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 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 정신질환의 치료와 간호는 그 시대의 인간관과 사상적 관심 등과 연관되어있음
고대 그리스의 철학적 관심
최초에는 자연의 질서에 관심을 두었고 , 나중에 소크라테스가 그의 철학의 관심을
인간에게로 돌려 인간의 문제를 철학의 중심과제로 삼게 됨으로써 희랍의 철학은
서서히 자연철학에서 정신철학으로 선회함
「국부론」이라든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이나「윤리학」과 같은
플라톤
인간과 밀접히 관련된 학문을 발전 . 인간의 마음과 몸은 관련되어
(Platon,
있을지라도 2 개의 분리된 실체라고 믿었고 이성 , 영혼 , 욕망은 마음의
B.C. 427~437)
분리된 구성인자로 보았음
이성적 인간관

이성적 인간관

중세에 기독교 사상이 대두되고 신과 내세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고 인간 현실생활에 대한 더 이상의 관심이 기울여지지
못한 사회에서 쇠퇴함

기독교적 인간관

이성만으로는 진리를 깨닫는데 한계를 가지며 신의 계시가
함께 해야만 진리도 이해할 수 있다고 믿음 . 인간의 정신이해도
신의 섭리 , 마귀설 등 기독교적 관점으로 이해함
2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종교개혁과
르네상스 거친 후

신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자연과 인간의
본연의 모습에 관심을 두고 이해하려 함

인간중심문화와 자연과학의 발전 - 이상적인 인간관이 회복
▪ 현대로 넘어오면서 경험철학에 의한 실증주의적 인간관에 도전을 받음
▪ 경험주의 인간관에서는 경험에 의한 증명이야말로 인간의 진정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방법임을 주장하면서 인간정신의 이해를 위해서 과학적 심리학 , 뇌의 구조와
신경계 연구 등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 임상에서 환자의 관찰로부터 역동정신의학의
발전을 가져옴
역사를 통하여 본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
▪ 무서운 사람 , 이상한 사람 , 무식한 사람 , 버림받은 사람 , 숨어사는 사람 , 피해야 할
사람 , 비웃음을 받는 사람 , 동정받는 사람 , 고문받는 사람 등으로 인식함
▪ 정신질환자에 대한 이해와 접근에는 지배적인 사회적 태도와 철학적 관점이
큰 영향을 주고 , 시대보다 과거에 뿌리를 내리며 쉽게 변화되지도 않음
▪ 최근 뇌영상술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뇌장애자로서 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함
3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1) 선사시대
▪ 질환에 대한 마술적 , 종교적 설명시대
▪ 정신적 고통과 육체적 고통을 같은 것으로 생각했고 , 모든 고통이 신체외적 힘의
작용이라고 생각함
남에게 고통을 주는 초인간적인 힘 또는 저승세계의 악령이나 어떤 힘 탓이라고 생각
함
▪ 간호와 의술 , 마술 , 종교가 구별되지 않음
▪ 모방적 , 마술적 행동절차를 따름
- 마술적 행위 또는 신성한 힘에 의해 영혼이 석방될 수 있음
- 인간은 환경과 분리되어 있지 않고 결속되어 있고 상호간에는 감화력이 있음
- 텔레파시나 유사한 물질간의 상호작용 - 감응적이며 모방적인 마술형태가 발생함
- 물의 정화작용과 같은 어떤 성분들을 상징으로 이용하면 치료가 됨

4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1) 선사시대 (B.C. 700 년 이전 )
이집트의
파피루스 (B.C. 1550)

Atharva veda

▪ 정신장애는 악령 때문에 생긴다는 기록과 노인성 퇴행증 ,
알코올 중독 , 울증 , 히스테리에 대해 기록

▪ B.C. 10 세기경 인도의 바라문교의 경전
▪ 치료자를 귀신과 같은 마술적 인물로 기록

Sushruta-Samhita

▪ 간호사에 대해 “냉정한 머리와 상냥한 말씨 , 병자의 요구에
자신있고 주의 깊게 응하며 의사의 훈육에 따라야 한다”라고
기록

구약성경

▪ 초기 히브리인의 기록으로 Saul 왕이 울증과 조증의 재발로
고생하였고 결국 자살로 생을 마쳤다고 되어 있음

5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초기 문명시대 (B.C. 700~A.D. 500)
▪ 이집트 , 인도 , 중국 , 로마를 중심으로 꽃을 피움
▪ 과학과 의학의 발전은 그리스와 로마가 중심지가 되었으므로 초기 문명시대를 그리스 - 로
마시대라고도 함
그리스 - 로마시대 문화에서의 정신병의 개념에 대한 세 가지 근원적 설명
-초자연적 , 초인간적인 힘에 의해 정신장애가 발생된다는 선사시대의 질병관
-도덕적 원칙을 위반하여 신으로부터 처벌을 받아서 정신장애가 되었다고 믿음
- 사체액설 ( 四體液說 ), 뇌신경계의 작용과 심신관계에 대한 과학적인 학설로써
정신장애를 설명함

6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초기 문명시대 (B.C. 700~A.D. 500)
▪ 뇌가 지적활동의 중심이며 뇌에 병이 생겨서 정신장애가 나
타난다고 믿음
Pythagoras

Hippocrates
(B.C. 460~370)

▪ 냉수목욕 , 오락 , 독서 , 음악 , 식이요법으로 치료 , 도덕
적 생활 장려 . 역사상 처음으로 질병에 대한 귀신설을 반박
하고 과학적인 질병관을 주장 .

▪ 인간은 혁액 , 흑담 , 황담 , 점액질의 네 가지 체액으로 구성되
며,
사체액 ( 四體 ) 의 균형이 정서상태를 결정 , 불균형 상태는 정신질
환의 원인으로 봄

▪ 흑담질 과잉이 울증을 일으킨다고 보고 , 사혈 (blood-letting),
환경치료와 꿈해석 , 의식적 정화 (ritual purification) 등의 정신
치료를 함
정신질환을 광증 (phrenitis), 조증 (mania), 울증 (melancholia) 으로 분류했고 ,
알코올성 섬망 , 중독성 섬망 , 산후정신병 , 노인성 치매 (senile dementia) 등을 기술했고 ,
그의 제자들은 치료법을 전파시켰고 수요법 (hydrotherapy), 마사지 , 체조 ,
최면술 등으로 치료
7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초기 문명시대 (B.C. 700~A.D. 500)
Platon
(B.C. 427~347)

▪ 몸과 마음은 분리될 수 없고 두가지가 조화를 이룰 때 건강함
▪ 정신질환은 신체와 도덕의 장애에서 기인된다고 생각함
▪ 그가 저술한 “ Republic" 에서는 당시의 정신질환자의 관리는
가족이 집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가족이 관리하지 않으며
벌금을 물게 했다는 내용이 수록

Aristoteles
(B.C. 384~322)

Herophilus
(B.C. 335~280)

▪ 인간감정과 영혼의 중심이 되는 기관은 심장 , 지성은 뇌
및 신경계와 관계가 있다고 봄

▪ 정신질환이 뇌의 결함으로 기인한다고 봄
▪ 그리스의 치료자들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정신장애 대한
과학적인 질병관 및 치료관을 가졌고 , 그리스 의학과 의학자들은
그리스 패망 후에 로마로 옮겨가서 로마의학을 발전시킴

8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초기 문명시대 (B.C. 700~A.D. 500)
Asclepiades
(B.C. 150)

Celsius
(B.C. 25~A.D. 50)

▪ 감정의 장애가 정신질환을 유발한다고 믿고 , 착각과 망상 , 급성
및 만성경과를 구분 . 식이 , 목용 , 마사지 , 사혈 (blood letting),
구토제 등을 이용해 치료 . 즐거운 환경을 장려하고 기계적 억제를
하지 않도록 함
▪ 로마의 의서 “ De Re Medicina" 를 저술 . 인간에게 충격을 주는
거친 치료를 주장했는데 , 그 후 중세기 동안 정신장애인에 대한
잔혹한 치료를 하도록 하는 계기가 됨

Soranus
(98~138)

▪ 환자에게 중정도의 조명과 온도를 유지해 주고 , 조용하게 해주며
즐거운 구경거리 , 독서 , 작업요법을 권장하고 , 필요하면 관장도
해주었으며 감금과 구타를 하지 못하게 함

Aretaeus
(50~130):

▪ 병적 인격을 연구하였고 , 우울증과 조증이 함께 혼합되어 있는
조울증을 보고함

Galen
(130~200)

▪ 희랍의 체액설 ( 體液說 ) 을 로마에 보급함
▪ 신경계의 해부와 생리를 연구하고 뇌가 지능 , 감정 , 기억의
중심부라고 생각했으며 정신질환에 있어서 가족의 중요성을 주장함
9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3) 중세 (middle age A.D. 500 ~1500)
중세사회의 특징
▪ 기독교의 전성시대로 모든 분야가 기독교의 영광과 부흥을 위해 존재하였고 현실세계는
내세 ( 來世 ) 의 천국을 위한 준비로써 봄
▪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는 발전은 침체상태에 암흑기
St. Augustine
▪ 중세의 기독교 사상으로 의학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서 기독교의 모든 질병은 마귀
탓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자기분석 (confession) 의 영향에 대하여 기술함
▪ 최면술은 마녀의 짓이라고 금지하고 질병의 원인을 마귀의 장난으로 보고 치료도
마귀를 체외로 쫓아 낼 수 있는 성직자가 맡게 했음
▪ 정신장애인은 마귀에 영혼이 홀린 사람으로 인식이 되기도 하고 여자 정신 장애인은
마녀로 취급되어 수천 명이 처형되기도 함

10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3) 중세 (middle age A.D. 500 ~1500)
유럽의 정신병원
▪ 유럽의 첫 정신병원은 1204 년 스페인의 발렌시아에 설립 . 치료는 성직자가 담당
하고 ,
간호는 이전까지 노예에 의해 수행되었던 귀족 간호 외에 일반인 간호가 기독교도와
집사단에 의해 수행되어 수준 높은 간호가 주어짐

중동지방의 정신병원
▪ 중동지방에서는 훌륭한 병원을 역사상 최초로 Baghdad 에 설립하고 , Rhazes 와 같
은
유명한 의사가 바그다드 종합병원에 최초로 정신과 병동에 개설함
▪ 1486 년에는 Alsace 의 Rufah 에 간질환자를 위한 격리 병동개설 , 당시에 간질은
전염된다고 생각해서 환자를 격리병동에 수용함 정신병은 질환으로 취급되었고
정신장애인은 환자 , 즉 아픈 사람으로서 인정 , 인간적인 대우와 치료를 해주고 친
절하게 보살핌

11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 (A.D. 1500~1700)
▪ 르네상스 시대와 종교개혁 시대는 환자를 감금하고 구속한 감금시대

운
르
동
네
상
스

▪ 교통이 발달하고 상업이 이루어지면서 시민 계급이 부흥함
신 중심의 인간문화 , 존
엄성을
인정하는 인간 본래의 문화로 바꾸기 위한 르네상스 운동 일어남

종교개혁 운동

종교개혁 후

17 세기

▪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전 유럽으로 퍼져 예술 , 건축 , 의학 , 과
학 전반에 발전을 가져왔으나 정신의학과 간호의 발전에는 큰 기여
를 하지 못함
▪ 마법 , 연금술 , 점성술에 의한 치료가 성행되었고 , 정신장애는
달의 영향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정신장애를 lunatic 이라고 부름
▪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나서 전 유럽에 확산 . 독일 신학자
Martin Luther 는 부패하고 타락한 교황권에 도전하고 신앙의 근거
는
성직자가 아니고 성서라고 주장하였으며 , 유럽 대중들과 귀족의
호응을 얻어서 개신교를 설립 .
▪ 기독교는 개신교와 가톨릭으로 나누어져서 교권이 약화되었고 ,
교회가 했던 의료사업과 간호사업이 중단되고 , 기독교도와
집사들에 의한 간호활동은 교육받지 않은 사람들이 전수 받아
간호의 암흑기를 맞음
▪ 이성적 사고로 질병을 보게 됨으로써 정신질환을 사회적 문제로 보게 됨
12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 (A.D. 1500~1700)
J. Weyer
(1515~1588)

▪ 마귀설을 논박하고 모든 질병은 자연적 원인에서 생긴다고 믿고
인간의 욕구가 더욱 더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 치료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친절뿐만 아니라 신중한 관찰과
자애로운 태도를 강조하였으나 사회에서 무시 . 그러나 최초의
정신과의사라고 불릴 정도로 급진적 과학적 사고를 하였음
▪ 귀신학을 반박하고 심리학을 분리 . Weyer 는 증상을 중심으로
진단분류를 하고 , 히스테리 , 편집증 , 중독성 뇌증후군 , 간질 ,
이중 정신병 (folie a deux), 우울증 , 망상증 등을 서술함

Andreas Vesalius
(1514~1564)

