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3
Download to read offline
since 2006
10 t h A n n i v e r s a r y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주년기념총회
일시 : 2016년 6월 25일 (토) 15시
장소 : 서울시 NPO 지원센터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로운 새사연에 박수를 보냅니다
장강은 앞물결을 뒷물결이 밀어내며 앞으로 나아간다고 합니다. 새사연이 창립 10년을 맞아 새롭게
출범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 떠오른 말입니다. 축하합니다. 새 진용으로 고통 받고 있는 민중과 민족에게 더
가깝게 다가서리라 믿습니다.
새삼 2006년 새사연을 창립할 때가 떠오릅니다. 그날 드린 약속, 신자유주의를 몰아내고 통일을 이룰
비전과 정책으로 진보세력의 통합을 이루겠다는 다짐을 돌아보면 부끄러움이 앞섭니다. 이사장 자리에서
물러난 2012년 총회 날, 대안을 담아 출간한 『리셋코리아』를 내놓기까지 여러모로 열악한 조건에서 연구원
상근자들을 닦달하며 ‘배수진’을 쳐야 했습니다. 이사장 임기 종반에 ‘진보대통합 시민회의’ 창립에 나서고
상임공동대표를 맡으며 거리로도 나갔지만 ‘집권 가능한 진보정당’을 민중과 민족 앞에 내오지 못했습니다.
뜻을 이루지 못하면 물러나 후학을 가르치라는 옛말은 당시 저의 무능을 가릴 좋은 핑계가 되었습니다.
연구원을 떠나 대학에 머문 지난 4년, 20여 권의 책을 쓰고 새로운 사회의 꿈을 젊은 세대와 소통하면서도
새사연 회원들이 늘 앙가슴에 자리해왔습니다.
오늘, 새사연은 새 진용을 갖추었습니다. 새 이사장과 새 원장이 뜨거운 열정에 값하는 책임을 비로소
맡았기에 기대가 더 큽니다. 상대적 침체기를 씩씩하게 벗어나길 기원합니다. 새 집행부가 학습모임의
네트워크화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혀 든든합니다.
장강의 뒷물결은 앞물결이 나아가는 힘이기도 하다지요. 새사연에서 일하던 시기에 주창한 ‘학습과 토론과
소통’을 저는 지며리 실행해가겠습니다. 새로 출범하는 새사연은 더 큰 길을 내어가리라 믿습니다. 박수를
보내며 존경하는 회원님들께 머리 숙여 인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손석춘
(초대 원장.이사장, 현 건국대 교수)
1. 새사연 사업 보고
(전체 10년, 최근 3년 보고)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사연의 10년, 어제와 오늘
정회원 - 일반회원 비중 변화 (2006~2015, 단위: %)
정회원 92명, 일반회원 1,067명의 2006년
10년 전 새사연은 총 1159명의 회원과 함께 새로운
사회를 향한 첫 걸음을 내딛었습니다.
그리고 2016년 현재, 새사연은 정회원 812명, 일반
회원 10,634명, 도합 11,446명의 회원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강산도 변한다는 10년, 수많은 진보 단체들이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동안 새사연이 여전히 제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것은 회원 여러분이 새사연의 든든한
두 다리가 되어주신 덕분입니다.
7.9
12.7 15.8 14.3 12.2 10.7 9.5 8.8 8.1 7.1
92.1
87.3 84.2 85.7 87.8 89.3 90.5 91.2 91.9 92.9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정회원(유료회원) 일반회원(무료회원)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사연의 10년, 어제와 오늘
성별로
본
정회원
현황
(2006
→
2016)
여성 회원의 약진
2006년 설립 당시 새사연 정회원의 성별 구성은 남성 회원 84%,
여성 회원 16%로 남성 회원이 압도적이었습니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새사연의 정회원 성별 구성은
남성 회원 74%, 여성 회원 26% 입니다.
여전히 남성 회원 비중이 우세하지만, 여성 회원의 비율이 약 10%P
가량 늘어나 성비 불균형이 어느 정도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0년 동안 10%P가 증가했으니, 1년에 1%P씩 꾸준히
늘어난 셈입니다.
연령별
본
정회원
현황
(2006
→
2016)
여전히 유효한 ‘40대 기수론’
2006년, 40대인 새사연 정회원은 54%로 전체 정회원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뒤이어 30대 정회원이 23%, 50대 정회원이
21%, 60대 이상 회원과 20대 이하 회원이 각각 1%를
기록했는데요, 설립 당시 40대 정회원의 비중이 높았던 것은
새사연을 세운 생활인 모임인 ‘100인 이사회’의 평균 연령대가 40
대였던 것과 연관 지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16년 현재, 전체 정회원 중 40대 정회원은 44%로 여전히
타 연령대에 비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50대
정회원은 29%, 30대 정회원은 20%, 60대 이상 정회원은 4%, 20대
이하 정회원은 3%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새사연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것은 40대 회원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새사연에서 ‘40대 기수론’은 여전히 유효한
셈입니다.
20대 이하
1%
30대
23%
40대
54%
50대
21%
60대 이상
1%
20대 이하
3%
30대
20%
40대
44%
50대
29%
60대 이상
2006 2016
2006 2016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사연의 10년, 어제와 오늘
지역별
정회원
현황
(2006
→
2016)
소폭 완화된 수도권 집중현상
10년 전, 새사연 정회원의 지역별 현황은 서울 38%, 경기 22%, 인천
9%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회원이 약 70%에 달했습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단체이니만큼 정회원의 대부분이 수도권에
분포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지난 10년간 새사연은 광주전남 및 제주에
새사연 지부를 두고 전국 강연을 도는 등, ‘수도권 집중현상’을
완화시키고자 애써왔습니다.
2016년 현재 정회원의 분포는 수도권에 67%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구·경북 및 전주·전북 지역의 회원 분포율이 3%에서 4%, 광주·전남
지역 회원이 5%에서 7%, 대전·충청 지역의 회원이 2%에서 6%, 강원
지역이 1%에서 2%로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회원 비중이
소폭 상승하긴 했으나 여전히 수도권에 대다수의 회원이 몰려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의 10년은 지역 활동을 눈에 띄게 늘리는 기간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회원
구분별
후원금
납부
비율
(2006
→
2016)
진정한 ‘생활인 중심’ 연구원으로
2006년 당시 새사연의 후원금의 상당 부분은 5만원 이상의
고액회원이 책임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고액회원의 대부분은
새사연의 임원 및 운영위원이었습니다. 고액회원의 비중은 전체
회원의 20.4%였고, 이 20.4%의 고액회원이 전체 후원금의 76%를
납부하는 구조여서 고액회원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았는데요,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고액회원의 비중은 전체 회원 중 6.6%로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들이 납부하는 후원금의 비중 역시
33.1%로 눈에 띄게 감소되었습니다. 반면 십시일반 성원을
보내주시는 회원의 비중은 93.4%로 늘었고, 회원의 후원금 납부 비중
역시 66.9%로 대폭 상승했습니다. 새사연이 설립 당시부터 지금까지
한결같이 강조해 온 ‘생활인 중심 모델’이 성공적으로 안착된
결과입니다.
서울
40%
경기
23%
광주전남
7%
부산경남
6%
대전충청
6%
대구경북
4%
인천
4%
전주전북
4%
해외기타
2%
제주
2%
강원
2%
서울
38%
경기
22%
인천
9%
강원
1%
대전충청
2%
대구경북
3%
부산경남
7%
전주전북
3%
광주전남
5%
제주
10%
2006 2016
2006 2016
회원 60.8%가
회비의 24%
책임
고액회원
20.4%가
회비의 76%
책임
회원
93.4%가
회비 66.9%
책임
고액회원
6.6%가
회비의
33.1% 책임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년 간의 새사연 연구 (2006~2008)
2006 2007 2008
대안연구의
시작
베네수엘라,
혁명의 역사를 쓰다
21세기 혁명의 사례로
베네수엘라 차베스 실험과
이의 함의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상상력
노동 주도형 경제, 통일
민족경제, 국민직접정치 등
진보적 정책 대안 제안
우리농업, 희망의 대안
한미FTA로 맞은 농업의
위기를 극복할 대안으로
당사자 국민농업을 제안
새사연 대안 캠프
경제대안, 통일경제 및
남북관계 전망, 베네수엘라+
대안주체, 국민주권운동 등
새사연 대안을 프로그램으로
마련해, 생활인과 만나는
오프라인 캠프, 정책회원 제안
새로운 사회를 여는
희망의 조건
노동자와 농민,
영세자영업인, 청년학생의
'오늘'을 진단
우리 언론, 무엇으로
다시 살 것인가
저널리즘 위기의 극복
대안으로 미디어 개혁입법과
개혁위원회 구성, 교육개혁을
제안
신자유주의에 맞설
대안 사회
올바른 언론개혁 방안
한국 사회의 진보적 대안
농업 위기의 극복 대안
대안 정책 소개 및
생활인과 호흡
새로운 사회를
열 주체 분석
민주주의 실현 방안
주권혁명
참여가 아니라 직접정치를
시대정신으로 재설정해,
정치가 국민 대다수의 뜻에
따라 움직이는 체제로의 전환
분과모임
보건의료, 교육, 노동, 통일,
농업, 언론,
종교 등 분야별 혹은 지역별
정기 모임
한국 사회 대안의 방향과 이를 열어갈 사람을 고민하다
1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년 간의 새사연 연구 (2008~2012)
신자유주의 이후의
한국경제
미국발 금융위기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우리
경제구조의 근본적 전환 조언
이명박 시대의 대한민국
신자유주의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우리 사회
12개 분야별 핵심 의제 분석
교사 대상 직무연수
초중고 교사 중심의
경제교육으로, 거시경제와
금융, 언론 속 경제, 재무설계
등을 아우르는 교육 시행
2010 성장률 속에 감춰진
한국사회의 진실
경제위기의 단기 대응으로는
'고용빙하기'와 막대한
'가계부채' 막지 못해 문제
신자유주의
와
대한민국
보수정권
10년의
시작
리셋 코리아
2012년 대선을 앞두고
진보개혁 세력의 사회경제
10대 아젠다 제안
2008 2009 2010 2012
전환기 세계경제와
한국경제 전망
손에 잡히는
생활경제 교육
진보 개혁의 청사진
신자유주의 문제와
이후 대안보수 정부 향후 5년 전망
보수 정권 10년의 시작점에 서며, 신자유주의 몰락과 이후 경제 대안 등을 담은 진보 개혁의 청사진을 그리다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년 간의 새사연 연구 (2013~2016)
협동의 경제학
주류경제학을 비판하고,
