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1. 3.



                환 경 부
               환경보건정책과




발표 순서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3   향후 추진계획




                             2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

           환경성질환 증가에 따른 예방/관리 수요 급증
           - 적기 대처하지 못할 경우 건강피해 등 사회·경제적 손실 막대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수                                        천식 환자수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495만명                                        242만명
                          (64%p 상승)                                    (20%p 상승)                                        29.2%
          302만명                                          202만명
                                                                                                       19.7%



            2002년            2008년                       2002년            2008년                        1995년             2005년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2009)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2009)                           자료원 :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2008)

           - 환경성 질환으로 인한 의료비 증가(2008년)
                                                   진료비                   환자수
             알레르기성 비염                         4,033억원                   495만명
             천식                               3,208억원                   242만명
             아토피 피부염                       800~1,600억원                  114만명

             ※ 아토피 피부염이 주로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으로 진행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2010)
                                                                                                      Atopy!!
                                                                                                                                     3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

           환경호르몬 등 미래 환경성질환 야기물질 범람

      - 환경호르몬(내분비계 장애물질)에 기인하는 환경성질환 대책 요구




                                                                                                     양성 (bisexual)


                                                         www.nytimes.com; 2006.10.16

                                                         호르몬 과다분비 (조숙)
                                                                                  http://embryology.med.unsw.edu.au/Notes/genital2.htm



www.ccohs.ca/oshanswers/chemicals/endocrine.html




          - 다이옥신 등 기존POPs(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및
             신규 POPs 대책



                                                                                                                                     4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

 석면의 경우 사용금지(2009) 되었으나, 과거 사용된 석면의 관리는 현안 문제
 - 과거 노동부의 직업적 노출만이 문제
 - 잠복기가 20년 이상으로 인체 영향 측면과 관련하여 현안문제로 대두
 ※ 언론에서 제기된 석면문제
 · 석면공장 주변지역 주민영향(2007)    · 석면광산 인근주민 건강피해(2009)
 · 석면해체 제거작업 주변 석면비산(2009) · 베이비파우더 석면검출 및 석면오염 탈크 문제(2009)


 어린이 등 민감계층에 대한 영향 평가·관리 필요성 증대
 - 고무 및 플라스틱제조업에서 유해화학물질 취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
 ※ 어린이 관련 제품 유해물질 검출사례
 · 칼라풍선에서 환각물질 검출(2004)    · 아기 물티슈에서 포름알데히드 검출(2005)
 · 매트 등에서 프탈레이트 검출(2005)   · 인조점토에서 프탈레이트 검출(2007)
 · 학용품에서 VOCs 등 검출(2007)   · 어린이용 유제품, 과자에서 멜라민 검출(2008)


 「환경보건법」이 제정(2009.3)되어 10년마다「환경보건 종합계획」을 수립·시행
 토록 명시(제6호)

                                                           5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환경보건 기반 구축

    법/제도적 기반 강화
   - “환경보건법” 제정·시행(‘09.3), 석면피해구제법 제정·공포(‘10.3)
   - 환경보건정책관 신설(‘09.2), 전국 12개 ‘환경보건센터’ 운영

    환경보건 기초 및 정밀조사 등 연구·기반기술 개발
   - 환경보건 모니터링 신기술 개발 등 환경보건 R&D 추진

    환경보건 자료수집 및 정보제공을 위한 포털사이트 구축
   - 위해소통(Risk Communication) 체계 강화

    환경보건분야 국제협력 확대
   - WHO 어린이건강과 환경국제 컨퍼런스(’09), 환경·보건장관회의 유치
    (’10) 등
                                                           6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민감·취약계층 건강보호

  민감계층 및 취약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
  - 어린이, 산모-영·유아, 노령인구 등 민감계층 건강영향 추적·감시
  - 산단, 폐광 등 오염취약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
  - 시멘트공장, 장항제련소, 태안 유류사고지역 등 환경현안 역학조사

  어린이 환경보건 종합대책(‘06) 추진
  - 어린이 활동공간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
  - 어린이 용품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
  - 어린이 환경과 건강 포탈사이트(www.chemistory.go.kr) 구축·운영



                                                   7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아토피 등 예방·관리 센터 건립 지원

   목적
  - 지역여건과 특성을 고려한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센터 조성
   사업 내용
  -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거주공간 및 교육시설 설치, 교육프로그램 시행
  * (시설 예시) 아토피 케어 수련시설, 친환경농산물 재배 및 체험장 등
   활용 방안
  - 전국 권역별 센터 설립 지원 및 환경성질환의 예방·관리 거점으로 활용
  - 환경보건센터와 연계하여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가이드라인 적용 및 보급



