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3
장민주 한유진
RESEARCH MINDMAP PROJECT PURPOSE
About Death죽음에 관하여
1차 데이터 수집
:주변의 문제 관찰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혹은 나 자신의 죽음에 대해
대비하고, 생각해보는 시간이 필요함을 느낀다.
죽음 후에 남겨진 이들을 위해서, 혹은 본인을
이렇게 기억해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자신을
대면할 무언가가 필요하다.
죽음에 대비하는 것에 대한 욕구
50대 부부
매 새해 1월 1일마다 유언장을 작성하여 서로 나누고, 자신들의 죽음에 대비해요.
이렇게 하면 한 해를 살아가는데에 더 강한 의지를 갖게돼요.
20대 여
사랑하는 사람이 아파서 언제 세상을 떠날지 모르는 때에 미리미리 그를 추억할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두고 싶어요. 나중에 떠나서야 떠난이를 추억할 거리를 찾는 것 보단요.
20대 여
가족이 병으로 아파 일찍 세상을 떠났을 때, 떠나기 직전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생명을 연장시킬지 말지 정하는 것이 어려웠어요.
이것에 대해 한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어서요.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Q. 죽음에서 떠오르는 감정은 무엇인가요? Q. 죽음에서 떠오르는 단어들은 무엇인가요?
죽음은 부정적 단어들과 연관있다고 인식
평온함
22%
22%
78%
78%
죽음
해방, 홀가분 안식 홀가분
슬픔 두려움 공허함 무서움 차가움
장례식
끝
상복
눈물
40%
설문대상 : 10대~50대 남녀
응답자 수 : 37명
30%
20%
10%
1차 데이터 수집
:주변의 문제 관찰
죽음에 대한 감정 중 부정적인 감정들이 78%로 압도적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자신의 죽음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81.4%(767명)가
‘그렇다’고 대답하여 대다수가 ‘앞으로 자신의 죽음을 미리 대비해야 하겠다.’라는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 무엇을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생각해 보지 않았다’가 가장
많은 41.8%(393명)로 나타나 의식과 행동 간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 전국 만 20세 이상 일반 성인 여 남
또한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로 ‘바람직한 임종문화와 호스피스 제도
정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이해와 인생의
마지막에서 중요한 점 등에 대해서는 개인에 따라서, 문화 혹은 인종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므로, 우리 문화와 정서에 적합한 죽은과 임종의 이해게 근거한 ‘바람직한 품위 있는
죽음이 정립되어 죽음에 대한 잘못된 사회적 인식을 바꾸고 품위있는 죽음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만들어 가야 한다.
죽음을 위해 준비해 둔 것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평균 1.31개의 품목을 준비해 놓고 있었다.
그 중 사망보험이 전체의 42.2%로 가장 많았고,상조회 가입 16.2%,영정사진 13.5%,장례비용
13.4%,시신 안장처 11.6%,유언장 8.9%,상속사항 8.3%,시신 및 장기기증 6.8%,수의 6.4%,자서전
2.3% 등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아직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의 죽음준비 수준은
매우 미흡한 상태이며…
조사 대상자들의 64%정도는 죽음준비를 하고 있지 않고, 죽음준비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50%정도가
가족들의 수고를 덜어주기 위해서와 스스로 준비하고 싶어서였으며, 죽음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죽음은 아직 나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고 또한 장례비용은 64%정도가 본인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거의 준비하고 있지 않다’가 35.3%로 가장 많았고,’전혀 준비 안했다’가 28.4%,약간 준비했다가
19.4%,그저 그렇다는 13.6%,잘 준비했다는 3.3%였다.
죽음준비를 한 이유에 대해서는 내 죽음 후에 가족의 수고를 덜어주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27.8%로 가장
많았고, 내 자신의 죽음을 스스로 준비하고 싶어서가 23.0%,그냥 막연히 그래야 할 것 같은 생각에서가
11.7%,미리 준비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 같아서라고 응답한 대상자는 8.5%를 나타냈다.
반면,죽음에 대해 준비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죽음은 아직나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35.7%로 가장 많았고,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가
24.3%,특별히 준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서가 23.0%,죽음을 준비하는 것이
두려워서가 7.5%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ath Attitude on Death Anxiety
임송자, 송선희
연령에 따라서는 30대는 아직 나와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서 죽음을 준비하지 못한 경우가 50.7%로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물론 40대와 50대에서도 아직 나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긴 했지만,그 외에 40대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라는 이유가 높았고,50대에서는 특별히
준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서가 높았다. 또 60대 이상에서는 아직 나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
서의 이유보다는 특별히 준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서의 이유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죽음준비를 잘 하고 있다는 응답도 다른 연령층들보다 가장 높았다
2차 데이터 수집-관련 사회 현상
1:죽음에 대한 미흡한 준비 상태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뉴스 기사
2차 데이터 수집
1:죽음에 대한 미흡한 준비 상태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사별가족의 가족 탄력성, 사회적지지,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Death Recognition on Quality of Death on the Adaptation of Bereavement Family PDF icon
사별가족 은 신체적, 재정적 악화와 심리적 고통, 그리고 복합적 슬 픔을 경험하기도 한다. 사별가족에 대한 슬픔은 사회적 적응을 하기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이며 갑작스럽 게 사별 경험을 한 가족들의 빠른 사회적응을 할 수 있 도록 대응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사별은 누구에게나 피할 수 없는 사건이며 남아있는 가족에게는 커다란 슬픔과 충격을 안겨주고 오래 지속된 유대관계가 깨어지는 현상으로 가족의
