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의 사회기획-
주요섭 생명민회 사무국장( )
마음이 좋은 사람 이 되기를 진심으로 맹세한 나에게는 를 몸에 모시고' ( )好心人 天主 體天
한다는 말이 가장 마음에 쏠렸으며 또 상놈 된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 나로서는 동학에,行道
입도만 하면 차별대우를 철폐한다는 말이나 이조의 운수가 끝났으니 장래의 신국가를 건설,
한다는 말에는 참으로 가슴이 뛰고 끓었다.'
김구 선생 백범일지- ,
이끄는 이야기 구도행 그리고 개벽세상의 꿈1. - ,
김구 선생께서는 당신의 외모가 보잘 것 없어 그저 마음 좋은 사람 되기 를 원했다고' '
소박하게 말씀하셨지만 기실 의 길목에서 동학을 만나고 체천행도의 가르침을 얻었, 求道行
던 것이다.
구도행의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세상의 이치를 알고 가치있고 바르게 사는 길을 찾고자? ,
함이었겠지만 당시 많은 이들이 하여 새사람 되기 보다 난세를 피하여 를 찾거, 修身 十勝地
나 세상을 뒤집어엎을 방책을 찾아 나섰다 하지만 김구 선생께서는 먼저 좋은 사람 되. '
기를 원했다 만약 반상 차별의 철폐와 가난으로부터의 해방만을 위해서 동학에 입도했았다.
면 우리는 역사를 통하여 거인의 풍모를 만나지 못했을 것이다 겨우 억눌린 한을 풀고자, .
하는 민란의 소두목에 불과했을 것이다.
후천개벽이 먼저인지 신인간이 먼저인지는 알 수 없으나 내 몸이 천지기운과 합하였을진,
대 생태적 사회적 진화에 따라 내 가 새로운 삶 을 갈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 ' ' .
새로운 삶들을 담는 그릇으로서 새 문명사회 에 대한 열망과 거기서 나온 변혁의 기' ' '
획 또한 당연한 것이다 어쩌면 함으로 이미 한울의 이치를 내 몸으로 살려내는 개' . 體天
벽적 전망을 실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년대 천도교의 신문화운동과정에서도 의 수양과 의 생활태도가 후천1920 人乃天 性身雙全
개벽의 전제조건이라고 말하고 있다 먼저 새 사람이 되어야 후천개벽을 열 주체가 형성된.
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런데 일제의 절멸적 탄압을 대항하며 민족의 독립과 사회혁명을 앞세우면서 특히 사회,
주의가 수용되면서 새 사람에 대한 열망보다 사회변혁의 과제가 앞서게 되고 이에 따라 사,
람의 문제 삶의 문제는 사회변혁 다음의 문제가 되었다, .
특히 년대를 거치면서 인간은 사회적 존재 라는 명제 하에서 민족이 우선이냐7,80 ' '
계급이 우선이냐는 사회변혁의 근본과제와 경로에 대한 토론은 치열했으나 새 사회를, '
살아갈 사람들 에 논의는 사라졌다' .
그러다가 년대 들어 환경위기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생태적 삶 에 대한 요구가90 ' '
커지면서 그리고 물질적 풍요에 반비례하는 정신의 결핍과 나 의 소외를 절감하면서, ' '
사람들은 다시 나는 누구인가 를 묻고 인간의 재발견 을 위한 철학 사상적 작업도' ' ' '
널리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삼재론으로 본 생명세계의 본래면목 그리고 신인간2. ,
수운 선생께서 나를 생각하면서 인간 존재의 근원을 탐색하셨듯 불연기연편' ( )' ( ),我思我
그리고 선방에서는 이뭐꼬 화두로 나의 존재를 묻고 있듯이 세계인식의 출발점은( )是甚 
나 일 수밖에 없다 도 내가 선 자리에서 볼 때 그러한 것이다' ' . .天圓地方
동양적 맥락에서 나는 천지인 삼재의 덕이 합치된 존재이다 오늘의 문법으로 말하면 사. ,
람은 우주 영적인 존재 이면서 생태적 존재 이고 더불어 사회적 존재 이다 신인간/ ( ) ( ) , ( ) .天 地 人
은 이러한 천지인적 삶의 본래면목을 회복하는 것으로 출발하여 우주적 진화의 창조자로,
참여하는 이를 말할 것이다.