                                                   8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생활공감 환경보건 서비스 확대

  가정, 사무실, 학교 등 친환경 건강도우미 방문서비스 추진(‘09~)

  - 생활환경 내 아토피, 천식, 새집증후군 등 원인물질 무료점검 및 컨설팅 실시

  - '10년은 삼성전자 등 책임있는 기업과 함께 수도권 1,200가구 대상 실시

  ‘자연 속에서 건강 찾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08~)

  - 아토피, 천식, 발달장애 등 질환별 특화된 프로그램 제공

  - 환경과 건강의 긍정적인 관계, 건강한 생활습관 습득을 통한 건강증진 도모




                                                   9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2) 화학물질 관리 선진화


          선진적 화학물질의 유해·안전 관리


  화학물질 유통량/배출량 조사·관리

  - 고위해물질의 전과정 관리를 위한 화학물질 전생애 유통현황 조사('09)
  - 사업장별 화학물질 배출량 공개 단계적 확대('08~'10) 및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협약(30/50프로그램) 추진 ⇒ 관리대상 화학물질의 우선순위 선정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안전관리 기반 강화
  - 철강 시설 등 국내 배출시설에서의 다이옥신 배출량 측정사업
  - POPs 오염실태 파악을 위한 측정망 설치ㆍ운영(대기ㆍ수질ㆍ토양ㆍ저질]
  - PCBs 함유기기 관리 DB구축 및 PCBs 오염 절연유 고온소각 실증사업 추진


                                                   10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3) 민감·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관리체계 구축강화


          석면 피해예방 및 구제제도 확립

  석면관리 종합대책 수립(‘09.7~)
  - 건물의 전생애 석면 안전관리체계 구축, 석면광산 및 자연발생석면 관리 등
  『석면피해구제법』제정하여 피해예방 및 구제제도 확립
  - 악성중피종, 석면폐암 및 석면폐증 피해에 대해 요양급여 등 지급
  『석면안전관리법』 제정 추진(‘10년 국회제출)
  - 건축물 석면지도 작성, 재개발·재건축 현장 석면배출허용기준 설정 등
  주민 건강영향조사 및 유의지역 모니터링 강화
  - 석면광산(전국 21개) 및 석면공장 주변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
  농어촌 슬레이트 관리 종합대책 수립
  - 범정부 합동으로 폐석면 처리 및 영세농가 지원대책 등 마련(‘10)
                                                 11




3. 향후 추진계획


1. 환경보건 종합계획(’11~’20) 추진
1. 건강피해자 구제 관련 제도의 정비

 「환경보건법」시행에 따른 법정 계획
 - 환경보건에 관한 기본적 시책과 목표
 -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질환발생 현황 및 생태계, 국민건강에 미치는 관리방안
 - 민감취약계층 특별관리 대책, 수용체 중심의 통합적 환경기준 마련 등




2. 환경성질환 건강피해 제도의 정비
1. 건강피해자 구제 관련 보상제도 도입

 석면피해구제법 시행(‘11.1)으로 석면피해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마련
 - 석면피해구제기금 조성으로 환경성 석면노출 피해자에 대한 구제급여 지급
 석면 외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 보상제도 도입 검토
 - 환경오염 취약지역 주민 건강피해 실태조사 및 건강검진 한시적 지원 등 후속조치
 -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구제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12
3. 향후 추진계획


3. 아토피 등 어린이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강화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센터 지원
 -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상담서비스 제공 및 아토피 치유 체험 프로그램 추진
  · 환경보건 센터와 연계·협력 사업 발굴(ex 환자 순회 치료·교육 등)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대책 수립·추진(관계부처 합동)
 - 아토피 피부염 조사 감시체계 구축, 전문가 네트워크 마련
 - 환경성 질환에 대한 환경적·유전적 요인 규명 및 관리 가이드라인 개발·보급

 친환경적 어린이 활동공간 조성 및 위해 어린이 용품 유통차단
 -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 대상확대 및 적용기준 검토
 - 어린이용품 위해성평가 및 위해성이 높은 용품의 사용 또는 판매 제한·금지 추진

 환경보건 서비스 강화
 - 친환경 건강도우미(그린코디) 사업, 12개 환경보건센터 운영, 자연 속 건강찾기
  체험프로그램 추진 등
                                                  13