▪ 뇌 단면도 , 두개골학 , 신경 및 근육생리학을 연
구 , 저술

13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 (A.D. 1500~1700)

파리

영국

▪ 17 세기 유럽사회는 정신장애인을
감금하기 위한 수용소들을 설립하여
극빈자 , 죄수 등을 함께 수용하였
음

▪ 1547 년 구빈원이었던 Bethlehem
(Bedlam) 병원을 정신장애인 수용소
로 개조해 짚을 깔고 잠을 재우고
쇠사슬에 묶어서 매질도 하였음

▪ 1656 년에 설립된 파리 종합병원은
말뚝 , 쇠사슬 , 지하감옥 등을 완
비한 정신장애인 시설을 갖추어 놓
음

▪ 일반인에게 돈 받고 관람도 시켰으
며 나중에는 구걸도 허용했다고 함

▪ 당시 수용소나 정신병원은 사회 질
서를 유지하는 기관일 뿐 , 환자는
국왕의 통치권과 재판권에 속함

▪ 1601 년 엘리자베스 여왕이 구민법
(poor law) 을 공포하고 , 지역사회
가 정신장애인을 관리하게 하였으며
정부가 간호를 제공하는 후원을 함

14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5) 18~19 세기 초반
▪ 18 세기는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개념의 발달시대로 계몽시대를 열었지만 여전히
내적인 모순이 존재했음
▪ 정신의학은 정신장애를 증상 분류를 강조했고 점차로 정신장애에 대한 종교적 영향과
전통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성적인 믿음으로 대체됨
W. Cullen(1710~1790)

처음으로 신경증 (neurosis) 이란 용어를 사용 . 정신질환은 신경계의 장애로 생기고
신경증은 열이나 한국성 ( 限局性 ) 신경병리 없이 발생되는 것이라고 봄

Franz Anton Mesmer(1733~1815)
Benhamin Rush
Phillippe Pinel(1745~1826)
15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5) 18~19 세기 초반
▪ 18 세기는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개념의 발달시대로 계몽시대를 열었지만 여전히
내적인 모순이 존재했음
▪ 정신의학은 정신장애를 증상 분류를 강조했고 점차로 정신장애에 대한 종교적 영향과
전통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성적인 믿음으로 대체됨
W. Cullen(1710~1790)
Franz Anton Mesmer(1733~1815)
고대 사원의 신비한 치료로 알려진 암시 치료를 재생해 동물 자기설
(Animal Magnetism) 이라고 부르고 이 치료법으로 정서장애를 치료하였는데 ,
일명 Mesmerism 이라고도 함

Benhamin Rush
Phillippe Pinel(1745~1826)
16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5) 18~19 세기 초반
▪ 18 세기는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개념의 발달시대로 계몽시대를 열었지만 여전히
내적인 모순이 존재했음
▪ 정신의학은 정신장애를 증상 분류를 강조했고 점차로 정신장애에 대한 종교적 영향과
전통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성적인 믿음으로 대체됨
W. Cullen(1710~1790)
Franz Anton Mesmer(1733~1815)
Benhamin Rush
▪ 미국 정신의학의 아버지로서 1752 년에 미국 최초로 설립된 펜실베이니아
종합병원에 정신과 병동을 설치하고 정신장애인을 입원 치료함
▪ 사혈 , 하제 , 토제 등의 신체적 치료와 충격요법을 실시 . 청결한 환경과 친절한 대우 ,
작업요법을 실시함 . 또한 , 1773 년에는 버지니아 주 Williamsburg 에 미국 최초의
주립병원인 The Eastern Asylum(Eastern Lunatic-Hospital) 이 설립
Phillippe Pinel(1745~1826)
17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5) 18~19 세기 초반
▪ 18 세기는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개념의 발달시대로 계몽시대를 열었지만 여전히
내적인 모순이 존재했음
▪ 정신의학은 정신장애를 증상 분류를 강조했고 점차로 정신장애에 대한 종교적 영향과
전통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성적인 믿음으로 대체됨
W. Cullen(1710~1790)
Franz Anton Mesmer(1733~1815)
Benhamin Rush
Phillippe Pinel(1745~1826)
▪ 사회개혁과 도덕적 치료운동의 선구자임
▪ 처벌을 금지 , 햇빛과 신선한 공기 , 깨끗한 환경 , 작업 , 산책을 시켰으며 친절 ,
이해로 환자를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얻음 . 이와 같은 환자 해방제도는 병실
개방제도 (open door policy) 로 발전 , 유럽에 퍼져 좋은 반응을 얻음
18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 독일을 중심으로 발전한 생물정신의학과 Freud 를 중심으로 한 역동정신의학이 양립함
Wilhelm Griesinger(1817~1868)

emil Kraepelin(1856~1926)

“ 정신병은 뇌의 병”이라고 함

특정 원인 , 특정 대뇌병리 ,
특정 임상증상이라고 함

▪ 19 세기 후반에 미국 각 지방에서는 이민 인구의 급증으로 정신장애인 수가 증가하였고 전
문 의료인들은 부족하여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간호는 경험이 없는 의료인들이 맡게 되었으
며 감금과 기계적 억제가 다시 적용됨
Hideo Nohuchi
(1876~1928)
Eugen Bleuler
(1857~1939)

일본 세균학자로서 당시에 흔한 정신질환인 진행성 마비의
원인균이 매독균임을 발견
스위스 정신과 의사로써 조발성 치매를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으로
개칭 명명
19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Dorothea Lynde
Dix
(1802~1887)

Jean Martin
Charcot
(1825~1893)

▪ 교사로서 주일마다 여죄수 형무소 심방을 다니다가
매사추세츠 주를 위시하여 전 미국에 형무소와 정신질환자
수용소의 개선 운동을 펼쳐 기금을 모으고 , 각 주 의회에
건의서와 보고서를 제출하여 30 여 개의 정신병원이 신설
▪ 프랑스 정신과 의사이었으며 최면술을 이용하여 신경증을
치료하고 잊혀진 생각 , 병적인 생각이 히스테리 증상을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하여 정신장애의 심인성 원인을 주장함
현대적 정신치료의 발전을 가속화시킴

Sigmund Freud ▪ 자유연상법 (free association) 과 꿈 분석으로 정신분석 치료법을
(1856~1939)
개발하여 정신장애인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옴
▪ 신체적인 질환과 마찬가지로 정신질환에도 원인이 있으며 ,
그 원인은 초기 인생의 억압된 심인성 원인임을 강조하고 정신
에너지의 이동 , 무의식의 억압된 갈등의 중요성을 파헤침으로써
현대 역동 정신의학 (dynamic psychiatry) 의 발전을 위한 기초를
확립함
20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Adolf Meyer
(1866~1950)

▪ 스위스 의사인 그는 후에 미국 Johns Hopkins 병원의 정신과
과장이 됨
▪ 개인을 사회적 , 생물적인 영향력에 대해 독특한 반응을 경험하는
하나의 생물학적 단위로 간주하고 정신장애가 뇌기능 장애만의
결과 또는 압도적 환경의 영향만으로 발생한다는 설을 반대함
▪ 환자를 전체의 환경 속에 있는 종합적인 측면으로 인간 전체를
보고 치료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정신생물학의 체계를 이룩함

Alfred Adler
(1870~1937)

▪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는 열등함을 벗어나서 우월하게
되고자 하는 욕구 , 완전하게 되기 위한 추구이고 이것이
인격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여 개인 심리학파를 창설

Otto Rank
(1884~1939)

▪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이며 Freud 의 제자임
▪ 인격발달에서 출생시 외상 (birth trauma) 이 중요하다고 믿음
▪ 출생시 외상은 인간의 기본적 불안으로서 무의식에 내제하여
인간의 불안근원이 되고 이후 인생에서 이별을 겪을 때마다
분리 불안 (separation anxiety) 을 경험하게 된다고 함
21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 스위스 정신과 의사로서 분석심리학파 (analytic psychology)
를 창설하였음
Carl Gustav
Jung
(1857~1961)

▪ 분석심리학에서는 libido 를 성적활동으로 보지 않고 생명력
(life force) 으로 생각함
▪ 인간의 무의식에는 개인적인 무의식과 조상대대로부터 물려받
은 잠재적 기억흔적인 집단무의식이 있어서 개인에게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함

▪ 1900 년대는 사회적 , 경제적 , 정치적 개혁운동이 계속되었음
▪ 빈곤은 질환으로 이어지고 질환은 빈곤을 가져오는 악순환을 타파하기 위한 노력
에
중점을 두고 질병예방운동이 일어남

22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H. S. Sullivan
(1892~1949)

미국 정신의학자로서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인관계이론 학파를 창설 .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인간관계
상황의 일부가 되며 타인과의 관계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Melanie Klein
(1882~1960)

영국 소아 정신의학자로서 고전 정신분석학을 아동
정신치료에 응용 . 아동은 언어표현을 잘하지 못하므로
아동행동의 해석수단으로 play therapy 를 이용하였고 , 그 결과
아동도 성인과 같은 무의식적 갈등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함

Anne Freud

Freud 의 딸로서 아동 정신분석을 연구했으며 “ Ego and
Mechanism of Defense" 라는 책을 저술하고 Freud 의 방어기전
이론을 더욱 확충시킴

23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 1930 년대는 정신질환자의 신체적 치료방법들이 쏟아져 나옴

Julius Wagner
Von jauregg
(1857~1940)

말라리아 병원체를 인체에 접종하는 발열요법으로 진행마비
환자 치료를 시도하여 세계 최초의 Nobel 상을 수상한
정신과 의사

Manfred Sakel
(1900~1957)

1933 년에 insulin shock 요법을 개발 .

Egas Moniz
(1974~1955)

1936 년에 전두엽 절개술로 정신외과술 (psychosurgery) 을
시술하였으며 , 이 공적으로 노벨상을 수상

24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1938 년
Cerleitti(1877~1963)
와 Lucio Bini 가 전
기충격치료를 개발

1935 년
Ladislaus J. Von Meduna(1896~1964)
가 Camphor 와 Cardizole 을 사용하여
경련요법을 발전시킴

이상의 치료법들은 지금까지 접근이 불가능했던 심한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기간을 단축시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신치료의
가능성을 높임

25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7) 20 세기 후반 ~ 현재
▪ 정신질환자에 대한 치료가 획기적인 발전을 함 . 역동정신의학에 기초를 두는 정신
치료와 신체적 치료 등과 더불어 인지행동치료가 발달하기 시작함
Erich Fromm
(1900~1980)

독일의 심리학 및 사회학자이고 , 정신분석 훈련을 받은 정신분
석가로 인간은 자연 및 타인과 격리되면 고독감을 느끼고 불안
하게 되어 사회적 격리를 피하려고 애를 쓰는데 , 이럴 때 근본
적인 문제가 생기게 된다고 주장

Erik Erikson
(1902~1995)

성격발달은 인생 초년기뿐만 아니라 전생애 동안 계속됨을 주장
하였고 , 각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기본적인 자아특징에 따라
일생 동안의 성격발달단계를 설정하는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확대시킴으로써 현대 정신분석이론을 발달시킴

Frieda Fromm
-Reichman

Karl Menninger

신경증환자에게 해오던 정신분석기법을 정신병환자에 적용
역동적 평형 개념을 정신기능에 적용하고 , 대응개념을 확장 ,
기능장애의 수준들을 설명하여 발전시킴
26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7) 20 세기 후반 ~ 현재
▪ 많은 이론들은 간호학자들에 의해 검토되어 간호학 발전을 위한 지식으로 이용했음
▪ Freud 의 정신분석이론과 H. S. Sullivan 의 대인관계 이론 , 의사소통이론의 간호
실무에의
도입은 정신간호사에게 정신치료자 역할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정신간호전문가 역할
을
탄생시킴
▪ 역동정신의학의 발전과 경련요법 등의 신체적 치료법 외에도 여러 가지 약물 치료
의
개발이 정신간호의 역할변화를 가져옴
▪ 1952 년에 Jean Delay 와 Pierre Deniker 의 정온제인 Chlorpromazine 의 발명을
선두로
하여 여러 가지 약물들이 개발됨
정신장애인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음
▪ 행동주의 이론이 대두되고 John b. Watson 과 Joseph Wolpe 등에 의해 임상이 적
용되기
시작함
▪ 행동치료로 자리 잡았으며 Aaron Beck(1921~) 과 Albert Ellis(1913~) 에 의해 인
지요법이
시작됨
27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7) 20 세기 후반 ~ 현재
▪ 1 차 세계대전과 2 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미국에는 약 43% 의 종군군인들이 대전
후 정신건강상 문제 발생
▪ 1946 년 , 미국의회가 정신건강법을 제정하고 연방정부 신하에 미국 국립정신건강연
구소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를 설립
1

