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사용자융합리서치I,II
User Integrated Research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방법론 설명
Lecture
• Discussion
• Team Grouping
Practice
• Issue Define
Report
50min
100min
50min
TODAY.
과학적 리서치
정량적.정성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1.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 왜 과학을 하는가? (Andrew F. Hayes, Ohio State University)
- 문제해결로서의 과학(Science as Problem Solving)
- 정보습득으로서의 과학(Science as Information Acquisition)
- 이론발달과 검증으로서의 과학(Science as the Development Testing of Theory)
- 충만한 호기심으로서의 과학(Science as the Satiation of Curiosity)
1.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모든 학문의 목적은
문제해결 problem solving
Theory building을 통해 현실세계
설명하고 예측
1.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Theory Building Process =
가설
hypothesis
사실
facts
법칙, 정리
law
이론
theory
대이론
Meta-theory
진리
truth
1.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 리서치 방법론 (Research Methdology)
연구방법은 자신의 주장(결론)을 검증하고 설득하는 툴(tool)
정량적인 방법/ 정성적인 방법
사회과학 리서치 방법론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1.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KGIT
융합 리서치
사회과학리서치
디자인리서치
- 정성/정량적 방법
- 정량적 방법론 발달
- 심층적, 구조적 분석에 한계
- 정성/정량적 방법
- 정성적 방법론 발달
- 객관적 검증, 일반화의 한계
1.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 과학적 리서치
의 특성과 절차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자연현상 사이의 있음직한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명제를
체계적이고 경험적이며 통제적이고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
1) definition :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by Kerlinger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공개적 :
연구자는 자신이 발견한 것의 정확성을 주장하는데 있어,
공개하지 않은 자신만의 지식이나 방법, 자료를 근거로 내세울 수 없음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객관적 :
명백한 규칙과 절차에 마련되고 그에 따라 이루어짐. 과학적 연구는
사실에 대한 해석보다 사실 그 자체를 다룬다는 점에서 객관성이
요구됨.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경험적 :
측정 가능한 세계를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을 지각하고
분류하고 측정하게 됨.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체계적이며 누적적 :
과학적 조사는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과거에 이루어진 연구들을 초석으로 삼아
진화하는 것.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Theory란 개념들 사이의 특수한 관계들을
통해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명제
2.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예측적
연구자들이 이론을 발전시키려고 애쓰는 이유는 이론이 행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기 때문. 이론이
적절한가의 여부는 그것이 현상이나 사건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달려있음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과학적 조사 절차 =
연구주제 선정
기존 연구와 이론 검토
연구문제와 가설 정립
적절한 방법론과 조사설계
자료수집
자료분석과 해석
결과보고
반복연구
3) 절차
2.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 구체적인 현상으로부터 귀납하여 일반화시킨, 추상적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용어
- 개념은 일련의 연관된 관찰 결과를 요약하는 작업을 통해 형성됨.
- 중요성
: 대상의 개별적 특성들을 더욱 일반적인 범주로 조합해 냄.
: 그것의 의미를 이해하는 사람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시킴. 즉 개념에 대한 이해를 공유해야
그 개념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
1. 개념(Concept)
2.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 개념들의 조합
- 여러 차원들(개념)로 구분되는 추상적인 의미. 즉 각 차원들이 추상성이 낮은 수준의 개념들로 표현됨
- 직접적인 관찰이 불가능
2. 구성(Constructs)
2.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 측정이나 조작이 가능한 현상이나 사건
- 이론의 세계와 경험적인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것
(개념이 변인으로 구체화될 때, 경험적 차원에서 관찰 혹은 측정이 가능해짐)
1) 독립변인(independent variable) :
어떤 변인의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변인.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선정
종속변인(dependent variable)
독립변인의 결과가 되는 변인. 관찰의 대상.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변인
2) 통제 변인(control variable)
원하지 않는 영향을 제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변인
3. 변인(Variable)
2.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3)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
개념을 관찰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다라야 할 절차를 구체화 한 것
관찰의 대상에 대한 분명한 진술
3. 변인(Variable)
2.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 측정이나 조작이 가능한 현상이나 사건
- 이론의 세계와 경험적인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것
(개념이 변인으로 구체화될 때, 경험적 차원에서 관찰 혹은 측정이 가능해짐)
1) 독립변인(independent variable) :
