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이슈브리프 주간 금융경제동향
제4권 제48호 ∙ 2014.12.10 | 5
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
전략연구실 김종현 연구위원 synclare@woorifg.com
향후 핀테크 산업의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관련 산업에 대한 투
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대형 ICT 기업들이 송금 지급결제 시장
에 뛰어들고 있으나, 해외와 같은 핀테크 기업들의 서비스 상용화 실적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핀테크 산업의 성장이 부진한 이유는 법과 규정에 의한 사전 규제와
ActiveX로 귀결되는 국내 결제시장 환경의 특수성이 핀테크 기업들의 사업 추진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만약 국내 핀테크 산업의 경쟁력이 중장기적으로 제고되지 않을 경우,
국내 관련 산업과 시장이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에 종속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국내 핀
테크 산업을 효과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확대할 수 있
는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일부 허용하고, 전 세계 핀테크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한 영국처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또한 민간부문인 선진 글로벌 은행들 역시
핀테크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은행들도 핀테크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만 국내 핀테크 산
업을 육성하기 위해 규제 완화는 필요하나,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하거나 대형 금융
사고가 발생 가능한 부문에 대한 통제는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n 핀테크 기업들의 주요 사업영역은 지급결제, 금융데이터 분석, 금융소프트웨어, 플
랫폼 등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Ÿ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을 결합한 단어로 모바일, SNS,
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금융기법과 차별화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
기술을 의미
Ÿ 핀테크 기업들은 기본적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첨단기술을 결합하여 기존의 금
융거래 방식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형태의 금융 비즈니스모델을 표방
- 원터치 결제, 크라우드펀딩, P2P 대출 등 기존 금융회사의 사업모델과 차별화
핀테크 사업영역 분류
사업영역 내 용 세부 영역
지급결제
이용이 간편하면서도 수수료가 저렴한 지급결제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급결제시장의 진입장벽 완화
Infrastructure / Online Payments /
Foreign Exchange
금융데이터
분석
개인과 기업고객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Credit Reference /
Capital Markets / Insurance
금융
소프트웨어
보다 진화된 스마트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금융업무 및 서비스 관련 SW 제공
Risk Management / Payments /
Banking / Asset Management /
Insurance / Accounting
플랫폼
전 세계 기업과 고객들이 금융기관의 개입 없이 자유롭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거래기반을 제공
P2P Lending / Trading Platforms /
Personal Wealth / Aggregators
자료: UK Trade & Investment
주간 금융경제동향 이슈브리프
6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n 전 세계 핀테크 시장에 이미 각 사업영역에서 주도적인 핀테크 기업들이 속속 등장
Ÿ 상이한 각국 통화나 결제시스템의 차이에 구애 받지 않고 전 세계 개인고객과 기업들
을 대상으로 편리한 지급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모델이 부상
Ÿ 금융회사가 보유한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개정보를 분석하여 초단시간에 고
객의 신용도 또는 금융사고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알고리즘 기술도 개발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 사례
사업영역 기업명 사업 내용
지급결제
스트라이프
(Stripe.com)
- 자사의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앱에 삽입한 회원에게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한 지급결제와 이틀 안에 대금을 지급해 주는 서비스 제공
- 전 세계 139개국 통화와 비트코인, 알리페이 등으로도 결제 가능
금융데이터
분석
어펌
(Affirm.com)
- 회원이 온라인쇼핑몰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신용카드가 아닌 본인의 신용
으로 할부 구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결제 서비스 제공
- 회원의 공개된 데이터를 분석해 단 몇 초 만에 신용도를 평가한 후, 회원의
적정 할부 수수료를 산정하여 부과
금융
소프트웨어
빌가드
(Billguard.com)
- 자사가 개발한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신용카드 청구서 상 오청구 또는
수수료 과다 인출 등의 징후를 포착하여 회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 제공
- 모바일앱으로 회원의 신용카드와 은행 계좌를 통합 관리 가능
플랫폼
온덱
(Ondeck.com)
- 100% 온라인 기반으로 대출 신청서 제출에 10분, 신청 익일에 지정 계좌
로 자금을 입금해주는 대출 서비스 제공
- 자체 개발한 신용평가 알고리즘이 대출 신청자의 금융기관 거래내용, 현금
흐름, SNS상 평판 등을 고려해 몇 분 만에 신용 평가 및 대출 여부 심사
자료: Anthemis Group
n 최근 핀테크 산업이 주목받는 이유는 모바일 트래픽이 급증함과 동시에 모바일 채
널을 통한 금융거래가 늘어나 관련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됐기 때문
Ÿ 글로벌 모바일 트래픽량은 2013년 1.5엑사바이트*에서 2018년 15.9엑사바이트로 연
평균 61%씩 급증할 것으로 예상
* 1엑사바이트(EB; Exabyte)는 10
18
바이트로 DVD 2,500억개 분량의 저장용량을 의미
- 방대한 모바일 트래픽량은 개인 및 기업의 신용평가 및 금융거래에 대한 새로운 분
석이 가능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여 대출, 보험 등의 사업방식의 변화 촉발
Ÿ 글로벌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 역시 2011년 1,059억달러에서 2017년 7,210억달러로 6
년 동안 약 7배 성장할 전망
- 모바일 결제시장의 급속한 확장을 배경으로 송금 및 지급결제의 수단으로서 스마트
폰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관련 신기술의 개발이 급진전되고 있는 추세
이슈브리프 주간 금융경제동향
제4권 제48호 ∙ 2014.12.10 | 7
글로벌 모바일 트래픽량 (EB) 글로벌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 (억달러)
1.5
2.6
4.4
7.0
10.8
15.9
0
2
4
6
8
10
12
14
16
18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7,210
2,354
1,631
1,059
2017(E)
2013
2012
2011
자료: Cisco 자료: Gartner
n 향후 핀테크 산업의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
Ÿ 핀테크 기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금액은 2008년 9억 2,000만달러에서 2013년 29억
7,000만달러로 최근 5년 새 3배 이상 성장
글로벌 핀테크 투자규모 추이
(단위: 억 달러)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9.3 9.8 19.8 24.3 27 29.7
자료: Accenture
Ÿ 사업영역별 투자비중을 보면, 2008년 이후 지급결제 비중이 점차 축소되고, 2013년에
는 금융소프트웨어와 금융데이터분석 부문에 대한 투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글로벌 핀테크 사업영역별 투자 비중 (%)
0% 20% 40% 60% 80% 100%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9
23
33
26
32
10
29
19
12
18
10
16
28
46
49
50
53
70
14
12
7
6
6
5
금융소프트웨어
금융데이터분석
지급결제
플랫폼
자료: CB Insights
주간 금융경제동향 이슈브리프
8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n 반면 국내에서는 대형 ICT 기업들이 송금 지급결제 시장에 뛰어들고 있으나, 해외
와 같은 핀테크 기업들의 서비스 상용화 실적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
Ÿ 국내 대형 ICT(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기업들이 기존 사업의 연장선상에
서 지급결제 서비스 영역을 좀 더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춤
Ÿ 해외 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핀테크 기업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남
지급결제 시장에 진출한 국내 ICT 기업 현황 국가별 핀테크 기업 수 (개)
기업 서비스 개 요
SKT
BLE
페이먼트
스마트폰과 POS 기기 간 결제정보 무
선 교환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
KT
올레앱
안심인증
휴대폰의 고유 정보로 금융기관의 앱
이용 시 자동으로 사용자 본인 인증
LGU+
페이나우
플러스
안전패턴과 간편그래픽 인증방법으
로 간편 결제
다음카카오
뱅크월렛
카카오
뱅크월렛카카오 가입회원끼리 송금
및 오프라인 결제 가능
삼성전자 삼성월렛
신용카드사와 연합하여 앱카드 방식
으로 결제 서비스 제공
0
4
7
10
15
57
374
한국
일본
홍콩
중국
싱가포르
영국
미국
자료: 각사 발표자료 종합 자료: Venture Scanner
n 우리나라의 핀테크 산업의 성장이 부진한 이유는 법과 규정에 의한 사전 규제가
핀테크 기업들의 사업 추진을 어렵게 만들고 있기 때문
Ÿ 금융업의 특성 상 기본적인 보안요건과 기술을 갖추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나, 전자금
융업자 등록요건과 보안성 심사 등의 과정에서 일부 비현실적 요건들이 존재
- 전자금융업자의 등록요건을 맞추기 위해 불필요하게 자본을 늘려야 하거나, 추가 인
력과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 발생
- 또한 현행 보안성 심사에 장기간이 소요되어 심사에 통과하더라도 이미 시장에서 뒤
처진 기술이 되어 버리거나 시장 진입시기를 놓치는 현상도 발생
Ÿ 간편결제서비스 제공 기업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PG사가 카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
도록 허용한 것도 일부 기업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짐
- 신용카드 정보 저장이 가능한 적격PG의 요건(자본・순부채비율・FDS・재해복구센터)
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업체는 PG업계 전체의 15%에 불과
