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5년 전의 나에게”
(대학원 신입생이 꼭 알아야할 연구실
생활의 팁)
2015.3.29.
대학원 총학생회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전산학부 교수 문수복
내가 92년 대학원에 진학할 때
• Pascal과 C 언어 쓸 줄 알았고
• William Stalling 네트워크 교과서로
공부했고
• PC-based X 터미널 개발을 2년 했고
• 대학원에 관한 정보는 종로 고합빌딩의
유학원에서 본 카탈로그가 전부였다
2
그리고 80년대 대학
생활하면서…
• Thesaurus란 걸 들어본 적도 없었고
• Technical writing에 관한 수업 들어본 적
없고
• Technical writing in English는 더 듣보”강”
• 석사 지도교수님과는 1:1 연구얘기
해보지못했고
• 내 박사지도교수를 만나본 사람을 알지
못했다
3
그래도 박사과정 진학하면서
– 국비유학을 가게 되서 돈 걱정을 덜 했고
– 열심히 공부해야지 맘먹었고
– 좋은 연구해야지 맘먹었다
• 그렇지만 …
– 어떻게 좋은 연구를 해야할지 몰랐고
– 어떻게 좋은 연구를 해야할지 방법에 대해
물어볼 생각도 못했다
4
요즘 대학원 진학하는 학생들은
• Pascal과 C 언어 쓸 줄 알고
C++/Java/Python
• William Stalling 대신 Kurose&Ross
• PC-based X 터미널 개발을 2년 했고
아마도?
• 대학원에 관한 정보는 종로 고합빌딩의
유학원에서 본 카탈로그가 전부였다
인터넷 활용
5
그리고 대학 생활하면서…
• Thesaurus란 걸 들어본 적도 없었고 있고
• Technical writing에 관한 수업 들어본 적
없고있고
• Technical writing in English는 더 듣보”강”
아마도?
• 석사 지도교수님과는 1:1 연구얘기
해보지못했고
• 내 박사지도교수를 만나본 사람을 알지
못했다
6
KAIST 석박사과정 진학하면서
– 국비유학을 가게 되서 돈 걱정을 덜 했고
– 열심히 공부해야지 맘먹었고
– 좋은 연구해야지 맘먹었다
• 그렇지만 …
– 어떻게 좋은 연구를 해야할지 몰랐고 URP??
– 어떻게 좋은 연구를 해야할지 방법에 대해
물어볼 생각도 못했다 보고있다!
7
25년 전의 나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
지도교수에 대한 “환상” 타파!
환상 #1: 나에 대해 다 알고 있다!
• 우리 지도교수는 알고 있다
– 내가 코딩 좀 한다는 거
– 내가 영어 좀 한다는 거
– 내가 나름 착실하게 연구실에 나온다는 거
• 하지만 실제로는 … 모르신다
– 내가 어떤 툴로 코딩 작업을 하는지
– 지난 주에 무슨 논문을 읽고 어떻게
생각했는지
– 전전주에 어디서 막혀서 연구 진도를 못내고
있는지10
환상 #2: 내가 풀어야할 문제를 알고 있다!
• 우리 지도교수는
– 내가 대학원 진학할 때 쓴 SoP 기억하실까?
– 어느 과제에 돈이 있는지 알고 있고
– 풀고 싶은 문제가 몇 개 있다
• 하지만
– 내가 관심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모를 수도
있다
– 문제 접근 방법이 나랑 다를 수도 있다
– 문제에 대한 답을 나와 마찬가지로 모른다
11
환상 #3: 지도교수는 슈퍼맨이다
• 지도교수님께서
– 새벽 3시에 보낸 이멜에 오전 7시면 답을
주신다
– 논문 데드라인이 추석 다음 날이라 추석
포기하신다
– 추천서 부탁드리면 당일로 처리해주신다
• 절대 그럴리 없다 ....
12
왜냐하면 …
• 난 N명의 지도학생 중 1명이고
• 교수님은 매년 P개의 외부논문리뷰를 하시고
• Q개의 강의를 하시고
• R개의 추천서를 쓰시고
• S개의 세미나를 들으시고
• X개의 위원회 회의를 매주 하시고
• Y번의 국내출장과
• Z번의 국외출장을 소화하신다
N=10
P=20
Q=3
R=5
S=40
X=5
Y=30
Z=4
[(365 – 52x2 – 14 - Yx0.5 - Zx5) x (8 – X/5)
– 4xP - 6xQx16 - 4xR - S] / N x 52 = 1.99시간/주
13
계산에 포함되지 않은 교수의
잡무
• 학부 지도학생 면담
• 과제 제안서/계획서/보고서 작성 및 발표
• 이멜 답변 (하루 50통 이하)
• ERP 승인
• 신설 교과목 설계
• 결론: <= 1시간
14
대책 #1: 1시간을 최대 활용하라!
• 연구 방향에 대한 의견?
“이런 아이디어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지금 진행되고 있는 연구 진행 상황에 대한 의견?
“지난 주에 여기까지 했고, 이번 주는 이렇게
진행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관련 분야 최신 연구 정보 공유?
“지난 주 다녀오신 학회에서 제일 눈에 띈 연구는?”
• 작성된 논문에 대한 feedback?
“이번 금요일 오전까지 의견주시면 반영해서 담주
월요일 오전 데드라인에 맞춰 제출하겠습니다”
15
대책 #2: 없는 시간을 만들어라!
• Elevator Pitch!
– 언제든 만나면 연구 상황에 대해 업데해드리기
• 5분만!
– 정기 미팅 시간이 아니라도 짬짬이 인터럽트
16
대책 #3: No Surprises!
• 미팅 때 다음 주까지 해 올 내용 상호 확인
– “라쇼몽” 현상 없어지기까지 얼마나 걸리느냐가 관건
• 지도교수는 당신의 영원한 세일즈맨
– 내가 요즘 뭔 생각으로 뭘 하고 있는지 아셔야
– 기회닿을 때마다 학생 자랑, 특히 졸업 가까워지면
(주) 라쇼몽 현상: 같은 사건에 대해 전혀 다른 기억을 갖고 있는 경우. 학생들이
미팅에서 잘 이해하지 못하고 교수 앞에서 “네”를 하곤, 다음 주엔 전혀 다른 것을
해온다. 보통 2-3주 후에 이해해서 가지고 오거나, 석사 졸업할 때까지 못해 오는
경우 등등 분산의 폭이 넓다. 모르면 질문하고 확인하자.
17
즐거운 대학원 생활 되세요!
http://an.kaist.ac.kr/~sbmoon/
http://www.slideshare.com/mseoran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130323 KAIST CS 아주 소소한 진로 설명회
130323 KAIST CS 아주 소소한 진로 설명회130323 KAIST CS 아주 소소한 진로 설명회
130323 KAIST CS 아주 소소한 진로 설명회
Yunseok Jang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Sungwoo Park
 
