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1. 타당도 
20130239 초등교육과 김희연
목차 
I. 타당도란?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III. 타당도의 통합적 관점
I. 타당도란? 
1. 타당도의 정의 
타당도(validity) : 
검사도구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 중 
평가의 목적에 비추어 가장 근본적인 기준 
실제 검사도구가 측정하고 있는 것이 
검사도구가 측정하려고 하는 것과 
얼마나 근접하는가?
1. 타당도의 정의 
타당도에 관한 Question 
Q. 이 검사가 실제 무엇을 재고 있느냐? 
Q. 이 능력, 성질, 특성을 어느 정도로 재고 있느냐? 
타당도는 근본적으로 대한 질문 
I. 타당도란?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1. 전통적 관점- 타당도의 종류 
• 예측타당도 
• 공인타당도
2. 내용타당도 
정의 
평가도구가 그것이 평가하려고 하는 내용(교육목표)을 어느 정도로 
충실히 측정하고 있는지를 분석 측정하려는 것 
내용타당도의 준거=교육목표 
교육목표의 세분화 
이원분류표 작성 
검사의 타당성 ↑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2. 내용타당도 
내용타당도를 결정하는 요인 
-이 평가도구가 처음에 의도했던 교육목표에 비추어 보아 적절한가 
-문항내용이 교과내용의 중요한 것을 빠뜨리지 않고 
충분히 포괄하고 있는가 
-문항의 난이도가 학생 집단의 성질에 비추어 보아 적절한가 
-문항의 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하고 있는가 
이러한 내용타당도의 추정은 검사 내용에 대한 전문가의 판단에 기초!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검사의 타당성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 지므로 주관성이 많이 개입된다는 단점이 있다.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3. 준거타당도 
하나의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다른 기준지표를 사 
용하여 측정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나타난 관련성의 정도 
=선행검사(점수)X와 준거(행동특성)Y와의 상관계수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정의
어떤 평가도구가 
목적하는 준거를 
정확히 예언하는가 
예측타당도 공인타당도 
기존의 검사가 
미래의 행동을 
얼마나 잘 반 
영하고 있는지 
와 관련 
기존의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가 현 
재의 실제 행동을 
얼마나 잘 반영하 
고 있는가와 관련 
3. 준거타당도 
미래 현재(동시에) 
행동의 
준거 
Ex) 
입학성적이 높은 학생이 
입학 후에도 학업성적이 
높다면 그 입학시험의 예 
측타당도는 높다. 
Ex) 
교과흥미검사의 결과가 
미술에 흥미가 있다고 나 
타난다면 학생은 미술활 
동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VS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3. 준거타당도 
예측타당도 
장점 -미래의 행위에 대한 예언을 하기 때문에 선발, 채용, 배치 
등의 목적으로 사용 가능 
단점 -동시에 측정 불가 
-검증하기 위해 시간적 여유가 필요, 
-다른 원인으로 인해 준거가 훼손되었을 가능성도 있음 
공인타당도 
장점 -평가도구의 실제적 의미를 풍부히 해주고 활용하는데 유용 
한 정보를 제공 
-새로운 연구의 아이디어를 제공 
단점 -기존 검사가 없을 경우 공인타당도를 확인할 수 없음 
-기존 검사에 의존적인 경향이 있음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4. 구인타당도 
한 검사가 조작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어떤 특성이나 성 
질을 측정하려고 했을 때, 검사가 심리적 특성을 구성하 
고 있는 구인들을 얼마나 잘 포함하였느냐의 정도 
검사 성취에 반영되어 있다고 
짐작되는 인간의 가정적 속성 
Ex) 지배성, 자아개념, 사고력, 
학습동기,성취동기, 불안 등 
아직 조작적으로 정의되지 않고, 과학적으로 이론이 제대로 정립되 
지 않은 새로운 개념 혹은 구인을 측정하는 검사에 과학적 이론과 타 
당화를 부여하는 과정 
“이 특성을 가진 사람은 X라는 상황에서 Y의 행동을 보일 것이다" 
검사 자체보다도 준거의 확인과 이론형성이 중요!! 
조작적으로 정 
의되지 않은 구 
인의 성질에 관 
한 법칙을 정립 
하기 위한 과정 
이므로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정의 
( )
4. 구인타당도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일반적 절차 
검사점수 혹은 검사결과의 원인이 될 구인이 무엇 
인지를 시사하는 과정 
관찰 및 검사의 이론적 분석을 기초로 한 상상적 행위로 이루어짐 
이 구인에 관련된 이론의 상정과 이 이론에서 추리할 수 있 
는 가설을 추출하는 과정 
과학의 논리적 조작에 의존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험적 연구를 실행하는 과정 
*구인타당도를 밝히는 과정에서는 모든 형태의 연구방법이 쓰인다!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따라서, 구인타당도의 정도를 어떤 단일한 지수로 표현할 수X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타당도의 통합적 관점의 바탕이 됨
III. 타당도의 통합적 관점 
1. 통합적 관점의 의의 
1970년대 초, 학자들은 한 검사의 타당도 검증의 대상은 그 검사 자체가 아 
니라 검사 점수로부터 유추되는 해석과 추론이라는 것을 인식 
[타당도에 대한 통합합적 관점의 특성] 
구인타당도에 내재된 원리를 모든 타당화의 원리로 확대함으로써 
타당화 과정을 과학적인 이론 검증의 과정과 동일시한다. 
통합적 관점은 타당화 과정에서 가치와 검사 활용의 결과를 
명시적으로 고려한다. 
타당도는 관련된 모든 증거들을 활용하여 검사 점수의 해석에 
대해 내린 종합적이고 평가적인 판단이다. 
타당화 과정은 사실상 평가이다.
III. 타당도의 통합적 관점 
2. 타당도 증거 
(1) 검사내용에 기초한 증거 
검사의 내용 영역의 적절성이 검사 점수로부터 추론되는 특정한 해석과 연결된다 
(2) 반응 과정에 기초한 증거 
측정하려는 구인과 수험자의 반응과의 적절성에 관한 것이다 
(3) 내적 구조에 기초한 증거 
검사문항과 검사 구성 요소간의 관계가 검사 점수 해석의 기반이 되는 구인과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4)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기초한 증거 
검수 점수와 외재적인 변수간의 관련성이 검사 점수를 해석하는 데 기반이 되는 구인과 얼 
마나 일관성을갖는지를 분석한다 
(5) 검사결과에 기초한 증거 
의도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검사 사용의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신뢰도) 권진희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신뢰도) 권진희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신뢰도) 권진희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신뢰도) 권진희
Minsoo Jung
 