정신건강전문가를 훈련

2

정신건강 관계의 연구를 지원

3

정신건강사업 계획 및 개발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의 역할을 함

▪ 정신건강법 제정으로 미국은 현재까지 정신건강전문가가 대량 양성
정신건강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28 / 5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7) 20 세기 후반 ~ 현재

1963 년

▪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법이 제정
정신건강의 증진 및 예방 , 개방병동정책 , 병원과 요양기관에
수용된 만성장애자의 지역사회 내로 퇴원 및 탈기관화
( 탈병원화 ), 재활활동 , 환자의 조기발견 및 치료 등이
중점적으로 시행

1955~ 1975 년
미국 주립정신병원의 입원 환자 수는 559,000 명으로 감소되어
약 66% 가 줄어듬 . 그러나 한편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운동과
탈기관화 운동이 지역사회에 영세의료기관의 난립을 초래하고
있다는 비난도 발생함

29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 직업적 간호기능은 19 세기까지 환자 보호기능에 머물러 있었고 , 20 세기에 들어와
서
여러 신체적 요법이 개발되면서 그 모습을 갖추기 시작함
Florence Nichtingale

저서 “ Notes On Nursing" 에서 정신간호의 중요성을 지적
간호가 신체간호의 차원을 넘어 심리사회적 차원에도 미쳐야 함을 시사함

제도적 간호교육의 시작
1836 년

독일의 Fliedner 목사 부부가 경영하였던 3 개월 과정의
Kwaiserthwerth 양성소있었음 (F. Nightingale 졸업 )

1860 년

영국 런던 소재 성 토마스병원에 1 년 과정의 나이팅게일
간호학교가 설립됨

30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제도적 간호교육의 시작
미국은 남북전쟁 뒤에 간호사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함

1872 년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최초로 설립함

이민인구와 병원수의 증가에 따라 간호학교수도 늘어남

1880 년 , 15 개 학교가 생겨남

1890 년 , 432 개 학교로 증가했으나 초기의 간호학교 교육과정에는 정신간호
교육과정이 포함되지 않았음

31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1) 초기 정신간호의 교육의 발달
Linda Richards
▪ 최초의 정규간호사이며 정신간호사였음
▪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병원에서 간호실무를 담당하여
발전을 시도

1880 년
19 세기 말경
1913 년

▪ 정신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최초의 간호학교가
매사추세츠 주 Waverly 에 있는 Mclean 정신병원에서
2 년 과정으로 개교함

1936 년

32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1) 초기 정신간호의 교육의 발달
Linda Richards
▪ 최초의 정규간호사이며 정신간호사였음
▪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병원에서 간호실무를 담당하여
발전을 시도

1880 년
19 세기 말경
1913 년

▪ 일반 간호사도 미국의 소수 정신병원의 간호 실무를
담당함
▪ 당시의 정신간호사 업무는 진정제 투약과
수욕요법 (hydrotherapy), 영양공급의 감독

1936 년

33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1) 초기 정신간호의 교육의 발달
Linda Richards
▪ 최초의 정규간호사이며 정신간호사였음
▪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병원에서 간호실무를 담당하여
발전을 시도

1880 년
19 세기 말경
1913 년

▪ 미국의 Johns Hopkins 병원 부속 간호학교에서
정신간호학이 정규 간호교육 과정에 최초로 포함됨
▪ 최초의 정신간호학 교과서 “ Nursing Mental Diseases“

1936 년

34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1) 초기 정신간호의 교육의 발달
Linda Richards
▪ 최초의 정규간호사이며 정신간호사였음
▪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병원에서 간호실무를 담당하여
발전을 시도

1880 년
19 세기 말경
1913 년
1936 년

▪ 정신병원 부속 간호학교 수는 67 개였음
▪ 1937 년에는 미국 간호교육연맹 (National League for
Nursing Education) 이 미국 내 모든 간호대학에 정신
간호학 교과목을 포함시키도록 조치함
▪ 1940 년대에는 정신간호가 간호업무의 중요한 영역으로
되었지만 친절히 대해 주고 보호하는 수준에서 머무름
▪ 1930 년대의 인슐린의 혼수요법 , 전기충격치료 ,
정신외과술 등의 개발은 보다 복잡하고 수준 높은 간호가
요구되어 정신건강분야에서 간호사의 치료협조가 매우
중요함을 인식
35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2) 정신간호학의 기반 확립
▪ 2 차 세계대전 후 정신장애 환자가 급격히 증가

1946 년에 정신건강법을 제정

▪ 정신건강 연구원이 섭립되고 , 정신간호학 분야는 정신의학 , 임상심리학 , 사회복
지사업 분야와 함께 연방정부지원금에 의해 우선적으로 육성하는 분야가 됨
정신건강법이 제정되기 전 , 미국 내 정신간호학 전공석사학위 소지자는
12 명이었음
현재는 8000 명 이상 되었으며 , 1948 년 , 9 개 종합대학에서 정신간호전공
대학원과정이 운영되었음

1965 년 , 정부지원금의 증가로 31 개가 더 생겨남

1987 년 현재는 미국 내 60 개 이상의 대학원들이 정신간호 전공과정을 운영함

36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2) 정신간호학의 기반 확립
▪ 1948 년에는 Brown 이 당시의 간호직 장기 발전을 위한 연구인 “ Nursing for the
Future“ 를 보고함
▪ 이전의 정신간호사 교육제도를 폐지하고 이미 정신간호 이론을 가르치고 있는 일반
간호대학에서 정신간호 임상실습과목도 필수로 포함시켜서 교육을 할 것을 제안함

그 결과 시설과 인적자원이 미비했던 대부분의 정신병원 부속
간호학교가 폐지되었고 , 1955 년에는 미국 간호연맹이 간호대학 인가
규정에 정신간호 임상실습을 필수과목으로 삽입하게 됨

정신간호학 이론과 임상실습이 간호대학의 필수과목으로
포함됨으로써 정신간호학은 간호학의 중요한 분야가 됨

37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3)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
▪ 1952 년 정신간호 분야에 3 대 획기적 사전이 발생
정신간호사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는 계기가 됨
1

peplau 의 대인관계 간호이론 (Interpersonal Relation in Nursing)
▪ 최초의 체계적인 정신간호의 이론적 골격이 됨
▪ 이 이론은 Sullivan 의 대인관계 이론과 학습이론에 기초를 두며 , 정
신간호
이론과 실무의 발전에 기초를 확립함
▪ Peplau 는 정신간호사의 역할 및 활동 , 정신간호기술을 개발하고 , 간
호의 대인관계적 성질을 강조함
▪ 간호사는 정신역동적 개념과 상담 기술을 이해하여 간호 실무에 이용해
야 함을 강조함
정신간호에 큰 기여를 함

2

Gwen Tudor Will

3

Frances Sleeper
38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3)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
▪ 1952 년 정신간호 분야에 3 대 획기적 사전이 발생
정신간호사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는 계기가 됨
1

peplau 의 대인관계 간호이론 (Interpersonal Relation in Nursing)

2

Gwen Tudor Will
학술잡지 “ Psychiatry" 에 간호사가 환자의 정서적 성숙을 촉진하는 시범을
보이고 논문을 발표하여 사회 정신의학적 기반을 둔 특수 간호중재를
개발함으로써 정신간호와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기여

3

Frances Sleeper
미국정신의학회에서 정신간호사를 정신치료자로서 이용할 것을 주장하는
연설을 했는데 정산간호사의 역할이 환자관리인 인지 또는 정신치료자 인지
에 대한 논쟁을 10 년 동안 해옴

39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3)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

1952

년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과정
▪ 미국 정신간호사의 상담자 역할이 법적으로 인정을 받았음

1957 년

▪ 미국 간호연맹이 정신간호임상전문가 역할을 소개하고 , 석사과정
의
교육 준비로써 가능한 정신간호기능들을 분류함

1957 년

▪ Mellow 는 보스턴 주립병원에서 경험한 정신분열증 환자와의 치료
에 근거한 간호치료체제를 소개함
▪ 이 치료는 교정적 정서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병리
적
과정이나 대인관계 발달과정을 파악하지는 않음
▪ Peplau, Will, Mellows 는 정신간호사의 상담 역할을 시범해 보였
음

1958 년

▪ 미국간호협회도 정신간호 전문직을 인정하고 정신건강간호업무
협의회를 설립

40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3)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

1961 년

1962 년

▪ Ida Jean orlando 의 “ The Dynamic Nurse-Patient
Relationship“
: 모든 간호업무 분야에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 정신건강
과
정신질환의 예방에 정신간호사의 관여를 주장
▪ Peplau 의 ” Interpersonal Technique: The Crux of Psychiatric
Nursing“: 논문에서 Peplau 는 정신간호의 1 차적 역할은 상담자
역할이고 , 그
외의 다른 역할들은 하위역할을 추정함 ( 정신간호 역할을 더욱
명료하게 하는 결정적 계기 )

41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 미국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법 제정 (1963 년 )
예방 정신건강계획과 환자의 지역사회 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정신간호에
포함시키도록 촉진
▪ 정신간호 학술지 “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출판 ,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1981 년에 “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 로 이름을 바꿈 ) 가 발행
정신간호 임상전문가는 개인 정신치료 , 집단 정신치료 , 가족 정신치료 ,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자격증 과정
환경요법의
치료자 역할을 담당하고 개인적인 개업을 할 수 있다고 인정받음
▪ 1971 년에 New Jersey 간호협회가 최초로 만들어짐
▪ 이후에 New York 주 간호협회에서도 과정을 설치함
▪ 1970 년대 중반기까지 미국의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자격 인정은 미국간호협회의
책임이었고 1973 년에는 미국간호협회가 정신건강간호 업무의 표준을 출판함
▪ 1982 년 개정하여 정신간호 역할과 기능들을 서술함 . 1973 년에는 미국간호협회의
전문 분과인 정신간호 전문협의회가 구성되고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에 대한
법적
인정을 받음
42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미국간호협회의 정신간호전문협의회의 기능
1

2

3

4

정신간호 분야의 당면과제에 대하여 전국 정신간호전문가와 의사소통함

출판문과 토론회 개최로 정신간호연구 , 교육 , 임상실무에 관한 정보교류하고
회원의 지식증진에 힘씀

성명서를 통하여 정신간호전문가의 견해를 밝힘

회원의 문제점에 대해 전국적 논의를 위한 기회를 가지며 , 행동전략을
세우고 적절한 건의를 함

43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의 발전
19,145 명

6,030 명
770 명
일반
정신간호사

성인 정신
보건간호사

아동 및 청소년
정신 보건전문간호사

▪ 미국간호협회 정신간호전문협의회는 1984 년에 북미간호진단협회 (NANDA) 에 의해
확정된 간호진단을 보충하기 위한 정신간호진단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정신간호진단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게 하고 정신건강간호 진단분류 체제를 개발함
▪ 최신 정신간호 학술지 “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 1987 년에 출판되기 시작 . 정신간호전문가와 정신간호 학자들이 다양한 정신간호
업무간의 이론적 연결을 하도록 하고 대중 정신간호업무 분단 정책을 마련하는 매개
체가 됨
44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의 발전
▪ 1978 년 President's Commission of Mental Health 의 보고내용
- 장기간호와 단기간호를 포함한 진단 , 치료 , 재활 , 지지 서비스 영역
- 간호의 계속성과 쉬운 접근
- 포괄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 , 건강 , 소득 , 사회봉사와 같은 인간봉사의
조직망 조정
- 특별한 개체군에 있어서의 욕구의 충족과 변화된 환경에 직면하기 위한 적응
- 공적이거나 사적인 자금이 충분히 제공될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서비스가
계속적으로 필요함을 강조

환자에게 악역향을 끼칠 수 있는 정신보건전문가 간의 문제점
문제점

불균등한 지역분포

직무의 유사성

전문직간의 긴장
45 / 5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미국 정신건강문제의 발생
▪ 1982 년 연방정부 예산에서 보건전문 요원을 교육시키는 비용과 정신과와 사회보건
서비스를 위한 자금이 대폭 삭감됨
▪ 기관간호 ( 병원 ) 에서 지역사회 간호로 전환됨
▪ 판사와 국회의원들에 의해서 증가된 영향력 , 보험회사 , 건강유지기구 , 기부금
등으로 이루어진 대규모의 정신보건 전단 부분을 개발과 집 없는 정신질환자 문제 등
이 새로운 미국 정신건강문제로 대두됨

1990 년 정신보건 분야에서의 세 가지 조류
1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 , 특히 만성질환자의 증가

2

정신과 영역이 정신질환에 좀 더 생물학적 , 신경화학적 모델로
이해하고 치료하게 된 것

3

정신건강 관리 전달체계와 조직의 변화
46 / 53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1) 근세 조선 이전까지의 한방치료
▪ 한국은 한의학과 20 세기 서양의학이 들어올 때까지 민간요법이 계속되어 옴
굿 , 경읽기 , 안수기도 , 복숭아나무로 때리기 등의 귀신학에서 비롯된 민간
요법이
아직도 부분적으로 시행됨
정신질환에 관한 최초의 기록
角于 忠恭이 “昏昏黙黙精神不安”이라는 , 현재의 우울증에
걸려서 국의가 診脈하고 龍齒을 처방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

▪ 祿眞 ( 녹진 ) 은 이것이 기질적 질환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러면 公 ( 공 ) 의 병은 다
만 藥石 ( 약석 ) 으로만은 안 되고 침술로도 안되겠사오니 이는 알맞은 말로써 고쳐야
하겠습니다”라하고 정신치료로서 각간의 병을 치료했다고 함
▪ 신라 헌덕왕 10 년 ( 서기 818 년 ) 에 執事侍郞 ( 집사시랑 ) 이 된 녹진은 국의는 아니
었으나 의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 신체의 부주 ( 不調 ) 는 風露 ( 풍로 ) 가 犯 ( 범 ) 하여
榮衛 ( 영위 ) 의 和 ( 화 ) 를 傷 ( 상 ) 하여 支體 ( 지체 ) 의 安 ( 안 ) 을 失 ( 실 ) 함 때문
이라고 생각

47 / 53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1) 근세 조선 이전까지의 한방치료
항약구급방
▪ 간질과 광기의 연관성을 인정한 듯한 ‘전광 ( 癲狂 )’ 의 증상이 기록

동의보감
▪ 전광 ( 癲狂 ) 이외에  ‘崇’이라 하여 지금의 정신분열증과 아주 비슷한 증상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고 열성섬망 , 정신신체장애 , 수면장애 등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기록이 있음
▪ 동의보감의 편찬자인 허준은 ‘精ㆍ氣ㆍ神’을 臟腑百體의 主라 하여 가장
중요시함
▪ 정은 정력 , 기는 감정 , 신은 정신을 뜻함 .

