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1
Download to read offline
챙소년학연구
채16권 제8호(2009.9). 27• 7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신현숙.
천남대학교 교육학파
아동의 주의집중 문채와 우울의 판계툴 사회적 유놓성 이 매개하는지를 검증
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29명과 그들의 부모에게 6개월 간격올 두
고 자기-보고형 질문지와 부모-보고형 질문지툴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
하였다 부모가 명가한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를 예언변인으로, 아동이 지각한
사회척 유능성을 매개변인으로, 아동이 자기-보고한 우율을 결과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부분 얘 개모형)과 경합모형 (완전얘개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
형 분석으로 모형의 척합도를 검중하고I Aroian 방정식을 활용한 Sobel 검중
으로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검중하였다 그 결과툴 요약하면 다옴과 같다 첫
째/ 부모가 명가한 주의집중 문제 수준이 높융수륙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유
능성 수준이 낮았으며r 사회적 유능성 수준이 낮올수록 아동아 경험한 우올
수준이 높았다 또한 주의집중 문제 수준이 높올수록 우올 수준이 높았다 둘
째, 주의집중 문쩨와 우울의 판계에서 사회객 유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
다 셋째, 주의집중 문제, 사회적 유놓성, 우울의 관계에 관한 부분매개모형의
객합도가 완전매개모형보다 높았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주의집중 문재를 가
진 아동의 우울 중상을 예방하려면 주의집중 향상 개입과 사회객 유능성 중진
개입의 병행 실시가 펼요항을 논의하였다.
• 주찌어 : 주의 집중 문제, 사회객 유능생, 우윷, 에깨 효*
논문 찌 출연 : 2아>9. 07. 06. 척총 심사일 : 2009. 08. 01.
* 교신저자 : 신현숙 (전냥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E-mail: shinphd@Chonnam.ac.kr)
28 칭소년학연구 재 16권 지18호 (2009.9)
I. 서론
주의집중 문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진단올 받은 임상집단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 · 갱소년 집
단에서도 혼히 관찰된다(Angold, Costello, Farmer, Bums, & Erkanli, 1999).
이들은 구조화된 환경이나 규칙이 적용되는 장연에 효융적으로 적웅하지 옷하
며 심리사회걱 기능 손상을 겪는다 특히 원만한 대인관계를 이루고 의사소통
하며 사회적 상황에 적철한 행동을 유지하는 역량을 뭇하는 사회객 유능성
(social competence)을 획득하려면 무엇보다도 우선 상대방이나 파제의 단서에
주의집중하고 그것의 의미를 해석하며 그에 적절한 반용을 해야 한다. 그러나
주의집중 문제는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하는데 기초가 되는 사회인지 기
술의 초기 학습올 어렵게 하므로 주의가 산만한 아동은 또래판계에서 배척당
하거 나(Guevremont & Dumas, 1994; Pope, Bierman, & Mumma, 1991), 사회
적 기술올 연습할 기회를 상실한다(Hechtman, 1991; Nixon, 2001) 그래서 나
이가 들수록 주의집중 문제와 사회적 유능성 결함이 더옥 심해진다(fhorell &
Rydell, 2008) 일부 연구자는 ADHD 진단준거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어려웅을 겪는 아동 - 청소년을 ’사회척 장애 (social disability)’로
명 명 한다(예 I Greene, Biederman, Faraone, Sienna, & Garcia-Jetton, 199η
주의집중 문제와 공존하는 사회척 유능성의 결합은 정서문제도 유발한다,
예를 들연, 주의가 산만한 아동은 또래관계에 수용되지 못하고 자기존중갑이
낮아지면서 슬픔과 고독감을 느끼게 된다(Asher & Wheeler, 1985) 주의집중
문제를 가진 아동도 자신이 처한 부정적인 사회적 지위를 인식할 수 있기 때
문에(Li, Copeland, & Martin, 1995) 또래로부터 배척당하는 경험이 많아질수
록 자기존중감이 더 낮아지고 우울이 더 심해진다(Rubin, 1993).
우울은 건강한 성인조차 일상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며 회복한 이후에도 자주
재발한다, 나이 어린 아동도 우울 중상올 겪올 수 있기에 우울온 연령을 불문
하고 보편적인 정서문제로 간주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2008)가
2007년에 실시한 제 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초사의 통계자료에서도 조사대상
청소년 8만 명 가운데 41 .3%가 우울정서의 경험을 보고한 것으로 냐타났다
Of동의 주의집중 문지|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괴 29
우울은 그 자체가 심각한 중상이다 그런데 우울의 원인이나 결과도 중대한
부적용을 반영한다(Cole & Milstead, 1989; Nolen-Hoeksema, Girgus, &
Seli맹1an, 1992) 특히 우울 중상은 유능성이 실제로 부족한 아동이나 자신의
유능성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아동에서 많이 관찰된다. 그래서 아동기 우울
과 유능성 결핍의 인과판제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첫째, 우울에서 회복한
이후에도 불리한 잔여 효과가 지속된다는 상처가셜 (scar hypothesis)은 우울을
유능성 경핍 또는 유농성에 대한 부정적 지각의 원인으로 간주한다(Rohde,
Lewinsohn, & Seeley, 1990; Zeiss & Lewinsohn, 1988)‘ 둘째, 아동기 우울의
’유능성-기 반 모형 (competence-based model)’은 유능성 결핍 또는 유능성에 대
한 부정적 지각을 우울의 원인 또는 선행변인으로 간주한다(Cole, 1991).
경험적 연구를 통해, 아동기 우율은 상처가설보다 유놓성-기반 모형에 더 적
합하고 성인기에는 상처가설 이 더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연, 대학생
의 우울이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유의하지만, 사회성 기술의
결핍이 우올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Cole & Milstead, 1989). 반연,
초둥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우울의 사전 수준을 통제했을 때 사회적 유
능성이 6개월 후 우올을 유의하게 에언하지만, 사회적 유놓성 수준올 통제했
을 때 우울이 6개월 후 사회적 유능성올 예언하지 못했l:j-(Cole, Martin,
Powers, & Truglio, 1996) 우리나라 초둥학교 6학년 아동올 대상으로 한 신현
숙 (2009)의 연구에서도 학엽적 유능성이나 행동객 유능성의 결핍은 우올파 서
로 영향올 주고받는 판계를 이루는 반면, 사회적 유능성의 결핍은 우울로 인
한 결과가 아니라 우울의 원인 또는 선행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아동기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과 이 모형융 지지하는 경험
적 연구의 결과에 근거 하여,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부정적 지각을 아동기 우
울에 선행하는 변인으로 셜정하였다 또한 주의집중 문제가 사회적 유능성의
발달을 어렵게 하며 우울올 가져온다는 경험적 연구의 결파에 근거하여, 주의
집중 문제를 예언변인으로, 사회적 유능성올 매개변인으로/ 우올을 결과변인으
로 성정하였다 때개변인은 예언변인과 결파변인 간에 존재하는 강력한 관계
률 성영하는 변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유능성이 주의집중 문제와 우웅
의 관계를 부분 매개할 것이라는 가껄을 설정하고 검중하였다
30 청소년학연구 져116권 제8호 (2009.9)
D. 이론적 배경
1. 주의집중 문제와 사회적 유능생의 판계
부주의 (inattention), 과잉앵동(hyperactivity), 충동성 (impulsivity)은 ADHD의
핵심 중상이며, 이러한 중상으로 인해서 사회성, 학엽, 직엽 기능에 심각한 손
상을 겪으면 ADHD 진단이 내려진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이처럽 ADHD의 일차적 진단기준파 그에 판련된 문제에 관한 자료는 의료기
관에 의뢰된 잉상집단에서 수집된다 그러나 부모나 교사에 의해 주의가 산만
한 것으로 관찰된 일반 아동 표집의 대략 15%-20% 도 ADHD 진단올 받은 아
동안큼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기능 손상을
겪는다(Angold et al., 1999) 주의집증 문제는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거부 경헝
에 영향을 미치며, 과잉행똥이 9'.래관계에 미치 는 영향력이 공격객 행동의 영
향력에 독립적인 것으로 밝혀졌다(Pope, Bierman, & Mumma, 1991)
주의집중 문제는 사회적 유능성의 초기 발달과 사회성 기술의 초기 학습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사회적 유능성의 결핍을 더욱 악화시킨
다 사회척 상호작용에 관련된 단서에 주의집중하지 못하면 사회적 정보를 정
확하게 해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Guevrcmont & Dumas, 1994), 상대방에게
무관심한 것처럽 보이거나 상대망을 공감하기가 어렴다(Braaten & Rosen,
200이‘ 더구나 또래로부터 배척을 많이 당할수록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에 필
요한 사회성 기술을 또래집단 안에서 연습활 기회툴 얻지 못한다 주의집중
문제를 가진 아통과 또래관계에서 배척올 당하는 아동올 성인기까지 추적 조
사한 결과가 매 우 비슷하다는 Hechtrnan(I991)의 보고는 주의집중 문제와 사
회척 유능성 결핍의 밀접한 관계를 지지한다.
2.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
주의집중 푼제와 우울의 관게는 외현화 행동문제와 우융의 관제를 지지한
경험적 연구(예, 곽금주, 문은영, 1995; Cole & Carpentieri, 199이, 우울 중상이
나타나는 동안 갱신운동성 초조와 집중력 갑퇴를 호소하는 아동이 많고 주의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외 우옳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31
집중 문제와 우울 중상의 공폰병리가 주요우울장애의 이환율을 높인다는 보고
(Biederman, Newcom, & Sprich, 1991)에 근거 한다. Cole파 Carpentieri(l99이
는 초둥학교 4학년 학생 1,464명 을 대상으로 아동의 자기-보고, 또래지명, 교사
영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공유 방법 변량(shared method variance)을 통제
한 이후에도 우울과 행동문제의 상관이 73으로 높다고 보고하였다.
