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한국 게임 시장의 흐름
20103190
김보성
게임의 정의와 장르
E스포츠와 프로게이머
온라인 게임의 성장과 시장의 확대
한국 게임 시장의 성장
목차
국내 모바일 게임
게임의 정의와 장르
게임의 정의와 유래
 게임의 정의
- 규칙을 정해놓고 승부를 겨루는 놀이
- 오락의 보편적 형태, 경쟁이나 시합을 수반함
 게임의 유래
1) 일상생활에서 유래
2) 군사훈련에서 유래
3) 종교적 제례의식에서 유래
게임의 장르
슈팅 게임 플레이어가 순발력을 이용해 스테이지를 클리어 하는 게임
플레이어의 신속한 의사결정과 동작, 그에 따른 즉각적인 결과가
나타나는 게임
자신이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되어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모험하면서
아이템과 스킬을 이용해 사건과 문제를 풀어나가는 게임
현실의 자연법칙을 근거하여 진행 방식에 따라
턴 방식/실시간 방식으로 나눔
액션 게임
어드벤쳐
게임
시뮬레이션
게임
롤 플레이
스포츠 게임
FPS 게임
플레이어가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되어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면서 퍼즐을 풀어가나는 방식
스포츠를 소재한 한 게임
1인칭 시점으로 게임을 플레이 하는 슈팅게임
한국 게임 시장의 성장
PC 게임의 황금기와 몰락
RTS와 RPG 중심으로 재편되다(1998~2000)
- 국내에선 RPG가 강세이긴 했으나,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RTS)
장르도 많은 흥행을 하며 시장의 한 축을 구성
ex)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RPG 게임장르의 주류가 되다.(1996~1998)
(RPG란 유저가 게임 속 캐릭들을 연기하며 즐기는 역할 수행게임)
- 다른 장르 게임에 비해 스토리나 세계관이 강조되기 때문에
충성도가 높은 팬을 더 많이 확보
외환위기와 불법복제, 과도한 게임 번들(2000~2001)
1) 한국을 덮친 IMF 외환위기
2) 번들과 백업 시디
한국 온라인 게임
<바람의 나라>와 머그 게임의 시작 (1997)
1) 그래픽 기반 게임의 탄생 (머드 게임 + 그래픽)
2) 다른 머그 게임에 비해 커뮤니케이션을 돕는 요소들을 다수 도입
머드게임의 시작 (1970~1980)
- 머드게임이란 인터넷 등 통신망을 통해 한 서버에서 여러 사용자가 같은 게임을 즐기는 게임
- 아직 네트워크 인프라가 보급되기 전이라 주로 대학연구실,
또는 컴퓨터실을 중심으로 머드 게임을 즐김
<리니지>를 통해 시작된 성인 온라인 게임 (1998)
1) 엔씨소프트가 개발한 리니지는 보다 현실적인 그래픽을 사용해 성인들에게 좋은 반응
2) Pk를 적용해 성인 게임들의 취향을 더 공략
3) 개인적인 플레이보다는 ‘동맹’을 중심으로 한 협동 위주의 플레이가 더욱 중요해짐
IMF 위기와 PC방
• IMF 외환위기 -> PC방 새로운 창업 아이템
• PC방의 증가 ex)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2
• 초고속 인터넷망의 보급(1996)
->가정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다
• 프로게임 리그 출범(2000)
온라인 게임의 성장과 시장의 확대
한국 온라인 게임의 성장(2001)
• 한국 온라인 게임 시장의 성장
- 부분유료화 과금체계의 시작(정액제)
- 퍼블리셔의 등장
- 3D 게임의 등장 ex) 뮤, 라그하임
• 본격적인 게임 장르의 다양화
1) 캐주얼 게임 ex) 포트리스. 카트라이더
2) 스포츠 게임 ex) 팡야, 프리스타일
3) 음악 게임 ex) 비트매니아, 오투잼
4) FPS게임 ex) 카르마 온라인, 스폐셜 포스,
5) 캐주얼 RPG ex) 메이플 스토리, 던전앤파이터
온라인 게임 장르의 다양화
(2004~2005)
E스포츠와 프로게이머
E스포츠의 기원 (1998~1999)
