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CoB: Consumer’s Contents
Consuming Behavior
멀티미디어 환경의 소비자 행동 기반
콘텐츠 파워/가치 측정 모델



Feb 2013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미디어 이용 행태의 변화
                                                                       CoB 모델 개요 및 주요 Findings

                                                                       CoB 주요 결과
                                                                       2012 프로그램 Review
I. 미디어 이용 행태의 변화
TOPLINE summary
                                                                      CoB: Consumer’s Contents Consuming Behavior
                                                                       멀티미디어 / 플랫폼의 확대는 소비자의 다양한 Behavior를 유발
                                                                      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따라 새로운 Measurement의 개발 및 필요성 대두




                                                                                  모바일 기반 Audience 의 급격한 증가
                                                                           1
                                                                                  -TV, 온라인 다소 증가, 모바일 급격한 성장




                                                                                  Multi-Screen을 통한 콘텐츠 소비의 확대
                                                                           2
                                                                                  - 동일 콘텐츠 기준, TV와 인터넷 병행 시청(10%), TV와 모바일 병행 시청 (7.7%)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81%의 소비자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3
                                                                                  - 미디어 환경 전반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영향력 증가



                                                                                  TV 컨텐츠 시청 중 소셜 TV 이용 비중은 13.3%
                                                                           4      - 해외에서는 이미 TV 콘텐츠의 소셜 Ranking 발표
                                                                                  - 닐슨-트위터 또한 소셜TV Rating 발표 예정




                                                                                                                                          4
MORE, MORE, MORE

                                                                       과거 대비 TV, 인터넷(온라인), 모바일 이용자 수 증가
                                                                       특히, 모바일 이용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함




                                                                                                     TV                              ONLINE                             MOBILE

                                                                             구분         개인 시청자 수 (시청률)                              온라인 UV                              모바일 UV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2011년           4,540,325 (12.6%)                       32,252,852                         11,859,687

                                                                            2012년           6,457,255 (14.0%)                       32,755,458                         21,234,410

                                                                             증가율               +42% (+11%)                             +1.6%                               +79%
                                                                                       *Source: Nielsen TAM panel data,   *Source: Nielsen Online panel data   *Source: Nielsen mobile panel
                                                                                       총 개인시청률(PUT, 개인 4세 이상),             해당 기간 동안 실제 인터넷을                     data, 모바일 패널의 경우 2011년
                                                                                       national                            이용한 이용자 수                            data가 없어 2012년 1월과
                                                                                                                                                                2012년 12월을 비교함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및
                                                                                                                                                                태블릿 모두 포함
                                                                                                                                                                해당 기간 동안 실제 모바일을
                                                                                                                                                                이용한 이용자 수



                                                                                                                                                                                               5
모바일 이용자 수는 증가, 온라인 이용자 수는 정체




                                                                                     (UV: 온라인, 모바일 )                                                                 (평균 시청자 수 : TV)
                                                                      40,000,000                                                                                                               8,000,000
                                                                                                                                                                                                                    33,339,413
                                                                      35,000,000                                                                                                               7,000,000            (UV) (12월 기준)
                                                                                                                                                                                                           ONLINE
                                                                      30,000,000                                                                                                               6,000,000
                                                                                                                                                                                                                    개인 평균 시청자 수
                                                                      25,000,000                                                                                                               5,000,000            7,181,189
                                                                                                                                                                                                                    (시청률은 15.5%)
                                                                      20,000,000                                                                                                               4,000,000     TV
                                                                                                                                                                                                                    (12월 기준)
                                                                      15,000,000                                                                                                               3,000,000
                                                                                                                                                                                                                    21,234,41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UV) (12월 기준)
                                                                      10,000,000                                                                                                               2,000,000
                                                                                                                                                                                                           MOBILE
                                                                       5,000,000                                                                                                               1,000,000

                                                                              0                                                                                                                -
                                                                                                                                         01-JUL
                                                                                                              01-APR
                                                                                   01-JAN


                                                                                            01-FEB




                                                                                                                                                                    01-OCT
                                                                                                                                                           01-SEP




                                                                                                                                                                                      01-DEC
                                                                                                     01-MAR




                                                                                                                                                                             01-NOV
                                                                                                                                                  01-AUG
                                                                                                                                01-JUN
                                                                                                                       01-MAY




                                                                                                                       ONLINE            MOBILE                TV


                                                                      *Source
                                                                       - TV 시청률 : Nielsen TAM panel data, 총 개인시청률(PUT, 개인 4세이상), national
                                                                      - 온라인 및 모바일 : Nielsen Online Panel data, Nielsen Mobile Panel data, 모바일 패널의 경우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이용 시간 모두 포함
                                                                                                                                                                                                                                    6
모바일 이용 시간 대폭 증가

                                                                       TV는 소폭 늘어난 반면, 온라인은 모바일로 인해 하락
                                                                       전체 미디어 이용 시간도 증가했으며, 특히 모바일 이용 시간이 증가 영향이 커, 점차 모바일을 베이스로 한 미디어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단위 : 시간)

                                                                                                                    Daily Time Spent
                                                                                                                                                                  2012    2011
                                                                                                                                                         모바일은 2011년도 데이터가 없어
                                                                                                                   3:15        8.9%                         2012년 3월과 12월을 비교
                                                                                            TV
                                                                                                                 2:59


                                                                                                     1:16
                                                                                        ONLINE
                                                                                                       1:33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3:40           120.0%
                                                                                        MOBILE
                                                                                                        1:40


                                                                                                                                                        8:11          32.0%
                                                                                         TOTAL
                                                                                                                                         6:12


                                                                      *Source
                                                                       - TV 시청 시간: Nielsen TAM panel data, 전국/전채널(KBS1, KBS2, MBC, SBS, EBS, OBS, 케이블, 위성, 기타)
                                                                        - 온라인 : Nielsen Online Panel data, web + app traffic
                                                                       - 모바일 : Nielsen Mobile Panel data,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이용 시간 모두 포함, Web+App 이용 시간 (단, 비인지적 이용 시간인 홈 이용 시간
                                                                                제외)                                                                                                  7
플랫폼별 소비 시간은 연령에 따라 편차 존재

                                                                       모바일은 20대 이하 젊은 연령층의 이용 시간이 많고, TV는 남성 대비 여성이 많이 보는 편임




                                                                                                                                                                             (단위 : 시간)

                                                                                                                     Daily Time Spent by demo.




                                                                                         TV                                   ONLINE                       MOBILE

                                                                              MALE               2:48                MALE       1:20               MALE        3:35
                                                                            FEMALE                   3:41           FEMALE     0:57               FEMALE           3:45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20대미만          1:36                     20대 미만     0:43               20대 미만               4:42
                                                                               20대        1:34                        20대       1:21                20대               4:34
                                                                               30대            2:31                    30대       1:19                30대       3:15
                                                                               40대                   3:40             40대       1:15                40대      3:00
                                                                              50대+                          5:23     50대 +     1:01                50대 +    2:37


                                                                      *Source
                                                                       - TV 시청률: Nielsen TAM panel data, 전국/전채널(KBS1, KBS2, MBC, SBS, EBS, OBS, 케이블, 위성, 기타), 2012 연간 데이터 기준
                                                                       - 온라인 : Nielsen Online Panel data, web + app traffic
                                                                       - 모바일 : Nielsen Mobile Panel data,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이용 시간 모두 포함, Web+App 이용 시간 (단, 비인지적 이용 시간인 홈 이용 시간
                                                                               제외), 2012년 12월 데이터 기준                                                                                     8
약 10%가 동일한 TV 컨텐츠를 multi screen을 이용해
                                                                      시청함
                                                                      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도 시청하는 비중은 10%,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을 모바일로도 시청하는
                                                                        비중은 7.7%임




                                                                                ONLINE                                                                         MOBILE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10.0%                                                 7.7%
                                                                                            의 응답자가                                             의 응답자가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을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을
                                                                                           PC로도 시청함                                           모바일로도 시청함
                                                                                                                         TV



                                                                      Source:   CVI, 2-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75,653
                                                                                Q. 귀하께서는 OOO 프로그램을 어떤 방식을 통해 시청하셨습니까? 최근 1주일 기준으로 시청해 보신 방식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1) TV 2) PC(스트리밍, 다운로드) 3) DMB 4) 스마트 TV 5) 태블릿 PC(스트리밍, 다운로드) 6) 스마트폰(스트리밍, 다운로드)
                                                                                                                                                                        9
남성, 20대가 multi screen 이용 비중이 높음

                                                                       TV 컨텐츠를 2 screen으로 시청하는 비중은 남성, 20대가 많음.
                                                                       특히, 20대 후반이 TV 뿐만 아니라 모바일로도 시청하는 비중이 높음




                                                                                            TV and Online                                      TV and mobile


                                                                                            MALE              11.6                           MALE             9.0


                                                                                          FEMALE            8.4                            FEMALE        6.4

                                                                                       AGES 20-24                 15.0                  AGES 20-24            9.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AGES 25-29                 14.9                  AGES 25-29             10.8

                                                                                       AGES 30-34           10.4                        AGES 30-34        7.5

                                                                                       AGES 35-39       7.9                             AGES 35-39        7.3

                                                                                       AGES 40-44       6.9                             AGES 40-44       6.3

                                                                                       AGES 45-49     4.6                               AGES 45-49      4.7


                                                                      Source:   CVI, 2-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75,653
                                                                                Q. 귀하께서는 OOO 프로그램을 어떤 방식을 통해 시청하셨습니까? 최근 1주일 기준으로 시청해 보신 방식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1) TV 2) PC(스트리밍, 다운로드) 3) DMB 4) 스마트 TV 5) 태블릿 PC(스트리밍, 다운로드) 6) 스마트폰(스트리밍, 다운로드)
                                                                                                                                                                      10
소셜 미디어의 대중화

                                                                       81%가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 13.3%가 최근 TV 프로그램에 관련 최근 1주일 내 SNS에 글을 올린 적이 있음




                                                                                  81%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of consumers is spent on social
                                                                                                                           People continue to spend time on
                                                                                     network service like Facebook,
                                                                                                                             social networks regarding TV
                                                                                      one of the most popular web
                                                                                                                                   contents. (13.3%)
                                                                                             brand in Korea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33,354
                                                                                Q. 귀하께서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등과 같은 SNS를 현재 사용하고 계십니까?
                                                                                Q. 귀하께서는 OOO 프로그램에 대해 1주일 내 SNS에 글을 남긴 적이 있습니까?
                                                                                                                                                              11
Multi screen 이용자가 소셜 TV 이용률 높음



