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LGI bleeding 지침 (v20180306)
* Check List: Vital sign (stable or unstable), 직장수지검사 (혈변의 양상 확인),
- Unstable => 우선 상부위장관 출혈 감별 중요함! (EGD or L-tube)
- Stable: Colonoscopy (환자 상태에 따라서 결정: 경구로 장정결이 어려운 경우는 Yal-enema 후
sigmoidoscopy 시행 고려, sigmoidoscopy로 bleeding document 안되면 장정결 후 대장내시경 진행하거나,
대장내시경 진행이 어려우면 CT angiography 고려(Cr level 확인 필요))
* (응급) 대장내시경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장정결이 필요합니다.)
Colonoscopy or sigmoidoscopy:
장정결: PEG-based solution (Colyte 4L or Coolprep 2L)을 3 – 4시간 동안 복용: 항문으로 배출액인
clear 하게 될 때까지. (환자가 자의로 복용을 못하는 경우, L-tube를 통해서 투여)
Order: Colyte-F pow, 4(-6)L 또는 Coolprep pow 2(-4)L (for 3-4 hours before colonoscopy)
Order: Sigmoidoscopy: Yal enema 1-2 bottle, qd, apply
하부위장관 출혈이 의심되어 대장내시경 또는 직장경을 하려고 한다면, (in NCC)
정규 시간인 경우: 내시경실에 연락하여 협진 의뢰 낼 전문의 문의 후, 협진 의뢰 후 선생님께 연락
당직 시간인 경우: 매달 응급실, 대장암센터 병동 (101,102병동)에 “당직 응급내시경 스케쥴” 공지됨. 하부 전
임의 선생님께 연락하고, 그 달의 하부위장관 스탭 선생님께 협진 의뢰: (하부 응급 대장내시경(또는 직장경
검사)는 장정결의 과정이 필요하여 내시경 시행까지 시간이 필요함.
(post polypectomy bleeding인 경우: 정규 시간인 경우 – 시술자 선생님께 연락. 당직 시간에는 전임의 선
생님이 보고 받고 ‘시술자’ 또는 ‘당직의’ 선생님께 연락)
<참고>
** 대장내시경 검사 이외에도 시행할 수 있는 검사가 있습니다. ** (대장내시경 시행이 어려운 경우)
CT angiography: 진단 가능한 최소 출혈량, 0.2-0.5ml/min; 12-30ml/h; 288 -720ml/day
Angiography: 진단 가능한 출혈량, 1-1.5ml/min; 60-90ml/h; > 1.5L/day
RBC scan; 0.05-0.1ml/min; 6-10ml/h, 144-240ml/day
Initial assessment
-Evaluation and risk stratification (Hx, P/Ex, Lab, Vital sign, R/O UGI bleeding)
-Hemodynamic resuscitation (IV replacement with crystalloid solution, 수혈은 Hb 7미만인 경우 고려 (심장
질환 등이 있는 경우 Hb 9 정도 유지)),
-Fluid replacement는 매우 중요함. - V/S stable하고 이전 검사에서 Cr 정상이면
* CBC 결과 확인 전에는 N/S 120cc/hr,
* 출혈이 확인 되면 출혈 정도, 지혈 상태에 따라서(BP 및 Hb level 정도에 맞추어서 N/S 및 fluid 투여)
Management of anticoagulant medications (INR of 1.5–2.5, INR >2.5 이면 교정 필요, 혈소판은 5만 이상으로
유지)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GBKwak

PC mode 1
PC mode 1PC mode 1
PC mode 1GBKwak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GBKwak
 
Review 1 nutrition_case
Review 1 nutrition_caseReview 1 nutrition_case
Review 1 nutrition_caseGBKwak
 
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1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1GBKwak
 
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2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2GBKwak
 
Mechanical ventilation 3
Mechanical ventilation 3Mechanical ventilation 3
Mechanical ventilation 3GBKwak
 
Mv trouble shooting
Mv trouble shootingMv trouble shooting
Mv trouble shootingGBKwak
 
Electrolytes
ElectrolytesElectrolytes
ElectrolytesGBKwak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GBKwak
 
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202 cardiogenic shock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202 cardiogenic shockGBKwa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GBKwak
 
20201021 pcas care
20201021 pcas care20201021 pcas care
20201021 pcas careGBKwak
 
20200624 aki
20200624 aki20200624 aki
20200624 akiGBKwak
 
[03] 20200708 acid base
[03] 20200708 acid base[03] 20200708 acid base
[03] 20200708 acid baseGBKwak
 
ER survival
ER survivalER survival
ER survivalGBKwak
 
Intern 2
Intern 2Intern 2
Intern 2GBKwak
 
Intern 1
Intern 1Intern 1
Intern 1GBKwak
 
Fellow 2
Fellow 2Fellow 2
Fellow 2GBKwak
 
Fellow 1
Fellow 1Fellow 1
Fellow 1GBKwak
 

More from GBKwak (20)