그렇다면 주의집중 문제와 우올 간에는 어떤 인과관계 또는 선후판계가 존
재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에 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인생 초기
에 겪은 상실과 화절의 경험이 우올을 초래하고, 슬프고 고통스런 기분으로부
터 자신을 방어할 옥걱으로 외현화 문제를 일으킨다연, 우울올 외현화 문제의
원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Beyers & Loeber, 2003; Kovacs, Paulauskas,
Gatsonis, & Richards, 1988). 둘째, 아동의 공격적 행동이 우윷 증상을 유의하
게 예측한다면, 외현화 문제를 우올의 선행변인으로 볼 수 있다(Cole, Martin,
& Powers, 199끼 더구나 주의집중 문제는 우울 중상이 나타나기 이전의 어린
나이에 주로 발병하는 신경학적 장애라는 점을 고려하연, 주의집중 문제를 우
울의 선행변인 또는 원인으로 간주하는 주장은 타당하다(Herman &
Ostrander, 2007). 셋째t 우올과 외현화 문제가 경제선 성격장애나 부정적 정서
성과 같은 제3의 공통 변인에 의해 유빨될 수 있다(Keiley, Lof1house, Bates,
Dodge, & Pettit, 2003) 그러나 성격장애는 성인기에 진단되는 장애이기에 아
동기 우흘파 외현화 문제의 관게를 성멍하기에 적켈하지 못하다‘ 넷째, 우올파
행동운제의 발생이라는 공통의 최종 결말을 향해 나가는 발달경로가 있다는
가셜은 발달정신병리학적 판정에서 볼 때 타당하지만, 장기종단연구를 통해서
나 검증이 가능하다(Ben-Amos, 1992)
한편, 10세 -11 세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풍행 문제가 각각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올 검중한 Herman과 。strander(2007)는 주의집중 문제에서 우울로 가
는 경로가 유의한 것과 달리 풍행 문제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
다는 것올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집중 문제가 우울의 선행변인이나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정의 근거가 된다. 주의집중 문제에서 우올로 이
르는 경로를 구체척으로 살펴보연, 주의집중 문제가 학교부적용(학괴와 교사에
대한 부정적 태도I 저조한 공부기술, 학습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학교
부적용이 화교-관련 자신감을 낮추며/ 학교-판연 자신감의 감소가 우울의 중가
로 이어졌다‘
32 청소년학연구 지116권 에8호 (2009.9)
3. 아동가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
유능성은 문화, 사회, 시간의 맥락 안에서 연령과 성멸에 객합하다고 기대되
는 발달파업을 성공적으로 달성하여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역량을 뭇한
다 유능성의 달성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문화마다 다르지만, 일부 유능성
영역은 여러 사회와 문화에서 보연적으로 중시된다 아동기에는 원만한 또래
판계를 이루는 ’사회적 유능성’, 학업성취를 이루는 ’학업적 유능성’, 사회 규범
과 올바른 풍행올 준수하는 ’행동적 유능성’이 중시되며, 청소년기에는 ’직업
유능성’과 ‘애정 유능성’이 추가된다(Masten & Coatsworth, 1998)
자신의 유능성올 실제보다 과소명가하는 인지적 왜곡올 하거나 실제로 부족
한 유능성올 정확하게 반영한 자기지각을 갖는 아동은 우울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부청척으로 왜곡된 신념이 성인기 우울의 발생과 유지에 관여한다
고 가정한 인지치료 이론을 확장한다 초동학교 6학년 아동올 대상으로 수행
된 2년 총단연구에서 아동의 자기지각이 타인의 명가와 불일치하는 방향으로
왜곡되었든 타인의 명가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형성되었든 구분없이
자신의 유능성에 대한 부정척 신엽이 우울 중상올 유의하게 예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Hoffman, Cole, Martin, Tram, & Seroczynski, 2어lO)‘ 이러한 결과는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으로 요약된다
유능성과 우울의 판계를 설명하는 다른 모형 중에는 우울과 부정적 자기도
식의 상판판계를 가정하는 모형이 있다 또 다른 모형에서는 유능성 걸핍 또
는 유능성에 대한 부정척 지각올 우울의 결과로 간주하는데, 이는 우울올 겪
고 난 후에 부정척 결과가 발생하여 계속 남아 있다는 상처 가설에 근거한다
(Rohde, Lewinsohn, & Seeley, 1990; Zeiss & Lewinsohn, 1988). Shea, Leon,
MueUer, Solomon, Warshaw와 Keller(1996)는 성 인 기 우울 중상이 나타난 후
6년이 지났을 때 내향성, 신경중, 대인간 의존성에서 부정적 변화률 핫지 못하
여 상처 가설을 기각하였다. 그러나 성격특성은 상당한 안정성올 갖는 변인이
므로 우울에 의해 쉽게 변화될 가놓성이 적어 상처 가셜이 기각되었융 수 있
다 이를 염두에 두고, 아동기에 가변적인 유능성의 결핍이 우울의 결과인지를
탑색한 신현숙(2009)온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결핍이 우울의 영향을 받기보다
는 우울에 앞서 발생한다는 것올 밝혔다 따라서 야동기에는 사회적 유놓성
Of 동의 주의집중 문저|외 우훌의 관계:
사회적 유눔성의 매개효과 33
결핍융 우울의 선행변인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Seroczynski, Cole파 Maxwell(199끼은 다수 영역(예, 학업/ 사회성, 풍
행, 외모, 신체운동 Harter, 1982)에서의 유능성 결핍이 초둥학교 3, 6학년의
우울에 영향올 미치는 중다 유능성 가껄 (multiple competency hypothesis)올
지지하였다 그러나 특정 영역의 유능성올 홍재해도 나머지 유능성 영역이 우
율에 유의한 영향올 미치므로(Cole, 1991), 우울에 대한 유능성 또는 유능성 결
핍의 영향력은 유능성 영역별로 고유함을 알 수 있다 그 중 사회척 유능성
결핍은 주의집중 문제률 가진 남자아동의 우울을 더 악화시키기도 하므로
(Greene et al., 199끼, 이 연구에서는 아동기에 대표적인 발달파업의 하나이며
주의집중 문제나 우울과 관련된 사회적 유능성을 매개변인으로 셜정하였다.
m. 방법
1. 모형셜정
주의집중 문체와 우울의 판계를 사회객 유능성이 매개하는 관계모형을 그립
1, 그림 2와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은 주의집중 문제가 사회적 유능성올
매개로 하여 우올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와 주의집중 문제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릎 모두 가정한 부분매개모형이다 연구모형의 적합
도를 명가하기 위한 경합모형은 간접 경로안을 가정한 완전매개모형이다.
핫굉P 원표D
l 그엉 11 연구모잉 t. 문띠J5!II) l그엉 ZIII엠모 ø tl'!1!매1 오fl)
34 청소년학연구 쩨 16권 재8호 (2009.9)
2. 연구대상
G광역시 소재 4개 초둥학교 6학년 아동 565명과 그틀의 부모가 1차시기 조
사에 참여하였다 대략 6개월이 정과한 후에 실 시한 2차시기 조사에도 아동과
부모가 모두 용답한 455명의 자료 가운데 중복웅답이나 불성실용답이 있는
126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329영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 가운데
남아는 146명 (44.4%), 여아는 183명 (55.6%)이었다 부모-보고형 질문지의 작성
자는 어머니 279영 (84.8%), 아버지 43명 (13.1 %), 기타 7명 (2.1 %)이었다
3. 측정도구
1) 주의집중 문제
아통의 주의집중 문제를 명가하기 위하여, 오경자, 홍강의t 이혜 련 (2003)의
K-CBCL 아동 · 청소년 행통평가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는 만 4세 .17세 아통 ·
청소년의 다양한 행동문제를 평가하는 부모-보고형 척도다. 주의집중 문제 하
위척도 문항 11개(예, 집중력이 없고 어떤 일에 오래 주의를 기울이지 못 한
다)에 대한 용답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각 문항에 대해 현재나 지난 6
개월 동안에 자녀가 얼마나 자주 그러했는지를 부모가 이전혀 아니대, 1(가끔
그렇대, 2(자주 그렇대 중 하나에 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6개월 간격으로
실시한 1, 2차시기 측정도구가 지칭하는 관찰기간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t 지
시문에서 t지난 6개월 동안’을 ‘지난 2개 월 동안’으로 변경하였다 원저자가 보
고한 주의집중 문제 하위척도의 내적 일치도 계수(Cronbach 띠는 76이고, 1개
월 간격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6이었다(오경자, 홍강의, 이혜련, 하은혜,
2001) 본 연구대상의 부모로부터 산출한 내적 일치도 계수는 72였다
2) 사회객 유능생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Harter(1982)의 아동용 자
기 지각 프로따일(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을 이명숙(1994)이 번안
한 척도를 실시하였다. 다섯 가지 하위영역(학업I 사회성, 풍행, 신체운동, 외
묘)과 전반척 자기가치갑에 해당하는 문항 쌍 36개 가운데 사회척 유능성올
이동의 주의집중 룬채외 우흩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괴 35
측갱하는 문항 쌍 6개(예, A는 또래에게 인기가 었다, B는 또래에게 그다지
인기가 없다)에 대한 용답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총점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
능성 수준이 높음을 의미하도록 4정 명정척도에서 채정하였다. 이명숙이 보고
한 내적 일지도 계수는 전체 척도 85, 사회적 유능성 척도 71 이었다. 본 연구
대상에서 산뿔한 사회척 유능성 척도의 내척 일치도 계수는 .83이었다
3) 우울
Kovacs(1985)가 제 작한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l)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조수철과 이영식 (1옛에)의 한국형 소아우올척도를 실시하였다 CDl는
우올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척/ 생리객 중상을 측정하는 자기-보고형 문항 27
개로 구성된다 각 문항이 나타내는 중상을 지난 2주 동안 얼마나 심각하게
겪고 있는지에 따라서 0, 1, 2로 채점되는 문장 3개(예, 냐는 가끔 슬프다l 나
는 자주 슬프다, 나는 항상 슬프다)가 제시된다. 일반 아동올 대상으로 분석한
CDl의 검사-재검사 신뢰도t 예언타당도, 공인타당도, 구인타당도가 모두 양호
하다 /자살하고 싶은 생각’을 묻는 문항을 제외한 267H 문항을 초동학교 3, 6
학년에게 실시한 Cole 동(199이은 내척 일치도 계수를 90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대상에서 산출한 CDl27개 문항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87로 양호하였다
4. 연구철차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 그리고 사회적 유능성 결핍 과 우울의 인
과관계를 성정하기 위하여 주의집중 문제와 사회적 유능성 자료는 2008년 5월
에l 우올 자료는 2008년 11 월에 수집하였다 주의집중 문제는 타언에 의해 객
판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외현화 문제이므로 부모-보고형 질문지로, 지각된 사
회척 유능성과 우울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이므로 아동의 자기-보고형 질문지
로 명가하였다 아동은 담임교사의 지도아래 20분 동안 교실에서t 부모는 가정
에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부모의 참여융을 높이기 위하여, 원하는 부모에 한
해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에 판한 결과보고서를 제공하였다 결과보고
서는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에 대한 소개, 각 아동이 획득한 정수, 문제의 성각
도 분류(매우 심각, 위험, 정상), 기술적 해석을 포함하였다.
