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1
Download to read offline
수정하는 ‘삶, 쓰기’
2022 체인지온@미디토리 11/18 (금)
이소영
글쓰기 강사
글쓰기가 있는 곳에서 서성이며 배회하는 사람,
그래서 계속 떠돌고 있는 사람.
그곳에서 아름다운 것을 주워 모으는 사람.
그렇기 때문에 고립되지 않고 연결 될 수 있는 고리를 가진 사람.
마련되어야 하는 자리
‘자신의 이야기’를 쓰려면 마련되어야 하는 자리가 필요하다는 것
1) 얼어붙은 말을 깨뜨리는 과정
2) 기존의 읽고 쓰는 방식과는 다른 리터러시 필요
;글쓰기는 경험에 내재한 고유한 주체를 재구성 하는 것
(삶을 관통하여 구축된 자기 정체성)
시간+공간+사람
마음먹고 동래에 새로 생겼다는 서점을 갔다. 언
어 장애가 있는 나는 말을 어눌하 게 할 수밖에
없었다. “계십니까? 아저씨 안녕하세요.”라고
인사 했는데 갑자기 중 년 아저씨가 나와 동전
오백원을 주면서 “나가! 오지마! 이제는 안 줄
거야.” 라고 했다. “아니, 아저씨 책 사러 왔는
데요.” 하니까 “안 팔아. 오지마!” 하셨다. 눈물
이 났다. 너무 황당해서 말이 더 나오지 않았다.
그 아저씨 태도에 너무 화가 났다. 정신을 차리
고 다시 문을 열었다. “저는 손님인데요.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 한권 주세요.”라고
했다. 하지만 그 책은 서점에 없었다. 그 때의
경험으로 얼마 동안은 서점에 못 갔다. 지금은
인터넷이 발달해서 눈치 안 보고 책을 사지만 한
동안 서점을 멀리했다. 지금은 당당하지만 그때
는 뭔가 억울했다. 겉모습만 보고 판단을 하는
건 모순이 많다. 그렇지만 외모지상주의에서는
겉모습이 전부인 것만 같다. 다음엔 정우성으로
태어나야지~
/양산장애인자립생활센터 조영희
“글쓰기란 넘을 수 없는 벽에 문을 그린 후
그 문을 여는 것이다.”
- 크리스티앙 보뱅, 󰡔환희의 인간󰡕
쓰는 사람이 아주 깊이 내려가 뭔가 말하면
읽는 사람도 같이 깊이 내려가 읽는다.
발화(쓰고 읽는)되는 공간에 있는 (듣는)사람들은
어떤 의미로든 거기에 응답할 수밖에 없다.
응답하는 자리
접속 : 그려진 문 열기
글을 쓰는 사람이 문(글)을 만들면 > 그것을 읽고 들은 사람들은 그 문(글)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 글을 쓴 사람은 누군가를 안으로 들이고 > 들어
간 사람은 나올 때 다시 한번 그 문을 열어야 한다 (고립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는 고리)
내가 얼마나 다수자로서의 ‘나’로 형성되어 있는지 알게 됨
그들이 글을 통해 자신을 인식했던 것처럼
나를 인식하고 성찰하는 자리에 놓이게 됨
그 과정에서 ‘연결’과 ‘변화’의 가능성
[나의 나선] 교육현장에서 매번 나를 힘들게 한 것이
있었다. 바로 음성 중심의 소통 방식이었다. 나와 같
이 청력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늘 고통이었지만, 그럼
에도 그것이 나의 문제라고만 생각했기에 묵묵히 학교
를 다녔던 것 같다. 하지만 그런 소통방식이 익숙하지
않았던 나는 수업의 진도를 따라가기가 많이 어려웠고
이해하기 힘들었다. 속으로 선생님과 친구들이, 혹은
방송실에서 흘러나오는 스피커 속 음성에 도대체 뭐라
고 하는 걸까?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같은 생각만 수
없이 했다. 21살이 될 때 까지 나는 늘 그렇게 배제
되었던 것 같다. 21살이 되고 나는 동료상담이라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동료상담에서 나와 비
슷한 상황의 사람들이 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거기 참여하면서 한가지를 알게 되었다. 여기
있는 사람들은 나처럼 배제와 무시와 거부와 분리를
당해봤던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무엇이 우리를 힘들게 하였는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것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그렇게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양산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기창
리쾨르는 ‘이야기 정체성’을 말하며
주체가 자기 자신에 관한 이야기에서
자기를 인식, 그 이야기 속에서 끊임
없이 생성되고 해체되는 정체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이야기 속에서
생성되는 정체성
자기를 돌아보고 나머지
삶을 원하는 삶으로 편성
한다. 그렇게 실천적인
자신을 형성하고 내면의
회복을 거치며 긍정적인
관점으로 나아간다.
수정하는 삶, 쓰기
-글쓰기라는 미디어의 특성과 힘 (영상과 차별화 되는 점)
-서사 접속을 통하여 상대방의 자기서사를 변화시킴(수정)과
동시에 자신의 자기서사도 변화(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
수정하는 삶, 쓰기
주체가 내면을 충실하게 서술(기록/발화)할 수 있는 환경
글쓰기 실천(작업 결과물)
공유(출판/전시)
수정하는 삶, 쓰기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016 이상한 모임 advent event "올해배운것" 12월7일
2016 이상한 모임 advent event "올해배운것" 12월7일2016 이상한 모임 advent event "올해배운것" 12월7일
2016 이상한 모임 advent event "올해배운것" 12월7일Hye-ran Kim
 