3. 향후 추진계획

4. 기후변화 적응 환경보건 정책 강화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 및 생태계 변화와 인체 영향 변화와의 관계 분석
 기후변화에 따른 매체 내 화학물질 거동 및 독성 변화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평가
 기후변화에 따른 꽃가루, 세균·곰팡이 등 환경성 질환요인의 변화 및 인체노출 평가
 기후변화 적응 환경보건 인프라 구축, 국제 협력 이니셔티브 제고


5. 새로운 환경유해인자 관리 등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

 농어촌 노후 슬레이트 지붕 안전처리
 - 석면 슬레이트 철거·수집·운반·처리기준 마련 및 슬레이트 철거·처리 지원
 영화관, 전시장, 학원, PC방을 실내공기질 관리 다중이용시설에 편입 추진(‘11)
 「인공조명 빛공해방지법』 제정 추진
 - 빛공해 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범정부 나노안전관리대책 수립 추진(6개부처 합동)
 - 나노물질 인벤토리 구축, 위해성정보 생산 및 평가, 안전관리기준 마련 등       14
3. 향후 추진계획

6. 정책의 과학화를 위해 R&D 기반 구축 및 연구기관 역량 강화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 R&D 연구 추진(예비타당성조사 심사 중)

 생태독성·위해성평가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GLP 기관 인프라 확충

 GLP 기관 신인도 제고를 위한 사후평가·관리 강화
 -‘10년 OECD 현지방문 평가를 국제 신인도 제고의 계기로 활용

 수은관리종합대책 추진 및 수은 국제 협약 체결 움직임에 사전 대응




                                         15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환경타임즈
 
08 2011 03-11-대전대학교김동희
08 2011 03-11-대전대학교김동희08 2011 03-11-대전대학교김동희
08 2011 03-11-대전대학교김동희환경타임즈
 
03 물산업 미래비전 포럼_발표자료_(과학기술분석센타)
03 물산업 미래비전 포럼_발표자료_(과학기술분석센타)03 물산업 미래비전 포럼_발표자료_(과학기술분석센타)
03 물산업 미래비전 포럼_발표자료_(과학기술분석센타)환경타임즈
 
04 상수도 관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11)
04 상수도 관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11)04 상수도 관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11)
04 상수도 관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11)환경타임즈
 
Media File Sharing
Media File SharingMedia File Sharing
Media File Sharing
Thothmedia
 
08 사본 20121020정수장망간발생처리연구
08 사본 20121020정수장망간발생처리연구08 사본 20121020정수장망간발생처리연구
08 사본 20121020정수장망간발생처리연구환경타임즈
 
06 한미엔텍 신기술 원고.hw
06 한미엔텍 신기술 원고.hw06 한미엔텍 신기술 원고.hw
06 한미엔텍 신기술 원고.hw환경타임즈
 
05 물산업 비즈니스의 활성화(수정)
05 물산업 비즈니스의 활성화(수정)05 물산업 비즈니스의 활성화(수정)
05 물산업 비즈니스의 활성화(수정)환경타임즈
 
추교수님발표자료 rev1
추교수님발표자료 rev1추교수님발표자료 rev1
추교수님발표자료 rev1환경타임즈
 
2015 벡스코 물관리심포지엄
2015 벡스코 물관리심포지엄2015 벡스코 물관리심포지엄
2015 벡스코 물관리심포지엄
환경타임즈
 

Viewers also liked (11)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8 2011 03-11-대전대학교김동희
08 2011 03-11-대전대학교김동희08 2011 03-11-대전대학교김동희
08 2011 03-11-대전대학교김동희
 
03 물산업 미래비전 포럼_발표자료_(과학기술분석센타)
03 물산업 미래비전 포럼_발표자료_(과학기술분석센타)03 물산업 미래비전 포럼_발표자료_(과학기술분석센타)
03 물산업 미래비전 포럼_발표자료_(과학기술분석센타)
 
04 상수도 관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11)
04 상수도 관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11)04 상수도 관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11)
04 상수도 관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11)
 
Media File Sharing
Media File SharingMedia File Sharing
Media File Sharing
 
08 사본 20121020정수장망간발생처리연구
08 사본 20121020정수장망간발생처리연구08 사본 20121020정수장망간발생처리연구
08 사본 20121020정수장망간발생처리연구
 
