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9 . 5. 18.
김상호
dearsangho@kaist.ac.kr
Moon Soul Graduate School of Future Strategy
Master of Science Journalism
KAIST
블록체인 환경에서 미디어의 미래전략연구
- 집중과 분산을 넘어 자기 조직화로 -
Contents
문제제기1
기존문헌검토2
연구문제3
연구결과 및 향후 과제4
문제 제기
 소셜미디어와 블록체인 미디어
 중앙집중적 구조 속에 대중은 집단적 소비자로 통제
 유니콘을 중심으로 소셜미디어는 새로운 독과점 형성
 블록체인 미디어의 등장으로 새로운 가능성 모색
 탈중앙화된 미디어와 과제
 플랫폼 사업자 역할의 패러다임 전환
 블록체인미디어(스티밋, 시빌)의 지향점과 한계
 탈중앙화 구현을 위한 방향성(자기조직화)
 엣지와 전체가 협력하는 혼론 구조의 복잡 적응계
 네트워크 효과, 지능화 -> 자기조직화 창발
 연결성과 기업가 정신이 뒷받침된 자기 조직화 미디어
기존문헌 검토
 블록체인의 개념과 DAO
 분산원장 기술을 통해 거래의 투명성, 탈중앙화, 탈중개화 구현
 강력한 보안성, 투명성, 콘텐츠에 대한 보상->전통 미디어의 난제 해결 기대
 탈중개화는 콘텐츠 유통의 왜곡 방지-> 창작자: 공정한 분배/ 사업자: 안정적 이윤
 생산자의 수익성 개선을 넘어 콘텐츠 산업의 안정적 생태계 구축
 DAO: 거버넌스와 운영이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조직
- 4가지 구성요소: 무가야(Mougayar, 2017)
조직분권화-조직운영을 위해 소수에게 집중됐던 권력을 구성원들과 공유
동등계층생산-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이 협업해 부가가치 생산
규제완화 및 언번들링-특정 노드에 배정된 기능을 네트워크로 확장, 기능과 권한 연계
암호기반신뢰와 합의-자율에이전트, 스마트프로그램 등을 통해 과업 수행
 DAO는 최선이 아닌 차선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는 있어도 부패할 수 없는 구조
기존문헌 검토
 자기조직화의 개념
 복잡한 사회현상도 실제로는 반복되는 단순성에 기초(Gleick, 1987)
 무한복제되는 디지털 콘텐츠->각 구성원은 홀론화된 독립적 네트워크의 중심축
 웹2.0시대도래로 연결이 강화되는 네트워크 구조로 진화
->수직적 통제없이 세상을 바꾸는 가치생산, 혼돈 속 질서 탄생(Eric S. Raymond, 1999)
 자기조직적 거버넌스 : 거버넌스에 복잡계 이론의 자기조직화 개념을 적용
->설계된 구조와 창발적 구조가 결합하는 혼합형태(hybrid)
 자기조직화는 완전분산의 민주성과 독점의 효율성을 동시에 갖고 있음.
 독점: 효율적, 순응비용 과다, 불안정 완전분산: 의사결정과 조직화 비용이 과다
-> 이 극단적 두 지점, 효율과 혁신의 최적점에 자기조직화 조직이 자리함
 거버넌스 패러독스: 의사결정과 집행 사이의 갈등. 의사결정은 소수에 집중될수록
효율적이지만 그것의 집행은 다수에게 분산될수록 효과적인 특성.
블록체인으로 대리인문제를 해결 가능하게 되면서 거버넌스 패러독스를 극복 가능
 자기조직화는 분산과 집중이 결합된 개념, 부분이 전체를 반영하는 생명체와 같은 구조
Fractal CHAOS
복잡계
자기조직화
Emergence
(창발성)
생명현상
혼돈
질서
이민화 자료 인용
기존문헌 검토
 기존 미디어 전략의 특징과 집중의 한계
 인터넷 등장 이후 경쟁의 가속화로 플랫폼의 독과점 속성이 나타남
 혁신적 관점에서 미디어 시장의 중요한 특징적 변화
->한계효용제로 플랫폼 확장/사용자참여확대/탈중개화/1인미디어 확장/수직계열화
 블록체인 미디어가 가져올 변화(Deloitte, 2017)
- 새로움 방식의 콘텐츠 가격책정
- 콘텐츠 직접거래
- 효율적인 로열티 배분
- 안전하고 투명한 개인간 거래
- 경계없는 콘텐츠 소비
 블록체인 미디어의 취약점:
- 기술적 안정성
- 스타트업들의 전통 미디어시장으로의 진입장벽,
- BM의 한계성
기존문헌 검토
 스팀잇, 시빌, 에코버스의 분산적 특성과 한계
 스팀잇
- 생각의 가치(Proof of brain): 콘텐츠 생산과 큐레이션에 인센티브 부여, 보팅시스템
- 인간의 선의와 암호화폐의 결합을 통한 커뮤니티의 지속가능성 구현에 대한 실험
- 스팀, 스팀파워, 스팀달러로 구분해 기여도에 따라 영향력 차등부여
- 셀프보팅 등 악의적 사용방지책 등으로 커뮤니티 정화 유도
- 프로모션 기능, 보팅 보상기능, 스팀파워임대 기능 ->마케팅 독려, 커뮤니티 활성화
- 대역폭 제한, 20인의 증인들의 집단지능을 활용해 커뮤니티의 건설적 운영
- 7days pay-out 이후 삭제, 수정 불가능 -> 저작권문제와 충돌, 콘텐트 수명제약
- 콘텐츠에 대한 가치평가의 공정성 문제
- 합당한 금전적 보상이 어려운 시장규모
- 독과점 형태의 보유구조
- 대량의 스팀파워 보유자(고래)들에게 요구하는 높은 도덕성
- 광고 등의 부가가치가 없는 탈중앙화 구조의 지속가능성에 한계
기존문헌 검토
