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58
9조 제 9장  송원 산수의 의경意境 송원 산수의 원류 무아지경無我之境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描寫와 시의詩意의 추구 유아지경有我之境 9조
송원 산수의 意境 Contents 송원 산수의 원류 육조시대   ▷ 수·당 시대 (성당, 중당시대)   ▷   송시대의 산수화의 원류 1 심미 취향 2 미학 이상 변화의 원인 3
송원 산수의 意境 산수화의 원류 ■ 기원  _ 산수화의 원류는 유구            _ 육조시대(남북조시대)에 이미 산수에 관해 논의한 화론 및 묘사 1) 역대명화기 歷代名畵記                                    : 835년경에 만들어진 회화사서 (繪畵史書) 그 산수를 그린다고 하는 것이, 군봉의 기세는 마치 비녀 같은 장식품이나 물소 뿔로 만든 빗과 같았다. 어떤 그림은 강물 을 그린다고 하는 것이 배를 띄울 수조차 없게 그리고 있었고, 또 어떤 그림은 산을 그린다고 하는 것이 사람보다 더 작게 그리고 있었다. (중략)                 ▣ ‘산수시’의 구제적 묘사 「산봉우리가 높고 험준하며 물안개 서려있는 수풀은 깊고 그윽하다  峰岫嶢嶷, 雲林森渺」 (종병宗炳<畫山水序>) >   당시의 산수화는 형상·기법·구도를 막론하고 대체로 당시의 산수시山水詩 수준보다 더 낮은 처지 >  사실과 부합. 아직 독립된 심미의의(審美意義)를 지닌 산수풍경화라고 말하기 어려움
송원 산수의 意境 육조 시대 2) 고개지의[낙신부도 落神賦圖]                                             : 서진의 장화라는 문인이 쓴 ‘여사잠’이란 문장을 고개지가 회화한 작품 ▣ 조식 앞에 나타난 낙수 옆의 여신 형상화 송대 모본, 비단에 채색, 27.1X572.8cm 북경 고경박물원
송원 산수의 意境 육조 시대 3) 고개지의[여사잠도女史箴圖]                                            : 서진의 장화라는 문인이 쓴 ‘여사잠’이란 문장을 고개지가 회화한 작품 ▣ 여사잠도에서 상징성이 뛰어난 여섯 번째 장면 당대 모본, 비단에 채색, 25X349cm, 영국런던대영박물관
송원 산수의 意境 육조 시대 4) 돈황벽화                 : 돈황석굴예술– 건축, 조각, 벽화가 하나로 어우러진 입체예술 ▣ 돈황벽화 중
송원 산수의 意境 수·당 시대 1) 수·당시대 _ 이전 시대에 비해 좀 더 발전>  사실과 부합. 아직 독립된 심미의의(審美意義)를 지닌 산수풍경화라고 말하기 어려움 > 그 변화는 그다지 크지 않음 ▣ 전자건유춘도(展子虔游春圖)  : 위작일 가능성 결코 수대의 작품은 아님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성당시대  _ 중요한 상황의 변화 기점 ■ 오도자 吳道子 _ 본명 : 오도현. 불당에 벽화(종교화)를 그린 화가               _ 산수화에서 중대한 독창적 화풍 산수영역에서 하나의 새로운 영역 개척         > 오대당풍 (吳帶當風) : 선線의 예술 ▣ 기록 및 일화 산수화의 변화는 오도자(吳道子)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이간지(李柬之)와 이수(李受)에 이르러 비로소 완성을 보게 되었다.      山水之樂, 이사훈(李思訓)의 그림은 수 개월의 공을 들인 결과이며, 오도자의 그림은 하루 만에 이루어진 그림이다. 그려진 그림 속에 가로막힌 바가 있더라도, 밤이 되면 그림 속에서 강물 소리가 들린다. 所 ·장언원<역대명화기 歷代名畵記> 오도자는 그림을 그릴 때마다 일단 붓을 잡으면 거침없이 그려나갔다. 염琰(옥의 일종)과 장장포張藏布(베의 일종)의 색깔을 많이 사용하였다. > 선을 중시하고 색채를 중시하지 않는 본질적인 경향은 산수영역에까지 확산되기 시작 후세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영향을 미침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오도자 吳道子                        > 오대당풍 (吳帶當風) : 선線의 예술 : 옷이 모두 바람에 휘날리는 것 같은 표현 ▽    오도자, 송자천왕도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중당시대 전후                                           ① 사회생활의 현격한 변화 및 종교의식의 점진적 쇠퇴   :  기존 불교  ->  선종(자연에 대한 태도                   ② 자신의 현실적 성격을 지닐 수 있게 됨                   ④ 인물人物(장훤張萱·주방周肪) ·우마 牛馬(한황韓滉·한우 韓千)가 종교예술로부터 분화 전문적인 화가를 배출시키게 되었던 것과 마찬가지 _  그 당시 사회생활에서는 특히 인물·소(농업사회의 주요 생산도구)·말(전쟁·수렵·거기車騎의 도구, 상류사회 인사들이 사랑하던 대상) 현실적인 제재로써 산수경물보다  확고한 지위 차지 >       인물우마 등이 독립적으로 심미의의를 가지는 예술의 중요 제재로 형성 >   산수경물은 인물(사녀仕女 등)·우마에 비해 예술의 중요 제재로서 훨씬 더 뒤늦게  성숙한 수준 형성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중당시대 전후  _인물우마 등이 독립적으로 심미의의를 가지는 예술의 중요 제재로 형성 △   장화 사녀도, 주방, 당대 △   우마도  (유하백마도, 윤두서, 조선후기)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중당시대 전후                                              _그 후에인물(사녀仕女 등)·우마    ->산수·수석·화조로 옮겨가서 산수·수석·화조가 독립된 심미의 대상이 되어 묘사·찬미 ▣ 시구 거대한 집 뒤로는 단풍나무가 엇비껴 자라나고 산과 강 부근에는 하얀 물안개가 한없이 번져가고 있다. 堂上不合生楓樹, 怪底江山起烟霧 (杜甫) 장조張璪가 소나무와 바위산을 그릴 때면, 흔히 정신과 기골의 깊은 경지를 나타나곤 하였다. 章璪畵松石, 往往得 骨 (元槇) 1) 성당에서 중당에 이르는 사이에 자연경관, 산수, 수석에 대한 취향/감상/미적 개념   이 이미화면의 독립된 복제複製를 지향 2) 자신의 독자적인 성격 간직 3) 단지 인사의 배경/환경이 더 이상 아님을 표명 >   산수화가 진정한 의미에서 독립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변화의 원인 -1) 역사의 진행과정 및 사회의 변천 ■ 역사의 진행과정  &  사회의 변천  _ 봉건제도의 변화            _ 지주 사대부들의 세력 확장 ▣ 새로운 세력, 지주 사대부     - 중· 만당 시대의 성색·번화에 젖어 들게 된 이후로, 사대부들은 이와 같은 탐닉을 즐기는 한편, 새로운 미(美)의 세계를 모색     - 산수풍경은 더 이상 소수 문벌귀족이 아니게 된 수많은 세속 지주 사대부들이 거주·휴식하는 환경이 됨     - 사대부들은 일종의 기득권에 만족하고 있었으며, 모든 봉건농촌을 이상화하고 목가화한 생활, 정서, 관념을 오래도록 유지하길 바람 곽희, 조춘도 (早春圖)▽ 미불(米不), 춘산서송도(春山瑞松圖)   ▽ 범관(范寬), 계산행려도(溪山行旅圖)  ▽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 곽희, 조춘도(早春圖) : 초봄의 충만한 기운 표현한 작품. <곽희(郭熙), 임천고지(林泉高致)  中> 태평성세를 맞아 군신·부자 사이의 심경이 모두 융화를 이루고 있다… 그런즉  임천지지나 연하지려는 몽매에도 잊지 못하는 바이지만, 귀로 듣지 못하고, 눈으로 보지 못한다. 원성조제가 마치 귓가에서 들리는 듯하다. 산광수색이황양히 눈부신 듯하다. 이 어찌 사람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고, 나의 마음의 차됨을 얻게 하는 바가 아니겠는가? 이것이 세상에서 산수 그리기를 귀히 여기는 그 본래의 뜻이다. 송(宋), 수묵담채, 158.3cm×108.1cm, 대만 고궁박물관 소장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범관(范寬) 계산행려도(溪山行旅圖)     북송(北宋), 족자비단에 담채,      206.3×103.3㎝,  대북 고궁박물관 소장 ▽ 미불(米不), 춘산서송도(春山瑞松圖)  북송(北宋), 종위 위에 수묵, 35×44.1㎝, 대북 고궁박물관 소장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 역사의 진행과정 &  사회의 변천  _ 봉건제도의 변화            _ 지주 사대부들의 세력 확장 ▣ 세속 지주 사대부가 바라본 자연 및 농촌 생활     - 자연과 사대부는 자적·휴식·소극적 정관의 관계     - 사대부는 농촌 생활의 점유자와 감상자의 입장에서 자연을 바라봄     - 인간과 자연의 기쁨·친화·목가적 평온 및 정적이 중국 산수화의 본질적 흐름을 이룸 (봉건 농촌의 모습을 이상화) 오진(吳鎭), 어부도(漁父圖)    ▷ 원(元), 비단채색 176.1×95.6㎝대북 고궁박물관 소장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 마원(馬遠), 산경춘행도(山徑春行圖) 오진(吳鎭), 어부도(漁父圖)  ▷ 맑고 청정한고 고요한 산수  속에서 낚싯대를 들이대거나,  정박한 배에 한적한 모습,그리고 유유자적한 정경 : 화창한 봄 꾀꼬리 한 마리가 버들 나무 사이를   맴돌고 선비가 유유자적하게 거닐며 그 뒤에    시동이 거문고를 들고 따르는 정경