Ÿ 전자금융거래에 관한 법 뿐만 아니라, 여신전문금융업법, 외환거래법, 자본시장법 등
다양한 관련 법제로 인해 사업 추진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
- 일례로 우리나라에서는 크라우드펀딩* 사업의 허가를 위해 2013년 6월 크라우드펀
딩 관련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1년 6개월째 국회에 계류 중인 반면, 선진
국의 경우 이미 관련 법안을 통과시켜 크라우드펀딩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음
이슈브리프 주간 금융경제동향
제4권 제48호 ∙ 2014.12.10 | 9
*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은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의 채널을 활용해 일반 대중으
로부터 투자자금을 모으는 사업방식을 말함
크라우드펀딩 관련 선진국 법안 제정 현황
국가 시행시기 내 용
미국 2012년 4월 소규모기업의 창업자금조달촉진법에 관한 법인 잡스(JOBS)법을 제정
영국/이탈리아 2012년 10월 크라우드펀딩 육성계획과 창업을 위한 혁신 및 성장촉진법을 제정
일본 2014년 5월 크라우드펀딩 관련 개인거래법을 제정하여 시행 중
자료: 언론 보도자료 종합
n 특히 해외에서는 포지티브 리스트 방식에 의한 정부 규제보다 민간에 의한 보안표
준의 도입과 시장 필터링 기능에 의해 자율적으로 보안을 강화
Ÿ 우리나라는 구체적인 보안사항을 사전에 지정하는 포지티브 리스트 방식의 규제로
인해 규정 개선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기술발전에 뒤처지는 문제점 발생
- 선진국들은 네가티브 리스트 방식을 도입하여 민간에 상당한 자율권을 부여
Ÿ 일례로 미국의 경우 민간기업이 주도하여 자체적으로 PCI DSS*라는 보안표준을 만
들고 기준에 미달하는 기업들은 시장 진입 자체가 어려운 생태계를 갖춤
* PCI DSS는 비자, 마스타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JCB 등 글로벌 신용 카드사들이
설립한 PCI 보안 표준 협의회(PCI Security Standards Council)에서 만든 데이터 보안 표
준 인증으로,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기업이 갖춰야 할 글로벌 정보보호 인증을 말함
n 한편 국내 송금 지급결제 시장에서 핀테크 기업의 창업이 저조할 수밖에 없는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국내 결제시장 환경의 특수성과 관련
Ÿ 최근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이 폐지되는 등 개선되고는 있으나, 과거 인터넷 익스플로
러 기반 보안정책의 영향으로 여전히 ActiveX 사용 비중이 높은 상황
- 보안, 인증, 결제 등 금융서비스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부문의 ActiveX 사용 비중이
전체의 61.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비중을 유지
기능별 ActiveX 사용 현황
보안 인증 결제 멀티미디어 게임 인터넷기술 PC제어 파일처리 기타
477개
(27.4%)
327개
(18.8%)
262개
(15.1%)
281개
(16.1%)
144개
(8.3%)
67개
(3.9%)
54개
(3.1%)
46개
(2.6%)
82개
(4.7%)
주: ( )는 전체 대비 비중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1)
Ÿ ActiveX를 지원하지 않는 인터넷 브라우저나 보안기술을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의
기술 활용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기존 서비스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
주간 금융경제동향 이슈브리프
10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n 만약 국내 핀테크 산업의 경쟁력이 중장기적으로 제고되지 않을 경우, 국내 관련
산업과 시장이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에 종속될 가능성
Ÿ 최근 출시된 애플페이는 공식적으로는 국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으나, 우
회적인 방법으로 일부 미국 신용카드의 사용이 가능한 상황
- 비자사의 ‘비자페이웨이브(Visa payWave)’ 시스템이 설치된 국내 일부 가맹점에서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발급한 비자 신용카드를 애플페이 방식으로 결제 가능
Ÿ 또한 구글, 아마존, 알리페이 등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은 직접 국내 시장 진입에 앞서
국내 PG사 또는 은행들과 제휴하여 국내 송금 지급결제 시장에 진입
- 아직까지는 직접 결제가 아니라 외국인들이 국내 온라인쇼핑몰 또는 면세점에서 물
품 구매 시 대금결제를 가능케 하는 간접 결제 서비스 중심
Ÿ 고객 수요 측면에서도 실제 우리나라 고객(직구족)들이 수수료가 비싼 국내 신용카드
보다 페이팔과 같은 원클릭 결제서비스를 선호하는 추세
- 해외 인터넷쇼핑몰에서 국내 신용카드로 원화결제를 할 경우 페이팔과 같은 전자지
갑을 통해 현지 통화로 결제할 때보다 수수료가 3~6% 이상 추가 발생
n 해외 핀테크 기업들의 국내 시장 진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는 어려울 전망이나,
만약 현실화될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Ÿ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국내 금융회사의 시장점유율 하락 및 경쟁력 약화 우려
해외 핀테크 기업의 국내 금융시장 진출에 따른 파급효과 가상 시나리오
자료: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이슈브리프 주간 금융경제동향
제4권 제48호 ∙ 2014.12.10 | 11
n 우리나라의 핀테크 산업을 효과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확대할 수 있는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일부 허용해 줄 필요
Ÿ 현행법(중소기업창업지원법 시행령 제1장 제4조) 상 창업투자회사는 금융업에 대한
투자를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한편, 핀테크 기업의 금융업 해당 이슈 상존
- 상당수 국내 창업투자회사들이 핀테크 스타트업(Startup; 창업 초기 기업)에 투자를
할 의사가 있으나 제도상의 제약으로 실제 투자는 어려운 상황
Ÿ 벤처기업 지정 요건을 확장하여 신기술 중심의 핀테크 기업들에 대해서는 벤처캐피
탈이 투자할 수 있도록 제한적인 허용을 검토할 필요
n 실제 영국이 전 세계 핀테크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의 적극
적인 지원과 규제 완화가 있었기 때문
Ÿ 영국 정부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금융산업이 큰 타격을 입자, 정보기술(IT)과 금융을
융합한 핀테크를 신산업으로 예측하고 다양한 지원방안을 적극 실행
- 영국 정부는 핀테크 분야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문연구소와 창업지원기관을
운영하고, 규제 완화를 위한 규제자문서비스도 제공 중
Ÿ 또한 영국 정부는 글로벌 금융그룹과 공동으로 ‘금융테크혁신연구소’를 설립하여 유
망한 핀테크 기업을 선정해 투자하고 금융회사와 제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 스타트업이나 IT 기업이 저렴한 임대료로 금융회사가 밀집한 건물에 입주할 수 있도
록 해주고, 50개 이상의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육성 전문기업)들은 핀테크 기업의
초기 투자 단계에서부터 행정·법률자문, 외부 투자자 유치 등을 지원
n 아울러 최근 논의되고 있는 인터넷전문은행과 관련하여 선진국들은 일찍이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에 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여 관련 산업을 육성
Ÿ 1995년 10월 세계 최초로 인터넷전문은행이 등장한 미국은 금융회사뿐만 아니라 산
업자본에도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을 허용해 현재 카드·증권·보험사를 비롯해 비금융
회사가 세운 인터넷전문은행이 시장을 주도
- 일례로 자동차제조사인 GM과 BMW는 각각 알리뱅크와 BMW뱅크라는 인터넷전문
은행을 설립하여 자동차금융 등에 특화하여 운영 중
Ÿ 일본 정부는 2000년 ‘새로운 형태의 은행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산업자본이
은행 지분의 20% 이상을 소유할 수 있도록 허용
- 규제 완화의 결과, 소니, 야후 등 IT 기업들이 기존 오프라인 은행과 손잡고 인터넷
전문은행을 잇달아 설립하여 운영 중
주간 금융경제동향 이슈브리프
12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n 민간부문의 선진 글로벌 은행들 역시 투자기회를 선점하고 자사의 뱅킹 경쟁력 향
상을 위해 이미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
Ÿ 글로벌 은행들이 핀테크 산업에서 고수익 투자기회를 선점하고, 자사의 뱅킹 경쟁력
을 높일 수 있는 유망 기업들을 창업 단계에서 조기 발굴하여 육성하려는 목적
Ÿ 이와 같은 글로벌 은행들의 투자 행보를 감안할 때, 국내 은행들도 핀테크 기업을 경
쟁자로 간주하기보다는 동반 성장의 파트너로 인식하고 투자를 확대할 필요
글로벌 은행의 핀테크 기업 육성방안
국가 은행명 육성방안
스페인
산탄데르 2014년 7월 런던을 중심으로 핀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1억달러 규모의 펀드 조성
BBVA 2013년 1월 美 실리콘밸리 중심으로 핀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1억달러 규모의 펀드 조성
영국
HSBC 2014년 5월 리테일뱅킹 부문 핀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2억달러 규모의 펀드 조성
Barclays
2014년 5월부터 유망 핀테크 기업에 대해 업체당 최고 5만달러까지 투자하고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Barclays Accelerator’라는 핀테크 기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
스위스 UBS
2014년 5월부터 유망 핀테크 기업을 선정하여 투자와 창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Innovation Spaces’라는 Working Group을 운영 중
미국
Wells Fargo
2014년 8월부터 유망 핀테크 기업에 대해 업체당 최저 5만달러에서 최고 50만달러까지
투자하고 창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핀테크 기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
Citi 2014년 한 해 동안 Citi Ventures를 통해 유망 핀테크 기업에 총 7천만달러를 투자
자료: 각사 발표자료 종합
n 다만 국내 핀테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규제 완화는 필요하나, 금융시스템의 안
정성 저해 또는 금융사고가 발생 가능한 부문에 대한 통제는 충분히 고려할 필요
Ÿ 핀테크 기업이 유사수신 업무나 우회적인 신용 창출에 깊이 관여하는 것은 금융시스
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핀테크 기업의 금융시스템 안정성
저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 설정이 필요
Ÿ 또한 규제 이슈와는 별도로 핀테크 기업들의 불안정한 서비스로 인해 대형 사고가
발생할 경우, 바로 소비자와 핀테크 산업의 발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핀테
크 기업의 자체적인 기술 혁신 및 서비스 경쟁력 제고 노력도 매우 중요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핀테크 동향과 시사점
핀테크 동향과 시사점핀테크 동향과 시사점
핀테크 동향과 시사점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일본 핀테크 시장
일본 핀테크 시장일본 핀테크 시장
일본 핀테크 시장
智嫄 尹
 
