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1
Download to read offline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차 례>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107~128쪽|2013.8 
Ⅰ. 들어가며 
Ⅱ.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의 배경 
Ⅲ.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 내용의 변화 
Ⅳ. 나오며 
37)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정은경**․정진원*** 
Ⅰ. 들어가며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의 행복과 미래를 대비한 국가발전의 근간으로서 교육이 갖는 의미와 역할 
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숙고되고 있는 교육적 과제는 기존의 지식중심 
교육이 갖는 한계를 넘어 다변화 되어 가는 사회에서 개인의 능력과 존재 가치를 실천적으로 구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역량중심교육’과 같은 교육의 역할을 실천 
적 수준으로 가시화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과 
2009년의 연이은 교육과정개정을 통하여 미래를 향한 교육의 질 향상과 실천성의 회복을 위해서 
지속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성교육은 공교육을 통하여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국가적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교육을 통한 인성의 구현은 학문영역의 특성을 불문하고 공교육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교과의 
기저에 존재하는 암묵적인 목적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 교육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인성부재의 현상들은 기존 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반성을 이끌어내게 되었으며 그 결과 ‘인성교육’ 
*** 이 연구는 2012년도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개발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 제1저자, 부산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부교수 
*** 교신저자(jwchung@cnue.ac.kr), 춘천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부교수
108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은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내적 구심점으로서 뿐만 아니라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제시되어야 
할 중점 교육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특히 2012년 실시된 총론과 사회, 국어, 도덕과의 부분 개정에 
서는 ‘인성 핵심역량’ 이란 표현이 제시되면서 각 교과의 특성에 따라 강조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인 
성 요인들(인성 핵심역량)을 설정하여 이를 교과의 실제적 학습 경험으로 구체화되도록 하는 ‘프로 
젝트 형 인성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1) 
국가교육과정의 문서적 개정이 즉각적인 교육의 변화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교육정책과 교 
육과정, 이어 교육의 주 교재인 교과서, 그리고 교육 실제의 연계성이 특히 강조되는 우리나라 교육 
에 있어서 교육과정의 문서적 제시방식과 이를 통해서 전달되는 국가교육의 기조가 실제 학교 교육 
에 미치는 영향은 간과하기 어렵다는 것이 본 연구의 시각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총론적 차원에 
담겨있는 교육특성의 이해와 그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탐색은 국가교육과정 내의 음 
악과 교육의 역할 규명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첫째, 현재 강조되고 있는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과 관 
련된 내용들을 살펴보며 셋째, 역량과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한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조 
망해 보고자 한다. 
Ⅱ.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의 배경 
지식의 탐구, 진리의 발견을 궁극의 목적으로 삼아왔던 기존 학문중심 교육은 21세기에 들어오면 
서 개인의 경험, 능력의 실천성을 강조하는 ‘역량중심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역량중심 
교육’은 이러한 변화를 나타내는 세계적 교육변화의 추세로서 이미 영국, 뉴질랜드, 캐나다 등을 중 
심으로 실천되고 있다. ‘역량중심교육과정’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재조명하고 개인의 행 
복을 사회, 국가 발전과의 동반적 관계로 보며, 사회 일원으로서의 보편적 능력과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적극적인 교육과정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2005년 이후 다수의 정책연구를 통해서 국가 교육 차원의 사회적 역량 강 
화 방안 모색이 꾸준히 진행되어왔다.2) 특히 ‘인성’은 근간 발생되고 있는 심각한 사회, 청소년 문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시안 공청회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a); 교육과학 
기술부, 2012년 7월 9일 보도자료. 
2) 윤현진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Ⅰ(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이광우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이광우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Ⅱ(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08); 이광우 외, ࡔ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09 
제로 인하여 가장 시급한 교육적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2012년에 들면서 국가 교육을 통한 인성 
강화의 의지는 ‘인성 역량’이라는 표현을 통해 가시화되고 있으며, ‘인성교육 실현을 위하여 교육과 
정 수정(총론 및 국어, 사회, 도덕교과)’을 일부 실시하면서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교육과정개선에 
대한 노력은 향후 지속될 전망이다. 2012 인성실천을 위한 교육과정에서는3) 기존의 지식편중 수업 
을 지양하고 예술, 도덕, 스포츠 교육의 기회를 늘림으로써 학생의 정서, 자존감, 사회성 등 ‘인성’ 
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전 교과적 차원에서 인성교육 실천을 가시화 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특히 관련 
교과 차원에서 인성강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방안 마련과 실천에 의거한 ‘프로젝트형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음악을 포함한 예술교과의 역할과 가치는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더불 
어 ‘역량중심교육’을 배경에 둔 현재의 전반적인 교육개선의 성격은 이러한 가치의 구현을 위해 구 
호적 차원의 명시를 넘어설 수 있는 구체적이며 심도 있는 방안의 제시를 필요로 하고 있다. 
1. 역량중심교육의 개념과 의의 
가. 역량의 개념 
역량의 개념은 지식기반사회라는 현대사회의 요구와 여러 국가의 교육과정개혁의 움직임과 연결 
되면서 다양한 맥락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초기에 역량개념의 적용은 능력의 유효성이라는 차원에서 기업과 산업 혹은 작업장과 같이 생산 
과 관련된 조직단위에서 이루어지면서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성취, 산출, 생산력 등의 측면이 강조되 
었고 산업과 기술의 한정된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적용되었다. 이를테면 ‘같은 단위시간 안에 가능한 
많은 생산품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필요한 생산자의 능력 요인은 무엇인가’와 같은 단편적 측면의 
능력요인에 대한 개념으로 적용되었다. 이후 탁월한 능력을 가능케 하는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면서 능력의 범위는 특정 산업이나 생산의 기술영역에서 보다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장 되었고, 
점차 역량개념이 확산되면서 단위 작업에서의 역량은 모든 직업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역량 요 
인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 되었고, 결국 국가차원에서 공통된 직무표준(standard)을 구축하는 과정으 
로 연결되면서 사회 전반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을 개념화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역량 개념에 ‘핵심(key)’ 개념이 접목되었고, 이후 여러 국가에서는 국가의 
원, 2011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별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토론회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b).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시안 공청회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a);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포럼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b).
모든 영역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프로젝트들이 
수행되면서 역량 개념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나타나게 되었다(<표 Ⅰ-1> 참조). 
<표 Ⅰ-1> 역량에 대한 다양한 정의 
110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정의 주체 정의 
McClelland 
(1973, 1993) 
실제 수행상황에서 성공적인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평범한 수행자와 구분되는 우수한 수행 
자의 특성 
Spencer & Spencer(1993)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구체적인 준거나 기준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동기, 특질, 자기개념, 지식, 기술 등의 개인 내적 특성 
OECD 
(Rychen & Saganik, 2003) 
특정 맥락의 요구를 태도, 감정, 가치, 동기 등과 같은 사회적, 행동적 요소 뿐 아니라 인지 
적, 실천적 기술을 가동시킴으로써 성공적으로 충족시키는 능력 
소경희(2007) 
21세기 사회를 성공적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공통적인 
능력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효율적으로 혹은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혹은 사회인)에 
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 
나. 시대적 요청으로서의 역량중심교육 
국가 차원에서 교육이 ‘역량’이라는 개념에 관심을 갖게 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통 학교교육은 
학문과 지식을 일상적 유용성과 무관하게 가르친다는 인문적(academic) 성격에서 직업교육과 구별 
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인문적 성격의 자유교육이 21세기 사회의 삶 속에서도 개인의 삶의 
질을 의미 있게 향상 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4) 이 같은 의문은 종래의 
인문적 성격의 학교교육이 주로 폭넓은 지식과 이해의 획득에 초점을 두고 있어, 일상생활 속에서 
필요한 실제적 요구나 직업을 위한 경제적 요구 등 실천적 지식이나 기술을 무시해 왔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1997년부터 시작된 OECD의 프로젝트들이 개인의 사회적응과 
생애지속을 위한 능력들을 ‘핵심역량’으로 강조하면서 ‘역량’에 대한 논의는 학교교육의 범위로 까 
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들어 각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개편은 1차적으로는 DeSeCo 프로젝트의 역량 
에 관한 관점을 반영한 것으로 뉴질랜드, 캐나다의 퀘벡 주, 호주의 빅토리아 주의 개편된 교육과정 
들은 ‘역량중심교육과정(competency based curriculum)’의 선두사례로 들 수 있다. 이들 역량중심교 
육과정들에서는 기존의 학교중심, 교과중심, 공급자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전 사회, 전 생애, 
학습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5) 
4) Young, M. F. D.,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London: Falmer Press. 1998, pp.22~33. 
5) 소경희, “학교교육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ࡔ교육과정연구ࡕ 제25권 제3호(서울: 한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1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할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구조적으로 교육과정 구성에 적용하는 방안 또한 꾸준히 제안되어왔 
다.6) 
특히, 이광우 외(2009)는 기존에 연구되어진 한국형 역량요인들과7) 외국의 역량중심교육과정, 그 
리고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미래 사회를 위한 한국인의 역량을 10가지로 제시하였으며 
역량의 강화가 교과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표 Ⅰ-2>). 