대안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경제와
협동조합 운동 제안
청춘의 가격 (집필 중)
고용, 소득과 소비, 주거
등을 통해 표현되는
오늘날 대한민국
청년 세대의 고단함과
희망에 대한 이야기
선언
돈 중심 사회에서
사람 중심의 사회와
생태계로의 전환 선포
2013 2014 2015 2016
전환기 한국사회 담론
한국 청년세대의 위기
한국사회 불평등의 구조
자본주의 대안 경제
현장과 학습 소모임
청년정치, 사회주택협동조합,
마더센터, 여성주의,
사회적경제와 복지국가,
국제개발(외부 단체) 등과
결합한 소모임 시행
새사연 아카데미
현대사와 부동산 영역의
전문가를 초빙해
3~5회에 걸쳐 진행된
전문 강연
월례포럼 '확신광장'
교육, 경제, 언론, 노동, 정치
등 다영한 영역에 걸쳐
시의성 높은 주제로
한국 사회 진단과 대안을
찾고자 한 월례 집담회
분노의 숫자
교육, 노동, 주거,
건강, 기업, 가계부채 등
출생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숫자로 읽는 대한민국 불평등
보고서
사회적 경제 학교
신뢰와 협동을 바탕으로 사회적 딜레마를 해결하고자 한 교육
사회적경제 확산, 사회적경제 내용 발전, 네트워크 확산
등의 방안에 대해 주로 논의
대안경제
생활연구
한국 사회 민주주의 후퇴와 저성장에 맞서, 우리 사회 불평등 구조와 위기의 청년세대를 고민하며, 새로운 사회담론을 나누다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2013년 새사연 연구 내용
박근혜 정부 5년 전망을 시작으로 경제민주화와 복지국가 논의를 제기했으며, 신자유주의로 인한 소득양극화와 불평등에 주목해 내부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특히, '분노의숫자' 연재 코너를 열어 OECD 국가와 한국 사회 불평등을 비교하고, 세계주택협동조합 외국 사례를 소개하는 글로 큰 반향을 얻었습니다. 또한
사회적경제, 청년과 노동,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경제교과서 기초안 등 현장형 연구에도 적극 참여했습니다.
믽
2013년 연구 주요 키워드
분야 프로젝트 명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현황조사 및 로드맵 개발
-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현황조사
서울시 사회적경제 5개년 계획 수립 연구
「실패와 위기 사례에서 배우는 협동조합」책자 제작
강동구 지역밀착형 마을기금 설립방안 연구
2013년 서울시 사회적경제 상반기 교육 운영지원 사업
청소년용 사회적경제 교재 「사회적경제, 참좋다!」 제작
「청년 협동조합 생태계지원 프레임워크」 설계를 통한
서울시 지원체제 구축 방안 조사 연구
임금, 노동시간, 일자리 전환 로드맵
공공주택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조합설립 지원 용역
경제교과서 경제 교과서 보완자료 개발 연구용역
교육 한국 사교육 실태 해부 및 과제 도출
사회적경제
청년과 노동
2013년 현장 참여형 연구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2014년 새사연 연구 내용
2014년 연구 주요 키워드 2014년 현장 참여형 연구
분야 프로젝트 명
청년일자리 서울시 청년일자리 정책방향 및 계획수립 연구
돌봄 지역의 사회적 경제 돌봄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지역화폐 강원도 지역통화 유통 방안 조사 연구
공공주택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조합설립 지원 용역-화곡동 청년주택
2013년 연구를 기초로 한국사회 불평등 구조를 밝힌 '분노의숫자'를 출간하고, 대안 경제학의 일환으로 펴낸 '협동의 경제학'으로 전국 지역 현장에
찾아가는 강연을 이어갔습니다. 청년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설립을 지원하고, 강원도 단위에서 실험 가능한 지역화폐 연구도 본격화했습니다. 또한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돌봄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등 2014년에는 대안 정책을 주체와 소통하며 현실화하는 경험을 높였습니다.
믽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2015년 새사연 연구 내용
2015년 연구 주요 키워드 2015년 현장 참여형 연구
분야 프로젝트 명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활성화방안 연구용역
성남시 맞춤형 리모델링 지원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
경기도형 공동체 주거 모델 발굴 연구
사회적경제 마포구 사회적경제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지역공동체 한국형 '마더센터'의 성장 가능성 탐색
청년뉴딜사업 성과지표 개발연구
성남시 청년배당
노동시장 통신산업의 구조변화와 노동시장 연구
공공성 별정우체국의 공공성과 사회적 기여에 대한 기초연구
공공주택 및
주거환경
청년
'분노의숫자' 책 후속작업으로 한국사회 불평등 분야별 지표를 온라인 홈페이지에 게재해 인포그래픽으로 가독성을 높이고, 최저임금 논쟁, 기업형
임대주택사업, 청년 니트족과 국민연금, 저출산 이슈를 다뤘습니다. 지방자치 단위에서 실행 가능한 공동체 주거 모델을 발굴하고, 성남시 청년배당을
제안하는 정책 실행과정과 청년뉴딜사업 성과지표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또한 지역공동체의 육아 대안으로 한국형 마더센터 논의를 띄워 지역 사례를
모델화하는 연구도 진행했습니다.
믽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회원 & 미디어 (2013~2016)
회원
만남
(2013
~
2015)
2013 2014 2015
미디어
현황
(2015.
06
~
2016.
05) 언론보도
연 104회
페이스북 좋아요 수
총 10,203명
(2016.05.31 기준)
블로그 방문자 수
월 평균 12,638명
홈페이지 방문자 수
월 평균 18,194명
뉴스레터 구독자
총 11,446명
(2016.05.31 기준)
2. 총회 의결 결과 보고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총회 의결 결과
투표일시: 2016년 6월 13일 ~ 2016년 6월 22일 (총 10일)
의결정족수: 671명 (정회원 중 2015년 기준 1회 이상 회비 납부 회원)
전체 투표현황: 377명 (56.2%)
분류 내용 찬성 반대 기권 찬성 (%) 반대 (%) 비고
강세진 373 4 0 55.6% 0.6%
권순형 371 4 2 55.3% 0.6%
박세길 370 4 3 55.1% 0.6%
유재석 361 13 3 53.8% 1.9%
이은경 370 4 3 55.1% 0.6%
이종필 367 6 4 54.7% 0.9%
정경진 350 23 4 52.2% 3.4%
정명수 357 16 4 53.2% 2.4%
정승일 373 0 4 55.6% 0.0%
정희용 370 3 4 55.1% 0.4%
최정은 369 3 5 55.0% 0.4%
박승두 367 5 5 54.7% 0.7%
이상동 369 3 5 55.0% 0.4%
이사장 고병수 360 12 5 53.7% 1.8%
원장 진남영 367 5 5 54.7% 0.7%
법인의 목적을 ‘통일과 관련된 연구 수행’에서 ‘정치⋅사회⋅
경제⋅복지⋅문화’ 등 종합적 영역으로 확대하는 안
351 12 14 52.3% 1.8%
이사회에 상근직원인 연구원을 1인 이상 포함하여 실무자
의 의견을 반영한 민주적 의사결정을 도모하는 안
360 3 14 53.7% 0.4%
서면총회 및 온라인총회 근거를 마련하여 총회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안
362 0 15 53.9% 0.0%
정관의 기술을 ‘1항 ①호’ 형태에서 일반적 통례에 맞추어
‘①항 1호’ 형태로 수정하는 안
362 0 15 53.9% 0.0%
이전 연도 결산 승인 353 9 15 52.6% 1.3%
2016년 사업계획 승인 353 9 15 52.6% 1.3%
2016년 예산 승인 356 6 15 53.1% 0.9%
이사
감사
전원
통과
이사회 위임
정관
전안
기각
전안
통과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생활인 이사회
이사
주요경력 및 약력
강세진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이사
마을공동체연구협동조합 감사
공학박사 (도시계획 전공)
권순형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연구원
前 성남시청 리모델링지원팀장
한성대학교 부동산학 박사
박세길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
새사연 창립 멤버로서 초대 부원장 역임
1990년대 후반부터
진보적 사회단체 상근자로 활동
저서로서 <다시쓰는 한국현대사 3권>
<선언> 외 다수
유재석
現 정보통신 컨설턴트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이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창립회원
이름 주요경력 및 약력
이은경
現 경희대학교 연구교수
前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연구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
이종필
現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지원센터
선임 코디네이터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 이사
사단법인 마을 이사
前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근무
정경진
現 정경진 한의원장
前 새로운 사회를여는 연구원 이사장
경기도 한의사회장
정명수
現 반값등록금실현을 위한
학부모모임 공동대표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이사
이름 주요경력 및 약력
정승일
現 민주노총 사무금융서비스노조
정책연구소 소장
사회연대저널 기획위원장 활동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운영위원
2002 베를린자유대학 정치경제학 박사
저서 2005 <쾌도난마 한국경제>
2012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장하준과 공저
정희용
現 도서출판 원더박스 편집장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이사
前 새사연 미디어센터장
도서출판 부키 기획부장
최정은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사회정책 연구원
연세대 지역학 석사 졸업
이름
투표일시: 2016년 6월 13일 ~ 2016년 6월 22일 (총 10일)
전체 투표현황: 377명 (56.2%)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생활인 이사회
감사
투표일시: 2016년 6월 13일 ~ 2016년 6월 22일 (총 10일)
전체 투표현황: 377명 (56.2%)
주요경력 및 약력
박승두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감사
회계사
이상동
前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부원장
시민참여연구센터 사무국장
이름
이사장 원장
주요경력 및 약력
고병수
現 탑동365일의원 원장
일차의료연구회 회장
이름 주요경력 및 약력
진남영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부원장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이사
부동산학 박사
이름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장 추천사
10년쯤을 만나고 보니 사람이 보인다.
10여 년 전 새사연이 만들어질 무렵 운영위원의 한 사람으로 참여한 고병수 의사를 처음 만났다. 그는 당시 구로 지역에서 개원 중인 작은 개인의원의 원장이었다. 아직 초짜 원장 시절이라
