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Prof. 강장묵
(kangjm@korea.ac.kr ;
mooknc@gmail.com)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 차시;
교육 정보란 무엇인가?
교육 정보 서비스란 무엇인가?
Blog : http://blog.ohmynews.com/UCnam/category/10203
mooknc@gmail.com
March. 2015.
Professor
KOREA University
Ph. D. Kang, Jang Mook
강의 방식
하루에 3꼭지
중요한 서비스 3곳
꼭 알아야 할 메시지 3개
를
설명하기 위해
서사적 이야기 구성과
문답식 수업을 합니다.
질문에 답할 때는
정답이 없다.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지금 내 생각이 가치있다.
라는 자신감으로
즉답 하시면 됩니다.
-3-
https://www.youtube.com/watch?v=eGvl5dg3l2M
1. 검색은 왜 필요한가?
2. 매개 역할을 하는 꺼리는 제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플랫폼이
되려는
이유
Purincess(2009), Openness Diagram Rev
http://www.segye.com/Articles/FamilyGlobal/EColumn/Article.asp?aid=20080902001772&cid=0106010200000&subctg1=02&subctg2=00 ision, http://www.flickr.com/photos/purincess/3998063911,(방문일:2010.01)
참여-공유-개방
공유-개방-참여
개방-참여-공유
선순환?
http://www.youtube.com/watch?v=NLlGopyXT_g&mode=related&search=(방문일:2015.01.)
What is Digital Culture?
ICT 기술이 미치는 영역이 특정 서비스와 산업에
국한하지 않는다. 편재하는 컴퓨터(pervasive
computing) 시대가 도래한 것도 아닌데 ICT기술은
이미 정치, 사회로 스며든 지 오래이다. 그리고 ICT
기술은 클라우드, 웨어러블, 빅데이터로 분산되거
나 다시 통합되어 플랫폼화되고 있다.
과연,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기술에 사회적 규범과
약속은 어떻게 될 것인가? 섣부른 기술결정주의적
사고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자에게 어떤
탐구가 필요할까?
지금까지 주된 연구는 사회구성론에 입각한 담론
을 강화하고 그 경계를 분명히 하는 작업을 통해
섣부른 기술결정론적 사고를 가지지 못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터치 기술에 익숙해진 사용자는 무엇을 결
정하기 이전에 터치부터 한다. 사회적 관계와 체험
에 익숙한 이들도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관계 지형
을 넓히는 알고리즘에 순종적이다.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아직도 해결해야할 전
제가 많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오늘날 사회과학의
위기는 기술주도적 사회에 인간의 의지가 작동할
빈공간이 있는가에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술의 속도가 인간이 숙고할 만
큼 여분을 가져야 할 것이고 동시에 인간이 예측
가능한 범위를 가져야 할 것이다.
동시에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은 무엇인지가 필요하다.
그 해결방법으로 인문학이 갖는 풍성한 상상력과
메타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문학은 모든 과학
(공학과 사회과학)의 출발점이자, 인간이 꿈꿀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의 총합이다. 인문학은 사회과학
이 초연결 사회에 사회구성 원리를 공고하게 하는
새로운 시야를 제시할 것이다. 동시에 인문학은 공
학이 기술결정에 매몰되지 않고 인간 중심의 사회
를 구성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굳이 애플의
스티브잡스가 인문학적 사고를 가졌기 때문에 애
플을 다시 재건시키는데 기여했다는 사례를 들지
않더라도 미래의 먹거리는 인문학에 있다. 본 강의
는 인문학이라는 바다에서 건진 상상, 환영, 이야
기, 꿈, 갈증, 희노애락, 욕망 등이 기술정책에 어떻
게 운용되어야 할지에 대한 통찰력을 주고자 한다.
Durotriqes, "Your Move", http://www.flickr.com/photos/durotriges/215248008/ 2007년 10월 방문 인용
11. 제임스 카스가 말한 '유한게임' 과 '무한게임'
유한게임의 목표는 이기는 것이다.
적자생존이다.
승자가 모든 것을 얻는다.
현실 세계의 대부분의 경쟁이 유한게임이다.
하지만 무한게임의 목표는 게임을 개선하는 일이다.
승자는 패자에게 좀 더 게임을 잘 할 수 있도록 조언자 역할을 한다.
승자는 구성권들과 승리를 나누어 갖는다.
따라서 게임의 방향, 양식, 목적, 규칙이 다양하고 복합적이다.
하지만 유한게임은 규칙이 명확하고 고정되어 있으며 좀처럼 바뀌지 않는다.
특히 게임의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규칙이 바뀌지 않는다.
무한게임은 게임 참여자들의 합의 하에 규칙을 바꿔나간다.
무한게임의 참여자들은 죽음을, 게임을 계속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생각한다.
그들은 일생 동안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하는 동안만 사는 것이다.
스튜어트 브랜드, 느림의 지혜, 해냄, 2000.인용
12. 제임스 카스가 말한 '유한게임' 과 '무한게임'
13. 교육 환경을 가득 메운 테일러식 zero sum game
배타적 속성, 정보재,
한계생산비용,
거래비용,
패자의 손실이 승자의
이익
경쟁자 모두의 득과실을
합치면 ?
인용: 강장묵, UCC나비와 유비쿼터스 태풍,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00개의 사용자 메시지,
가상나무 ,
NEC는 오스트리아 남단의 캥거
루 섬, 유칼립투스 나무 ,
지구온난화
14. 참여를 돕는 무한 게임
14. https://www.ecotonoha.com/
15. 공유
The followings were made to supplement
my shabby presentation.
When you need anything,
please e-mail me at this address at any time.
mooknc@gmail.com
ThanKQ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