으로 본 생명세계와 삶의 본래면목三才論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른바 문명의 위기는 천지인 삼재의 세 기틀의 조화가 깨어지
고 뒤틀린 데서 기인한 것이다 산업혁명을 계기로 폭발적으로 성장한 서구의 근대문명은.
대량생산 대량소비체제의 확립과 함께 우주적 영적 존재로서의 인간 을 잊게 되고 인, ' / ' ,
간의 자궁인 생태계를 약탈적으로 착취하면서 생태적 존재로서의 인간 을 외면하게 된, ' '
다.
물론 시대에 따라 천지인 중 어느 한 측면이 부분적으로 강조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다른 한 측면이 지나치게 간과되거나 무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세계는 자기, . '
조직하는 생명의 다차원적인 그물망 이라고 정리해보자 그 생명세계를 천지인의 범주를' .
빌어 표현하면 천지인의 위에서 무궁진화하고 우주 생명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鼎立
최근에 생태주의가 유행하고 있지만 생명세계의 빛깔이 녹색만은 아니다 을 빌어, . 五行論
보면 세계는 흑 청 적 황 백의 모자이크인 것이다 산업문명으로 비롯한 지구생태계의, , , , , .
위기 때문에 생태주의가 강조된다고 하더라도 푸른색 일색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생명운동의 경우에도 년 한살림 선언 을 발표할 당시에는 영성 문화 생태계1991 ' ' , , ,
사회관계 등을 포괄하는 새문명운동 개벽운동으로서 그 방향이 제시되었으나 한살림이 생, ,
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활동하게 되고 환경운동은 생명운동이다 모토가 널리 알려지, ' '
면서 생명운동은 생협운동 환경운동 귀농운동 등 생태주의적 운동으로 그 의미가 좁혀져, , ,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면서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간과되고 세간에서는 생태공동체운. ,
동을 안빈낙도의 개인적 삶 내면에의 침잠으로 오해하는 또 하나의 편향이 나타나기도 하,
는 것이다.
요컨대 삼재론의 관점에서 보면 오늘의 위기는 천지인적 삶의 분열 왜곡에서 비롯되었으
며 신인간이란 감성과 이성 영성이 조화되고 하며 하는 전일적 삶의 회복, , , ,敬天 敬人 敬物
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적 운동의 방향도 방편적으로는 나눌 수 있으나 내 안의 창조적 영. ,
성을 살리는 영성 문화운동 자연생태계와 뭇생명을 모시고 길러 살리는 환경 생태운동 그/ , / ,
리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일구는 자치 상생체운동이 조화롭게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삶 의 기획 자치 상생체3. ' ' - ' ', ' '
물론 앞서 강조한 바와 같이 천지인적 삶은 나누어질 수 없다 하지만 굳이 사회적 영. , ,人
역에서 그 과제를 찾는다면 키워드는 자치 가 될 것이다 생명과정의 핵심은 자기조직' ' .
화 자기결정 자기창조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맥락에서 그것은 자치로 읽혀진다 그러나, , . .
자치라고 해도 개인 혹은 개별 공동체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하는 자치 서로를 살리는, . ,相生
자치라 해야 옳을 것이다.
자치의 원리는 상생의 원리이다 먼저 서로를 살리기 전해 스스로 주체가 되어야 한다. .
그리고 상대방과의 더불어 살아야 한다 그리고 그 목적은 살림 각각의 창조적 자기. ' ',
실현에 있다 요약하면 자율 연대 창조라 할 수 있다 자율은 주체로서의 자각과 깨달음으. , , .
로 전제로 한 삶의 과정에서의 자기결정성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연대는 천지 혹은 이웃과. ,
의 전일적 관계망의 주체적 형성을 말하며 창조는 삶의 목적이라 할 수도 있지만 창조적으,
로 자기실현하는 삶 그 자체이기도 하다 많은 이들이 이런 관점에서 국가에서 공동체. ' '
로 통치에서 자치 로 라는 모토를 제시하기도 한다, ' ' .
자율적 시민사회의 형성 시민 자치1) -
시민운동의 궁극적 목표는 시민사회의 자율적 메카니즘 형성 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 .
것은 무엇보다 국가와 시장로부터 자율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하버마스와 같은 학자들이 잘.
