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통섭과 융합, 그리고 IT
경희사이버대학교 모바일융합학과
정 지 훈
통섭과 융합이란?
통섭 (Consilience)
• ‘서로 다른 것을 한데 묶어
새로운 것을 잡는다’
• 'consiliere‘ = 'jumping
together', '서로 다른
현상들로부터 도출되는
귀납들이 서로 일치하거나
정연한 일관성을 보이는
상태‘
•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
• 그에 대한 비판 …
융합 (Convergence)
• “한 점으로 수렴하다”
• 분산이나 분기를 뜻하는 Divergence의 반대말
• 사회학적으로는 상이한 산업 사회의 구조가
점차적으로 서로 비슷하게 되어 가는 과정에
의한 결과
• 경계가 허물어 지는 시대 …
IT에 대한 융합적 시각
Watson
DARPA SyNAPSE Project
3D Computing Chip
Neuromorphic Computing
HRL Chip
http://www.bbc.co.uk/news/science-environment-24571219
Redox Flow System
기계와의 경쟁
• 존 헨리의 전설
• 딥 블루 vs. 게리 카스파로프
– 체스의 최고수는?
• 암전문의 vs. Watson
– 최고의 명의는?
• 인간은 기계의 경쟁상대인가?
왜 로봇의 도덕인가?
• 프레데터와 팩봇
• 어떻게 AMA (인공적
도덕행위자) 를 구현할 것인가?
– Top-Down 방법: 윤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접근
– Bottom-Up 방법: 인간이 태어나
자라면서 윤리와 도덕을 익히는
방식을 준용해 도덕과 윤리를
배워나가는 접근
• We, Robot!
인간과 기계와의 관계
Cybernetics and Cyborg
Human-Machine Interface
정보이론과 Cybernetics
1942, 끌로드 섀넌
Cynernetics
• 플라톤: gubernare / gubernator - 인민에 대한 통치
• 앙드레 마리 앙페르: cybernétique - 인간지식 분류체계에서
행정학(sciences of government)을 가리키는 데 사용
• 제임스 와트: 정정 기능 피드백을 갖춘 기계 / 목적론적인
메커니즘을 갖춘 기계 - 증기기관에 조절기를 장착
• 제임스 클라크 맥스웰: 조절기에 관한 이론 논문 (1868)
• P. K. 아노킨: Feedback (1935)
자동 시스템들과 인간관습 /
제도 사이의 유사성 등을 설명
사이버네틱스의 사회적 함의
들을 대중화
LSD와 사이키델릭
• Timothy Leary
– 그는 서른 다섯 살 생일에 아내 메리앤이 자살한 뒤,
심리학자로서 어떤 심리치료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다주지 못한다는 사실에 좌절
– 하버드 대학교 인성연구센터에서 대학과 교도소 등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로시빈과 LSD를 실험:
환각상태의 ‘재각인 효과’를 통해 인성을
근본적이고 영구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확신
– 뉴욕 빅하우스 연구센터: 많은 이들과 함께 다양한
약물로 의식의 여러 수준을 ‘여행’하고 이를 확산.
환각을 통해 인간의 영역을 확장하고 인간에 관한
정의를 바꿀 수 있다고 주장
• 샌프란시스코가 활동의 중심
– LSD 체험을 시각화한 연극과 영상 제작
– 헐리우드 영화, 우드스톡, 1969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출마: 지미 헨드릭스가 기타를 연주하고 존 레논이
응원곡으로 <Come Together> 작곡
Whole Earth Catalog
• LSD가 추구한 '의식의 확장'과 사이키델릭
음악의 '사이'의 운율, 그리고 노버트
위너의 <사이버네틱스>가 가졌던 개념을
절묘하게 연결
• 히피들은 '의식의 확장'과 자연으로
회귀해서 만든 코뮌을 이루고 생활: 이들의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제공
강화인간
싸이코뮤(Psycommu) 시스템
뉴타입이 발산하는 특수한 뇌파인 사이코 웨이브를 이용해서 기체 내외의 장치나 장비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 주변장치
비트나 패널 등 원격유도 병기 정밀조작 가능, 다수 표적을 동시에 인식해서 공격. 시스템 탑재기체의 잠재성능을 큰 폭으로 향상
개발초기 시스템이 발신하는 막대한 정보량이 파일럿에게 주는 스트레스가 크고, 뉴타입/강화인간 밖에 취급할 수 없음
일반사람(올드타입)은 사이코뮤 시스템을 대체화, 간략화한 준사이코뮤나 사이코 프레임이 개발될 때까지 실현되지 못함
Cyborg
•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생물(Organism)의 합성어
• 1960년 맨프레드 클라인즈(Manfred
Clynes)와 나단 클라인(Nathan Kline)의 공저
《사이보그와 우주》를 통해 소개
– 자체조절이 가능한 인간-기계의 결합인 사이보그가
우주진출에 유리할 것이라 주장
• 1965년 핼라시(D. S. Halacy) 책
《사이보그: 슈퍼맨의 진화(Cyborg:
Evolution of the Superman)》의 서문 by
맨프레드 클라인즈
– "사이보그는 단순한 우주 탐험만이 아니라 정신과
물질이라는 내면의 우주와 외면의 우주에 가교를 놓는
새로운 개척자"
• 사이보그 vs. 로봇
– 로봇은 기계가 진화하여 인간에게 접근한 것이고
어디까지나 인간 밖에 존재. 사이보그는 인간이
유전자를 통하지 않고 기계와 일체화되어 인공적으로
진화를 이룩
Humanity+
• Transhumanism: A class of
philosophies of life that seek the
continuation and acceleration of the
evolution of intelligent life beyond its
currently human form and human
limitations by means of science and
technology, guided by life-promoting
principles and values (Max More
1990)
• Transhumanism tak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analyzing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humanity and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y. Nick Bostrom at the 2006 Singularity Summit
인간이란 무엇인가?
• 21세기 “제2의 계몽시대” - 이정모 교수
– 17세기와 18세기의 계몽주의는 신 중심을 떠나 인간
중심의 관점으로의 전환을 주창했고, 19세기와 20세기의
휴머니즘은 인류 문화가 기계와 테크놀로지의 폐해를 넘어선
인간 중심으로 가야함을 주장.
– 21세기인 지금은 과거에 의인화했던 신의 개념을 넘어서며,
인지과학기술까지 포함돼 이뤄지는 미래 융합과학기술이
인간 삶을 향상시키고, 인간과 기계와의 경계가 무너지는
존재로 인간을 재개념화해야 되는 제2의 깨달음(계몽) 시대,
신 뉴휴머니즘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The Heart of the Matter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통섭적 지식인(정지훈 교수)