- 프로게이머의 등장과 프로게임단의 출범
- 오프라인 대회의 시작
E스포츠의 발전(2000~2002)
- 오프라인 게임리그 -> 경영난으로 해체(2000)
- 케이블 방송사 주도로 재편되며 새로운 도약
1) 온게임넷과 MBC게임넷의 양대 게임 방송사 구축
2) 스타 프로게이머와 게임 캐스터의 등장
3) 한국프로게임협회 설립
4) WCG 출범
E스포츠의 출현(1998~1999)
1) 프로 리그 시작과 발전
- 초창기 프로게이머들 특별한 소속 없이 개인적으로 활동
-> 연습상대 구하기 어렵고, 혼자서는 풍부한 전략을 모으기 힘들어 팀 결성
- 팀 단위 리그의 필요성 대두
-> MBC게임넷과 온게임넷이 각각 팀 리그 출범
2) 대기업의 프로 리그 참여
- 프로게임 리그가 점차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홍보효과 가능성 인식한
대기업들이 프로게임단을 창설하거나 스폰서가 되는 형태로 E스포츠 참여
- ex) SK텔레콤, KTF, 팬텍앤큐리텔, CJ, 화승, STX, 웅진
3) 공군 게임단의 출범
- 2007년 4월 3일 세계 최초 군e스포츠 팀인 공군ACE 창설
E스포츠의 성장(2003~2007)
1)‘스타크래프트’, LOL’등 지나친 종목 편중
2) 프로게이머들 승부조작 및 블리자드와의 저
작권 분쟁
3) LOL 선둘들의 한국 대거 이탈
E스포츠의 과제
국내 모바일 게임
- 초기 국내 모바일 게임은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있는 번들 프로그램으로 시작
- 2000년대에는 전 연령대에 걸쳐 폭넓게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게임에 대한
수요가 커지며 게임 개발에 참여하는 업체도 증가함
모바일 게임
1)휴대전화 이용자의 확대와 제하적인 환경의 개선
- 2000년대 초반에 휴대전화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플랫폼을 사용
- 2005년에 모든 단말기에 의무적으로 WIPI를 탑재하게 됨으로써
단말기마다 다른 규격과 성능에 구애 받지 않고 게임 개발할 수 있게 됨
2) 3D 모바일 게임
- 휴대전화 사용자가 늘면서 단말기 성능이 발전했고 더욱 다양한 게임들이 개발됨
- 특히 3D 모바일 게임의 개발이 2003년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짐
- 하지만 다양하지 않은 게임폰의 종류, 부족한 게임 소프트웨어 수,
높은 가격으로 인해 흥행 실패
3) 모바일 게임의 지속적 성장
- 일반 휴대전화 단말기를 중심으로 한 모바일 게임은 지속적 성장
- 대규모 개발비가 투자된 대작 게임/전작의 성공을 바탕으로 한 시리즈 게임이 늘어
남 ex) 미니게임 천국
스마트폰 출시와 새로운 기회
1) 애플의 앱스토어가 활성화되면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반 마련
2) 앱스토어 개장된 지 3개월 뒤 안드로이드 마켓 개장
3) WIPI 의무탑재 폐지(2009)
-> 외국산 스마트폰이 국내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 마련
4) 2012년 7월 카카오 게임하기 서비스 시작
->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 확대에 크게 기여
감사합니다
Q & A.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게임덕과 함께 AR게임 새롭게 O2O 광고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게임덕과 함께 AR게임 새롭게 O2O 광고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게임덕과 함께 AR게임 새롭게 O2O 광고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게임덕과 함께 AR게임 새롭게 O2O 광고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Donghyung Shin
 
