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평.평.한. 미래.




                                  강초희   김예지    김지영   조소영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페르소나별 사례


                                  행동 분석/ 매체 특성 /입출력 방식




                                          질문




                                      아이디어/참고자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한잔혜
                              핸드폰이 있어도, 전화번호를 따로

                              종이에 적어둔 뒤, 다시 저장한다.

                              혹은 따로 전화번호부 책을 가지고

                              있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4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한잔혜                   분석
                              핸드폰이 있어도, 전화번호를 따로    첫 대면하는 사람에게 번호를 물어본다


                              종이에 적어둔 뒤, 다시 저장한다.   상대방이 번호를 말하려고 한다

                                                    잠시만요 라고 이야기 하고 수첩을 꺼내기 위해 주머니에 손을 넣는다

                              혹은 따로 전화번호부 책을 가지고    수첩을 꺼낸다

                                                    적당한 페이지를 골라 펼친다.
                              있다.                   상대방에 불러주는 번호와 이름을 적는다

                                                    후에 필요시, 핸드폰에 전화번호를 옮겨적는다.




                                                    1. 인쇄매체-노트

                                                    2. 입력방식-펜으로 직접 글자를 쓴다.

                                                    3. 출력방식-노트 글자가 보인다.

                                                    4 신체적+인지적인 문제/작은 버튼으로 빠르게 입

                                                    력해 나가는게 부담스럽다. 핸드폰 버튼 조합 방식으

                                                    로는 빠르게 하는게 힘들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5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직접 글씨를 쓰는 입력 방식이
                                  글자를 입력하는데에 자판입력보다 더 효과적일까?

                                     맥락에 따라 다르다면, 어떤 상황에서
                                      글씨를 직접 쓰는 것이 좋을까?

                                        동영상 자료1-빠른 명령어구/필기를 전자화




Electronic Telepathy Studio   6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옥혜이
                              자식들이 알려 준 단축키로 전화를

                              건다. 딸은 1번이고, 아들은 2번이

                              었다. 4번까지는 기억하지만, 그 외

                              에는 단축키를 기억하기 힘들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7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옥혜이                    분석
                              자식들이 알려 준 단축키로 전화를     전화를 해야 할 사람을 생각한다.


                              건다. 딸은 1번이고, 아들은 2번이   해당 단축번호를 기억해, 단축번호를 생각한다.

                                                     단축번호가 기억나지 않으면 검색을 해 본다. (적어 놓은 수첩을 꺼낸다)

                              었다. 4번까지는 기억하지만, 그 외   단축번호를 안 뒤에 단축키를 누른다.

                                                     해당 사람의 정보가 화면에 뜨면서, 통화 연결을 확인한다.
                              에는 단축키를 기억하기 힘들다.
                                                     1. 전자매체-폴더형 핸드폰/ 자판입력방식

                                                     2. 입력방식-원하는 사람의 단축번호를 누른다.

                                                     3. 출력방식-해당 사람의 정보가 화면에 출력,

                                                       통화를 확인한다.

                                                     4 기존 버튼을 이용한 단축키 사용에서 오는 문제/

                                                     간략한 몇 가지 정보들은 단축을 해서 사용 할 수 있

                                                     으나, 다량의 단축키 사용시 단축키 자체를 또 다시

                                                     기억해야한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8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단축키를 기억하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
                                   버튼 자체에 표시가 될 수는 없을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9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근본적으로, 버튼입력 방식이 주는 장점은 무엇일까?



                                      -안 보고 칠 때에 더 효율적: 위치가 고정

                                      - 버튼은 용도가 한가지

                                      - 터치가 잘 안 되는 상황 (ex 장갑)

                                      - 물리적인인 다양한 느낌

                                      - 터치 화면 안에서의 키패드 비율

                                      - 명령 단축 (ex 단축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0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명령어를 단축하는 다른 방법들은 없을까?