건강과 안녕, 생산성을 위협하기도 하고 또한 족구성원의 심리적인 어려움과 재정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복합적인 가족관계와 사회적 문제
등 삶의 전반에 걸쳐 재조정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가족의 사별은 남은 가족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별가족 적응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필수적이고 자신의 생애 과정에 예상되는
어려움이나 적응문제 들을 극복하기 위해 가족의 지지 및 가족 내 구성원의 잠재적인 노력도 요구된다.
죽음인식은 죽음을 극복하고 품 있는 죽 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여 가족이나 주변인들과의 계를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애도의 완성 을 돕는 조건으로
웰다잉 을 맞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죽음에 한 바른 인식이 더욱 아름다운 생을 살고 마무 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생의 마지막 순간들을 의미 있게 맞을 수 있 는 죽음 즉, 웰다잉(well-dying)에 한 심과 사회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웰빙(well-being)은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것이라면, 웰다잉은 웰빙과 상인 개념으로 인간이 인간답게 죽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 해, 웰다잉은 좋은 죽음을 의미는
것으로 죽음에 대비하고, 죽음을 앞둔 상태에서 죽음을 수용하고, 삶이 좋게 마무리되도록 죽음을 아름답고 존엄하게 준비하는 것이다.
즉, 웰다잉은 인생의 행복 한 끝맺음을 해 신체, 사회, 정신, 역할이 잘 공유되어 인간으로서 존엄을 지키며 주변정리를 잘하 고 죽음을 두려움 없이 비하고 자신의 인생이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며 편안한 마음으로 삶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사회적 지지는 삶의 역경을 긍정적인 에너지로 바꿔 정신적 스트레스를 극복하여 스스로 자기 능력에 맞는 가족의 삶을 재구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사별 후 사회적 지지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완 충해 주는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완충 작용과 가족 사별로 인한 어려움을 이겨내며
또한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도 와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긍정적인 죽음 인식’은 가족들이 환자의 마지막 죽음을 지켜보면서 삶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깨달음으로 불안과 공포에서 벗어나 성숙되어지며 죽음 의 진정한 의미를 갖게 해주고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하였다
2차 데이터 수집
2:‘사별가족’에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죽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Death Recognitio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eath Education Program
연구결과 60세 이상 노년층의 경우 40, 50대에 비해 자신의 죽음을 생각해본 경험과, 죽음 수용에 대한 준비가 낮게
나타난 점은 이를 뒷받침 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인다는 연구결과와 일치되고 있으며, 죽음을거론하는 것은
우리 사회나 가정에서 터부시되고 있으며, 노인 앞에서는 언급을 피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며 특히 고령으로 죽음에
임박한 노인조차 죽음에 관한 생각을 기피하는(26) 우리나라의 죽음에 대한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한국의 문화적 특성이 있음에도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을 받은 후 교육실시 이전보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보고되어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이 더욱 활성화 될 필요가 있겠다.
특히 현대인은 임종 시 장례식장을 이용함에 따라 죽음을 배울 기회가 감소되고, 과학의 발달로 죽음을 선택하고 연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언론 매체를 통해 죽음의 대량화를 목격함에 따라 생명의 존엄성을 경시하게 되고 죽음에
무감각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죽음 현상이 초래하기 전 겪게 되는 퇴행, 고통, 이별, 상실감, 고독, 죽음 이후 세계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단순히 죽음을 피하고 싶은 부정적인 개념으로 인식하게 된다.
삶의 질의 개념과 조화를 이루는 ‘삶의 과정으로서의 죽음’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2000년 이후 한국의 사망원인 1순위는 암이며,
외부요인에 의한 사망원인 중 70대는 자살이 1순위, 80세 이상은 추락사고, 자살 순으로 말기 암과
자살은 노년기죽음의 가장 밀접한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자살률은 2001년 15.1%에서
2006년 21.5%로 증가하여, 2006년 기준 인구 10만 명 당 45.2명이 자살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OECD 평균 24명의 2배에 가까운 수치로서, OECD 국가들 중 자살자 비율이 1위이다
노인의 ‘불행한 죽음’이 급증하고 있는 현상은 현재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고령화와 삶의 질은 반비례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죽음을 우리의 의식 밖으로 밀어내고 싶고 피하고 싶은 문제로
방치해서는 안될 시점이 되었다.
2차 데이터 수집
3:죽음교육과 관련 컨텐츠의 필요성
자살 관련 미디어 노출 빈도에 따른 유아의 죽음 불안의 차이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 of children's fear of death by the frequency of mass media exposure of suicidal.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2차 데이터 수집
4:미디어에서 죽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자살 관련 미디어 노출 빈도에 따른 유아의 죽음 불안의 차이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 of children's fear of death by the frequency of mass media exposure of suicidal.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2차 데이터 수집
4:미디어에서 죽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뉴스, TV 등 자료 모음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2차 데이터 수집