어떤 변인의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변인.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선정
종속변인(dependent variable)
독립변인의 결과가 되는 변인. 관찰의 대상.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변인
2) 통제 변인(control variable)
원하지 않는 영향을 제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변인
3. 변인(Variable)
2.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3)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
개념을 관찰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다라야 할 절차를 구체화 한 것
관찰의 대상에 대한 분명한 진술
3. 변인(Variable)
2. 과학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1)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정성적 연구)
* 장점
• 인위성이 배제된 자연적 상황에서 대상을 관찰, 좀 더 심도 깊은 이해가 가능.
• 설문지를 통해서는 설문 내용 이상의 정보를 얻기 어렵지만, 참여관찰, focus group interview 등에서는 그 과정 중
연구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음.
* 단점
• 표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가 어렵다 -->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예비조사로 활용.
• 자료의 신뢰도 문제. 동일 대상을 개별 관찰자가 달리 볼 수 있고, 연구자가 응답자와 너무 밀착되면 자료 수집의 객
관성이 떨어짐.
• 질적 연구가 적절하게 계획, 설계되지 않으면 연구 결과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음.
2)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 정량적 연구)
* 장점
• 숫자, 수리적 분석방법을 활용하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매우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음. 다양한 index 개발 가능.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와 정성적 리서치
Quantitative Research vs Qualitative Research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일정한 기준으로 수집하여 동질적 특성을 지닌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통일된 유형의
설문지와 질문을 통해 규격화된 응답을 구하는 방식. 일반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소비자가 조사가 여기에 해당. 규격확된 설문 문항과 짧은 응답시간으로 대규모
조사가 가능하며, 통계처리를 통하여 그 결과를 수치화함으로써 조사결과를 객관화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준에서 소비자의 인식과 반응을 파악할수 있으며
이 결과를 기존활동의 성과 파악과 새로운 전략수립의 방향성 설정에 활용
*장점
숫자, 수리적 분석방법을 활용하기 대문에 연구 결과를 매우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음.
다양한 index 개발가능
(G.거브너의 폭력지수, 공영성지수, AI지수, 청소년보호지수 등)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정성조사의 목적은 고객의 믿음이나 감정, 동기요인 등 소비자의
심리적인 부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 응답이 주관적이라는 이유
때문에 비과학적인 사회과학조사라는 말을 듣기도 하지만, 정량
조사에서는 밝혀내기 힘든 개인의 동기나 태도와 같은 미묘한
심리상태까지 깊숙히 알아볼 수 있다는 장점. 통상적인 대규모
정량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가설을 설정하거나 조사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 미리 실시.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장점
- 인위성이 배제된 자연적 상황에서 대상을 관찰, 좀 더 심도 깊은 이해 가능
-설문지를 통해 설문 내용 이상의 정보를 얻어내긴 어렵지만, 참여관찰, FGI등 에서는 그 과정 중
연구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음
*단점
- 표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가 어려움. (예비조사 활용)
- 자료의 신뢰도 문제, 동일대상을 개별 관찰자가 달리 볼 수 있고, 연구자가 응답자와 너무 밀착되면
수집의 객관성 떨어짐
- 철저하게 계획, 설계되지 않으면 연구 결과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음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현상에 대한 설명
• 주목할만한 결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 예상치 않은 결과에 대한 설명
• 현상의 탐색
• 정성적인 Finding 생성
• 정성적 과정에서 생긴 아이디어와 컨셉에 대한 테스트
정성적인 리서치를 통해 나온 아이디어와 컨셉을
조사하기 위한 정량적인 리서치의 활용
정량적인 리서치에서 나온 Findings들을 설명하기
위한 정성적 리서치 활용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현상의 탐색
• 정성적인 Finding 생성
• 정성적 과정에서 생긴 아이디어와 컨셉에 대한 테스트
정성적인 리서치를 통해 나온 아이디어와 컨셉을
조사하기 위한 정량적인 리서치의 활용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선배들의 작업들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012.1학기 디자인경영학회 총 4편 발표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014.1학기 디지털 정책학회, 컨텐츠 학회, 뉴미디어파티등 3편 발표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온라인 협업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014.1학기 디지털 정책학회, 컨텐츠 학회, 뉴미디어파티등 3편 발표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소상공인 SNS마케팅 활성화 방안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YOUR TEAM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최민석
박정수
최은희
박상일
김영한
공영배
김진홍
어일경
황희경
이준상
한 학기 동안 잘 부탁합니다.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Let’s Discuss your
Your Team
Issue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다음주까지..
1. TEAM BRANDING
팀명. 팀 주제. 팀 캐릭터. 팀 로고. 팀 THEME SONG 등등
2. 오늘 정한 주제 DESK RESEARCH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Imr2014]week01
[Imr2014]week01[Imr2014]week01
[Imr2014]week01JY LEE
 