<표 Ⅰ-2>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핵심역량 요소 
핵심역량 영역 요소 
창의력 ⦁창의적 사고 기능 ⦁창의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 ⦁문제인식 ⦁해결 방안의 탐색 ⦁해결방안의 실행과 평가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정보처리능력 ⦁정보 수집 ⦁정보 분석 ⦁정보 활용 ⦁정보 윤리 ⦁매체 활용 능력 
대인관리능력 ⦁타인 이해 및 존중 ⦁협동 ⦁갈등 관리 ⦁관계 형성 ⦁리더십 
자기관리능력 ⦁자아정체성확립 ⦁여가 선용 ⦁건강관리 ⦁합리적 경제생활 ⦁기본생활습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기초학습능력 ⦁기초적 읽기 ⦁기초적 쓰기 
시민의식 ⦁공동체 의식 ⦁준법정신 ⦁환경의식 ⦁윤리의식 ⦁봉사정신 
국제사회 문화이해 ⦁우리 문화의 이해 ⦁다문화 이해 ⦁문화 향유 능력 ⦁국제사회 이해 ⦁외국어 소양 
진로 개발 능력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설계 
이처럼 국내에서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사회 변화에 따라 교육적 차원에서의 역량 강화의 중요 
성과 이를 국가 교육과정 수준에서 적용하는 문제는 점점 구체성을 띠어가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더욱 심도 있게 논의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역량중심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국가교육과정 체제에 가시적으로 드러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각 교과교육 차원에서 역량 
기반 교육의 문제가 다양하게 탐색되고 있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8) 
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6) 윤현진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Ⅰ(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김기헌, ࡔ아동 청소년기 핵심역량ࡕ(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이광우 외, ࡔ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설계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7) 윤현진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Ⅰ(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12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2. 국가차원의 인성교육 강화 
가. 인성교육 강화의 배경 
오늘날 학교교육은 점수와 등수에 학생의 가치가 좌우되는 무한 경쟁에 노출되면서 청소년들은 
정서적으로 안정된 삶을 누리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근간 학교 현장에서의 집단 따돌림, 학교 폭력,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인성 부재의 징후들은 사회 변화의 역기능적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배경으로 지식교육만으로는 교육이 충분하지 않다는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면서 인성교육(人 
性敎育)의 문제는 국가교육차원의 대안마련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로 확산되고 있다. 
이미 1995년 5. 31 교육개혁 당시, 우리 사회를 충격에 몰아넣은 사회병리현상과 청소년 비행의 
증가에 관한 문제의식이 일면서 인성교육이 강조된바 있으며,9)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성 
과 함께 인성을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강조하였다.10) 2012년에 들어와서는 ‘인성실 
천을 위한 교육과정’ 하에 총론과 사회, 도덕, 국어교과의 각론 일부를 개정하며 전 교과 차원의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인성교육 실천방안 모색을 강조하고 있다. ‘인성실천을 위한’이라는 전제를 교 
육과정 앞에 두고 있음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성은 막연한 교육의 이상적 지향점이 아니라 매우 
구체적인 내용과 과정을 통하여 실천되어야 하는 교육의 구심점으로 부각되고 있다.11) 
나. 인성교육의 성격 
일반적인 이해에서 인성교육은 ‘인간교육’의 의미로 인간을 인간답게 기르는 일로 해석된다. 이 
때 인간의 인간다움은 ‘지 덕 체’, ‘진 선 미’의 겸비를 의미하는 균형의 상태(whole person)를 강조 
하기도 한다. 교육적 차원에서의 인성은 현재사회와 미래사회에서의 인간 삶의 변화와 그에 따른 
올바른 가치 정립의 측면에서 접근되고 있다.12) 
인성교육의 주요 덕목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고대에는 용기, 절제, 지혜, 충효 등이 강조 
되었고 고대 그리스 서사시에 나오는 영웅담에서는 용기, 우애, 자부심, 계책(cunning)이 덕목이었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서)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서울: 한 
국교육과정평가원, 2011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별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토론회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11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포럼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b). 
9)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 ࡔ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ࡕ(서울: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 1995).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서)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4쪽.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포럼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b), 15~18쪽. 
12) 손승남, “21세기를 대비한 인성교육의 철학적 구상”, ࡔ한독교육학연구ࡕ 제4권 제2호(서울: 한독교육학회), 1999, 67~84쪽.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3 
으며, 소크라테스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자의 시기에는 정의, 용기, 절제, 지혜가 덕으로 
나타났다. 근대자본주의 시대의 덕은 진실성, 검소, 근면 등으로 그 목록이 다르며, 오늘날의 민주주 
의 사회에서의 덕은 다양한 시민적 덕목들이 포함된다. 현대에는 배려, 책임감, 정의, 공정, 자기 존 
중, 타인과의 관계성, 충실, 인내, 용기, 친절, 예절, 창의성, 심미성 등이 강조되고 있다. 
현대 인성교육의 덕목들은 사회적 환경과 요구에 따라 세분화, 다양화 되는 경향을 보이면서 인 
성교육이란 하나의 분리된 교육영역이 아닌 다양한 영역의 교육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 
다는 통합 교육적 시각으로 접근되고 있다. 
<표 Ⅰ-3> 역량중심교육과정에 나타난 인성 덕목 
국가 인성 관련 영역 요소 
OECD 
사회적 이질 집단에서의 상호 작용 타인과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 협동, 갈등관리 능력 
자율적 행동 능력 
넓은 시각에서 행동을 결정하고 스스로를 위한 계획과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권리, 의무, 한계를 알고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영국 
타인과의 협동 
소규모 집단이나 전체집단에 기여하거나 함께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스스로의 수행과 향상 
자신이 수행한 일과 배운 것을 객관적으로 생각하고 비판할 수 있는 
능력 
다. 핵심역량으로서의 인성교육 
현재 논의되고 있는 민주사회를 위한 인성교육의 의미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품성’으로 해석되고 있는 경향이 강하다. 다변화되는 현대사회의 구성원은 바람직한 품성과 함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능력 또한 갖추어야 한다는 이해와 맞물려 20세기 후반에 강조되 
었던 ‘인성교육(Character Education)’은 ‘역량중심교육’과 결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역량중심교육과정이란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이 요구되고 기존의 지식, 내용 위주의 
교육과정체제의 한계 극복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교육과정을 소위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재구조화하 
는 것이다. 실천 가능한 능력의 습득을 강조하는 역량중심교육과정에서는 추상적인 개념으로서의 
‘인성’ 대신 타인과의 협동 능력, 자기 정체성 수립과 관리 능력, 참여와 공헌 등과 같은 각국 차원 
에서 교육을 통해 달성해야 할 보다 구체적인 인성적 덕목들을 소위 ‘핵심역량(core competency)’으 
로 구조화 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다음은 역량중심교육과정에 나타난 인성 덕목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표 Ⅰ-3>).13) 
13) 교육과학기술부, ࡔ미래사회 대비 국가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ࡕ(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2).
캐나다 
(퀘백) 
개인적, 사회적 역량 자신의 정체성 형성 능력, 타인과의 협동 능력 
뉴질랜드 
자기관리 자기 동기화, 자율적 계획 및 실천 능력, 독립적 행동 능력 
타인과의 관계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관점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능력 
참여와 공헌 지역, 국가, 지구촌 공동체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함 
<표 Ⅰ-4>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 별 목표 
인간상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인적 성장의 기반위에 개 
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 
는 사람(자주인) 
풍부한 학습경험을 통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균형 있게 
자랄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일의 세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한다. 
심신의 건강하고 조화로 
운 발달을 추구하며 다양 
한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익혀 적극적으로 진로를 
탐색한다. 
성숙한 자아의식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 
을 익혀 진로를 개척하며 평 
생학습의 기본 역량과 태도 
를 갖춘다. 
기초 능력의 바탕위에 새로 
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 
을 발휘하는 사람(창의인) 
학습과 생활에서 문제를 인식 
하고 해결하는 기초 능력을 
기르고 이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상상력을 키운다. 
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 
초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력 
을 기른다. 
학습과 생활에서 새로운 이 
해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 
도를 익힌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 
람(문화인) 
우리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올바른 태도 
를 기른다.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 
한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한 이해 
를 넓힌다. 
우리 문화를 향유하고 다양 
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 
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세계인)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다양하 
게 표현하며 타인과 공감하고 
협동하는 태도를 기른다. 
다양한 소통능력을 기르 
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자 
질과 태도를 갖춘다. 
국가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세계 시민으로서 
의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114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라. 현행 교육과정에 나타난 인성교육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미래인재의 양성을 암묵적 대전제로 두 
고,14)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 별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15) 
위의 <표 Ⅰ-4>에서 알 수 있듯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 별 목표에서 ‘인성’ 
이라는 표현이 직접적으로 제시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전인적 성장’, ‘소통’, ‘배려’, ‘나눔’, ‘공 
동체 발전’과 같은 개념은 ‘인성’ 덕목과 연결될 수 있다. 학교 급별 목표에는 ‘타인과의 공감’, ‘협 
동’, ‘소통 능력’, ‘심신의 조화로움’, ‘민주시민의 자질’, ‘성숙한 자아의식’과 같은 인성 덕목 요인 
들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또한 ‘창의성’, ‘문제해결력’, ‘진로 개척’, ‘생활에서의 이해와 가치’와 
14) 교육과학기술부, ࡔ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토론회ࡕ(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8~41쪽. 
15) 교육과학기술부, ࡔ음악과 교육과정ࡕ(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1~2쪽.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5 
같은 요인을 함께 고려한다면 역량중심교육의 덕목들과 대거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 내용의 변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오늘날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볼 때 인성교육은 현재 우리나라 
국가교육의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인성교육과 관련된 덕목을 중심으로 핵 
심역량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재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 
정의 특성을 조망해 보도록 하겠다. 
1.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관련 내용 분석 
다음은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항등에 
명시된 역량 관련 내용들을 분석한 것으로, 여기에 제시된 내용의 분석 기준은 기존에 연구되어진 
이광우 외(2009)의 미래 사회를 위한 한국인의 역량 10가지(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시민의식, 국제사회문화이해, 진로개발능 
력)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표 Ⅰ-5>). 
