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
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
Sungho Lee
 
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
SK(주) C&C - 강병호
 
가트너, 스마트 머신 시대의 도래는 악영향보다 혜택이 클 것
가트너, 스마트 머신 시대의 도래는 악영향보다 혜택이 클 것가트너, 스마트 머신 시대의 도래는 악영향보다 혜택이 클 것
가트너, 스마트 머신 시대의 도래는 악영향보다 혜택이 클 것atelier t*h
 
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
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
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
Sungho Lee
 
두 개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선택
두 개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선택두 개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선택
두 개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선택
석관 김
 
4차산업혁명 060215
4차산업혁명 0602154차산업혁명 060215
4차산업혁명 060215
Chang-ki Park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규문 최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Sungho Lee
 
커머스 시장의 인공지능(AI) 활용과 사용자 경험(UX)
커머스 시장의 인공지능(AI) 활용과 사용자 경험(UX)커머스 시장의 인공지능(AI) 활용과 사용자 경험(UX)
커머스 시장의 인공지능(AI) 활용과 사용자 경험(UX)
Billy Choi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활 김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gilforum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봉조 김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두원 차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sangyoul lee
 
인공지능(AI)과 사용자 경험(UX)
인공지능(AI)과 사용자 경험(UX)인공지능(AI)과 사용자 경험(UX)
인공지능(AI)과 사용자 경험(UX)
Billy Choi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활 김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두원 차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sy kim
 

What's hot (20)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
 
Carsafe
CarsafeCarsafe
Carsafe
 
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
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
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
 
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
 
가트너, 스마트 머신 시대의 도래는 악영향보다 혜택이 클 것
가트너, 스마트 머신 시대의 도래는 악영향보다 혜택이 클 것가트너, 스마트 머신 시대의 도래는 악영향보다 혜택이 클 것
가트너, 스마트 머신 시대의 도래는 악영향보다 혜택이 클 것
 
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
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
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
 
두 개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선택
두 개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선택두 개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선택
두 개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선택
 
4차산업혁명 060215
4차산업혁명 0602154차산업혁명 060215
4차산업혁명 060215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커머스 시장의 인공지능(AI) 활용과 사용자 경험(UX)
커머스 시장의 인공지능(AI) 활용과 사용자 경험(UX)커머스 시장의 인공지능(AI) 활용과 사용자 경험(UX)
커머스 시장의 인공지능(AI) 활용과 사용자 경험(UX)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인공지능(AI)과 사용자 경험(UX)
인공지능(AI)과 사용자 경험(UX)인공지능(AI)과 사용자 경험(UX)
인공지능(AI)과 사용자 경험(UX)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Viewers also liked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배훈 최
 
인공지능
인공지능인공지능
인공지능ghckddnjs
 
로봇과 인공지능, 그리고 미래의 노동
로봇과 인공지능, 그리고 미래의 노동로봇과 인공지능, 그리고 미래의 노동
로봇과 인공지능, 그리고 미래의 노동
Terry Taewoong Um
 
인공지능과 생활의 변화
인공지능과 생활의 변화인공지능과 생활의 변화
인공지능과 생활의 변화
JeongHeon Lee
 
Introduce Deep learning & A.I. Applications
Introduce Deep learning & A.I. ApplicationsIntroduce Deep learning & A.I. Applications
Introduce Deep learning & A.I. Applications
Mario Cho
 
알파고 해부하기 3부
알파고 해부하기 3부알파고 해부하기 3부
알파고 해부하기 3부
Donghun Lee
 
알파고 해부하기 1부
알파고 해부하기 1부알파고 해부하기 1부
알파고 해부하기 1부
Donghun Lee
 
알파고 (바둑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
알파고 (바둑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알파고 (바둑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
알파고 (바둑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
Shane (Seungwhan) Moon
 
AlphaGo 알고리즘 요약
AlphaGo 알고리즘 요약AlphaGo 알고리즘 요약
AlphaGo 알고리즘 요약
Jooyoul Lee
 
大榮蛹蟲草20130910
大榮蛹蟲草20130910大榮蛹蟲草20130910
大榮蛹蟲草20130910gl86801613
 
1605인공지능이란
1605인공지능이란1605인공지능이란
1605인공지능이란
elalrh
 
인공지능
인공지능인공지능
인공지능lsmgame
 
알파고 해부하기 2부
알파고 해부하기 2부알파고 해부하기 2부
알파고 해부하기 2부
Donghun Lee
 
2016 kcd 세미나 발표자료. 구글포토로 바라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2016 kcd 세미나 발표자료. 구글포토로 바라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2016 kcd 세미나 발표자료. 구글포토로 바라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2016 kcd 세미나 발표자료. 구글포토로 바라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JungGeun Lee
 