송원 산수의 意境 미학이상 변화의 원인 – 2) 선종의 영향 ■ 철학사조 (선종)의 영향 ▣ 철학사조 (선종)    - 중당·만당시대로부터 북송시대에 이르는 동안 유행및점차 종파가 많아짐  다른 불교 종파들과의 경쟁에서 압승 !!!     - 선종의 교의는 노장철학의 자연에 대한 태도와 비슷함     - 준범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자신과 자연이 일체가 되도록 요구함 순식간에 사라지는 인간세계의 부귀영화 영원히 존재하는 자연·산수
송원 산수의 意境 미학이상 변화의 원인  1) 역사적 & 사회적 변화    :  지주 사대부의 세력확장 2) 철학사조 (선종)의 영향 ▣ 세속 지주 사대부의 자연·농촌에 대한 태도 ▷세속 지주 사대부         - 과거시험 출신, 재야에서 조정으로 나아감 / 농민(부농, 지주)에서 관리로, 시골로부터 도시로 올라감        - 구산(丘山)·계학(溪壑)·촌거(村居)는정서적 측면에서 회상이나 추구의 대상이 되어감 - 자연과 사대부는 자적·휴식·소극적 정관의 관계 / 사대부는 농촌 생활의 감상자의 입장에서 자연을 바라봄        - 인간과 자연의 기쁨·친화·목가적 평온 및 정적이 중국 산수화의 본질적 흐름을 이룸 (봉건 농촌의 모습을 이상화) >     중국 산수화는 문벌귀족들의 예술이 아니라 세속지주들의 예술 !!!! 송·원 산수화가 표현하였던 제재, 주장, 사상은 육조시대에서 당대에 이르기까지의 인물화에 비하여 훨씬 깊이 있는 평민성과 보편성을 지니고 있음 >  심미취향이 구체적인 인사, 사녀, 우마로부터 자연대상, 산수화조로 옮겨가게 됨
송원 산수의 意境 송 시대 육조시대                                          종교화 宗敎畵 이후 중당시대사녀仕女·우마 牛馬가 중당시대 이후로 그림의 주체 & 절정을 이룸 송시대산수·화조의 성숙과 절정 ▣ 송대인들의 평 만약 불도佛道·인물人物·사녀仕女·우마牛馬에 대하여 말한다면, 지금의 그림이 고대의 그림보다 못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산수山水·인석林石·화죽花竹·금조禽鳥에 대하여 말한다면, 고대의 그림이 지금의 그림보다 못할 것이다.  郭若虛<圖畵見聞志> 본조本朝의 산수를 그리는  학문의 경지는 고금에 으뜸일 것이다.  邵博 <聞見後錄> 추강대도도, 북송작품   ▷
송원 산수의 意境 SUMMARY ■  산수의 원류 송시대 육조시대 수시대 성당시대 중당시대 ·산수화의 성숙 및 절정 ·좀더 발전 크지 않은 변화 ·독창적 화풍 새로운 영역 개척 ·독립된 심미의 대상 > 찬미/묘사 ·산수시보다 낮은 처지 ■  심미취향의 변화의 원인&변화 주관적 요소·선종의 유행 > 노장철학, 자연에 대한 태도 강조 지주 사대부의 새로운 美 탐구 자연풍경 · 산수화조  [ 중당시대~ 북송시대 진입 시기 ] 구체적 인사 ·사녀·우마 자연대상 ·산수화조
송원 산수의 意境 Contents 2   무아지경 無我之境 진실한 묘사 1 기운생동 氣韻生動 2 無我의 경지 3
송원 산수의 意境 이성李成, 관동關仝,범관范寬의 진실한 묘사 ■ 북송시대의 산수화는 이성, 관동, 범관 세 사람을 그 중요한 대표적 인물로 삼고 있음 	- 송초 산수화의 세 가지 풍격을 대표한다. 	- 풍격의 차이가 나는 이유: 자기 자신에게 익숙한 지역의 환경에 대한 진실한 묘사로부터나온 결과 ▣ 이성의  무림원수도 ▣ 관동의 관산행려도 ▣ 범관의 설산소사도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이성李成, 관동關仝,범관范寬의 진실한 묘사 기상이 쓸쓸하고 노을 속의 수풀이 맑게 확 트인 것은, … … 영구(이성)의 산수화 제작방식 ▣ 이성李成의 무림원수도武林遠岫圖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이성李成, 관동關仝,범관范寬의 진실한 묘사 바위산의 모습이 굳고 단단하며 잡목이 무성하게 우거진 것은, … … 관씨의 산수화 풍모이다.                                                                     산봉우리가 혼후하고 기세가 웅장하고 강건한 것은, … … 범씨의 산수화 작풍이다. ▣ 범관范寬의 설산소사도雪山蕭寺圖 ▣ 관동關仝의 관산행려도關山行旅圖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형호荊浩와 기운생동 氣韻生動 ■ 이성, 관동, 범관 세 사람은 오대의 화가 형호 로부터 배웠다고 한다. ■형호는 그가 묘사하려는 자연경관을 완전히 숙지하는 데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 객관적 묘사 ■형호는 사혁의 인물화에 관한 <육법>의 영향을 받아 산수화의 <육요六要>를 제시했다. 그 핵심은 형사形似의 기초 위에서 자연대상의 생명을 표현해야 한다는 것.  형호 荊浩: 중국 당나라 말에서 오대(五代) 후량(後梁)의 화가(?~?). 오대의 난세를 피하여 태행산(太行山)의 홍곡(洪谷)에                 은거하여 그림에 전념하였다. 은거지의 산수를 실제로 사생하여 송나라 이후의 산수화풍의 기초를 닦아 놓았다. 태행산은… … 그 기이함에 놀라게 된다. 두루 감상하였다. 그 다음날 붓을 휴대하고 다시금 찾아가서 그렸다. 그렇게 그린 그림들이 모두 수만 본이나 되는데, 모두 그 진경과 같았다.  그림이란 무언가를 그리는 것을 말함이다. 사물의 형상을 헤아려 그 참된 모습을 취하려 한다. 억지로 비슷하게 그려나가기는 쉽다. 그러나 참된 모습을 그려나간다는 것을 그리 쉽게 도달할 수 있는 경지가 아니다.  >내재적 기질까지 표현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형호荊浩와 기운생동 氣韻生動 ■ 가행可行 가망可望 가유可游가거可居 가행可行: 걸어가고픈 곳 가망可望: 바라고픈 곳 가유可游: 노닐고픈 곳 가거可居: 살고픈 곳 ▣ 가유가거의 예시:                                                                             -매우 광활하고 전반적: 개괄성!! - 일시一時일경一景의 것만이 아님 ,[object Object]
내제적진실초새楚塞는 삼상三湘의 흐름과 서로 접하여져 있고, 형문荊門은 구파九派의 흐름과 서로 통하고 있다.  강물은 천지 저 밖으로 아득히 흘러가고 있고, 산색은 있는 듯하기도 하고 없는 듯하기도 하다. 군의 색채는 앞의 물가에서 어른거리고 있고, 큰 물결 작은 물결은 먼 하늘을 움직인다. 양양襄陽은 지금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있으니, 이를 남겨두었다가 산옹山翁과 더불어 함께 취하리라.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無我의 경지 ■ 무아?예술가의 사상 감정이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심지어 예술가가 창작활동을 하고 있는 중에서도 결코 자각하거나 의식하지 못한다는 뜻 -시의, 감정 사상을 의도적으로 표현 X  			                - But    객관적, 전체적 묘사 			                - So     주제와 사상이 대범,광할, 다의적, 풍부 ■ 그림에서의 무아지경은 아예 글자로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시에 비하여 더욱 대범 ▣ 도연명(陶淵明: 365 - 427)의 음주(飮酒)  아득히 멀리 보이는 마을, 석양 속에 어른거리는 동네. 개들은 골목 깊은 곳에서 짖고 있고, 닭들은 뽕나무 꼭대기 위에서 울고 있다. 동쪽 울타리 아래서 국화를 꺾어들다, 문득 유연히 남산을 바라본다. 산기운이 아침저녁으로 상쾌하다. 날새들이 서로 떼를 지어 보금자리로 돌아오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 중에 사상 감정 관념이 담겨 있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여전히 선명히 목가적 봉건 사대부들이 누리고 있었던 미적이상과 감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을 마주 대하고 있노라면, 마치 환상 속에서 거대하고 진실한 산수를 바라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러나 그 역시 사실이 아니며, 소농업 생산사회 속에 놓여져 있는 지주사대부들이 이상화의 경지로 만들어 놓았던 산수를 바라보고 있는 것일 뿐이다.’ 본문 p424 첫째 줄부터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無我의 경지 ▣ 범관范寬의설경한림도雪景寒林圖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無我의 경지 ■ 우리가 느끼는 자연미에 대한 감상, 느낌은 매우 판이하게 다를 것인데, 이는 바로 우리들이 동원이나 범관의 그림을 바라보는 것과 마찬가지의 경우 ▣ 동원董源의 소상도瀟湘圖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SUMMARY 원 남송 북송 ■ 중국 산수화의 첫 번째 의경:무아지경 !!! ■ 순수하고 객관적인 듯 자연을 묘사 &내재적 진실 까지 표현 ■ 전반적 &총체적.그러므로 다의적
송원 산수의 意境 Contents 3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와 시의의 추구 시대적 상황 1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 2 3 시의의 추구 북송시대와 남송시대의 차이점 4 마원과 하규 5 유아지경? 무아지경? 6
