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31
Download to read offline
MSG와 건강영향
인하대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임 종 한
식품첨가물, 어디까지 안전한가?
MSG의 정의
 모 노 소 디 엄 글 루 탐 산 ( Monosodium
glutamate, MSG) 는 비 필 수 지 방 산
클루탐산의 나트륨 염이다. 글루탐산은 우리
식품속에 가장 많은 아미노산의 하나이다
 글 루 탐 산 이 단 백 질 이 나 펩 타 이 드 의
구성요소로 요 소 가 아 닌 유 리 형태로
존재하게 될 때, 맛을 항진시키는 효과를
보 이 며 , 이 러 한 이 유 로 식 품 첨 가 물 로
사용되어진다.
노출원
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의 하나로, 글루탐산은 모든
식품에 존재하며,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에서 높은
농도를 보인다. 글루탐산은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의
구 성 요 소 로 결 합 형 으 로 존 재 할 수 있 고 ,
유리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 동물성 식품에서 유리형 글루탐산은 비교적 낮은
농도이며(예를 들면, 소고기 33 mg/100 g, 우유
2mg/100 g). 채소 (30-200 mg/100 g) 그리고
시즈닝, 소스, 레스토랑음식에서 농도가 높다.
(FSANZ, 2003; Rhodes 등, 1991).
잠재적인 건강영향
 MSG 는 중국식당증후군이라고 하는 복합
증상군과 일부 천식에 기관지 수축 등을 포괄하는
일련의 유해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식당증후군(CRS)이라고 하는 복합 증상군
혹은 MSG 복합 증상군은 종종 두통,
저림/어지러움, 안면 홍조, 근육 긴장, 전신
무력감등으로 특징지어진다.
음식을 통한 폭로 평가
 선진국에서 식품을 통한 하루 MSG 노출은
0.3-1.0 g/으로 평가된다(Geha et al., 2000).
영국에서의 자료에 의하면, 대략 식품을 통한 하루
MSG 노출은 0.6 g/일로 추정되며, 하루 2 g/일 이상
노출의 극단적인 소비자도 존재한다(Rhodes et al.,
1991).
 국내에선 하루 2 g/일 이상 노출의 극단적인
소비자가 더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위험(Risk)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식품 섭취 형태가 탄수화물을 많이 포함하는 경우, 단독으로
글루탐산을 소비하기보단, 식품의 한 구성요소로써
섭취하면, 혈청내 글루탐산의 최고 농도는 낮아진다(JECFA,
1988).
 MSG를 포함하여 글루탐산염의 안전성은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에 서 가 장 최 근 1 988년 을 비 롯 해 여 러 번
검토되었다. JECFA는 글루탐산염에 하루 섭취량(ADI)을
적시하진 않았다. 이러한 결정은 글루탐산염이 저독성이며,
건강에 유해하진 않고, 수치적인 하루 섭취량(ADI) 설정은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험(Risk)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유럽에 식품 과학위원회( Scientific Committee on
Food ,SCF) 는 JECFA와 같은 결론을 내리면서 글루탐산과
그 염 화학물에 대한 하루 섭취허용량을 설정하지 않았다.
(SCF, 1991).
 1995년에 실험생물학 미국학회 연맹(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FASEB) 은
미 식약청의 MSG에 의한 유해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Raiten et al., 1995). FASEB 전문가 패널은
식품 섭취 없이 MSG 3g을 섭취한 후 일반적으로 노출 한
시간 이내에 MSG 증상군을 유발하는 건강한 소그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패널은 MSG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천식 소그룹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가 있다고 언급했다.
위험(Risk)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중국식당증후군은 실험적인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식품 없이 큰 용량으로 MSG를 투여한 소수
그룹에서 확인되었다’
 천식 환자의 경우 기관지 수축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경험한 경우에도, MSG가 유의한 유발요인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어려웠다.
쟁점
 MSG, GMP, IMP 등의 향미증진제는 무독성으로 분류되며
안전한 식품첨가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및 미국과
일본에서도 별도의 사용제한이 없이 사용되고 있다.
MSG는 안전한 식품첨가물이다.
 MSG는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를 자극하는 흥분독소로, 태아,
영유아, 자폐증, 천식,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경색, 치매,
당뇨, 대사성질환자 등 민감군에 건강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물질이다. MSG 첨가여부, 감미료 등 다른 물질과의
병용 투여 여부 등에 정보를 알려야 하며, 오·남용의
위험성을 시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어느 쪽이 맞는 이야기 일까요?