지적 대화를 위한 깊고 넓은 딥러닝 PyCon APAC 2016
지적 대화를 위한 깊고 넓은 딥러닝 PyCon APAC 2016지적 대화를 위한 깊고 넓은 딥러닝 PyCon APAC 2016
지적 대화를 위한 깊고 넓은 딥러닝 PyCon APAC 2016
Taehoon Kim
 
기계학습 / 딥러닝이란 무엇인가
기계학습 / 딥러닝이란 무엇인가기계학습 / 딥러닝이란 무엇인가
기계학습 / 딥러닝이란 무엇인가
Yongha Kim
 
무인자동차 개론
무인자동차 개론무인자동차 개론
무인자동차 개론Jisup Lee
 
소프트웨어와 예술
소프트웨어와 예술소프트웨어와 예술
소프트웨어와 예술
도형 이
 

Viewers also liked (20)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인공지능인공지능
인공지능
 
로봇과 인공지능, 그리고 미래의 노동
로봇과 인공지능, 그리고 미래의 노동로봇과 인공지능, 그리고 미래의 노동
로봇과 인공지능, 그리고 미래의 노동
 
인공지능과 생활의 변화
인공지능과 생활의 변화인공지능과 생활의 변화
인공지능과 생활의 변화
 
Introduce Deep learning & A.I. Applications
Introduce Deep learning & A.I. ApplicationsIntroduce Deep learning & A.I. Applications
Introduce Deep learning & A.I. Applications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알파고 해부하기 3부
알파고 해부하기 3부알파고 해부하기 3부
알파고 해부하기 3부
 
알파고 해부하기 1부
알파고 해부하기 1부알파고 해부하기 1부
알파고 해부하기 1부
 
알파고 (바둑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
알파고 (바둑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알파고 (바둑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
알파고 (바둑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
 
AlphaGo 알고리즘 요약
AlphaGo 알고리즘 요약AlphaGo 알고리즘 요약
AlphaGo 알고리즘 요약
 
大榮蛹蟲草20130910
大榮蛹蟲草20130910大榮蛹蟲草20130910
大榮蛹蟲草20130910
 
1605인공지능이란
1605인공지능이란1605인공지능이란
1605인공지능이란
 
인공지능
인공지능인공지능
인공지능
 
인공지능
인공지능인공지능
인공지능
 
알파고 해부하기 2부
알파고 해부하기 2부알파고 해부하기 2부
알파고 해부하기 2부
 
2016 kcd 세미나 발표자료. 구글포토로 바라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2016 kcd 세미나 발표자료. 구글포토로 바라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2016 kcd 세미나 발표자료. 구글포토로 바라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2016 kcd 세미나 발표자료. 구글포토로 바라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지적 대화를 위한 깊고 넓은 딥러닝 PyCon APAC 2016
지적 대화를 위한 깊고 넓은 딥러닝 PyCon APAC 2016지적 대화를 위한 깊고 넓은 딥러닝 PyCon APAC 2016
지적 대화를 위한 깊고 넓은 딥러닝 PyCon APAC 2016
 
기계학습 / 딥러닝이란 무엇인가
기계학습 / 딥러닝이란 무엇인가기계학습 / 딥러닝이란 무엇인가
기계학습 / 딥러닝이란 무엇인가
 
무인자동차 개론
무인자동차 개론무인자동차 개론
무인자동차 개론
 
소프트웨어와 예술
소프트웨어와 예술소프트웨어와 예술
소프트웨어와 예술
 

Similar to 스탠퍼드 대학의 2030년 인공지능 전망, 천천히 확실하게 도래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혁신적인 제품(Product)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혁신적인 제품(Product)편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혁신적인 제품(Product)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혁신적인 제품(Product)편
RightBrain inc.
 
UX Discovery 6th Rightbrain_part1
UX Discovery 6th Rightbrain_part1UX Discovery 6th Rightbrain_part1
UX Discovery 6th Rightbrain_part1
RightBrain inc.
 
20190721 fsri-ai and ethics v1.0
20190721 fsri-ai and ethics v1.020190721 fsri-ai and ethics v1.0
20190721 fsri-ai and ethics v1.0
jason min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웨어러블(wearable)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웨어러블(wearable)편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웨어러블(wearable)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웨어러블(wearable)편
RightBrain inc.
 
