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synthesis
ideation2012.4.24
group hierarchy
group hierarchy
쫓김이
group hierarchy
쫓김이


      시간 확인, 경로 확인
쫓김이

문제점 발견
쫓김이




         주머니에 손을 넣다가
         옆 사람 옆구리를 찌름

         주머니에 손을 넣어서 꼭 핸드폰을
         꺼내 확인을 하지 않아도,
         좁은 공간에서 핸드폰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없을까?
쫓김이

문제점 발견
쫓김이




         통화 종료 버튼이
         제대로 눌리지 않음

         터치 스크린의 경우 주머니 속에서
         통화 버튼이 잘못 눌러지는 경우,
         혹은 통화 종료 버튼이 잘못 눌러지
         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
         결할 수 있는 방법은 ?
쫓김이

문제점 발견
쫓김이




  어플을 찾기 위해 페이지를
  2번 넘김

  요즘에는 어플을 수십개 깔아놓는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group hierarchy
노예
group hierarchy
노예


      메신저 서비스 이용


                   device
노예

문제점 발견
노예




         핸드폰 비밀번호가
         걸려 있는 경우 오타가 남

         사생활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걸어
         둘 경우 보다 쉽게 풀 수 있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ex) 갤럭시의 경우 패턴형 잠금장치
노예

문제점 발견
노예




         터치스크린 기반 오타율

         터치 기반 핸드폰의 경우
         피처폰보다 오타를 낼 가능성이
         높음. 터치의 편리함을 유지하고
         오타율을 줄일 수 있게 입력 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노예

문제점 발견
노예




         동시에 많은 활동을 수행하면서 겪는
         스마트폰의 평면적 윈도우의 불편함

         요즘은 핸드폰을 굉장히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데, 그런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인터페이스가
         변화한다면 어떨까?
노예

문제점 발견
노예




         답장을 기다리는 과정에서
         홈 버튼을 잠궜다 풀었다,
         핸드폰을 주머니에 넣었다가 꺼냈다가를 반복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기다림의 시간을 단축하거나 보다 효율적으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은 없을까?

         주머니에 넣었다 뺐다 하는 반복적인
         행동 패턴을 줄일 수 있는 멀티모달 방식은
         없을까?
group hierarchy
지침이
문제점 발견
지침이

         지하철에서 잠이 든 상황
지침이

문제점 발견
지침이




   메시지가 와서 자꾸 잠이 깸
   자는데 일어나서 손가락으로 문자를 보내야하는 점

   잠을 계속 자고 싶은데 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이어폰을 꽂고 자면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방식은 어떨
   까? ( 눈을 감고도 음성으로 읽어주는 텍스트를 통해
   그 메시지가 중요한 건지 아닌 건지 선별할 수 있음 )

   중요한 문자일 경우, 답장을 해야하는데 손으로 직접 치는 방법
   말고는 없을까?
지침이

문제점 발견
지침이




   자느라 어느 역인지 모르게 됨

   지하철 역 알림 소리를 크게 해준다면?
   고개 돌려서 보는 방식의 변화가 어떤 식으로?
   어느 역인지 알려주는 것에 있어 시각적 피드백이 최선인가?
   뉴미디어로 천장에 경로 확인 스크린이 있다면?
   개인별 디바이스로 알려주는 방식은? 스마트폰 알람
group hierarchy
범생이
group hierarchy
범생이


          검색하기
범생이

문제점 발견
범생이




         어플을 찾기 위해 페이지를
         3번 넘김

         요즘에는 어플을 수십개 깔아놓는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범생이

문제점 발견
범생이




         검색하는 과정이 복잡함

         핸드폰을 이용해 정보 검색을 하는
         방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범생이

문제점 발견
범생이




         터치스크린 기반 오타율

         터치 기반 핸드폰의 경우
         피처폰보다 오타를 낼 가능성이
         높음. 터치의 편리함을 유지하고
         오타율을 줄일 수 있게 입력 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group hierarchy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음악들으면서 메시지보내기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이어폰을 끼면 외부 소리가 안들려
                  이어폰을 뺐다 꼈다 하는 행위가 반복됨

                  이어폰을 껴도 외부 환경의 청각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핸드폰 외부의 버튼이 너무 비슷해
                  누르기 힘들다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버튼 대신에 다른 액션을 부여하는 건
                  어떨까?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한 귀로는 주변 상황의 소리를 듣고 싶고
                  또 다른 귀로는 통화에 집중하고 싶음

                  이어폰을 껴도 외부 환경의 청각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어플을 찾기 위해 화면을 여러번 이동

                  요즘에는 어플을 수십개 깔아놓는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메시지를 보낼 때 주변을 지나치게 의식

                  주변 사람들이 자신의 메시지를 보고 있지 않
                  다는 것을 확인받을 수는 없나?

                  스크린을 나만 볼 수 있게 화면에 어떤 장치를
                  할 수는 없을까?

