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경남 로컬푸드와
학교급식 활성화 방안
허남혁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문제의식: 소비 측면
• 관광지
- 관광객들에게 직접 판매하고 있는가? : 신선농산물,
가공품, 특산물, 음식(식당)
• 학교급식/공공급식
- 관내 학생/기관들에게 우리지역 농산물을 공급하고
있는가?
• 지역주민
- 시내 시민들에게 우리지역 농산물/가공품을 공급하
고 있는가?
문제의식: 농민생산 측면
• 생산하는 농산물을 과연 제값 받고 팔고 있는가?
• 가공을 통해 부가가치를 수취하고 있는가, 농산
물 원료 상태로만 판매하고 있는가?
• 상급 농산물만 판매하고, 나머지는 버리고 있는
가?
• 농업생산활동에 대한 보람과 자부심, 소비자에
대한 배려를 과연 유지하고 있는가?
농가경제의 다각화와 로컬푸드
• 직판을 기점으로 가공, 식당, 관광, 체험/교육 등 다양한 활동의 복합
화 가능
- 농업생산주체를 중심으로 식품공급사슬을 재편하려는 노력: 자가
생산물의 현장 직접유통/가공/조리/판매활동 강화
- 선진국 농정은 이를 장려하는 추세(농업생산정책=>농촌개발정책)
- 일본 농가의 12%가 직판장에 참여
- 중소 가족농들의 새로운 소득영역으로 정책적 지원 및 개척: 규
모화 방식이 아니라, 소비자와의 관계 차원에서의 새로운 접근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서야 6차산업화에 관심
-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가직판을 중심으로 하는 로컬푸드 정책은
부재
경남 농식품의 지역순환 현황 (1)
- 농가직판/직거래 참여농가 비율
2005 2010
울산 12.20% 18.04%
인천 10.01% 17.69%
대구 12.85% 16.41%
부산 28.27% 14.89%
서울 6.81% 14.12%
강원 8.15% 13.91%
대전 10.21% 12.79%
경기 8.95% 12.65%
충북 8.47% 12.34%
전북 7.14% 10.68%
전국평균 6.94% 9.75%
경남 4.57% 9.03%
광주 1.09% 8.56%
경북 6.62% 7.92%
전남 6.90% 7.79%
충남 5.36% 7.17%
제주 2.32% 4.41%
농가직판/직거래 참여농가 비
율
(농림어업총조사)
2010년 경남 11위 (전국평균,
강원, 경기, 충북, 전북보다 낮
음)
- 양산, 하동, 산청이 상위
향후 6차산업화를 통한 농
촌활성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
한 지표 (일본, 유럽 등 선진국
사례)
(전국 1위 가평군 39.5%)
2010
양산시 18.0%
하동군 13.8%
산청군 12.7%
밀양시 11.6%
함양군 10.3%
김해시 10.1%
창녕군 10.0%
거창군 9.5%
사천시 8.0%
함안군 7.8%
거제시 6.8%
합천군 5.3%
남해군 5.1%
고성군 4.0%
의령군 3.7%
경남 농식품의 지역순환 현황 (2)
- 농가가공 참여농가 비율
농가가공 참여농가 비율
(농림어업총조사)
2005년 경남 3위 => 2010년 경남 2위
- 하지만 여전히 절대수치는 미미한 실정
경남도내
- 상위: 산청, 함안, 함양, 하동
향후 농가직판 활성화와 동반적으로
활성화되어야 농가소득 증대가 가능해지
는 영역임
* 가공: 1위 괴산군 7.3%
식당: 1위 기장군 3.7%
관광: 3위 태안군 3.7%
2005 2010
서울 1.3 0.6
충북 0.9 1.7
경남 0.7 1.1
경북 0.4 0.8
강원 0.5 0.7
전국평균 0.5 0.7
대구 0.2 0.6
인천 0.2 0.6
전북 0.6 0.6
전남 0.5 0.6
부산 0.5 0.5
경기 0.4 0.5
충남 0.4 0.5
대전 0.4 0.3
광주 0.2 0.2
울산 3 0.2
제주 0.1 0.2
2010
산청군 5.3%
함안군 3.7%
함양군 2.7%
하동군 1.9%
양산시 1.1%
사천시 0.8%
남해군 0.5%
거제시 0.4%
창녕군 0.4%
거창군 0.4%
고성군 0.2%
합천군 0.3%
김해시 0.2%
밀양시 0.2%
의령군 0.2%
로컬푸드 개념
•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가깝게 생산-소비하는
먹거리
- 물리적 거리 / 심리적 거리감
• 지역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생산하고 소비
하는 먹거리
• 농민이 생산한 현장에서 소비자를 마주보면서 판
매(직판)하는 먹거리
로컬푸드의 효과
로컬푸드 수단
해외 정책사례
• 미국 농무부(USDA)의 Know Your Farmer, Know Your
Food(2009)
• 프랑스 농림식품부의 circuits courts(short chain) 증진정
책(2009)
• 일본 농림수산성의 지산지소(地産地消) 추진정책(6차산업
화법, 2010)
• 네덜란드 농림부의 다기능적 농업(MFA) 육성과 로컬푸드
정책(2008)
• 영국의 로컬푸드 중간지원기관(Making Local Food Work)
일본의 지산지소 정책 (2010 법률)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시책
①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촉진에 필요한 기반 정비 (제42조)
② 직판장 등을 이용한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촉진 (제43조)
③ 학교급식 등의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촉진 (제44조)
④ 지역 수요에 대응한 농림수산물의 안정적 공급 확보 (제45조)
⑤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추진을 통한 식교육 추진 (제46조)
⑥ 인재 육성 (제47조) ⑦ 국민의 이해와 관심 증진 (제48조)
⑧ 조사 연구 실시 (제49조) ⑨ 다양한 주체의 연계 (제50조)
• "지역 농림수산물"은 ① 국내 지역에서 생산된 농림수산물(식용)을 생산한 지역에
서 소비(소비자에게 판매 및 식품가공 포함) ② 공급 부족의 경우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농림수산물을 소비
• 농림수산성 장관은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촉진에 관한 기본 방침을 수립하고, 지
자체는 기본 방침을 감안하여 촉진 계획을 결정
생산자와
소비자의
신뢰관계구축
지산지소추진계획
지산지소의추진
소비자요구의
파악과이의
생산현장활용
식과농에
대한이해
농업인소득의
다양화
○ 지역의 지산지소 관련 행동계획 수립을 촉진
○ 국가가 지역의 노력을 지원
일본 지자체의 지산지소 추진체계
일본 지자체의 지산지소 추진체계
- 나가노시 사례
국내 정책사례
• 로컬푸드 조례 제정
- 원주(09), 완주(11), 평택(11), 청송(11), 김제(11), 강진(11), 음
성(12), 아산(12), 옥천(진행중)
• 전담부서 설치
- 완주 농촌활력과 로컬푸드계, 전북 로컬푸드계, 충남 농정과 로컬
푸드팀, 아산(협의중)
• 거버넌스 기구
- 광역 로컬푸드정책협의회: 충북(12), 경북(12)
- 지역순환식품사업단(충남 3농혁신위원회 산하, 12)
국내 로컬푸드 활동/정책사례
• 농가직판
- 농민장터: 원주새벽시장, 서천마서동네장터, 천안목요장터, 대흥슬로시티장터
- 직판장: 완주 용진농협 로컬푸드직매장, 전주 효자동 로컬푸드 직매장 등
- 꾸러미: 언니네텃밭, 완주 건강한밥상, 공주 공생공소, 청양 칠갑산꾸러미 등
- 농가식당: 농진청 농가맛집, 예천 참우작목반 한우식당, 보령 마블로즈
• 학교급식
- 친환경 로컬푸드 식재료 공급사업: 함안, 사천, 남해, 청양, 천안, 경주 등
- 학교급식지원센터: 당진, 아산, 옥천 등