지적하고 있듯이 시민의 사회정치적 도구인 국가기구가 생활세계를 식민화하고 기업과 시,
장이 우리의 의식과 욕구 아니 삶 전체를 앗아가는 구조적 지배력으로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시민자치 민의 자치 라고 할만하다. , ' ' .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국적 자본으로부터 초보적 자립을 위한 자구운동인 생활협,
동조합이라든가 입법 사법 행정의 국가기구의 힘을 약화시키고 시민의 자율성을 높이려는, , ,
다양한 시민단체의 활동이 그것이다 얼마 전 총선연대의 낙선운동도 정치참여의 일환으로.
전개되었지만 좀더 적극적으로 보면 중앙정치영역에서의 민의 자치 영역를 넓히려는 노력으
로 볼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참여도 중요하지만 입법부의 힘을 약화시키고 시민참. ,
여를 제도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지역자치 천지인적 삶의 실현2) -
이렇듯 원론적인 의미에서 포괄적이고 다양한 민의 자치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개벽의 전망,
을 구체화하는 사회적 기획의 차원에서 볼 때는 특별한 전략이 필요할 지도 모른다 그것이.
바로 지역자치이다.
지역은 사람의 생명활동인 생활 의 장이다 생태적 바탕에 기초한 최소 규모의 경제' ' .
활동이 가능하고 문화적 정체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사회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인, ,
구를 가진 삶의 터전이다 배후에 농촌을 끼고 있는 지방소도시 정도가 될 것이다. .
또한 지역은 초국적 자본과 국가로부터 일정한 자유를 확보할 수 있는 지배력의 틈' '
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역은 천지인 전일적인 삶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장이며 그러므로 전. ,
지인적 삶이란 곧 지역적 삶 이라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 .
지역이 지역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최소한의 생태적인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른바.
생태지역권 생물지역권의 문제이다 사실 환경운동도 이러한 생태적 삶의 권리를 확보하기, .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지구 단위 국가 단위의 환경운동도 결국 지역의, ,
생태적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암세포와 같이 맹렬히 확.
대되는 거대도시의 분할 해체가 요구된다 도시의 결정적인 한계는 그것인 생태적 기반의.
파괴 위에서 건설되었다는 점이다 도시에서는 생태적 삶이 근원적으로 불가능하다. .
다음으로 필연적으로 먹고사는 문제 지역경제의 문제가 중요하다 만약 이것을 생명경제로, .
개념화해 볼 때 지금 지역경제는 사실 독자적인 지역경제라는 것이 존재하지도 않지만, - -
지역 연관이 전혀 없어서 오히려 생명과정을 왜곡 절단하고 있다 생명경제는 무엇보다도.
지역의 내재적 내발적 에너지를 찾아 발양시켜 지역의 독특한 색깔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물론 기본이 되는 것은 지역의 생태적 기반을 토대로 한 농업이다. .
마지막으로 지역문화의 복원이다 생명사상의 관점에서 문화란 자연생명의 무궁 한 생. ( )無窮
성과정에서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창조적 영성이 새로운 차원으로 드러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 안에 이미 문화 창조적 기능이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지역문화는 지역적. .
삶의 실존적 표현이다 그러므로 지금 여기 살고 있는 사람 즉 이 자신의 실존을 알. , '住民
기 위해서는 지역의 토착문화에 대한 재음미와 복원이 일차적인 과제가 된다 이는 자치' .
의 근원적 힘이 되는 지역적 정체성을 확보하는 과정이며 향기 나는 지역을 만드는 바탕이,
될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필요조건이 사회적 장치로서의 정치 시스템이다 그것을 일컬어 생명.
정치 생활정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인데 현재적으로 그것을 추동하는 사회적 운동으로서 민, ,
회 주민 시민의회를 제안하고 있다 민회는 지역시민단체 자구적 생활 문화조합 계( ), / . , · ,民會
모임 등 다양한 생활자치운동의 기반 위에서 생명 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중심으로 종파' '
와 계급계층을 망라한 지역의 사회적 정당성과 권위를 대표하는 지역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남은 이야기 상생으로 이루는 민족자치4. -
우리에게는 통일을 이루어 온전히 민족자치를 실현해야할 민족적 과제가 있다 이른바 근대.
적 과제의 종국적 목표인 통일된 민족국가의 성립이 그것이다 후천개벽의 대운은 바로 통.
일이 아닐까 최근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 통일의 과정에서. .
체제 혹은 국가간 통합의 차원을 넘어서 남북의 민이 주체가 되고 민의 지향과 가치를 어, ,
떻게 실현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 자치의 관점에서 본 통일의 근본 의제이다.