송원 산수의 意境 시대적 상황 ■ 송대 - <위대한 문화의 시대 鬱鬱平文哉>  - 아마 중국 고대사에 있어서 문화가 가장 발달하였던 시기.   - 회화예술에 있어서 미세한 부분에 대한 충실한 묘사와 시의의 추구는, 본질적으로는,    <태평성세>속에서 발전하게 된 심미취향과 부합.   - 현실생활에서 우러난 것이 아니라, 주로 서면시사書面詩詞(지면에 기록한 시,사) 가운데서부터  시의를 탐색하는 것 - 이는 비록 우아하기는 하나 섬세할 수 밖에 없는 성격을 띠고 있음 - 북송 후기에 이미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남송원체南宋院體에 이르러 최고의 수준과 최적의  상태에 도달함. - 북송 전기 산수화와 매우 다른 특이한 유형의 예술적 경지를 창조. ■ 고화단의 지배적인 권위를 지니고 있던 원체화파院體畵派의 작풍과 깊은 관계 ■ 제왕을 기쁘게 하여주는 것이 목적이고, 황제도 직접 창작활동에 참가하였던 북송의 궁정화원은 한가로움과 우월함을 극도로 누리고 있던 조건하에서, 미세한 부분을 추구하는 생생한 사실寫實의 경지를 최고의 수준에 이르게 할 정도로 발전시킴
송원 산수의 意境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 ■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      - 문인묵화文人墨畵가 생겨나고 있더라도,  상행하효上行下效(상층계급의 행위를 하층계급이 본받아 뒤따라감)의 영향      - 이와 같은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에 대한 추구는 화단의 중요한 추세와 취향이 됨 공작새가 하늘 높이 날때  孔雀升高 반드시 왼쪽 다리부터 든다  必先擧左 사계절과 사시의 아침저녁을 논한다  論月季四時朝暮 꽃, 꽃술, 꽃잎은 그 모습이 제각기 다르다  花蕊葉不同 鄧椿《畵繼》 참조
송원 산수의 意境 시의의 추구 ■ 화원의 또 하나의 심미취향,시의의 추구 - 왕유에 있어서 이미 <화중유시畵中有詩>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음  - 그러나 일종의 수준높은 심미이상과 예술취향의 자각적 제창이 갈수록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는 미학적 기준이 되어갔던 것임 - 화원花院에서 시구詩句를 사용하여 화제畵題를 삼고 고시考試를 실시하였음 - 화면에서의 시의추구詩意追求는 중국 산수화의 의식적意識的인 중요한 요구사항 부드럽고 푸른 가지 끝에 붉은 꽃 한 송이 피어있다. 사람을 감동케 하는 봄빛은 많아야 좋은 것이 아니다. 嫩綠技頭紅一點, 動人春色不須多 장자의 호접몽을 꾸는 가운데서도 고향은  만리 저 멀리 떨어져 있다. 蝴蝶夢中家萬里 꽃잎 밟으며 돌아오는 말발굽 아래에서 꽃 향내 풍겨 오고 있다. 踏花歸去馬蹄香 陳善 《捫蝨新語》, 鄧椿《畵繼》 참조
송원 산수의 意境 북송시대와 남송시대의 비교 북송 남송 매우 정교하고 세밀하며, 선택적임. 취사선택, 미세한부분에 대한 충실한 묘사 시의의 추구 총체적, 다의적 풍부하고 미세하지 않음 지나칠 정도로 복잡하고 번거로움
송원 산수의 意境 남송시대의 산수화 ▣ P.432 송화소품 宋畵小品
송원 산수의 意境 마원과 하규 ■ 마원 - 12세기 말∼13세기 초(光宗∼寧宗)의 화원(畵院) 대조(待詔). 호 흠산(欽山). 이당(李唐), 유송년(劉松年), 하규(夏珪)와 더불어  송실(宋室) 남도후(南渡後)의 4대가로 불렸고 하규와 같이 남송 후반기의 원체산수화(院體山水畵)를 대표한다.  ▣ 마원 <수도水圖> 두루마리. 비단에 담채. 26.8*41.6 다른 계절과 다른 지역에  따른 물결의 무늬 묘사 ,[object Object],12폭 중 1폭
송원 산수의 意境 마원과 하규 ▣ 마원 <화등시연도>  송 비단에 채색 125.6*46.7 대북
송원 산수의 意境 마원과 하규 ■ 하규 - 자 우옥(禹玉). 저장성[浙江省] 항저우[杭州] 출생. 이당(李唐) ·유송년(劉松年) ·마원(馬遠)과 함께 원체산수화(院體山水畵)를 대표하는 화가로 이당의 양식을 이어받아 창로(蒼老)라는 평을 받음 ▣ 하규 <풍우주행도> 남송 지본수묵                           23.9*25.1 보스턴 미술관
송원 산수의 意境 마원과 하규 ▣ 하규 <계산청원도溪山淸遠圖> 두루마리.종이에 수묵. 46.5*889.1 가로로 그려진 두루마리 그림. 산골짜기를 흘러내리는 강과 두  언덕을 묘사 ‘이당李唐’의 영향을 받아 ‘부벽준’의 준법을 사용
송원 산수의 意境 유아지경? 무아지경? ■ 기원  - 첫 번째 의경과 상대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유아지경!!!! 예술가의 주관적 정서,관념이 보다 크게, 그리고 직접적으로 드러남 - 하지만 다음 단계와 상대적인 측면에서 비교하여 본다면, 무아지경 !!!! 대상에 대한 충실한 묘사에 있어서나, 주관적인 감정, 관념을 토로한다는 점에서  비교적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 시의의 추구와 감정의 발산이 아무리 북송시대의  산수보다 훨씬 더 의식적이고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역시  자연경관에 대한 충실한 재현이라는 전제 >     그러므로 이것은 무아지경에서 유아지경으로 이르는 과도기적 과정 >    미세한 부분의 진실한 묘사를 중요시하면서도   그와 함께 그 안에 담긴 시의, 두가지 모두를 중요시함
송원 산수의 意境 SUMMARY ■ 북송시대에서 남송시대를 거쳐, 원시대에 이르기까지 산수화의 변화과정 중 북송후기와 남송시대의 경우  북송 전기 북송 후기 남송 원 무아지경 유아지경 무아지경과  유아지경의 과도기 객관적 태도 세심한 묘사 주관적 정서 ‘시의의 추구’
송원 산수의 意境 Contents 有我之境 4     유아지경  1      원대 회화의 성립 배경 2      원대 회화의 특징 3 산수화의 흐름과  시경. 사경, 곡경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성립 배경 1) 원대 사회상 반영 원시대 ,[object Object],북송.남송시대 ,[object Object],시간,정력,감정,사상 등을 문학, 예술에 소비하면서 산수화에도 관심 >   대부분 감상적이며 고독한 분위기를 나타내어  혼란한 시대의 정서를반영함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성립 배경 2) 문인화의 발달  중앙  - 송시대의 궁정화원의 몰락  지방  - 문인들의 사회적 지위 하락 >  관직에 나가지 못하고 은둔하면서 시서화에 심정을 의탁 및 표현 >  시서화를팔아 생활하는 문인들의 수 증가 >   문인화는 원대 회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됨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원대 화가의 1인 3역 ?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1) 서예가로서의 특징 서예가로서의 특징 ●필묵에 대한 강조  _ 대상에 대한 의존성 탈피, 색채와 선으로부터 회화의 아름다움을 구함 ●정신적 경지, 기운, 흥취의 표현 ●서예와 회화의 결합 _ 정화된 심미 취향과 미적 이상의 표현 (의미있는 형식) >  선의 아름다움 ● 필묵의 운치를 수묵으로 그린 묵죽화, 묵매화, 묵난화가 유행 오진 <묵죽도> 왕면<묵매도>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2) 시인으로서의 특징 2) 시인으로서의 특징 ●  회화와 시의 조화 및 보완 추구 >  구도 : 화면상의 비중 높음, 균형 및 안정감, 심미성 강화 (공통점 : 선의 아름다움)               분위기와 변화를 강조, 침착함/선명함/힘참을 강조 >  의미 : 시의 내용과 회화의 속뜻이 상승작용     cf. 남송 시대까지는 화면에서 부수적인 역할. 회화가 주를 이룸. 조맹부<작화추색도>
송원 산수의 意境 무아지경 vs유아지경 원대회화의 특징 – 3) 화가으로서의 특징 ‘유아지경’ 3) 화가로서의 특징 유아지경? ●객관적 대상의 충실한     재현 ●정교하고 다양한 자연정물 ●불능부진 (끝없는 경지) ●세련되고    깊이 있는 필묵 ●예술가의 주관적 심정과 관념전달 ●소소담아 (주관적 심정 전달 – 쓸쓸함, 맑음, 우아함…) 정신, 주관 형태, 대상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3) 화가로서의 특징 ‘유아지경’ ■ 산수표현의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면을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담담하고 초탈한 분위기에 작가의 심리상태나 감정까지도 표출해낸 원시대의 대표작품 예찬 <용슬재도> 황공망<부충산거도>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그 외 유명 작품들 오진 <어부도> 황공망<부춘대령도> 왕몽<청변은거>
송원 산수의 意境 산수화의 흐름 1) 송대와 원대 회화의 비교 송대vs원대 귀조화, 이, 법 신 형태의 객관적 묘사 법심원, 취, 흥,  사의예술가의 정서, 개성 표현, 낭만주의 성향
송원 산수의 意境 산수화의 흐름 송대 회화의 작품 이성 <무림원수도>
송원 산수의 意境 산수화의 흐름 원대 회화의 작품   예찬 <육군자도>
송원 산수의 意境 산수화의 흐름 2) 명청시대의 산수화 ,[object Object]
 예술가의 개성, 특징이 매우 선명하게 나타나기 시작청시대의 산수화 명시대의 산수화 동기창 <추흥팔경도> 석도 <여산관폭도>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9805大坑有事 現況與計畫執行項目 981027 1
9805大坑有事 現況與計畫執行項目 981027 19805大坑有事 現況與計畫執行項目 981027 1
9805大坑有事 現況與計畫執行項目 981027 1科幻嘴泡
 