<표 Ⅰ-5>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관련 내용 분석 
교육과정 역량 관련 주요 내용 
제1차 ⦁인격의 형성과 국민적 교양 ⦁애국 애족의 정신 ⦁기능연마 
제2차 ⦁국민적 교양 ⦁애국 애족의 정신 ⦁문화향상에 기여하는 기초적인 능력과 태도 함양 ⦁일상생활에 활용 능력 
제3차 ⦁음악 기초 능력 개발 ⦁바람직한 국민으로서의 교양 ⦁민족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능력 함양 ⦁민족문화 발전에 기여 
제4차 ⦁창조성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조화로운 인격 형성 
제5차 ⦁풍부한 정서와 창조성 ⦁조화로운 인격 형성 
제6차 ⦁인간의 창의적인 욕구 충족 ⦁자아실현과 풍요로운 삶을 향유 ⦁바람직한 가치관의 발달 ⦁창조적 표현 능력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 
제7차 ⦁창의성 계발 ⦁바람직한 가치관 ⦁음악 문화유산 가치 이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 
2007 개정 ⦁창의성 계발 ⦁자아실현의 가능성 ⦁풍부한 음악적 정서와 애호심 함양
116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2009 개정 
⦁자주적 생활 능력 ⦁민주 국가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실현 ⦁개성의 발달과 진로 개척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 발휘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 이해 ⦁공동체 발전에 참여 ⦁기초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습관 형성 ⦁문화 이해 및 문화 향유 ⦁타인과 공감, 협동하는 태도 ⦁다원적인 가치 수용, 민주시민의 자질함양 ⦁진로 탐색 ⦁창의적인 사고력 
그동안의 음악과 교육과정이 9차례 개정되어 오면서 역량과 관련한 내용이 주요 목표가 아니었 
던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핵심 역량과 관련 
한 요소들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는 것을 앞의 <표 Ⅰ-5>에서와 같이 알 수 있다.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창의성과 인성을 전체 교육과정의 구심점으로 보고, 각 교 
과과정의 성격에 따라 이를 반영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과 교육과정에서는 전반적으로 이전 교육과정에서 보다 소위 사회적 역량요인으로 지목되어온 사회 
적 역량요인에 대한 명시의 증가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주적 생활 능력, 개성의 발달 
과 진로 개척, 진로 탐색 등과 같은 사회적 역량요인 등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모든 교과의 
공통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관련 내용 강화 
이미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역량과 관련 
한 내용들을 상당히 많이 진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이미 앞에서 제시된 분석 기준인 이광우 외(2009)의 미래 사 
회를 위한 한국인의 역량 10가지를 토대로 역량에 관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 
해 보면 다음과 같다(<표 Ⅰ-6>). 
역량 영역 
<표 Ⅰ-6> 역량에 관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공통교육과정 
목표 학년별 내용 
학교 급별 교육 목표 
초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3~4 5~6 중 1~3 
추구하는 방법 평가 
인간상 
창의력 ● ● ● ● ● ● ● ● ● 
문제해결능력 ● ● 
의사소통능력 ● ● ● ● ● ● ● ● ● 
정보처리능력 ● 
대인관계능력 ● ●
자기관리능력 ● ● ● ● ● ● ● ● ● 
기초학습능력 ● ● ● ● ● ● ● ● ● 
시민의식 ● ● 
국제사회문화이해 ● ● ● ● ● ● ● ● ● ● 
진로개발능력 ● ● 
● 관련 내용 있음 □ 관련 내용 없음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7 
위의 <표 Ⅰ-6>에서 같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음악교과를 포함한 모든 교과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 별 교육 목표’를 공통 교육과정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특히 역량과 관 
련된 많은 내용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추구하는 인간상’에서는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등을 제외한 창의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시민의식, 국제사회문화이해, 진로 
개발능력 등이 고르게 언급되고 있다. 특히, 진로개발능력의 하위 역량 요소인 진로탐색과 관련해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품격 있는 삶의 영위에 대한 내용이 언급됨으로서 국제사회문화이해에 대한 역량 요인 등이 나 
타나고 있다. 이외에도 배려, 나눔, 공동체 발전 등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데, 이것은 대인관 
계능력과 시민의식의 역량 요인 모두에 해당되는 내용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공통교육과정에 해당하는 ‘학교급 별 교육 목표’ 중 초등학교의 경우, 기초학습능력에 해당하는 
기초능력 배양과 기본생활 습관 형성에 중점을 둔 내용들이 나타나 있으며, 이밖에도 창의력, 문제 
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국제사회문화이해 등에 관한 역량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중학교의 경우는 초등학교와 크게 차이가 없으며, 정보처리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제외한 역량 요인들이 고르게 언급되고 있다. 
‘목표’ 항에서는 창의력을 비롯해, 의사소통능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국제사회문화이해 
등에 관한 역량 내용들이 나타나 있다. 특히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등 
문화향유능력과 관련한 국제사회문화이해의 역량 요인이 초등학교, 중학교 모두 명시되어 있다. 또 
한, 자기관리능력과 관련해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일상생활에 필 
요한 기본 능력을 배양하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자기관리능력의 하위 요소인 ‘기본생활습 
관’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관련된 내용이다. 
‘내용’ 항에서는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국제사회문화이해 등에 대 
한 역량이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기초학습능력과 관련된 역량으로는 음악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능 
력이 이에 해당하는데 특히 표현능력과 감상능력 등이 나타나 있다.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역량에 
는 감상과 관련한 여러 영역이 속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악곡의 특징 이해하며 감상하기’, ‘다양 
한 문화권의 음악 감상하기’ 등이 이에 해당된다.16) 이밖에도 교육과정의 내용을 융통성 있게 재구
118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성하는 것은 자기관리능력의 하위 요소인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관련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교수․학습 방법’ 항에서는 자기관리능력이나 기초학습능력 등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국제 
사회문화이해와 관련한 역량이 두드러지게 언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국악 학습과 관련된 우리 문 
화 이해 역량이 강조되고 있으며, 음악사에 대한 학습을 통해 국제사회이해의 역량이 반영되고 있 
다. 이것은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이다. 
‘평가’ 항에서는 의사소통능력, 기초학습능력, 국제사회문화이해 등이 나타나 있다. 의사소통능력 
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평가뿐만 아니라 학생들 상호간의 상호평가를 언급하고 있으며, 기초학습능 
력과 관련해서는 음악의 표현활동은 기초 기능, 표현, 태도 등을 고루 반영한 평가 지침에 대한 내 
용이 명시되어 있다. 국제사회문화이해는 문화향유능력과 관련된 음악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 음악 
의 생활화 정도 등을 평가하는 내용이 진술되어 있다. 
이상으로 역량에 관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 10개의 역량 요인들 중 어떤 
특정 역량이 두드러지게 강조되는 현상 없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관련 내용 분석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인성교육 관련 내용들을 다음의 <표 
Ⅱ-1>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 제시된 분석 내용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세계 각국의 역량중 
심교육과정에 제시된 인성 덕목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체적인 분석 기준은 앞의 <표 Ⅰ-3>에 제시 
된 내용을 근거로 하였다. 
<표 Ⅱ-1>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관련 내용 분석 
교육과정 인성교육 관련 주요 내용 
제1차 ⦁원만한 인격 ⦁애국 애족의 정신 
제2차 ⦁원만한 인격 ⦁자기표현 ⦁애국 애족 ⦁협동미 
제3차 ⦁조화된 인격 형성 ⦁바람직한 국민으로서의 교양 ⦁정서적인 생활 영위 ⦁민족문화 발전에 기여 
제4차 ⦁풍부한 정서와 창조성 ⦁조화로운 인격 형성 
제5차 ⦁풍부한 정서와 창조성 ⦁조화로운 인격 형성 
제6차 ⦁음악을 통한 자아실현 ⦁풍부한 정서 함양 ⦁바람직한 가치관의 발달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서)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42~43쪽.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9 
제7차 ⦁전인적인 인간 ⦁바람직한 가치관 ⦁음악적 정서 풍부 
2007 개정 ⦁자아실현 ⦁삶에 관한 이해 
2009 개정 
⦁전인적 성장 ⦁세계와 소통 ⦁배려와 나눔의 정신 ⦁공동체 발전에 참여 ⦁타인과 공감 ⦁협동하는 태도 ⦁심신의 건강 ⦁조화로운 발달 추구 ⦁다양한 소통능력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 ⦁타인 존중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인식 ⦁세계 시민으로서의 문화적 소양을 지닌 인간 
위의 <표 Ⅱ-1>은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항등에 명시된 인성교육 관련 내용들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9차례 음악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오면서 인성교육과 관련한 내용들이 빠지지 않고 제시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인성 관련 교육적 덕목은 ‘원만한 인격’과 ‘조화로운 인격 형성’이며, 이어 ‘가치관 
성립’, ‘민족 문화의 계승’과 관련된 가치 덕목들이 제시되고 있다. 제1차와 제2차 교육과정에서는 
당시 우리나라의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는 ‘애국 애족 정신의 함양’이 음악과 목표로 강조되고 
있으며, 포괄적 음악성이 강조되기 시작한 제6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학생의 ‘음악성 계발을 통한 
자아실현’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것은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 제시에 국가와 사회적 상황에 따른 
교육적 요구가 반영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차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자기표현’ 및 ‘자아실현’과 관련해서는 세계 
각국의 역량중심교육과정에 나타난 인성 덕목인 ‘자율적 행동 능력’과 ‘자기관리’ 영역과 관련된 내 
용이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스스로의 일을 계획하여 결정하고 자율적으로 실천하려고 하는 실천 
능력을 강조하는 점에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인적 성장’, ‘소통과 배려’, ‘나눔의 정신’, ‘협동’, ‘공동체 발전’, 
‘조화로운 발달 추구’,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인식’, ‘세계 시민으로서의 문화적 소양을 지닌 인간’ 
등 인성교육과 관련한 교육적 덕목들이 구체적으로 명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의 인성교육적 특징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 관련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목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성 함양 및 인성과 관련된 교육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교육적 지향점이다. 이와 관련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
정에 기술된 음악과의 목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7) 
<표 Ⅱ-2> 음악과의 목표 
120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음악’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성과 창의성, 음악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안 
목을 키움으로써 음악을 삶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이다. 음악 교과는 음악적 정서와 표현력을 계발하고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인식하여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창의적인 인재육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으로서 문화적 소양을 지닌 전인적 인간이 되는데 기여한다. 
<초등학교> 
가.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한다. 
나. 음악의 기초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 
다.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음악을 즐기는 태도를 갖는다. 
<중학교> 
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한다. 