4:미디어에서 죽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4. 미디어에서 죽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뉴스, TV 등 자료 모음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가족탄력성이란 가족들이 위기상황에 직면한 문제의 극한 상황에서 역경을 극복하고 이겨낼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의미하고, 사별
가족들의 슬픔이나 가족 스트레스 등 부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결속력과 친밀감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죽음인식은 죽음에서 바라본 삶에 대한 태도로서 개인 삶에서 형성되어 개인의 삶의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용어정리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1.
당신은 스스로의 죽음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2.
당신이 떠난 후 어떻게 기억되길 원하나요?
3.
기록 매체가 놀랍도록 발전한 현대에도 왜 우리는 유언장 남기기의 죽음
준비밖에 하지 못 할까요?
4.
우리는 서로의 죽음에 사회적 지지자가 될 수 있을까요?
5.
왜 우리는 죽음을 떠올리면 슬픈 감정을 가장 먼저 생각하게 될까요?
6.
인간 성장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죽음은 출생 못지 않게 인생에서 가장
의미있는 사건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7.
왜 그 사건의 주인이 우리 자신이 되지 못하고 있는걸까요?
KEY QUESTION
죽음 MIND MAP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죽음 MIND MAP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SERVICE CURATION
.
.
.
‘자만시‘는 애써 죽음을 외면하거나 미뤄두었던 자세로부터 극적인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게 한다.
그것을 통해 본래 1인칭의 죽음을 타인의 죽음처럼 객관화 하게 한다고 의미 부여했다.
이어, ‘자만시’는 ‘더는 죽음을 외면하지 말고 나의 것임을 받아들여라’ 라는 드문 사례라면서,
앞으로의 죽음 교육에서 선인들의 ‘자만시’가 활용 되기를 기대한다고 적었다.
[죽음 교육 필요성 관련 논문 발췌]
자만시(自挽詩)
:자신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
죽은 자를 애도하여 지은 시를 만시(挽詩)라 한다.
이승을 떠난 사람을 기림으로써 그에 대한 추모의 글을 남기는 것이 옛날에는 당연한 예의였다.
이것은 산자가 죽은 자를 위한 마지막 추모행위가 된다.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새로운 브랜딩 제안
‘죽음’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전환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서비스
다른 방식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새로운 매개의 역할
SERVICE CURATION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SERVICE CURATION
BACKGROUND
Death
Design
Service
QUESTION
1.죽음에 대한 미흡한 자세(태도/준비/인식)
2.사별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부재
3.’죽음교육’의 필요성
4.미디어 속 노출되는 부정적 죽음
5.죽음의 부정적 이미지 고착화
1.
당신은 스스로의 죽음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2.
당신이 떠난 후 어떻게 기억되길 원하나요?
3.
기록 매체가 놀랍도록 발전한 현대에도
왜 우리는 유언장 남기기와 같은 죽음 준비밖에 하지 못 할까요?
4.
우리는 서로의 죽음에 사회적 지지자가 될 수 있을까요?
5.
왜 우리는 죽음을 떠올리면 슬픈 감정을 가장 먼저 생각하게 될까요?
6.
인간 성장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죽음은 출생 못지 않게
인생에서 가장 의미있는 사건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7.
왜 그 사건의 주인이 우리 자신이 되지 못하고 있는걸까요?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PERSONA
Death Design
Service for people who have to design the death.
‘죽음’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
죽음으로
가까운 이를
떠나보낸 사람들
죽음을
앞둔 사람들
언젠가 죽음을
겪을 우리
‘기억’을
남기는
삶의 의미를
성찰하는
Death Design
Service about Death Design
죽음을 가까이 바라보고, 본인이 죽음의 주인이 되어 직접 기획하고
만들어 나아가는 과정을 통해 삶의 의미를 성찰, 궁극적으로 죽음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서비스
PROJECT GOAL
‘죽음’을 가까이
인식하는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PROJECT GOAL
‘기억’을
남기는 서비스
‘죽음’을 새롭게
인식하는 서비스
사용자에게 삶을 돌아보고 죽음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마련
누구나 언젠가는 죽음을 마주해야 하기에 죽음을 어두운 것, 피해야 할 것, 두려운 것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함
서로의 마지막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고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의 죽음을 함께 기리며
‘죽음’을 통해 하나의 새로운 공감이 형성을 위한 사회적 토대의 체험 제공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죽음 가까이
인식하기
죽음에 대한 구체적인 선택지들을 고민해보고 대비하는 서비스.
사전 의료 의향서/사전 장례의향서 등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던 죽음, 죽음 이후 등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죽음을 가까이 인식하게 한다.
SERVICE 1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기억의
매개체, 토템
SERVICE 2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사람들이 생전 지정해 둔 본인의 데이터에 따라 달라지는 토템.
시각,청각,후각 등 개인의 오감적 취향을 반영하여 자신을 기억하고 기릴 수 있도록 함
토템을 통해 본인을 기억하게 하는 매개체.
예시 이미지 ) LUSH 배쓰밤
RESEARCH MINDMAP PROJECT PURPOSE
PURPOSE
Death Design
Service about Death
죽음을 멀고도 슬픈 얘기로만 바라보는 우리의 사고 전환을 돕는 서비스
죽음에 가까이 다가서는 소통의 장이자 삶과 맞닿는 접점이 되어
자신의 죽음에 주목함과 동시에 타인의 죽음까지 사유의 영역을 넓히는 서비스
죽음을 맞이하는 당사자 본인이 참여하고 기획하는 서비스
이 서비스를 통해서 현재의 삶의 의미를 성찰하고, 타인의 생명까지 존중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서로가 서로의 지지자가 되어 공감 공동체를 만들어 간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About deathhyjjmj