[2016 체인지온]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사회_정지훈
[2016 체인지온]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사회_정지훈[2016 체인지온]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사회_정지훈
[2016 체인지온]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사회_정지훈
daumfoundation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7 - Services based on AI and robots and...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7 - Services based on AI and robots and...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7 - Services based on AI and robots and...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7 - Services based on AI and robots and...
Network Science Lab,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ecobuddha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Han Woo PARK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Webometrics Class
 
아주대예과생의료인문학수업-첫단추를 잘 꿰는 것이 방법이 아니라면
아주대예과생의료인문학수업-첫단추를 잘 꿰는 것이 방법이 아니라면아주대예과생의료인문학수업-첫단추를 잘 꿰는 것이 방법이 아니라면
아주대예과생의료인문학수업-첫단추를 잘 꿰는 것이 방법이 아니라면
SengChanYou
 
인포메이션(제임스 글릭) 요약
인포메이션(제임스 글릭) 요약인포메이션(제임스 글릭) 요약
인포메이션(제임스 글릭) 요약
Jang Dongyeop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Jaehyeuk Oh
 
[청심교육포럼2012] 융합형 인간, 융합형 사고 (홍성욱/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청심교육포럼2012] 융합형 인간, 융합형 사고 (홍성욱/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청심교육포럼2012] 융합형 인간, 융합형 사고 (홍성욱/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청심교육포럼2012] 융합형 인간, 융합형 사고 (홍성욱/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CSeduForum
 