[Imr2014]week04
[Imr2014]week04[Imr2014]week04
[Imr2014]week04JY LEE
 
7 프레임 워크와_방법론
7 프레임 워크와_방법론7 프레임 워크와_방법론
7 프레임 워크와_방법론atelier t*h
 
[Imr]week03
[Imr]week03[Imr]week03
[Imr]week03JY LEE
 
4 미래예측 프레임워크와_방법론
4 미래예측 프레임워크와_방법론4 미래예측 프레임워크와_방법론
4 미래예측 프레임워크와_방법론atelier t*h
 
[Trends]14 trend researchiv
[Trends]14 trend researchiv[Trends]14 trend researchiv
[Trends]14 trend researchiv
JY LEE
 
[Imr]week07 [자동 저장]
[Imr]week07 [자동 저장][Imr]week07 [자동 저장]
[Imr]week07 [자동 저장]
JY LEE
 
10 자료조사 계획수립
10 자료조사 계획수립10 자료조사 계획수립
10 자료조사 계획수립humana12
 
11 고객조사 계획수립
11 고객조사 계획수립11 고객조사 계획수립
11 고객조사 계획수립humana12
 
모여라 눈코입
모여라 눈코입모여라 눈코입
모여라 눈코입
Soo Jin Kim
 
1 future discovery_research
1 future discovery_research1 future discovery_research
1 future discovery_researchatelier t*h
 
[IMR2014]WEEK10
[IMR2014]WEEK10[IMR2014]WEEK10
[IMR2014]WEEK10JY LEE
 
[IMR2014]WEEK07
[IMR2014]WEEK07[IMR2014]WEEK07
[IMR2014]WEEK07JY LEE
 
[IMR2014]WEEK08
[IMR2014]WEEK08[IMR2014]WEEK08
[IMR2014]WEEK08JY LEE
 
Visual Research_ 121678 KyungA Park
Visual Research_ 121678 KyungA ParkVisual Research_ 121678 KyungA Park
Visual Research_ 121678 KyungA Park
경아 박
 
[ae] 정성조사의 이해 경희대2011-1_배포용
[ae] 정성조사의 이해 경희대2011-1_배포용[ae] 정성조사의 이해 경희대2011-1_배포용
[ae] 정성조사의 이해 경희대2011-1_배포용aeoninsight
 
20141028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5
20141028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520141028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5
20141028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5
humana12
 

What's hot (17)

