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전문가 특강
강사 : 하 수
(현대중공업(주) 조선사업본부 기획지원 담당임원)
제 1 장
현대중공업 소개
2
1.1. 현대중공업 홍보영상 시청
3
(9분)
1.2. 현대중공업 조선사업
및 주요제품 소개
4
현대중공업의 조선사업은
 조선소 기공식 : 1972년 3월 23일
 조선소 완공식 : 1974년 6월 28일
 선박 1호, 2호 명명식 : 1974년 6월 28일
(아틀란틱 배런호, 배러니스호)
 세계 최초 2,000척 선박 인도 : 2015년 5월 22일
1974년 6월 28일, 첫 명명식
5
1974년
2015년 현재
1972년
현대중공업 조선사업본부는
 10개의 대형 선박건조 도크
 9기의 초대형 골리아스크레인
(최대 1,650톤)
 최신 생산설비, 우수한 인적 자원
 뛰어난 기술력 보유
★ 세계 1위 조선소
[인력 현황]
조선사업본부 전체 29,500명
사무기술직 2,880명
생산기술직 7,420명
사내협력사 18,200명
※ 설계 및 연구소 1,500여명
현대중공업 울산 야드
(318만㎡=96만평)
군산
울산300 km
현대중공업 군산 야드
(173만㎡=52만평)
6
생산제품
일반상선
원유/정유운반선
통상 탱커라고도 불리우며 원유를
운반하는 선박을 COT(Crude Oil
Tanker), 정제된 석유제품류를 수
송하는 선박을 PC(Product Carrier)
라고 불리움. 잘 알려진 VLCC는
Very Large Crude Oil Carrier의
약자로 20~30만 중량톤급 초대형
원유운반선을 말함.
컨테이너운반선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선박으로
신속한 수송을 위해 20노트 이상의
속력을 갖춤. 최근 20,000TEU급
이상 극초대형 선박이 건조되고
있음. (20,000TEU란 20피트 길이의
컨테이너를 20,000개 적재할 수 있
는 크기를 말함.)
자동차운반선
자동차 및 트럭을 전용으로 운반
하는 선박으로 화물창 구조가 다층
구조로 되어 있음. 배의 뒷부분에
차량이 승하선할 수 있는 Ramp가
설치되어 있어 자동차를 효율적으
로 하역/적재할 수 있음. 현재 차량
9,000대를 적재할 수 있는 선박이
건조되고 있음.
산적화물선
곡물, 광석, 석탄 등 포장되지 않은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으로 특정 화
물만 운송하는 전용화물선과 다양
한 벌크화물을 운송하는 겸용선
으로 구분됨. VLOC는 Very Large
Ore Carrier 의 약자로 25~30만 중
량톤급 초대형 광탄 운반선을 말함.
7
일반상선, 해양개발관련 특수선, 함정 등 연간 70여 척의 선박을 건조
생산제품
가스운반선
LPG운반선 화학제품운반선
LPG (Liquefied Petroleum Gas ,액
화석유가스로 프로판/부탄 가스가
대표적임)를 운반하는 선박으로, 가
스를 액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가압
식 (상온에서 압력을 높여 액화시킴)
과 저온식(대기압 부근에서 온도를
낮추어 액화시킴)으로 나뉨.
고품질의 윤활유제품, 석유화학제
품 및 화성화학제품(알코올, 에틸렌,
유기산, 무기산) 등을 액체상태로
운반하는 선박으로 고순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부식성이 강한 화학제
품을 운송해야 하므로 화물창 및 배
관계통에 특수도장이나 스테인레스
강이 필요함.
모스(Moss)형 LNG운반선 멤브레인형 LNG운반선,FSRU
LNG를 운반하는 선박으로 독립된
구조의 구형 탱크를 선체에 올려
놓는 방식임. 극저온의 LNG를 탱크
내 고압에서 유지하기 위해 알루미
늄 합금 등 특수소재가 사용됨. 구형
구조로 멤브레인형에 비해 안정성을
뛰어나며, 한국은 현대중공업만 건
조실적이 있음.
선체구조의 일부를 탱크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Mark-Ⅲ, No.96 타입으로
구분됨. LNG-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는 LNG선으
로부터 LNG를 하역 받아 저장, 재기
화 기능이 있어 해상 LNG터미널
기능을 수행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
스 저장·재기화 설비임.
LNG운반선은 LNG (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선박
으로 액화점인 -162℃이하 상태로 운반해야 함.
8
생산제품
특수목적선
드릴십
해상플랫폼 설치가 불가능한 깊은
수심의 해역에서 원유·가스를 시추
할 수 있는 선박 형태의 시추설비
임. 닻을 내리지 않고 선박이 움직이
지 않도록 DPS(Dynamic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여 해수면에서
12km 깊이까지 시추가 가능함.
해양개발지원선
해양작업을 지원하는 선박으로 심해
작업 및 건설지원, Heavy Lift, 선원
편의시설 및 거주, 탐사 등 투입목적
과 작업의 종류에 따라 선박의 형상
이나 탑재장비 등에서 차이가 있음.
화객선(승객+차량)
승객의 관광 및 여흥을 목적으로
여러 항구를 순회하는 크루즈선과
달리 승객 및 차량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으로 Car Ferry 혹은 Passenger Ferry
로 불림.
함정 및 잠수함
전투 및 전투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으로 임무에 따라 잠수함, 항공
모함, 순양함, 구축함, 초계함, 고속
정, 상륙함, 기뢰전함, 지원함으로
나뉨.
9
10
제 2 장
선박 건조과정 소개
선박 건조는
수주
11
 선박은 영업활동 → 수주 → 설계 → 생산 → 명명식 및 선박 인도로 진행
설계 생산 명명식/인도
평균 10개월
내업 외업
강재절단
소조립
조립
선행의장
선행도장
선 탑재
탑재/진수
안벽작업
시운전
평균 4개월 평균 6개월
골격/근육
<사람> <선박>
선각(船殼)
혈관/장기 의장(艤裝)
피부/의류 도장(塗裝)
12
선박 건조과정 영상
(2분55초)
영업/수주 단계는
 시장환경을 고려한 영업 방향을 결정
 고객의 요구사항을 검토 → 계약 상담 → 입찰 → 계약체결
설계 단계는
 영업/수주활동에 기술적인 지원
 3D-CAD를 활용하여 생산과정에서 계약사항을 만족시키고 효율적이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설계 수행
 전세계 가동중인 조선소 420여개 중 기본설계 자체 수행이 가능한 조선소는
약 40개사(10%) 수준
13
강재절단 단계는
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하는 단계로 강재를 조립에서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
 컴퓨터 자동절단 시스템으로 운영 (CNC :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소조립 단계는
 절단된 부재를 작은 조립품(소형블록)으로 만드는 단계
 본격적인 조립을 하기 위한 사전 단계
14
조립 단계는
 소조품들을 결합하여 입체적인 블록으로 만드는 단계
선행의장 단계는
 공장 내에서 블록 안에 대형 파이프나 전선 설치대, 기계 받침대 등의
의장품을 설치하는 단계
 선행의장은 건조공정 단축과 도크 회전율 향상에 기여
15
선행도장 단계는
 강판의 부식 방지 및 해양생물 부착 방지 등 해양환경으로부터
선체를 보호하기 위해 강판에 도료를 칠하는 단계
선탑재 단계는
 조립이 완료된 블록을 2개 이상 결합하여 대형화하는 작업
16
탑재 단계는
 선탑재된 블록을 도크 안으로 옮겨 선박의 형상으로 최종 결합하는 작업
 선박의 형상이 완료되면 도크에 물을 채워 선박을 띄우는 진수공정을
거쳐 안벽으로 이동
안벽작업 단계는
 안벽으로 옮겨진 선박은 최종 마무리 작업을 수행
17
시운전 단계는
 외항에서 선박 계약상에 명시된 선박의 성능을 점검하는 단계
 시운전 검사에 합격하여야만 비로소 선주에게 완성된 선박을 인도 가능
18
명명식 및 선박 인도
 명명식은 선주에게 인도하기 직전에 선박의 이름을 부여하는 행사
 명명식이 완료되면 선박 인도 서명식을 갖고 선주에게 선박을 인도
제 3 장
조선산업 경쟁력 향상 활동
19
아시아 조선 3국 경쟁 현황
20
한국/중국/일본 제품 포지셔닝
• 복잡한 대형 선박 시장은 한국이 주도
• 범용상선 시장은 중국과 일본이 경쟁
• 한국의 주도 선종: LNGC, 대형 컨테이너선, 시추선 등
• 중국 일본 경쟁 선종: 벌커 등 범용 상선
향후 핵심 경쟁요소 :
원가경쟁력 = ‘기술력’ + ‘인력’
출처) 조선•해양 산업의 수급과 경쟁력 분석(15.7,DSME)
1. 제품 경쟁력 - 고효율/친환경 선박
21
선가/금리의 底 기조
지속 예상
해운사들의 CAPEX(투자비) 대비
OPEX(운항경비) 중요성 증가
고효율/친환경 제품
수요 증가
고효율 / 친환경
뮤이스 덕트
(Mewis Duct)
하이-핀
(Hi-Fin)
선저 공기방울
윤활 선박
서프-벌브
(Surf-Bulb)
[고효율 선박] [친환경 선박]
 Nox(질산화물), Sox(황산화물) 저감 설비
 전기 추진 또는 LNG 연료 추진
 평형 수 처리 시스템(BWTS) 장착
 無 평형수 / 少 평형수 적용
 친환경 도료 개발 적용
 저연료비/고출력 엔진
 선저(船底) 공기방울 윤활 (공기방울로 마찰력 감소)
 에너지 절감 부가물 부착
1. 제품 경쟁력 - 고효율/친환경 선박