Homosapiens vs. Hyper-personalization
Homosapiens vs. Hyper-personalizationHomosapiens vs. Hyper-personalization
Homosapiens vs. Hyper-personalizationJaehyeuk Oh
 
세바시 15분 표창원 前 경찰대 교수 - 한국사회에 정의란 무엇인가?
세바시 15분 표창원 前 경찰대 교수 - 한국사회에 정의란 무엇인가?세바시 15분 표창원 前 경찰대 교수 - 한국사회에 정의란 무엇인가?
세바시 15분 표창원 前 경찰대 교수 - 한국사회에 정의란 무엇인가?
cbs15min
 
선한 꿈을 향해 도전하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자유로운 영혼들을 찾아서 - 박희정 연사님
선한 꿈을 향해 도전하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자유로운 영혼들을 찾아서 - 박희정 연사님선한 꿈을 향해 도전하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자유로운 영혼들을 찾아서 - 박희정 연사님
선한 꿈을 향해 도전하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자유로운 영혼들을 찾아서 - 박희정 연사님
CornixTripesGroup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hiiocks kim
 
구성주의(congnitive constructivism)
구성주의(congnitive constructivism)구성주의(congnitive constructivism)
구성주의(congnitive constructivism)
Anna Choi
 
Data science (조명대)
Data science (조명대)Data science (조명대)
Data science (조명대)
Haklae Kim
 
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03 2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03 2Inho Cho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Han Woo PARK
 

Similar to 통섭적 지식인(정지훈 교수) (20)

[2016 체인지온]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사회_정지훈
[2016 체인지온]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사회_정지훈[2016 체인지온]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사회_정지훈
[2016 체인지온]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사회_정지훈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7 - Services based on AI and robots and...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7 - Services based on AI and robots and...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7 - Services based on AI and robots and...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7 - Services based on AI and robots and...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이기적 유전자
이기적 유전자이기적 유전자
이기적 유전자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2
 
아주대예과생의료인문학수업-첫단추를 잘 꿰는 것이 방법이 아니라면
아주대예과생의료인문학수업-첫단추를 잘 꿰는 것이 방법이 아니라면아주대예과생의료인문학수업-첫단추를 잘 꿰는 것이 방법이 아니라면
아주대예과생의료인문학수업-첫단추를 잘 꿰는 것이 방법이 아니라면
 
인포메이션(제임스 글릭) 요약
인포메이션(제임스 글릭) 요약인포메이션(제임스 글릭) 요약
인포메이션(제임스 글릭) 요약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청심교육포럼2012] 융합형 인간, 융합형 사고 (홍성욱/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청심교육포럼2012] 융합형 인간, 융합형 사고 (홍성욱/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청심교육포럼2012] 융합형 인간, 융합형 사고 (홍성욱/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청심교육포럼2012] 융합형 인간, 융합형 사고 (홍성욱/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Homosapiens vs. Hyper-personalization
Homosapiens vs. Hyper-personalizationHomosapiens vs. Hyper-personalization
Homosapiens vs. Hyper-personalization
 
세바시 15분 표창원 前 경찰대 교수 - 한국사회에 정의란 무엇인가?
세바시 15분 표창원 前 경찰대 교수 - 한국사회에 정의란 무엇인가?세바시 15분 표창원 前 경찰대 교수 - 한국사회에 정의란 무엇인가?
세바시 15분 표창원 前 경찰대 교수 - 한국사회에 정의란 무엇인가?
 
선한 꿈을 향해 도전하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자유로운 영혼들을 찾아서 - 박희정 연사님
선한 꿈을 향해 도전하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자유로운 영혼들을 찾아서 - 박희정 연사님선한 꿈을 향해 도전하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자유로운 영혼들을 찾아서 - 박희정 연사님
선한 꿈을 향해 도전하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자유로운 영혼들을 찾아서 - 박희정 연사님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2009 학진석학강좌 3강 청(소)년은 누구인가
 
이기적+유전자
이기적+유전자이기적+유전자
이기적+유전자
 
구성주의(congnitive constructivism)
구성주의(congnitive constructivism)구성주의(congnitive constructivism)
구성주의(congnitive constructivism)
 
Data science (조명대)
Data science (조명대)Data science (조명대)
Data science (조명대)
 