[180718] ML 분야 유학 및 취업 준비 설명회 @SNU
[180718] ML 분야 유학 및 취업 준비 설명회 @SNU[180718] ML 분야 유학 및 취업 준비 설명회 @SNU
[180718] ML 분야 유학 및 취업 준비 설명회 @SNU
Yunseok Jang
 
논문 잘 읽는 법
논문 잘 읽는 법논문 잘 읽는 법
논문 잘 읽는 법
Suhkyung Kim
 
ML 유학 HOW TO
ML 유학 HOW TOML 유학 HOW TO
ML 유학 HOW TO
Juyong Kim
 
취업특강: 취업,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취업특강: 취업,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취업특강: 취업,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취업특강: 취업,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Yoon Sup Choi
 
머신러닝 해외 취업 준비: 닳고 닳은 이력서와 고통스러웠던 면접을 돌아보며 SNU 2018
머신러닝 해외 취업 준비: 닳고 닳은 이력서와 고통스러웠던 면접을 돌아보며 SNU 2018머신러닝 해외 취업 준비: 닳고 닳은 이력서와 고통스러웠던 면접을 돌아보며 SNU 2018
머신러닝 해외 취업 준비: 닳고 닳은 이력서와 고통스러웠던 면접을 돌아보며 SNU 2018
Taehoon Kim
 
