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빠르고 확실하며 쾌적한 출근길을 위한
스마트 모빌리티 쉐어링 서비스
박수정 정다은 서성진
UX서비스디자인 2018
Discovering
In dept Pre-research
Goal
UX Research
Field Research
- Observation
- A.E.I.O.U Analysis Framework
- Survey
- In depth Interview Analysis
Key Findings
UX Modeling
- Persona
- Customer Journey Mapping
Design Direction
Design Insight
Concept Diagram
Benchmarking
Prototyping
Task Flow
Site Map
Wireframe & Storyboard
GUI Design
Device Modeling
Promo movie
QR code
Pre-research
2
1 3
4
Context
Discovering
In dept Pre-research
Goal
1
Pre-research
서울시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통근시간의 증가가
통근자들의 삶의 만족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직장인 10명 중 8명은 ‘BMW(Bicycle/Bus-Metro-Walk)족’
“출퇴근 괴로워!”
직장인 92.8%가 출퇴근 시간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서울시에서 출퇴근에
소요되는 통근시간
평균 1시간 36분
일주일에 한두 번 느낀다.
36%
버스
지하철
지하철 - 버스 환승
자가용
도보 및 자전거
32.2%
26.4%
17.3%
16.3%
7.8%
소유 관점이 아닌 사용 관점의 교통수단 이용에 적합
이동거리 1~5km 사이의 이동거리에선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용이 우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30년의 시장 전망은 약 26조에 달함
친환경 교통수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 인구밀집 지역의 교통문제 해소
개인형 이동수단(스마트 모빌리티)
1 Pre-Research
Process
Discovering In depth Pre-research
만원 지하철, 버스 안에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일 때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지각 위기에 놓였을 때
눈앞에서
버스, 지하철을 놓쳤을 때
35
24.9
18.4
8.6
8.5
4.6
단위 : %
졸다가 눈을 떴는데 아직도 한참 남았을 때
내릴 곳을 놓쳐 되돌아가야 할 때
내 앞에 앉아 있는 사람만 일어나지 않을 때
이동거리별 수단 분담율 비교
하루 평균 따릉이 이용건수 1만 1300명
평일 오전 6~9시, 오후 6~9시 등
출퇴근 시간대에 38% 집중,
이 중 퇴근 시간대가 25%로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음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이용자 50만명 증가
렌터카의 단점을 보완한 많은 수의 차고지
간편한 대여 절차와 예약 서비스 제공
스마트폰의 NFC기능을 이용해 차량 열림과 잠금, 시동 가능
장거리 이동 시 대중교통 대신 이용
원하는 만큼 사용 가능
1. 공공자전거 쉐어링 서비스 2. 카쉐어링 서비스
쉐어링 서비스 리서치
Goal
[러쉬아워를 겪는 직장인들] 의
[빠르고 쾌적한 출퇴근] 을 위한
[Smart mobility] 를 이용한 쉐어링 서비스
1Pre-Research
Process
Good Point 비교적 장거리 이동시 대중교통을 대신함
스마트폰을 활용한 편리한 사용
Problem 늘어난 차량으로 인한 도심 지역의 정체
출퇴근 시 촉박한 시간과 반납문제로 사용할 수 없음
단거리에 부적합
Good Point 출퇴근 시 대중교통을 대신하는 이동수단
쾌적한 출퇴근 환경
Problem 따릉이정류장에 직접 가야만 대여 가능
체력 소모가 큼
첫 이용자에겐 사용절차가 어렵다고 생각됨
2
UX Research Field Research
- Observation
- A.E.I.O.U Analysis Framework
- Survey
- In depth Interview Analysis
Key Findings
UX Modeling
- Persona
- Customer Journey Mapping
2 UX Research
Research Plan
Desk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h pre-research 를 통해
출퇴근 스트레스의 원인 분석,
새로운 이동수단으로써의 스마트 모빌리티 분석,
통근에 이용될 수 있는 이동수단 분석
을 진행하였다.
Desk Research에서 얻을 수 없는, 혹은 놓친 정보를 얻기 위해 Field Research를 진행한다.
대상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각각 적합한 리서치 툴킷으로 진행하며 Needs 분석 및 도출한다.
Observation
A.E.I.O.U Analysis Framework
Contextual Interview
Survey
In depth Interview Analysis
대상
리서치 방법
목표
톹통근 시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며
1회 이상 환승을 하는 직장인
출근 시간에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의 문제점과 환경을 관찰하고
조사 대상이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 관찰하기 위해
다양한 서울 내 통근자의
대중교통 이용 시 사용자경험을
알기 위해
2UX Research
Process
Key Findings UX Modeling
Field Research를 통해 얻은 Needs를 분석 및 도출한다. Needs를 통해 Persona를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Customer Journey Map을 제작한다.
Persona
Customer Journey Mapping
Survey
In depth Interview Analysis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자
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자의 성향,
기기 사용 패턴, 이동거리, 사용 시
불편했던 점을 알아내기 위해
?
2 UX Research
Field Research
Observation & Contextual Interview
여선주
(24세 여성, 직장인 3개월차) 온수역AM 7:20
AM 8:00
AM 8:18
AM 8:41
AM 8:22
고속터미널역
양재역
양재역 버스정류장
회사 도착
집AM 7:00
(7호선 > 3호선 환승)
(지하철 > 버스 환승)
출근 경로시각
* : 정체를 겪음
2UX Research
Field Research
A.E.I.O.U Analysis
러쉬아워 시간에 출근하는 직장인 관찰
일시 : 2018년 9월 28일 금요일 오전 8시 ~ 9시
장소 : 고속터미널역 > 양재역 > 버스 > 회사 도착
대상 : 출근시간에 러쉬아워를 겪는 직장인
목적 : 바쁜 출근시간에 막히는 구간을 겪는 직장인들의
행동 패턴과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해서
A.E.I.O.U 분석
U. 20대 여성
A.‘카카오버스’로 도착 시각을 확인하고 있다.
E. 지하철 안
I. 사용자-어플
O. 스마트폰
단서 추출 분석 및 Needs 도출
많은 사람들이 지하철을 기다리느라 줄을 서 있었다.
지하철이 와도 앞 사람들이 탄 후 자리가 없어 다음
지하철을 기다려야 했다.
스마트폰을 계속 들어다보며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을
확인했다. 러쉬아워 시간에 버스 도착시간이 수시로
바뀌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지하철을 타야하기 때문에
서로 부딪히고 땀이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A. 따릉이(서울시 공공자전거) 안내 표지판을
읽고 있다.
E. 버스정류장 옆의 따릉이 정류장
I. 사용자-따릉이 이용안내 표지판
O. 따릉이 이용안내 표지판
U. 20대 여성
따릉이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는 바쁜 상황에서 안내판을
읽고 사용법을 파악하는 것을 어려워 했고, 절차가
복잡하다고 말했다.
따릉이 앱을 다운로드 하고 가입하는 절차를 귀찮아 했다.
버스 대신 따릉이를 탔을 때 회사까지 얼마나 걸릴지
예측할 수 없어서 탈지 말지 고민을 하였다.
따릉이를 반납하는 장소가 회사와 떨어져 있어서 불편함을
겪었다.
버스에 탄 후 정체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불안한 모습을
보였고 수시로 시간을 확인하였다.
버스에 사람이 너무 많이 탈 경우 시간이 좀 남아있는
직장인들은 걸어가는 것을 선택했다.
따릉이 앱에 사용가능한 자전거 수 등의 유용한
정보가 많음에도 대여 및 반납의 사용 절차에 불편함을
느낀다.
처음 따릉이를 사용하려던 사람들은 가입절차부터
대여하고 반납장소를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키오스크를 바라보다 대여하지 못하고
발걸음을 돌리는 모습을 보였다.
처음 따릉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가입 절차 및
대여를 하는 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스마트모빌리티를 빌리는 절차를 최대한 단축하여
처음 이용하는 사람도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티머니, QR코드 등)
버스를 기다릴때 도로가 정체될 경우 앱에 정확한
도착 시간이 나타나지 않아 불편하다.
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하여 도착지까지 가는데
걸리는 정확한 시간을 보여주는 기능
사용이 쉽고 빠른 대여와 반납이 가능한 교통수단
버스 안에서 정체 구간을 겪을 때 내려서 뛰어갈지 말지
고민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 UX Research
Field Research
Survey Analysis_대중교통을 이용해 통근하는 직장인
1. 58명을 대상으로 조사 / 남녀 비율 40 : 60
2. 출근수단 1) 지하철 (25.5%) 2) 자가용 (21.8%) 3) 버스-지하철 (20%)
3. 왜 이 수단을 이용하는지?
한번에 갈수있음 / 막힐 가능성 적어서 (정시성) / 빠르고 정확함
4. 교통사정으로 지각해본 적 있다. (58.2%)
5. 지각하지 않기 위해 중간에 다른 교통수단으로 갈아탄 적 있다 (49.1%)
6. 도로정체가 심할 때 따릉이 탈 의향이 있다. (23.4%)
도로정체가 심할 때 따릉이 탈 의향이 없다. (76.6%)
- 자전거를 타려면 체력소모가 높아 피곤할 것 같다
- 땀이 나서
- 자전거를 못 탄다
- 타기엔 구간이 너무 길다
- 초기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절차가 복잡한 것 같다/사용법이 어렵다
- 시간이 보장되지 않을 것 같다
7. 스마트모빌리티는 주로 여가활동할 때 사용
8. 스마트모빌리티 타지 않는 이유
- 비싸다
- 위험해보인다. 잘 탈지 확신이없다
- 무겁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다
- 대여와 반납이 편하다면 사용할 의향있다
- 출근시간을 줄일 수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다
지하철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이유는 높은 접근성과
정시성 때문이다.
공공자전거를 출퇴근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체력 소모가 많고 땀이 나기 때문이다.
따릉이는 절차가 복잡해보여 출근시간에 처음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따릉이 대여소가 도착지와 멀어 사용하지 않는다.
출근수단을 선택할 때 걸리는 시간과 도착시각이
정확한 것을 선호한다.
출근할 때부터 체력소모를 하고 싶지 않아한다.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 대중교통을 대신할 수 있는
간단하고 빠른 대여 절차의 서비스를 원한다.
반납장소와 회사가 가까워야 한다.
자전거보다 복장 제한이 적고 체력소모가 훨씬 적은
스마트 모빌리티 쉐어링 서비스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 시 미리 정확한 예상소요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함
대여소에 도착하기 전 사전 예약이 가능하도록 함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근처와 직장인 유동인구가 많은
구간에 대여소 설치하여 대중교통과의 환승이 용이하도록 함
단서 추출 분석 및 Needs 도출SURVEY 결과
2UX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 Interview Analysis_대중교통을 이용해 통근하는 직장인
설문지 작성 인터뷰 대상
0. 신상
이름, 성별, 나이
1. 수단
출퇴근 수단이 무엇인가요?
1-1. 왜 그 수단을 이용하나요? 환승 몇 번?
1-2. 제 시간에 나왔지만 교통사정으로 인해
지각한 적이 있나요?
1-3. 지각하지 않기 위해 중간에 내려 다른
교통수단(택시, 자전거, 도보 등)을 이용한
적 있나요?
1-4. 출근할 때 따릉이 이용해본 적 있나요?
 