 스팀잇, 시빌, 에코버스의 분산적 특성과 한계
 시빌
- 블록체인의 투명성, 비가역성, 개방성 기반 지속가능한 독립저널리즘 구현목표
- 뉴스룸에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모두가 생산자,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토큰
- 뉴스제작자, 시민, 관리자, 패트체커, 저널리즘 자문위 중심으로 뉴스룸 운영(투명성)
- 중앙집권적 뉴스 생산방식을 개선, 기사단위 구매가능
- 2018 시빌의 ICO 실패
44단계나 거치는 지나치게 복잡한 토큰구매 절차
홍보전략의 실패 ->그럴듯한데 정확한 지향점에 대한 홍보부족
플랫폼 통제를 놓고 치열한 정파 다툼의 가능성
명확한 개념 전달 실패로 잠재적 투자유치를 이끌어내지 못함
기존문헌 검토
 스팀잇, 시빌, 에코버스의 분산적 특성과 한계
 에코버스
- 자발적인 생산수단의 사회화를 통해 부의 불평등과 성능문제 해결 지향
- 부의 공정한 배분, 자원의 효율적 운용, 인간욕망의 속성분석으로 우분투 커뮤니티 구축
- AI-DPoC : 노드의 역할 분리, 마스터노드들을 유연한 운영으로 효율성과 안정성 도모
- 임의의 노드활동 과 전체 네트워크의 활동이 일치
->완전집중도 완전분산도 아닌 자기조직적 합의 매커니즘
- dApp을 중심으로 다양한 가치실현과 비즈니스 활동이 활발
->홀론적 상호작용으로 다중축을 갖는 자기조직적 분산구조로 진화하는 방향성 제시
- 블록체인 스타느업들의 접근방식에 철학적, 사회심리학적 시각으로 확장
- AI-DPoC 거버넌스의 안정을 위한 기여도 측정 프로토콜의 정교성에 집중
->CONFIRM의 핵심인 나선형 역학 밈과 통합이론이 인센티브 합치 시스템과 어떻게
결합되어 지속적 현실 적합성을 구현해낼지 주목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연구문제
 미디어 플랫폼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려는 목적
 블록체인 미디어 플랫폼이 자기조직화되어야 하는 이유
- 블록체인을 미디어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한 해결과제
- 자기조직화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미디어 생태계의 전략적 방향성
 연구방법
 문헌자료 수집
 사례분석, 전문가 심층 인터뷰
연구결과 및 과제
 스팀잇, 시빌, 에코버스의 한계
 스팀잇: 삭제,수정 불가능, 보상금 지급기간 한계, 가치평가의 공정성, 고래들의 도덕성 문제
 시빌: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에 중앙화된 뉴스룸, 어려운 토큰구매절차, 홍보부족
 에코버스: 이상적인 블록체인 유토피아 구현에 대한 회의적 시각, AI-DPoC를 위한 정교한
프로토콜 필요, 나선형 역학 밈과 통합이론이 인센티브 합치 시스템과 어떻게 결합할지..
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선행과제
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표준화, 사회적 신뢰 확보
 선형화된 블록체인 구조로 인한 속도 개선 한계, 불법복제 차단
 소수 위임자들의 과점체제 문제
 블록체인 리터러시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해와 콘텐츠에 대한 인식 확장 개선
 플랫폼리스 블록체인을 위해 안정적인 토큰 이코노미 필요
연구결과 및 과제
 자기조직화된 블록체인 미디어 모형의 제안
 생태계 구성원들이 역할을 변경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홀론구조
 홀론적 클라우드 위에 구성원들의 활동데이터 수집->디지털화한 모델을 생태계에 최적화
 블록체인 분산 알고리즘은 자기 조직화를 극대화하기 위해 집중 알고리즘으로 전환 필요
 미디어 플랫폼에 집중된 현실 정보는 인공지능을 통해 정제되고 피드백되어 스스로 자기 조
직화하는 구조로 진화(탈중앙적 거버넌스 필요)
 블록체인은 팩트체크, 탈중앙화, 투명성 확보->디지털적 반복으로 자기조직화 구조로 진화
 블록체인이 현실의 엣지를 대변하고 인공지능이 가상의 클라우드를 대변함
 자기조직화 미디어 모델 가치 극대화 전략 필요
미디어의 가치 = 미디어의 규모 X 연결성 X 기업가정신
 블록체인을 통해 내부 신뢰를 강화하고 거버넌스와 오퍼레이션의 홀론적 분리를 통해 분산
과 집중의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다양성에 기반을 둔 기업가 정신을 발현할 경우
블록체인 미디어는 자기 조직화된 미디어로 새로운 진화를 할 것임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세션 1-1: 블록체인 환경에서 미디어의 미래전략연구(김상호)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Donghyung Shin
 