07 신제품기술
07 신제품기술07 신제품기술
07 신제품기술
 
06 한미엔텍 신기술 원고.hw
06 한미엔텍 신기술 원고.hw06 한미엔텍 신기술 원고.hw
06 한미엔텍 신기술 원고.hw
 
05 물산업 비즈니스의 활성화(수정)
05 물산업 비즈니스의 활성화(수정)05 물산업 비즈니스의 활성화(수정)
05 물산업 비즈니스의 활성화(수정)
 
추교수님발표자료 rev1
추교수님발표자료 rev1추교수님발표자료 rev1
추교수님발표자료 rev1
 
2015 벡스코 물관리심포지엄
2015 벡스코 물관리심포지엄2015 벡스코 물관리심포지엄
2015 벡스코 물관리심포지엄
 

Similar to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여성환경연대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011 생명공학백서 5.1
2011 생명공학백서 5.12011 생명공학백서 5.1
2011 생명공학백서 5.1Seong-kwang Cha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지속가능발전 환경과 녹색성장
지속가능발전 환경과 녹색성장지속가능발전 환경과 녹색성장
지속가능발전 환경과 녹색성장Gori Communication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Lee Sang-Ho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여성환경연대
 
유해화학물질사고와 우리동네 위험지도 (2015)
유해화학물질사고와 우리동네 위험지도 (2015)유해화학물질사고와 우리동네 위험지도 (2015)
유해화학물질사고와 우리동네 위험지도 (2015)
여성환경연대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여성환경연대
 
환경전과정평가론
환경전과정평가론환경전과정평가론
환경전과정평가론
mapinusmapinus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여성환경연대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여성환경연대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알권리법공청회자료집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알권리법공청회자료집[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알권리법공청회자료집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알권리법공청회자료집
여성환경연대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여성환경연대
 
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Soo-Ik Chang
 
지속가능성과 생태공학 물환경학회 20170323_김정규
지속가능성과 생태공학 물환경학회 20170323_김정규지속가능성과 생태공학 물환경학회 20170323_김정규
지속가능성과 생태공학 물환경학회 20170323_김정규
Jeong-Gyu Kim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
여성환경연대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여성환경연대
 

Similar to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20)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2011 생명공학백서 5.1
2011 생명공학백서 5.12011 생명공학백서 5.1
2011 생명공학백서 5.1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지속가능발전 환경과 녹색성장
지속가능발전 환경과 녹색성장지속가능발전 환경과 녹색성장
지속가능발전 환경과 녹색성장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보도자료]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기 위한 3대수칙 발표(2011년)
 
유해화학물질사고와 우리동네 위험지도 (2015)
유해화학물질사고와 우리동네 위험지도 (2015)유해화학물질사고와 우리동네 위험지도 (2015)
유해화학물질사고와 우리동네 위험지도 (2015)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발암물질감지네트워크 발암물질 목록 (2010)
 
환경전과정평가론
환경전과정평가론환경전과정평가론
환경전과정평가론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알권리법공청회자료집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알권리법공청회자료집[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알권리법공청회자료집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알권리법공청회자료집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
 