나. 음악의 연주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 
다.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음악을 활용하는 태도를 갖는다. 
위의 기술된 음악과의 목표에서 인성과 관련된 덕목을 살펴보면 ‘즐기는’, ‘문화의 다원적 가치’, 
‘타인 존중’, ‘배려’, ‘세계시민’, ‘문화 소양’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인적 인간’이란 표현이 품고 
있는 광범위한 덕목들을 고려할 때, 현행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다분히 인성 지향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인성덕목의 함양이 음악 활동, 음악적 정서, 경험, 표현 등 음악 교육적 경험과 그에 따른 
결과를 통하여 기대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제시된 세 가지 목표는 음악경험을 통한 아름다움의 경험, 기능 익 
히기, 창의적 표현, 감상을 통한 이해 그리고 음악의 가치인식을 통한 즐기는 태도 갖기 등이다. 이 
러한 목표의 제시는 음악교과에서 다루어지는 활동과 내용 영역의 제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교육 실천적 차원에서 개인의 인성 함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악경험의 속성과 가치, 그리고 
두 영역 간의 연계성을 드러내기에는 지나치게 간결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음악교육경험 구성을 위해서 음악활동, 음악이해, 음악적 가치가 어떻게 조망되고 적용되어야 할지 
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인 명시가 필요하다. 
나. 내용체계 
다음은 현행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이다. 
17) 교육과학기술부, ࡔ음악과 교육과정ࡕ(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21 
<표 Ⅱ-3> 음악과의 내용체계 
영역 내용 체계 
1. 표현 
1-1. 바른 자세로 표현하기 
1-2.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1-3. 창의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2. 감상 
2-1. 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하기 
2-2.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하기 
3. 생활화 
3-1.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3-2.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크게 ‘이해’ 영역과 ‘활동’ 영역을 두어 음악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음악적 지식은 ‘이해’ 영역에서 다루고 있고, 음악활동과 관련된 가창, 기악, 감상, 창 
작의 활동 지도는 ‘활동 ’영역에서 다루고 있다. 
반면, 현행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활동’ 대신 ‘표현’ 영역을 제시하였고, 기존 ‘이해’ 영역의 
내용을 대영역 ‘감상’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음악의 가치화 측면을 
강조하는 ‘생활화’ 영역을 두고 있다. ‘활동’을 ‘표현’으로 대치한 것은 학생 스스로 생각과 의도를 
가지고 참여하도록 하는 활동의 능동성을 강조하기 위함으로 엿보이며, 개념과 악곡 특징의 이해가 
‘감상’ 영역의 내용으로 제시된 것은 지식중심의 이해보다는 실음 듣기를 통한 경험적 이해를 강조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치와 태도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는 ‘생활화’ 영역의 내용 체계에는 ‘즐기 
는’의 덕목을 강조함으로써 실제 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음악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 
나 ‘즐기는 태도’로써 음악적 경험을 통한 미적, 정서적, 인성적 차원의 교육적 중요성을 드러내기에 
는 그 설명이 충분하지 못하며, 이밖에도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항에서는 ‘목표’ 항에서 제시 
된 인성 관련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음악적 활동들이 충분히 드러나지 않고 있다. 
Ⅳ. 나오며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교육은 그 어느 시대보다 더욱 책임 있는 역할 수행을 
요청 받고 있다. 특히 미래사회를 책임질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우려하게 만드는 학교 폭력과 정 
서 함몰 현상은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총체적 반성과 함께 인성교육의 강화를 최우선의 교육적 현 
안으로 요청하고 있다. 
현재 강조되고 있는 인성교육은 기존의 지식적 교육의 한계를 벗어나 개개인의 삶에서 실천 가능 
한 ‘역량’적 능력으로 구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
122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의 구조를 재편성하는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과정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그동안 논의 되어진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 배경과 그 의미에 대 
해 살펴보았고, 또한 그동안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의 내용들을 살 
펴보고, 특히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의 특성을 조망해 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역량과 관련한 내용은 음악교과에 있어서 주요 목표는 아 
니었지만,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요소들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현행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내용들이 상당히 많이 진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음악교과의 각 영역에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음악적 활동들이 어떻게 연계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진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오면서 인성 함양 및 인성 관련 덕목들은 음악 교과의 
중요한 목표로 제시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악교과에서는 음악성 계발을 위한 목표 
와 더불어 음악경험을 통한 인간의 정서와 인성 함양을 음악교육의 주요한 목표와 역할로 제시하여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인성과 관련된 내용들은 음악과의 목표 항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지만 ‘내용’과 ‘교 
수․학습 방법’, ‘평가’ 항에서는 이와 연계된 구체적인 음악적 활동은 크게 드러나지 않고 있는 것 
도 사실이다. 
본 연구의 시작은 현대사회의 교육 동향이 크게 ‘역량중심교육’으로의 움직임과 현재 우리사회에 
서 대두되고 있는 ‘교육을 통한 청소년 인성회복’의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하였 
다. 특히, 국가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강조에서 ‘인성’을 ‘역량’으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각 교과 
과정에서 인성실천을 위한 구체적 방안 모색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를 전제한 국가교육 체제에 ‘역량’ 또는 ‘인성’의 단서를 붙이는 데는 기존 지식중심 교육에 
대하여 제기되어온 ‘영역 고유 지식이 갖는 개인 삶 안에서의 실천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교육적 차원의 의지 표출로 해석될 수 있다. 교육은 개인의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 기능, 경험, 
가치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점에서 ‘역량교육’이 갖는 교육의 실천적 가치에 대한 강조는 음악교 
육에서도 숙고해야할 과제이다.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지식과 기술을 넘어 개인차원의 지속적 자기발전으로 이어져야하 
며 나아가 공동체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지식과 삶, 학문과 실제, 개인과 사회 
의 상호연계를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음악교육의 차원에서도 음악 교육적 목적과 가치를 분 
명히 하여 인간의 삶, 나아가 현대사회에 발전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역할과 방법을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23 
참고문헌 
강선보 외,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ࡔ교육문제연구ࡕ 제3권, 서울: 고려대학교, 
2008, 1~38쪽. 
교육과학기술부, ࡔ2007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체육, 음악, 미술)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과학기술부, ࡔ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토론회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과학기술부, ࡔ음악과 교육과정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과학기술부, ࡔ미래사회 대비 국가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2. 
김기헌, ࡔ아동 청소년기 핵심역량ࡕ,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소경희, “학교교육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ࡔ교육과정연구ࡕ 제25권 제3호,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21쪽. 
손승남, “21세기를 대비한 인성교육의 철학적 구상”, ࡔ한독교육학연구ࡕ 제4권 제2호, 서울: 한독교육학회, 1999, 
67~84쪽. 
양승실, ࡔ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연구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윤현진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Ⅰ,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07. 
이광우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ࡕ, 서울: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7. 
이광우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Ⅱ,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08. 
이광우 외, ࡔ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이광우 외,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이광우 외, “핵심역량과 국가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문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ࡔ교육과정평가연구ࡕ 제15권 
제2호,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23쪽. 
이명진,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이영준 외, ࡔ교과 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최준환,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ࡔ창의력교육연구ࡕ 제9권 제2호, 서울: 한국창 
의력교육학회, 2009, 89~112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 
서)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별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토론회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시안 공청회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a.
124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포럼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b. 
McClelland, D. Introduction. In L. Spencer & S. Spencer(Eds.), Competence a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3, pp. 3~8.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y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973, pp. 
1~14.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DeSeCo)-Summary 
of the final report. OECD Press. 2003.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OECD Press, 2005a.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Press, 2005b. 
Spencer, L. & Spencer, S.,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3. 
Young, M. F. D.,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London: Falmer Press, 1998.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25 
국문초록 
본 연구는 첫째, 현재 강조되고 있는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그 
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과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보며 셋째, 역량과 인성 
교육을 중심으로 한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역량과 
관련한 내용은 음악교과에 있어서 주요 목표는 아니었지만,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요소들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현행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내용들이 상당히 많이 진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이 개 
정되어 오면서 음악교과에서는 음악성 계발을 위한 목표와 더불어 음악경험을 통한 인간의 정서와 
인성 함양을 음악교육의 주요한 목표와 역할로 제시하여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인성 
과 관련된 내용들은 음악과의 ‘목표’ 항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지만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평 
가’ 항에서는 이와 연계된 구체적인 음악적 활동은 크게 드러나지 않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주제어: 음악과 교육과정, 역량, 인성, 역량중심교육, 인성교육
126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Abstract 
18) 
Competenc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 Music 
Curriculum in Korea 
Jung, Eun-Gyeong*․Chung, Jin-Won**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educational effect in the music curriculum in Korea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demand of the recent diverse changes in the society whether 
musical education in Korea can improve students’ competency and character. 
As for the study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and with regard to 
the research contents based on it, first, the meaning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emphasized nowadays and Character Education as the core competency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contents related to competency and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curriculum so 
far were analyzed, an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music curriculum centered 
on competency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studied into. 
There are three indications of this research. First, it has been verified that cultivation 
of human emotions and characteristic through musical experiences have been suggested as 
the main goal and role of music education along with the goal of developing students’ 
musicality in the process of music curriculum revision so far. Second, these contents 
related to personality are being emphasized particularly in the section of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but it has also been proved that no specific musical activities connected 
to them are clearly suggested in the sections of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hir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music curriculum, 
nurturing students’ competency was not a main goal of music education, but the elements 
relevant to it has been reflected a lot so far, in the present curriculum revised in 2009 in 
particular, the contents related to competency have been found to be mentioned 
substantially. 