48 / 53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
우리나라에 최초로
설립된 서양의원

대한의원

1885 년에 설립된 왕립병원인 광혜원임

1907 년 광무 11 년에 설립되었고 , 교육부가 있었으며
일본인에 의하여 정신병학 강의가 실시됨 (1910 년 기록 )

▪ 대한의원은 1910 년 한일합방 후에 총독부 의원이 되었고 , 1913 년 최초로 정신과 병
동을 신설하여 정신병 환자를 치료함
▪ 1917 년에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에서 정신질환 강의를 시작했고 1923 년에 정신과
병실을 설치함
일제강점기 (1910~1945)
독일 정신의학의 영향을 받아 서술적 정신의학 (descriptive psychiatry) 이 주류를
이루었고 , 작업치료는 1914 년부터 실시하였고 지속수면요법 , 수욕요법 ,
전기충격치료와 인슐린 혼수요법 등의 치료와 간호가 행해짐
49 / 53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3) 광복 후부터 현재까지 개황
1945 년

1962 년

1995 년

미군정하에서 전국의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에 신경정신과가
설치되었고 , 6 ㆍ 25 전쟁을 계기로 미국의 역동정신의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미국 유학을 통해 역동정신의학의 발전이 두드러짐
보건사회부 신하에 국립정신병원이 설립 , 정신의학 학술단체인
대한신경 정신의학회가 1945 년 창립되어서 학술지인
「신경정신의학」을 발간
보건복지부 보건증진국 내에 정신보건과가 설치되고 , 정신보건법이
제정되었으며 , 정신과 입ㆍ퇴원 규정 , 정신보건전문요원 교육과
그 역할 ,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강화 등이 명시됨

※ 정신보건전문요원 : 정신보건간호사 , 정신보건임상심리사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001 년 6 월

정신보건시설은 정신 의료기관에 46,472 병상 , 사회복귀 및
정신요양시설에 14,262 병상으로 총 60,734 병상이 있고 , 앞으로의
정신건강사업은 정신건강 취약자에 대한 정신사회재활 치료와 일반
인구의 정신건강 증진과 예방에 관심을 가져야 함
50 / 53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한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전
정신질환자에 대한 현대적 간호
▪ 일제강점기에 시작됨
▪ 환자의 안전관리와 보호 위주의 간호가 주로 시행됨
▪ 폐쇄병동에서 치료를 하며 공격행위 시에는 끈을 묶고 독방에 격리시켜 제지함
▪ 정신간호의 기능은 보호관리와 지속수면요법 , 수욕요법에서 점차 인슐린 혼수요법이
나 전기충격치료의 간호 , 환자 증상 관찰 , 투약 등으로 변하고 , 6 ㆍ 25 전쟁 후에는
미국의 역동정신의학의 도입으로 환자관리에도 영향을 미쳐서 이때부터 환자에 대한 구
타와 제지가 줄어듬

1960 년대와 1970 년대 초반
▪ 미국과의 의료인력 교류가 활발해져 미국의 정신치료와 간호를 직접 체험해보고 온
의사 , 간호사의 영향을 받음
▪ 정신간호 실무에 환경요법과 활동치료를 도입하고 , 간호사도 오락치료 , 예술요법 등
의 치료자 역할을 담당
▪ 치료적 환경유지 , 지지적 정신치료와 정신치료적 간호중재를 시도하고 보호자의 약물
교육 등이 계속되어짐
51 / 53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한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전
전신간호 교육의 발전
경성제국대학 부속병원 ( 서울대학병원 ) 간호부 양성소 (1927 년 )
우리나라 최초로 정규 간호교육과정 내에 정신간호학이 포함

세브란스병원 간호부양성소
▪ 1943 년에 신경과라는 이름으로 정신간호학이 포함되었고 , 해방 후에는 정신과학
단일과목으로 독립됨
▪ 1950 년대 말기부터 정신과학 정신간호학 과목으로 분리 , 1960 년대 말기부터
정신간호학이란 명칭으로 통합
▪ 1970 년에 대한간호학회가 대한간호협회 산하단체로 창립
▪ 1974 년에 독립하여 여러 개의 분과학회로 구성됨
▪ 정신간호분과학회는 1971 년에 분리 구성되어 학회활동을 시작하였고 , 1992 년부터
연간
2 회 정신간호학회지를 발간하기 시작 , 현재는 연간 4 회로 발행됨
52 / 53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
▪ 정신간호학회의 정신전문간호사회는 약 20 명의 회원이 1996~1998 년까지 국제연합기
구의
개발연구비 (UNDP) 를 수주 받아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 시범활동을 함
▪ 1992 년 용인정신병원과 1993 년 이화대학교 병원에서 정신간호사 교육과정을 시작하
였고 ,
졸업생은 정신보건법 공포 이후 정신보건간호사로 자격을 추인 받음 .
▪ 1996 년 이후부터 정신간호경험이 있는 일반 간호사면허 소지자에게 일년 과정의 이론
150 시간과 임상실습 850 시간을 이수하는 정신보건전문 간호사 과정 개설 .
▪ 2004 년 현재 약 3,000 여명이 정신보건간호사 자격을 취득하여 기존에 정신보건
전문간호사회와 대한간호협회 입상간호사회로 활동 .
▪ 2 급 정신보건간호사 자격증은 전국 보건소에서 정신건강관리를 하며 , 다수의 보건소
에서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를 두고 , 일부는 보건소요원에 의한 소규모 지역사회 정신
건강관리를 시행함 

53 / 53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Narrative Theory 2011
Narrative Theory 2011Narrative Theory 2011
Narrative Theory 2011
Teresa Miller
 
Transference
TransferenceTransference
Transference
PIR BUX JOKHIO
 
SUCCESS QUOTES
SUCCESS QUOTESSUCCESS QUOTES
SUCCESS QUOTES
Libcorpio
 
DiSC Profile Introduction - Why Use DiSC Communication Profiling?
DiSC Profile Introduction - Why Use DiSC Communication Profiling?DiSC Profile Introduction - Why Use DiSC Communication Profiling?
DiSC Profile Introduction - Why Use DiSC Communication Profiling?
Mary Jane Clark
 
APPLICATIONS OF SPIRITUALITY IN THERAPY
APPLICATIONS OF SPIRITUALITY IN THERAPYAPPLICATIONS OF SPIRITUALITY IN THERAPY
APPLICATIONS OF SPIRITUALITY IN THERAPY
Kevin J. Drab
 
Buddha's Brain: Lighting Up the Neural Circuits of Happiness, Love and Wisdom
Buddha's Brain: Lighting Up the Neural Circuits of Happiness, Love and WisdomBuddha's Brain: Lighting Up the Neural Circuits of Happiness, Love and Wisdom
Buddha's Brain: Lighting Up the Neural Circuits of Happiness, Love and Wisdom
Rick Hanson
 
Face Your Fear for Success
Face Your Fear for SuccessFace Your Fear for Success
Face Your Fear for Success
Crazy Penguin Media
 
Personality development
Personality developmentPersonality development
Personality development
inderpreet brar
 
15 Toxic People- ReInvent Yourself
15 Toxic People- ReInvent Yourself15 Toxic People- ReInvent Yourself
Geriatric Psychology: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the Elderly
Geriatric Psychology: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the ElderlyGeriatric Psychology: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the Elderly
Geriatric Psychology: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the Elderly
Helping Psychology
 
Cross-cultural Pastoral Counseling
Cross-cultural Pastoral CounselingCross-cultural Pastoral Counseling
Cross-cultural Pastoral Counseling
Robert Munson
 
DISC Personalty Assessments - Your Key to Professional Success
DISC Personalty Assessments - Your Key to Professional SuccessDISC Personalty Assessments - Your Key to Professional Success
DISC Personalty Assessments - Your Key to Professional Success
Howard Fox
 
Personality types temperament types
Personality types   temperament typesPersonality types   temperament types
Personality types temperament types
University of San Carlos
 
Subconscious vs conscious
Subconscious vs consciousSubconscious vs conscious
Subconscious vs conscious
minhal haider
 
What is your personality type
What is your personality typeWhat is your personality type
What is your personality type
MykB101
 

What's hot (15)

Narrative Theory 2011
Narrative Theory 2011Narrative Theory 2011
Narrative Theory 2011
 
Transference
TransferenceTransference
Transference
 
SUCCESS QUOTES
SUCCESS QUOTESSUCCESS QUOTES
SUCCESS QUOTES
 
DiSC Profile Introduction - Why Use DiSC Communication Profiling?
DiSC Profile Introduction - Why Use DiSC Communication Profiling?DiSC Profile Introduction - Why Use DiSC Communication Profiling?
DiSC Profile Introduction - Why Use DiSC Communication Profiling?
 
APPLICATIONS OF SPIRITUALITY IN THERAPY
APPLICATIONS OF SPIRITUALITY IN THERAPYAPPLICATIONS OF SPIRITUALITY IN THERAPY
APPLICATIONS OF SPIRITUALITY IN THERAPY
 
Buddha's Brain: Lighting Up the Neural Circuits of Happiness, Love and Wisdom
Buddha's Brain: Lighting Up the Neural Circuits of Happiness, Love and WisdomBuddha's Brain: Lighting Up the Neural Circuits of Happiness, Love and Wisdom
Buddha's Brain: Lighting Up the Neural Circuits of Happiness, Love and Wisdom
 
Face Your Fear for Success
Face Your Fear for SuccessFace Your Fear for Success
Face Your Fear for Success
 
Personality development
Personality developmentPersonality development
Personality development
 
15 Toxic People- ReInvent Yourself
15 Toxic People- ReInvent Yourself15 Toxic People- ReInvent Yourself
15 Toxic People- ReInvent Yourself
 
Geriatric Psychology: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the Elderly
Geriatric Psychology: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the ElderlyGeriatric Psychology: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the Elderly
Geriatric Psychology: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the Elderly
 
Cross-cultural Pastoral Counseling
Cross-cultural Pastoral CounselingCross-cultural Pastoral Counseling
Cross-cultural Pastoral Counseling
 
DISC Personalty Assessments - Your Key to Professional Success
DISC Personalty Assessments - Your Key to Professional SuccessDISC Personalty Assessments - Your Key to Professional Success
DISC Personalty Assessments - Your Key to Professional Success
 
Personality types temperament types
Personality types   temperament typesPersonality types   temperament types
Personality types temperament types
 
Subconscious vs conscious
Subconscious vs consciousSubconscious vs conscious
Subconscious vs conscious
 
What is your personality type
What is your personality typeWhat is your personality type
What is your personality type
 

Viewers also liked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sujaubuns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sujaubuns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sujaubuns
 
word processing history
word processing historyword processing history
word processing history
Jelz JZ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sujaubuns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sujaubuns
 
Ppt on the letter BY DHUMKETU ENGLISH LITERAture class 10
Ppt on the letter BY DHUMKETU ENGLISH LITERAture class 10Ppt on the letter BY DHUMKETU ENGLISH LITERAture class 10
Ppt on the letter BY DHUMKETU ENGLISH LITERAture class 10
Chandra Shekhar
 