도라지꽃 2015년 5월호
도라지꽃 2015년 5월호도라지꽃 2015년 5월호
도라지꽃 2015년 5월호마 법사
 
Eden book-february-ahn140330
Eden book-february-ahn140330Eden book-february-ahn140330
Eden book-february-ahn140330희준 한
 
윤이형소설집(240~250)
윤이형소설집(240~250)윤이형소설집(240~250)
윤이형소설집(240~250)literat
 
나의꿈이야기
나의꿈이야기나의꿈이야기
나의꿈이야기Young-mi Kim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5월 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5월 6월econewsletter
 
[2020 체인지온] 이슬아와 함께 하는 글쓰기 워크숍
[2020 체인지온] 이슬아와 함께 하는 글쓰기 워크숍[2020 체인지온] 이슬아와 함께 하는 글쓰기 워크숍
[2020 체인지온] 이슬아와 함께 하는 글쓰기 워크숍daumfoundation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ssuser129d67
 
세바시15분 차별의 대가에서 소통의 달인으로 - 안준철 순천효산고 교사
세바시15분 차별의 대가에서 소통의 달인으로 - 안준철 순천효산고 교사세바시15분 차별의 대가에서 소통의 달인으로 - 안준철 순천효산고 교사
세바시15분 차별의 대가에서 소통의 달인으로 - 안준철 순천효산고 교사cbs15min
 
세바시 15분 권율 미 PBS 'Link Asia' 진행자 - 내 안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
세바시 15분 권율 미 PBS 'Link Asia' 진행자 - 내 안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세바시 15분 권율 미 PBS 'Link Asia' 진행자 - 내 안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
세바시 15분 권율 미 PBS 'Link Asia' 진행자 - 내 안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cbs15min
 
임팩트스토리 매거진 그 첫 번째 '모두, 하잉!'
임팩트스토리 매거진 그 첫 번째 '모두, 하잉!'임팩트스토리 매거진 그 첫 번째 '모두, 하잉!'
임팩트스토리 매거진 그 첫 번째 '모두, 하잉!'Npocenter Seoul
 
도라지꽃 2015년 11월호
도라지꽃 2015년 11월호도라지꽃 2015년 11월호
도라지꽃 2015년 11월호마 법사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hiiocks kim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hiiocks kim
 
보이는 소리 들리는 마음 @노선영 청각장애인 작가
 보이는 소리 들리는 마음  @노선영 청각장애인 작가 보이는 소리 들리는 마음  @노선영 청각장애인 작가
보이는 소리 들리는 마음 @노선영 청각장애인 작가cbs15min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은영 김
 
가을은 독서의 계절(청소년 추천책 포함)
가을은 독서의 계절(청소년 추천책 포함)가을은 독서의 계절(청소년 추천책 포함)
가을은 독서의 계절(청소년 추천책 포함)tdreamtree
 

Similar to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0)