22
대형화 / 성능향상고효율 / 친환경
 극초대형 컨테이너운반선 (25,000+ TEU)
 초대형 자동차운반선 (10,000+ 대)
 초대형 원유운반선 (400,000 중량톤)
 초대형 LNG운반선 (250,000+ ㎥)
 초대형 GAS 운반선 (100,000+ ㎥)
 Sky-Bench 적용 선박
 ICT(정보통신기술) 적용 선박 (Smart-Ship)
세계 최초 움직이는 선실(Skybench) 개발 (현대중공업)
: 선박 내 엔진, 제어기 등 각종 장치의 정보를 위성을 통해
육상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날씨, 파도 등을 고려한 최적의
운항 경로와 연료소비효율 절감을 위한 효율적 운항 지원.
‘충돌 회피 지원시스템(HiCASS)’에 의한 안전한 운항 지원.
선가/금리의 底 기조
지속 예상
해운사들의 CAPEX(투자비) 대비
OPEX(운항경비) 중요성 증가
고효율/친환경 제품
수요 증가
1. 제품 경쟁력 - 신규 수요/미래형 선박
신규 수요 / 미래형 선박
23
새로운 화물, 운항지역, 용도를 위한
선박 수요 발생
신제품 및 미래형 선박
개발로 선제적 대응
보유 기술 발전
+ 신기술 개발
 에탄 운반선
 CO2 운반선
신규 화물
 극지운항용 쇄빙 상선 (LNG운반선, 탱커, 산적화물선 등)신규 항로
 GAS 발전선
 선박형 해상 LNG 기지 (LNG-FSRU -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 LNG Bunkering 선박 (선박에 LNG를 공급하는 선박)
신규 용도
2. 품질 경쟁력
사고사례 - 일본 ‘M’사가 건조한 컨테이너선
선수부 - 화재후 침몰 선미부 - 침몰
 지난 2013년 6월 일본 해운회사인 ‘M’사의 대형 컨테이너운반선이 싱가포르
항에서 출항하여 사우디 아라비아 제다항으로 항해 중 갑자기 선체 중앙부에
금이 가기 시작하여 두 동강이 난 사건
 결국, 두 동강난 선체는 표류하다 4,000m의 인도양 깊은 바다 속으로 침몰
 이 선박은 2008년 일본 ‘M’중공업에서 건조한 선박으로 자매선 6척도
사고원인이 규명이 될 때까지 운항이 중지되어 운항회사 및 고객들에게
큰 손실을 입힘
 ‘M’중공업은 Gas운반선, 여객선, 함정 외 다른 선종에는 건조하지 않고
있으며 조선사업 역시 축소할 계획으로 있음
24
품질에 대한
확고한 신뢰
고객의
긍정적 평가
선박 수주로
연결
고객 신뢰
하락
수주 실패
명성 하락
사업 실패
VS 품질 불만
선박 사고
2. 품질 경쟁력
25
 운항지역 특성을 고려한 설계 (선박 길이/폭/깊이, 강재두께, 보온성능, 도료특성 등)
 선박 계약 Speed에 만족하는 선형 (Line) 연구 및 설계 (대형수조에서의 모형 실험)
 각종 기계장치의 안정적 가동을 위한 역학 계산 및 설계
 인간공학, 안전공학 선박구조 배치와 생산 작업성을 고려한 설계
설계 품질
2. 품질 경쟁력
26
 용접 및 도장공정의 품질 일관성 및 품질결함 제거를 위해
용접자동화, 도장자동화 확대
 선박의 모든 부위는 선주/선급/자체 검사를 수행하며
각종 비파괴검사를 통해 품질을 점검
 생산품질의 중요성
- 큰 위험은 작은 흠집으로 부터
: 타이타닉호 침몰 (리벳접합의 한계)
설계 품질 생산 품질
3. 인적(人的) 경쟁력
27
 선박 건조는 결국 사람의 손이 많이 거쳐야 하는 공정이 다수
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량 보유
 한국 조선소 근무하는 인력은 2013년 약 18만 3,000명 수준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1)
 국내 대형 조선 3사인 현대, 대우, 삼성의 직영 평균 근속연수2)는
13~19년으로 숙련도가 높음.
 기술보유 인력의 유지가 중요
한국 조선소 근무인력 추이
직종별 인력구성비 추이
출처) 1) 조선자료집 (2014년, 조선해양플랜트협회), 2) 각 사 2014년 사업보고서
사무기술직 기능직
사무직 기술직 직영 사내협력사
9,000명 23,000명 36,800명 114,200명
제 4 장
한국 조선산업 발전 과제
28
29
원가경쟁력 확보
현상  수요 감소 → 조선소간 경쟁 심화 → 선가 하락 → 수익 악화
추진
과제
 공법개선, 작업환경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 선체 구조/장치 개선을 통한 원가절감형 선박 디자인
 친환경/고효율 장치 및 기능을 탑재한 선박의 고부가가치화
(LNG연료추진, 황산화물/질산화물/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등)
 신수요 선박 개발 (초대형, 극지운항, 특수목적선 등)
30
원가경쟁력 확보
조선 기술/기능인력 수급 개선
현상
 조선소 지방에 소재 → 해외/수도권 엔지니어들의 지방근무 회피
 젊은 층의 제조업 회피 → 조선 기능인력 부족
추진
과제
 수도권, 대도시 소재 엔지니어링 센터 운영
 대학과 연계한 기술개발 수행 확대
 조선사 보유 기술교육원을 통해 현장 수요 맞춤식 기능인력 양성
 보유기술의 정립 및 전수시스템 운영
 필요시, 고기량 외국인 조선기능공의 도입 확대도 검토
기술/기자재 국산화 확대
31
원가경쟁력 확보
조선 기술/기능인력 수급 개선 현상
 일반상선 기자재 국산화율은 90% 수준. 그러나 LNG운반선,
드릴십 등의 고부가가치선박의 기자재 국산화율은 60% 수준
추진
과제
 조선사+학계+기자재업체 협력하여 자재/기술의 국산화 확대
→ 원가절감, 기자재 업체와 동반 성장을 통한 조선산업 기반
강화 가능
 국산화 완료 기술/자재의 국책사업 시범적용 확대로 Track-
Record 확보
 기술 및 자재 국산화 관련 정부지원 확대 (자금지원, 세제혜택 등)
- LNG운반선 화물창 기술 로열티가 척당 1,000만불 수준
- FPSO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하역 설비) 선가의 10% 가량이 해외
엔지니어링 비용으로 지출
- 드릴십(시추선)의 메인 장비인 드릴링 장비/부품이 전량 해외 수입
사례
선박 건조 금융지원 확대
기술/기자재 국산화 확대
32
원가경쟁력 확보
조선 기술/기능인력 수급 개선
현상
 선박 수주에서 인도까지 1.5~2년 소요 → 선박 건조에 소요되는
자재 구입자금, 선박 보험, 인건비, 운영비 등을 조선사가 감당
 선주로부터 건조대금을 통상 5번에 걸쳐 수금 → 조선시장 침체로
대다수가 선박 인도시 수금 비중이 큰 Heavy Tail 방식으로 계약
→ 조선사의 자금운용 어려움 가중
※ 5회 : 계약, 착공(강재절단), 기공(탑재시작), 진수, 인도
추진
과제
 국내조선소 선박 건조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선수금환급보증,
운영자금 지원, 선주사 한국조선소 발주시 금융 주선 등)
[참고 : 선박대금 수취방식]
① Standard : 각 단계별 대금회수 비중에 따라 균등하게 수취 (평균 5회)
② Top-Heavy : 계약 시 많이 받는 Top-Heavy
③ Heavy-tail : 인도 시 잔금 비중이 높음
선박 건조 금융지원 확대
기술/기자재 국산화 확대
33
원가경쟁력 확보
조선 기술/기능인력 수급 개선
한국 해운산업 육성
현상
 국수국조(國需國造) 기조 확대
 자국 해운사 육성 지원 강화
추진
과제
 글로벌 해운선사로의 성장 기대
 정부의 해운산업 육성지원 강화
• 친환경 고효율 선박 발주시 금융 및 정책지원
• 동북아 국제 물류 중심지로서의 정부 정책의 실현 기대
• 해운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시행
선박의 크기 단위
34
단 위 설 명 해당 선종
DWT
(Dead Weight
Tonnage)
적재 가능한 화물 중량 톤수.
말 그대로 Dead Weight (최대적재량)를 넘기면 배가
죽는다는 의미.
탱커(원유, 정유운반선)
산적화물선 등
예) 300K VLCC
TEU
(Twenty foot
Equivalent Units)
20피트 컨테이너 1개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20,000 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를 20,000개를 실을 수
있는 선박이라는 의미.
컨테이너운반선
예) 20,000 TEU 컨테이너선
CBM
(Cubic Meter)
입방미터(㎥)로 부피의 단위.
1 CBM은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1m인 정육면체를 의미.
가스운반선 (LNG운반선,
LPG운반선, 화학제품운반선)
예) 174K CBM LNG선
UNIT
단위 개수 1개를 의미.
10,000 UNIT은 자동차 10,000대 실을 수 있는 선박이라는
의미.
자동차운반선
예) 10,000 UNIT PCTC
35
국내최초LNG운반선건조
1994년 건조한 현대 유토피아호가 국내 제1호
LNG선입니다.
세계 최초선박2000척 인도
1974년 첫 선박을 인도한 이래 2015년 5월
드릴십 ‘오션 블랙라이언(OceanBlacklion)’호
를 미국 다이아몬드 오프쇼어(Diamond
Offshore)사에 성공적으로 인도했다. 이는 현
대중공업이 2000번째로 인도한 선박이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World petroleum resources (2)
World petroleum resources (2)World petroleum resources (2)
World petroleum resources (2)
Prof. A.Balasubramanian
 
