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복지국가 만들기와
비례대표제 확대 운동

   2012. 2. 13

  복지국가 Society
    이상구
2012년 대한민국의 문제
- 소득 양극화
- 비정규직 문제
- 청년 실업
- 고용 안정
- 물가 상승
- 중소기업의 몰락
- 과도한 생활비로 인한 가계 부담
- 재벌개혁, 검찰 개혁, 언론 개혁, 북핵 문제 해결, 평화
체재 구축
                                 1
복지국가와 청년 실업
        높은 수출 비중과
        위축된 내수 시장

         지나치게 낮은
        국가 재정의 역할

      보육(90%), 교육(90%),
       의료(90%), 주거,
       노후소득 보장 등의
         사회서비스를
          민간이 공급
       개인(가족)이 구매

       좋은 일자리의 부족
                          2
복지국가와 과도한 대학 등록금
        수출 대기업에 수익 집중

        대기업의 고용 창출 감소

          좋은 일자리의 부족

        스펙 쌓기와 좋은 대학 입학

        대학들의 공급자 독점(?)

          교육의 질과 무관한
            대학 등록금


                         3
국민소득 1만불과 2만불 시대의 복지 비용 비교

          1만불 시대 (%)          2만불 시대(%)
      달성 년도       사회복지지출    달성년도   사회복지지출
미국      1978        13.7    1988     14.1
일본      1981        10.4    1987     11.3
스웨덴     1977        27.8    1988     32.2
영국      1987        18.3    1996     22.8
독일      1979        25.7    1990     29.6
프랑스     1979        23.5    1990     30.1
호주      1980        11.7    1996     15.7
평균                  18.7             22.3

한국    1995/2002    5.3/NA   2007      5.7
2012년 대한민국 문제의 해결 방안


경제 개발 중심의 토목 건설 국가



 복지 국가 시스템으로의 전환

                     5
1. 복지국가 만들기와 장기 집권

- 복지국가 만들기에 4번의 집권 필요
- 단일 정당의 연속 국회 과반수 장악과 대통령 당선 (?)
- 합리적인 20년 장기 집권 방안
            비례 대표 확대


          다양한 소수 정당 출현


     정당 연합을 통한 공동 정부(연정) 구성



                                    6
2. 복지국가 만들기와 안정적인 국정운영

 51%의 득표로 집권한 여당 대통령의 국정장악 능력(?)

 150석 수준으로 여당이 된 정당의 법률 관철 능력(?)

 국회 몸 싸움 : 소수당의 다수당에 대한 합리적인 저항 수단

 국회 몸 싸움 : 지역구 재선을 약속하는 홍보의 장




     연립정부와 정당 연대로 70% 이상의

           정책 추진 세력 확보              7
3. 복지국가 만들기와 정치인의 정책 능력

 지역 활동가 출신 국회 의원의 국정 운영 능력 (?)

 지역구 재선 여부로 유지되는 정치 생명 : 지역에 all in

 분야별 정책 전문성의 발휘와 행정 공무원 장악

 첨예한 이해 관계 및 갈등의 조정과 합리적 대안 제시(?)




  비례 대표 확대를 통한 정책 전문가의 정치 진출

지역의 이해를 넘는 국가적 과제에 충실한 세력 확보
                                       8
4. 복지국가 만들기와 계층적 이해의 대변
 양당 제도에서의 지역 대표의 계층적, 계급적 대표성의 한계

 공공재인 복지국가 의제와 전국적 의제에 대한 추진 동력(?)

 지역구(지역단위 이권배분) 제도 보다 다양한 집단과 계층을 위
한 보편적 복지와 재정 지출 프로그램에 비례대표 제도가 효과적
(Alesina and Glaeser, 2005)




청년, 노인, 여성, 장애인, 저소득자, 노동자를 대변
    하는 정치세력의 원내 진출, 제도 구축
                                  9
복지국가와 청년 세력의 정치권 진출
    세대별 선거인수-투표자수 비율(2010 지방선거)

