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minhwalee   1
스티브 잡스   레오나르도 다빈치           피카소


         창조성
천재성의 산물? 우연?             ?




          LEE, MIN HWA             2
창조성은          네트워크
                       다.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탐험, 상상, 통합했을때 창조적 도약이 이루어진다.


                  LEE, MIN HWA            3
인간은 어디로 진화하는가?




호모 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 호모 루덴스- 호모 디지쿠스- ??

                LEE, MIN HWA        4
SMART 혁명의 규모는?

모바일, 웹2.0, 소셜 미디어, 클라우드…




          minhwalee        5
Mobile, Emergent Network

  Mobile 네트워크는 인류 역사 최대 Power

   Silk Road      대양             철도           자동차   Internet    Mobile



 Silk Road + 대양 + 철도 + 자동차 + Internet
                                                      >
                                                           Mobile
                 (Off-Line)
               Silk Road – 자동차
                                      +        “ Ubiquitous ”
                 (On-Line)
                   Internet



                                  minhwalee                              6
Mobile, Emergent Network


              OFFLINE     Sensor               ONLINE

                           Actuator




                                                        Major Trend
                             Ubiquitous
         Sensor Network
        Sensor Network
        (RFID)                            Mobile
         (RFID)

         물류
        물류                                사람

         일본
        일본                                한국
Mobile, Emergent Network

    Fractal                  CHAOS



              복잡계                     혼돈

              자기조직화
              emergence
               (창발성)


              생명현상                    질서

                          minhwalee        8
Mobile, Emergent Network


       Connectivity                상호작용


     Smart                            Social
                       새로운
                      생명현상


              Super – human being


               Homo - Mobiliance

                       minhwalee               9
Mobile, Emergent Network
       Fractal               CHAOS




      반복의 효율성              랜덤한 불규칙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한의 다양성

10
Mobile, Emergent Network

 <Holon, emergence>

                                    전체정보


                   부분이면서 전체




              조직                        미술관
                   복잡계        사회학


              사람                        그림    Emergent한
  Emergent한        단순계        생리학, 의학         현상 발현
  현상 발현

              세포   복잡계        세포학       물감



                      minhwalee                       11
인류의 새로운 진화-사이보그




         Lee,MInhwa
Mobile Super - man
    Six sense, the Mobile Super - man
                                  •1st DNA
     초능력                          •2ND Knowledge
                                  •3rd Evolution as Cyborg



      투 시    카메라
                                        +
      동시성    Ubiquitous
                                  5감     Six Sense로서의
      초감각    Sensor                          스마트폰


                                    기계의 개념에서 탈피
                                    인류의 일부화된 최초의 기계
                                    생명의 일부(Fractal – CHAOS)
                      minhwalee                                13
Mobile Super - man

  Live Personal Server               • 상호작용의 원천(Source)

             Brainwave                    – 목소리
                                                      내장 기능.
 Body Temp.
                     Detection
 Stress
                     of eyeball           – 지문
 Heart rate
                     movement                         적외선 활용
                                          – 체온, 맥박

                                          – 경락

  Fat                Diabetes             – 운동량
  level in           Heart rate
  body                                                바이오 센서
                                          – 혈압

                                          – 얼굴/피부색
 Calories

                                           …
                                  LEE, MIN HWA                 14
Mobile Super - man
     Smart폰은 Body Area Network(BAN) 서버(아바타)”

                              WAN
                LAN                               LAN




          LAN                                           LAN
                                 PAN
                        (Personal Area Network)
                                 BAN
                          (Body Area Network)


                CAN                               LAN
                (Car Area Network)




15
집단 생명의 탄생
HOMO-MOBILIANCE
      minhwalee   16
집단 생명의 탄생
   개미 무덤과 쓰레기장은 가장 먼곳에 존재

   개미의 지능인가? 개미 집단의 지능인가?

 개미의 농경문화, 노예제도 등은 누가 만들었는가?
 개체의 지능                    네트워크 지능




  집단 지능은 개체의 지능보다 차원이 높다.
            LEE, MIN HWA             17
집단 생명의 탄생
              집단 지능의 5원칙
           1. 다수원리           2. 단순성
           3. 랜덤한 상호작용 4. 신호의 패턴화
           5. 상호 교류



개미집단        집단 생명


 개체가 많다
 상호작용이 크다(페르몬)


                      LEE, MIN HWA    18
집단 생명의 탄생
        Super – Organism (초생명)

                                       개미집단               초생명

                                            개체가 많다.
위      입      생식기                           상호작용이 크다.(페로몬)


                                       개체가 많다         Super – Human being
                                      왕성한 상호작용

                                       “Real Time Mobile Connectivity가 폭발적
                                       증가를 하면 인류가 새로운 진화를 시작함”

    인류의 새로운 진화 코드 e.g.) “붉은 악마” , “Cy질”, SNS,트위터, 페이스북
                          minhwalee                                   19
집단 생명의 창발
        < 네트워크 과학의 출현 >

            복잡계 이론

                네트워크 과
                  학
뇌의 구조    City                Internet   개미 집단




                                                20
                 minhwalee
집단 생명의 탄생




    자기 조직화 시스템                                창발적 질
    Self   Organizing   System
                                              서
   시스템이 스스로를 자기조직화 한다.                     생물학적 r g e n c 진화, 사회적 유행등
                                              e m e 네트워크, e

   변화를 유발하는 뚜렷한 동인이 없다.                    자기 조직화 시스템, 자기 스스로 변화를 주도
   시스템 전체의 역동적 특성이 그 시스템 일부                 할 능력이 있는 시스템은 어마어마한 잠재적
    를 결과물의 상태로 만들어 내놓는다.                     창조 역량을 갖고 있다.
                                 minhwalee                                21
확장된 사고의 네트워크
                자기 조직화
           “스스로의 변화를 주도한다.”