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
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
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핀테크(Fin tech): 거대한 디지털 격변의 현장
핀테크(Fin tech): 거대한 디지털 격변의 현장핀테크(Fin tech): 거대한 디지털 격변의 현장
핀테크(Fin tech): 거대한 디지털 격변의 현장정수 강
 
금융과 It의 융합 핀테크(fin tech)의 사례와 원류
금융과 It의 융합 핀테크(fin tech)의 사례와 원류금융과 It의 융합 핀테크(fin tech)의 사례와 원류
금융과 It의 융합 핀테크(fin tech)의 사례와 원류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전자금융이 쌓아 온 금융아성, 핀테크가 뒤흔든다
전자금융이 쌓아 온 금융아성, 핀테크가 뒤흔든다전자금융이 쌓아 온 금융아성, 핀테크가 뒤흔든다
전자금융이 쌓아 온 금융아성, 핀테크가 뒤흔든다
Kunwoo Kim
 
산업 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의 시사점
산업 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의 시사점산업 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의 시사점
산업 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의 시사점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핀테크 코리아 2014 후기 - 오광신
핀테크 코리아 2014 후기 - 오광신핀테크 코리아 2014 후기 - 오광신
핀테크 코리아 2014 후기 - 오광신
Kwangshin Oh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_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_창조경제연구회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_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_창조경제연구회
StartupAlliance
 
Fintech overview 페이게이트 박소영대표 20151006_v5
Fintech overview 페이게이트 박소영대표 20151006_v5Fintech overview 페이게이트 박소영대표 20151006_v5
Fintech overview 페이게이트 박소영대표 20151006_v5
eungjin cho
 
[와플세미나] 국내외 FinTech 동향20151104_김민호차장
[와플세미나] 국내외 FinTech 동향20151104_김민호차장[와플세미나] 국내외 FinTech 동향20151104_김민호차장
[와플세미나] 국내외 FinTech 동향20151104_김민호차장
Waffle (Lee&Company)
 
[한국핀테크포럼]150821 금융감독원 핀테크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
[한국핀테크포럼]150821 금융감독원 핀테크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한국핀테크포럼]150821 금융감독원 핀테크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
[한국핀테크포럼]150821 금융감독원 핀테크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
Hyeseon Yoon
 
자산관리관점에서 본 SME를 위한 FinTech
자산관리관점에서 본 SME를 위한 FinTech자산관리관점에서 본 SME를 위한 FinTech
자산관리관점에서 본 SME를 위한 FinTech
Jeong Woong Hong
 
핀테크 1510598 박수진 nanum
핀테크 1510598 박수진 nanum핀테크 1510598 박수진 nanum
핀테크 1510598 박수진 nanum
sujin park
 
핀테크(Fintech) 프리젠테이션
핀테크(Fintech) 프리젠테이션핀테크(Fintech) 프리젠테이션
핀테크(Fintech) 프리젠테이션
StartupAlliance
 