2016 이상한 모임 advent event "올해배운것" 12월7일
2016 이상한 모임 advent event "올해배운것" 12월7일2016 이상한 모임 advent event "올해배운것" 12월7일
2016 이상한 모임 advent event "올해배운것" 12월7일
 
도라지꽃 2015년 5월호
도라지꽃 2015년 5월호도라지꽃 2015년 5월호
도라지꽃 2015년 5월호
 
Eden book-february-ahn140330
Eden book-february-ahn140330Eden book-february-ahn140330
Eden book-february-ahn140330
 
대전평생교육(01+02월호)
대전평생교육(01+02월호)대전평생교육(01+02월호)
대전평생교육(01+02월호)
 
윤이형소설집(240~250)
윤이형소설집(240~250)윤이형소설집(240~250)
윤이형소설집(240~250)
 
나의꿈이야기
나의꿈이야기나의꿈이야기
나의꿈이야기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5월 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5월 6월
 
[2020 체인지온] 이슬아와 함께 하는 글쓰기 워크숍
[2020 체인지온] 이슬아와 함께 하는 글쓰기 워크숍[2020 체인지온] 이슬아와 함께 하는 글쓰기 워크숍
[2020 체인지온] 이슬아와 함께 하는 글쓰기 워크숍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세바시15분 차별의 대가에서 소통의 달인으로 - 안준철 순천효산고 교사
세바시15분 차별의 대가에서 소통의 달인으로 - 안준철 순천효산고 교사세바시15분 차별의 대가에서 소통의 달인으로 - 안준철 순천효산고 교사
세바시15분 차별의 대가에서 소통의 달인으로 - 안준철 순천효산고 교사
 
세바시 15분 권율 미 PBS 'Link Asia' 진행자 - 내 안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
세바시 15분 권율 미 PBS 'Link Asia' 진행자 - 내 안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세바시 15분 권율 미 PBS 'Link Asia' 진행자 - 내 안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
세바시 15분 권율 미 PBS 'Link Asia' 진행자 - 내 안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
 
임팩트스토리 매거진 그 첫 번째 '모두, 하잉!'
임팩트스토리 매거진 그 첫 번째 '모두, 하잉!'임팩트스토리 매거진 그 첫 번째 '모두, 하잉!'
임팩트스토리 매거진 그 첫 번째 '모두, 하잉!'
 
도라지꽃 2015년 11월호
도라지꽃 2015년 11월호도라지꽃 2015년 11월호
도라지꽃 2015년 11월호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서평 쓰기(김진희 표현의 인문학)
 
보이는 소리 들리는 마음 @노선영 청각장애인 작가
 보이는 소리 들리는 마음  @노선영 청각장애인 작가 보이는 소리 들리는 마음  @노선영 청각장애인 작가
보이는 소리 들리는 마음 @노선영 청각장애인 작가
 
47
4747
47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
 
가을은 독서의 계절(청소년 추천책 포함)
가을은 독서의 계절(청소년 추천책 포함)가을은 독서의 계절(청소년 추천책 포함)
가을은 독서의 계절(청소년 추천책 포함)
 

More from 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ChangeON@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ChangeON@
 