  외부의 변화                           자기조직
선생님   학생                           화
                           토론을 통해 학생들끼리 깨우침

                 LEE, MIN HWA                 22
네트워크 도약

                           혁신적 창조성
                           Break through Creativity



                           혁신적 창조성은
                           창조적 네트워크 도약에서
                           온다.

                           대진화

소진화, 대진화 그래프

               minhwalee                              23
사고의 확장



  “ 인간의 생각은 머릿속에서 이루어진다. “




 “ 인간의 사고는 머릿속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LEE, MIN HWA           24
사고의 범위가 뇌를 넘어선
     다


자기 조직화
“스스로의 변화를 주도한다.”
                                Weak Tie


                   창조적 에너지
                     와생각




                    minhwalee              25
아이디어 공간
                                              스마트 월드
                                            = 아이디어 공간


                                               지능       지능의 이동




          시냅스
                                                        지능
                                        지능

아이디어 공간
                             길을 만든다
어떤 영역이나 세상을 „배태된 지능‟의 관점
에서 바라본것
기본 요소와 그들 사이의 관계로 본 세계, 네
트워크로 본 세계

                             LEE, MIN HWA                    26
아이디어 공간
                                비즈니스 모델

                                                 성장

                     성장
                                                      지능의 이동




                                                      지능


                                         회사 생존




행동을 이끌어 낼수 있는 지능
Actionable intelligence
                          LEE, MIN HWA                         27
좁은 세상 네트워크


          A              B



강한 내적 연결을 지닌 두 그룹 사이의 가교가 되는 약한 연결


                                        A           D
아이디어 공간과 역동적으로                                  B         E
연계된   네트워크가 티핑 포인트를 일으
키는 핵심 역할을 맡게 된다.                            C       F


                                  약한 연결로 연계된 연결자들의 네트워크
                         LEE, MIN HWA                         28
좁은 세상 네트워크

                      제록스 파크 연구소
보완적인 실행 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s)
전통적인 비밀 실험실
구성원 대부분이 대면 접촉을 통해 서로를 알고, 직업적 배경이 비슷하며, 생
각, 가치, 목표 등을 공유하는 밀착된 그룹


파크 연구소가 개발한 기술
마우스
GUI                     최고의 연구소였지만 사업은 실패한 제록스 연구
RISC 기술                 소
RDB 기술
대부분 PC의 주요기술들 개발                             WHY?
                              LEE, MIN HWA          29
SMART WORLD
                                                              스마트 월드
      제록스 파크 연구소와 애플사의 구조 비교
   제록스 파크 연구소                                    애플




      강한 연결                                  약한 연결
                                     A                D
                                             B            E
         A
                                         C            F


   비밀 공동체 (COP)                          열린 공동체

     접근성 낮음                                  접근성 큼

      소진화                                    대진화

 커뮤니티와의 접근 떨어짐                      커뮤니티와의 접근 활발

상호성(협업과 아이디어 공유) 큼                           상호성 큼
                     LEE, MIN HWA                                   30
SMART WORLD

1   2   3   ④ 좁은 세상 네트워크                                스마트 월드




                      좁은 세상 네트워크
                      약한 연결로 링크된 커넥터를
                      여럿 두고 있는 네트워크

                      서로 다른 두 개의 노드끼리 허브를 통해 몇 단계만 거
                      치면 상대편에 닿는다.
                      매우 추상적이어서 어떤것으로 이뤄진 네트워크에라
                      도 대부분 적용이 가능하다.
                      많은 것과 연결된 허브는 티핑 포인트에 다다를 수 있
                      게 하는 중요한 맥락이 된다.




                    네트워크 과학 선구자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LEE, MIN HWA                           31
네트워크 법칙
             사노프의 법칙(Sarnoff's Law) viewer개념
  네트워크의 가치는 참여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메트컬프의 법칙에 따르

 면,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그 비용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지만 네트워
 크의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
 즉, 만약 10명의 회원에 1명이 늘면 네트워크 비용은 10% 증가이지만, 가치
 는 11의 제곱인 121이 되어 100보다 21%가 증가한다는 것

플랫폼의 가치($)




                         사용자 수(N)



                         LEE, MIN HWA            32
네트워크 법칙
  메트컬프의 법칙(Metcalfe's Law) node 개념
 네트워크의 가치는 참여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메트컬프의 법칙에 따르
면,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그 비용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지만 네트워
크의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
즉, 만약 10명의 회원에 1명이 늘면 네트워크 비용은 10% 증가이지만, 가치
는 11의 제곱인 121이 되어 100보다 21%가 증가한다는 것