SPED420ch7PP
SPED420ch7PPSPED420ch7PP
SPED420ch7PP
fiegent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Chapter 6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Chapter 6Reading and Learning to Read Chapter 6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Chapter 6
sandymom3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김재선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김재선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김재선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김재선
Minsoo Jung
 
Standards based assessment
Standards based assessmentStandards based assessment
Standards based assessment
Melanio Florino
 
Assessing reading
Assessing readingAssessing reading
Assessing reading
elfiratanjung
 
Standards based assessment under the k to12
Standards based assessment under the k to12Standards based assessment under the k to12
Standards based assessment under the k to12
Maria Theresa
 
Assessing Speaking
Assessing SpeakingAssessing Speaking
Assessing Speaking
Musfera Nara Vadia
 
Standards based assessment
Standards based assessmentStandards based assessment
Standards based assessment
Mahsa Farahanynia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Astrid Caballero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Sutrisno Evenddy
 
Chapter 4( standardized testing)
Chapter 4( standardized testing)Chapter 4( standardized testing)
Chapter 4( standardized testing)
Kheang Sokheng
 
Assessment: Grading & Student Evaluation
Assessment: Grading & Student EvaluationAssessment: Grading & Student Evaluation
Assessment: Grading & Student Evaluation
Eddy White, Ph.D.
 
Norm-referenced & Criterion-referenced Tests
Norm-referenced & Criterion-referenced TestsNorm-referenced & Criterion-referenced Tests
Norm-referenced & Criterion-referenced Tests
Fariba Chamani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A Faiz
 
Validity, reliability & practicality
Validity, reliability & practicalityValidity, reliability & practicality
Validity, reliability & practicality
Samcruz5
 
Presentation Validity & Reliability
Presentation Validity & ReliabilityPresentation Validity & Reliability
Presentation Validity & Reliability
songoten77
 

Viewers also liked (17)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신뢰도) 권진희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신뢰도) 권진희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신뢰도) 권진희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신뢰도) 권진희
 
SPED420ch7PP
SPED420ch7PPSPED420ch7PP
SPED420ch7PP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Chapter 6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Chapter 6Reading and Learning to Read Chapter 6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Chapter 6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김재선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김재선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김재선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김재선
 