나의 이직 이야기
나의 이직 이야기나의 이직 이야기
나의 이직 이야기
종립 이
 
論文の書き方入門 2017
論文の書き方入門 2017論文の書き方入門 2017
論文の書き方入門 2017
Hironori Washizaki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Wonha Ryu
 
プログラミングコンテストでのデータ構造 2 ~平衡二分探索木編~
プログラミングコンテストでのデータ構造 2 ~平衡二分探索木編~プログラミングコンテストでのデータ構造 2 ~平衡二分探索木編~
プログラミングコンテストでのデータ構造 2 ~平衡二分探索木編~
Takuya Akiba
 
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하기
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하기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하기
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하기
Changyol BAEK
 
MongoDBを用いたソーシャルアプリのログ解析 〜解析基盤構築からフロントUIまで、MongoDBを最大限に活用する〜
MongoDBを用いたソーシャルアプリのログ解析 〜解析基盤構築からフロントUIまで、MongoDBを最大限に活用する〜MongoDBを用いたソーシャルアプリのログ解析 〜解析基盤構築からフロントUIまで、MongoDBを最大限に活用する〜
MongoDBを用いたソーシャルアプリのログ解析 〜解析基盤構築からフロントUIまで、MongoDBを最大限に活用する〜Takahiro Inoue
 
AtCoder Beginner Contest 004 解説
AtCoder Beginner Contest 004 解説AtCoder Beginner Contest 004 解説
AtCoder Beginner Contest 004 解説
AtCoder Inc.
 
コンポーネント指向による、Reactのベストプラクティスとバッドプラクティス
コンポーネント指向による、Reactのベストプラクティスとバッドプラクティスコンポーネント指向による、Reactのベストプラクティスとバッドプラクティス
コンポーネント指向による、Reactのベストプラクティスとバッドプラクティス
Kohei Asai
 
情報推薦システム入門:講義スライド
情報推薦システム入門:講義スライド情報推薦システム入門:講義スライド
情報推薦システム入門:講義スライド
Kenta Oku
 
pymcとpystanでベイズ推定してみた話
pymcとpystanでベイズ推定してみた話pymcとpystanでベイズ推定してみた話
pymcとpystanでベイズ推定してみた話
Classi.corp
 
AtCoder Beginner Contest 007 解説
AtCoder Beginner Contest 007 解説AtCoder Beginner Contest 007 解説
AtCoder Beginner Contest 007 解説
AtCoder Inc.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Yurim Jin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Javajigi Jaesung
 

What's hot (20)

130323 KAIST CS 아주 소소한 진로 설명회
130323 KAIST CS 아주 소소한 진로 설명회130323 KAIST CS 아주 소소한 진로 설명회
130323 KAIST CS 아주 소소한 진로 설명회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180718] ML 분야 유학 및 취업 준비 설명회 @SNU
[180718] ML 분야 유학 및 취업 준비 설명회 @SNU[180718] ML 분야 유학 및 취업 준비 설명회 @SNU
[180718] ML 분야 유학 및 취업 준비 설명회 @SNU
 
논문 잘 읽는 법
논문 잘 읽는 법논문 잘 읽는 법
논문 잘 읽는 법
 
ML 유학 HOW TO
ML 유학 HOW TOML 유학 HOW TO
ML 유학 HOW TO
 
취업특강: 취업,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취업특강: 취업,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취업특강: 취업,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취업특강: 취업,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머신러닝 해외 취업 준비: 닳고 닳은 이력서와 고통스러웠던 면접을 돌아보며 SNU 2018
머신러닝 해외 취업 준비: 닳고 닳은 이력서와 고통스러웠던 면접을 돌아보며 SNU 2018머신러닝 해외 취업 준비: 닳고 닳은 이력서와 고통스러웠던 면접을 돌아보며 SNU 2018
머신러닝 해외 취업 준비: 닳고 닳은 이력서와 고통스러웠던 면접을 돌아보며 SNU 2018
 