2009/09/21專題期中報告
2009/09/21專題期中報告2009/09/21專題期中報告
2009/09/21專題期中報告bozhang1220
 
980226投影片
980226投影片980226投影片
980226投影片thdl
 
9494 威廉的洋娃娃
9494 威廉的洋娃娃9494 威廉的洋娃娃
9494 威廉的洋娃娃珮容 簡
 
守候日記 980324 網路版
守候日記 980324 網路版守候日記 980324 網路版
守候日記 980324 網路版guestabef659
 
98射擊成績
98射擊成績98射擊成績
98射擊成績rainlan
 
980430國票期貨台指盤後分析
980430國票期貨台指盤後分析980430國票期貨台指盤後分析
980430國票期貨台指盤後分析guest92ee6e
 
98橄欖球成績
98橄欖球成績98橄欖球成績
98橄欖球成績rainlan
 
管理學971企訪A班第3組
管理學971企訪A班第3組管理學971企訪A班第3組
管理學971企訪A班第3組祐承 鄭
 
9535037 41寐影 數位學習期中
9535037 41寐影 數位學習期中9535037 41寐影 數位學習期中
9535037 41寐影 數位學習期中u9535041
 
9686 S07 Er
9686 S07 Er9686 S07 Er
9686 S07 Erniazi007
 
97追求卓越獎得獎人-鍾家政組長簡報
97追求卓越獎得獎人-鍾家政組長簡報97追求卓越獎得獎人-鍾家政組長簡報
97追求卓越獎得獎人-鍾家政組長簡報5045033
 
960530中央通識講座 社區大學與社區公共議題經營
960530中央通識講座 社區大學與社區公共議題經營960530中央通識講座 社區大學與社區公共議題經營
960530中央通識講座 社區大學與社區公共議題經營MJ7062
 
97 Options Taiwan broadband network routers use status survey
97 Options Taiwan broadband network routers use status survey97 Options Taiwan broadband network routers use status survey
97 Options Taiwan broadband network routers use status surveyJack Chen
 
9535015 E-learning
9535015 E-learning9535015 E-learning
9535015 E-learningu9535015
 
管理學971商訪A班第8組
管理學971商訪A班第8組管理學971商訪A班第8組
管理學971商訪A班第8組祐承 鄭
 
教灶部99年第一屆祖父母節系列活動資料手冊
教灶部99年第一屆祖父母節系列活動資料手冊教灶部99年第一屆祖父母節系列活動資料手冊
教灶部99年第一屆祖父母節系列活動資料手冊文化大學
 
το παράπονο της λήδας φυλλάδιο (9)
το παράπονο της λήδας φυλλάδιο (9)το παράπονο της λήδας φυλλάδιο (9)
το παράπονο της λήδας φυλλάδιο (9)marianna angelopoulou
 

Viewers also liked (20)

9805大坑有事 現況與計畫執行項目 981027 1
9805大坑有事 現況與計畫執行項目 981027 19805大坑有事 現況與計畫執行項目 981027 1
9805大坑有事 現況與計畫執行項目 981027 1
 
2009/09/21專題期中報告
2009/09/21專題期中報告2009/09/21專題期中報告
2009/09/21專題期中報告
 
980226投影片
980226投影片980226投影片
980226投影片
 
9494 威廉的洋娃娃
9494 威廉的洋娃娃9494 威廉的洋娃娃
9494 威廉的洋娃娃
 
守候日記 980324 網路版
守候日記 980324 網路版守候日記 980324 網路版
守候日記 980324 網路版
 
98射擊成績
98射擊成績98射擊成績
98射擊成績
 
980430國票期貨台指盤後分析
980430國票期貨台指盤後分析980430國票期貨台指盤後分析
980430國票期貨台指盤後分析
 
98橄欖球成績
98橄欖球成績98橄欖球成績
98橄欖球成績
 
管理學971企訪A班第3組
管理學971企訪A班第3組管理學971企訪A班第3組
管理學971企訪A班第3組
 
9535037 41寐影 數位學習期中
9535037 41寐影 數位學習期中9535037 41寐影 數位學習期中
9535037 41寐影 數位學習期中
 
9686 S07 Er
9686 S07 Er9686 S07 Er
9686 S07 Er
 
97追求卓越獎得獎人-鍾家政組長簡報
97追求卓越獎得獎人-鍾家政組長簡報97追求卓越獎得獎人-鍾家政組長簡報
97追求卓越獎得獎人-鍾家政組長簡報
 
960530中央通識講座 社區大學與社區公共議題經營
960530中央通識講座 社區大學與社區公共議題經營960530中央通識講座 社區大學與社區公共議題經營
960530中央通識講座 社區大學與社區公共議題經營
 
