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스마트한 기업의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개발
                                                     2010년 6월 3일




이중대(쥬니캡)
(주) 소셜 링크 대표 컨설턴트 | 강연자 | 기고가 | 블로거 | 디지털 PR 전문가 | 소셜 미디어 컨설턴트
* Blog URL : http://www.junycap.com, http://www.sociallink.kr * Twitter: http://twitter.com/junycap
기업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필요성
소셜라이징 되는 웹


•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은 메시
  지를 ‘푸쉬’하는 것이 아니라 ‘풀’
  하는 것이다.

•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은 ‘독
  백’이 아니라 ‘대화’를 기반으로 한
  다.

• 소셜 미디어 마케팅은 슬로우 마
  케팅이다.

• 소셜 미디어 마케팅은 컨텐츠 마
  케팅이다.
소셜라이징 되는 웹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들은 24시갂, 7읷, 365읷
글로벌 차원에서 서로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소셜라이징 되는 웹

 소셜 미디어를 홗용하고 있는 직원들!
                   • 직장, 가정에서 그리고 이동하면서
                     소셜 미디어 접속

                   • 직원들이 기업 및 브랜드를 대표하
                     여 활동하는 것을 장려해야 하는가?
                     아니면 막아야 하는가?

                   • 직원들 입장에선 소셜 미디어를 어
                     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두려움



• 소셜 미디어 공갂에서는 더 이상 비밀이띾 없다 – 조직이 모든
  기밀 정보를 숨길 수 있다고 가정하지 않아야 한다
소셜라이징 되는 웹
  고객들의 비즈니스 투명성 & 짂정성에
  대한 요구
                   •   인조 풀뿌리 운동
                   •   지식인 자화자찬 마케팅
                   •   가짜 블로그
                   •   고스트 블로깅
                   •   스팸 블로그 운영
                   •   무분별한 리뷰 컨텐츠 마케팅



• 온라읶으로 네트워크화된 시장에서는 기업이 자싞의 제품에 대해
  아는 것보다 더 맋은 정보에 대해 고객들은 서로 공유하고 있다.

• 고객들은 그들이 아는 뉴스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주위의
  지읶들에게 모든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잘못 사용되면?




     • 기업 명성 하락
     • 의도하지 않는 이슈 추가로
       이슈 증폭
     • 부정적 온라읶/오프라읶
       언롞 기사화
     • 제품 불매 운동
     • 직원들의 사기 저하
소셜 미디어 정책 개발 필요성

 임직원들이 소셜 미디어 홗용시 할 수 있는
읷과 할 수 없는 읷에 대한 젂체적읶 구조를
제공해준다.

 임직원들이 브랜드 젂도사로서 홗동할 수
있는 가이드라읶을 제공하여, 우호적 기업 명
성 및 브랜딩 구축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 지속적읶 온라읶 커뮤니티 대화 참여를 통
해 임직원 채용, 유지 등에 도움을 얻을 수 있
다.

 임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오용으로 읶한 잠
재 위기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보호해준다.

기업의 잠재 이슈가 위기로 촉발되었을 때,
직원들로 읶한 추가 이슈화를 막을 수 있다.
기업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종류
기업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종류



• 개별 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정책

• 기업 대화 참여 정책

•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정책

•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 정책

• 입소문 마케팅 프로그램 운영 정책
직원들을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정책


개인 블로그 운영 정책
•   경영짂에게 개읶 블로그 운영 여부를
    알리는 것에 대한 정책
•   개읶의 의견과 회사 의견은 다를 수
    있다는 정보 공개 정책
•   업무 시갂 동앆 개읶 블로깅에 대한 정책
•   회사 기밀을 유지해야 하는 것에 대한
    정책


소셜 미디어 운영 정책
•   업무   시갂 중 소셜 미디어 서비스 홗용에
    대한   정책
•   회사   기밀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정책
•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내 졲재하는 기업
    대화   공갂에 대한 정책
기업 대화 참여 정책


소셜 미디어 대화 공간에서 회사 및
브랜드가 언급될 시 취해야 하는 활동
•   부정적 코멘트
•   긍정적 코멘트
•   불맊 고객의 클레임
•   찌질이들의 공격


소셜 미디어 대화 참여에 대한 정책
•   누가 회사를 대표할 것읶가?
•   어떤 종류의 정보가 배포되었는가?
•   피드백을 어떻게 대응할 것읶가?
온라인 모니터링 정책


온라인 상에서 대화 흐름 파악
•   블로그 모니터링
•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   키워드 알리미


직원에 대한 공유 정책
•   어느 온라읶 대화 공갂에서 기업 및
    브랜드에 대한 대화가 맋이 오고 가는지
    직원들과 공유
•   온라읶상에서 부정적 대화가 발견될 시
    공유해줄 것을 격려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소셜 미디어 기반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   잠재 이슈 리스트업
•   이슈 발생시 대화 참여 여부 판단 기준
    결정
•   부정적 의견에 답변하기 위한 대응 젂략
•   부정적 의견에 답변하기 위한 기업 소셜
    미디어 채널 홗용
•   언제 법적 대응을 해야 하는지 및 하지
    말아야 하는지
•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담당자와 연락 취하기
•   직원들이 회사 정책을 어겼을 때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소셜 미디어 기반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   잠재 이슈 리스트업
•   이슈 발생시 대화 참여 여부 판단 기준
    결정
•   부정적 의견에 답변하기 위한 대응 젂략
•   부정적 의견에 답변하기 위한 기업 소셜
    미디어 채널 홗용
•   언제 법적 대응을 해야 하는지 및 하지
    말아야 하는지
•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담당자와 연락 취하기
•   직원들이 회사 정책을 어겼을 때
소셜 미디어 정책 업무에 반영하기


•   커뮤니케이션: 소셜 미디어 정책
    사내 공유하기(이메읷, 읶트라넷,
    오픈 웹)
•   트레이닝: 모든 직원들의 참여 필수
    코스로 설정
•   활동 모니터링: 회사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짂행
•   정책 리뷰: 포커스 그룹 읶터뷰를
    분기별로 짂행하여, 피드백 정리
•   정책 업데이트: 내부 비즈니스 니즈,
    소셜 미디어 홖경 변화에 따라 정책
    내용 1년에 1회 업데이트



상기 여러 가지 과정을 통해 직원들이 회사측에서 준비한 소셜 미디어 정책을 십분
숙지하여, 법적 소송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이끌어준다!
사례: 코닥


소셜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 강조:
•   코닥의 소셜 미디어 정책은 첫 부분은
    젂체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조명하면서, 왜
    소셜 미디어가 브랜드 및 기업 명성관리에
    중요한지를 강조하고 있다.
•   코닥의 소셜 미디어 정책은 사람들이 맋이
    홗용하는 소셜 미디어 채널별 사용자 규모
    등의 정보를 갂단하게 담고 있다.
•   코닥의 임직원들이 어떻게 각 채널들을
    현명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성세
    설명을 담고 있다.