플랫폼의 가치($)




                    사용자 수(N)


                   LEE, MIN HWA                 33
네트워크 법칙
   리드의 법칙(Reed's Law)- Group 개념
 리드의 법칙은 노드에서 그룹이 만들어 질 수 있는 가능성에서 출발
즉, 리드의 법칙을 따르면 네트워크 상에서 10명의 사용자가 늘어난 경우 네
트워크 가치는 210
SNS로 대표되는 웹 2.0의 가치

플랫폼의 가치($)




                       사용자 수(N)



                   LEE, MIN HWA               34
네트워크 법칙
                                           수확 체증의 법칙
                                Network
                                                       Platform Power = N+N2+2n

                                                     N=Sarnoff’s Law

                                                   N2 = Metcalfe’s Law        플랫폼의 가치($)


                                                2n = Reed’s Law
Distribution   권력 랜덤 even                  1     12 150 1,000s Scale




                                  active                                                   사용자 수(N)



                      Network layer                 Law                       active
               Political Network           Sarnoff‟s Law      정보전달 (Publishing)
               Social Network              Metcalfe‟s Law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Creative Network            Reed‟s Law         협력 (Collaboration)
                                                    LEE, MIN HWA                                35
Smart World
Homo-Mobiliance



                  36
 minhwalee
스마트 혁명
제2의 IT 혁명, 스마트 폰




                   minhwalee   37
폴 로머의 신성장 경제
 학

성장에는 본질적으로 한계가 없다.
아이디어는 서로간의 조합으로 폭발한다.
이 과정에는 희소성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스탠퍼드 대학 경제학자
                                  폴 로머




               LEE, MIN HWA                  38
스마트 월드




                                신인류

               개인         아바타




         스마트 폰은 인간의 아바타로서
 창발적 집단 생명으로 진화하는 인간의 일부가 된 최초의 기계
           LEE, MIN HWA               39
N-스크린– IT의 통합




                           안드로이드 TV
            LEE, MIN HWA              40
스마트 월드 위치와 개인의 결합

           스마트 폰과 LBS


                        위치


                        개인

                        Smart
                        Place

         LEE, MIN HWA           41
스마트 월드 스마트폰과 금융의 결
  합
          화폐란 무엇인가?

    화폐                 스마트 폰              전자 화폐
  신뢰가 있는 통신           통신 + 인증(신뢰)         신용 카드




  전자 토큰       신용 카드            T- money    전자 화폐



               LEE, MIN HWA                        42
QR CODE - 스마트폰과 미디어 융합




            minhwalee    43
현실과 가상의 결합- 증강 현실

물리공간      Mixed Reality(혼합현실)                 전자공간




       현실을 바탕으로 가상 합성     가상을 바탕으로 현실 합성   <Second life>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LEE, MIN HWA                        44
증강 현실과 SNS




             45
minhwalee   46
CLOUD와 통합 비지니스




      minhwalee   47
스마트 월드 - 집단 생명과 다중 인격
                 집단 생명 + 다중 인격




          LEE, MIN HWA           48
스마트 월드 - 도시의 스마트화

               < U-City, 스마트 플레이스 >
                                     스마트 CCTV
                                     스마트 RFID


                                       스마트 도로

                                       스마트 빌딩

                                       스마트 교통

                                       스마트 식당

                                       스마트 학교
  “창조성의 중심은 네트워크 공간이다.
  스마트 공간에서 확장된 개인의 사고가 자기 조직화되어 창조성을 발현한다.
  개인의 상상력, 통찰력 이 스마트 공간과의 역동적 관계를 맺어 창조적 도약을 가져온다 “
  -리처드 오글        LEE, MIN HWA                         49
스마트 월드 mind children by hans moravec


                     마음의 아이들 mind children
                      미국 로봇 공학 이론가 한스 모라벡의 미래 소설


                     로봇 기술의 발달 과정은 생물 진화에 견주어 전망
                     20세기 로봇은 곤충 수준 지능
                     21세기 로봇은 10년마다 세대가 바뀐다.




                   LEE, MIN HWA                    50
스마트 월드 mind children by hans moravec

                                                                     Robo-
             로봇의 지능의 정도 추이                                          Sapiens
                                              특이점(singluratity)
                                                                     지혜를
                                                                    가진 로봇

                                                                     2050
                                                                  인간의 능력 추월


                                                    4세대(2040)
                                                   사람처럼 보고 말하
                                                   고 행동하는 능력
                                  3세대(2030)
                                  사전에 생각하는 능력

             2세대(2020)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
 1세대(2010)
                   LEE, MIN HWA                                         51
스마트 월드 mind children by hans moravec
                   < 사람과 로봇과의 관계 >
       Idea 1                 Idea 2        Idea 3




   하인으로서의 로봇               로봇의 지배        로봇과 인간의 융합

 로봇 3대 법칙 적용        로봇이 사람을 지배하는 사회     사람과 로봇은 서로
 사람 대신 온갖 힘든 일을     인간의 삶은 기계에 의해 통제   돕고 살 것이다.
도맡아 줄 것으로 기대        되고 기계의 하인이 된다.
                    LEE, MIN HWA                     52
스마트 월드 mind children by hans moravec

                 < 인간과 스마트폰의 융합 >


                             mind




           사람A              마음         마음의 아이 A


                             mind




           사람B              마음         마음의 아이 B
                   LEE, MIN HWA                   53
스마트 월드-- 시간의 융합

   < 사람의 마음의 융합, 과거와 현재의 융합 >


                             mindA
                               +
                             mindB


   마음의 아이A         마음의 아이B

                             과거의
                             mind
                              +
                             현재의
                             mind

     선조              현재의 나
             LEE, MIN HWA            54
SMART WORLD는 GOOD WORLD인가?