                                       동영상 자료 2 -아이콘,명령, 블럭 물질화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1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옥혜이
                              모임후- 감정교류 시,

                              시간을 들여서 문자를 입력해야함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2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옥혜이                 분석
                              모임후- 감정교류 시,
                                                  친구에게서 문자가 도착하여 알림(진동/ 소리)이 울린다(청각인지)
                              시간을 들여서 문자를 입력해야함   화면에 새 메세지 표시가 뜬다(시각 인지)

                                                  메세지 함으로 이동하기 위해 메세지 버튼 클릭-새 메세지 클릭 /확인

                                                  감정적인 표현방식에 대해서 생각

                                                  그 방식으로 타자를 보면서 입력, 버튼 클릭

                                                  문장 조합의 맞음을 화면에 나타난 글자를 보면서 확인- 메세지 전송




                                                  1 디지털 매체-폴더형 핸드폰/버튼 입력방식

                                                  2. 입력방식-버튼을 눌러서 글자를 조합

                                                  3. 출력방식-핸드폰 화면에 글자가 보인다.

                                                  4 인지적인 문제/ 자판입력 방식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3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자판 입력 방식보다 더 편한 입력 방식은 무엇일까?

                                     음성으로 입력시에 구체적인 입력 방식은?

                                    명령어와, 컨텐츠를 구분하는 직관적인 방법은?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4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음성인식시 글씨 외, 기호들은 어떻게 입력할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5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공유
                              컨텐츠 가공- 기존 아이콘, 꾸미기

                              행위의 어려움 /html 복사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6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공유                    분석
                              컨텐츠 가공- 기존 아이콘, 꾸미기   새 메일 쓰기클릭->


                              행위의 어려움 /html 복사      본문내용에 커서를 둠->

                                                    꽃사진을 찾아 넣음->

                                                    배경색을 바꾸고 싶음->

                                                    html활성화->

                                                    다른창을 켬->

                                                    내가 원하는 소스들을 찾음(검색)->

                                                    복사함->

                                                    돌아와서 붙여넣기




                                                    1 전자매체/컴퓨터

                                                    2 입력방식-html 소스 붙여넣기 또는 키보드 입력

                                                    3 출력방식-꾸며진 페이지가 모니터에 나타난다.

                                                    4 인지적 문제/아이콘 인식,활용을 못함.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7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아이콘을 보다 쉽게 인지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8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신문을 컴퓨터보다 선호, 신문에서

                              새로운 정보 찾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9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분석
                              신문을 컴퓨터보다 선호, 신문에서   신문을 편다


                              새로운 정보 찾음            원하는 섹션의 페이지를 두께로 짐작하여 찾아본다. 넘겨본다

                                                   문화섹션을 위의 글자로 확인한다

                                                   문화 섹션을 읽어 원하는 정보를 찾는다.




                                                   1 인쇄, 출판 매체- 신문

                                                   2 입력방식-신문글이 눈을통해 뇌로. 신문을 넘긴

                                                   다, 신문을 오린다. 신문에 페이지를 표시한다.

                                                   3 출력방식-신문에 인쇄 된 글자가 시각적으로 보인

                                                   다. 두께, 페이짓 수등을 촉각적으로 시각적으로 파

                                                   악이 가능하다.

                                                   4.인지적인 문제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0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기존 디바이스들의 화면을 크게 볼 수 없을까?

                               한정된 공간안(스마트폰)에 있는 많은 양의 정보를 좀
                                    더 많이 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빔프로젝터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1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첨부파일 확자자명이나 링크같은 눌

                              러야 되는 것들을 구분하지 못했었

                              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2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분석
                              첨부파일 확자자명이나 링크같은 눌   화면메인 페이지를 접속한다.


                              러야 되는 것들을 구분하지 못했었   다음페이지로 넘어가는 버튼을 찾아본다..