검색의 미래와 새로운 역할
검색의 미래와 새로운 역할검색의 미래와 새로운 역할
검색의 미래와 새로운 역할
mosaicnet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Hee Dae Kim
 
6 week: Cryptoeconomics over the mechanism design (2019-S: Media Blockchain)
6 week: Cryptoeconomics over the mechanism design (2019-S: Media Blockchain)6 week: Cryptoeconomics over the mechanism design (2019-S: Media Blockchain)
6 week: Cryptoeconomics over the mechanism design (2019-S: Media Blockchain)
Daemin Park
 
12openup 1 venturesquare
12openup 1 venturesquare12openup 1 venturesquare
12openup 1 venturesquareVentureSquare
 
강장묵_M2M환경과 망중립성의 위기
강장묵_M2M환경과 망중립성의 위기강장묵_M2M환경과 망중립성의 위기
강장묵_M2M환경과 망중립성의 위기
JM code group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NpoITcenter_Kor
 
가치있게 공유하기 - 명승은
가치있게 공유하기 - 명승은가치있게 공유하기 - 명승은
가치있게 공유하기 - 명승은VentureSquare
 
01 프로젝트 연구
01 프로젝트 연구01 프로젝트 연구
01 프로젝트 연구humana12
 
모바일 비즈니스 패러다임
모바일 비즈니스 패러다임모바일 비즈니스 패러다임
모바일 비즈니스 패러다임JongMin Choi
 
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의5가지패러다임 082237 이학희
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의5가지패러다임 082237 이학희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의5가지패러다임 082237 이학희
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의5가지패러다임 082237 이학희claird00
 
모바일비지니스의 패러다임
모바일비지니스의 패러다임모바일비지니스의 패러다임
모바일비지니스의 패러다임은이 임
 
"블록체인과 공유경제" (주)위홈 조산구 대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백서 2018 수록
"블록체인과 공유경제" (주)위홈 조산구 대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백서 2018 수록 "블록체인과 공유경제" (주)위홈 조산구 대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백서 2018 수록
"블록체인과 공유경제" (주)위홈 조산구 대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백서 2018 수록
wehome.me, a home sharing on blockchain owned by hosts and guests
 
메타버스와 생성형 AI 조사(김병철) 20230323.pptx
메타버스와 생성형 AI 조사(김병철) 20230323.pptx메타버스와 생성형 AI 조사(김병철) 20230323.pptx
메타버스와 생성형 AI 조사(김병철) 20230323.pptx
ssuserc0b359
 
체인지온 이재열
체인지온 이재열체인지온 이재열
체인지온 이재열
sue
 
미코노미 5장
미코노미 5장미코노미 5장
미코노미 5장jeong son
 
큐레이션 세미나 Pt자료(도서관대회 인쇄본)
큐레이션 세미나 Pt자료(도서관대회 인쇄본)큐레이션 세미나 Pt자료(도서관대회 인쇄본)
큐레이션 세미나 Pt자료(도서관대회 인쇄본)
MoonW Lee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Soojin Shin
 
모바일 컨버전스 5가지 패러다임 업로드용
모바일 컨버전스 5가지 패러다임 업로드용모바일 컨버전스 5가지 패러다임 업로드용
모바일 컨버전스 5가지 패러다임 업로드용misia85
 