2. 시간
2-1. 대중교통 이용한다면, 출퇴근 총 몇 분
걸리나요?
2-2. 출근할 때 차가 막혀/다른 이유로 지각한
경험이 있나요?
2-3. 출근시간이 막힐 것을 예상해 일찍
일어나거나 본인만의 대처방법이 있나요?
3. 비용
3-1. 한 달에 출퇴근 비용이 얼마 정도 드나요?
지출에 부담이 되나요?
3-2. 많이/적게 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4. Smart Mobility(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4-1. SM사용해본 적 있나요?
4-2. 스마트모빌리티를 교통수단으로 사용할
의향이 있나요?
4-3. 출퇴근 때 다른 사람이 타고 가는 걸 본
경험이 있나요?
정수민
26세
출퇴근 왕복 60분
지하철 - 도보
(온수역-양재역-신사역)
신현정
25세
출퇴근 왕복 120분
지하철 - 도보
(서울대입구역-시청역/
하차 후 도보 이용)
박준형
25세
출퇴근 왕복 80분
지하철 - 도보
(성균관대역-의왕역/
하차 후 버스나 도보 이용)
정혜민
24세
출퇴근 왕복 50분
버스 이용
(논현역-뱅뱅사거리)
녹취록 작성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을 하는 20대 중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6가지 키워드를 정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UX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 Interview Analysis_대중교통을 이용해 통근하는 직장인
2
단서 추출 분석 및 Needs 도출
혹시 모를 교통 상황에 대비해 일찍 집을 나선다.
공공자전거 서비스는 사용절차가 귀찮고 시간이 걸려 이용하지 않는다.
도착시각이 정확한 교통수단을 선호한다.
복장이 자전거 이용에 영향을 미친다.
급한 상황에서 헬멧 착용은 자전거/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자가용이 편하지만 주차문제와 비싼 주차비용 때문에 이용하지 않는다.
지하철 도착시각을 알아도 사람이 너무 많아 환승을 제때 못한다.
힘든 환승보단 조금 더 걷는 것을 선호한다.
지하철과 버스 모두 예기치못한 상황으로 인해 도착이 지연된 적 있다.
지각할 것 같을 때 택시를 탔다.
정장을 입고 따릉이 타는 동기가 있다.
출근 같은 급박한 상황 속에서 새로운 교통수단을 시도해보지 않을 것 같다.
버스가 사람을 다 못태워 놓쳐 지각한 적 있다.
늦었을 때도 버스를 타지 않고 뛰어간다.
따릉이 반납장소를 몰라 출근 후에 반납한 적이 있다.
사람이 가득 찬 대중교통 안에서 환승을 하는데 있어서 번거롭거나 불편함을 느낀다.
출퇴근시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발생하는 불편함을 대체할 방법이 없어 그대로 감수 하고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가 소음이 적어 깜짝 놀란 경험이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도로에서 이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어 사용을 꺼린다.
만원버스에서 벗어나 쾌적한 출근 환경을 제공하는 1인용 교통수단
복장에 제약이 비교적 자유로운 스탠드형 스마트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중에서도 사용하기 쉬운 전동킥보드
출근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정시성이 가장 중요함
지하철/버스에서 미리 스마트 모빌리티 대여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함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절차가 매우 간단해야 함
대여가능 대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야 함
목적지까지 걸리는 시간이 정확해야 함
이동하면서 근처 반납장소를 안내해주는 기능
스마트 모빌리티로 환승을 하면 절약할 수 있는 수치적 데이터를 보여주는 기능
버스정류장 주변의 대여소에 남아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대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주행 중일 때 보행자가 인지 가능한 청각적 자료 제공
정해진 도로 또는 전용도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통해 안전한 통행을 유도
내리는 버스정류장 근처에 스마트 모빌리티 대여소가 위치해야 함
빠른 대여를 위해 대여소의 키오스크를 통한 대여 절차를 제거해야 함
도 아니구요 . 살 때는 16km까지 되는 걸로 알았는데 타보니까 8~9km정도만 한
번에 주행 가능한 것 같아요 .
개인의 역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 생각엔 처음 타보는 친구들 대부분이 잘 타더
라구요 . 처음 탈 때 급한 경사 많은 구간 , 특히 담헌으로 내려가는 곳에 등하교
할 때 차들이 많아요 . 그래서 차를 피하려고 차없는 도로를 이용해서 가는 편이
에요 . 차가 많으면 차랑 같이 달리기 좀 그래요 . 아무래도 차가 앞뒤로 있게 되니
까 신경이 쓰이고 차도 저를 신경쓸 것 같구요 . 막상 타면 차랑 같이 다니면 그
렇게 위험했던 상황은 없었던 것 같아요 . 그래도 차가 오면 길가에 잠깐 섰다가
차가 지나가면 가는 편이에요 . 전용도로가 생기면 위험성을 해소시킬 순 있겠지
만 따로 전용도로를 만드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쉐어링서비스가 생긴다면 상황에 따라 사용할지 말지가 달라질 것 같아요 . 비용
도 중요한 부분이구요 . 이건 45만원 주고 샀는데 가격이 어떻게 책정되는지에 따
라 다를 것 같아요 . 제가 해외에 있는 전동킥보드 쉐어링 서비스를 본 적이 있는
데 앱으로 나와 가장 가까운 킥보드가 있는 곳을 알려주고 빌렸을 때 km 당 금
액이 얼마나 나오는지 알려주더라구요 . 10분 정도 타는 데 버스비 (1250원) 정도
든다고 하면 ..사용하지 않을 것 같아요 . 하루에 천 원씩 꼬박꼬박 나가면 한 달이
면 꽤 큰 돈이니까요 . 그렇지만 지각할 것 같으면 무조건 타겠죠 ? 그래도 지각하
는 것보단 나으니깐 . 저는 고향이 울산인데 자전거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해본 적
이 없어서 잘 모르겠어요 . 헬멧 착용이 의무화된다고 해서 사용을 안하진 않을
것 같아요 . 제가 헬멧을 들고 다니는 것이 귀찮은거지 , 대여 서비스가 잘 되어 있
다면 반납할 때 두고 가면 되니까 문제 없을 것 같네요 . 세 발이 된다면 중심잡
기 쉬울 것 같아요 . 자전거 못 타는 사람은 균형잡기 어렵기 때문에 못타는 경우
가 대부분인데 전동킥보드도 뒷바퀴가 두개라면 훨씬 진입장벽이 낮아질 것 같아
요. 그런데 저도 자전거는 못타지만 이건 쉽게 탈 수 있더라구요 .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 잡는 연습은 좀 필요할 것 같아요 . 자전거타는 사람들은 쉽게 타더라구
요. 속도를 느리게 하면 처음 타보는 친구들도 다 잘탔어요 .
2UX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h Interview Analysis_스마트 모빌리티 이용자
설문지 작성 인터뷰 대상 녹취록 작성
Smart mobility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20대 초중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기본/SM활용도/시선/장,단점/안전성/제품 개선&
요구사항 등 6개의 키워드를 정해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0. 신상
이름, 성별, 나이
1. Smart mobility 활용도
1-1. 현재 SM을 이용하고 계십니까?
1-2. 왜 SM을 구매하셨습니까?
1-3. SM을 어떤 용도로 사용하시나요?
1-4. SM을 이용해서 주로 가는 곳이 어디인가요?
2. 시선
2-1. SM을 탈 때 사람들의 시선이 많이 느껴지던가요?
2-2. 타고 다니는걸 본 주변 지인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2-3. 다른 사용자가 타고 다니는 것을 보신 적이 있나요?
3. 장단점
3-1. SM을 이용하면서 느낀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3-2. 주행거리 & 시간에 따른 불편한 점은 없나요?
3-3. 배터리는 오래가는 편이라고 생각하나요?
3-4. 탑승 자세에 대한 불편한 점은 없나요?
3-5. 가격 & 유지 보수에 대한 부담은 없나요?
3-6. 짐이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하는데 문제 없나요?
3-7. 처음 가는 길을 주행하는데 문제는 없나요?
4. 안전성
4-1. SM을 차도에서 탈 때 위험하다고 느끼신 적이 있나요?
4-2. SM을 탈때 보호장구를 착용하시나요?
4-3. 법적으로 보호장구 착용을 의무화해도 SM을 계속 타실
의향이 있나요?
4-4. 속도제한이 걸린 것에 대해서 불편한 점은 없나요?
4-5. 야간 주행 시 위험하진 않나요?
김태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 18학번
조재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과 14학번
*SM : Smart mobility의 약어
김태균 (메카 14, 20세)
인터뷰 1
처음 타면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라던가 , 코너 , 패인 곳에서의 운행이 어려울 것
같아요 . 그렇지만 처음 타는 사람들도 웬만하면 잘 이용하는 편인 것 같아요 .
자전거도로에서 타보신 적 있으세요 ?
아니오 . 학교에서만
위험했던 적은?
아무래도 차 올 때? 위험한 것 같아서요 . 혹은 도로가 패였을 때. 바퀴가 작아서
패인 곳에서 나올 때 덜컹거려요 .
바퀴가 더 큰 SM은 덜컹거릴 때 쿠션감이 있어서 더 좋아요 .
비가 많이 안올땐 타고 다녀요 . 평상시보다 길이 미끄러워서 비가 많이 오면 타
지 않아요 . 더 위험하니깐요 .
왼쪽은 브레이크 , 오른쪽은 엑셀인데 버튼으로 기어를 3단까지 조정할 수 있어요 .
최고속도가 달라요 .
뒷바퀴를 밟아서 세우는 방식은 아니에요 . 밟으면 긁히는 소리가 나면서 ..닿으면
안되요 .
제껀 배터리 용량이 작아요 . 탈부착식이라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도 있어서 폰이
랑 연동시킬 수 있어요 .
배터리는 이틀에 한 번 충전해요 . 보통 탈 때 충전 후 삼일 째에 꺼진다 고 보시
면 되요 . 대즐에서 담헌까지를 하루에 왕복 두 세번 정도 다니는 것 같아요 . 많이
달리는 편은 아니에요 . 살 때 봤던 스펙이랑 너무 달라서 불만입니다 .
경사가 가파르지 않아도 오르막길에서 최고속도 25가 나오지 않아요 . 거의 안가
다싶이 해요 .
보호장비를 착용해야하는 것은 알지만 등교할 때 3분 정도를 위해 헬멧을 쓰진
않아요 . 가장 멀리 나간 곳은 우리마트 정도 ..학교에서만 이용합니다 .
안접히는 전동킥보드가 많아요 . 접히고 탈부착식이라 성능이 더 떨어지는 것 같
아요 . 제껀 4단 접이식이에요 . 두 번 접히는 킥보드도 봤어요 . 큰 것은 대부분 접
이식이 아니예요 . 큰 건 발판 쪽에 배터리가 달려있어요 . 탈부착이 편할 것 같아
서 샀는데 많이 좋은지는 모르겠어요 . 배터리 충전할 때 보통 자기 전에 꼽고 자
서 얼마나 충전을 해야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 완충까지 4시간 정도 걸리는 것
같아요 . 졸업하면 솔직히 잘 쓰진 않을 것 같아요 . 제가 이걸 타고 야우리를 가진
않으니까요 . 그냥 등하교용으로 사용하기 때문 에..야우리 갈 정도의 배터리 용량
UX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 Interview Analysis_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자
2
단서 추출 분석 및 Needs 도출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사용한다.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선호한다.
걷는 것에 체력소모를 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길을 찾아야 할 경우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한다.
자물쇠가 있으나 잘 사용하지 않는다.
LED조명이 있으나 길을 밝혀주는 정도는 아니다.
도로 노면 여건에 따라 주행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짐을 들고 있을 경우 이동하기 어렵다.
기어 단수 조절이 가능하여 입문자도 쉽게 배울 수
있다.
주변 지인들이 SM에 흥미를 갖게 되어 타보고
싶어한다.
배터리 충전 관련 문제에 민감하다.
주행거리나 시간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주변 시선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클랙슨이 없어 라이트를 이용해서 경고한다.
도로 지형 또는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 후 가장 최적화된 길로 안내한다.
배터리 잔량에 대한 수치적 표시를 보여준다.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있는 장치를 마련하여 주행 중 경로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손쉽고 간편하게 잠금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입문자들을 위해 사용 방식을 간단하고 쉽게 이해시켜 줄 가이드 기능이 필요하다.
야간 주행시 주변을 밝혀줄 수 있을 만큼의 라이트가 필요하다.
클랙슨 같이 보행자에게 경고할 수 있을 만한 기능이 있었으면 한다.
2UX Research
Key Findings
4개의 Field Research에서 얻은
공통된 Needs 정리
대여
예약
·
정보 제공
주행반납
전동 킥보드를 이용한 서비스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회사들이 많은 곳에 집중적으로 대여소 배치
사용자 경험
Needs
지하철/버스에서 미리 예약 및 대여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함
대여가능 대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야 함
미리 사용법, 대여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함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이 정확해야 함
빠른 대여를 위해 대여소의 키오스크를 통한 대여 절차를 제거해야 함
예약을 했다면 QR코드 인식만으로 대여가능
대중교통으로부터의 환승이 용이하도록 역, 정류장 근처에 대여소 배치
주행 시 근처 반납장소를 안내해주는 기능 청각적 자료를 함께 제공스마트폰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간편한 반납
만원버스에서 벗어나 쾌적한 출근 환경을
제공하는 1인용 교통수단
복장에 제약이 비교적 자유로운
스탠드형 스마트모빌리티
사용 진입장벽이 가장 낮은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Needs
이승환
나이
직업
사는 곳
주거형태
자가용 유뮤
출퇴근 소요시간
Goals Personality
Frustrations
Timeline in the morning
Life style
Brands
Story28
기획/마케팅
서울시 관악구
전세 1인 가구
무
왕복 2시간
이승환씨는 이제 막 직장인 1년 차가 되었습니다. 승환씨는 주변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소신대로 일을 추진하며 항상 세상의 흐름을 파악하려고
노력합니다. 취미로 크라우드펀딩 사이트를 자주 확인하면서 마음에 드는 신박한 전자기기에 펀딩을 하기도 합니다. 그는 학교 다닐 때 호버보드를
탔었지만 실내에서만 타기 적합했기에 졸업한 후로는 쓸모가 없을 것 같아 중고로 팔았습니다.
이승환 씨는 서울대입구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환승해서 양재역까지 이동한 후 버스를 타고 네 정거장을 지나 회사에 도착합니다. 양재역 근처까지
한 번에 가는 버스가 있지만 항상 예상도착시간이 늦어져 환승을 하더라도 제시간에 도착하는 지하철을 이용합니다. 오늘 승환씨는 환승역에서
지하철을 놓쳐 초조함을 느낍니다. 카카오버스 어플로 도착시간을 예상해보니 바로 오는 버스를 타야지만 지각을 면할 수 있는데, 양재역 근처는
항상 막히기 때문에 간신히 바로 오는 버스를 타도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전동킥보드 렌트서비스인‘하이로드’의 회원인
승환씨는 앱을 실행시켜 미리 양재역 근처 정류소에 이용 가능한 킥보드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출퇴근 시간 대에는 사용 10분 전부터 어플로 예약이
가능한데 현재 세 대가 예약 가능합니다. 양재역에 다와갈 때 쯤에 예약을 한 후 빠르게 역 밖으로 나가 전동킥보드에 있는 QR코드를 찍어 쉽게
대여를 합니다. 타는 동안 어플이 도착지 근처의 하이로드 정류소를 안내하여 반납할 장소를 찾아 헤메지 않고 빠르게 회사 근처까지 주행합니다.
자전거도로를 이용하니 도로정체를 걱정하지 않아도 됐고 만원버스와는 달리 몸이 편해 체력소모가 적었습니다. 승환씨는 앞으로도 하이로드를
자주 이용해야겠다고 생각하면서 출근카드를 찍습니다.
호기심 많은도전적인
사교적인 활동적인
소신 있는
출근할 때 도로 정체에 영향을 받고 싶지 않다.
도로 상황과 상관 없이 빠르게 이동하고 싶다.
매일 출퇴근 시 경험하는 지옥철과 만원버스에서 벗어나고 싶다.
버스가 제시간에 정류장에 도착하지 않아 늦을 뻔한 적이 자주 있고, 버스를
타도 도로가 막혀 매일 초조함을 느낀다.
버스에 사람이 너무 많아 탑승하지 못해 다음 버스를 기다린 경험이 있다.
출근할 때 공용자전거를 빌리는 절차가 복잡하다고 느껴 이용을 포기했다.
외향형
감각형
사고형
판단형
내향형
직관형
감정형
인식형
“버스로 네 정거장만 가면 되는데
도로가 꽉 막혀 지각할 뻔한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에요.”
크라우드펀딩
얼리어답터
사진찍기
독서모임
아침잠이 많음 장비 욕심
7:00
기상
8:00
집에서 출발
8:30
교대역 하차
8:41
양재역 하차
서울대입구역 탑승
8:15
3호선으로 환승
8:36
버스 탑승
8:45
출근
8:55
8:52
버스 하차
2 UX Research