                              다
                                                   1 기존 UI 인지에 대한 문제

                                                   2.인지적인 문제/학습 되지 못한 아이콘에 대한 낯설

                                                   음, 기존 아이콘들의 크기 및 배치가 시각적으로 인지

                                                   되는데의 불편함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3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클릭해야되는 것들(아이콘,링크 …)이 시각적인 것 뿐
                               만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도 구별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는 없을까?(인지적 한계)

                                         동영상 자료 3 입체 디스플레이 /

                                       촉각- 클릭 되야되는 부분만 진동 아웃풋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4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신문, 종이 오려서 다니는 이유 - 휴

                              대성, 신문은 조각으로 나누어진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5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분석
                              신문, 종이 오려서 다니는 이유 - 휴   신문을 편다


                              대성, 신문은 조각으로 나누어진다      원하는 섹션의 페이지를 두께로 짐작하여 찾아본다. 넘겨본다

                                                      문화섹션을 위의 글자로 확인한다

                                                      문화 섹션을 읽어 원하는 정보를 찾는다.




                                                      1 인쇄, 출판 매체/ 신문

                                                      2 가위로 자른다. 종이를 접는다.

                                                      3 종이가 잘렸다. 종이가 접혔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6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그 밖에 내 맘대로 자르거나 접을 수 없는 정보를 노인
                                    분들이 쉽게 가져갈 수 있는 방법은 ?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7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그들이 만약 단순히 그 정보를 볼 수 있을때 언제든지
                                      보는것에서 욕구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유형의 물질로 갖고 싶어하는 것이라면?
                                                           -컴퓨터랑 프린트의 결합형식

                                   -참고자료:http://www.geeksailor.com/inovative-combo-monitor-printer-document-

                                                            extracter-combi-monitor/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8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디지털 매체에 종이의 속성을 넣어 보면 어떻게 될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9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노인들의 보편적인 행태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0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보편적인 행태1              분석
                              텍스트를 읽을 때 손으로 읽고 있는   신문을날짜를 확인해야한다 -


                              부분을 만지면서 읽어 내려간다.     달력을 본다 -

                                                    눈으로만 쫓으려니 헷갈린다 -

                                                    손으로 훑으면서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한다 편다




                                                    1 인쇄매체

                                                    2.마우스 포인터 등이 없는 상황에서 자신이 읽고 있

                                                    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조하려는 자연스러운 행태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1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많은 정보를 읽을 때 내가 어디를 읽고 있는지
                                   표시 해주는 것이 있다면 어떻게 활용이 가능할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2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보편적인 행태2             분석
                              더블클릭이 안되서 폴더 이름을 바   신문을날짜를 확인해야한다 -


                              꾸게 된다.               달력을 본다 -

                                                   눈으로만 쫓으려니 헷갈린다 -

                                                   손으로 훑으면서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한다 편다




                                                   1 입력도구 /마우스 키보드

                                                   2 인풋자체를 어려워하는 경우 인풋을 다뤄야할 때,

                                                   신체적인 문제가 부각됨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3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입력도구에서 스피드를 요구시 불편한 점이 많다.
                                    나이가 들어도 공평할 수 있는 입력 도구는?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4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보편적인 행태3             분석
                               사진을 찍어주려는데 손이 떨려서   피사체를 정한다-


                              자주 실패한다.             카메라를 꺼낸다-

                                                   구도를 지정한다

                                                   찍기 버튼을 눌러서 사진을 찍는다-




                                                   1 저장매체-카메라

                                                   2.입력방식- 해당 버튼을 클릭한다.

                                                   3.출력방식- 모니터를 통해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

                                                   준다.

                                                   4. 신체적인 제약/ 팔이 지지대가 되어야하는 상황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5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사진 찍는 새로운 입력 방식은 무엇이 있을까?
                               손 말고, 나이에 상관없이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이 없을까?

                                         눈을 깜빡임? 순간의 제스처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6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는 디지털기기들을
                                   손이 아닌 다른것으로 들고 다닐 수 있을까?
                                    (물리적-근육 한계/자세 다루는 방식)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7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보편적인 행태4               분석
                              둔해진 촉감으로, 진동 알람을 잘 느   피사체를 정한다-


                              끼지 못해, 공공장소에서도 매너모     카메라를 꺼낸다-

                                                     구도를 지정한다

                              드가 아닌 소리 알람을 항상 크게 켜   찍기 버튼을 눌러서 사진을 찍는다-


                              놓는다.