97 Options Taiwan broadband network routers use status survey
97 Options Taiwan broadband network routers use status survey97 Options Taiwan broadband network routers use status survey
97 Options Taiwan broadband network routers use status survey
 
9535015 E-learning
9535015 E-learning9535015 E-learning
9535015 E-learning
 
管理學971商訪A班第8組
管理學971商訪A班第8組管理學971商訪A班第8組
管理學971商訪A班第8組
 
94iFitness
94iFitness94iFitness
94iFitness
 
教灶部99年第一屆祖父母節系列活動資料手冊
教灶部99年第一屆祖父母節系列活動資料手冊教灶部99年第一屆祖父母節系列活動資料手冊
教灶部99年第一屆祖父母節系列活動資料手冊
 
95444
9544495444
95444
 
το παράπονο της λήδας φυλλάδιο (9)
το παράπονο της λήδας φυλλάδιο (9)το παράπονο της λήδας φυλλάδιο (9)
το παράπονο της λήδας φυλλάδιο (9)
 

Similar to 9조 9장 송원산수의_원류(수정본)[1]

추사를넘어
추사를넘어추사를넘어
추사를넘어Kevin Kim
 
문학작품 자립적분석
문학작품 자립적분석문학작품 자립적분석
문학작품 자립적분석nalragaja
 
1조 시경과 만엽집
1조 시경과 만엽집1조 시경과 만엽집
1조 시경과 만엽집윤하 이
 
1조 시경과 만엽집
1조 시경과 만엽집1조 시경과 만엽집
1조 시경과 만엽집윤하 이
 
천손민족역사 11151년
천손민족역사 11151년천손민족역사 11151년
천손민족역사 11151년Sang-kyu Lee
 
Russian fables (러시아 동화, 우화)
Russian fables (러시아 동화, 우화)Russian fables (러시아 동화, 우화)
Russian fables (러시아 동화, 우화)Gi Deok Kim
 
1314 염규하-만흥
1314 염규하-만흥1314 염규하-만흥
1314 염규하-만흥규하 염
 
[중국여행] 정주 낙양 역사테마기행(2012)
[중국여행] 정주 낙양 역사테마기행(2012)[중국여행] 정주 낙양 역사테마기행(2012)
[중국여행] 정주 낙양 역사테마기행(2012)Mal-Yong Yoon
 
沸流百濟 小考
沸流百濟 小考沸流百濟 小考
沸流百濟 小考Soojin Shin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Seungtaek Kim
 
땡땡해방 정민
땡땡해방 정민땡땡해방 정민
땡땡해방 정민prdgy
 
제주 삼성신화
제주 삼성신화제주 삼성신화
제주 삼성신화이 도윤
 

Similar to 9조 9장 송원산수의_원류(수정본)[1] (13)

추사를넘어
추사를넘어추사를넘어
추사를넘어
 
문학작품 자립적분석
문학작품 자립적분석문학작품 자립적분석
문학작품 자립적분석
 
1조 시경과 만엽집
1조 시경과 만엽집1조 시경과 만엽집
1조 시경과 만엽집
 
1조 시경과 만엽집
1조 시경과 만엽집1조 시경과 만엽집
1조 시경과 만엽집
 
천손민족역사 11151년
천손민족역사 11151년천손민족역사 11151년
천손민족역사 11151년
 
Russian fables (러시아 동화, 우화)
Russian fables (러시아 동화, 우화)Russian fables (러시아 동화, 우화)
Russian fables (러시아 동화, 우화)
 
1314 염규하-만흥
1314 염규하-만흥1314 염규하-만흥
1314 염규하-만흥
 
[중국여행] 정주 낙양 역사테마기행(2012)
[중국여행] 정주 낙양 역사테마기행(2012)[중국여행] 정주 낙양 역사테마기행(2012)
[중국여행] 정주 낙양 역사테마기행(2012)
 
沸流百濟 小考
沸流百濟 小考沸流百濟 小考
沸流百濟 小考
 
동명일긔
동명일긔동명일긔
동명일긔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땡땡해방 정민
땡땡해방 정민땡땡해방 정민
땡땡해방 정민
 
제주 삼성신화
제주 삼성신화제주 삼성신화
제주 삼성신화
 

9조 9장 송원산수의_원류(수정본)[1]