모바일 지급결제 시장 현황 및 전망(Dmc)
모바일 지급결제 시장 현황 및 전망(Dmc)모바일 지급결제 시장 현황 및 전망(Dmc)
모바일 지급결제 시장 현황 및 전망(Dmc)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인터넷 금융 서비스 201211
인터넷 금융 서비스 201211인터넷 금융 서비스 201211
인터넷 금융 서비스 201211Hyunjin Lee
 

What's hot (19)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국내 인터넷 결제 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정보통신기술센터)
 
핀테크 동향과 시사점
핀테크 동향과 시사점핀테크 동향과 시사점
핀테크 동향과 시사점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국내외 핀테크 동향과 전망(Kb 경영연구소)
 
일본 핀테크 시장
일본 핀테크 시장일본 핀테크 시장
일본 핀테크 시장
 
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
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
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
 
핀테크(Fin tech): 거대한 디지털 격변의 현장
핀테크(Fin tech): 거대한 디지털 격변의 현장핀테크(Fin tech): 거대한 디지털 격변의 현장
핀테크(Fin tech): 거대한 디지털 격변의 현장
 
금융과 It의 융합 핀테크(fin tech)의 사례와 원류
금융과 It의 융합 핀테크(fin tech)의 사례와 원류금융과 It의 융합 핀테크(fin tech)의 사례와 원류
금융과 It의 융합 핀테크(fin tech)의 사례와 원류
 
전자금융이 쌓아 온 금융아성, 핀테크가 뒤흔든다
전자금융이 쌓아 온 금융아성, 핀테크가 뒤흔든다전자금융이 쌓아 온 금융아성, 핀테크가 뒤흔든다
전자금융이 쌓아 온 금융아성, 핀테크가 뒤흔든다
 
산업 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의 시사점
산업 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의 시사점산업 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의 시사점
산업 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의 시사점
 
핀테크 코리아 2014 후기 - 오광신
핀테크 코리아 2014 후기 - 오광신핀테크 코리아 2014 후기 - 오광신
핀테크 코리아 2014 후기 - 오광신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_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_창조경제연구회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_창조경제연구회
IT를 통한 금융혁명, 핀테크_창조경제연구회
 
Fintech overview 페이게이트 박소영대표 20151006_v5
Fintech overview 페이게이트 박소영대표 20151006_v5Fintech overview 페이게이트 박소영대표 20151006_v5
Fintech overview 페이게이트 박소영대표 20151006_v5
 
[와플세미나] 국내외 FinTech 동향20151104_김민호차장
[와플세미나] 국내외 FinTech 동향20151104_김민호차장[와플세미나] 국내외 FinTech 동향20151104_김민호차장
[와플세미나] 국내외 FinTech 동향20151104_김민호차장
 
[한국핀테크포럼]150821 금융감독원 핀테크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
[한국핀테크포럼]150821 금융감독원 핀테크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한국핀테크포럼]150821 금융감독원 핀테크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
[한국핀테크포럼]150821 금융감독원 핀테크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
 
자산관리관점에서 본 SME를 위한 FinTech
자산관리관점에서 본 SME를 위한 FinTech자산관리관점에서 본 SME를 위한 FinTech
자산관리관점에서 본 SME를 위한 FinTech
 
핀테크 1510598 박수진 nanum
핀테크 1510598 박수진 nanum핀테크 1510598 박수진 nanum
핀테크 1510598 박수진 nanum
 
핀테크(Fintech) 프리젠테이션
핀테크(Fintech) 프리젠테이션핀테크(Fintech) 프리젠테이션
핀테크(Fintech) 프리젠테이션
 
모바일 지급결제 시장 현황 및 전망(Dmc)
모바일 지급결제 시장 현황 및 전망(Dmc)모바일 지급결제 시장 현황 및 전망(Dmc)
모바일 지급결제 시장 현황 및 전망(Dmc)
 
인터넷 금융 서비스 201211
인터넷 금융 서비스 201211인터넷 금융 서비스 201211
인터넷 금융 서비스 201211
 

Viewers also liked

금융과 It의 융합
금융과 It의 융합금융과 It의 융합
금융과 It의 융합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모바일 결제시장 성장전망(디지에코)
모바일 결제시장 성장전망(디지에코)모바일 결제시장 성장전망(디지에코)
모바일 결제시장 성장전망(디지에코)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업 보고서(삼성증권)
금융업 보고서(삼성증권)금융업 보고서(삼성증권)
금융업 보고서(삼성증권)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전자지급결제서비스 동향 및 시사점(금융보안연구원)
전자지급결제서비스 동향 및 시사점(금융보안연구원)전자지급결제서비스 동향 및 시사점(금융보안연구원)
전자지급결제서비스 동향 및 시사점(금융보안연구원)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모바일혁명과 한국금융산업의 미래(한국경제연구원)
모바일혁명과 한국금융산업의 미래(한국경제연구원)모바일혁명과 한국금융산업의 미래(한국경제연구원)
모바일혁명과 한국금융산업의 미래(한국경제연구원)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터 부상과 창조경제 접목방안
3d 프린터 부상과 창조경제 접목방안3d 프린터 부상과 창조경제 접목방안
3d 프린터 부상과 창조경제 접목방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printer 건설 생산방식의 혁신
3d printer   건설 생산방식의 혁신3d printer   건설 생산방식의 혁신
3d printer 건설 생산방식의 혁신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터 산업은 제조업 혁명의 구세주가 될 것인가
3d 프린터 산업은 제조업 혁명의 구세주가 될 것인가3d 프린터 산업은 제조업 혁명의 구세주가 될 것인가
3d 프린터 산업은 제조업 혁명의 구세주가 될 것인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고분자 소재의 현황과 연구방향
3d 프린팅 고분자 소재의 현황과 연구방향3d 프린팅 고분자 소재의 현황과 연구방향
3d 프린팅 고분자 소재의 현황과 연구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터 시장 현황과 파급 효과
3d 프린터 시장 현황과 파급 효과3d 프린터 시장 현황과 파급 효과
3d 프린터 시장 현황과 파급 효과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기반의 제조 혁명과 창조경제 실현
3d 프린팅 기반의 제조 혁명과 창조경제 실현3d 프린팅 기반의 제조 혁명과 창조경제 실현
3d 프린팅 기반의 제조 혁명과 창조경제 실현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산업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 시사점(한국인터넷진흥원)
산업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 시사점(한국인터넷진흥원)산업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 시사점(한국인터넷진흥원)
산업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 시사점(한국인터넷진흥원)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지능형로봇 관련 국내외_시장동향(09.5.23)
지능형로봇 관련 국내외_시장동향(09.5.23)지능형로봇 관련 국내외_시장동향(09.5.23)
지능형로봇 관련 국내외_시장동향(09.5.23)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 d printer의 현재와 미래
3 d printer의 현재와 미래3 d printer의 현재와 미래
3 d printer의 현재와 미래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Viewers also liked (19)

금융과 It의 융합
금융과 It의 융합금융과 It의 융합
금융과 It의 융합
 
모바일 결제시장 성장전망(디지에코)
모바일 결제시장 성장전망(디지에코)모바일 결제시장 성장전망(디지에코)
모바일 결제시장 성장전망(디지에코)
 
금융업 보고서(삼성증권)
금융업 보고서(삼성증권)금융업 보고서(삼성증권)
금융업 보고서(삼성증권)
 
전자지급결제서비스 동향 및 시사점(금융보안연구원)
전자지급결제서비스 동향 및 시사점(금융보안연구원)전자지급결제서비스 동향 및 시사점(금융보안연구원)
전자지급결제서비스 동향 및 시사점(금융보안연구원)
 