독성물질은 무엇인가?
 모든 물질은 독(poisons)이다;
독이 아닌 것은 없다.
 그 물질의 양이 독성물질로 작용할지 혹은
치료제로 작용할지를 결정한다.
 Paracelsus (1493-1541)
출생 이후 MSG 투여
출처: Neuroscience Letters 297 (2001) 69±72
MSG 투여 후 신경세포 수의 감소와
신경분지가 가늘어지고 짧아지는 등의 신경손상 현상이 관찰됨.
MSG 투여 후 자폐증과 같은 소견 관찰
MSG를 먹은 쥐는 당 대사에 이상
MSG 투여 후엔 비만, 고지혈증
아토피 피부염과 산화성 손상
뇌는 산화성 손상에 매우 취약하다
 다양한 산화성손상 원인 (예, MAO, Aconitase, a-KGDH,
Nox(s), Complex I, P450s)
 산화 환원작용에 관여하는 금속이 풍부(촉매작용을 하는
이온)
 모노 아민의 자가 산화
 글루탐산의 흥분독성
 제한된 항산화 및 회복 능력
 상주하는 면역세포 (소교세포)가 활성산소와 염증
사이또카인을 생산한다.
알츠하이머 질환과 파킨슨 질환
 특징:
비정상적인 단백질 축척
만성적인 염증
비정상적인 산화스트레스
 많은 신경과학자들은 몇 신경퇴행성질환이 임상적 혹은
병리적인 경계가 불분명한 채 서로간에 연속선상에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나이와 관련된 인지장애의 연속선
광범위한 신경세포 손상, 조직 손상, 심각한 뇌 위축 등은 이들 질환의
생리적인 특징들이다. 뇌의 바깥층인 대뇌 피질이 계획, 인지, 기억 기능을
담당한다. 대뇌 피질 세포의 퇴행성 변화는 피질의 위축으로 이어진다.
해마는 뇌의 안쪽에 깊이 존재하는 작은 부위이다. 알츠하이머 질환에서는
대뇌 피질보다 해마부위가 휠씬 위축된다. 더 이상의 새로운 기억은
저장되지 않는다
흥분독성(Excitotoxicity)과
산화스트레스
 흥분성 아미노산 (예. 글루탐산)은 신경손상을 가져온다.
 흥분독성은 NMDA 수용체 활성화와 주로 관련되고, 다른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와도 반응한다.
 흥분독성은 지속적인 칼슘 농도(Ca2+ overload) 상승의
결과 때문이다.
 흥분독성은 과다 글루탐산에 노출되는 병리적인 상태(예,
뇌허혈, 간질)에서 발생한다. 세포 내 빠른 Ca2+ 증가는
여러 기전을 통해 세포 사망을 가져온다. 프로테아제의
활성화, 자유 래디컬의 형성, 지방 과산화, 산화질소의 형성
등이 관여한다.
 흥분독소에 대해 신경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기전이
정상적으로는 작동한다. 그 주된 것은 Ca2+ 전달체계,
미토콘드리아 기능, 유리 라디컬 청소부의 활동 등이다.
 산화스트레스는 방어기전이 다 망가진 상태(예를 들면,
저산소증)를 나타내는데, 반응성 산소종이 축적되고,
신경이 흥분독소에 보다 더 민감하게 된다.
독성 노출
산화성 손상
비만, 고혈압,
심혈관질환, 당뇨
알츠하이머질환,
치매,
파킨손질환
저체중
미숙아
생애에 산화성 손상에
매우 취약한 시기가 있다.