• 착한 사람이 승자가 되는 세상?
  – 일회성 게임
  – 반복되는 투명한 게임
  – 소셜 댓글의 예


• 개방과 공유
  – 웹2.0의 패러다임은 어디에서 오는가?

              minhwalee     55
자원  지식  관계

• 자원의 한계
 – 유한한 Off-Line 자원 vs 무한한 On-Line 자원


• 독점에서 공유로
 – 공유하면 더 많이 가지게 된다.


• 소유에서 관계로
 – 자원에서 지식을 넘어 관계로

                 minhwalee             56
天地人의 통합 - 스마트 월드


             天
                         홍익인간

                         (人中天地一)
              Homo
            Mobiliance



      地                   人
창조성의 발현

             창조성의 발현
       상극이 순환으로 상생
 유지(Operation)   사회를 유지하는 힘      陰의 기운
 혁신(Innovation) 사회를 바꾸는 힘 陽의 기운
 相剋의 가치가 순환 과정에서 相生의 가치로
 유지와 혁신의 조화가 생명력 있는 조직으로


                   선순환
        天

        地          생명

     對立            妙合            相生
                  LEE, MIN HWA            58
天地人과 太極 통합의 힘



  국부창출                         인간존중


소비자가치(V-P)                    기업가치(P-C)


   업적                            인간


 Operation                    Innovation


   업무                            교육




               LEE, MIN HWA                59
감사합니다


                        카이스트교수
              벤처협회 명예회장


                    이민화
         mhleesr@gmail.com E – mail
        http://minhwalee.co.kr Home 피
                @minhwalee Twitter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창조성과집단지능V1.0

2012 ChangeON_03-인터넷은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마당이다
2012 ChangeON_03-인터넷은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마당이다2012 ChangeON_03-인터넷은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마당이다
2012 ChangeON_03-인터넷은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마당이다Kim Won-han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5 - How does the advent of AI and robot...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5 - How does the advent of AI and robot...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5 - How does the advent of AI and robot...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5 - How does the advent of AI and robot...
Network Science Lab,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8체인지온] 인공지능시대의 사회적 과제 - 구본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소장
[2018체인지온] 인공지능시대의 사회적 과제 - 구본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소장[2018체인지온] 인공지능시대의 사회적 과제 - 구본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소장
[2018체인지온] 인공지능시대의 사회적 과제 - 구본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소장
daumfoundation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4 - What kinds of application domains r...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4 - What kinds of application domains r...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4 - What kinds of application domains r...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4 - What kinds of application domains r...
Network Science Lab,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Jaehyeuk Oh
 
From Imagination to Reality -Korean
From Imagination to Reality -KoreanFrom Imagination to Reality -Korean
From Imagination to Reality -Korean
Jahee Lee
 
HELLO WORLD @플랜비 아티스트
HELLO WORLD @플랜비 아티스트HELLO WORLD @플랜비 아티스트
HELLO WORLD @플랜비 아티스트
cbs15min
 
이민화_모바일 혁명과 벤처2.0
이민화_모바일 혁명과 벤처2.0이민화_모바일 혁명과 벤처2.0
이민화_모바일 혁명과 벤처2.0VentureSquare
 

Similar to 창조성과집단지능V1.0 (8)

2012 ChangeON_03-인터넷은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마당이다
2012 ChangeON_03-인터넷은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마당이다2012 ChangeON_03-인터넷은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마당이다
2012 ChangeON_03-인터넷은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마당이다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5 - How does the advent of AI and robot...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5 - How does the advent of AI and robot...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5 - How does the advent of AI and robot...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5 - How does the advent of AI and robot...
 
[2018체인지온] 인공지능시대의 사회적 과제 - 구본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소장
[2018체인지온] 인공지능시대의 사회적 과제 - 구본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소장[2018체인지온] 인공지능시대의 사회적 과제 - 구본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소장
[2018체인지온] 인공지능시대의 사회적 과제 - 구본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소장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4 - What kinds of application domains r...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4 - What kinds of application domains r...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4 - What kinds of application domains r...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14 - What kinds of application domains r...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인문공간 정보융합 Workshop #4
 
From Imagination to Reality -Korean
From Imagination to Reality -KoreanFrom Imagination to Reality -Korean
From Imagination to Reality -Korean
 
HELLO WORLD @플랜비 아티스트
HELLO WORLD @플랜비 아티스트HELLO WORLD @플랜비 아티스트
HELLO WORLD @플랜비 아티스트
 
