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환경건강컨설턴트 권선숙
○ 환경건강컨설턴트 양성교육
대상 : 교육활동가 및 일반시민 (참가자 15명 중 10명 수료)
5월 8일
10:30~12:10 실내환경과 건강영향 양지연
13:30~15:10
실내방사선 물질 라돈
사용, 건강영향
박기호 과장
15:20~17:00
작년 50개어린이집 pvc 모니터
방법, 결과
김원
5월 15일
10:30~12:00 석면 - 사용, 건강영향 최예용
13:30~15:10
실내공기질 관리 정책, 관련 법,
규제 방안,
최유진
15:20~17:00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시연, 실
습
김호현 박사
5월 16일
10:30~12:00 미세먼지와 건강영향 이종태
13:00~14:00 수료식
양성과정 수료 후 기획회의
교육내용
어린이 교육(어린이집, 유치원 5,6,7세, 초등학생 1,2학년)
1) 인공 향을 찾아라
2) 깨끗한 공기 건강한 내 몸
초등학생 교육(3~6학년)
1) 우리 집에 무슨 일이?(우리 집 유해화학물질)
2) 내 몸이 원하는 공기
3) PVC
성인 교육
1) 실내공기와 건강
2) PVC
사전 설문지와 체크리스트
유인물
강의 평가
교육신청
및
모집
웹자보
서울지역아동센터, 어린이 도서관 등 총 26곳
(어린이집 10, 도서관 4, 지역아동센터 7, 학교 3, 기타 2)
실내공기질 모니터링 26회
- 사전설문지, 체크리스트, 전문업체
측정 항목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하이드, 라돈, 미세먼지 6종
대상 분석지역: 중랑, 구로, 강서, 마포, 영등포, 동작구 7개 지역
실내공기 모니터링
실내공기질 측정기계
모니터링 모습
모니터링을 해 보니
-폼알데하이드가 높은 5곳: 가구 교체
-미세먼지가 높은 2곳 : 어린이 활동시간대
-많은 사람이 활동하는 곳: 환기 필수
모니터링 후 관리
ㅅㅅ어린이집의 경우
이러한 사업이 있다면 계속 하고 싶고 많은 도움이 됨
ㅁ도서관의 경우
환기 시설이 없어 환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가 고민
ㅅ여고의 경우
리모델링을 하면서 중간에 위치한 교실에 창문을
만들지 않아 여전히 교실에 들어갔을때 냄새가 많이 나고 눈이 아프다.
실내공기질에 대해 미리알았다면 환기시설을 고려했을꺼 같다.
ㅅㅈ아동센터의 경우
어느 단체에서 벽지를 바꿔주는 사업에 선정되어 친환경벽지교체를 하실 예정
교육 활동
교육주제:
성인: 실내공기와 건강, pvc.
청소년; 우리 집에 무슨 일이, 내 몸이 원하는 공기, pvc.
어린이교육: 깨끗한 공기 건강한 내 몸, 인공향을 찾아라
교 육: 어린이교육 42회 1100명 교육
(초등, 유치원, 어린이집,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교육 13 회 300명(중학생 및 고등학생)
성인교육 11회 300명
* 교육으로 만난 사람 1700명
교육 사진
교육 후 평가
실내공기와 환경건강
• LH-분당서울대병원·서울대 실내환경분석
센터 공동 연구결과
시공 전과 시공 4주 후, 8주 후, 12주 후 등
총 4차례, 24명이 임상시험에 참가, 친환경
벽지와 바닥재 시공 후 실내 공기 질이 시공
전보다 크게 호전, 환자 증상도 호전
• 프탈레이트 최근 연구 (뇌 MRI촬영)
어린이 뇌 직접 공격…ADHD에 악영향
건강마을 만들기 6곳 (구로, 중랑)
XRF 결과
-총 244개 조사대상 중 50.8%(124개)에 PVC재질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
-납은 발달 및 생식독성물질
납은 100ppm 이상 측정된 경우를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해석 244개 조사대상 중 25.8%(63개)에서
100ppm을 초과하여 발견됨
63개 조사대상 중 건축재(바닥재, 벽지 등)가 16개로 가장 많았으며, 납이 115~127,000ppm 수준으로
발견되었음. 가구류와 완구는 각각 15개로 두 번째로 납이 높은 제품이 많았음.
-카드뮴은 국제암연구소에서 그룹 1로 분류한 발암성 물질로 간암과 전립선암과 관련성이 있음.
카드뮴 농도는 100ppm 이상인 경우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보았음. 244개 제품 중 7.0%(17개)가
100ppm을 초과하여 발견되었음
완구, 건축재, 안전용품, 음악교구 그리고 기타 제품에서 100ppm을 초과하는 카드뮴이 발견되었음.