082303 장이현(성공하는 모바일 비즈니스)
082303 장이현(성공하는 모바일 비즈니스)082303 장이현(성공하는 모바일 비즈니스)
082303 장이현(성공하는 모바일 비즈니스)Yihyun Jang
 

Similar to 세션 1-1: 블록체인 환경에서 미디어의 미래전략연구(김상호) (20)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검색의 미래와 새로운 역할
검색의 미래와 새로운 역할검색의 미래와 새로운 역할
검색의 미래와 새로운 역할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6 week: Cryptoeconomics over the mechanism design (2019-S: Media Blockchain)
6 week: Cryptoeconomics over the mechanism design (2019-S: Media Blockchain)6 week: Cryptoeconomics over the mechanism design (2019-S: Media Blockchain)
6 week: Cryptoeconomics over the mechanism design (2019-S: Media Blockchain)
 
12openup 1 venturesquare
12openup 1 venturesquare12openup 1 venturesquare
12openup 1 venturesquare
 
강장묵_M2M환경과 망중립성의 위기
강장묵_M2M환경과 망중립성의 위기강장묵_M2M환경과 망중립성의 위기
강장묵_M2M환경과 망중립성의 위기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가치있게 공유하기 - 명승은
가치있게 공유하기 - 명승은가치있게 공유하기 - 명승은
가치있게 공유하기 - 명승은
 
01 프로젝트 연구
01 프로젝트 연구01 프로젝트 연구
01 프로젝트 연구
 
모바일 비즈니스 패러다임
모바일 비즈니스 패러다임모바일 비즈니스 패러다임
모바일 비즈니스 패러다임
 
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의5가지패러다임 082237 이학희
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의5가지패러다임 082237 이학희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의5가지패러다임 082237 이학희
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의5가지패러다임 082237 이학희
 
모바일비지니스의 패러다임
모바일비지니스의 패러다임모바일비지니스의 패러다임
모바일비지니스의 패러다임
 
"블록체인과 공유경제" (주)위홈 조산구 대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백서 2018 수록
"블록체인과 공유경제" (주)위홈 조산구 대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백서 2018 수록 "블록체인과 공유경제" (주)위홈 조산구 대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백서 2018 수록
"블록체인과 공유경제" (주)위홈 조산구 대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백서 2018 수록
 
메타버스와 생성형 AI 조사(김병철) 20230323.pptx
메타버스와 생성형 AI 조사(김병철) 20230323.pptx메타버스와 생성형 AI 조사(김병철) 20230323.pptx
메타버스와 생성형 AI 조사(김병철) 20230323.pptx
 
체인지온 이재열
체인지온 이재열체인지온 이재열
체인지온 이재열
 
미코노미 5장
미코노미 5장미코노미 5장
미코노미 5장
 
큐레이션 세미나 Pt자료(도서관대회 인쇄본)
큐레이션 세미나 Pt자료(도서관대회 인쇄본)큐레이션 세미나 Pt자료(도서관대회 인쇄본)
큐레이션 세미나 Pt자료(도서관대회 인쇄본)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모바일 컨버전스 5가지 패러다임 업로드용
모바일 컨버전스 5가지 패러다임 업로드용모바일 컨버전스 5가지 패러다임 업로드용
모바일 컨버전스 5가지 패러다임 업로드용
 
082303 장이현(성공하는 모바일 비즈니스)
082303 장이현(성공하는 모바일 비즈니스)082303 장이현(성공하는 모바일 비즈니스)
082303 장이현(성공하는 모바일 비즈니스)
 

More from Daemin Park

박대민(2019)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연결망 분석
박대민(2019)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연결망 분석박대민(2019)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연결망 분석
박대민(2019)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연결망 분석
Daemin Park
 
8 week: Technology of Platformless Media Blockchain
8 week: Technology of Platformless Media Blockchain8 week: Technology of Platformless Media Blockchain
8 week: Technology of Platformless Media Blockchain
Daemin Park
 
7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모형
7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모형7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모형
7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모형
Daemin Park
 
Steemit and Governance for Creators (2019-S: Media Blockchain)
Steemit and Governance for Creators (2019-S: Media Blockchain)Steemit and Governance for Creators (2019-S: Media Blockchain)
Steemit and Governance for Creators (2019-S: Media Blockchain)
Daemin Park
 
4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4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4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4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Daemin Park
 
Platformless Mediablockchain (2019-S: Media Blockchain)
Platformless Mediablockchain (2019-S: Media Blockchain) Platformless Mediablockchain (2019-S: Media Blockchain)
Platformless Mediablockchain (2019-S: Media Blockchain)
Daemin Park
 