모바일혁명과 한국금융산업의 미래(한국경제연구원)
모바일혁명과 한국금융산업의 미래(한국경제연구원)모바일혁명과 한국금융산업의 미래(한국경제연구원)
모바일혁명과 한국금융산업의 미래(한국경제연구원)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국내외 핀테크(Fintech) 동향과 전망
 
3d 프린터 부상과 창조경제 접목방안
3d 프린터 부상과 창조경제 접목방안3d 프린터 부상과 창조경제 접목방안
3d 프린터 부상과 창조경제 접목방안
 
3d printer 건설 생산방식의 혁신
3d printer   건설 생산방식의 혁신3d printer   건설 생산방식의 혁신
3d printer 건설 생산방식의 혁신
 
3d 프린터 산업은 제조업 혁명의 구세주가 될 것인가
3d 프린터 산업은 제조업 혁명의 구세주가 될 것인가3d 프린터 산업은 제조업 혁명의 구세주가 될 것인가
3d 프린터 산업은 제조업 혁명의 구세주가 될 것인가
 
3d 프린팅 고분자 소재의 현황과 연구방향
3d 프린팅 고분자 소재의 현황과 연구방향3d 프린팅 고분자 소재의 현황과 연구방향
3d 프린팅 고분자 소재의 현황과 연구방향
 
3d 프린터 시장 현황과 파급 효과
3d 프린터 시장 현황과 파급 효과3d 프린터 시장 현황과 파급 효과
3d 프린터 시장 현황과 파급 효과
 
3d 프린팅 기반의 제조 혁명과 창조경제 실현
3d 프린팅 기반의 제조 혁명과 창조경제 실현3d 프린팅 기반의 제조 혁명과 창조경제 실현
3d 프린팅 기반의 제조 혁명과 창조경제 실현
 
산업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 시사점(한국인터넷진흥원)
산업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 시사점(한국인터넷진흥원)산업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 시사점(한국인터넷진흥원)
산업간 융합 관점에서 본 핀테크 시사점(한국인터넷진흥원)
 
지능형로봇 관련 국내외_시장동향(09.5.23)
지능형로봇 관련 국내외_시장동향(09.5.23)지능형로봇 관련 국내외_시장동향(09.5.23)
지능형로봇 관련 국내외_시장동향(09.5.23)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 d printer의 현재와 미래
3 d printer의 현재와 미래3 d printer의 현재와 미래
3 d printer의 현재와 미래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Similar to 주간금융경제동향(우리금융연구소)

[2015.01.27] 핀테크의 가치창출 요건 및 시사점
[2015.01.27] 핀테크의 가치창출 요건 및 시사점[2015.01.27] 핀테크의 가치창출 요건 및 시사점
[2015.01.27] 핀테크의 가치창출 요건 및 시사점
JEONG HAN Eom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5 3(보안,품질). nh은행 금융플랫폼을 통한 핀테크 생태계 변화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5 3(보안,품질). nh은행 금융플랫폼을 통한 핀테크 생태계 변화[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5 3(보안,품질). nh은행 금융플랫폼을 통한 핀테크 생태계 변화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5 3(보안,품질). nh은행 금융플랫폼을 통한 핀테크 생태계 변화
K data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4대 핀테크 동향과 금융산업의 파급영향
4대 핀테크 동향과 금융산업의 파급영향4대 핀테크 동향과 금융산업의 파급영향
4대 핀테크 동향과 금융산업의 파급영향
eungjin cho
 
핀테크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13일자
핀테크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13일자핀테크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13일자
핀테크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13일자
benoie
 
전자금융 산업 및 핀테크의 이해
전자금융 산업 및 핀테크의 이해전자금융 산업 및 핀테크의 이해
전자금융 산업 및 핀테크의 이해
재식 전
 
1. (주)하나스 핀테크쇼
1. (주)하나스 핀테크쇼1. (주)하나스 핀테크쇼
1. (주)하나스 핀테크쇼
성태 박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7일자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7일자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7일자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7일자
benoie
 
20150317 세계일보 핀테크 - 금융과 IT 협업을 가로막는 법제도 장벽
20150317 세계일보 핀테크 - 금융과 IT 협업을 가로막는 법제도 장벽20150317 세계일보 핀테크 - 금융과 IT 협업을 가로막는 법제도 장벽
20150317 세계일보 핀테크 - 금융과 IT 협업을 가로막는 법제도 장벽
TEK & LAW, LLP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0일자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0일자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0일자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0일자
benoie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한국핀테크포럼]150623 제6회 정기포럼
[한국핀테크포럼]150623 제6회 정기포럼[한국핀테크포럼]150623 제6회 정기포럼
[한국핀테크포럼]150623 제6회 정기포럼
Hyeseon Yoon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StartupAlliance
 
[Case Study]글로벌 핀테크 트랜드_SD Lab_UPLEAT
[Case Study]글로벌 핀테크 트랜드_SD Lab_UPLEAT[Case Study]글로벌 핀테크 트랜드_SD Lab_UPLEAT
[Case Study]글로벌 핀테크 트랜드_SD Lab_UPLEAT
유플리트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Seung-Woo Kang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핀테크의 성공은 보안이다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핀테크의 성공은 보안이다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핀테크의 성공은 보안이다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핀테크의 성공은 보안이다
StartupAlliance
 
[한국핀테크포럼] 제6회 정기포럼
[한국핀테크포럼] 제6회 정기포럼[한국핀테크포럼] 제6회 정기포럼
[한국핀테크포럼] 제6회 정기포럼
Hyeseon Yoon
 
[정부3.0] 특허평가정보 공유를 통한 ip금융 활성화(조경선 발명진흥회 팀장) [특허청]
[정부3.0] 특허평가정보 공유를 통한 ip금융 활성화(조경선 발명진흥회 팀장) [특허청][정부3.0] 특허평가정보 공유를 통한 ip금융 활성화(조경선 발명진흥회 팀장) [특허청]
[정부3.0] 특허평가정보 공유를 통한 ip금융 활성화(조경선 발명진흥회 팀장) [특허청]
특허청(KIPO)
 
핀테크를 통한 여신금융업계의 대응과 가치 창출 방안 여신금융 여름호 1508
핀테크를 통한 여신금융업계의 대응과 가치 창출 방안 여신금융 여름호 1508핀테크를 통한 여신금융업계의 대응과 가치 창출 방안 여신금융 여름호 1508
핀테크를 통한 여신금융업계의 대응과 가치 창출 방안 여신금융 여름호 1508
Konkuk University
 
비대면인증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
비대면인증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비대면인증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
비대면인증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
Konkuk University
 

Similar to 주간금융경제동향(우리금융연구소) (20)

[2015.01.27] 핀테크의 가치창출 요건 및 시사점
[2015.01.27] 핀테크의 가치창출 요건 및 시사점[2015.01.27] 핀테크의 가치창출 요건 및 시사점
[2015.01.27] 핀테크의 가치창출 요건 및 시사점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5 3(보안,품질). nh은행 금융플랫폼을 통한 핀테크 생태계 변화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5 3(보안,품질). nh은행 금융플랫폼을 통한 핀테크 생태계 변화[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5 3(보안,품질). nh은행 금융플랫폼을 통한 핀테크 생태계 변화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5 3(보안,품질). nh은행 금융플랫폼을 통한 핀테크 생태계 변화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4대 핀테크 동향과 금융산업의 파급영향
4대 핀테크 동향과 금융산업의 파급영향4대 핀테크 동향과 금융산업의 파급영향
4대 핀테크 동향과 금융산업의 파급영향
 