                     25
선거인 비율     투표자비율
20대 17.9%    13.4% 20
30대 21.4%    17.7%
40대 22.4%    22.5% 15
50대 17.2%    20.2%                           선거인수 비율
60대 19.4%    24.7% 10                        투표자수 비율
 40대 기점 투표율의 차이
20대,30대는 유권자에 비해      5
        저반영,
50대, 60대는 유권자 숫자에     0
                          20대   40대   60대이상
     비해 과대 반영
비례 대표 확대는
 복지국가 만들기의 정치적 토대


복지국가 만들기는 청년들의 미래 만들기




   청년들이 해야 할 일은 ?
                    11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김은선 어느 날 내게 다가온 비례대표제
김은선   어느 날 내게 다가온 비례대표제김은선   어느 날 내게 다가온 비례대표제
김은선 어느 날 내게 다가온 비례대표제politicsm
 
박제민 '나의 정치'를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
박제민   '나의 정치'를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박제민   '나의 정치'를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
박제민 '나의 정치'를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politicsm
 
06 토리 여성, 소수자에게 비례대표를 許하라
06 토리   여성, 소수자에게 비례대표를 許하라06 토리   여성, 소수자에게 비례대표를 許하라
06 토리 여성, 소수자에게 비례대표를 許하라politicsm
 
04 한상욱 신생정당과 비례대표제
04 한상욱   신생정당과 비례대표제04 한상욱   신생정당과 비례대표제
04 한상욱 신생정당과 비례대표제politicsm
 
00 김경미 pr청년포럼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
00 김경미   pr청년포럼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00 김경미   pr청년포럼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
00 김경미 pr청년포럼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politicsm
 
02 손정욱 경제민주화와 비례대표제
02 손정욱   경제민주화와 비례대표제02 손정욱   경제민주화와 비례대표제
02 손정욱 경제민주화와 비례대표제politicsm
 
01 조성주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방법
01 조성주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방법01 조성주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방법
01 조성주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방법politicsm
 
07 정수현 대학변화와 비례대표제
07 정수현   대학변화와 비례대표제07 정수현   대학변화와 비례대표제
07 정수현 대학변화와 비례대표제politicsm
 

Viewers also liked (10)

To my lovely son
To my lovely sonTo my lovely son
To my lovely son
 
김은선 어느 날 내게 다가온 비례대표제
김은선   어느 날 내게 다가온 비례대표제김은선   어느 날 내게 다가온 비례대표제
김은선 어느 날 내게 다가온 비례대표제
 
박제민 '나의 정치'를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
박제민   '나의 정치'를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박제민   '나의 정치'를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
박제민 '나의 정치'를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
 
06 토리 여성, 소수자에게 비례대표를 許하라
06 토리   여성, 소수자에게 비례대표를 許하라06 토리   여성, 소수자에게 비례대표를 許하라
06 토리 여성, 소수자에게 비례대표를 許하라
 
Pedro's slide show
Pedro's slide showPedro's slide show
Pedro's slide show
 
04 한상욱 신생정당과 비례대표제
04 한상욱   신생정당과 비례대표제04 한상욱   신생정당과 비례대표제
04 한상욱 신생정당과 비례대표제
 
00 김경미 pr청년포럼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
00 김경미   pr청년포럼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00 김경미   pr청년포럼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
00 김경미 pr청년포럼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
 
02 손정욱 경제민주화와 비례대표제
02 손정욱   경제민주화와 비례대표제02 손정욱   경제민주화와 비례대표제
02 손정욱 경제민주화와 비례대표제
 
01 조성주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방법
01 조성주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방법01 조성주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방법
01 조성주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방법
 
07 정수현 대학변화와 비례대표제
07 정수현   대학변화와 비례대표제07 정수현   대학변화와 비례대표제
07 정수현 대학변화와 비례대표제
 

Similar to 03 이상구 복지국가 만들기와 비례대표제 확대 운동

[2014] 복지국가-3
[2014] 복지국가-3[2014] 복지국가-3
[2014] 복지국가-3iambaeba1
 
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New Progressive Party of Korea
 
[2014] 복지국가-4
[2014] 복지국가-4[2014] 복지국가-4
[2014] 복지국가-4
iambaeba1
 
과밀사회(overpopulation)
과밀사회(overpopulation)과밀사회(overpopulation)
과밀사회(overpopulation)
일주 전
 