Insulin
signaling
• ↑ 혈당
• ↑ 혈관질환
• ↑ 중성지방
비만
환경호르몬 -
비스페놀A, 다이옥신,
PCBs, 일부 농약
신체비활동
포화지방
고혈당 탄수화물
대기오염
↓항산화제
↓Omega-3
과당
납, 기타
중금속
일부 농약
스트레스
체내 염증 반응을 가져오는 경로
산화
스트레스
염증
↑ 식품첨가물
병용섭취에 대한 불확실성
 식품첨가물은 사전안전관리 차원에서 국가별로 식품첨가물
신규 지정 시 독성자료 등 안전성에 관한 검토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허용된 식품첨가물은 각각 개별 품목에
대해서는 안전성 평가가 완료되었으나, 이들을 병용 섭취한
경우에 대한 조사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다른 첨가물과의 상승 작용으로
당 대사에 이상
급속히 진행되는 한국의 고령화
2030년 한국, G20 ‘4대 노인국가’
MSG 현재의 연구 수준
1.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 부족
신뢰할만한 연구(randomized, double-blinded, placo-controlled,
crossover study) 매우 부족
대부분 건강지원자를 대상으로 하기에 민감층, 취약층은 대상에서 누락
2. 대부분의 동물실험연구: 매우 많은 연구
사람에 적용 제한점: 투여량, 투여방법, 종간의 독성 차이
3. 인간 세포를 대상으로 연구, 독성학적인 연구( 흡수 및 대사, 배설, 종간
의 차이)
: 현재의 과학적 자료 축척 수준으로는 병용 투여, 취약계층의 건강영향에
대해서는 MSG가 안전하다는 것을 확신하기 어려움.
결론 및 정책 제안
 한국은 세계에서도 MSG 사용이 많은 국가임.
 2026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20%를 상회하는 초 고령국가에 진입
함. 당뇨인구가 고전인구에 7% 육박할 것으로 예상됨. 고령자, 당뇨 등
취약계층에 맞는 식품안전정책이 절실함.
 현재의 과학적 자료 축척 수준으로는 병용 투여, 취약계층의 건강영향에
대해서는 MSG가 안전하다는 것을 확신하기 어려움.
 그러므로,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해 MSG 사용 모니터링, MSG 표기 의
무화, 부작용 모니터링, 오남용 경고 문구 삽입, 병행투여 제한 품목 설
정 등을 제안함.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More from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0)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
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
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
 
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29th cmej
29th cmej29th cmej
29th cmej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Cf] 그 날 페이지
[Cf] 그 날 페이지[Cf] 그 날 페이지
[Cf] 그 날 페이지
 
[Cf] 그 날 책 (1)
[Cf] 그 날 책 (1)[Cf] 그 날 책 (1)
[Cf] 그 날 책 (1)
 
Guide book of healthy food
Guide book of healthy foodGuide book of healthy food
Guide book of healthy food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
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
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Msg와 건강영향

  • 1. MSG와 건강영향 인하대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임 종 한 식품첨가물, 어디까지 안전한가?
  • 2. MSG의 정의  모 노 소 디 엄 글 루 탐 산 ( Monosodium glutamate, MSG) 는 비 필 수 지 방 산 클루탐산의 나트륨 염이다. 글루탐산은 우리 식품속에 가장 많은 아미노산의 하나이다  글 루 탐 산 이 단 백 질 이 나 펩 타 이 드 의 구성요소로 요 소 가 아 닌 유 리 형태로 존재하게 될 때, 맛을 항진시키는 효과를 보 이 며 , 이 러 한 이 유 로 식 품 첨 가 물 로 사용되어진다.
  • 3. 노출원 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의 하나로, 글루탐산은 모든 식품에 존재하며,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에서 높은 농도를 보인다. 글루탐산은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의 구 성 요 소 로 결 합 형 으 로 존 재 할 수 있 고 , 유리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 동물성 식품에서 유리형 글루탐산은 비교적 낮은 농도이며(예를 들면, 소고기 33 mg/100 g, 우유 2mg/100 g). 채소 (30-200 mg/100 g) 그리고 시즈닝, 소스, 레스토랑음식에서 농도가 높다. (FSANZ, 2003; Rhodes 등, 1991).
  • 4. 잠재적인 건강영향  MSG 는 중국식당증후군이라고 하는 복합 증상군과 일부 천식에 기관지 수축 등을 포괄하는 일련의 유해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식당증후군(CRS)이라고 하는 복합 증상군 혹은 MSG 복합 증상군은 종종 두통, 저림/어지러움, 안면 홍조, 근육 긴장, 전신 무력감등으로 특징지어진다.