김구 선생께서 삼팔선을 몸으로 안아서라도 이루려 했던 그 통일의 출발점은 체천행도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가까이는 동학을 비롯하여 고대의 한사상과 풍류도 홍익인간 이화세. , ,
계의 민족사상이 통일의 마음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상생과 자치도 보편 원리일 뿐 아니라 우리 민족의 마음 속에 살아있는 공통의 지향이라,
면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자주 와 독립 이 바로 그것 아닌가. ' ' ' ' .
어떤 이들은 통일방안의 하나로 국가연방과는 다른 차원에서 지역자치체연방 을 제시' '
하기도 한다 인적 교류와 문화적 교류의 단위도 현실적으로 남북정부의 주도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지만 자치단체 혹은 지역단위에서 서로 도울 방도를 찾고 사람이 오간다면 그것,
이 통일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오히려 그 과정에서 남북의 중앙정부의 힘을 약화시키고 진.
정한 의미에서 민의 자치 를 가능케 할 수도 있지 않을까' ' .
신인간이 혹 홍익인간이라면 그 이 함으로써 서로를 이롭게 하는 상, 弘益 敬天 敬物 敬人
생의 마음을 담은 인간이라면 통일은 지금 여기서 에서 시작되고 있는지도 모른, , 體天行道
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ecobuddha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ecobuddha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lee won don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SIMIN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여성환경연대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여성환경연대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HWPL
 
촛불세대의 코칭
촛불세대의 코칭촛불세대의 코칭
촛불세대의 코칭
Rohjoonshik
 
한국YMCA1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한국YMCA1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한국YMCA1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한국YMCA1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Seonghee Kim
 
[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
[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
[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
Green Korea United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창열 이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환경연대
 
고립된 개인에서
고립된 개인에서고립된 개인에서
고립된 개인에서
lee won don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ecobuddha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SIMIN
 
천둥소리 33호 최종
천둥소리 33호 최종천둥소리 33호 최종
천둥소리 33호 최종
채 국
 
조소앙 평전 1. 김삼웅 저-한겨레신문
조소앙 평전 1.  김삼웅 저-한겨레신문조소앙 평전 1.  김삼웅 저-한겨레신문
조소앙 평전 1. 김삼웅 저-한겨레신문
Hyungyul Kim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hiiocks kim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econewsletter
 

Similar to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 (20)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워크숍발표
워크숍발표워크숍발표
워크숍발표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촛불세대의 코칭
촛불세대의 코칭촛불세대의 코칭
촛불세대의 코칭
 
한국YMCA1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한국YMCA1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한국YMCA1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한국YMCA1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
[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
[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고립된 개인에서
고립된 개인에서고립된 개인에서