이민화_모바일 혁명과 벤처2.0
이민화_모바일 혁명과 벤처2.0이민화_모바일 혁명과 벤처2.0
이민화_모바일 혁명과 벤처2.0
 

More from Soojin Shin

4th Industrial Revolution & Korean Historical Identity
 4th Industrial Revolution & Korean Historical Identity 4th Industrial Revolution & Korean Historical Identity
4th Industrial Revolution & Korean Historical Identity
Soojin Shin
 
의료산업세계화1.3
의료산업세계화1.3의료산업세계화1.3
의료산업세계화1.3Soojin Shin
 
벤처창업경영V2.1
벤처창업경영V2.1벤처창업경영V2.1
벤처창업경영V2.1Soojin Shin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Soojin Shin
 
초생명기업6(수정)[1]
초생명기업6(수정)[1]초생명기업6(수정)[1]
초생명기업6(수정)[1]Soojin Shin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Soojin Shin
 
스마트캠퍼스V1.1
스마트캠퍼스V1.1스마트캠퍼스V1.1
스마트캠퍼스V1.1Soojin Shin
 
이공계르네상스1.0
이공계르네상스1.0이공계르네상스1.0
이공계르네상스1.0Soojin Shin
 
산학협력의새로운대안
산학협력의새로운대안산학협력의새로운대안
산학협력의새로운대안Soojin Shin
 
벤처창업경영V2.1
벤처창업경영V2.1벤처창업경영V2.1
벤처창업경영V2.1Soojin Shin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Soojin Shin
 
청년창업멘토링사례발표김희정
청년창업멘토링사례발표김희정청년창업멘토링사례발표김희정
청년창업멘토링사례발표김희정Soojin Shin
 
공정사회로 가는길
공정사회로 가는길공정사회로 가는길
공정사회로 가는길Soojin Shin
 
벤처이야기V1.2(1시간)
벤처이야기V1.2(1시간)벤처이야기V1.2(1시간)
벤처이야기V1.2(1시간)Soojin Shin
 
벤처발전사3.1
벤처발전사3.1벤처발전사3.1
벤처발전사3.1Soojin Shin
 
목표관리V1.1
목표관리V1.1목표관리V1.1
목표관리V1.1Soojin Shin
 
메디슨이야기
메디슨이야기메디슨이야기
메디슨이야기Soojin Shin
 
기업가정신3.1(90분용)
기업가정신3.1(90분용)기업가정신3.1(90분용)
기업가정신3.1(90분용)Soojin Shin
 

More from Soojin Shin (20)

4th Industrial Revolution & Korean Historical Identity
 4th Industrial Revolution & Korean Historical Identity 4th Industrial Revolution & Korean Historical Identity
4th Industrial Revolution & Korean Historical Identity
 
의료산업세계화1.3
의료산업세계화1.3의료산업세계화1.3
의료산업세계화1.3
 
벤처창업경영V2.1
벤처창업경영V2.1벤처창업경영V2.1
벤처창업경영V2.1
 
한경영2.0
한경영2.0한경영2.0
한경영2.0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초생명기업6(수정)[1]
초생명기업6(수정)[1]초생명기업6(수정)[1]
초생명기업6(수정)[1]
 
창조경제2.1
창조경제2.1창조경제2.1
창조경제2.1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스마트캠퍼스V1.1
스마트캠퍼스V1.1스마트캠퍼스V1.1
스마트캠퍼스V1.1
 
이공계르네상스1.0
이공계르네상스1.0이공계르네상스1.0
이공계르네상스1.0
 
산학협력의새로운대안
산학협력의새로운대안산학협력의새로운대안
산학협력의새로운대안
 
벤처창업경영V2.1
벤처창업경영V2.1벤처창업경영V2.1
벤처창업경영V2.1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청년창업멘토링사례발표김희정
청년창업멘토링사례발표김희정청년창업멘토링사례발표김희정
청년창업멘토링사례발표김희정
 
공정사회로 가는길
공정사회로 가는길공정사회로 가는길
공정사회로 가는길
 
벤처이야기V1.2(1시간)
벤처이야기V1.2(1시간)벤처이야기V1.2(1시간)
벤처이야기V1.2(1시간)
 
벤처발전사3.1
벤처발전사3.1벤처발전사3.1
벤처발전사3.1
 
목표관리V1.1
목표관리V1.1목표관리V1.1
목표관리V1.1
 
메디슨이야기
메디슨이야기메디슨이야기
메디슨이야기
 
기업가정신3.1(90분용)
기업가정신3.1(90분용)기업가정신3.1(90분용)
기업가정신3.1(90분용)
 