UX Modeling
Persona & Customer Journey Mapping
STAGE
Activities
thinking
Feeling
opportunities
Research Booking Renting Riding Return Follow-up
·내리는 역의 예상 도착시간을
확인한다.
·카카오버스로 탈 버스의
예상도착시간을 확인한다.
·하이로드 앱을 실행시킨다.
·회원가입을 한다.
·출발지 근처의 정류소에 대여
가능한 하이로드 개수를 확인한다.
·하이로드를 사용하기 10분 전에
예약한다.
·하이로드 사용법을 미리 숙지한다.
·지하철에서 내린 후 하이로드
정류소에 도착한다.
·예약한 기기의 번호를 확인한다.
·기기에 있는 QR코드를 찍어
대여한다.
·스마트폰을 기기에 거치하고 앱을
실행시킨다.
·하이로드를 타고 출발한다.
·앱의 안내를 받아 경로를 확인한다.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느낀다.
·보행자와의 사고를 피하기 위해
클락션을 울린다.
·안내를 받으며 반납장소를 찾는다.
·반납할 정류소에 도착한 후 기기를
반납한다.
·반납완료를 확인한다.
·어플을 통해 결제내역을 확인한다.
·회사로 이동한다.
·사용기록을 확인한다.
·환경 보호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자신의 그린마일리지를
확인한다.
'대여하는데 10초도 안걸리네!'
'그냥 바로 사용하면 되는건가?'
'배터리가 부족하진 않을까?'
'헬멧은 안써도 되나?'
'버스보다 빨리 갈 수 있겠다.'
'만원버스를 타는 것보다 몸이 훨씬
편하다! 퇴근할 때도 이용해볼까?'
'지금 몇 시지?'
'반납장소에 거의 다 와가나?'
'예상 도착시간대로 도착했다. 늦지
않아서 다행이야!'
'얼른 반납하고 가야겠다.'
'얼마나 나왔지?'
'회사까지 오는데 얼마나 걸렸지?'
'전동킥보드를 타니까 환경에도
도움이 되는구나. 괜히 뿌듯하군!'
·반납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결제로
편리함을 느낀다.
·주행거리, 시간, 그린마일리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장기 사용자를 확보한다.
·간편하고 빠른 대여로 지각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이 해소된다.
·버스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출발할
수 있다.
·교통체증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도로 정체와 상관 없이 빠르게
이동한다.
·주행 중 반납장소에 대한 안내를
받는다.
'하이로드를 타면 제시간에 도착할
수 있을까?'
'정류소에 몇 대나 남아있지?'
'미리 예약을 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
'사용하기 10분 전보다 더 일찍
예약할 수는 없나?'
'회사근처에 반납장소가 있구나.'
'탈 때 머리가 망가지진 않을까?'
'이렇게 조작하는거구나. 생각보다
쉽군!'
·출근시간엔 10분 전 예약가능
시스템을 통해 기기의 사용을
보장한다.
·조작방법을 미리 익힐 수 있다.
·주행경로, 반납장소, 도착시간 등을
미리 알 수 있다.
'버스를 제시간에 탈 수 있을까?'
'도로가 막히면 어떡하지?'
'버스를 못타면 뛰어가야 하나?'
'따릉이를 탈 수도 있지만
체력소모를 하고 싶진 않아.'
'오늘은 하이로드를 이용하자!'
·도로정체와 상관 없이 빠르게
출근하는 방법을 찾는다.
·따릉이와 하이로드의 대여 절차와
대여에 따른 소모시간을 비교한다.
High
Road
High
Road
High
Road
High
Road
High
Road
-아직 지하철에서 내리지 않았기 때문에
-타는 데 익숙치 않기 때문에
미리 예약 가능, 반납장소 미리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함
안도감
걱정과 불안
재미있음
뿌듯함
쾌적함과 편리함
조급함
조급함과 걱정
매우 간단한 절차로 빠르게 대여했기 때문에
-아직 회사에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행중 접촉사고에 대한 걱정
자신의 주행기록과 그린마일리지를 확인
-만원버스를 타는 것과 비교
-도착지와 가까운 반납 장소로 안내받음
안도감
신선함
초조함
Positive
Negative
3
Design
Direction Design Insight
Concept Diagram
Design Direction
Benchmarking
3 Design Direction
Design Insight
지각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예약 서비스
INSIGHT
교통 체증의 영향이 미미하며
단거리를 위한 환승에 최적화된
전동 킥보드 쉐어링 서비스 제안
BOOKED
키오스크를 거치지 않는
간편하고 빠른 대여 절차
주행 중 도착에 관한
청각적 정보 제공
3Design Direction
Concept Diagram
User
ApplicationSmart mobility
주행 중 스마트폰으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거치대
빠른 대여가 가능하도록 상부에 QR코드 위치
빠른 대여가 가능하도록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 근처에
정류소 배치
예약 기능을 통한 기기의 사용 보장
주행 경로, 반납장소, 도착예상시간, 기기 사용법,
사양 등을 미리제공하여 빠른 대여 가능
도착지 근처의 반납 장소에 대한 위치 안내
하이로드와 대중교통 이용 시 소요 시간 비교 가능
지각에 대한 심리적 부담 해소
1인 교통수단 이용을 통한 쾌적한 출근
예약 서비스와 빠른 대여 절차를 통한 타임 세이빙(Time-saving)
러쉬아워를 겪는 직장인들의
빠르고 쾌적한 출퇴근을 위한
새로운 이동수단 서비스 제안
3 Design Direction
Detail Design Direction
애플리케이션
앱을 통해 주행 중 정보 안내
주변 반납장소, 예상 도착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
대중교통과 시간 비교 가능
대중교통과 하이로드 이용 시 도착지까지 걸리는
시간 비교 기능
예약/대기 기능을 통한 대여 보장
사용 전에 미리 예약을 하여 대여를 보장
앱을 통한 가이드 및 배터리 정보
사용자에게 대여 방법을 가이드를 제공하고
각 하이로드의 배터리 잔량 정보 제공
스마트 모빌리티 (전동 킥보드)
QR코드를 이용한 빠른 대여
출퇴근 시간 대에 대여절차와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음
쾌적한 출근 환경 제공
정체구간에서 받는 심리적 부담을 줄이고 보다 나은 이동이 가능
디스플레이 대신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며
주행자를 고려한 다양한 청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지하철역/버스정류장 근처에 정류소 위치
대중교통에서 내린 후 하이로드로 환승하기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줄이도록 함
3Design Direction
Benchmarking
1. 카셰어링
지하철, 회사, 집 근처에 있는 쏘카존을
이용하여 필요한 차종을 대여 가능
2. 부름 기능
타고 싶은 차가 쏘카존에 없어도, 시간이
맞지 않아도내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쏘카를 부를 있음
3. 편도 서비스
돌아올 걱정없이 자유롭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음
4. 쏘카플러스
내 집, 회사에 쏘카존을 만들고 추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음.
5. 법인/단체
업무용 차량으로 사용을 할 수 있는 서비스.
법인사업자로 가입후 카드 등록한 하면
사용할 수 있음.
1.법인/단체 카셰어링
법인을 통해 경제적인 업무용 차량으로
이용, 법인/단체로 가입 후 소속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면 사용 가능
장점 - 지출비용 절감, 업무효율 증대,
관리부담 해소, 소속원 복지혜택등
2. 편도 서비스
그린카를 이용한 후, 대여한 위치로
돌아오지 않고 원하는 곳에 반납하는
서비스 제공
3가지 반납방법을 제공
그린존편도, 프리존편도,무료편도가
있으며 대여위치가 다른 곳, 원하는 곳,
지정된 곳으로 분리
3. 나눔카 서비스
공유 정책의 일환이며, 본인 소유의 차량을
매각하고 대중교통과 그린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지자체 사업
>장점 : 비용절감, 환경개선, 복지확대, 기부
1. 회원 / 비회원 구분
대여 방법 구분에 회원 / 비회원을 분리
회원 - SNS계정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회원을 가입하고, 자신에게 맞는 이용권을
구매, 대여 가능한 대여소를 선택 후
대여 요청을 한 후 단말기에 있는 버튼을
눌러 활성화 시킨 후 잠금장치를 해제
후 사용
비회원 - 앱에서 비회원을 선택 후
단말기를 활성화 시키고 화면에 대여번호
입력을 선택, 대여 인증번호를 입력 후 사용
2. 거치대 반납 / 연결반납
기존에 빈 거치대에 자전거를 반납하는
방법과 비어있는 거치대가 없는경우
거치되어 있는 자전거에 있는 잠금장치를
이용하는 반납방법이 있음
1. 보관
별도의 정류소가 없어 반납장소에 구애
받지 않음
>단점 : 정류소가 없어 길가에 방치되기도
하며 관리가 잘 안됨
2. 사용조건
1회 사용요금 $1이며, 18세 이상 면허
소지자만 탈 수 있고 차도에서만 이용가능
7am~9pm까지 사용시간, 밤동안 충전
3. Bird Charger
전동킥보드를 집에서 스마트폰 충전기로
충전한 후 다음날 오전 10시까지 밖에
가져다 놓는 일을 함
대당 $5이며 Bird charger에 지원을 해야
일을 할 수 있고 충전이 필요한 스쿠터의
위치를 앱으로 보여줌
렌트카 쉐어링 어플
SOCAR
렌트카 쉐어링 어플
Green Car
자전거 쉐어링 어플
서울자전거 따릉이
미국의 전동킥보드 쉐어링 어플
Bird Scooter
서비스의 Insight와 Concept을 확정한 후 서비스를 보다 현실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해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타 어플을 조사한 후
분석한다. 어플을 사용하면서 보완점을 이끌어내고 밴치마킹 포인트를 설정한다.
3 Design Direction
Benchmarking
[예약과 예약대기를 통한 기기 이용 보장]
사전 예약을 통한 사용성 보장
이용권을 구매한 직장인이
대여 가능 여부를 보고 가도
다른 사용자가 선점하면 사용이 불가함
[앱을 통해 주행 중 반납장소 안내 기능]
주행 중 반납장소 안내
반납 위치를 앱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운행 중에는 알 수 가 없음
반납을 위해 따로 검색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음
[예상 도착시간 안내 기능]
예상 도착시간을 제공하지 않고
다른 교통수단과의 비교를 하지 않음
3Design Direction
Benchmarking
예약 인터페이스
[환경보호 정도와 순위정보를 보여주는 그린마일리지와
누적 그래프를 통해 흥미 유발]
마일리지
지속적인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일부 쉐어링
서비스앱에서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함
/ / /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했을 때
근처 정류소를 다음과 같이 표시]
[예약 가능한 기기의 배터리 잔량,
대여가능한 시간 등 정보 안내]
[반납 후 주행시간, 주행거리, 가격을
보여주며 사용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함]
4
Prototyping Task Flow
Site Map
Wireframe & Storyboard
GUI Design
Device Modeling
Promo movie
QR code
Main Task를 세 가지로 정하여 Task Flow를 제작한다.
앱 실행
출발지
도착지
입력
경로, 주변 하이로드 장류장
대여가능대수 표시
출발지에서
대중교통과 하이로드 이용시
걸리는 시간 비교 화면
하이로드
정류장
선택하기
Task Flow 1. 하이로드 예약하기
하이로드를 이용하시겠습니까?
이용약관
동의 화면
도착지 근처 정류장
예상 도착시간 알림
대여가능 대수 및
배터리 잔량 화면
예약하시겠습니까?
하이로드
정류소
예상도착시간
입력
동의하고 예약을
계속 진행 하시겠습니까?
예약이 완료되었습니다.
기기 사용 가이드 화면
예약취소 및 QR코드 화면
QR코드 입력
대여완료
UNLOCK
YES
NO
YES
NO
YES
NO
대여가능시간
알림창
4 Prototyping
Task Flow
4Prototyping
Task Flow
QR코드 입력
Task Flow 2. 대기순번 받을 때하이로드가 모두 예약되어 있을 때)
예약할 수 있는 하이로드가
없습니다. 대기번호를
받으시겠습니까?
이용약관
동의 화면
순번이 되셨습니다.
카운트다운(2분) 알림이 시작됩니다.
계속 대기하시겠습니까?
대여완료
UNLOCK
대기번호는 1번 입니다.
대여가능시간은
00시 00분 부터
00시 00분까지 입니다.
(10분)
대기순번
자동 취소
QR코드 입력
대여완료
UNLOCK
앱 실행
출발지
도착지
입력
경로, 주변 하이로드 장류장,
대여가능대수 표시
대중교통 과 하이로드 이용시
걸리는 시간 비교 화면
하이로드
정류장
선택하기
하이로드를 이용하시겠습니까?
YES
NO
YES
YES
NO
NO
앞사람이 예약한 시간 내에
직접 취소를 했을 경우
차례가 오지 않을 경우
앞사람의 예약시간이 끝나
차례가 온 경우
4 Prototyping
Task Flow
Task Flow 3. 예약 없이 대여소에서 하이로드를 사용할 때
YES
YES
앱 실행
회원가입하시겠습니까?
개인정보
입력
가입완료
메인화면
바로타기
버튼
도착지 길안내를
받으시겠습니까?
출발지
도착지
입력
경로 및
도착지 주변
정류장 위치 안내
하이로드를
대여하시겠습니까?
QR코드 입력
대여완료
UNLOCK
도착지 경로
안내 화면
사용동의서 QR코드 입력
대여완료
UNLOCK
YES
NO
NO
NO
이미 회원가입 되어 있는 경우
Task Flow를 바탕으로 하여 사이트맵을 제작한다.
4Prototyping
Site Map
경로 안내4.1
4.3
4.4
대여가능시간6.1
오늘 사용내역6.2.1
6.2.2 과거 사용내역
예약하기4.2.1
카운트다운 알림4.2.2.2.1
대기순번 취소4.2.2.2.2
하이로드 정류소
예상도착시간 입력
4.2.1.1 이용약관4.2.1.1.1
예약완료4.2.1.1.1.1
예약취소
기기사용가이드
QR코드
4.2.1.1.1.2
4.2.1.1.1.3
4.2.1.1.1.4
※예약가능한 하이로드가 있을 때
※예약가능한 하이로드가 없을 때
4.2
대기순번 알림4.2.2.2
대여 가능한
하이로드 수
4.5
대중교통과 하이로드
이용시 걸리는 시간
비교 화면
4.6
출발지 및 도착지 입력4.0 파이메뉴5.0
마이페이지6.2
그린마일리지6.3
QR 코드6.4
경로보기6.5
오늘 포인트6.3.1
6.3.2 랭킹
랜딩페이지3.0
시작화면1.0
로그인2.0 회원가입2.1
자주가는 경로로 바로타기4.0
출발지 근처 정류장
위치 안내
도착 정류장까지의
예상 도착시간 정보
도착지 근처 정류장
위치 안내
대기하기4.2.2
GUI 디자인을 하기 전 Wireframe 작업을 진행한다.
예약하기
1
2
랜딩페이지 대중교통 소요시간 안내 하이로드 소요시간 안내
예상도착시간 설정
선택한 출발 대여소까지
사용자가 도착할수 있는 예상
도착시간을 설정
*현시각으로부터 10분 이내까지만 설정 가능
약관 동의 예약완료
1. 출발지,도착지 입력
2. 검색
1. 추천경로로 예약하기
*다른 대여소를 눌러 경로 조정 가능
4 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1
1
2
1. 선택한 출발지 정류소의 하이로드
정보 안내
2. 대기하기 버튼
선택한 하이로드 정류소까지
사용자가 도착할수 있는 예상
도착시간을 설정
*현시각으로부터 10분 이내까지만
설정 가능
예상도착시간 설정 대기 순번 확인
랜딩페이지 대중교통 소요시간 안내 하이로드 소요시간 안내 예약가능한 하이로드
없음
대기번호 받기 완료약관 동의
대기번호
받기
4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1
1
1
1
1
2 2
2
대기 시
순번이 되었을 때
4 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바탕화면 파이메뉴
1. 하이로드 아이콘 1. QR코드 버튼 누르기
2. 타이머 확인
남은 시간 확인하기 QR코드를 인식하여 대여하기대기순번 푸쉬알람 기기 잠금해제
1
1
2
대여소에서 예약 없이
바로 타기
4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1 2
랜딩페이지 이용약관
2) 길안내 없이 바로 타기
1) 길안내 받으며 타기
출발지, 도착지 입력 경로 확인 QR코드 인식 기기 잠금해제
QR코드 인식 기기 잠금해제
경로 안내 시작
1
1
로그인 페이지
1. 로그인 입력
2. 회원가입 하기
회원가입 하기
1. 개인 정보 입력
결제 수단 등록 가입 완료
랜딩페이지의 메뉴
마이페이지
1. 오늘 사용 내역
2. 최근 사용 내역
그린마일리지
1. 그린마일리지 총점
2. 그린마일리지 랭킹
1:4903
회원가입
4 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QR코드
내 경로
남은 시간 타이머
환경설정
4
Prototyping
GUI Design
Wireframe과 Storyboard를 기반으로 하여 GUI 프로토타입을 제작한다. 제작한 후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사용성이 낮은 부분은 수정한다.
사용성 평가
4 Prototyping
GUI Design
4
Prototyping
GUI Design
4 Prototyping
Device Modeling
프로토타입과 같이 쓰일 디바이스를 모델링한다. 레퍼런스 이미지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스케치를 하고, 모델링을 진행한다.
QR Code
4Prototyping
Device Modeling
Charging bar
4 Prototyping
Promo Movie
영상의 시나리오를 그린 후 Promo Movie를 제작한다.
영상 시나리오 제작
Promo Movie 제작
어플로 타이머를 확인함
여유있는 모습
현재시각 AM 8 : 36
4분 30초
남았습니다.
대여가능시간까지
마음 졸일 필요 없이
편한 마음으로 하이로드 정류장까지 간다
Step 2
지하철에서 하이로드 예약하기
1.경로 선택
2.추천경로+소요시간 뜸
- 대중교통 소요시간과 비교
- 다른 하이로드 정류장 눌러보기
3.추천경로 ‘예약’버튼 누름
현재시각 AM 8 : 31
경로
하이로드 11분 소요
Step 1
4Prototyping
QR Code
Prototype Promo Movie Report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Highroad