36 청소년학연구 저116권 제8호 (2009 ,9)
5. 자료분석
이 연구에서는 SPSS 17,O(Windows version)파 AM∞ 4,0을 활용하여 자료
를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치의 유의도 검증은 p<,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첫째, 가설검중에 앞서 각 측정변인의 명균파 표준면차를 산출하고, 측정변
인 간 단순상판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측정변인은 각 장채변인에 해당하는
측정도구의 문항을 무선으로 이분하여 잠재변인별로 2개씩 설정하였다‘
둘째, 주의집중 문제t 사회적 유농성t 우웅의 관계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structural 액uation modeling) 분석올 실시하였다. 구조방갱식
모형 분석은 측정모형과 이론척 구조모형올 동시에 검중할 수 있으며, 측정오
차를 통제한 상태에서 잠재변인 간 관계를 검중할 수 있고, 얘개효과를 밝히
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 TLlπucker Lewis lndex),
CFI(colJ뼈rative fit index), RMSEA(r∞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로 판단할 수 있다 ;(값은 표집크기에 민감하여 표집이 클 때
유의힐 수 있으므로, 그 대신에 TLI와 CFl가 ,95이상이거나 RMSEA가 05이하
이면 좋옹 적합도, TLI와 CFI가 90-,95이거나 RMSEA가 05-,08 01 연 괜찮은 적
함도, RMSEA가 08-.1 0이연 보통 적합도를 가진 모형으로 해석하였다(홍세회/
2000) 완전매개모형은 부분매개모형에 내재하므로, 서 차이검증올 통해 모형
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도 검중올 위해 Sobel 검증(preacher
& Leonardelü, 2006)의 Aroian 방정식 올 활용하였다 Aroian 방정식은 표준오
차의 곱이 매우 작아야 한다는 불필요한 가정 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N. 컬과
1. 기술통계 및 측정변인 간 상판
각 측정변인 간 상판을 분석한 결파는 표 1과 같다, 주의집중 문제의 측갱
변인과 사회척 유능성의 측정변인 간 부척 상관, 주의집중 문제의 측정변인과
우울의 측정변인 간 정척 상판, 사회척 유능성의 측정변인과 우울의 측정변인
간 부척 상판이 모두 유의하였다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외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37
〈표 1> 측정변인 간 상판 및 기술통계치 (N = 329)
주의집중 문제 사회척 유능성 우올
측정변인 A B A B A B
주의집중 문제 A
주의집중 문제 B 57
사회적 유능성 A -.17 -.21
사회적 유능성 B -.20.- -.22 73-.
우올A ‘14 ‘ 20 -.32 -.39
우올B 21 28 “ 48 52 .78
M 0.45 0.43 2.85 2.68 1.38 1.46
SD 0.31 0.34 0.64 0.61 0.26 O 갱
p<.05. -p<.01. •••p<.ool
2.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셔 사회적 유놓성 의 매개효과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척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
하여 구조빵정식모형 분석올 실시한 결과, 음오차 분산이 우올B 측정변인의
오차항에서 발생하였다. 이 오차항에 Haywood Case 제약 방법올 적용해 오
차분산을 0.005로 고정시킨 수정모형은 다음파 같다, 부분매개모형에서 각 경
로게수의 유의도를 검중한 결과를 표 2와 그렴 3에, 완전매개모형에서 각 경
로제수의 유의도를 검중한 결파를 표 3과 그림 4에 제시하였다
〈표 2> 부분메재모형에서 주의집중 문제/ 사회척 유능생, 우울의 판계
경로
비표준화 표준 표준화
계수 오차 계수
p
주의집중 문제 • 사회적 유능성 0.781 0.186 -0.301 -4.208 000
사회척 유능성 • 우올 0.216 0.025 -0.544 -8.528 000
주의집중 문제 • 우울 0.173 0.061 0.167 2.833 .005
38 청소년학연구 저116권 에8호 (2009 .9)
- 0.301 0.5<<
주 r주의 g 중문쩌→¥흩, ./:호1 수는 p(.01 수준에서 유elOI며 니머지
g 로 III 수는 p(.OOI 수준이서 유의 g
l 그영 3] 주의 g 풍운>1 . 시회 R 유 능싱 우융의핀 1 어관한무를띠1모g
〈표 3> 완션에깨모행에서 주의집중 용제, 사회객 유능성, 우울의 환재
비표준화 표준 표준화
경로
계수
0.826
-0.239
차
-%
영
오
-n
n
짜
-뼈
뼈
p
-4.447 .000
-9.569 .000
주의집중 문제 • 사회척 유능성
사회걱 유능성 • 우울
0.820 /0883
-0 잉’ /  0.609
쭈 모든 검 료1 수기 p(.OOI ,* 준이서 유g 앙
!그딩 4) 주의 g 홍 문제 사a 혀 ff늄영 'i'~의 영 1 이1'!한엉갱이1 모g
이동의 주의징중 문져l 외 우율의 관계
시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39
부분얘개모형파 완전매개모형에서 「주의집중 문제 • 사회적 유능성」 , 「사
회적 유능성 • 우울」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였다 즉 주의집중 문제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 수준이 낮고, 사회적 유능성 수준이 낮올수록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닭다- 부분매개모형에서 「주의집중 문제 • 우올」 경
로계수도 유의하여, 주의집중 문제 수준이 높을수록 우올 수준이 높았다
다용,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객 유능성이 유의한 얘개효과
툴 갖는지를 검중하기 위하여 Aroian 방정식올 활용한 Sobel 검중을 실시하였
다 그 결과, 부분매개모형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z =
3.756, P = .0。이 또한 경합모형인 완전매개모형에서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z = 4.010, P = .000)
각 관계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부분얘개모형의 J는
8.656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하지 않았고, 완전매개모형의 J는 16.870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또한 부분얘개모형과 완전 매 개모형의 TLI와 CFI
가 좋은 적합도 기준인 0.95보다 높았고, 부분매개모형의 RMSEA가 좋은 적합
도 기준인 0.05보다 낮았다‘ 그리고 완전얘개모형의 RMSEA는 괜찮은 적합도
기준인 .05-.08의 범위에 속하였다 따라서 부분매개모형과 완전얘개모형올 모
두 양호한 모형으로 판명하였다 J차이 검중의 결과,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
개모형의 ι1값 차이가 8.214로 자유도 1 일 매의 임계값인 3.84보다 커서 유의
하였다 따라서 부운때개모형을 완전매개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 적합한
모형으로 수락하였다 이로써 이 연구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표 4> 주의정중 문제, 사희척 유능생, 우융의 판계모형 찍함도
모형 J df p TLI CFI RMSEA
부분매개모형 8.656 7 278 0‘996 0.998 0.027
완전매개모형 16.870 8 031 0.980 0.989 0.0.잃
차이 8.214 1
40 청소년학연구 지116권 제 8효 (2009.9)
V. 논의 및 철론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농성
의 매개효과를 겁중하는데 있다, 아동기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 이 률 지지
하는 경험걱 중거, 주의집중 문제가 사회척 유능성 결핍과 우울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결과에 큰거하여, 주의집중 문제를 예언변인으로, 사회적 유능
성올 매개변인으로, 우울을 절파변인으로 셜정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파
를 요약하고 그 의의를 논의하연 다응파 같다
첫째,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에서 사회적 유능성에 이르는 경로/ 사회객 유능
성에서 우울에 이르는 경로, 주의집중 운제에서 우울에 이르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집중 문제가 심할수록 사회성 유놓성이 낮으
며, 사회적 유능성이 낮을수록 우울올 겪는 정도가 높다는 것올 의미한다 또
한 주의집중 문째는 6개월 후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의집중 문제에서 우울에 이르는 직접 경로와 주의집중 문제에서 사
회적 유능성 결핍을 거쳐 우울에 이르는 간접 경로를 가정한 부분매개모형파
간접 경로안올 가정한 완전매개모형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파가 모두 유
의하였다- 또한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 적함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올의 관계가
사회적 유능성 결핍에 의해 부분적으로 셜영될 수 있옹융 의미한다. 즉 주의
집중 문채가 사회적 유능성을 낮추거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부정척 지각올
수반하며 그로 인해서 우율 중상이 발생하거 나 악화되기도 하지만, 주의집중
문제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집중 문제가 우울에 선행한다고 주장한 Herman과 。strander(200끼, 주의
집중 문채와 저조한 사회객 유능성 간 관계가 유의함을 밝힌 Greene 퉁 (1997)
과 Nixon(2001), 아동기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올 지지하는 경험적 중거를
제시한 Hoffman 퉁(2000)과 일치하였다
이 는 우울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실제적 시사껑을 던진다- 중학교 진화올
앞두고 우울올 겪는 아동의 우올 중상안을 감소시키기보다 우울의 선행변인이
나 원인올 고려한 개업을 실시할 펼요가 있다 또한 주의집중 문제를 가진 아
동올 대상으로 주의집중 문제를 감소시키는 개업과 사회적 유능성을 중진시키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용과 41
는 개입올 병행하연 이들의 우울을 효파적으로 예방할 수 있올 것이다
이 연구의 제한정파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ADHD나 우율성 장애의 진단을 받지 않은 일반 아동
안올 대상으로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을 차원적 방식으로 명가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다른 발달단계에 있는 아동 또는 ADHD나 우율성 장애의 진단
올 받은 아동에게 일반화할 수 없다 또한 주의집중 문체와 파영행통올 동시
에 보이는 아동은 공폰병리 없이 주의집중 문제만을 보이는 아동에 비해 대인
판계가 더 나쁘고 전반적인 사회 능력도 더 낮으므로(문경주, 오경자t 하은혜,
박중규, 1999), 연구대상에서 주의집중 문제 와 파잉행동이 공존하는 정도를 따
악할 필요가 있다 만일 공존병리가 없는 아동이 연구대상이었다면 공존병리
를 가진 아동에게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툴째,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유능성의 애개효과만올 검증했기 에 우울에 미
치는 다수 유능성 영역의 누적적 효과를 검증할 수 없었다. Seroczynski, Cole
과 Maxwell(199끼에 의하연, 유능성을 인정받는 영억의 수가 많을수록 아동의
우울 수준이 낮고 유능하지 못하다고 멍가받는 영역의 수가 많올수록 우올 수
준이 높다. 그런 데 특정 영역에서의 유능성 결핍을 다른 영역에서의 유능성이
보상하기도 하며 특정 영역에서의 유능성을 다른 영역에서의 유능성 결핍 이
상쇄하기도 하므로 여러 유능성 영역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
회직 유능성과 학엽적 유능성은 상보관계를 이루므로(Welsh, Park, Wid.man,
& 0 ’Nei!, 2001),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과 학엽적
유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주의집중 문제의 자료를 부모명정의 방법으로 수집하
였다 그러나 교사는 구조화된 교육 환경 속에서 비슷한 발달 수준에 있는 여
러 아동을 비교하여 아동의 주의집중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교사명정에 의혜 수집된 자료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주의집중 문제와 사회적 유능성을 동일한 시기에 측
정하였기에 이 두 변인의 선후관계 또는 인과관계를 직접 검중할 수 없었다
적어도 3차시기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면, 주의집중 문제가 사회적 유능성의
결핍을 호 래하며, 저조한 사회적 유능성이 우울 증상을 중가시키는 인과판계
또는 신후관계를 좀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올 것 이다
42 용소년학연구 쩌1 16권 지18호 (2009.9)
참고문헌
꽉금주, 문은영 (1995). 심리적 특정 및 우울과 비행 간의 판계( I1 ): 청소년 이
전기를 중심으로. 한국성려학회져: 발달, 8(1), 1-11
문경주, 오 경자, 하은혜, 박중규 (1999)‘ 주의산만 · 과잉활동 운제를 보이는 아
동의 아동 · 갱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군징 분석 한국심리학회져:
입상, 18(2), 199-207
신현숙 (2009). 단기종단연구를 통한 아동기 우울과 학업걱-사회척-앵동척 유농
성의 판계 청소년학연구, 16(3), 73-98
오경자, 홍강의, 이혜련 (2003). K-CBCL 아동 • 청소년 행동명가척도 휴노건
설팅
오경자, 흉강의, 이혜련, 하은혜 (2001). KζBCL 아동 • 청소년 행동영가척도.
