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Prof. 강장묵
(kangjm@korea.ac.kr ;
mooknc@gmail.com)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3 주;
교육정보를 서비스할 때, 어떤 교육적 가치를 포함
하는가? 왜 그 가치를 넣어야 하는가?
어떤 방식으로 넣을 수 있는가?
인용: https://www.flickr.com/photos/jurvetson/5512308575/sizes/l
Blog : http://blog.ohmynews.com/UCnam/category/10203
mooknc@gmail.com
March. 2015.
Professor
KOREA University
Ph. D. Kang, Jang Mook
강의 전 숙의할 질문
과연,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기술에 사회적 규범과 약속은 어떻게 될
것인가? 섣부른 기술결정주의적 사고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사회과
학자에게 어떤 탐구가 필요할까? 지금까지 주된 연구는 사회구성론
에 입각한 담론을 강화하고 그 경계를 분명히 하는 작업을 통해 섣부
른 기술결정론적 사고를 가지지 못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함에도
우리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선택의 폭은 좁혀지고 있다.
추천 시스템, 평판 시스템, 게임 이론 등 알고리즘이 제안하는 범위에
서 선택
예를 들어 친구 맺기 역시 사회적 관계와 체험에서 추천되는 것보다
이젠
페이스북 알고리즘이 추천한 관계 지형 내에서 순종적 선택을 강요(?)
받는다.
알고리즘 기반 사회에 우리의 선택은 알고리즘의 스펙트럼 내에 존재한다.
아니, 기술 처리 속도가 인간이 숙고할 만큼의 여분을 주지 않는다.
물에 젖은 낙엽처럼 일상에 스마트 기술이 스며든 세대에게
알고리즘 기반의 추천 사회는
태초 인류 앞에 봄여름가을겨울 같은 초자연적인 현상이 아닐지?
알고리즘에 경도된 사회를 구가함에도
다시 한번 본 강의를 통해 알고리즘에 의한 교육 혁신을
아이러니하게도 강의한다.
인용: http://blog.naver.com/wwwkasa/80149700524
Mihalca와 Miclea(2007)는 교육공학 연구는 교수 컨텐츠에서
교수 메시지 설계로, 그리고 컴퓨터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며 이동 중에 있다고 하였다.
50년대를 시작으로 하여 교수 설계와 교수 내용에 주목하던 시
기를 거쳐 교육공학은 점차 학습의 이론과 실제를 교육 기술에
적용하고자 했다.
학습 촉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구의 개발 역시 초미의 관심
사로 대두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물리적인 메시지 및 인터페이
스 설계 역시 교육공학 연구의 큰 분야로 자리잡았다.
(Mihalca, L., & Miclea, M. (2007). Current trends i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Romanian
Association for Cognitive Science, 11(march), 115-129.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임
현진(HyunJinLim),유예솜(YeSomYoo),정재삼(JaeSamChung),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
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권 2호. 2014 pp.137-159 ).
교육공학 연구의 “새로운 시대”가 보여준 또 다른 분야
는 이러한 교육공학적 연구가 총체적으로 반영되고 설계되며 실
행될 수 있는 교육 환경의 설계
였다(Mihalca & Miclea, 2007).
교육 가치
를 매개로
한 모든
정보
https://www.ollehmap.com/wp-content/themes/churchope/images/platform_2.png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교육공학은 점차 학습의 이론과 실제를 교육 기술에 적용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물리적인 메시지 및 인터페이스 설계 역시 교육공학 연구의 큰 분야로 자리잡았다.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교육에서 미디어, 전달 기기 등 기술의 중요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e-러닝의 대두와 이를 개발하고 외부에 아웃소싱하는 비즈니스, 평가와 국제화 등
다양한 사안이 교육공학 연구와 학문적 영역 확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기술 발전에 맞춰진 실질적 교육이 필요”함을 역설하며 현재 과학 산업에서
발전하고 있는 로봇과 같은 기술이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되어야..주장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교육공학이라는 국제적 학문이 국내에서 어떻게 연구되는지를 파악
하기 위해서는 국내에 특화된 교육적 상황, 즉 국내에서의 학교나 조
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현장의 변화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 교육과 융합교육 등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대두, 다문화 가
정의 증가 및 교육의 국제화 환경 조성 등 다양한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내에서도 교육 과정에 대대적인 개편이 필요하며 새로운 핵심
역량 함양이 요구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김승익, 2010; 이근호, 곽영
순, 이승미, 최정순, 2012).
정보프라이버시에 대한 개인의 불안한 심리는 공정성에 대한 주관적 견해로 파악
될 수 있다.
누군가에 의해 일거수일투족이 감시될 수 있는 사회에서 정보의 비대칭성과 프라
이버시 침해는 공정한 경쟁과 소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동한다.
이를 Campbell(1997)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로 명명하였다.
인용: Campbell, A.J. (1997). Relationship Marketing in Consumer Markets: A Comparison of Managerial and
Consumer Attitudes about Information Privacy. Journal of Direct Marketing, 11(3), 44-57.
http://www.youtube.com/watch?v=NLlGopyXT_g&mode=related&search=(방문일:2015.01.)
What is Digital Culture?
The followings were made to supplement
my shabby presentation.
When you need anything,
please e-mail me at this address at any time.
mooknc@gmail.com
ThanKQkangjm@korea.ac.kr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etbob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Sue Hyun Jung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Kyubok Cho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JongBum Kang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soarnagi1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Han Woo PARK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Han Woo PARK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21ERICK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Kyubok Cho
 