Easy safety map 최종(자료용)
Easy safety map 최종(자료용)Easy safety map 최종(자료용)
Easy safety map 최종(자료용)
Kyung Yoon Hwang
 
0420
042004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마법의 양탄자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마법의 양탄자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마법의 양탄자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마법의 양탄자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6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6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6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진화 장
 
Go! jarani190930
Go! jarani190930Go! jarani190930
Go! jarani190930
rememeber3025
 
최종 보고서(Ppt) 이종복 revised3
최종 보고서(Ppt)  이종복 revised3최종 보고서(Ppt)  이종복 revised3
최종 보고서(Ppt) 이종복 revised3
Jongbok Lee
 
Carcamping final
Carcamping finalCarcamping final
Carcamping final
hasoomin
 
Ux final
Ux finalUx final
Ux final
영웅 송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무한탑승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무한탑승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무한탑승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무한탑승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Sumdaoon' by Hayoung Park & Hyunseo Park
'Sumdaoon' by Hayoung Park & Hyunseo Park'Sumdaoon' by Hayoung Park & Hyunseo Park
'Sumdaoon' by Hayoung Park & Hyunseo Park
ssuser4a0d88
 
졸프
졸프졸프
졸프
SOOMIN CHO
 
최종 보고서(Ppt)
최종 보고서(Ppt)최종 보고서(Ppt)
최종 보고서(Ppt)
Jongbok Lee
 
5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5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5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5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진화 장
 
나리 최종보고서
나리 최종보고서나리 최종보고서
나리 최종보고서란희 이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1조 SCOOP 공유 전동킥보드 브랜딩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1조 SCOOP 공유 전동킥보드 브랜딩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1조 SCOOP 공유 전동킥보드 브랜딩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1조 SCOOP 공유 전동킥보드 브랜딩
Artcoon
 
For yonsei,
For yonsei,For yonsei,
For yonsei,
asy382
 
Rightbrain u 1기 1조 workie talkie
Rightbrain u 1기 1조 workie talkieRightbrain u 1기 1조 workie talkie
Rightbrain u 1기 1조 workie talkie
RightBrain
 

Similar to Highroad (20)

Easy safety map 최종(자료용)
Easy safety map 최종(자료용)Easy safety map 최종(자료용)
Easy safety map 최종(자료용)
 
0420
04200420
04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마법의 양탄자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마법의 양탄자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마법의 양탄자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마법의 양탄자_탐방 보고서
 
6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6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6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6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Go! jarani190930
Go! jarani190930Go! jarani190930
Go! jarani190930
 
최종 보고서(Ppt) 이종복 revised3
최종 보고서(Ppt)  이종복 revised3최종 보고서(Ppt)  이종복 revised3
최종 보고서(Ppt) 이종복 revised3
 
Drivie
DrivieDrivie
Drivie
 
Carcamping final
Carcamping finalCarcamping final
Carcamping final
 
Ux final!!
Ux final!!Ux final!!
Ux final!!
 