Shipping dangerous goods
Shipping dangerous goodsShipping dangerous goods
Shipping dangerous goods
Medhat Saad Eldin
 
20220126_全球碳捕捉、封存與再利用現況與發展趨勢
20220126_全球碳捕捉、封存與再利用現況與發展趨勢20220126_全球碳捕捉、封存與再利用現況與發展趨勢
20220126_全球碳捕捉、封存與再利用現況與發展趨勢
懂能源團隊
 
Carbon Capture and Storage breakfast seminar
Carbon Capture and Storage breakfast seminarCarbon Capture and Storage breakfast seminar
Carbon Capture and Storage breakfast seminar
Blake Morgan
 
Downstream ppt
Downstream pptDownstream ppt
Downstream ppt
Ragavendar Anandajothi
 
Costo total de importacion
Costo total de importacionCosto total de importacion
Costo total de importacion
Henry Inocente
 
The role of CCS/CCUS in the Climate Action Plan - Dr S. Julio Friedmann
The role of CCS/CCUS in the Climate Action Plan - Dr S. Julio FriedmannThe role of CCS/CCUS in the Climate Action Plan - Dr S. Julio Friedmann
The role of CCS/CCUS in the Climate Action Plan - Dr S. Julio Friedmann
Global CCS Institute
 
The Future of Shipping
The Future of ShippingThe Future of Shipping
The Future of Shipping
Prizztech
 
How to evaluate Return On Investment in drones for inventory count
How to evaluate Return On Investment in drones for inventory countHow to evaluate Return On Investment in drones for inventory count
How to evaluate Return On Investment in drones for inventory count
Raman Kataria
 
ISPS CODE.pptx
ISPS CODE.pptxISPS CODE.pptx
ISPS CODE.pptx
BaburHalulu1
 
03 Carriage of Goods.ppt
03 Carriage of Goods.ppt03 Carriage of Goods.ppt
03 Carriage of Goods.ppt
ssuserf0f948
 
Carbon Capture & Storage
Carbon Capture & StorageCarbon Capture & Storage
Carbon Capture & Storage
Zin Eddine Dadach
 
LNG
LNGLNG
Liquefied Natural Gas ( LNG )
Liquefied Natural Gas ( LNG )Liquefied Natural Gas ( LNG )
Liquefied Natural Gas ( LNG )
Saurabh Girdhar
 
Adr 2013, Orden FOM/2861/2012 y NORMA UNE-EN 12195-1:2011
Adr 2013, Orden FOM/2861/2012 y NORMA UNE-EN 12195-1:2011Adr 2013, Orden FOM/2861/2012 y NORMA UNE-EN 12195-1:2011
Adr 2013, Orden FOM/2861/2012 y NORMA UNE-EN 12195-1:2011
Dídac Forner Mateo
 