이슈매거진 D.gov 201606 최형욱
이슈매거진 D.gov 201606 최형욱이슈매거진 D.gov 201606 최형욱
이슈매거진 D.gov 201606 최형욱
Hugh Choi 최형욱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 - 사물인터넷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 - 사물인터넷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 - 사물인터넷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 - 사물인터넷편
RightBrain inc.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Heung-No Lee
 
출판강연회강의안(한국평생교육원)
출판강연회강의안(한국평생교육원)출판강연회강의안(한국평생교육원)
출판강연회강의안(한국평생교육원)
기모 구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봉조 김
 
비전아레나 Insight letter 201206 정부와 도시도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비전아레나 Insight letter 201206 정부와 도시도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비전아레나 Insight letter 201206 정부와 도시도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비전아레나 Insight letter 201206 정부와 도시도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The Innovation Lab
 
소비자 직접 서비스(DTC Direct to 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
소비자 직접 서비스(DTC Direct to 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소비자 직접 서비스(DTC Direct to 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
소비자 직접 서비스(DTC Direct to 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
Youngjo Seong
 
이제는 내일의 전자정부에 대해 이야기하자.
이제는 내일의 전자정부에 대해 이야기하자.이제는 내일의 전자정부에 대해 이야기하자.
이제는 내일의 전자정부에 대해 이야기하자.
Goodhyun Kim
 
인공지능이 창조적인 직업 변화에 주는 영향
인공지능이 창조적인 직업 변화에 주는 영향인공지능이 창조적인 직업 변화에 주는 영향
인공지능이 창조적인 직업 변화에 주는 영향
bruce 문형철
 
AI 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AI 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AI 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AI 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Hosung Lee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Hansung University
 
이동의가치변화 그리고 TrOASIS의 소개와 발전방향
이동의가치변화 그리고 TrOASIS의 소개와 발전방향이동의가치변화 그리고 TrOASIS의 소개와 발전방향
이동의가치변화 그리고 TrOASIS의 소개와 발전방향
Seong Namkoong
 
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
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
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
JUNHEEKIM27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RightBrain inc.
 
Haklae talk-daegu-2016
Haklae talk-daegu-2016Haklae talk-daegu-2016
Haklae talk-daegu-2016
Haklae Kim
 

Similar to 스탠퍼드 대학의 2030년 인공지능 전망, 천천히 확실하게 도래 (20)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혁신적인 제품(Product)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혁신적인 제품(Product)편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혁신적인 제품(Product)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혁신적인 제품(Product)편
 
UX Discovery 6th Rightbrain_part1
UX Discovery 6th Rightbrain_part1UX Discovery 6th Rightbrain_part1
UX Discovery 6th Rightbrain_part1
 
20190721 fsri-ai and ethics v1.0
20190721 fsri-ai and ethics v1.020190721 fsri-ai and ethics v1.0
20190721 fsri-ai and ethics v1.0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웨어러블(wearable)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웨어러블(wearable)편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웨어러블(wearable)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웨어러블(wearable)편
 
이슈매거진 D.gov 201606 최형욱
이슈매거진 D.gov 201606 최형욱이슈매거진 D.gov 201606 최형욱
이슈매거진 D.gov 201606 최형욱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 - 사물인터넷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 - 사물인터넷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 - 사물인터넷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 - 사물인터넷편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출판강연회강의안(한국평생교육원)
출판강연회강의안(한국평생교육원)출판강연회강의안(한국평생교육원)
출판강연회강의안(한국평생교육원)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비전아레나 Insight letter 201206 정부와 도시도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비전아레나 Insight letter 201206 정부와 도시도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비전아레나 Insight letter 201206 정부와 도시도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비전아레나 Insight letter 201206 정부와 도시도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소비자 직접 서비스(DTC Direct to 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
소비자 직접 서비스(DTC Direct to 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소비자 직접 서비스(DTC Direct to 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
소비자 직접 서비스(DTC Direct to 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
 
이제는 내일의 전자정부에 대해 이야기하자.
이제는 내일의 전자정부에 대해 이야기하자.이제는 내일의 전자정부에 대해 이야기하자.
이제는 내일의 전자정부에 대해 이야기하자.
 