  • 5. 음식을 통한 폭로 평가  선진국에서 식품을 통한 하루 MSG 노출은 0.3-1.0 g/으로 평가된다(Geha et al., 2000). 영국에서의 자료에 의하면, 대략 식품을 통한 하루 MSG 노출은 0.6 g/일로 추정되며, 하루 2 g/일 이상 노출의 극단적인 소비자도 존재한다(Rhodes et al., 1991).  국내에선 하루 2 g/일 이상 노출의 극단적인 소비자가 더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6. 위험(Risk)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식품 섭취 형태가 탄수화물을 많이 포함하는 경우, 단독으로 글루탐산을 소비하기보단, 식품의 한 구성요소로써 섭취하면, 혈청내 글루탐산의 최고 농도는 낮아진다(JECFA, 1988).  MSG를 포함하여 글루탐산염의 안전성은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에 서 가 장 최 근 1 988년 을 비 롯 해 여 러 번 검토되었다. JECFA는 글루탐산염에 하루 섭취량(ADI)을 적시하진 않았다. 이러한 결정은 글루탐산염이 저독성이며, 건강에 유해하진 않고, 수치적인 하루 섭취량(ADI) 설정은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7. 위험(Risk)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유럽에 식품 과학위원회( Scientific Committee on Food ,SCF) 는 JECFA와 같은 결론을 내리면서 글루탐산과 그 염 화학물에 대한 하루 섭취허용량을 설정하지 않았다. (SCF, 1991).  1995년에 실험생물학 미국학회 연맹(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FASEB) 은 미 식약청의 MSG에 의한 유해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Raiten et al., 1995). FASEB 전문가 패널은 식품 섭취 없이 MSG 3g을 섭취한 후 일반적으로 노출 한 시간 이내에 MSG 증상군을 유발하는 건강한 소그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패널은 MSG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천식 소그룹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가 있다고 언급했다.
  • 8. 위험(Risk)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중국식당증후군은 실험적인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식품 없이 큰 용량으로 MSG를 투여한 소수 그룹에서 확인되었다’  천식 환자의 경우 기관지 수축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경험한 경우에도, MSG가 유의한 유발요인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어려웠다.
  • 9. 쟁점  MSG, GMP, IMP 등의 향미증진제는 무독성으로 분류되며 안전한 식품첨가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및 미국과 일본에서도 별도의 사용제한이 없이 사용되고 있다. MSG는 안전한 식품첨가물이다.  MSG는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를 자극하는 흥분독소로, 태아, 영유아, 자폐증, 천식,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경색, 치매, 당뇨, 대사성질환자 등 민감군에 건강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물질이다. MSG 첨가여부, 감미료 등 다른 물질과의 병용 투여 여부 등에 정보를 알려야 하며, 오·남용의 위험성을 시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어느 쪽이 맞는 이야기 일까요?
  • 10. 독성물질은 무엇인가?  모든 물질은 독(poisons)이다; 독이 아닌 것은 없다.  그 물질의 양이 독성물질로 작용할지 혹은 치료제로 작용할지를 결정한다.  Paracelsus (1493-1541)
  • 11. 출생 이후 MSG 투여 출처: Neuroscience Letters 297 (2001) 69±72 MSG 투여 후 신경세포 수의 감소와 신경분지가 가늘어지고 짧아지는 등의 신경손상 현상이 관찰됨.
  • 12. MSG 투여 후 자폐증과 같은 소견 관찰
  • 13. MSG를 먹은 쥐는 당 대사에 이상
  • 14. MSG 투여 후엔 비만, 고지혈증
  • 16. 뇌는 산화성 손상에 매우 취약하다  다양한 산화성손상 원인 (예, MAO, Aconitase, a-KGDH, Nox(s), Complex I, P450s)  산화 환원작용에 관여하는 금속이 풍부(촉매작용을 하는 이온)  모노 아민의 자가 산화  글루탐산의 흥분독성  제한된 항산화 및 회복 능력  상주하는 면역세포 (소교세포)가 활성산소와 염증 사이또카인을 생산한다.
  • 17. 알츠하이머 질환과 파킨슨 질환  특징: 비정상적인 단백질 축척 만성적인 염증 비정상적인 산화스트레스  많은 신경과학자들은 몇 신경퇴행성질환이 임상적 혹은 병리적인 경계가 불분명한 채 서로간에 연속선상에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 19. 광범위한 신경세포 손상, 조직 손상, 심각한 뇌 위축 등은 이들 질환의 생리적인 특징들이다. 뇌의 바깥층인 대뇌 피질이 계획, 인지, 기억 기능을 담당한다. 대뇌 피질 세포의 퇴행성 변화는 피질의 위축으로 이어진다.