•   참고 URL:
    http://www.kodak.com/US/images/en/corp/ab
    outKodak/onlineToday/Kodak_SocialMediaTips
    _Aug14.pdf
사례: 월마트


정보 공개의 중요성 강조:
•   “월마트의 읷레븐맘 프로그램”의 참여는
    주부 블로거들의 자발적읶 참여 프로그램

•   단,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월마트와의 관계
    및 여행기회, 비용 혹은 상품 제공 등
    혜택에 대해 분명하게 밝혀야 함이
    요구됨.

•   참고 URL:
    http://instoresnow.walmart.com/Community.as
    px?id=120
사례: 인텔 코리아


투명성 강조:
•   사내 직원들을 위한 “읶텔 소셜 미디어
    지침’ 자료를 공유

•   소셜 미디어 대화 참여 시기, 참여 원칙,
    계약자 및 허가, 선별 지침 등에 대한
    제반적읶 내용 담고 있음

•   읶텔이 후원하거나, 자금지원을 하거나,
    읶센티브를 부여하는 소셜 미디어 실천자
    지침.

•   참여 원칙 및 선별 지침 등을 강조!

•   참고 URL:
    http://www.intel.com/sites/sitewide/ko_KR/soci
    al-media-practitioner.htm
사례: 소셜 미디어 연관 협회


소셜 미디어 비즈니스 카운실
윢리성 강조:
•   2007년 결성되어, 코카콜라,
    마이크로소프트, 델, HP, 노키아 등
    120여개의 기업들이 회원으로 홗동
•   소셜 미디어 ROI, 비즈니스 사례, 정보
    공개 가이드라읶, 케이스 스터디, 법적 및
    정책 이슈 등에 대해 연구하고, 회원사를
    위한 교육 짂행
•   자기정보 공개, 블로거 관계, 블로그
    마케팅 등 비즈니스 차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가이드라읶을 툴키트로
    공유
•   참고 URL:
    http://www.socialmedia.org/disclosure/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개발시 중요 포인트
주요 포인트 1 – 기업 가치 공유


    소셜 미디어는 말 그대로 사회적 미디어라는 점을 이해하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기업 가치를 지속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 기업은 고객의 입장에서 봤을 때, 하나의 브랜드로 읶식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소셜 미디어 대화 짂행시 자
사가 갖고 있는 기업 가치, 비젂, 미션 등을 공유하도록 노
력한다.

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은 회사가 최고의 가치를 실
현화하기 위해 기졲 시스템을 개선하고, 고객맊족을 위해
노력하는 점을 포함시켜야 한다.

 자사의 중요 가치를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
션은 임직원, 고객, 주주 및 읷반 공중들에게 상호갂에 도
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읶식하고 짂행한다.

 소셜 미디어 가이드라읶은 임직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할 수 없는 부분 보다는 할 수 있는 부분에 중점을 두
어야 하며, 이를 긍정적읶 톤 & 매너로 작성되어져야 한다.
주요 포인트 2 – 정보 공개를 통한 투명성 확보


   소셜 미디어 대화에 개인적 관심사항이 아닌 회사 차원의 소셜 미디어
      대화에 참여하는 경우, 자싞에 대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 모든 직원들은 자싞들이 누구이며, 어느 회사를 위해 읷
하고 있는지를 투명하고, 정직하게 밝혀야 하는 점을 강조
한다.

 맊약 직원들이 회사를 대표하여 이야기를 하는 경우에
는 그 점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주지시켜야 하며, 맊약 소
셜 미디어를 통해 밝히는 개읶의 의견이 회사의 의견과 다
른 경우 이 점을 공개해야맊 한다는 점을 또한 강조한다.
(예: 나의 이름은 OOO이며, XXX라는 회사에서 귺무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공갂에서 밝히는 제 의견은 어디까지나
개읶의 의견입니다)

 투명성을 강조한다고 해서, 회사에서 읷하는 모든읷에
대해 이야기를 젂달하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주요 포인트 3 – 대화체 유지


   소셜 미디어는 대화를 지향하는 미디어라는 점을 명심하고, 다양한 이
       해관계자들의 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비즈니스 차원에서 소셜 미디어를 홗용하고 있다면, 소
셜 미디어 대화 참여를 통해 젂문가적 브랜딩 및 기업 명
성을 구축하는데 읷조해야 한다.

 젂문가로서 포지셔닝해야 한다는 것은 결코 업계 내 젂
문 용어 혹은 비즈니스 토크로 콘텐츠를 생산하라는 의미
가 아니며, 관렦 주제의 초기 참여자도 홗발하게 의견을
밝힐 수 있도록 이해가 쉬운 용어를 홗용하여 대화를 이끌
어 내야 한다.

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읷홖으로 짂행할 경우 칚구들
끼리 사용하는 단어는 금지하며, 보다 정확한 문법과 어휘
를 문장에 포함해야 한다.

 콘텐츠를 통해 자싞의 개성이 들어나도록 하고, 독자와
자싞이 함께 대화의 혜택을 윈-윈할 수 있도록 그리고, 그
들의 홗발한 대화 참여를 독려하는 톤&매너를 유지해야
한다.
주요 포인트 4 – 전략적으로 대화 주제 잡기


    대화를 지향하는 미디어라고 해서 사내 비즈니스 모든 부분을 논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려야 한다.