                                                                                               TV and Online                                                   TV and mobile

                                                                        SOCIAL TV                                                          SOCIAL TV
                                                                        이용률                                                                이용률
                                                                        36.2%                                                              43.6%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4,195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3,435


                                                                                         SNS에 남기는 글의 내용(%)                                               SNS에 남기는 글의 내용(%)

                                                                                   프로그램 스토리라인/전반적 내용                                45            프로그램 스토리라인/전반적 내용                             44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출연자의 의상/액세서리                        37                   프로그램에서 얻은 새로운 정보                        38

                                                                                         출연자 정보 및 일상 생활                     36                           출연자 정보 및 일상 생활                     38

                                                                                     프로그램에서 얻은 새로운 정보                       36                          프로그램에서 나오는 PPL                     36

                                                                                         프로그램에서 나오는 PPL                    32                             출연자의 의상/액세서리                     35

                                                                                프로그램 이벤트/방청권 참여를 위한 글                     31                  프로그램 이벤트/방청권 참여를 위한 글                       32

                                                                                         프로그램 중간/전/후 광고                   29                            프로그램 중간/전/후 광고                    31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복수 응답, 사례 수 n=1,517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복수 응답, 사례 수 n=1,496
                                                                      Q. 귀하께서는 OOO 프로그램에 대해 1주일 내 SNS에 글을 남긴 적이 있습니까?
                                                                      Q. 귀하께서는 SNS을 통해 OOO 프로그램의 어떤 것에 대해 글을 남기셨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복수응답]
                                                                                                                                                                                                          12
Trendrr에서는 SNS/어플의 소셜TV Rating 측정

                                                                       TV프로그램에 대한 주요 SNS 및 체크인 기반 소셜 TV,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반응을 통합하여 일간, 주간 시청률
                                                                        차트를 제공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13
블루핀에서는 SNS를 바탕으로 소셜TV Rating 측정

                                                                       온라인 상에서의 TV광고/TV 프로그램에 대해 SNS를 통해 회자되는 정도, 영향 등을 측정하여 발표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14
Nielsen & Twitter TV Rating

                                                                       Social Network가 활성화되면서 TV를 시청하는 동시에 Social Network를 사용하는 Social TV 트렌드가 생겨남에
                                                                        따라, 기존 시청률 지수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시청률 지수가 필요해짐
                                                                       여러 SNS 채널 중에서도, ‘Twitter’는 전세계적인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주요 SNS 채널임



                                                                                         최근 SNS/Social TV 트렌드                         Twitter – 미국 내 Top 3 Social Network

                                                                       • 미국 전체 국민 중 44%가 태블릿PC 보유                          • 미국 내에서 Social Network 채널 중 주요 3개 채널에 속함
                                                                       • 미국 전체 국민 중 38%가 스마트폰 보유                           • 페이스북 다음으로 많은 사용자를 자랑하는 전세계 2위의
                                                                                                                             Social Network 어플리케이션
                                                                       • 트위터 사용자의 33%가 TV 프로그램에 관해서 활발한
                                                                         트윗을 게재함                                           • 2011년 10월 기준으로 2,500만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자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 매일 TV를 시청하면서 SNS를 사용하는 행태가 증가하는
                                                                         추세임.                                              • “TV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데 트위터가
                                                                                                                             제격”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Source : NM Incite’s SocialGuide, July 2012,      * Source: Nielsen NetView (October 2012) and Nielsen Smartphone
                                                                        Nielsen Mobile Connected Devices Report Q2 2012     Analytics (October 2012)




                                                                               “이에 Nielsen은 Twitter와 협력하여, TV시청률 조사에 Twitter를 활용하는 새로운
                                                                                      시청률 조사 방법인 ‘Nielsen & Twitter TV Rating’ 지수를 개발"



                                                                                                                                                                                            15
Nielsen & Twitter TV Rating

                                                                       '닐슨 트위터 TV 시청률‘은 미국 전역 234개 TV 채널의 프로그램이 Twitter를 통해 얼마나 회자되는지 측정함으로써
                                                                        기존 시청률 지수를 보완하는 지수임.
                                                                       광고주, 프로그램 제작자는 이를 통해 좀 더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집행 가능
                                                                       ‘닐슨 트위터 TV 시청률’은 다음과 같은 4가지 Key point로 클라이언트에 도움을 주고자 함




                                                                                                        TV에 관한 모든 트윗을
                                                                                                    1   Social TV 시청률에 대한 Syndicated 리포트 제공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Social TV 시청률과 Nielsen의 기존 TV 시청률을
                                                                                                    2   연결 분석하여 데이터 제공


                                                                                                        Social TV의 생태계를 이해, 활용하여
                                                                                                    3   투자 대비 효용을 최대화 할 수 있게 함


                                                                                                        소비자의 Watch & Buy 활동에
                                                                                                    3   Social TV가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인사이트 제공



                                                                                                                                                16
II. CoB 모델 개요 및 주요 findings
THE BIG ISSUES




                                                                       1   TV 시청률만으로 프로그램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을까?



                                                                       2   TV 시청률이 높은 컨텐츠에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3   TV 시청률이 비슷하다면 어느 컨텐츠에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가?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4   마케팅 효과(ROI)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어느 컨텐츠를 활용해야 하는가?
WHAT IS CoB

                                                                       CoB는 TV 컨텐츠의 효율성과 가치를 측정합니다




                                                                                TV Ratings                        CoB

                                                                                          Measures     Measures
                                                                              how many people tuned    how consumers responded
                                                                                        to a channel   to contents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19
CoB: Engagement Metrics as “Currency”


                                                                      Highlights

                                                                       지수 혹은 모델 개발 주체의 관점에 따라 개발 의도나 사용
                                                                        목적이 다르겠지만, 분명한 것은 변화된 미디어 환경이나
                                                                        미디어, 콘텐츠 소비 행위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신문과방송, 2012.12)
                                                                       Behavior가 많이 유발되는 콘텐츠는 소비자와
                                                                        engaged(몰입하고 있는) & Influencial(영향력 있는) 컨텐츠인
                                                                        경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광고계 동향, 2012.5)
                                                                       CoB가 높은 콘텐츠는 시청자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
                                                                        광고 구매 시에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만하다 (서울경제,
                                                                        2012.3.2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콘텐츠 사업자들은 소비자 행동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TV 시청·시청 후 행동·공유 행위 사이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 (연합뉴스,
                                                                        2012.4.18)




                                                                                                                      20
HOW WE DID OUR SURVEY




                                                                           조사 대상 컨텐츠
                                                                       • 지상파 3사, CJ E&M의 드라마, 연예/오락, 음악(오디션 포함), 인포테인먼트 등 4개 장르 70여 개 내외 프로그램
                                                                       • 뉴스, 시사, 다큐, 어린이, 스포츠, 1회성 특집, 영화 등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
                                                                       • 드라마 중 일일드라마는 편성량의 영향을 고려하여 조사 대상에서 제외


                                                                              조사 방법
                                                                       • CVI: Web Survey 형식의 소비자 조사, 2012년 2월~12월 누적 샘플 수 75,653명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CPI: Nielsen Online Panel 대상 Web data Rolling 방식으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추정


                                                                              조사 기간
                                                                       • 2012년 2월부터 현재까지 지속 진행
                                                                       • CVI : 매월 조사, CPI : 매주 조사




                                                                                                                                                21
KEY METRICS




                                                                       CPI: Contents Power Index     CVI: Contents Value Index

                                                                       조사 대상 컨텐츠의 주간 단위별             조사 대상 컨텐츠의 [시청-행동-공유]
                                                                       시청량/ 검색량 / 뉴스 구독량 /           행동 단계별 소비자의 질적 가치를 측정,
                                                                       홈페이지 방문량 / 소셜미디어 버즈량의 [시청 –   [소비자–콘텐츠]간 몰입 가치 산출
                                                                       행동- 공유]의 행동 단계별 실측 데이터 산출




                                                                       ACTIONABLE INSIGHT            AE/ROI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조사 대상 컨텐츠별                    조사 대상 컨텐츠별
                                                                       • 성/연령/가구소득별 분석               • AE (Ad Engagement)
                                                                       •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률                  - 개별 프로그램별 광고몰입도
                                                                       • N-Screen 콘텐츠 소비 행태          • ROI(Return on Investment)
                                                                       • 트렌드/영향력/구매력/가치관 분석            - 개별 프로그램별 제품 구입 경험/
                                                                       • Valuable Consumers              의향/PPL 가치 등




                                                                                                                                   22
KEY METRICS - CPI




                                                                         행동 유형              행동 측정 항목                                  조사 기준 및 근거

                                                                                      TV시청자수                     전국 / 2049세 남녀 / All Platform
                                                                            시청
                                                                           (VIEW)
                                                                                      온라인/모바일 시청자수               전국 / 2049세 남녀, 월별 CVI 조사 응답자수

                                                                                      프로그램 기사/뉴스 구독자수            포털 4개사(네이버, 다음, 네이트, (야후)) 및 네이버 뉴스캐스트 등재
                                                                                      (Light Action)             언론사 기준 온라인 기사의 표본조사를 통한 추정 구독자 수

                                                                            행동        프로그램 홈페이지 방문자 수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프로그램 공식사이트(디렉토리 단위) 표본 조사를 통한 추정 방문자 수
                                                                           (ACT)      (Active Action)

                                                                                      프로그램 직접 검색자 수              국내 주요 포털(네이버, 다음, 네이트, 구글, (야후), 줌 등)에서의 표본
                                                                                      (Active Action)            조사를 통한 추정 검색자 수

                                                                                                                 블로그 630만개+, 게시판 850개+, SNS 788만개+, 전문사이트 2,460개,
                                                                            공유
                                                                                      프로그램 버즈량                   클럽 164,396개, 지식검색서비스 전수 수집, 동영상 92개 카테고리
                                                                          (SHARE)
                                                                                                                 (2012년 11월 1일 기준)

                                                                      * 온라인/모바일 시청량은 시장환경 성숙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콘텐츠 시청 데이터 조사 방식이 제한적.
                                                                       이에 따라 닐슨컴퍼니 소비자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적용 산출함 (Q. 각 프로그램별 최근 1주일 내 콘텐츠 시청방식)
                                                                      * 야후의 경우 2012년 12월까지는 포함되나, 2013년 1월부터는 한국에서의 야후 철수에 따라 표집 대상에서는 제외됨
                                                                      * CPI의 측정량은 “프로그램명”이 포함된 온라인상의 Buzz량 및 “프로그램 공식 SNS 계정” 내 Buzz량을 대상으로 함