More from ChangeON@ (20)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 1. 수정하는 ‘삶, 쓰기’ 2022 체인지온@미디토리 11/18 (금) 이소영
  • 2. 글쓰기 강사 글쓰기가 있는 곳에서 서성이며 배회하는 사람, 그래서 계속 떠돌고 있는 사람. 그곳에서 아름다운 것을 주워 모으는 사람. 그렇기 때문에 고립되지 않고 연결 될 수 있는 고리를 가진 사람.
  • 3. 마련되어야 하는 자리 ‘자신의 이야기’를 쓰려면 마련되어야 하는 자리가 필요하다는 것 1) 얼어붙은 말을 깨뜨리는 과정 2) 기존의 읽고 쓰는 방식과는 다른 리터러시 필요 ;글쓰기는 경험에 내재한 고유한 주체를 재구성 하는 것 (삶을 관통하여 구축된 자기 정체성) 시간+공간+사람
  • 4. 마음먹고 동래에 새로 생겼다는 서점을 갔다. 언 어 장애가 있는 나는 말을 어눌하 게 할 수밖에 없었다. “계십니까? 아저씨 안녕하세요.”라고 인사 했는데 갑자기 중 년 아저씨가 나와 동전 오백원을 주면서 “나가! 오지마! 이제는 안 줄 거야.” 라고 했다. “아니, 아저씨 책 사러 왔는 데요.” 하니까 “안 팔아. 오지마!” 하셨다. 눈물 이 났다. 너무 황당해서 말이 더 나오지 않았다. 그 아저씨 태도에 너무 화가 났다. 정신을 차리 고 다시 문을 열었다. “저는 손님인데요.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 한권 주세요.”라고 했다. 하지만 그 책은 서점에 없었다. 그 때의 경험으로 얼마 동안은 서점에 못 갔다. 지금은 인터넷이 발달해서 눈치 안 보고 책을 사지만 한 동안 서점을 멀리했다. 지금은 당당하지만 그때 는 뭔가 억울했다. 겉모습만 보고 판단을 하는 건 모순이 많다. 그렇지만 외모지상주의에서는 겉모습이 전부인 것만 같다. 다음엔 정우성으로 태어나야지~ /양산장애인자립생활센터 조영희
  • 5. “글쓰기란 넘을 수 없는 벽에 문을 그린 후 그 문을 여는 것이다.” - 크리스티앙 보뱅, 󰡔환희의 인간󰡕 쓰는 사람이 아주 깊이 내려가 뭔가 말하면 읽는 사람도 같이 깊이 내려가 읽는다. 발화(쓰고 읽는)되는 공간에 있는 (듣는)사람들은 어떤 의미로든 거기에 응답할 수밖에 없다. 응답하는 자리
  • 6. 접속 : 그려진 문 열기 글을 쓰는 사람이 문(글)을 만들면 > 그것을 읽고 들은 사람들은 그 문(글)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 글을 쓴 사람은 누군가를 안으로 들이고 > 들어 간 사람은 나올 때 다시 한번 그 문을 열어야 한다 (고립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는 고리) 내가 얼마나 다수자로서의 ‘나’로 형성되어 있는지 알게 됨 그들이 글을 통해 자신을 인식했던 것처럼 나를 인식하고 성찰하는 자리에 놓이게 됨 그 과정에서 ‘연결’과 ‘변화’의 가능성
  • 7. [나의 나선] 교육현장에서 매번 나를 힘들게 한 것이 있었다. 바로 음성 중심의 소통 방식이었다. 나와 같 이 청력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늘 고통이었지만, 그럼 에도 그것이 나의 문제라고만 생각했기에 묵묵히 학교 를 다녔던 것 같다. 하지만 그런 소통방식이 익숙하지 않았던 나는 수업의 진도를 따라가기가 많이 어려웠고 이해하기 힘들었다. 속으로 선생님과 친구들이, 혹은 방송실에서 흘러나오는 스피커 속 음성에 도대체 뭐라 고 하는 걸까?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같은 생각만 수 없이 했다. 21살이 될 때 까지 나는 늘 그렇게 배제 되었던 것 같다. 21살이 되고 나는 동료상담이라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동료상담에서 나와 비 슷한 상황의 사람들이 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거기 참여하면서 한가지를 알게 되었다. 여기 있는 사람들은 나처럼 배제와 무시와 거부와 분리를 당해봤던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무엇이 우리를 힘들게 하였는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것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그렇게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양산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기창
  • 8. 리쾨르는 ‘이야기 정체성’을 말하며 주체가 자기 자신에 관한 이야기에서 자기를 인식, 그 이야기 속에서 끊임 없이 생성되고 해체되는 정체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이야기 속에서 생성되는 정체성 자기를 돌아보고 나머지 삶을 원하는 삶으로 편성 한다. 그렇게 실천적인 자신을 형성하고 내면의 회복을 거치며 긍정적인 관점으로 나아간다. 수정하는 삶, 쓰기
  • 9. -글쓰기라는 미디어의 특성과 힘 (영상과 차별화 되는 점) -서사 접속을 통하여 상대방의 자기서사를 변화시킴(수정)과 동시에 자신의 자기서사도 변화(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 수정하는 삶, 쓰기
  • 10. 주체가 내면을 충실하게 서술(기록/발화)할 수 있는 환경 글쓰기 실천(작업 결과물) 공유(출판/전시) 수정하는 삶,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