지속가능성과 생태공학 물환경학회 20170323_김정규
지속가능성과 생태공학 물환경학회 20170323_김정규지속가능성과 생태공학 물환경학회 20170323_김정규
지속가능성과 생태공학 물환경학회 20170323_김정규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환경과 건강 문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 및 과제 (2003)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 1. 2011. 3. 환 경 부 환경보건정책과 발표 순서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3 향후 추진계획 2
  • 2.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 환경성질환 증가에 따른 예방/관리 수요 급증 - 적기 대처하지 못할 경우 건강피해 등 사회·경제적 손실 막대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수 천식 환자수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495만명 242만명 (64%p 상승) (20%p 상승) 29.2% 302만명 202만명 19.7% 2002년 2008년 2002년 2008년 1995년 2005년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2009)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2009) 자료원 :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2008) - 환경성 질환으로 인한 의료비 증가(2008년) 진료비 환자수 알레르기성 비염 4,033억원 495만명 천식 3,208억원 242만명 아토피 피부염 800~1,600억원 114만명 ※ 아토피 피부염이 주로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으로 진행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2010) Atopy!! 3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 환경호르몬 등 미래 환경성질환 야기물질 범람 - 환경호르몬(내분비계 장애물질)에 기인하는 환경성질환 대책 요구 양성 (bisexual) www.nytimes.com; 2006.10.16 호르몬 과다분비 (조숙) http://embryology.med.unsw.edu.au/Notes/genital2.htm www.ccohs.ca/oshanswers/chemicals/endocrine.html - 다이옥신 등 기존POPs(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및 신규 POPs 대책 4
  • 3.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 석면의 경우 사용금지(2009) 되었으나, 과거 사용된 석면의 관리는 현안 문제 - 과거 노동부의 직업적 노출만이 문제 - 잠복기가 20년 이상으로 인체 영향 측면과 관련하여 현안문제로 대두 ※ 언론에서 제기된 석면문제 · 석면공장 주변지역 주민영향(2007) · 석면광산 인근주민 건강피해(2009) · 석면해체 제거작업 주변 석면비산(2009) · 베이비파우더 석면검출 및 석면오염 탈크 문제(2009) 어린이 등 민감계층에 대한 영향 평가·관리 필요성 증대 - 고무 및 플라스틱제조업에서 유해화학물질 취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 ※ 어린이 관련 제품 유해물질 검출사례 · 칼라풍선에서 환각물질 검출(2004) · 아기 물티슈에서 포름알데히드 검출(2005) · 매트 등에서 프탈레이트 검출(2005) · 인조점토에서 프탈레이트 검출(2007) · 학용품에서 VOCs 등 검출(2007) · 어린이용 유제품, 과자에서 멜라민 검출(2008) 「환경보건법」이 제정(2009.3)되어 10년마다「환경보건 종합계획」을 수립·시행 토록 명시(제6호) 5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환경보건 기반 구축 법/제도적 기반 강화 - “환경보건법” 제정·시행(‘09.3), 석면피해구제법 제정·공포(‘10.3) - 환경보건정책관 신설(‘09.2), 전국 12개 ‘환경보건센터’ 운영 환경보건 기초 및 정밀조사 등 연구·기반기술 개발 - 환경보건 모니터링 신기술 개발 등 환경보건 R&D 추진 환경보건 자료수집 및 정보제공을 위한 포털사이트 구축 - 위해소통(Risk Communication) 체계 강화 환경보건분야 국제협력 확대 - WHO 어린이건강과 환경국제 컨퍼런스(’09), 환경·보건장관회의 유치 (’10) 등 6
  • 4.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민감·취약계층 건강보호 민감계층 및 취약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 - 어린이, 산모-영·유아, 노령인구 등 민감계층 건강영향 추적·감시 - 산단, 폐광 등 오염취약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 - 시멘트공장, 장항제련소, 태안 유류사고지역 등 환경현안 역학조사 어린이 환경보건 종합대책(‘06) 추진 - 어린이 활동공간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 - 어린이 용품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 - 어린이 환경과 건강 포탈사이트(www.chemistory.go.kr) 구축·운영 7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아토피 등 예방·관리 센터 건립 지원 목적 - 지역여건과 특성을 고려한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센터 조성 사업 내용 -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거주공간 및 교육시설 설치, 교육프로그램 시행 * (시설 예시) 아토피 케어 수련시설, 친환경농산물 재배 및 체험장 등 활용 방안 - 전국 권역별 센터 설립 지원 및 환경성질환의 예방·관리 거점으로 활용 - 환경보건센터와 연계하여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가이드라인 적용 및 보급 8