창조성과집단지능V1.0

  • 2. 스티브 잡스 레오나르도 다빈치 피카소 창조성 천재성의 산물? 우연? ? LEE, MIN HWA 2
  • 3. 창조성은 네트워크 다.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탐험, 상상, 통합했을때 창조적 도약이 이루어진다. LEE, MIN HWA 3
  • 4. 인간은 어디로 진화하는가? 호모 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 호모 루덴스- 호모 디지쿠스- ?? LEE, MIN HWA 4
  • 5. SMART 혁명의 규모는? 모바일, 웹2.0, 소셜 미디어, 클라우드… minhwalee 5
  • 6. Mobile, Emergent Network Mobile 네트워크는 인류 역사 최대 Power Silk Road 대양 철도 자동차 Internet Mobile Silk Road + 대양 + 철도 + 자동차 + Internet > Mobile (Off-Line) Silk Road – 자동차 + “ Ubiquitous ” (On-Line) Internet minhwalee 6
  • 7. Mobile, Emergent Network OFFLINE Sensor ONLINE Actuator Major Trend Ubiquitous Sensor Network Sensor Network (RFID) Mobile (RFID) 물류 물류 사람 일본 일본 한국
  • 8. Mobile, Emergent Network Fractal CHAOS 복잡계 혼돈 자기조직화 emergence (창발성) 생명현상 질서 minhwalee 8
  • 9. Mobile, Emergent Network Connectivity 상호작용 Smart Social 새로운 생명현상 Super – human being Homo - Mobiliance minhwalee 9
  • 10. Mobile, Emergent Network Fractal CHAOS 반복의 효율성 랜덤한 불규칙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한의 다양성 10
  • 11. Mobile, Emergent Network <Holon, emergence> 전체정보 부분이면서 전체 조직 미술관 복잡계 사회학 사람 그림 Emergent한 Emergent한 단순계 생리학, 의학 현상 발현 현상 발현 세포 복잡계 세포학 물감 minhwalee 11
  • 13. Mobile Super - man Six sense, the Mobile Super - man •1st DNA 초능력 •2ND Knowledge •3rd Evolution as Cyborg 투 시 카메라 + 동시성 Ubiquitous 5감 Six Sense로서의 초감각 Sensor 스마트폰  기계의 개념에서 탈피  인류의 일부화된 최초의 기계  생명의 일부(Fractal – CHAOS) minhwalee 13
  • 14. Mobile Super - man Live Personal Server • 상호작용의 원천(Source) Brainwave – 목소리 내장 기능. Body Temp. Detection Stress of eyeball – 지문 Heart rate movement 적외선 활용 – 체온, 맥박 – 경락 Fat Diabetes – 운동량 level in Heart rate body 바이오 센서 – 혈압 – 얼굴/피부색 Calories … LEE, MIN HWA 14
  • 15. Mobile Super - man Smart폰은 Body Area Network(BAN) 서버(아바타)” WAN LAN LAN LAN LAN PAN (Personal Area Network) BAN (Body Area Network) CAN LAN (Car Area Network) 15
  • 17. 집단 생명의 탄생 개미 무덤과 쓰레기장은 가장 먼곳에 존재 개미의 지능인가? 개미 집단의 지능인가? 개미의 농경문화, 노예제도 등은 누가 만들었는가? 개체의 지능 네트워크 지능 집단 지능은 개체의 지능보다 차원이 높다. LEE, MIN HWA 17
  • 18. 집단 생명의 탄생 집단 지능의 5원칙 1. 다수원리 2. 단순성 3. 랜덤한 상호작용 4. 신호의 패턴화 5. 상호 교류 개미집단 집단 생명  개체가 많다  상호작용이 크다(페르몬) LEE, MIN HWA 18
  • 19. 집단 생명의 탄생 Super – Organism (초생명) 개미집단 초생명 개체가 많다. 위 입 생식기 상호작용이 크다.(페로몬) 개체가 많다 Super – Human being 왕성한 상호작용 “Real Time Mobile Connectivity가 폭발적 증가를 하면 인류가 새로운 진화를 시작함” 인류의 새로운 진화 코드 e.g.) “붉은 악마” , “Cy질”, SNS,트위터, 페이스북 minhwalee 19
  • 20. 집단 생명의 창발 < 네트워크 과학의 출현 > 복잡계 이론 네트워크 과 학 뇌의 구조 City Internet 개미 집단 20 minhwalee
  • 21. 집단 생명의 탄생 자기 조직화 시스템 창발적 질 Self Organizing System 서  시스템이 스스로를 자기조직화 한다.  생물학적 r g e n c 진화, 사회적 유행등 e m e 네트워크, e  변화를 유발하는 뚜렷한 동인이 없다.  자기 조직화 시스템, 자기 스스로 변화를 주도  시스템 전체의 역동적 특성이 그 시스템 일부 할 능력이 있는 시스템은 어마어마한 잠재적 를 결과물의 상태로 만들어 내놓는다. 창조 역량을 갖고 있다. minhwalee 21
  • 22. 확장된 사고의 네트워크 자기 조직화 “스스로의 변화를 주도한다.” 외부의 변화 자기조직 선생님 학생 화 토론을 통해 학생들끼리 깨우침 LEE, MIN HWA 22