인공지능이 창조적인 직업 변화에 주는 영향
인공지능이 창조적인 직업 변화에 주는 영향인공지능이 창조적인 직업 변화에 주는 영향
인공지능이 창조적인 직업 변화에 주는 영향
 
AI 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AI 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AI 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AI 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이동의가치변화 그리고 TrOASIS의 소개와 발전방향
이동의가치변화 그리고 TrOASIS의 소개와 발전방향이동의가치변화 그리고 TrOASIS의 소개와 발전방향
이동의가치변화 그리고 TrOASIS의 소개와 발전방향
 
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
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
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Haklae talk-daegu-2016
Haklae talk-daegu-2016Haklae talk-daegu-2016
Haklae talk-daegu-2016
 

More from 봉조 김

창의·융합·문제해결을 배우는 메이커 활동 리스트
창의·융합·문제해결을 배우는 메이커 활동 리스트창의·융합·문제해결을 배우는 메이커 활동 리스트
창의·융합·문제해결을 배우는 메이커 활동 리스트
봉조 김
 
Softboxcoding brand name
Softboxcoding brand nameSoftboxcoding brand name
Softboxcoding brand name
봉조 김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봉조 김
 
Aircleaner 20190616 -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메이커활동 제안서
Aircleaner 20190616 -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메이커활동 제안서Aircleaner 20190616 -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메이커활동 제안서
Aircleaner 20190616 -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메이커활동 제안서
봉조 김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봉조 김
 
Sw education and maker
Sw education and makerSw education and maker
Sw education and maker
봉조 김
 
소프트박스 라즈베리파이 교육키트 개발환경 설정
소프트박스 라즈베리파이 교육키트 개발환경 설정소프트박스 라즈베리파이 교육키트 개발환경 설정
소프트박스 라즈베리파이 교육키트 개발환경 설정
봉조 김
 
Expansion of maker culture and promotion of maker activity
Expansion of maker culture and promotion of maker activityExpansion of maker culture and promotion of maker activity
Expansion of maker culture and promotion of maker activity
봉조 김
 
2018년 따복공동체 활동 공유 - 과천 디지털 창작집단
2018년 따복공동체 활동 공유 - 과천 디지털 창작집단2018년 따복공동체 활동 공유 - 과천 디지털 창작집단
2018년 따복공동체 활동 공유 - 과천 디지털 창작집단
봉조 김
 
강사료 원천징수 관련 설명자료
강사료 원천징수 관련 설명자료강사료 원천징수 관련 설명자료
강사료 원천징수 관련 설명자료
봉조 김
 
Softbox review and quickstartguide-20180926
Softbox review and quickstartguide-20180926Softbox review and quickstartguide-20180926
Softbox review and quickstartguide-20180926
봉조 김
 
디지털창작집단 활동 소개문서
디지털창작집단 활동 소개문서디지털창작집단 활동 소개문서
디지털창작집단 활동 소개문서
봉조 김
 
Softbox arduino software education, softbox 소프트박스 제품소개서
Softbox arduino software education, softbox 소프트박스 제품소개서 Softbox arduino software education, softbox 소프트박스 제품소개서
Softbox arduino software education, softbox 소프트박스 제품소개서
봉조 김
 
Stuffed animals 20180605
Stuffed animals 20180605Stuffed animals 20180605
Stuffed animals 20180605
봉조 김
 
20180329 reco computer for maker
20180329 reco computer for maker20180329 reco computer for maker
20180329 reco computer for maker
봉조 김
 
2018 donga marathon training schedule
2018 donga marathon training schedule2018 donga marathon training schedule
2018 donga marathon training schedule
봉조 김
 
2017 marathob trainning schedule
2017 marathob trainning schedule2017 marathob trainning schedule
2017 marathob trainning schedule
봉조 김
 
Marathon safe guide
Marathon safe guideMarathon safe guide
Marathon safe guide
봉조 김
 
사물인터넷서비스와 클라우드
사물인터넷서비스와 클라우드사물인터넷서비스와 클라우드
사물인터넷서비스와 클라우드
봉조 김
 
Start 메이커스페이스
Start 메이커스페이스Start 메이커스페이스
Start 메이커스페이스
봉조 김
 

More from 봉조 김 (20)

창의·융합·문제해결을 배우는 메이커 활동 리스트
창의·융합·문제해결을 배우는 메이커 활동 리스트창의·융합·문제해결을 배우는 메이커 활동 리스트
창의·융합·문제해결을 배우는 메이커 활동 리스트
 