                  화면의 각도 조절 말고, 입력 방식의 변화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까?
질문 구조화
질문 구조화
질문 구조화
질문 구조화



           하드웨어



  디바이스            액세서리      Issue 1. 주머니에 넣다 빼기

                            주머니에서 핸드폰을 꺼내지 않고 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크기          이어폰
                            지침이 /
                            잠에 들었는데 문자 메시지가 오는 상황, 주머니에서 꺼내기 귀찮음
                   뺐다가 끼기
   양 손으로 잡           반복
   기 vs. 한 손으               노예 /
     로 잡기                   연락을 확인하기 위해 핸드폰을 주머니에 넣었다, 뺐다 하는 행동의 반복
                  디바이스에서    쫓김이 /
                  의 기능 활용
                    제한      주머니에 손을 넣다가 옆 사람 옆구리를 찌름
    옆면 활용



    가로 보기


   주머니에 넣다
     빼기
질문 구조화




                                        소프트웨어



                                          UI
                   Issue 2. 터치

                       입/출력                     인공지능    정보구조
                   지침이 /
                   자는데 일어나서 손가락으로 문자를 보내야하는 점
         촉각            시각          청각    음성       개인화   정보접근경로
                   범생이 /
                   핸드폰 사용이 본래 목적의 방해가 됨
          진동   디스플레이        입력방식


                            쿼티 vs.천지
          터치     아이콘           인


                 텍스트
질문 구조화

                            핸드폰을 사용하면서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은?
                            텍스트에서 음성, 음성으로 텍스트 변환 기능이 가능하다면 어떨까?
                                        소프트웨어
                            소심이 /
                            메시지 보낼 때 주변 시선의 의식. 정보 보호
                                          UI
                            쫓김이 /
                            어플을 찾기 위해 페이지를 2번 넘김
                       입/출력                     인공지능     정보구조



         촉각            시각          청각    음성        개인화   정보접근경로
                            Issue 3. 디스플레이
          진동   디스플레이        입력방식


                             쿼티 vs.천지
          터치     아이콘            인


                 텍스트
질문 구조화




                                        소프트웨어
                                                Issue 4. 음성

                                          UI
                                                소심이 /
                                                전화받을 때
                       입/출력                     인공지능     정보구조



         촉각            시각          청각    음성       개인화    정보접근경로



          진동   디스플레이        입력방식


                            쿼티 vs.천지
          터치     아이콘           인


                 텍스트
질문 구조화



         Issue 5. 정보접근경로                   소프트웨어



         정보 접근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UI

         소심이, 노예 /
         핸드폰 사용 단계의 복잡함   입/출력                     인공지능    정보구조


         범생이 /
          촉각              시각          청각    음성       개인화   정보접근경로
         검색하는 과정이 복잡함


            진동    디스플레이        입력방식


                               쿼티 vs.천지
            터치      아이콘           인


                    텍스트
질문 구조화



                                  Issue 6. 도착역 정보

                                  어느 역인지 알려주는 방법에 있어 최선의 해결방법은?
                                  지하철 내의 이동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알려줄 수 있는 방식은?
                  기타 서비스
                                  지침이 /
                                  자느라 어느 역인지 모르게 됨
              지하철 제공
                정보          LBS   쫓김이 /
                                  도착지까지 남은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어플을 실행하는 과정

         음성       물리적 환경



         방송정보          도착 역 정보
ideation process
ideation




           1. 어떤 방식과 행동으로 현재의 입출력 방식을 변환하거나 보완할 수 있을까?
           2. 변환된 정보를 어떤 방식과 감각기관으로 확인할 수 있을까?
ideation

1. 주머니       디바이스를 주머니에 넣은 채로 메시지나 전    잠을 계속 자고 싶은데 문자를 확인할 수 있
             화를 받을 수 있다면 어떨까?           도록 하는 방법은?

주머니에서 핸드폰                               - 자고 있는 경우에 음성으로 들려주는 것
을 꺼내지 않고 볼   - 주머니 속의 디바이스를 만지는 행위로 바
             로 전화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면 어떨    또한 방해 요소가 아닐까?
수 있는 방법은 없
을까?          까?
                                        -- 지하철에서 내리고 나서 받은 정보를
             -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경우에는    우선순위에 따라 확인할 수 있게 해줄 수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없을까?

                                        --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꼭 화면
             --- 지금 현재 마이크 부착형 이어폰을 사
                                        을 봐야만 가능한가?
             용할 때 휴대폰을 주머니에 넣은 채로 통화
             할 수 있는데 통화 품질 외의 문제점은 무엇
                                        --- 물리적인 화면을 꼭 마주하지 않고도,
             일까?
                                        연락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이어폰을 꽂고 자면 텍스트를 음성으
                                        로 읽어주는 방식은 어떨까?

                                        ---- 눈을 감고도 음성으로 읽어주는 텍스
                                        트를 통해 그 메시지가 중요한 건지 아닌 건
                                        지 선별할 수 있을까?

                                        ----- 시각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청각이
                                        최선인가?
ideation

2. 터치      - 보지 않고는 타이핑 할 수 없는 터치 방식,   메신저 서비스 같은 경우, 옆에서 말하는 것
           과거 버튼 방식처럼 안 보고도             과 같은 즉각적인 반응이 장점인데 이것을
           부분을 느끼게 해줄 방법은 어떨까?          살리면서, 인풋 방식을 더 편하게 할 수 있
터치가 메시지    진동은 어떨까? 오히려 스트레스를 높일까?      는 방법은 없을까?
전송의 유일한
방법일까?      - 액정을 직접 터치하지 않아도 원하는 앱을     -사람이 말을 하는 속도와 같거나 보다 빠
           실행할 방법은 없을까?                 른 방식의 입력 방식에는 어떤 것이 있을
                                        까?
           타이핑도 해야 하고, 알림 창도 눌러야 하고
           바쁜 손을 쉬게 해줄 다른 방법은 없을까?      양 손으로 터치를 할 때 왜 자세가 불편해
                                        질까? 좀 더 편한 자세를 위해선 어떤 점이
           중요한 문자일 경우, 답장을 해야 하는데 손으    고쳐져야 할까?
           로 직접 치는 방법 말고는 없을까?
                                        짐이 많은 상황에서 한 손 만을 사용할 수
           터치 입력 방식에서의 오타율을 줄이거나 수      있다면 입력 방식은 어때야 할까?
           정을 빨리 하기 위해 다른 입력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을까?                  원치 않은 상황에서 얼굴이나 피부에 닿아
                                        다른 앱이나 버튼이 눌리지 않게 하기 위해
                                        서는 입력 할 때와 아닐 때를 구분 해주는
                                        디바이스에 다른 신호를 줄 수는 없을까?