  • 20. 해마는 뇌의 안쪽에 깊이 존재하는 작은 부위이다. 알츠하이머 질환에서는 대뇌 피질보다 해마부위가 휠씬 위축된다. 더 이상의 새로운 기억은 저장되지 않는다
  • 21. 흥분독성(Excitotoxicity)과 산화스트레스  흥분성 아미노산 (예. 글루탐산)은 신경손상을 가져온다.  흥분독성은 NMDA 수용체 활성화와 주로 관련되고, 다른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와도 반응한다.  흥분독성은 지속적인 칼슘 농도(Ca2+ overload) 상승의 결과 때문이다.  흥분독성은 과다 글루탐산에 노출되는 병리적인 상태(예, 뇌허혈, 간질)에서 발생한다. 세포 내 빠른 Ca2+ 증가는 여러 기전을 통해 세포 사망을 가져온다. 프로테아제의 활성화, 자유 래디컬의 형성, 지방 과산화, 산화질소의 형성 등이 관여한다.
  • 22.  흥분독소에 대해 신경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기전이 정상적으로는 작동한다. 그 주된 것은 Ca2+ 전달체계, 미토콘드리아 기능, 유리 라디컬 청소부의 활동 등이다.  산화스트레스는 방어기전이 다 망가진 상태(예를 들면, 저산소증)를 나타내는데, 반응성 산소종이 축적되고, 신경이 흥분독소에 보다 더 민감하게 된다.
  • 23. 독성 노출 산화성 손상 비만, 고혈압, 심혈관질환, 당뇨 알츠하이머질환, 치매, 파킨손질환 저체중 미숙아 생애에 산화성 손상에 매우 취약한 시기가 있다.
  • 24. Insulin signaling • ↑ 혈당 • ↑ 혈관질환 • ↑ 중성지방 비만 환경호르몬 - 비스페놀A, 다이옥신, PCBs, 일부 농약 신체비활동 포화지방 고혈당 탄수화물 대기오염 ↓항산화제 ↓Omega-3 과당 납, 기타 중금속 일부 농약 스트레스 체내 염증 반응을 가져오는 경로 산화 스트레스 염증 ↑ 식품첨가물
  • 25.
  • 26. 병용섭취에 대한 불확실성  식품첨가물은 사전안전관리 차원에서 국가별로 식품첨가물 신규 지정 시 독성자료 등 안전성에 관한 검토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허용된 식품첨가물은 각각 개별 품목에 대해서는 안전성 평가가 완료되었으나, 이들을 병용 섭취한 경우에 대한 조사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 27. 다른 첨가물과의 상승 작용으로 당 대사에 이상
  • 29. 2030년 한국, G20 ‘4대 노인국가’
  • 30. MSG 현재의 연구 수준 1.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 부족 신뢰할만한 연구(randomized, double-blinded, placo-controlled, crossover study) 매우 부족 대부분 건강지원자를 대상으로 하기에 민감층, 취약층은 대상에서 누락 2. 대부분의 동물실험연구: 매우 많은 연구 사람에 적용 제한점: 투여량, 투여방법, 종간의 독성 차이 3. 인간 세포를 대상으로 연구, 독성학적인 연구( 흡수 및 대사, 배설, 종간 의 차이) : 현재의 과학적 자료 축척 수준으로는 병용 투여, 취약계층의 건강영향에 대해서는 MSG가 안전하다는 것을 확신하기 어려움.
  • 31. 결론 및 정책 제안  한국은 세계에서도 MSG 사용이 많은 국가임.  2026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20%를 상회하는 초 고령국가에 진입 함. 당뇨인구가 고전인구에 7% 육박할 것으로 예상됨. 고령자, 당뇨 등 취약계층에 맞는 식품안전정책이 절실함.  현재의 과학적 자료 축척 수준으로는 병용 투여, 취약계층의 건강영향에 대해서는 MSG가 안전하다는 것을 확신하기 어려움.  그러므로,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해 MSG 사용 모니터링, MSG 표기 의 무화, 부작용 모니터링, 오남용 경고 문구 삽입, 병행투여 제한 품목 설 정 등을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