                                                     1 전자매체-핸드폰

                                                     2.입력방식- 해당 알람 설정 버튼을 클릭한다.

                                                     3.출력방식- 해당 알람 화면(시각)과 청각적으로 소

                                                     리 알람을 받는다.

                                                     4. 신체적인 제약/ 약해진 감각들로 인해, 강한 자극

                                                     이 필요하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8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또 다른 효과적인 알람 방식은 없을까?
                                   기기가 다른 모습을 보일 수는 없을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9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우리가 찾고 싶은.

                                        꿈꾸는.

                                   미래는. 평평하지만은 않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40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to be continued ...




Electronic Telepathy Studio   41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

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
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
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Hyunjin Yoo
 
Perspective on UX - Korean
Perspective on UX - KoreanPerspective on UX - Korean
Perspective on UX - Korean
Jimmy Park
 
Fn multimodal research
Fn multimodal researchFn multimodal research
Fn multimodal research희민 지
 
언플러그드 활동의 이론과 실제(Unplugged Activity / Computing)
언플러그드 활동의 이론과 실제(Unplugged Activity / Computing)언플러그드 활동의 이론과 실제(Unplugged Activity / Computing)
언플러그드 활동의 이론과 실제(Unplugged Activity / Computing)
Sangsu Song
 

Similar to 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 (6)

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
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
triple EX_ 0421 미분화&아이데이션
 
Perspective on UX - Korean
Perspective on UX - KoreanPerspective on UX - Korean
Perspective on UX - Korean
 
피티완성
피티완성 피티완성
피티완성
 
Fn multimodal research
Fn multimodal researchFn multimodal research
Fn multimodal research
 
피티완성
피티완성 피티완성
피티완성
 
언플러그드 활동의 이론과 실제(Unplugged Activity / Computing)
언플러그드 활동의 이론과 실제(Unplugged Activity / Computing)언플러그드 활동의 이론과 실제(Unplugged Activity / Computing)
언플러그드 활동의 이론과 실제(Unplugged Activity / Computing)
 

More from yeji1989

Gap space
Gap spaceGap space
Gap space
yeji1989
 
노래방 리서치1
노래방 리서치1노래방 리서치1
노래방 리서치1yeji1989
 
Multi modal 4th task analysis et studio
Multi modal 4th task analysis et studio Multi modal 4th task analysis et studio
Multi modal 4th task analysis et studio yeji1989
 
Multi-modal_3rd_Persona_ETstudio
Multi-modal_3rd_Persona_ETstudioMulti-modal_3rd_Persona_ETstudio
Multi-modal_3rd_Persona_ETstudio
yeji1989
 
Multi-modal_2nd_Environment_ET studio
Multi-modal_2nd_Environment_ET studioMulti-modal_2nd_Environment_ET studio
Multi-modal_2nd_Environment_ET studioyeji1989
 
Multi-modal_1st_Research_ETstudio
Multi-modal_1st_Research_ETstudioMulti-modal_1st_Research_ETstudio
Multi-modal_1st_Research_ETstudio
yeji1989
 

More from yeji1989 (6)

Gap space
Gap spaceGap space
Gap space
 
노래방 리서치1
노래방 리서치1노래방 리서치1
노래방 리서치1
 
Multi modal 4th task analysis et studio
Multi modal 4th task analysis et studio Multi modal 4th task analysis et studio
Multi modal 4th task analysis et studio
 
Multi-modal_3rd_Persona_ETstudio
Multi-modal_3rd_Persona_ETstudioMulti-modal_3rd_Persona_ETstudio
Multi-modal_3rd_Persona_ETstudio
 
Multi-modal_2nd_Environment_ET studio
Multi-modal_2nd_Environment_ET studioMulti-modal_2nd_Environment_ET studio
Multi-modal_2nd_Environment_ET studio
 
Multi-modal_1st_Research_ETstudio
Multi-modal_1st_Research_ETstudioMulti-modal_1st_Research_ETstudio
Multi-modal_1st_Research_ETstudio
 