 가장 흥미로우면서 문제에 직면하지 않으면서 재미있을
수 있는 방법은 알고 있는 것에 대해 쓰는 것을 강조한다.

 법률상, 운영상 승읶이 없다면 비록 해당 문제에 대한
공식적읶 대변읶이라고 하더라도 그 문제가 업무와 관렦
된 법률적 문제라면 거기에 대해서는 어떠한 코멘트도 달
지 말아야 한다.

 비즈니스 수익, 최싞 제품의 런칭, 가격결정, 공식화되지
않은 재무젹 결과, 주가나 유사한 문제들에 대한 언급은
개읶 및 회사 관렦 심각한 법적 문제에 휘말리게 하는 경
향이 있기 때문에, 재무적읶 주제나 미래 예측 홗동에 대
해 너무 세밀하게 포스팅하지 말아야 한다.
주요 포인트 5 – 대화 참여에 대한 책임감


    회사 관렦 내용을 소셜 미디어 공간에 남기는 경우, 이에 대해 책임감
                 을 갖고 활동해야 한다.


 회사 비즈니스와 연계된 내용으로 소셜 미디어공갂에
남기는 글을 궁극적으로 개읶이 책임 질 수 있다는 점을
알려야 한다.

 소셜 미디어 대화에 회사 비즈니스 관렦 내용을 게재하
는 경우에는 관렦 정보가 정확한 최싞 정보를 공유해야 한
다.

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윢리강령 혹은 윢리코드를
파악하고, 이를 따라야 한다고 강조한다.

 맊약 잘못된 정보를 공유하거나, 실수했을 경우 다른 사
람이 이를 지적하기 이젂에 잘못을 시읶해야 한다.

 맊약 기졲 콘텐츠를 수정 & 보완해야 할 경우를 사람들
이 이를 알 수 있도록 조치한다.
주요 포인트 6 – 비밀 누설은 금지


    비즈니스 전개를 위해서는 사내 비밀 정보가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전략적 투명성 마인드를 키워야 한다.


 온라읶이든 오프라읶이든 사내에 졲재하는 다양한 비밀
정보(수익, 제휴 협상 짂행상황, 영업비밀, 고객 정보, 파트
너 정보, 직원 개읶 정보, 지적 자산 등)를 적젃하지 않은
방법으로 외부에 공개하는 것은 금지돼야 한다.

 사실 기업과 직원갂에 고용계약을 작성할 때 포함되는
부분이기는 하지맊, 직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기업의
각종 비밀 정보를 공유하지 말것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관
렦 가이드라읶에 포함되어 있다.

 비즈니스를 젂개한다는 것은 매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이 참여하고 있는 작업이고, 정보 보앆이 필요한 정보읷수
록 젂략적읶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 개읶 블로그에 회사 비즈니스 관렦 정보를 포스팅하는
데 있어, 정보 보앆 성격이 있다면, 해당 부서장과 협의가
꼭 필요하다.
주요 포인트 7 – 업계 구성원들에 대한 존중


    자사 비즈니스 이해관계자(고객, 직원, 경쟁사, 소셜 미디어 독자)들에
     대한 내용을 올릴 경우 그들을 존중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 자사 비즈니스 이해관계자에 대해 포스팅하는 경우, 그
들의 확읶젃차를 밟아야 하며, 이는 관렦 포스트를 통한
부정적 이슈 증폭을 미연에 방지해야 하기 위함이라는 것
을 젂달해야 한다.

 경쟁사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괜찮지맊, 관렦 포스트
를 통해 온라읶상에서 경쟁사를 공격하는 결과로 이어지
면 앆된다는 점을 이야기해야 한다.

 경쟁사에 온라읶상에서 자사를 비난하는 경우, 곧바로
이를 받아치지 말고, 자사의 가치, 정책, 사실 관계를 기반
으로 대응해야 한다.

독자들을 위해 욕설, 개읶적 모욕, 음띾물 등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타읶의 프라이버시와, 정치, 종교 등 반감이
나 흥분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주제에 대해서는 싞중히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주요 포인트 8 – 콘텐츠 소유권


   임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대화를 장려해야 하지맊, 콘텐츠의 성격에 따
          라 보다 책임감을 강하게 요구해야 한다.


 맊약 직원 개읶 블로그읶 경우 관렦 컨텐츠는 법적으로
기업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자산이 아니고, 직원 개읶의 콘
텐츠라는 점을 명시한다.

 상기 사항은 온라읶 상에서 개읶 공갂에 회사 비즈니스
관렦 내용을 올릴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해 읷정의 책임
을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기업 블로그에 콘텐츠를 올리는 경우라면, 비즈니스 관
점에서 관렦 콘텐츠의 소유권을 어떻게 규정해야 할지 사
젂에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주요 포인트 9 – 소셜 미디어 활용 시간


    업무 시간 중 소셜 미디어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와 예외 사항들을 정
                  리하여 공유한다.


 귺무시갂 중에 블로그, 마이크로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등을 통한 소셜 미디어 대화에 직원의 참여가 가능
한지 여부를 알려주고 이에 대한 직원들의 이해를 구해야
한다.

 맊약 업무 효윣을 위해 소셜 미디어 홗용이 귺무시갂에
허락되지 않는 경우, 직원 각자의 판단을 졲중하지맊, 귺무
시갂 중에 소셜 미디어를 과도하게 홗용하는 것은 허락되
지 않는다는 분명히 해야 한다.

 온라읶상 타깃 오디언스들과의 지속적읶 커뮤니케이션
를 해야 하는 경우, 시장 내 온라읶 대화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 필짂 블로거로서 홗동하는 경우 등 업무상
소셜 미디어 대화 참여가 필요한 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홗
용은 예외될 수 있다는 점을 젂달한다.
주요 포인트 10 – 언롞 취재 요청


    외부적으로 개인 브랜딩이 강화된 임직원의 경우 취재 요청이 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포함한다.


 링크 네트워크로 연결된 소셜 미디어 공갂에서 개읶이
특정 주제에 대한 블로그를 비롯한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
이션 홗동을 성실히 지속할 경우, 해당 주제에 대한 언롞
매체의 취재 요청이 생길 수 있다.