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arpark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현재 정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지현 김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현재 정
 
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
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
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
Han Woo PARK
 
스마트수업설계논문
스마트수업설계논문스마트수업설계논문
스마트수업설계논문
병련 김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Han Woo PARK
 
스마트러닝 교육청 20111123(최종본)
스마트러닝 교육청 20111123(최종본)스마트러닝 교육청 20111123(최종본)
스마트러닝 교육청 20111123(최종본)zyro park
 
미사교기획안
미사교기획안미사교기획안
미사교기획안Bora Na
 
부산인적자원개발원 트리플헬릭스 이슈분석_2012년9월_박한우
부산인적자원개발원 트리플헬릭스 이슈분석_2012년9월_박한우부산인적자원개발원 트리플헬릭스 이슈분석_2012년9월_박한우
부산인적자원개발원 트리플헬릭스 이슈분석_2012년9월_박한우
Han Woo PARK
 

Similar to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20)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
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
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
 
스마트수업설계논문
스마트수업설계논문스마트수업설계논문
스마트수업설계논문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제본용
제본용제본용
제본용
 
스마트러닝 교육청 20111123(최종본)
스마트러닝 교육청 20111123(최종본)스마트러닝 교육청 20111123(최종본)
스마트러닝 교육청 20111123(최종본)
 
미사교기획안
미사교기획안미사교기획안
미사교기획안
 
부산인적자원개발원 트리플헬릭스 이슈분석_2012년9월_박한우
부산인적자원개발원 트리플헬릭스 이슈분석_2012년9월_박한우부산인적자원개발원 트리플헬릭스 이슈분석_2012년9월_박한우
부산인적자원개발원 트리플헬릭스 이슈분석_2012년9월_박한우
 

More from JM code group

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
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
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
JM code group
 
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
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
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
JM code group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JM code group
 
로봇과 교육
로봇과 교육로봇과 교육
로봇과 교육
JM code group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JM code group
 
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
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
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
JM code group
 
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
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
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
JM code group
 
고대8 9주 빅데이터
고대8 9주 빅데이터고대8 9주 빅데이터
고대8 9주 빅데이터
JM code group
 
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
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
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
JM code group
 
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
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
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
JM code group
 
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
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
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
JM code group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JM code group
 
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
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
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
JM code group
 
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
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
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
JM code group
 
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
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
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
JM code group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
JM code group
 
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JM code group
 
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
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
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
JM code group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
JM code group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
JM code group
 

More from JM code group (20)

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
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
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
 
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
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
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로봇과 교육
로봇과 교육로봇과 교육
로봇과 교육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
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
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
 
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
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
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
 
고대8 9주 빅데이터
고대8 9주 빅데이터고대8 9주 빅데이터
고대8 9주 빅데이터
 
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
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
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
 
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
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
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
 
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
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
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
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
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
 
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
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
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
 
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
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
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
 