Media Innovation Ecosystem (2019-S: Media Blockchain)
Media Innovation Ecosystem (2019-S: Media Blockchain) Media Innovation Ecosystem (2019-S: Media Blockchain)
Media Innovation Ecosystem (2019-S: Media Blockchain)
Daemin Park
 
세션 3-2: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홍주석)
세션 3-2: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홍주석)세션 3-2: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홍주석)
세션 3-2: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홍주석)
Daemin Park
 
세션 3-3 로컬 크리에이터, 힙스터인가 혁신가인가 (김혁주)
세션 3-3 로컬 크리에이터, 힙스터인가 혁신가인가 (김혁주)세션 3-3 로컬 크리에이터, 힙스터인가 혁신가인가 (김혁주)
세션 3-3 로컬 크리에이터, 힙스터인가 혁신가인가 (김혁주)
Daemin Park
 
세션 3-1: 지역방송의 크로스미디어 전략 (하현제)
세션 3-1: 지역방송의 크로스미디어 전략 (하현제)세션 3-1: 지역방송의 크로스미디어 전략 (하현제)
세션 3-1: 지역방송의 크로스미디어 전략 (하현제)
Daemin Park
 
세션 2-2: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중요성 (박춘원)
세션 2-2: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중요성 (박춘원)세션 2-2: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중요성 (박춘원)
세션 2-2: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중요성 (박춘원)
Daemin Park
 
세션 2-3: 블록체인이 콘텐츠 딜리버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에 관하여 (남현우)
세션 2-3: 블록체인이 콘텐츠 딜리버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에 관하여 (남현우)세션 2-3: 블록체인이 콘텐츠 딜리버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에 관하여 (남현우)
세션 2-3: 블록체인이 콘텐츠 딜리버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에 관하여 (남현우)
Daemin Park
 
세션 2-4: 자유 없는 블록체인은 디스토피아의 BIG (BR)Other (유성훈)
세션 2-4: 자유 없는 블록체인은 디스토피아의 BIG (BR)Other (유성훈)세션 2-4: 자유 없는 블록체인은 디스토피아의 BIG (BR)Other (유성훈)
세션 2-4: 자유 없는 블록체인은 디스토피아의 BIG (BR)Other (유성훈)
Daemin Park
 
13주차 뉴스 빅데이터 기반 저널리즘 연구
13주차 뉴스 빅데이터 기반 저널리즘 연구13주차 뉴스 빅데이터 기반 저널리즘 연구
13주차 뉴스 빅데이터 기반 저널리즘 연구
Daemin Park
 
11주차 뉴스 중심어 연결망 분석
11주차 뉴스 중심어 연결망 분석11주차 뉴스 중심어 연결망 분석
11주차 뉴스 중심어 연결망 분석
Daemin Park
 
10주차 뉴스 정보원-주제 연결망 분석
10주차 뉴스 정보원-주제 연결망 분석10주차 뉴스 정보원-주제 연결망 분석
10주차 뉴스 정보원-주제 연결망 분석
Daemin Park
 
9주차 뉴스 주제 연결망 분석
9주차 뉴스 주제 연결망 분석9주차 뉴스 주제 연결망 분석
9주차 뉴스 주제 연결망 분석
Daemin Park
 
7주차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
7주차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7주차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
7주차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
Daemin Park
 
6주차 의미 연결망 분석 이론
6주차 의미 연결망 분석 이론6주차 의미 연결망 분석 이론
6주차 의미 연결망 분석 이론
Daemin Park
 
5주차 인용문 수준의 뉴스 자연어처리와 시각화
5주차 인용문 수준의 뉴스 자연어처리와 시각화5주차 인용문 수준의 뉴스 자연어처리와 시각화
5주차 인용문 수준의 뉴스 자연어처리와 시각화
Daemin Park
 

More from Daemin Park (20)

박대민(2019)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연결망 분석
박대민(2019)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연결망 분석박대민(2019)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연결망 분석
박대민(2019)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연결망 분석
 
8 week: Technology of Platformless Media Blockchain
8 week: Technology of Platformless Media Blockchain8 week: Technology of Platformless Media Blockchain
8 week: Technology of Platformless Media Blockchain
 
7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모형
7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모형7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모형
7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모형
 
Steemit and Governance for Creators (2019-S: Media Blockchain)
Steemit and Governance for Creators (2019-S: Media Blockchain)Steemit and Governance for Creators (2019-S: Media Blockchain)
Steemit and Governance for Creators (2019-S: Media Blockchain)
 
4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4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4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4주차: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
 
Platformless Mediablockchain (2019-S: Media Blockchain)
Platformless Mediablockchain (2019-S: Media Blockchain) Platformless Mediablockchain (2019-S: Media Blockchain)
Platformless Mediablockchain (2019-S: Media Blockchain)
 