나의 이직 이야기
나의 이직 이야기나의 이직 이야기
나의 이직 이야기
 
論文の書き方入門 2017
論文の書き方入門 2017論文の書き方入門 2017
論文の書き方入門 2017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プログラミングコンテストでのデータ構造 2 ~平衡二分探索木編~
プログラミングコンテストでのデータ構造 2 ~平衡二分探索木編~プログラミングコンテストでのデータ構造 2 ~平衡二分探索木編~
プログラミングコンテストでのデータ構造 2 ~平衡二分探索木編~
 
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하기
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하기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하기
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하기
 
MongoDBを用いたソーシャルアプリのログ解析 〜解析基盤構築からフロントUIまで、MongoDBを最大限に活用する〜
MongoDBを用いたソーシャルアプリのログ解析 〜解析基盤構築からフロントUIまで、MongoDBを最大限に活用する〜MongoDBを用いたソーシャルアプリのログ解析 〜解析基盤構築からフロントUIまで、MongoDBを最大限に活用する〜
MongoDBを用いたソーシャルアプリのログ解析 〜解析基盤構築からフロントUIまで、MongoDBを最大限に活用する〜
 
AtCoder Beginner Contest 004 解説
AtCoder Beginner Contest 004 解説AtCoder Beginner Contest 004 解説
AtCoder Beginner Contest 004 解説
 
コンポーネント指向による、Reactのベストプラクティスとバッドプラクティス
コンポーネント指向による、Reactのベストプラクティスとバッドプラクティスコンポーネント指向による、Reactのベストプラクティスとバッドプラクティス
コンポーネント指向による、Reactのベストプラクティスとバッドプラクティス
 
情報推薦システム入門:講義スライド
情報推薦システム入門:講義スライド情報推薦システム入門:講義スライド
情報推薦システム入門:講義スライド
 
pymcとpystanでベイズ推定してみた話
pymcとpystanでベイズ推定してみた話pymcとpystanでベイズ推定してみた話
pymcとpystanでベイズ推定してみた話
 
AtCoder Beginner Contest 007 解説
AtCoder Beginner Contest 007 解説AtCoder Beginner Contest 007 解説
AtCoder Beginner Contest 007 解説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Similar to 25년전의 나에게 (대학원 신입생이 꼭 알아야할 연구실 생활의 팁)

150329_GradSchoolOrientation.pdf
150329_GradSchoolOrientation.pdf150329_GradSchoolOrientation.pdf
150329_GradSchoolOrientation.pdf
taehyeokjang2
 
질문법과 구글링
질문법과 구글링질문법과 구글링
질문법과 구글링
JinYeong Bak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Chris Ohk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민주 홍
 
교육실습준비와수업
교육실습준비와수업교육실습준비와수업
교육실습준비와수업
균상 류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Junhee Woo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동민 김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최종본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최종본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최종본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최종본
Junhee Woo
 
재미로 시작한 개발 공부 열 달, 그리고 삽질기
재미로 시작한 개발 공부 열 달, 그리고 삽질기재미로 시작한 개발 공부 열 달, 그리고 삽질기
재미로 시작한 개발 공부 열 달, 그리고 삽질기
휘준 정
 
0715 didudo 2discourse
0715 didudo 2discourse0715 didudo 2discourse
0715 didudo 2discourse
기종 유
 
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sachoung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Le Minh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Sangsu Song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유림 이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유림 이
 
How I ended up with three degrees in three departments
How I ended up with three degrees in three departmentsHow I ended up with three degrees in three departments
How I ended up with three degrees in three departments
Sangwoong Yoon
 
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
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
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
changehee lee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상화 이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상화 이
 
마디를 만들어가며 성장하기
마디를 만들어가며 성장하기마디를 만들어가며 성장하기
마디를 만들어가며 성장하기
Seung Joon Choi
 

Similar to 25년전의 나에게 (대학원 신입생이 꼭 알아야할 연구실 생활의 팁) (20)

150329_GradSchoolOrientation.pdf
150329_GradSchoolOrientation.pdf150329_GradSchoolOrientation.pdf
150329_GradSchoolOrientation.pdf
 