**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27 
Key Words: music curriculum, competency, character, competency-based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 이 논문은 2013년 6월 26일 투고되어 2013년 7월 8일~7월 26일까지 
심사기간을 거쳐 8월 12일 게재 확정되었음.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정은경정진원2013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_역량_및_인성교육에_관한_고찰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parkds2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혜원 정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Sue Hyun Jung
 
01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보고서
01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보고서01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보고서
01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보고서혜원 정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21ERICK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지현 김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koreaspeaks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봄인터랙트미디어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ki544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Heekyung12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JM code group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적용매뉴얼개발보고서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적용매뉴얼개발보고서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적용매뉴얼개발보고서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적용매뉴얼개발보고서혜원 정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봄인터랙트미디어
 

Similar to 정은경정진원2013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_역량_및_인성교육에_관한_고찰 (20)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01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보고서
01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보고서01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보고서
01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보고서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Edu46 2
Edu46 2Edu46 2
Edu46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Dudwk7
Dudwk7Dudwk7
Dudwk7
 
Dudwk7
Dudwk7Dudwk7
Dudwk7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적용매뉴얼개발보고서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적용매뉴얼개발보고서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적용매뉴얼개발보고서
인성함양체육수업모형적용매뉴얼개발보고서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정은경정진원2013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_역량_및_인성교육에_관한_고찰

  • 1.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차 례>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107~128쪽|2013.8 Ⅰ. 들어가며 Ⅱ.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의 배경 Ⅲ.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 내용의 변화 Ⅳ. 나오며 37)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정은경**․정진원*** Ⅰ. 들어가며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의 행복과 미래를 대비한 국가발전의 근간으로서 교육이 갖는 의미와 역할 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숙고되고 있는 교육적 과제는 기존의 지식중심 교육이 갖는 한계를 넘어 다변화 되어 가는 사회에서 개인의 능력과 존재 가치를 실천적으로 구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역량중심교육’과 같은 교육의 역할을 실천 적 수준으로 가시화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과 2009년의 연이은 교육과정개정을 통하여 미래를 향한 교육의 질 향상과 실천성의 회복을 위해서 지속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성교육은 공교육을 통하여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국가적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교육을 통한 인성의 구현은 학문영역의 특성을 불문하고 공교육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교과의 기저에 존재하는 암묵적인 목적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 교육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인성부재의 현상들은 기존 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반성을 이끌어내게 되었으며 그 결과 ‘인성교육’ *** 이 연구는 2012년도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개발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 제1저자, 부산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부교수 *** 교신저자(jwchung@cnue.ac.kr), 춘천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부교수
  • 2. 108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은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내적 구심점으로서 뿐만 아니라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제시되어야 할 중점 교육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특히 2012년 실시된 총론과 사회, 국어, 도덕과의 부분 개정에 서는 ‘인성 핵심역량’ 이란 표현이 제시되면서 각 교과의 특성에 따라 강조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인 성 요인들(인성 핵심역량)을 설정하여 이를 교과의 실제적 학습 경험으로 구체화되도록 하는 ‘프로 젝트 형 인성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1) 국가교육과정의 문서적 개정이 즉각적인 교육의 변화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교육정책과 교 육과정, 이어 교육의 주 교재인 교과서, 그리고 교육 실제의 연계성이 특히 강조되는 우리나라 교육 에 있어서 교육과정의 문서적 제시방식과 이를 통해서 전달되는 국가교육의 기조가 실제 학교 교육 에 미치는 영향은 간과하기 어렵다는 것이 본 연구의 시각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총론적 차원에 담겨있는 교육특성의 이해와 그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탐색은 국가교육과정 내의 음 악과 교육의 역할 규명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첫째, 현재 강조되고 있는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과 관 련된 내용들을 살펴보며 셋째, 역량과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한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조 망해 보고자 한다. Ⅱ.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의 배경 지식의 탐구, 진리의 발견을 궁극의 목적으로 삼아왔던 기존 학문중심 교육은 21세기에 들어오면 서 개인의 경험, 능력의 실천성을 강조하는 ‘역량중심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역량중심 교육’은 이러한 변화를 나타내는 세계적 교육변화의 추세로서 이미 영국, 뉴질랜드, 캐나다 등을 중 심으로 실천되고 있다. ‘역량중심교육과정’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재조명하고 개인의 행 복을 사회, 국가 발전과의 동반적 관계로 보며, 사회 일원으로서의 보편적 능력과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적극적인 교육과정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2005년 이후 다수의 정책연구를 통해서 국가 교육 차원의 사회적 역량 강 화 방안 모색이 꾸준히 진행되어왔다.2) 특히 ‘인성’은 근간 발생되고 있는 심각한 사회, 청소년 문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시안 공청회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a); 교육과학 기술부, 2012년 7월 9일 보도자료. 2) 윤현진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Ⅰ(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이광우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이광우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Ⅱ(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08); 이광우 외, ࡔ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 3.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09 제로 인하여 가장 시급한 교육적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2012년에 들면서 국가 교육을 통한 인성 강화의 의지는 ‘인성 역량’이라는 표현을 통해 가시화되고 있으며, ‘인성교육 실현을 위하여 교육과 정 수정(총론 및 국어, 사회, 도덕교과)’을 일부 실시하면서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교육과정개선에 대한 노력은 향후 지속될 전망이다. 2012 인성실천을 위한 교육과정에서는3) 기존의 지식편중 수업 을 지양하고 예술, 도덕, 스포츠 교육의 기회를 늘림으로써 학생의 정서, 자존감, 사회성 등 ‘인성’ 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전 교과적 차원에서 인성교육 실천을 가시화 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특히 관련 교과 차원에서 인성강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방안 마련과 실천에 의거한 ‘프로젝트형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음악을 포함한 예술교과의 역할과 가치는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더불 어 ‘역량중심교육’을 배경에 둔 현재의 전반적인 교육개선의 성격은 이러한 가치의 구현을 위해 구 호적 차원의 명시를 넘어설 수 있는 구체적이며 심도 있는 방안의 제시를 필요로 하고 있다. 1. 역량중심교육의 개념과 의의 가. 역량의 개념 역량의 개념은 지식기반사회라는 현대사회의 요구와 여러 국가의 교육과정개혁의 움직임과 연결 되면서 다양한 맥락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초기에 역량개념의 적용은 능력의 유효성이라는 차원에서 기업과 산업 혹은 작업장과 같이 생산 과 관련된 조직단위에서 이루어지면서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성취, 산출, 생산력 등의 측면이 강조되 었고 산업과 기술의 한정된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적용되었다. 이를테면 ‘같은 단위시간 안에 가능한 많은 생산품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필요한 생산자의 능력 요인은 무엇인가’와 같은 단편적 측면의 능력요인에 대한 개념으로 적용되었다. 이후 탁월한 능력을 가능케 하는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면서 능력의 범위는 특정 산업이나 생산의 기술영역에서 보다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장 되었고, 점차 역량개념이 확산되면서 단위 작업에서의 역량은 모든 직업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역량 요 인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 되었고, 결국 국가차원에서 공통된 직무표준(standard)을 구축하는 과정으 로 연결되면서 사회 전반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을 개념화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역량 개념에 ‘핵심(key)’ 개념이 접목되었고, 이후 여러 국가에서는 국가의 원, 2011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별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토론회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b).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시안 공청회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a);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포럼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b).
  • 4. 모든 영역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프로젝트들이 수행되면서 역량 개념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나타나게 되었다(<표 Ⅰ-1> 참조). <표 Ⅰ-1> 역량에 대한 다양한 정의 110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정의 주체 정의 McClelland (1973, 1993) 실제 수행상황에서 성공적인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평범한 수행자와 구분되는 우수한 수행 자의 특성 Spencer & Spencer(1993)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구체적인 준거나 기준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동기, 특질, 자기개념, 지식, 기술 등의 개인 내적 특성 OECD (Rychen & Saganik, 2003) 특정 맥락의 요구를 태도, 감정, 가치, 동기 등과 같은 사회적, 행동적 요소 뿐 아니라 인지 적, 실천적 기술을 가동시킴으로써 성공적으로 충족시키는 능력 소경희(2007) 21세기 사회를 성공적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공통적인 능력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효율적으로 혹은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혹은 사회인)에 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 나. 시대적 요청으로서의 역량중심교육 국가 차원에서 교육이 ‘역량’이라는 개념에 관심을 갖게 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통 학교교육은 학문과 지식을 일상적 유용성과 무관하게 가르친다는 인문적(academic) 성격에서 직업교육과 구별 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인문적 성격의 자유교육이 21세기 사회의 삶 속에서도 개인의 삶의 질을 의미 있게 향상 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4) 이 같은 의문은 종래의 인문적 성격의 학교교육이 주로 폭넓은 지식과 이해의 획득에 초점을 두고 있어, 일상생활 속에서 필요한 실제적 요구나 직업을 위한 경제적 요구 등 실천적 지식이나 기술을 무시해 왔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1997년부터 시작된 OECD의 프로젝트들이 개인의 사회적응과 생애지속을 위한 능력들을 ‘핵심역량’으로 강조하면서 ‘역량’에 대한 논의는 학교교육의 범위로 까 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들어 각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개편은 1차적으로는 DeSeCo 프로젝트의 역량 에 관한 관점을 반영한 것으로 뉴질랜드, 캐나다의 퀘벡 주, 호주의 빅토리아 주의 개편된 교육과정 들은 ‘역량중심교육과정(competency based curriculum)’의 선두사례로 들 수 있다. 이들 역량중심교 육과정들에서는 기존의 학교중심, 교과중심, 공급자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전 사회, 전 생애, 학습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5) 4) Young, M. F. D.,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London: Falmer Press. 1998, pp.22~33. 5) 소경희, “학교교육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ࡔ교육과정연구ࡕ 제25권 제3호(서울: 한