Softboxcoding brand name
Softboxcoding brand nameSoftboxcoding brand name
Softboxcoding brand name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Aircleaner 20190616 -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메이커활동 제안서
Aircleaner 20190616 -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메이커활동 제안서Aircleaner 20190616 -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메이커활동 제안서
Aircleaner 20190616 -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메이커활동 제안서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w education and maker
Sw education and makerSw education and maker
Sw education and maker
 
소프트박스 라즈베리파이 교육키트 개발환경 설정
소프트박스 라즈베리파이 교육키트 개발환경 설정소프트박스 라즈베리파이 교육키트 개발환경 설정
소프트박스 라즈베리파이 교육키트 개발환경 설정
 
Expansion of maker culture and promotion of maker activity
Expansion of maker culture and promotion of maker activityExpansion of maker culture and promotion of maker activity
Expansion of maker culture and promotion of maker activity
 
2018년 따복공동체 활동 공유 - 과천 디지털 창작집단
2018년 따복공동체 활동 공유 - 과천 디지털 창작집단2018년 따복공동체 활동 공유 - 과천 디지털 창작집단
2018년 따복공동체 활동 공유 - 과천 디지털 창작집단
 
강사료 원천징수 관련 설명자료
강사료 원천징수 관련 설명자료강사료 원천징수 관련 설명자료
강사료 원천징수 관련 설명자료
 
Softbox review and quickstartguide-20180926
Softbox review and quickstartguide-20180926Softbox review and quickstartguide-20180926
Softbox review and quickstartguide-20180926
 
디지털창작집단 활동 소개문서
디지털창작집단 활동 소개문서디지털창작집단 활동 소개문서
디지털창작집단 활동 소개문서
 
Softbox arduino software education, softbox 소프트박스 제품소개서
Softbox arduino software education, softbox 소프트박스 제품소개서 Softbox arduino software education, softbox 소프트박스 제품소개서
Softbox arduino software education, softbox 소프트박스 제품소개서
 
Stuffed animals 20180605
Stuffed animals 20180605Stuffed animals 20180605
Stuffed animals 20180605
 
20180329 reco computer for maker
20180329 reco computer for maker20180329 reco computer for maker
20180329 reco computer for maker
 
2018 donga marathon training schedule
2018 donga marathon training schedule2018 donga marathon training schedule
2018 donga marathon training schedule
 
2017 marathob trainning schedule
2017 marathob trainning schedule2017 marathob trainning schedule
2017 marathob trainning schedule
 