건축재인 창틀에서 1856ppm의 카드뮴이 발견되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음.
중랑구 3개 기관 및 구로구 3개 기관, 총 6개 기관에서 각각 채취해온 먼지 6건을 대상으로 프탈레이트 조사 (단위:
mg/kg)
채취장소 DMP DEP DBP BBP DEHP DNOP DIDP DINP
ㅆ아동센터 ND ND 22 39 2,250 ND ND O
ㅅ여고 ND ND 144 29 20,352 ND ND O
ㅇ유치원 ND ND 1,137 349 6,658 ND ND O
ㅅ어린이집 ND ND 32 43 3,267 ND ND O
ㅎ어린이집 ND ND 91 40 4,337 ND ND O
ㅊ어린이집 ND ND 20 ND 1,450 ND ND O
참고문헌 국가 채취장소 DBP BBP DEHP
Bornehag (2004) 스웨덴 가정 174 181 789
Fromme (2004)1) 독일 가정 47 30 703
Butte (2008) 독일 가정 51 28 970
yang (2009) 한국 보육시설 90 349 398
M. Abb (2009) 독일 가정 87 15 604
Yu Ait Bamai (2014) 일본 가정 19 2 759
This study (2014) 한국 보육시설 77 59 4,293
기존연구의 먼지 중 프탈레이트 농도 수준(GM) 비교(단위: mg/kg)
프탈레이트는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거
나 호르몬 작용을 방해할 수 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며,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건강증
상과 연관이 있음.
BBP와 DEHP는 아토피, 천식에도 영향을 나
타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발표되기도 하
였음(Bornehag, 2004).
또한 DEHP는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암
성물질(구분 2B), 생식독성물질(구분 1)로 구
분하고 있음.
건강마을만들기 캠페인 (구로, 중랑)
주제: 유해물질 피하기 (표시라벨 보는 법 알리기)
하루 3회 30분 환기생기, 천연방향제 만들기
장소: 구로 성공회 대학(11.8),
중랑 신내 데시앙 아파트 (11.9)
캠페인효과: 일반시민 300여명에게 정보 알리기
캠페인
-모니터링: 실내공기질은 잘 관리되는 편
새 가구, 건축자재,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주는 실내활동에 대한 인식 낮음
교육과 캠페인을 통한 환기의 중요성 알림
-교육 : 공기청정기만의 관리, 식물을 이용한 관리보다 ‘환기’의 중요성 환기
구체적인 환기의 방법 및 실내공기 관리방안 알림
실내공기 오염과 건강의 연관성 알림
(호흡기 질환, 폐질환, 알레르기질환, 영아 돌연사의 원인)
생활 속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인식 계기
평가
실내공기-PVC 비닐 하우스?
XRF검사: PVC는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가 첨가된 유해한 플라스틱.
건강마을만들기 6곳 조사 결과: 장판 및 매트 100% PVC
도배지는 종이도배지 1곳, 페인트 1곳 빼고 실크 벽지 (PVC)인 상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가방은 100% PVC
아이들이 사용하는 교구나 완구류에 중금속 함량 높음
어린이 생활공간, 다중이용시설에 친환경 벽지나 매트 보급 및 PVC 규제 필요
친환경 건축자재 의무화 및 차액 비용 지원이 필요
다중이용시설 관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소규모 시설 실내공기 모니터링
-어린이, 시민 등 일상 생활 공간 관리
다중이용시설의 관리 대상의 경우 관리자만 인식
-형식적인 관리에서 벗어나 교육과 구체적인 정보 알리는 작업 병행
관리자 외의 사용자는 인식 낮음 (대중 캠페인 필요)
지역아동센터의 경우 공간대여를 받는 입장이므로 환경을 선택할 수 없다.