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03 2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More from gilforum

길벗 오픈 안내문
길벗 오픈 안내문길벗 오픈 안내문
길벗 오픈 안내문
gilforum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gilforum
 
동북아 국제 정세(박인휘 교수)
동북아 국제 정세(박인휘 교수)동북아 국제 정세(박인휘 교수)
동북아 국제 정세(박인휘 교수)
gilforum
 
교재(Talent 131126)
교재(Talent 131126)교재(Talent 131126)
교재(Talent 131126)
gilforum
 
It전망 3x(김재윤) (1) (1)
It전망 3x(김재윤) (1) (1)It전망 3x(김재윤) (1) (1)
It전망 3x(김재윤) (1) (1)
gilforum
 
Bigdata final(이지은)
Bigdata final(이지은)Bigdata final(이지은)
Bigdata final(이지은)
gilforum
 
130723 robot
130723 robot130723 robot
130723 robot
gilforum
 
130716 아시아경제전망
130716 아시아경제전망130716 아시아경제전망
130716 아시아경제전망
gilforum
 
130716 산통부
130716 산통부130716 산통부
130716 산통부
gilforum
 
130709 business
130709 business130709 business
130709 business
gilforum
 
130507 tv
130507 tv130507 tv
130507 tv
gilforum
 
130423 nano
130423 nano130423 nano
130423 nano
gilforum
 
130409 culture trend
130409 culture trend130409 culture trend
130409 culture trend
gilforum
 
[2014년 7월 15일] 로봇
[2014년 7월 15일] 로봇[2014년 7월 15일] 로봇
[2014년 7월 15일] 로봇
gilforum
 
[2014년 7월 8일] 3 d 프린터
[2014년 7월 8일] 3 d 프린터[2014년 7월 8일] 3 d 프린터
[2014년 7월 8일] 3 d 프린터
gilforum
 
[2014년 6월 24일] 모바일 산업 시대의 비즈니스전략
[2014년 6월 24일] 모바일 산업 시대의 비즈니스전략[2014년 6월 24일] 모바일 산업 시대의 비즈니스전략
[2014년 6월 24일] 모바일 산업 시대의 비즈니스전략
gilforum
 
[2014년 5월 20일] 바이오 및 의료산업동향
[2014년 5월 20일] 바이오 및 의료산업동향[2014년 5월 20일] 바이오 및 의료산업동향
[2014년 5월 20일] 바이오 및 의료산업동향
gilforum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gilforum
 
[2014년 3월 18일] 스마트폰 출현과 생활, 기업의 변화
[2014년 3월 18일] 스마트폰 출현과 생활, 기업의 변화[2014년 3월 18일] 스마트폰 출현과 생활, 기업의 변화
[2014년 3월 18일] 스마트폰 출현과 생활, 기업의 변화
gilforum
 
[2013년 10월 8일] 한반도문제와 동북아 국제정세 현황
[2013년 10월 8일] 한반도문제와 동북아 국제정세 현황[2013년 10월 8일] 한반도문제와 동북아 국제정세 현황
[2013년 10월 8일] 한반도문제와 동북아 국제정세 현황
gilforum
 

More from gilforum (20)

길벗 오픈 안내문
길벗 오픈 안내문길벗 오픈 안내문
길벗 오픈 안내문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미래 인재상과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장석호)
 
동북아 국제 정세(박인휘 교수)
동북아 국제 정세(박인휘 교수)동북아 국제 정세(박인휘 교수)
동북아 국제 정세(박인휘 교수)
 
교재(Talent 131126)
교재(Talent 131126)교재(Talent 131126)
교재(Talent 131126)
 
It전망 3x(김재윤) (1) (1)
It전망 3x(김재윤) (1) (1)It전망 3x(김재윤) (1) (1)
It전망 3x(김재윤) (1) (1)
 
Bigdata final(이지은)
Bigdata final(이지은)Bigdata final(이지은)
Bigdata final(이지은)
 