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
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
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 1.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Prof. 강장묵 (kangjm@korea.ac.kr ; mooknc@gmail.com)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3 주; 교육정보를 서비스할 때, 어떤 교육적 가치를 포함 하는가? 왜 그 가치를 넣어야 하는가? 어떤 방식으로 넣을 수 있는가? 인용: https://www.flickr.com/photos/jurvetson/5512308575/sizes/l
  • 2. Blog : http://blog.ohmynews.com/UCnam/category/10203 mooknc@gmail.com March. 2015. Professor KOREA University Ph. D. Kang, Jang Mook
  • 3. 강의 전 숙의할 질문 과연,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기술에 사회적 규범과 약속은 어떻게 될 것인가? 섣부른 기술결정주의적 사고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사회과 학자에게 어떤 탐구가 필요할까? 지금까지 주된 연구는 사회구성론 에 입각한 담론을 강화하고 그 경계를 분명히 하는 작업을 통해 섣부 른 기술결정론적 사고를 가지지 못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함에도 우리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선택의 폭은 좁혀지고 있다. 추천 시스템, 평판 시스템, 게임 이론 등 알고리즘이 제안하는 범위에 서 선택 예를 들어 친구 맺기 역시 사회적 관계와 체험에서 추천되는 것보다 이젠 페이스북 알고리즘이 추천한 관계 지형 내에서 순종적 선택을 강요(?) 받는다.
  • 4. 알고리즘 기반 사회에 우리의 선택은 알고리즘의 스펙트럼 내에 존재한다. 아니, 기술 처리 속도가 인간이 숙고할 만큼의 여분을 주지 않는다. 물에 젖은 낙엽처럼 일상에 스마트 기술이 스며든 세대에게 알고리즘 기반의 추천 사회는 태초 인류 앞에 봄여름가을겨울 같은 초자연적인 현상이 아닐지? 알고리즘에 경도된 사회를 구가함에도 다시 한번 본 강의를 통해 알고리즘에 의한 교육 혁신을 아이러니하게도 강의한다. 인용: http://blog.naver.com/wwwkasa/80149700524
  • 5.
  • 6.
  • 7. Mihalca와 Miclea(2007)는 교육공학 연구는 교수 컨텐츠에서 교수 메시지 설계로, 그리고 컴퓨터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며 이동 중에 있다고 하였다. 50년대를 시작으로 하여 교수 설계와 교수 내용에 주목하던 시 기를 거쳐 교육공학은 점차 학습의 이론과 실제를 교육 기술에 적용하고자 했다. 학습 촉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구의 개발 역시 초미의 관심 사로 대두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물리적인 메시지 및 인터페이 스 설계 역시 교육공학 연구의 큰 분야로 자리잡았다. (Mihalca, L., & Miclea, M. (2007). Current trends i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Romanian Association for Cognitive Science, 11(march), 115-129.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임 현진(HyunJinLim),유예솜(YeSomYoo),정재삼(JaeSamChung),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 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권 2호. 2014 pp.137-159 ).
  • 8. 교육공학 연구의 “새로운 시대”가 보여준 또 다른 분야 는 이러한 교육공학적 연구가 총체적으로 반영되고 설계되며 실 행될 수 있는 교육 환경의 설계 였다(Mihalca & Miclea, 2007).
  • 9.
  • 10.
  • 11.
  • 12. 교육 가치 를 매개로 한 모든 정보 https://www.ollehmap.com/wp-content/themes/churchope/images/platform_2.png
  • 13.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교육공학은 점차 학습의 이론과 실제를 교육 기술에 적용
  • 14.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물리적인 메시지 및 인터페이스 설계 역시 교육공학 연구의 큰 분야로 자리잡았다.
  • 15.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교육에서 미디어, 전달 기기 등 기술의 중요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 16.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e-러닝의 대두와 이를 개발하고 외부에 아웃소싱하는 비즈니스, 평가와 국제화 등 다양한 사안이 교육공학 연구와 학문적 영역 확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17.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기술 발전에 맞춰진 실질적 교육이 필요”함을 역설하며 현재 과학 산업에서 발전하고 있는 로봇과 같은 기술이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되어야..주장
  • 18.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0권 제2호 교육공학이라는 국제적 학문이 국내에서 어떻게 연구되는지를 파악 하기 위해서는 국내에 특화된 교육적 상황, 즉 국내에서의 학교나 조 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현장의 변화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 교육과 융합교육 등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대두, 다문화 가 정의 증가 및 교육의 국제화 환경 조성 등 다양한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내에서도 교육 과정에 대대적인 개편이 필요하며 새로운 핵심 역량 함양이 요구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김승익, 2010; 이근호, 곽영 순, 이승미, 최정순, 2012).
  • 19. 정보프라이버시에 대한 개인의 불안한 심리는 공정성에 대한 주관적 견해로 파악 될 수 있다. 누군가에 의해 일거수일투족이 감시될 수 있는 사회에서 정보의 비대칭성과 프라 이버시 침해는 공정한 경쟁과 소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동한다. 이를 Campbell(1997)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로 명명하였다. 인용: Campbell, A.J. (1997). Relationship Marketing in Consumer Markets: A Comparison of Managerial and Consumer Attitudes about Information Privacy. Journal of Direct Marketing, 11(3), 44-57.
  • 21. The followings were made to supplement my shabby presentation. When you need anything, please e-mail me at this address at any time. mooknc@gmail.com ThanKQkangjm@kore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