2010 1215-건국대인문학연구원발표-이정모5-2
2010 1215-건국대인문학연구원발표-이정모5-22010 1215-건국대인문학연구원발표-이정모5-2
2010 1215-건국대인문학연구원발표-이정모5-2
Sungkyunkwan University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soarnagi1
 
스마트캠퍼스V1.1
스마트캠퍼스V1.1스마트캠퍼스V1.1
스마트캠퍼스V1.1
Soojin Shin
 

Similar to 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 (11)

2010 1215-건국대인문학연구원발표-이정모5-2
2010 1215-건국대인문학연구원발표-이정모5-22010 1215-건국대인문학연구원발표-이정모5-2
2010 1215-건국대인문학연구원발표-이정모5-2
 
UX/UI의 전략적 접근: 스마트 헬스케어 사례 고찰
UX/UI의 전략적 접근: 스마트 헬스케어 사례 고찰UX/UI의 전략적 접근: 스마트 헬스케어 사례 고찰
UX/UI의 전략적 접근: 스마트 헬스케어 사례 고찰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스마트캠퍼스V1.1
스마트캠퍼스V1.1스마트캠퍼스V1.1
스마트캠퍼스V1.1
 
증강현실 기술의 동향과 구현 사례(위치정보가 융합된 스마트폰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서비스)
증강현실 기술의 동향과 구현 사례(위치정보가 융합된 스마트폰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서비스) 증강현실 기술의 동향과 구현 사례(위치정보가 융합된 스마트폰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서비스)
증강현실 기술의 동향과 구현 사례(위치정보가 융합된 스마트폰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서비스)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컴 Clip IT 세미나]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오컴 Clip IT 세미나]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오컴 Clip IT 세미나]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오컴 Clip IT 세미나]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통계분석연구회 2016년 여름 맞이 추천 도서와 영상
통계분석연구회 2016년 여름 맞이 추천 도서와 영상통계분석연구회 2016년 여름 맞이 추천 도서와 영상
통계분석연구회 2016년 여름 맞이 추천 도서와 영상
 
소셜 전략 및 사례 (경기여성능력개발원 2014년 6월)
소셜 전략 및 사례 (경기여성능력개발원 2014년 6월)소셜 전략 및 사례 (경기여성능력개발원 2014년 6월)
소셜 전략 및 사례 (경기여성능력개발원 2014년 6월)
 

More from JM code group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JM code group
 

More from JM code group (20)

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
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
빅데이터와 인문융합 비즈니스 모델
 
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
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
2015 isaca conference_io_t_case_150904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핀테크 정보교육시스템 특론 마지막 강의
 
로봇과 교육
로봇과 교육로봇과 교육
로봇과 교육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빅데이터 힐링 맵 개발
 
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
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
기술과 인문융합 (교육정보시스템특론) 12주
 
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
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
라이프 로깅 서비스 교육정보시스템
 
고대8 9주 빅데이터
고대8 9주 빅데이터고대8 9주 빅데이터
고대8 9주 빅데이터
 
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
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
고려대 교육정보 서비스 특론 7주
 
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
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
교육정보서비스 사물인터넷 강의 6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교육정보서비스 특론 3주
 
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
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
고려대 워크샵 141206 강장묵
 
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
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
모바일 미디어론 14주 모바일 공론장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3주차141203
 
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모바일 미디어론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
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
모바일 미디어론 12주 141120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11주차141119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
유비쿼터스환경과교육
 