130723 robot
130723 robot130723 robot
130723 robot
 
130716 아시아경제전망
130716 아시아경제전망130716 아시아경제전망
130716 아시아경제전망
 
130716 산통부
130716 산통부130716 산통부
130716 산통부
 
130709 business
130709 business130709 business
130709 business
 
130507 tv
130507 tv130507 tv
130507 tv
 
130423 nano
130423 nano130423 nano
130423 nano
 
130409 culture trend
130409 culture trend130409 culture trend
130409 culture trend
 
[2014년 7월 15일] 로봇
[2014년 7월 15일] 로봇[2014년 7월 15일] 로봇
[2014년 7월 15일] 로봇
 
[2014년 7월 8일] 3 d 프린터
[2014년 7월 8일] 3 d 프린터[2014년 7월 8일] 3 d 프린터
[2014년 7월 8일] 3 d 프린터
 
[2014년 6월 24일] 모바일 산업 시대의 비즈니스전략
[2014년 6월 24일] 모바일 산업 시대의 비즈니스전략[2014년 6월 24일] 모바일 산업 시대의 비즈니스전략
[2014년 6월 24일] 모바일 산업 시대의 비즈니스전략
 
[2014년 5월 20일] 바이오 및 의료산업동향
[2014년 5월 20일] 바이오 및 의료산업동향[2014년 5월 20일] 바이오 및 의료산업동향
[2014년 5월 20일] 바이오 및 의료산업동향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18일] 스마트폰 출현과 생활, 기업의 변화
[2014년 3월 18일] 스마트폰 출현과 생활, 기업의 변화[2014년 3월 18일] 스마트폰 출현과 생활, 기업의 변화
[2014년 3월 18일] 스마트폰 출현과 생활, 기업의 변화
 
[2013년 10월 8일] 한반도문제와 동북아 국제정세 현황
[2013년 10월 8일] 한반도문제와 동북아 국제정세 현황[2013년 10월 8일] 한반도문제와 동북아 국제정세 현황
[2013년 10월 8일] 한반도문제와 동북아 국제정세 현황
 

통섭적 지식인(정지훈 교수)