How to live
How to liveHow to live
How to liveKiuk Kim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상호_정신 장애인 지원 주택은 새로운 서비스의 시...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상호_정신 장애인 지원 주택은 새로운 서비스의 시...[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상호_정신 장애인 지원 주택은 새로운 서비스의 시...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상호_정신 장애인 지원 주택은 새로운 서비스의 시...C.
 
우리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메가 트렌드 -New Megatrends Shaping Our Future
우리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메가 트렌드 -New Megatrends Shaping Our Future우리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메가 트렌드 -New Megatrends Shaping Our Future
우리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메가 트렌드 -New Megatrends Shaping Our FutureJahee Lee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혜원 정
 
호스피스간호교육
호스피스간호교육호스피스간호교육
호스피스간호교육eunkorea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환경연대
 
사회적증폭기로서 인터넷_서현
사회적증폭기로서 인터넷_서현사회적증폭기로서 인터넷_서현
사회적증폭기로서 인터넷_서현Seohyun Kim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John Kang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John Kang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John Kang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Jahee Lee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lee won don
 
2020 annual report
2020 annual report2020 annual report
2020 annual reporthumandasan
 
돌봄의사회화 2009. 9. 4.
돌봄의사회화 2009. 9. 4.돌봄의사회화 2009. 9. 4.
돌봄의사회화 2009. 9. 4.hiiocks kim
 
The second mountain 두 번째 산에 오르세요
The second mountain 두 번째 산에 오르세요The second mountain 두 번째 산에 오르세요
The second mountain 두 번째 산에 오르세요Jahee Lee
 
키케로와 현대과학/노준식
키케로와 현대과학/노준식키케로와 현대과학/노준식
키케로와 현대과학/노준식장휴 유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ecobuddha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혜원 정
 
[북데이] 201211 고민하는 힘
[북데이] 201211 고민하는 힘[북데이] 201211 고민하는 힘
[북데이] 201211 고민하는 힘sakurhanami
 

Similar to About deathhyjjmj (20)

How to live
How to liveHow to live
How to live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상호_정신 장애인 지원 주택은 새로운 서비스의 시...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상호_정신 장애인 지원 주택은 새로운 서비스의 시...[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상호_정신 장애인 지원 주택은 새로운 서비스의 시...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상호_정신 장애인 지원 주택은 새로운 서비스의 시...
 