  • 5.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1)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생활공감 환경보건 서비스 확대 가정, 사무실, 학교 등 친환경 건강도우미 방문서비스 추진(‘09~) - 생활환경 내 아토피, 천식, 새집증후군 등 원인물질 무료점검 및 컨설팅 실시 - '10년은 삼성전자 등 책임있는 기업과 함께 수도권 1,200가구 대상 실시 ‘자연 속에서 건강 찾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08~) - 아토피, 천식, 발달장애 등 질환별 특화된 프로그램 제공 - 환경과 건강의 긍정적인 관계, 건강한 생활습관 습득을 통한 건강증진 도모 9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2) 화학물질 관리 선진화 선진적 화학물질의 유해·안전 관리 화학물질 유통량/배출량 조사·관리 - 고위해물질의 전과정 관리를 위한 화학물질 전생애 유통현황 조사('09) - 사업장별 화학물질 배출량 공개 단계적 확대('08~'10) 및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협약(30/50프로그램) 추진 ⇒ 관리대상 화학물질의 우선순위 선정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안전관리 기반 강화 - 철강 시설 등 국내 배출시설에서의 다이옥신 배출량 측정사업 - POPs 오염실태 파악을 위한 측정망 설치ㆍ운영(대기ㆍ수질ㆍ토양ㆍ저질] - PCBs 함유기기 관리 DB구축 및 PCBs 오염 절연유 고온소각 실증사업 추진 10
  • 6. 2.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대책 추진현황 (3) 민감·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관리체계 구축강화 석면 피해예방 및 구제제도 확립 석면관리 종합대책 수립(‘09.7~) - 건물의 전생애 석면 안전관리체계 구축, 석면광산 및 자연발생석면 관리 등 『석면피해구제법』제정하여 피해예방 및 구제제도 확립 - 악성중피종, 석면폐암 및 석면폐증 피해에 대해 요양급여 등 지급 『석면안전관리법』 제정 추진(‘10년 국회제출) - 건축물 석면지도 작성, 재개발·재건축 현장 석면배출허용기준 설정 등 주민 건강영향조사 및 유의지역 모니터링 강화 - 석면광산(전국 21개) 및 석면공장 주변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 농어촌 슬레이트 관리 종합대책 수립 - 범정부 합동으로 폐석면 처리 및 영세농가 지원대책 등 마련(‘10) 11 3. 향후 추진계획 1. 환경보건 종합계획(’11~’20) 추진 1. 건강피해자 구제 관련 제도의 정비 「환경보건법」시행에 따른 법정 계획 - 환경보건에 관한 기본적 시책과 목표 -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질환발생 현황 및 생태계, 국민건강에 미치는 관리방안 - 민감취약계층 특별관리 대책, 수용체 중심의 통합적 환경기준 마련 등 2. 환경성질환 건강피해 제도의 정비 1. 건강피해자 구제 관련 보상제도 도입 석면피해구제법 시행(‘11.1)으로 석면피해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마련 - 석면피해구제기금 조성으로 환경성 석면노출 피해자에 대한 구제급여 지급 석면 외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 보상제도 도입 검토 - 환경오염 취약지역 주민 건강피해 실태조사 및 건강검진 한시적 지원 등 후속조치 -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구제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12
  • 7. 3. 향후 추진계획 3. 아토피 등 어린이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강화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센터 지원 -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상담서비스 제공 및 아토피 치유 체험 프로그램 추진 · 환경보건 센터와 연계·협력 사업 발굴(ex 환자 순회 치료·교육 등)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대책 수립·추진(관계부처 합동) - 아토피 피부염 조사 감시체계 구축, 전문가 네트워크 마련 - 환경성 질환에 대한 환경적·유전적 요인 규명 및 관리 가이드라인 개발·보급 친환경적 어린이 활동공간 조성 및 위해 어린이 용품 유통차단 -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 대상확대 및 적용기준 검토 - 어린이용품 위해성평가 및 위해성이 높은 용품의 사용 또는 판매 제한·금지 추진 환경보건 서비스 강화 - 친환경 건강도우미(그린코디) 사업, 12개 환경보건센터 운영, 자연 속 건강찾기 체험프로그램 추진 등 13 3. 향후 추진계획 4. 기후변화 적응 환경보건 정책 강화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 및 생태계 변화와 인체 영향 변화와의 관계 분석 기후변화에 따른 매체 내 화학물질 거동 및 독성 변화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평가 기후변화에 따른 꽃가루, 세균·곰팡이 등 환경성 질환요인의 변화 및 인체노출 평가 기후변화 적응 환경보건 인프라 구축, 국제 협력 이니셔티브 제고 5. 새로운 환경유해인자 관리 등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 농어촌 노후 슬레이트 지붕 안전처리 - 석면 슬레이트 철거·수집·운반·처리기준 마련 및 슬레이트 철거·처리 지원 영화관, 전시장, 학원, PC방을 실내공기질 관리 다중이용시설에 편입 추진(‘11) 「인공조명 빛공해방지법』 제정 추진 - 빛공해 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범정부 나노안전관리대책 수립 추진(6개부처 합동) - 나노물질 인벤토리 구축, 위해성정보 생산 및 평가, 안전관리기준 마련 등 14
  • 8. 3. 향후 추진계획 6. 정책의 과학화를 위해 R&D 기반 구축 및 연구기관 역량 강화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 R&D 연구 추진(예비타당성조사 심사 중) 생태독성·위해성평가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GLP 기관 인프라 확충 GLP 기관 신인도 제고를 위한 사후평가·관리 강화 -‘10년 OECD 현지방문 평가를 국제 신인도 제고의 계기로 활용 수은관리종합대책 추진 및 수은 국제 협약 체결 움직임에 사전 대응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