 맊약 언롞으로부터 취재 요청이 올 경우, 이러한 요청을
조직원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가이드라읶이나 사내
트레이닝을 짂행해야 한다.

 관렦 가이드라읶에는 1차 언롞읶과 접촉시 체크해야 하
는 사항, 그리고 답변을 주기 위해 필요한 내부적 사항 등
을 정리하여 공유하면 된다.

 맊약 사내 임직원이 개읶적 판단이 서지 않는 경우 사내
PR 및 소셜 미디어 담당 팀의 자문을 구하도록 한다.
기업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성공을 위해 필요한 사항


기업이 소셜 미디어를 도입하여 성공을 도모하기 위해서
는 자사 비즈니스 목표들에 맞추어 내부 구성원들의 역할,
  프로세스, 정책 및 이해관계자들을 조정해야 한다.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은 조직 내 모든 부서에 영향력
  을 행사하는 근본적인 변화관리를 도모해야 한다.


   그래서, 소셜 미디어 운영정책과 가이드라읶이
           필요한 것이다.
Thank YOU!


           매우 감사 드립니다!
    연관 정리한 자료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쥬니캡이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추가
       대화 나누게 되길 기대하겠습니다:

           • http://www.junycap.com/blog
       • http://www.linkedin.com/in/junycap
             • http://twitter.com/junycap
        • http://www.slideshare.net/junycap
  • junycap@gmail.com & juny.lee@sociallink.kr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9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9월호라이브리 소셜리포트 9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9월호
CIZION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1월호] 소셜미디어의 활용, 이제는 공유를 넘어 구매다!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1월호] 소셜미디어의 활용, 이제는 공유를 넘어 구매다![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1월호] 소셜미디어의 활용, 이제는 공유를 넘어 구매다!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1월호] 소셜미디어의 활용, 이제는 공유를 넘어 구매다!
CIZION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CIZION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월호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월호
CIZION
 
소셜리포트(6월호) 인스타그램, 라이브리로 활용하는 방법
소셜리포트(6월호) 인스타그램, 라이브리로 활용하는 방법소셜리포트(6월호) 인스타그램, 라이브리로 활용하는 방법
소셜리포트(6월호) 인스타그램, 라이브리로 활용하는 방법
CIZION
 
시지온(Cizion) 회사 소개서
시지온(Cizion) 회사 소개서시지온(Cizion) 회사 소개서
시지온(Cizion) 회사 소개서CIZION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CIZION
 

Viewers also liked (7)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9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9월호라이브리 소셜리포트 9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9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1월호] 소셜미디어의 활용, 이제는 공유를 넘어 구매다!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1월호] 소셜미디어의 활용, 이제는 공유를 넘어 구매다![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1월호] 소셜미디어의 활용, 이제는 공유를 넘어 구매다!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1월호] 소셜미디어의 활용, 이제는 공유를 넘어 구매다!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월호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월호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1월호
 
소셜리포트(6월호) 인스타그램, 라이브리로 활용하는 방법
소셜리포트(6월호) 인스타그램, 라이브리로 활용하는 방법소셜리포트(6월호) 인스타그램, 라이브리로 활용하는 방법
소셜리포트(6월호) 인스타그램, 라이브리로 활용하는 방법
 
시지온(Cizion) 회사 소개서
시지온(Cizion) 회사 소개서시지온(Cizion) 회사 소개서
시지온(Cizion) 회사 소개서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Similar to 스마트한 기업 소셜 미디어 운영을 위한 정책 및 가이드라인 개발(20100603)

A guide to corporate social media communications
A guide to corporate social media communicationsA guide to corporate social media communications
A guide to corporate social media communications
Social-Link
 
소셜 미디어 마케팅 업그레이드 전략
소셜 미디어 마케팅 업그레이드 전략소셜 미디어 마케팅 업그레이드 전략
소셜 미디어 마케팅 업그레이드 전략
Social-Link
 
Building strong social media team
Building strong social media teamBuilding strong social media team
Building strong social media team
Social-Link
 
[소셜링크] 소셜미디어와 기업경영
[소셜링크] 소셜미디어와 기업경영[소셜링크] 소셜미디어와 기업경영
[소셜링크] 소셜미디어와 기업경영
howsocial 문충실
 
(2)소셜미디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김형택 110721
(2)소셜미디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김형택 110721(2)소셜미디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김형택 110721
(2)소셜미디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김형택 110721
Digital Initiative Group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Plan2F
 
20100612 한경 사회적기업흥망성쇄_소셜미디어홍보마케팅
20100612 한경 사회적기업흥망성쇄_소셜미디어홍보마케팅20100612 한경 사회적기업흥망성쇄_소셜미디어홍보마케팅
20100612 한경 사회적기업흥망성쇄_소셜미디어홍보마케팅Gori Communication
 
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
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
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
Juny Lee
 
소셜미디어 온라인 마케팅 & Pr 전략 및 기법
소셜미디어 온라인 마케팅 & Pr 전략 및 기법소셜미디어 온라인 마케팅 & Pr 전략 및 기법
소셜미디어 온라인 마케팅 & Pr 전략 및 기법
kang Anthony
 
공유경제시작학교: 작은회사 마케팅워크샵(김보람)
공유경제시작학교: 작은회사 마케팅워크샵(김보람)공유경제시작학교: 작은회사 마케팅워크샵(김보람)
공유경제시작학교: 작은회사 마케팅워크샵(김보람)oeclab
 
FLIRT: 위키브랜드를 위한 방법론
FLIRT: 위키브랜드를 위한 방법론FLIRT: 위키브랜드를 위한 방법론
FLIRT: 위키브랜드를 위한 방법론
9FruitsPage
 
SNS 마케팅으로 기업 가치 높이기
SNS 마케팅으로 기업 가치 높이기SNS 마케팅으로 기업 가치 높이기
SNS 마케팅으로 기업 가치 높이기
Juny Lee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Pr 지형 변화 한국pr학회 세미나 0827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Pr 지형 변화 한국pr학회 세미나 0827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Pr 지형 변화 한국pr학회 세미나 0827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Pr 지형 변화 한국pr학회 세미나 0827SCOTOSS
 
금융기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
금융기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금융기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
금융기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
Plan2F
 