핀테크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13일자
핀테크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13일자핀테크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13일자
핀테크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13일자
 
전자금융 산업 및 핀테크의 이해
전자금융 산업 및 핀테크의 이해전자금융 산업 및 핀테크의 이해
전자금융 산업 및 핀테크의 이해
 
1. (주)하나스 핀테크쇼
1. (주)하나스 핀테크쇼1. (주)하나스 핀테크쇼
1. (주)하나스 핀테크쇼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7일자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7일자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7일자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7일자
 
20150317 세계일보 핀테크 - 금융과 IT 협업을 가로막는 법제도 장벽
20150317 세계일보 핀테크 - 금융과 IT 협업을 가로막는 법제도 장벽20150317 세계일보 핀테크 - 금융과 IT 협업을 가로막는 법제도 장벽
20150317 세계일보 핀테크 - 금융과 IT 협업을 가로막는 법제도 장벽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0일자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0일자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0일자
핀테크 뉴스레터(무료)- 2015년 4월 20일자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국내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과 시사점(kiri)
 
[한국핀테크포럼]150623 제6회 정기포럼
[한국핀테크포럼]150623 제6회 정기포럼[한국핀테크포럼]150623 제6회 정기포럼
[한국핀테크포럼]150623 제6회 정기포럼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Case Study]글로벌 핀테크 트랜드_SD Lab_UPLEAT
[Case Study]글로벌 핀테크 트랜드_SD Lab_UPLEAT[Case Study]글로벌 핀테크 트랜드_SD Lab_UPLEAT
[Case Study]글로벌 핀테크 트랜드_SD Lab_UPLEAT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핀테크의 성공은 보안이다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핀테크의 성공은 보안이다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핀테크의 성공은 보안이다
150625_핀테크포럼 6월 정기모임_핀테크의 성공은 보안이다
 
[한국핀테크포럼] 제6회 정기포럼
[한국핀테크포럼] 제6회 정기포럼[한국핀테크포럼] 제6회 정기포럼
[한국핀테크포럼] 제6회 정기포럼
 
[정부3.0] 특허평가정보 공유를 통한 ip금융 활성화(조경선 발명진흥회 팀장) [특허청]
[정부3.0] 특허평가정보 공유를 통한 ip금융 활성화(조경선 발명진흥회 팀장) [특허청][정부3.0] 특허평가정보 공유를 통한 ip금융 활성화(조경선 발명진흥회 팀장) [특허청]
[정부3.0] 특허평가정보 공유를 통한 ip금융 활성화(조경선 발명진흥회 팀장) [특허청]
 
핀테크를 통한 여신금융업계의 대응과 가치 창출 방안 여신금융 여름호 1508
핀테크를 통한 여신금융업계의 대응과 가치 창출 방안 여신금융 여름호 1508핀테크를 통한 여신금융업계의 대응과 가치 창출 방안 여신금융 여름호 1508
핀테크를 통한 여신금융업계의 대응과 가치 창출 방안 여신금융 여름호 1508
 
비대면인증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
비대면인증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비대면인증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
비대면인증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
 

More from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More from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3d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중심
 

주간금융경제동향(우리금융연구소)