간호란 무엇인가 I
간호란 무엇인가 I간호란 무엇인가 I
간호란 무엇인가 IKasilubuns
 

Viewers also liked (10)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word processing history
word processing historyword processing history
word processing history
 
Word press
Word pressWord press
Word press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8. 건강
8. 건강8. 건강
8. 건강
 
Ppt on the letter BY DHUMKETU ENGLISH LITERAture class 10
Ppt on the letter BY DHUMKETU ENGLISH LITERAture class 10Ppt on the letter BY DHUMKETU ENGLISH LITERAture class 10
Ppt on the letter BY DHUMKETU ENGLISH LITERAture class 10
 
간호란 무엇인가 I
간호란 무엇인가 I간호란 무엇인가 I
간호란 무엇인가 I
 

Similar to 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

뉴스앤 올디스 전혜정 교수 자료
뉴스앤 올디스 전혜정 교수 자료뉴스앤 올디스 전혜정 교수 자료
뉴스앤 올디스 전혜정 교수 자료
sciencepeople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hiiocks kim
 
프로이트와 이별하다 -무의식의 깊은 잠을 깨우는 융 심리학
프로이트와 이별하다 -무의식의 깊은 잠을 깨우는 융 심리학프로이트와 이별하다 -무의식의 깊은 잠을 깨우는 융 심리학
프로이트와 이별하다 -무의식의 깊은 잠을 깨우는 융 심리학문 예
 
[OpenCollege] 인지심리학 101
[OpenCollege] 인지심리학 101[OpenCollege] 인지심리학 101
[OpenCollege] 인지심리학 101
Laeyoung Chang
 
차가의 역사
차가의 역사차가의 역사
차가의 역사koh2000
 
마음수련 사이비 알아보기 13-사이언톨로지
마음수련 사이비 알아보기 13-사이언톨로지마음수련 사이비 알아보기 13-사이언톨로지
마음수련 사이비 알아보기 13-사이언톨로지
마음수련 사이비 단체 종교를 피하는 방법
 
마음수련 사이비 대표단체 6군데
마음수련 사이비 대표단체 6군데마음수련 사이비 대표단체 6군데
마음수련 사이비 대표단체 6군데
마음수련 사이비 단체 종교를 피하는 방법
 

Similar to 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 (7)

뉴스앤 올디스 전혜정 교수 자료
뉴스앤 올디스 전혜정 교수 자료뉴스앤 올디스 전혜정 교수 자료
뉴스앤 올디스 전혜정 교수 자료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프로이트와 이별하다 -무의식의 깊은 잠을 깨우는 융 심리학
프로이트와 이별하다 -무의식의 깊은 잠을 깨우는 융 심리학프로이트와 이별하다 -무의식의 깊은 잠을 깨우는 융 심리학
프로이트와 이별하다 -무의식의 깊은 잠을 깨우는 융 심리학
 
[OpenCollege] 인지심리학 101
[OpenCollege] 인지심리학 101[OpenCollege] 인지심리학 101
[OpenCollege] 인지심리학 101
 
차가의 역사
차가의 역사차가의 역사
차가의 역사
 
마음수련 사이비 알아보기 13-사이언톨로지
마음수련 사이비 알아보기 13-사이언톨로지마음수련 사이비 알아보기 13-사이언톨로지
마음수련 사이비 알아보기 13-사이언톨로지
 
마음수련 사이비 대표단체 6군데
마음수련 사이비 대표단체 6군데마음수련 사이비 대표단체 6군데
마음수련 사이비 대표단체 6군데
 

More from sujaubuns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sujaubuns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sujaubuns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sujaubuns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sujaubuns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sujaubuns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sujaubuns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sujaubuns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sujaubuns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sujaubuns
 
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
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
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sujaubuns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sujaubuns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sujaubuns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sujaubuns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sujaubuns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sujaubuns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sujaubuns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sujaubuns
 

More from sujaubuns (17)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1차시 치료적커뮤니케이션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10차시 치료적인간관계_v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3차시 인간에 대한 이해_v1-2
 
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
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
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정신간호학1 6차시 이상행동의%20증상_v-orchuulga[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4차시 인격발달_v1-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5차시 이상행동의 원인_v1-1
 