                                        - 근접센서나 Parm영역 지정과 같은 현재
                                        의 솔루션에서의 불편함은 무엇이었는가?
ideation

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개인 정보는 소심이 뿐만 아니라 모두가 민
              싶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감한 사항인데, 휴대폰 사용자들은 남들에게
                                           자신이 하는 행동이 보여지는 것을 얼마나
핸드폰을 사용하면     - 자신이 적은 내용을 나만 볼 수 있게 할 수   의식하고 있나?
서 개인 정보를 보호   는 없을까?
할 수 있는 방법은?                                지금 하고 있는 화면을 지하철 내의 모두에
              -- 화면의 각도를 이용하는 방법? 말고는 다    게 공개하면서 개인 정보가 새어나가는 경우
              른 방법은 없나?                    가 확률적으로 많은가? 단지 심리적인 문제
                                           라면 심리적인 부분만 안심시켜 주면 되는
              --- 디바이스를 쥐는 방향에 따라서 사생활     것인가?
              보호 모드로 바뀐다면 어떨까?

              ----- 특정 부분을 건드릴 때 의도치 않게
              건드렸을 때와 의도하고 건드렸을 때의 차이
              는 디바이스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사생활 부분 전환을 위한 버튼이나
              특정 제스처가 있다면 어떨까?
ideation

4. 음성      말하기 민망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음성 메    소심이가 직접 통화를 하면서 자신의 목소리
           시지를 보낼 수 있을까?               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없을까?

어떻게하면      전화를 하고 있는데 다른 사람들은 내가 하는    -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통화 소리가 알
소심이가       말을 안 들리게 할 수는 없나? 다른 방법은?   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작게 들린다는
지하철 안에서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전화를 사용할    - 텍스트로 적어서 음성으로 보내는 방법은?
수 있을까?
           -- 텍스트로 적어, 핸드폰에서 음성으로 변환
           한 메시지가 가능할 경우, 기분이나 감정은 어
           떻게 표현할 것인가?

           -- 텍스트로 적는 속도와 음성으로 말할 때의
           속도를 어떻게 자연스럽게 맞출 수 있을까?
ideation

5. 정보 수용     현재 이용 중인 앱들을 한 화면에서 볼 수 있    항상 쓰는 어플을 찾아 들어가지 않아도 바로
             는 방법은 없을까?                   실행할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정보 접근 과정을    - 한 화면에서 보면서 동시 작동할 수 있는 방   - 항상 쓰는 앱들이 여러 개라면 어떨까?
최소화 할 수 있는   법은 없을까? (맥 같이)
방법은 없을까?                                  --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한 앱과 바로 접속
             가방에서 핸드폰을 찾아 사용하기까지의 과정      형식의 앱은 어떻게 달라야할까?
             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핸드폰을 이용해 정보 검색을 하는 방법을 최
             - 다른 사물들과 섞여있을 때 사용자의 손이     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디바이스에 근접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릴
             것인가?                         - 음성 검색보다 정확하고 특정하며 편리한
                                          기능이 있을까?
             핸드폰 사용 단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                        요즘에는 어플을 수십개 깔아놓는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
             - 인터페이스 구성을 앱을 종료하고 실행시킴     은 없을까?
             이 아닌 다층적으로 이용할 수는 없을까?
                                          - 사용자가 앱의 이름을 기억하는 경우와 기
                                          억하지 못 하는 경우의 접근 방식은 어떻게 달
                                          라야할까?
ideation

6. 도착 역 정보   지하철 내의 이동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알려    개인별 디바이스로 알려주는 방식은? 스마트
             줄 수 있는 방식은?                 폰 알람
어느 역인지 알려
             사람이 많을 경우엔 어디에 시각 정보를 제공    사람들은 항상 일상적으로 이동을 하는데, 지
주는 방법에 있어
             하는 시설물을 설치해야 할까?            하철 사용자에게 어플을 사용해서 정보를 알
최선의 해결 방법
                                         려주는 방식 말고 보다 편리하게 이동 정보를
은?
             - 뉴 미디어로 천장에 알림이 있다면?       알려줄 수는 없을까?

             어느 역인지 알려주는 것에 있어 시각적 피드
             백이 최선인가?

             - 고개 돌려서 보는 방식의 변화가 어떤 식으
             로?

             - 지하철 역 알림 소리를 크게 해준다면?