FCR-The use of FCR in Intl Trade (ENG) danny diep to
FCR-The use of FCR in Intl Trade (ENG) danny diep toFCR-The use of FCR in Intl Trade (ENG) danny diep to
FCR-The use of FCR in Intl Trade (ENG) danny diep to
Danny Diep To
 
EUROPEAN CCS INFRASTRUCTURE IN REGARD TO LOW-CARBON INDUSTRIAL HUBS
EUROPEAN CCS INFRASTRUCTURE IN REGARD TO LOW-CARBON INDUSTRIAL HUBSEUROPEAN CCS INFRASTRUCTURE IN REGARD TO LOW-CARBON INDUSTRIAL HUBS
EUROPEAN CCS INFRASTRUCTURE IN REGARD TO LOW-CARBON INDUSTRIAL HUBS
iQHub
 
BP Strategy Presentation - March 2010
BP Strategy Presentation - March 2010  BP Strategy Presentation - March 2010
BP Strategy Presentation - March 2010
Alaska Energy Dudes and Divas
 
Presentation
PresentationPresentation
Presentation
Alex Hamid
 
Natural g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india
Natural g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indiaNatural g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india
Natural g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india
Akshaya Mishra
 

What's hot (20)

World petroleum resources (2)
World petroleum resources (2)World petroleum resources (2)
World petroleum resources (2)
 
Shipping dangerous goods
Shipping dangerous goodsShipping dangerous goods
Shipping dangerous goods
 
20220126_全球碳捕捉、封存與再利用現況與發展趨勢
20220126_全球碳捕捉、封存與再利用現況與發展趨勢20220126_全球碳捕捉、封存與再利用現況與發展趨勢
20220126_全球碳捕捉、封存與再利用現況與發展趨勢
 
Carbon Capture and Storage breakfast seminar
Carbon Capture and Storage breakfast seminarCarbon Capture and Storage breakfast seminar
Carbon Capture and Storage breakfast seminar
 
Downstream ppt
Downstream pptDownstream ppt
Downstream ppt
 
Costo total de importacion
Costo total de importacionCosto total de importacion
Costo total de importacion
 
The role of CCS/CCUS in the Climate Action Plan - Dr S. Julio Friedmann
The role of CCS/CCUS in the Climate Action Plan - Dr S. Julio FriedmannThe role of CCS/CCUS in the Climate Action Plan - Dr S. Julio Friedmann
The role of CCS/CCUS in the Climate Action Plan - Dr S. Julio Friedmann
 
The Future of Shipping
The Future of ShippingThe Future of Shipping
The Future of Shipping
 
How to evaluate Return On Investment in drones for inventory count
How to evaluate Return On Investment in drones for inventory countHow to evaluate Return On Investment in drones for inventory count
How to evaluate Return On Investment in drones for inventory count
 
ISPS CODE.pptx
ISPS CODE.pptxISPS CODE.pptx
ISPS CODE.pptx
 
03 Carriage of Goods.ppt
03 Carriage of Goods.ppt03 Carriage of Goods.ppt
03 Carriage of Goods.ppt
 
Carbon Capture & Storage
Carbon Capture & StorageCarbon Capture & Storage
Carbon Capture & Storage
 
LNG
LNGLNG
LNG
 
Liquefied Natural Gas ( LNG )
Liquefied Natural Gas ( LNG )Liquefied Natural Gas ( LNG )
Liquefied Natural Gas ( LNG )
 
Adr 2013, Orden FOM/2861/2012 y NORMA UNE-EN 12195-1:2011
Adr 2013, Orden FOM/2861/2012 y NORMA UNE-EN 12195-1:2011Adr 2013, Orden FOM/2861/2012 y NORMA UNE-EN 12195-1:2011
Adr 2013, Orden FOM/2861/2012 y NORMA UNE-EN 12195-1:2011
 
FCR-The use of FCR in Intl Trade (ENG) danny diep to
FCR-The use of FCR in Intl Trade (ENG) danny diep toFCR-The use of FCR in Intl Trade (ENG) danny diep to
FCR-The use of FCR in Intl Trade (ENG) danny diep to
 
EUROPEAN CCS INFRASTRUCTURE IN REGARD TO LOW-CARBON INDUSTRIAL HUBS
EUROPEAN CCS INFRASTRUCTURE IN REGARD TO LOW-CARBON INDUSTRIAL HUBSEUROPEAN CCS INFRASTRUCTURE IN REGARD TO LOW-CARBON INDUSTRIAL HUBS
EUROPEAN CCS INFRASTRUCTURE IN REGARD TO LOW-CARBON INDUSTRIAL HUBS
 
BP Strategy Presentation - March 2010
BP Strategy Presentation - March 2010  BP Strategy Presentation - March 2010
BP Strategy Presentation - March 2010
 
Presentation
PresentationPresentation
Presentation
 
Natural g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india
Natural g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indiaNatural g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india
Natural g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india
 

Viewers also liked

06. 석유화학산업의 현재와 미래 (김의정교수)
06. 석유화학산업의 현재와 미래 (김의정교수)06. 석유화학산업의 현재와 미래 (김의정교수)
06. 석유화학산업의 현재와 미래 (김의정교수)
University of Ulsan
 
07. 화학산업 특강 (sk energy 김동호 공장장)
07. 화학산업 특강 (sk energy 김동호 공장장)07. 화학산업 특강 (sk energy 김동호 공장장)
07. 화학산업 특강 (sk energy 김동호 공장장)
University of Ulsan
 
01. 한국의 조선해양산업 (조상래 교수)
01. 한국의 조선해양산업 (조상래 교수)01. 한국의 조선해양산업 (조상래 교수)
01. 한국의 조선해양산업 (조상래 교수)
University of Ulsan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University of Ulsan
 
05. 한국의 디자인산업 (백운호 교수)
05. 한국의 디자인산업 (백운호 교수)05. 한국의 디자인산업 (백운호 교수)
05. 한국의 디자인산업 (백운호 교수)
University of Ulsan
 
01. 한국산업의 현황 및 과제 (조지운 교수)
01. 한국산업의 현황 및 과제 (조지운 교수)01. 한국산업의 현황 및 과제 (조지운 교수)
01. 한국산업의 현황 및 과제 (조지운 교수)
University of Ulsan
 
FSRU RISK MANAGEMENT AND CONTROL
FSRU RISK MANAGEMENT AND CONTROLFSRU RISK MANAGEMENT AND CONTROL
FSRU RISK MANAGEMENT AND CONTROL
HIMADRI BANERJI
 
NMEA0183 Parser 실습과제
NMEA0183 Parser 실습과제NMEA0183 Parser 실습과제
NMEA0183 Parser 실습과제
Chang-yong Jung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University of Ulsan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University of Ulsan
 
04. IT서비스산업 전문가 특강 (테라데이터 장동인 부사장)
04. IT서비스산업 전문가 특강 (테라데이터 장동인 부사장)04. IT서비스산업 전문가 특강 (테라데이터 장동인 부사장)
04. IT서비스산업 전문가 특강 (테라데이터 장동인 부사장)
University of Ulsan
 
03. 한국의 IT서비스산업 (김재균 교수)
03. 한국의 IT서비스산업 (김재균 교수)03. 한국의 IT서비스산업 (김재균 교수)
03. 한국의 IT서비스산업 (김재균 교수)
University of Ulsan
 
02. 한국의 자동차산업 (이장명 교수)
02. 한국의 자동차산업 (이장명 교수)02. 한국의 자동차산업 (이장명 교수)
02. 한국의 자동차산업 (이장명 교수)
University of Ulsan
 