[Imr2014]week01
[Imr2014]week01[Imr2014]week01
[Imr2014]week01
 
[Imr2014]week04
[Imr2014]week04[Imr2014]week04
[Imr2014]week04
 
7 프레임 워크와_방법론
7 프레임 워크와_방법론7 프레임 워크와_방법론
7 프레임 워크와_방법론
 
[Imr]week03
[Imr]week03[Imr]week03
[Imr]week03
 
4 미래예측 프레임워크와_방법론
4 미래예측 프레임워크와_방법론4 미래예측 프레임워크와_방법론
4 미래예측 프레임워크와_방법론
 
[Trends]14 trend researchiv
[Trends]14 trend researchiv[Trends]14 trend researchiv
[Trends]14 trend researchiv
 
[Imr]week07 [자동 저장]
[Imr]week07 [자동 저장][Imr]week07 [자동 저장]
[Imr]week07 [자동 저장]
 
10 자료조사 계획수립
10 자료조사 계획수립10 자료조사 계획수립
10 자료조사 계획수립
 
11 고객조사 계획수립
11 고객조사 계획수립11 고객조사 계획수립
11 고객조사 계획수립
 
모여라 눈코입
모여라 눈코입모여라 눈코입
모여라 눈코입
 
1 future discovery_research
1 future discovery_research1 future discovery_research
1 future discovery_research
 
[IMR2014]WEEK10
[IMR2014]WEEK10[IMR2014]WEEK10
[IMR2014]WEEK10
 
[IMR2014]WEEK07
[IMR2014]WEEK07[IMR2014]WEEK07
[IMR2014]WEEK07
 
[IMR2014]WEEK08
[IMR2014]WEEK08[IMR2014]WEEK08
[IMR2014]WEEK08
 
Visual Research_ 121678 KyungA Park
Visual Research_ 121678 KyungA ParkVisual Research_ 121678 KyungA Park
Visual Research_ 121678 KyungA Park
 
[ae] 정성조사의 이해 경희대2011-1_배포용
[ae] 정성조사의 이해 경희대2011-1_배포용[ae] 정성조사의 이해 경희대2011-1_배포용
[ae] 정성조사의 이해 경희대2011-1_배포용
 
20141028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5
20141028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520141028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5
20141028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5
 

Similar to [Imr]week02 1

[Imr]week02 1
[Imr]week02 1[Imr]week02 1
[Imr]week02 1JY LEE
 
[Imr]week2
[Imr]week2[Imr]week2
[Imr]week2
jylee6977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1heeyeon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1heeyeon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Minsoo Jung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혜진 양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Minsoo Jung
 
Product Design System 2009, Team Shabu Final Documentation
Product Design System 2009, Team Shabu Final DocumentationProduct Design System 2009, Team Shabu Final Documentation
Product Design System 2009, Team Shabu Final Documentation
JongBum Woo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유정 서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유정 서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Yeseul Song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534297
 
실천(실행)연구 방법론 소개
실천(실행)연구 방법론 소개실천(실행)연구 방법론 소개
실천(실행)연구 방법론 소개
Kwon Sun Phil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Minsoo Jung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Minsoo Jung
 
평가도구의 질 판단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기준(타당도)평가도구의 질 판단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기준(타당도)
Chae2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DoumKim
 
[파인트리오픈클래스]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이해
[파인트리오픈클래스]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이해[파인트리오픈클래스]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이해
[파인트리오픈클래스]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이해
pinetreeopenclass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Kyubok Cho
 

Similar to [Imr]week02 1 (20)

[Imr]week02 1
[Imr]week02 1[Imr]week02 1
[Imr]week02 1
 
[Imr]week2
[Imr]week2[Imr]week2
[Imr]week2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타당도)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Product Design System 2009, Team Shabu Final Documentation
Product Design System 2009, Team Shabu Final DocumentationProduct Design System 2009, Team Shabu Final Documentation
Product Design System 2009, Team Shabu Final Documentation
 
Sam01
Sam01Sam01
Sam01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실천(실행)연구 방법론 소개
실천(실행)연구 방법론 소개실천(실행)연구 방법론 소개
실천(실행)연구 방법론 소개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평가도구의 질 판단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기준(타당도)평가도구의 질 판단기준(타당도)
평가도구의 질 판단기준(타당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도움
 