(건축법의 환기 및 건축자재 친환경 규제 강화
실내마감재 친환경 자재 선택 시 지원방안 마련:
실크벽지-> 종이벽지, 친환경 벽지 / PVC장판 -> 친환경 바닥재)
도서관의 경우 창문을 열수 없는 환경: 구조적인 변화 필요
제안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여성환경연대
 
[자료집]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2011년)
[자료집]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2011년)[자료집]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2011년)
[자료집]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2011년)
여성환경연대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여성환경연대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환경타임즈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여성환경연대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여성환경연대
 
02 생활환경과 건강에 대한_소고_한양대_김윤신
02 생활환경과 건강에 대한_소고_한양대_김윤신02 생활환경과 건강에 대한_소고_한양대_김윤신
02 생활환경과 건강에 대한_소고_한양대_김윤신
환경타임즈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083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환경위원회성명서
2017083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환경위원회성명서2017083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환경위원회성명서
2017083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환경위원회성명서
여성환경연대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여성환경연대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여성환경연대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여성환경연대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여성환경연대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여성환경연대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여성환경연대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여성환경연대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Lee Sang-Ho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Soo-Ik Chang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여성환경연대
 

Similar to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 (20)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자료집]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2011년)
[자료집]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2011년)[자료집]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2011년)
[자료집]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2011년)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02 생활환경과 건강에 대한_소고_한양대_김윤신
02 생활환경과 건강에 대한_소고_한양대_김윤신02 생활환경과 건강에 대한_소고_한양대_김윤신
02 생활환경과 건강에 대한_소고_한양대_김윤신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083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환경위원회성명서
2017083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환경위원회성명서2017083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환경위원회성명서
2017083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환경위원회성명서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

  • 2. ○ 환경건강컨설턴트 양성교육 대상 : 교육활동가 및 일반시민 (참가자 15명 중 10명 수료) 5월 8일 10:30~12:10 실내환경과 건강영향 양지연 13:30~15:10 실내방사선 물질 라돈 사용, 건강영향 박기호 과장 15:20~17:00 작년 50개어린이집 pvc 모니터 방법, 결과 김원 5월 15일 10:30~12:00 석면 - 사용, 건강영향 최예용 13:30~15:10 실내공기질 관리 정책, 관련 법, 규제 방안, 최유진 15:20~17:00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시연, 실 습 김호현 박사 5월 16일 10:30~12:00 미세먼지와 건강영향 이종태 13:00~14:00 수료식
  • 3. 양성과정 수료 후 기획회의
  • 4. 교육내용 어린이 교육(어린이집, 유치원 5,6,7세, 초등학생 1,2학년) 1) 인공 향을 찾아라 2) 깨끗한 공기 건강한 내 몸 초등학생 교육(3~6학년) 1) 우리 집에 무슨 일이?(우리 집 유해화학물질) 2) 내 몸이 원하는 공기 3) PVC 성인 교육 1) 실내공기와 건강 2) PVC
  • 10. 서울지역아동센터, 어린이 도서관 등 총 26곳 (어린이집 10, 도서관 4, 지역아동센터 7, 학교 3, 기타 2) 실내공기질 모니터링 26회 - 사전설문지, 체크리스트, 전문업체 측정 항목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하이드, 라돈, 미세먼지 6종 대상 분석지역: 중랑, 구로, 강서, 마포, 영등포, 동작구 7개 지역 실내공기 모니터링
  • 13. 모니터링을 해 보니 -폼알데하이드가 높은 5곳: 가구 교체 -미세먼지가 높은 2곳 : 어린이 활동시간대 -많은 사람이 활동하는 곳: 환기 필수
  • 14. 모니터링 후 관리 ㅅㅅ어린이집의 경우 이러한 사업이 있다면 계속 하고 싶고 많은 도움이 됨 ㅁ도서관의 경우 환기 시설이 없어 환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가 고민 ㅅ여고의 경우 리모델링을 하면서 중간에 위치한 교실에 창문을 만들지 않아 여전히 교실에 들어갔을때 냄새가 많이 나고 눈이 아프다. 실내공기질에 대해 미리알았다면 환기시설을 고려했을꺼 같다. ㅅㅈ아동센터의 경우 어느 단체에서 벽지를 바꿔주는 사업에 선정되어 친환경벽지교체를 하실 예정
  • 15. 교육 활동 교육주제: 성인: 실내공기와 건강, pvc. 청소년; 우리 집에 무슨 일이, 내 몸이 원하는 공기, pvc. 어린이교육: 깨끗한 공기 건강한 내 몸, 인공향을 찾아라 교 육: 어린이교육 42회 1100명 교육 (초등, 유치원, 어린이집,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교육 13 회 300명(중학생 및 고등학생) 성인교육 11회 300명 * 교육으로 만난 사람 1700명
  • 18. 실내공기와 환경건강 • LH-분당서울대병원·서울대 실내환경분석 센터 공동 연구결과 시공 전과 시공 4주 후, 8주 후, 12주 후 등 총 4차례, 24명이 임상시험에 참가, 친환경 벽지와 바닥재 시공 후 실내 공기 질이 시공 전보다 크게 호전, 환자 증상도 호전 • 프탈레이트 최근 연구 (뇌 MRI촬영) 어린이 뇌 직접 공격…ADHD에 악영향
  • 19. 건강마을 만들기 6곳 (구로, 중랑)
  • 20. XRF 결과 -총 244개 조사대상 중 50.8%(124개)에 PVC재질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 -납은 발달 및 생식독성물질 납은 100ppm 이상 측정된 경우를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해석 244개 조사대상 중 25.8%(63개)에서 100ppm을 초과하여 발견됨 63개 조사대상 중 건축재(바닥재, 벽지 등)가 16개로 가장 많았으며, 납이 115~127,000ppm 수준으로 발견되었음. 가구류와 완구는 각각 15개로 두 번째로 납이 높은 제품이 많았음. -카드뮴은 국제암연구소에서 그룹 1로 분류한 발암성 물질로 간암과 전립선암과 관련성이 있음. 카드뮴 농도는 100ppm 이상인 경우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보았음. 244개 제품 중 7.0%(17개)가 100ppm을 초과하여 발견되었음 완구, 건축재, 안전용품, 음악교구 그리고 기타 제품에서 100ppm을 초과하는 카드뮴이 발견되었음. 건축재인 창틀에서 1856ppm의 카드뮴이 발견되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음.