정신간호학1 2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_v1-2

  • 1. 2 차시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2.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 정신질환의 치료와 간호는 그 시대의 인간관과 사상적 관심 등과 연관되어있음 고대 그리스의 철학적 관심 최초에는 자연의 질서에 관심을 두었고 , 나중에 소크라테스가 그의 철학의 관심을 인간에게로 돌려 인간의 문제를 철학의 중심과제로 삼게 됨으로써 희랍의 철학은 서서히 자연철학에서 정신철학으로 선회함 「국부론」이라든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이나「윤리학」과 같은 플라톤 인간과 밀접히 관련된 학문을 발전 . 인간의 마음과 몸은 관련되어 (Platon, 있을지라도 2 개의 분리된 실체라고 믿었고 이성 , 영혼 , 욕망은 마음의 B.C. 427~437) 분리된 구성인자로 보았음 이성적 인간관 이성적 인간관 중세에 기독교 사상이 대두되고 신과 내세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고 인간 현실생활에 대한 더 이상의 관심이 기울여지지 못한 사회에서 쇠퇴함 기독교적 인간관 이성만으로는 진리를 깨닫는데 한계를 가지며 신의 계시가 함께 해야만 진리도 이해할 수 있다고 믿음 . 인간의 정신이해도 신의 섭리 , 마귀설 등 기독교적 관점으로 이해함 2 / 53
  • 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종교개혁과 르네상스 거친 후 신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자연과 인간의 본연의 모습에 관심을 두고 이해하려 함 인간중심문화와 자연과학의 발전 - 이상적인 인간관이 회복 ▪ 현대로 넘어오면서 경험철학에 의한 실증주의적 인간관에 도전을 받음 ▪ 경험주의 인간관에서는 경험에 의한 증명이야말로 인간의 진정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방법임을 주장하면서 인간정신의 이해를 위해서 과학적 심리학 , 뇌의 구조와 신경계 연구 등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 임상에서 환자의 관찰로부터 역동정신의학의 발전을 가져옴 역사를 통하여 본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 ▪ 무서운 사람 , 이상한 사람 , 무식한 사람 , 버림받은 사람 , 숨어사는 사람 , 피해야 할 사람 , 비웃음을 받는 사람 , 동정받는 사람 , 고문받는 사람 등으로 인식함 ▪ 정신질환자에 대한 이해와 접근에는 지배적인 사회적 태도와 철학적 관점이 큰 영향을 주고 , 시대보다 과거에 뿌리를 내리며 쉽게 변화되지도 않음 ▪ 최근 뇌영상술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뇌장애자로서 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함 3 / 53
  • 4.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1) 선사시대 ▪ 질환에 대한 마술적 , 종교적 설명시대 ▪ 정신적 고통과 육체적 고통을 같은 것으로 생각했고 , 모든 고통이 신체외적 힘의 작용이라고 생각함 남에게 고통을 주는 초인간적인 힘 또는 저승세계의 악령이나 어떤 힘 탓이라고 생각 함 ▪ 간호와 의술 , 마술 , 종교가 구별되지 않음 ▪ 모방적 , 마술적 행동절차를 따름 - 마술적 행위 또는 신성한 힘에 의해 영혼이 석방될 수 있음 - 인간은 환경과 분리되어 있지 않고 결속되어 있고 상호간에는 감화력이 있음 - 텔레파시나 유사한 물질간의 상호작용 - 감응적이며 모방적인 마술형태가 발생함 - 물의 정화작용과 같은 어떤 성분들을 상징으로 이용하면 치료가 됨 4 / 53
  • 5.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1) 선사시대 (B.C. 700 년 이전 ) 이집트의 파피루스 (B.C. 1550) Atharva veda ▪ 정신장애는 악령 때문에 생긴다는 기록과 노인성 퇴행증 , 알코올 중독 , 울증 , 히스테리에 대해 기록 ▪ B.C. 10 세기경 인도의 바라문교의 경전 ▪ 치료자를 귀신과 같은 마술적 인물로 기록 Sushruta-Samhita ▪ 간호사에 대해 “냉정한 머리와 상냥한 말씨 , 병자의 요구에 자신있고 주의 깊게 응하며 의사의 훈육에 따라야 한다”라고 기록 구약성경 ▪ 초기 히브리인의 기록으로 Saul 왕이 울증과 조증의 재발로 고생하였고 결국 자살로 생을 마쳤다고 되어 있음 5 / 53
  • 6.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초기 문명시대 (B.C. 700~A.D. 500) ▪ 이집트 , 인도 , 중국 , 로마를 중심으로 꽃을 피움 ▪ 과학과 의학의 발전은 그리스와 로마가 중심지가 되었으므로 초기 문명시대를 그리스 - 로 마시대라고도 함 그리스 - 로마시대 문화에서의 정신병의 개념에 대한 세 가지 근원적 설명 -초자연적 , 초인간적인 힘에 의해 정신장애가 발생된다는 선사시대의 질병관 -도덕적 원칙을 위반하여 신으로부터 처벌을 받아서 정신장애가 되었다고 믿음 - 사체액설 ( 四體液說 ), 뇌신경계의 작용과 심신관계에 대한 과학적인 학설로써 정신장애를 설명함 6 / 53
  • 7.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초기 문명시대 (B.C. 700~A.D. 500) ▪ 뇌가 지적활동의 중심이며 뇌에 병이 생겨서 정신장애가 나 타난다고 믿음 Pythagoras Hippocrates (B.C. 460~370) ▪ 냉수목욕 , 오락 , 독서 , 음악 , 식이요법으로 치료 , 도덕 적 생활 장려 . 역사상 처음으로 질병에 대한 귀신설을 반박 하고 과학적인 질병관을 주장 . ▪ 인간은 혁액 , 흑담 , 황담 , 점액질의 네 가지 체액으로 구성되 며, 사체액 ( 四體 ) 의 균형이 정서상태를 결정 , 불균형 상태는 정신질 환의 원인으로 봄 ▪ 흑담질 과잉이 울증을 일으킨다고 보고 , 사혈 (blood-letting), 환경치료와 꿈해석 , 의식적 정화 (ritual purification) 등의 정신 치료를 함 정신질환을 광증 (phrenitis), 조증 (mania), 울증 (melancholia) 으로 분류했고 , 알코올성 섬망 , 중독성 섬망 , 산후정신병 , 노인성 치매 (senile dementia) 등을 기술했고 , 그의 제자들은 치료법을 전파시켰고 수요법 (hydrotherapy), 마사지 , 체조 , 최면술 등으로 치료 7 / 53
  • 8.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초기 문명시대 (B.C. 700~A.D. 500) Platon (B.C. 427~347) ▪ 몸과 마음은 분리될 수 없고 두가지가 조화를 이룰 때 건강함 ▪ 정신질환은 신체와 도덕의 장애에서 기인된다고 생각함 ▪ 그가 저술한 “ Republic" 에서는 당시의 정신질환자의 관리는 가족이 집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가족이 관리하지 않으며 벌금을 물게 했다는 내용이 수록 Aristoteles (B.C. 384~322) Herophilus (B.C. 335~280) ▪ 인간감정과 영혼의 중심이 되는 기관은 심장 , 지성은 뇌 및 신경계와 관계가 있다고 봄 ▪ 정신질환이 뇌의 결함으로 기인한다고 봄 ▪ 그리스의 치료자들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정신장애 대한 과학적인 질병관 및 치료관을 가졌고 , 그리스 의학과 의학자들은 그리스 패망 후에 로마로 옮겨가서 로마의학을 발전시킴 8 / 53
  • 9.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초기 문명시대 (B.C. 700~A.D. 500) Asclepiades (B.C. 150) Celsius (B.C. 25~A.D. 50) ▪ 감정의 장애가 정신질환을 유발한다고 믿고 , 착각과 망상 , 급성 및 만성경과를 구분 . 식이 , 목용 , 마사지 , 사혈 (blood letting), 구토제 등을 이용해 치료 . 즐거운 환경을 장려하고 기계적 억제를 하지 않도록 함 ▪ 로마의 의서 “ De Re Medicina" 를 저술 . 인간에게 충격을 주는 거친 치료를 주장했는데 , 그 후 중세기 동안 정신장애인에 대한 잔혹한 치료를 하도록 하는 계기가 됨 Soranus (98~138) ▪ 환자에게 중정도의 조명과 온도를 유지해 주고 , 조용하게 해주며 즐거운 구경거리 , 독서 , 작업요법을 권장하고 , 필요하면 관장도 해주었으며 감금과 구타를 하지 못하게 함 Aretaeus (50~130): ▪ 병적 인격을 연구하였고 , 우울증과 조증이 함께 혼합되어 있는 조울증을 보고함 Galen (130~200) ▪ 희랍의 체액설 ( 體液說 ) 을 로마에 보급함 ▪ 신경계의 해부와 생리를 연구하고 뇌가 지능 , 감정 , 기억의 중심부라고 생각했으며 정신질환에 있어서 가족의 중요성을 주장함 9 / 53
  • 10.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3) 중세 (middle age A.D. 500 ~1500) 중세사회의 특징 ▪ 기독교의 전성시대로 모든 분야가 기독교의 영광과 부흥을 위해 존재하였고 현실세계는 내세 ( 來世 ) 의 천국을 위한 준비로써 봄 ▪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는 발전은 침체상태에 암흑기 St. Augustine ▪ 중세의 기독교 사상으로 의학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서 기독교의 모든 질병은 마귀 탓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자기분석 (confession) 의 영향에 대하여 기술함 ▪ 최면술은 마녀의 짓이라고 금지하고 질병의 원인을 마귀의 장난으로 보고 치료도 마귀를 체외로 쫓아 낼 수 있는 성직자가 맡게 했음 ▪ 정신장애인은 마귀에 영혼이 홀린 사람으로 인식이 되기도 하고 여자 정신 장애인은 마녀로 취급되어 수천 명이 처형되기도 함 10 / 53
  • 11.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3) 중세 (middle age A.D. 500 ~1500) 유럽의 정신병원 ▪ 유럽의 첫 정신병원은 1204 년 스페인의 발렌시아에 설립 . 치료는 성직자가 담당 하고 , 간호는 이전까지 노예에 의해 수행되었던 귀족 간호 외에 일반인 간호가 기독교도와 집사단에 의해 수행되어 수준 높은 간호가 주어짐 중동지방의 정신병원 ▪ 중동지방에서는 훌륭한 병원을 역사상 최초로 Baghdad 에 설립하고 , Rhazes 와 같 은 유명한 의사가 바그다드 종합병원에 최초로 정신과 병동에 개설함 ▪ 1486 년에는 Alsace 의 Rufah 에 간질환자를 위한 격리 병동개설 , 당시에 간질은 전염된다고 생각해서 환자를 격리병동에 수용함 정신병은 질환으로 취급되었고 정신장애인은 환자 , 즉 아픈 사람으로서 인정 , 인간적인 대우와 치료를 해주고 친 절하게 보살핌 11 / 53
  • 12.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 (A.D. 1500~1700) ▪ 르네상스 시대와 종교개혁 시대는 환자를 감금하고 구속한 감금시대 운 르 동 네 상 스 ▪ 교통이 발달하고 상업이 이루어지면서 시민 계급이 부흥함 신 중심의 인간문화 , 존 엄성을 인정하는 인간 본래의 문화로 바꾸기 위한 르네상스 운동 일어남 종교개혁 운동 종교개혁 후 17 세기 ▪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전 유럽으로 퍼져 예술 , 건축 , 의학 , 과 학 전반에 발전을 가져왔으나 정신의학과 간호의 발전에는 큰 기여 를 하지 못함 ▪ 마법 , 연금술 , 점성술에 의한 치료가 성행되었고 , 정신장애는 달의 영향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정신장애를 lunatic 이라고 부름 ▪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나서 전 유럽에 확산 . 독일 신학자 Martin Luther 는 부패하고 타락한 교황권에 도전하고 신앙의 근거 는 성직자가 아니고 성서라고 주장하였으며 , 유럽 대중들과 귀족의 호응을 얻어서 개신교를 설립 . ▪ 기독교는 개신교와 가톨릭으로 나누어져서 교권이 약화되었고 , 교회가 했던 의료사업과 간호사업이 중단되고 , 기독교도와 집사들에 의한 간호활동은 교육받지 않은 사람들이 전수 받아 간호의 암흑기를 맞음 ▪ 이성적 사고로 질병을 보게 됨으로써 정신질환을 사회적 문제로 보게 됨 12 / 53
  • 1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 (A.D. 1500~1700) J. Weyer (1515~1588) ▪ 마귀설을 논박하고 모든 질병은 자연적 원인에서 생긴다고 믿고 인간의 욕구가 더욱 더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 치료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친절뿐만 아니라 신중한 관찰과 자애로운 태도를 강조하였으나 사회에서 무시 . 그러나 최초의 정신과의사라고 불릴 정도로 급진적 과학적 사고를 하였음 ▪ 귀신학을 반박하고 심리학을 분리 . Weyer 는 증상을 중심으로 진단분류를 하고 , 히스테리 , 편집증 , 중독성 뇌증후군 , 간질 , 이중 정신병 (folie a deux), 우울증 , 망상증 등을 서술함 Andreas Vesalius (1514~1564) ▪ 뇌 단면도 , 두개골학 , 신경 및 근육생리학을 연 구 , 저술 13 / 53
  • 14.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 (A.D. 1500~1700) 파리 영국 ▪ 17 세기 유럽사회는 정신장애인을 감금하기 위한 수용소들을 설립하여 극빈자 , 죄수 등을 함께 수용하였 음 ▪ 1547 년 구빈원이었던 Bethlehem (Bedlam) 병원을 정신장애인 수용소 로 개조해 짚을 깔고 잠을 재우고 쇠사슬에 묶어서 매질도 하였음 ▪ 1656 년에 설립된 파리 종합병원은 말뚝 , 쇠사슬 , 지하감옥 등을 완 비한 정신장애인 시설을 갖추어 놓 음 ▪ 일반인에게 돈 받고 관람도 시켰으 며 나중에는 구걸도 허용했다고 함 ▪ 당시 수용소나 정신병원은 사회 질 서를 유지하는 기관일 뿐 , 환자는 국왕의 통치권과 재판권에 속함 ▪ 1601 년 엘리자베스 여왕이 구민법 (poor law) 을 공포하고 , 지역사회 가 정신장애인을 관리하게 하였으며 정부가 간호를 제공하는 후원을 함 14 / 53
  • 15.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5) 18~19 세기 초반 ▪ 18 세기는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개념의 발달시대로 계몽시대를 열었지만 여전히 내적인 모순이 존재했음 ▪ 정신의학은 정신장애를 증상 분류를 강조했고 점차로 정신장애에 대한 종교적 영향과 전통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성적인 믿음으로 대체됨 W. Cullen(1710~1790) 처음으로 신경증 (neurosis) 이란 용어를 사용 . 정신질환은 신경계의 장애로 생기고 신경증은 열이나 한국성 ( 限局性 ) 신경병리 없이 발생되는 것이라고 봄 Franz Anton Mesmer(1733~1815) Benhamin Rush Phillippe Pinel(1745~1826) 15 / 53
  • 16.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5) 18~19 세기 초반 ▪ 18 세기는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개념의 발달시대로 계몽시대를 열었지만 여전히 내적인 모순이 존재했음 ▪ 정신의학은 정신장애를 증상 분류를 강조했고 점차로 정신장애에 대한 종교적 영향과 전통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성적인 믿음으로 대체됨 W. Cullen(1710~1790) Franz Anton Mesmer(1733~1815) 고대 사원의 신비한 치료로 알려진 암시 치료를 재생해 동물 자기설 (Animal Magnetism) 이라고 부르고 이 치료법으로 정서장애를 치료하였는데 , 일명 Mesmerism 이라고도 함 Benhamin Rush Phillippe Pinel(1745~1826) 16 / 53
  • 17.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5) 18~19 세기 초반 ▪ 18 세기는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개념의 발달시대로 계몽시대를 열었지만 여전히 내적인 모순이 존재했음 ▪ 정신의학은 정신장애를 증상 분류를 강조했고 점차로 정신장애에 대한 종교적 영향과 전통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성적인 믿음으로 대체됨 W. Cullen(1710~1790) Franz Anton Mesmer(1733~1815) Benhamin Rush ▪ 미국 정신의학의 아버지로서 1752 년에 미국 최초로 설립된 펜실베이니아 종합병원에 정신과 병동을 설치하고 정신장애인을 입원 치료함 ▪ 사혈 , 하제 , 토제 등의 신체적 치료와 충격요법을 실시 . 청결한 환경과 친절한 대우 , 작업요법을 실시함 . 또한 , 1773 년에는 버지니아 주 Williamsburg 에 미국 최초의 주립병원인 The Eastern Asylum(Eastern Lunatic-Hospital) 이 설립 Phillippe Pinel(1745~1826) 17 / 53