[파인트리오픈클래스]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이해
[파인트리오픈클래스]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이해[파인트리오픈클래스]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이해
[파인트리오픈클래스]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이해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More from JY LEE

[Info14] information design iii
[Info14] information design iii[Info14] information design iii
[Info14] information design iii
JY LEE
 
[Trends]13 trend researchiii_
[Trends]13 trend researchiii_[Trends]13 trend researchiii_
[Trends]13 trend researchiii_
JY LEE
 
[Info13] information design
[Info13] information design[Info13] information design
[Info13] information design
JY LEE
 
[Trends]12 trend researchii_
[Trends]12 trend researchii_[Trends]12 trend researchii_
[Trends]12 trend researchii_
JY LEE
 
[Info12] information design
[Info12] information design[Info12] information design
[Info12] information design
JY LEE
 
[Trends]10 trend research__
[Trends]10 trend research__[Trends]10 trend research__
[Trends]10 trend research__
JY LEE
 
[Trends]09 consumer trends
[Trends]09 consumer trends[Trends]09 consumer trends
[Trends]09 consumer trends
JY LEE
 
[Info10]visual leaderii
[Info10]visual leaderii[Info10]visual leaderii
[Info10]visual leaderii
JY LEE
 
[Info09]visual leaderi 은유와모델
[Info09]visual leaderi 은유와모델[Info09]visual leaderi 은유와모델
[Info09]visual leaderi 은유와모델
JY LEE
 
[Trends]06 tech trends
[Trends]06 tech trends[Trends]06 tech trends
[Trends]06 tech trends
JY LEE
 
[Info06]graphical thinking
[Info06]graphical thinking[Info06]graphical thinking
[Info06]graphical thinking
JY LEE
 
[Info05]visual thinking iv
[Info05]visual thinking iv[Info05]visual thinking iv
[Info05]visual thinking iv
JY LEE
 
[Trends]05 macro trends 01
[Trends]05 macro trends 01[Trends]05 macro trends 01
[Trends]05 macro trends 01
JY LEE
 
[Trends]04 mega trendsii
[Trends]04 mega trendsii[Trends]04 mega trendsii
[Trends]04 mega trendsii
JY LEE
 
[Info04]visual thinkingiii
[Info04]visual thinkingiii[Info04]visual thinkingiii
[Info04]visual thinkingiii
JY LEE
 
[Trends]03 mega trends
[Trends]03 mega trends[Trends]03 mega trends
[Trends]03 mega trends
JY LEE
 
[Info03]visual thinkingii
[Info03]visual thinkingii[Info03]visual thinkingii
[Info03]visual thinkingii
JY LEE
 
[Trends]02 terms
[Trends]02 terms[Trends]02 terms
[Trends]02 terms
JY LEE
 
[Info02]visual thinking
[Info02]visual thinking[Info02]visual thinking
[Info02]visual thinking
JY LEE
 
[Trends2016]introduction
[Trends2016]introduction[Trends2016]introduction
[Trends2016]introduction
JY LEE
 

More from JY LEE (20)

[Info14] information design iii
[Info14] information design iii[Info14] information design iii
[Info14] information design iii
 
[Trends]13 trend researchiii_
[Trends]13 trend researchiii_[Trends]13 trend researchiii_
[Trends]13 trend researchiii_
 
[Info13] information design
[Info13] information design[Info13] information design
[Info13] information design
 
[Trends]12 trend researchii_
[Trends]12 trend researchii_[Trends]12 trend researchii_
[Trends]12 trend researchii_
 
[Info12] information design
[Info12] information design[Info12] information design
[Info12] information design
 
[Trends]10 trend research__
[Trends]10 trend research__[Trends]10 trend research__
[Trends]10 trend research__
 
[Trends]09 consumer trends
[Trends]09 consumer trends[Trends]09 consumer trends
[Trends]09 consumer trends
 