Multi modal 4th Ideation_ ET studio

  • 2.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평.평.한. 미래. 강초희 김예지 김지영 조소영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
  • 3.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페르소나별 사례 행동 분석/ 매체 특성 /입출력 방식 질문 아이디어/참고자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
  • 4.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한잔혜 핸드폰이 있어도, 전화번호를 따로 종이에 적어둔 뒤, 다시 저장한다. 혹은 따로 전화번호부 책을 가지고 있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4
  • 5.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한잔혜 분석 핸드폰이 있어도, 전화번호를 따로 첫 대면하는 사람에게 번호를 물어본다 종이에 적어둔 뒤, 다시 저장한다. 상대방이 번호를 말하려고 한다 잠시만요 라고 이야기 하고 수첩을 꺼내기 위해 주머니에 손을 넣는다 혹은 따로 전화번호부 책을 가지고 수첩을 꺼낸다 적당한 페이지를 골라 펼친다. 있다. 상대방에 불러주는 번호와 이름을 적는다 후에 필요시, 핸드폰에 전화번호를 옮겨적는다. 1. 인쇄매체-노트 2. 입력방식-펜으로 직접 글자를 쓴다. 3. 출력방식-노트 글자가 보인다. 4 신체적+인지적인 문제/작은 버튼으로 빠르게 입 력해 나가는게 부담스럽다. 핸드폰 버튼 조합 방식으 로는 빠르게 하는게 힘들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5
  • 6.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직접 글씨를 쓰는 입력 방식이 글자를 입력하는데에 자판입력보다 더 효과적일까? 맥락에 따라 다르다면, 어떤 상황에서 글씨를 직접 쓰는 것이 좋을까? 동영상 자료1-빠른 명령어구/필기를 전자화 Electronic Telepathy Studio 6
  • 7.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옥혜이 자식들이 알려 준 단축키로 전화를 건다. 딸은 1번이고, 아들은 2번이 었다. 4번까지는 기억하지만, 그 외 에는 단축키를 기억하기 힘들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7
  • 8.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옥혜이 분석 자식들이 알려 준 단축키로 전화를 전화를 해야 할 사람을 생각한다. 건다. 딸은 1번이고, 아들은 2번이 해당 단축번호를 기억해, 단축번호를 생각한다. 단축번호가 기억나지 않으면 검색을 해 본다. (적어 놓은 수첩을 꺼낸다) 었다. 4번까지는 기억하지만, 그 외 단축번호를 안 뒤에 단축키를 누른다. 해당 사람의 정보가 화면에 뜨면서, 통화 연결을 확인한다. 에는 단축키를 기억하기 힘들다. 1. 전자매체-폴더형 핸드폰/ 자판입력방식 2. 입력방식-원하는 사람의 단축번호를 누른다. 3. 출력방식-해당 사람의 정보가 화면에 출력, 통화를 확인한다. 4 기존 버튼을 이용한 단축키 사용에서 오는 문제/ 간략한 몇 가지 정보들은 단축을 해서 사용 할 수 있 으나, 다량의 단축키 사용시 단축키 자체를 또 다시 기억해야한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8
  • 9.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단축키를 기억하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 버튼 자체에 표시가 될 수는 없을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9
  • 10.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근본적으로, 버튼입력 방식이 주는 장점은 무엇일까? -안 보고 칠 때에 더 효율적: 위치가 고정 - 버튼은 용도가 한가지 - 터치가 잘 안 되는 상황 (ex 장갑) - 물리적인인 다양한 느낌 - 터치 화면 안에서의 키패드 비율 - 명령 단축 (ex 단축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0
  • 11.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명령어를 단축하는 다른 방법들은 없을까? 동영상 자료 2 -아이콘,명령, 블럭 물질화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1
  • 12.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옥혜이 모임후- 감정교류 시, 시간을 들여서 문자를 입력해야함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2
  • 13.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옥혜이 분석 모임후- 감정교류 시, 친구에게서 문자가 도착하여 알림(진동/ 소리)이 울린다(청각인지) 시간을 들여서 문자를 입력해야함 화면에 새 메세지 표시가 뜬다(시각 인지) 메세지 함으로 이동하기 위해 메세지 버튼 클릭-새 메세지 클릭 /확인 감정적인 표현방식에 대해서 생각 그 방식으로 타자를 보면서 입력, 버튼 클릭 문장 조합의 맞음을 화면에 나타난 글자를 보면서 확인- 메세지 전송 1 디지털 매체-폴더형 핸드폰/버튼 입력방식 2. 입력방식-버튼을 눌러서 글자를 조합 3. 출력방식-핸드폰 화면에 글자가 보인다. 4 인지적인 문제/ 자판입력 방식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3