Process Optimization for Small-Scale LNG Plants
Process Optimization for Small-Scale LNG PlantsProcess Optimization for Small-Scale LNG Plants
Process Optimization for Small-Scale LNG Plants
Shilpa Dubey
 
Remote Tank Level Hypercom Presentation V1
Remote Tank Level Hypercom Presentation V1Remote Tank Level Hypercom Presentation V1
Remote Tank Level Hypercom Presentation V1
Sir Josh A. Denila
 
가스민영화 시민 교안
가스민영화 시민 교안가스민영화 시민 교안
가스민영화 시민 교안Jongsup Hwang
 
Presentataion Oil&Gas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 Radio LInk Project
Presentataion  Oil&Gas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 Radio LInk Project Presentataion  Oil&Gas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 Radio LInk Project
Presentataion Oil&Gas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 Radio LInk Project
Andrea Vallavanti
 
제5장 NMEA Parser 구현
제5장 NMEA Parser 구현제5장 NMEA Parser 구현
제5장 NMEA Parser 구현
Chang-yong Jung
 
Smart Ballast 사업계획서 Final
Smart Ballast 사업계획서 FinalSmart Ballast 사업계획서 Final
Smart Ballast 사업계획서 FinalBong kul Lim
 
제4장 선박용 장비의 통신규약 / 시리얼통신 / NMEA0183
제4장 선박용 장비의 통신규약 / 시리얼통신 / NMEA0183제4장 선박용 장비의 통신규약 / 시리얼통신 / NMEA0183
제4장 선박용 장비의 통신규약 / 시리얼통신 / NMEA0183
Chang-yong Jung
 

Viewers also liked (20)

06. 석유화학산업의 현재와 미래 (김의정교수)
06. 석유화학산업의 현재와 미래 (김의정교수)06. 석유화학산업의 현재와 미래 (김의정교수)
06. 석유화학산업의 현재와 미래 (김의정교수)
 
07. 화학산업 특강 (sk energy 김동호 공장장)
07. 화학산업 특강 (sk energy 김동호 공장장)07. 화학산업 특강 (sk energy 김동호 공장장)
07. 화학산업 특강 (sk energy 김동호 공장장)
 
01. 한국의 조선해양산업 (조상래 교수)
01. 한국의 조선해양산업 (조상래 교수)01. 한국의 조선해양산업 (조상래 교수)
01. 한국의 조선해양산업 (조상래 교수)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05. 한국의 디자인산업 (백운호 교수)
05. 한국의 디자인산업 (백운호 교수)05. 한국의 디자인산업 (백운호 교수)
05. 한국의 디자인산업 (백운호 교수)
 
01. 한국산업의 현황 및 과제 (조지운 교수)
01. 한국산업의 현황 및 과제 (조지운 교수)01. 한국산업의 현황 및 과제 (조지운 교수)
01. 한국산업의 현황 및 과제 (조지운 교수)
 
FSRU RISK MANAGEMENT AND CONTROL
FSRU RISK MANAGEMENT AND CONTROLFSRU RISK MANAGEMENT AND CONTROL
FSRU RISK MANAGEMENT AND CONTROL
 
NMEA0183 Parser 실습과제
NMEA0183 Parser 실습과제NMEA0183 Parser 실습과제
NMEA0183 Parser 실습과제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04. IT서비스산업 전문가 특강 (테라데이터 장동인 부사장)
04. IT서비스산업 전문가 특강 (테라데이터 장동인 부사장)04. IT서비스산업 전문가 특강 (테라데이터 장동인 부사장)
04. IT서비스산업 전문가 특강 (테라데이터 장동인 부사장)
 
03. 한국의 IT서비스산업 (김재균 교수)
03. 한국의 IT서비스산업 (김재균 교수)03. 한국의 IT서비스산업 (김재균 교수)
03. 한국의 IT서비스산업 (김재균 교수)
 
02. 한국의 자동차산업 (이장명 교수)
02. 한국의 자동차산업 (이장명 교수)02. 한국의 자동차산업 (이장명 교수)
02. 한국의 자동차산업 (이장명 교수)
 
Process Optimization for Small-Scale LNG Plants
Process Optimization for Small-Scale LNG PlantsProcess Optimization for Small-Scale LNG Plants
Process Optimization for Small-Scale LNG Plants
 
Remote Tank Level Hypercom Presentation V1
Remote Tank Level Hypercom Presentation V1Remote Tank Level Hypercom Presentation V1
Remote Tank Level Hypercom Presentation V1
 
가스민영화 시민 교안
가스민영화 시민 교안가스민영화 시민 교안
가스민영화 시민 교안
 
Presentataion Oil&Gas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 Radio LInk Project
Presentataion  Oil&Gas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 Radio LInk Project Presentataion  Oil&Gas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 Radio LInk Project
Presentataion Oil&Gas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 Radio LInk Project
 
제5장 NMEA Parser 구현
제5장 NMEA Parser 구현제5장 NMEA Parser 구현
제5장 NMEA Parser 구현
 
Smart Ballast 사업계획서 Final
Smart Ballast 사업계획서 FinalSmart Ballast 사업계획서 Final
Smart Ballast 사업계획서 Final
 
제4장 선박용 장비의 통신규약 / 시리얼통신 / NMEA0183
제4장 선박용 장비의 통신규약 / 시리얼통신 / NMEA0183제4장 선박용 장비의 통신규약 / 시리얼통신 / NMEA0183
제4장 선박용 장비의 통신규약 / 시리얼통신 / NMEA0183
 

Similar to 09. 조선산업 특강 (현대중공업 하수 상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HISPER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HISPER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HISPER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HISPER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Smart POB System
Smart POB SystemSmart POB System
Smart POB System
yojung303
 
동남권 해양산업 발전방향_이종훈
동남권 해양산업 발전방향_이종훈동남권 해양산업 발전방향_이종훈
동남권 해양산업 발전방향_이종훈Marine Design Busan
 
Dronbisiness1
Dronbisiness1Dronbisiness1
Dronbisiness1
형수 박
 
(사업계획서 예시) 스타트업을 하는 깐깐한 방법 (본문 264 )_민광동_초록비
(사업계획서 예시) 스타트업을 하는 깐깐한 방법 (본문 264 )_민광동_초록비(사업계획서 예시) 스타트업을 하는 깐깐한 방법 (본문 264 )_민광동_초록비
(사업계획서 예시) 스타트업을 하는 깐깐한 방법 (본문 264 )_민광동_초록비
Kwangdong Min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회사소개서(중국해운제출용 국문)
회사소개서(중국해운제출용 국문)회사소개서(중국해운제출용 국문)
회사소개서(중국해운제출용 국문)
진영 박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일신오토클레이브 항온가압 오토클레이브 소개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항온가압 오토클레이브 소개서일신오토클레이브 항온가압 오토클레이브 소개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항온가압 오토클레이브 소개서
ilshinautoclave
 
일신오토클레이브 회사 소개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회사 소개서일신오토클레이브 회사 소개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회사 소개서
ilshinautoclave
 
B535262 space X
B535262 space XB535262 space X
B535262 space X
JeonKyuSeong
 
B535262 space X
B535262 space XB535262 space X
B535262 space X
JeonKyuSeong
 
압력용기 플랜트- 대우조선해양
압력용기 플랜트- 대우조선해양압력용기 플랜트- 대우조선해양
압력용기 플랜트- 대우조선해양
ilshinautoclave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Jinwon Park
 