[Info10]visual leaderii
[Info10]visual leaderii[Info10]visual leaderii
[Info10]visual leaderii
 
[Info09]visual leaderi 은유와모델
[Info09]visual leaderi 은유와모델[Info09]visual leaderi 은유와모델
[Info09]visual leaderi 은유와모델
 
[Trends]06 tech trends
[Trends]06 tech trends[Trends]06 tech trends
[Trends]06 tech trends
 
[Info06]graphical thinking
[Info06]graphical thinking[Info06]graphical thinking
[Info06]graphical thinking
 
[Info05]visual thinking iv
[Info05]visual thinking iv[Info05]visual thinking iv
[Info05]visual thinking iv
 
[Trends]05 macro trends 01
[Trends]05 macro trends 01[Trends]05 macro trends 01
[Trends]05 macro trends 01
 
[Trends]04 mega trendsii
[Trends]04 mega trendsii[Trends]04 mega trendsii
[Trends]04 mega trendsii
 
[Info04]visual thinkingiii
[Info04]visual thinkingiii[Info04]visual thinkingiii
[Info04]visual thinkingiii
 
[Trends]03 mega trends
[Trends]03 mega trends[Trends]03 mega trends
[Trends]03 mega trends
 
[Info03]visual thinkingii
[Info03]visual thinkingii[Info03]visual thinkingii
[Info03]visual thinkingii
 
[Trends]02 terms
[Trends]02 terms[Trends]02 terms
[Trends]02 terms
 
[Info02]visual thinking
[Info02]visual thinking[Info02]visual thinking
[Info02]visual thinking
 
[Trends2016]introduction
[Trends2016]introduction[Trends2016]introduction
[Trends2016]introduction
 