                                                                                                                                                                    23
KEY METRICS - CVI




                                                                       행동 유형          행동 측정 항목                      조사 기준 및 근거


                                                                                  재미와 즐거움/ 흥미와 관심/
                                                                         시청                          국내외 140개 프로그램 평가항목 리뷰
                                                                                  유익한 정보/ 트렌드 등의
                                                                        (VIEW)                       Pilot 조사를 통해 시청자가 중요하게 고려하는 시청가치 항목 도출
                                                                                  10개 시청 가치 항목




                                                                          행동      온라인,모바일 시청 등의
                                                                                                     국내외 조사 평가 항목에 대한 Pilot 조사를 통해 항목 도출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ACT)    3개 행동 가치 항목




                                                                          공유      온라인 공유/ 오프라인 공유
                                                                                                     국내외 조사 평가 항목에 대한 Pilot 조사를 통해 항목 도출
                                                                        (SHARE)   2개 공유 가치 항목




                                                                                                                                              24
KEY METRICS – MARKETING VALUE




                                                                             측정 항목               측정 주기                      측정 항목

                                                                                                         라이프스타일
                                                                                                         영향력(3개 항목)/ 트렌드(3개 항목) / 구매력(6개 항목)/
                                                                                 AI                      환경 관심 및 사회 공헌(4개 항목) / 여가(2개 항목) /
                                                                                                  월간
                                                                         [Actionable Insight]            건강(5개 항목) / 재테크(3개 항목) / 사회적 관심(10개 항목)
                                                                                                         디바이스별 시청 행태
                                                                                                         소셜 TV 이용 행태 등



                                                                                AE                        5개 항목
                                                                                                  월간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Ad Engagement]                (광고관심/광고몰입 등)




                                                                                 ROI                      4개 항목
                                                                                                  월간
                                                                        [Return on Investment]           (장소 방문/상품 구입 경험 등)




                                                                                                                                                   25
Key findings – 1) Content Consuming Behavior

                                                                       Audience는, TV 프로그램에 노출되어 단순히 컨텐츠를 시청만 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컨텐츠에 반응하여 관련
                                                                        내용을 검색하고, 내용을 공유하는 등 자발적/적극적으로 행동




                                                                            EXPOSURE               INVOLVEMENT             ENGAGEMENT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VIEW                     ACT                    SHARE
                                                                                                   DIRECT RESPONSE/           SOCIAL BUZZ/
                                                                                                         CLICKS             COMMUNICATION




                                                                                                                                             26
Key findings – 1) Content Consuming Behavior 정의




                                                                                      콘텐츠 소비 Behavior        콘텐츠 정의

                                                                         Exposure
                                                                                           [VIEW]           시청한 프로그램



                                                                                            [ACT]
                                                                                         Light Action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Involvement                       관심/흥미가 높은 프로그램
                                                                                            [ACT]
                                                                                         Active Action




                                                                        Engagement        [SHARE]          몰입도 높은 프로그램




                                                                                                                           27
Key findings – 2) Contents engagement 중요성

                                                                       컨텐츠 attention 및 engagement가 높을수록 광고 및 브랜드에 대한 recall 또한 높게 나타남




                                                                                                   70%


                                                                                                   60%
                                                                            Advertisement Recall




                                                                                                   50%


                                                                                                   4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30%


                                                                                                   20%


                                                                                                   10%
                                                                                                         10%   30%      50%                70%   90%


                                                                                                                     Contents Engagement




                                                                                                                                                       28
Key findings – 2) Contents engagement 중요성

                                                                       TV 프로그램과 관련된 검색, 버즈량 등의 Contents Engagement와 관련된 데이터로 개별 컨텐츠 마케팅에 활용할
                                                                        수도 있음




                                                                        • 올해 인터넷에서 시청자들이
                                                                          관련 기사 등을 가장 많이 찾아본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4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한 <문화방송>(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사진)인 것으로 나타남.
                                                                        • 2위는 시청률이 10%가 안 되는 <엠넷>의 <슈퍼스타케이4>
                                                                          (947만여건)가 차지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Source: 한겨레신문, 2012. 12.10


                                                                                                                                                29
Key findings – 2) Contents engagement 중요성

                                                                       가장 Involvement(관여도)가 높은 장르는 드라마, 그 다음은 연예/오락임.
                                                                      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Share (참여도)가 높아, 몰입도가 가장 높은 장르인 것으로 나타남.




                                                                                          Act(Involvement)*                                Share(Engagement)*




                                                                                                                                                     5,653
                                                                              1,813,722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3,505
                                                                                          1,011,422
                                                                                                       940,027

                                                                                                                                            1,972



                                                                                                                 112,114                                        498



                                                                          드라마       연예/오락             음악/오디션        인포테인먼트   드라마      연예/오락         음악/오디션       인포테인먼트


                                                                      *Act: 프로그램 관련 기사/뉴스 구독자 수 + 프로그램 관련 검색자 수 + 프로그램 홈페이지 방문자 수 *Share : 프로그램과 관련된 Buzz 발생량
                                                                      *Source: Nielsen, CPI, 2012년 2월~12월 주간, 기간 합계, 평균

                                                                                                                                                                          30
Key findings – 3) 광고 몰입도(Ad Engagement) 입증

                                                                       시청보다는 행동(ACT) 및 공유(SHARE)와 광고 몰입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편




                                                                                                          광고 몰입
                                                                          VIEW                             .065                   • 단위 : 상관계수
                                                                          ACT                              .734                   • 상관계수 : 두 변수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SHARE                            .825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의미임


                                                                               70                                        70                                   70

                                                                               60                                        60                                   6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0                                        50                                   50

                                                                               40                                        40                                   40
                                                                                                                  광고몰입




                                                                                                                                                       광고몰입
                                                                        광고몰입




                                                                               30                                        30                                   30

                                                                               20                                        20                                   20

                                                                               10                                        10                                   10

                                                                               0                                         0                                    0
                                                                                    0   20   40      60      80               0       20         40   60           0   10   20      30   40

                                                                                             VIEW                                          ACT                              SHARE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31
Key findings – 3) 장르별 광고 몰입도(Ad Engagement)

                                                                       장르별로는 인포테인먼트가 광고 몰입과의 상관관계 높음




                                                                           인포테인먼트                                         연예/오락

                                                                                                                광고 몰입                      광고 몰입
                                                                            VIEW                                   .177   VIEW              .029
                                                                            ACT                                    .914   ACT               .849
                                                                            SHARE                                  .910   SHARE             .839

                                                                           드라마                                            음악/오디션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광고 몰입                      광고 몰입
                                                                            VIEW                                   .048   VIEW              .013
                                                                            ACT                                    .653   ACT               .599
                                                                            SHARE                                  .767   SHARE             .907

                                                                           • 단위 : 상관계수
                                                                           • 상관계수 : 두 변수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의미임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32
Key findings – 4) 마케팅 가치(ROI) 입증

                                                                       AE와 마찬가지로 ROI에서도 ACT 및 SHARE와 상품 구입 의향 간 상관관계가 높은 편임




                                                                                                     상품 구입 의향
                                                                         VIEW                             .253                   • 단위 : 상관계수
                                                                         ACT                              .522                   • 상관계수 : 두 변수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SHARE                            .531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의미임

                                                                              80                                        80                                       80
                                                                              70                                        70                                       7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60                                        60                                       60
                                                                              50                                        50                                       50
                                                                              40                                        40                                       40
                                                                        ROI




                                                                                                                  ROI




                                                                                                                                                           ROI
                                                                              30                                        30                                       30
                                                                              20                                        20                                       20
                                                                              10                                        10                                       10
                                                                              0                                         0                                        0
                                                                                   0   20    40      60      80              0        20         40   60              0   10   20      30   40

                                                                                             VIEW                                          ACT                                 SHARE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33
Key findings – 4) 장르별 마케팅 가치(roi)

                                                                       장르별로 봤을 때 인포테인먼트는 VIEW와도 상관관계가 높음




                                                                           인포테인먼트                                         연예/오락

                                                                                                              상품 구입 의향                     상품 구입 의향
                                                                            VIEW                                   .511   VIEW               .137
                                                                            ACT                                    .770   ACT                .774
                                                                            SHARE                                  .404   SHARE              .729

                                                                           드라마                                            음악/오디션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상품 구입 의향                     상품 구입 의향
                                                                            VIEW                                   .159   VIEW               .202
                                                                            ACT                                    .538   ACT                .685
                                                                            SHARE                                  .501   SHARE              .819

                                                                           • 단위 : 상관계수
                                                                           • 상관계수 : 두 변수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의미임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34
Key findings – 5) 소셜미디어 버즈량과 몰입도

                                                                       소셜TV 이용자는 비 이용자 대비 프로그램 몰입도/광고 몰입도에서 높게 나타남




                                                                                             프로그램 몰입도                                                             광고 관심도




                                                                                      67.9

                                                                                                                  49.8

                                                                                                                                                        31.5
                                                                                                                                                                            20.5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Social TV 이용자              Social TV 비이용자                         Social TV 이용자        Social TV 비이용자




                                                                                     소셜 TV 이용자는 비이용자 대비                                                 소셜 TV 이용자는 비이용자 대비
                                                                                   1.4배 높은 프로그램 몰입도를 보임                                                 1.5배 높은 광고 관심도를 보임


                                                                      Source: CVI, 6-9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11,082, Social TV 이용자 n=1,535, Social TV 비이용자 n=9,547


                                                                                                                                                                                        35
KEY FINDING summary

                                                                       멀티미디어 / 다 플랫폼 환경에서 소비자의 다양한 Behavior 창출
                                                                       전통적 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measurement 경향 나타남




                                                                            1                         2                               3

                                                                        Engagement가 높은 TV         동시간대 시청률이 비슷한                   마케팅 ROI를 위해서는
                                                                        컨텐츠가 광고 몰입도도 높음           컨텐츠라면, Engagement가              Beyond 시청률 고려
                                                                                                  높은 컨텐츠에 광고 집행 고려!
                                                                        •   단순히 ‘시청’이라는 행위보다는                                     •   콘텐츠 시청이 멀티 플랫폼을 통해
                                                                            시청 중/시청 이후 ‘검색/홈페이지                                       이루어지고 있어 TV를 통한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컨텐츠 타겟/방영 시각이 같다 해도,
                                                                            방문’, ‘공유’등의 행위가 광고        컨텐츠에 대한 몰입 정도가 다르다면             시청률만으로는 평가 어려움
                                                                            몰입/광고 관심과의 상관관계가          광고 효과 또한 다를 수 있음
                                                                            높은 것으로 입증됨                                            •   상품 구입 의향이 높은 상위 10개 TV
                                                                                                  •   시청률만 reference로 삼기보다는 ACT       컨텐츠 중 6개가 인포테인먼트
                                                                                                      / SHARE 등의 지표 또한 참고하는 것이        장르로 상품 구입과 직접적으로 연결
                                                                                                      좋음