Ux final
Ux finalUx final
Ux final
 
Ux final
Ux finalUx final
Ux final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무한탑승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무한탑승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무한탑승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무한탑승_탐방 보고서
 
'Sumdaoon' by Hayoung Park & Hyunseo Park
'Sumdaoon' by Hayoung Park & Hyunseo Park'Sumdaoon' by Hayoung Park & Hyunseo Park
'Sumdaoon' by Hayoung Park & Hyunseo Park
 
졸프
졸프졸프
졸프
 
최종 보고서(Ppt)
최종 보고서(Ppt)최종 보고서(Ppt)
최종 보고서(Ppt)
 
5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5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5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5주차리서치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나리 최종보고서
나리 최종보고서나리 최종보고서
나리 최종보고서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1조 SCOOP 공유 전동킥보드 브랜딩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1조 SCOOP 공유 전동킥보드 브랜딩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1조 SCOOP 공유 전동킥보드 브랜딩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1조 SCOOP 공유 전동킥보드 브랜딩
 
For yonsei,
For yonsei,For yonsei,
For yonsei,
 
Rightbrain u 1기 1조 workie talkie
Rightbrain u 1기 1조 workie talkieRightbrain u 1기 1조 workie talkie
Rightbrain u 1기 1조 workie talkie
 

More from sujeongE

Real
RealReal
Real
sujeongE
 
1111
11111111
1111
sujeongE
 
1111
11111111
1111
sujeongE
 
Final
FinalFinal
Final
sujeongE
 
Rough Sketch
 Rough Sketch Rough Sketch
Rough Sketch
sujeongE
 
Miuccia prada
Miuccia pradaMiuccia prada
Miuccia prada
sujeongE
 

More from sujeongE (6)