병원 운영에만 몰두해도 시간이 모자랄 때였지만 고병수 원장은 새사연 활동에 어느 누구보다 열성을 보였다. 새사연에 합류하기 전 그는 개혁당 활동에 많은 애정을 기울이며 새로운
시민정당 활동에 정성을 기울이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노무현 대통령 당선 이후의 실망스런 국정을 보면서 ‘대통령 한 사람만으로 사회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현실을 목도하며
새사연과 같은 싱크탱크의 필요성을 절감하던 차였다’고 참여 동기를 밝히던 그의 사람 좋은 눈빛이 지금도 생생하다.
고 원장을 만나본 사람은 대략 세 번쯤은 그의 인물 됨됨이에 감탄하게 된다. 우선 20대 대학생에게도 밀리지 않는 체력과 지칠 줄 모르는 열정이다. 새사연 의료 종사자들의 모임인
보건복지 모임은 고 원장의 구수한 넉살과 열정 그리고 새벽 동틀 때까지 이어지는 술자리로(아마 후자의 힘이 더 강했던 것 같긴 하지만) 끈끈하게 이어져 갓 출범한 새사연이 조기
정착하는 데 많은 힘을 실어 주었다.
두 번째는 전혀 의사스럽지(?) 않은 소탈하고 낙관적인 성격과 속 깊은 마음이다. 2009년 무렵 그는 지역에 기반한 시민 운동과 의료 시스템을 일구어 보겠다고 고향 제주로 내려갔다.
제주에서도 고 원장은 몸은 새사연 사무실과 가장 멀리 떨어졌을지나, 마음은 항상 새사연 최근거리에 머물러 있었다. 철마다 감귤을 비롯해 제주 특산물을 사무실로 올려 보내 상근자들을
격려하고 새사연 회원들이 제주를 방문하면 언제나 VIP 접대와 술친구를 자청했다. 서울에서 이사회가 열리는 날이면 고 원장은 병원 근무를 마치고 번개처럼 비행기로 날아와 회의에
참석해야 했다. 뒤풀이까지 마친 뒤 찜질방에서 쪽잠을 자고 다음날 새벽 다시 제주의 병원으로 향하는 1박2일 일정이 필수였다. 한번쯤은 툴툴거릴 만도 하건만 늘 자신의 불편함은
드러내지 않고 새사연 사업에 대한 관심과 열정으로 다른 사람들을 고무했다.
세 번째는 앞의 두 면모와는 조금 다르게 오랫동안 그를 지켜보아야 발견할 수 있는 특성이다. 의리의 돌쇠 같은 고 원장의 내면에는 끈질기고 긴 호흡과 현장 전문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일상 생활에서 진보의 초석을 다져 나가는 상당히 용의주도한 활동가의 면모가 숨쉬고 있다. 인술을 펼치는 활동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리고 해외봉사단체의 재난구호팀장으로 일한다고
들었는데, 2014년 5월 어느 날엔가는 네팔 대지진 현장에서 있다고 알려오기도 했다.(맞다. 나도 깜박하곤 하는데 그는 의사이다)
그뿐인가. 대체 몸이 몇 개인지 이런 와중에도 한국 의료 체제의 맹점을 기초 단위에서부터 다시 세우기 위한 일차 의료 연구 작업을 진행하고 국민 주치의 제도에 관한 책을 집필해
출간했으며 현재는 이를 조직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보건의료 전문가 모임인 <일차 의료 연구회>를 꾸리고 회장으로 일하고 있다.(그렇다. 그는 그냥 의사가 아니고 의료 시스템의 근본적
개혁을 도모하는 매우 전문적이고 개혁적인 의사이다)
창립 당시부터 ‘생활인에 기초한 진보’를 추구해온 새사연의 모토에 고 원장만큼 부합하는 인물을 찾기도 쉽지 않다. 10주년을 맞아 이제 제2의 도약을 준비해야 할 새사연에는 기관차
같은 추진력과 샤프한 전문성 그리고 여전히 넉넉하고 낙관적인 생활인의 면모가 절실하다. 고병수 원장은 지난 기간 동안 누구보다 이를 몸으로 실천해온 동료이다.
흐뭇한 마음으로 그리고 듬직한 믿음감으로 고병수 원장을 새사연 이사장 후보로 추천한다.
- 정희용 /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
몸은 가장 먼 곳에, 마음은 가장 가까운 곳에 머무는 진정한 새사연인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원장 추천사
진남영 현 부원장을 차기 원장으로 추천합니다. 명확한 이유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남들이 위기라고 하는 시기를 도약을 위한 준비기로 만든 주역입니다.
한 조직 사회를 이끌 진정한 리더는 어려울 때 빛을 내는 법입니다. 지난 3년 새사연은 객관적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그러나 결과는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기간으로
되었습니다. 그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한 복판에 진남영 원장 후보가 있었습니다. 이사진과 상근자를 추스르면서 매우 높은 수준의 팀웤을 일구어냈습니다. 무보수로 산근하면서 각종
프로젝트를 통해 재정 문제도 책임져 왔습니다.
둘째 현장 중심 연구 모델을 정착시키는데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습니다.
앞으로 새사연이 지향해야할 모델은 현장 중심 연구입니다. 새로운 사회를 여는 싹은 현장에서 자라납니다. 새로운 사회의 대안을 탐색해야 하는 입장에서 답은 언제나 현장에서
찾아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바로 그 점에서 진남영 원장 후보는 부동산과 주거 대안 연구에서 훌륭한 모범을 세웠습니다. 새사연은 이러한 성과를 일반화시켜 나가는 방향에서
새로운 연구 체계를 세울 것입니다.
셋째 청년 세대와의 깊은 교감을 나누어 왔습니다.
새로운 사회 비전을 마련하는데 세대 차이가 있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굳이 따지자면 미래의 주역인 청년세대가 더 절실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새사연이
청년세대에 대해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갖고 접근해야할 이유입니다. 바로 이점에서 진남영 후보는 민달팽이유니온 등의 활동을 통해 누구보다도 청년세대를 잘 이해하고 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안목을 보여 왔습니다.
새사연은 10년의 역사를 딛고 새로운 출발을 기약해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리더라면 그의 모습에서 새로운 미래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시기에 진남영 후보는
검증된 후보로서 새로운 새사연을 이끌어갈 최적임자임에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적극적인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 박세길 /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
10년의 역사를 딛고 새로운 미래를 발견할 리더
3. 향후 계획 발표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사연 10주년, 새로운 도약의 출발에 서다
지난 시간 새사연은 외부에서 보기에는 어쩌면 유지조차 쉽지 않은
위기의 순간들을 보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새사연은 이 기간 동안
내부 팀워크를 다지고 현장 중심 연구 모델을 창출함과 동시에 연구
플랫폼으로서 가능성을 꾸준히 탐색해 왔습니다.
새로운 도약기로 만들고자 많은 분들을 만나고 의견을 경청했습니다. 10
여 년 전 대안 정책을 만들고자 생겨난 수많은 진보 민간 싱크탱크가
확장성을 잃어갈 때, 새사연은 명맥을 이어가며 사회 변화에 목소리를
내왔습니다.
역사의 변곡점을 통과하면서 기성의 이론과 처방은 갈수록 그 효용성이
떨어져가고 있습니다. 지금의 한국 경제 현실을 주의 깊게 통찰하면 쉽게
알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그 만큼 새로운 사회의 비전과 정책 대안에 대한 대중의 요구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새사연이 자기 몫을 제대로 하면 대중의 호응과
지지 동참이 폭발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도 보여주는 지점입니다.
미래 의제를 다루는 새사연이 본궤도에 오른다면 그 이상의 대중적
동참을 이끌어낼 가능성은 얼마든지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새사연 앞에 열린 무한한 가능성
2016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연구 시스템,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역사의 변곡점을 통과하는 시기에는 기존의 지적
유산에 의존해서 대안을 찾을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면에서 새로운 미래의 싹을 보여주는
곳은 현장입니다. 현장에 밀착하여 연구를 진행할
때 새로운 사회의 비전과 정책 대안을 찾고 제시할
수 있습니다.
지난 3년간 부동산과 주거대안, 복지, 의료, 노동,
마을공동체, 사회적경제 등의 연구에서 충분히
경험한 바이기도 합니다.
그 성과를 모델로 다방면의 관심사로 연구를
확장해가려고 합니다.
현장 중심의 연구
■ 연구 플랫폼으로서 기능을 강화하려고 합니다. 플랫폼은 다양한 지점을 연결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열린 장입니다. 새사연 각종 연구 프로젝트에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혹은
활동가들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연구를 확대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인적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장시켜가고 있습니다.
■ 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려고 합니다. 회원 및 네트워크 단체들과 각종 학습소모임, 연구
포럼 활성화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축적해 나갈 계획입니다.
■ 아카데미 강좌를 정기적으로 열 계획입니다. 다양한 강사진과의 네트워크 형성, 연구
촉진, 컨텐츠의 대중적인 검증의 기제로 삼을 예정입니다. 그동안 주류 사회의 연구는
분야별 세분화가 극단화되면서 총체성을 상실한 경향이 강했습니다. 반면 급변하는
현실에서는 변화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 체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컨텐츠의 창조와
관련해서도 학제 간 융합과 통섭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 점을 십분 살려 새사연의
비교우위를 높여가려고 합니다.
새사연이 이름 그대로 새로운 사회를 여는 비전과 정책 대안을 내놓을 수 있다는 가능성과
믿음을 주며, 우리 현실의 새로운 자극제가 되려고 합니다. 향후 새롭게 출범하는 이사진과
연구원은 향후 구체화된 사업계획을 회원들과 공유하며 새로운 사회를 여는 변화의 길을
걸어가려고 합니다. 많은 응원과 참여 부탁드리며, 또 한 번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연구 플랫폼 강화를 통한 집단지성 연구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그리고, 세상의 모든 것
사람중심
경제담론 새로운
사회담론
마을
공동체
책
사람
도시재생
소통/
미디어
보육/교육
대안경제
패러다임
풀뿌리
정치
사회
주택
생활
의료
보편복지
청년
노동
회원 + 생활인 이사
연구원 + 네트워크
현장 중심
연구
연구 플랫폼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Jeong Eun Kim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biolbam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홍길 김
 