커무브 회사소개서 (2015)
커무브 회사소개서 (2015)커무브 회사소개서 (2015)
커무브 회사소개서 (2015)
COMOVE
 
국내게임아카이빙_청계천기술문화연구회발표_20181130
국내게임아카이빙_청계천기술문화연구회발표_20181130국내게임아카이빙_청계천기술문화연구회발표_20181130
국내게임아카이빙_청계천기술문화연구회발표_20181130
영욱 오
 
Test
TestTest
2013 HOTDOGStudio Introduction(KR)
2013 HOTDOGStudio Introduction(KR)2013 HOTDOGStudio Introduction(KR)
2013 HOTDOGStudio Introduction(KR)Sooyeon Lee
 
포켓몬 Go를 활용한 영업점 방문 증대 프로포절
포켓몬 Go를 활용한 영업점 방문 증대 프로포절포켓몬 Go를 활용한 영업점 방문 증대 프로포절
포켓몬 Go를 활용한 영업점 방문 증대 프로포절
Donghyung Shin
 
푸른역사아카데미 문화비평 오덕인문학 5. 게임의 역사를 이끌었던 오타쿠들 이야기.
푸른역사아카데미 문화비평 오덕인문학 5. 게임의 역사를 이끌었던 오타쿠들 이야기.푸른역사아카데미 문화비평 오덕인문학 5. 게임의 역사를 이끌었던 오타쿠들 이야기.
푸른역사아카데미 문화비평 오덕인문학 5. 게임의 역사를 이끌었던 오타쿠들 이야기.
영욱 오
 
야생과동물원
야생과동물원야생과동물원
야생과동물원
Seok Kyu Chang
 
sng and game
sng and gamesng and game
sng and gameChoiHarok
 
(크로스미디어) 모바일 게임 주간 마켓 동향 보고서(0704 0710)-160713
(크로스미디어) 모바일 게임 주간 마켓 동향 보고서(0704 0710)-160713(크로스미디어) 모바일 게임 주간 마켓 동향 보고서(0704 0710)-160713
(크로스미디어) 모바일 게임 주간 마켓 동향 보고서(0704 0710)-160713
choonkil lee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dbsdud
 
D three game concept
D three game conceptD three game concept
D three game concept
WONSEOK YI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KIM SANG HA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강 민우
 
PlayStation Class #2 슬라이드
PlayStation Class #2 슬라이드PlayStation Class #2 슬라이드
PlayStation Class #2 슬라이드
Ki-Hyun Cho
 
[IGC 2017]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을 위한 심리학
[IGC 2017]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을 위한 심리학[IGC 2017]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을 위한 심리학
[IGC 2017]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을 위한 심리학
강 민우
 
Advergame
AdvergameAdvergame
Advergame
Inae, Yoo
 

What's hot (19)

게임덕과 함께 AR게임 새롭게 O2O 광고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게임덕과 함께 AR게임 새롭게 O2O 광고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게임덕과 함께 AR게임 새롭게 O2O 광고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게임덕과 함께 AR게임 새롭게 O2O 광고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커무브 회사소개서 (2015)
커무브 회사소개서 (2015)커무브 회사소개서 (2015)
커무브 회사소개서 (2015)
 
국내게임아카이빙_청계천기술문화연구회발표_20181130
국내게임아카이빙_청계천기술문화연구회발표_20181130국내게임아카이빙_청계천기술문화연구회발표_20181130
국내게임아카이빙_청계천기술문화연구회발표_20181130
 
Test
TestTest
Test
 
2013 HOTDOGStudio Introduction(KR)
2013 HOTDOGStudio Introduction(KR)2013 HOTDOGStudio Introduction(KR)
2013 HOTDOGStudio Introduction(KR)
 