             - 원하지 않는 역까지 들어야 하는 불편함은
             어떻게 해결해 줄 것인가?
ideation

7. 알람 방식    핸드폰의 알림을 킵해두거나, 중간에 잠시 안     상황에 따라 원하는 아웃 풋 방식을 쉽게 정해
            들리게 할 수는 없을까?                주는 방법은 어떨까?(단지 진동/벨 말고)

기존의 진동,     중요한 연락만 선별해서 꼭 알려줘야 하는 것     - 비교적 원하는 때에 볼 수 있는 시각적 아웃
소리 알람 방식을   만 알려줄 수는 없을까?                풋이 아닌, 청각적 아웃풋(읽어주기)를 할 경
벗어난 다른 형식                                우 오히려 하고 있는 메인 테스크에 지장을 주
의 알람은 없는    - 그렇다면 여러 대화 창에서도 자기가 원하     지 않을까?
것일까?        는 것을 우선적으로 더 집중해서 볼 수 있지
            않을까?                         - 읽어 줄 경우 어떤 톤으로 어떻게 전달 할
                                         수 있을까? 과연 효과적일까?
            짧아진 대화의 성향 때문에 쉴 새 없이 울리는
            진동과 소리 알람. 좀 더 각자 하는 일에 집중   검색이나 중요 테스크를 하고 싶을 때, 알람을
            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적당하게 알려줄 방     놓쳤더라도 떠있는 '메세지 수 알림' 때문에 방
            법은 없을까?                      해받고 싶지 않은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Theboatthatrocked
TheboatthatrockedTheboatthatrocked
Theboatthatrocked
Hyunjin Yoo
 
Peyton2mia
Peyton2miaPeyton2mia
Peyton2mia
trl23901
 
tripleex_mutimodal_interface
tripleex_mutimodal_interfacetripleex_mutimodal_interface
tripleex_mutimodal_interface
Hyunjin Yoo
 
triple EX _ 0417 지하철관찰&아이데이션
triple EX _ 0417 지하철관찰&아이데이션triple EX _ 0417 지하철관찰&아이데이션
triple EX _ 0417 지하철관찰&아이데이션Hyunjin Yoo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Hyunjin Yoo
 
Three billy goats french - claire.be and jennifer.b
Three billy goats   french - claire.be and jennifer.bThree billy goats   french - claire.be and jennifer.b
Three billy goats french - claire.be and jennifer.b
clairebeechey
 
Number bonds to 10
Number bonds to 10Number bonds to 10
Number bonds to 10
clairebeechey
 
Tpm intro
Tpm introTpm intro
Tpm intro
elnaz1990
 
테스크분석종합
테스크분석종합테스크분석종합
테스크분석종합Hyunjin Yoo
 
triple EX_ 테스크 분석과 종합
triple EX_ 테스크 분석과 종합triple EX_ 테스크 분석과 종합
triple EX_ 테스크 분석과 종합Hyunjin Yoo
 
task_analysis_synthesis
task_analysis_synthesistask_analysis_synthesis
task_analysis_synthesisHyunjin Yoo
 
triple EX _ 지하철 관찰 및 아이데이션
triple EX _ 지하철 관찰 및 아이데이션triple EX _ 지하철 관찰 및 아이데이션
triple EX _ 지하철 관찰 및 아이데이션Hyunjin Yoo
 
triple EX _ 사용자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 _ 사용자 도메인 리서치triple EX _ 사용자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 _ 사용자 도메인 리서치
Hyunjin Yoo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Hyunjin Yoo
 

Viewers also liked (16)

Kom tehnik hamgamj
Kom tehnik hamgamjKom tehnik hamgamj
Kom tehnik hamgamj
 
Theboatthatrocked
TheboatthatrockedTheboatthatrocked
Theboatthatrocked
 
Mala
MalaMala
Mala
 
Peyton2mia
Peyton2miaPeyton2mia
Peyton2mia
 
tripleex_mutimodal_interface
tripleex_mutimodal_interfacetripleex_mutimodal_interface
tripleex_mutimodal_interface
 
triple EX _ 0417 지하철관찰&아이데이션
triple EX _ 0417 지하철관찰&아이데이션triple EX _ 0417 지하철관찰&아이데이션
triple EX _ 0417 지하철관찰&아이데이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hree billy goats french - claire.be and jennifer.b
Three billy goats   french - claire.be and jennifer.bThree billy goats   french - claire.be and jennifer.b
Three billy goats french - claire.be and jennifer.b
 
Number bonds to 10
Number bonds to 10Number bonds to 10
Number bonds to 10
 
Tpm intro
Tpm introTpm intro
Tpm intro
 
테스크분석종합
테스크분석종합테스크분석종합
테스크분석종합
 
triple EX_ 테스크 분석과 종합
triple EX_ 테스크 분석과 종합triple EX_ 테스크 분석과 종합
triple EX_ 테스크 분석과 종합
 
task_analysis_synthesis
task_analysis_synthesistask_analysis_synthesis
task_analysis_synthesis
 
triple EX _ 지하철 관찰 및 아이데이션
triple EX _ 지하철 관찰 및 아이데이션triple EX _ 지하철 관찰 및 아이데이션
triple EX _ 지하철 관찰 및 아이데이션
 
triple EX _ 사용자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 _ 사용자 도메인 리서치triple EX _ 사용자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 _ 사용자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triple EX_ 환경 도메인 리서치
 

Similar to 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

Fn multimodal research
Fn multimodal researchFn multimodal research
Fn multimodal research희민 지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2부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2부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2부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2부
RightBrain inc.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접근성 문제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접근성 문제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접근성 문제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접근성 문제
birsomio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 하이컨셉 NUI / 하이터치 WD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 하이컨셉 NUI / 하이터치 WD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 하이컨셉 NUI / 하이터치 WD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 하이컨셉 NUI / 하이터치 WD
JeongHeon Lee
 
비즈니스 현장에서 요구하는 NUI의 화두와 통찰
비즈니스 현장에서 요구하는 NUI의 화두와 통찰비즈니스 현장에서 요구하는 NUI의 화두와 통찰
비즈니스 현장에서 요구하는 NUI의 화두와 통찰
Billy Choi
 