Marathon safe guide
Marathon safe guideMarathon safe guide
Marathon safe guide
 
사물인터넷서비스와 클라우드
사물인터넷서비스와 클라우드사물인터넷서비스와 클라우드
사물인터넷서비스와 클라우드
 
Start 메이커스페이스
Start 메이커스페이스Start 메이커스페이스
Start 메이커스페이스
 

스탠퍼드 대학의 2030년 인공지능 전망, 천천히 확실하게 도래

  • 1. 주간기술동향 2016. 11. 16. www.iitp.kr30 미국 스탠퍼드 대학은 “2030년 인공지능과 생활(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fe in 2030)”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공개하였음. 이 보고서는 인공지능(AI) 그 자체와 함께 인간과 공동체 사회에 대한 AI의 영 향에 대해 장기적 관점에서 조사하는 ‘AI 100’ 프로젝트 중 첫 번째 과업으로, 전형적인 미국의 도 시를 예로 들어 교통, 홈서비스 로봇 등 여덟 가지 분야에서 2030년경 AI 활용도를 예측한 것인데, AI가 미칠 영향이 광범위하므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권고 * I . 스탠퍼드 대학의 2030 년 인공지능 전망, 천천히 확실하게 도래 ◈ 스탠퍼드 대학은 2014 년 가을 ‘인공지능에 관한 100 년 동안의 연구(One Hundred Year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약칭 AI 100)’ 프로젝트를 시작하였음 • AI 100 프로젝트의 첫 번째는 전형적인 미국의 도시를 예로 삼아 교통, 로봇, 헬스케어, 교 육, 빈곤지역, 공공의 안전과 보안, 고용과 직장, 엔터테인먼트 등 여덟 개 분야에서 “2030 년경의 AI 활용 상황”에 대해 예측하고 있음 • 이 프로젝트에는 기업과 학계의 AI 전문가뿐 아니라 AI 에 정통한 법률 전문가와 경제학자 등 17 명의 멤버가 연구 패널로 참여하 였음 • 패널 참여자 중에는 전 MIT 컴퓨터과학 과 인공지능 연구소장이자 로봇 청소기 룸바를 만든 아이로봇의 설립자 로드니 브룩스와, “기계와의 경쟁”이라는 책으 로 널리 알려진 MIT 의 에릭 브린욜프슨 등이 포함되어 있음 • 스탠퍼드 대학은 연구 패널들이 2015 년 *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산업분석팀(☎ 042-612-8296)과 최신 ICT 동향 컬럼리스트 박종훈 집필위원 (soma0722@naver.com ☎ 02-739-6301)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 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최신 ICT 이슈 <자료> Stanford University [그림 1] ‘2030 년 인공지능과 생활’ 보고서
  • 2. 최신 ICT 이슈 31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에 논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2030 년 인공지능과 생활(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fe in 2030)” 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지난 9 월에 발간했으며, 약칭 AI 100 보고서라 불림 • AI 100 프로젝트는 적어도 100 년, 즉 2114 년까지 이어지는 매우 장기적인 것으로 연구 패 널들은 5 년마다 예측을 재검토하게 되며, 따라서 AI 100 보고서 역시 5 년마다 수정, 보완 될 것으로 보임 • AI 100 보고서는 지금으로부터 약 14 년 후에 AI 가 어디까지 진화하고 직장과 사회생활에 얼마나 침투할 것인지에 대해 나와 나의 주변을 이미지화하면서 읽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AI 의 역사와 현상에 대해서도 간결하게 정리되어 있음 ◈ AI 100 보고서의 전반적인 톤은 “AI 확산의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 라”는 쪽에 가까우며, AI 를 인간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으로 보지는 않음 • 보고서는 할리우드 영화에 종종 묘사되는 것 같은 AI 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는 허구적 (fictional)인 것이며, AI 를 인간에 닥친 임박한 위협으로 경계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단언 하고 있음 • 지금부터 2030 년까지 유용한 AI 응용 프로그램이 늘어날 것이고, 이것들은 사회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연구 패널들은 예상하고 있음 • 운전이 더 안전해질 것이고, 아이들의 교육의 질이 향상되며, 사람들의 생활이 보다 윤택 해질 것인데, 이런 긍정적인 면에 주목해야 한다고 이 보고서는 주장하고 있음 • 그러나 결코 미래를 장밋빛으로만 그린 것은 아니며, 고용 및 개인정보보호 등과 관련해 중요한 문화적·사회적 과제가 부상할 것이라는 점도 지적하고 있음 • 가령 AI 가 인간의 노동을 어떤 식으로 확장하거나 대체하는 지에 따라서 혼란을 일으킬 수도 있고, 경제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보고 있음 • 학술 종사자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인지 전체적으로 예측에 대한 신중한 태 도가 엿보이기도 하는데, 2030 년에는 한마디로 이렇게 된다라는 식의 전망은 없으며, “이 러저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이렇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시나리오가 주를 이룸 • 명확하지 않다는 인상을 줄 수도 있으나, AI 가 인간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 뿐 아니라 영향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 지를 엿볼 수 있는 시사점이 풍부함 ◈ 보고서는 8 개 분야 중에서 ‘교통(Transportation)’에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으며, 아마 도 2030 년경의 이미지를 그려보기가 가장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 3. 주간기술동향 2016. 11. 