Media Innovation Ecosystem (2019-S: Media Blockchain)
Media Innovation Ecosystem (2019-S: Media Blockchain) Media Innovation Ecosystem (2019-S: Media Blockchain)
Media Innovation Ecosystem (2019-S: Media Blockchain)
 
세션 3-2: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홍주석)
세션 3-2: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홍주석)세션 3-2: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홍주석)
세션 3-2: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홍주석)
 
세션 3-3 로컬 크리에이터, 힙스터인가 혁신가인가 (김혁주)
세션 3-3 로컬 크리에이터, 힙스터인가 혁신가인가 (김혁주)세션 3-3 로컬 크리에이터, 힙스터인가 혁신가인가 (김혁주)
세션 3-3 로컬 크리에이터, 힙스터인가 혁신가인가 (김혁주)
 
세션 3-1: 지역방송의 크로스미디어 전략 (하현제)
세션 3-1: 지역방송의 크로스미디어 전략 (하현제)세션 3-1: 지역방송의 크로스미디어 전략 (하현제)
세션 3-1: 지역방송의 크로스미디어 전략 (하현제)
 
세션 2-2: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중요성 (박춘원)
세션 2-2: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중요성 (박춘원)세션 2-2: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중요성 (박춘원)
세션 2-2: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중요성 (박춘원)
 
세션 2-3: 블록체인이 콘텐츠 딜리버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에 관하여 (남현우)
세션 2-3: 블록체인이 콘텐츠 딜리버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에 관하여 (남현우)세션 2-3: 블록체인이 콘텐츠 딜리버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에 관하여 (남현우)
세션 2-3: 블록체인이 콘텐츠 딜리버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에 관하여 (남현우)
 
세션 2-4: 자유 없는 블록체인은 디스토피아의 BIG (BR)Other (유성훈)
세션 2-4: 자유 없는 블록체인은 디스토피아의 BIG (BR)Other (유성훈)세션 2-4: 자유 없는 블록체인은 디스토피아의 BIG (BR)Other (유성훈)
세션 2-4: 자유 없는 블록체인은 디스토피아의 BIG (BR)Other (유성훈)
 
13주차 뉴스 빅데이터 기반 저널리즘 연구
13주차 뉴스 빅데이터 기반 저널리즘 연구13주차 뉴스 빅데이터 기반 저널리즘 연구
13주차 뉴스 빅데이터 기반 저널리즘 연구
 
11주차 뉴스 중심어 연결망 분석
11주차 뉴스 중심어 연결망 분석11주차 뉴스 중심어 연결망 분석
11주차 뉴스 중심어 연결망 분석
 
10주차 뉴스 정보원-주제 연결망 분석
10주차 뉴스 정보원-주제 연결망 분석10주차 뉴스 정보원-주제 연결망 분석
10주차 뉴스 정보원-주제 연결망 분석
 
9주차 뉴스 주제 연결망 분석
9주차 뉴스 주제 연결망 분석9주차 뉴스 주제 연결망 분석
9주차 뉴스 주제 연결망 분석
 
7주차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
7주차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7주차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
7주차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
 
6주차 의미 연결망 분석 이론
6주차 의미 연결망 분석 이론6주차 의미 연결망 분석 이론
6주차 의미 연결망 분석 이론
 
5주차 인용문 수준의 뉴스 자연어처리와 시각화
5주차 인용문 수준의 뉴스 자연어처리와 시각화5주차 인용문 수준의 뉴스 자연어처리와 시각화
5주차 인용문 수준의 뉴스 자연어처리와 시각화
 

세션 1-1: 블록체인 환경에서 미디어의 미래전략연구(김상호)