포켓몬 Go를 활용한 영업점 방문 증대 프로포절
포켓몬 Go를 활용한 영업점 방문 증대 프로포절포켓몬 Go를 활용한 영업점 방문 증대 프로포절
포켓몬 Go를 활용한 영업점 방문 증대 프로포절
 
푸른역사아카데미 문화비평 오덕인문학 5. 게임의 역사를 이끌었던 오타쿠들 이야기.
푸른역사아카데미 문화비평 오덕인문학 5. 게임의 역사를 이끌었던 오타쿠들 이야기.푸른역사아카데미 문화비평 오덕인문학 5. 게임의 역사를 이끌었던 오타쿠들 이야기.
푸른역사아카데미 문화비평 오덕인문학 5. 게임의 역사를 이끌었던 오타쿠들 이야기.
 
야생과동물원
야생과동물원야생과동물원
야생과동물원
 
sng and game
sng and gamesng and game
sng and game
 
(크로스미디어) 모바일 게임 주간 마켓 동향 보고서(0704 0710)-160713
(크로스미디어) 모바일 게임 주간 마켓 동향 보고서(0704 0710)-160713(크로스미디어) 모바일 게임 주간 마켓 동향 보고서(0704 0710)-160713
(크로스미디어) 모바일 게임 주간 마켓 동향 보고서(0704 0710)-160713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D three game concept
D three game conceptD three game concept
D three game concept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Kor 파이론카드배틀 소개자료_20130226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Copycat
CopycatCopycat
Copycat
 
Sng조사
Sng조사Sng조사
Sng조사
 
PlayStation Class #2 슬라이드
PlayStation Class #2 슬라이드PlayStation Class #2 슬라이드
PlayStation Class #2 슬라이드
 
[IGC 2017]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을 위한 심리학
[IGC 2017]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을 위한 심리학[IGC 2017]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을 위한 심리학
[IGC 2017]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을 위한 심리학
 
Advergame
AdvergameAdvergame
Advergame
 

Similar to 한국 게임의 역사

Korea game market 20151202
Korea game market 20151202Korea game market 20151202
Korea game market 20151202
진일 최
 
what's indie game? korean ver
what's indie game? korean verwhat's indie game? korean ver
what's indie game? korean ver
Kyung hwan Choi
 
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
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
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
Nasmedia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dbsdud
 
2014 HI BRAIN 미니경영컨테스트 2조 컴투스
2014 HI BRAIN 미니경영컨테스트 2조 컴투스2014 HI BRAIN 미니경영컨테스트 2조 컴투스
2014 HI BRAIN 미니경영컨테스트 2조 컴투스dbsdud
 
김윤상 수정
김윤상 수정김윤상 수정
김윤상 수정Icon Busan
 
유니티게임개발안내
유니티게임개발안내유니티게임개발안내
유니티게임개발안내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현안보고서69호(콘텐츠경쟁력연구3호)
현안보고서69호(콘텐츠경쟁력연구3호)현안보고서69호(콘텐츠경쟁력연구3호)
현안보고서69호(콘텐츠경쟁력연구3호)KevinKim
 
기획과 디자인(1)
기획과 디자인(1)기획과 디자인(1)
기획과 디자인(1)
태성 이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GAMENEXT Works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GAMENEXT Works
 
Construct 2를 이용한 2시간 만에 스마트폰 게임만들기
Construct 2를 이용한 2시간 만에 스마트폰 게임만들기Construct 2를 이용한 2시간 만에 스마트폰 게임만들기
Construct 2를 이용한 2시간 만에 스마트폰 게임만들기
NGMaking
 
주)바블콘텐츠 모바일 회사소개서
주)바블콘텐츠 모바일 회사소개서주)바블콘텐츠 모바일 회사소개서
주)바블콘텐츠 모바일 회사소개서
Gcc Ny
 
[SGPKOR] 2011년 한국 소셜게임 10가지 이슈
[SGPKOR] 2011년 한국 소셜게임 10가지 이슈[SGPKOR] 2011년 한국 소셜게임 10가지 이슈
[SGPKOR] 2011년 한국 소셜게임 10가지 이슈GAMENEXT Works
 