  • 1. 9조 제 9장 송원 산수의 의경意境 송원 산수의 원류 무아지경無我之境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描寫와 시의詩意의 추구 유아지경有我之境 9조
  • 2. 송원 산수의 意境 Contents 송원 산수의 원류 육조시대 ▷ 수·당 시대 (성당, 중당시대) ▷ 송시대의 산수화의 원류 1 심미 취향 2 미학 이상 변화의 원인 3
  • 3. 송원 산수의 意境 산수화의 원류 ■ 기원 _ 산수화의 원류는 유구 _ 육조시대(남북조시대)에 이미 산수에 관해 논의한 화론 및 묘사 1) 역대명화기 歷代名畵記 : 835년경에 만들어진 회화사서 (繪畵史書) 그 산수를 그린다고 하는 것이, 군봉의 기세는 마치 비녀 같은 장식품이나 물소 뿔로 만든 빗과 같았다. 어떤 그림은 강물 을 그린다고 하는 것이 배를 띄울 수조차 없게 그리고 있었고, 또 어떤 그림은 산을 그린다고 하는 것이 사람보다 더 작게 그리고 있었다. (중략) ▣ ‘산수시’의 구제적 묘사 「산봉우리가 높고 험준하며 물안개 서려있는 수풀은 깊고 그윽하다 峰岫嶢嶷, 雲林森渺」 (종병宗炳<畫山水序>) > 당시의 산수화는 형상·기법·구도를 막론하고 대체로 당시의 산수시山水詩 수준보다 더 낮은 처지 > 사실과 부합. 아직 독립된 심미의의(審美意義)를 지닌 산수풍경화라고 말하기 어려움
  • 4. 송원 산수의 意境 육조 시대 2) 고개지의[낙신부도 落神賦圖] : 서진의 장화라는 문인이 쓴 ‘여사잠’이란 문장을 고개지가 회화한 작품 ▣ 조식 앞에 나타난 낙수 옆의 여신 형상화 송대 모본, 비단에 채색, 27.1X572.8cm 북경 고경박물원
  • 5. 송원 산수의 意境 육조 시대 3) 고개지의[여사잠도女史箴圖] : 서진의 장화라는 문인이 쓴 ‘여사잠’이란 문장을 고개지가 회화한 작품 ▣ 여사잠도에서 상징성이 뛰어난 여섯 번째 장면 당대 모본, 비단에 채색, 25X349cm, 영국런던대영박물관
  • 6. 송원 산수의 意境 육조 시대 4) 돈황벽화 : 돈황석굴예술– 건축, 조각, 벽화가 하나로 어우러진 입체예술 ▣ 돈황벽화 중
  • 7. 송원 산수의 意境 수·당 시대 1) 수·당시대 _ 이전 시대에 비해 좀 더 발전> 사실과 부합. 아직 독립된 심미의의(審美意義)를 지닌 산수풍경화라고 말하기 어려움 > 그 변화는 그다지 크지 않음 ▣ 전자건유춘도(展子虔游春圖) : 위작일 가능성 결코 수대의 작품은 아님
  • 8.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성당시대 _ 중요한 상황의 변화 기점 ■ 오도자 吳道子 _ 본명 : 오도현. 불당에 벽화(종교화)를 그린 화가 _ 산수화에서 중대한 독창적 화풍 산수영역에서 하나의 새로운 영역 개척 > 오대당풍 (吳帶當風) : 선線의 예술 ▣ 기록 및 일화 산수화의 변화는 오도자(吳道子)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이간지(李柬之)와 이수(李受)에 이르러 비로소 완성을 보게 되었다. 山水之樂, 이사훈(李思訓)의 그림은 수 개월의 공을 들인 결과이며, 오도자의 그림은 하루 만에 이루어진 그림이다. 그려진 그림 속에 가로막힌 바가 있더라도, 밤이 되면 그림 속에서 강물 소리가 들린다. 所 ·장언원<역대명화기 歷代名畵記> 오도자는 그림을 그릴 때마다 일단 붓을 잡으면 거침없이 그려나갔다. 염琰(옥의 일종)과 장장포張藏布(베의 일종)의 색깔을 많이 사용하였다. > 선을 중시하고 색채를 중시하지 않는 본질적인 경향은 산수영역에까지 확산되기 시작 후세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영향을 미침
  • 9.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오도자 吳道子 > 오대당풍 (吳帶當風) : 선線의 예술 : 옷이 모두 바람에 휘날리는 것 같은 표현 ▽ 오도자, 송자천왕도
  • 10.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중당시대 전후 ① 사회생활의 현격한 변화 및 종교의식의 점진적 쇠퇴 : 기존 불교 -> 선종(자연에 대한 태도 ② 자신의 현실적 성격을 지닐 수 있게 됨 ④ 인물人物(장훤張萱·주방周肪) ·우마 牛馬(한황韓滉·한우 韓千)가 종교예술로부터 분화 전문적인 화가를 배출시키게 되었던 것과 마찬가지 _ 그 당시 사회생활에서는 특히 인물·소(농업사회의 주요 생산도구)·말(전쟁·수렵·거기車騎의 도구, 상류사회 인사들이 사랑하던 대상) 현실적인 제재로써 산수경물보다 확고한 지위 차지 > 인물우마 등이 독립적으로 심미의의를 가지는 예술의 중요 제재로 형성 > 산수경물은 인물(사녀仕女 등)·우마에 비해 예술의 중요 제재로서 훨씬 더 뒤늦게 성숙한 수준 형성
  • 11.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중당시대 전후 _인물우마 등이 독립적으로 심미의의를 가지는 예술의 중요 제재로 형성 △ 장화 사녀도, 주방, 당대 △ 우마도 (유하백마도, 윤두서, 조선후기)
  • 12. 송원 산수의 意境 당 시대 ■ 중당시대 전후 _그 후에인물(사녀仕女 등)·우마 ->산수·수석·화조로 옮겨가서 산수·수석·화조가 독립된 심미의 대상이 되어 묘사·찬미 ▣ 시구 거대한 집 뒤로는 단풍나무가 엇비껴 자라나고 산과 강 부근에는 하얀 물안개가 한없이 번져가고 있다. 堂上不合生楓樹, 怪底江山起烟霧 (杜甫) 장조張璪가 소나무와 바위산을 그릴 때면, 흔히 정신과 기골의 깊은 경지를 나타나곤 하였다. 章璪畵松石, 往往得 骨 (元槇) 1) 성당에서 중당에 이르는 사이에 자연경관, 산수, 수석에 대한 취향/감상/미적 개념 이 이미화면의 독립된 복제複製를 지향 2) 자신의 독자적인 성격 간직 3) 단지 인사의 배경/환경이 더 이상 아님을 표명 > 산수화가 진정한 의미에서 독립
  • 13.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변화의 원인 -1) 역사의 진행과정 및 사회의 변천 ■ 역사의 진행과정 & 사회의 변천 _ 봉건제도의 변화 _ 지주 사대부들의 세력 확장 ▣ 새로운 세력, 지주 사대부 - 중· 만당 시대의 성색·번화에 젖어 들게 된 이후로, 사대부들은 이와 같은 탐닉을 즐기는 한편, 새로운 미(美)의 세계를 모색 - 산수풍경은 더 이상 소수 문벌귀족이 아니게 된 수많은 세속 지주 사대부들이 거주·휴식하는 환경이 됨 - 사대부들은 일종의 기득권에 만족하고 있었으며, 모든 봉건농촌을 이상화하고 목가화한 생활, 정서, 관념을 오래도록 유지하길 바람 곽희, 조춘도 (早春圖)▽ 미불(米不), 춘산서송도(春山瑞松圖) ▽ 범관(范寬), 계산행려도(溪山行旅圖) ▽
  • 14.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 곽희, 조춘도(早春圖) : 초봄의 충만한 기운 표현한 작품. <곽희(郭熙), 임천고지(林泉高致) 中> 태평성세를 맞아 군신·부자 사이의 심경이 모두 융화를 이루고 있다… 그런즉 임천지지나 연하지려는 몽매에도 잊지 못하는 바이지만, 귀로 듣지 못하고, 눈으로 보지 못한다. 원성조제가 마치 귓가에서 들리는 듯하다. 산광수색이황양히 눈부신 듯하다. 이 어찌 사람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고, 나의 마음의 차됨을 얻게 하는 바가 아니겠는가? 이것이 세상에서 산수 그리기를 귀히 여기는 그 본래의 뜻이다. 송(宋), 수묵담채, 158.3cm×108.1cm, 대만 고궁박물관 소장
  • 15.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범관(范寬) 계산행려도(溪山行旅圖) 북송(北宋), 족자비단에 담채, 206.3×103.3㎝, 대북 고궁박물관 소장 ▽ 미불(米不), 춘산서송도(春山瑞松圖) 북송(北宋), 종위 위에 수묵, 35×44.1㎝, 대북 고궁박물관 소장
  • 16.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 역사의 진행과정 & 사회의 변천 _ 봉건제도의 변화 _ 지주 사대부들의 세력 확장 ▣ 세속 지주 사대부가 바라본 자연 및 농촌 생활 - 자연과 사대부는 자적·휴식·소극적 정관의 관계 - 사대부는 농촌 생활의 점유자와 감상자의 입장에서 자연을 바라봄 - 인간과 자연의 기쁨·친화·목가적 평온 및 정적이 중국 산수화의 본질적 흐름을 이룸 (봉건 농촌의 모습을 이상화) 오진(吳鎭), 어부도(漁父圖) ▷ 원(元), 비단채색 176.1×95.6㎝대북 고궁박물관 소장
  • 17. 송원 산수의 意境 심미 취향 ▽ 마원(馬遠), 산경춘행도(山徑春行圖) 오진(吳鎭), 어부도(漁父圖) ▷ 맑고 청정한고 고요한 산수 속에서 낚싯대를 들이대거나, 정박한 배에 한적한 모습,그리고 유유자적한 정경 : 화창한 봄 꾀꼬리 한 마리가 버들 나무 사이를 맴돌고 선비가 유유자적하게 거닐며 그 뒤에 시동이 거문고를 들고 따르는 정경