16. www.iitp.kr32 • 교통 분야에서 핵심은 당연히 자율운전인데, 보고서는 2030 년경에 자율운전 기술의 적용 대상은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고, 배송 차량과 트럭, 드론 같은 비행기기나 개인용 로봇에 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함 • 자율운전 기술이 진화해 충분히 안전하고 인간의 운전 수준을 넘어서게 된다면 다양한 영 향을 미치게 되는데, 보고서는 우선 교통사고가 감소함으로써 자동차 사회인 미국에서 사 고로 인한 사상자가 줄어 시민의 평균 수명이 연장될 것이라 예상 • 또한 라이프 스타일이 바뀌게 되는데, 미국에서 1 회 운전 시간은 평균 25 분으로, 운전을 AI 에 맡기면 이 시간을 일이나 엔터테인먼트에 활용할 수 있게 됨 • 차내에서 시간을 편안하게 보낼 수 있게 되면 거주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근무지 와 가까운 곳에 살지 않아도 상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어날 가능성이 생김 • 특히, 자녀가 있는 가정, 노인,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보다 자유롭고 유연하게 사는 곳을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음 ◈ 자율운전 기술의 발전은 자동차 문화는 물론 전철이나 버스 등 대중교통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도시 및 공공 공간의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자율운전과 함께 차량 공유가 보편화되면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고 서비스로 간주하는 사 람들이 늘어날 것이며, 이렇게 되면 주차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도시 및 공공 공간의 디 자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전철이나 버스 등의 대중교통에 대한 영향도 불가피한데, 보고서는 자율운전의 보급으로 대중교통에 대한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며, 개인 고속 환승(Personal Rapid Transit, PRT) 등으로 변모할 것이라 보고 있음 • 자율운전이 보급되면서 당연히 보안 대책 도 더 중요해지는데, 자율운전 기술이 안전 하다고 어떻게 보증할 수 있는지, 보증을 위해서는 얼마나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 해야 할 것인지 등의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음 • 자율운전차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교통 인프라를 이용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 <자료> ULTra PRT [그림 2] 영국 히스로우 공항의 PRT
  • 4. 최신 ICT 이슈 33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는 악의를 가진 공격자들에게 활동의 장이 넓어지게 됨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보안 대책 의 마련도 중요함 • 따라서 법적 정비가 필수불가결한데, AI 100 보고서는 현재 미국의 많은 주에서 자율운전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규정이 정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음 • 현재 미국의 네바다,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미시간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자율운전자 동차를 도로에서 테스트 할 수 있는 규정을 두고 있지만, 자율운전차량이나 반(半)자동운 전 차량이 사고를 일으킨 경우 누가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조항은 마련되어 있 지 않은 상태 ◈ 고용과 직장(Employment and Workplace) 분야는 인간의 일을 AI 가 빼앗을지도 모른다는 민 감한 주제와 연관이 있어 교통 분야보다는 보고서의 표현이 보다 신중함 • 보고서는 우선 AI 가 급속하게 진화하여, 한 세대 안에 인간의 모든 직업을 바꿔 버리는 돌 발적인 시나리오는 있을 수 없을 것이라 적시하고 있음 • 그러나 AI 는 거의 모든 직업 영역을 서서히 잠식해 갈 것이고 “컴퓨터가 일을 빼앗아가면 인간은 물러날 수밖에 없게 된다”고 말함으로써 AI 에 의한 인간 노동의 대체 가능성을 시 사하고 있음 • 보고서는 AI 의 영향력을 전망할 때 지금까지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노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하고 있음 • 지금까지의 디지털 기술은 주로 반복적 작업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따라 주로 여행사의 업무 같은 “중간 레벨의 일”이 낮은 레벨 또는 높은 레벨의 일보다 영향을 더 받 고 있음 • AI 가 확산됨에 따라 영향을 받는 범위가 더 확 대될 가능성이 있는데, 보고서는 지금까지 기 계로 대체되지 않았던 전문 서비스와 같은 높 은 스킬을 요하는 작업도 대체될 수 있다고 전 망하고 있음 • AI 가 대체하는 것은 당분간 “직업이라기보다 는 작업(task)”일 것인데, 가령 변호사 업무의 대부분은 아직 AI 로 자동화되어 있지 않지만, <자료> Hub Pages [그림 3] AI 의 전문직 대체
  • 5. 주간기술동향 2016. 11. 16. www.iitp.kr34 “법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주제별로 정리”하는 작업의 자동화는 진행되고 있으며, 이 는 1 년차 변호사가 하는 작업을 대체하는 것에 해당함 • 보고서는 AI 가 기존의 직업을 대체하는 한편, 새로운 직장·직업을 만들어내는 데에도 기 여할 수 있다고 보는데, “어떤 일이 없어질 것인가”는 예상할 수 있어도 “어떤 일이 새롭 게 만들어 질 것인가”를 미리 상상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고백하고 있음 ◈ AI 는 기업 조직의 형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AI 의 시대에는 사업 규모의 확대가 곧 노동자 수의 확대로 직결되지는 않을 전망임 • 지금까지의 기업은 노동 자원인 사람의 수를 늘려 사업의 거점을 국내외로 넓히는 수평적 확대나, 조직의 계층적 구조를 늘려나가는 수직적 확대를 통해 조직을 키우고 비즈니스 규 모를 확대해 왔음 • AI 가 대부분의 노동을 대체하게 되면 비즈니스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 조직 규모를 키우지 않아도 되며, AI 기반의 노동 아웃소싱 시장이 확립되면, 대부분 기업이 사업 규모가 확대 