[NDC13] 모바일/소셜/플랫폼, 변화의 시대
[NDC13] 모바일/소셜/플랫폼, 변화의 시대 [NDC13] 모바일/소셜/플랫폼, 변화의 시대
[NDC13] 모바일/소셜/플랫폼, 변화의 시대
GAMENEXT Works
 
[법무법인 민후 | 김경환변호사] 게임저작권과 게임특허
[법무법인 민후 | 김경환변호사] 게임저작권과 게임특허[법무법인 민후 | 김경환변호사] 게임저작권과 게임특허
[법무법인 민후 | 김경환변호사] 게임저작권과 게임특허
MINWHO Law Group
 
게임의 전당 피칭덱
게임의 전당 피칭덱게임의 전당 피칭덱
게임의 전당 피칭덱
디안 인
 
소셜게임의 미래 예측
소셜게임의 미래 예측소셜게임의 미래 예측
소셜게임의 미래 예측misia85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Sunnyrider
 

Similar to 한국 게임의 역사 (20)

Korea game market 20151202
Korea game market 20151202Korea game market 20151202
Korea game market 20151202
 
what's indie game? korean ver
what's indie game? korean verwhat's indie game? korean ver
what's indie game? korean ver
 
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
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
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미니 경영 컨테스트 2조 컴투스
 
2014 HI BRAIN 미니경영컨테스트 2조 컴투스
2014 HI BRAIN 미니경영컨테스트 2조 컴투스2014 HI BRAIN 미니경영컨테스트 2조 컴투스
2014 HI BRAIN 미니경영컨테스트 2조 컴투스
 
김윤상 수정
김윤상 수정김윤상 수정
김윤상 수정
 
김윤상
김윤상김윤상
김윤상
 
유니티게임개발안내
유니티게임개발안내유니티게임개발안내
유니티게임개발안내
 
현안보고서69호(콘텐츠경쟁력연구3호)
현안보고서69호(콘텐츠경쟁력연구3호)현안보고서69호(콘텐츠경쟁력연구3호)
현안보고서69호(콘텐츠경쟁력연구3호)
 
기획과 디자인(1)
기획과 디자인(1)기획과 디자인(1)
기획과 디자인(1)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Construct 2를 이용한 2시간 만에 스마트폰 게임만들기
Construct 2를 이용한 2시간 만에 스마트폰 게임만들기Construct 2를 이용한 2시간 만에 스마트폰 게임만들기
Construct 2를 이용한 2시간 만에 스마트폰 게임만들기
 
주)바블콘텐츠 모바일 회사소개서
주)바블콘텐츠 모바일 회사소개서주)바블콘텐츠 모바일 회사소개서
주)바블콘텐츠 모바일 회사소개서
 
[SGPKOR] 2011년 한국 소셜게임 10가지 이슈
[SGPKOR] 2011년 한국 소셜게임 10가지 이슈[SGPKOR] 2011년 한국 소셜게임 10가지 이슈
[SGPKOR] 2011년 한국 소셜게임 10가지 이슈
 
[NDC13] 모바일/소셜/플랫폼, 변화의 시대
[NDC13] 모바일/소셜/플랫폼, 변화의 시대 [NDC13] 모바일/소셜/플랫폼, 변화의 시대
[NDC13] 모바일/소셜/플랫폼, 변화의 시대
 
[법무법인 민후 | 김경환변호사] 게임저작권과 게임특허
[법무법인 민후 | 김경환변호사] 게임저작권과 게임특허[법무법인 민후 | 김경환변호사] 게임저작권과 게임특허
[법무법인 민후 | 김경환변호사] 게임저작권과 게임특허
 