경부운하 절대 안 돼!
경부운하 절대 안 돼!경부운하 절대 안 돼!
경부운하 절대 안 돼!Mikyoung Park
 
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
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
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
Hydrobank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艳 胡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丽娜 金
 
제2장 IMO / IHO / SOLAS 규약 / 선급
제2장 IMO / IHO / SOLAS 규약 / 선급제2장 IMO / IHO / SOLAS 규약 / 선급
제2장 IMO / IHO / SOLAS 규약 / 선급
Chang-yong Jung
 

Similar to 09. 조선산업 특강 (현대중공업 하수 상무) (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HISPER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HISPER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HISPER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HISPER_탐방 보고서
 
Smart POB System
Smart POB SystemSmart POB System
Smart POB System
 
동남권 해양산업 발전방향_이종훈
동남권 해양산업 발전방향_이종훈동남권 해양산업 발전방향_이종훈
동남권 해양산업 발전방향_이종훈
 
Dronbisiness1
Dronbisiness1Dronbisiness1
Dronbisiness1
 
(사업계획서 예시) 스타트업을 하는 깐깐한 방법 (본문 264 )_민광동_초록비
(사업계획서 예시) 스타트업을 하는 깐깐한 방법 (본문 264 )_민광동_초록비(사업계획서 예시) 스타트업을 하는 깐깐한 방법 (본문 264 )_민광동_초록비
(사업계획서 예시) 스타트업을 하는 깐깐한 방법 (본문 264 )_민광동_초록비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계획서
 
회사소개서(중국해운제출용 국문)
회사소개서(중국해운제출용 국문)회사소개서(중국해운제출용 국문)
회사소개서(중국해운제출용 국문)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항온가압 오토클레이브 소개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항온가압 오토클레이브 소개서일신오토클레이브 항온가압 오토클레이브 소개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항온가압 오토클레이브 소개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회사 소개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회사 소개서일신오토클레이브 회사 소개서
일신오토클레이브 회사 소개서
 
B535262 space X
B535262 space XB535262 space X
B535262 space X
 
B535262 spaceX
B535262 spaceXB535262 spaceX
B535262 spaceX
 
B535262 space X
B535262 space XB535262 space X
B535262 space X
 
압력용기 플랜트- 대우조선해양
압력용기 플랜트- 대우조선해양압력용기 플랜트- 대우조선해양
압력용기 플랜트- 대우조선해양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경부운하 절대 안 돼!
경부운하 절대 안 돼!경부운하 절대 안 돼!
경부운하 절대 안 돼!
 
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
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
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taelim Hot Forging & Erw Pipe company profile ( KOR )
 
제2장 IMO / IHO / SOLAS 규약 / 선급
제2장 IMO / IHO / SOLAS 규약 / 선급제2장 IMO / IHO / SOLAS 규약 / 선급
제2장 IMO / IHO / SOLAS 규약 / 선급
 

09. 조선산업 특강 (현대중공업 하수 상무)