  • 1. 2019 . 5. 18. 김상호 dearsangho@kaist.ac.kr Moon Soul Graduate School of Future Strategy Master of Science Journalism KAIST 블록체인 환경에서 미디어의 미래전략연구 - 집중과 분산을 넘어 자기 조직화로 -
  • 3. 문제 제기  소셜미디어와 블록체인 미디어  중앙집중적 구조 속에 대중은 집단적 소비자로 통제  유니콘을 중심으로 소셜미디어는 새로운 독과점 형성  블록체인 미디어의 등장으로 새로운 가능성 모색  탈중앙화된 미디어와 과제  플랫폼 사업자 역할의 패러다임 전환  블록체인미디어(스티밋, 시빌)의 지향점과 한계  탈중앙화 구현을 위한 방향성(자기조직화)  엣지와 전체가 협력하는 혼론 구조의 복잡 적응계  네트워크 효과, 지능화 -> 자기조직화 창발  연결성과 기업가 정신이 뒷받침된 자기 조직화 미디어
  • 4. 기존문헌 검토  블록체인의 개념과 DAO  분산원장 기술을 통해 거래의 투명성, 탈중앙화, 탈중개화 구현  강력한 보안성, 투명성, 콘텐츠에 대한 보상->전통 미디어의 난제 해결 기대  탈중개화는 콘텐츠 유통의 왜곡 방지-> 창작자: 공정한 분배/ 사업자: 안정적 이윤  생산자의 수익성 개선을 넘어 콘텐츠 산업의 안정적 생태계 구축  DAO: 거버넌스와 운영이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조직 - 4가지 구성요소: 무가야(Mougayar, 2017) 조직분권화-조직운영을 위해 소수에게 집중됐던 권력을 구성원들과 공유 동등계층생산-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이 협업해 부가가치 생산 규제완화 및 언번들링-특정 노드에 배정된 기능을 네트워크로 확장, 기능과 권한 연계 암호기반신뢰와 합의-자율에이전트, 스마트프로그램 등을 통해 과업 수행  DAO는 최선이 아닌 차선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는 있어도 부패할 수 없는 구조
  • 5. 기존문헌 검토  자기조직화의 개념  복잡한 사회현상도 실제로는 반복되는 단순성에 기초(Gleick, 1987)  무한복제되는 디지털 콘텐츠->각 구성원은 홀론화된 독립적 네트워크의 중심축  웹2.0시대도래로 연결이 강화되는 네트워크 구조로 진화 ->수직적 통제없이 세상을 바꾸는 가치생산, 혼돈 속 질서 탄생(Eric S. Raymond, 1999)  자기조직적 거버넌스 : 거버넌스에 복잡계 이론의 자기조직화 개념을 적용 ->설계된 구조와 창발적 구조가 결합하는 혼합형태(hybrid)  자기조직화는 완전분산의 민주성과 독점의 효율성을 동시에 갖고 있음.  독점: 효율적, 순응비용 과다, 불안정 완전분산: 의사결정과 조직화 비용이 과다 -> 이 극단적 두 지점, 효율과 혁신의 최적점에 자기조직화 조직이 자리함  거버넌스 패러독스: 의사결정과 집행 사이의 갈등. 의사결정은 소수에 집중될수록 효율적이지만 그것의 집행은 다수에게 분산될수록 효과적인 특성. 블록체인으로 대리인문제를 해결 가능하게 되면서 거버넌스 패러독스를 극복 가능  자기조직화는 분산과 집중이 결합된 개념, 부분이 전체를 반영하는 생명체와 같은 구조
  • 7. 기존문헌 검토  기존 미디어 전략의 특징과 집중의 한계  인터넷 등장 이후 경쟁의 가속화로 플랫폼의 독과점 속성이 나타남  혁신적 관점에서 미디어 시장의 중요한 특징적 변화 ->한계효용제로 플랫폼 확장/사용자참여확대/탈중개화/1인미디어 확장/수직계열화  블록체인 미디어가 가져올 변화(Deloitte, 2017) - 새로움 방식의 콘텐츠 가격책정 - 콘텐츠 직접거래 - 효율적인 로열티 배분 - 안전하고 투명한 개인간 거래 - 경계없는 콘텐츠 소비  블록체인 미디어의 취약점: - 기술적 안정성 - 스타트업들의 전통 미디어시장으로의 진입장벽, - BM의 한계성
  • 8. 기존문헌 검토  스팀잇, 시빌, 에코버스의 분산적 특성과 한계  스팀잇 - 생각의 가치(Proof of brain): 콘텐츠 생산과 큐레이션에 인센티브 부여, 보팅시스템 - 인간의 선의와 암호화폐의 결합을 통한 커뮤니티의 지속가능성 구현에 대한 실험 - 스팀, 스팀파워, 스팀달러로 구분해 기여도에 따라 영향력 차등부여 - 셀프보팅 등 악의적 사용방지책 등으로 커뮤니티 정화 유도 - 프로모션 기능, 보팅 보상기능, 스팀파워임대 기능 ->마케팅 독려, 커뮤니티 활성화 - 대역폭 제한, 20인의 증인들의 집단지능을 활용해 커뮤니티의 건설적 운영 - 7days pay-out 이후 삭제, 수정 불가능 -> 저작권문제와 충돌, 콘텐트 수명제약 - 콘텐츠에 대한 가치평가의 공정성 문제 - 합당한 금전적 보상이 어려운 시장규모 - 독과점 형태의 보유구조 - 대량의 스팀파워 보유자(고래)들에게 요구하는 높은 도덕성 - 광고 등의 부가가치가 없는 탈중앙화 구조의 지속가능성에 한계