• 협력활성화
- 파주 장단콩 사용인증, 경주 팥의 황남빵 수매공급
- 대형마트, 백화점 판매코너: 이마트 로컬푸드 코너(대구, 광주), 갤러리아 천안특산물 코너(천안), 천안호
두과자점 입점(천안 롯데마트, 이마트)
• 공동체활동
- 두레농장(완주)/자활영농사업단, 도시텃밭
- 마을공동급식(조례: 홍성, 남해, 순천, 영암), 마을밥집
완주군 로컬푸드 정책사례
• 중소가족농, 고령농을 주체로 하는 기획생산체계 구축 노력
- 다품목 소량생산, 가공 활성화
자료: 나영삼(2012.11.9)
자료: 나영삼(2012.11.9)
정책
목표
조직화
대상
■ 지역 내 가족소농 (소농, 고령농, 여성농, 귀농)
- 0.5㏊미만농가3,412농가(1차)
※장기적으로1ha미만농가참여
※상업농과협력․보완관계
초기단계부터분리대응
목표 ■ 월 소득 1백만원 보장 (로컬푸드를 통한 소득증대 분) ※연평균소득1000만원기준
정책
수단
기획생산
체계구축
■ 로컬푸드 농식품 기획생산
- 150여 품목의 연중기획생산 - 작목반, 마을, 지역공동체
■ 농민가공 활성화
- 마을공동사업형 가공산업 육성 - 거점농민가공센터 설치
※품목단위 가족소농의 공동작업 통한 생
산 규모화 및 효율적 생산관리
※주체:농업회사법인,영농법인
※제1호거점농민가공센터(2012.6)
로컬푸드
소비시장
확대
■ 시장 확보 (관계, 공공)
- 건강밥상꾸러미/로컬푸드스테이션/전문매장/직거래장터/
공공조달/복지분야
※건강밥상꾸러미, 로컬푸드스테이션이 1
차 추진과제
통합물류
시스템구축
■ 공공형 통합물류체계 구축
- 로컬푸드 통합지원센터 ※완주-전주 공공급식센터로 활용
2012. 7 봉동읍 율소리 완공(1,980㎡)
추진
조직 정비
민간
■ 완주로컬푸드영농법인,‘건강한밥상’
■ 농업회사법인 (주)완주로컬푸드
2010. 5 발족/ 마을공동체중심
2012.5 발족/ 행정,농축협공동출자
행정 ■ 농촌활력과 내 로컬푸드 담당 2010. 8 농촌활력과 신설
제도 정비
관련 조례
제정
■ 완주군 로컬푸드육성및지원조례
■완주군 공동체활성화지원조례(마을공동체, 커뮤니티비즈니스)
2010.11
※ 로컬푸드직불금도입검토중
자료: 나영삼(2012.9.7)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1) 농가직판 활성화
• 농가 개별의 스토리와 산물의 속성이 그대로 소비자에게 커뮤니케
이션 될 수 있도록 판매: 6차산업화의 첫 단추(체험, 교육, 숙박, 식
당, 가공)
• 하지만 판매방식은 조직화: 공동판매를 위한 생산자 조직화 필요
• 지역 특성을 살린 다양한 품목과 농가수제 가공품, 음식이 제공되
어야 함: 작부체계의 변화, 가공활성화 노력 필요
• 판매방식은 다양화: 농민장터, 직판장(도로변, 마을, 관광지, 도시
내), 꾸러미, 농가식당
• 궁극적으로 농가마다 단골을 만들어내는 과정이자, 농가수취가격 2
배 증대 가능(40%=>80%)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2) 공동체활동 활성화
• 비농업인의 텃밭가꾸기 장려
- 도시농업
- 농사활동 통한 치유활동(청소년, 노인, 질환자 등): social farming (유럽연합의
핵심 농촌개발활동)
• 다양한 식생활교육
- 텃밭교육 + 요리교육 + 미각교육의 통합화
• 공동조리활동 장려
- 도시: 커뮤니티 키친
- 농촌: 마을공동급식
 도시민과 농민의 새로운 연대의식, 연결고리 찾기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3) 협력활동 활성화
• 다양한 농업 외 지역주체들과의 수평적 협력관계 모색
- 지역을 우선적으로 사고
- 모든 지역주체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축: 로컬푸드를 위해 모두가 노력
- 판매/소비주체와 농민 생산자와의 만남을 통한 의사소통 활성화: 정보교류,
의견교환
- 가공분야, 유통분야, 관광분야, 외식분야, 급식분야 주체들과의 우선적 협력
- 로컬푸드 협력식당/숙박시설/고속도로휴게소 등
- 학교급식/공공급식/시설급식/식품지원 등: 지자체의 솔선수범과 지침작성
=> 그간 서로 대화하지 않았던 생산-소비 주체 간의 소통 시작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4) 제도적 지원 활성화
• 로컬푸드의 생산-소비 진작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선행되어야 함
- 중간지원역할: 생산-소비 연결작업, 사업컨설팅, 다양한 행사 진
행(경남 로컬푸드의 날, 경남 먹거리 경진대회 등)
- 정보 수집 및 제공: 포털 홈페이지 구축
- 캠페인: 지역 차원의 분위기 진작과 소비진작 위한 활동
- 마케팅: 지역주민/방문객 대상 농특산물 마케팅 전략
- 교육: 생산-유통-소비주체 대상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진행
- 조직화: 로컬푸드 생산 및 직판의 조직화
- 거버넌스 구축: 민주적 의사결정 주체의 구축
로컬푸드 추진체계
• 조례 제정: 법적 근거 마련 => 경남도 로컬푸드 육성 및 지원조례 제정
• 계획 수립: 로컬푸드 활성화와 지원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 수립
=> 경남 로컬푸드 육성 중장기 계획
• 중간지원기구 설치: 생산-소비 정보교류 지원, 로컬푸드 사업 지원활동, 기초지자체 정책지
원 => 경남 광역 로컬푸드 지원센터
• 전담조직 설치: 행정쪽 전담부서 => 경남도 로컬푸드계/로컬푸드TF 신설
• 민간활동 지원 => 경남 로컬푸드 시민네트워크 조직화 및 지원(민간주체)
• 거버넌스 기구 창설 => 경남 로컬푸드정책협의회 창설(민관 거버넌스)
현재 학교급식 공급 상황
○ 개별 학교가 품목군별로 배송업체를 입찰로 선택한 후 물품을 공급받음
- 친환경 로컬푸드 실현 불가능: 그때그때 업체가 시장에서 구매해서 공급
- 지역적 합의를 개별 학교에 강제할 방법이 없음 : 학교에서 최종권한 보유
=> 지역 수준에서 궁극적으로 공동구매/공동식단 구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관건
○ 지역생산과 소비주체 간 미스매치 문제
- 지역생산자들은 지역 학교에 공급하고 싶지만, 현행 체계에서는 불가능함
- 지역 학교들은 지역산 식재료를 사용하고 싶지만,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함
○ 교육자치와 행정자치의 분리 문제
- 학교급식 관할: 교육청 소관
- 우수식재료 지원: 지자체 소관 (현재 급식지원센터 논의 역시 공급 중심적으로 진행)
24
학교급식의 개선 방안
○ 공급 차원
• 식재료의 신뢰성 제고: 지역+친환경+인증식재료 비율 증진
• 급식공급의 효율성 제고: 공동구매, 공동배송 증진
○ 수요 차원
• 지역 차원의 식단 협의 강화: 지역농업 연계(제철, 특산물), 전통음식 연계, 체험
연계(텃밭, 농촌)
• 식교육 강화 통한 잔반률 저감: 학교텃밭+농촌체험+미각교육+강의교육
○ 수요-공급 결합차원
• 공급자(농민/제조업자/공급업자)와 수요자(학생/학부모/영양교사) 간의 상호 교
류를 통한 관계개선 노력
=> 이 모두를 조율하기 위한 지역 학교급식지원센터의 필요성
25
학교급식지원센터의 필요성
○ 법적 기구(학교급식법)
○ 생산-소비간 코디네이팅 & 민관 거버넌스 기능
1) 지역생산과 소비간 코디네이팅을 통한 미스매치의 해소
2) 급식영역에서 교육자치와 행정자치의 통합적 운영
3) 생산자와 소비자(영양사, 학생, 학부모) 간의 조율 및 코디네이
팅 역할
4) 공급식재료에 대한 지역 수준의 품질기준 설정
5) 로컬푸드와 식교육의 통합적 실현 가능
6) 논의의 장(포럼) 역할
26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
○ 협의체 기능
• 학교급식 관련 지역의 의사를 결정하는 기구