  • 1. 이슈브리프 주간 금융경제동향 제4권 제48호 ∙ 2014.12.10 | 5 국내 핀테크(Fintech) 산업의 현주소와 과제 전략연구실 김종현 연구위원 synclare@woorifg.com 향후 핀테크 산업의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관련 산업에 대한 투 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대형 ICT 기업들이 송금 지급결제 시장 에 뛰어들고 있으나, 해외와 같은 핀테크 기업들의 서비스 상용화 실적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핀테크 산업의 성장이 부진한 이유는 법과 규정에 의한 사전 규제와 ActiveX로 귀결되는 국내 결제시장 환경의 특수성이 핀테크 기업들의 사업 추진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만약 국내 핀테크 산업의 경쟁력이 중장기적으로 제고되지 않을 경우, 국내 관련 산업과 시장이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에 종속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국내 핀 테크 산업을 효과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확대할 수 있 는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일부 허용하고, 전 세계 핀테크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한 영국처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또한 민간부문인 선진 글로벌 은행들 역시 핀테크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은행들도 핀테크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만 국내 핀테크 산 업을 육성하기 위해 규제 완화는 필요하나,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하거나 대형 금융 사고가 발생 가능한 부문에 대한 통제는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n 핀테크 기업들의 주요 사업영역은 지급결제, 금융데이터 분석, 금융소프트웨어, 플 랫폼 등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Ÿ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을 결합한 단어로 모바일, SNS, 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금융기법과 차별화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 기술을 의미 Ÿ 핀테크 기업들은 기본적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첨단기술을 결합하여 기존의 금 융거래 방식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형태의 금융 비즈니스모델을 표방 - 원터치 결제, 크라우드펀딩, P2P 대출 등 기존 금융회사의 사업모델과 차별화 핀테크 사업영역 분류 사업영역 내 용 세부 영역 지급결제 이용이 간편하면서도 수수료가 저렴한 지급결제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급결제시장의 진입장벽 완화 Infrastructure / Online Payments / Foreign Exchange 금융데이터 분석 개인과 기업고객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Credit Reference / Capital Markets / Insurance 금융 소프트웨어 보다 진화된 스마트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금융업무 및 서비스 관련 SW 제공 Risk Management / Payments / Banking / Asset Management / Insurance / Accounting 플랫폼 전 세계 기업과 고객들이 금융기관의 개입 없이 자유롭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거래기반을 제공 P2P Lending / Trading Platforms / Personal Wealth / Aggregators 자료: UK Trade & Investment
  • 2. 주간 금융경제동향 이슈브리프 6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n 전 세계 핀테크 시장에 이미 각 사업영역에서 주도적인 핀테크 기업들이 속속 등장 Ÿ 상이한 각국 통화나 결제시스템의 차이에 구애 받지 않고 전 세계 개인고객과 기업들 을 대상으로 편리한 지급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모델이 부상 Ÿ 금융회사가 보유한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개정보를 분석하여 초단시간에 고 객의 신용도 또는 금융사고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알고리즘 기술도 개발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 사례 사업영역 기업명 사업 내용 지급결제 스트라이프 (Stripe.com) - 자사의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앱에 삽입한 회원에게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한 지급결제와 이틀 안에 대금을 지급해 주는 서비스 제공 - 전 세계 139개국 통화와 비트코인, 알리페이 등으로도 결제 가능 금융데이터 분석 어펌 (Affirm.com) - 회원이 온라인쇼핑몰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신용카드가 아닌 본인의 신용 으로 할부 구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결제 서비스 제공 - 회원의 공개된 데이터를 분석해 단 몇 초 만에 신용도를 평가한 후, 회원의 적정 할부 수수료를 산정하여 부과 금융 소프트웨어 빌가드 (Billguard.com) - 자사가 개발한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신용카드 청구서 상 오청구 또는 수수료 과다 인출 등의 징후를 포착하여 회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 제공 - 모바일앱으로 회원의 신용카드와 은행 계좌를 통합 관리 가능 플랫폼 온덱 (Ondeck.com) - 100% 온라인 기반으로 대출 신청서 제출에 10분, 신청 익일에 지정 계좌 로 자금을 입금해주는 대출 서비스 제공 - 자체 개발한 신용평가 알고리즘이 대출 신청자의 금융기관 거래내용, 현금 흐름, SNS상 평판 등을 고려해 몇 분 만에 신용 평가 및 대출 여부 심사 자료: Anthemis Group n 최근 핀테크 산업이 주목받는 이유는 모바일 트래픽이 급증함과 동시에 모바일 채 널을 통한 금융거래가 늘어나 관련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됐기 때문 Ÿ 글로벌 모바일 트래픽량은 2013년 1.5엑사바이트*에서 2018년 15.9엑사바이트로 연 평균 61%씩 급증할 것으로 예상 * 1엑사바이트(EB; Exabyte)는 10 18 바이트로 DVD 2,500억개 분량의 저장용량을 의미 - 방대한 모바일 트래픽량은 개인 및 기업의 신용평가 및 금융거래에 대한 새로운 분 석이 가능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여 대출, 보험 등의 사업방식의 변화 촉발 Ÿ 글로벌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 역시 2011년 1,059억달러에서 2017년 7,210억달러로 6 년 동안 약 7배 성장할 전망 - 모바일 결제시장의 급속한 확장을 배경으로 송금 및 지급결제의 수단으로서 스마트 폰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관련 신기술의 개발이 급진전되고 있는 추세
  • 3. 이슈브리프 주간 금융경제동향 제4권 제48호 ∙ 2014.12.10 | 7 글로벌 모바일 트래픽량 (EB) 글로벌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 (억달러) 1.5 2.6 4.4 7.0 10.8 15.9 0 2 4 6 8 10 12 14 16 18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7,210 2,354 1,631 1,059 2017(E) 2013 2012 2011 자료: Cisco 자료: Gartner n 향후 핀테크 산업의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 Ÿ 핀테크 기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금액은 2008년 9억 2,000만달러에서 2013년 29억 7,000만달러로 최근 5년 새 3배 이상 성장 글로벌 핀테크 투자규모 추이 (단위: 억 달러)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9.3 9.8 19.8 24.3 27 29.7 자료: Accenture Ÿ 사업영역별 투자비중을 보면, 2008년 이후 지급결제 비중이 점차 축소되고, 2013년에 는 금융소프트웨어와 금융데이터분석 부문에 대한 투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글로벌 핀테크 사업영역별 투자 비중 (%) 0% 20% 40% 60% 80% 100%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9 23 33 26 32 10 29 19 12 18 10 16 28 46 49 50 53 70 14 12 7 6 6 5 금융소프트웨어 금융데이터분석 지급결제 플랫폼 자료: CB Insights
  • 4. 주간 금융경제동향 이슈브리프 8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n 반면 국내에서는 대형 ICT 기업들이 송금 지급결제 시장에 뛰어들고 있으나, 해외 와 같은 핀테크 기업들의 서비스 상용화 실적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 Ÿ 국내 대형 ICT(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기업들이 기존 사업의 연장선상에 서 지급결제 서비스 영역을 좀 더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춤 Ÿ 해외 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핀테크 기업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남 지급결제 시장에 진출한 국내 ICT 기업 현황 국가별 핀테크 기업 수 (개) 기업 서비스 개 요 SKT BLE 페이먼트 스마트폰과 POS 기기 간 결제정보 무 선 교환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 KT 올레앱 안심인증 휴대폰의 고유 정보로 금융기관의 앱 이용 시 자동으로 사용자 본인 인증 LGU+ 페이나우 플러스 안전패턴과 간편그래픽 인증방법으 로 간편 결제 다음카카오 뱅크월렛 카카오 뱅크월렛카카오 가입회원끼리 송금 및 오프라인 결제 가능 삼성전자 삼성월렛 신용카드사와 연합하여 앱카드 방식 으로 결제 서비스 제공 0 4 7 10 15 57 374 한국 일본 홍콩 중국 싱가포르 영국 미국 자료: 각사 발표자료 종합 자료: Venture Scanner n 우리나라의 핀테크 산업의 성장이 부진한 이유는 법과 규정에 의한 사전 규제가 핀테크 기업들의 사업 추진을 어렵게 만들고 있기 때문 Ÿ 금융업의 특성 상 기본적인 보안요건과 기술을 갖추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나, 전자금 융업자 등록요건과 보안성 심사 등의 과정에서 일부 비현실적 요건들이 존재 - 전자금융업자의 등록요건을 맞추기 위해 불필요하게 자본을 늘려야 하거나, 추가 인 력과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 발생 - 또한 현행 보안성 심사에 장기간이 소요되어 심사에 통과하더라도 이미 시장에서 뒤 처진 기술이 되어 버리거나 시장 진입시기를 놓치는 현상도 발생 Ÿ 간편결제서비스 제공 기업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PG사가 카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 도록 허용한 것도 일부 기업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짐 - 신용카드 정보 저장이 가능한 적격PG의 요건(자본・순부채비율・FDS・재해복구센터) 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업체는 PG업계 전체의 15%에 불과 Ÿ 전자금융거래에 관한 법 뿐만 아니라, 여신전문금융업법, 외환거래법, 자본시장법 등 다양한 관련 법제로 인해 사업 추진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 - 일례로 우리나라에서는 크라우드펀딩* 사업의 허가를 위해 2013년 6월 크라우드펀 딩 관련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1년 6개월째 국회에 계류 중인 반면, 선진 국의 경우 이미 관련 법안을 통과시켜 크라우드펀딩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음