되더라도 전체 직원들이 서로 얼굴을 알고 지내는 규모로 유지될 수도 있음 ◈ 보고서는 AI 의 발전이 가져올 부(富, wealth)를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 하는 문제도 매우 중요 한 아젠다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 • AI 가 다양한 영역에서 노동을 대체하게 되면 상품과 서비스의 원가가 줄어 낮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되며, 이 점만 본다면 많은 사람이 사람이 부자가 된다고 유추할 수 있음 • 그러나 서서히 진행되기는 하겠지만 AI 가 거의 모든 직업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수입이 높은 “경험적 지식에 근거한 일”도 빼앗을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지금보다 더 가난해 질 가능성도 분명 존재함 • 보고서는 AI 가 가져올 대대적인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본 소득(최저 소 득 보장) 등 사회안전망의 필요성을 설파 하고 있음 • 이러한 사회안전망이 없다면 사회의 극 히 일부 상류층만이 AI 의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AI 100 보고서는 경고하고 있으며, AI 가 가져올 부를 어떻게 공유할 <자료> Basic Income 2016. [그림 4] 스위스의 기본소득 법안 찬성 집회
  • 6. 최신 ICT 이슈 35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지에 대해 지금부터 논의해도 결코 이른 것은 아니라 말하고 있음 • 실제로 2016 년 6 월 5 일 스위스에서는 인공지능에 의한 일자리 감소 문제 해결을 위해 성 인 1 인당 매월 2,600 달러를 지급하는 기본소득 법안에 대한 국민투표가 전세계 최초로 실 시된 바 있는데, 인공지능 시대의 중대한 화두를 전세계에 던졌다는 평가 ◈ 교통과 노동 분야의 전망만 놓고 보더라도, AI 가 영향을 미치는 범위는 지엽적인 것이 아니 라 경제적, 사회문화적으로 광범위하다는 것을 충분히 머리 속에 그려볼 수 있음 • 가령 자율운전차는 운전자가 필요 없게 된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상당한 사건이지만, 그 에 그치지 않고 차량을 소유하지 않는 문화를 확산시켜 자동차 제조업과 판매·수리업, 주유소, 자동차용품 제조업, 주차장 사업 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게 됨 • 직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것이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면, 부동산·주택 판 매 회사는 물론 대중교통에서 도시 계획까지 전면 재검토해야 할 수도 있음 • 이용자들도 편의성이 극적으로 제고되는데, 특히 고령자나 장애인 같이 운전을 하고 싶어 도 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자율운전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장점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음 • 따라서 AI 활용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염두에 두면서, 예상할 수 있는 영향력을 최대한 파 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함으로써 불안과 위험을 불식시키거나 경감시킬 필요가 있음 • AI 활용과 보급을 주도하는 입장에 있는 기업이나 조직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가 선행하지 않도록 적어도 AI 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자들에게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공개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 AI 100 보고서가 그리는 미래가 정확한 것도 아니며 이에 대한 판단은 제각각일 수 있지만, 확실한 것은 능동적으로 대처했을 때 어떤 미래든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는 점 • AI 100 보고서는 8 개 분야로 나누어 AI 를 살펴본 데서 알 수 있듯, 인간처럼 폭넓은 적용 범위와 일반화 능력을 가진 ‘범용 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이 2030 년까지 실현될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 않음 • 반면, 2030 년경에 AGI 가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는 견해도 있으며, 이렇게 된다면 인간의 직 업 대부분이 AI 에 빼앗기게 되는 디스토피아가 단번에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4 년 후인 2020 년의 일조차 예측하기 어려운데, 그보다 더 10 년 후에 어떻게 되어 있을지 는 사실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고 보아야 함
  • 7. 주간기술동향 2016. 11. 16. www.iitp.kr36 • 그렇다면, 앨런 케이의 말대로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발명하는 것이 다’라는 자세가 필요하며, AI 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장차 어떤 미래가 펼쳐지든 그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가짐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임 [ 참고문헌 ] [1]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ming of age, slowly but surely”, Livemint, 2016. 11. 1. [2] “Has AI(Finally) Reached a Tipping Point?”, Wall Street Journal, 2016. 10. 28. [3] “Smart Machines Will Eat Jobs--Except Where Smart People Create Them”, Education Week, 2016. 10. 31. [4] “Stanford-hosted study examines how AI might affect urban life in 2030”, Stanford University News, 2016.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