  • 5.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1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할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구조적으로 교육과정 구성에 적용하는 방안 또한 꾸준히 제안되어왔 다.6) 특히, 이광우 외(2009)는 기존에 연구되어진 한국형 역량요인들과7) 외국의 역량중심교육과정, 그 리고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미래 사회를 위한 한국인의 역량을 10가지로 제시하였으며 역량의 강화가 교과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표 Ⅰ-2>). <표 Ⅰ-2>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핵심역량 요소 핵심역량 영역 요소 창의력 ⦁창의적 사고 기능 ⦁창의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 ⦁문제인식 ⦁해결 방안의 탐색 ⦁해결방안의 실행과 평가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정보처리능력 ⦁정보 수집 ⦁정보 분석 ⦁정보 활용 ⦁정보 윤리 ⦁매체 활용 능력 대인관리능력 ⦁타인 이해 및 존중 ⦁협동 ⦁갈등 관리 ⦁관계 형성 ⦁리더십 자기관리능력 ⦁자아정체성확립 ⦁여가 선용 ⦁건강관리 ⦁합리적 경제생활 ⦁기본생활습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기초학습능력 ⦁기초적 읽기 ⦁기초적 쓰기 시민의식 ⦁공동체 의식 ⦁준법정신 ⦁환경의식 ⦁윤리의식 ⦁봉사정신 국제사회 문화이해 ⦁우리 문화의 이해 ⦁다문화 이해 ⦁문화 향유 능력 ⦁국제사회 이해 ⦁외국어 소양 진로 개발 능력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설계 이처럼 국내에서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사회 변화에 따라 교육적 차원에서의 역량 강화의 중요 성과 이를 국가 교육과정 수준에서 적용하는 문제는 점점 구체성을 띠어가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더욱 심도 있게 논의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역량중심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국가교육과정 체제에 가시적으로 드러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각 교과교육 차원에서 역량 기반 교육의 문제가 다양하게 탐색되고 있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8) 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6) 윤현진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Ⅰ(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김기헌, ࡔ아동 청소년기 핵심역량ࡕ(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이광우 외, ࡔ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설계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7) 윤현진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Ⅰ(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 6. 112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2. 국가차원의 인성교육 강화 가. 인성교육 강화의 배경 오늘날 학교교육은 점수와 등수에 학생의 가치가 좌우되는 무한 경쟁에 노출되면서 청소년들은 정서적으로 안정된 삶을 누리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근간 학교 현장에서의 집단 따돌림, 학교 폭력,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인성 부재의 징후들은 사회 변화의 역기능적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배경으로 지식교육만으로는 교육이 충분하지 않다는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면서 인성교육(人 性敎育)의 문제는 국가교육차원의 대안마련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로 확산되고 있다. 이미 1995년 5. 31 교육개혁 당시, 우리 사회를 충격에 몰아넣은 사회병리현상과 청소년 비행의 증가에 관한 문제의식이 일면서 인성교육이 강조된바 있으며,9)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성 과 함께 인성을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강조하였다.10) 2012년에 들어와서는 ‘인성실 천을 위한 교육과정’ 하에 총론과 사회, 도덕, 국어교과의 각론 일부를 개정하며 전 교과 차원의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인성교육 실천방안 모색을 강조하고 있다. ‘인성실천을 위한’이라는 전제를 교 육과정 앞에 두고 있음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성은 막연한 교육의 이상적 지향점이 아니라 매우 구체적인 내용과 과정을 통하여 실천되어야 하는 교육의 구심점으로 부각되고 있다.11) 나. 인성교육의 성격 일반적인 이해에서 인성교육은 ‘인간교육’의 의미로 인간을 인간답게 기르는 일로 해석된다. 이 때 인간의 인간다움은 ‘지 덕 체’, ‘진 선 미’의 겸비를 의미하는 균형의 상태(whole person)를 강조 하기도 한다. 교육적 차원에서의 인성은 현재사회와 미래사회에서의 인간 삶의 변화와 그에 따른 올바른 가치 정립의 측면에서 접근되고 있다.12) 인성교육의 주요 덕목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고대에는 용기, 절제, 지혜, 충효 등이 강조 되었고 고대 그리스 서사시에 나오는 영웅담에서는 용기, 우애, 자부심, 계책(cunning)이 덕목이었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서)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서울: 한 국교육과정평가원, 2011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별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토론회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11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포럼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b). 9)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 ࡔ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ࡕ(서울: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 1995).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서)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4쪽.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포럼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b), 15~18쪽. 12) 손승남, “21세기를 대비한 인성교육의 철학적 구상”, ࡔ한독교육학연구ࡕ 제4권 제2호(서울: 한독교육학회), 1999, 67~84쪽.
  • 7.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3 으며, 소크라테스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자의 시기에는 정의, 용기, 절제, 지혜가 덕으로 나타났다. 근대자본주의 시대의 덕은 진실성, 검소, 근면 등으로 그 목록이 다르며, 오늘날의 민주주 의 사회에서의 덕은 다양한 시민적 덕목들이 포함된다. 현대에는 배려, 책임감, 정의, 공정, 자기 존 중, 타인과의 관계성, 충실, 인내, 용기, 친절, 예절, 창의성, 심미성 등이 강조되고 있다. 현대 인성교육의 덕목들은 사회적 환경과 요구에 따라 세분화, 다양화 되는 경향을 보이면서 인 성교육이란 하나의 분리된 교육영역이 아닌 다양한 영역의 교육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 다는 통합 교육적 시각으로 접근되고 있다. <표 Ⅰ-3> 역량중심교육과정에 나타난 인성 덕목 국가 인성 관련 영역 요소 OECD 사회적 이질 집단에서의 상호 작용 타인과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 협동, 갈등관리 능력 자율적 행동 능력 넓은 시각에서 행동을 결정하고 스스로를 위한 계획과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권리, 의무, 한계를 알고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영국 타인과의 협동 소규모 집단이나 전체집단에 기여하거나 함께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스스로의 수행과 향상 자신이 수행한 일과 배운 것을 객관적으로 생각하고 비판할 수 있는 능력 다. 핵심역량으로서의 인성교육 현재 논의되고 있는 민주사회를 위한 인성교육의 의미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품성’으로 해석되고 있는 경향이 강하다. 다변화되는 현대사회의 구성원은 바람직한 품성과 함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능력 또한 갖추어야 한다는 이해와 맞물려 20세기 후반에 강조되 었던 ‘인성교육(Character Education)’은 ‘역량중심교육’과 결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역량중심교육과정이란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이 요구되고 기존의 지식, 내용 위주의 교육과정체제의 한계 극복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교육과정을 소위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재구조화하 는 것이다. 실천 가능한 능력의 습득을 강조하는 역량중심교육과정에서는 추상적인 개념으로서의 ‘인성’ 대신 타인과의 협동 능력, 자기 정체성 수립과 관리 능력, 참여와 공헌 등과 같은 각국 차원 에서 교육을 통해 달성해야 할 보다 구체적인 인성적 덕목들을 소위 ‘핵심역량(core competency)’으 로 구조화 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다음은 역량중심교육과정에 나타난 인성 덕목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표 Ⅰ-3>).13) 13) 교육과학기술부, ࡔ미래사회 대비 국가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ࡕ(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2).
  • 8. 캐나다 (퀘백) 개인적, 사회적 역량 자신의 정체성 형성 능력, 타인과의 협동 능력 뉴질랜드 자기관리 자기 동기화, 자율적 계획 및 실천 능력, 독립적 행동 능력 타인과의 관계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관점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능력 참여와 공헌 지역, 국가, 지구촌 공동체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함 <표 Ⅰ-4>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 별 목표 인간상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인적 성장의 기반위에 개 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 는 사람(자주인) 풍부한 학습경험을 통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균형 있게 자랄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일의 세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한다. 심신의 건강하고 조화로 운 발달을 추구하며 다양 한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익혀 적극적으로 진로를 탐색한다. 성숙한 자아의식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 을 익혀 진로를 개척하며 평 생학습의 기본 역량과 태도 를 갖춘다. 기초 능력의 바탕위에 새로 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 을 발휘하는 사람(창의인) 학습과 생활에서 문제를 인식 하고 해결하는 기초 능력을 기르고 이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상상력을 키운다. 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 초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력 을 기른다. 학습과 생활에서 새로운 이 해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 도를 익힌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 람(문화인) 우리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올바른 태도 를 기른다.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 한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한 이해 를 넓힌다. 우리 문화를 향유하고 다양 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 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세계인)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다양하 게 표현하며 타인과 공감하고 협동하는 태도를 기른다. 다양한 소통능력을 기르 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자 질과 태도를 갖춘다. 국가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세계 시민으로서 의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114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라. 현행 교육과정에 나타난 인성교육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미래인재의 양성을 암묵적 대전제로 두 고,14)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 별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15) 위의 <표 Ⅰ-4>에서 알 수 있듯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 별 목표에서 ‘인성’ 이라는 표현이 직접적으로 제시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전인적 성장’, ‘소통’, ‘배려’, ‘나눔’, ‘공 동체 발전’과 같은 개념은 ‘인성’ 덕목과 연결될 수 있다. 학교 급별 목표에는 ‘타인과의 공감’, ‘협 동’, ‘소통 능력’, ‘심신의 조화로움’, ‘민주시민의 자질’, ‘성숙한 자아의식’과 같은 인성 덕목 요인 들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또한 ‘창의성’, ‘문제해결력’, ‘진로 개척’, ‘생활에서의 이해와 가치’와 14) 교육과학기술부, ࡔ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토론회ࡕ(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8~41쪽. 15) 교육과학기술부, ࡔ음악과 교육과정ࡕ(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1~2쪽.