  • 21. 중랑구 3개 기관 및 구로구 3개 기관, 총 6개 기관에서 각각 채취해온 먼지 6건을 대상으로 프탈레이트 조사 (단위: mg/kg) 채취장소 DMP DEP DBP BBP DEHP DNOP DIDP DINP ㅆ아동센터 ND ND 22 39 2,250 ND ND O ㅅ여고 ND ND 144 29 20,352 ND ND O ㅇ유치원 ND ND 1,137 349 6,658 ND ND O ㅅ어린이집 ND ND 32 43 3,267 ND ND O ㅎ어린이집 ND ND 91 40 4,337 ND ND O ㅊ어린이집 ND ND 20 ND 1,450 ND ND O 참고문헌 국가 채취장소 DBP BBP DEHP Bornehag (2004) 스웨덴 가정 174 181 789 Fromme (2004)1) 독일 가정 47 30 703 Butte (2008) 독일 가정 51 28 970 yang (2009) 한국 보육시설 90 349 398 M. Abb (2009) 독일 가정 87 15 604 Yu Ait Bamai (2014) 일본 가정 19 2 759 This study (2014) 한국 보육시설 77 59 4,293 기존연구의 먼지 중 프탈레이트 농도 수준(GM) 비교(단위: mg/kg) 프탈레이트는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거 나 호르몬 작용을 방해할 수 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며,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건강증 상과 연관이 있음. BBP와 DEHP는 아토피, 천식에도 영향을 나 타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발표되기도 하 였음(Bornehag, 2004). 또한 DEHP는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암 성물질(구분 2B), 생식독성물질(구분 1)로 구 분하고 있음.
  • 22. 건강마을만들기 캠페인 (구로, 중랑) 주제: 유해물질 피하기 (표시라벨 보는 법 알리기) 하루 3회 30분 환기생기, 천연방향제 만들기 장소: 구로 성공회 대학(11.8), 중랑 신내 데시앙 아파트 (11.9) 캠페인효과: 일반시민 300여명에게 정보 알리기
  • 24.
  • 25. -모니터링: 실내공기질은 잘 관리되는 편 새 가구, 건축자재,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주는 실내활동에 대한 인식 낮음 교육과 캠페인을 통한 환기의 중요성 알림 -교육 : 공기청정기만의 관리, 식물을 이용한 관리보다 ‘환기’의 중요성 환기 구체적인 환기의 방법 및 실내공기 관리방안 알림 실내공기 오염과 건강의 연관성 알림 (호흡기 질환, 폐질환, 알레르기질환, 영아 돌연사의 원인) 생활 속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인식 계기 평가
  • 26. 실내공기-PVC 비닐 하우스? XRF검사: PVC는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가 첨가된 유해한 플라스틱. 건강마을만들기 6곳 조사 결과: 장판 및 매트 100% PVC 도배지는 종이도배지 1곳, 페인트 1곳 빼고 실크 벽지 (PVC)인 상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가방은 100% PVC 아이들이 사용하는 교구나 완구류에 중금속 함량 높음 어린이 생활공간, 다중이용시설에 친환경 벽지나 매트 보급 및 PVC 규제 필요 친환경 건축자재 의무화 및 차액 비용 지원이 필요
  • 27. 다중이용시설 관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소규모 시설 실내공기 모니터링 -어린이, 시민 등 일상 생활 공간 관리 다중이용시설의 관리 대상의 경우 관리자만 인식 -형식적인 관리에서 벗어나 교육과 구체적인 정보 알리는 작업 병행 관리자 외의 사용자는 인식 낮음 (대중 캠페인 필요) 지역아동센터의 경우 공간대여를 받는 입장이므로 환경을 선택할 수 없다. (건축법의 환기 및 건축자재 친환경 규제 강화 실내마감재 친환경 자재 선택 시 지원방안 마련: 실크벽지-> 종이벽지, 친환경 벽지 / PVC장판 -> 친환경 바닥재) 도서관의 경우 창문을 열수 없는 환경: 구조적인 변화 필요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