• 공급자-수요자 간 관계촉진을 위한 매개자 역할: 다양한 주체들의 포럼, 교류의 장
○ 조달/구매 기능
• 지자체 현물지원 식재료의 선택
• 지역산 식재료 중장기 공급계획 수립
• 공산품 식재료의 공동구매 조정
○ 중간지원 기능
• 학교 식교육 지원: 프로그램 개발, 체험지 주선 등
직접 공급사업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생산-구매-공급-소비에 걸친
전과정을 조율, 감독하는 지역의 공적 기구
27
<당진센터 사례>
농협연합사업단
=센터위탁운영주체
=전품목 벤더
=배송자
<울산북구, 횡성센터 사례>
•센터=총괄관리자(수발주 포함)
=민관거버넌스 공공조직
•배송자=지역농협(창고/차량)
<현행 시스템>
개별 학교별 품목군별
벤더(공급업체) 입찰 공급
농산물 공급자
= 독점적 벤더
= 센터
센터 운영위원회
농민
작목
반
제조
업체
학
교
학
교
학
교
품목군
벤더
품목군
벤더
품목군
벤더
학교
학교
학교
학교급식 공급의 유형
센터
= 총괄관리자
센터 운영위원회
배송자
작목반
제조
업체
학교
학교
학교
품목군
벤더
28
이는 다양한 모델의 차원이 아니라, 센터의 개념과 위상에 관한 문제
- 센터는 공적 기구라는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함
- 운영위원회/센터/공급자/배송자 간 역할을 분리해야 함: 권력 집중 방지 가능
- 센터 모델의 다양성 여부는 배송자와 관련있음(시설신규/활용여부, 배송자 주체의 다양성: 농협/
민간생산자단체/기존공급업체)
- 신규시설 설치여부: 과연 값비싼 전처리시설이 우리지역에서 필요한지 충분한 토의 필요
- 광역학교급식지원센터의 필요성: 기초지자체 센터 설립 및 운영 지원업무
당진 모델 울산북구 모델
농협연합사업단=센터운영주체
=농산물 공급자=전품목 독점적 벤더=배송자
- 센터 운영주체에 권력이 집중되는 문제
- 고비용 구조(신규센터시설 설치, 농협인건비)
- 교육적 측면보다 사업적 측면 지향 강함
- 지역 친환경생산기반 확대보다 광역/전국조달
유인 강함(농협의 전국적 유통구조문제)
센터=총괄관리자(수발주 포함)로서 민
관거버넌스 공공조직 성격
배송자=지역농협(창고/차량)
- 역할 분담, 정보 실시간 공개
- 저비용 구조(배송자의 기존시설 활용)
- 교육적 측면의 지향이 강함
- 지역 친환경생산기반 확대-식교육 확대 동
시적 노력
29
국내 모범사례(무센터형)
○ 교육청 / 농업기술센터 / 지자체 / 농협 중 한 주체가 생산자
-소비자 간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
=> 지역 친환경생산자조직의 육성을 통한 친환경 로컬푸드의
점진적 실현
- 함안, 경주, 청양, 옥천, 합천 등의 사례: 지역 친환경생산자
조직이 30~60여 지역(친환경) 품목 공급
- 생산자-소비자 간 얼굴있는 관계의 강화 가능: 농민과 영양
교사 만족도 높음
- 저비용 구조: 초기투자비용 거의 없음
30
경주 사례
78개교 44개 품목 연중 공급(농산물, 계란, 건나물 등): 유기, 친환경, GAP, 지역우수
시설비: 500만원(중고 저온창고 임대)
농업기술센터 담당자가 학교급식지원센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사례
=> 제도적으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치할 경우 좀 더 완벽한 모델이 될 수 있는 경우임
31
일본 사례
○ 일본에는 기초지자체 수준에서 학교급식지원센터라는 거버넌스 조직 없음
- 대도시에만 광역(현)과 마찬가지로 시 학교급식회가 있음
- 기초지자체(시정촌)의 교육위원회가 급식과 식교육을 담당하고, 농업위원회가 지산
지소로 서포트함
1) 지역산 청과: 지역생산자 중심(가급적 소규모: 시정촌 단위)의 직판조직(직판장)이 공
급(가능한 것부터 점진적으로 확대)
2) 가공품 일부: 광역(현) 학교급식회가 품질기준 설정하여 지역산 재료로 위탁가공 후
공급(가공품 개발)
3) 그 외: 기존 구매선 활용(농협, 도매시장, 유통업체)
=> 1)과 2)의 비중을 점진적, 장기적으로 높여나가는 전략
=> 1)을 통해 지산지소와 식육을 통합적으로 구현하는 전략
32
시마네현 운난시 기스키정 사례
① 영양사가 식단 초안을 작성하고, 급식시행 전월 초순~중순에 결정
② 전월 말에 생산자그룹 임원, 시청 공무원, 학교급식센터(공동조리장) 소장, 영양사, 농림진흥센
터 직원들이 참석하는 회의를 개최, 각 지구별 소그룹에 출하 수량을 할당: 임원(지구 소그룹
간사)은 각 지구에 돌아가, 생산자별 생산현황을 감안하여 각 회원에게 수량 할당.
③ 출하예정일에 개별 회원이 학교급식센터에 직접 납품: 산간지역 생산자나 고령 생산자 등 자력
으로 배송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가족이 배송
④ 대금 결제는 학교급식센터(시정촌 합병 후 시)가 다음달에 개별 생산자에게 송금
33
요코하마시
학교급식회
사례
• 세분화된 품목군
별로 물품납품 등
록업체 관리
- 구역별 공동구매
시스템
- 배송은 업체들이
학교에 직접 담당
34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방안 1
○ 광역 및 시군 단위에서 학교급식지원센터(정책센터)를 선 설립
- 시급하게 광역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시군 단위에서 학교급식지원센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부여함
- 규모는 일본의 현 학교급식회(재단법인)나 서울 사례를 참조하여, 10명 내외가 적합함
-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는 서두를 필요가 없음: 무센터형 공급을 통한 생산자의 공급 연습과정 및 거버넌스
형성과정이 필요
- 시군 단위 학교급식지원센터가 설립되면, 이 때부터 지역 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 협의하여 공급방식과 공
급품목을 결정
<정책센터의 역할>
- 기초 센터 간의 정기적인 교류활동 시행(광역센터)
- 생산자-영양교사 간 정기적인 교류활동 시행(광역, 기초센터)
- 학교급식 주체간 정기적인 교류활동 시행(센터, 지자체, 교육청, 생산자, 영양교사, 학교, 학부모, 식재료공급
업체 등)(광역, 기초센터)
- 센터 대상으로 정기적인 평가 시행(광역센터): 기초 센터의 정보공개 전제
- 충남 학교급식 발전 중장기계획 수립(광역센터)
- 충남 외 전국 센터들과의 연대체계 구축: 정보교류, 물품구매/판매(광역센터)
35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방안 2
○ 시군별로 지역산 친환경 농산물 공급방식 결정
- 생산자와 소비자 간에 얼굴이 보일 수 있는 지역밀착화 전략의 점진적 시행에 적합한 조직을 선
정
- 물류시설은 기존 시설을 보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일부 신규로 설치
○ 기타 품목의 공급방식을 결정
- 기존 식재료 공급업체들과의 역할분담 문제를 협의를 통해 해소: 큰 틀에서는 이들을 배송자로
역할을 전환시킴
- 나머지 농산물의 경우에는 농협의 협조를 얻어 광역 및 전국단위로 공급
- 일부 축산물, 수산물, 공산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농협의 협조를 얻어 광역 및 전국단위로
공급
- 그 외에는 기존 식재료 공급업체들의 영역을 인정
=> 처음부터 전품목을 전제하지 않고, 지역에서 공급가능한 품목부터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는 방식
36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Nfc 화락당1
Nfc 화락당1Nfc 화락당1
Nfc 화락당1락당 화
 