중앙걱성연구소
이명숙 (1994) 청소년의 자기능력 지각에 대한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7,
92-107
조수철, 이영식 (199이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션정정신의학, 29(4),
943-956.
질병관리본부 (2008) 제 3차(200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서울:
질병관리본부
흥세회 (2αJO)‘ 구조방정식 모형의 척합도 지수 선갱기준과 그 근거 한국성리
학회져: 영장, 19, 161-177
Arn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D뺑nostic and st.짜S뼈1 Inanl찌 <!
InenW disorders-4tJl editÚJrl. Washington, DC: Aulhor
Angold, A., Costello, E. L Farmer, E, M, Z., Bums, B. J., & Erkanli, A.
(1맺). lmpaired but undiagnosed. Jorlm띠 @ 야e American Academy <!
Child and Ad,이escent PSYc/1따여, 38, 129-137
Asher, S. R., & Wheeler, V. A.(1985). Children's loneliness: A comparison of
rejected and neglected peer status. JorlmaJ <! COt/slI lting and Clin따ú
Psyd때정y, 53, 500-505‘
01룡의 주의집중 문제외 우울의 관계 ‘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괴 43
Ben-Amos, 8.(1992). Depression and conduct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BIlIIetin cf the MenniJlger Cliniζ
56(2), 188-208
Beyers, J. M., & Loeber, R.(2003). Untangling developmental relations
between depressed mood and delinquency in male adolescents. 10llmal
cf Almonnal Child Psych여앵y, 31, 247-266
Biederman, J., Newcom, J., & 5prich, 5. E.(1991).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conduct, depressive, anxiety, and
other disorders. A뼈뼈I 100lmal cf Psychiatry, 148, 564-577
Braaten, E. B., & Rosen, L. A.(2000). Self-regulation of affect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and non-ADHD boys: Differences
in empathic responding. 100m찌 cf Conslllting aJld C/Úlico/ Psyclwlogy,
68, 313-321
Cole, D. A.(1991). Preliminary support for a competency-based model of
depression in chiJdren. Ioomal cf Abnonnal Psyciw뺑y, 100(2), 181-190.
Cole, D. A., & Carpentieri, 5.(199이 Social status and the comorbidity of
child depression and conduct disorder. 101m써 cf Conslllting IDld
CIi’lical Psyc,빼앵y, 58(6), 748-757
Colc, D. A., Martin, J. M., & Powers, 6.(199η A competcncy-based model
of child dcprcs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eer, parent, teacher, and
self-evaluations. 100m띠 cf Child Psychol뺑 and Psycl뼈깨 38β),
505-514
Cole, D. A., Martin, J. M., Powers, B., & Truglio, R.(1996). Modeling causal
relations between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and depression: A
multitrait-multimethod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 101m찌 cf
Almonnal Psycll때Jgy, 105(2), 258-270
Cole, D. A., & Milstead, M.(1989). Behavioral correlates of depression:
Antecedents or con잉quences? IOllm이 cf COImselútg PSY'짜따짱y, 36(에,
408-416
Greene, R. W., Biederman, J., Faraone, 5. V., 5ienna, M., & Garcia-Jetton, J
(199η Adolescent outcome of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44 청소년학연구 져116권 저 18 흥 (2009.9)
disorder and social disabiliηRes비ts from a 4-year longitudinal
foUow-up study. loclrna1 cf Consll1ting and C1in때1 Psy'생따짱y, 65(5),
758-767
Guevremont, D. c., & Dumas, M. C.(l994)‘ Peer relationship problems and
d.isruptive beha이。r d.isorders. 1m뼈 cf E뼈ion띠 and 뻐1Wiora1
Disorders, 2, 164-172
Harter, 5.(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1opmen~ 53, 87-97‘
Hechtman, L.(l991). Resilience and v버nerabiJi에 in long-term outcom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antMJian loclrn띠 cf Psy,야뼈Y,
19, 179-195
Herman, K. c., & Ostrander, R.(200끼 The effects of attention problems on
depression: Developmental, academic, and cognitive pathways. S바뼈
P행k뺑y Quarterly, 22(4), 483-510
Hoffman, K. B., Cole, D. A., Martin, J. M., Tram, J., & Seroczynski, A. D
(2000). Are the discrepancies between self- and others' appraisals of
competence predictive or reflective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longitudinal study, part II. Imrna1 cf Abnonnal
Psy'야OIOgY, 109(4), 651-662
Keiley, M. K., Lofthouse, N., Bates, J. E., Dodge, K. A., & Pettit, G. 5
(2003). DifIerential risks of covarying and pure components in mother
and teacher reports of extema1izing and intema1izing behavior across
ages 5 to 14. "ωm띠 cf A1mon뼈 Cl.i1d P:짜뺑y, 31, 267-283
Kovacs, M.(1985).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OI)
PsycJκ야11'I/UIC띠앵Y 8111,힘in, 21 (4), 995-998‘
Kovacs, M., Paulauskas, 5., Gatsonis, c., & Richards, C.(1988). Depressive
disorders in chil벼lood: 3. A lon밍tudin외 study of comorbid.ity with
and risk for conduct disorders. IOllrna1 cf Affi짧ive Disorders, 15,
205-217
Li, c., Copeland, E. P., & Martin, J. D.(l995). Peer relations of children in
Taiwan with characteristics of ADHD. Schoo/ Psy,야어쩡y InteruatiOl'a1,
16, 379-388
Of 동의 주의집중 문제외 우올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45
Masten, A. 5., & Coatsworth, J. 0.(1998). The development 01 competence
in l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successful
C비삐ren. ArneriaIn Ps싸뺑따 53, 205-깅:0.
Nixon, E.(2001). The social competence 01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review 01 the literature. Child Psy'야야쩡Y &
P행빠atry Revietμ 6(4), 1π.-180‘
Nolen-Hoeksema, 5., Gir힘JS, J. 5., & Seligman, M. E. P.(1992). Predictors
and consequ태ces 01 childhood depressive symptoms: A s..year
longitudinal study. lournal cf Abnormal Psy,야뺑y, 101(3), 405-갱2
Pope, A. W‘, Bierman, K. L., & Mumma, G. H.(1991). Aggression,
hyperactivity and inattention-immaturity: Behavior dirnensions
associated with peer rejection in elementary sch∞1 boys. DeuelopmentaJ
P행k뺑y, 2χ “3-671‘
Preacher, K. L & Leonardelli, G. J때06). C뼈때ion for the Sobel test An
ínteractive 짜뼈ion tool for medintion tests. Retrieved from
http://people.ku.edu/-preacher/sobel/sobel.htm
Rohde, P., Lewinsohn, P. M., & 않eley, J. R.(1잊lO)‘ Are people changed by
the experience 01 having an episode 01 depression? A further test 01
the scar hypothesis. loornal cf Abnormal Psyclwlogy, 99, 264-271.
Rubin, K. H.(1993). The waterloo longitudinal project: Correlates and
consequences 01 social withdrawal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ln
K. H. Rubin & J. B. A않ndorpl (Eds.), Soc찌1 u뼈drawaJ, inhibitûJn and
shyness (pp. 2잊 -314). HiIlsdale, NJ: Lawrence Erlbaum.
Seroczynski, A. D., Cole, D. A., & Maxwell, 5. E. (1찌. Cumulative and
compensatory eflects 01 competence and inCOI따etence on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loorn찌 cf Almorm띠 Psy,야ology, 106(4), 586-597‘
5hea, M. T., Leon, A. c., Mueller, T. 1., Solomon, O. A., Warshaw, M. G.,
& Keller, M. B.(199이 Does major depression result in lasting
person허iψ change? A,nerican loorn찌 cf Psychω,γi 153(11), 1404-1410
Thorell, L. B., & Rydell, A-M.(2008). Behaviour problems and social
46 청소년학연구 저116권 저18효 (2009 .9)
competence deficits associated with symptom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ffects of age and gender. Clúld: Care, H뼈'th
and DI!1J/!1opmen4 34(5), 584-595
Welsh, M., Parke, R. D., Widaman, K., & 0 ’Neil, R.(2001). Linkages
between children’s social and academic competence: A longitudinaJ
analysis. JournaI cf S대때 P웬뼈뺑" 39(6), 463갱1.
Zeiss, A. M., & Lewinsohn, P. M.(1988). Enduring deficits after remissions
of depression: A test of the scar hypothesis. B야avWrlr Research and
Therapy, 26, 151-158.