질문법과 구글링
질문법과 구글링질문법과 구글링
질문법과 구글링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준비와수업
교육실습준비와수업교육실습준비와수업
교육실습준비와수업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최종본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최종본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최종본
기말 프로젝트 페르소나 최종본
 
재미로 시작한 개발 공부 열 달, 그리고 삽질기
재미로 시작한 개발 공부 열 달, 그리고 삽질기재미로 시작한 개발 공부 열 달, 그리고 삽질기
재미로 시작한 개발 공부 열 달, 그리고 삽질기
 
0715 didudo 2discourse
0715 didudo 2discourse0715 didudo 2discourse
0715 didudo 2discourse
 
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초등학생 대상_네이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젝트_소프트웨어야 놀자 연구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5주차 과제] 퍼소나,시나리오 (1)
 
How I ended up with three degrees in three departments
How I ended up with three degrees in three departmentsHow I ended up with three degrees in three departments
How I ended up with three degrees in three departments
 
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
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
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드림프로젝트 '낙서하는 책' 최종
 
마디를 만들어가며 성장하기
마디를 만들어가며 성장하기마디를 만들어가며 성장하기
마디를 만들어가며 성장하기
 

25년전의 나에게 (대학원 신입생이 꼭 알아야할 연구실 생활의 팁)