세바시 15분 김중태 IT문화원 원장 - 스마트 시대, 소통의 진화
세바시 15분 김중태 IT문화원 원장 - 스마트 시대, 소통의 진화세바시 15분 김중태 IT문화원 원장 - 스마트 시대, 소통의 진화
세바시 15분 김중태 IT문화원 원장 - 스마트 시대, 소통의 진화
cbs15min
 
챗봇의 활용, 어디에서 도입하면 좋은가? - 와이즈넛 장정훈 이사
챗봇의 활용, 어디에서 도입하면 좋은가? - 와이즈넛 장정훈 이사챗봇의 활용, 어디에서 도입하면 좋은가? - 와이즈넛 장정훈 이사
챗봇의 활용, 어디에서 도입하면 좋은가? - 와이즈넛 장정훈 이사
eungjin cho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1부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1부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1부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1부
RightBrain inc.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RightBrain inc.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모션 인식: 모션센서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 제어기술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모션 인식: 모션센서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 제어기술웨어러블 환경에서의 모션 인식: 모션센서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 제어기술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모션 인식: 모션센서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 제어기술Jonghoon Seo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스마트워치 Ux의 조건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스마트워치 Ux의 조건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스마트워치 Ux의 조건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스마트워치 Ux의 조건
RightBrain inc.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Wearable Device and Natural User Interface)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Wearable Device and Natural User Interface)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Wearable Device and Natural User Interface)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Wearable Device and Natural User Interface)
JeongHeon Lee
 
사용자경험(UX)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자경험(UX)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사용자경험(UX)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자경험(UX)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재용 신
 
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1510600 배유정 미래의 기술 및 아이디어
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1510600 배유정   미래의 기술 및 아이디어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1510600 배유정   미래의 기술 및 아이디어
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1510600 배유정 미래의 기술 및 아이디어
merry818
 
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
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
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yeji1989
 
1811054 김수민 중간 대체 과제.pdf
1811054 김수민 중간 대체 과제.pdf1811054 김수민 중간 대체 과제.pdf
1811054 김수민 중간 대체 과제.pdf
minieK1
 
CEO & UX Designers' R&R
CEO & UX Designers' R&RCEO & UX Designers' R&R
CEO & UX Designers' R&R
Billy Choi
 
스마트 폰 기초 활용 강의록
스마트 폰 기초 활용  강의록스마트 폰 기초 활용  강의록
스마트 폰 기초 활용 강의록So Ran Moon
 

Similar to 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 (20)

Fn multimodal research
Fn multimodal researchFn multimodal research
Fn multimodal research
 
피티완성
피티완성 피티완성
피티완성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2부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2부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2부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2부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접근성 문제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접근성 문제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접근성 문제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접근성 문제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 하이컨셉 NUI / 하이터치 WD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 하이컨셉 NUI / 하이터치 WD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 하이컨셉 NUI / 하이터치 WD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 하이컨셉 NUI / 하이터치 WD
 
비즈니스 현장에서 요구하는 NUI의 화두와 통찰
비즈니스 현장에서 요구하는 NUI의 화두와 통찰비즈니스 현장에서 요구하는 NUI의 화두와 통찰
비즈니스 현장에서 요구하는 NUI의 화두와 통찰
 
세바시 15분 김중태 IT문화원 원장 - 스마트 시대, 소통의 진화
세바시 15분 김중태 IT문화원 원장 - 스마트 시대, 소통의 진화세바시 15분 김중태 IT문화원 원장 - 스마트 시대, 소통의 진화
세바시 15분 김중태 IT문화원 원장 - 스마트 시대, 소통의 진화
 
챗봇의 활용, 어디에서 도입하면 좋은가? - 와이즈넛 장정훈 이사
챗봇의 활용, 어디에서 도입하면 좋은가? - 와이즈넛 장정훈 이사챗봇의 활용, 어디에서 도입하면 좋은가? - 와이즈넛 장정훈 이사
챗봇의 활용, 어디에서 도입하면 좋은가? - 와이즈넛 장정훈 이사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1부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1부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1부
2016 3rd UX 트렌드 리포트_1부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2015 1st UX 트렌드 리포트_인터랙션(Interaction)편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모션 인식: 모션센서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 제어기술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모션 인식: 모션센서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 제어기술웨어러블 환경에서의 모션 인식: 모션센서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 제어기술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모션 인식: 모션센서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 제어기술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스마트워치 Ux의 조건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스마트워치 Ux의 조건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스마트워치 Ux의 조건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스마트워치 Ux의 조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Wearable Device and Natural User Interface)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Wearable Device and Natural User Interface)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Wearable Device and Natural User Interface)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Wearable Device and Natural User Interface)
 
[Nux]09 nux
[Nux]09 nux[Nux]09 nux
[Nux]09 nux
 
사용자경험(UX)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자경험(UX)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사용자경험(UX)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자경험(UX)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1510600 배유정 미래의 기술 및 아이디어
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1510600 배유정   미래의 기술 및 아이디어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1510600 배유정   미래의 기술 및 아이디어
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1510600 배유정 미래의 기술 및 아이디어
 
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
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
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
 
1811054 김수민 중간 대체 과제.pdf
1811054 김수민 중간 대체 과제.pdf1811054 김수민 중간 대체 과제.pdf
1811054 김수민 중간 대체 과제.pdf
 
CEO & UX Designers' R&R
CEO & UX Designers' R&RCEO & UX Designers' R&R
CEO & UX Designers' R&R
 