  • 18. 송원 산수의 意境 미학이상 변화의 원인 – 2) 선종의 영향 ■ 철학사조 (선종)의 영향 ▣ 철학사조 (선종) - 중당·만당시대로부터 북송시대에 이르는 동안 유행및점차 종파가 많아짐 다른 불교 종파들과의 경쟁에서 압승 !!! - 선종의 교의는 노장철학의 자연에 대한 태도와 비슷함 - 준범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자신과 자연이 일체가 되도록 요구함 순식간에 사라지는 인간세계의 부귀영화 영원히 존재하는 자연·산수
  • 19. 송원 산수의 意境 미학이상 변화의 원인 1) 역사적 & 사회적 변화 : 지주 사대부의 세력확장 2) 철학사조 (선종)의 영향 ▣ 세속 지주 사대부의 자연·농촌에 대한 태도 ▷세속 지주 사대부 - 과거시험 출신, 재야에서 조정으로 나아감 / 농민(부농, 지주)에서 관리로, 시골로부터 도시로 올라감 - 구산(丘山)·계학(溪壑)·촌거(村居)는정서적 측면에서 회상이나 추구의 대상이 되어감 - 자연과 사대부는 자적·휴식·소극적 정관의 관계 / 사대부는 농촌 생활의 감상자의 입장에서 자연을 바라봄 - 인간과 자연의 기쁨·친화·목가적 평온 및 정적이 중국 산수화의 본질적 흐름을 이룸 (봉건 농촌의 모습을 이상화) > 중국 산수화는 문벌귀족들의 예술이 아니라 세속지주들의 예술 !!!! 송·원 산수화가 표현하였던 제재, 주장, 사상은 육조시대에서 당대에 이르기까지의 인물화에 비하여 훨씬 깊이 있는 평민성과 보편성을 지니고 있음 > 심미취향이 구체적인 인사, 사녀, 우마로부터 자연대상, 산수화조로 옮겨가게 됨
  • 20. 송원 산수의 意境 송 시대 육조시대 종교화 宗敎畵 이후 중당시대사녀仕女·우마 牛馬가 중당시대 이후로 그림의 주체 & 절정을 이룸 송시대산수·화조의 성숙과 절정 ▣ 송대인들의 평 만약 불도佛道·인물人物·사녀仕女·우마牛馬에 대하여 말한다면, 지금의 그림이 고대의 그림보다 못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산수山水·인석林石·화죽花竹·금조禽鳥에 대하여 말한다면, 고대의 그림이 지금의 그림보다 못할 것이다. 郭若虛<圖畵見聞志> 본조本朝의 산수를 그리는 학문의 경지는 고금에 으뜸일 것이다. 邵博 <聞見後錄> 추강대도도, 북송작품 ▷
  • 21. 송원 산수의 意境 SUMMARY ■ 산수의 원류 송시대 육조시대 수시대 성당시대 중당시대 ·산수화의 성숙 및 절정 ·좀더 발전 크지 않은 변화 ·독창적 화풍 새로운 영역 개척 ·독립된 심미의 대상 > 찬미/묘사 ·산수시보다 낮은 처지 ■ 심미취향의 변화의 원인&변화 주관적 요소·선종의 유행 > 노장철학, 자연에 대한 태도 강조 지주 사대부의 새로운 美 탐구 자연풍경 · 산수화조 [ 중당시대~ 북송시대 진입 시기 ] 구체적 인사 ·사녀·우마 자연대상 ·산수화조
  • 22. 송원 산수의 意境 Contents 2 무아지경 無我之境 진실한 묘사 1 기운생동 氣韻生動 2 無我의 경지 3
  • 23. 송원 산수의 意境 이성李成, 관동關仝,범관范寬의 진실한 묘사 ■ 북송시대의 산수화는 이성, 관동, 범관 세 사람을 그 중요한 대표적 인물로 삼고 있음 - 송초 산수화의 세 가지 풍격을 대표한다. - 풍격의 차이가 나는 이유: 자기 자신에게 익숙한 지역의 환경에 대한 진실한 묘사로부터나온 결과 ▣ 이성의 무림원수도 ▣ 관동의 관산행려도 ▣ 범관의 설산소사도
  • 24.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이성李成, 관동關仝,범관范寬의 진실한 묘사 기상이 쓸쓸하고 노을 속의 수풀이 맑게 확 트인 것은, … … 영구(이성)의 산수화 제작방식 ▣ 이성李成의 무림원수도武林遠岫圖
  • 25.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이성李成, 관동關仝,범관范寬의 진실한 묘사 바위산의 모습이 굳고 단단하며 잡목이 무성하게 우거진 것은, … … 관씨의 산수화 풍모이다. 산봉우리가 혼후하고 기세가 웅장하고 강건한 것은, … … 범씨의 산수화 작풍이다. ▣ 범관范寬의 설산소사도雪山蕭寺圖 ▣ 관동關仝의 관산행려도關山行旅圖
  • 26.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형호荊浩와 기운생동 氣韻生動 ■ 이성, 관동, 범관 세 사람은 오대의 화가 형호 로부터 배웠다고 한다. ■형호는 그가 묘사하려는 자연경관을 완전히 숙지하는 데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 객관적 묘사 ■형호는 사혁의 인물화에 관한 <육법>의 영향을 받아 산수화의 <육요六要>를 제시했다. 그 핵심은 형사形似의 기초 위에서 자연대상의 생명을 표현해야 한다는 것. 형호 荊浩: 중국 당나라 말에서 오대(五代) 후량(後梁)의 화가(?~?). 오대의 난세를 피하여 태행산(太行山)의 홍곡(洪谷)에 은거하여 그림에 전념하였다. 은거지의 산수를 실제로 사생하여 송나라 이후의 산수화풍의 기초를 닦아 놓았다. 태행산은… … 그 기이함에 놀라게 된다. 두루 감상하였다. 그 다음날 붓을 휴대하고 다시금 찾아가서 그렸다. 그렇게 그린 그림들이 모두 수만 본이나 되는데, 모두 그 진경과 같았다. 그림이란 무언가를 그리는 것을 말함이다. 사물의 형상을 헤아려 그 참된 모습을 취하려 한다. 억지로 비슷하게 그려나가기는 쉽다. 그러나 참된 모습을 그려나간다는 것을 그리 쉽게 도달할 수 있는 경지가 아니다. >내재적 기질까지 표현
  • 27.
  • 28. 내제적진실초새楚塞는 삼상三湘의 흐름과 서로 접하여져 있고, 형문荊門은 구파九派의 흐름과 서로 통하고 있다. 강물은 천지 저 밖으로 아득히 흘러가고 있고, 산색은 있는 듯하기도 하고 없는 듯하기도 하다. 군의 색채는 앞의 물가에서 어른거리고 있고, 큰 물결 작은 물결은 먼 하늘을 움직인다. 양양襄陽은 지금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있으니, 이를 남겨두었다가 산옹山翁과 더불어 함께 취하리라.
  • 29.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無我의 경지 ■ 무아?예술가의 사상 감정이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심지어 예술가가 창작활동을 하고 있는 중에서도 결코 자각하거나 의식하지 못한다는 뜻 -시의, 감정 사상을 의도적으로 표현 X - But 객관적, 전체적 묘사 - So 주제와 사상이 대범,광할, 다의적, 풍부 ■ 그림에서의 무아지경은 아예 글자로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시에 비하여 더욱 대범 ▣ 도연명(陶淵明: 365 - 427)의 음주(飮酒) 아득히 멀리 보이는 마을, 석양 속에 어른거리는 동네. 개들은 골목 깊은 곳에서 짖고 있고, 닭들은 뽕나무 꼭대기 위에서 울고 있다. 동쪽 울타리 아래서 국화를 꺾어들다, 문득 유연히 남산을 바라본다. 산기운이 아침저녁으로 상쾌하다. 날새들이 서로 떼를 지어 보금자리로 돌아오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 중에 사상 감정 관념이 담겨 있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여전히 선명히 목가적 봉건 사대부들이 누리고 있었던 미적이상과 감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을 마주 대하고 있노라면, 마치 환상 속에서 거대하고 진실한 산수를 바라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러나 그 역시 사실이 아니며, 소농업 생산사회 속에 놓여져 있는 지주사대부들이 이상화의 경지로 만들어 놓았던 산수를 바라보고 있는 것일 뿐이다.’ 본문 p424 첫째 줄부터
  • 30.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無我의 경지 ▣ 범관范寬의설경한림도雪景寒林圖
  • 31.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無我의 경지 ■ 우리가 느끼는 자연미에 대한 감상, 느낌은 매우 판이하게 다를 것인데, 이는 바로 우리들이 동원이나 범관의 그림을 바라보는 것과 마찬가지의 경우 ▣ 동원董源의 소상도瀟湘圖
  • 32. 송원 산수의 意境 송원 산수의 意境 SUMMARY 원 남송 북송 ■ 중국 산수화의 첫 번째 의경:무아지경 !!! ■ 순수하고 객관적인 듯 자연을 묘사 &내재적 진실 까지 표현 ■ 전반적 &총체적.그러므로 다의적
  • 33. 송원 산수의 意境 Contents 3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와 시의의 추구 시대적 상황 1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 2 3 시의의 추구 북송시대와 남송시대의 차이점 4 마원과 하규 5 유아지경? 무아지경? 6