-Absσact-
Of동의 주의징종 문제외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47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 Between Attention
Problems and Depression
Hyeonsook Shin
Chonnam National U띠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elf-reported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rated
inattention and seU-reported depression. Paper-pencil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29 sixth-graders and their parents at the two waves of
data collection approximately 6 months apart. The stT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children with greater attention problems were less
socially competent, those who were less socially competent were more
depressed, and those who were more inattentive were more depressed. Of
the models with attention problems as the predictor, social competence as
the putative mediator, and depression as the outcome variable,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ln
both model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were signil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ttention problems lead to soci떠 competence
deficits, which in tum increase depressive symptoms. Findings may have
i.mplications for designing interventions for inattentive youth. 타fOfts to
prevent their depressive symptoms may require interventions for enhancing
social competence as well as interventions for reducing altenlion problems
• key words attention problem, social competence, depression, mediation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1신현숙 아동주의집중문제 우울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21ERICK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혜원 정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혜원 정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혜원 정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혜원 정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CS_Lee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Similar to 2011신현숙 아동주의집중문제 우울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20)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혜원 정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혜원 정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혜원 정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혜원 정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혜원 정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11신현숙 아동주의집중문제 우울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 1. 챙소년학연구 채16권 제8호(2009.9). 27• 7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신현숙. 천남대학교 교육학파 아동의 주의집중 문채와 우울의 판계툴 사회적 유놓성 이 매개하는지를 검증 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29명과 그들의 부모에게 6개월 간격올 두 고 자기-보고형 질문지와 부모-보고형 질문지툴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 하였다 부모가 명가한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를 예언변인으로, 아동이 지각한 사회척 유능성을 매개변인으로, 아동이 자기-보고한 우율을 결과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부분 얘 개모형)과 경합모형 (완전얘개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 형 분석으로 모형의 척합도를 검중하고I Aroian 방정식을 활용한 Sobel 검중 으로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검중하였다 그 결과툴 요약하면 다옴과 같다 첫 째/ 부모가 명가한 주의집중 문제 수준이 높융수륙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유 능성 수준이 낮았으며r 사회적 유능성 수준이 낮올수록 아동아 경험한 우올 수준이 높았다 또한 주의집중 문제 수준이 높올수록 우올 수준이 높았다 둘 째, 주의집중 문쩨와 우울의 판계에서 사회객 유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 다 셋째, 주의집중 문제, 사회적 유놓성, 우울의 관계에 관한 부분매개모형의 객합도가 완전매개모형보다 높았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주의집중 문재를 가 진 아동의 우울 중상을 예방하려면 주의집중 향상 개입과 사회객 유능성 중진 개입의 병행 실시가 펼요항을 논의하였다. • 주찌어 : 주의 집중 문제, 사회객 유능생, 우윷, 에깨 효* 논문 찌 출연 : 2아>9. 07. 06. 척총 심사일 : 2009. 08. 01. * 교신저자 : 신현숙 (전냥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E-mail: shinphd@Chonnam.ac.kr)
  • 2. 28 칭소년학연구 재 16권 지18호 (2009.9) I. 서론 주의집중 문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진단올 받은 임상집단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 · 갱소년 집 단에서도 혼히 관찰된다(Angold, Costello, Farmer, Bums, & Erkanli, 1999). 이들은 구조화된 환경이나 규칙이 적용되는 장연에 효융적으로 적웅하지 옷하 며 심리사회걱 기능 손상을 겪는다 특히 원만한 대인관계를 이루고 의사소통 하며 사회적 상황에 적철한 행동을 유지하는 역량을 뭇하는 사회객 유능성 (social competence)을 획득하려면 무엇보다도 우선 상대방이나 파제의 단서에 주의집중하고 그것의 의미를 해석하며 그에 적절한 반용을 해야 한다. 그러나 주의집중 문제는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하는데 기초가 되는 사회인지 기 술의 초기 학습올 어렵게 하므로 주의가 산만한 아동은 또래판계에서 배척당 하거 나(Guevremont & Dumas, 1994; Pope, Bierman, & Mumma, 1991), 사회 적 기술올 연습할 기회를 상실한다(Hechtman, 1991; Nixon, 2001) 그래서 나 이가 들수록 주의집중 문제와 사회적 유능성 결함이 더옥 심해진다(fhorell & Rydell, 2008) 일부 연구자는 ADHD 진단준거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어려웅을 겪는 아동 - 청소년을 ’사회척 장애 (social disability)’로 명 명 한다(예 I Greene, Biederman, Faraone, Sienna, & Garcia-Jetton, 199η 주의집중 문제와 공존하는 사회척 유능성의 결합은 정서문제도 유발한다, 예를 들연, 주의가 산만한 아동은 또래관계에 수용되지 못하고 자기존중갑이 낮아지면서 슬픔과 고독감을 느끼게 된다(Asher & Wheeler, 1985) 주의집중 문제를 가진 아동도 자신이 처한 부정적인 사회적 지위를 인식할 수 있기 때 문에(Li, Copeland, & Martin, 1995) 또래로부터 배척당하는 경험이 많아질수 록 자기존중감이 더 낮아지고 우울이 더 심해진다(Rubin, 1993). 우울은 건강한 성인조차 일상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며 회복한 이후에도 자주 재발한다, 나이 어린 아동도 우울 중상올 겪올 수 있기에 우울온 연령을 불문 하고 보편적인 정서문제로 간주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2008)가 2007년에 실시한 제 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초사의 통계자료에서도 조사대상 청소년 8만 명 가운데 41 .3%가 우울정서의 경험을 보고한 것으로 냐타났다
  • 3. Of동의 주의집중 문지|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괴 29 우울은 그 자체가 심각한 중상이다 그런데 우울의 원인이나 결과도 중대한 부적용을 반영한다(Cole & Milstead, 1989; Nolen-Hoeksema, Girgus, & Seli맹1an, 1992) 특히 우울 중상은 유능성이 실제로 부족한 아동이나 자신의 유능성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아동에서 많이 관찰된다. 그래서 아동기 우울 과 유능성 결핍의 인과판제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첫째, 우울에서 회복한 이후에도 불리한 잔여 효과가 지속된다는 상처가셜 (scar hypothesis)은 우울을 유능성 경핍 또는 유농성에 대한 부정적 지각의 원인으로 간주한다(Rohde, Lewinsohn, & Seeley, 1990; Zeiss & Lewinsohn, 1988)‘ 둘째, 아동기 우울의 ’유능성-기 반 모형 (competence-based model)’은 유능성 결핍 또는 유능성에 대 한 부정적 지각을 우울의 원인 또는 선행변인으로 간주한다(Cole, 1991). 경험적 연구를 통해, 아동기 우율은 상처가설보다 유놓성-기반 모형에 더 적 합하고 성인기에는 상처가설 이 더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연, 대학생 의 우울이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유의하지만, 사회성 기술의 결핍이 우올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Cole & Milstead, 1989). 반연, 초둥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우울의 사전 수준을 통제했을 때 사회적 유 능성이 6개월 후 우올을 유의하게 에언하지만, 사회적 유놓성 수준올 통제했 을 때 우울이 6개월 후 사회적 유능성올 예언하지 못했l:j-(Cole, Martin, Powers, & Truglio, 1996) 우리나라 초둥학교 6학년 아동올 대상으로 한 신현 숙 (2009)의 연구에서도 학엽적 유능성이나 행동객 유능성의 결핍은 우올파 서 로 영향올 주고받는 판계를 이루는 반면, 사회적 유능성의 결핍은 우울로 인 한 결과가 아니라 우울의 원인 또는 선행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아동기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과 이 모형융 지지하는 경험 적 연구의 결과에 근거 하여,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부정적 지각을 아동기 우 울에 선행하는 변인으로 셜정하였다 또한 주의집중 문제가 사회적 유능성의 발달을 어렵게 하며 우울올 가져온다는 경험적 연구의 결파에 근거하여, 주의 집중 문제를 예언변인으로, 사회적 유능성올 매개변인으로/ 우올을 결과변인으 로 성정하였다 때개변인은 예언변인과 결파변인 간에 존재하는 강력한 관계 률 성영하는 변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유능성이 주의집중 문제와 우웅 의 관계를 부분 매개할 것이라는 가껄을 설정하고 검중하였다
  • 4. 30 청소년학연구 져116권 제8호 (2009.9) D. 이론적 배경 1. 주의집중 문제와 사회적 유능생의 판계 부주의 (inattention), 과잉앵동(hyperactivity), 충동성 (impulsivity)은 ADHD의 핵심 중상이며, 이러한 중상으로 인해서 사회성, 학엽, 직엽 기능에 심각한 손 상을 겪으면 ADHD 진단이 내려진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이처럽 ADHD의 일차적 진단기준파 그에 판련된 문제에 관한 자료는 의료기 관에 의뢰된 잉상집단에서 수집된다 그러나 부모나 교사에 의해 주의가 산만 한 것으로 관찰된 일반 아동 표집의 대략 15%-20% 도 ADHD 진단올 받은 아 동안큼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기능 손상을 겪는다(Angold et al., 1999) 주의집증 문제는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거부 경헝 에 영향을 미치며, 과잉행똥이 9'.래관계에 미치 는 영향력이 공격객 행동의 영 향력에 독립적인 것으로 밝혀졌다(Pope, Bierman, & Mumma, 1991) 주의집중 문제는 사회적 유능성의 초기 발달과 사회성 기술의 초기 학습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사회적 유능성의 결핍을 더욱 악화시킨 다 사회척 상호작용에 관련된 단서에 주의집중하지 못하면 사회적 정보를 정 확하게 해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Guevrcmont & Dumas, 1994), 상대방에게 무관심한 것처럽 보이거나 상대망을 공감하기가 어렴다(Braaten & Rosen, 200이‘ 더구나 또래로부터 배척을 많이 당할수록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에 필 요한 사회성 기술을 또래집단 안에서 연습활 기회툴 얻지 못한다 주의집중 문제를 가진 아통과 또래관계에서 배척올 당하는 아동올 성인기까지 추적 조 사한 결과가 매 우 비슷하다는 Hechtrnan(I991)의 보고는 주의집중 문제와 사 회척 유능성 결핍의 밀접한 관계를 지지한다. 2.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 주의집중 푼제와 우울의 관게는 외현화 행동문제와 우융의 관제를 지지한 경험적 연구(예, 곽금주, 문은영, 1995; Cole & Carpentieri, 199이, 우울 중상이 나타나는 동안 갱신운동성 초조와 집중력 갑퇴를 호소하는 아동이 많고 주의