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EPISNU
 
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
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
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actioncan
 
일하는여성 76호 (2008.10.07)
일하는여성 76호 (2008.10.07)일하는여성 76호 (2008.10.07)
일하는여성 76호 (2008.10.07)kwwa
 
2012 연간보고서 내지 인쇄용 수정
2012 연간보고서 내지 인쇄용 수정2012 연간보고서 내지 인쇄용 수정
2012 연간보고서 내지 인쇄용 수정khrf99
 
천둥소리 31
천둥소리 31 천둥소리 31
천둥소리 31 채 국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Small Biz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
 
2010 한국인권재단 연간보고서_최종
2010 한국인권재단 연간보고서_최종2010 한국인권재단 연간보고서_최종
2010 한국인권재단 연간보고서_최종khrf99
 
130824 청년협동조합컨퍼런스 강연자료
130824 청년협동조합컨퍼런스 강연자료130824 청년협동조합컨퍼런스 강연자료
130824 청년협동조합컨퍼런스 강연자료CoopY
 
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
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
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JONGNO-GU Office
 
일하는여성90
일하는여성90일하는여성90
일하는여성90kwwnet
 
Sdpc 포트폴리오모음(lr)
Sdpc 포트폴리오모음(lr)Sdpc 포트폴리오모음(lr)
Sdpc 포트폴리오모음(lr)saewoo me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서울
 
2015한국인권재단연간보고서
2015한국인권재단연간보고서2015한국인권재단연간보고서
2015한국인권재단연간보고서khrf99
 
2014 인권재단 연간리포트 web final
2014 인권재단 연간리포트 web final2014 인권재단 연간리포트 web final
2014 인권재단 연간리포트 web finalkhrf99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ahncs
 
일하는여성85
일하는여성85일하는여성85
일하는여성85kwwa
 

What's hot (20)

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
 
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
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
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
 
일하는여성 76호 (2008.10.07)
일하는여성 76호 (2008.10.07)일하는여성 76호 (2008.10.07)
일하는여성 76호 (2008.10.07)
 
2012 연간보고서 내지 인쇄용 수정
2012 연간보고서 내지 인쇄용 수정2012 연간보고서 내지 인쇄용 수정
2012 연간보고서 내지 인쇄용 수정
 
천둥소리 31
천둥소리 31 천둥소리 31
천둥소리 31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2010 한국인권재단 연간보고서_최종
2010 한국인권재단 연간보고서_최종2010 한국인권재단 연간보고서_최종
2010 한국인권재단 연간보고서_최종
 
130824 청년협동조합컨퍼런스 강연자료
130824 청년협동조합컨퍼런스 강연자료130824 청년협동조합컨퍼런스 강연자료
130824 청년협동조합컨퍼런스 강연자료
 
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
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
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
 
일하는여성90
일하는여성90일하는여성90
일하는여성90
 
Sdpc 포트폴리오모음(lr)
Sdpc 포트폴리오모음(lr)Sdpc 포트폴리오모음(lr)
Sdpc 포트폴리오모음(lr)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2015한국인권재단연간보고서
2015한국인권재단연간보고서2015한국인권재단연간보고서
2015한국인권재단연간보고서
 
2014 인권재단 연간리포트 web final
2014 인권재단 연간리포트 web final2014 인권재단 연간리포트 web final
2014 인권재단 연간리포트 web final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일하는여성85
일하는여성85일하는여성85
일하는여성85
 