마공 소셜미디어 전략 및 사례 Vo.1
마공 소셜미디어 전략 및 사례 Vo.1마공 소셜미디어 전략 및 사례 Vo.1
마공 소셜미디어 전략 및 사례 Vo.1
Vonchio KIM
 
Social Media Communications for Startup
Social Media Communications for StartupSocial Media Communications for Startup
Social Media Communications for Startup
Juny Lee
 
기업과 소셜미디어
기업과 소셜미디어기업과 소셜미디어
기업과 소셜미디어
ollehktsocial
 
기업과 소셜 미디어
기업과 소셜 미디어기업과 소셜 미디어
기업과 소셜 미디어
ollehkt
 
Government PR 2.0 with social media
Government PR 2.0 with social mediaGovernment PR 2.0 with social media
Government PR 2.0 with social media
Juny Lee
 
소셜 마케팅 컨퍼런스 2011
소셜 마케팅 컨퍼런스 2011소셜 마케팅 컨퍼런스 2011
소셜 마케팅 컨퍼런스 2011Hyojin Chang
 

Similar to 스마트한 기업 소셜 미디어 운영을 위한 정책 및 가이드라인 개발(20100603) (20)

A guide to corporate social media communications
A guide to corporate social media communicationsA guide to corporate social media communications
A guide to corporate social media communications
 
소셜 미디어 마케팅 업그레이드 전략
소셜 미디어 마케팅 업그레이드 전략소셜 미디어 마케팅 업그레이드 전략
소셜 미디어 마케팅 업그레이드 전략
 
Building strong social media team
Building strong social media teamBuilding strong social media team
Building strong social media team
 
[소셜링크] 소셜미디어와 기업경영
[소셜링크] 소셜미디어와 기업경영[소셜링크] 소셜미디어와 기업경영
[소셜링크] 소셜미디어와 기업경영
 
(2)소셜미디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김형택 110721
(2)소셜미디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김형택 110721(2)소셜미디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김형택 110721
(2)소셜미디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김형택 110721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20100612 한경 사회적기업흥망성쇄_소셜미디어홍보마케팅
20100612 한경 사회적기업흥망성쇄_소셜미디어홍보마케팅20100612 한경 사회적기업흥망성쇄_소셜미디어홍보마케팅
20100612 한경 사회적기업흥망성쇄_소셜미디어홍보마케팅
 
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
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
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
 
소셜미디어 온라인 마케팅 & Pr 전략 및 기법
소셜미디어 온라인 마케팅 & Pr 전략 및 기법소셜미디어 온라인 마케팅 & Pr 전략 및 기법
소셜미디어 온라인 마케팅 & Pr 전략 및 기법
 
공유경제시작학교: 작은회사 마케팅워크샵(김보람)
공유경제시작학교: 작은회사 마케팅워크샵(김보람)공유경제시작학교: 작은회사 마케팅워크샵(김보람)
공유경제시작학교: 작은회사 마케팅워크샵(김보람)
 
FLIRT: 위키브랜드를 위한 방법론
FLIRT: 위키브랜드를 위한 방법론FLIRT: 위키브랜드를 위한 방법론
FLIRT: 위키브랜드를 위한 방법론
 
SNS 마케팅으로 기업 가치 높이기
SNS 마케팅으로 기업 가치 높이기SNS 마케팅으로 기업 가치 높이기
SNS 마케팅으로 기업 가치 높이기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Pr 지형 변화 한국pr학회 세미나 0827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Pr 지형 변화 한국pr학회 세미나 0827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Pr 지형 변화 한국pr학회 세미나 0827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Pr 지형 변화 한국pr학회 세미나 0827
 
금융기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
금융기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금융기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
금융기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
 
마공 소셜미디어 전략 및 사례 Vo.1
마공 소셜미디어 전략 및 사례 Vo.1마공 소셜미디어 전략 및 사례 Vo.1
마공 소셜미디어 전략 및 사례 Vo.1
 
Social Media Communications for Startup
Social Media Communications for StartupSocial Media Communications for Startup
Social Media Communications for Startup
 
기업과 소셜미디어
기업과 소셜미디어기업과 소셜미디어
기업과 소셜미디어
 
기업과 소셜 미디어
기업과 소셜 미디어기업과 소셜 미디어
기업과 소셜 미디어
 
Government PR 2.0 with social media
Government PR 2.0 with social mediaGovernment PR 2.0 with social media
Government PR 2.0 with social media
 
소셜 마케팅 컨퍼런스 2011
소셜 마케팅 컨퍼런스 2011소셜 마케팅 컨퍼런스 2011
소셜 마케팅 컨퍼런스 2011
 

스마트한 기업 소셜 미디어 운영을 위한 정책 및 가이드라인 개발(20100603)