  • 5.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외 우옳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31 집중 문제와 우울 중상의 공폰병리가 주요우울장애의 이환율을 높인다는 보고 (Biederman, Newcom, & Sprich, 1991)에 근거 한다. Cole파 Carpentieri(l99이 는 초둥학교 4학년 학생 1,464명 을 대상으로 아동의 자기-보고, 또래지명, 교사 영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공유 방법 변량(shared method variance)을 통제 한 이후에도 우울과 행동문제의 상관이 73으로 높다고 보고하였다. 그렇다면 주의집중 문제와 우올 간에는 어떤 인과관계 또는 선후판계가 존 재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에 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인생 초기 에 겪은 상실과 화절의 경험이 우올을 초래하고, 슬프고 고통스런 기분으로부 터 자신을 방어할 옥걱으로 외현화 문제를 일으킨다연, 우울올 외현화 문제의 원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Beyers & Loeber, 2003; Kovacs, Paulauskas, Gatsonis, & Richards, 1988). 둘째, 아동의 공격적 행동이 우윷 증상을 유의하 게 예측한다면, 외현화 문제를 우올의 선행변인으로 볼 수 있다(Cole, Martin, & Powers, 199끼 더구나 주의집중 문제는 우울 중상이 나타나기 이전의 어린 나이에 주로 발병하는 신경학적 장애라는 점을 고려하연, 주의집중 문제를 우 울의 선행변인 또는 원인으로 간주하는 주장은 타당하다(Herman & Ostrander, 2007). 셋째t 우올과 외현화 문제가 경제선 성격장애나 부정적 정서 성과 같은 제3의 공통 변인에 의해 유빨될 수 있다(Keiley, Lof1house, Bates, Dodge, & Pettit, 2003) 그러나 성격장애는 성인기에 진단되는 장애이기에 아 동기 우흘파 외현화 문제의 관게를 성멍하기에 적켈하지 못하다‘ 넷째, 우올파 행동운제의 발생이라는 공통의 최종 결말을 향해 나가는 발달경로가 있다는 가셜은 발달정신병리학적 판정에서 볼 때 타당하지만, 장기종단연구를 통해서 나 검증이 가능하다(Ben-Amos, 1992) 한편, 10세 -11 세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풍행 문제가 각각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올 검중한 Herman과 。strander(2007)는 주의집중 문제에서 우울로 가 는 경로가 유의한 것과 달리 풍행 문제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 다는 것올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집중 문제가 우울의 선행변인이나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정의 근거가 된다. 주의집중 문제에서 우올로 이 르는 경로를 구체척으로 살펴보연, 주의집중 문제가 학교부적용(학괴와 교사에 대한 부정적 태도I 저조한 공부기술, 학습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학교 부적용이 화교-관련 자신감을 낮추며/ 학교-판연 자신감의 감소가 우울의 중가 로 이어졌다‘
  • 6. 32 청소년학연구 지116권 에8호 (2009.9) 3. 아동가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 유능성은 문화, 사회, 시간의 맥락 안에서 연령과 성멸에 객합하다고 기대되 는 발달파업을 성공적으로 달성하여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역량을 뭇한 다 유능성의 달성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문화마다 다르지만, 일부 유능성 영역은 여러 사회와 문화에서 보연적으로 중시된다 아동기에는 원만한 또래 판계를 이루는 ’사회적 유능성’, 학업성취를 이루는 ’학업적 유능성’, 사회 규범 과 올바른 풍행올 준수하는 ’행동적 유능성’이 중시되며, 청소년기에는 ’직업 유능성’과 ‘애정 유능성’이 추가된다(Masten & Coatsworth, 1998) 자신의 유능성올 실제보다 과소명가하는 인지적 왜곡올 하거나 실제로 부족 한 유능성올 정확하게 반영한 자기지각을 갖는 아동은 우울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부청척으로 왜곡된 신념이 성인기 우울의 발생과 유지에 관여한다 고 가정한 인지치료 이론을 확장한다 초동학교 6학년 아동올 대상으로 수행 된 2년 총단연구에서 아동의 자기지각이 타인의 명가와 불일치하는 방향으로 왜곡되었든 타인의 명가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형성되었든 구분없이 자신의 유능성에 대한 부정척 신엽이 우울 중상올 유의하게 예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Hoffman, Cole, Martin, Tram, & Seroczynski, 2어lO)‘ 이러한 결과는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으로 요약된다 유능성과 우울의 판계를 설명하는 다른 모형 중에는 우울과 부정적 자기도 식의 상판판계를 가정하는 모형이 있다 또 다른 모형에서는 유능성 걸핍 또 는 유능성에 대한 부정척 지각올 우울의 결과로 간주하는데, 이는 우울올 겪 고 난 후에 부정척 결과가 발생하여 계속 남아 있다는 상처 가설에 근거한다 (Rohde, Lewinsohn, & Seeley, 1990; Zeiss & Lewinsohn, 1988). Shea, Leon, MueUer, Solomon, Warshaw와 Keller(1996)는 성 인 기 우울 중상이 나타난 후 6년이 지났을 때 내향성, 신경중, 대인간 의존성에서 부정적 변화률 핫지 못하 여 상처 가설을 기각하였다. 그러나 성격특성은 상당한 안정성올 갖는 변인이 므로 우울에 의해 쉽게 변화될 가놓성이 적어 상처 가셜이 기각되었융 수 있 다 이를 염두에 두고, 아동기에 가변적인 유능성의 결핍이 우울의 결과인지를 탑색한 신현숙(2009)온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결핍이 우울의 영향을 받기보다 는 우울에 앞서 발생한다는 것올 밝혔다 따라서 야동기에는 사회적 유놓성
  • 7. Of 동의 주의집중 문저|외 우훌의 관계: 사회적 유눔성의 매개효과 33 결핍융 우울의 선행변인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Seroczynski, Cole파 Maxwell(199끼은 다수 영역(예, 학업/ 사회성, 풍 행, 외모, 신체운동 Harter, 1982)에서의 유능성 결핍이 초둥학교 3, 6학년의 우울에 영향올 미치는 중다 유능성 가껄 (multiple competency hypothesis)올 지지하였다 그러나 특정 영역의 유능성올 홍재해도 나머지 유능성 영역이 우 율에 유의한 영향올 미치므로(Cole, 1991), 우울에 대한 유능성 또는 유능성 결 핍의 영향력은 유능성 영역별로 고유함을 알 수 있다 그 중 사회척 유능성 결핍은 주의집중 문제률 가진 남자아동의 우울을 더 악화시키기도 하므로 (Greene et al., 199끼, 이 연구에서는 아동기에 대표적인 발달파업의 하나이며 주의집중 문제나 우울과 관련된 사회적 유능성을 매개변인으로 셜정하였다. m. 방법 1. 모형셜정 주의집중 문체와 우울의 판계를 사회객 유능성이 매개하는 관계모형을 그립 1, 그림 2와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은 주의집중 문제가 사회적 유능성올 매개로 하여 우올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와 주의집중 문제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릎 모두 가정한 부분매개모형이다 연구모형의 적합 도를 명가하기 위한 경합모형은 간접 경로안을 가정한 완전매개모형이다. 핫굉P 원표D l 그엉 11 연구모잉 t. 문띠J5!II) l그엉 ZIII엠모 ø tl'!1!매1 오fl)
  • 8. 34 청소년학연구 쩨 16권 재8호 (2009.9) 2. 연구대상 G광역시 소재 4개 초둥학교 6학년 아동 565명과 그틀의 부모가 1차시기 조 사에 참여하였다 대략 6개월이 정과한 후에 실 시한 2차시기 조사에도 아동과 부모가 모두 용답한 455명의 자료 가운데 중복웅답이나 불성실용답이 있는 126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329영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 가운데 남아는 146명 (44.4%), 여아는 183명 (55.6%)이었다 부모-보고형 질문지의 작성 자는 어머니 279영 (84.8%), 아버지 43명 (13.1 %), 기타 7명 (2.1 %)이었다 3. 측정도구 1) 주의집중 문제 아통의 주의집중 문제를 명가하기 위하여, 오경자, 홍강의t 이혜 련 (2003)의 K-CBCL 아동 · 청소년 행통평가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는 만 4세 .17세 아통 · 청소년의 다양한 행동문제를 평가하는 부모-보고형 척도다. 주의집중 문제 하 위척도 문항 11개(예, 집중력이 없고 어떤 일에 오래 주의를 기울이지 못 한 다)에 대한 용답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각 문항에 대해 현재나 지난 6 개월 동안에 자녀가 얼마나 자주 그러했는지를 부모가 이전혀 아니대, 1(가끔 그렇대, 2(자주 그렇대 중 하나에 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6개월 간격으로 실시한 1, 2차시기 측정도구가 지칭하는 관찰기간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t 지 시문에서 t지난 6개월 동안’을 ‘지난 2개 월 동안’으로 변경하였다 원저자가 보 고한 주의집중 문제 하위척도의 내적 일치도 계수(Cronbach 띠는 76이고, 1개 월 간격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6이었다(오경자, 홍강의, 이혜련, 하은혜, 2001) 본 연구대상의 부모로부터 산출한 내적 일치도 계수는 72였다 2) 사회객 유능생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Harter(1982)의 아동용 자 기 지각 프로따일(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을 이명숙(1994)이 번안 한 척도를 실시하였다. 다섯 가지 하위영역(학업I 사회성, 풍행, 신체운동, 외 묘)과 전반척 자기가치갑에 해당하는 문항 쌍 36개 가운데 사회척 유능성올
  • 9. 이동의 주의집중 룬채외 우흩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괴 35 측갱하는 문항 쌍 6개(예, A는 또래에게 인기가 었다, B는 또래에게 그다지 인기가 없다)에 대한 용답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총점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 능성 수준이 높음을 의미하도록 4정 명정척도에서 채정하였다. 이명숙이 보고 한 내적 일지도 계수는 전체 척도 85, 사회적 유능성 척도 71 이었다. 본 연구 대상에서 산뿔한 사회척 유능성 척도의 내척 일치도 계수는 .83이었다 3) 우울 Kovacs(1985)가 제 작한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l)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조수철과 이영식 (1옛에)의 한국형 소아우올척도를 실시하였다 CDl는 우올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척/ 생리객 중상을 측정하는 자기-보고형 문항 27 개로 구성된다 각 문항이 나타내는 중상을 지난 2주 동안 얼마나 심각하게 겪고 있는지에 따라서 0, 1, 2로 채점되는 문장 3개(예, 냐는 가끔 슬프다l 나 는 자주 슬프다, 나는 항상 슬프다)가 제시된다. 일반 아동올 대상으로 분석한 CDl의 검사-재검사 신뢰도t 예언타당도, 공인타당도, 구인타당도가 모두 양호 하다 /자살하고 싶은 생각’을 묻는 문항을 제외한 267H 문항을 초동학교 3, 6 학년에게 실시한 Cole 동(199이은 내척 일치도 계수를 90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대상에서 산출한 CDl27개 문항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87로 양호하였다 4. 연구철차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 그리고 사회적 유능성 결핍 과 우울의 인 과관계를 성정하기 위하여 주의집중 문제와 사회적 유능성 자료는 2008년 5월 에l 우올 자료는 2008년 11 월에 수집하였다 주의집중 문제는 타언에 의해 객 판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외현화 문제이므로 부모-보고형 질문지로, 지각된 사 회척 유능성과 우울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이므로 아동의 자기-보고형 질문지 로 명가하였다 아동은 담임교사의 지도아래 20분 동안 교실에서t 부모는 가정 에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부모의 참여융을 높이기 위하여, 원하는 부모에 한 해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에 판한 결과보고서를 제공하였다 결과보고 서는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에 대한 소개, 각 아동이 획득한 정수, 문제의 성각 도 분류(매우 심각, 위험, 정상), 기술적 해석을 포함하였다.