스마트 폰 기초 활용 강의록
스마트 폰 기초 활용  강의록스마트 폰 기초 활용  강의록
스마트 폰 기초 활용 강의록
 

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

  • 4. group hierarchy 쫓김이 시간 확인, 경로 확인
  • 5. 쫓김이 문제점 발견 쫓김이 주머니에 손을 넣다가 옆 사람 옆구리를 찌름 주머니에 손을 넣어서 꼭 핸드폰을 꺼내 확인을 하지 않아도, 좁은 공간에서 핸드폰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없을까?
  • 6. 쫓김이 문제점 발견 쫓김이 통화 종료 버튼이 제대로 눌리지 않음 터치 스크린의 경우 주머니 속에서 통화 버튼이 잘못 눌러지는 경우, 혹은 통화 종료 버튼이 잘못 눌러지 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 결할 수 있는 방법은 ?
  • 7. 쫓김이 문제점 발견 쫓김이 어플을 찾기 위해 페이지를 2번 넘김 요즘에는 어플을 수십개 깔아놓는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9. group hierarchy 노예 메신저 서비스 이용 device
  • 10. 노예 문제점 발견 노예 핸드폰 비밀번호가 걸려 있는 경우 오타가 남 사생활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걸어 둘 경우 보다 쉽게 풀 수 있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ex) 갤럭시의 경우 패턴형 잠금장치
  • 11. 노예 문제점 발견 노예 터치스크린 기반 오타율 터치 기반 핸드폰의 경우 피처폰보다 오타를 낼 가능성이 높음. 터치의 편리함을 유지하고 오타율을 줄일 수 있게 입력 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 12. 노예 문제점 발견 노예 동시에 많은 활동을 수행하면서 겪는 스마트폰의 평면적 윈도우의 불편함 요즘은 핸드폰을 굉장히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데, 그런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인터페이스가 변화한다면 어떨까?
  • 13. 노예 문제점 발견 노예 답장을 기다리는 과정에서 홈 버튼을 잠궜다 풀었다, 핸드폰을 주머니에 넣었다가 꺼냈다가를 반복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기다림의 시간을 단축하거나 보다 효율적으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은 없을까? 주머니에 넣었다 뺐다 하는 반복적인 행동 패턴을 줄일 수 있는 멀티모달 방식은 없을까?
  • 15. 문제점 발견 지침이 지하철에서 잠이 든 상황
  • 16. 지침이 문제점 발견 지침이 메시지가 와서 자꾸 잠이 깸 자는데 일어나서 손가락으로 문자를 보내야하는 점 잠을 계속 자고 싶은데 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이어폰을 꽂고 자면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방식은 어떨 까? ( 눈을 감고도 음성으로 읽어주는 텍스트를 통해 그 메시지가 중요한 건지 아닌 건지 선별할 수 있음 ) 중요한 문자일 경우, 답장을 해야하는데 손으로 직접 치는 방법 말고는 없을까?
  • 17. 지침이 문제점 발견 지침이 자느라 어느 역인지 모르게 됨 지하철 역 알림 소리를 크게 해준다면? 고개 돌려서 보는 방식의 변화가 어떤 식으로? 어느 역인지 알려주는 것에 있어 시각적 피드백이 최선인가? 뉴미디어로 천장에 경로 확인 스크린이 있다면? 개인별 디바이스로 알려주는 방식은? 스마트폰 알람
  • 20. 범생이 문제점 발견 범생이 어플을 찾기 위해 페이지를 3번 넘김 요즘에는 어플을 수십개 깔아놓는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21. 범생이 문제점 발견 범생이 검색하는 과정이 복잡함 핸드폰을 이용해 정보 검색을 하는 방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 22. 범생이 문제점 발견 범생이 터치스크린 기반 오타율 터치 기반 핸드폰의 경우 피처폰보다 오타를 낼 가능성이 높음. 터치의 편리함을 유지하고 오타율을 줄일 수 있게 입력 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 25.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이어폰을 끼면 외부 소리가 안들려 이어폰을 뺐다 꼈다 하는 행위가 반복됨 이어폰을 껴도 외부 환경의 청각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26.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핸드폰 외부의 버튼이 너무 비슷해 누르기 힘들다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버튼 대신에 다른 액션을 부여하는 건 어떨까?
  • 27.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한 귀로는 주변 상황의 소리를 듣고 싶고 또 다른 귀로는 통화에 집중하고 싶음 이어폰을 껴도 외부 환경의 청각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28.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어플을 찾기 위해 화면을 여러번 이동 요즘에는 어플을 수십개 깔아놓는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29. 소심이 group hierarchy 소심이 메시지를 보낼 때 주변을 지나치게 의식 주변 사람들이 자신의 메시지를 보고 있지 않 다는 것을 확인받을 수는 없나? 스크린을 나만 볼 수 있게 화면에 어떤 장치를 할 수는 없을까? 화면의 각도 조절 말고, 입력 방식의 변화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까?