  • 14.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자판 입력 방식보다 더 편한 입력 방식은 무엇일까? 음성으로 입력시에 구체적인 입력 방식은? 명령어와, 컨텐츠를 구분하는 직관적인 방법은?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4
  • 15.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음성인식시 글씨 외, 기호들은 어떻게 입력할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5
  • 16.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공유 컨텐츠 가공- 기존 아이콘, 꾸미기 행위의 어려움 /html 복사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6
  • 17.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공유 분석 컨텐츠 가공- 기존 아이콘, 꾸미기 새 메일 쓰기클릭-> 행위의 어려움 /html 복사 본문내용에 커서를 둠-> 꽃사진을 찾아 넣음-> 배경색을 바꾸고 싶음-> html활성화-> 다른창을 켬-> 내가 원하는 소스들을 찾음(검색)-> 복사함-> 돌아와서 붙여넣기 1 전자매체/컴퓨터 2 입력방식-html 소스 붙여넣기 또는 키보드 입력 3 출력방식-꾸며진 페이지가 모니터에 나타난다. 4 인지적 문제/아이콘 인식,활용을 못함.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7
  • 18.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아이콘을 보다 쉽게 인지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8
  • 19.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신문을 컴퓨터보다 선호, 신문에서 새로운 정보 찾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19
  • 20.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분석 신문을 컴퓨터보다 선호, 신문에서 신문을 편다 새로운 정보 찾음 원하는 섹션의 페이지를 두께로 짐작하여 찾아본다. 넘겨본다 문화섹션을 위의 글자로 확인한다 문화 섹션을 읽어 원하는 정보를 찾는다. 1 인쇄, 출판 매체- 신문 2 입력방식-신문글이 눈을통해 뇌로. 신문을 넘긴 다, 신문을 오린다. 신문에 페이지를 표시한다. 3 출력방식-신문에 인쇄 된 글자가 시각적으로 보인 다. 두께, 페이짓 수등을 촉각적으로 시각적으로 파 악이 가능하다. 4.인지적인 문제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0
  • 21.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기존 디바이스들의 화면을 크게 볼 수 없을까? 한정된 공간안(스마트폰)에 있는 많은 양의 정보를 좀 더 많이 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빔프로젝터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1
  • 22.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첨부파일 확자자명이나 링크같은 눌 러야 되는 것들을 구분하지 못했었 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2
  • 23.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분석 첨부파일 확자자명이나 링크같은 눌 화면메인 페이지를 접속한다. 러야 되는 것들을 구분하지 못했었 다음페이지로 넘어가는 버튼을 찾아본다.. 다 1 기존 UI 인지에 대한 문제 2.인지적인 문제/학습 되지 못한 아이콘에 대한 낯설 음, 기존 아이콘들의 크기 및 배치가 시각적으로 인지 되는데의 불편함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3
  • 24.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클릭해야되는 것들(아이콘,링크 …)이 시각적인 것 뿐 만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도 구별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는 없을까?(인지적 한계) 동영상 자료 3 입체 디스플레이 / 촉각- 클릭 되야되는 부분만 진동 아웃풋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4
  • 25.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신문, 종이 오려서 다니는 이유 - 휴 대성, 신문은 조각으로 나누어진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5
  • 26.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안경태 분석 신문, 종이 오려서 다니는 이유 - 휴 신문을 편다 대성, 신문은 조각으로 나누어진다 원하는 섹션의 페이지를 두께로 짐작하여 찾아본다. 넘겨본다 문화섹션을 위의 글자로 확인한다 문화 섹션을 읽어 원하는 정보를 찾는다. 1 인쇄, 출판 매체/ 신문 2 가위로 자른다. 종이를 접는다. 3 종이가 잘렸다. 종이가 접혔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6
  • 27.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그 밖에 내 맘대로 자르거나 접을 수 없는 정보를 노인 분들이 쉽게 가져갈 수 있는 방법은 ?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7