  • 9. 기존문헌 검토  스팀잇, 시빌, 에코버스의 분산적 특성과 한계  시빌 - 블록체인의 투명성, 비가역성, 개방성 기반 지속가능한 독립저널리즘 구현목표 - 뉴스룸에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모두가 생산자,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토큰 - 뉴스제작자, 시민, 관리자, 패트체커, 저널리즘 자문위 중심으로 뉴스룸 운영(투명성) - 중앙집권적 뉴스 생산방식을 개선, 기사단위 구매가능 - 2018 시빌의 ICO 실패 44단계나 거치는 지나치게 복잡한 토큰구매 절차 홍보전략의 실패 ->그럴듯한데 정확한 지향점에 대한 홍보부족 플랫폼 통제를 놓고 치열한 정파 다툼의 가능성 명확한 개념 전달 실패로 잠재적 투자유치를 이끌어내지 못함
  • 10. 기존문헌 검토  스팀잇, 시빌, 에코버스의 분산적 특성과 한계  에코버스 - 자발적인 생산수단의 사회화를 통해 부의 불평등과 성능문제 해결 지향 - 부의 공정한 배분, 자원의 효율적 운용, 인간욕망의 속성분석으로 우분투 커뮤니티 구축 - AI-DPoC : 노드의 역할 분리, 마스터노드들을 유연한 운영으로 효율성과 안정성 도모 - 임의의 노드활동 과 전체 네트워크의 활동이 일치 ->완전집중도 완전분산도 아닌 자기조직적 합의 매커니즘 - dApp을 중심으로 다양한 가치실현과 비즈니스 활동이 활발 ->홀론적 상호작용으로 다중축을 갖는 자기조직적 분산구조로 진화하는 방향성 제시 - 블록체인 스타느업들의 접근방식에 철학적, 사회심리학적 시각으로 확장 - AI-DPoC 거버넌스의 안정을 위한 기여도 측정 프로토콜의 정교성에 집중 ->CONFIRM의 핵심인 나선형 역학 밈과 통합이론이 인센티브 합치 시스템과 어떻게 결합되어 지속적 현실 적합성을 구현해낼지 주목
  • 11.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연구문제  미디어 플랫폼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려는 목적  블록체인 미디어 플랫폼이 자기조직화되어야 하는 이유 - 블록체인을 미디어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한 해결과제 - 자기조직화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미디어 생태계의 전략적 방향성  연구방법  문헌자료 수집  사례분석, 전문가 심층 인터뷰
  • 12. 연구결과 및 과제  스팀잇, 시빌, 에코버스의 한계  스팀잇: 삭제,수정 불가능, 보상금 지급기간 한계, 가치평가의 공정성, 고래들의 도덕성 문제  시빌: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에 중앙화된 뉴스룸, 어려운 토큰구매절차, 홍보부족  에코버스: 이상적인 블록체인 유토피아 구현에 대한 회의적 시각, AI-DPoC를 위한 정교한 프로토콜 필요, 나선형 역학 밈과 통합이론이 인센티브 합치 시스템과 어떻게 결합할지.. 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선행과제 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표준화, 사회적 신뢰 확보  선형화된 블록체인 구조로 인한 속도 개선 한계, 불법복제 차단  소수 위임자들의 과점체제 문제  블록체인 리터러시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해와 콘텐츠에 대한 인식 확장 개선  플랫폼리스 블록체인을 위해 안정적인 토큰 이코노미 필요
  • 13. 연구결과 및 과제  자기조직화된 블록체인 미디어 모형의 제안  생태계 구성원들이 역할을 변경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홀론구조  홀론적 클라우드 위에 구성원들의 활동데이터 수집->디지털화한 모델을 생태계에 최적화  블록체인 분산 알고리즘은 자기 조직화를 극대화하기 위해 집중 알고리즘으로 전환 필요  미디어 플랫폼에 집중된 현실 정보는 인공지능을 통해 정제되고 피드백되어 스스로 자기 조 직화하는 구조로 진화(탈중앙적 거버넌스 필요)  블록체인은 팩트체크, 탈중앙화, 투명성 확보->디지털적 반복으로 자기조직화 구조로 진화  블록체인이 현실의 엣지를 대변하고 인공지능이 가상의 클라우드를 대변함  자기조직화 미디어 모델 가치 극대화 전략 필요 미디어의 가치 = 미디어의 규모 X 연결성 X 기업가정신  블록체인을 통해 내부 신뢰를 강화하고 거버넌스와 오퍼레이션의 홀론적 분리를 통해 분산 과 집중의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다양성에 기반을 둔 기업가 정신을 발현할 경우 블록체인 미디어는 자기 조직화된 미디어로 새로운 진화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