  • 1. 전문가 특강 강사 : 하 수 (현대중공업(주) 조선사업본부 기획지원 담당임원)
  • 5. 현대중공업의 조선사업은  조선소 기공식 : 1972년 3월 23일  조선소 완공식 : 1974년 6월 28일  선박 1호, 2호 명명식 : 1974년 6월 28일 (아틀란틱 배런호, 배러니스호)  세계 최초 2,000척 선박 인도 : 2015년 5월 22일 1974년 6월 28일, 첫 명명식 5 1974년 2015년 현재 1972년
  • 6. 현대중공업 조선사업본부는  10개의 대형 선박건조 도크  9기의 초대형 골리아스크레인 (최대 1,650톤)  최신 생산설비, 우수한 인적 자원  뛰어난 기술력 보유 ★ 세계 1위 조선소 [인력 현황] 조선사업본부 전체 29,500명 사무기술직 2,880명 생산기술직 7,420명 사내협력사 18,200명 ※ 설계 및 연구소 1,500여명 현대중공업 울산 야드 (318만㎡=96만평) 군산 울산300 km 현대중공업 군산 야드 (173만㎡=52만평) 6
  • 7. 생산제품 일반상선 원유/정유운반선 통상 탱커라고도 불리우며 원유를 운반하는 선박을 COT(Crude Oil Tanker), 정제된 석유제품류를 수 송하는 선박을 PC(Product Carrier) 라고 불리움. 잘 알려진 VLCC는 Very Large Crude Oil Carrier의 약자로 20~30만 중량톤급 초대형 원유운반선을 말함. 컨테이너운반선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선박으로 신속한 수송을 위해 20노트 이상의 속력을 갖춤. 최근 20,000TEU급 이상 극초대형 선박이 건조되고 있음. (20,000TEU란 20피트 길이의 컨테이너를 20,000개 적재할 수 있 는 크기를 말함.) 자동차운반선 자동차 및 트럭을 전용으로 운반 하는 선박으로 화물창 구조가 다층 구조로 되어 있음. 배의 뒷부분에 차량이 승하선할 수 있는 Ramp가 설치되어 있어 자동차를 효율적으 로 하역/적재할 수 있음. 현재 차량 9,000대를 적재할 수 있는 선박이 건조되고 있음. 산적화물선 곡물, 광석, 석탄 등 포장되지 않은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으로 특정 화 물만 운송하는 전용화물선과 다양 한 벌크화물을 운송하는 겸용선 으로 구분됨. VLOC는 Very Large Ore Carrier 의 약자로 25~30만 중 량톤급 초대형 광탄 운반선을 말함. 7 일반상선, 해양개발관련 특수선, 함정 등 연간 70여 척의 선박을 건조
  • 8. 생산제품 가스운반선 LPG운반선 화학제품운반선 LPG (Liquefied Petroleum Gas ,액 화석유가스로 프로판/부탄 가스가 대표적임)를 운반하는 선박으로, 가 스를 액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가압 식 (상온에서 압력을 높여 액화시킴) 과 저온식(대기압 부근에서 온도를 낮추어 액화시킴)으로 나뉨. 고품질의 윤활유제품, 석유화학제 품 및 화성화학제품(알코올, 에틸렌, 유기산, 무기산) 등을 액체상태로 운반하는 선박으로 고순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부식성이 강한 화학제 품을 운송해야 하므로 화물창 및 배 관계통에 특수도장이나 스테인레스 강이 필요함. 모스(Moss)형 LNG운반선 멤브레인형 LNG운반선,FSRU LNG를 운반하는 선박으로 독립된 구조의 구형 탱크를 선체에 올려 놓는 방식임. 극저온의 LNG를 탱크 내 고압에서 유지하기 위해 알루미 늄 합금 등 특수소재가 사용됨. 구형 구조로 멤브레인형에 비해 안정성을 뛰어나며, 한국은 현대중공업만 건 조실적이 있음. 선체구조의 일부를 탱크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Mark-Ⅲ, No.96 타입으로 구분됨. LNG-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는 LNG선으 로부터 LNG를 하역 받아 저장, 재기 화 기능이 있어 해상 LNG터미널 기능을 수행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 스 저장·재기화 설비임. LNG운반선은 LNG (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선박 으로 액화점인 -162℃이하 상태로 운반해야 함. 8
  • 9. 생산제품 특수목적선 드릴십 해상플랫폼 설치가 불가능한 깊은 수심의 해역에서 원유·가스를 시추 할 수 있는 선박 형태의 시추설비 임. 닻을 내리지 않고 선박이 움직이 지 않도록 DPS(Dynamic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여 해수면에서 12km 깊이까지 시추가 가능함. 해양개발지원선 해양작업을 지원하는 선박으로 심해 작업 및 건설지원, Heavy Lift, 선원 편의시설 및 거주, 탐사 등 투입목적 과 작업의 종류에 따라 선박의 형상 이나 탑재장비 등에서 차이가 있음. 화객선(승객+차량) 승객의 관광 및 여흥을 목적으로 여러 항구를 순회하는 크루즈선과 달리 승객 및 차량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으로 Car Ferry 혹은 Passenger Ferry 로 불림. 함정 및 잠수함 전투 및 전투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으로 임무에 따라 잠수함, 항공 모함, 순양함, 구축함, 초계함, 고속 정, 상륙함, 기뢰전함, 지원함으로 나뉨. 9
  • 10. 10 제 2 장 선박 건조과정 소개
  • 11. 선박 건조는 수주 11  선박은 영업활동 → 수주 → 설계 → 생산 → 명명식 및 선박 인도로 진행 설계 생산 명명식/인도 평균 10개월 내업 외업 강재절단 소조립 조립 선행의장 선행도장 선 탑재 탑재/진수 안벽작업 시운전 평균 4개월 평균 6개월 골격/근육 <사람> <선박> 선각(船殼) 혈관/장기 의장(艤裝) 피부/의류 도장(塗裝)
  • 13. 영업/수주 단계는  시장환경을 고려한 영업 방향을 결정  고객의 요구사항을 검토 → 계약 상담 → 입찰 → 계약체결 설계 단계는  영업/수주활동에 기술적인 지원  3D-CAD를 활용하여 생산과정에서 계약사항을 만족시키고 효율적이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설계 수행  전세계 가동중인 조선소 420여개 중 기본설계 자체 수행이 가능한 조선소는 약 40개사(10%) 수준 13
  • 14. 강재절단 단계는 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하는 단계로 강재를 조립에서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  컴퓨터 자동절단 시스템으로 운영 (CNC :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소조립 단계는  절단된 부재를 작은 조립품(소형블록)으로 만드는 단계  본격적인 조립을 하기 위한 사전 단계 14
  • 15. 조립 단계는  소조품들을 결합하여 입체적인 블록으로 만드는 단계 선행의장 단계는  공장 내에서 블록 안에 대형 파이프나 전선 설치대, 기계 받침대 등의 의장품을 설치하는 단계  선행의장은 건조공정 단축과 도크 회전율 향상에 기여 15
  • 16. 선행도장 단계는  강판의 부식 방지 및 해양생물 부착 방지 등 해양환경으로부터 선체를 보호하기 위해 강판에 도료를 칠하는 단계 선탑재 단계는  조립이 완료된 블록을 2개 이상 결합하여 대형화하는 작업 16
  • 17. 탑재 단계는  선탑재된 블록을 도크 안으로 옮겨 선박의 형상으로 최종 결합하는 작업  선박의 형상이 완료되면 도크에 물을 채워 선박을 띄우는 진수공정을 거쳐 안벽으로 이동 안벽작업 단계는  안벽으로 옮겨진 선박은 최종 마무리 작업을 수행 17
  • 18. 시운전 단계는  외항에서 선박 계약상에 명시된 선박의 성능을 점검하는 단계  시운전 검사에 합격하여야만 비로소 선주에게 완성된 선박을 인도 가능 18 명명식 및 선박 인도  명명식은 선주에게 인도하기 직전에 선박의 이름을 부여하는 행사  명명식이 완료되면 선박 인도 서명식을 갖고 선주에게 선박을 인도
  • 19. 제 3 장 조선산업 경쟁력 향상 활동 19
  • 20. 아시아 조선 3국 경쟁 현황 20 한국/중국/일본 제품 포지셔닝 • 복잡한 대형 선박 시장은 한국이 주도 • 범용상선 시장은 중국과 일본이 경쟁 • 한국의 주도 선종: LNGC, 대형 컨테이너선, 시추선 등 • 중국 일본 경쟁 선종: 벌커 등 범용 상선 향후 핵심 경쟁요소 : 원가경쟁력 = ‘기술력’ + ‘인력’ 출처) 조선•해양 산업의 수급과 경쟁력 분석(15.7,DSME)
  • 21. 1. 제품 경쟁력 - 고효율/친환경 선박 21 선가/금리의 底 기조 지속 예상 해운사들의 CAPEX(투자비) 대비 OPEX(운항경비) 중요성 증가 고효율/친환경 제품 수요 증가 고효율 / 친환경 뮤이스 덕트 (Mewis Duct) 하이-핀 (Hi-Fin) 선저 공기방울 윤활 선박 서프-벌브 (Surf-Bulb) [고효율 선박] [친환경 선박]  Nox(질산화물), Sox(황산화물) 저감 설비  전기 추진 또는 LNG 연료 추진  평형 수 처리 시스템(BWTS) 장착  無 평형수 / 少 평형수 적용  친환경 도료 개발 적용  저연료비/고출력 엔진  선저(船底) 공기방울 윤활 (공기방울로 마찰력 감소)  에너지 절감 부가물 부착