우리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메가 트렌드 -New Megatrends Shaping Our Future
우리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메가 트렌드 -New Megatrends Shaping Our Future우리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메가 트렌드 -New Megatrends Shaping Our Future
우리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메가 트렌드 -New Megatrends Shaping Our Future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호스피스간호교육
호스피스간호교육호스피스간호교육
호스피스간호교육
 
잠재력
잠재력잠재력
잠재력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사회적증폭기로서 인터넷_서현
사회적증폭기로서 인터넷_서현사회적증폭기로서 인터넷_서현
사회적증폭기로서 인터넷_서현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자료1) 우울자살의 병리적 이해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2020 annual report
2020 annual report2020 annual report
2020 annual report
 
돌봄의사회화 2009. 9. 4.
돌봄의사회화 2009. 9. 4.돌봄의사회화 2009. 9. 4.
돌봄의사회화 2009. 9. 4.
 
The second mountain 두 번째 산에 오르세요
The second mountain 두 번째 산에 오르세요The second mountain 두 번째 산에 오르세요
The second mountain 두 번째 산에 오르세요
 
키케로와 현대과학/노준식
키케로와 현대과학/노준식키케로와 현대과학/노준식
키케로와 현대과학/노준식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북데이] 201211 고민하는 힘
[북데이] 201211 고민하는 힘[북데이] 201211 고민하는 힘
[북데이] 201211 고민하는 힘
 