데이터 저널리즘
데이터 저널리즘데이터 저널리즘
데이터 저널리즘
 

고대 대학원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주

  • 1.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Prof. 강장묵 (kangjm@korea.ac.kr ; mooknc@gmail.com) 교육정보서비스특론 2 차시; 교육 정보란 무엇인가? 교육 정보 서비스란 무엇인가?
  • 2. Blog : http://blog.ohmynews.com/UCnam/category/10203 mooknc@gmail.com March. 2015. Professor KOREA University Ph. D. Kang, Jang Mook
  • 3. 강의 방식 하루에 3꼭지 중요한 서비스 3곳 꼭 알아야 할 메시지 3개 를 설명하기 위해 서사적 이야기 구성과 문답식 수업을 합니다. 질문에 답할 때는 정답이 없다.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지금 내 생각이 가치있다. 라는 자신감으로 즉답 하시면 됩니다. -3-
  • 5.
  • 6. 1. 검색은 왜 필요한가? 2. 매개 역할을 하는 꺼리는 제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7.
  • 9.
  • 10.
  • 11. Purincess(2009), Openness Diagram Rev http://www.segye.com/Articles/FamilyGlobal/EColumn/Article.asp?aid=20080902001772&cid=0106010200000&subctg1=02&subctg2=00 ision, http://www.flickr.com/photos/purincess/3998063911,(방문일:2010.01)
  • 14. ICT 기술이 미치는 영역이 특정 서비스와 산업에 국한하지 않는다. 편재하는 컴퓨터(pervasive computing) 시대가 도래한 것도 아닌데 ICT기술은 이미 정치, 사회로 스며든 지 오래이다. 그리고 ICT 기술은 클라우드, 웨어러블, 빅데이터로 분산되거 나 다시 통합되어 플랫폼화되고 있다. 과연,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기술에 사회적 규범과 약속은 어떻게 될 것인가? 섣부른 기술결정주의적 사고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자에게 어떤 탐구가 필요할까? 지금까지 주된 연구는 사회구성론에 입각한 담론 을 강화하고 그 경계를 분명히 하는 작업을 통해 섣부른 기술결정론적 사고를 가지지 못하게 하는 것이었다.
  • 15. 그러나 터치 기술에 익숙해진 사용자는 무엇을 결 정하기 이전에 터치부터 한다. 사회적 관계와 체험 에 익숙한 이들도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관계 지형 을 넓히는 알고리즘에 순종적이다.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아직도 해결해야할 전 제가 많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오늘날 사회과학의 위기는 기술주도적 사회에 인간의 의지가 작동할 빈공간이 있는가에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술의 속도가 인간이 숙고할 만 큼 여분을 가져야 할 것이고 동시에 인간이 예측 가능한 범위를 가져야 할 것이다. 동시에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은 무엇인지가 필요하다.
  • 16. 그 해결방법으로 인문학이 갖는 풍성한 상상력과 메타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문학은 모든 과학 (공학과 사회과학)의 출발점이자, 인간이 꿈꿀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의 총합이다. 인문학은 사회과학 이 초연결 사회에 사회구성 원리를 공고하게 하는 새로운 시야를 제시할 것이다. 동시에 인문학은 공 학이 기술결정에 매몰되지 않고 인간 중심의 사회 를 구성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굳이 애플의 스티브잡스가 인문학적 사고를 가졌기 때문에 애 플을 다시 재건시키는데 기여했다는 사례를 들지 않더라도 미래의 먹거리는 인문학에 있다. 본 강의 는 인문학이라는 바다에서 건진 상상, 환영, 이야 기, 꿈, 갈증, 희노애락, 욕망 등이 기술정책에 어떻 게 운용되어야 할지에 대한 통찰력을 주고자 한다.
  • 17. Durotriqes, "Your Move", http://www.flickr.com/photos/durotriges/215248008/ 2007년 10월 방문 인용 11. 제임스 카스가 말한 '유한게임' 과 '무한게임'
  • 18. 유한게임의 목표는 이기는 것이다. 적자생존이다. 승자가 모든 것을 얻는다. 현실 세계의 대부분의 경쟁이 유한게임이다. 하지만 무한게임의 목표는 게임을 개선하는 일이다. 승자는 패자에게 좀 더 게임을 잘 할 수 있도록 조언자 역할을 한다. 승자는 구성권들과 승리를 나누어 갖는다. 따라서 게임의 방향, 양식, 목적, 규칙이 다양하고 복합적이다. 하지만 유한게임은 규칙이 명확하고 고정되어 있으며 좀처럼 바뀌지 않는다. 특히 게임의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규칙이 바뀌지 않는다. 무한게임은 게임 참여자들의 합의 하에 규칙을 바꿔나간다. 무한게임의 참여자들은 죽음을, 게임을 계속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생각한다. 그들은 일생 동안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하는 동안만 사는 것이다. 스튜어트 브랜드, 느림의 지혜, 해냄, 2000.인용 12. 제임스 카스가 말한 '유한게임' 과 '무한게임'
  • 19. 13. 교육 환경을 가득 메운 테일러식 zero sum game 배타적 속성, 정보재, 한계생산비용, 거래비용, 패자의 손실이 승자의 이익 경쟁자 모두의 득과실을 합치면 ? 인용: 강장묵, UCC나비와 유비쿼터스 태풍,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 20. 100개의 사용자 메시지, 가상나무 , NEC는 오스트리아 남단의 캥거 루 섬, 유칼립투스 나무 , 지구온난화 14. 참여를 돕는 무한 게임
  • 23.
  • 24. The followings were made to supplement my shabby presentation. When you need anything, please e-mail me at this address at any time. mooknc@gmail.com ThanK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