Real
RealReal
Real
 
1111
11111111
1111
 
1111
11111111
1111
 
Final
FinalFinal
Final
 
Rough Sketch
 Rough Sketch Rough Sketch
Rough Sketch
 
Miuccia prada
Miuccia pradaMiuccia prada
Miuccia prada
 

Highroad

  • 1. 빠르고 확실하며 쾌적한 출근길을 위한 스마트 모빌리티 쉐어링 서비스 박수정 정다은 서성진 UX서비스디자인 2018
  • 2. Discovering In dept Pre-research Goal UX Research Field Research - Observation - A.E.I.O.U Analysis Framework - Survey - In depth Interview Analysis Key Findings UX Modeling - Persona - Customer Journey Mapping Design Direction Design Insight Concept Diagram Benchmarking Prototyping Task Flow Site Map Wireframe & Storyboard GUI Design Device Modeling Promo movie QR code Pre-research 2 1 3 4 Context
  • 4. 서울시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통근시간의 증가가 통근자들의 삶의 만족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직장인 10명 중 8명은 ‘BMW(Bicycle/Bus-Metro-Walk)족’ “출퇴근 괴로워!” 직장인 92.8%가 출퇴근 시간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서울시에서 출퇴근에 소요되는 통근시간 평균 1시간 36분 일주일에 한두 번 느낀다. 36% 버스 지하철 지하철 - 버스 환승 자가용 도보 및 자전거 32.2% 26.4% 17.3% 16.3% 7.8% 소유 관점이 아닌 사용 관점의 교통수단 이용에 적합 이동거리 1~5km 사이의 이동거리에선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용이 우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30년의 시장 전망은 약 26조에 달함 친환경 교통수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 인구밀집 지역의 교통문제 해소 개인형 이동수단(스마트 모빌리티) 1 Pre-Research Process Discovering In depth Pre-research 만원 지하철, 버스 안에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일 때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지각 위기에 놓였을 때 눈앞에서 버스, 지하철을 놓쳤을 때 35 24.9 18.4 8.6 8.5 4.6 단위 : % 졸다가 눈을 떴는데 아직도 한참 남았을 때 내릴 곳을 놓쳐 되돌아가야 할 때 내 앞에 앉아 있는 사람만 일어나지 않을 때 이동거리별 수단 분담율 비교
  • 5. 하루 평균 따릉이 이용건수 1만 1300명 평일 오전 6~9시, 오후 6~9시 등 출퇴근 시간대에 38% 집중, 이 중 퇴근 시간대가 25%로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음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이용자 50만명 증가 렌터카의 단점을 보완한 많은 수의 차고지 간편한 대여 절차와 예약 서비스 제공 스마트폰의 NFC기능을 이용해 차량 열림과 잠금, 시동 가능 장거리 이동 시 대중교통 대신 이용 원하는 만큼 사용 가능 1. 공공자전거 쉐어링 서비스 2. 카쉐어링 서비스 쉐어링 서비스 리서치 Goal [러쉬아워를 겪는 직장인들] 의 [빠르고 쾌적한 출퇴근] 을 위한 [Smart mobility] 를 이용한 쉐어링 서비스 1Pre-Research Process Good Point 비교적 장거리 이동시 대중교통을 대신함 스마트폰을 활용한 편리한 사용 Problem 늘어난 차량으로 인한 도심 지역의 정체 출퇴근 시 촉박한 시간과 반납문제로 사용할 수 없음 단거리에 부적합 Good Point 출퇴근 시 대중교통을 대신하는 이동수단 쾌적한 출퇴근 환경 Problem 따릉이정류장에 직접 가야만 대여 가능 체력 소모가 큼 첫 이용자에겐 사용절차가 어렵다고 생각됨
  • 6. 2 UX Research Field Research - Observation - A.E.I.O.U Analysis Framework - Survey - In depth Interview Analysis Key Findings UX Modeling - Persona - Customer Journey Mapping
  • 7. 2 UX Research Research Plan Desk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h pre-research 를 통해 출퇴근 스트레스의 원인 분석, 새로운 이동수단으로써의 스마트 모빌리티 분석, 통근에 이용될 수 있는 이동수단 분석 을 진행하였다. Desk Research에서 얻을 수 없는, 혹은 놓친 정보를 얻기 위해 Field Research를 진행한다. 대상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각각 적합한 리서치 툴킷으로 진행하며 Needs 분석 및 도출한다. Observation A.E.I.O.U Analysis Framework Contextual Interview Survey In depth Interview Analysis 대상 리서치 방법 목표 톹통근 시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며 1회 이상 환승을 하는 직장인 출근 시간에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의 문제점과 환경을 관찰하고 조사 대상이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 관찰하기 위해 다양한 서울 내 통근자의 대중교통 이용 시 사용자경험을 알기 위해
  • 8. 2UX Research Process Key Findings UX Modeling Field Research를 통해 얻은 Needs를 분석 및 도출한다. Needs를 통해 Persona를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Customer Journey Map을 제작한다. Persona Customer Journey Mapping Survey In depth Interview Analysis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자 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자의 성향, 기기 사용 패턴, 이동거리, 사용 시 불편했던 점을 알아내기 위해 ?
  • 9. 2 UX Research Field Research Observation & Contextual Interview 여선주 (24세 여성, 직장인 3개월차) 온수역AM 7:20 AM 8:00 AM 8:18 AM 8:41 AM 8:22 고속터미널역 양재역 양재역 버스정류장 회사 도착 집AM 7:00 (7호선 > 3호선 환승) (지하철 > 버스 환승) 출근 경로시각 * : 정체를 겪음
  • 10. 2UX Research Field Research A.E.I.O.U Analysis 러쉬아워 시간에 출근하는 직장인 관찰 일시 : 2018년 9월 28일 금요일 오전 8시 ~ 9시 장소 : 고속터미널역 > 양재역 > 버스 > 회사 도착 대상 : 출근시간에 러쉬아워를 겪는 직장인 목적 : 바쁜 출근시간에 막히는 구간을 겪는 직장인들의 행동 패턴과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해서 A.E.I.O.U 분석 U. 20대 여성 A.‘카카오버스’로 도착 시각을 확인하고 있다. E. 지하철 안 I. 사용자-어플 O. 스마트폰 단서 추출 분석 및 Needs 도출 많은 사람들이 지하철을 기다리느라 줄을 서 있었다. 지하철이 와도 앞 사람들이 탄 후 자리가 없어 다음 지하철을 기다려야 했다. 스마트폰을 계속 들어다보며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을 확인했다. 러쉬아워 시간에 버스 도착시간이 수시로 바뀌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지하철을 타야하기 때문에 서로 부딪히고 땀이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A. 따릉이(서울시 공공자전거) 안내 표지판을 읽고 있다. E. 버스정류장 옆의 따릉이 정류장 I. 사용자-따릉이 이용안내 표지판 O. 따릉이 이용안내 표지판 U. 20대 여성 따릉이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는 바쁜 상황에서 안내판을 읽고 사용법을 파악하는 것을 어려워 했고, 절차가 복잡하다고 말했다. 따릉이 앱을 다운로드 하고 가입하는 절차를 귀찮아 했다. 버스 대신 따릉이를 탔을 때 회사까지 얼마나 걸릴지 예측할 수 없어서 탈지 말지 고민을 하였다. 따릉이를 반납하는 장소가 회사와 떨어져 있어서 불편함을 겪었다. 버스에 탄 후 정체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불안한 모습을 보였고 수시로 시간을 확인하였다. 버스에 사람이 너무 많이 탈 경우 시간이 좀 남아있는 직장인들은 걸어가는 것을 선택했다. 따릉이 앱에 사용가능한 자전거 수 등의 유용한 정보가 많음에도 대여 및 반납의 사용 절차에 불편함을 느낀다. 처음 따릉이를 사용하려던 사람들은 가입절차부터 대여하고 반납장소를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키오스크를 바라보다 대여하지 못하고 발걸음을 돌리는 모습을 보였다. 처음 따릉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가입 절차 및 대여를 하는 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스마트모빌리티를 빌리는 절차를 최대한 단축하여 처음 이용하는 사람도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티머니, QR코드 등) 버스를 기다릴때 도로가 정체될 경우 앱에 정확한 도착 시간이 나타나지 않아 불편하다. 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하여 도착지까지 가는데 걸리는 정확한 시간을 보여주는 기능 사용이 쉽고 빠른 대여와 반납이 가능한 교통수단 버스 안에서 정체 구간을 겪을 때 내려서 뛰어갈지 말지 고민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11. 2 UX Research Field Research Survey Analysis_대중교통을 이용해 통근하는 직장인 1. 58명을 대상으로 조사 / 남녀 비율 40 : 60 2. 출근수단 1) 지하철 (25.5%) 2) 자가용 (21.8%) 3) 버스-지하철 (20%) 3. 왜 이 수단을 이용하는지? 한번에 갈수있음 / 막힐 가능성 적어서 (정시성) / 빠르고 정확함 4. 교통사정으로 지각해본 적 있다. (58.2%) 5. 지각하지 않기 위해 중간에 다른 교통수단으로 갈아탄 적 있다 (49.1%) 6. 도로정체가 심할 때 따릉이 탈 의향이 있다. (23.4%) 도로정체가 심할 때 따릉이 탈 의향이 없다. (76.6%) - 자전거를 타려면 체력소모가 높아 피곤할 것 같다 - 땀이 나서 - 자전거를 못 탄다 - 타기엔 구간이 너무 길다 - 초기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절차가 복잡한 것 같다/사용법이 어렵다 - 시간이 보장되지 않을 것 같다 7. 스마트모빌리티는 주로 여가활동할 때 사용 8. 스마트모빌리티 타지 않는 이유 - 비싸다 - 위험해보인다. 잘 탈지 확신이없다 - 무겁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다 - 대여와 반납이 편하다면 사용할 의향있다 - 출근시간을 줄일 수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다 지하철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이유는 높은 접근성과 정시성 때문이다. 공공자전거를 출퇴근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체력 소모가 많고 땀이 나기 때문이다. 따릉이는 절차가 복잡해보여 출근시간에 처음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따릉이 대여소가 도착지와 멀어 사용하지 않는다. 출근수단을 선택할 때 걸리는 시간과 도착시각이 정확한 것을 선호한다. 출근할 때부터 체력소모를 하고 싶지 않아한다.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 대중교통을 대신할 수 있는 간단하고 빠른 대여 절차의 서비스를 원한다. 반납장소와 회사가 가까워야 한다. 자전거보다 복장 제한이 적고 체력소모가 훨씬 적은 스마트 모빌리티 쉐어링 서비스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 시 미리 정확한 예상소요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함 대여소에 도착하기 전 사전 예약이 가능하도록 함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근처와 직장인 유동인구가 많은 구간에 대여소 설치하여 대중교통과의 환승이 용이하도록 함 단서 추출 분석 및 Needs 도출SURVEY 결과
  • 12. 2UX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 Interview Analysis_대중교통을 이용해 통근하는 직장인 설문지 작성 인터뷰 대상 0. 신상 이름, 성별, 나이 1. 수단 출퇴근 수단이 무엇인가요? 1-1. 왜 그 수단을 이용하나요? 환승 몇 번? 1-2. 제 시간에 나왔지만 교통사정으로 인해 지각한 적이 있나요? 1-3. 지각하지 않기 위해 중간에 내려 다른 교통수단(택시, 자전거, 도보 등)을 이용한 적 있나요? 1-4. 출근할 때 따릉이 이용해본 적 있나요?   2. 시간 2-1. 대중교통 이용한다면, 출퇴근 총 몇 분 걸리나요? 2-2. 출근할 때 차가 막혀/다른 이유로 지각한 경험이 있나요? 2-3. 출근시간이 막힐 것을 예상해 일찍 일어나거나 본인만의 대처방법이 있나요? 3. 비용 3-1. 한 달에 출퇴근 비용이 얼마 정도 드나요? 지출에 부담이 되나요? 3-2. 많이/적게 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4. Smart Mobility(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4-1. SM사용해본 적 있나요? 4-2. 스마트모빌리티를 교통수단으로 사용할 의향이 있나요? 4-3. 출퇴근 때 다른 사람이 타고 가는 걸 본 경험이 있나요? 정수민 26세 출퇴근 왕복 60분 지하철 - 도보 (온수역-양재역-신사역) 신현정 25세 출퇴근 왕복 120분 지하철 - 도보 (서울대입구역-시청역/ 하차 후 도보 이용) 박준형 25세 출퇴근 왕복 80분 지하철 - 도보 (성균관대역-의왕역/ 하차 후 버스나 도보 이용) 정혜민 24세 출퇴근 왕복 50분 버스 이용 (논현역-뱅뱅사거리) 녹취록 작성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을 하는 20대 중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6가지 키워드를 정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13. UX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 Interview Analysis_대중교통을 이용해 통근하는 직장인 2 단서 추출 분석 및 Needs 도출 혹시 모를 교통 상황에 대비해 일찍 집을 나선다. 공공자전거 서비스는 사용절차가 귀찮고 시간이 걸려 이용하지 않는다. 도착시각이 정확한 교통수단을 선호한다. 복장이 자전거 이용에 영향을 미친다. 급한 상황에서 헬멧 착용은 자전거/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자가용이 편하지만 주차문제와 비싼 주차비용 때문에 이용하지 않는다. 지하철 도착시각을 알아도 사람이 너무 많아 환승을 제때 못한다. 힘든 환승보단 조금 더 걷는 것을 선호한다. 지하철과 버스 모두 예기치못한 상황으로 인해 도착이 지연된 적 있다. 지각할 것 같을 때 택시를 탔다. 정장을 입고 따릉이 타는 동기가 있다. 출근 같은 급박한 상황 속에서 새로운 교통수단을 시도해보지 않을 것 같다. 버스가 사람을 다 못태워 놓쳐 지각한 적 있다. 늦었을 때도 버스를 타지 않고 뛰어간다. 따릉이 반납장소를 몰라 출근 후에 반납한 적이 있다. 사람이 가득 찬 대중교통 안에서 환승을 하는데 있어서 번거롭거나 불편함을 느낀다. 출퇴근시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발생하는 불편함을 대체할 방법이 없어 그대로 감수 하고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가 소음이 적어 깜짝 놀란 경험이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도로에서 이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어 사용을 꺼린다. 만원버스에서 벗어나 쾌적한 출근 환경을 제공하는 1인용 교통수단 복장에 제약이 비교적 자유로운 스탠드형 스마트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중에서도 사용하기 쉬운 전동킥보드 출근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정시성이 가장 중요함 지하철/버스에서 미리 스마트 모빌리티 대여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함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절차가 매우 간단해야 함 대여가능 대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야 함 목적지까지 걸리는 시간이 정확해야 함 이동하면서 근처 반납장소를 안내해주는 기능 스마트 모빌리티로 환승을 하면 절약할 수 있는 수치적 데이터를 보여주는 기능 버스정류장 주변의 대여소에 남아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대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주행 중일 때 보행자가 인지 가능한 청각적 자료 제공 정해진 도로 또는 전용도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통해 안전한 통행을 유도 내리는 버스정류장 근처에 스마트 모빌리티 대여소가 위치해야 함 빠른 대여를 위해 대여소의 키오스크를 통한 대여 절차를 제거해야 함