  • 33. 질문 구조화 하드웨어 디바이스 액세서리 Issue 1. 주머니에 넣다 빼기 주머니에서 핸드폰을 꺼내지 않고 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크기 이어폰 지침이 / 잠에 들었는데 문자 메시지가 오는 상황, 주머니에서 꺼내기 귀찮음 뺐다가 끼기 양 손으로 잡 반복 기 vs. 한 손으 노예 / 로 잡기 연락을 확인하기 위해 핸드폰을 주머니에 넣었다, 뺐다 하는 행동의 반복 디바이스에서 쫓김이 / 의 기능 활용 제한 주머니에 손을 넣다가 옆 사람 옆구리를 찌름 옆면 활용 가로 보기 주머니에 넣다 빼기
  • 34. 질문 구조화 소프트웨어 UI Issue 2. 터치 입/출력 인공지능 정보구조 지침이 / 자는데 일어나서 손가락으로 문자를 보내야하는 점 촉각 시각 청각 음성 개인화 정보접근경로 범생이 / 핸드폰 사용이 본래 목적의 방해가 됨 진동 디스플레이 입력방식 쿼티 vs.천지 터치 아이콘 인 텍스트
  • 35. 질문 구조화 핸드폰을 사용하면서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은? 텍스트에서 음성, 음성으로 텍스트 변환 기능이 가능하다면 어떨까? 소프트웨어 소심이 / 메시지 보낼 때 주변 시선의 의식. 정보 보호 UI 쫓김이 / 어플을 찾기 위해 페이지를 2번 넘김 입/출력 인공지능 정보구조 촉각 시각 청각 음성 개인화 정보접근경로 Issue 3. 디스플레이 진동 디스플레이 입력방식 쿼티 vs.천지 터치 아이콘 인 텍스트
  • 36. 질문 구조화 소프트웨어 Issue 4. 음성 UI 소심이 / 전화받을 때 입/출력 인공지능 정보구조 촉각 시각 청각 음성 개인화 정보접근경로 진동 디스플레이 입력방식 쿼티 vs.천지 터치 아이콘 인 텍스트
  • 37. 질문 구조화 Issue 5. 정보접근경로 소프트웨어 정보 접근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UI 소심이, 노예 / 핸드폰 사용 단계의 복잡함 입/출력 인공지능 정보구조 범생이 / 촉각 시각 청각 음성 개인화 정보접근경로 검색하는 과정이 복잡함 진동 디스플레이 입력방식 쿼티 vs.천지 터치 아이콘 인 텍스트
  • 38. 질문 구조화 Issue 6. 도착역 정보 어느 역인지 알려주는 방법에 있어 최선의 해결방법은? 지하철 내의 이동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알려줄 수 있는 방식은? 기타 서비스 지침이 / 자느라 어느 역인지 모르게 됨 지하철 제공 정보 LBS 쫓김이 / 도착지까지 남은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어플을 실행하는 과정 음성 물리적 환경 방송정보 도착 역 정보
  • 40. ideation 1. 어떤 방식과 행동으로 현재의 입출력 방식을 변환하거나 보완할 수 있을까? 2. 변환된 정보를 어떤 방식과 감각기관으로 확인할 수 있을까?
  • 41. ideation 1. 주머니 디바이스를 주머니에 넣은 채로 메시지나 전 잠을 계속 자고 싶은데 문자를 확인할 수 있 화를 받을 수 있다면 어떨까? 도록 하는 방법은? 주머니에서 핸드폰 - 자고 있는 경우에 음성으로 들려주는 것 을 꺼내지 않고 볼 - 주머니 속의 디바이스를 만지는 행위로 바 로 전화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면 어떨 또한 방해 요소가 아닐까? 수 있는 방법은 없 을까? 까? -- 지하철에서 내리고 나서 받은 정보를 -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경우에는 우선순위에 따라 확인할 수 있게 해줄 수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없을까? --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꼭 화면 --- 지금 현재 마이크 부착형 이어폰을 사 을 봐야만 가능한가? 용할 때 휴대폰을 주머니에 넣은 채로 통화 할 수 있는데 통화 품질 외의 문제점은 무엇 --- 물리적인 화면을 꼭 마주하지 않고도, 일까? 연락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이어폰을 꽂고 자면 텍스트를 음성으 로 읽어주는 방식은 어떨까? ---- 눈을 감고도 음성으로 읽어주는 텍스 트를 통해 그 메시지가 중요한 건지 아닌 건 지 선별할 수 있을까? ----- 시각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청각이 최선인가?
  • 42. ideation 2. 터치 - 보지 않고는 타이핑 할 수 없는 터치 방식, 메신저 서비스 같은 경우, 옆에서 말하는 것 과거 버튼 방식처럼 안 보고도 과 같은 즉각적인 반응이 장점인데 이것을 부분을 느끼게 해줄 방법은 어떨까? 살리면서, 인풋 방식을 더 편하게 할 수 있 터치가 메시지 진동은 어떨까? 오히려 스트레스를 높일까? 는 방법은 없을까? 전송의 유일한 방법일까? - 액정을 직접 터치하지 않아도 원하는 앱을 -사람이 말을 하는 속도와 같거나 보다 빠 실행할 방법은 없을까? 른 방식의 입력 방식에는 어떤 것이 있을 까? 타이핑도 해야 하고, 알림 창도 눌러야 하고 바쁜 손을 쉬게 해줄 다른 방법은 없을까? 양 손으로 터치를 할 때 왜 자세가 불편해 질까? 좀 더 편한 자세를 위해선 어떤 점이 중요한 문자일 경우, 답장을 해야 하는데 손으 고쳐져야 할까? 로 직접 치는 방법 말고는 없을까? 짐이 많은 상황에서 한 손 만을 사용할 수 터치 입력 방식에서의 오타율을 줄이거나 수 있다면 입력 방식은 어때야 할까? 정을 빨리 하기 위해 다른 입력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을까? 원치 않은 상황에서 얼굴이나 피부에 닿아 다른 앱이나 버튼이 눌리지 않게 하기 위해 서는 입력 할 때와 아닐 때를 구분 해주는 디바이스에 다른 신호를 줄 수는 없을까? - 근접센서나 Parm영역 지정과 같은 현재 의 솔루션에서의 불편함은 무엇이었는가?