                                                                                                                                                               36
III. CoB 주요 결과
Nielsen CPI Top10 of 2012

                                                                       CoB 상위권에 있는 프로그램은 MBC ‘해를 품은 달’, Mnet ‘슈퍼스타K4’, SBS ‘신사의 품격’ 등 대부분 드라마 장르가
                                                                        수위를 차지한 가운데, ‘슈퍼스타 K4’는 음악/오디션 프로그램으로 CPI 기준 2위로 수위에 있음




                                                                                                                                       CPI          시청률    순위
                                                                         Networks       Typologies                Contents
                                                                                                                                                           변동폭
                                                                                                                               Score         Rank   Rank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24,309,241       1      1      0

                                                                           Mnet            음악                    슈퍼스타K4      13,887,066       2      47    45

                                                                            SBS           드라마                    신사의 품격      13,783,002       3      5      -2

                                                                           MBC            드라마                    더킹 투하츠      12,984,224       4      16    12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KBS2           드라마                      각시탈       11,571,308       5      12     7

                                                                           KBS2           드라마                 넝쿨째 굴러온 당신     11,469,685       6      2      -4

                                                                           KBS2           드라마                    적도의 남자      11,174,041       7      41    34

                                                                            SBS           드라마                      초한지       10,619,728       8      6      -2

                                                                           KBS2           드라마                     착한남자       10,551,189       9      20    11

                                                                            SBS           드라마                   옥탑방 왕세자      10,343,492       10     22    12
                                                                      *CPI, 2012. 2. 27~12.30 주별 기간 평균, 시청률은 방영 기간 평균 시청률


                                                                                                                                                                 38
Top 10 VIEW                                                                        Exposure
                                                                                                                                                                            [VIEW]


                                                                                                                                                                             [ACT]
                                                                                                                                                                          Light Action

                                                                                                                                                        Involvement
                                                                                                                                                                             [ACT]
                                                                                                                                                                          Active Action



                                                                       CoB 상위권에 있는 프로그램은 MBC ‘해를 품은 달’, Mnet ‘슈퍼스타K4’, SBS ‘신사의 품격’ 등                  Engagement         [SHARE]


                                                                        대부분 드라마 장르가 수위를 차지한 가운데, ‘슈퍼스타 K4’는 음악/오디션 프로그램으로
                                                                        CPI 기준 2위로 수위에 있음



                                                                                                                                VIEW         TV 시청자 수                  온라인/모바일
                                                                         순위        Network        Typology       Contents      (A=B+C)           (B)                   시청자 수 (C)
                                                                                                                                Score       Score      Rank            Score              Rank
                                                                           1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10,000,958   8,926,643    1             1,074,315            12

                                                                           2          KBS2          드라마       넝쿨째 굴러온 당신      8,862,262    8,154,841    2             707,421              45

                                                                           3          KBS2          드라마         내 딸 서영이       8,405,934    6,878,837    3             1,527,097            1

                                                                           4          SBS           드라마         신사의 품격        7,830,409    6,794,264    4             1,036,145            15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          KBS2          드라마           각시탈         7,712,161    6,435,004    5             1,277,157            3

                                                                           6          KBS2          드라마           전우치         7,155,908    5,820,570    11            1,335,338            2

                                                                           7          KBS2        연예/오락         개그콘서트         7,125,402    6,350,963    6             774,439              34

                                                                           8          MBC           드라마           메이퀸         7,041,446    5,781,547    12            1,259,899            4

                                                                           9          SBS            음악      일요일이 좋다-K팝 스타2   7,034,181    5,919,109    9             1,115,072            8

                                                                          10          SBS           드라마        청담동 앨리스        6,927,192    5,829,080    10            1,098,112            9
                                                                      *CPI, 2012. 2. 27~12.30 주별 기간 평균


                                                                                                                                                                                                 39
Top 10 ACT                                                                                         Exposure
                                                                                                                                                                                              [VIEW]


                                                                                                                                                                                              [ACT]
                                                                                                                                                                                           Light Action

                                                                                                                                                                        Involvement
                                                                                                                                                                                              [ACT]
                                                                                                                                                                                           Active Action



                                                                       2012년 가장 관여도가 높았던 프로그램은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뉴스 구독 및                                              Engagement          [SHARE]


                                                                        프로그램 직접 검색, 홈페이지 방문자 수 모두 1위
                                                                       2위는 Mnet ‘슈퍼스타K 시즌4’로, 특히 뉴스 구독자 수가 많았음



                                                                                                                                      뉴스                프로그램                     홈페이지 방문자 수
                                                                                                                    Involvement     구독자 수(B)          직접 검색자 수 (C)                   (D)
                                                                       순위 Network Typology               Contents
                                                                                                                     (A=B+C+D)
                                                                                                                                    Score      Rank    Score      Rank                Score                Rank
                                                                        1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15,169,099    11,452,993    1     3,016,052    1                  700,054               1

                                                                        2      Mnet       음악             슈퍼스타K4     10,190,124    9,132,946     2     998,867      4                  58,311                35

                                                                        3       SBS      드라마             신사의 품격      5,908,077    4,636,247     4     1,096,892    3                  174,938               7

                                                                        4      MBC       드라마             더킹 투하츠      5,873,175    4,789,462     3     838,134      12                 245,579               2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      KBS2      드라마              각시탈        5,456,171    4,281,521     6     988,975      5                  185,675               5

                                                                        6      KBS2      드라마             적도의 남자      5,231,659    4,547,631     5     540,604      19                 143,424               11

                                                                        7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7       5,141,484    3,820,585     7     1,172,962    2                  147,937               10

                                                                        8      KBS2      드라마                빅        4,147,287    3,388,427     9     552,783      18                 206,077               3

                                                                        9       SBS      드라마         옥탑방 왕세자         4,116,411    3,098,277     11    869,485      10                 148,649               9

                                                                        10      SBS      드라마       추적자TheChaser      4,092,642    3,771,349     8     247,268      43                 74,025                33
                                                                      *CPI, 2012. 2. 27~12.30 주별 기간 평균


                                                                                                                                                                                                                  40
Top 10 SHARE                                                 Exposure
                                                                                                                                                      [VIEW]


                                                                                                                                                       [ACT]
                                                                                                                                                    Light Action

                                                                                                                                  Involvement
                                                                                                                                                       [ACT]
                                                                                                                                                    Active Action



                                                                       2012년 가장 몰입도가 높았던 프로그램은 Mnet ‘슈퍼스타K 시즌4’로 나타남             Engagement         [SHARE]



                                                                       그 다음으로 높았던 프로그램은 tvN ‘응답하라 1997’, MBC ‘해를 품은 달’ 임




                                                                                                                                                Engagement
                                                                         순위                 Network      Typology      Contents
                                                                                                                                                  (Share)

                                                                           1                  Mnet         음악         슈퍼스타K4                      36,224

                                                                           2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7                    35,905

                                                                           3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20,872

                                                                           4                  KBS2        드라마          각시탈                        16,108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                   SBS        드라마        옥탑방 왕세자                      10,006

                                                                           6                  KBS2         음악          뮤직뱅크                       9,942

                                                                           7                  MBC        연예/오락         무한도전                       9,873

                                                                           8                  MBC         드라마          보고싶다                       9,852

                                                                           9                   SBS        드라마       아름다운 그대에게                     9,610

                                                                          10                  MBC         드라마          골든타임                       9,318
                                                                      *CPI, 2012. 2. 27~12.30 주별 기간 평균


                                                                                                                                                                    41
Top 10 : CVI rank

                                                                       연예/오락 장르에서는 MBC ‘무한도전’이, 드라마 장르에서는 MBC ‘닥터진’이 시청 몰입도가 높았음




                                                                      연예/오락                                                         드라마
                                                                                                                           Score                                    Score
                                                                       순위      Network              Contents                        순위    Network     Contents
                                                                                                                          (Top2%)                                  (Top2%)

                                                                        1        MBC                무한도전                   51.5      1     MBC         닥터진          44.4

                                                                        2        KBS2              개그콘서트                   45.0      2     MBC        골든타임          43.6

                                                                        3       Onstyle             솔드 아웃                  42.2      3     MBC       해를 품은 달        42.2

                                                                        4         tvN           슈퍼챌린저코리아                   40.6      4      tvN     응답하라 1997       41.1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         tvN            코미디빅리그2                   38.7      5      SBS         유령          39.2

                                                                        6         tvN              SNL 코리아                 38.7      6      SBS      신사의 품격         38.6

                                                                        7        KBS2          해피선데이-1박2일                  38.7      7      SBS     추적자TheChaser    37.4

                                                                        8       O’live         윤계상의 원테이블                   37.5      8      SBS      드라마의 제왕        37.4

                                                                        9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37.2      9     MBC        보고싶다          36.3

                                                                        10       MBC          황금어장-무릎팍도사                   36.9      10    MBC       더킹 투하츠         34.4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42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nielsen cob report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sung
 
2011년 7월_ 광고 집행 금액 및 트래픽 리포트
2011년 7월_ 광고 집행 금액 및 트래픽 리포트2011년 7월_ 광고 집행 금액 및 트래픽 리포트
2011년 7월_ 광고 집행 금액 및 트래픽 리포트
DMC미디어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YOO SE KYUN
 
제5회인터넷리더십프로그램_openness trend_신종섭
제5회인터넷리더십프로그램_openness trend_신종섭제5회인터넷리더십프로그램_openness trend_신종섭
제5회인터넷리더십프로그램_openness trend_신종섭
daumfoundation
 
Mobile Web Standards in Korea
Mobile Web Standards in KoreaMobile Web Standards in Korea
Mobile Web Standards in Korea
Seungyun Lee
 
[Consumer report]디지털 소비자 분석
[Consumer report]디지털 소비자 분석[Consumer report]디지털 소비자 분석
[Consumer report]디지털 소비자 분석
DMC미디어
 
201209_미디어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9_미디어트렌드 리포트_Nasmedia201209_미디어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9_미디어트렌드 리포트_Nasmedia
YOO SE KYUN
 
Smartphone Platform Trend
Smartphone Platform TrendSmartphone Platform Trend
Smartphone Platform Trend
Seungyun Lee
 