PC mode 1
PC mode 1PC mode 1
PC mode 1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Review 1 nutrition_case
Review 1 nutrition_caseReview 1 nutrition_case
Review 1 nutrition_case
 
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1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2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3
Mechanical ventilation 3Mechanical ventilation 3
Mechanical ventilation 3
 
Mv trouble shooting
Mv trouble shootingMv trouble shooting
Mv trouble shooting
 
Electrolytes
ElectrolytesElectrolytes
Electrolytes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202 cardiogenic shock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021 pcas care
20201021 pcas care20201021 pcas care
20201021 pcas care
 
20200624 aki
20200624 aki20200624 aki
20200624 aki
 
[03] 20200708 acid base
[03] 20200708 acid base[03] 20200708 acid base
[03] 20200708 acid base
 
ER survival
ER survivalER survival
ER survival
 
S5 04
S5 04S5 04
S5 04
 
Intern 2
Intern 2Intern 2
Intern 2
 
Intern 1
Intern 1Intern 1
Intern 1
 
Fellow 2
Fellow 2Fellow 2
Fellow 2
 
Fellow 1
Fellow 1Fellow 1
Fellow 1
 

LGI

  • 1. LGI bleeding 지침 (v20180306) * Check List: Vital sign (stable or unstable), 직장수지검사 (혈변의 양상 확인), - Unstable => 우선 상부위장관 출혈 감별 중요함! (EGD or L-tube) - Stable: Colonoscopy (환자 상태에 따라서 결정: 경구로 장정결이 어려운 경우는 Yal-enema 후 sigmoidoscopy 시행 고려, sigmoidoscopy로 bleeding document 안되면 장정결 후 대장내시경 진행하거나, 대장내시경 진행이 어려우면 CT angiography 고려(Cr level 확인 필요)) * (응급) 대장내시경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장정결이 필요합니다.) Colonoscopy or sigmoidoscopy: 장정결: PEG-based solution (Colyte 4L or Coolprep 2L)을 3 – 4시간 동안 복용: 항문으로 배출액인 clear 하게 될 때까지. (환자가 자의로 복용을 못하는 경우, L-tube를 통해서 투여) Order: Colyte-F pow, 4(-6)L 또는 Coolprep pow 2(-4)L (for 3-4 hours before colonoscopy) Order: Sigmoidoscopy: Yal enema 1-2 bottle, qd, apply 하부위장관 출혈이 의심되어 대장내시경 또는 직장경을 하려고 한다면, (in NCC) 정규 시간인 경우: 내시경실에 연락하여 협진 의뢰 낼 전문의 문의 후, 협진 의뢰 후 선생님께 연락 당직 시간인 경우: 매달 응급실, 대장암센터 병동 (101,102병동)에 “당직 응급내시경 스케쥴” 공지됨. 하부 전 임의 선생님께 연락하고, 그 달의 하부위장관 스탭 선생님께 협진 의뢰: (하부 응급 대장내시경(또는 직장경 검사)는 장정결의 과정이 필요하여 내시경 시행까지 시간이 필요함. (post polypectomy bleeding인 경우: 정규 시간인 경우 – 시술자 선생님께 연락. 당직 시간에는 전임의 선 생님이 보고 받고 ‘시술자’ 또는 ‘당직의’ 선생님께 연락) <참고> ** 대장내시경 검사 이외에도 시행할 수 있는 검사가 있습니다. ** (대장내시경 시행이 어려운 경우) CT angiography: 진단 가능한 최소 출혈량, 0.2-0.5ml/min; 12-30ml/h; 288 -720ml/day Angiography: 진단 가능한 출혈량, 1-1.5ml/min; 60-90ml/h; > 1.5L/day RBC scan; 0.05-0.1ml/min; 6-10ml/h, 144-240ml/day Initial assessment -Evaluation and risk stratification (Hx, P/Ex, Lab, Vital sign, R/O UGI bleeding) -Hemodynamic resuscitation (IV replacement with crystalloid solution, 수혈은 Hb 7미만인 경우 고려 (심장 질환 등이 있는 경우 Hb 9 정도 유지)), -Fluid replacement는 매우 중요함. - V/S stable하고 이전 검사에서 Cr 정상이면 * CBC 결과 확인 전에는 N/S 120cc/hr, * 출혈이 확인 되면 출혈 정도, 지혈 상태에 따라서(BP 및 Hb level 정도에 맞추어서 N/S 및 fluid 투여) Management of anticoagulant medications (INR of 1.5–2.5, INR >2.5 이면 교정 필요, 혈소판은 5만 이상으로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