  • 5. 이슈브리프 주간 금융경제동향 제4권 제48호 ∙ 2014.12.10 | 9 *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은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의 채널을 활용해 일반 대중으 로부터 투자자금을 모으는 사업방식을 말함 크라우드펀딩 관련 선진국 법안 제정 현황 국가 시행시기 내 용 미국 2012년 4월 소규모기업의 창업자금조달촉진법에 관한 법인 잡스(JOBS)법을 제정 영국/이탈리아 2012년 10월 크라우드펀딩 육성계획과 창업을 위한 혁신 및 성장촉진법을 제정 일본 2014년 5월 크라우드펀딩 관련 개인거래법을 제정하여 시행 중 자료: 언론 보도자료 종합 n 특히 해외에서는 포지티브 리스트 방식에 의한 정부 규제보다 민간에 의한 보안표 준의 도입과 시장 필터링 기능에 의해 자율적으로 보안을 강화 Ÿ 우리나라는 구체적인 보안사항을 사전에 지정하는 포지티브 리스트 방식의 규제로 인해 규정 개선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기술발전에 뒤처지는 문제점 발생 - 선진국들은 네가티브 리스트 방식을 도입하여 민간에 상당한 자율권을 부여 Ÿ 일례로 미국의 경우 민간기업이 주도하여 자체적으로 PCI DSS*라는 보안표준을 만 들고 기준에 미달하는 기업들은 시장 진입 자체가 어려운 생태계를 갖춤 * PCI DSS는 비자, 마스타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JCB 등 글로벌 신용 카드사들이 설립한 PCI 보안 표준 협의회(PCI Security Standards Council)에서 만든 데이터 보안 표 준 인증으로,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기업이 갖춰야 할 글로벌 정보보호 인증을 말함 n 한편 국내 송금 지급결제 시장에서 핀테크 기업의 창업이 저조할 수밖에 없는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국내 결제시장 환경의 특수성과 관련 Ÿ 최근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이 폐지되는 등 개선되고는 있으나, 과거 인터넷 익스플로 러 기반 보안정책의 영향으로 여전히 ActiveX 사용 비중이 높은 상황 - 보안, 인증, 결제 등 금융서비스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부문의 ActiveX 사용 비중이 전체의 61.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비중을 유지 기능별 ActiveX 사용 현황 보안 인증 결제 멀티미디어 게임 인터넷기술 PC제어 파일처리 기타 477개 (27.4%) 327개 (18.8%) 262개 (15.1%) 281개 (16.1%) 144개 (8.3%) 67개 (3.9%) 54개 (3.1%) 46개 (2.6%) 82개 (4.7%) 주: ( )는 전체 대비 비중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1) Ÿ ActiveX를 지원하지 않는 인터넷 브라우저나 보안기술을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의 기술 활용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기존 서비스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
  • 6. 주간 금융경제동향 이슈브리프 10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n 만약 국내 핀테크 산업의 경쟁력이 중장기적으로 제고되지 않을 경우, 국내 관련 산업과 시장이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에 종속될 가능성 Ÿ 최근 출시된 애플페이는 공식적으로는 국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으나, 우 회적인 방법으로 일부 미국 신용카드의 사용이 가능한 상황 - 비자사의 ‘비자페이웨이브(Visa payWave)’ 시스템이 설치된 국내 일부 가맹점에서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발급한 비자 신용카드를 애플페이 방식으로 결제 가능 Ÿ 또한 구글, 아마존, 알리페이 등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은 직접 국내 시장 진입에 앞서 국내 PG사 또는 은행들과 제휴하여 국내 송금 지급결제 시장에 진입 - 아직까지는 직접 결제가 아니라 외국인들이 국내 온라인쇼핑몰 또는 면세점에서 물 품 구매 시 대금결제를 가능케 하는 간접 결제 서비스 중심 Ÿ 고객 수요 측면에서도 실제 우리나라 고객(직구족)들이 수수료가 비싼 국내 신용카드 보다 페이팔과 같은 원클릭 결제서비스를 선호하는 추세 - 해외 인터넷쇼핑몰에서 국내 신용카드로 원화결제를 할 경우 페이팔과 같은 전자지 갑을 통해 현지 통화로 결제할 때보다 수수료가 3~6% 이상 추가 발생 n 해외 핀테크 기업들의 국내 시장 진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는 어려울 전망이나, 만약 현실화될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Ÿ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국내 금융회사의 시장점유율 하락 및 경쟁력 약화 우려 해외 핀테크 기업의 국내 금융시장 진출에 따른 파급효과 가상 시나리오 자료: 우리금융경영연구소
  • 7. 이슈브리프 주간 금융경제동향 제4권 제48호 ∙ 2014.12.10 | 11 n 우리나라의 핀테크 산업을 효과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확대할 수 있는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일부 허용해 줄 필요 Ÿ 현행법(중소기업창업지원법 시행령 제1장 제4조) 상 창업투자회사는 금융업에 대한 투자를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한편, 핀테크 기업의 금융업 해당 이슈 상존 - 상당수 국내 창업투자회사들이 핀테크 스타트업(Startup; 창업 초기 기업)에 투자를 할 의사가 있으나 제도상의 제약으로 실제 투자는 어려운 상황 Ÿ 벤처기업 지정 요건을 확장하여 신기술 중심의 핀테크 기업들에 대해서는 벤처캐피 탈이 투자할 수 있도록 제한적인 허용을 검토할 필요 n 실제 영국이 전 세계 핀테크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의 적극 적인 지원과 규제 완화가 있었기 때문 Ÿ 영국 정부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금융산업이 큰 타격을 입자, 정보기술(IT)과 금융을 융합한 핀테크를 신산업으로 예측하고 다양한 지원방안을 적극 실행 - 영국 정부는 핀테크 분야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문연구소와 창업지원기관을 운영하고, 규제 완화를 위한 규제자문서비스도 제공 중 Ÿ 또한 영국 정부는 글로벌 금융그룹과 공동으로 ‘금융테크혁신연구소’를 설립하여 유 망한 핀테크 기업을 선정해 투자하고 금융회사와 제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 스타트업이나 IT 기업이 저렴한 임대료로 금융회사가 밀집한 건물에 입주할 수 있도 록 해주고, 50개 이상의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육성 전문기업)들은 핀테크 기업의 초기 투자 단계에서부터 행정·법률자문, 외부 투자자 유치 등을 지원 n 아울러 최근 논의되고 있는 인터넷전문은행과 관련하여 선진국들은 일찍이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에 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여 관련 산업을 육성 Ÿ 1995년 10월 세계 최초로 인터넷전문은행이 등장한 미국은 금융회사뿐만 아니라 산 업자본에도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을 허용해 현재 카드·증권·보험사를 비롯해 비금융 회사가 세운 인터넷전문은행이 시장을 주도 - 일례로 자동차제조사인 GM과 BMW는 각각 알리뱅크와 BMW뱅크라는 인터넷전문 은행을 설립하여 자동차금융 등에 특화하여 운영 중 Ÿ 일본 정부는 2000년 ‘새로운 형태의 은행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산업자본이 은행 지분의 20% 이상을 소유할 수 있도록 허용 - 규제 완화의 결과, 소니, 야후 등 IT 기업들이 기존 오프라인 은행과 손잡고 인터넷 전문은행을 잇달아 설립하여 운영 중
  • 8. 주간 금융경제동향 이슈브리프 12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n 민간부문의 선진 글로벌 은행들 역시 투자기회를 선점하고 자사의 뱅킹 경쟁력 향 상을 위해 이미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 Ÿ 글로벌 은행들이 핀테크 산업에서 고수익 투자기회를 선점하고, 자사의 뱅킹 경쟁력 을 높일 수 있는 유망 기업들을 창업 단계에서 조기 발굴하여 육성하려는 목적 Ÿ 이와 같은 글로벌 은행들의 투자 행보를 감안할 때, 국내 은행들도 핀테크 기업을 경 쟁자로 간주하기보다는 동반 성장의 파트너로 인식하고 투자를 확대할 필요 글로벌 은행의 핀테크 기업 육성방안 국가 은행명 육성방안 스페인 산탄데르 2014년 7월 런던을 중심으로 핀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1억달러 규모의 펀드 조성 BBVA 2013년 1월 美 실리콘밸리 중심으로 핀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1억달러 규모의 펀드 조성 영국 HSBC 2014년 5월 리테일뱅킹 부문 핀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2억달러 규모의 펀드 조성 Barclays 2014년 5월부터 유망 핀테크 기업에 대해 업체당 최고 5만달러까지 투자하고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Barclays Accelerator’라는 핀테크 기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 스위스 UBS 2014년 5월부터 유망 핀테크 기업을 선정하여 투자와 창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Innovation Spaces’라는 Working Group을 운영 중 미국 Wells Fargo 2014년 8월부터 유망 핀테크 기업에 대해 업체당 최저 5만달러에서 최고 50만달러까지 투자하고 창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핀테크 기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 Citi 2014년 한 해 동안 Citi Ventures를 통해 유망 핀테크 기업에 총 7천만달러를 투자 자료: 각사 발표자료 종합 n 다만 국내 핀테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규제 완화는 필요하나, 금융시스템의 안 정성 저해 또는 금융사고가 발생 가능한 부문에 대한 통제는 충분히 고려할 필요 Ÿ 핀테크 기업이 유사수신 업무나 우회적인 신용 창출에 깊이 관여하는 것은 금융시스 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핀테크 기업의 금융시스템 안정성 저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 설정이 필요 Ÿ 또한 규제 이슈와는 별도로 핀테크 기업들의 불안정한 서비스로 인해 대형 사고가 발생할 경우, 바로 소비자와 핀테크 산업의 발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핀테 크 기업의 자체적인 기술 혁신 및 서비스 경쟁력 제고 노력도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