  • 28.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그들이 만약 단순히 그 정보를 볼 수 있을때 언제든지 보는것에서 욕구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유형의 물질로 갖고 싶어하는 것이라면? -컴퓨터랑 프린트의 결합형식 -참고자료:http://www.geeksailor.com/inovative-combo-monitor-printer-document- extracter-combi-monitor/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8
  • 29.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디지털 매체에 종이의 속성을 넣어 보면 어떻게 될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29
  • 30.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노인들의 보편적인 행태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0
  • 31.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보편적인 행태1 분석 텍스트를 읽을 때 손으로 읽고 있는 신문을날짜를 확인해야한다 - 부분을 만지면서 읽어 내려간다. 달력을 본다 - 눈으로만 쫓으려니 헷갈린다 - 손으로 훑으면서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한다 편다 1 인쇄매체 2.마우스 포인터 등이 없는 상황에서 자신이 읽고 있 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조하려는 자연스러운 행태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1
  • 32.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많은 정보를 읽을 때 내가 어디를 읽고 있는지 표시 해주는 것이 있다면 어떻게 활용이 가능할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2
  • 33.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보편적인 행태2 분석 더블클릭이 안되서 폴더 이름을 바 신문을날짜를 확인해야한다 - 꾸게 된다. 달력을 본다 - 눈으로만 쫓으려니 헷갈린다 - 손으로 훑으면서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한다 편다 1 입력도구 /마우스 키보드 2 인풋자체를 어려워하는 경우 인풋을 다뤄야할 때, 신체적인 문제가 부각됨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3
  • 34.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입력도구에서 스피드를 요구시 불편한 점이 많다. 나이가 들어도 공평할 수 있는 입력 도구는?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4
  • 35.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보편적인 행태3 분석 사진을 찍어주려는데 손이 떨려서 피사체를 정한다- 자주 실패한다. 카메라를 꺼낸다- 구도를 지정한다 찍기 버튼을 눌러서 사진을 찍는다- 1 저장매체-카메라 2.입력방식- 해당 버튼을 클릭한다. 3.출력방식- 모니터를 통해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 준다. 4. 신체적인 제약/ 팔이 지지대가 되어야하는 상황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5
  • 36.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사진 찍는 새로운 입력 방식은 무엇이 있을까? 손 말고, 나이에 상관없이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이 없을까? 눈을 깜빡임? 순간의 제스처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6
  • 37.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는 디지털기기들을 손이 아닌 다른것으로 들고 다닐 수 있을까? (물리적-근육 한계/자세 다루는 방식)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7
  • 38.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보편적인 행태4 분석 둔해진 촉감으로, 진동 알람을 잘 느 피사체를 정한다- 끼지 못해, 공공장소에서도 매너모 카메라를 꺼낸다- 구도를 지정한다 드가 아닌 소리 알람을 항상 크게 켜 찍기 버튼을 눌러서 사진을 찍는다- 놓는다. 1 전자매체-핸드폰 2.입력방식- 해당 알람 설정 버튼을 클릭한다. 3.출력방식- 해당 알람 화면(시각)과 청각적으로 소 리 알람을 받는다. 4. 신체적인 제약/ 약해진 감각들로 인해, 강한 자극 이 필요하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8
  • 39.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또 다른 효과적인 알람 방식은 없을까? 기기가 다른 모습을 보일 수는 없을까? Electronic Telepathy Studio 39
  • 40.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우리가 찾고 싶은. 꿈꾸는. 미래는. 평평하지만은 않다. Electronic Telepathy Studio 40
  • 41. 아이디어 제안 (1) 매체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UX studio 7주차 to be continued ... Electronic Telepathy Studio 41