국내외 디지털 음악 서비스 현황 및 모바일 오픈 마켓 규모
국내외 디지털 음악 서비스 현황 및 모바일 오픈 마켓 규모국내외 디지털 음악 서비스 현황 및 모바일 오픈 마켓 규모
국내외 디지털 음악 서비스 현황 및 모바일 오픈 마켓 규모
mosaicnet
 
The social-media-report-2012
The social-media-report-2012The social-media-report-2012
The social-media-report-2012Joon Ha Baek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Sung-ho Moon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SeungBeom Ha
 
방송시장의 메가트렌드와 경쟁구도의 변화
방송시장의 메가트렌드와 경쟁구도의 변화방송시장의 메가트렌드와 경쟁구도의 변화
방송시장의 메가트렌드와 경쟁구도의 변화loveturkey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Inniya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HwanJin 'David' Choi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So Young Eom
 
2011년 5월_디지털 미디어 이슈 리포트
2011년 5월_디지털 미디어 이슈 리포트2011년 5월_디지털 미디어 이슈 리포트
2011년 5월_디지털 미디어 이슈 리포트
DMC미디어
 
201207_2분기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7_2분기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_Nasmedia201207_2분기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7_2분기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YOO SE KYUN
 
북팔(bookpal)
북팔(bookpal)북팔(bookpal)
북팔(bookpal)
형석 김
 
Lg전자디지털pr운영사례
Lg전자디지털pr운영사례Lg전자디지털pr운영사례
Lg전자디지털pr운영사례
용만 하
 

What's hot (20)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2011년 7월_ 광고 집행 금액 및 트래픽 리포트
2011년 7월_ 광고 집행 금액 및 트래픽 리포트2011년 7월_ 광고 집행 금액 및 트래픽 리포트
2011년 7월_ 광고 집행 금액 및 트래픽 리포트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제5회인터넷리더십프로그램_openness trend_신종섭
제5회인터넷리더십프로그램_openness trend_신종섭제5회인터넷리더십프로그램_openness trend_신종섭
제5회인터넷리더십프로그램_openness trend_신종섭
 
Mobile Web Standards in Korea
Mobile Web Standards in KoreaMobile Web Standards in Korea
Mobile Web Standards in Korea
 
[Consumer report]디지털 소비자 분석
[Consumer report]디지털 소비자 분석[Consumer report]디지털 소비자 분석
[Consumer report]디지털 소비자 분석
 
201209_미디어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9_미디어트렌드 리포트_Nasmedia201209_미디어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9_미디어트렌드 리포트_Nasmedia
 
Smartphone Platform Trend
Smartphone Platform TrendSmartphone Platform Trend
Smartphone Platform Trend
 
국내외 디지털 음악 서비스 현황 및 모바일 오픈 마켓 규모
국내외 디지털 음악 서비스 현황 및 모바일 오픈 마켓 규모국내외 디지털 음악 서비스 현황 및 모바일 오픈 마켓 규모
국내외 디지털 음악 서비스 현황 및 모바일 오픈 마켓 규모
 
The social-media-report-2012
The social-media-report-2012The social-media-report-2012
The social-media-report-2012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방송시장의 메가트렌드와 경쟁구도의 변화
방송시장의 메가트렌드와 경쟁구도의 변화방송시장의 메가트렌드와 경쟁구도의 변화
방송시장의 메가트렌드와 경쟁구도의 변화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2011년 5월_디지털 미디어 이슈 리포트
2011년 5월_디지털 미디어 이슈 리포트2011년 5월_디지털 미디어 이슈 리포트
2011년 5월_디지털 미디어 이슈 리포트
 
201207_2분기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7_2분기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_Nasmedia201207_2분기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7_2분기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북팔(bookpal)
북팔(bookpal)북팔(bookpal)
북팔(bookpal)
 
Lg전자디지털pr운영사례
Lg전자디지털pr운영사례Lg전자디지털pr운영사례
Lg전자디지털pr운영사례
 

Similar to nielsen cob report

시청자를 특정 tv 프로그램에 묶어놓는 미디어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각광
시청자를 특정 tv 프로그램에 묶어놓는 미디어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각광시청자를 특정 tv 프로그램에 묶어놓는 미디어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각광
시청자를 특정 tv 프로그램에 묶어놓는 미디어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각광tvzentalk
 
모바일광고플랫폼
모바일광고플랫폼모바일광고플랫폼
모바일광고플랫폼
Lee Ji Eun
 
모바일 SNS 빅뱅과 새로운 기회
모바일 SNS 빅뱅과 새로운 기회모바일 SNS 빅뱅과 새로운 기회
모바일 SNS 빅뱅과 새로운 기회
HwanJin 'David' Choi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DMC미디어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DMC미디어
 
TV의 Media Interaction
TV의 Media InteractionTV의 Media Interaction
TV의 Media Interaction
Seungyul Kim
 
2014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2014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Junhwa Kim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07
MezzoMedia
 
2010년 하반기 전망 보고서
2010년 하반기 전망 보고서2010년 하반기 전망 보고서
2010년 하반기 전망 보고서
DMC미디어
 
2010 하반기 온라인 광고 & 미디어 시장 전망
2010 하반기 온라인 광고 & 미디어 시장 전망2010 하반기 온라인 광고 & 미디어 시장 전망
2010 하반기 온라인 광고 & 미디어 시장 전망DMC미디어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2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2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2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2Donghyung Shin
 
모바일마케팅(Mobile marketing)-henryhyunroksung-2013.may
모바일마케팅(Mobile marketing)-henryhyunroksung-2013.may모바일마케팅(Mobile marketing)-henryhyunroksung-2013.may
모바일마케팅(Mobile marketing)-henryhyunroksung-2013.may
Henry Sung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Nasmedia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윤 동진
 
SNS 분석
SNS 분석SNS 분석
[메조미디어] MezzoMedia_동영상 서비스의 성장과 소셜tv 활용_2013.08
[메조미디어] MezzoMedia_동영상 서비스의 성장과 소셜tv 활용_2013.08[메조미디어] MezzoMedia_동영상 서비스의 성장과 소셜tv 활용_2013.08
[메조미디어] MezzoMedia_동영상 서비스의 성장과 소셜tv 활용_2013.08
MezzoMedia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MezzoMedia
 
[Dmc] 2014년 소비자의_구매의사결정과정별_정보획득_및_공유행동의_이해
[Dmc] 2014년 소비자의_구매의사결정과정별_정보획득_및_공유행동의_이해[Dmc] 2014년 소비자의_구매의사결정과정별_정보획득_및_공유행동의_이해
[Dmc] 2014년 소비자의_구매의사결정과정별_정보획득_및_공유행동의_이해
LINE Plus Corp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Seungyul Kim
 
201009_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 트렌드 분석
201009_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 트렌드 분석201009_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 트렌드 분석
201009_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 트렌드 분석
YOO SE KYUN
 

Similar to nielsen cob report (20)

시청자를 특정 tv 프로그램에 묶어놓는 미디어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각광
시청자를 특정 tv 프로그램에 묶어놓는 미디어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각광시청자를 특정 tv 프로그램에 묶어놓는 미디어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각광
시청자를 특정 tv 프로그램에 묶어놓는 미디어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각광
 
모바일광고플랫폼
모바일광고플랫폼모바일광고플랫폼
모바일광고플랫폼
 
모바일 SNS 빅뱅과 새로운 기회
모바일 SNS 빅뱅과 새로운 기회모바일 SNS 빅뱅과 새로운 기회
모바일 SNS 빅뱅과 새로운 기회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연간 Trend Report _ Part2. 뉴디지털 미디어 동향 및 전망 보고서
 
TV의 Media Interaction
TV의 Media InteractionTV의 Media Interaction
TV의 Media Interaction
 
2014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2014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미디어 트렌드 2014.07
 
2010년 하반기 전망 보고서
2010년 하반기 전망 보고서2010년 하반기 전망 보고서
2010년 하반기 전망 보고서
 
2010 하반기 온라인 광고 & 미디어 시장 전망
2010 하반기 온라인 광고 & 미디어 시장 전망2010 하반기 온라인 광고 & 미디어 시장 전망
2010 하반기 온라인 광고 & 미디어 시장 전망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2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2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2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Vol.2
 
모바일마케팅(Mobile marketing)-henryhyunroksung-2013.may
모바일마케팅(Mobile marketing)-henryhyunroksung-2013.may모바일마케팅(Mobile marketing)-henryhyunroksung-2013.may
모바일마케팅(Mobile marketing)-henryhyunroksung-2013.may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SNS 분석
SNS 분석SNS 분석
SNS 분석
 
[메조미디어] MezzoMedia_동영상 서비스의 성장과 소셜tv 활용_2013.08
[메조미디어] MezzoMedia_동영상 서비스의 성장과 소셜tv 활용_2013.08[메조미디어] MezzoMedia_동영상 서비스의 성장과 소셜tv 활용_2013.08
[메조미디어] MezzoMedia_동영상 서비스의 성장과 소셜tv 활용_2013.08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Dmc] 2014년 소비자의_구매의사결정과정별_정보획득_및_공유행동의_이해
[Dmc] 2014년 소비자의_구매의사결정과정별_정보획득_및_공유행동의_이해[Dmc] 2014년 소비자의_구매의사결정과정별_정보획득_및_공유행동의_이해
[Dmc] 2014년 소비자의_구매의사결정과정별_정보획득_및_공유행동의_이해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2011년도 모바일 웹 vs. 모바일앱 전망
 