  • 14. 도 아니구요 . 살 때는 16km까지 되는 걸로 알았는데 타보니까 8~9km정도만 한 번에 주행 가능한 것 같아요 . 개인의 역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 생각엔 처음 타보는 친구들 대부분이 잘 타더 라구요 . 처음 탈 때 급한 경사 많은 구간 , 특히 담헌으로 내려가는 곳에 등하교 할 때 차들이 많아요 . 그래서 차를 피하려고 차없는 도로를 이용해서 가는 편이 에요 . 차가 많으면 차랑 같이 달리기 좀 그래요 . 아무래도 차가 앞뒤로 있게 되니 까 신경이 쓰이고 차도 저를 신경쓸 것 같구요 . 막상 타면 차랑 같이 다니면 그 렇게 위험했던 상황은 없었던 것 같아요 . 그래도 차가 오면 길가에 잠깐 섰다가 차가 지나가면 가는 편이에요 . 전용도로가 생기면 위험성을 해소시킬 순 있겠지 만 따로 전용도로를 만드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쉐어링서비스가 생긴다면 상황에 따라 사용할지 말지가 달라질 것 같아요 . 비용 도 중요한 부분이구요 . 이건 45만원 주고 샀는데 가격이 어떻게 책정되는지에 따 라 다를 것 같아요 . 제가 해외에 있는 전동킥보드 쉐어링 서비스를 본 적이 있는 데 앱으로 나와 가장 가까운 킥보드가 있는 곳을 알려주고 빌렸을 때 km 당 금 액이 얼마나 나오는지 알려주더라구요 . 10분 정도 타는 데 버스비 (1250원) 정도 든다고 하면 ..사용하지 않을 것 같아요 . 하루에 천 원씩 꼬박꼬박 나가면 한 달이 면 꽤 큰 돈이니까요 . 그렇지만 지각할 것 같으면 무조건 타겠죠 ? 그래도 지각하 는 것보단 나으니깐 . 저는 고향이 울산인데 자전거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해본 적 이 없어서 잘 모르겠어요 . 헬멧 착용이 의무화된다고 해서 사용을 안하진 않을 것 같아요 . 제가 헬멧을 들고 다니는 것이 귀찮은거지 , 대여 서비스가 잘 되어 있 다면 반납할 때 두고 가면 되니까 문제 없을 것 같네요 . 세 발이 된다면 중심잡 기 쉬울 것 같아요 . 자전거 못 타는 사람은 균형잡기 어렵기 때문에 못타는 경우 가 대부분인데 전동킥보드도 뒷바퀴가 두개라면 훨씬 진입장벽이 낮아질 것 같아 요. 그런데 저도 자전거는 못타지만 이건 쉽게 탈 수 있더라구요 .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 잡는 연습은 좀 필요할 것 같아요 . 자전거타는 사람들은 쉽게 타더라구 요. 속도를 느리게 하면 처음 타보는 친구들도 다 잘탔어요 . 2UX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h Interview Analysis_스마트 모빌리티 이용자 설문지 작성 인터뷰 대상 녹취록 작성 Smart mobility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20대 초중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기본/SM활용도/시선/장,단점/안전성/제품 개선& 요구사항 등 6개의 키워드를 정해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0. 신상 이름, 성별, 나이 1. Smart mobility 활용도 1-1. 현재 SM을 이용하고 계십니까? 1-2. 왜 SM을 구매하셨습니까? 1-3. SM을 어떤 용도로 사용하시나요? 1-4. SM을 이용해서 주로 가는 곳이 어디인가요? 2. 시선 2-1. SM을 탈 때 사람들의 시선이 많이 느껴지던가요? 2-2. 타고 다니는걸 본 주변 지인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2-3. 다른 사용자가 타고 다니는 것을 보신 적이 있나요? 3. 장단점 3-1. SM을 이용하면서 느낀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3-2. 주행거리 & 시간에 따른 불편한 점은 없나요? 3-3. 배터리는 오래가는 편이라고 생각하나요? 3-4. 탑승 자세에 대한 불편한 점은 없나요? 3-5. 가격 & 유지 보수에 대한 부담은 없나요? 3-6. 짐이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하는데 문제 없나요? 3-7. 처음 가는 길을 주행하는데 문제는 없나요? 4. 안전성 4-1. SM을 차도에서 탈 때 위험하다고 느끼신 적이 있나요? 4-2. SM을 탈때 보호장구를 착용하시나요? 4-3. 법적으로 보호장구 착용을 의무화해도 SM을 계속 타실 의향이 있나요? 4-4. 속도제한이 걸린 것에 대해서 불편한 점은 없나요? 4-5. 야간 주행 시 위험하진 않나요? 김태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 18학번 조재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과 14학번 *SM : Smart mobility의 약어 김태균 (메카 14, 20세) 인터뷰 1 처음 타면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라던가 , 코너 , 패인 곳에서의 운행이 어려울 것 같아요 . 그렇지만 처음 타는 사람들도 웬만하면 잘 이용하는 편인 것 같아요 . 자전거도로에서 타보신 적 있으세요 ? 아니오 . 학교에서만 위험했던 적은? 아무래도 차 올 때? 위험한 것 같아서요 . 혹은 도로가 패였을 때. 바퀴가 작아서 패인 곳에서 나올 때 덜컹거려요 . 바퀴가 더 큰 SM은 덜컹거릴 때 쿠션감이 있어서 더 좋아요 . 비가 많이 안올땐 타고 다녀요 . 평상시보다 길이 미끄러워서 비가 많이 오면 타 지 않아요 . 더 위험하니깐요 . 왼쪽은 브레이크 , 오른쪽은 엑셀인데 버튼으로 기어를 3단까지 조정할 수 있어요 . 최고속도가 달라요 . 뒷바퀴를 밟아서 세우는 방식은 아니에요 . 밟으면 긁히는 소리가 나면서 ..닿으면 안되요 . 제껀 배터리 용량이 작아요 . 탈부착식이라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도 있어서 폰이 랑 연동시킬 수 있어요 . 배터리는 이틀에 한 번 충전해요 . 보통 탈 때 충전 후 삼일 째에 꺼진다 고 보시 면 되요 . 대즐에서 담헌까지를 하루에 왕복 두 세번 정도 다니는 것 같아요 . 많이 달리는 편은 아니에요 . 살 때 봤던 스펙이랑 너무 달라서 불만입니다 . 경사가 가파르지 않아도 오르막길에서 최고속도 25가 나오지 않아요 . 거의 안가 다싶이 해요 . 보호장비를 착용해야하는 것은 알지만 등교할 때 3분 정도를 위해 헬멧을 쓰진 않아요 . 가장 멀리 나간 곳은 우리마트 정도 ..학교에서만 이용합니다 . 안접히는 전동킥보드가 많아요 . 접히고 탈부착식이라 성능이 더 떨어지는 것 같 아요 . 제껀 4단 접이식이에요 . 두 번 접히는 킥보드도 봤어요 . 큰 것은 대부분 접 이식이 아니예요 . 큰 건 발판 쪽에 배터리가 달려있어요 . 탈부착이 편할 것 같아 서 샀는데 많이 좋은지는 모르겠어요 . 배터리 충전할 때 보통 자기 전에 꼽고 자 서 얼마나 충전을 해야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 완충까지 4시간 정도 걸리는 것 같아요 . 졸업하면 솔직히 잘 쓰진 않을 것 같아요 . 제가 이걸 타고 야우리를 가진 않으니까요 . 그냥 등하교용으로 사용하기 때문 에..야우리 갈 정도의 배터리 용량
  • 15. UX Research Field Research In dept Interview Analysis_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자 2 단서 추출 분석 및 Needs 도출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사용한다.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선호한다. 걷는 것에 체력소모를 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길을 찾아야 할 경우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한다. 자물쇠가 있으나 잘 사용하지 않는다. LED조명이 있으나 길을 밝혀주는 정도는 아니다. 도로 노면 여건에 따라 주행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짐을 들고 있을 경우 이동하기 어렵다. 기어 단수 조절이 가능하여 입문자도 쉽게 배울 수 있다. 주변 지인들이 SM에 흥미를 갖게 되어 타보고 싶어한다. 배터리 충전 관련 문제에 민감하다. 주행거리나 시간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주변 시선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클랙슨이 없어 라이트를 이용해서 경고한다. 도로 지형 또는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 후 가장 최적화된 길로 안내한다. 배터리 잔량에 대한 수치적 표시를 보여준다.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있는 장치를 마련하여 주행 중 경로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손쉽고 간편하게 잠금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입문자들을 위해 사용 방식을 간단하고 쉽게 이해시켜 줄 가이드 기능이 필요하다. 야간 주행시 주변을 밝혀줄 수 있을 만큼의 라이트가 필요하다. 클랙슨 같이 보행자에게 경고할 수 있을 만한 기능이 있었으면 한다.
  • 16. 2UX Research Key Findings 4개의 Field Research에서 얻은 공통된 Needs 정리 대여 예약 · 정보 제공 주행반납 전동 킥보드를 이용한 서비스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회사들이 많은 곳에 집중적으로 대여소 배치 사용자 경험 Needs 지하철/버스에서 미리 예약 및 대여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함 대여가능 대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야 함 미리 사용법, 대여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함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이 정확해야 함 빠른 대여를 위해 대여소의 키오스크를 통한 대여 절차를 제거해야 함 예약을 했다면 QR코드 인식만으로 대여가능 대중교통으로부터의 환승이 용이하도록 역, 정류장 근처에 대여소 배치 주행 시 근처 반납장소를 안내해주는 기능 청각적 자료를 함께 제공스마트폰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간편한 반납 만원버스에서 벗어나 쾌적한 출근 환경을 제공하는 1인용 교통수단 복장에 제약이 비교적 자유로운 스탠드형 스마트모빌리티 사용 진입장벽이 가장 낮은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Needs
  • 17. 이승환 나이 직업 사는 곳 주거형태 자가용 유뮤 출퇴근 소요시간 Goals Personality Frustrations Timeline in the morning Life style Brands Story28 기획/마케팅 서울시 관악구 전세 1인 가구 무 왕복 2시간 이승환씨는 이제 막 직장인 1년 차가 되었습니다. 승환씨는 주변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소신대로 일을 추진하며 항상 세상의 흐름을 파악하려고 노력합니다. 취미로 크라우드펀딩 사이트를 자주 확인하면서 마음에 드는 신박한 전자기기에 펀딩을 하기도 합니다. 그는 학교 다닐 때 호버보드를 탔었지만 실내에서만 타기 적합했기에 졸업한 후로는 쓸모가 없을 것 같아 중고로 팔았습니다. 이승환 씨는 서울대입구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환승해서 양재역까지 이동한 후 버스를 타고 네 정거장을 지나 회사에 도착합니다. 양재역 근처까지 한 번에 가는 버스가 있지만 항상 예상도착시간이 늦어져 환승을 하더라도 제시간에 도착하는 지하철을 이용합니다. 오늘 승환씨는 환승역에서 지하철을 놓쳐 초조함을 느낍니다. 카카오버스 어플로 도착시간을 예상해보니 바로 오는 버스를 타야지만 지각을 면할 수 있는데, 양재역 근처는 항상 막히기 때문에 간신히 바로 오는 버스를 타도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전동킥보드 렌트서비스인‘하이로드’의 회원인 승환씨는 앱을 실행시켜 미리 양재역 근처 정류소에 이용 가능한 킥보드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출퇴근 시간 대에는 사용 10분 전부터 어플로 예약이 가능한데 현재 세 대가 예약 가능합니다. 양재역에 다와갈 때 쯤에 예약을 한 후 빠르게 역 밖으로 나가 전동킥보드에 있는 QR코드를 찍어 쉽게 대여를 합니다. 타는 동안 어플이 도착지 근처의 하이로드 정류소를 안내하여 반납할 장소를 찾아 헤메지 않고 빠르게 회사 근처까지 주행합니다. 자전거도로를 이용하니 도로정체를 걱정하지 않아도 됐고 만원버스와는 달리 몸이 편해 체력소모가 적었습니다. 승환씨는 앞으로도 하이로드를 자주 이용해야겠다고 생각하면서 출근카드를 찍습니다. 호기심 많은도전적인 사교적인 활동적인 소신 있는 출근할 때 도로 정체에 영향을 받고 싶지 않다. 도로 상황과 상관 없이 빠르게 이동하고 싶다. 매일 출퇴근 시 경험하는 지옥철과 만원버스에서 벗어나고 싶다. 버스가 제시간에 정류장에 도착하지 않아 늦을 뻔한 적이 자주 있고, 버스를 타도 도로가 막혀 매일 초조함을 느낀다. 버스에 사람이 너무 많아 탑승하지 못해 다음 버스를 기다린 경험이 있다. 출근할 때 공용자전거를 빌리는 절차가 복잡하다고 느껴 이용을 포기했다. 외향형 감각형 사고형 판단형 내향형 직관형 감정형 인식형 “버스로 네 정거장만 가면 되는데 도로가 꽉 막혀 지각할 뻔한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에요.” 크라우드펀딩 얼리어답터 사진찍기 독서모임 아침잠이 많음 장비 욕심 7:00 기상 8:00 집에서 출발 8:30 교대역 하차 8:41 양재역 하차 서울대입구역 탑승 8:15 3호선으로 환승 8:36 버스 탑승 8:45 출근 8:55 8:52 버스 하차 2 UX Research UX Modeling Persona & Customer Journey Mapping