About deathhyjjmj

  • 1. 장민주 한유진 RESEARCH MINDMAP PROJECT PURPOSE About Death죽음에 관하여
  • 2. 1차 데이터 수집 :주변의 문제 관찰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혹은 나 자신의 죽음에 대해 대비하고, 생각해보는 시간이 필요함을 느낀다. 죽음 후에 남겨진 이들을 위해서, 혹은 본인을 이렇게 기억해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자신을 대면할 무언가가 필요하다. 죽음에 대비하는 것에 대한 욕구 50대 부부 매 새해 1월 1일마다 유언장을 작성하여 서로 나누고, 자신들의 죽음에 대비해요. 이렇게 하면 한 해를 살아가는데에 더 강한 의지를 갖게돼요. 20대 여 사랑하는 사람이 아파서 언제 세상을 떠날지 모르는 때에 미리미리 그를 추억할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두고 싶어요. 나중에 떠나서야 떠난이를 추억할 거리를 찾는 것 보단요. 20대 여 가족이 병으로 아파 일찍 세상을 떠났을 때, 떠나기 직전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생명을 연장시킬지 말지 정하는 것이 어려웠어요. 이것에 대해 한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어서요.
  • 3.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Q. 죽음에서 떠오르는 감정은 무엇인가요? Q. 죽음에서 떠오르는 단어들은 무엇인가요? 죽음은 부정적 단어들과 연관있다고 인식 평온함 22% 22% 78% 78% 죽음 해방, 홀가분 안식 홀가분 슬픔 두려움 공허함 무서움 차가움 장례식 끝 상복 눈물 40% 설문대상 : 10대~50대 남녀 응답자 수 : 37명 30% 20% 10% 1차 데이터 수집 :주변의 문제 관찰 죽음에 대한 감정 중 부정적인 감정들이 78%로 압도적
  • 4.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자신의 죽음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81.4%(767명)가 ‘그렇다’고 대답하여 대다수가 ‘앞으로 자신의 죽음을 미리 대비해야 하겠다.’라는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 무엇을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생각해 보지 않았다’가 가장 많은 41.8%(393명)로 나타나 의식과 행동 간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 전국 만 20세 이상 일반 성인 여 남 또한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로 ‘바람직한 임종문화와 호스피스 제도 정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이해와 인생의 마지막에서 중요한 점 등에 대해서는 개인에 따라서, 문화 혹은 인종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므로, 우리 문화와 정서에 적합한 죽은과 임종의 이해게 근거한 ‘바람직한 품위 있는 죽음이 정립되어 죽음에 대한 잘못된 사회적 인식을 바꾸고 품위있는 죽음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만들어 가야 한다. 죽음을 위해 준비해 둔 것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평균 1.31개의 품목을 준비해 놓고 있었다. 그 중 사망보험이 전체의 42.2%로 가장 많았고,상조회 가입 16.2%,영정사진 13.5%,장례비용 13.4%,시신 안장처 11.6%,유언장 8.9%,상속사항 8.3%,시신 및 장기기증 6.8%,수의 6.4%,자서전 2.3% 등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아직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의 죽음준비 수준은 매우 미흡한 상태이며… 조사 대상자들의 64%정도는 죽음준비를 하고 있지 않고, 죽음준비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50%정도가 가족들의 수고를 덜어주기 위해서와 스스로 준비하고 싶어서였으며, 죽음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죽음은 아직 나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고 또한 장례비용은 64%정도가 본인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거의 준비하고 있지 않다’가 35.3%로 가장 많았고,’전혀 준비 안했다’가 28.4%,약간 준비했다가 19.4%,그저 그렇다는 13.6%,잘 준비했다는 3.3%였다. 죽음준비를 한 이유에 대해서는 내 죽음 후에 가족의 수고를 덜어주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27.8%로 가장 많았고, 내 자신의 죽음을 스스로 준비하고 싶어서가 23.0%,그냥 막연히 그래야 할 것 같은 생각에서가 11.7%,미리 준비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 같아서라고 응답한 대상자는 8.5%를 나타냈다. 반면,죽음에 대해 준비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죽음은 아직나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35.7%로 가장 많았고,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가 24.3%,특별히 준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서가 23.0%,죽음을 준비하는 것이 두려워서가 7.5%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ath Attitude on Death Anxiety 임송자, 송선희 연령에 따라서는 30대는 아직 나와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서 죽음을 준비하지 못한 경우가 50.7%로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물론 40대와 50대에서도 아직 나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긴 했지만,그 외에 40대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라는 이유가 높았고,50대에서는 특별히 준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서가 높았다. 또 60대 이상에서는 아직 나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 서의 이유보다는 특별히 준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서의 이유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죽음준비를 잘 하고 있다는 응답도 다른 연령층들보다 가장 높았다 2차 데이터 수집-관련 사회 현상 1:죽음에 대한 미흡한 준비 상태
  • 5.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뉴스 기사 2차 데이터 수집 1:죽음에 대한 미흡한 준비 상태