  • 9.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5 같은 요인을 함께 고려한다면 역량중심교육의 덕목들과 대거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 내용의 변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오늘날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볼 때 인성교육은 현재 우리나라 국가교육의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인성교육과 관련된 덕목을 중심으로 핵 심역량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재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 정의 특성을 조망해 보도록 하겠다. 1.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관련 내용 분석 다음은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항등에 명시된 역량 관련 내용들을 분석한 것으로, 여기에 제시된 내용의 분석 기준은 기존에 연구되어진 이광우 외(2009)의 미래 사회를 위한 한국인의 역량 10가지(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시민의식, 국제사회문화이해, 진로개발능 력)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표 Ⅰ-5>). <표 Ⅰ-5>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관련 내용 분석 교육과정 역량 관련 주요 내용 제1차 ⦁인격의 형성과 국민적 교양 ⦁애국 애족의 정신 ⦁기능연마 제2차 ⦁국민적 교양 ⦁애국 애족의 정신 ⦁문화향상에 기여하는 기초적인 능력과 태도 함양 ⦁일상생활에 활용 능력 제3차 ⦁음악 기초 능력 개발 ⦁바람직한 국민으로서의 교양 ⦁민족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능력 함양 ⦁민족문화 발전에 기여 제4차 ⦁창조성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조화로운 인격 형성 제5차 ⦁풍부한 정서와 창조성 ⦁조화로운 인격 형성 제6차 ⦁인간의 창의적인 욕구 충족 ⦁자아실현과 풍요로운 삶을 향유 ⦁바람직한 가치관의 발달 ⦁창조적 표현 능력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 제7차 ⦁창의성 계발 ⦁바람직한 가치관 ⦁음악 문화유산 가치 이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 2007 개정 ⦁창의성 계발 ⦁자아실현의 가능성 ⦁풍부한 음악적 정서와 애호심 함양
  • 10. 116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2009 개정 ⦁자주적 생활 능력 ⦁민주 국가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실현 ⦁개성의 발달과 진로 개척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 발휘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 이해 ⦁공동체 발전에 참여 ⦁기초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습관 형성 ⦁문화 이해 및 문화 향유 ⦁타인과 공감, 협동하는 태도 ⦁다원적인 가치 수용, 민주시민의 자질함양 ⦁진로 탐색 ⦁창의적인 사고력 그동안의 음악과 교육과정이 9차례 개정되어 오면서 역량과 관련한 내용이 주요 목표가 아니었 던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핵심 역량과 관련 한 요소들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는 것을 앞의 <표 Ⅰ-5>에서와 같이 알 수 있다.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창의성과 인성을 전체 교육과정의 구심점으로 보고, 각 교 과과정의 성격에 따라 이를 반영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과 교육과정에서는 전반적으로 이전 교육과정에서 보다 소위 사회적 역량요인으로 지목되어온 사회 적 역량요인에 대한 명시의 증가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주적 생활 능력, 개성의 발달 과 진로 개척, 진로 탐색 등과 같은 사회적 역량요인 등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모든 교과의 공통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관련 내용 강화 이미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역량과 관련 한 내용들을 상당히 많이 진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이미 앞에서 제시된 분석 기준인 이광우 외(2009)의 미래 사 회를 위한 한국인의 역량 10가지를 토대로 역량에 관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 해 보면 다음과 같다(<표 Ⅰ-6>). 역량 영역 <표 Ⅰ-6> 역량에 관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공통교육과정 목표 학년별 내용 학교 급별 교육 목표 초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3~4 5~6 중 1~3 추구하는 방법 평가 인간상 창의력 ● ● ● ● ● ● ● ● ● 문제해결능력 ● ● 의사소통능력 ● ● ● ● ● ● ● ● ● 정보처리능력 ● 대인관계능력 ● ●
  • 11. 자기관리능력 ● ● ● ● ● ● ● ● ● 기초학습능력 ● ● ● ● ● ● ● ● ● 시민의식 ● ● 국제사회문화이해 ● ● ● ● ● ● ● ● ● ● 진로개발능력 ● ● ● 관련 내용 있음 □ 관련 내용 없음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7 위의 <표 Ⅰ-6>에서 같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음악교과를 포함한 모든 교과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 별 교육 목표’를 공통 교육과정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특히 역량과 관 련된 많은 내용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추구하는 인간상’에서는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등을 제외한 창의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시민의식, 국제사회문화이해, 진로 개발능력 등이 고르게 언급되고 있다. 특히, 진로개발능력의 하위 역량 요소인 진로탐색과 관련해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품격 있는 삶의 영위에 대한 내용이 언급됨으로서 국제사회문화이해에 대한 역량 요인 등이 나 타나고 있다. 이외에도 배려, 나눔, 공동체 발전 등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데, 이것은 대인관 계능력과 시민의식의 역량 요인 모두에 해당되는 내용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공통교육과정에 해당하는 ‘학교급 별 교육 목표’ 중 초등학교의 경우, 기초학습능력에 해당하는 기초능력 배양과 기본생활 습관 형성에 중점을 둔 내용들이 나타나 있으며, 이밖에도 창의력, 문제 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국제사회문화이해 등에 관한 역량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중학교의 경우는 초등학교와 크게 차이가 없으며, 정보처리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제외한 역량 요인들이 고르게 언급되고 있다. ‘목표’ 항에서는 창의력을 비롯해, 의사소통능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국제사회문화이해 등에 관한 역량 내용들이 나타나 있다. 특히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등 문화향유능력과 관련한 국제사회문화이해의 역량 요인이 초등학교, 중학교 모두 명시되어 있다. 또 한, 자기관리능력과 관련해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일상생활에 필 요한 기본 능력을 배양하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자기관리능력의 하위 요소인 ‘기본생활습 관’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관련된 내용이다. ‘내용’ 항에서는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국제사회문화이해 등에 대 한 역량이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기초학습능력과 관련된 역량으로는 음악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능 력이 이에 해당하는데 특히 표현능력과 감상능력 등이 나타나 있다.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역량에 는 감상과 관련한 여러 영역이 속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악곡의 특징 이해하며 감상하기’, ‘다양 한 문화권의 음악 감상하기’ 등이 이에 해당된다.16) 이밖에도 교육과정의 내용을 융통성 있게 재구
  • 12. 118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성하는 것은 자기관리능력의 하위 요소인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관련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교수․학습 방법’ 항에서는 자기관리능력이나 기초학습능력 등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국제 사회문화이해와 관련한 역량이 두드러지게 언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국악 학습과 관련된 우리 문 화 이해 역량이 강조되고 있으며, 음악사에 대한 학습을 통해 국제사회이해의 역량이 반영되고 있 다. 이것은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이다. ‘평가’ 항에서는 의사소통능력, 기초학습능력, 국제사회문화이해 등이 나타나 있다. 의사소통능력 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평가뿐만 아니라 학생들 상호간의 상호평가를 언급하고 있으며, 기초학습능 력과 관련해서는 음악의 표현활동은 기초 기능, 표현, 태도 등을 고루 반영한 평가 지침에 대한 내 용이 명시되어 있다. 국제사회문화이해는 문화향유능력과 관련된 음악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 음악 의 생활화 정도 등을 평가하는 내용이 진술되어 있다. 이상으로 역량에 관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 10개의 역량 요인들 중 어떤 특정 역량이 두드러지게 강조되는 현상 없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관련 내용 분석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인성교육 관련 내용들을 다음의 <표 Ⅱ-1>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 제시된 분석 내용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세계 각국의 역량중 심교육과정에 제시된 인성 덕목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체적인 분석 기준은 앞의 <표 Ⅰ-3>에 제시 된 내용을 근거로 하였다. <표 Ⅱ-1>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관련 내용 분석 교육과정 인성교육 관련 주요 내용 제1차 ⦁원만한 인격 ⦁애국 애족의 정신 제2차 ⦁원만한 인격 ⦁자기표현 ⦁애국 애족 ⦁협동미 제3차 ⦁조화된 인격 형성 ⦁바람직한 국민으로서의 교양 ⦁정서적인 생활 영위 ⦁민족문화 발전에 기여 제4차 ⦁풍부한 정서와 창조성 ⦁조화로운 인격 형성 제5차 ⦁풍부한 정서와 창조성 ⦁조화로운 인격 형성 제6차 ⦁음악을 통한 자아실현 ⦁풍부한 정서 함양 ⦁바람직한 가치관의 발달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서)ࡕ(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42~43쪽.