고립된 개인에서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천둥소리 33호 최종
천둥소리 33호 최종천둥소리 33호 최종
천둥소리 33호 최종
 
조소앙 평전 1. 김삼웅 저-한겨레신문
조소앙 평전 1.  김삼웅 저-한겨레신문조소앙 평전 1.  김삼웅 저-한겨레신문
조소앙 평전 1. 김삼웅 저-한겨레신문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

  • 1.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의 사회기획- 주요섭 생명민회 사무국장( ) 마음이 좋은 사람 이 되기를 진심으로 맹세한 나에게는 를 몸에 모시고' ( )好心人 天主 體天 한다는 말이 가장 마음에 쏠렸으며 또 상놈 된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 나로서는 동학에,行道 입도만 하면 차별대우를 철폐한다는 말이나 이조의 운수가 끝났으니 장래의 신국가를 건설, 한다는 말에는 참으로 가슴이 뛰고 끓었다.' 김구 선생 백범일지- , 이끄는 이야기 구도행 그리고 개벽세상의 꿈1. - , 김구 선생께서는 당신의 외모가 보잘 것 없어 그저 마음 좋은 사람 되기 를 원했다고' ' 소박하게 말씀하셨지만 기실 의 길목에서 동학을 만나고 체천행도의 가르침을 얻었, 求道行 던 것이다. 구도행의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세상의 이치를 알고 가치있고 바르게 사는 길을 찾고자? , 함이었겠지만 당시 많은 이들이 하여 새사람 되기 보다 난세를 피하여 를 찾거, 修身 十勝地 나 세상을 뒤집어엎을 방책을 찾아 나섰다 하지만 김구 선생께서는 먼저 좋은 사람 되. ' 기를 원했다 만약 반상 차별의 철폐와 가난으로부터의 해방만을 위해서 동학에 입도했았다. 면 우리는 역사를 통하여 거인의 풍모를 만나지 못했을 것이다 겨우 억눌린 한을 풀고자, . 하는 민란의 소두목에 불과했을 것이다. 후천개벽이 먼저인지 신인간이 먼저인지는 알 수 없으나 내 몸이 천지기운과 합하였을진, 대 생태적 사회적 진화에 따라 내 가 새로운 삶 을 갈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 ' ' . 새로운 삶들을 담는 그릇으로서 새 문명사회 에 대한 열망과 거기서 나온 변혁의 기' ' ' 획 또한 당연한 것이다 어쩌면 함으로 이미 한울의 이치를 내 몸으로 살려내는 개' . 體天 벽적 전망을 실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년대 천도교의 신문화운동과정에서도 의 수양과 의 생활태도가 후천1920 人乃天 性身雙全 개벽의 전제조건이라고 말하고 있다 먼저 새 사람이 되어야 후천개벽을 열 주체가 형성된. 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런데 일제의 절멸적 탄압을 대항하며 민족의 독립과 사회혁명을 앞세우면서 특히 사회, 주의가 수용되면서 새 사람에 대한 열망보다 사회변혁의 과제가 앞서게 되고 이에 따라 사, 람의 문제 삶의 문제는 사회변혁 다음의 문제가 되었다, . 특히 년대를 거치면서 인간은 사회적 존재 라는 명제 하에서 민족이 우선이냐7,80 ' ' 계급이 우선이냐는 사회변혁의 근본과제와 경로에 대한 토론은 치열했으나 새 사회를, ' 살아갈 사람들 에 논의는 사라졌다' .
  • 2. 그러다가 년대 들어 환경위기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생태적 삶 에 대한 요구가90 ' ' 커지면서 그리고 물질적 풍요에 반비례하는 정신의 결핍과 나 의 소외를 절감하면서, ' ' 사람들은 다시 나는 누구인가 를 묻고 인간의 재발견 을 위한 철학 사상적 작업도' ' ' ' 널리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삼재론으로 본 생명세계의 본래면목 그리고 신인간2. , 수운 선생께서 나를 생각하면서 인간 존재의 근원을 탐색하셨듯 불연기연편' ( )' ( ),我思我 그리고 선방에서는 이뭐꼬 화두로 나의 존재를 묻고 있듯이 세계인식의 출발점은( )是甚  나 일 수밖에 없다 도 내가 선 자리에서 볼 때 그러한 것이다' ' . .天圓地方 동양적 맥락에서 나는 천지인 삼재의 덕이 합치된 존재이다 오늘의 문법으로 말하면 사. , 람은 우주 영적인 존재 이면서 생태적 존재 이고 더불어 사회적 존재 이다 신인간/ ( ) ( ) , ( ) .天 地 人 은 이러한 천지인적 삶의 본래면목을 회복하는 것으로 출발하여 우주적 진화의 창조자로, 참여하는 이를 말할 것이다. 으로 본 생명세계와 삶의 본래면목三才論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른바 문명의 위기는 천지인 삼재의 세 기틀의 조화가 깨어지 고 뒤틀린 데서 기인한 것이다 산업혁명을 계기로 폭발적으로 성장한 서구의 근대문명은. 대량생산 대량소비체제의 확립과 함께 우주적 영적 존재로서의 인간 을 잊게 되고 인, ' / ' , 간의 자궁인 생태계를 약탈적으로 착취하면서 생태적 존재로서의 인간 을 외면하게 된, ' ' 다. 물론 시대에 따라 천지인 중 어느 한 측면이 부분적으로 강조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다른 한 측면이 지나치게 간과되거나 무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세계는 자기, . ' 조직하는 생명의 다차원적인 그물망 이라고 정리해보자 그 생명세계를 천지인의 범주를' . 빌어 표현하면 천지인의 위에서 무궁진화하고 우주 생명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鼎立 최근에 생태주의가 유행하고 있지만 생명세계의 빛깔이 녹색만은 아니다 을 빌어, . 