  • 6.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사별가족의 가족 탄력성, 사회적지지,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Death Recognition on Quality of Death on the Adaptation of Bereavement Family PDF icon 사별가족 은 신체적, 재정적 악화와 심리적 고통, 그리고 복합적 슬 픔을 경험하기도 한다. 사별가족에 대한 슬픔은 사회적 적응을 하기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이며 갑작스럽 게 사별 경험을 한 가족들의 빠른 사회적응을 할 수 있 도록 대응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사별은 누구에게나 피할 수 없는 사건이며 남아있는 가족에게는 커다란 슬픔과 충격을 안겨주고 오래 지속된 유대관계가 깨어지는 현상으로 가족의 건강과 안녕, 생산성을 위협하기도 하고 또한 족구성원의 심리적인 어려움과 재정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복합적인 가족관계와 사회적 문제 등 삶의 전반에 걸쳐 재조정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가족의 사별은 남은 가족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별가족 적응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필수적이고 자신의 생애 과정에 예상되는 어려움이나 적응문제 들을 극복하기 위해 가족의 지지 및 가족 내 구성원의 잠재적인 노력도 요구된다. 죽음인식은 죽음을 극복하고 품 있는 죽 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여 가족이나 주변인들과의 계를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애도의 완성 을 돕는 조건으로 웰다잉 을 맞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죽음에 한 바른 인식이 더욱 아름다운 생을 살고 마무 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생의 마지막 순간들을 의미 있게 맞을 수 있 는 죽음 즉, 웰다잉(well-dying)에 한 심과 사회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웰빙(well-being)은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것이라면, 웰다잉은 웰빙과 상인 개념으로 인간이 인간답게 죽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 해, 웰다잉은 좋은 죽음을 의미는 것으로 죽음에 대비하고, 죽음을 앞둔 상태에서 죽음을 수용하고, 삶이 좋게 마무리되도록 죽음을 아름답고 존엄하게 준비하는 것이다. 즉, 웰다잉은 인생의 행복 한 끝맺음을 해 신체, 사회, 정신, 역할이 잘 공유되어 인간으로서 존엄을 지키며 주변정리를 잘하 고 죽음을 두려움 없이 비하고 자신의 인생이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며 편안한 마음으로 삶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사회적 지지는 삶의 역경을 긍정적인 에너지로 바꿔 정신적 스트레스를 극복하여 스스로 자기 능력에 맞는 가족의 삶을 재구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사별 후 사회적 지지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완 충해 주는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완충 작용과 가족 사별로 인한 어려움을 이겨내며 또한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도 와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긍정적인 죽음 인식’은 가족들이 환자의 마지막 죽음을 지켜보면서 삶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깨달음으로 불안과 공포에서 벗어나 성숙되어지며 죽음 의 진정한 의미를 갖게 해주고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하였다 2차 데이터 수집 2:‘사별가족’에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 7. 죽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Death Recognitio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eath Education Program 연구결과 60세 이상 노년층의 경우 40, 50대에 비해 자신의 죽음을 생각해본 경험과, 죽음 수용에 대한 준비가 낮게 나타난 점은 이를 뒷받침 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인다는 연구결과와 일치되고 있으며, 죽음을거론하는 것은 우리 사회나 가정에서 터부시되고 있으며, 노인 앞에서는 언급을 피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며 특히 고령으로 죽음에 임박한 노인조차 죽음에 관한 생각을 기피하는(26) 우리나라의 죽음에 대한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한국의 문화적 특성이 있음에도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을 받은 후 교육실시 이전보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보고되어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이 더욱 활성화 될 필요가 있겠다. 특히 현대인은 임종 시 장례식장을 이용함에 따라 죽음을 배울 기회가 감소되고, 과학의 발달로 죽음을 선택하고 연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언론 매체를 통해 죽음의 대량화를 목격함에 따라 생명의 존엄성을 경시하게 되고 죽음에 무감각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죽음 현상이 초래하기 전 겪게 되는 퇴행, 고통, 이별, 상실감, 고독, 죽음 이후 세계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단순히 죽음을 피하고 싶은 부정적인 개념으로 인식하게 된다. 삶의 질의 개념과 조화를 이루는 ‘삶의 과정으로서의 죽음’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2000년 이후 한국의 사망원인 1순위는 암이며, 외부요인에 의한 사망원인 중 70대는 자살이 1순위, 80세 이상은 추락사고, 자살 순으로 말기 암과 자살은 노년기죽음의 가장 밀접한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자살률은 2001년 15.1%에서 2006년 21.5%로 증가하여, 2006년 기준 인구 10만 명 당 45.2명이 자살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OECD 평균 24명의 2배에 가까운 수치로서, OECD 국가들 중 자살자 비율이 1위이다 노인의 ‘불행한 죽음’이 급증하고 있는 현상은 현재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고령화와 삶의 질은 반비례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죽음을 우리의 의식 밖으로 밀어내고 싶고 피하고 싶은 문제로 방치해서는 안될 시점이 되었다. 2차 데이터 수집 3:죽음교육과 관련 컨텐츠의 필요성
  • 8. 자살 관련 미디어 노출 빈도에 따른 유아의 죽음 불안의 차이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 of children's fear of death by the frequency of mass media exposure of suicidal.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2차 데이터 수집 4:미디어에서 죽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 9. 자살 관련 미디어 노출 빈도에 따른 유아의 죽음 불안의 차이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 of children's fear of death by the frequency of mass media exposure of suicidal.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2차 데이터 수집 4:미디어에서 죽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 10. 뉴스, TV 등 자료 모음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2차 데이터 수집 4:미디어에서 죽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 11. 4. 미디어에서 죽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뉴스, TV 등 자료 모음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가족탄력성이란 가족들이 위기상황에 직면한 문제의 극한 상황에서 역경을 극복하고 이겨낼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의미하고, 사별 가족들의 슬픔이나 가족 스트레스 등 부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결속력과 친밀감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죽음인식은 죽음에서 바라본 삶에 대한 태도로서 개인 삶에서 형성되어 개인의 삶의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용어정리