Similar to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년

일하는여성76호
일하는여성76호일하는여성76호
일하는여성76호kwwa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재단 함께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Npocenter Seoul
 
젊은 여성들과 함께 했던 한국여성노동자회의 2010년!
젊은 여성들과 함께 했던 한국여성노동자회의 2010년!젊은 여성들과 함께 했던 한국여성노동자회의 2010년!
젊은 여성들과 함께 했던 한국여성노동자회의 2010년!서울시NPO지원센터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Npocenter Seoul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thecirclefoundation
 
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
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
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SESNET
 
녹색교통 제161호
녹색교통 제161호녹색교통 제161호
녹색교통 제161호Jay Kim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G-Valley
 
정기총회자료 2017년 사업계획
정기총회자료 2017년 사업계획정기총회자료 2017년 사업계획
정기총회자료 2017년 사업계획sonjit91
 
무중력지대 G밸리 2019 애뉴얼리포트
무중력지대 G밸리 2019 애뉴얼리포트무중력지대 G밸리 2019 애뉴얼리포트
무중력지대 G밸리 2019 애뉴얼리포트G-Valley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년 사업성과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년 사업성과서울시NPO지원센터 2016년 사업성과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년 사업성과서울시NPO지원센터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Jaejung Lee
 
일하는여성87
일하는여성87일하는여성87
일하는여성87kwwa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actioncan
 
좋은예산센터 창립행사 자료집
좋은예산센터 창립행사 자료집좋은예산센터 창립행사 자료집
좋은예산센터 창립행사 자료집actioncan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Geum Ham
 

Similar to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년 (20)

일하는여성76호
일하는여성76호일하는여성76호
일하는여성76호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젊은 여성들과 함께 했던 한국여성노동자회의 2010년!
젊은 여성들과 함께 했던 한국여성노동자회의 2010년!젊은 여성들과 함께 했던 한국여성노동자회의 2010년!
젊은 여성들과 함께 했던 한국여성노동자회의 2010년!
 
2010 kyc intro
2010 kyc intro2010 kyc intro
2010 kyc intro
 
2016 소식지
2016 소식지2016 소식지
2016 소식지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
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
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
 
녹색교통 제161호
녹색교통 제161호녹색교통 제161호
녹색교통 제161호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정기총회자료 2017년 사업계획
정기총회자료 2017년 사업계획정기총회자료 2017년 사업계획
정기총회자료 2017년 사업계획
 
24 1
24 124 1
24 1
 
무중력지대 G밸리 2019 애뉴얼리포트
무중력지대 G밸리 2019 애뉴얼리포트무중력지대 G밸리 2019 애뉴얼리포트
무중력지대 G밸리 2019 애뉴얼리포트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년 사업성과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년 사업성과서울시NPO지원센터 2016년 사업성과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년 사업성과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일하는여성87
일하는여성87일하는여성87
일하는여성87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좋은예산센터 창립행사 자료집
좋은예산센터 창립행사 자료집좋은예산센터 창립행사 자료집
좋은예산센터 창립행사 자료집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년