201009_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 트렌드 분석
201009_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 트렌드 분석201009_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 트렌드 분석
201009_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 트렌드 분석
 

nielsen cob report

  • 1. CoB: Consumer’s Contents Consuming Behavior 멀티미디어 환경의 소비자 행동 기반 콘텐츠 파워/가치 측정 모델 Feb 2013
  • 2.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미디어 이용 행태의 변화  CoB 모델 개요 및 주요 Findings  CoB 주요 결과  2012 프로그램 Review
  • 3. I. 미디어 이용 행태의 변화
  • 4. TOPLINE summary CoB: Consumer’s Contents Consuming Behavior  멀티미디어 / 플랫폼의 확대는 소비자의 다양한 Behavior를 유발 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따라 새로운 Measurement의 개발 및 필요성 대두 모바일 기반 Audience 의 급격한 증가 1 -TV, 온라인 다소 증가, 모바일 급격한 성장 Multi-Screen을 통한 콘텐츠 소비의 확대 2 - 동일 콘텐츠 기준, TV와 인터넷 병행 시청(10%), TV와 모바일 병행 시청 (7.7%)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81%의 소비자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3 - 미디어 환경 전반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영향력 증가 TV 컨텐츠 시청 중 소셜 TV 이용 비중은 13.3% 4 - 해외에서는 이미 TV 콘텐츠의 소셜 Ranking 발표 - 닐슨-트위터 또한 소셜TV Rating 발표 예정 4
  • 5. MORE, MORE, MORE  과거 대비 TV, 인터넷(온라인), 모바일 이용자 수 증가  특히, 모바일 이용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함 TV ONLINE MOBILE 구분 개인 시청자 수 (시청률) 온라인 UV 모바일 UV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2011년 4,540,325 (12.6%) 32,252,852 11,859,687 2012년 6,457,255 (14.0%) 32,755,458 21,234,410 증가율 +42% (+11%) +1.6% +79% *Source: Nielsen TAM panel data, *Source: Nielsen Online panel data *Source: Nielsen mobile panel 총 개인시청률(PUT, 개인 4세 이상), 해당 기간 동안 실제 인터넷을 data, 모바일 패널의 경우 2011년 national 이용한 이용자 수 data가 없어 2012년 1월과 2012년 12월을 비교함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및 태블릿 모두 포함 해당 기간 동안 실제 모바일을 이용한 이용자 수 5
  • 6. 모바일 이용자 수는 증가, 온라인 이용자 수는 정체 (UV: 온라인, 모바일 ) (평균 시청자 수 : TV) 40,000,000 8,000,000 33,339,413 35,000,000 7,000,000 (UV) (12월 기준) ONLINE 30,000,000 6,000,000 개인 평균 시청자 수 25,000,000 5,000,000 7,181,189 (시청률은 15.5%) 20,000,000 4,000,000 TV (12월 기준) 15,000,000 3,000,000 21,234,41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UV) (12월 기준) 10,000,000 2,000,000 MOBILE 5,000,000 1,000,000 0 - 01-JUL 01-APR 01-JAN 01-FEB 01-OCT 01-SEP 01-DEC 01-MAR 01-NOV 01-AUG 01-JUN 01-MAY ONLINE MOBILE TV *Source - TV 시청률 : Nielsen TAM panel data, 총 개인시청률(PUT, 개인 4세이상), national - 온라인 및 모바일 : Nielsen Online Panel data, Nielsen Mobile Panel data, 모바일 패널의 경우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이용 시간 모두 포함 6
  • 7. 모바일 이용 시간 대폭 증가  TV는 소폭 늘어난 반면, 온라인은 모바일로 인해 하락  전체 미디어 이용 시간도 증가했으며, 특히 모바일 이용 시간이 증가 영향이 커, 점차 모바일을 베이스로 한 미디어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단위 : 시간) Daily Time Spent 2012 2011 모바일은 2011년도 데이터가 없어 3:15 8.9% 2012년 3월과 12월을 비교 TV 2:59 1:16 ONLINE 1:33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3:40 120.0% MOBILE 1:40 8:11 32.0% TOTAL 6:12 *Source - TV 시청 시간: Nielsen TAM panel data, 전국/전채널(KBS1, KBS2, MBC, SBS, EBS, OBS, 케이블, 위성, 기타) - 온라인 : Nielsen Online Panel data, web + app traffic - 모바일 : Nielsen Mobile Panel data,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이용 시간 모두 포함, Web+App 이용 시간 (단, 비인지적 이용 시간인 홈 이용 시간 제외) 7
  • 8. 플랫폼별 소비 시간은 연령에 따라 편차 존재  모바일은 20대 이하 젊은 연령층의 이용 시간이 많고, TV는 남성 대비 여성이 많이 보는 편임 (단위 : 시간) Daily Time Spent by demo. TV ONLINE MOBILE MALE 2:48 MALE 1:20 MALE 3:35 FEMALE 3:41 FEMALE 0:57 FEMALE 3:45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20대미만 1:36 20대 미만 0:43 20대 미만 4:42 20대 1:34 20대 1:21 20대 4:34 30대 2:31 30대 1:19 30대 3:15 40대 3:40 40대 1:15 40대 3:00 50대+ 5:23 50대 + 1:01 50대 + 2:37 *Source - TV 시청률: Nielsen TAM panel data, 전국/전채널(KBS1, KBS2, MBC, SBS, EBS, OBS, 케이블, 위성, 기타), 2012 연간 데이터 기준 - 온라인 : Nielsen Online Panel data, web + app traffic - 모바일 : Nielsen Mobile Panel data,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이용 시간 모두 포함, Web+App 이용 시간 (단, 비인지적 이용 시간인 홈 이용 시간 제외), 2012년 12월 데이터 기준 8
  • 9. 약 10%가 동일한 TV 컨텐츠를 multi screen을 이용해 시청함 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도 시청하는 비중은 10%,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을 모바일로도 시청하는 비중은 7.7%임 ONLINE MOBILE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10.0% 7.7% 의 응답자가 의 응답자가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을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을 PC로도 시청함 모바일로도 시청함 TV Source: CVI, 2-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75,653 Q. 귀하께서는 OOO 프로그램을 어떤 방식을 통해 시청하셨습니까? 최근 1주일 기준으로 시청해 보신 방식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1) TV 2) PC(스트리밍, 다운로드) 3) DMB 4) 스마트 TV 5) 태블릿 PC(스트리밍, 다운로드) 6) 스마트폰(스트리밍, 다운로드) 9
  • 10. 남성, 20대가 multi screen 이용 비중이 높음  TV 컨텐츠를 2 screen으로 시청하는 비중은 남성, 20대가 많음.  특히, 20대 후반이 TV 뿐만 아니라 모바일로도 시청하는 비중이 높음 TV and Online TV and mobile MALE 11.6 MALE 9.0 FEMALE 8.4 FEMALE 6.4 AGES 20-24 15.0 AGES 20-24 9.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AGES 25-29 14.9 AGES 25-29 10.8 AGES 30-34 10.4 AGES 30-34 7.5 AGES 35-39 7.9 AGES 35-39 7.3 AGES 40-44 6.9 AGES 40-44 6.3 AGES 45-49 4.6 AGES 45-49 4.7 Source: CVI, 2-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75,653 Q. 귀하께서는 OOO 프로그램을 어떤 방식을 통해 시청하셨습니까? 최근 1주일 기준으로 시청해 보신 방식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1) TV 2) PC(스트리밍, 다운로드) 3) DMB 4) 스마트 TV 5) 태블릿 PC(스트리밍, 다운로드) 6) 스마트폰(스트리밍, 다운로드) 10
  • 11. 소셜 미디어의 대중화  81%가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 13.3%가 최근 TV 프로그램에 관련 최근 1주일 내 SNS에 글을 올린 적이 있음 81%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of consumers is spent on social People continue to spend time on network service like Facebook, social networks regarding TV one of the most popular web contents. (13.3%) brand in Korea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33,354 Q. 귀하께서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등과 같은 SNS를 현재 사용하고 계십니까? Q. 귀하께서는 OOO 프로그램에 대해 1주일 내 SNS에 글을 남긴 적이 있습니까? 11
  • 12. Multi screen 이용자가 소셜 TV 이용률 높음 TV and Online TV and mobile SOCIAL TV SOCIAL TV 이용률 이용률 36.2% 43.6%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4,195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3,435 SNS에 남기는 글의 내용(%) SNS에 남기는 글의 내용(%) 프로그램 스토리라인/전반적 내용 45 프로그램 스토리라인/전반적 내용 44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출연자의 의상/액세서리 37 프로그램에서 얻은 새로운 정보 38 출연자 정보 및 일상 생활 36 출연자 정보 및 일상 생활 38 프로그램에서 얻은 새로운 정보 36 프로그램에서 나오는 PPL 36 프로그램에서 나오는 PPL 32 출연자의 의상/액세서리 35 프로그램 이벤트/방청권 참여를 위한 글 31 프로그램 이벤트/방청권 참여를 위한 글 32 프로그램 중간/전/후 광고 29 프로그램 중간/전/후 광고 31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복수 응답, 사례 수 n=1,517 Source: CVI, 6-12월 누적 데이터 기준, 복수 응답, 사례 수 n=1,496 Q. 귀하께서는 OOO 프로그램에 대해 1주일 내 SNS에 글을 남긴 적이 있습니까? Q. 귀하께서는 SNS을 통해 OOO 프로그램의 어떤 것에 대해 글을 남기셨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복수응답] 12
  • 13. Trendrr에서는 SNS/어플의 소셜TV Rating 측정  TV프로그램에 대한 주요 SNS 및 체크인 기반 소셜 TV,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반응을 통합하여 일간, 주간 시청률 차트를 제공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13
  • 14. 블루핀에서는 SNS를 바탕으로 소셜TV Rating 측정  온라인 상에서의 TV광고/TV 프로그램에 대해 SNS를 통해 회자되는 정도, 영향 등을 측정하여 발표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14