경제성장을 위한 '복지투자'
경제성장을 위한 '복지투자'경제성장을 위한 '복지투자'
경제성장을 위한 '복지투자'
태형 김
 
매니페스토 선거공약(시연용)
매니페스토 선거공약(시연용)매니페스토 선거공약(시연용)
매니페스토 선거공약(시연용)병우 조
 
인천여성회
인천여성회인천여성회
인천여성회마 법사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
welfarestate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승지 김
 
한국고령화
한국고령화한국고령화
한국고령화
ByungSang Jeon
 
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
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
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대익 권
 
[대학내일20대연구소] 대한민국 20대 정치성향 조사 (연구리포트 2016-07)
[대학내일20대연구소] 대한민국 20대 정치성향 조사 (연구리포트 2016-07)[대학내일20대연구소] 대한민국 20대 정치성향 조사 (연구리포트 2016-07)
[대학내일20대연구소] 대한민국 20대 정치성향 조사 (연구리포트 2016-07)
20slab(대학내일20대연구소)
 
170615 사민주의01 교육_박영욱
170615 사민주의01 교육_박영욱170615 사민주의01 교육_박영욱
170615 사민주의01 교육_박영욱
Youngwook Park
 
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
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
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
Minsuk Chang
 
Chris luebkeman tool kit
Chris luebkeman tool kitChris luebkeman tool kit
Chris luebkeman tool kit
Ji_hyun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Seung-Woo Kang
 
진보세대가 지배한다.
진보세대가 지배한다.진보세대가 지배한다.
진보세대가 지배한다.
kdubum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
welfarestate
 
[2014] 복지국가-2
[2014] 복지국가-2 [2014] 복지국가-2
[2014] 복지국가-2
iambaeba1
 

Similar to 03 이상구 복지국가 만들기와 비례대표제 확대 운동 (20)

[2014] 복지국가-3
[2014] 복지국가-3[2014] 복지국가-3
[2014] 복지국가-3
 
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2014] 복지국가-4
[2014] 복지국가-4[2014] 복지국가-4
[2014] 복지국가-4
 
과밀사회(overpopulation)
과밀사회(overpopulation)과밀사회(overpopulation)
과밀사회(overpopulation)
 
경제성장을 위한 '복지투자'
경제성장을 위한 '복지투자'경제성장을 위한 '복지투자'
경제성장을 위한 '복지투자'
 
매니페스토 선거공약(시연용)
매니페스토 선거공약(시연용)매니페스토 선거공약(시연용)
매니페스토 선거공약(시연용)
 
인천여성회
인천여성회인천여성회
인천여성회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한국고령화
한국고령화한국고령화
한국고령화
 
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
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
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
 
[대학내일20대연구소] 대한민국 20대 정치성향 조사 (연구리포트 2016-07)
[대학내일20대연구소] 대한민국 20대 정치성향 조사 (연구리포트 2016-07)[대학내일20대연구소] 대한민국 20대 정치성향 조사 (연구리포트 2016-07)
[대학내일20대연구소] 대한민국 20대 정치성향 조사 (연구리포트 2016-07)
 
170615 사민주의01 교육_박영욱
170615 사민주의01 교육_박영욱170615 사민주의01 교육_박영욱
170615 사민주의01 교육_박영욱
 
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
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
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
 
Chris luebkeman tool kit
Chris luebkeman tool kitChris luebkeman tool kit
Chris luebkeman tool kit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진보세대가 지배한다.
진보세대가 지배한다.진보세대가 지배한다.
진보세대가 지배한다.
 
진보 세대가 지배한다
진보 세대가 지배한다진보 세대가 지배한다
진보 세대가 지배한다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
 