  • 13.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19 제7차 ⦁전인적인 인간 ⦁바람직한 가치관 ⦁음악적 정서 풍부 2007 개정 ⦁자아실현 ⦁삶에 관한 이해 2009 개정 ⦁전인적 성장 ⦁세계와 소통 ⦁배려와 나눔의 정신 ⦁공동체 발전에 참여 ⦁타인과 공감 ⦁협동하는 태도 ⦁심신의 건강 ⦁조화로운 발달 추구 ⦁다양한 소통능력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 ⦁타인 존중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인식 ⦁세계 시민으로서의 문화적 소양을 지닌 인간 위의 <표 Ⅱ-1>은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항등에 명시된 인성교육 관련 내용들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9차례 음악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오면서 인성교육과 관련한 내용들이 빠지지 않고 제시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인성 관련 교육적 덕목은 ‘원만한 인격’과 ‘조화로운 인격 형성’이며, 이어 ‘가치관 성립’, ‘민족 문화의 계승’과 관련된 가치 덕목들이 제시되고 있다. 제1차와 제2차 교육과정에서는 당시 우리나라의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는 ‘애국 애족 정신의 함양’이 음악과 목표로 강조되고 있으며, 포괄적 음악성이 강조되기 시작한 제6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학생의 ‘음악성 계발을 통한 자아실현’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것은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 제시에 국가와 사회적 상황에 따른 교육적 요구가 반영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차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자기표현’ 및 ‘자아실현’과 관련해서는 세계 각국의 역량중심교육과정에 나타난 인성 덕목인 ‘자율적 행동 능력’과 ‘자기관리’ 영역과 관련된 내 용이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스스로의 일을 계획하여 결정하고 자율적으로 실천하려고 하는 실천 능력을 강조하는 점에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인적 성장’, ‘소통과 배려’, ‘나눔의 정신’, ‘협동’, ‘공동체 발전’, ‘조화로운 발달 추구’,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인식’, ‘세계 시민으로서의 문화적 소양을 지닌 인간’ 등 인성교육과 관련한 교육적 덕목들이 구체적으로 명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의 인성교육적 특징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 관련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목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성 함양 및 인성과 관련된 교육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교육적 지향점이다. 이와 관련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
  • 14. 정에 기술된 음악과의 목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7) <표 Ⅱ-2> 음악과의 목표 120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음악’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성과 창의성, 음악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안 목을 키움으로써 음악을 삶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이다. 음악 교과는 음악적 정서와 표현력을 계발하고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인식하여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창의적인 인재육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으로서 문화적 소양을 지닌 전인적 인간이 되는데 기여한다. <초등학교> 가.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한다. 나. 음악의 기초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 다.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음악을 즐기는 태도를 갖는다. <중학교> 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한다. 나. 음악의 연주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 다.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음악을 활용하는 태도를 갖는다. 위의 기술된 음악과의 목표에서 인성과 관련된 덕목을 살펴보면 ‘즐기는’, ‘문화의 다원적 가치’, ‘타인 존중’, ‘배려’, ‘세계시민’, ‘문화 소양’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인적 인간’이란 표현이 품고 있는 광범위한 덕목들을 고려할 때, 현행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다분히 인성 지향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인성덕목의 함양이 음악 활동, 음악적 정서, 경험, 표현 등 음악 교육적 경험과 그에 따른 결과를 통하여 기대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제시된 세 가지 목표는 음악경험을 통한 아름다움의 경험, 기능 익 히기, 창의적 표현, 감상을 통한 이해 그리고 음악의 가치인식을 통한 즐기는 태도 갖기 등이다. 이 러한 목표의 제시는 음악교과에서 다루어지는 활동과 내용 영역의 제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교육 실천적 차원에서 개인의 인성 함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악경험의 속성과 가치, 그리고 두 영역 간의 연계성을 드러내기에는 지나치게 간결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음악교육경험 구성을 위해서 음악활동, 음악이해, 음악적 가치가 어떻게 조망되고 적용되어야 할지 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인 명시가 필요하다. 나. 내용체계 다음은 현행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이다. 17) 교육과학기술부, ࡔ음악과 교육과정ࡕ(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 15.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21 <표 Ⅱ-3> 음악과의 내용체계 영역 내용 체계 1. 표현 1-1. 바른 자세로 표현하기 1-2.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1-3. 창의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2. 감상 2-1. 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하기 2-2.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하기 3. 생활화 3-1.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3-2.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크게 ‘이해’ 영역과 ‘활동’ 영역을 두어 음악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음악적 지식은 ‘이해’ 영역에서 다루고 있고, 음악활동과 관련된 가창, 기악, 감상, 창 작의 활동 지도는 ‘활동 ’영역에서 다루고 있다. 반면, 현행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활동’ 대신 ‘표현’ 영역을 제시하였고, 기존 ‘이해’ 영역의 내용을 대영역 ‘감상’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음악의 가치화 측면을 강조하는 ‘생활화’ 영역을 두고 있다. ‘활동’을 ‘표현’으로 대치한 것은 학생 스스로 생각과 의도를 가지고 참여하도록 하는 활동의 능동성을 강조하기 위함으로 엿보이며, 개념과 악곡 특징의 이해가 ‘감상’ 영역의 내용으로 제시된 것은 지식중심의 이해보다는 실음 듣기를 통한 경험적 이해를 강조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치와 태도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는 ‘생활화’ 영역의 내용 체계에는 ‘즐기 는’의 덕목을 강조함으로써 실제 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음악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 나 ‘즐기는 태도’로써 음악적 경험을 통한 미적, 정서적, 인성적 차원의 교육적 중요성을 드러내기에 는 그 설명이 충분하지 못하며, 이밖에도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항에서는 ‘목표’ 항에서 제시 된 인성 관련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음악적 활동들이 충분히 드러나지 않고 있다. Ⅳ. 나오며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교육은 그 어느 시대보다 더욱 책임 있는 역할 수행을 요청 받고 있다. 특히 미래사회를 책임질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우려하게 만드는 학교 폭력과 정 서 함몰 현상은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총체적 반성과 함께 인성교육의 강화를 최우선의 교육적 현 안으로 요청하고 있다. 현재 강조되고 있는 인성교육은 기존의 지식적 교육의 한계를 벗어나 개개인의 삶에서 실천 가능 한 ‘역량’적 능력으로 구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
  • 16. 122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의 구조를 재편성하는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과정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그동안 논의 되어진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 배경과 그 의미에 대 해 살펴보았고, 또한 그동안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의 내용들을 살 펴보고, 특히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의 특성을 조망해 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역량과 관련한 내용은 음악교과에 있어서 주요 목표는 아 니었지만,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요소들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현행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내용들이 상당히 많이 진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음악교과의 각 영역에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음악적 활동들이 어떻게 연계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진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오면서 인성 함양 및 인성 관련 덕목들은 음악 교과의 중요한 목표로 제시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악교과에서는 음악성 계발을 위한 목표 와 더불어 음악경험을 통한 인간의 정서와 인성 함양을 음악교육의 주요한 목표와 역할로 제시하여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인성과 관련된 내용들은 음악과의 목표 항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지만 ‘내용’과 ‘교 수․학습 방법’, ‘평가’ 항에서는 이와 연계된 구체적인 음악적 활동은 크게 드러나지 않고 있는 것 도 사실이다. 본 연구의 시작은 현대사회의 교육 동향이 크게 ‘역량중심교육’으로의 움직임과 현재 우리사회에 서 대두되고 있는 ‘교육을 통한 청소년 인성회복’의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하였 다. 특히, 국가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강조에서 ‘인성’을 ‘역량’으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각 교과 과정에서 인성실천을 위한 구체적 방안 모색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를 전제한 국가교육 체제에 ‘역량’ 또는 ‘인성’의 단서를 붙이는 데는 기존 지식중심 교육에 대하여 제기되어온 ‘영역 고유 지식이 갖는 개인 삶 안에서의 실천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교육적 차원의 의지 표출로 해석될 수 있다. 교육은 개인의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 기능, 경험, 가치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점에서 ‘역량교육’이 갖는 교육의 실천적 가치에 대한 강조는 음악교 육에서도 숙고해야할 과제이다.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지식과 기술을 넘어 개인차원의 지속적 자기발전으로 이어져야하 며 나아가 공동체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지식과 삶, 학문과 실제, 개인과 사회 의 상호연계를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음악교육의 차원에서도 음악 교육적 목적과 가치를 분 명히 하여 인간의 삶, 나아가 현대사회에 발전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역할과 방법을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
  • 17.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23 참고문헌 강선보 외,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ࡔ교육문제연구ࡕ 제3권, 서울: 고려대학교, 2008, 1~38쪽. 교육과학기술부, ࡔ2007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체육, 음악, 미술)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과학기술부, ࡔ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토론회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과학기술부, ࡔ음악과 교육과정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과학기술부, ࡔ미래사회 대비 국가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2. 김기헌, ࡔ아동 청소년기 핵심역량ࡕ,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소경희, “학교교육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ࡔ교육과정연구ࡕ 제25권 제3호,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21쪽. 손승남, “21세기를 대비한 인성교육의 철학적 구상”, ࡔ한독교육학연구ࡕ 제4권 제2호, 서울: 한독교육학회, 1999, 67~84쪽. 양승실, ࡔ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연구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윤현진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Ⅰ,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07. 이광우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ࡕ, 서울: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7. 이광우 외,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ࡕ Ⅱ,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08. 이광우 외, ࡔ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이광우 외,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이광우 외, “핵심역량과 국가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문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ࡔ교육과정평가연구ࡕ 제15권 제2호,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23쪽. 이명진,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이영준 외, ࡔ교과 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최준환,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ࡔ창의력교육연구ࡕ 제9권 제2호, 서울: 한국창 의력교육학회, 2009, 89~112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 서)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교과별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토론회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시안 공청회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a.
  • 18. 124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ࡔ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포럼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b. McClelland, D. Introduction. In L. Spencer & S. Spencer(Eds.), Competence a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3, pp. 3~8.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y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973, pp. 1~14.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DeSeCo)-Summary of the final report. OECD Press. 2003.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OECD Press, 2005a.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Press, 2005b. Spencer, L. & Spencer, S.,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3. Young, M. F. D.,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London: Falmer Press, 1998.
  • 19.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25 국문초록 본 연구는 첫째, 현재 강조되고 있는 역량중심교육과 인성교육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그 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과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보며 셋째, 역량과 인성 교육을 중심으로 한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역량과 관련한 내용은 음악교과에 있어서 주요 목표는 아니었지만,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요소들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현행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내용들이 상당히 많이 진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그동안 음악과 교육과정이 개 정되어 오면서 음악교과에서는 음악성 계발을 위한 목표와 더불어 음악경험을 통한 인간의 정서와 인성 함양을 음악교육의 주요한 목표와 역할로 제시하여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인성 과 관련된 내용들은 음악과의 ‘목표’ 항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지만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평 가’ 항에서는 이와 연계된 구체적인 음악적 활동은 크게 드러나지 않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주제어: 음악과 교육과정, 역량, 인성, 역량중심교육, 인성교육
  • 20. 126 국악교육연구 제7권 제2호 Abstract 18) Competenc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 Music Curriculum in Korea Jung, Eun-Gyeong*․Chung, Jin-Won**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educational effect in the music curriculum in Korea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demand of the recent diverse changes in the society whether musical education in Korea can improve students’ competency and character. As for the study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and with regard to the research contents based on it, first, the meaning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emphasized nowadays and Character Education as the core competency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contents related to competency and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curriculum so far were analyzed, an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music curriculum centered on competency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studied into. There are three indications of this research. First, it has been verified that cultivation of human emotions and characteristic through musical experiences have been suggested as the main goal and role of music education along with the goal of developing students’ musicality in the process of music curriculum revision so far. Second, these contents related to personality are being emphasized particularly in the section of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but it has also been proved that no specific musical activities connected to them are clearly suggested in the sections of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hir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music curriculum, nurturing students’ competency was not a main goal of music education, but the elements relevant to it has been reflected a lot so far, in the present curriculum revised in 2009 in particular, the contents related to competency have been found to be mentioned substantially. **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21.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 및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127 Key Words: music curriculum, competency, character, competency-based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 이 논문은 2013년 6월 26일 투고되어 2013년 7월 8일~7월 26일까지 심사기간을 거쳐 8월 12일 게재 확정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