게임의 전당 피칭덱
게임의 전당 피칭덱게임의 전당 피칭덱
게임의 전당 피칭덱
 
소셜게임의 미래 예측
소셜게임의 미래 예측소셜게임의 미래 예측
소셜게임의 미래 예측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한국 게임의 역사

  • 1. 한국 게임 시장의 흐름 20103190 김보성
  • 2. 게임의 정의와 장르 E스포츠와 프로게이머 온라인 게임의 성장과 시장의 확대 한국 게임 시장의 성장 목차 국내 모바일 게임
  • 4. 게임의 정의와 유래  게임의 정의 - 규칙을 정해놓고 승부를 겨루는 놀이 - 오락의 보편적 형태, 경쟁이나 시합을 수반함  게임의 유래 1) 일상생활에서 유래 2) 군사훈련에서 유래 3) 종교적 제례의식에서 유래
  • 5. 게임의 장르 슈팅 게임 플레이어가 순발력을 이용해 스테이지를 클리어 하는 게임 플레이어의 신속한 의사결정과 동작, 그에 따른 즉각적인 결과가 나타나는 게임 자신이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되어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모험하면서 아이템과 스킬을 이용해 사건과 문제를 풀어나가는 게임 현실의 자연법칙을 근거하여 진행 방식에 따라 턴 방식/실시간 방식으로 나눔 액션 게임 어드벤쳐 게임 시뮬레이션 게임 롤 플레이 스포츠 게임 FPS 게임 플레이어가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되어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면서 퍼즐을 풀어가나는 방식 스포츠를 소재한 한 게임 1인칭 시점으로 게임을 플레이 하는 슈팅게임
  • 7. PC 게임의 황금기와 몰락 RTS와 RPG 중심으로 재편되다(1998~2000) - 국내에선 RPG가 강세이긴 했으나,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RTS) 장르도 많은 흥행을 하며 시장의 한 축을 구성 ex)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RPG 게임장르의 주류가 되다.(1996~1998) (RPG란 유저가 게임 속 캐릭들을 연기하며 즐기는 역할 수행게임) - 다른 장르 게임에 비해 스토리나 세계관이 강조되기 때문에 충성도가 높은 팬을 더 많이 확보 외환위기와 불법복제, 과도한 게임 번들(2000~2001) 1) 한국을 덮친 IMF 외환위기 2) 번들과 백업 시디
  • 8. 한국 온라인 게임 <바람의 나라>와 머그 게임의 시작 (1997) 1) 그래픽 기반 게임의 탄생 (머드 게임 + 그래픽) 2) 다른 머그 게임에 비해 커뮤니케이션을 돕는 요소들을 다수 도입 머드게임의 시작 (1970~1980) - 머드게임이란 인터넷 등 통신망을 통해 한 서버에서 여러 사용자가 같은 게임을 즐기는 게임 - 아직 네트워크 인프라가 보급되기 전이라 주로 대학연구실, 또는 컴퓨터실을 중심으로 머드 게임을 즐김 <리니지>를 통해 시작된 성인 온라인 게임 (1998) 1) 엔씨소프트가 개발한 리니지는 보다 현실적인 그래픽을 사용해 성인들에게 좋은 반응 2) Pk를 적용해 성인 게임들의 취향을 더 공략 3) 개인적인 플레이보다는 ‘동맹’을 중심으로 한 협동 위주의 플레이가 더욱 중요해짐
  • 9. IMF 위기와 PC방 • IMF 외환위기 -> PC방 새로운 창업 아이템 • PC방의 증가 ex)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2 • 초고속 인터넷망의 보급(1996) ->가정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다 • 프로게임 리그 출범(2000)
  • 10. 온라인 게임의 성장과 시장의 확대
  • 11. 한국 온라인 게임의 성장(2001) • 한국 온라인 게임 시장의 성장 - 부분유료화 과금체계의 시작(정액제) - 퍼블리셔의 등장 - 3D 게임의 등장 ex) 뮤, 라그하임