  • 22. 1. 제품 경쟁력 - 고효율/친환경 선박 22 대형화 / 성능향상고효율 / 친환경  극초대형 컨테이너운반선 (25,000+ TEU)  초대형 자동차운반선 (10,000+ 대)  초대형 원유운반선 (400,000 중량톤)  초대형 LNG운반선 (250,000+ ㎥)  초대형 GAS 운반선 (100,000+ ㎥)  Sky-Bench 적용 선박  ICT(정보통신기술) 적용 선박 (Smart-Ship) 세계 최초 움직이는 선실(Skybench) 개발 (현대중공업) : 선박 내 엔진, 제어기 등 각종 장치의 정보를 위성을 통해 육상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날씨, 파도 등을 고려한 최적의 운항 경로와 연료소비효율 절감을 위한 효율적 운항 지원. ‘충돌 회피 지원시스템(HiCASS)’에 의한 안전한 운항 지원. 선가/금리의 底 기조 지속 예상 해운사들의 CAPEX(투자비) 대비 OPEX(운항경비) 중요성 증가 고효율/친환경 제품 수요 증가
  • 23. 1. 제품 경쟁력 - 신규 수요/미래형 선박 신규 수요 / 미래형 선박 23 새로운 화물, 운항지역, 용도를 위한 선박 수요 발생 신제품 및 미래형 선박 개발로 선제적 대응 보유 기술 발전 + 신기술 개발  에탄 운반선  CO2 운반선 신규 화물  극지운항용 쇄빙 상선 (LNG운반선, 탱커, 산적화물선 등)신규 항로  GAS 발전선  선박형 해상 LNG 기지 (LNG-FSRU -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 LNG Bunkering 선박 (선박에 LNG를 공급하는 선박) 신규 용도
  • 24. 2. 품질 경쟁력 사고사례 - 일본 ‘M’사가 건조한 컨테이너선 선수부 - 화재후 침몰 선미부 - 침몰  지난 2013년 6월 일본 해운회사인 ‘M’사의 대형 컨테이너운반선이 싱가포르 항에서 출항하여 사우디 아라비아 제다항으로 항해 중 갑자기 선체 중앙부에 금이 가기 시작하여 두 동강이 난 사건  결국, 두 동강난 선체는 표류하다 4,000m의 인도양 깊은 바다 속으로 침몰  이 선박은 2008년 일본 ‘M’중공업에서 건조한 선박으로 자매선 6척도 사고원인이 규명이 될 때까지 운항이 중지되어 운항회사 및 고객들에게 큰 손실을 입힘  ‘M’중공업은 Gas운반선, 여객선, 함정 외 다른 선종에는 건조하지 않고 있으며 조선사업 역시 축소할 계획으로 있음 24 품질에 대한 확고한 신뢰 고객의 긍정적 평가 선박 수주로 연결 고객 신뢰 하락 수주 실패 명성 하락 사업 실패 VS 품질 불만 선박 사고
  • 25. 2. 품질 경쟁력 25  운항지역 특성을 고려한 설계 (선박 길이/폭/깊이, 강재두께, 보온성능, 도료특성 등)  선박 계약 Speed에 만족하는 선형 (Line) 연구 및 설계 (대형수조에서의 모형 실험)  각종 기계장치의 안정적 가동을 위한 역학 계산 및 설계  인간공학, 안전공학 선박구조 배치와 생산 작업성을 고려한 설계 설계 품질
  • 26. 2. 품질 경쟁력 26  용접 및 도장공정의 품질 일관성 및 품질결함 제거를 위해 용접자동화, 도장자동화 확대  선박의 모든 부위는 선주/선급/자체 검사를 수행하며 각종 비파괴검사를 통해 품질을 점검  생산품질의 중요성 - 큰 위험은 작은 흠집으로 부터 : 타이타닉호 침몰 (리벳접합의 한계) 설계 품질 생산 품질
  • 27. 3. 인적(人的) 경쟁력 27  선박 건조는 결국 사람의 손이 많이 거쳐야 하는 공정이 다수 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량 보유  한국 조선소 근무하는 인력은 2013년 약 18만 3,000명 수준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1)  국내 대형 조선 3사인 현대, 대우, 삼성의 직영 평균 근속연수2)는 13~19년으로 숙련도가 높음.  기술보유 인력의 유지가 중요 한국 조선소 근무인력 추이 직종별 인력구성비 추이 출처) 1) 조선자료집 (2014년, 조선해양플랜트협회), 2) 각 사 2014년 사업보고서 사무기술직 기능직 사무직 기술직 직영 사내협력사 9,000명 23,000명 36,800명 114,200명
  • 28. 제 4 장 한국 조선산업 발전 과제 28
  • 29. 29 원가경쟁력 확보 현상  수요 감소 → 조선소간 경쟁 심화 → 선가 하락 → 수익 악화 추진 과제  공법개선, 작업환경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 선체 구조/장치 개선을 통한 원가절감형 선박 디자인  친환경/고효율 장치 및 기능을 탑재한 선박의 고부가가치화 (LNG연료추진, 황산화물/질산화물/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등)  신수요 선박 개발 (초대형, 극지운항, 특수목적선 등)
  • 30. 30 원가경쟁력 확보 조선 기술/기능인력 수급 개선 현상  조선소 지방에 소재 → 해외/수도권 엔지니어들의 지방근무 회피  젊은 층의 제조업 회피 → 조선 기능인력 부족 추진 과제  수도권, 대도시 소재 엔지니어링 센터 운영  대학과 연계한 기술개발 수행 확대  조선사 보유 기술교육원을 통해 현장 수요 맞춤식 기능인력 양성  보유기술의 정립 및 전수시스템 운영  필요시, 고기량 외국인 조선기능공의 도입 확대도 검토
  • 31. 기술/기자재 국산화 확대 31 원가경쟁력 확보 조선 기술/기능인력 수급 개선 현상  일반상선 기자재 국산화율은 90% 수준. 그러나 LNG운반선, 드릴십 등의 고부가가치선박의 기자재 국산화율은 60% 수준 추진 과제  조선사+학계+기자재업체 협력하여 자재/기술의 국산화 확대 → 원가절감, 기자재 업체와 동반 성장을 통한 조선산업 기반 강화 가능  국산화 완료 기술/자재의 국책사업 시범적용 확대로 Track- Record 확보  기술 및 자재 국산화 관련 정부지원 확대 (자금지원, 세제혜택 등) - LNG운반선 화물창 기술 로열티가 척당 1,000만불 수준 - FPSO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하역 설비) 선가의 10% 가량이 해외 엔지니어링 비용으로 지출 - 드릴십(시추선)의 메인 장비인 드릴링 장비/부품이 전량 해외 수입 사례
  • 32. 선박 건조 금융지원 확대 기술/기자재 국산화 확대 32 원가경쟁력 확보 조선 기술/기능인력 수급 개선 현상  선박 수주에서 인도까지 1.5~2년 소요 → 선박 건조에 소요되는 자재 구입자금, 선박 보험, 인건비, 운영비 등을 조선사가 감당  선주로부터 건조대금을 통상 5번에 걸쳐 수금 → 조선시장 침체로 대다수가 선박 인도시 수금 비중이 큰 Heavy Tail 방식으로 계약 → 조선사의 자금운용 어려움 가중 ※ 5회 : 계약, 착공(강재절단), 기공(탑재시작), 진수, 인도 추진 과제  국내조선소 선박 건조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선수금환급보증, 운영자금 지원, 선주사 한국조선소 발주시 금융 주선 등) [참고 : 선박대금 수취방식] ① Standard : 각 단계별 대금회수 비중에 따라 균등하게 수취 (평균 5회) ② Top-Heavy : 계약 시 많이 받는 Top-Heavy ③ Heavy-tail : 인도 시 잔금 비중이 높음
  • 33. 선박 건조 금융지원 확대 기술/기자재 국산화 확대 33 원가경쟁력 확보 조선 기술/기능인력 수급 개선 한국 해운산업 육성 현상  국수국조(國需國造) 기조 확대  자국 해운사 육성 지원 강화 추진 과제  글로벌 해운선사로의 성장 기대  정부의 해운산업 육성지원 강화 • 친환경 고효율 선박 발주시 금융 및 정책지원 • 동북아 국제 물류 중심지로서의 정부 정책의 실현 기대 • 해운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시행
  • 34. 선박의 크기 단위 34 단 위 설 명 해당 선종 DWT (Dead Weight Tonnage) 적재 가능한 화물 중량 톤수. 말 그대로 Dead Weight (최대적재량)를 넘기면 배가 죽는다는 의미. 탱커(원유, 정유운반선) 산적화물선 등 예) 300K VLCC TEU (Twenty foot Equivalent Units) 20피트 컨테이너 1개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20,000 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를 20,000개를 실을 수 있는 선박이라는 의미. 컨테이너운반선 예) 20,000 TEU 컨테이너선 CBM (Cubic Meter) 입방미터(㎥)로 부피의 단위. 1 CBM은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1m인 정육면체를 의미. 가스운반선 (LNG운반선, LPG운반선, 화학제품운반선) 예) 174K CBM LNG선 UNIT 단위 개수 1개를 의미. 10,000 UNIT은 자동차 10,000대 실을 수 있는 선박이라는 의미. 자동차운반선 예) 10,000 UNIT PCTC
  • 35. 35 국내최초LNG운반선건조 1994년 건조한 현대 유토피아호가 국내 제1호 LNG선입니다. 세계 최초선박2000척 인도 1974년 첫 선박을 인도한 이래 2015년 5월 드릴십 ‘오션 블랙라이언(OceanBlacklion)’호 를 미국 다이아몬드 오프쇼어(Diamond Offshore)사에 성공적으로 인도했다. 이는 현 대중공업이 2000번째로 인도한 선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