  • 15. Nielsen & Twitter TV Rating  Social Network가 활성화되면서 TV를 시청하는 동시에 Social Network를 사용하는 Social TV 트렌드가 생겨남에 따라, 기존 시청률 지수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시청률 지수가 필요해짐  여러 SNS 채널 중에서도, ‘Twitter’는 전세계적인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주요 SNS 채널임 최근 SNS/Social TV 트렌드 Twitter – 미국 내 Top 3 Social Network • 미국 전체 국민 중 44%가 태블릿PC 보유 • 미국 내에서 Social Network 채널 중 주요 3개 채널에 속함 • 미국 전체 국민 중 38%가 스마트폰 보유 • 페이스북 다음으로 많은 사용자를 자랑하는 전세계 2위의 Social Network 어플리케이션 • 트위터 사용자의 33%가 TV 프로그램에 관해서 활발한 트윗을 게재함 • 2011년 10월 기준으로 2,500만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자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 매일 TV를 시청하면서 SNS를 사용하는 행태가 증가하는 추세임. • “TV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데 트위터가 제격”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Source : NM Incite’s SocialGuide, July 2012, * Source: Nielsen NetView (October 2012) and Nielsen Smartphone Nielsen Mobile Connected Devices Report Q2 2012 Analytics (October 2012) “이에 Nielsen은 Twitter와 협력하여, TV시청률 조사에 Twitter를 활용하는 새로운 시청률 조사 방법인 ‘Nielsen & Twitter TV Rating’ 지수를 개발" 15
  • 16. Nielsen & Twitter TV Rating  '닐슨 트위터 TV 시청률‘은 미국 전역 234개 TV 채널의 프로그램이 Twitter를 통해 얼마나 회자되는지 측정함으로써 기존 시청률 지수를 보완하는 지수임.  광고주, 프로그램 제작자는 이를 통해 좀 더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집행 가능  ‘닐슨 트위터 TV 시청률’은 다음과 같은 4가지 Key point로 클라이언트에 도움을 주고자 함 TV에 관한 모든 트윗을 1 Social TV 시청률에 대한 Syndicated 리포트 제공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Social TV 시청률과 Nielsen의 기존 TV 시청률을 2 연결 분석하여 데이터 제공 Social TV의 생태계를 이해, 활용하여 3 투자 대비 효용을 최대화 할 수 있게 함 소비자의 Watch & Buy 활동에 3 Social TV가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인사이트 제공 16
  • 17. II. CoB 모델 개요 및 주요 findings
  • 18. THE BIG ISSUES 1 TV 시청률만으로 프로그램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을까? 2 TV 시청률이 높은 컨텐츠에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3 TV 시청률이 비슷하다면 어느 컨텐츠에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가?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4 마케팅 효과(ROI)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어느 컨텐츠를 활용해야 하는가?
  • 19. WHAT IS CoB  CoB는 TV 컨텐츠의 효율성과 가치를 측정합니다 TV Ratings CoB Measures Measures how many people tuned how consumers responded to a channel to contents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19
  • 20. CoB: Engagement Metrics as “Currency” Highlights  지수 혹은 모델 개발 주체의 관점에 따라 개발 의도나 사용 목적이 다르겠지만, 분명한 것은 변화된 미디어 환경이나 미디어, 콘텐츠 소비 행위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신문과방송, 2012.12)  Behavior가 많이 유발되는 콘텐츠는 소비자와 engaged(몰입하고 있는) & Influencial(영향력 있는) 컨텐츠인 경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광고계 동향, 2012.5)  CoB가 높은 콘텐츠는 시청자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 광고 구매 시에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만하다 (서울경제, 2012.3.2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콘텐츠 사업자들은 소비자 행동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TV 시청·시청 후 행동·공유 행위 사이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 (연합뉴스, 2012.4.18) 20
  • 21. HOW WE DID OUR SURVEY 조사 대상 컨텐츠 • 지상파 3사, CJ E&M의 드라마, 연예/오락, 음악(오디션 포함), 인포테인먼트 등 4개 장르 70여 개 내외 프로그램 • 뉴스, 시사, 다큐, 어린이, 스포츠, 1회성 특집, 영화 등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 • 드라마 중 일일드라마는 편성량의 영향을 고려하여 조사 대상에서 제외 조사 방법 • CVI: Web Survey 형식의 소비자 조사, 2012년 2월~12월 누적 샘플 수 75,653명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CPI: Nielsen Online Panel 대상 Web data Rolling 방식으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추정 조사 기간 • 2012년 2월부터 현재까지 지속 진행 • CVI : 매월 조사, CPI : 매주 조사 21
  • 22. KEY METRICS CPI: Contents Power Index CVI: Contents Value Index 조사 대상 컨텐츠의 주간 단위별 조사 대상 컨텐츠의 [시청-행동-공유] 시청량/ 검색량 / 뉴스 구독량 / 행동 단계별 소비자의 질적 가치를 측정, 홈페이지 방문량 / 소셜미디어 버즈량의 [시청 – [소비자–콘텐츠]간 몰입 가치 산출 행동- 공유]의 행동 단계별 실측 데이터 산출 ACTIONABLE INSIGHT AE/ROI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조사 대상 컨텐츠별 조사 대상 컨텐츠별 • 성/연령/가구소득별 분석 • AE (Ad Engagement) •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률 - 개별 프로그램별 광고몰입도 • N-Screen 콘텐츠 소비 행태 • ROI(Return on Investment) • 트렌드/영향력/구매력/가치관 분석 - 개별 프로그램별 제품 구입 경험/ • Valuable Consumers 의향/PPL 가치 등 22
  • 23. KEY METRICS - CPI 행동 유형 행동 측정 항목 조사 기준 및 근거 TV시청자수 전국 / 2049세 남녀 / All Platform 시청 (VIEW) 온라인/모바일 시청자수 전국 / 2049세 남녀, 월별 CVI 조사 응답자수 프로그램 기사/뉴스 구독자수 포털 4개사(네이버, 다음, 네이트, (야후)) 및 네이버 뉴스캐스트 등재 (Light Action) 언론사 기준 온라인 기사의 표본조사를 통한 추정 구독자 수 행동 프로그램 홈페이지 방문자 수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프로그램 공식사이트(디렉토리 단위) 표본 조사를 통한 추정 방문자 수 (ACT) (Active Action) 프로그램 직접 검색자 수 국내 주요 포털(네이버, 다음, 네이트, 구글, (야후), 줌 등)에서의 표본 (Active Action) 조사를 통한 추정 검색자 수 블로그 630만개+, 게시판 850개+, SNS 788만개+, 전문사이트 2,460개, 공유 프로그램 버즈량 클럽 164,396개, 지식검색서비스 전수 수집, 동영상 92개 카테고리 (SHARE) (2012년 11월 1일 기준) * 온라인/모바일 시청량은 시장환경 성숙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콘텐츠 시청 데이터 조사 방식이 제한적. 이에 따라 닐슨컴퍼니 소비자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적용 산출함 (Q. 각 프로그램별 최근 1주일 내 콘텐츠 시청방식) * 야후의 경우 2012년 12월까지는 포함되나, 2013년 1월부터는 한국에서의 야후 철수에 따라 표집 대상에서는 제외됨 * CPI의 측정량은 “프로그램명”이 포함된 온라인상의 Buzz량 및 “프로그램 공식 SNS 계정” 내 Buzz량을 대상으로 함 23
  • 24. KEY METRICS - CVI 행동 유형 행동 측정 항목 조사 기준 및 근거 재미와 즐거움/ 흥미와 관심/ 시청 국내외 140개 프로그램 평가항목 리뷰 유익한 정보/ 트렌드 등의 (VIEW) Pilot 조사를 통해 시청자가 중요하게 고려하는 시청가치 항목 도출 10개 시청 가치 항목 행동 온라인,모바일 시청 등의 국내외 조사 평가 항목에 대한 Pilot 조사를 통해 항목 도출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ACT) 3개 행동 가치 항목 공유 온라인 공유/ 오프라인 공유 국내외 조사 평가 항목에 대한 Pilot 조사를 통해 항목 도출 (SHARE) 2개 공유 가치 항목 24
  • 25. KEY METRICS – MARKETING VALUE 측정 항목 측정 주기 측정 항목 라이프스타일 영향력(3개 항목)/ 트렌드(3개 항목) / 구매력(6개 항목)/ AI 환경 관심 및 사회 공헌(4개 항목) / 여가(2개 항목) / 월간 [Actionable Insight] 건강(5개 항목) / 재테크(3개 항목) / 사회적 관심(10개 항목) 디바이스별 시청 행태 소셜 TV 이용 행태 등 AE 5개 항목 월간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Ad Engagement] (광고관심/광고몰입 등) ROI 4개 항목 월간 [Return on Investment] (장소 방문/상품 구입 경험 등) 25
  • 26. Key findings – 1) Content Consuming Behavior  Audience는, TV 프로그램에 노출되어 단순히 컨텐츠를 시청만 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컨텐츠에 반응하여 관련 내용을 검색하고, 내용을 공유하는 등 자발적/적극적으로 행동 EXPOSURE INVOLVEMENT ENGAGEMENT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VIEW ACT SHARE DIRECT RESPONSE/ SOCIAL BUZZ/ CLICKS COMMUNICATION 26
  • 27. Key findings – 1) Content Consuming Behavior 정의 콘텐츠 소비 Behavior 콘텐츠 정의 Exposure [VIEW] 시청한 프로그램 [ACT] Light Action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Involvement 관심/흥미가 높은 프로그램 [ACT] Active Action Engagement [SHARE] 몰입도 높은 프로그램 27
  • 28. Key findings – 2) Contents engagement 중요성  컨텐츠 attention 및 engagement가 높을수록 광고 및 브랜드에 대한 recall 또한 높게 나타남 70% 60% Advertisement Recall 50% 4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30% 20% 10% 10% 30% 50% 70% 90% Contents Engagement 28
  • 29. Key findings – 2) Contents engagement 중요성  TV 프로그램과 관련된 검색, 버즈량 등의 Contents Engagement와 관련된 데이터로 개별 컨텐츠 마케팅에 활용할 수도 있음 • 올해 인터넷에서 시청자들이 관련 기사 등을 가장 많이 찾아본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4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한 <문화방송>(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사진)인 것으로 나타남. • 2위는 시청률이 10%가 안 되는 <엠넷>의 <슈퍼스타케이4> (947만여건)가 차지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Source: 한겨레신문, 2012. 12.10 29
  • 30. Key findings – 2) Contents engagement 중요성  가장 Involvement(관여도)가 높은 장르는 드라마, 그 다음은 연예/오락임. 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Share (참여도)가 높아, 몰입도가 가장 높은 장르인 것으로 나타남. Act(Involvement)* Share(Engagement)* 5,653 1,813,722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3,505 1,011,422 940,027 1,972 112,114 498 드라마 연예/오락 음악/오디션 인포테인먼트 드라마 연예/오락 음악/오디션 인포테인먼트 *Act: 프로그램 관련 기사/뉴스 구독자 수 + 프로그램 관련 검색자 수 + 프로그램 홈페이지 방문자 수 *Share : 프로그램과 관련된 Buzz 발생량 *Source: Nielsen, CPI, 2012년 2월~12월 주간, 기간 합계, 평균 30