  • 1. since 2006 10 t h A n n i v e r s a r y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주년기념총회 일시 : 2016년 6월 25일 (토) 15시 장소 : 서울시 NPO 지원센터
  • 2.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로운 새사연에 박수를 보냅니다 장강은 앞물결을 뒷물결이 밀어내며 앞으로 나아간다고 합니다. 새사연이 창립 10년을 맞아 새롭게 출범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 떠오른 말입니다. 축하합니다. 새 진용으로 고통 받고 있는 민중과 민족에게 더 가깝게 다가서리라 믿습니다. 새삼 2006년 새사연을 창립할 때가 떠오릅니다. 그날 드린 약속, 신자유주의를 몰아내고 통일을 이룰 비전과 정책으로 진보세력의 통합을 이루겠다는 다짐을 돌아보면 부끄러움이 앞섭니다. 이사장 자리에서 물러난 2012년 총회 날, 대안을 담아 출간한 『리셋코리아』를 내놓기까지 여러모로 열악한 조건에서 연구원 상근자들을 닦달하며 ‘배수진’을 쳐야 했습니다. 이사장 임기 종반에 ‘진보대통합 시민회의’ 창립에 나서고 상임공동대표를 맡으며 거리로도 나갔지만 ‘집권 가능한 진보정당’을 민중과 민족 앞에 내오지 못했습니다. 뜻을 이루지 못하면 물러나 후학을 가르치라는 옛말은 당시 저의 무능을 가릴 좋은 핑계가 되었습니다. 연구원을 떠나 대학에 머문 지난 4년, 20여 권의 책을 쓰고 새로운 사회의 꿈을 젊은 세대와 소통하면서도 새사연 회원들이 늘 앙가슴에 자리해왔습니다. 오늘, 새사연은 새 진용을 갖추었습니다. 새 이사장과 새 원장이 뜨거운 열정에 값하는 책임을 비로소 맡았기에 기대가 더 큽니다. 상대적 침체기를 씩씩하게 벗어나길 기원합니다. 새 집행부가 학습모임의 네트워크화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혀 든든합니다. 장강의 뒷물결은 앞물결이 나아가는 힘이기도 하다지요. 새사연에서 일하던 시기에 주창한 ‘학습과 토론과 소통’을 저는 지며리 실행해가겠습니다. 새로 출범하는 새사연은 더 큰 길을 내어가리라 믿습니다. 박수를 보내며 존경하는 회원님들께 머리 숙여 인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손석춘 (초대 원장.이사장, 현 건국대 교수)
  • 3. 1. 새사연 사업 보고 (전체 10년, 최근 3년 보고)
  • 4.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사연의 10년, 어제와 오늘 정회원 - 일반회원 비중 변화 (2006~2015, 단위: %) 정회원 92명, 일반회원 1,067명의 2006년 10년 전 새사연은 총 1159명의 회원과 함께 새로운 사회를 향한 첫 걸음을 내딛었습니다. 그리고 2016년 현재, 새사연은 정회원 812명, 일반 회원 10,634명, 도합 11,446명의 회원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강산도 변한다는 10년, 수많은 진보 단체들이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동안 새사연이 여전히 제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것은 회원 여러분이 새사연의 든든한 두 다리가 되어주신 덕분입니다. 7.9 12.7 15.8 14.3 12.2 10.7 9.5 8.8 8.1 7.1 92.1 87.3 84.2 85.7 87.8 89.3 90.5 91.2 91.9 92.9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정회원(유료회원) 일반회원(무료회원)
  • 5.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사연의 10년, 어제와 오늘 성별로 본 정회원 현황 (2006 → 2016) 여성 회원의 약진 2006년 설립 당시 새사연 정회원의 성별 구성은 남성 회원 84%, 여성 회원 16%로 남성 회원이 압도적이었습니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새사연의 정회원 성별 구성은 남성 회원 74%, 여성 회원 26% 입니다. 여전히 남성 회원 비중이 우세하지만, 여성 회원의 비율이 약 10%P 가량 늘어나 성비 불균형이 어느 정도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0년 동안 10%P가 증가했으니, 1년에 1%P씩 꾸준히 늘어난 셈입니다. 연령별 본 정회원 현황 (2006 → 2016) 여전히 유효한 ‘40대 기수론’ 2006년, 40대인 새사연 정회원은 54%로 전체 정회원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뒤이어 30대 정회원이 23%, 50대 정회원이 21%, 60대 이상 회원과 20대 이하 회원이 각각 1%를 기록했는데요, 설립 당시 40대 정회원의 비중이 높았던 것은 새사연을 세운 생활인 모임인 ‘100인 이사회’의 평균 연령대가 40 대였던 것과 연관 지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16년 현재, 전체 정회원 중 40대 정회원은 44%로 여전히 타 연령대에 비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50대 정회원은 29%, 30대 정회원은 20%, 60대 이상 정회원은 4%, 20대 이하 정회원은 3%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새사연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것은 40대 회원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새사연에서 ‘40대 기수론’은 여전히 유효한 셈입니다. 20대 이하 1% 30대 23% 40대 54% 50대 21% 60대 이상 1% 20대 이하 3% 30대 20% 40대 44% 50대 29% 60대 이상 2006 2016 2006 2016
  • 6.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사연의 10년, 어제와 오늘 지역별 정회원 현황 (2006 → 2016) 소폭 완화된 수도권 집중현상 10년 전, 새사연 정회원의 지역별 현황은 서울 38%, 경기 22%, 인천 9%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회원이 약 70%에 달했습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단체이니만큼 정회원의 대부분이 수도권에 분포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지난 10년간 새사연은 광주전남 및 제주에 새사연 지부를 두고 전국 강연을 도는 등, ‘수도권 집중현상’을 완화시키고자 애써왔습니다. 2016년 현재 정회원의 분포는 수도권에 67%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구·경북 및 전주·전북 지역의 회원 분포율이 3%에서 4%, 광주·전남 지역 회원이 5%에서 7%, 대전·충청 지역의 회원이 2%에서 6%, 강원 지역이 1%에서 2%로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회원 비중이 소폭 상승하긴 했으나 여전히 수도권에 대다수의 회원이 몰려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의 10년은 지역 활동을 눈에 띄게 늘리는 기간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회원 구분별 후원금 납부 비율 (2006 → 2016) 진정한 ‘생활인 중심’ 연구원으로 2006년 당시 새사연의 후원금의 상당 부분은 5만원 이상의 고액회원이 책임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고액회원의 대부분은 새사연의 임원 및 운영위원이었습니다. 고액회원의 비중은 전체 회원의 20.4%였고, 이 20.4%의 고액회원이 전체 후원금의 76%를 납부하는 구조여서 고액회원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았는데요,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고액회원의 비중은 전체 회원 중 6.6%로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들이 납부하는 후원금의 비중 역시 33.1%로 눈에 띄게 감소되었습니다. 반면 십시일반 성원을 보내주시는 회원의 비중은 93.4%로 늘었고, 회원의 후원금 납부 비중 역시 66.9%로 대폭 상승했습니다. 새사연이 설립 당시부터 지금까지 한결같이 강조해 온 ‘생활인 중심 모델’이 성공적으로 안착된 결과입니다. 서울 40% 경기 23% 광주전남 7% 부산경남 6% 대전충청 6% 대구경북 4% 인천 4% 전주전북 4% 해외기타 2% 제주 2% 강원 2% 서울 38% 경기 22% 인천 9% 강원 1% 대전충청 2% 대구경북 3% 부산경남 7% 전주전북 3% 광주전남 5% 제주 10% 2006 2016 2006 2016 회원 60.8%가 회비의 24% 책임 고액회원 20.4%가 회비의 76% 책임 회원 93.4%가 회비 66.9% 책임 고액회원 6.6%가 회비의 33.1% 책임
  • 7.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년 간의 새사연 연구 (2006~2008) 2006 2007 2008 대안연구의 시작 베네수엘라, 혁명의 역사를 쓰다 21세기 혁명의 사례로 베네수엘라 차베스 실험과 이의 함의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상상력 노동 주도형 경제, 통일 민족경제, 국민직접정치 등 진보적 정책 대안 제안 우리농업, 희망의 대안 한미FTA로 맞은 농업의 위기를 극복할 대안으로 당사자 국민농업을 제안 새사연 대안 캠프 경제대안, 통일경제 및 남북관계 전망, 베네수엘라+ 대안주체, 국민주권운동 등 새사연 대안을 프로그램으로 마련해, 생활인과 만나는 오프라인 캠프, 정책회원 제안 새로운 사회를 여는 희망의 조건 노동자와 농민, 영세자영업인, 청년학생의 '오늘'을 진단 우리 언론, 무엇으로 다시 살 것인가 저널리즘 위기의 극복 대안으로 미디어 개혁입법과 개혁위원회 구성, 교육개혁을 제안 신자유주의에 맞설 대안 사회 올바른 언론개혁 방안 한국 사회의 진보적 대안 농업 위기의 극복 대안 대안 정책 소개 및 생활인과 호흡 새로운 사회를 열 주체 분석 민주주의 실현 방안 주권혁명 참여가 아니라 직접정치를 시대정신으로 재설정해, 정치가 국민 대다수의 뜻에 따라 움직이는 체제로의 전환 분과모임 보건의료, 교육, 노동, 통일, 농업, 언론, 종교 등 분야별 혹은 지역별 정기 모임 한국 사회 대안의 방향과 이를 열어갈 사람을 고민하다
  • 8. 1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년 간의 새사연 연구 (2008~2012) 신자유주의 이후의 한국경제 미국발 금융위기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우리 경제구조의 근본적 전환 조언 이명박 시대의 대한민국 신자유주의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우리 사회 12개 분야별 핵심 의제 분석 교사 대상 직무연수 초중고 교사 중심의 경제교육으로, 거시경제와 금융, 언론 속 경제, 재무설계 등을 아우르는 교육 시행 2010 성장률 속에 감춰진 한국사회의 진실 경제위기의 단기 대응으로는 '고용빙하기'와 막대한 '가계부채' 막지 못해 문제 신자유주의 와 대한민국 보수정권 10년의 시작 리셋 코리아 2012년 대선을 앞두고 진보개혁 세력의 사회경제 10대 아젠다 제안 2008 2009 2010 2012 전환기 세계경제와 한국경제 전망 손에 잡히는 생활경제 교육 진보 개혁의 청사진 신자유주의 문제와 이후 대안보수 정부 향후 5년 전망 보수 정권 10년의 시작점에 서며, 신자유주의 몰락과 이후 경제 대안 등을 담은 진보 개혁의 청사진을 그리다