  • 23. 네트워크 도약 혁신적 창조성 Break through Creativity 혁신적 창조성은 창조적 네트워크 도약에서 온다. 대진화 소진화, 대진화 그래프 minhwalee 23
  • 24. 사고의 확장 “ 인간의 생각은 머릿속에서 이루어진다. “ “ 인간의 사고는 머릿속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LEE, MIN HWA 24
  • 25. 사고의 범위가 뇌를 넘어선 다 자기 조직화 “스스로의 변화를 주도한다.” Weak Tie 창조적 에너지 와생각 minhwalee 25
  • 26. 아이디어 공간 스마트 월드 = 아이디어 공간 지능 지능의 이동 시냅스 지능 지능 아이디어 공간 길을 만든다 어떤 영역이나 세상을 „배태된 지능‟의 관점 에서 바라본것 기본 요소와 그들 사이의 관계로 본 세계, 네 트워크로 본 세계 LEE, MIN HWA 26
  • 27. 아이디어 공간 비즈니스 모델 성장 성장 지능의 이동 지능 회사 생존 행동을 이끌어 낼수 있는 지능 Actionable intelligence LEE, MIN HWA 27
  • 28. 좁은 세상 네트워크 A B 강한 내적 연결을 지닌 두 그룹 사이의 가교가 되는 약한 연결 A D 아이디어 공간과 역동적으로 B E 연계된 네트워크가 티핑 포인트를 일으 키는 핵심 역할을 맡게 된다. C F 약한 연결로 연계된 연결자들의 네트워크 LEE, MIN HWA 28
  • 29. 좁은 세상 네트워크 제록스 파크 연구소 보완적인 실행 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s) 전통적인 비밀 실험실 구성원 대부분이 대면 접촉을 통해 서로를 알고, 직업적 배경이 비슷하며, 생 각, 가치, 목표 등을 공유하는 밀착된 그룹 파크 연구소가 개발한 기술 마우스 GUI 최고의 연구소였지만 사업은 실패한 제록스 연구 RISC 기술 소 RDB 기술 대부분 PC의 주요기술들 개발 WHY? LEE, MIN HWA 29
  • 30. SMART WORLD 스마트 월드 제록스 파크 연구소와 애플사의 구조 비교 제록스 파크 연구소 애플 강한 연결 약한 연결 A D B E A C F 비밀 공동체 (COP) 열린 공동체 접근성 낮음 접근성 큼 소진화 대진화 커뮤니티와의 접근 떨어짐 커뮤니티와의 접근 활발 상호성(협업과 아이디어 공유) 큼 상호성 큼 LEE, MIN HWA 30
  • 31. SMART WORLD 1 2 3 ④ 좁은 세상 네트워크 스마트 월드 좁은 세상 네트워크 약한 연결로 링크된 커넥터를 여럿 두고 있는 네트워크 서로 다른 두 개의 노드끼리 허브를 통해 몇 단계만 거 치면 상대편에 닿는다. 매우 추상적이어서 어떤것으로 이뤄진 네트워크에라 도 대부분 적용이 가능하다. 많은 것과 연결된 허브는 티핑 포인트에 다다를 수 있 게 하는 중요한 맥락이 된다. 네트워크 과학 선구자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LEE, MIN HWA 31
  • 32. 네트워크 법칙 사노프의 법칙(Sarnoff's Law) viewer개념  네트워크의 가치는 참여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메트컬프의 법칙에 따르 면,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그 비용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지만 네트워 크의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 즉, 만약 10명의 회원에 1명이 늘면 네트워크 비용은 10% 증가이지만, 가치 는 11의 제곱인 121이 되어 100보다 21%가 증가한다는 것 플랫폼의 가치($) 사용자 수(N) LEE, MIN HWA 32
  • 33. 네트워크 법칙 메트컬프의 법칙(Metcalfe's Law) node 개념  네트워크의 가치는 참여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메트컬프의 법칙에 따르 면,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그 비용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지만 네트워 크의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 즉, 만약 10명의 회원에 1명이 늘면 네트워크 비용은 10% 증가이지만, 가치 는 11의 제곱인 121이 되어 100보다 21%가 증가한다는 것 플랫폼의 가치($) 사용자 수(N) LEE, MIN HWA 33
  • 34. 네트워크 법칙 리드의 법칙(Reed's Law)- Group 개념  리드의 법칙은 노드에서 그룹이 만들어 질 수 있는 가능성에서 출발 즉, 리드의 법칙을 따르면 네트워크 상에서 10명의 사용자가 늘어난 경우 네 트워크 가치는 210 SNS로 대표되는 웹 2.0의 가치 플랫폼의 가치($) 사용자 수(N) LEE, MIN HWA 34
  • 35. 네트워크 법칙 수확 체증의 법칙 Network Platform Power = N+N2+2n N=Sarnoff’s Law N2 = Metcalfe’s Law 플랫폼의 가치($) 2n = Reed’s Law Distribution 권력 랜덤 even 1 12 150 1,000s Scale active 사용자 수(N) Network layer Law active Political Network Sarnoff‟s Law 정보전달 (Publishing) Social Network Metcalfe‟s Law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Creative Network Reed‟s Law 협력 (Collaboration) LEE, MIN HWA 35