  • 18.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5) 18~19 세기 초반 ▪ 18 세기는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개념의 발달시대로 계몽시대를 열었지만 여전히 내적인 모순이 존재했음 ▪ 정신의학은 정신장애를 증상 분류를 강조했고 점차로 정신장애에 대한 종교적 영향과 전통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성적인 믿음으로 대체됨 W. Cullen(1710~1790) Franz Anton Mesmer(1733~1815) Benhamin Rush Phillippe Pinel(1745~1826) ▪ 사회개혁과 도덕적 치료운동의 선구자임 ▪ 처벌을 금지 , 햇빛과 신선한 공기 , 깨끗한 환경 , 작업 , 산책을 시켰으며 친절 , 이해로 환자를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얻음 . 이와 같은 환자 해방제도는 병실 개방제도 (open door policy) 로 발전 , 유럽에 퍼져 좋은 반응을 얻음 18 / 53
  • 19.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 독일을 중심으로 발전한 생물정신의학과 Freud 를 중심으로 한 역동정신의학이 양립함 Wilhelm Griesinger(1817~1868) emil Kraepelin(1856~1926) “ 정신병은 뇌의 병”이라고 함 특정 원인 , 특정 대뇌병리 , 특정 임상증상이라고 함 ▪ 19 세기 후반에 미국 각 지방에서는 이민 인구의 급증으로 정신장애인 수가 증가하였고 전 문 의료인들은 부족하여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간호는 경험이 없는 의료인들이 맡게 되었으 며 감금과 기계적 억제가 다시 적용됨 Hideo Nohuchi (1876~1928) Eugen Bleuler (1857~1939) 일본 세균학자로서 당시에 흔한 정신질환인 진행성 마비의 원인균이 매독균임을 발견 스위스 정신과 의사로써 조발성 치매를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으로 개칭 명명 19 / 53
  • 20.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Dorothea Lynde Dix (1802~1887) Jean Martin Charcot (1825~1893) ▪ 교사로서 주일마다 여죄수 형무소 심방을 다니다가 매사추세츠 주를 위시하여 전 미국에 형무소와 정신질환자 수용소의 개선 운동을 펼쳐 기금을 모으고 , 각 주 의회에 건의서와 보고서를 제출하여 30 여 개의 정신병원이 신설 ▪ 프랑스 정신과 의사이었으며 최면술을 이용하여 신경증을 치료하고 잊혀진 생각 , 병적인 생각이 히스테리 증상을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하여 정신장애의 심인성 원인을 주장함 현대적 정신치료의 발전을 가속화시킴 Sigmund Freud ▪ 자유연상법 (free association) 과 꿈 분석으로 정신분석 치료법을 (1856~1939) 개발하여 정신장애인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옴 ▪ 신체적인 질환과 마찬가지로 정신질환에도 원인이 있으며 , 그 원인은 초기 인생의 억압된 심인성 원인임을 강조하고 정신 에너지의 이동 , 무의식의 억압된 갈등의 중요성을 파헤침으로써 현대 역동 정신의학 (dynamic psychiatry) 의 발전을 위한 기초를 확립함 20 / 53
  • 21.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Adolf Meyer (1866~1950) ▪ 스위스 의사인 그는 후에 미국 Johns Hopkins 병원의 정신과 과장이 됨 ▪ 개인을 사회적 , 생물적인 영향력에 대해 독특한 반응을 경험하는 하나의 생물학적 단위로 간주하고 정신장애가 뇌기능 장애만의 결과 또는 압도적 환경의 영향만으로 발생한다는 설을 반대함 ▪ 환자를 전체의 환경 속에 있는 종합적인 측면으로 인간 전체를 보고 치료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정신생물학의 체계를 이룩함 Alfred Adler (1870~1937) ▪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는 열등함을 벗어나서 우월하게 되고자 하는 욕구 , 완전하게 되기 위한 추구이고 이것이 인격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여 개인 심리학파를 창설 Otto Rank (1884~1939) ▪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이며 Freud 의 제자임 ▪ 인격발달에서 출생시 외상 (birth trauma) 이 중요하다고 믿음 ▪ 출생시 외상은 인간의 기본적 불안으로서 무의식에 내제하여 인간의 불안근원이 되고 이후 인생에서 이별을 겪을 때마다 분리 불안 (separation anxiety) 을 경험하게 된다고 함 21 / 53
  • 22.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 스위스 정신과 의사로서 분석심리학파 (analytic psychology) 를 창설하였음 Carl Gustav Jung (1857~1961) ▪ 분석심리학에서는 libido 를 성적활동으로 보지 않고 생명력 (life force) 으로 생각함 ▪ 인간의 무의식에는 개인적인 무의식과 조상대대로부터 물려받 은 잠재적 기억흔적인 집단무의식이 있어서 개인에게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함 ▪ 1900 년대는 사회적 , 경제적 , 정치적 개혁운동이 계속되었음 ▪ 빈곤은 질환으로 이어지고 질환은 빈곤을 가져오는 악순환을 타파하기 위한 노력 에 중점을 두고 질병예방운동이 일어남 22 / 53
  • 23.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H. S. Sullivan (1892~1949) 미국 정신의학자로서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인관계이론 학파를 창설 .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인간관계 상황의 일부가 되며 타인과의 관계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Melanie Klein (1882~1960) 영국 소아 정신의학자로서 고전 정신분석학을 아동 정신치료에 응용 . 아동은 언어표현을 잘하지 못하므로 아동행동의 해석수단으로 play therapy 를 이용하였고 , 그 결과 아동도 성인과 같은 무의식적 갈등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함 Anne Freud Freud 의 딸로서 아동 정신분석을 연구했으며 “ Ego and Mechanism of Defense" 라는 책을 저술하고 Freud 의 방어기전 이론을 더욱 확충시킴 23 / 53
  • 24.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 1930 년대는 정신질환자의 신체적 치료방법들이 쏟아져 나옴 Julius Wagner Von jauregg (1857~1940) 말라리아 병원체를 인체에 접종하는 발열요법으로 진행마비 환자 치료를 시도하여 세계 최초의 Nobel 상을 수상한 정신과 의사 Manfred Sakel (1900~1957) 1933 년에 insulin shock 요법을 개발 . Egas Moniz (1974~1955) 1936 년에 전두엽 절개술로 정신외과술 (psychosurgery) 을 시술하였으며 , 이 공적으로 노벨상을 수상 24 / 53
  • 25.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6) 19 세기 후반 ~ 20 세기 초반 1938 년 Cerleitti(1877~1963) 와 Lucio Bini 가 전 기충격치료를 개발 1935 년 Ladislaus J. Von Meduna(1896~1964) 가 Camphor 와 Cardizole 을 사용하여 경련요법을 발전시킴 이상의 치료법들은 지금까지 접근이 불가능했던 심한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기간을 단축시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신치료의 가능성을 높임 25 / 53
  • 26.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7) 20 세기 후반 ~ 현재 ▪ 정신질환자에 대한 치료가 획기적인 발전을 함 . 역동정신의학에 기초를 두는 정신 치료와 신체적 치료 등과 더불어 인지행동치료가 발달하기 시작함 Erich Fromm (1900~1980) 독일의 심리학 및 사회학자이고 , 정신분석 훈련을 받은 정신분 석가로 인간은 자연 및 타인과 격리되면 고독감을 느끼고 불안 하게 되어 사회적 격리를 피하려고 애를 쓰는데 , 이럴 때 근본 적인 문제가 생기게 된다고 주장 Erik Erikson (1902~1995) 성격발달은 인생 초년기뿐만 아니라 전생애 동안 계속됨을 주장 하였고 , 각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기본적인 자아특징에 따라 일생 동안의 성격발달단계를 설정하는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확대시킴으로써 현대 정신분석이론을 발달시킴 Frieda Fromm -Reichman Karl Menninger 신경증환자에게 해오던 정신분석기법을 정신병환자에 적용 역동적 평형 개념을 정신기능에 적용하고 , 대응개념을 확장 , 기능장애의 수준들을 설명하여 발전시킴 26 / 53
  • 27.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7) 20 세기 후반 ~ 현재 ▪ 많은 이론들은 간호학자들에 의해 검토되어 간호학 발전을 위한 지식으로 이용했음 ▪ Freud 의 정신분석이론과 H. S. Sullivan 의 대인관계 이론 , 의사소통이론의 간호 실무에의 도입은 정신간호사에게 정신치료자 역할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정신간호전문가 역할 을 탄생시킴 ▪ 역동정신의학의 발전과 경련요법 등의 신체적 치료법 외에도 여러 가지 약물 치료 의 개발이 정신간호의 역할변화를 가져옴 ▪ 1952 년에 Jean Delay 와 Pierre Deniker 의 정온제인 Chlorpromazine 의 발명을 선두로 하여 여러 가지 약물들이 개발됨 정신장애인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음 ▪ 행동주의 이론이 대두되고 John b. Watson 과 Joseph Wolpe 등에 의해 임상이 적 용되기 시작함 ▪ 행동치료로 자리 잡았으며 Aaron Beck(1921~) 과 Albert Ellis(1913~) 에 의해 인 지요법이 시작됨 27 / 53
  • 28.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7) 20 세기 후반 ~ 현재 ▪ 1 차 세계대전과 2 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미국에는 약 43% 의 종군군인들이 대전 후 정신건강상 문제 발생 ▪ 1946 년 , 미국의회가 정신건강법을 제정하고 연방정부 신하에 미국 국립정신건강연 구소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를 설립 1 정신건강전문가를 훈련 2 정신건강 관계의 연구를 지원 3 정신건강사업 계획 및 개발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의 역할을 함 ▪ 정신건강법 제정으로 미국은 현재까지 정신건강전문가가 대량 양성 정신건강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28 / 53
  • 29. 1. 세계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7) 20 세기 후반 ~ 현재 1963 년 ▪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법이 제정 정신건강의 증진 및 예방 , 개방병동정책 , 병원과 요양기관에 수용된 만성장애자의 지역사회 내로 퇴원 및 탈기관화 ( 탈병원화 ), 재활활동 , 환자의 조기발견 및 치료 등이 중점적으로 시행 1955~ 1975 년 미국 주립정신병원의 입원 환자 수는 559,000 명으로 감소되어 약 66% 가 줄어듬 . 그러나 한편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운동과 탈기관화 운동이 지역사회에 영세의료기관의 난립을 초래하고 있다는 비난도 발생함 29 / 53
  • 30.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 직업적 간호기능은 19 세기까지 환자 보호기능에 머물러 있었고 , 20 세기에 들어와 서 여러 신체적 요법이 개발되면서 그 모습을 갖추기 시작함 Florence Nichtingale 저서 “ Notes On Nursing" 에서 정신간호의 중요성을 지적 간호가 신체간호의 차원을 넘어 심리사회적 차원에도 미쳐야 함을 시사함 제도적 간호교육의 시작 1836 년 독일의 Fliedner 목사 부부가 경영하였던 3 개월 과정의 Kwaiserthwerth 양성소있었음 (F. Nightingale 졸업 ) 1860 년 영국 런던 소재 성 토마스병원에 1 년 과정의 나이팅게일 간호학교가 설립됨 30 / 53
  • 31.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제도적 간호교육의 시작 미국은 남북전쟁 뒤에 간호사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함 1872 년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최초로 설립함 이민인구와 병원수의 증가에 따라 간호학교수도 늘어남 1880 년 , 15 개 학교가 생겨남 1890 년 , 432 개 학교로 증가했으나 초기의 간호학교 교육과정에는 정신간호 교육과정이 포함되지 않았음 31 / 53
  • 32.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1) 초기 정신간호의 교육의 발달 Linda Richards ▪ 최초의 정규간호사이며 정신간호사였음 ▪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병원에서 간호실무를 담당하여 발전을 시도 1880 년 19 세기 말경 1913 년 ▪ 정신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최초의 간호학교가 매사추세츠 주 Waverly 에 있는 Mclean 정신병원에서 2 년 과정으로 개교함 1936 년 32 / 53
  • 3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1) 초기 정신간호의 교육의 발달 Linda Richards ▪ 최초의 정규간호사이며 정신간호사였음 ▪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병원에서 간호실무를 담당하여 발전을 시도 1880 년 19 세기 말경 1913 년 ▪ 일반 간호사도 미국의 소수 정신병원의 간호 실무를 담당함 ▪ 당시의 정신간호사 업무는 진정제 투약과 수욕요법 (hydrotherapy), 영양공급의 감독 1936 년 33 / 53
  • 34.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1) 초기 정신간호의 교육의 발달 Linda Richards ▪ 최초의 정규간호사이며 정신간호사였음 ▪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병원에서 간호실무를 담당하여 발전을 시도 1880 년 19 세기 말경 1913 년 ▪ 미국의 Johns Hopkins 병원 부속 간호학교에서 정신간호학이 정규 간호교육 과정에 최초로 포함됨 ▪ 최초의 정신간호학 교과서 “ Nursing Mental Diseases“ 1936 년 34 / 53
  • 35.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1) 초기 정신간호의 교육의 발달 Linda Richards ▪ 최초의 정규간호사이며 정신간호사였음 ▪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정신병원에서 간호실무를 담당하여 발전을 시도 1880 년 19 세기 말경 1913 년 1936 년 ▪ 정신병원 부속 간호학교 수는 67 개였음 ▪ 1937 년에는 미국 간호교육연맹 (National League for Nursing Education) 이 미국 내 모든 간호대학에 정신 간호학 교과목을 포함시키도록 조치함 ▪ 1940 년대에는 정신간호가 간호업무의 중요한 영역으로 되었지만 친절히 대해 주고 보호하는 수준에서 머무름 ▪ 1930 년대의 인슐린의 혼수요법 , 전기충격치료 , 정신외과술 등의 개발은 보다 복잡하고 수준 높은 간호가 요구되어 정신건강분야에서 간호사의 치료협조가 매우 중요함을 인식 35 / 53
  • 36.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2) 정신간호학의 기반 확립 ▪ 2 차 세계대전 후 정신장애 환자가 급격히 증가 1946 년에 정신건강법을 제정 ▪ 정신건강 연구원이 섭립되고 , 정신간호학 분야는 정신의학 , 임상심리학 , 사회복 지사업 분야와 함께 연방정부지원금에 의해 우선적으로 육성하는 분야가 됨 정신건강법이 제정되기 전 , 미국 내 정신간호학 전공석사학위 소지자는 12 명이었음 현재는 8000 명 이상 되었으며 , 1948 년 , 9 개 종합대학에서 정신간호전공 대학원과정이 운영되었음 1965 년 , 정부지원금의 증가로 31 개가 더 생겨남 1987 년 현재는 미국 내 60 개 이상의 대학원들이 정신간호 전공과정을 운영함 36 / 53