Standards based assessment
Standards based assessmentStandards based assessment
Standards based assessment
 
Assessing reading
Assessing readingAssessing reading
Assessing reading
 
Standards based assessment under the k to12
Standards based assessment under the k to12Standards based assessment under the k to12
Standards based assessment under the k to12
 
Assessing Speaking
Assessing SpeakingAssessing Speaking
Assessing Speaking
 
Standards based assessment
Standards based assessmentStandards based assessment
Standards based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Chapter 4( standardized testing)
Chapter 4( standardized testing)Chapter 4( standardized testing)
Chapter 4( standardized testing)
 
Assessment: Grading & Student Evaluation
Assessment: Grading & Student EvaluationAssessment: Grading & Student Evaluation
Assessment: Grading & Student Evaluation
 
Norm-referenced & Criterion-referenced Tests
Norm-referenced & Criterion-referenced TestsNorm-referenced & Criterion-referenced Tests
Norm-referenced & Criterion-referenced Tests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Validity, reliability & practicality
Validity, reliability & practicalityValidity, reliability & practicality
Validity, reliability & practicality
 
Presentation Validity & Reliability
Presentation Validity & ReliabilityPresentation Validity & Reliability
Presentation Validity & Reliability
 

Similar to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Imr]week02 1
[Imr]week02 1[Imr]week02 1
[Imr]week02 1
JY LEE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혜진 양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Minsoo Jung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Minsoo Jung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유정 서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유정 서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Minsoo Jung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Minsoo Jung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DoumKim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Minsoo Jung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na-yeonlee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JY LEE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534297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Minsoo Jung
 
표준화 검사 박성훈
표준화 검사 박성훈표준화 검사 박성훈
표준화 검사 박성훈parksunghunv
 
[Imr]week2
[Imr]week2[Imr]week2
[Imr]week2
jylee6977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Minsoo Jung
 
[IMR2014]WEEK10
[IMR2014]WEEK10[IMR2014]WEEK10
[IMR2014]WEEK10JY LEE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Kminjeong
 

Similar to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20)

[Imr]week02 1
[Imr]week02 1[Imr]week02 1
[Imr]week02 1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표준화 검사 박성훈
표준화 검사 박성훈표준화 검사 박성훈
표준화 검사 박성훈
 