  • 12.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1. 당신은 스스로의 죽음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2. 당신이 떠난 후 어떻게 기억되길 원하나요? 3. 기록 매체가 놀랍도록 발전한 현대에도 왜 우리는 유언장 남기기의 죽음 준비밖에 하지 못 할까요? 4. 우리는 서로의 죽음에 사회적 지지자가 될 수 있을까요? 5. 왜 우리는 죽음을 떠올리면 슬픈 감정을 가장 먼저 생각하게 될까요? 6. 인간 성장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죽음은 출생 못지 않게 인생에서 가장 의미있는 사건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7. 왜 그 사건의 주인이 우리 자신이 되지 못하고 있는걸까요? KEY QUESTION
  • 13. 죽음 MIND MAP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 14. 죽음 MIND MAP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 15.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SERVICE CURATION . . . ‘자만시‘는 애써 죽음을 외면하거나 미뤄두었던 자세로부터 극적인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게 한다. 그것을 통해 본래 1인칭의 죽음을 타인의 죽음처럼 객관화 하게 한다고 의미 부여했다. 이어, ‘자만시’는 ‘더는 죽음을 외면하지 말고 나의 것임을 받아들여라’ 라는 드문 사례라면서, 앞으로의 죽음 교육에서 선인들의 ‘자만시’가 활용 되기를 기대한다고 적었다. [죽음 교육 필요성 관련 논문 발췌] 자만시(自挽詩) :자신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 죽은 자를 애도하여 지은 시를 만시(挽詩)라 한다. 이승을 떠난 사람을 기림으로써 그에 대한 추모의 글을 남기는 것이 옛날에는 당연한 예의였다. 이것은 산자가 죽은 자를 위한 마지막 추모행위가 된다.
  • 16.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새로운 브랜딩 제안 ‘죽음’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전환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서비스 다른 방식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새로운 매개의 역할 SERVICE CURATION
  • 17.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SERVICE CURATION BACKGROUND Death Design Service QUESTION 1.죽음에 대한 미흡한 자세(태도/준비/인식) 2.사별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부재 3.’죽음교육’의 필요성 4.미디어 속 노출되는 부정적 죽음 5.죽음의 부정적 이미지 고착화 1. 당신은 스스로의 죽음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2. 당신이 떠난 후 어떻게 기억되길 원하나요? 3. 기록 매체가 놀랍도록 발전한 현대에도 왜 우리는 유언장 남기기와 같은 죽음 준비밖에 하지 못 할까요? 4. 우리는 서로의 죽음에 사회적 지지자가 될 수 있을까요? 5. 왜 우리는 죽음을 떠올리면 슬픈 감정을 가장 먼저 생각하게 될까요? 6. 인간 성장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죽음은 출생 못지 않게 인생에서 가장 의미있는 사건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7. 왜 그 사건의 주인이 우리 자신이 되지 못하고 있는걸까요?
  • 18.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PERSONA Death Design Service for people who have to design the death. ‘죽음’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 죽음으로 가까운 이를 떠나보낸 사람들 죽음을 앞둔 사람들 언젠가 죽음을 겪을 우리
  • 19. ‘기억’을 남기는 삶의 의미를 성찰하는 Death Design Service about Death Design 죽음을 가까이 바라보고, 본인이 죽음의 주인이 되어 직접 기획하고 만들어 나아가는 과정을 통해 삶의 의미를 성찰, 궁극적으로 죽음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서비스 PROJECT GOAL ‘죽음’을 가까이 인식하는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 20. PROJECT GOAL ‘기억’을 남기는 서비스 ‘죽음’을 새롭게 인식하는 서비스 사용자에게 삶을 돌아보고 죽음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마련 누구나 언젠가는 죽음을 마주해야 하기에 죽음을 어두운 것, 피해야 할 것, 두려운 것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함 서로의 마지막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고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의 죽음을 함께 기리며 ‘죽음’을 통해 하나의 새로운 공감이 형성을 위한 사회적 토대의 체험 제공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 21. 죽음 가까이 인식하기 죽음에 대한 구체적인 선택지들을 고민해보고 대비하는 서비스. 사전 의료 의향서/사전 장례의향서 등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던 죽음, 죽음 이후 등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죽음을 가까이 인식하게 한다. SERVICE 1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 22. 기억의 매개체, 토템 SERVICE 2 RESEARCH MINDMAP PROJECT REFERENCE 사람들이 생전 지정해 둔 본인의 데이터에 따라 달라지는 토템. 시각,청각,후각 등 개인의 오감적 취향을 반영하여 자신을 기억하고 기릴 수 있도록 함 토템을 통해 본인을 기억하게 하는 매개체. 예시 이미지 ) LUSH 배쓰밤
  • 23. RESEARCH MINDMAP PROJECT PURPOSE PURPOSE Death Design Service about Death 죽음을 멀고도 슬픈 얘기로만 바라보는 우리의 사고 전환을 돕는 서비스 죽음에 가까이 다가서는 소통의 장이자 삶과 맞닿는 접점이 되어 자신의 죽음에 주목함과 동시에 타인의 죽음까지 사유의 영역을 넓히는 서비스 죽음을 맞이하는 당사자 본인이 참여하고 기획하는 서비스 이 서비스를 통해서 현재의 삶의 의미를 성찰하고, 타인의 생명까지 존중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서로가 서로의 지지자가 되어 공감 공동체를 만들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