  • 9.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0년 간의 새사연 연구 (2013~2016) 협동의 경제학 주류경제학을 비판하고, 대안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경제와 협동조합 운동 제안 청춘의 가격 (집필 중) 고용, 소득과 소비, 주거 등을 통해 표현되는 오늘날 대한민국 청년 세대의 고단함과 희망에 대한 이야기 선언 돈 중심 사회에서 사람 중심의 사회와 생태계로의 전환 선포 2013 2014 2015 2016 전환기 한국사회 담론 한국 청년세대의 위기 한국사회 불평등의 구조 자본주의 대안 경제 현장과 학습 소모임 청년정치, 사회주택협동조합, 마더센터, 여성주의, 사회적경제와 복지국가, 국제개발(외부 단체) 등과 결합한 소모임 시행 새사연 아카데미 현대사와 부동산 영역의 전문가를 초빙해 3~5회에 걸쳐 진행된 전문 강연 월례포럼 '확신광장' 교육, 경제, 언론, 노동, 정치 등 다영한 영역에 걸쳐 시의성 높은 주제로 한국 사회 진단과 대안을 찾고자 한 월례 집담회 분노의 숫자 교육, 노동, 주거, 건강, 기업, 가계부채 등 출생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숫자로 읽는 대한민국 불평등 보고서 사회적 경제 학교 신뢰와 협동을 바탕으로 사회적 딜레마를 해결하고자 한 교육 사회적경제 확산, 사회적경제 내용 발전, 네트워크 확산 등의 방안에 대해 주로 논의 대안경제 생활연구 한국 사회 민주주의 후퇴와 저성장에 맞서, 우리 사회 불평등 구조와 위기의 청년세대를 고민하며, 새로운 사회담론을 나누다
  • 10.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2013년 새사연 연구 내용 박근혜 정부 5년 전망을 시작으로 경제민주화와 복지국가 논의를 제기했으며, 신자유주의로 인한 소득양극화와 불평등에 주목해 내부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특히, '분노의숫자' 연재 코너를 열어 OECD 국가와 한국 사회 불평등을 비교하고, 세계주택협동조합 외국 사례를 소개하는 글로 큰 반향을 얻었습니다. 또한 사회적경제, 청년과 노동,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경제교과서 기초안 등 현장형 연구에도 적극 참여했습니다. 믽 2013년 연구 주요 키워드 분야 프로젝트 명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현황조사 및 로드맵 개발 -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현황조사 서울시 사회적경제 5개년 계획 수립 연구 「실패와 위기 사례에서 배우는 협동조합」책자 제작 강동구 지역밀착형 마을기금 설립방안 연구 2013년 서울시 사회적경제 상반기 교육 운영지원 사업 청소년용 사회적경제 교재 「사회적경제, 참좋다!」 제작 「청년 협동조합 생태계지원 프레임워크」 설계를 통한 서울시 지원체제 구축 방안 조사 연구 임금, 노동시간, 일자리 전환 로드맵 공공주택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조합설립 지원 용역 경제교과서 경제 교과서 보완자료 개발 연구용역 교육 한국 사교육 실태 해부 및 과제 도출 사회적경제 청년과 노동 2013년 현장 참여형 연구
  • 11.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2014년 새사연 연구 내용 2014년 연구 주요 키워드 2014년 현장 참여형 연구 분야 프로젝트 명 청년일자리 서울시 청년일자리 정책방향 및 계획수립 연구 돌봄 지역의 사회적 경제 돌봄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지역화폐 강원도 지역통화 유통 방안 조사 연구 공공주택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조합설립 지원 용역-화곡동 청년주택 2013년 연구를 기초로 한국사회 불평등 구조를 밝힌 '분노의숫자'를 출간하고, 대안 경제학의 일환으로 펴낸 '협동의 경제학'으로 전국 지역 현장에 찾아가는 강연을 이어갔습니다. 청년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설립을 지원하고, 강원도 단위에서 실험 가능한 지역화폐 연구도 본격화했습니다. 또한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돌봄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등 2014년에는 대안 정책을 주체와 소통하며 현실화하는 경험을 높였습니다. 믽
  • 12.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2015년 새사연 연구 내용 2015년 연구 주요 키워드 2015년 현장 참여형 연구 분야 프로젝트 명 협동조합형 공공주택 활성화방안 연구용역 성남시 맞춤형 리모델링 지원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 경기도형 공동체 주거 모델 발굴 연구 사회적경제 마포구 사회적경제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지역공동체 한국형 '마더센터'의 성장 가능성 탐색 청년뉴딜사업 성과지표 개발연구 성남시 청년배당 노동시장 통신산업의 구조변화와 노동시장 연구 공공성 별정우체국의 공공성과 사회적 기여에 대한 기초연구 공공주택 및 주거환경 청년 '분노의숫자' 책 후속작업으로 한국사회 불평등 분야별 지표를 온라인 홈페이지에 게재해 인포그래픽으로 가독성을 높이고, 최저임금 논쟁, 기업형 임대주택사업, 청년 니트족과 국민연금, 저출산 이슈를 다뤘습니다. 지방자치 단위에서 실행 가능한 공동체 주거 모델을 발굴하고, 성남시 청년배당을 제안하는 정책 실행과정과 청년뉴딜사업 성과지표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또한 지역공동체의 육아 대안으로 한국형 마더센터 논의를 띄워 지역 사례를 모델화하는 연구도 진행했습니다. 믽
  • 13.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회원 & 미디어 (2013~2016) 회원 만남 (2013 ~ 2015) 2013 2014 2015 미디어 현황 (2015. 06 ~ 2016. 05) 언론보도 연 104회 페이스북 좋아요 수 총 10,203명 (2016.05.31 기준) 블로그 방문자 수 월 평균 12,638명 홈페이지 방문자 수 월 평균 18,194명 뉴스레터 구독자 총 11,446명 (2016.05.31 기준)
  • 14. 2. 총회 의결 결과 보고
  • 15.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총회 의결 결과 투표일시: 2016년 6월 13일 ~ 2016년 6월 22일 (총 10일) 의결정족수: 671명 (정회원 중 2015년 기준 1회 이상 회비 납부 회원) 전체 투표현황: 377명 (56.2%) 분류 내용 찬성 반대 기권 찬성 (%) 반대 (%) 비고 강세진 373 4 0 55.6% 0.6% 권순형 371 4 2 55.3% 0.6% 박세길 370 4 3 55.1% 0.6% 유재석 361 13 3 53.8% 1.9% 이은경 370 4 3 55.1% 0.6% 이종필 367 6 4 54.7% 0.9% 정경진 350 23 4 52.2% 3.4% 정명수 357 16 4 53.2% 2.4% 정승일 373 0 4 55.6% 0.0% 정희용 370 3 4 55.1% 0.4% 최정은 369 3 5 55.0% 0.4% 박승두 367 5 5 54.7% 0.7% 이상동 369 3 5 55.0% 0.4% 이사장 고병수 360 12 5 53.7% 1.8% 원장 진남영 367 5 5 54.7% 0.7% 법인의 목적을 ‘통일과 관련된 연구 수행’에서 ‘정치⋅사회⋅ 경제⋅복지⋅문화’ 등 종합적 영역으로 확대하는 안 351 12 14 52.3% 1.8% 이사회에 상근직원인 연구원을 1인 이상 포함하여 실무자 의 의견을 반영한 민주적 의사결정을 도모하는 안 360 3 14 53.7% 0.4% 서면총회 및 온라인총회 근거를 마련하여 총회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안 362 0 15 53.9% 0.0% 정관의 기술을 ‘1항 ①호’ 형태에서 일반적 통례에 맞추어 ‘①항 1호’ 형태로 수정하는 안 362 0 15 53.9% 0.0% 이전 연도 결산 승인 353 9 15 52.6% 1.3% 2016년 사업계획 승인 353 9 15 52.6% 1.3% 2016년 예산 승인 356 6 15 53.1% 0.9% 이사 감사 전원 통과 이사회 위임 정관 전안 기각 전안 통과
  • 16.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생활인 이사회 이사 주요경력 및 약력 강세진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이사 마을공동체연구협동조합 감사 공학박사 (도시계획 전공) 권순형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연구원 前 성남시청 리모델링지원팀장 한성대학교 부동산학 박사 박세길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 새사연 창립 멤버로서 초대 부원장 역임 1990년대 후반부터 진보적 사회단체 상근자로 활동 저서로서 <다시쓰는 한국현대사 3권> <선언> 외 다수 유재석 現 정보통신 컨설턴트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이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창립회원 이름 주요경력 및 약력 이은경 現 경희대학교 연구교수 前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연구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 이종필 現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지원센터 선임 코디네이터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 이사 사단법인 마을 이사 前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근무 정경진 現 정경진 한의원장 前 새로운 사회를여는 연구원 이사장 경기도 한의사회장 정명수 現 반값등록금실현을 위한 학부모모임 공동대표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이사 이름 주요경력 및 약력 정승일 現 민주노총 사무금융서비스노조 정책연구소 소장 사회연대저널 기획위원장 활동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운영위원 2002 베를린자유대학 정치경제학 박사 저서 2005 <쾌도난마 한국경제> 2012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장하준과 공저 정희용 現 도서출판 원더박스 편집장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상임이사 前 새사연 미디어센터장 도서출판 부키 기획부장 최정은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사회정책 연구원 연세대 지역학 석사 졸업 이름 투표일시: 2016년 6월 13일 ~ 2016년 6월 22일 (총 10일) 전체 투표현황: 377명 (56.2%)
  • 17.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생활인 이사회 감사 투표일시: 2016년 6월 13일 ~ 2016년 6월 22일 (총 10일) 전체 투표현황: 377명 (56.2%) 주요경력 및 약력 박승두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감사 회계사 이상동 前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부원장 시민참여연구센터 사무국장 이름 이사장 원장 주요경력 및 약력 고병수 現 탑동365일의원 원장 일차의료연구회 회장 이름 주요경력 및 약력 진남영 現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부원장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이사 부동산학 박사 이름