  • 12. • 본격적인 게임 장르의 다양화 1) 캐주얼 게임 ex) 포트리스. 카트라이더 2) 스포츠 게임 ex) 팡야, 프리스타일 3) 음악 게임 ex) 비트매니아, 오투잼 4) FPS게임 ex) 카르마 온라인, 스폐셜 포스, 5) 캐주얼 RPG ex) 메이플 스토리, 던전앤파이터 온라인 게임 장르의 다양화 (2004~2005)
  • 14. E스포츠의 기원 (1998~1999) - 프로게이머의 등장과 프로게임단의 출범 - 오프라인 대회의 시작 E스포츠의 발전(2000~2002) - 오프라인 게임리그 -> 경영난으로 해체(2000) - 케이블 방송사 주도로 재편되며 새로운 도약 1) 온게임넷과 MBC게임넷의 양대 게임 방송사 구축 2) 스타 프로게이머와 게임 캐스터의 등장 3) 한국프로게임협회 설립 4) WCG 출범 E스포츠의 출현(1998~1999)
  • 15. 1) 프로 리그 시작과 발전 - 초창기 프로게이머들 특별한 소속 없이 개인적으로 활동 -> 연습상대 구하기 어렵고, 혼자서는 풍부한 전략을 모으기 힘들어 팀 결성 - 팀 단위 리그의 필요성 대두 -> MBC게임넷과 온게임넷이 각각 팀 리그 출범 2) 대기업의 프로 리그 참여 - 프로게임 리그가 점차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홍보효과 가능성 인식한 대기업들이 프로게임단을 창설하거나 스폰서가 되는 형태로 E스포츠 참여 - ex) SK텔레콤, KTF, 팬텍앤큐리텔, CJ, 화승, STX, 웅진 3) 공군 게임단의 출범 - 2007년 4월 3일 세계 최초 군e스포츠 팀인 공군ACE 창설 E스포츠의 성장(2003~2007)
  • 16. 1)‘스타크래프트’, LOL’등 지나친 종목 편중 2) 프로게이머들 승부조작 및 블리자드와의 저 작권 분쟁 3) LOL 선둘들의 한국 대거 이탈 E스포츠의 과제
  • 18. - 초기 국내 모바일 게임은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있는 번들 프로그램으로 시작 - 2000년대에는 전 연령대에 걸쳐 폭넓게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게임에 대한 수요가 커지며 게임 개발에 참여하는 업체도 증가함 모바일 게임 1)휴대전화 이용자의 확대와 제하적인 환경의 개선 - 2000년대 초반에 휴대전화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플랫폼을 사용 - 2005년에 모든 단말기에 의무적으로 WIPI를 탑재하게 됨으로써 단말기마다 다른 규격과 성능에 구애 받지 않고 게임 개발할 수 있게 됨 2) 3D 모바일 게임 - 휴대전화 사용자가 늘면서 단말기 성능이 발전했고 더욱 다양한 게임들이 개발됨 - 특히 3D 모바일 게임의 개발이 2003년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짐 - 하지만 다양하지 않은 게임폰의 종류, 부족한 게임 소프트웨어 수, 높은 가격으로 인해 흥행 실패 3) 모바일 게임의 지속적 성장 - 일반 휴대전화 단말기를 중심으로 한 모바일 게임은 지속적 성장 - 대규모 개발비가 투자된 대작 게임/전작의 성공을 바탕으로 한 시리즈 게임이 늘어 남 ex) 미니게임 천국
  • 19. 스마트폰 출시와 새로운 기회 1) 애플의 앱스토어가 활성화되면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반 마련 2) 앱스토어 개장된 지 3개월 뒤 안드로이드 마켓 개장 3) WIPI 의무탑재 폐지(2009) -> 외국산 스마트폰이 국내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 마련 4) 2012년 7월 카카오 게임하기 서비스 시작 ->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 확대에 크게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