  • 43. ideation 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개인 정보는 소심이 뿐만 아니라 모두가 민 싶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감한 사항인데, 휴대폰 사용자들은 남들에게 자신이 하는 행동이 보여지는 것을 얼마나 핸드폰을 사용하면 - 자신이 적은 내용을 나만 볼 수 있게 할 수 의식하고 있나? 서 개인 정보를 보호 는 없을까? 할 수 있는 방법은? 지금 하고 있는 화면을 지하철 내의 모두에 -- 화면의 각도를 이용하는 방법? 말고는 다 게 공개하면서 개인 정보가 새어나가는 경우 른 방법은 없나? 가 확률적으로 많은가? 단지 심리적인 문제 라면 심리적인 부분만 안심시켜 주면 되는 --- 디바이스를 쥐는 방향에 따라서 사생활 것인가? 보호 모드로 바뀐다면 어떨까? ----- 특정 부분을 건드릴 때 의도치 않게 건드렸을 때와 의도하고 건드렸을 때의 차이 는 디바이스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사생활 부분 전환을 위한 버튼이나 특정 제스처가 있다면 어떨까?
  • 44. ideation 4. 음성 말하기 민망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음성 메 소심이가 직접 통화를 하면서 자신의 목소리 시지를 보낼 수 있을까? 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없을까? 어떻게하면 전화를 하고 있는데 다른 사람들은 내가 하는 -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통화 소리가 알 소심이가 말을 안 들리게 할 수는 없나? 다른 방법은? 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작게 들린다는 지하철 안에서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전화를 사용할 - 텍스트로 적어서 음성으로 보내는 방법은? 수 있을까? -- 텍스트로 적어, 핸드폰에서 음성으로 변환 한 메시지가 가능할 경우, 기분이나 감정은 어 떻게 표현할 것인가? -- 텍스트로 적는 속도와 음성으로 말할 때의 속도를 어떻게 자연스럽게 맞출 수 있을까?
  • 45. ideation 5. 정보 수용 현재 이용 중인 앱들을 한 화면에서 볼 수 있 항상 쓰는 어플을 찾아 들어가지 않아도 바로 는 방법은 없을까? 실행할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정보 접근 과정을 - 한 화면에서 보면서 동시 작동할 수 있는 방 - 항상 쓰는 앱들이 여러 개라면 어떨까? 최소화 할 수 있는 법은 없을까? (맥 같이) 방법은 없을까? --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한 앱과 바로 접속 가방에서 핸드폰을 찾아 사용하기까지의 과정 형식의 앱은 어떻게 달라야할까? 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핸드폰을 이용해 정보 검색을 하는 방법을 최 - 다른 사물들과 섞여있을 때 사용자의 손이 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디바이스에 근접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릴 것인가? - 음성 검색보다 정확하고 특정하며 편리한 기능이 있을까? 핸드폰 사용 단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 요즘에는 어플을 수십개 깔아놓는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 - 인터페이스 구성을 앱을 종료하고 실행시킴 은 없을까? 이 아닌 다층적으로 이용할 수는 없을까? - 사용자가 앱의 이름을 기억하는 경우와 기 억하지 못 하는 경우의 접근 방식은 어떻게 달 라야할까?
  • 46. ideation 6. 도착 역 정보 지하철 내의 이동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알려 개인별 디바이스로 알려주는 방식은? 스마트 줄 수 있는 방식은? 폰 알람 어느 역인지 알려 사람이 많을 경우엔 어디에 시각 정보를 제공 사람들은 항상 일상적으로 이동을 하는데, 지 주는 방법에 있어 하는 시설물을 설치해야 할까? 하철 사용자에게 어플을 사용해서 정보를 알 최선의 해결 방법 려주는 방식 말고 보다 편리하게 이동 정보를 은? - 뉴 미디어로 천장에 알림이 있다면? 알려줄 수는 없을까? 어느 역인지 알려주는 것에 있어 시각적 피드 백이 최선인가? - 고개 돌려서 보는 방식의 변화가 어떤 식으 로? - 지하철 역 알림 소리를 크게 해준다면? - 원하지 않는 역까지 들어야 하는 불편함은 어떻게 해결해 줄 것인가?
  • 47. ideation 7. 알람 방식 핸드폰의 알림을 킵해두거나, 중간에 잠시 안 상황에 따라 원하는 아웃 풋 방식을 쉽게 정해 들리게 할 수는 없을까? 주는 방법은 어떨까?(단지 진동/벨 말고) 기존의 진동, 중요한 연락만 선별해서 꼭 알려줘야 하는 것 - 비교적 원하는 때에 볼 수 있는 시각적 아웃 소리 알람 방식을 만 알려줄 수는 없을까? 풋이 아닌, 청각적 아웃풋(읽어주기)를 할 경 벗어난 다른 형식 우 오히려 하고 있는 메인 테스크에 지장을 주 의 알람은 없는 - 그렇다면 여러 대화 창에서도 자기가 원하 지 않을까? 것일까? 는 것을 우선적으로 더 집중해서 볼 수 있지 않을까? - 읽어 줄 경우 어떤 톤으로 어떻게 전달 할 수 있을까? 과연 효과적일까? 짧아진 대화의 성향 때문에 쉴 새 없이 울리는 진동과 소리 알람. 좀 더 각자 하는 일에 집중 검색이나 중요 테스크를 하고 싶을 때, 알람을 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적당하게 알려줄 방 놓쳤더라도 떠있는 '메세지 수 알림' 때문에 방 법은 없을까? 해받고 싶지 않은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