농정예산구조와 정책방향
농정예산구조와 정책방향농정예산구조와 정책방향
농정예산구조와 정책방향
성훈 김
 
기업가정신과 지역특화산업
기업가정신과 지역특화산업기업가정신과 지역특화산업
기업가정신과 지역특화산업Yong-wook Shin
 
스마트클라우드쇼2012 8월 3일 도시농업에 빠지다
스마트클라우드쇼2012 8월 3일 도시농업에 빠지다스마트클라우드쇼2012 8월 3일 도시농업에 빠지다
스마트클라우드쇼2012 8월 3일 도시농업에 빠지다Seungyeob Yang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guestb2591a91
 
리워드광고의 특징과 시사점
리워드광고의 특징과 시사점리워드광고의 특징과 시사점
리워드광고의 특징과 시사점
Dan Kim
 
모바일 광고 개론
모바일 광고 개론모바일 광고 개론
모바일 광고 개론
Minwoo Park
 

Viewers also liked (8)

Nfc 화락당1
Nfc 화락당1Nfc 화락당1
Nfc 화락당1
 
농정예산구조와 정책방향
농정예산구조와 정책방향농정예산구조와 정책방향
농정예산구조와 정책방향
 
기업가정신과 지역특화산업
기업가정신과 지역특화산업기업가정신과 지역특화산업
기업가정신과 지역특화산업
 
발표Ppt
발표Ppt발표Ppt
발표Ppt
 
스마트클라우드쇼2012 8월 3일 도시농업에 빠지다
스마트클라우드쇼2012 8월 3일 도시농업에 빠지다스마트클라우드쇼2012 8월 3일 도시농업에 빠지다
스마트클라우드쇼2012 8월 3일 도시농업에 빠지다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리워드광고의 특징과 시사점
리워드광고의 특징과 시사점리워드광고의 특징과 시사점
리워드광고의 특징과 시사점
 
모바일 광고 개론
모바일 광고 개론모바일 광고 개론
모바일 광고 개론
 

Similar to 주제발표2 허남혁 경남 로컬푸드와 학교급식 활성화방안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seekly
 
완주군 정책 총괄
완주군 정책 총괄완주군 정책 총괄
완주군 정책 총괄seekly
 
둘러앉은밥상 달력 2013 같이 먹고 같이 잘살자 제안서
둘러앉은밥상 달력 2013 같이 먹고 같이 잘살자 제안서둘러앉은밥상 달력 2013 같이 먹고 같이 잘살자 제안서
둘러앉은밥상 달력 2013 같이 먹고 같이 잘살자 제안서
민성 한
 
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seekly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Wanju Community Business Center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Wanju Community Business Center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푸드스마일즈 우양
 
향부숙강의 완주군수
향부숙강의 완주군수향부숙강의 완주군수
향부숙강의 완주군수seekly
 
2013' 서울시 농부의 시장 _ 참여안내서
2013' 서울시 농부의 시장 _ 참여안내서2013' 서울시 농부의 시장 _ 참여안내서
2013' 서울시 농부의 시장 _ 참여안내서
쌈지농부 ssamzienongbu
 
둘러앉은밥상 도시와 농촌을 잇는 달력 제안서 한민성 016 709 6281
둘러앉은밥상 도시와 농촌을 잇는 달력 제안서 한민성 016 709 6281둘러앉은밥상 도시와 농촌을 잇는 달력 제안서 한민성 016 709 6281
둘러앉은밥상 도시와 농촌을 잇는 달력 제안서 한민성 016 709 6281
민성 한
 
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Community kitchen ii
마을형사회적기업 이장 임경수
마을형사회적기업 이장 임경수마을형사회적기업 이장 임경수
마을형사회적기업 이장 임경수Gori Communication
 
공생공소
공생공소공생공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사회적기업가포럼]오요리 한영미 대표
[사회적기업가포럼]오요리 한영미 대표[사회적기업가포럼]오요리 한영미 대표
[사회적기업가포럼]오요리 한영미 대표
Hwajun Song
 
Kimpo
KimpoKimpo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
 
5분임
5분임5분임

Similar to 주제발표2 허남혁 경남 로컬푸드와 학교급식 활성화방안 (20)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완주군 정책 총괄
완주군 정책 총괄완주군 정책 총괄
완주군 정책 총괄
 
둘러앉은밥상 달력 2013 같이 먹고 같이 잘살자 제안서
둘러앉은밥상 달력 2013 같이 먹고 같이 잘살자 제안서둘러앉은밥상 달력 2013 같이 먹고 같이 잘살자 제안서
둘러앉은밥상 달력 2013 같이 먹고 같이 잘살자 제안서
 
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향부숙강의 완주군수
향부숙강의 완주군수향부숙강의 완주군수
향부숙강의 완주군수
 
2013' 서울시 농부의 시장 _ 참여안내서
2013' 서울시 농부의 시장 _ 참여안내서2013' 서울시 농부의 시장 _ 참여안내서
2013' 서울시 농부의 시장 _ 참여안내서
 
둘러앉은밥상 도시와 농촌을 잇는 달력 제안서 한민성 016 709 6281
둘러앉은밥상 도시와 농촌을 잇는 달력 제안서 한민성 016 709 6281둘러앉은밥상 도시와 농촌을 잇는 달력 제안서 한민성 016 709 6281
둘러앉은밥상 도시와 농촌을 잇는 달력 제안서 한민성 016 709 6281
 