[Imr]week02 1

  • 1.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사용자융합리서치I,II User Integrated Research
  • 2.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방법론 설명 Lecture • Discussion • Team Grouping Practice • Issue Define Report 50min 100min 50min TODAY. 과학적 리서치 정량적.정성적 리서치
  • 3.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1. 과학적 리서치
  • 4.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 왜 과학을 하는가? (Andrew F. Hayes, Ohio State University) - 문제해결로서의 과학(Science as Problem Solving) - 정보습득으로서의 과학(Science as Information Acquisition) - 이론발달과 검증으로서의 과학(Science as the Development Testing of Theory) - 충만한 호기심으로서의 과학(Science as the Satiation of Curiosity) 1. 과학적 리서치
  • 5.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모든 학문의 목적은 문제해결 problem solving Theory building을 통해 현실세계 설명하고 예측 1. 과학적 리서치
  • 6.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Theory Building Process = 가설 hypothesis 사실 facts 법칙, 정리 law 이론 theory 대이론 Meta-theory 진리 truth 1. 과학적 리서치
  • 7.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 리서치 방법론 (Research Methdology) 연구방법은 자신의 주장(결론)을 검증하고 설득하는 툴(tool) 정량적인 방법/ 정성적인 방법 사회과학 리서치 방법론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1. 과학적 리서치
  • 8.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KGIT 융합 리서치 사회과학리서치 디자인리서치 - 정성/정량적 방법 - 정량적 방법론 발달 - 심층적, 구조적 분석에 한계 - 정성/정량적 방법 - 정성적 방법론 발달 - 객관적 검증, 일반화의 한계 1. 과학적 리서치
  • 9.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 과학적 리서치 의 특성과 절차
  • 10.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자연현상 사이의 있음직한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명제를 체계적이고 경험적이며 통제적이고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 1) definition :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by Kerlinger
  • 11.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공개적 : 연구자는 자신이 발견한 것의 정확성을 주장하는데 있어, 공개하지 않은 자신만의 지식이나 방법, 자료를 근거로 내세울 수 없음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 12.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객관적 : 명백한 규칙과 절차에 마련되고 그에 따라 이루어짐. 과학적 연구는 사실에 대한 해석보다 사실 그 자체를 다룬다는 점에서 객관성이 요구됨.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 13.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경험적 : 측정 가능한 세계를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을 지각하고 분류하고 측정하게 됨.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 14.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체계적이며 누적적 : 과학적 조사는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과거에 이루어진 연구들을 초석으로 삼아 진화하는 것.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 15.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Theory란 개념들 사이의 특수한 관계들을 통해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명제 2. 과학적 리서치
  • 16.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 과학적 조사의 특성 : 예측적 연구자들이 이론을 발전시키려고 애쓰는 이유는 이론이 행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기 때문. 이론이 적절한가의 여부는 그것이 현상이나 사건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달려있음 2. 과학적 리서치의 특성과 절차
  • 17.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과학적 조사 절차 = 연구주제 선정 기존 연구와 이론 검토 연구문제와 가설 정립 적절한 방법론과 조사설계 자료수집 자료분석과 해석 결과보고 반복연구 3) 절차 2. 과학적 리서치
  • 18.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 구체적인 현상으로부터 귀납하여 일반화시킨, 추상적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용어 - 개념은 일련의 연관된 관찰 결과를 요약하는 작업을 통해 형성됨. - 중요성 : 대상의 개별적 특성들을 더욱 일반적인 범주로 조합해 냄. : 그것의 의미를 이해하는 사람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시킴. 즉 개념에 대한 이해를 공유해야 그 개념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 1. 개념(Concept) 2. 과학적 리서치
  • 19.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 개념들의 조합 - 여러 차원들(개념)로 구분되는 추상적인 의미. 즉 각 차원들이 추상성이 낮은 수준의 개념들로 표현됨 - 직접적인 관찰이 불가능 2. 구성(Constructs) 2. 과학적 리서치
  • 20.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 측정이나 조작이 가능한 현상이나 사건 - 이론의 세계와 경험적인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것 (개념이 변인으로 구체화될 때, 경험적 차원에서 관찰 혹은 측정이 가능해짐) 1) 독립변인(independent variable) : 어떤 변인의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변인.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선정 종속변인(dependent variable) 독립변인의 결과가 되는 변인. 관찰의 대상.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변인 2) 통제 변인(control variable) 원하지 않는 영향을 제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변인 3. 변인(Variable) 2. 과학적 리서치
  • 21.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3)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 개념을 관찰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다라야 할 절차를 구체화 한 것 관찰의 대상에 대한 분명한 진술 3. 변인(Variable) 2. 과학적 리서치
  • 22.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 측정이나 조작이 가능한 현상이나 사건 - 이론의 세계와 경험적인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것 (개념이 변인으로 구체화될 때, 경험적 차원에서 관찰 혹은 측정이 가능해짐) 1) 독립변인(independent variable) : 어떤 변인의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변인.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선정 종속변인(dependent variable) 독립변인의 결과가 되는 변인. 관찰의 대상.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변인 2) 통제 변인(control variable) 원하지 않는 영향을 제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변인 3. 변인(Variable) 2. 과학적 리서치