[2014] 복지국가-2
[2014] 복지국가-2 [2014] 복지국가-2
[2014] 복지국가-2
 

03 이상구 복지국가 만들기와 비례대표제 확대 운동

  • 1. 복지국가 만들기와 비례대표제 확대 운동 2012. 2. 13 복지국가 Society 이상구
  • 2. 2012년 대한민국의 문제 - 소득 양극화 - 비정규직 문제 - 청년 실업 - 고용 안정 - 물가 상승 - 중소기업의 몰락 - 과도한 생활비로 인한 가계 부담 - 재벌개혁, 검찰 개혁, 언론 개혁, 북핵 문제 해결, 평화 체재 구축 1
  • 3. 복지국가와 청년 실업 높은 수출 비중과 위축된 내수 시장 지나치게 낮은 국가 재정의 역할 보육(90%), 교육(90%), 의료(90%), 주거, 노후소득 보장 등의 사회서비스를 민간이 공급 개인(가족)이 구매 좋은 일자리의 부족 2
  • 4. 복지국가와 과도한 대학 등록금 수출 대기업에 수익 집중 대기업의 고용 창출 감소 좋은 일자리의 부족 스펙 쌓기와 좋은 대학 입학 대학들의 공급자 독점(?) 교육의 질과 무관한 대학 등록금 3
  • 5. 국민소득 1만불과 2만불 시대의 복지 비용 비교 1만불 시대 (%) 2만불 시대(%) 달성 년도 사회복지지출 달성년도 사회복지지출 미국 1978 13.7 1988 14.1 일본 1981 10.4 1987 11.3 스웨덴 1977 27.8 1988 32.2 영국 1987 18.3 1996 22.8 독일 1979 25.7 1990 29.6 프랑스 1979 23.5 1990 30.1 호주 1980 11.7 1996 15.7 평균 18.7 22.3 한국 1995/2002 5.3/NA 2007 5.7
  • 6. 2012년 대한민국 문제의 해결 방안 경제 개발 중심의 토목 건설 국가 복지 국가 시스템으로의 전환 5
  • 7. 1. 복지국가 만들기와 장기 집권 - 복지국가 만들기에 4번의 집권 필요 - 단일 정당의 연속 국회 과반수 장악과 대통령 당선 (?) - 합리적인 20년 장기 집권 방안 비례 대표 확대 다양한 소수 정당 출현 정당 연합을 통한 공동 정부(연정) 구성 6
  • 8. 2. 복지국가 만들기와 안정적인 국정운영  51%의 득표로 집권한 여당 대통령의 국정장악 능력(?)  150석 수준으로 여당이 된 정당의 법률 관철 능력(?)  국회 몸 싸움 : 소수당의 다수당에 대한 합리적인 저항 수단  국회 몸 싸움 : 지역구 재선을 약속하는 홍보의 장 연립정부와 정당 연대로 70% 이상의 정책 추진 세력 확보 7
  • 9. 3. 복지국가 만들기와 정치인의 정책 능력  지역 활동가 출신 국회 의원의 국정 운영 능력 (?)  지역구 재선 여부로 유지되는 정치 생명 : 지역에 all in  분야별 정책 전문성의 발휘와 행정 공무원 장악  첨예한 이해 관계 및 갈등의 조정과 합리적 대안 제시(?) 비례 대표 확대를 통한 정책 전문가의 정치 진출 지역의 이해를 넘는 국가적 과제에 충실한 세력 확보 8
  • 10. 4. 복지국가 만들기와 계층적 이해의 대변  양당 제도에서의 지역 대표의 계층적, 계급적 대표성의 한계  공공재인 복지국가 의제와 전국적 의제에 대한 추진 동력(?)  지역구(지역단위 이권배분) 제도 보다 다양한 집단과 계층을 위 한 보편적 복지와 재정 지출 프로그램에 비례대표 제도가 효과적 (Alesina and Glaeser, 2005) 청년, 노인, 여성, 장애인, 저소득자, 노동자를 대변 하는 정치세력의 원내 진출, 제도 구축 9
  • 11. 복지국가와 청년 세력의 정치권 진출 세대별 선거인수-투표자수 비율(2010 지방선거) 25 선거인 비율 투표자비율 20대 17.9%  13.4% 20 30대 21.4%  17.7% 40대 22.4%  22.5% 15 50대 17.2%  20.2% 선거인수 비율 60대 19.4%  24.7% 10 투표자수 비율 40대 기점 투표율의 차이 20대,30대는 유권자에 비해 5 저반영, 50대, 60대는 유권자 숫자에 0 20대 40대 60대이상 비해 과대 반영
  • 12. 비례 대표 확대는 복지국가 만들기의 정치적 토대 복지국가 만들기는 청년들의 미래 만들기 청년들이 해야 할 일은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