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
 
3팀
3팀3팀
3팀
 
Techundercase 2
Techundercase 2Techundercase 2
Techundercase 2
 
마을형사회적기업 이장 임경수
마을형사회적기업 이장 임경수마을형사회적기업 이장 임경수
마을형사회적기업 이장 임경수
 
공생공소
공생공소공생공소
공생공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사회적기업가포럼]오요리 한영미 대표
[사회적기업가포럼]오요리 한영미 대표[사회적기업가포럼]오요리 한영미 대표
[사회적기업가포럼]오요리 한영미 대표
 
Kimpo
KimpoKimpo
Kimpo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5분임
5분임5분임
5분임
 

More from 호석 진호석

대관신청 메뉴얼
대관신청 메뉴얼대관신청 메뉴얼
대관신청 메뉴얼
호석 진호석
 
ChanS up2 CAMP; CHANge up & Start up 연합창업캠프배포용
ChanS up2 CAMP; CHANge up & Start up 연합창업캠프배포용ChanS up2 CAMP; CHANge up & Start up 연합창업캠프배포용
ChanS up2 CAMP; CHANge up & Start up 연합창업캠프배포용
호석 진호석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15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15[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15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15
호석 진호석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30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30[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30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30
호석 진호석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23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23[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23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23
호석 진호석
 
법무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
법무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법무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
법무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
호석 진호석
 
스마트하게 일하자 _스마트체계도
스마트하게 일하자 _스마트체계도스마트하게 일하자 _스마트체계도
스마트하게 일하자 _스마트체계도호석 진호석
 
Ganfan
GanfanGanfan
[9.23] 베가스 교육
[9.23] 베가스 교육[9.23] 베가스 교육
[9.23] 베가스 교육
호석 진호석
 
2013.9.9 GTEP 7기 온라인 프로필 관리하기 교육
2013.9.9 GTEP 7기 온라인 프로필 관리하기 교육2013.9.9 GTEP 7기 온라인 프로필 관리하기 교육
2013.9.9 GTEP 7기 온라인 프로필 관리하기 교육
호석 진호석
 
에버노트 자기관리 완성하기
에버노트 자기관리 완성하기에버노트 자기관리 완성하기
에버노트 자기관리 완성하기
호석 진호석
 
주제발표1 - 안전하고 행복한 친환경급식 실현
주제발표1 - 안전하고 행복한 친환경급식 실현주제발표1 - 안전하고 행복한 친환경급식 실현
주제발표1 - 안전하고 행복한 친환경급식 실현
호석 진호석
 
에버노트 기초 12.09.14
에버노트 기초 12.09.14에버노트 기초 12.09.14
에버노트 기초 12.09.14호석 진호석
 
전통시장활성화와 사회적기업
전통시장활성화와 사회적기업전통시장활성화와 사회적기업
전통시장활성화와 사회적기업호석 진호석
 
온양온천시장사례(2012. 2. 23.)
온양온천시장사례(2012. 2. 23.)온양온천시장사례(2012. 2. 23.)
온양온천시장사례(2012. 2. 23.)호석 진호석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호석 진호석
 

More from 호석 진호석 (19)

대관신청 메뉴얼
대관신청 메뉴얼대관신청 메뉴얼
대관신청 메뉴얼
 
ChanS up2 CAMP; CHANge up & Start up 연합창업캠프배포용
ChanS up2 CAMP; CHANge up & Start up 연합창업캠프배포용ChanS up2 CAMP; CHANge up & Start up 연합창업캠프배포용
ChanS up2 CAMP; CHANge up & Start up 연합창업캠프배포용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15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15[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15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15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30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30[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30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30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23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23[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23
[대구SNS마케팅] 카카오스토리 11.23
 
법무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
법무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법무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
법무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
 
Newwave
NewwaveNewwave
Newwave
 
스마트하게 일하자 _스마트체계도
스마트하게 일하자 _스마트체계도스마트하게 일하자 _스마트체계도
스마트하게 일하자 _스마트체계도
 
Ganfan
GanfanGanfan
Ganfan
 
[9.23] 베가스 교육
[9.23] 베가스 교육[9.23] 베가스 교육
[9.23] 베가스 교육
 
2013.9.9 GTEP 7기 온라인 프로필 관리하기 교육
2013.9.9 GTEP 7기 온라인 프로필 관리하기 교육2013.9.9 GTEP 7기 온라인 프로필 관리하기 교육
2013.9.9 GTEP 7기 온라인 프로필 관리하기 교육
 
에버노트 자기관리 완성하기
에버노트 자기관리 완성하기에버노트 자기관리 완성하기
에버노트 자기관리 완성하기
 
주제발표1 - 안전하고 행복한 친환경급식 실현
주제발표1 - 안전하고 행복한 친환경급식 실현주제발표1 - 안전하고 행복한 친환경급식 실현
주제발표1 - 안전하고 행복한 친환경급식 실현
 
체인지온@Gntech
체인지온@Gntech체인지온@Gntech
체인지온@Gntech
 
에버노트 기초 12.09.14
에버노트 기초 12.09.14에버노트 기초 12.09.14
에버노트 기초 12.09.14
 
E2festa[final]
E2festa[final]E2festa[final]
E2festa[final]
 
전통시장활성화와 사회적기업
전통시장활성화와 사회적기업전통시장활성화와 사회적기업
전통시장활성화와 사회적기업
 
온양온천시장사례(2012. 2. 23.)
온양온천시장사례(2012. 2. 23.)온양온천시장사례(2012. 2. 23.)
온양온천시장사례(2012. 2. 23.)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주제발표2 허남혁 경남 로컬푸드와 학교급식 활성화방안