  • 18.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장 추천사 10년쯤을 만나고 보니 사람이 보인다. 10여 년 전 새사연이 만들어질 무렵 운영위원의 한 사람으로 참여한 고병수 의사를 처음 만났다. 그는 당시 구로 지역에서 개원 중인 작은 개인의원의 원장이었다. 아직 초짜 원장 시절이라 병원 운영에만 몰두해도 시간이 모자랄 때였지만 고병수 원장은 새사연 활동에 어느 누구보다 열성을 보였다. 새사연에 합류하기 전 그는 개혁당 활동에 많은 애정을 기울이며 새로운 시민정당 활동에 정성을 기울이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노무현 대통령 당선 이후의 실망스런 국정을 보면서 ‘대통령 한 사람만으로 사회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현실을 목도하며 새사연과 같은 싱크탱크의 필요성을 절감하던 차였다’고 참여 동기를 밝히던 그의 사람 좋은 눈빛이 지금도 생생하다. 고 원장을 만나본 사람은 대략 세 번쯤은 그의 인물 됨됨이에 감탄하게 된다. 우선 20대 대학생에게도 밀리지 않는 체력과 지칠 줄 모르는 열정이다. 새사연 의료 종사자들의 모임인 보건복지 모임은 고 원장의 구수한 넉살과 열정 그리고 새벽 동틀 때까지 이어지는 술자리로(아마 후자의 힘이 더 강했던 것 같긴 하지만) 끈끈하게 이어져 갓 출범한 새사연이 조기 정착하는 데 많은 힘을 실어 주었다. 두 번째는 전혀 의사스럽지(?) 않은 소탈하고 낙관적인 성격과 속 깊은 마음이다. 2009년 무렵 그는 지역에 기반한 시민 운동과 의료 시스템을 일구어 보겠다고 고향 제주로 내려갔다. 제주에서도 고 원장은 몸은 새사연 사무실과 가장 멀리 떨어졌을지나, 마음은 항상 새사연 최근거리에 머물러 있었다. 철마다 감귤을 비롯해 제주 특산물을 사무실로 올려 보내 상근자들을 격려하고 새사연 회원들이 제주를 방문하면 언제나 VIP 접대와 술친구를 자청했다. 서울에서 이사회가 열리는 날이면 고 원장은 병원 근무를 마치고 번개처럼 비행기로 날아와 회의에 참석해야 했다. 뒤풀이까지 마친 뒤 찜질방에서 쪽잠을 자고 다음날 새벽 다시 제주의 병원으로 향하는 1박2일 일정이 필수였다. 한번쯤은 툴툴거릴 만도 하건만 늘 자신의 불편함은 드러내지 않고 새사연 사업에 대한 관심과 열정으로 다른 사람들을 고무했다. 세 번째는 앞의 두 면모와는 조금 다르게 오랫동안 그를 지켜보아야 발견할 수 있는 특성이다. 의리의 돌쇠 같은 고 원장의 내면에는 끈질기고 긴 호흡과 현장 전문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일상 생활에서 진보의 초석을 다져 나가는 상당히 용의주도한 활동가의 면모가 숨쉬고 있다. 인술을 펼치는 활동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리고 해외봉사단체의 재난구호팀장으로 일한다고 들었는데, 2014년 5월 어느 날엔가는 네팔 대지진 현장에서 있다고 알려오기도 했다.(맞다. 나도 깜박하곤 하는데 그는 의사이다) 그뿐인가. 대체 몸이 몇 개인지 이런 와중에도 한국 의료 체제의 맹점을 기초 단위에서부터 다시 세우기 위한 일차 의료 연구 작업을 진행하고 국민 주치의 제도에 관한 책을 집필해 출간했으며 현재는 이를 조직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보건의료 전문가 모임인 <일차 의료 연구회>를 꾸리고 회장으로 일하고 있다.(그렇다. 그는 그냥 의사가 아니고 의료 시스템의 근본적 개혁을 도모하는 매우 전문적이고 개혁적인 의사이다) 창립 당시부터 ‘생활인에 기초한 진보’를 추구해온 새사연의 모토에 고 원장만큼 부합하는 인물을 찾기도 쉽지 않다. 10주년을 맞아 이제 제2의 도약을 준비해야 할 새사연에는 기관차 같은 추진력과 샤프한 전문성 그리고 여전히 넉넉하고 낙관적인 생활인의 면모가 절실하다. 고병수 원장은 지난 기간 동안 누구보다 이를 몸으로 실천해온 동료이다. 흐뭇한 마음으로 그리고 듬직한 믿음감으로 고병수 원장을 새사연 이사장 후보로 추천한다. - 정희용 /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 몸은 가장 먼 곳에, 마음은 가장 가까운 곳에 머무는 진정한 새사연인
  • 19.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원장 추천사 진남영 현 부원장을 차기 원장으로 추천합니다. 명확한 이유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남들이 위기라고 하는 시기를 도약을 위한 준비기로 만든 주역입니다. 한 조직 사회를 이끌 진정한 리더는 어려울 때 빛을 내는 법입니다. 지난 3년 새사연은 객관적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그러나 결과는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기간으로 되었습니다. 그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한 복판에 진남영 원장 후보가 있었습니다. 이사진과 상근자를 추스르면서 매우 높은 수준의 팀웤을 일구어냈습니다. 무보수로 산근하면서 각종 프로젝트를 통해 재정 문제도 책임져 왔습니다. 둘째 현장 중심 연구 모델을 정착시키는데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습니다. 앞으로 새사연이 지향해야할 모델은 현장 중심 연구입니다. 새로운 사회를 여는 싹은 현장에서 자라납니다. 새로운 사회의 대안을 탐색해야 하는 입장에서 답은 언제나 현장에서 찾아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바로 그 점에서 진남영 원장 후보는 부동산과 주거 대안 연구에서 훌륭한 모범을 세웠습니다. 새사연은 이러한 성과를 일반화시켜 나가는 방향에서 새로운 연구 체계를 세울 것입니다. 셋째 청년 세대와의 깊은 교감을 나누어 왔습니다. 새로운 사회 비전을 마련하는데 세대 차이가 있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굳이 따지자면 미래의 주역인 청년세대가 더 절실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새사연이 청년세대에 대해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갖고 접근해야할 이유입니다. 바로 이점에서 진남영 후보는 민달팽이유니온 등의 활동을 통해 누구보다도 청년세대를 잘 이해하고 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안목을 보여 왔습니다. 새사연은 10년의 역사를 딛고 새로운 출발을 기약해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리더라면 그의 모습에서 새로운 미래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시기에 진남영 후보는 검증된 후보로서 새로운 새사연을 이끌어갈 최적임자임에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적극적인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 박세길 /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 10년의 역사를 딛고 새로운 미래를 발견할 리더
  • 21.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사연 10주년, 새로운 도약의 출발에 서다 지난 시간 새사연은 외부에서 보기에는 어쩌면 유지조차 쉽지 않은 위기의 순간들을 보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새사연은 이 기간 동안 내부 팀워크를 다지고 현장 중심 연구 모델을 창출함과 동시에 연구 플랫폼으로서 가능성을 꾸준히 탐색해 왔습니다. 새로운 도약기로 만들고자 많은 분들을 만나고 의견을 경청했습니다. 10 여 년 전 대안 정책을 만들고자 생겨난 수많은 진보 민간 싱크탱크가 확장성을 잃어갈 때, 새사연은 명맥을 이어가며 사회 변화에 목소리를 내왔습니다. 역사의 변곡점을 통과하면서 기성의 이론과 처방은 갈수록 그 효용성이 떨어져가고 있습니다. 지금의 한국 경제 현실을 주의 깊게 통찰하면 쉽게 알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그 만큼 새로운 사회의 비전과 정책 대안에 대한 대중의 요구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새사연이 자기 몫을 제대로 하면 대중의 호응과 지지 동참이 폭발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도 보여주는 지점입니다. 미래 의제를 다루는 새사연이 본궤도에 오른다면 그 이상의 대중적 동참을 이끌어낼 가능성은 얼마든지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새사연 앞에 열린 무한한 가능성 2016
  • 22.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연구 시스템,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역사의 변곡점을 통과하는 시기에는 기존의 지적 유산에 의존해서 대안을 찾을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면에서 새로운 미래의 싹을 보여주는 곳은 현장입니다. 현장에 밀착하여 연구를 진행할 때 새로운 사회의 비전과 정책 대안을 찾고 제시할 수 있습니다. 지난 3년간 부동산과 주거대안, 복지, 의료, 노동, 마을공동체, 사회적경제 등의 연구에서 충분히 경험한 바이기도 합니다. 그 성과를 모델로 다방면의 관심사로 연구를 확장해가려고 합니다. 현장 중심의 연구 ■ 연구 플랫폼으로서 기능을 강화하려고 합니다. 플랫폼은 다양한 지점을 연결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열린 장입니다. 새사연 각종 연구 프로젝트에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혹은 활동가들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연구를 확대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인적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장시켜가고 있습니다. ■ 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려고 합니다. 회원 및 네트워크 단체들과 각종 학습소모임, 연구 포럼 활성화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축적해 나갈 계획입니다. ■ 아카데미 강좌를 정기적으로 열 계획입니다. 다양한 강사진과의 네트워크 형성, 연구 촉진, 컨텐츠의 대중적인 검증의 기제로 삼을 예정입니다. 그동안 주류 사회의 연구는 분야별 세분화가 극단화되면서 총체성을 상실한 경향이 강했습니다. 반면 급변하는 현실에서는 변화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 체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컨텐츠의 창조와 관련해서도 학제 간 융합과 통섭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 점을 십분 살려 새사연의 비교우위를 높여가려고 합니다. 새사연이 이름 그대로 새로운 사회를 여는 비전과 정책 대안을 내놓을 수 있다는 가능성과 믿음을 주며, 우리 현실의 새로운 자극제가 되려고 합니다. 향후 새롭게 출범하는 이사진과 연구원은 향후 구체화된 사업계획을 회원들과 공유하며 새로운 사회를 여는 변화의 길을 걸어가려고 합니다. 많은 응원과 참여 부탁드리며, 또 한 번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연구 플랫폼 강화를 통한 집단지성 연구
  • 23.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한 올바른 연구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그리고, 세상의 모든 것 사람중심 경제담론 새로운 사회담론 마을 공동체 책 사람 도시재생 소통/ 미디어 보육/교육 대안경제 패러다임 풀뿌리 정치 사회 주택 생활 의료 보편복지 청년 노동 회원 + 생활인 이사 연구원 + 네트워크 현장 중심 연구 연구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