五行論 보면 세계는 흑 청 적 황 백의 모자이크인 것이다 산업문명으로 비롯한 지구생태계의, , , , , . 위기 때문에 생태주의가 강조된다고 하더라도 푸른색 일색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생명운동의 경우에도 년 한살림 선언 을 발표할 당시에는 영성 문화 생태계1991 ' ' , , , 사회관계 등을 포괄하는 새문명운동 개벽운동으로서 그 방향이 제시되었으나 한살림이 생, , 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활동하게 되고 환경운동은 생명운동이다 모토가 널리 알려지, ' ' 면서 생명운동은 생협운동 환경운동 귀농운동 등 생태주의적 운동으로 그 의미가 좁혀져, , ,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면서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간과되고 세간에서는 생태공동체운. , 동을 안빈낙도의 개인적 삶 내면에의 침잠으로 오해하는 또 하나의 편향이 나타나기도 하, 는 것이다. 요컨대 삼재론의 관점에서 보면 오늘의 위기는 천지인적 삶의 분열 왜곡에서 비롯되었으 며 신인간이란 감성과 이성 영성이 조화되고 하며 하는 전일적 삶의 회복, , , ,敬天 敬人 敬物 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적 운동의 방향도 방편적으로는 나눌 수 있으나 내 안의 창조적 영. ,
  • 3. 성을 살리는 영성 문화운동 자연생태계와 뭇생명을 모시고 길러 살리는 환경 생태운동 그/ , / , 리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일구는 자치 상생체운동이 조화롭게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삶 의 기획 자치 상생체3. ' ' - ' ', ' ' 물론 앞서 강조한 바와 같이 천지인적 삶은 나누어질 수 없다 하지만 굳이 사회적 영. , ,人 역에서 그 과제를 찾는다면 키워드는 자치 가 될 것이다 생명과정의 핵심은 자기조직' ' . 화 자기결정 자기창조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맥락에서 그것은 자치로 읽혀진다 그러나, , . . 자치라고 해도 개인 혹은 개별 공동체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하는 자치 서로를 살리는, . ,相生 자치라 해야 옳을 것이다. 자치의 원리는 상생의 원리이다 먼저 서로를 살리기 전해 스스로 주체가 되어야 한다. . 그리고 상대방과의 더불어 살아야 한다 그리고 그 목적은 살림 각각의 창조적 자기. ' ', 실현에 있다 요약하면 자율 연대 창조라 할 수 있다 자율은 주체로서의 자각과 깨달음으. , , . 로 전제로 한 삶의 과정에서의 자기결정성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연대는 천지 혹은 이웃과. , 의 전일적 관계망의 주체적 형성을 말하며 창조는 삶의 목적이라 할 수도 있지만 창조적으, 로 자기실현하는 삶 그 자체이기도 하다 많은 이들이 이런 관점에서 국가에서 공동체. ' ' 로 통치에서 자치 로 라는 모토를 제시하기도 한다, ' ' . 자율적 시민사회의 형성 시민 자치1) - 시민운동의 궁극적 목표는 시민사회의 자율적 메카니즘 형성 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 . 것은 무엇보다 국가와 시장로부터 자율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하버마스와 같은 학자들이 잘. 지적하고 있듯이 시민의 사회정치적 도구인 국가기구가 생활세계를 식민화하고 기업과 시, 장이 우리의 의식과 욕구 아니 삶 전체를 앗아가는 구조적 지배력으로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시민자치 민의 자치 라고 할만하다. , ' ' .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국적 자본으로부터 초보적 자립을 위한 자구운동인 생활협, 동조합이라든가 입법 사법 행정의 국가기구의 힘을 약화시키고 시민의 자율성을 높이려는, , , 다양한 시민단체의 활동이 그것이다 얼마 전 총선연대의 낙선운동도 정치참여의 일환으로. 전개되었지만 좀더 적극적으로 보면 중앙정치영역에서의 민의 자치 영역를 넓히려는 노력으 로 볼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참여도 중요하지만 입법부의 힘을 약화시키고 시민참. , 여를 제도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지역자치 천지인적 삶의 실현2) - 이렇듯 원론적인 의미에서 포괄적이고 다양한 민의 자치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개벽의 전망, 을 구체화하는 사회적 기획의 차원에서 볼 때는 특별한 전략이 필요할 지도 모른다 그것이. 바로 지역자치이다. 지역은 사람의 생명활동인 생활 의 장이다 생태적 바탕에 기초한 최소 규모의 경제' ' . 활동이 가능하고 문화적 정체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사회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인, , 구를 가진 삶의 터전이다 배후에 농촌을 끼고 있는 지방소도시 정도가 될 것이다. . 또한 지역은 초국적 자본과 국가로부터 일정한 자유를 확보할 수 있는 지배력의 틈' ' 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역은 천지인 전일적인 삶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장이며 그러므로 전. ,