  • 1. 경남 로컬푸드와 학교급식 활성화 방안 허남혁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 2. 문제의식: 소비 측면 • 관광지 - 관광객들에게 직접 판매하고 있는가? : 신선농산물, 가공품, 특산물, 음식(식당) • 학교급식/공공급식 - 관내 학생/기관들에게 우리지역 농산물을 공급하고 있는가? • 지역주민 - 시내 시민들에게 우리지역 농산물/가공품을 공급하 고 있는가?
  • 3. 문제의식: 농민생산 측면 • 생산하는 농산물을 과연 제값 받고 팔고 있는가? • 가공을 통해 부가가치를 수취하고 있는가, 농산 물 원료 상태로만 판매하고 있는가? • 상급 농산물만 판매하고, 나머지는 버리고 있는 가? • 농업생산활동에 대한 보람과 자부심, 소비자에 대한 배려를 과연 유지하고 있는가?
  • 4. 농가경제의 다각화와 로컬푸드 • 직판을 기점으로 가공, 식당, 관광, 체험/교육 등 다양한 활동의 복합 화 가능 - 농업생산주체를 중심으로 식품공급사슬을 재편하려는 노력: 자가 생산물의 현장 직접유통/가공/조리/판매활동 강화 - 선진국 농정은 이를 장려하는 추세(농업생산정책=>농촌개발정책) - 일본 농가의 12%가 직판장에 참여 - 중소 가족농들의 새로운 소득영역으로 정책적 지원 및 개척: 규 모화 방식이 아니라, 소비자와의 관계 차원에서의 새로운 접근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서야 6차산업화에 관심 -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가직판을 중심으로 하는 로컬푸드 정책은 부재
  • 5. 경남 농식품의 지역순환 현황 (1) - 농가직판/직거래 참여농가 비율 2005 2010 울산 12.20% 18.04% 인천 10.01% 17.69% 대구 12.85% 16.41% 부산 28.27% 14.89% 서울 6.81% 14.12% 강원 8.15% 13.91% 대전 10.21% 12.79% 경기 8.95% 12.65% 충북 8.47% 12.34% 전북 7.14% 10.68% 전국평균 6.94% 9.75% 경남 4.57% 9.03% 광주 1.09% 8.56% 경북 6.62% 7.92% 전남 6.90% 7.79% 충남 5.36% 7.17% 제주 2.32% 4.41% 농가직판/직거래 참여농가 비 율 (농림어업총조사) 2010년 경남 11위 (전국평균, 강원, 경기, 충북, 전북보다 낮 음) - 양산, 하동, 산청이 상위 향후 6차산업화를 통한 농 촌활성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 한 지표 (일본, 유럽 등 선진국 사례) (전국 1위 가평군 39.5%) 2010 양산시 18.0% 하동군 13.8% 산청군 12.7% 밀양시 11.6% 함양군 10.3% 김해시 10.1% 창녕군 10.0% 거창군 9.5% 사천시 8.0% 함안군 7.8% 거제시 6.8% 합천군 5.3% 남해군 5.1% 고성군 4.0% 의령군 3.7%
  • 6. 경남 농식품의 지역순환 현황 (2) - 농가가공 참여농가 비율 농가가공 참여농가 비율 (농림어업총조사) 2005년 경남 3위 => 2010년 경남 2위 - 하지만 여전히 절대수치는 미미한 실정 경남도내 - 상위: 산청, 함안, 함양, 하동 향후 농가직판 활성화와 동반적으로 활성화되어야 농가소득 증대가 가능해지 는 영역임 * 가공: 1위 괴산군 7.3% 식당: 1위 기장군 3.7% 관광: 3위 태안군 3.7% 2005 2010 서울 1.3 0.6 충북 0.9 1.7 경남 0.7 1.1 경북 0.4 0.8 강원 0.5 0.7 전국평균 0.5 0.7 대구 0.2 0.6 인천 0.2 0.6 전북 0.6 0.6 전남 0.5 0.6 부산 0.5 0.5 경기 0.4 0.5 충남 0.4 0.5 대전 0.4 0.3 광주 0.2 0.2 울산 3 0.2 제주 0.1 0.2 2010 산청군 5.3% 함안군 3.7% 함양군 2.7% 하동군 1.9% 양산시 1.1% 사천시 0.8% 남해군 0.5% 거제시 0.4% 창녕군 0.4% 거창군 0.4% 고성군 0.2% 합천군 0.3% 김해시 0.2% 밀양시 0.2% 의령군 0.2%
  • 7. 로컬푸드 개념 •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가깝게 생산-소비하는 먹거리 - 물리적 거리 / 심리적 거리감 • 지역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생산하고 소비 하는 먹거리 • 농민이 생산한 현장에서 소비자를 마주보면서 판 매(직판)하는 먹거리
  • 10. 해외 정책사례 • 미국 농무부(USDA)의 Know Your Farmer, Know Your Food(2009) • 프랑스 농림식품부의 circuits courts(short chain) 증진정 책(2009) • 일본 농림수산성의 지산지소(地産地消) 추진정책(6차산업 화법, 2010) • 네덜란드 농림부의 다기능적 농업(MFA) 육성과 로컬푸드 정책(2008) • 영국의 로컬푸드 중간지원기관(Making Local Food Work)
  • 11. 일본의 지산지소 정책 (2010 법률)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시책 ①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촉진에 필요한 기반 정비 (제42조) ② 직판장 등을 이용한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촉진 (제43조) ③ 학교급식 등의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촉진 (제44조) ④ 지역 수요에 대응한 농림수산물의 안정적 공급 확보 (제45조) ⑤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추진을 통한 식교육 추진 (제46조) ⑥ 인재 육성 (제47조) ⑦ 국민의 이해와 관심 증진 (제48조) ⑧ 조사 연구 실시 (제49조) ⑨ 다양한 주체의 연계 (제50조) • "지역 농림수산물"은 ① 국내 지역에서 생산된 농림수산물(식용)을 생산한 지역에 서 소비(소비자에게 판매 및 식품가공 포함) ② 공급 부족의 경우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농림수산물을 소비 • 농림수산성 장관은 지역 농림수산물 이용 촉진에 관한 기본 방침을 수립하고, 지 자체는 기본 방침을 감안하여 촉진 계획을 결정
  • 13. 일본 지자체의 지산지소 추진체계 - 나가노시 사례
  • 14. 국내 정책사례 • 로컬푸드 조례 제정 - 원주(09), 완주(11), 평택(11), 청송(11), 김제(11), 강진(11), 음 성(12), 아산(12), 옥천(진행중) • 전담부서 설치 - 완주 농촌활력과 로컬푸드계, 전북 로컬푸드계, 충남 농정과 로컬 푸드팀, 아산(협의중) • 거버넌스 기구 - 광역 로컬푸드정책협의회: 충북(12), 경북(12) - 지역순환식품사업단(충남 3농혁신위원회 산하, 12)
  • 15. 국내 로컬푸드 활동/정책사례 • 농가직판 - 농민장터: 원주새벽시장, 서천마서동네장터, 천안목요장터, 대흥슬로시티장터 - 직판장: 완주 용진농협 로컬푸드직매장, 전주 효자동 로컬푸드 직매장 등 - 꾸러미: 언니네텃밭, 완주 건강한밥상, 공주 공생공소, 청양 칠갑산꾸러미 등 - 농가식당: 농진청 농가맛집, 예천 참우작목반 한우식당, 보령 마블로즈 • 학교급식 - 친환경 로컬푸드 식재료 공급사업: 함안, 사천, 남해, 청양, 천안, 경주 등 - 학교급식지원센터: 당진, 아산, 옥천 등 • 협력활성화 - 파주 장단콩 사용인증, 경주 팥의 황남빵 수매공급 - 대형마트, 백화점 판매코너: 이마트 로컬푸드 코너(대구, 광주), 갤러리아 천안특산물 코너(천안), 천안호 두과자점 입점(천안 롯데마트, 이마트) • 공동체활동 - 두레농장(완주)/자활영농사업단, 도시텃밭 - 마을공동급식(조례: 홍성, 남해, 순천, 영암), 마을밥집