  • 10. 36 청소년학연구 저116권 제8호 (2009 ,9) 5. 자료분석 이 연구에서는 SPSS 17,O(Windows version)파 AM∞ 4,0을 활용하여 자료 를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치의 유의도 검증은 p<,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첫째, 가설검중에 앞서 각 측정변인의 명균파 표준면차를 산출하고, 측정변 인 간 단순상판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측정변인은 각 장채변인에 해당하는 측정도구의 문항을 무선으로 이분하여 잠재변인별로 2개씩 설정하였다‘ 둘째, 주의집중 문제t 사회적 유농성t 우웅의 관계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structural 액uation modeling) 분석올 실시하였다. 구조방갱식 모형 분석은 측정모형과 이론척 구조모형올 동시에 검중할 수 있으며, 측정오 차를 통제한 상태에서 잠재변인 간 관계를 검중할 수 있고, 얘개효과를 밝히 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 TLlπucker Lewis lndex), CFI(colJ뼈rative fit index), RMSEA(r∞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로 판단할 수 있다 ;(값은 표집크기에 민감하여 표집이 클 때 유의힐 수 있으므로, 그 대신에 TLI와 CFl가 ,95이상이거나 RMSEA가 05이하 이면 좋옹 적합도, TLI와 CFI가 90-,95이거나 RMSEA가 05-,08 01 연 괜찮은 적 함도, RMSEA가 08-.1 0이연 보통 적합도를 가진 모형으로 해석하였다(홍세회/ 2000) 완전매개모형은 부분매개모형에 내재하므로, 서 차이검증올 통해 모형 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도 검중올 위해 Sobel 검증(preacher & Leonardelü, 2006)의 Aroian 방정식 올 활용하였다 Aroian 방정식은 표준오 차의 곱이 매우 작아야 한다는 불필요한 가정 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N. 컬과 1. 기술통계 및 측정변인 간 상판 각 측정변인 간 상판을 분석한 결파는 표 1과 같다, 주의집중 문제의 측갱 변인과 사회척 유능성의 측정변인 간 부척 상관, 주의집중 문제의 측정변인과 우울의 측정변인 간 정척 상판, 사회척 유능성의 측정변인과 우울의 측정변인 간 부척 상판이 모두 유의하였다
  • 11.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외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37 〈표 1> 측정변인 간 상판 및 기술통계치 (N = 329) 주의집중 문제 사회척 유능성 우올 측정변인 A B A B A B 주의집중 문제 A 주의집중 문제 B 57 사회적 유능성 A -.17 -.21 사회적 유능성 B -.20.- -.22 73-. 우올A ‘14 ‘ 20 -.32 -.39 우올B 21 28 “ 48 52 .78 M 0.45 0.43 2.85 2.68 1.38 1.46 SD 0.31 0.34 0.64 0.61 0.26 O 갱 p<.05. -p<.01. •••p<.ool 2.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셔 사회적 유놓성 의 매개효과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척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 하여 구조빵정식모형 분석올 실시한 결과, 음오차 분산이 우올B 측정변인의 오차항에서 발생하였다. 이 오차항에 Haywood Case 제약 방법올 적용해 오 차분산을 0.005로 고정시킨 수정모형은 다음파 같다, 부분매개모형에서 각 경 로게수의 유의도를 검중한 결과를 표 2와 그렴 3에, 완전매개모형에서 각 경 로제수의 유의도를 검중한 결파를 표 3과 그림 4에 제시하였다 〈표 2> 부분메재모형에서 주의집중 문제/ 사회척 유능생, 우울의 판계 경로 비표준화 표준 표준화 계수 오차 계수 p 주의집중 문제 • 사회적 유능성 0.781 0.186 -0.301 -4.208 000 사회척 유능성 • 우올 0.216 0.025 -0.544 -8.528 000 주의집중 문제 • 우울 0.173 0.061 0.167 2.833 .005
  • 12. 38 청소년학연구 저116권 에8호 (2009 .9) - 0.301 0.5<< 주 r주의 g 중문쩌→¥흩, ./:호1 수는 p(.01 수준에서 유elOI며 니머지 g 로 III 수는 p(.OOI 수준이서 유의 g l 그영 3] 주의 g 풍운>1 . 시회 R 유 능싱 우융의핀 1 어관한무를띠1모g 〈표 3> 완션에깨모행에서 주의집중 용제, 사회객 유능성, 우울의 환재 비표준화 표준 표준화 경로 계수 0.826 -0.239 차 -% 영 오 -n n 짜 -뼈 뼈 p -4.447 .000 -9.569 .000 주의집중 문제 • 사회척 유능성 사회걱 유능성 • 우울 0.820 /0883 -0 잉’ / 0.609 쭈 모든 검 료1 수기 p(.OOI ,* 준이서 유g 앙 !그딩 4) 주의 g 홍 문제 사a 혀 ff늄영 'i'~의 영 1 이1'!한엉갱이1 모g
  • 13. 이동의 주의징중 문져l 외 우율의 관계 시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39 부분얘개모형파 완전매개모형에서 「주의집중 문제 • 사회적 유능성」 , 「사 회적 유능성 • 우울」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였다 즉 주의집중 문제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 수준이 낮고, 사회적 유능성 수준이 낮올수록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닭다- 부분매개모형에서 「주의집중 문제 • 우올」 경 로계수도 유의하여, 주의집중 문제 수준이 높을수록 우올 수준이 높았다 다용,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객 유능성이 유의한 얘개효과 툴 갖는지를 검중하기 위하여 Aroian 방정식올 활용한 Sobel 검중을 실시하였 다 그 결과, 부분매개모형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z = 3.756, P = .0。이 또한 경합모형인 완전매개모형에서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z = 4.010, P = .000) 각 관계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부분얘개모형의 J는 8.656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하지 않았고, 완전매개모형의 J는 16.870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또한 부분얘개모형과 완전 매 개모형의 TLI와 CFI 가 좋은 적합도 기준인 0.95보다 높았고, 부분매개모형의 RMSEA가 좋은 적합 도 기준인 0.05보다 낮았다‘ 그리고 완전얘개모형의 RMSEA는 괜찮은 적합도 기준인 .05-.08의 범위에 속하였다 따라서 부분매개모형과 완전얘개모형올 모 두 양호한 모형으로 판명하였다 J차이 검중의 결과,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 개모형의 ι1값 차이가 8.214로 자유도 1 일 매의 임계값인 3.84보다 커서 유의 하였다 따라서 부운때개모형을 완전매개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 적합한 모형으로 수락하였다 이로써 이 연구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표 4> 주의정중 문제, 사희척 유능생, 우융의 판계모형 찍함도 모형 J df p TLI CFI RMSEA 부분매개모형 8.656 7 278 0‘996 0.998 0.027 완전매개모형 16.870 8 031 0.980 0.989 0.0.잃 차이 8.214 1
  • 14. 40 청소년학연구 지116권 제 8효 (2009.9) V. 논의 및 철론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농성 의 매개효과를 겁중하는데 있다, 아동기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 이 률 지지 하는 경험걱 중거, 주의집중 문제가 사회척 유능성 결핍과 우울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결과에 큰거하여, 주의집중 문제를 예언변인으로, 사회적 유능 성올 매개변인으로, 우울을 절파변인으로 셜정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파 를 요약하고 그 의의를 논의하연 다응파 같다 첫째,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에서 사회적 유능성에 이르는 경로/ 사회객 유능 성에서 우울에 이르는 경로, 주의집중 운제에서 우울에 이르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집중 문제가 심할수록 사회성 유놓성이 낮으 며, 사회적 유능성이 낮을수록 우울올 겪는 정도가 높다는 것올 의미한다 또 한 주의집중 문째는 6개월 후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의집중 문제에서 우울에 이르는 직접 경로와 주의집중 문제에서 사 회적 유능성 결핍을 거쳐 우울에 이르는 간접 경로를 가정한 부분매개모형파 간접 경로안올 가정한 완전매개모형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파가 모두 유 의하였다- 또한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 적함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올의 관계가 사회적 유능성 결핍에 의해 부분적으로 셜영될 수 있옹융 의미한다. 즉 주의 집중 문채가 사회적 유능성을 낮추거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부정척 지각올 수반하며 그로 인해서 우율 중상이 발생하거 나 악화되기도 하지만, 주의집중 문제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집중 문제가 우울에 선행한다고 주장한 Herman과 。strander(200끼, 주의 집중 문채와 저조한 사회객 유능성 간 관계가 유의함을 밝힌 Greene 퉁 (1997) 과 Nixon(2001), 아동기 우울의 유능성-기반 모형올 지지하는 경험적 중거를 제시한 Hoffman 퉁(2000)과 일치하였다 이 는 우울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실제적 시사껑을 던진다- 중학교 진화올 앞두고 우울올 겪는 아동의 우올 중상안을 감소시키기보다 우울의 선행변인이 나 원인올 고려한 개업을 실시할 펼요가 있다 또한 주의집중 문제를 가진 아 동올 대상으로 주의집중 문제를 감소시키는 개업과 사회적 유능성을 중진시키
  • 15.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용과 41 는 개입올 병행하연 이들의 우울을 효파적으로 예방할 수 있올 것이다 이 연구의 제한정파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ADHD나 우율성 장애의 진단을 받지 않은 일반 아동 안올 대상으로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을 차원적 방식으로 명가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다른 발달단계에 있는 아동 또는 ADHD나 우율성 장애의 진단 올 받은 아동에게 일반화할 수 없다 또한 주의집중 문체와 파영행통올 동시 에 보이는 아동은 공폰병리 없이 주의집중 문제만을 보이는 아동에 비해 대인 판계가 더 나쁘고 전반적인 사회 능력도 더 낮으므로(문경주, 오경자t 하은혜, 박중규, 1999), 연구대상에서 주의집중 문제 와 파잉행동이 공존하는 정도를 따 악할 필요가 있다 만일 공존병리가 없는 아동이 연구대상이었다면 공존병리 를 가진 아동에게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툴째,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유능성의 애개효과만올 검증했기 에 우울에 미 치는 다수 유능성 영역의 누적적 효과를 검증할 수 없었다. Seroczynski, Cole 과 Maxwell(199끼에 의하연, 유능성을 인정받는 영억의 수가 많을수록 아동의 우울 수준이 낮고 유능하지 못하다고 멍가받는 영역의 수가 많올수록 우올 수 준이 높다. 그런 데 특정 영역에서의 유능성 결핍을 다른 영역에서의 유능성이 보상하기도 하며 특정 영역에서의 유능성을 다른 영역에서의 유능성 결핍 이 상쇄하기도 하므로 여러 유능성 영역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 회직 유능성과 학엽적 유능성은 상보관계를 이루므로(Welsh, Park, Wid.man, & 0 ’Nei!, 2001),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과 학엽적 유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주의집중 문제의 자료를 부모명정의 방법으로 수집하 였다 그러나 교사는 구조화된 교육 환경 속에서 비슷한 발달 수준에 있는 여 러 아동을 비교하여 아동의 주의집중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교사명정에 의혜 수집된 자료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주의집중 문제와 사회적 유능성을 동일한 시기에 측 정하였기에 이 두 변인의 선후관계 또는 인과관계를 직접 검중할 수 없었다 적어도 3차시기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면, 주의집중 문제가 사회적 유능성의 결핍을 호 래하며, 저조한 사회적 유능성이 우울 증상을 중가시키는 인과판계 또는 신후관계를 좀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올 것 이다
  • 16. 42 용소년학연구 쩌1 16권 지18호 (2009.9) 참고문헌 꽉금주, 문은영 (1995). 심리적 특정 및 우울과 비행 간의 판계( I1 ): 청소년 이 전기를 중심으로. 한국성려학회져: 발달, 8(1), 1-11 문경주, 오 경자, 하은혜, 박중규 (1999)‘ 주의산만 · 과잉활동 운제를 보이는 아 동의 아동 · 갱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군징 분석 한국심리학회져: 입상, 18(2), 199-207 신현숙 (2009). 단기종단연구를 통한 아동기 우울과 학업걱-사회척-앵동척 유농 성의 판계 청소년학연구, 16(3), 73-98 오경자, 홍강의, 이혜련 (2003). K-CBCL 아동 • 청소년 행동명가척도 휴노건 설팅 오경자, 흉강의, 이혜련, 하은혜 (2001). KζBCL 아동 • 청소년 행동영가척도. 중앙걱성연구소 이명숙 (1994) 청소년의 자기능력 지각에 대한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7, 92-107 조수철, 이영식 (199이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션정정신의학, 29(4), 943-956. 질병관리본부 (2008) 제 3차(200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서울: 질병관리본부 흥세회 (2αJO)‘ 구조방정식 모형의 척합도 지수 선갱기준과 그 근거 한국성리 학회져: 영장, 19, 161-177 Arn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D뺑nostic and st.짜S뼈1 Inanl찌 <! InenW disorders-4tJl editÚJrl. Washington, DC: Aulhor Angold, A., Costello, E. L Farmer, E, M, Z., Bums, B. J., & Erkanli, A. (1맺). lmpaired but undiagnosed. Jorlm띠 @ 야e American Academy <! Child and Ad,이escent PSYc/1따여, 38, 129-137 Asher, S. R., & Wheeler, V. A.(1985). Children's loneliness: A comparison of rejected and neglected peer status. JorlmaJ <! COt/slI lting and Clin따ú Psyd때정y, 53, 500-505‘