  • 1. 통섭과 융합, 그리고 IT 경희사이버대학교 모바일융합학과 정 지 훈
  • 3. 통섭 (Consilience) • ‘서로 다른 것을 한데 묶어 새로운 것을 잡는다’ • 'consiliere‘ = 'jumping together', '서로 다른 현상들로부터 도출되는 귀납들이 서로 일치하거나 정연한 일관성을 보이는 상태‘ •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 • 그에 대한 비판 …
  • 4. 융합 (Convergence) • “한 점으로 수렴하다” • 분산이나 분기를 뜻하는 Divergence의 반대말 • 사회학적으로는 상이한 산업 사회의 구조가 점차적으로 서로 비슷하게 되어 가는 과정에 의한 결과 • 경계가 허물어 지는 시대 …
  • 10. 기계와의 경쟁 • 존 헨리의 전설 • 딥 블루 vs. 게리 카스파로프 – 체스의 최고수는? • 암전문의 vs. Watson – 최고의 명의는? • 인간은 기계의 경쟁상대인가?
  • 11. 왜 로봇의 도덕인가? • 프레데터와 팩봇 • 어떻게 AMA (인공적 도덕행위자) 를 구현할 것인가? – Top-Down 방법: 윤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접근 – Bottom-Up 방법: 인간이 태어나 자라면서 윤리와 도덕을 익히는 방식을 준용해 도덕과 윤리를 배워나가는 접근 • We, Robot!
  • 15. Cynernetics • 플라톤: gubernare / gubernator - 인민에 대한 통치 • 앙드레 마리 앙페르: cybernétique - 인간지식 분류체계에서 행정학(sciences of government)을 가리키는 데 사용 • 제임스 와트: 정정 기능 피드백을 갖춘 기계 / 목적론적인 메커니즘을 갖춘 기계 - 증기기관에 조절기를 장착 • 제임스 클라크 맥스웰: 조절기에 관한 이론 논문 (1868) • P. K. 아노킨: Feedback (1935)
  • 16. 자동 시스템들과 인간관습 / 제도 사이의 유사성 등을 설명 사이버네틱스의 사회적 함의 들을 대중화
  • 17. LSD와 사이키델릭 • Timothy Leary – 그는 서른 다섯 살 생일에 아내 메리앤이 자살한 뒤, 심리학자로서 어떤 심리치료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다주지 못한다는 사실에 좌절 – 하버드 대학교 인성연구센터에서 대학과 교도소 등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로시빈과 LSD를 실험: 환각상태의 ‘재각인 효과’를 통해 인성을 근본적이고 영구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확신 – 뉴욕 빅하우스 연구센터: 많은 이들과 함께 다양한 약물로 의식의 여러 수준을 ‘여행’하고 이를 확산. 환각을 통해 인간의 영역을 확장하고 인간에 관한 정의를 바꿀 수 있다고 주장 • 샌프란시스코가 활동의 중심 – LSD 체험을 시각화한 연극과 영상 제작 – 헐리우드 영화, 우드스톡, 1969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출마: 지미 헨드릭스가 기타를 연주하고 존 레논이 응원곡으로 <Come Together> 작곡
  • 18. Whole Earth Catalog • LSD가 추구한 '의식의 확장'과 사이키델릭 음악의 '사이'의 운율, 그리고 노버트 위너의 <사이버네틱스>가 가졌던 개념을 절묘하게 연결 • 히피들은 '의식의 확장'과 자연으로 회귀해서 만든 코뮌을 이루고 생활: 이들의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제공
  • 20. 싸이코뮤(Psycommu) 시스템 뉴타입이 발산하는 특수한 뇌파인 사이코 웨이브를 이용해서 기체 내외의 장치나 장비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 주변장치 비트나 패널 등 원격유도 병기 정밀조작 가능, 다수 표적을 동시에 인식해서 공격. 시스템 탑재기체의 잠재성능을 큰 폭으로 향상 개발초기 시스템이 발신하는 막대한 정보량이 파일럿에게 주는 스트레스가 크고, 뉴타입/강화인간 밖에 취급할 수 없음 일반사람(올드타입)은 사이코뮤 시스템을 대체화, 간략화한 준사이코뮤나 사이코 프레임이 개발될 때까지 실현되지 못함
  • 21. Cyborg •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생물(Organism)의 합성어 • 1960년 맨프레드 클라인즈(Manfred Clynes)와 나단 클라인(Nathan Kline)의 공저 《사이보그와 우주》를 통해 소개 – 자체조절이 가능한 인간-기계의 결합인 사이보그가 우주진출에 유리할 것이라 주장 • 1965년 핼라시(D. S. Halacy) 책 《사이보그: 슈퍼맨의 진화(Cyborg: Evolution of the Superman)》의 서문 by 맨프레드 클라인즈 – "사이보그는 단순한 우주 탐험만이 아니라 정신과 물질이라는 내면의 우주와 외면의 우주에 가교를 놓는 새로운 개척자" • 사이보그 vs. 로봇 – 로봇은 기계가 진화하여 인간에게 접근한 것이고 어디까지나 인간 밖에 존재. 사이보그는 인간이 유전자를 통하지 않고 기계와 일체화되어 인공적으로 진화를 이룩
  • 22. Humanity+ • Transhumanism: A class of philosophies of life that seek the continuation and acceleration of the evolution of intelligent life beyond its currently human form and human limitations by means of science and technology, guided by life-promoting principles and values (Max More 1990) • Transhumanism tak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analyzing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humanity and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y. Nick Bostrom at the 2006 Singularity Summit
  • 23. 인간이란 무엇인가? • 21세기 “제2의 계몽시대” - 이정모 교수 – 17세기와 18세기의 계몽주의는 신 중심을 떠나 인간 중심의 관점으로의 전환을 주창했고, 19세기와 20세기의 휴머니즘은 인류 문화가 기계와 테크놀로지의 폐해를 넘어선 인간 중심으로 가야함을 주장. – 21세기인 지금은 과거에 의인화했던 신의 개념을 넘어서며, 인지과학기술까지 포함돼 이뤄지는 미래 융합과학기술이 인간 삶을 향상시키고, 인간과 기계와의 경계가 무너지는 존재로 인간을 재개념화해야 되는 제2의 깨달음(계몽) 시대, 신 뉴휴머니즘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 24. The Heart of the M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