  • 37. 스마트 혁명 제2의 IT 혁명, 스마트 폰 minhwalee 37
  • 38. 폴 로머의 신성장 경제 학 성장에는 본질적으로 한계가 없다. 아이디어는 서로간의 조합으로 폭발한다. 이 과정에는 희소성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스탠퍼드 대학 경제학자 폴 로머 LEE, MIN HWA 38
  • 39. 스마트 월드 신인류 개인 아바타 스마트 폰은 인간의 아바타로서 창발적 집단 생명으로 진화하는 인간의 일부가 된 최초의 기계 LEE, MIN HWA 39
  • 40. N-스크린– IT의 통합 안드로이드 TV LEE, MIN HWA 40
  • 41. 스마트 월드 위치와 개인의 결합 스마트 폰과 LBS 위치 개인 Smart Place LEE, MIN HWA 41
  • 42. 스마트 월드 스마트폰과 금융의 결 합 화폐란 무엇인가? 화폐 스마트 폰 전자 화폐 신뢰가 있는 통신 통신 + 인증(신뢰) 신용 카드 전자 토큰 신용 카드 T- money 전자 화폐 LEE, MIN HWA 42
  • 43. QR CODE - 스마트폰과 미디어 융합 minhwalee 43
  • 44. 현실과 가상의 결합- 증강 현실 물리공간 Mixed Reality(혼합현실) 전자공간 현실을 바탕으로 가상 합성 가상을 바탕으로 현실 합성 <Second life>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LEE, MIN HWA 44
  • 46. minhwalee 46
  • 48. 스마트 월드 - 집단 생명과 다중 인격 집단 생명 + 다중 인격 LEE, MIN HWA 48
  • 49. 스마트 월드 - 도시의 스마트화 < U-City, 스마트 플레이스 > 스마트 CCTV 스마트 RFID 스마트 도로 스마트 빌딩 스마트 교통 스마트 식당 스마트 학교 “창조성의 중심은 네트워크 공간이다. 스마트 공간에서 확장된 개인의 사고가 자기 조직화되어 창조성을 발현한다. 개인의 상상력, 통찰력 이 스마트 공간과의 역동적 관계를 맺어 창조적 도약을 가져온다 “ -리처드 오글 LEE, MIN HWA 49
  • 50. 스마트 월드 mind children by hans moravec 마음의 아이들 mind children 미국 로봇 공학 이론가 한스 모라벡의 미래 소설  로봇 기술의 발달 과정은 생물 진화에 견주어 전망  20세기 로봇은 곤충 수준 지능  21세기 로봇은 10년마다 세대가 바뀐다. LEE, MIN HWA 50
  • 51. 스마트 월드 mind children by hans moravec Robo- 로봇의 지능의 정도 추이 Sapiens 특이점(singluratity) 지혜를 가진 로봇 2050 인간의 능력 추월 4세대(2040) 사람처럼 보고 말하 고 행동하는 능력 3세대(2030) 사전에 생각하는 능력 2세대(2020)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 1세대(2010) LEE, MIN HWA 51
  • 52. 스마트 월드 mind children by hans moravec < 사람과 로봇과의 관계 > Idea 1 Idea 2 Idea 3 하인으로서의 로봇 로봇의 지배 로봇과 인간의 융합  로봇 3대 법칙 적용  로봇이 사람을 지배하는 사회  사람과 로봇은 서로  사람 대신 온갖 힘든 일을  인간의 삶은 기계에 의해 통제 돕고 살 것이다. 도맡아 줄 것으로 기대 되고 기계의 하인이 된다. LEE, MIN HWA 52
  • 53. 스마트 월드 mind children by hans moravec < 인간과 스마트폰의 융합 > mind 사람A 마음 마음의 아이 A mind 사람B 마음 마음의 아이 B LEE, MIN HWA 53
  • 54. 스마트 월드-- 시간의 융합 < 사람의 마음의 융합, 과거와 현재의 융합 > mindA + mindB 마음의 아이A 마음의 아이B 과거의 mind + 현재의 mind 선조 현재의 나 LEE, MIN HWA 54
  • 55. SMART WORLD는 GOOD WORLD인가? • 착한 사람이 승자가 되는 세상? – 일회성 게임 – 반복되는 투명한 게임 – 소셜 댓글의 예 • 개방과 공유 – 웹2.0의 패러다임은 어디에서 오는가? minhwalee 55
  • 56. 자원  지식  관계 • 자원의 한계 – 유한한 Off-Line 자원 vs 무한한 On-Line 자원 • 독점에서 공유로 – 공유하면 더 많이 가지게 된다. • 소유에서 관계로 – 자원에서 지식을 넘어 관계로 minhwalee 56
  • 57. 天地人의 통합 - 스마트 월드 天 홍익인간 (人中天地一) Homo Mobiliance 地 人
  • 58. 창조성의 발현 창조성의 발현 상극이 순환으로 상생  유지(Operation) 사회를 유지하는 힘 陰의 기운  혁신(Innovation) 사회를 바꾸는 힘 陽의 기운  相剋의 가치가 순환 과정에서 相生의 가치로  유지와 혁신의 조화가 생명력 있는 조직으로 선순환 天 地 생명 對立 妙合 相生 LEE, MIN HWA 58
  • 59. 天地人과 太極 통합의 힘 국부창출 인간존중 소비자가치(V-P) 기업가치(P-C) 업적 인간 Operation Innovation 업무 교육 LEE, MIN HWA 59
  • 60. 감사합니다 카이스트교수 벤처협회 명예회장 이민화 mhleesr@gmail.com E – mail http://minhwalee.co.kr Home 피 @minhwalee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