  • 17. 01룡의 주의집중 문제외 우울의 관계 ‘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괴 43 Ben-Amos, 8.(1992). Depression and conduct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BIlIIetin cf the MenniJlger Cliniζ 56(2), 188-208 Beyers, J. M., & Loeber, R.(2003). Untangling developmental relations between depressed mood and delinquency in male adolescents. 10llmal cf Almonnal Child Psych여앵y, 31, 247-266 Biederman, J., Newcom, J., & 5prich, 5. E.(1991).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conduct, depressive, anxiety, and other disorders. A뼈뼈I 100lmal cf Psychiatry, 148, 564-577 Braaten, E. B., & Rosen, L. A.(2000). Self-regulation of affect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and non-ADHD boys: Differences in empathic responding. 100m찌 cf Conslllting aJld C/Úlico/ Psyclwlogy, 68, 313-321 Cole, D. A.(1991). Preliminary support for a competency-based model of depression in chiJdren. Ioomal cf Abnonnal Psyciw뺑y, 100(2), 181-190. Cole, D. A., & Carpentieri, 5.(199이 Social status and the comorbidity of child depression and conduct disorder. 101m써 cf Conslllting IDld CIi’lical Psyc,빼앵y, 58(6), 748-757 Colc, D. A., Martin, J. M., & Powers, 6.(199η A competcncy-based model of child dcprcs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eer, parent, teacher, and self-evaluations. 100m띠 cf Child Psychol뺑 and Psycl뼈깨 38β), 505-514 Cole, D. A., Martin, J. M., Powers, B., & Truglio, R.(1996). Modeling causal relations between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and depression: A multitrait-multimethod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 101m찌 cf Almonnal Psycll때Jgy, 105(2), 258-270 Cole, D. A., & Milstead, M.(1989). Behavioral correlates of depression: Antecedents or con잉quences? IOllm이 cf COImselútg PSY'짜따짱y, 36(에, 408-416 Greene, R. W., Biederman, J., Faraone, 5. V., 5ienna, M., & Garcia-Jetton, J (199η Adolescent outcome of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 18. 44 청소년학연구 져116권 저 18 흥 (2009.9) disorder and social disabiliηRes비ts from a 4-year longitudinal foUow-up study. loclrna1 cf Consll1ting and C1in때1 Psy'생따짱y, 65(5), 758-767 Guevremont, D. c., & Dumas, M. C.(l994)‘ Peer relationship problems and d.isruptive beha이。r d.isorders. 1m뼈 cf E뼈ion띠 and 뻐1Wiora1 Disorders, 2, 164-172 Harter, 5.(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1opmen~ 53, 87-97‘ Hechtman, L.(l991). Resilience and v버nerabiJi에 in long-term outcom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antMJian loclrn띠 cf Psy,야뼈Y, 19, 179-195 Herman, K. c., & Ostrander, R.(200끼 The effects of attention problems on depression: Developmental, academic, and cognitive pathways. S바뼈 P행k뺑y Quarterly, 22(4), 483-510 Hoffman, K. B., Cole, D. A., Martin, J. M., Tram, J., & Seroczynski, A. D (2000). Are the discrepancies between self- and others' appraisals of competence predictive or reflective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longitudinal study, part II. Imrna1 cf Abnonnal Psy'야OIOgY, 109(4), 651-662 Keiley, M. K., Lofthouse, N., Bates, J. E., Dodge, K. A., & Pettit, G. 5 (2003). DifIerential risks of covarying and pure components in mother and teacher reports of extema1izing and intema1izing behavior across ages 5 to 14. "ωm띠 cf A1mon뼈 Cl.i1d P:짜뺑y, 31, 267-283 Kovacs, M.(1985).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OI) PsycJκ야11'I/UIC띠앵Y 8111,힘in, 21 (4), 995-998‘ Kovacs, M., Paulauskas, 5., Gatsonis, c., & Richards, C.(1988). Depressive disorders in chil벼lood: 3. A lon밍tudin외 study of comorbid.ity with and risk for conduct disorders. IOllrna1 cf Affi짧ive Disorders, 15, 205-217 Li, c., Copeland, E. P., & Martin, J. D.(l995). Peer relations of children in Taiwan with characteristics of ADHD. Schoo/ Psy,야어쩡y InteruatiOl'a1,
  • 19. 16, 379-388 Of 동의 주의집중 문제외 우올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45 Masten, A. 5., & Coatsworth, J. 0.(1998). The development 01 competence in l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successful C비삐ren. ArneriaIn Ps싸뺑따 53, 205-깅:0. Nixon, E.(2001). The social competence 01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review 01 the literature. Child Psy'야야쩡Y & P행빠atry Revietμ 6(4), 1π.-180‘ Nolen-Hoeksema, 5., Gir힘JS, J. 5., & Seligman, M. E. P.(1992). Predictors and consequ태ces 01 childhood depressive symptoms: A s..year longitudinal study. lournal cf Abnormal Psy,야뺑y, 101(3), 405-갱2 Pope, A. W‘, Bierman, K. L., & Mumma, G. H.(1991). Aggression, hyperactivity and inattention-immaturity: Behavior dirnensions associated with peer rejection in elementary sch∞1 boys. DeuelopmentaJ P행k뺑y, 2χ “3-671‘ Preacher, K. L & Leonardelli, G. J때06). C뼈때ion for the Sobel test An ínteractive 짜뼈ion tool for medintion tests. Retrieved from http://people.ku.edu/-preacher/sobel/sobel.htm Rohde, P., Lewinsohn, P. M., & 않eley, J. R.(1잊lO)‘ Are people changed by the experience 01 having an episode 01 depression? A further test 01 the scar hypothesis. loornal cf Abnormal Psyclwlogy, 99, 264-271. Rubin, K. H.(1993). The waterloo longitudinal project: Correlates and consequences 01 social withdrawal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ln K. H. Rubin & J. B. A않ndorpl (Eds.), Soc찌1 u뼈drawaJ, inhibitûJn and shyness (pp. 2잊 -314). HiIlsdale, NJ: Lawrence Erlbaum. Seroczynski, A. D., Cole, D. A., & Maxwell, 5. E. (1찌. Cumulative and compensatory eflects 01 competence and inCOI따etence on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loorn찌 cf Almorm띠 Psy,야ology, 106(4), 586-597‘ 5hea, M. T., Leon, A. c., Mueller, T. 1., Solomon, O. A., Warshaw, M. G., & Keller, M. B.(199이 Does major depression result in lasting person허iψ change? A,nerican loorn찌 cf Psychω,γi 153(11), 1404-1410 Thorell, L. B., & Rydell, A-M.(2008). Behaviour problems and social
  • 20. 46 청소년학연구 저116권 저18효 (2009 .9) competence deficits associated with symptom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ffects of age and gender. Clúld: Care, H뼈'th and DI!1J/!1opmen4 34(5), 584-595 Welsh, M., Parke, R. D., Widaman, K., & 0 ’Neil, R.(2001). Linkages between children’s social and academic competence: A longitudinaJ analysis. JournaI cf S대때 P웬뼈뺑" 39(6), 463갱1. Zeiss, A. M., & Lewinsohn, P. M.(1988). Enduring deficits after remissions of depression: A test of the scar hypothesis. B야avWrlr Research and Therapy, 26, 151-158.
  • 21. -Absσact- Of동의 주의징종 문제외 우울의 관계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47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 Between Attention Problems and Depression Hyeonsook Shin Chonnam National U띠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elf-reported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rated inattention and seU-reported depression. Paper-pencil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29 sixth-graders and their parents at the two waves of data collection approximately 6 months apart. The stT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children with greater attention problems were less socially competent, those who were less socially competent were more depressed, and those who were more inattentive were more depressed. Of the models with attention problems as the predictor, social competence as the putative mediator, and depression as the outcome variable,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ln both model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were signil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ttention problems lead to soci떠 competence deficits, which in tum increase depressive symptoms. Findings may have i.mplications for designing interventions for inattentive youth. 타fOfts to prevent their depressive symptoms may require interventions for enhancing social competence as well as interventions for reducing altenlion problems • key words attention problem, social competence, depression, med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