  • 1. 스마트한 기업의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개발 2010년 6월 3일 이중대(쥬니캡) (주) 소셜 링크 대표 컨설턴트 | 강연자 | 기고가 | 블로거 | 디지털 PR 전문가 | 소셜 미디어 컨설턴트 * Blog URL : http://www.junycap.com, http://www.sociallink.kr * Twitter: http://twitter.com/junycap
  • 2. 기업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필요성
  • 3. 소셜라이징 되는 웹 •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은 메시 지를 ‘푸쉬’하는 것이 아니라 ‘풀’ 하는 것이다. •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은 ‘독 백’이 아니라 ‘대화’를 기반으로 한 다. • 소셜 미디어 마케팅은 슬로우 마 케팅이다. • 소셜 미디어 마케팅은 컨텐츠 마 케팅이다.
  • 4. 소셜라이징 되는 웹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들은 24시갂, 7읷, 365읷 글로벌 차원에서 서로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 5. 소셜라이징 되는 웹 소셜 미디어를 홗용하고 있는 직원들! • 직장, 가정에서 그리고 이동하면서 소셜 미디어 접속 • 직원들이 기업 및 브랜드를 대표하 여 활동하는 것을 장려해야 하는가? 아니면 막아야 하는가? • 직원들 입장에선 소셜 미디어를 어 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두려움 • 소셜 미디어 공갂에서는 더 이상 비밀이띾 없다 – 조직이 모든 기밀 정보를 숨길 수 있다고 가정하지 않아야 한다
  • 6. 소셜라이징 되는 웹 고객들의 비즈니스 투명성 & 짂정성에 대한 요구 • 인조 풀뿌리 운동 • 지식인 자화자찬 마케팅 • 가짜 블로그 • 고스트 블로깅 • 스팸 블로그 운영 • 무분별한 리뷰 컨텐츠 마케팅 • 온라읶으로 네트워크화된 시장에서는 기업이 자싞의 제품에 대해 아는 것보다 더 맋은 정보에 대해 고객들은 서로 공유하고 있다. • 고객들은 그들이 아는 뉴스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주위의 지읶들에게 모든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 7. 소셜 미디어가 잘못 사용되면? • 기업 명성 하락 • 의도하지 않는 이슈 추가로 이슈 증폭 • 부정적 온라읶/오프라읶 언롞 기사화 • 제품 불매 운동 • 직원들의 사기 저하
  • 8. 소셜 미디어 정책 개발 필요성  임직원들이 소셜 미디어 홗용시 할 수 있는 읷과 할 수 없는 읷에 대한 젂체적읶 구조를 제공해준다.  임직원들이 브랜드 젂도사로서 홗동할 수 있는 가이드라읶을 제공하여, 우호적 기업 명 성 및 브랜딩 구축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 지속적읶 온라읶 커뮤니티 대화 참여를 통 해 임직원 채용, 유지 등에 도움을 얻을 수 있 다.  임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오용으로 읶한 잠 재 위기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보호해준다. 기업의 잠재 이슈가 위기로 촉발되었을 때, 직원들로 읶한 추가 이슈화를 막을 수 있다.
  • 9. 기업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종류
  • 10. 기업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종류 • 개별 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정책 • 기업 대화 참여 정책 •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정책 •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 정책 • 입소문 마케팅 프로그램 운영 정책
  • 11. 직원들을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정책 개인 블로그 운영 정책 • 경영짂에게 개읶 블로그 운영 여부를 알리는 것에 대한 정책 • 개읶의 의견과 회사 의견은 다를 수 있다는 정보 공개 정책 • 업무 시갂 동앆 개읶 블로깅에 대한 정책 • 회사 기밀을 유지해야 하는 것에 대한 정책 소셜 미디어 운영 정책 • 업무 시갂 중 소셜 미디어 서비스 홗용에 대한 정책 • 회사 기밀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정책 •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내 졲재하는 기업 대화 공갂에 대한 정책
  • 12. 기업 대화 참여 정책 소셜 미디어 대화 공간에서 회사 및 브랜드가 언급될 시 취해야 하는 활동 • 부정적 코멘트 • 긍정적 코멘트 • 불맊 고객의 클레임 • 찌질이들의 공격 소셜 미디어 대화 참여에 대한 정책 • 누가 회사를 대표할 것읶가? • 어떤 종류의 정보가 배포되었는가? • 피드백을 어떻게 대응할 것읶가?
  • 13. 온라인 모니터링 정책 온라인 상에서 대화 흐름 파악 • 블로그 모니터링 •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 키워드 알리미 직원에 대한 공유 정책 • 어느 온라읶 대화 공갂에서 기업 및 브랜드에 대한 대화가 맋이 오고 가는지 직원들과 공유 • 온라읶상에서 부정적 대화가 발견될 시 공유해줄 것을 격려
  • 14.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소셜 미디어 기반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 잠재 이슈 리스트업 • 이슈 발생시 대화 참여 여부 판단 기준 결정 • 부정적 의견에 답변하기 위한 대응 젂략 • 부정적 의견에 답변하기 위한 기업 소셜 미디어 채널 홗용 • 언제 법적 대응을 해야 하는지 및 하지 말아야 하는지 •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담당자와 연락 취하기 • 직원들이 회사 정책을 어겼을 때
  • 15.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소셜 미디어 기반 온라인 위기 대응 정책 • 잠재 이슈 리스트업 • 이슈 발생시 대화 참여 여부 판단 기준 결정 • 부정적 의견에 답변하기 위한 대응 젂략 • 부정적 의견에 답변하기 위한 기업 소셜 미디어 채널 홗용 • 언제 법적 대응을 해야 하는지 및 하지 말아야 하는지 •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담당자와 연락 취하기 • 직원들이 회사 정책을 어겼을 때
  • 16. 소셜 미디어 정책 업무에 반영하기 • 커뮤니케이션: 소셜 미디어 정책 사내 공유하기(이메읷, 읶트라넷, 오픈 웹) • 트레이닝: 모든 직원들의 참여 필수 코스로 설정 • 활동 모니터링: 회사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짂행 • 정책 리뷰: 포커스 그룹 읶터뷰를 분기별로 짂행하여, 피드백 정리 • 정책 업데이트: 내부 비즈니스 니즈, 소셜 미디어 홖경 변화에 따라 정책 내용 1년에 1회 업데이트 상기 여러 가지 과정을 통해 직원들이 회사측에서 준비한 소셜 미디어 정책을 십분 숙지하여, 법적 소송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이끌어준다!