Sam01
Sam01Sam01
Sam01
 
[Imr]week2
[Imr]week2[Imr]week2
[Imr]week2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IMR2014]WEEK10
[IMR2014]WEEK10[IMR2014]WEEK10
[IMR2014]WEEK10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 1.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1. 타당도 20130239 초등교육과 김희연
  • 2. 목차 I. 타당도란?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III. 타당도의 통합적 관점
  • 3. I. 타당도란? 1. 타당도의 정의 타당도(validity) : 검사도구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 중 평가의 목적에 비추어 가장 근본적인 기준 실제 검사도구가 측정하고 있는 것이 검사도구가 측정하려고 하는 것과 얼마나 근접하는가?
  • 4. 1. 타당도의 정의 타당도에 관한 Question Q. 이 검사가 실제 무엇을 재고 있느냐? Q. 이 능력, 성질, 특성을 어느 정도로 재고 있느냐? 타당도는 근본적으로 대한 질문 I. 타당도란?
  • 5.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1. 전통적 관점- 타당도의 종류 • 예측타당도 • 공인타당도
  • 6. 2. 내용타당도 정의 평가도구가 그것이 평가하려고 하는 내용(교육목표)을 어느 정도로 충실히 측정하고 있는지를 분석 측정하려는 것 내용타당도의 준거=교육목표 교육목표의 세분화 이원분류표 작성 검사의 타당성 ↑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 7. 2. 내용타당도 내용타당도를 결정하는 요인 -이 평가도구가 처음에 의도했던 교육목표에 비추어 보아 적절한가 -문항내용이 교과내용의 중요한 것을 빠뜨리지 않고 충분히 포괄하고 있는가 -문항의 난이도가 학생 집단의 성질에 비추어 보아 적절한가 -문항의 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하고 있는가 이러한 내용타당도의 추정은 검사 내용에 대한 전문가의 판단에 기초!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검사의 타당성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 지므로 주관성이 많이 개입된다는 단점이 있다.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 8. 3. 준거타당도 하나의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다른 기준지표를 사 용하여 측정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나타난 관련성의 정도 =선행검사(점수)X와 준거(행동특성)Y와의 상관계수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정의
  • 9. 어떤 평가도구가 목적하는 준거를 정확히 예언하는가 예측타당도 공인타당도 기존의 검사가 미래의 행동을 얼마나 잘 반 영하고 있는지 와 관련 기존의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가 현 재의 실제 행동을 얼마나 잘 반영하 고 있는가와 관련 3. 준거타당도 미래 현재(동시에) 행동의 준거 Ex) 입학성적이 높은 학생이 입학 후에도 학업성적이 높다면 그 입학시험의 예 측타당도는 높다. Ex) 교과흥미검사의 결과가 미술에 흥미가 있다고 나 타난다면 학생은 미술활 동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VS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 10. 3. 준거타당도 예측타당도 장점 -미래의 행위에 대한 예언을 하기 때문에 선발, 채용, 배치 등의 목적으로 사용 가능 단점 -동시에 측정 불가 -검증하기 위해 시간적 여유가 필요, -다른 원인으로 인해 준거가 훼손되었을 가능성도 있음 공인타당도 장점 -평가도구의 실제적 의미를 풍부히 해주고 활용하는데 유용 한 정보를 제공 -새로운 연구의 아이디어를 제공 단점 -기존 검사가 없을 경우 공인타당도를 확인할 수 없음 -기존 검사에 의존적인 경향이 있음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 11. 4. 구인타당도 한 검사가 조작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어떤 특성이나 성 질을 측정하려고 했을 때, 검사가 심리적 특성을 구성하 고 있는 구인들을 얼마나 잘 포함하였느냐의 정도 검사 성취에 반영되어 있다고 짐작되는 인간의 가정적 속성 Ex) 지배성, 자아개념, 사고력, 학습동기,성취동기, 불안 등 아직 조작적으로 정의되지 않고, 과학적으로 이론이 제대로 정립되 지 않은 새로운 개념 혹은 구인을 측정하는 검사에 과학적 이론과 타 당화를 부여하는 과정 “이 특성을 가진 사람은 X라는 상황에서 Y의 행동을 보일 것이다" 검사 자체보다도 준거의 확인과 이론형성이 중요!! 조작적으로 정 의되지 않은 구 인의 성질에 관 한 법칙을 정립 하기 위한 과정 이므로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정의 ( )
  • 12. 4. 구인타당도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일반적 절차 검사점수 혹은 검사결과의 원인이 될 구인이 무엇 인지를 시사하는 과정 관찰 및 검사의 이론적 분석을 기초로 한 상상적 행위로 이루어짐 이 구인에 관련된 이론의 상정과 이 이론에서 추리할 수 있 는 가설을 추출하는 과정 과학의 논리적 조작에 의존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험적 연구를 실행하는 과정 *구인타당도를 밝히는 과정에서는 모든 형태의 연구방법이 쓰인다!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따라서, 구인타당도의 정도를 어떤 단일한 지수로 표현할 수X II. 타당도의 전통적 관점 타당도의 통합적 관점의 바탕이 됨
  • 13. III. 타당도의 통합적 관점 1. 통합적 관점의 의의 1970년대 초, 학자들은 한 검사의 타당도 검증의 대상은 그 검사 자체가 아 니라 검사 점수로부터 유추되는 해석과 추론이라는 것을 인식 [타당도에 대한 통합합적 관점의 특성] 구인타당도에 내재된 원리를 모든 타당화의 원리로 확대함으로써 타당화 과정을 과학적인 이론 검증의 과정과 동일시한다. 통합적 관점은 타당화 과정에서 가치와 검사 활용의 결과를 명시적으로 고려한다. 타당도는 관련된 모든 증거들을 활용하여 검사 점수의 해석에 대해 내린 종합적이고 평가적인 판단이다. 타당화 과정은 사실상 평가이다.
  • 14. III. 타당도의 통합적 관점 2. 타당도 증거 (1) 검사내용에 기초한 증거 검사의 내용 영역의 적절성이 검사 점수로부터 추론되는 특정한 해석과 연결된다 (2) 반응 과정에 기초한 증거 측정하려는 구인과 수험자의 반응과의 적절성에 관한 것이다 (3) 내적 구조에 기초한 증거 검사문항과 검사 구성 요소간의 관계가 검사 점수 해석의 기반이 되는 구인과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4)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기초한 증거 검수 점수와 외재적인 변수간의 관련성이 검사 점수를 해석하는 데 기반이 되는 구인과 얼 마나 일관성을갖는지를 분석한다 (5) 검사결과에 기초한 증거 의도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검사 사용의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