  • 37.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2) 정신간호학의 기반 확립 ▪ 1948 년에는 Brown 이 당시의 간호직 장기 발전을 위한 연구인 “ Nursing for the Future“ 를 보고함 ▪ 이전의 정신간호사 교육제도를 폐지하고 이미 정신간호 이론을 가르치고 있는 일반 간호대학에서 정신간호 임상실습과목도 필수로 포함시켜서 교육을 할 것을 제안함 그 결과 시설과 인적자원이 미비했던 대부분의 정신병원 부속 간호학교가 폐지되었고 , 1955 년에는 미국 간호연맹이 간호대학 인가 규정에 정신간호 임상실습을 필수과목으로 삽입하게 됨 정신간호학 이론과 임상실습이 간호대학의 필수과목으로 포함됨으로써 정신간호학은 간호학의 중요한 분야가 됨 37 / 53
  • 38.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3)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 ▪ 1952 년 정신간호 분야에 3 대 획기적 사전이 발생 정신간호사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는 계기가 됨 1 peplau 의 대인관계 간호이론 (Interpersonal Relation in Nursing) ▪ 최초의 체계적인 정신간호의 이론적 골격이 됨 ▪ 이 이론은 Sullivan 의 대인관계 이론과 학습이론에 기초를 두며 , 정 신간호 이론과 실무의 발전에 기초를 확립함 ▪ Peplau 는 정신간호사의 역할 및 활동 , 정신간호기술을 개발하고 , 간 호의 대인관계적 성질을 강조함 ▪ 간호사는 정신역동적 개념과 상담 기술을 이해하여 간호 실무에 이용해 야 함을 강조함 정신간호에 큰 기여를 함 2 Gwen Tudor Will 3 Frances Sleeper 38 / 53
  • 39.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3)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 ▪ 1952 년 정신간호 분야에 3 대 획기적 사전이 발생 정신간호사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는 계기가 됨 1 peplau 의 대인관계 간호이론 (Interpersonal Relation in Nursing) 2 Gwen Tudor Will 학술잡지 “ Psychiatry" 에 간호사가 환자의 정서적 성숙을 촉진하는 시범을 보이고 논문을 발표하여 사회 정신의학적 기반을 둔 특수 간호중재를 개발함으로써 정신간호와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기여 3 Frances Sleeper 미국정신의학회에서 정신간호사를 정신치료자로서 이용할 것을 주장하는 연설을 했는데 정산간호사의 역할이 환자관리인 인지 또는 정신치료자 인지 에 대한 논쟁을 10 년 동안 해옴 39 / 53
  • 40.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3)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 1952 년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과정 ▪ 미국 정신간호사의 상담자 역할이 법적으로 인정을 받았음 1957 년 ▪ 미국 간호연맹이 정신간호임상전문가 역할을 소개하고 , 석사과정 의 교육 준비로써 가능한 정신간호기능들을 분류함 1957 년 ▪ Mellow 는 보스턴 주립병원에서 경험한 정신분열증 환자와의 치료 에 근거한 간호치료체제를 소개함 ▪ 이 치료는 교정적 정서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병리 적 과정이나 대인관계 발달과정을 파악하지는 않음 ▪ Peplau, Will, Mellows 는 정신간호사의 상담 역할을 시범해 보였 음 1958 년 ▪ 미국간호협회도 정신간호 전문직을 인정하고 정신건강간호업무 협의회를 설립 40 / 53
  • 41.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3) 정신간호 역할의 확립 1961 년 1962 년 ▪ Ida Jean orlando 의 “ The Dynamic Nurse-Patient Relationship“ : 모든 간호업무 분야에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 정신건강 과 정신질환의 예방에 정신간호사의 관여를 주장 ▪ Peplau 의 ” Interpersonal Technique: The Crux of Psychiatric Nursing“: 논문에서 Peplau 는 정신간호의 1 차적 역할은 상담자 역할이고 , 그 외의 다른 역할들은 하위역할을 추정함 ( 정신간호 역할을 더욱 명료하게 하는 결정적 계기 ) 41 / 53
  • 42.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 미국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법 제정 (1963 년 ) 예방 정신건강계획과 환자의 지역사회 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정신간호에 포함시키도록 촉진 ▪ 정신간호 학술지 “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출판 ,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1981 년에 “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 로 이름을 바꿈 ) 가 발행 정신간호 임상전문가는 개인 정신치료 , 집단 정신치료 , 가족 정신치료 ,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자격증 과정 환경요법의 치료자 역할을 담당하고 개인적인 개업을 할 수 있다고 인정받음 ▪ 1971 년에 New Jersey 간호협회가 최초로 만들어짐 ▪ 이후에 New York 주 간호협회에서도 과정을 설치함 ▪ 1970 년대 중반기까지 미국의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자격 인정은 미국간호협회의 책임이었고 1973 년에는 미국간호협회가 정신건강간호 업무의 표준을 출판함 ▪ 1982 년 개정하여 정신간호 역할과 기능들을 서술함 . 1973 년에는 미국간호협회의 전문 분과인 정신간호 전문협의회가 구성되고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에 대한 법적 인정을 받음 42 / 53
  • 43.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미국간호협회의 정신간호전문협의회의 기능 1 2 3 4 정신간호 분야의 당면과제에 대하여 전국 정신간호전문가와 의사소통함 출판문과 토론회 개최로 정신간호연구 , 교육 , 임상실무에 관한 정보교류하고 회원의 지식증진에 힘씀 성명서를 통하여 정신간호전문가의 견해를 밝힘 회원의 문제점에 대해 전국적 논의를 위한 기회를 가지며 , 행동전략을 세우고 적절한 건의를 함 43 / 53
  • 44.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의 발전 19,145 명 6,030 명 770 명 일반 정신간호사 성인 정신 보건간호사 아동 및 청소년 정신 보건전문간호사 ▪ 미국간호협회 정신간호전문협의회는 1984 년에 북미간호진단협회 (NANDA) 에 의해 확정된 간호진단을 보충하기 위한 정신간호진단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정신간호진단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게 하고 정신건강간호 진단분류 체제를 개발함 ▪ 최신 정신간호 학술지 “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 1987 년에 출판되기 시작 . 정신간호전문가와 정신간호 학자들이 다양한 정신간호 업무간의 이론적 연결을 하도록 하고 대중 정신간호업무 분단 정책을 마련하는 매개 체가 됨 44 / 53
  • 45.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의 발전 ▪ 1978 년 President's Commission of Mental Health 의 보고내용 - 장기간호와 단기간호를 포함한 진단 , 치료 , 재활 , 지지 서비스 영역 - 간호의 계속성과 쉬운 접근 - 포괄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 , 건강 , 소득 , 사회봉사와 같은 인간봉사의 조직망 조정 - 특별한 개체군에 있어서의 욕구의 충족과 변화된 환경에 직면하기 위한 적응 - 공적이거나 사적인 자금이 충분히 제공될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서비스가 계속적으로 필요함을 강조 환자에게 악역향을 끼칠 수 있는 정신보건전문가 간의 문제점 문제점 불균등한 지역분포 직무의 유사성 전문직간의 긴장 45 / 53
  • 46. 2. 미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달 4) 정신간호 임상전문가 역할 확립 미국 정신건강문제의 발생 ▪ 1982 년 연방정부 예산에서 보건전문 요원을 교육시키는 비용과 정신과와 사회보건 서비스를 위한 자금이 대폭 삭감됨 ▪ 기관간호 ( 병원 ) 에서 지역사회 간호로 전환됨 ▪ 판사와 국회의원들에 의해서 증가된 영향력 , 보험회사 , 건강유지기구 , 기부금 등으로 이루어진 대규모의 정신보건 전단 부분을 개발과 집 없는 정신질환자 문제 등 이 새로운 미국 정신건강문제로 대두됨 1990 년 정신보건 분야에서의 세 가지 조류 1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 , 특히 만성질환자의 증가 2 정신과 영역이 정신질환에 좀 더 생물학적 , 신경화학적 모델로 이해하고 치료하게 된 것 3 정신건강 관리 전달체계와 조직의 변화 46 / 53
  • 47.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1) 근세 조선 이전까지의 한방치료 ▪ 한국은 한의학과 20 세기 서양의학이 들어올 때까지 민간요법이 계속되어 옴 굿 , 경읽기 , 안수기도 , 복숭아나무로 때리기 등의 귀신학에서 비롯된 민간 요법이 아직도 부분적으로 시행됨 정신질환에 관한 최초의 기록 角于 忠恭이 “昏昏黙黙精神不安”이라는 , 현재의 우울증에 걸려서 국의가 診脈하고 龍齒을 처방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 ▪ 祿眞 ( 녹진 ) 은 이것이 기질적 질환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러면 公 ( 공 ) 의 병은 다 만 藥石 ( 약석 ) 으로만은 안 되고 침술로도 안되겠사오니 이는 알맞은 말로써 고쳐야 하겠습니다”라하고 정신치료로서 각간의 병을 치료했다고 함 ▪ 신라 헌덕왕 10 년 ( 서기 818 년 ) 에 執事侍郞 ( 집사시랑 ) 이 된 녹진은 국의는 아니 었으나 의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 신체의 부주 ( 不調 ) 는 風露 ( 풍로 ) 가 犯 ( 범 ) 하여 榮衛 ( 영위 ) 의 和 ( 화 ) 를 傷 ( 상 ) 하여 支體 ( 지체 ) 의 安 ( 안 ) 을 失 ( 실 ) 함 때문 이라고 생각 47 / 53
  • 48.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1) 근세 조선 이전까지의 한방치료 항약구급방 ▪ 간질과 광기의 연관성을 인정한 듯한 ‘전광 ( 癲狂 )’ 의 증상이 기록 동의보감 ▪ 전광 ( 癲狂 ) 이외에  ‘崇’이라 하여 지금의 정신분열증과 아주 비슷한 증상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고 열성섬망 , 정신신체장애 , 수면장애 등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기록이 있음 ▪ 동의보감의 편찬자인 허준은 ‘精ㆍ氣ㆍ神’을 臟腑百體의 主라 하여 가장 중요시함 ▪ 정은 정력 , 기는 감정 , 신은 정신을 뜻함 . 48 / 53
  • 49.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 우리나라에 최초로 설립된 서양의원 대한의원 1885 년에 설립된 왕립병원인 광혜원임 1907 년 광무 11 년에 설립되었고 , 교육부가 있었으며 일본인에 의하여 정신병학 강의가 실시됨 (1910 년 기록 ) ▪ 대한의원은 1910 년 한일합방 후에 총독부 의원이 되었고 , 1913 년 최초로 정신과 병 동을 신설하여 정신병 환자를 치료함 ▪ 1917 년에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에서 정신질환 강의를 시작했고 1923 년에 정신과 병실을 설치함 일제강점기 (1910~1945) 독일 정신의학의 영향을 받아 서술적 정신의학 (descriptive psychiatry) 이 주류를 이루었고 , 작업치료는 1914 년부터 실시하였고 지속수면요법 , 수욕요법 , 전기충격치료와 인슐린 혼수요법 등의 치료와 간호가 행해짐 49 / 53
  • 50.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3) 광복 후부터 현재까지 개황 1945 년 1962 년 1995 년 미군정하에서 전국의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에 신경정신과가 설치되었고 , 6 ㆍ 25 전쟁을 계기로 미국의 역동정신의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미국 유학을 통해 역동정신의학의 발전이 두드러짐 보건사회부 신하에 국립정신병원이 설립 , 정신의학 학술단체인 대한신경 정신의학회가 1945 년 창립되어서 학술지인 「신경정신의학」을 발간 보건복지부 보건증진국 내에 정신보건과가 설치되고 , 정신보건법이 제정되었으며 , 정신과 입ㆍ퇴원 규정 , 정신보건전문요원 교육과 그 역할 ,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강화 등이 명시됨 ※ 정신보건전문요원 : 정신보건간호사 , 정신보건임상심리사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001 년 6 월 정신보건시설은 정신 의료기관에 46,472 병상 , 사회복귀 및 정신요양시설에 14,262 병상으로 총 60,734 병상이 있고 , 앞으로의 정신건강사업은 정신건강 취약자에 대한 정신사회재활 치료와 일반 인구의 정신건강 증진과 예방에 관심을 가져야 함 50 / 53
  • 51.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한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전 정신질환자에 대한 현대적 간호 ▪ 일제강점기에 시작됨 ▪ 환자의 안전관리와 보호 위주의 간호가 주로 시행됨 ▪ 폐쇄병동에서 치료를 하며 공격행위 시에는 끈을 묶고 독방에 격리시켜 제지함 ▪ 정신간호의 기능은 보호관리와 지속수면요법 , 수욕요법에서 점차 인슐린 혼수요법이 나 전기충격치료의 간호 , 환자 증상 관찰 , 투약 등으로 변하고 , 6 ㆍ 25 전쟁 후에는 미국의 역동정신의학의 도입으로 환자관리에도 영향을 미쳐서 이때부터 환자에 대한 구 타와 제지가 줄어듬 1960 년대와 1970 년대 초반 ▪ 미국과의 의료인력 교류가 활발해져 미국의 정신치료와 간호를 직접 체험해보고 온 의사 , 간호사의 영향을 받음 ▪ 정신간호 실무에 환경요법과 활동치료를 도입하고 , 간호사도 오락치료 , 예술요법 등 의 치료자 역할을 담당 ▪ 치료적 환경유지 , 지지적 정신치료와 정신치료적 간호중재를 시도하고 보호자의 약물 교육 등이 계속되어짐 51 / 53
  • 52.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4) 한국 정신간호와 정신간호 교육의 발전 전신간호 교육의 발전 경성제국대학 부속병원 ( 서울대학병원 ) 간호부 양성소 (1927 년 ) 우리나라 최초로 정규 간호교육과정 내에 정신간호학이 포함 세브란스병원 간호부양성소 ▪ 1943 년에 신경과라는 이름으로 정신간호학이 포함되었고 , 해방 후에는 정신과학 단일과목으로 독립됨 ▪ 1950 년대 말기부터 정신과학 정신간호학 과목으로 분리 , 1960 년대 말기부터 정신간호학이란 명칭으로 통합 ▪ 1970 년에 대한간호학회가 대한간호협회 산하단체로 창립 ▪ 1974 년에 독립하여 여러 개의 분과학회로 구성됨 ▪ 정신간호분과학회는 1971 년에 분리 구성되어 학회활동을 시작하였고 , 1992 년부터 연간 2 회 정신간호학회지를 발간하기 시작 , 현재는 연간 4 회로 발행됨 52 / 53
  • 53. 3. 한국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의 역사 2)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간호 ▪ 정신간호학회의 정신전문간호사회는 약 20 명의 회원이 1996~1998 년까지 국제연합기 구의 개발연구비 (UNDP) 를 수주 받아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 시범활동을 함 ▪ 1992 년 용인정신병원과 1993 년 이화대학교 병원에서 정신간호사 교육과정을 시작하 였고 , 졸업생은 정신보건법 공포 이후 정신보건간호사로 자격을 추인 받음 . ▪ 1996 년 이후부터 정신간호경험이 있는 일반 간호사면허 소지자에게 일년 과정의 이론 150 시간과 임상실습 850 시간을 이수하는 정신보건전문 간호사 과정 개설 . ▪ 2004 년 현재 약 3,000 여명이 정신보건간호사 자격을 취득하여 기존에 정신보건 전문간호사회와 대한간호협회 입상간호사회로 활동 . ▪ 2 급 정신보건간호사 자격증은 전국 보건소에서 정신건강관리를 하며 , 다수의 보건소 에서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를 두고 , 일부는 보건소요원에 의한 소규모 지역사회 정신 건강관리를 시행함  53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