  • 23.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4) 과학적 조사 요소 3)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 개념을 관찰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다라야 할 절차를 구체화 한 것 관찰의 대상에 대한 분명한 진술 3. 변인(Variable) 2. 과학적 리서치
  • 24.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1)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정성적 연구) * 장점 • 인위성이 배제된 자연적 상황에서 대상을 관찰, 좀 더 심도 깊은 이해가 가능. • 설문지를 통해서는 설문 내용 이상의 정보를 얻기 어렵지만, 참여관찰, focus group interview 등에서는 그 과정 중 연구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음. * 단점 • 표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가 어렵다 -->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예비조사로 활용. • 자료의 신뢰도 문제. 동일 대상을 개별 관찰자가 달리 볼 수 있고, 연구자가 응답자와 너무 밀착되면 자료 수집의 객 관성이 떨어짐. • 질적 연구가 적절하게 계획, 설계되지 않으면 연구 결과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음. 2)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 정량적 연구) * 장점 • 숫자, 수리적 분석방법을 활용하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매우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음. 다양한 index 개발 가능.
  • 25.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와 정성적 리서치 Quantitative Research vs Qualitative Research
  • 26.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 27.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 28.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 29.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 30.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31.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일정한 기준으로 수집하여 동질적 특성을 지닌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통일된 유형의 설문지와 질문을 통해 규격화된 응답을 구하는 방식. 일반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소비자가 조사가 여기에 해당. 규격확된 설문 문항과 짧은 응답시간으로 대규모 조사가 가능하며, 통계처리를 통하여 그 결과를 수치화함으로써 조사결과를 객관화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준에서 소비자의 인식과 반응을 파악할수 있으며 이 결과를 기존활동의 성과 파악과 새로운 전략수립의 방향성 설정에 활용 *장점 숫자, 수리적 분석방법을 활용하기 대문에 연구 결과를 매우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음. 다양한 index 개발가능 (G.거브너의 폭력지수, 공영성지수, AI지수, 청소년보호지수 등)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32.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33.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정성조사의 목적은 고객의 믿음이나 감정, 동기요인 등 소비자의 심리적인 부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 응답이 주관적이라는 이유 때문에 비과학적인 사회과학조사라는 말을 듣기도 하지만, 정량 조사에서는 밝혀내기 힘든 개인의 동기나 태도와 같은 미묘한 심리상태까지 깊숙히 알아볼 수 있다는 장점. 통상적인 대규모 정량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가설을 설정하거나 조사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 미리 실시.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34.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장점 - 인위성이 배제된 자연적 상황에서 대상을 관찰, 좀 더 심도 깊은 이해 가능 -설문지를 통해 설문 내용 이상의 정보를 얻어내긴 어렵지만, 참여관찰, FGI등 에서는 그 과정 중 연구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음 *단점 - 표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가 어려움. (예비조사 활용) - 자료의 신뢰도 문제, 동일대상을 개별 관찰자가 달리 볼 수 있고, 연구자가 응답자와 너무 밀착되면 수집의 객관성 떨어짐 - 철저하게 계획, 설계되지 않으면 연구 결과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음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35.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36.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현상에 대한 설명 • 주목할만한 결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 예상치 않은 결과에 대한 설명 • 현상의 탐색 • 정성적인 Finding 생성 • 정성적 과정에서 생긴 아이디어와 컨셉에 대한 테스트 정성적인 리서치를 통해 나온 아이디어와 컨셉을 조사하기 위한 정량적인 리서치의 활용 정량적인 리서치에서 나온 Findings들을 설명하기 위한 정성적 리서치 활용
  • 37.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3. 정량적 리서치 vs 정성적 리서치 • 현상의 탐색 • 정성적인 Finding 생성 • 정성적 과정에서 생긴 아이디어와 컨셉에 대한 테스트 정성적인 리서치를 통해 나온 아이디어와 컨셉을 조사하기 위한 정량적인 리서치의 활용
  • 38.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선배들의 작업들
  • 39.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012.1학기 디자인경영학회 총 4편 발표
  • 40.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014.1학기 디지털 정책학회, 컨텐츠 학회, 뉴미디어파티등 3편 발표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온라인 협업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41.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2014.1학기 디지털 정책학회, 컨텐츠 학회, 뉴미디어파티등 3편 발표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소상공인 SNS마케팅 활성화 방안
  • 42.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YOUR TEAM
  • 43.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최민석 박정수 최은희 박상일 김영한 공영배 김진홍 어일경 황희경 이준상 한 학기 동안 잘 부탁합니다.
  • 44.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Let’s Discuss your Your Team Issue
  • 45. 융합리서치 방법론 & 실습 | WEEK 2 : Research Process 다음주까지.. 1. TEAM BRANDING 팀명. 팀 주제. 팀 캐릭터. 팀 로고. 팀 THEME SONG 등등 2. 오늘 정한 주제 DESK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