  • 18. STAGE Activities thinking Feeling opportunities Research Booking Renting Riding Return Follow-up ·내리는 역의 예상 도착시간을 확인한다. ·카카오버스로 탈 버스의 예상도착시간을 확인한다. ·하이로드 앱을 실행시킨다. ·회원가입을 한다. ·출발지 근처의 정류소에 대여 가능한 하이로드 개수를 확인한다. ·하이로드를 사용하기 10분 전에 예약한다. ·하이로드 사용법을 미리 숙지한다. ·지하철에서 내린 후 하이로드 정류소에 도착한다. ·예약한 기기의 번호를 확인한다. ·기기에 있는 QR코드를 찍어 대여한다. ·스마트폰을 기기에 거치하고 앱을 실행시킨다. ·하이로드를 타고 출발한다. ·앱의 안내를 받아 경로를 확인한다.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느낀다. ·보행자와의 사고를 피하기 위해 클락션을 울린다. ·안내를 받으며 반납장소를 찾는다. ·반납할 정류소에 도착한 후 기기를 반납한다. ·반납완료를 확인한다. ·어플을 통해 결제내역을 확인한다. ·회사로 이동한다. ·사용기록을 확인한다. ·환경 보호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자신의 그린마일리지를 확인한다. '대여하는데 10초도 안걸리네!' '그냥 바로 사용하면 되는건가?' '배터리가 부족하진 않을까?' '헬멧은 안써도 되나?' '버스보다 빨리 갈 수 있겠다.' '만원버스를 타는 것보다 몸이 훨씬 편하다! 퇴근할 때도 이용해볼까?' '지금 몇 시지?' '반납장소에 거의 다 와가나?' '예상 도착시간대로 도착했다. 늦지 않아서 다행이야!' '얼른 반납하고 가야겠다.' '얼마나 나왔지?' '회사까지 오는데 얼마나 걸렸지?' '전동킥보드를 타니까 환경에도 도움이 되는구나. 괜히 뿌듯하군!' ·반납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결제로 편리함을 느낀다. ·주행거리, 시간, 그린마일리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장기 사용자를 확보한다. ·간편하고 빠른 대여로 지각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이 해소된다. ·버스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출발할 수 있다. ·교통체증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도로 정체와 상관 없이 빠르게 이동한다. ·주행 중 반납장소에 대한 안내를 받는다. '하이로드를 타면 제시간에 도착할 수 있을까?' '정류소에 몇 대나 남아있지?' '미리 예약을 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 '사용하기 10분 전보다 더 일찍 예약할 수는 없나?' '회사근처에 반납장소가 있구나.' '탈 때 머리가 망가지진 않을까?' '이렇게 조작하는거구나. 생각보다 쉽군!' ·출근시간엔 10분 전 예약가능 시스템을 통해 기기의 사용을 보장한다. ·조작방법을 미리 익힐 수 있다. ·주행경로, 반납장소, 도착시간 등을 미리 알 수 있다. '버스를 제시간에 탈 수 있을까?' '도로가 막히면 어떡하지?' '버스를 못타면 뛰어가야 하나?' '따릉이를 탈 수도 있지만 체력소모를 하고 싶진 않아.' '오늘은 하이로드를 이용하자!' ·도로정체와 상관 없이 빠르게 출근하는 방법을 찾는다. ·따릉이와 하이로드의 대여 절차와 대여에 따른 소모시간을 비교한다. High Road High Road High Road High Road High Road -아직 지하철에서 내리지 않았기 때문에 -타는 데 익숙치 않기 때문에 미리 예약 가능, 반납장소 미리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함 안도감 걱정과 불안 재미있음 뿌듯함 쾌적함과 편리함 조급함 조급함과 걱정 매우 간단한 절차로 빠르게 대여했기 때문에 -아직 회사에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행중 접촉사고에 대한 걱정 자신의 주행기록과 그린마일리지를 확인 -만원버스를 타는 것과 비교 -도착지와 가까운 반납 장소로 안내받음 안도감 신선함 초조함 Positive Negative
  • 19. 3 Design Direction Design Insight Concept Diagram Design Direction Benchmarking
  • 20. 3 Design Direction Design Insight 지각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예약 서비스 INSIGHT 교통 체증의 영향이 미미하며 단거리를 위한 환승에 최적화된 전동 킥보드 쉐어링 서비스 제안 BOOKED 키오스크를 거치지 않는 간편하고 빠른 대여 절차 주행 중 도착에 관한 청각적 정보 제공
  • 21. 3Design Direction Concept Diagram User ApplicationSmart mobility 주행 중 스마트폰으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거치대 빠른 대여가 가능하도록 상부에 QR코드 위치 빠른 대여가 가능하도록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 근처에 정류소 배치 예약 기능을 통한 기기의 사용 보장 주행 경로, 반납장소, 도착예상시간, 기기 사용법, 사양 등을 미리제공하여 빠른 대여 가능 도착지 근처의 반납 장소에 대한 위치 안내 하이로드와 대중교통 이용 시 소요 시간 비교 가능 지각에 대한 심리적 부담 해소 1인 교통수단 이용을 통한 쾌적한 출근 예약 서비스와 빠른 대여 절차를 통한 타임 세이빙(Time-saving) 러쉬아워를 겪는 직장인들의 빠르고 쾌적한 출퇴근을 위한 새로운 이동수단 서비스 제안
  • 22. 3 Design Direction Detail Design Direction 애플리케이션 앱을 통해 주행 중 정보 안내 주변 반납장소, 예상 도착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 대중교통과 시간 비교 가능 대중교통과 하이로드 이용 시 도착지까지 걸리는 시간 비교 기능 예약/대기 기능을 통한 대여 보장 사용 전에 미리 예약을 하여 대여를 보장 앱을 통한 가이드 및 배터리 정보 사용자에게 대여 방법을 가이드를 제공하고 각 하이로드의 배터리 잔량 정보 제공 스마트 모빌리티 (전동 킥보드) QR코드를 이용한 빠른 대여 출퇴근 시간 대에 대여절차와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음 쾌적한 출근 환경 제공 정체구간에서 받는 심리적 부담을 줄이고 보다 나은 이동이 가능 디스플레이 대신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며 주행자를 고려한 다양한 청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지하철역/버스정류장 근처에 정류소 위치 대중교통에서 내린 후 하이로드로 환승하기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줄이도록 함
  • 23. 3Design Direction Benchmarking 1. 카셰어링 지하철, 회사, 집 근처에 있는 쏘카존을 이용하여 필요한 차종을 대여 가능 2. 부름 기능 타고 싶은 차가 쏘카존에 없어도, 시간이 맞지 않아도내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쏘카를 부를 있음 3. 편도 서비스 돌아올 걱정없이 자유롭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음 4. 쏘카플러스 내 집, 회사에 쏘카존을 만들고 추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음. 5. 법인/단체 업무용 차량으로 사용을 할 수 있는 서비스. 법인사업자로 가입후 카드 등록한 하면 사용할 수 있음. 1.법인/단체 카셰어링 법인을 통해 경제적인 업무용 차량으로 이용, 법인/단체로 가입 후 소속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면 사용 가능 장점 - 지출비용 절감, 업무효율 증대, 관리부담 해소, 소속원 복지혜택등 2. 편도 서비스 그린카를 이용한 후, 대여한 위치로 돌아오지 않고 원하는 곳에 반납하는 서비스 제공 3가지 반납방법을 제공 그린존편도, 프리존편도,무료편도가 있으며 대여위치가 다른 곳, 원하는 곳, 지정된 곳으로 분리 3. 나눔카 서비스 공유 정책의 일환이며, 본인 소유의 차량을 매각하고 대중교통과 그린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지자체 사업 >장점 : 비용절감, 환경개선, 복지확대, 기부 1. 회원 / 비회원 구분 대여 방법 구분에 회원 / 비회원을 분리 회원 - SNS계정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회원을 가입하고, 자신에게 맞는 이용권을 구매, 대여 가능한 대여소를 선택 후 대여 요청을 한 후 단말기에 있는 버튼을 눌러 활성화 시킨 후 잠금장치를 해제 후 사용 비회원 - 앱에서 비회원을 선택 후 단말기를 활성화 시키고 화면에 대여번호 입력을 선택, 대여 인증번호를 입력 후 사용 2. 거치대 반납 / 연결반납 기존에 빈 거치대에 자전거를 반납하는 방법과 비어있는 거치대가 없는경우 거치되어 있는 자전거에 있는 잠금장치를 이용하는 반납방법이 있음 1. 보관 별도의 정류소가 없어 반납장소에 구애 받지 않음 >단점 : 정류소가 없어 길가에 방치되기도 하며 관리가 잘 안됨 2. 사용조건 1회 사용요금 $1이며, 18세 이상 면허 소지자만 탈 수 있고 차도에서만 이용가능 7am~9pm까지 사용시간, 밤동안 충전 3. Bird Charger 전동킥보드를 집에서 스마트폰 충전기로 충전한 후 다음날 오전 10시까지 밖에 가져다 놓는 일을 함 대당 $5이며 Bird charger에 지원을 해야 일을 할 수 있고 충전이 필요한 스쿠터의 위치를 앱으로 보여줌 렌트카 쉐어링 어플 SOCAR 렌트카 쉐어링 어플 Green Car 자전거 쉐어링 어플 서울자전거 따릉이 미국의 전동킥보드 쉐어링 어플 Bird Scooter 서비스의 Insight와 Concept을 확정한 후 서비스를 보다 현실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해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타 어플을 조사한 후 분석한다. 어플을 사용하면서 보완점을 이끌어내고 밴치마킹 포인트를 설정한다.
  • 24. 3 Design Direction Benchmarking [예약과 예약대기를 통한 기기 이용 보장] 사전 예약을 통한 사용성 보장 이용권을 구매한 직장인이 대여 가능 여부를 보고 가도 다른 사용자가 선점하면 사용이 불가함 [앱을 통해 주행 중 반납장소 안내 기능] 주행 중 반납장소 안내 반납 위치를 앱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운행 중에는 알 수 가 없음 반납을 위해 따로 검색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음 [예상 도착시간 안내 기능] 예상 도착시간을 제공하지 않고 다른 교통수단과의 비교를 하지 않음
  • 25. 3Design Direction Benchmarking 예약 인터페이스 [환경보호 정도와 순위정보를 보여주는 그린마일리지와 누적 그래프를 통해 흥미 유발] 마일리지 지속적인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일부 쉐어링 서비스앱에서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함 / / /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했을 때 근처 정류소를 다음과 같이 표시] [예약 가능한 기기의 배터리 잔량, 대여가능한 시간 등 정보 안내] [반납 후 주행시간, 주행거리, 가격을 보여주며 사용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함]
  • 26. 4 Prototyping Task Flow Site Map Wireframe & Storyboard GUI Design Device Modeling Promo movie QR code
  • 27. Main Task를 세 가지로 정하여 Task Flow를 제작한다. 앱 실행 출발지 도착지 입력 경로, 주변 하이로드 장류장 대여가능대수 표시 출발지에서 대중교통과 하이로드 이용시 걸리는 시간 비교 화면 하이로드 정류장 선택하기 Task Flow 1. 하이로드 예약하기 하이로드를 이용하시겠습니까? 이용약관 동의 화면 도착지 근처 정류장 예상 도착시간 알림 대여가능 대수 및 배터리 잔량 화면 예약하시겠습니까? 하이로드 정류소 예상도착시간 입력 동의하고 예약을 계속 진행 하시겠습니까? 예약이 완료되었습니다. 기기 사용 가이드 화면 예약취소 및 QR코드 화면 QR코드 입력 대여완료 UNLOCK YES NO YES NO YES NO 대여가능시간 알림창 4 Prototyping Task Flow
  • 28. 4Prototyping Task Flow QR코드 입력 Task Flow 2. 대기순번 받을 때하이로드가 모두 예약되어 있을 때) 예약할 수 있는 하이로드가 없습니다. 대기번호를 받으시겠습니까? 이용약관 동의 화면 순번이 되셨습니다. 카운트다운(2분) 알림이 시작됩니다. 계속 대기하시겠습니까? 대여완료 UNLOCK 대기번호는 1번 입니다. 대여가능시간은 00시 00분 부터 00시 00분까지 입니다. (10분) 대기순번 자동 취소 QR코드 입력 대여완료 UNLOCK 앱 실행 출발지 도착지 입력 경로, 주변 하이로드 장류장, 대여가능대수 표시 대중교통 과 하이로드 이용시 걸리는 시간 비교 화면 하이로드 정류장 선택하기 하이로드를 이용하시겠습니까? YES NO YES YES NO NO 앞사람이 예약한 시간 내에 직접 취소를 했을 경우 차례가 오지 않을 경우 앞사람의 예약시간이 끝나 차례가 온 경우
  • 29. 4 Prototyping Task Flow Task Flow 3. 예약 없이 대여소에서 하이로드를 사용할 때 YES YES 앱 실행 회원가입하시겠습니까? 개인정보 입력 가입완료 메인화면 바로타기 버튼 도착지 길안내를 받으시겠습니까? 출발지 도착지 입력 경로 및 도착지 주변 정류장 위치 안내 하이로드를 대여하시겠습니까? QR코드 입력 대여완료 UNLOCK 도착지 경로 안내 화면 사용동의서 QR코드 입력 대여완료 UNLOCK YES NO NO NO 이미 회원가입 되어 있는 경우
  • 30. Task Flow를 바탕으로 하여 사이트맵을 제작한다. 4Prototyping Site Map 경로 안내4.1 4.3 4.4 대여가능시간6.1 오늘 사용내역6.2.1 6.2.2 과거 사용내역 예약하기4.2.1 카운트다운 알림4.2.2.2.1 대기순번 취소4.2.2.2.2 하이로드 정류소 예상도착시간 입력 4.2.1.1 이용약관4.2.1.1.1 예약완료4.2.1.1.1.1 예약취소 기기사용가이드 QR코드 4.2.1.1.1.2 4.2.1.1.1.3 4.2.1.1.1.4 ※예약가능한 하이로드가 있을 때 ※예약가능한 하이로드가 없을 때 4.2 대기순번 알림4.2.2.2 대여 가능한 하이로드 수 4.5 대중교통과 하이로드 이용시 걸리는 시간 비교 화면 4.6 출발지 및 도착지 입력4.0 파이메뉴5.0 마이페이지6.2 그린마일리지6.3 QR 코드6.4 경로보기6.5 오늘 포인트6.3.1 6.3.2 랭킹 랜딩페이지3.0 시작화면1.0 로그인2.0 회원가입2.1 자주가는 경로로 바로타기4.0 출발지 근처 정류장 위치 안내 도착 정류장까지의 예상 도착시간 정보 도착지 근처 정류장 위치 안내 대기하기4.2.2
  • 31. GUI 디자인을 하기 전 Wireframe 작업을 진행한다. 예약하기 1 2 랜딩페이지 대중교통 소요시간 안내 하이로드 소요시간 안내 예상도착시간 설정 선택한 출발 대여소까지 사용자가 도착할수 있는 예상 도착시간을 설정 *현시각으로부터 10분 이내까지만 설정 가능 약관 동의 예약완료 1. 출발지,도착지 입력 2. 검색 1. 추천경로로 예약하기 *다른 대여소를 눌러 경로 조정 가능 4 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1 1 2
  • 32. 1. 선택한 출발지 정류소의 하이로드 정보 안내 2. 대기하기 버튼 선택한 하이로드 정류소까지 사용자가 도착할수 있는 예상 도착시간을 설정 *현시각으로부터 10분 이내까지만 설정 가능 예상도착시간 설정 대기 순번 확인 랜딩페이지 대중교통 소요시간 안내 하이로드 소요시간 안내 예약가능한 하이로드 없음 대기번호 받기 완료약관 동의 대기번호 받기 4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1 1 1 1 1 2 2 2
  • 33. 대기 시 순번이 되었을 때 4 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바탕화면 파이메뉴 1. 하이로드 아이콘 1. QR코드 버튼 누르기 2. 타이머 확인 남은 시간 확인하기 QR코드를 인식하여 대여하기대기순번 푸쉬알람 기기 잠금해제 1 1 2
  • 34. 대여소에서 예약 없이 바로 타기 4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1 2 랜딩페이지 이용약관 2) 길안내 없이 바로 타기 1) 길안내 받으며 타기 출발지, 도착지 입력 경로 확인 QR코드 인식 기기 잠금해제 QR코드 인식 기기 잠금해제 경로 안내 시작 1 1
  • 35. 로그인 페이지 1. 로그인 입력 2. 회원가입 하기 회원가입 하기 1. 개인 정보 입력 결제 수단 등록 가입 완료 랜딩페이지의 메뉴 마이페이지 1. 오늘 사용 내역 2. 최근 사용 내역 그린마일리지 1. 그린마일리지 총점 2. 그린마일리지 랭킹 1:4903 회원가입 4 Prototyping Wireframe & Storyboard QR코드 내 경로 남은 시간 타이머 환경설정
  • 36. 4 Prototyping GUI Design Wireframe과 Storyboard를 기반으로 하여 GUI 프로토타입을 제작한다. 제작한 후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사용성이 낮은 부분은 수정한다. 사용성 평가
  • 39. 4 Prototyping Device Modeling 프로토타입과 같이 쓰일 디바이스를 모델링한다. 레퍼런스 이미지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스케치를 하고, 모델링을 진행한다. QR Code
  • 41. 4 Prototyping Promo Movie 영상의 시나리오를 그린 후 Promo Movie를 제작한다. 영상 시나리오 제작 Promo Movie 제작 어플로 타이머를 확인함 여유있는 모습 현재시각 AM 8 : 36 4분 30초 남았습니다. 대여가능시간까지 마음 졸일 필요 없이 편한 마음으로 하이로드 정류장까지 간다 Step 2 지하철에서 하이로드 예약하기 1.경로 선택 2.추천경로+소요시간 뜸 - 대중교통 소요시간과 비교 - 다른 하이로드 정류장 눌러보기 3.추천경로 ‘예약’버튼 누름 현재시각 AM 8 : 31 경로 하이로드 11분 소요 Step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