  • 16. 완주군 로컬푸드 정책사례 • 중소가족농, 고령농을 주체로 하는 기획생산체계 구축 노력 - 다품목 소량생산, 가공 활성화 자료: 나영삼(2012.11.9)
  • 17. 자료: 나영삼(2012.11.9) 정책 목표 조직화 대상 ■ 지역 내 가족소농 (소농, 고령농, 여성농, 귀농) - 0.5㏊미만농가3,412농가(1차) ※장기적으로1ha미만농가참여 ※상업농과협력․보완관계 초기단계부터분리대응 목표 ■ 월 소득 1백만원 보장 (로컬푸드를 통한 소득증대 분) ※연평균소득1000만원기준 정책 수단 기획생산 체계구축 ■ 로컬푸드 농식품 기획생산 - 150여 품목의 연중기획생산 - 작목반, 마을, 지역공동체 ■ 농민가공 활성화 - 마을공동사업형 가공산업 육성 - 거점농민가공센터 설치 ※품목단위 가족소농의 공동작업 통한 생 산 규모화 및 효율적 생산관리 ※주체:농업회사법인,영농법인 ※제1호거점농민가공센터(2012.6) 로컬푸드 소비시장 확대 ■ 시장 확보 (관계, 공공) - 건강밥상꾸러미/로컬푸드스테이션/전문매장/직거래장터/ 공공조달/복지분야 ※건강밥상꾸러미, 로컬푸드스테이션이 1 차 추진과제 통합물류 시스템구축 ■ 공공형 통합물류체계 구축 - 로컬푸드 통합지원센터 ※완주-전주 공공급식센터로 활용 2012. 7 봉동읍 율소리 완공(1,980㎡) 추진 조직 정비 민간 ■ 완주로컬푸드영농법인,‘건강한밥상’ ■ 농업회사법인 (주)완주로컬푸드 2010. 5 발족/ 마을공동체중심 2012.5 발족/ 행정,농축협공동출자 행정 ■ 농촌활력과 내 로컬푸드 담당 2010. 8 농촌활력과 신설 제도 정비 관련 조례 제정 ■ 완주군 로컬푸드육성및지원조례 ■완주군 공동체활성화지원조례(마을공동체, 커뮤니티비즈니스) 2010.11 ※ 로컬푸드직불금도입검토중
  • 19.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1) 농가직판 활성화 • 농가 개별의 스토리와 산물의 속성이 그대로 소비자에게 커뮤니케 이션 될 수 있도록 판매: 6차산업화의 첫 단추(체험, 교육, 숙박, 식 당, 가공) • 하지만 판매방식은 조직화: 공동판매를 위한 생산자 조직화 필요 • 지역 특성을 살린 다양한 품목과 농가수제 가공품, 음식이 제공되 어야 함: 작부체계의 변화, 가공활성화 노력 필요 • 판매방식은 다양화: 농민장터, 직판장(도로변, 마을, 관광지, 도시 내), 꾸러미, 농가식당 • 궁극적으로 농가마다 단골을 만들어내는 과정이자, 농가수취가격 2 배 증대 가능(40%=>80%)
  • 20.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2) 공동체활동 활성화 • 비농업인의 텃밭가꾸기 장려 - 도시농업 - 농사활동 통한 치유활동(청소년, 노인, 질환자 등): social farming (유럽연합의 핵심 농촌개발활동) • 다양한 식생활교육 - 텃밭교육 + 요리교육 + 미각교육의 통합화 • 공동조리활동 장려 - 도시: 커뮤니티 키친 - 농촌: 마을공동급식  도시민과 농민의 새로운 연대의식, 연결고리 찾기
  • 21.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3) 협력활동 활성화 • 다양한 농업 외 지역주체들과의 수평적 협력관계 모색 - 지역을 우선적으로 사고 - 모든 지역주체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축: 로컬푸드를 위해 모두가 노력 - 판매/소비주체와 농민 생산자와의 만남을 통한 의사소통 활성화: 정보교류, 의견교환 - 가공분야, 유통분야, 관광분야, 외식분야, 급식분야 주체들과의 우선적 협력 - 로컬푸드 협력식당/숙박시설/고속도로휴게소 등 - 학교급식/공공급식/시설급식/식품지원 등: 지자체의 솔선수범과 지침작성 => 그간 서로 대화하지 않았던 생산-소비 주체 간의 소통 시작
  • 22.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4) 제도적 지원 활성화 • 로컬푸드의 생산-소비 진작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선행되어야 함 - 중간지원역할: 생산-소비 연결작업, 사업컨설팅, 다양한 행사 진 행(경남 로컬푸드의 날, 경남 먹거리 경진대회 등) - 정보 수집 및 제공: 포털 홈페이지 구축 - 캠페인: 지역 차원의 분위기 진작과 소비진작 위한 활동 - 마케팅: 지역주민/방문객 대상 농특산물 마케팅 전략 - 교육: 생산-유통-소비주체 대상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진행 - 조직화: 로컬푸드 생산 및 직판의 조직화 - 거버넌스 구축: 민주적 의사결정 주체의 구축
  • 23. 로컬푸드 추진체계 • 조례 제정: 법적 근거 마련 => 경남도 로컬푸드 육성 및 지원조례 제정 • 계획 수립: 로컬푸드 활성화와 지원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 수립 => 경남 로컬푸드 육성 중장기 계획 • 중간지원기구 설치: 생산-소비 정보교류 지원, 로컬푸드 사업 지원활동, 기초지자체 정책지 원 => 경남 광역 로컬푸드 지원센터 • 전담조직 설치: 행정쪽 전담부서 => 경남도 로컬푸드계/로컬푸드TF 신설 • 민간활동 지원 => 경남 로컬푸드 시민네트워크 조직화 및 지원(민간주체) • 거버넌스 기구 창설 => 경남 로컬푸드정책협의회 창설(민관 거버넌스)
  • 24. 현재 학교급식 공급 상황 ○ 개별 학교가 품목군별로 배송업체를 입찰로 선택한 후 물품을 공급받음 - 친환경 로컬푸드 실현 불가능: 그때그때 업체가 시장에서 구매해서 공급 - 지역적 합의를 개별 학교에 강제할 방법이 없음 : 학교에서 최종권한 보유 => 지역 수준에서 궁극적으로 공동구매/공동식단 구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관건 ○ 지역생산과 소비주체 간 미스매치 문제 - 지역생산자들은 지역 학교에 공급하고 싶지만, 현행 체계에서는 불가능함 - 지역 학교들은 지역산 식재료를 사용하고 싶지만,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함 ○ 교육자치와 행정자치의 분리 문제 - 학교급식 관할: 교육청 소관 - 우수식재료 지원: 지자체 소관 (현재 급식지원센터 논의 역시 공급 중심적으로 진행) 24
  • 25. 학교급식의 개선 방안 ○ 공급 차원 • 식재료의 신뢰성 제고: 지역+친환경+인증식재료 비율 증진 • 급식공급의 효율성 제고: 공동구매, 공동배송 증진 ○ 수요 차원 • 지역 차원의 식단 협의 강화: 지역농업 연계(제철, 특산물), 전통음식 연계, 체험 연계(텃밭, 농촌) • 식교육 강화 통한 잔반률 저감: 학교텃밭+농촌체험+미각교육+강의교육 ○ 수요-공급 결합차원 • 공급자(농민/제조업자/공급업자)와 수요자(학생/학부모/영양교사) 간의 상호 교 류를 통한 관계개선 노력 => 이 모두를 조율하기 위한 지역 학교급식지원센터의 필요성 25
  • 26. 학교급식지원센터의 필요성 ○ 법적 기구(학교급식법) ○ 생산-소비간 코디네이팅 & 민관 거버넌스 기능 1) 지역생산과 소비간 코디네이팅을 통한 미스매치의 해소 2) 급식영역에서 교육자치와 행정자치의 통합적 운영 3) 생산자와 소비자(영양사, 학생, 학부모) 간의 조율 및 코디네이 팅 역할 4) 공급식재료에 대한 지역 수준의 품질기준 설정 5) 로컬푸드와 식교육의 통합적 실현 가능 6) 논의의 장(포럼) 역할 26