  • 34. 송원 산수의 意境 시대적 상황 ■ 송대 - <위대한 문화의 시대 鬱鬱平文哉> - 아마 중국 고대사에 있어서 문화가 가장 발달하였던 시기. - 회화예술에 있어서 미세한 부분에 대한 충실한 묘사와 시의의 추구는, 본질적으로는, <태평성세>속에서 발전하게 된 심미취향과 부합. - 현실생활에서 우러난 것이 아니라, 주로 서면시사書面詩詞(지면에 기록한 시,사) 가운데서부터 시의를 탐색하는 것 - 이는 비록 우아하기는 하나 섬세할 수 밖에 없는 성격을 띠고 있음 - 북송 후기에 이미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남송원체南宋院體에 이르러 최고의 수준과 최적의 상태에 도달함. - 북송 전기 산수화와 매우 다른 특이한 유형의 예술적 경지를 창조. ■ 고화단의 지배적인 권위를 지니고 있던 원체화파院體畵派의 작풍과 깊은 관계 ■ 제왕을 기쁘게 하여주는 것이 목적이고, 황제도 직접 창작활동에 참가하였던 북송의 궁정화원은 한가로움과 우월함을 극도로 누리고 있던 조건하에서, 미세한 부분을 추구하는 생생한 사실寫實의 경지를 최고의 수준에 이르게 할 정도로 발전시킴
  • 35. 송원 산수의 意境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 ■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 - 문인묵화文人墨畵가 생겨나고 있더라도, 상행하효上行下效(상층계급의 행위를 하층계급이 본받아 뒤따라감)의 영향 - 이와 같은 미세한 부분의 충실한 묘사에 대한 추구는 화단의 중요한 추세와 취향이 됨 공작새가 하늘 높이 날때 孔雀升高 반드시 왼쪽 다리부터 든다 必先擧左 사계절과 사시의 아침저녁을 논한다 論月季四時朝暮 꽃, 꽃술, 꽃잎은 그 모습이 제각기 다르다 花蕊葉不同 鄧椿《畵繼》 참조
  • 36. 송원 산수의 意境 시의의 추구 ■ 화원의 또 하나의 심미취향,시의의 추구 - 왕유에 있어서 이미 <화중유시畵中有詩>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음 - 그러나 일종의 수준높은 심미이상과 예술취향의 자각적 제창이 갈수록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는 미학적 기준이 되어갔던 것임 - 화원花院에서 시구詩句를 사용하여 화제畵題를 삼고 고시考試를 실시하였음 - 화면에서의 시의추구詩意追求는 중국 산수화의 의식적意識的인 중요한 요구사항 부드럽고 푸른 가지 끝에 붉은 꽃 한 송이 피어있다. 사람을 감동케 하는 봄빛은 많아야 좋은 것이 아니다. 嫩綠技頭紅一點, 動人春色不須多 장자의 호접몽을 꾸는 가운데서도 고향은 만리 저 멀리 떨어져 있다. 蝴蝶夢中家萬里 꽃잎 밟으며 돌아오는 말발굽 아래에서 꽃 향내 풍겨 오고 있다. 踏花歸去馬蹄香 陳善 《捫蝨新語》, 鄧椿《畵繼》 참조
  • 37. 송원 산수의 意境 북송시대와 남송시대의 비교 북송 남송 매우 정교하고 세밀하며, 선택적임. 취사선택, 미세한부분에 대한 충실한 묘사 시의의 추구 총체적, 다의적 풍부하고 미세하지 않음 지나칠 정도로 복잡하고 번거로움
  • 38. 송원 산수의 意境 남송시대의 산수화 ▣ P.432 송화소품 宋畵小品
  • 39.
  • 40. 송원 산수의 意境 마원과 하규 ▣ 마원 <화등시연도> 송 비단에 채색 125.6*46.7 대북
  • 41. 송원 산수의 意境 마원과 하규 ■ 하규 - 자 우옥(禹玉). 저장성[浙江省] 항저우[杭州] 출생. 이당(李唐) ·유송년(劉松年) ·마원(馬遠)과 함께 원체산수화(院體山水畵)를 대표하는 화가로 이당의 양식을 이어받아 창로(蒼老)라는 평을 받음 ▣ 하규 <풍우주행도> 남송 지본수묵 23.9*25.1 보스턴 미술관
  • 42. 송원 산수의 意境 마원과 하규 ▣ 하규 <계산청원도溪山淸遠圖> 두루마리.종이에 수묵. 46.5*889.1 가로로 그려진 두루마리 그림. 산골짜기를 흘러내리는 강과 두 언덕을 묘사 ‘이당李唐’의 영향을 받아 ‘부벽준’의 준법을 사용
  • 43. 송원 산수의 意境 유아지경? 무아지경? ■ 기원 - 첫 번째 의경과 상대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유아지경!!!! 예술가의 주관적 정서,관념이 보다 크게, 그리고 직접적으로 드러남 - 하지만 다음 단계와 상대적인 측면에서 비교하여 본다면, 무아지경 !!!! 대상에 대한 충실한 묘사에 있어서나, 주관적인 감정, 관념을 토로한다는 점에서 비교적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 시의의 추구와 감정의 발산이 아무리 북송시대의 산수보다 훨씬 더 의식적이고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역시 자연경관에 대한 충실한 재현이라는 전제 > 그러므로 이것은 무아지경에서 유아지경으로 이르는 과도기적 과정 > 미세한 부분의 진실한 묘사를 중요시하면서도 그와 함께 그 안에 담긴 시의, 두가지 모두를 중요시함
  • 44. 송원 산수의 意境 SUMMARY ■ 북송시대에서 남송시대를 거쳐, 원시대에 이르기까지 산수화의 변화과정 중 북송후기와 남송시대의 경우 북송 전기 북송 후기 남송 원 무아지경 유아지경 무아지경과 유아지경의 과도기 객관적 태도 세심한 묘사 주관적 정서 ‘시의의 추구’
  • 45. 송원 산수의 意境 Contents 有我之境 4 유아지경 1 원대 회화의 성립 배경 2 원대 회화의 특징 3 산수화의 흐름과 시경. 사경, 곡경
  • 46.
  • 47.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성립 배경 2) 문인화의 발달 중앙 - 송시대의 궁정화원의 몰락 지방 - 문인들의 사회적 지위 하락 > 관직에 나가지 못하고 은둔하면서 시서화에 심정을 의탁 및 표현 > 시서화를팔아 생활하는 문인들의 수 증가 > 문인화는 원대 회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됨
  • 48.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원대 화가의 1인 3역 ?
  • 49.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1) 서예가로서의 특징 서예가로서의 특징 ●필묵에 대한 강조 _ 대상에 대한 의존성 탈피, 색채와 선으로부터 회화의 아름다움을 구함 ●정신적 경지, 기운, 흥취의 표현 ●서예와 회화의 결합 _ 정화된 심미 취향과 미적 이상의 표현 (의미있는 형식) > 선의 아름다움 ● 필묵의 운치를 수묵으로 그린 묵죽화, 묵매화, 묵난화가 유행 오진 <묵죽도> 왕면<묵매도>
  • 50.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2) 시인으로서의 특징 2) 시인으로서의 특징 ● 회화와 시의 조화 및 보완 추구 > 구도 : 화면상의 비중 높음, 균형 및 안정감, 심미성 강화 (공통점 : 선의 아름다움) 분위기와 변화를 강조, 침착함/선명함/힘참을 강조 > 의미 : 시의 내용과 회화의 속뜻이 상승작용 cf. 남송 시대까지는 화면에서 부수적인 역할. 회화가 주를 이룸. 조맹부<작화추색도>
  • 51. 송원 산수의 意境 무아지경 vs유아지경 원대회화의 특징 – 3) 화가으로서의 특징 ‘유아지경’ 3) 화가로서의 특징 유아지경? ●객관적 대상의 충실한 재현 ●정교하고 다양한 자연정물 ●불능부진 (끝없는 경지) ●세련되고 깊이 있는 필묵 ●예술가의 주관적 심정과 관념전달 ●소소담아 (주관적 심정 전달 – 쓸쓸함, 맑음, 우아함…) 정신, 주관 형태, 대상
  • 52.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3) 화가로서의 특징 ‘유아지경’ ■ 산수표현의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면을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담담하고 초탈한 분위기에 작가의 심리상태나 감정까지도 표출해낸 원시대의 대표작품 예찬 <용슬재도> 황공망<부충산거도>
  • 53. 송원 산수의 意境 원대회화의 특징 – 그 외 유명 작품들 오진 <어부도> 황공망<부춘대령도> 왕몽<청변은거>
  • 54. 송원 산수의 意境 산수화의 흐름 1) 송대와 원대 회화의 비교 송대vs원대 귀조화, 이, 법 신 형태의 객관적 묘사 법심원, 취, 흥, 사의예술가의 정서, 개성 표현, 낭만주의 성향
  • 55. 송원 산수의 意境 산수화의 흐름 송대 회화의 작품 이성 <무림원수도>
  • 56. 송원 산수의 意境 산수화의 흐름 원대 회화의 작품 예찬 <육군자도>
  • 57.
  • 58. 예술가의 개성, 특징이 매우 선명하게 나타나기 시작청시대의 산수화 명시대의 산수화 동기창 <추흥팔경도> 석도 <여산관폭도>
  • 59.
  • 60. 송원 산수의 意境 THE END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