  • 1. “25년 전의 나에게” (대학원 신입생이 꼭 알아야할 연구실 생활의 팁) 2015.3.29. 대학원 총학생회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전산학부 교수 문수복
  • 2. 내가 92년 대학원에 진학할 때 • Pascal과 C 언어 쓸 줄 알았고 • William Stalling 네트워크 교과서로 공부했고 • PC-based X 터미널 개발을 2년 했고 • 대학원에 관한 정보는 종로 고합빌딩의 유학원에서 본 카탈로그가 전부였다 2
  • 3. 그리고 80년대 대학 생활하면서… • Thesaurus란 걸 들어본 적도 없었고 • Technical writing에 관한 수업 들어본 적 없고 • Technical writing in English는 더 듣보”강” • 석사 지도교수님과는 1:1 연구얘기 해보지못했고 • 내 박사지도교수를 만나본 사람을 알지 못했다 3
  • 4. 그래도 박사과정 진학하면서 – 국비유학을 가게 되서 돈 걱정을 덜 했고 – 열심히 공부해야지 맘먹었고 – 좋은 연구해야지 맘먹었다 • 그렇지만 … – 어떻게 좋은 연구를 해야할지 몰랐고 – 어떻게 좋은 연구를 해야할지 방법에 대해 물어볼 생각도 못했다 4
  • 5. 요즘 대학원 진학하는 학생들은 • Pascal과 C 언어 쓸 줄 알고 C++/Java/Python • William Stalling 대신 Kurose&Ross • PC-based X 터미널 개발을 2년 했고 아마도? • 대학원에 관한 정보는 종로 고합빌딩의 유학원에서 본 카탈로그가 전부였다 인터넷 활용 5
  • 6. 그리고 대학 생활하면서… • Thesaurus란 걸 들어본 적도 없었고 있고 • Technical writing에 관한 수업 들어본 적 없고있고 • Technical writing in English는 더 듣보”강” 아마도? • 석사 지도교수님과는 1:1 연구얘기 해보지못했고 • 내 박사지도교수를 만나본 사람을 알지 못했다 6
  • 7. KAIST 석박사과정 진학하면서 – 국비유학을 가게 되서 돈 걱정을 덜 했고 – 열심히 공부해야지 맘먹었고 – 좋은 연구해야지 맘먹었다 • 그렇지만 … – 어떻게 좋은 연구를 해야할지 몰랐고 URP?? – 어떻게 좋은 연구를 해야할지 방법에 대해 물어볼 생각도 못했다 보고있다! 7
  • 8. 25년 전의 나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
  • 10. 환상 #1: 나에 대해 다 알고 있다! • 우리 지도교수는 알고 있다 – 내가 코딩 좀 한다는 거 – 내가 영어 좀 한다는 거 – 내가 나름 착실하게 연구실에 나온다는 거 • 하지만 실제로는 … 모르신다 – 내가 어떤 툴로 코딩 작업을 하는지 – 지난 주에 무슨 논문을 읽고 어떻게 생각했는지 – 전전주에 어디서 막혀서 연구 진도를 못내고 있는지10
  • 11. 환상 #2: 내가 풀어야할 문제를 알고 있다! • 우리 지도교수는 – 내가 대학원 진학할 때 쓴 SoP 기억하실까? – 어느 과제에 돈이 있는지 알고 있고 – 풀고 싶은 문제가 몇 개 있다 • 하지만 – 내가 관심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모를 수도 있다 – 문제 접근 방법이 나랑 다를 수도 있다 – 문제에 대한 답을 나와 마찬가지로 모른다 11
  • 12. 환상 #3: 지도교수는 슈퍼맨이다 • 지도교수님께서 – 새벽 3시에 보낸 이멜에 오전 7시면 답을 주신다 – 논문 데드라인이 추석 다음 날이라 추석 포기하신다 – 추천서 부탁드리면 당일로 처리해주신다 • 절대 그럴리 없다 .... 12
  • 13. 왜냐하면 … • 난 N명의 지도학생 중 1명이고 • 교수님은 매년 P개의 외부논문리뷰를 하시고 • Q개의 강의를 하시고 • R개의 추천서를 쓰시고 • S개의 세미나를 들으시고 • X개의 위원회 회의를 매주 하시고 • Y번의 국내출장과 • Z번의 국외출장을 소화하신다 N=10 P=20 Q=3 R=5 S=40 X=5 Y=30 Z=4 [(365 – 52x2 – 14 - Yx0.5 - Zx5) x (8 – X/5) – 4xP - 6xQx16 - 4xR - S] / N x 52 = 1.99시간/주 13
  • 14. 계산에 포함되지 않은 교수의 잡무 • 학부 지도학생 면담 • 과제 제안서/계획서/보고서 작성 및 발표 • 이멜 답변 (하루 50통 이하) • ERP 승인 • 신설 교과목 설계 • 결론: <= 1시간 14
  • 15. 대책 #1: 1시간을 최대 활용하라! • 연구 방향에 대한 의견? “이런 아이디어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지금 진행되고 있는 연구 진행 상황에 대한 의견? “지난 주에 여기까지 했고, 이번 주는 이렇게 진행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관련 분야 최신 연구 정보 공유? “지난 주 다녀오신 학회에서 제일 눈에 띈 연구는?” • 작성된 논문에 대한 feedback? “이번 금요일 오전까지 의견주시면 반영해서 담주 월요일 오전 데드라인에 맞춰 제출하겠습니다” 15
  • 16. 대책 #2: 없는 시간을 만들어라! • Elevator Pitch! – 언제든 만나면 연구 상황에 대해 업데해드리기 • 5분만! – 정기 미팅 시간이 아니라도 짬짬이 인터럽트 16
  • 17. 대책 #3: No Surprises! • 미팅 때 다음 주까지 해 올 내용 상호 확인 – “라쇼몽” 현상 없어지기까지 얼마나 걸리느냐가 관건 • 지도교수는 당신의 영원한 세일즈맨 – 내가 요즘 뭔 생각으로 뭘 하고 있는지 아셔야 – 기회닿을 때마다 학생 자랑, 특히 졸업 가까워지면 (주) 라쇼몽 현상: 같은 사건에 대해 전혀 다른 기억을 갖고 있는 경우. 학생들이 미팅에서 잘 이해하지 못하고 교수 앞에서 “네”를 하곤, 다음 주엔 전혀 다른 것을 해온다. 보통 2-3주 후에 이해해서 가지고 오거나, 석사 졸업할 때까지 못해 오는 경우 등등 분산의 폭이 넓다. 모르면 질문하고 확인하자. 17
  • 18. 즐거운 대학원 생활 되세요! http://an.kaist.ac.kr/~sbmoon/ http://www.slideshare.com/mseor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