  • 31. Key findings – 3) 광고 몰입도(Ad Engagement) 입증  시청보다는 행동(ACT) 및 공유(SHARE)와 광고 몰입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편 광고 몰입 VIEW .065 • 단위 : 상관계수 ACT .734 • 상관계수 : 두 변수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SHARE .825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의미임 70 70 70 60 60 6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0 50 50 40 40 40 광고몰입 광고몰입 광고몰입 30 30 30 20 20 20 10 10 10 0 0 0 0 20 40 60 80 0 20 40 60 0 10 20 30 40 VIEW ACT SHARE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31
  • 32. Key findings – 3) 장르별 광고 몰입도(Ad Engagement)  장르별로는 인포테인먼트가 광고 몰입과의 상관관계 높음 인포테인먼트 연예/오락 광고 몰입 광고 몰입 VIEW .177 VIEW .029 ACT .914 ACT .849 SHARE .910 SHARE .839 드라마 음악/오디션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광고 몰입 광고 몰입 VIEW .048 VIEW .013 ACT .653 ACT .599 SHARE .767 SHARE .907 • 단위 : 상관계수 • 상관계수 : 두 변수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의미임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32
  • 33. Key findings – 4) 마케팅 가치(ROI) 입증  AE와 마찬가지로 ROI에서도 ACT 및 SHARE와 상품 구입 의향 간 상관관계가 높은 편임 상품 구입 의향 VIEW .253 • 단위 : 상관계수 ACT .522 • 상관계수 : 두 변수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SHARE .531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의미임 80 80 80 70 70 70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60 60 60 50 50 50 40 40 40 ROI ROI ROI 30 30 30 20 20 20 10 10 10 0 0 0 0 20 40 60 80 0 20 40 60 0 10 20 30 40 VIEW ACT SHARE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33
  • 34. Key findings – 4) 장르별 마케팅 가치(roi)  장르별로 봤을 때 인포테인먼트는 VIEW와도 상관관계가 높음 인포테인먼트 연예/오락 상품 구입 의향 상품 구입 의향 VIEW .511 VIEW .137 ACT .770 ACT .774 SHARE .404 SHARE .729 드라마 음악/오디션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상품 구입 의향 상품 구입 의향 VIEW .159 VIEW .202 ACT .538 ACT .685 SHARE .501 SHARE .819 • 단위 : 상관계수 • 상관계수 : 두 변수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의미임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34
  • 35. Key findings – 5) 소셜미디어 버즈량과 몰입도  소셜TV 이용자는 비 이용자 대비 프로그램 몰입도/광고 몰입도에서 높게 나타남 프로그램 몰입도 광고 관심도 67.9 49.8 31.5 20.5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Social TV 이용자 Social TV 비이용자 Social TV 이용자 Social TV 비이용자 소셜 TV 이용자는 비이용자 대비 소셜 TV 이용자는 비이용자 대비 1.4배 높은 프로그램 몰입도를 보임 1.5배 높은 광고 관심도를 보임 Source: CVI, 6-9월 누적 데이터 기준, 사례 수 n=11,082, Social TV 이용자 n=1,535, Social TV 비이용자 n=9,547 35
  • 36. KEY FINDING summary  멀티미디어 / 다 플랫폼 환경에서 소비자의 다양한 Behavior 창출  전통적 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measurement 경향 나타남 1 2 3 Engagement가 높은 TV 동시간대 시청률이 비슷한 마케팅 ROI를 위해서는 컨텐츠가 광고 몰입도도 높음 컨텐츠라면, Engagement가 Beyond 시청률 고려 높은 컨텐츠에 광고 집행 고려! • 단순히 ‘시청’이라는 행위보다는 • 콘텐츠 시청이 멀티 플랫폼을 통해 시청 중/시청 이후 ‘검색/홈페이지 이루어지고 있어 TV를 통한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 컨텐츠 타겟/방영 시각이 같다 해도, 방문’, ‘공유’등의 행위가 광고 컨텐츠에 대한 몰입 정도가 다르다면 시청률만으로는 평가 어려움 몰입/광고 관심과의 상관관계가 광고 효과 또한 다를 수 있음 높은 것으로 입증됨 • 상품 구입 의향이 높은 상위 10개 TV • 시청률만 reference로 삼기보다는 ACT 컨텐츠 중 6개가 인포테인먼트 / SHARE 등의 지표 또한 참고하는 것이 장르로 상품 구입과 직접적으로 연결 좋음 36
  • 37. III. CoB 주요 결과
  • 38. Nielsen CPI Top10 of 2012  CoB 상위권에 있는 프로그램은 MBC ‘해를 품은 달’, Mnet ‘슈퍼스타K4’, SBS ‘신사의 품격’ 등 대부분 드라마 장르가 수위를 차지한 가운데, ‘슈퍼스타 K4’는 음악/오디션 프로그램으로 CPI 기준 2위로 수위에 있음 CPI 시청률 순위 Networks Typologies Contents 변동폭 Score Rank Rank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24,309,241 1 1 0 Mnet 음악 슈퍼스타K4 13,887,066 2 47 45 SBS 드라마 신사의 품격 13,783,002 3 5 -2 MBC 드라마 더킹 투하츠 12,984,224 4 16 12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KBS2 드라마 각시탈 11,571,308 5 12 7 KBS2 드라마 넝쿨째 굴러온 당신 11,469,685 6 2 -4 KBS2 드라마 적도의 남자 11,174,041 7 41 34 SBS 드라마 초한지 10,619,728 8 6 -2 KBS2 드라마 착한남자 10,551,189 9 20 11 SBS 드라마 옥탑방 왕세자 10,343,492 10 22 12 *CPI, 2012. 2. 27~12.30 주별 기간 평균, 시청률은 방영 기간 평균 시청률 38
  • 39. Top 10 VIEW Exposure [VIEW] [ACT] Light Action Involvement [ACT] Active Action  CoB 상위권에 있는 프로그램은 MBC ‘해를 품은 달’, Mnet ‘슈퍼스타K4’, SBS ‘신사의 품격’ 등 Engagement [SHARE] 대부분 드라마 장르가 수위를 차지한 가운데, ‘슈퍼스타 K4’는 음악/오디션 프로그램으로 CPI 기준 2위로 수위에 있음 VIEW TV 시청자 수 온라인/모바일 순위 Network Typology Contents (A=B+C) (B) 시청자 수 (C) Score Score Rank Score Rank 1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10,000,958 8,926,643 1 1,074,315 12 2 KBS2 드라마 넝쿨째 굴러온 당신 8,862,262 8,154,841 2 707,421 45 3 KBS2 드라마 내 딸 서영이 8,405,934 6,878,837 3 1,527,097 1 4 SBS 드라마 신사의 품격 7,830,409 6,794,264 4 1,036,145 15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 KBS2 드라마 각시탈 7,712,161 6,435,004 5 1,277,157 3 6 KBS2 드라마 전우치 7,155,908 5,820,570 11 1,335,338 2 7 KBS2 연예/오락 개그콘서트 7,125,402 6,350,963 6 774,439 34 8 MBC 드라마 메이퀸 7,041,446 5,781,547 12 1,259,899 4 9 SBS 음악 일요일이 좋다-K팝 스타2 7,034,181 5,919,109 9 1,115,072 8 10 SBS 드라마 청담동 앨리스 6,927,192 5,829,080 10 1,098,112 9 *CPI, 2012. 2. 27~12.30 주별 기간 평균 39
  • 40. Top 10 ACT Exposure [VIEW] [ACT] Light Action Involvement [ACT] Active Action  2012년 가장 관여도가 높았던 프로그램은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뉴스 구독 및 Engagement [SHARE] 프로그램 직접 검색, 홈페이지 방문자 수 모두 1위  2위는 Mnet ‘슈퍼스타K 시즌4’로, 특히 뉴스 구독자 수가 많았음 뉴스 프로그램 홈페이지 방문자 수 Involvement 구독자 수(B) 직접 검색자 수 (C) (D) 순위 Network Typology Contents (A=B+C+D) Score Rank Score Rank Score Rank 1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15,169,099 11,452,993 1 3,016,052 1 700,054 1 2 Mnet 음악 슈퍼스타K4 10,190,124 9,132,946 2 998,867 4 58,311 35 3 SBS 드라마 신사의 품격 5,908,077 4,636,247 4 1,096,892 3 174,938 7 4 MBC 드라마 더킹 투하츠 5,873,175 4,789,462 3 838,134 12 245,579 2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 KBS2 드라마 각시탈 5,456,171 4,281,521 6 988,975 5 185,675 5 6 KBS2 드라마 적도의 남자 5,231,659 4,547,631 5 540,604 19 143,424 11 7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7 5,141,484 3,820,585 7 1,172,962 2 147,937 10 8 KBS2 드라마 빅 4,147,287 3,388,427 9 552,783 18 206,077 3 9 SBS 드라마 옥탑방 왕세자 4,116,411 3,098,277 11 869,485 10 148,649 9 10 SBS 드라마 추적자TheChaser 4,092,642 3,771,349 8 247,268 43 74,025 33 *CPI, 2012. 2. 27~12.30 주별 기간 평균 40
  • 41. Top 10 SHARE Exposure [VIEW] [ACT] Light Action Involvement [ACT] Active Action  2012년 가장 몰입도가 높았던 프로그램은 Mnet ‘슈퍼스타K 시즌4’로 나타남 Engagement [SHARE]  그 다음으로 높았던 프로그램은 tvN ‘응답하라 1997’, MBC ‘해를 품은 달’ 임 Engagement 순위 Network Typology Contents (Share) 1 Mnet 음악 슈퍼스타K4 36,224 2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7 35,905 3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20,872 4 KBS2 드라마 각시탈 16,108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 SBS 드라마 옥탑방 왕세자 10,006 6 KBS2 음악 뮤직뱅크 9,942 7 MBC 연예/오락 무한도전 9,873 8 MBC 드라마 보고싶다 9,852 9 SBS 드라마 아름다운 그대에게 9,610 10 MBC 드라마 골든타임 9,318 *CPI, 2012. 2. 27~12.30 주별 기간 평균 41
  • 42. Top 10 : CVI rank  연예/오락 장르에서는 MBC ‘무한도전’이, 드라마 장르에서는 MBC ‘닥터진’이 시청 몰입도가 높았음 연예/오락 드라마 Score Score 순위 Network Contents 순위 Network Contents (Top2%) (Top2%) 1 MBC 무한도전 51.5 1 MBC 닥터진 44.4 2 KBS2 개그콘서트 45.0 2 MBC 골든타임 43.6 3 Onstyle 솔드 아웃 42.2 3 MBC 해를 품은 달 42.2 4 tvN 슈퍼챌린저코리아 40.6 4 tvN 응답하라 1997 41.1 Copyright © 2013 The Nielsen Company.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5 tvN 코미디빅리그2 38.7 5 SBS 유령 39.2 6 tvN SNL 코리아 38.7 6 SBS 신사의 품격 38.6 7 KBS2 해피선데이-1박2일 38.7 7 SBS 추적자TheChaser 37.4 8 O’live 윤계상의 원테이블 37.5 8 SBS 드라마의 제왕 37.4 9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37.2 9 MBC 보고싶다 36.3 10 MBC 황금어장-무릎팍도사 36.9 10 MBC 더킹 투하츠 34.4 * CVI, 2012. 2~12월, 기간 평균, N=75,653, 173개 프로그램 대상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