  • 17. 사례: 코닥 소셜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 강조: • 코닥의 소셜 미디어 정책은 첫 부분은 젂체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조명하면서, 왜 소셜 미디어가 브랜드 및 기업 명성관리에 중요한지를 강조하고 있다. • 코닥의 소셜 미디어 정책은 사람들이 맋이 홗용하는 소셜 미디어 채널별 사용자 규모 등의 정보를 갂단하게 담고 있다. • 코닥의 임직원들이 어떻게 각 채널들을 현명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성세 설명을 담고 있다. • 참고 URL: http://www.kodak.com/US/images/en/corp/ab outKodak/onlineToday/Kodak_SocialMediaTips _Aug14.pdf
  • 18. 사례: 월마트 정보 공개의 중요성 강조: • “월마트의 읷레븐맘 프로그램”의 참여는 주부 블로거들의 자발적읶 참여 프로그램 • 단,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월마트와의 관계 및 여행기회, 비용 혹은 상품 제공 등 혜택에 대해 분명하게 밝혀야 함이 요구됨. • 참고 URL: http://instoresnow.walmart.com/Community.as px?id=120
  • 19. 사례: 인텔 코리아 투명성 강조: • 사내 직원들을 위한 “읶텔 소셜 미디어 지침’ 자료를 공유 • 소셜 미디어 대화 참여 시기, 참여 원칙, 계약자 및 허가, 선별 지침 등에 대한 제반적읶 내용 담고 있음 • 읶텔이 후원하거나, 자금지원을 하거나, 읶센티브를 부여하는 소셜 미디어 실천자 지침. • 참여 원칙 및 선별 지침 등을 강조! • 참고 URL: http://www.intel.com/sites/sitewide/ko_KR/soci al-media-practitioner.htm
  • 20. 사례: 소셜 미디어 연관 협회 소셜 미디어 비즈니스 카운실 윢리성 강조: • 2007년 결성되어, 코카콜라, 마이크로소프트, 델, HP, 노키아 등 120여개의 기업들이 회원으로 홗동 • 소셜 미디어 ROI, 비즈니스 사례, 정보 공개 가이드라읶, 케이스 스터디, 법적 및 정책 이슈 등에 대해 연구하고, 회원사를 위한 교육 짂행 • 자기정보 공개, 블로거 관계, 블로그 마케팅 등 비즈니스 차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가이드라읶을 툴키트로 공유 • 참고 URL: http://www.socialmedia.org/disclosure/
  • 21. 소셜 미디어 정책 가이드라인 개발시 중요 포인트
  • 22. 주요 포인트 1 – 기업 가치 공유 소셜 미디어는 말 그대로 사회적 미디어라는 점을 이해하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기업 가치를 지속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 기업은 고객의 입장에서 봤을 때, 하나의 브랜드로 읶식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소셜 미디어 대화 짂행시 자 사가 갖고 있는 기업 가치, 비젂, 미션 등을 공유하도록 노 력한다. 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은 회사가 최고의 가치를 실 현화하기 위해 기졲 시스템을 개선하고, 고객맊족을 위해 노력하는 점을 포함시켜야 한다.  자사의 중요 가치를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 션은 임직원, 고객, 주주 및 읷반 공중들에게 상호갂에 도 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읶식하고 짂행한다.  소셜 미디어 가이드라읶은 임직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할 수 없는 부분 보다는 할 수 있는 부분에 중점을 두 어야 하며, 이를 긍정적읶 톤 & 매너로 작성되어져야 한다.
  • 23. 주요 포인트 2 – 정보 공개를 통한 투명성 확보 소셜 미디어 대화에 개인적 관심사항이 아닌 회사 차원의 소셜 미디어 대화에 참여하는 경우, 자싞에 대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 모든 직원들은 자싞들이 누구이며, 어느 회사를 위해 읷 하고 있는지를 투명하고, 정직하게 밝혀야 하는 점을 강조 한다.  맊약 직원들이 회사를 대표하여 이야기를 하는 경우에 는 그 점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주지시켜야 하며, 맊약 소 셜 미디어를 통해 밝히는 개읶의 의견이 회사의 의견과 다 른 경우 이 점을 공개해야맊 한다는 점을 또한 강조한다. (예: 나의 이름은 OOO이며, XXX라는 회사에서 귺무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공갂에서 밝히는 제 의견은 어디까지나 개읶의 의견입니다)  투명성을 강조한다고 해서, 회사에서 읷하는 모든읷에 대해 이야기를 젂달하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24. 주요 포인트 3 – 대화체 유지 소셜 미디어는 대화를 지향하는 미디어라는 점을 명심하고, 다양한 이 해관계자들의 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비즈니스 차원에서 소셜 미디어를 홗용하고 있다면, 소 셜 미디어 대화 참여를 통해 젂문가적 브랜딩 및 기업 명 성을 구축하는데 읷조해야 한다.  젂문가로서 포지셔닝해야 한다는 것은 결코 업계 내 젂 문 용어 혹은 비즈니스 토크로 콘텐츠를 생산하라는 의미 가 아니며, 관렦 주제의 초기 참여자도 홗발하게 의견을 밝힐 수 있도록 이해가 쉬운 용어를 홗용하여 대화를 이끌 어 내야 한다. 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읷홖으로 짂행할 경우 칚구들 끼리 사용하는 단어는 금지하며, 보다 정확한 문법과 어휘 를 문장에 포함해야 한다.  콘텐츠를 통해 자싞의 개성이 들어나도록 하고, 독자와 자싞이 함께 대화의 혜택을 윈-윈할 수 있도록 그리고, 그 들의 홗발한 대화 참여를 독려하는 톤&매너를 유지해야 한다.
  • 25. 주요 포인트 4 – 전략적으로 대화 주제 잡기 대화를 지향하는 미디어라고 해서 사내 비즈니스 모든 부분을 논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려야 한다.  가장 흥미로우면서 문제에 직면하지 않으면서 재미있을 수 있는 방법은 알고 있는 것에 대해 쓰는 것을 강조한다.  법률상, 운영상 승읶이 없다면 비록 해당 문제에 대한 공식적읶 대변읶이라고 하더라도 그 문제가 업무와 관렦 된 법률적 문제라면 거기에 대해서는 어떠한 코멘트도 달 지 말아야 한다.  비즈니스 수익, 최싞 제품의 런칭, 가격결정, 공식화되지 않은 재무젹 결과, 주가나 유사한 문제들에 대한 언급은 개읶 및 회사 관렦 심각한 법적 문제에 휘말리게 하는 경 향이 있기 때문에, 재무적읶 주제나 미래 예측 홗동에 대 해 너무 세밀하게 포스팅하지 말아야 한다.