  • 4. 지인적 삶이란 곧 지역적 삶 이라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 . 지역이 지역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최소한의 생태적인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른바. 생태지역권 생물지역권의 문제이다 사실 환경운동도 이러한 생태적 삶의 권리를 확보하기, .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지구 단위 국가 단위의 환경운동도 결국 지역의, , 생태적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암세포와 같이 맹렬히 확. 대되는 거대도시의 분할 해체가 요구된다 도시의 결정적인 한계는 그것인 생태적 기반의. 파괴 위에서 건설되었다는 점이다 도시에서는 생태적 삶이 근원적으로 불가능하다. . 다음으로 필연적으로 먹고사는 문제 지역경제의 문제가 중요하다 만약 이것을 생명경제로, . 개념화해 볼 때 지금 지역경제는 사실 독자적인 지역경제라는 것이 존재하지도 않지만, - - 지역 연관이 전혀 없어서 오히려 생명과정을 왜곡 절단하고 있다 생명경제는 무엇보다도. 지역의 내재적 내발적 에너지를 찾아 발양시켜 지역의 독특한 색깔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물론 기본이 되는 것은 지역의 생태적 기반을 토대로 한 농업이다. . 마지막으로 지역문화의 복원이다 생명사상의 관점에서 문화란 자연생명의 무궁 한 생. ( )無窮 성과정에서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창조적 영성이 새로운 차원으로 드러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 안에 이미 문화 창조적 기능이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지역문화는 지역적. . 삶의 실존적 표현이다 그러므로 지금 여기 살고 있는 사람 즉 이 자신의 실존을 알. , '住民 기 위해서는 지역의 토착문화에 대한 재음미와 복원이 일차적인 과제가 된다 이는 자치' . 의 근원적 힘이 되는 지역적 정체성을 확보하는 과정이며 향기 나는 지역을 만드는 바탕이, 될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필요조건이 사회적 장치로서의 정치 시스템이다 그것을 일컬어 생명. 정치 생활정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인데 현재적으로 그것을 추동하는 사회적 운동으로서 민, , 회 주민 시민의회를 제안하고 있다 민회는 지역시민단체 자구적 생활 문화조합 계( ), / . , · ,民會 모임 등 다양한 생활자치운동의 기반 위에서 생명 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중심으로 종파' ' 와 계급계층을 망라한 지역의 사회적 정당성과 권위를 대표하는 지역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남은 이야기 상생으로 이루는 민족자치4. - 우리에게는 통일을 이루어 온전히 민족자치를 실현해야할 민족적 과제가 있다 이른바 근대. 적 과제의 종국적 목표인 통일된 민족국가의 성립이 그것이다 후천개벽의 대운은 바로 통. 일이 아닐까 최근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 통일의 과정에서. . 체제 혹은 국가간 통합의 차원을 넘어서 남북의 민이 주체가 되고 민의 지향과 가치를 어, , 떻게 실현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 자치의 관점에서 본 통일의 근본 의제이다. 김구 선생께서 삼팔선을 몸으로 안아서라도 이루려 했던 그 통일의 출발점은 체천행도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가까이는 동학을 비롯하여 고대의 한사상과 풍류도 홍익인간 이화세. , , 계의 민족사상이 통일의 마음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상생과 자치도 보편 원리일 뿐 아니라 우리 민족의 마음 속에 살아있는 공통의 지향이라, 면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자주 와 독립 이 바로 그것 아닌가. ' ' ' ' . 어떤 이들은 통일방안의 하나로 국가연방과는 다른 차원에서 지역자치체연방 을 제시' ' 하기도 한다 인적 교류와 문화적 교류의 단위도 현실적으로 남북정부의 주도로 이루어질.
  • 5. 수밖에 없지만 자치단체 혹은 지역단위에서 서로 도울 방도를 찾고 사람이 오간다면 그것, 이 통일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오히려 그 과정에서 남북의 중앙정부의 힘을 약화시키고 진. 정한 의미에서 민의 자치 를 가능케 할 수도 있지 않을까' ' . 신인간이 혹 홍익인간이라면 그 이 함으로써 서로를 이롭게 하는 상, 弘益 敬天 敬物 敬人 생의 마음을 담은 인간이라면 통일은 지금 여기서 에서 시작되고 있는지도 모른, , 體天行道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