  • 27.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 ○ 협의체 기능 • 학교급식 관련 지역의 의사를 결정하는 기구 • 공급자-수요자 간 관계촉진을 위한 매개자 역할: 다양한 주체들의 포럼, 교류의 장 ○ 조달/구매 기능 • 지자체 현물지원 식재료의 선택 • 지역산 식재료 중장기 공급계획 수립 • 공산품 식재료의 공동구매 조정 ○ 중간지원 기능 • 학교 식교육 지원: 프로그램 개발, 체험지 주선 등 직접 공급사업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생산-구매-공급-소비에 걸친 전과정을 조율, 감독하는 지역의 공적 기구 27
  • 28. <당진센터 사례> 농협연합사업단 =센터위탁운영주체 =전품목 벤더 =배송자 <울산북구, 횡성센터 사례> •센터=총괄관리자(수발주 포함) =민관거버넌스 공공조직 •배송자=지역농협(창고/차량) <현행 시스템> 개별 학교별 품목군별 벤더(공급업체) 입찰 공급 농산물 공급자 = 독점적 벤더 = 센터 센터 운영위원회 농민 작목 반 제조 업체 학 교 학 교 학 교 품목군 벤더 품목군 벤더 품목군 벤더 학교 학교 학교 학교급식 공급의 유형 센터 = 총괄관리자 센터 운영위원회 배송자 작목반 제조 업체 학교 학교 학교 품목군 벤더 28
  • 29. 이는 다양한 모델의 차원이 아니라, 센터의 개념과 위상에 관한 문제 - 센터는 공적 기구라는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함 - 운영위원회/센터/공급자/배송자 간 역할을 분리해야 함: 권력 집중 방지 가능 - 센터 모델의 다양성 여부는 배송자와 관련있음(시설신규/활용여부, 배송자 주체의 다양성: 농협/ 민간생산자단체/기존공급업체) - 신규시설 설치여부: 과연 값비싼 전처리시설이 우리지역에서 필요한지 충분한 토의 필요 - 광역학교급식지원센터의 필요성: 기초지자체 센터 설립 및 운영 지원업무 당진 모델 울산북구 모델 농협연합사업단=센터운영주체 =농산물 공급자=전품목 독점적 벤더=배송자 - 센터 운영주체에 권력이 집중되는 문제 - 고비용 구조(신규센터시설 설치, 농협인건비) - 교육적 측면보다 사업적 측면 지향 강함 - 지역 친환경생산기반 확대보다 광역/전국조달 유인 강함(농협의 전국적 유통구조문제) 센터=총괄관리자(수발주 포함)로서 민 관거버넌스 공공조직 성격 배송자=지역농협(창고/차량) - 역할 분담, 정보 실시간 공개 - 저비용 구조(배송자의 기존시설 활용) - 교육적 측면의 지향이 강함 - 지역 친환경생산기반 확대-식교육 확대 동 시적 노력 29
  • 30. 국내 모범사례(무센터형) ○ 교육청 / 농업기술센터 / 지자체 / 농협 중 한 주체가 생산자 -소비자 간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 => 지역 친환경생산자조직의 육성을 통한 친환경 로컬푸드의 점진적 실현 - 함안, 경주, 청양, 옥천, 합천 등의 사례: 지역 친환경생산자 조직이 30~60여 지역(친환경) 품목 공급 - 생산자-소비자 간 얼굴있는 관계의 강화 가능: 농민과 영양 교사 만족도 높음 - 저비용 구조: 초기투자비용 거의 없음 30
  • 31. 경주 사례 78개교 44개 품목 연중 공급(농산물, 계란, 건나물 등): 유기, 친환경, GAP, 지역우수 시설비: 500만원(중고 저온창고 임대) 농업기술센터 담당자가 학교급식지원센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사례 => 제도적으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치할 경우 좀 더 완벽한 모델이 될 수 있는 경우임 31
  • 32. 일본 사례 ○ 일본에는 기초지자체 수준에서 학교급식지원센터라는 거버넌스 조직 없음 - 대도시에만 광역(현)과 마찬가지로 시 학교급식회가 있음 - 기초지자체(시정촌)의 교육위원회가 급식과 식교육을 담당하고, 농업위원회가 지산 지소로 서포트함 1) 지역산 청과: 지역생산자 중심(가급적 소규모: 시정촌 단위)의 직판조직(직판장)이 공 급(가능한 것부터 점진적으로 확대) 2) 가공품 일부: 광역(현) 학교급식회가 품질기준 설정하여 지역산 재료로 위탁가공 후 공급(가공품 개발) 3) 그 외: 기존 구매선 활용(농협, 도매시장, 유통업체) => 1)과 2)의 비중을 점진적, 장기적으로 높여나가는 전략 => 1)을 통해 지산지소와 식육을 통합적으로 구현하는 전략 32
  • 33. 시마네현 운난시 기스키정 사례 ① 영양사가 식단 초안을 작성하고, 급식시행 전월 초순~중순에 결정 ② 전월 말에 생산자그룹 임원, 시청 공무원, 학교급식센터(공동조리장) 소장, 영양사, 농림진흥센 터 직원들이 참석하는 회의를 개최, 각 지구별 소그룹에 출하 수량을 할당: 임원(지구 소그룹 간사)은 각 지구에 돌아가, 생산자별 생산현황을 감안하여 각 회원에게 수량 할당. ③ 출하예정일에 개별 회원이 학교급식센터에 직접 납품: 산간지역 생산자나 고령 생산자 등 자력 으로 배송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가족이 배송 ④ 대금 결제는 학교급식센터(시정촌 합병 후 시)가 다음달에 개별 생산자에게 송금 33
  • 34. 요코하마시 학교급식회 사례 • 세분화된 품목군 별로 물품납품 등 록업체 관리 - 구역별 공동구매 시스템 - 배송은 업체들이 학교에 직접 담당 34
  • 35.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방안 1 ○ 광역 및 시군 단위에서 학교급식지원센터(정책센터)를 선 설립 - 시급하게 광역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시군 단위에서 학교급식지원센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부여함 - 규모는 일본의 현 학교급식회(재단법인)나 서울 사례를 참조하여, 10명 내외가 적합함 -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는 서두를 필요가 없음: 무센터형 공급을 통한 생산자의 공급 연습과정 및 거버넌스 형성과정이 필요 - 시군 단위 학교급식지원센터가 설립되면, 이 때부터 지역 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 협의하여 공급방식과 공 급품목을 결정 <정책센터의 역할> - 기초 센터 간의 정기적인 교류활동 시행(광역센터) - 생산자-영양교사 간 정기적인 교류활동 시행(광역, 기초센터) - 학교급식 주체간 정기적인 교류활동 시행(센터, 지자체, 교육청, 생산자, 영양교사, 학교, 학부모, 식재료공급 업체 등)(광역, 기초센터) - 센터 대상으로 정기적인 평가 시행(광역센터): 기초 센터의 정보공개 전제 - 충남 학교급식 발전 중장기계획 수립(광역센터) - 충남 외 전국 센터들과의 연대체계 구축: 정보교류, 물품구매/판매(광역센터) 35
  • 36.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방안 2 ○ 시군별로 지역산 친환경 농산물 공급방식 결정 - 생산자와 소비자 간에 얼굴이 보일 수 있는 지역밀착화 전략의 점진적 시행에 적합한 조직을 선 정 - 물류시설은 기존 시설을 보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일부 신규로 설치 ○ 기타 품목의 공급방식을 결정 - 기존 식재료 공급업체들과의 역할분담 문제를 협의를 통해 해소: 큰 틀에서는 이들을 배송자로 역할을 전환시킴 - 나머지 농산물의 경우에는 농협의 협조를 얻어 광역 및 전국단위로 공급 - 일부 축산물, 수산물, 공산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농협의 협조를 얻어 광역 및 전국단위로 공급 - 그 외에는 기존 식재료 공급업체들의 영역을 인정 => 처음부터 전품목을 전제하지 않고, 지역에서 공급가능한 품목부터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는 방식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