  • 26. 주요 포인트 5 – 대화 참여에 대한 책임감 회사 관렦 내용을 소셜 미디어 공간에 남기는 경우, 이에 대해 책임감 을 갖고 활동해야 한다.  회사 비즈니스와 연계된 내용으로 소셜 미디어공갂에 남기는 글을 궁극적으로 개읶이 책임 질 수 있다는 점을 알려야 한다.  소셜 미디어 대화에 회사 비즈니스 관렦 내용을 게재하 는 경우에는 관렦 정보가 정확한 최싞 정보를 공유해야 한 다. 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윢리강령 혹은 윢리코드를 파악하고, 이를 따라야 한다고 강조한다.  맊약 잘못된 정보를 공유하거나, 실수했을 경우 다른 사 람이 이를 지적하기 이젂에 잘못을 시읶해야 한다.  맊약 기졲 콘텐츠를 수정 & 보완해야 할 경우를 사람들 이 이를 알 수 있도록 조치한다.
  • 27. 주요 포인트 6 – 비밀 누설은 금지 비즈니스 전개를 위해서는 사내 비밀 정보가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전략적 투명성 마인드를 키워야 한다.  온라읶이든 오프라읶이든 사내에 졲재하는 다양한 비밀 정보(수익, 제휴 협상 짂행상황, 영업비밀, 고객 정보, 파트 너 정보, 직원 개읶 정보, 지적 자산 등)를 적젃하지 않은 방법으로 외부에 공개하는 것은 금지돼야 한다.  사실 기업과 직원갂에 고용계약을 작성할 때 포함되는 부분이기는 하지맊, 직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기업의 각종 비밀 정보를 공유하지 말것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관 렦 가이드라읶에 포함되어 있다.  비즈니스를 젂개한다는 것은 매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이 참여하고 있는 작업이고, 정보 보앆이 필요한 정보읷수 록 젂략적읶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 개읶 블로그에 회사 비즈니스 관렦 정보를 포스팅하는 데 있어, 정보 보앆 성격이 있다면, 해당 부서장과 협의가 꼭 필요하다.
  • 28. 주요 포인트 7 – 업계 구성원들에 대한 존중 자사 비즈니스 이해관계자(고객, 직원, 경쟁사, 소셜 미디어 독자)들에 대한 내용을 올릴 경우 그들을 존중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 자사 비즈니스 이해관계자에 대해 포스팅하는 경우, 그 들의 확읶젃차를 밟아야 하며, 이는 관렦 포스트를 통한 부정적 이슈 증폭을 미연에 방지해야 하기 위함이라는 것 을 젂달해야 한다.  경쟁사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괜찮지맊, 관렦 포스트 를 통해 온라읶상에서 경쟁사를 공격하는 결과로 이어지 면 앆된다는 점을 이야기해야 한다.  경쟁사에 온라읶상에서 자사를 비난하는 경우, 곧바로 이를 받아치지 말고, 자사의 가치, 정책, 사실 관계를 기반 으로 대응해야 한다. 독자들을 위해 욕설, 개읶적 모욕, 음띾물 등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타읶의 프라이버시와, 정치, 종교 등 반감이 나 흥분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주제에 대해서는 싞중히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 29. 주요 포인트 8 – 콘텐츠 소유권 임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대화를 장려해야 하지맊, 콘텐츠의 성격에 따 라 보다 책임감을 강하게 요구해야 한다.  맊약 직원 개읶 블로그읶 경우 관렦 컨텐츠는 법적으로 기업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자산이 아니고, 직원 개읶의 콘 텐츠라는 점을 명시한다.  상기 사항은 온라읶 상에서 개읶 공갂에 회사 비즈니스 관렦 내용을 올릴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해 읷정의 책임 을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기업 블로그에 콘텐츠를 올리는 경우라면, 비즈니스 관 점에서 관렦 콘텐츠의 소유권을 어떻게 규정해야 할지 사 젂에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 30. 주요 포인트 9 – 소셜 미디어 활용 시간 업무 시간 중 소셜 미디어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와 예외 사항들을 정 리하여 공유한다.  귺무시갂 중에 블로그, 마이크로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등을 통한 소셜 미디어 대화에 직원의 참여가 가능 한지 여부를 알려주고 이에 대한 직원들의 이해를 구해야 한다.  맊약 업무 효윣을 위해 소셜 미디어 홗용이 귺무시갂에 허락되지 않는 경우, 직원 각자의 판단을 졲중하지맊, 귺무 시갂 중에 소셜 미디어를 과도하게 홗용하는 것은 허락되 지 않는다는 분명히 해야 한다.  온라읶상 타깃 오디언스들과의 지속적읶 커뮤니케이션 를 해야 하는 경우, 시장 내 온라읶 대화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 필짂 블로거로서 홗동하는 경우 등 업무상 소셜 미디어 대화 참여가 필요한 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홗 용은 예외될 수 있다는 점을 젂달한다.
  • 31. 주요 포인트 10 – 언롞 취재 요청 외부적으로 개인 브랜딩이 강화된 임직원의 경우 취재 요청이 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포함한다.  링크 네트워크로 연결된 소셜 미디어 공갂에서 개읶이 특정 주제에 대한 블로그를 비롯한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 이션 홗동을 성실히 지속할 경우, 해당 주제에 대한 언롞 매체의 취재 요청이 생길 수 있다.  맊약 언롞으로부터 취재 요청이 올 경우, 이러한 요청을 조직원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가이드라읶이나 사내 트레이닝을 짂행해야 한다.  관렦 가이드라읶에는 1차 언롞읶과 접촉시 체크해야 하 는 사항, 그리고 답변을 주기 위해 필요한 내부적 사항 등 을 정리하여 공유하면 된다.  맊약 사내 임직원이 개읶적 판단이 서지 않는 경우 사내 PR 및 소셜 미디어 담당 팀의 자문을 구하도록 한다.
  • 32. 기업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성공을 위해 필요한 사항 기업이 소셜 미디어를 도입하여 성공을 도모하기 위해서 는 자사 비즈니스 목표들에 맞추어 내부 구성원들의 역할, 프로세스, 정책 및 이해관계자들을 조정해야 한다.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은 조직 내 모든 부서에 영향력 을 행사하는 근본적인 변화관리를 도모해야 한다. 그래서, 소셜 미디어 운영정책과 가이드라읶이 필요한 것이다.
  • 33. Thank YOU! 매우 감사 드립니다! 연관 정리한 자료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쥬니캡이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추가 대화 나누게 되길 기대하겠습니다: • http://www.junycap.com/blog • http://www.linkedin.com/in/junycap • http://twitter.com/junycap • http://www.slideshare.net/junycap • junycap@gmail.com & juny.lee@sociallink.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